우주 최초, 나선 은하가 처음 탄생하는 순간을 보다! | 제임스 웹이 깨야할 또다른 신기록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제임스웹 #나선은하 #빅뱅 #은하 #우주론 #타원은하 #ALMA #켁망원경 #jameswebb #jameswebbspacetelescope #hubble #hubblespacetelescope #허블우주망원경 #제임스웹우주망원경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almaobservatory.org/en/pr...
www.science.org/content/artic...
www.nature.com/articles/natur...
ui.adsabs.harvard.edu/abs/202...
ui.adsabs.harvard.edu/abs/202...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94

  • @joexiexie7748
    @joexiexie7748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진짜 원기옥 제대로모았네 ㄷㄷㄷ 인류가 진일보하는 계기가 되었으면합니다

  • @ranomu8606
    @ranomu8606 Жыл бұрын

    매번 흥미로운 내용 감사합니다

  • @suky5511
    @suky5511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luishan897
    @luishan897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가요

  • @user-ps6hw8uj5t
    @user-ps6hw8uj5t Жыл бұрын

    이놈의 제임스웹은 진짜 머하는 녀석인지.. 정말 괴물인거 같아요... 우주로 올라가자마자 이런저런 기록들을 다 갈아치우고.. 더 깊은 우주를 찾아가는 미친 제임스웹.. 우리가 몰랐던 새로운 사실과.. 우리의 상식을 깨는 그런 모습들이 얼마나더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 @irurys
    @irurys Жыл бұрын

    갓 우주 채널 퀄리티가 굿입니다 ^^ 평생 유튜브 하세요 외계 생명체를 발견할 때 까지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제임스 웹 재밌어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앞으로의 제임스웹의 활약도 기대되지만 빠른 시일 내에 제임스웹을 훨씬 뛰어넘는 차세대 망원경이 올라갔으면 하는 바람도 더욱 강해지네요. 인류의 기술발전 만큼이나 우리가 우주에 대해 알게되는 지식의 양도 앞으로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늘어가겠죠? 30년, 50년 뒤엔 우리들은 어떠한 걸 알게될까요?

  • @voololl
    @voololl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즐감

  • @N.K.Y83
    @N.K.Y83 Жыл бұрын

    상상조차 안되는 까막듯히 먼거리의 은하를 발견해되는 제임스웹망원경의 성능에 놀라울 따름이네요 330억광년의 머나먼우주의 은하들 우주이야기는 언제들어도 궁금하고 신기한것 투성일듯 영상 잘보고갑니다👽🪐🌠🌌📡

  • @user-ff2ov2ln8r
    @user-ff2ov2ln8r Жыл бұрын

    천문학을 매력적으로 대중적으로 다가오게 하는 채널..

  • @user-cs2jj2ef4w
    @user-cs2jj2ef4w Жыл бұрын

    왜 은하는 구 모양이 아니라 납작한가요 ㅎ 수고하셨습니다

  • @Sims00149

    @Sims00149

    Жыл бұрын

    원심력 때문에 아닐까요?

  • @user-nv2rg1ey8n
    @user-nv2rg1ey8n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데 난 한번에 우주관련 영상 한번에 본적없다 보다보면 어느샌가 잔다 ㅜㅜ

  • @ethanhur5166
    @ethanhur5166 Жыл бұрын

    우주의크기. How large is the universe.. Our nation korea is so big. Comparing to the whole world, it's so tiny. But the earth is so small comparing to the entire solar system. The solar system is so small comparing to the our galaxy milky way. Our galaxy is still so small comparing to the entire universe

  • @Smeejang
    @Smeejang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문득 천문학과 고생물학은 참 닮아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끊임없이 근거가 되는 데이터(화석)를 모으고 그것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과거의 모습을 밝혀내는 과정이라는거죠. 거기에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기존에 발견된 자료에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도 하구요. 정말 대단한 학문인 듯 합니다.

  • @user-hn8bf5nq3v
    @user-hn8bf5nq3v Жыл бұрын

    매번 흥미로운 사실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정말 잘 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초기 우주 사진을 볼때마다 궁금한 점이 조금 더 기술이 발전하면 나중에는 빅뱅 당시의 사진도 볼 수 있을까요?

  • @cataclysmhw4394
    @cataclysmhw4394 Жыл бұрын

    It's beautiful world's

  • @banghj
    @banghj Жыл бұрын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5:28 영상 중에 은하의 회전속도가 나오는데 km/h 같은 일반적인 속도라면 은하의 어느 지점이냐에 따라서 다를 것 같아 그 기준이 궁금합니다. 추가로, "4배 정도 느리다"는 표현이 나오는데 잘 생각해보면 이는 "4분의 1 수준이다"가 옳은 표현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다시 보니 자막은 1/4로 표기돼 있네요.) 제 생각에 1보다 4배 작으면 -3이 되어야할 것 같아요.

  • @user-yn3ox9ok5t
    @user-yn3ox9ok5t Жыл бұрын

    잘 생각해보면 블랙홀은 무한에너지라는게 분명해지네;;; 저리 오래된건데

  • @user-wi8fg5dy5u
    @user-wi8fg5dy5u Жыл бұрын

    수십년후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이론 완전 바뀌겟군...

  • @hyunwoo989887
    @hyunwoo989887 Жыл бұрын

    어이가 없는게 제임스웹 첫 사진 전송 했을때 몸에 전율이 느껴졌는데 지금 계속 나오는 사진이나 자료들은 말이 안나옴ㅋㅋㅋ

  • @user-fr4no6qh7w
    @user-fr4no6qh7w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덕분에 머지 않아 우주의 생명체 여부를 알수 있는 날이 올 수있을까...

  •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신: 은하로 당구나 쳐야겠다. 은하: (나선팔을 휘적이며) 뭐야 살려줘요

  • @LapTower
    @LapTower Жыл бұрын

    우주의 진화를 제대로 보여주네. 팔의 기원을 알게 된 획기적인 진전. 제임스 웹 망원경의 다음 활약이 기대된다.

  • @user-lg6fw6kj5q
    @user-lg6fw6kj5q Жыл бұрын

    4:00 130억년 전 은하면 거리가 더 멀어야 할텐데. 영상후반에는 정확히 설명하면서 저부분은 오류가 있게 설명한 듯.

  •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Жыл бұрын

    나선 은하 만드는 방법은 별 뿌리고 휘휘 저어주면 되는거 아님?

  • @user-bi3hc2ue2v

    @user-bi3hc2ue2v

    Жыл бұрын

    마자요 저도 그렇게 만들었움

  • @user-bn7hv7ql6m
    @user-bn7hv7ql6m Жыл бұрын

    천문학자들에게 범죄 수사 가르치고싶다 저 적고 희미한 정보로 특유의 변태적인 집착력이랑 끈기로 뭘 밝혀낼지 상상이 안감

  • @gogisajuseyo772
    @gogisajuseyo772 Жыл бұрын

    jd1은하가 130억년이 지난 지금은 어떻게 진화했는지 너무 궁금해집니다

  • @nunu4744

    @nunu4744

    Жыл бұрын

    주변 다른은하와 중력에 의해 섞였을겁니다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와 섞일 운명인것처럼.. 주변에 은하가 없다면 이미 죽은은하가 되었겠죠 연료가 고갈되었을테니

  • @웅줍

    @웅줍

    Жыл бұрын

    우리함께 130억년 더 살아볼까요?

  • @user-fc6qh6bo9o

    @user-fc6qh6bo9o

    Жыл бұрын

    @@웅줍 그전에 지구가 멸망하지 않을까요?ㅋㅋㅋㅋ

  • @웅줍

    @웅줍

    Жыл бұрын

    @@user-fc6qh6bo9o 그럼 멸망 후에도 살아볼까요?

  • @trecime

    @trecime

    Жыл бұрын

    @@웅줍 130억년 후에도 jd1은하를 지구에서 볼 수는 없습니다. 그 동안 우주가 훨씬 더 커져서 지금 이 순간에 나오는 jd1은하의 빛이 지구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 @inhyeok83
    @inhyeok83 Жыл бұрын

    저 은하가 한참뒤 우리 은하가 된걸수도 있나요?

  • @CP-yc7gv
    @CP-yc7gv Жыл бұрын

    저 궁금한게 있는데요..! 지금 저희가 보고있는 별들은 몇 만년 전 별들이잖아요?? 그러면 별의 개수를 추측할 때 실재랑 관측 간의 시차도 고려해서 과학자분들이 계산해내시는건가요????

  • @koo9619

    @koo9619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몇만년가지고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Жыл бұрын

    저기우리고향이네. 아 저기서우주선타고 지구까지왔는데.

  •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Жыл бұрын

    믿어달라고

  • @user-df4hh5lw9i
    @user-df4hh5lw9i Жыл бұрын

    은하는 블랙홀의 충돌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선은하가 많은것이죠. 각운동량이 존재한다는것 자체가 충돌의 증거입니다.

  • @user-tj4gc9pu7q
    @user-tj4gc9pu7q Жыл бұрын

    이넒은 우주에서 우리가유일한 생명체는 아닐듯 우리가발견못한것뿐이지 평범하게존재할듯 제2의인류 라던가 우리와 똑같지만 기술력은 쇠퇴했다든가.. 영화에서본 외계인도존재하겠지만 그건너무 희박한거고

  • @modellee9623
    @modellee9623 Жыл бұрын

    4:17 초 '양쪼' 양쪽으로 수정 바랍니다 편집은 꽁꼬마게 ~ 그라제잉

  • @1조모으기
    @1조모으기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은 좀 더 선명하게 못찍으려나

  • @user-vt2ey6eb5j
    @user-vt2ey6eb5j Жыл бұрын

    막대나선?

  • @Gg-rc7fx
    @Gg-rc7fx Жыл бұрын

    확실히 고대부터 은하는 회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은하 자체가 살아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한국의 고대 조상들은 어떠한 루트인지는 모르겠지만 은하가 회전하고 있고 그 모야이 나선이거나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고대 한국 유물과 유적 중에 나선은하를 닮은 것이 있습니다. 한국의 태극 무늬가 바로 그 모양 입니다. 특히 삼색태극 무늬는 나선은하 그 자체라 볼 수 있습니다. 신라 왕관에 달려 있는 옥으로 만든 장식 모양도 원 안에 모아 놓으면 나선은하의 팔모양을 띄고 있다고 봅니다. 한국의 조상은 태극무늬를 우주, 은하에서 따온 것으로 보입니다. 오떻게 알았는지 모르지만(외계인?) 고대 부터 알고 있었고 한국과 관련이 있는 민족들 고대 유적에도 비슷한 태극무늬, 나선무늬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고조선 이후 이 무늬가 중국으로 넘어가 정리되고 간소화 되면서 주자학의 '음양' 태극으로 바꾼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그 후에도 삼태극(빨-하늘, 파랑-땅, 노-인간)을 함께 사용하다 고종때 지금의 때극기로 바뀐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조상은 한국을 우주, 은화와 연결지었던 것 같습니다.

  • @LinksArc
    @LinksArc Жыл бұрын

    관측가능한 우주가 450억 광년의 반지름인데… 330억 광년 떨어진 은하를 관측하다니 이제 정말 끝을 볼 수 있는 시대가 머지 않았네요.

  • @user-bf7cv2ip6g
    @user-bf7cv2ip6g Жыл бұрын

    근대 형들 제임스웹이 행성 하나하나 관찰하면 지적생명체 움직임도 볼수 있는거 아냐?? 이정도 보일정도면??

  • @banybany1
    @banybany1 Жыл бұрын

    오직 우주만 파는 우주외길유투버

  • @user-oe6ud7di7u
    @user-oe6ud7di7u Жыл бұрын

    빅뱅 이후 초기 은하의 회전속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온화된 산소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 절대적 양도 산소보단 H나 He가 많을 뿐더러 저 당시에는 영상에서 말씀하신대로 별이 이제 막 생성되던 시기기 때문에 현재 보다도 산소의 양이 훨씬 적지 않나요?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알마가 관측할 수 있는 게 산소 이온 방출선이기 때문이죠.

  • @user-oe6ud7di7u

    @user-oe6ud7di7u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아하 되게 명료한 이유였군요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절대적 양이 많으면 그만큼 섞여서 들어오는 잡음도 많습니다. 양이 적당해서 관측이 명확하게 되죠

  • @user-qv6es6hp1j
    @user-qv6es6hp1j Жыл бұрын

    0세대ㄷㄷ

  • @20Korea24
    @20Korea24 Жыл бұрын

    과학이 환상적이네요 ~ 므흣 ^^

  • @user-il5wp3tu8m
    @user-il5wp3tu8m Жыл бұрын

    330억 광년이면 우주의 크기 약 1000억 광년 이군요

  • @user-hl6od1dk6w
    @user-hl6od1dk6w Жыл бұрын

    귀신얘기보다 더무섭다.

  • @m2cheki1
    @m2cheki1 Жыл бұрын

    삼태극을 보면서 우리조상들은 은하가 나선모양인지 알았던걸까?ㅋ

  • @user-cq2jh3es5h
    @user-cq2jh3es5h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 아니에요?

  • @universekaiser
    @universekaiser Жыл бұрын

    138억년이 우주나이인데 330억년이 어떻게 관측이 되죠? 반대방향이면 최대가 138*2 아닌가요? 멀어지는 속도에 가속도가 붙는건가요?

  • @ohara5049

    @ohara5049

    Жыл бұрын

    빅뱅후 팽창하는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빨라서 그렇습니다

  • @drakeqb

    @drakeqb

    Жыл бұрын

    우주는 가속팽창 하고있고 현재 팽창속도가 빛보다 빠릅니다

  • @asdasd-cc2yb

    @asdasd-cc2yb

    Жыл бұрын

    풍선을 불면 부피가 커지죠 우주도 팽창하고 잇습니다 빛보다 빠르게요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저 빛은 138억광년 쯤에서 출발하였지만 그후손은 현재기준으로 330억광년에 존재한다는 이야기입니다.

  • @blue-gray87
    @blue-gray87 Жыл бұрын

    제가 추측 하는게 은하가 계속 나선형으로 유지되는게 은하 가운데 초거대 블랙홀 중력으로 나선형을 유지하면서 돌고 있는게 아닐까요?? 블랙홀은 중력으로 계속 끌어다니면서 안으로 들어가 시간 왜곡도 생기잖아요?? 나선형 은하에는 행성이 생성되고 죽는게 반복이니 은하중심 블랙홀도 비슷할거 같아요 그리고 은하 충돌에서도 계속 나선형으로 도는게 은하 초거대 블랙홀이 서로 중력때문에 크게 돌면서 서로 끌어다니다가 융합하면서 큰빛을 만들어내는게 블랙홀이 만들어지는 초신성 폭팔처렴 큰빛을 만들고 초거대 블랙홀이 융합하면서 두은하가 하나의 은하로 바뀐다는 걸로 추측으로 생각합니다!! 우주는 너무 신비롭고 모르는게 너무 많은거 같아요!!

  • @Neky_Hina

    @Neky_Hina

    9 ай бұрын

    블랙홀 회전과 은하의 회전은 일치하지 않고 독립적입니다. 한 예로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은 대놓고 벌러덩 누워서 자전축이 우리를 바라보고 있어요. 그에 반해 은하는 은하수로 알 수 있듯 우리 입장에서 수직이고요.

  • @asdasd-cc2yb
    @asdasd-cc2yb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한데요 빅뱅은 관측못하나요? 제임스웹보다 뛰어난성능의 망원경도 만든다던데 빅뱅관측은 불가능한가요?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현재 우리망원경은 빛을 기반으로 관측하며 이는 빛이 존재를 시작한 시기인 수소 원자 형성기부터 빛이 탄생하였기에 이 이후의 기록만 빛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그전의 기록은 빛에 남아 있지 않습니다. 가 정론으로 배경복사의 분포나 이런빛의 분포등을 보면 좀더 이전의 것을 직접적으로는 안되고 간접적으로 추측가능합니다만 관측은 직접적인것으로 이론상 불가능합니다.

  • @user-bf7cv2ip6g
    @user-bf7cv2ip6g Жыл бұрын

    제일 멀리 있다고 그게 처음 빅뱅행성일거라고 어떻게 알아?? 그뒤에 무언가 더 있을지도 모를텐데??

  • @user-zn6by4el3y
    @user-zn6by4el3y Жыл бұрын

    나 저기 갔다왔는데 지구인들은 신기한가봐? 난 흔한데

  • @user-jf2gu1cf8w
    @user-jf2gu1cf8w Жыл бұрын

    우주 밖엔 뭐가 있을까요? 빅뱅은 대체 어떻게 터졌구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을까요?

  • @youslash1
    @youslash1 Жыл бұрын

    회전을 안하고 은하를 구성하고 있다면 그게더 이상한거 아닌가요? 결국 우주는 별을 만들기 위해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블랙홀을 만들고 그 나머지가 행성이 된다는게 아닐까 합니다. 우주는 블랙홀을 만들고 그 영향하에 항성이 만들어지고 그 영향하에 행성이 만들어지고.... 즉 생명은 이러한 거대한 시스템의 작고 미미한 우연으로 만들어진 존재...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흥미롭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주신 의견에 답글드립니다. 회전하는 은하가 설명하기 까다로운 것은, 한꺼번에 여러 방향에서 작은 은하들이 병합하고 충돌할 때 그 회전의 방향성이 희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제히 작은 은하들이 모두 한 방향으로 계속 유입되고 병합한다면 당연히 회전하는 큰 은하를 설명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제 그리고 시뮬레이션에서는 여러 방향으로 랜덤하게 작은 은하들이 유입되며, 그 결과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성향이 뚜렷하지 않은 둥근 타원은하 형태로 반죽되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합니다. 그런데도 이렇게 특정한 방향, 회전성을 보이는 나선은하들이 많다는 건 흥미로운 사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wz_mz 우주에 타원은하의 비중이 압도적이어야 하는데 나선은하의 비중이 생각보다 높다는 이야기죠?

  • @seanyun6816
    @seanyun6816 Жыл бұрын

    결국 빅뱅의 순간도 촬영할 수 있게 되지 않을 까요?! 빅뱅에서 겨우 2억년이후의 은하의 생성을 촬영할 수 있다면 결국 빅뱅의 순간도 촬영할 수 있을 겁니다!

  • @user-ek4ll9jb5p
    @user-ek4ll9jb5p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우리가 빅뱅 시기의 별들을 보고 있다는 건 우리가 빅뱅이 일어난 위치에서 거의 가장자리에 있다는거야? 에라이 구라를 쳐도 좀 적당히...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다만 크게 두가지 면에서 남겨주신 댓글은 큰 오류가 있습니다. 첫째, 최첨단의 망원경으로 실제 철저한 검증과 여러번 관측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제 명확한 관측적 증거를 두고도 단순히 거짓이라고 치부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아 보입니다. 명확히 하늘에 보이는 걸 보여드리는데도 거짓이라고 정 주장하고 싶으시다면,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진 않더라도 개인의 비논리적 감정과 욕망까진 제가 감히 손댈 수는 없는 영역이겠죠. 둘째, 영상에서 소개해드린 먼 거리의 오래 전의 은하를 관측하고 있다는 사실이 어떻게 우리가 현재 우주의 가장자리에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지 도통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영상에서 설명드린 내용은 이야기하신 "우리가 우주 가장자리에 있다"는 문장과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것을 부정하지도 지지하지도 않습니다. 주신 댓글은 마치 "나는 배가 부르다. 그렇다는 건 내 발톱이 흰색이라는 뜻이다." 수준의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로 결론이 나는 꼴과 다르지 않습니다. 기회가 되신다면 다시 영상을 잘 보시면서, 논리적으로 또 문법적으로 주신 댓글이 과연 말이 되는지 잘 살펴봐주시길 정중하게 부탁드리면서 댓글 마칩니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존재하는 우주가 이미 광속보다 빠른속도로 커진적이 존재하여서 빅뱅시기를 본다고 해서 가장자리가 아니더라도 즉 우주의 크기가 우주의 나이를 빛의 속도로 곱한것보다 크기때문에 가장자리가 아니어도 관측가능합니다. 그리고 빅뱅의 4차원팽창을 이해하시면 좀더 편리하게 이해하실듯합니다.

  • @user-vu6cu8wl4o
    @user-vu6cu8wl4o Жыл бұрын

    뭔소리인지...우리은하 중심으로 107억광년인건데 우리은하 위치가 전체 빅뱅시점에서 어느지점인지 아는 과학자 단한명도 없는데 무조건 우주탄생 초기은하라구요??그러면서 초기에 태어난건데 아직도 덜 자랐다는건 앞뒤 말이 안되죠...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우선 제 영상 시청으로 조회수도 올려주시고, 이렇게 자세한 댓글까지 남겨주셔서 제 영상이 유투브 알고리즘 혜택을 더 받을 수 있게 기여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만 안타깝게도 남겨주신 댓글엔 전공자로써 무시하기 어려운 여러 오류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부득이 시간내어 다시 댓글 남겨드리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우선 우주가 우리은하를 중심으로 107억 광년 크기라고 이야기하셨는데, 이 이야기는 대체 어디 천문학 이론에서 나오는 이야기일지 매우 궁금합니다. 물론 우주의 나이를 나노초 수준으로 정확하게 이야기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모든 과학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갖고 있고, 또 그러한 불확실성을 숨기지 않고 이야기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의 태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우주의 나이는 137-8억년 범위 정도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뭐 어디 또 다른 다중우주에선 우주가 107억 광년 크기라고 이야기하는 종족이 살고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에선 우주의 크기도, 나이도 107억 광년이라고 하는 존재는 없습니다. 일단 알고 계신 잘못된 우주의 크기를 다시 올바른 값으로 바로잡아주신다면 논의에 더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당연히 먼 우주의 은하를 보기 때문에 먼 과거, 그 당시의 모습을 보는게 당연합니다. 초기에 태어난 그 때 당시의 모습을 지금에서야 보는 겁니다. 빛의 속도는 아주 빠르긴 하지만 어쨌든 유한한 속도를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먼 우주에서 날아오는 빛을 본다는 건, 그만큼 먼 과거에 날아온 빛을 이제서야 뒤늦게 본다는 겁니다. 1광년 거리에 떨어진 별을 보면 우린 1년 전의 별의 모습을 지금 보는 겁니다. 빛의 속도로 8분 정도 가야하는 거리에 놓인 태양을 바라볼 때도, 사실 우린 매순간 8분 전의 과거의 태양을 바라보고 있는 겁니다. 따라서 먼 은하의 모습을 관측한다면 당연히 먼 과거, 그 당시 태어난 순간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은하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안타깝게도 그 사이 한참 나이가 들었을 지금 이 순간의 은하의 모습은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걸 본다면 그게 더 이상한 겁니다. 먼 우주의 빛을 보면 당연히 먼 과거 순간의 모습을 본다는 자명한 원리는 사실, 초등학생들이 보는 어린이 과학책에서도 그리 길지 않은 설명으로 쉽게 다뤄지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어렵지 않은 원리도 당연히 이해하기 어려워하시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며 충분히 공감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언제든 자유롭게 댓글 또 달아주시면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귀한 시간 내서 제 채널에 이렇게 자세한 댓글 남겨주시고, 또 제가 친절하게 설명드릴 수 있는 뜻깊은 기회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 @user-vu6cu8wl4o

    @user-vu6cu8wl4o

    Жыл бұрын

    @@wz_mz 아니 님 영상에 지구로부터 107억광년 떨어진 생성중인 은하라고 나온거 가지고 말하는건데요...제글부터 제대로 읽고 다셨으면해요...전공자 맞으신가요??어떻게 전체 우주가 107억 광년일까요...팽창에 의해 관측가능한 우주만 400억광년이 넘는다는데...그래서 더 의문인거라구요...팽창에 의해 빅뱅시점의 은하를 관측하기가 힘든건데 어떻게 빅뱅시점의 은하인지 단정지을수 있냐는 건데요???더욱 팽창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니 단지 우주 초기나이에 근접한 거리라고 그게 초기은하인지는 모르는거 아닌가요???빛보다 빠른 우주팽창 속도잖아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user-vu6cu8wl4o 먼 우주의 은하를 보고 있는 거니, 당연히 먼 과거의 순간 은하를 보는게 당연합니다. 그렇기에 덜 자란 모습으로 목격되는게 맞겠죠. 더불어 제 영상에선 107억 광년 전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은하 뿐 아니라, 130억년 전의 모습을 하고 있는 JD1 은하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영상의 주인공은 바로 영상 후반에 소개한 JD1 은하입니다. 아마 제 영상을 끝까지 안 보시고 댓글을 다신 것으로 유추되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 @user-vu6cu8wl4o

    @user-vu6cu8wl4o

    Жыл бұрын

    @@wz_mz 그럼 어떤게 틀린건가요??우주팽창속도가 빛보다 느리다인가요??아니면 107억광년 130억광년 거리잰게 틀린건가요??둘다 맞을수가 없는거 아닌가요??상식적으로 빛보다 우주팽창속도가 더 빠르다면 빛이 도달할수 없는거잖아요...빅뱅 초기은하들은요...지금 시점으로부터 103억, 130억광년 떨어진거니 초기은하는 절대 아닌거 아닌가요???전체 우주 예상크기가 900억광년이 넘는데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user-vu6cu8wl4o 우선, 영상을 다시 보고 와주신 것 같아 너무나 감사합니다. 영상을 다시 보고 제 영상에서 130억 년 전의 은하를 다루고 있다는 걸 확인하신 덕분에, 앞에 달아주셨던 댓글은 지워주신 것으로 보이네요. 다행입니다. 일단 달아주신 댓글을 봤을 때 크게 오해하고 계신 부분이 있는 듯합니다. 우주에는 빅뱅 직후부터 별과 은하가 곧바로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 어떤 별도, 은하도 존재하지 않았던 일명 ‘암흑의 시기'가 꽤 오래 이어졌습니다. 이후 약 2-3억년 정도가 지나고나서 본격적으로 첫 세대 별과 은하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제 영상에서 소개해드렸듯이, 이번에 발견된 JD1 은하는 130억년 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의 나이만 당시 기준 약 2-3억년 정도 된 상태로 관측됩니다. 따라서 이 은하 속 별들이 처음 탄생한 시점을 계산한다면 대략 132-3억년 전에 태어난 은하였을거라 볼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충분히 빅뱅 이후 암흑의 시기를 보낸 이후에, 처음 탄생한 첫 세대의 별과 은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죠. 빅뱅 순간 이후 곧바로 별과 은하가 존재한게 아닙니다. 이 부분을 크게 오해하고 계신 것 같네요. 이해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