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우주 끝자락에서 이상한 걸 발견했다?! | 은하 속 노란 빛의 놀라운 정체!! ⭐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제임스웹 #은하 #빅뱅 #우주 #구상성단 #적색거성 #nasa #jameswebb #jameswebbspacetelescope #hubble #허블 #관측 #망원경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www.aanda.org/articles/aa/ful...
iopscience.iop.org/article/10...
ui.adsabs.harvard.edu/abs/202...
ui.adsabs.harvard.edu/abs/202...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142

  • @SHGZR
    @SHGZR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은 이제 본게임 시작이라는 생각입니다. 처음엔 대중들에게 미션 자체를 납득시켜야 했으니까.. 이제 과학자들의 시간이겠죠.

  • @gomdorij3213
    @gomdorij3213 Жыл бұрын

    천문 물리학자들이 대단하단 생각이 듭니다. 아니 저 어지럽고 정말 작은 빛 덩어리에서 저런 발견을 하고 분석해 내다니....^^*

  • @jaewonbyun1865
    @jaewonbyun1865 Жыл бұрын

    신기하고 대단합니다. 지금 보이는 100억광년 넘는 위치의 성단과 은하 그리고 별 마저도 우리가 관측 가능한 범위일 뿐이라는게 더 경외스럽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덕분에 제 자신의 가벼움을 계속 느끼네요 ~

  • @user-fj1il5rv1w
    @user-fj1il5rv1w Жыл бұрын

    썸네일에 자극적이면서 요상한 제목으로 유혹하는 다른 유튜버보다 내용도 알차고 목소리도 듣기 좋네요 처음 보는 내용이었지만 바로 구독했습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려요.

  • @jeodnellwowjdb
    @jeodnellwowjdb Жыл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이 생각납니다ㅎㅎ 하늘을 바라보는게 누군가에겐 자유를 희망하는 일일수도, 누군가에겐 휴식을 뜻하는 단순한 행위일지도 모르겠지만 현자님 영상을 보면서 하늘과 우주에 더 많은 의미를 담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 @user-fz7hq2kv4t

    @user-fz7hq2kv4t

    Жыл бұрын

    우주탄생의 한 점. 우주의 중심은 어디인가요? 우주나이와 비슷한 별과 은하가 있는 곳은 우주의 중심인가요? 아님 우주의 끝인가요? 지구를 기준으로 제일 먼 곳에서 발견된 별과 은하는 어느 방향인가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user-fz7hq2kv4t 시공간 자체가 통째로 균일하게 '팽창'하는 것이 빅뱅 이론의 이야기입니다. 어떤 특정한 점을 중심으로 파편이 날아가는 '폭발'과는 다릅니다. 주신 질문과 관련해선 이미 제 과거 에피소드에서 자세하게 소개해드린 바있으니 아래 링크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zread.info/dash/bejne/daqXltCTpbfRn7A.html

  • @user-il8mt8wm6l
    @user-il8mt8wm6l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도대체 얼마나 크고 멀길래 점하나 하나가 수만광년에서 수백만 광년 크기 은하임에도 점으로 보일까요? 공포스럽고 무서울 정도로 광대한 우주인가 봅니다.

  • @user-ik4ro6ed8e

    @user-ik4ro6ed8e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우주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신비하다 못해 두려워요....

  • @Chosangphil

    @Chosangphil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끝에가서 우주밖으로 나가면 하나님이 거주하시는 공간이 나옵니다 우주는 하나님이 창조하셨습니다

  • @hayoung750

    @hayoung750

    Жыл бұрын

    @@Chosangphil하나님은 누가 창조하였을까요?

  • @user-zu9fe6ci9q

    @user-zu9fe6ci9q

    Жыл бұрын

    ​@@hayoung750 하나님은 자신에 대해 "스스로 있는자"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피조물이 아니죠.

  • @9921051

    @9921051

    Жыл бұрын

    ​@@user-zu9fe6ci9q 그럴거면 그냥 우주가 스스로 존재했다고 생각하는게 더 자연스럽지 않나요? 굳이 우주가 6천년전에 창조됐다는 소설(성경)이 설명하는 하나님을 믿는니 차라리 146억년전 빅뱅으로 설명되는 과학이 훨신 그럴듯 하네요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항상 즐감

  • @a_lxx.10
    @a_lxx.10 Жыл бұрын

    너무신기합니다. 매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fg4tn7de3b
    @user-fg4tn7de3b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의 소식은 언제나 환영이고 기다리고있지요! 항상 쉬운말로 옮겨주셔서 재밌게보고있습니다. 명확한 딕션이 듣기에도 편안해요🤗 감사합니당

  • @user-ko3kz4yv9i
    @user-ko3kz4yv9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y7kb1ry4h
    @user-ry7kb1ry4h Жыл бұрын

    굿 👍 시원하게

  • @touchetouche6272
    @touchetouche6272 Жыл бұрын

    잘 볼께요

  • @MLB1
    @MLB1 Жыл бұрын

    여자친구한테 엘고르드라고 했다가 구상성단으로 보내질뻔 했어요 ㅋ

  • @user-jjy1015

    @user-jjy1015

    Жыл бұрын

    ㅋㅋㅋ

  • @user-wm2bl9nn6q

    @user-wm2bl9nn6q

    Жыл бұрын

    ㅍㅎㅎㅎㅎㅎ

  • @sentimentalgraffiti
    @sentimentalgraffiti Жыл бұрын

    역시나 제임스웹 컨덴츠는 언제봐도 재미있습니다 ^^ 딥 필드 사진은 제게 너무나 경이로워 보입니다

  • @user-um2ni6ol1h
    @user-um2ni6ol1h Жыл бұрын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이형욱 교수님의 1A형 초신성 표준촉광에 대한 내용을 다뤄주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mq7lh1iw2t
    @user-mq7lh1iw2t Жыл бұрын

    영상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

  • @use_map_settings
    @use_map_settings Жыл бұрын

    매주 일요일 아침을 기다리게 하는 컨텐츠 정말 감사합니다. 6:22 소리로는 7~40배라고 하셨는데 영상에선 4~70배라고 나오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자막에 오타가 있었네요 7-40배가 맞습니다 😊

  • @TV-tn6ss
    @TV-tn6ss Жыл бұрын

    신기합니다. 구독하고감니다

  • @beaver-dk6fp
    @beaver-dk6fp Жыл бұрын

    와우 20년후쯤 제임스웹 보다 더 뛰어난 망원경 올라가면 도대체 어디까지 볼 수 있다는거얌?

  • @user-wg6sq4hn4i
    @user-wg6sq4hn4i Жыл бұрын

    일반인들에게 점점 관심이 멀어질 수 밖에 없는 이유가 가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자원을 캐 올 수 있는것도 아니고, 단지 관상용 일 뿐이기 때문이죠

  • @tomasboy83

    @tomasboy83

    Жыл бұрын

    아만보

  • @user-ko5it9of3g
    @user-ko5it9of3g Жыл бұрын

    사진만으로는 아마추어들이 해석하고 이해할수가 없으니 전문가가 해석해서 이렇게 올려주시길 기다리고 있어요🫡 관심이 없다니요🤓

  • @user-mb9yd4yq1u
    @user-mb9yd4yq1u Жыл бұрын

    딥필드 보고 있으면 진짜 모든걸 내려 놓고 마음이 편안해짐.. 먼지만도 못한 인생~

  • @hellpoome
    @hellpoome Жыл бұрын

    6:33 그렇다면 107억 광년 떨어져 있다는 퀼러라는 별에서 지구에서와 같은 시선방향으로 우주 끝(지구에서는 138억 광년)을 관측하면 그 거리가 31억 광년이라는 얘기일까요?(107 + 31 = 138) 아니면 우주의 모든 곳이 우주의 중심이기 때문에 지구에서 137.9999999999...억 광년 떨어진 별에서 우주 끝을 관측해도 그 거리가 138억 광년이라는 얘기일까요?

  • @user-hw5dk6zy1w
    @user-hw5dk6zy1w Жыл бұрын

    👍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 @tommoss7
    @tommoss7 Жыл бұрын

    1) 블랙홀의 특이점은 우리가 바라보는 시점에서 뒤쪽으로 있는건가요? 아니면 밑으로 있는건가요? 방향성이 있다면, 그 뒤쪽으론 공간이 맊힌건가요? 2) 중력이 시공간을 뒤트는 방향에 대해 좀 더 조사해 주실수 있나요? 항상 밑으로 푹꺼진 모양인가요? 3) 우주는 팽창형이라는데 그럼 별들이 움직이는건가여 아니면 공간이 커지는건가요?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중력의 시공간 왜곡사진을 잘못 이해하신듯 하신데 그 왜곡 사진은 3차원의 중력 왜곡의 단면만을 보여주는 것 입니다. 모든 방향으로 다 그렇게 휘어져있습니다. 3번은 별들은 자기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고 우주의 팽창은 이러한 별들의 운동량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user-ot6ne6ix1o
    @user-ot6ne6ix1o Жыл бұрын

    100 억년이 넘는 별들의 모습이라... 바닷가의 모래알 만큼 수북 하군요. 태초의 모습이라 그런지 역시 예상대로 무수하게 많은 별들이 빽빽히 모여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모습은 좀더 별의 숫자가 줄어있겠군요. 누구한테 돈을 받고 별이 빛나는 것은 아닐텐데 말이죠 ~ 우주와 우리네 인생, 다시한번 심취하게 만듭니다.

  • @7H_SARGU
    @7H_SARGU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찐사랑인데 더 깊게 더 자세하게 새롭게 보여주는 제임스 웹을 잊을 수가 있나??

  • @Moonke_Jaeger
    @Moonke_Jaeger Жыл бұрын

    이런거로 박사학위까지 받고 연구하는 사람들은 진짜 대단하다 엄청 어렵고 이걸로 먹고살수도 있는지도 모르는데 이런 길을 가서 몇백년뒤에나 써먹을 만한 물리학을 연구한다는게 대부분은 돈 안되고 남은 삶을 조질거 같아서 고체물리 광학쪽으로 가서 RRAM같은 걸로 연구해서 돈버는데

  • @dabinseori
    @dabinseori Жыл бұрын

    정말로... 130억년전 이미지라는것을 어떻게 믿어야할지... 천문학에 큰 지식이 없는 나에겐 전혀 와 닿지 않는 언급인데.... 130억년전의 이미지라.... 정말 믿어야 하나? 그래도 우주를 보면 정말 신기하다. 이런 우주를 어떤 종교에선 조물주라는 것을 내세워 누군가가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어이없는일도 있으니.. 우주는 정말 불가사의한 영역임.. 여름날 조용한 산에 올라 밤하늘을 보고 있노라면 아련한 꿈도 꾸고 무한한 상상도 해보지만... 딱 거기까지... 보이는대로 느낄뿐.. 미국 나사에서 먹을 음식만 실어주고 우주선을 타고 우주로 보내주면 기꺼이 응하겠는데 비록 돌아올 수 없는 전제가 있더라도..

  • @dogichow2
    @dogichow2 Жыл бұрын

    창조의 기둥등 보기좋게 나온사진등 보면 인위적cg같다는 느낌이드는 반면 딥필드 이미지는 계속보고있어도 질리지 않는 느낌이랄까

  • @user-jjy1015

    @user-jjy1015

    Жыл бұрын

    ㅇㅇ. 딥필드는 마치 우주의 본래 모습을 보는 느낌이랄까?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제임스 웹 재밌어요

  • @Erythrocyte1900
    @Erythrocyte1900 Жыл бұрын

    100억 년 전의 모습과 현지에서 보여질 모습은 얼마나 다를까? 우주의 법칙을 거스르지 못 한다면 영원히 알 수 없겠지.

  • @TheHjjin
    @TheHjjin Жыл бұрын

    이런 능력자 망원경에 이름을 단 허블이나 제임스 웹은 참 행복한 분들…

  • @tomodatsiful
    @tomodatsiful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진것 같아요

  • @jhunterkim
    @jhunterkim Жыл бұрын

    놀라운 은하단에 놀라는 우주먼지를 보며 놀라는 현자단 대체 우주 너란 녀석은 ..

  •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Жыл бұрын

    와 미친 백억광년 넘게 떨어진 별 1개를 따로 관측 했다고?;; 내 상상의 범위를 넘어선 일이 벌어졌군..

  • @7H_SARGU
    @7H_SARGU Жыл бұрын

    06:23 에 자막 오타있어요 대본은 7배에서 40배라고 하셨는데 자막은 4~70배라고 되어있네요

  • @consciousness7899
    @consciousness7899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이 잊혀져 가고 있다는데 동의 못함.. 그렇게 따지면 허블 망원경도 잊혀진지 오래됨

  • @kingjames3633
    @kingjames3633 Жыл бұрын

    딥필드 이미지..아는사람만 보이는 보물이죠...

  • @sosopark3522
    @sosopark3522 Жыл бұрын

    조그마한 먼지 같이 보이는 것이 실제로는 거대한 은하였고 그 속에 수도 없이 많은 태양계들을 품고 있다니 ㄷㄷㄷ 도대체 우주는 얼마나 큰거임?! 현실맞음?! 옛날 사람들은 밤하늘에 가득차 있는 별빛을 보면서 그게 무엇이라 상상했을까 궁금함.

  •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Жыл бұрын

    나는 구상성단이 전부다 은하핵의 잔제이길 바랬는데.. 이제는 물건너 간듯..

  • @sh20000sh
    @sh20000sh Жыл бұрын

    언젠가는 천구 전체에 대해서 딥필드 찍는 날이 왔으면 좋겠음. 구글어스마냥 아무 생각없이 어딘가를 확대했는데 뭐가 있고 막

  • @user-qp1nl7ur6s
    @user-qp1nl7ur6s Жыл бұрын

    중력렌즈에 의한 청색편이는 얼마정도인가요?

  • @punnalim3135
    @punnalim3135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의 행성이 수조개가 있듯이 이런 은하가 우주에 수조개가 있다. 과학이 아직 접근못하는 은하가 엄청많은 것, 현 우주의 크기는 어마무시 하다. 우주를 알려면 우리인간이 무엇인지 그것부터 제대로 알아야 그래야 우주가 무엇인지 풀린다.

  • @lee-pl4wc
    @lee-pl4wc Жыл бұрын

    주구는 태양을 돌고 태양계 전체역시 돌고있을듯 하고요 우리 은하계도 빅뱅을 중심으로 돌고있지를 않을까요 불랙홀에 우리 태양계나 우리은하계가 불랙홀 속으로 들어 가다면 그곳은 4차원 세계로 가는길이 아닐까요 너무 상상이 깊은가

  • @um._.
    @um._. Жыл бұрын

    6:20 4~70배로 오타가 있군요

  • @user-hp9sr8bs4g
    @user-hp9sr8bs4g Жыл бұрын

    딥필드가 제일 멋지던데

  • @user-rr4zq7tr7m
    @user-rr4zq7tr7m Жыл бұрын

    우리세대에서 저 먼곳을 가볼수는 없을 거고... 다음세대에서도 쉽지ㅜ읺을 거고...

  • @user-vl4kq1uw2g

    @user-vl4kq1uw2g

    Жыл бұрын

    다음세대요?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다른 태양계가 우주선 속도로 70만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고로 외계인은 찾아올 수도 없고 우리도 다른 태양계의 지구와 비슷한 행성으로 찾아갈 수도 없습니다

  • @jj-rw1qx
    @jj-rw1qx Жыл бұрын

    ㄷㄷ 벌써 1년 ?

  • @COOJinDojun
    @COOJinDojun Жыл бұрын

    딥필드?

  • @theduck3311
    @theduck3311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우리 아는 것보다 우주의 나이가 더 젊을수도 있겠네요

  • @dbkwon2410
    @dbkwon2410 Жыл бұрын

    눈으로 볼수 있는 현실이지만, 사실은 100억년전의 빛으로 역사책 들춰보듯 보고 있다는것....참 ~

  • @johnlemon6068
    @johnlemon6068 Жыл бұрын

    이제 슬슬 지겨우니 블랙홀, 중성자별, 퀘이사를 찍어달라!!

  • @user-tl1ff5pf7v
    @user-tl1ff5pf7v Жыл бұрын

    역시 미국 🇺🇸🇺🇸🇺🇸🇺🇸NASA네요

  • @zolinwestern1317
    @zolinwestern1317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은하계의 버진이로세.

  • @SYK-kq5hj
    @SYK-kq5hj Жыл бұрын

    이런 것 알면 뭐하오이까 싶네요

  • @user-vw4uj3js8o
    @user-vw4uj3js8o Жыл бұрын

    우주 끝을 볼수있을까요?

  •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사진속 눈동자에 비친 눈동자를 관찰하는 느낌..ㄷㄷ 그대의 붉은 눈동자에 건배

  • @user-hg8fs6sr2t
    @user-hg8fs6sr2t Жыл бұрын

    우주가 탄생했다고? 130억년? 무슨소린지 알아들을수가 있는게 한마디도 없는게 …..

  • @LRLWATCH
    @LRLWATCH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점 하나 가지고 어떻게 저런 상세한 정보를 끄집어내는걸까. 천문학자들의 머리가 더 신기해 우린 그들의 머리를 열어봐야해. 분명 우주만큼 복잡할꺼야

  • @user-ce2rv4il2l
    @user-ce2rv4il2l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언제나 그리 볼수 있을까...??헛지랄 돈만 아껴도 벌써 몇 수십게는 올렸을텐데...

  • @moonragon8580
    @moonragon8580 Жыл бұрын

    우주에도 아싸가 있구나...

  • @user-or4ej6hx4o
    @user-or4ej6hx4o Жыл бұрын

    우주 끝자락??

  • @LISTEN0011able
    @LISTEN0011able Жыл бұрын

    똑바로 서라 제임스웹! 처절히 굴려주겠다.

  • @user-ow4gw3fl7m
    @user-ow4gw3fl7m Жыл бұрын

    머나먼 별이 나에게 무슨 의미인가?

  • @LP770-4-
    @LP770-4- Жыл бұрын

    난 근데 실망인게 지구같은 별이 없단건가... 이쯤관측되면... 지구처럼 인공위성을 테두리에 뿌려?놓는다던지 ....야경이나 비구름 등등 그런게 발견되는 행성이 아직도없단거에 소름인걸....이 크나큰 우주에 생명체가 지구만 존재한다는건 낭비잖아 ㅠ

  • @musichunter
    @musichunter Жыл бұрын

    맨날 그사진이그사진 뭔가 살아움직이는거 보여줘야하는데 ㅎㅎ

  • @CatpapaTV
    @CatpapaTV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이야기 잘 봤습니다만 6:20 7배~40배인가요? 4~70배인가요? 자막과 말씀이 달라서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자막에 오타가 있었네요 ㅠ 7-40배가 맞습니다 😊

  • @CatpapaTV

    @CatpapaTV

    Жыл бұрын

    @@wz_mz 네, 잘 알겠습니다. 사실 그 숫자보다는 오차범위가 넓다는 게 말씀의 핵심이라서 내용 이해는 했습니다..^^ 저같은 문과 출신도 재밌게 들을 수 있는 영상을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andycynthia3604
    @andycynthia3604 Жыл бұрын

    그 작은 은하는 (모태솔로) ??? 🙄😮‍💨

  • @user-os4yk6rz2z
    @user-os4yk6rz2z Жыл бұрын

    입증도안된 암흙물질이 뭘 채워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암흙물질은 흙먼지로 이뤄진 물질인가요?

  • @happiness589
    @happiness589 Жыл бұрын

    하늘에 있는 별을 보기만 한다고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이제 과학자들이 뭔가 의미를 부여해주겠죠

  • @user-ui3kd6tz3f
    @user-ui3kd6tz3f Жыл бұрын

    문명화된 행성을 곳 찻을 것처럼 그랬지만 존재감 상실~~암흑물질 뻑하면 밟혀보삼 정형화된 암흑이론을 이것들 막히면 암흑물질이래~~

  • @LeeHeeseoTV
    @LeeHeeseoTV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살아있다 사라지고 만들고 그 우주 밖에 다른 세상이 있다

  • @mikelee5284
    @mikelee5284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인지 이해 못하겠지만 우주는 광활하다는건 알겠네요

  • @improving1142
    @improving1142 Жыл бұрын

    다른 분들은 어떨지 모르는데 밤하늘에 별 보이는 분들 있나요?

  • @user-sw8fh6wg5e

    @user-sw8fh6wg5e

    Жыл бұрын

    시력에 문제 있는거 아니면 당연히 보입니다.. 딥필드는 그중에서도 텅빈공간을 찍은 사진이고요 별이 없을거라 생각한 공간에 영상에 보이는것처럼 수많은 천체가 존재한다는겁니다

  • @improving1142

    @improving1142

    Жыл бұрын

    @@user-sw8fh6wg5e 그럼 왜 신은 지구에 있는건가요?

  • @user-gm6xu7zo9h
    @user-gm6xu7zo9h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이 뭐냐?? 펙트냐

  • @ChunJoStockMan
    @ChunJoStockMan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센타우리 프록시마B 외계문명은 언제 관측?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매영상마다 프록시마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다리시지 않게 답변드립니다. 올해까지 공개된 첫번째 관측 분기, Cycle 1에 승인된 관측 프로포잘엔 프록시마 센타우리 관측 계획은 없습니다. 최근 다음 년도, 두 번째 관측 분기 프로포잘 접수가 시작되었으며, 만약 이번 두 번째 관측 Cycle 2 때 프록시마 관측 계획이 통과된다면 그때가 되어야 해당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겁니다.

  • @user-no4jo1hz6s
    @user-no4jo1hz6s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 아닌 이상 설명이 안되내...우주는

  • @kamchatka5144
    @kamchatka5144 Жыл бұрын

    10억광년 100억광년 거리 넘어에 있는 은하, 별들이 우리들에게 무슨 의미가 있나?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별들중에 혹시라도 지적생명체의 흔적이 있는지 찾아보는 제임스웹이어야 그나마 의미도 있고 관심도 있을 것이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바로 그 관측도 이미 성실하게 수행해나가고 있습니다

  • @kmngkkim7124
    @kmngkkim7124 Жыл бұрын

    보며 들으면서도 이해가 안되는 나...

  • @dartspd
    @dartspd10 ай бұрын

    말이 너무 빨라요.

  • @remymarteen562
    @remymarteen562 Жыл бұрын

    노란색빛이 뭔가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4:34 에 소개해드리고 있습니다

  • @MrSinusu
    @MrSinusu Жыл бұрын

    지금 암흑 물질이 정말 존재하느냐 아니냐는 것도 논쟁이 되는데 너무 확신을 가지고 영상을 만드셨네요. 과연 현자타임즈님이 말씀하시는 게 진실일까요? 유튜브의 과학 영상 만드시는 분들은 자신들이 해당 분야 전문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너무 자신 있게 영상을 만드시는 것 같습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전 연구실 소속 천문학자입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더불어, 암흑 물질이 거짓이다, 없을거다라는 식의 이야기는 다른 유사 과학 유튜브 채널들에서나 나오는 이야기일 뿐, 정작 실제 학계, 천문학자들 대부분은 암흑 물질의 존재를 생각하시는 것만큼 의심하고 있지 않습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llllIIllIIlIIlllllIIIIIlIIllIl 참고로, 암흑 물질을 암흑이라 부르는 건 '단순히 뭔지 모르니 그냥 암흑이라고 부르자' 이런 계기 때문이 아닙니다. 흔히 다른 유튜버 분들이나, 대중 매체에서 '뭔지 몰라서 그냥 암흑이라고 부르는거 ㅇㅇ' 이런 식의 이야기를 많이하고 계신데, 역사적, 천문학적 배경을 전혀 모르는 완전 잘못된 이야기입니다. 천문학자 츠비키와 루빈의 은하단, 은하 회전 관측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암흑물질이라 부르는 개념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암흑'이라고 부르지 않았습니다. 대신 고전적인 빛, 전자기파와 상호작용을 일체 하지 않아 빛을 흡수하지도 방출하지도 않는 완전 깜깜한 존재란 의미에서 '인비저블 (보이지 않는) 물질'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다 시간이 흘러, 같은 맥락에서 빛을 발하지 않아, 전자기파를 관측하는 고전적 관측으로는 볼 수 없는 깜깜한 물질이란 뜻에서 '암흑 물질'이란 네이밍이 붙게 된 겁니다. 실제로 검은색이 아니지만, 그냥 빛도 나오지 않는 깜깜한 질량체란 뜻에서 검은구멍, 블랙홀이란 네이밍을 쓰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여전히 암흑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이 페르미온인지, 보존인지, 반물질인지 등 추가 관측과 입자물리학 차원에서의 실험을 통해 규명해야하는 과제가 남아있습니다만, 적어도 '암흑'이라는 네이밍은 단순히 뭔지 모르겠다는 이유로 붙인 그런 이름은 아닙니다.

  •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Жыл бұрын

    안보이고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 할수 없다고 하여, 존재자체가 논란이 되는 것은 아니지요. 글쓴이님을 우리는 보이지도 안고 정의 할수도 없지만 댓글 하나로 존재 한다고 인정하듯이요. 암흑물질의 존재가 크게 논란이 되는 시점은 이미 많이 지난듯 싶네요. 그게 무엇인지 정확하게 모를뿐..

  • @Mincho-Root

    @Mincho-Root

    Жыл бұрын

    최소한 니 의심이 잘못된거 같다는 생각이 들면 사과라는 것을 해야 사람 아닐까? 너무 자신있게 개소리를 하셨네.

  • @user-jh6mk8vh2s
    @user-jh6mk8vh2s Жыл бұрын

    전 이렇게 생각해요? 빅뱅이 존제 햇슬까라는 의문점이 드네요^^ 만약에 시작점이 거기가 아닐수도?

  • @PLUTONIUM1228
    @PLUTONIUM1228 Жыл бұрын

    돈값 지대로하네

  • @onnya4753
    @onnya4753 Жыл бұрын

    여기(우주)에 지구생물만 산다고? 전혀 그럴리없다

  • @user-sb4me2qf5g
    @user-sb4me2qf5g Жыл бұрын

    수치가 다 개판이래메.. 나사도 못믿는다고 발표했다메.. 버려야지 그럼..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수치가 엉망이란 이야기는 듣도보도 못한 이야기군요..

  • @user-of1cl1vw7g
    @user-of1cl1vw7g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 모인 자리란다... 일명 천국이란다.

  • @carcass4062
    @carcass4062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의 실체도 모르면서 암흑물질이 많다고 하는건 뭔 소린가요?

  • @bawegogae
    @bawegogae Жыл бұрын

    왜 이렇게 유투브 해설 멘트들이 하나같이 빠르고 속사포 쏘듯할까요, 쫓기기라도 하듯 너무 여유가 없어요, 무조건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게 능사는 아닐텐데, 좀 편안하게 들을 수 있으면 좋을텐데 . .

  • @user-xg4kv2qj4s
    @user-xg4kv2qj4s Жыл бұрын

    좀 천천히 설명해야 무엇이 그리 바쁜가요 숨 넘어 갑니다

  • @Gibber2301
    @Gibber2301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이 아무리 성능이 좋다고 하더라도 우주 끝자락에서 별 하나를 발견했다 ???? 은하를 발견하는 것도 어려울텐데 은하의 수천억분의 1에 불과한 별을 관찰했다는 말을 믿으라고??? 가장 가까이 있는 안드로메다 은하에서도 하나의 별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데...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에서 개개의 별을 관측하는 건 이미 제임스웹이 올라가기도 전부터 쭉 해오던, 충분히 가능한 관측입니다. 더불어, 강력한 중력 렌즈를 활용하면 먼 천체의 빛이 수천 배 더 밝아보이는 증폭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먼 은하 속 개개의 별과 성단도 관측 가능합니다. 이 역시, 이미 허블만으로도 쭉 시도해오던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 @Gibber2301

    @Gibber2301

    Жыл бұрын

    @@wz_mz 그런가요? nebula(성운)를 보면 은하수를 따라 분포합니다. 이건 우리 은하에 있는 별들의 탄생과 소멸을 말하는 것이지요. 안드로메디에서 발견된 별에 어떤 것들이 있나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사진 아무거나 보셔도 그 안에 있는 별들은 다 분해되어 보입니다. 단적으로 이미 20세기 지상 관측만으로도, 에드윈 허블은 안드로메다 안에서 밝기가 변화하는 변광성 하나를 발견했고, 그걸 활용해 안드로메다까지 거리를 구했습니다. 안드로메다는 워낙 가까운 이웃 은하라, 굳이 우주망원경 시대까지 가지 않아도 은하 속 개개의 별은 다 구분되어 보입니다.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가장 자세하게 M31의 별들을 분해한 사례는 Panchromatic Hubble Andromeda Treasury이고, 그 후속으로 이전 연구에서 관측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 Panchromatic Hubble Andromeda Southern Treasury도 준비중입니다. 앞의 것은 퍼블릭 이미지 공개와 함께 은하 내부 천체 카탈로그를 만드는 데 일반인이 볼런티어 자격으로 참여도 가능하고, 뒤의 것도 관측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니 관측 데이터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ggmind
    @ggmind Жыл бұрын

    은하가 저렇게 많은데 너무 멀어서 하나도 못 감 우리은하 하나도 너무 커서 다 돌아다니지 못하고 태양계도 벗어나지 못함

  • @user-di8tz2vk1q
    @user-di8tz2vk1q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시작도 끝도 없는 무한한 공간속의 별들의 세계다.

  • @user-hm9gn6fr4o
    @user-hm9gn6fr4o Жыл бұрын

    관심에서 벗어난것이 아니고 관측결과와 분석 자료를 공개 하지 않는 것 이지요..

  • @samurayikim5615
    @samurayikim5615 Жыл бұрын

    듣고보니 모르겠다 머가먼지

  • @user-kw9wh3mv6y
    @user-kw9wh3mv6y Жыл бұрын

    12/25 크리스마스때 올린 거 아닌가??? 이제 5개월도 안 된 거 아녀 ??? ㅡㅡ

  • @user-be7hb2qd1r
    @user-be7hb2qd1r11 ай бұрын

    좀 천천히 설명해주세요 쫓기듯이 할 필요가 없습니다

  • @user-hm9gn6fr4o
    @user-hm9gn6fr4o Жыл бұрын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어요...우리 일상과 전혀 관계가 없는 분야 이니까요... 그림의떡 이라고 들어 보셨나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너무 맛있는 떡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