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역사상 가장 거대한 딥필드를 완성했다! | 사진에 담긴 이상한 은하들의 놀라운 정체?! 👍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제임스웹 #허블 #딥필드 #천문학 #빅뱅 #우주 #천문학 #제임스웹우주망원경 #허블망원경 #Jameswebb #JWST #NASA #jameswebbspacetelescope
🔎 CEERS 팀, 제임스 웹 딥필드 고화질 링크
web.corral.tacc.utexas.edu/ce...
🔎 "갤럭시 익스프레스, 안드로메다 편" 공연 예매 링크!!
han.gl/jActK
- 2022년 9월 17일, 토요일, 오후 4시 & 7시
- 홍대입구역, 구름아래 소극장
🔎 "빅뱅 우주론 오프라인 강의" 신청 링크!!
han.gl/aHsXj
- 2022년 9월 29일~10월 27일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 상일동역, 서울시민대학 동남권 캠퍼스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ceers.github.io/overview.html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159

  • @GNG45
    @GNG45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 상상보다 더 많은 은하들이 존재하고 있네요. 20년전에 예상한 은하숫자 수천억개정도였는데 지금 해 단위로 늘어났더군요.은하숫자가 수천억개라고 설명하는 과학자나 유투버가 있다면 최신 자료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20년전 자료를 가지고 계속 이야기하는 경우입니다.

  • @starlight8136
    @starlight8136 Жыл бұрын

    경이로운 우주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7일 공연도 기대됩니다!

  • @coled9566
    @coled9566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HGZR
    @SHGZR Жыл бұрын

    정말 은하의 필라멘트 구조가 보이네요… 자세하지만 친절한 해설 정말 감사합니다.😊😊

  • @franceair5114
    @franceair5114 Жыл бұрын

    저사진이 하루만에 완성 됏다는 게 와 감회가 새롭다 진짜 과학의 위대함이란 ㄷㄷ

  • @Onulharu
    @Onulharu Жыл бұрын

    저 넓고 광활한 우주에 아주 작은 부분을 봤을 뿐인데도 엄청난 지식이 쏟아지는 걸 보면 경이롭습니다.

  • @NaN_OTL
    @NaN_OTL Жыл бұрын

    목소리와 딕션, 빠르기 악센트 가 너무 좋아요.

  • @redfox00516
    @redfox00516 Жыл бұрын

    어후 이런거보면 진짜 현타가 와... 가늠도 안되는 어마무시한 크기의 우주인데... 우주는 고사하고 은하계내에서 조차 미세먼지 알갱이도 안되는곳에.. 100년도 못사는 인간들이....광년을 논하고...

  • @user-bo6je5lx4b
    @user-bo6je5lx4b Жыл бұрын

    지구 모래알 보다 많은 은하들…상상이 안돼!!! 글쿤 별이였어~~은하는 얼마나 많을까???

  • @user-mh4dg5ed3q

    @user-mh4dg5ed3q

    Жыл бұрын

    은하는아니고 별은 지구모래알보다 많다고 함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 @mingtube8470
    @mingtube8470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9월 17일(토) 공연 가시는 분들 너무너무 부럽습니다^^

  • @redfox00516

    @redfox00516

    Жыл бұрын

    그날 태풍이 우리나라에 상륙 할까 말까 하는날이라 ㅎㅎㅎ

  • @mingtube8470

    @mingtube8470

    Жыл бұрын

    @@redfox00516 제가 홍대 근처 연희동에서 살아봤었는데, 거기는 태풍와도 끄떡 없습니다 ㅎㅎ 꼭 가보시길 바래요!!

  • @user-fo5eb5bj9l
    @user-fo5eb5bj9l Жыл бұрын

    너무 경이로워서 말이 안 나오네요..

  • @0ortCloud
    @0ortCloud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멋지다...

  • @sentimentalgraffiti
    @sentimentalgraffiti Жыл бұрын

    역시 이 우주영상은 감성이 터지는 새벽에 봐야 더 멋진것 같음

  • @18handleqkRnrhwlfkf
    @18handleqkRnrhwlfkf Жыл бұрын

    왔다~~~~!

  • @hansm629
    @hansm629 Жыл бұрын

    지구의 모래알보다 많은 은하들... 그 은하에 적게는 수백억에서 많게는 수조개의 항성들.....진짜 스케일이 ㄷㄷㄷ

  • @gi_5278
    @gi_5278 Жыл бұрын

    사진이 정말 대박이네요...

  • @mokwabyLim
    @mokwabyLim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작은 면적에 저렇게 많은 은하가 있다니 외계인이 없을 수가 없다

  • @CatMovieStory

    @CatMovieStory

    Жыл бұрын

    꼭 이렇게 외계인 타령하는 인간이 있어..

  • @akyaka7639

    @akyaka7639

    Жыл бұрын

    @@CatMovieStory 너같이 아니꼬운 인간들도 늘 있기 마련이지 ㅋㅋ

  • @user-dx6wu6zk6t

    @user-dx6wu6zk6t

    Жыл бұрын

    외계인은 있지만 서로만날수없게 되어있는게 우주

  • @user-ki7cl2re2m

    @user-ki7cl2re2m

    Жыл бұрын

    과학적으로 아무리 생각해봐도 외계 지성 생물체는 반드시 존재하겠지만.. 인류가 멸망할때까지 만날수 없을것 같네요

  • @minsookim5054

    @minsookim5054

    Жыл бұрын

    @@CatMovieStory 꼭 이렇게 남들의견 개 조ㅏ옷으로 아는 넘이있어~

  • @Zerocoke1234
    @Zerocoke1234 Жыл бұрын

    은하와 은하가 서로를 잡아먹고 부둥껴 안는 모습을 보니 어쩔 수 없이 우리가 우주를 닮은 이유를 알겠네요. 우리의 관찰이 저기까지 이지만 분명 그 이상으로 상상도 할 수 없는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광활한 우주의 영상을 보며 불닭볶음면에 소주한잔 하는 저의 일상이 너무나 작게 느껴지네요.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사람도 동물도 식물도 서로 상대를 잡는데 은하도 저러고 있으니 ㅎㅎ

  • @user-cx2hg8dw3q
    @user-cx2hg8dw3q Жыл бұрын

    👍👍👍

  • @user-sj2jn6th9h
    @user-sj2jn6th9h Жыл бұрын

    휴대폰으로는 링크를못보는건가요? 파일을다운받앗는데 사진?이 안나오네요

  • @ChunJoStockMan
    @ChunJoStockMan Жыл бұрын

    프록시마 센타우리 항성계 외계문명 관측결과는 나왔나요?

  • @rang4592
    @rang459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9월17일 관심있는 내용인데 이제야 내용을 확인하게 되었네요. 혹시 녹화된 영상 볼 수 있을까요?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즐감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제임스 웹 재밌어요

  • @INTJ_LHNN
    @INTJ_LHNN Жыл бұрын

    헐ㅠㅠ 너무 가고싶은데 너무 머네요ㅠㅠ 부산에서도 해줘ㅠㅠㅠㅠ

  • @user-hr6hr7sy7y
    @user-hr6hr7sy7y Жыл бұрын

    사진 속 색은 따로 입히는 작업을 하는거죠? 그렇다면 색깔을 입히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저 다채로운 은하들의 색에 대한 근거가 있는건지, 보기 좋게 임의로 입히는 건지 궁금하네요.

  • @user-ow8yd9rw7z
    @user-ow8yd9rw7z Жыл бұрын

    딥필드 완성형이 나오려나!? 과연 기술 발전이긴하네요 허블은 몇 날 걸린 걸로 아는데...

  • @oklu_
    @oklu_ Жыл бұрын

    이 시대에 태어난 것이 감사하네요.

  • @jxg3280
    @jxg3280 Жыл бұрын

    인간의 관념으로는 우주의 크기를 도저히 가늠할수없다

  • @sirius6109
    @sirius6109 Жыл бұрын

    삶이란 무엇일까? 허무, 그렇지만 주어진 삶의 시간을 알차고, 소중하게 보내야겠다!

  • @user-rv8ts6tw1c
    @user-rv8ts6tw1c Жыл бұрын

    저 작은 점같은 은하 안에 우리 태양계같은 행성계가 수천억개가 모여있는 거라니,,, 우주는 진짜 크기가 감히 상상도 안된다,,

  • @yb9494
    @yb9494 Жыл бұрын

    딥필드를 찍을 위치, 방향은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건가요??

  • @user-xz1dz9cw1x
    @user-xz1dz9cw1x Жыл бұрын

    외계지적생명체가 있을까라는 의문은 20세기에 이미 끝났고 지금은 얼마나 많을까라는 의문을 가질 시기이다.제가 보기에는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보다 더 많은 외계지적생명체가 있을 것이라 봅니다.

  • @user-sr5wj4cv4u

    @user-sr5wj4cv4u

    Жыл бұрын

    다만 저건 몇억 수십억 수백억년전 빛이 도달해서 찍힌 사진이라서 지적생명체가 있다고 하더라고 멸망했을 가능성이 있음

  • @user-xz1dz9cw1x

    @user-xz1dz9cw1x

    Жыл бұрын

    @@user-sr5wj4cv4u 멸망한 지적생명체가 있다면 새로 생겨나는 지적생명체들도 많을 것입니다. 우주의 별이 소멸하는 것이 있다면 새로 태어나는 별들이 있듯이요. 우주는 팽창하는 관계로 소멸하는 생명보다는 생성되는 생명들이 더 많다는 것은 상식이겠지요.

  • @user-gs1lj3ck1w

    @user-gs1lj3ck1w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mingtube8470

    @mingtube8470

    Жыл бұрын

    @@user-xz1dz9cw1x 일반적으로 그렇게 생각할 수 있으나, 그게 아닐 수도 있다고 합니다. 외계인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이론이 많이 나오고 있어요. 그럼 우주가 왜 이렇게 큰가? 이것에 대한 주장/추측은 정말 많아요. 그래서 우주는 있다/없다 로 정할게 아니라, 이미 아시겠지만 "있을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라는 애매한게 요즘 답변이더라구요 ㅎㅎ;; 우리가 알던 고전역학은 우주가 정확한 계산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양자역학 이론으로 정답이 확률이 되었죠. 이게 참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그렇다네요 ㅎㅎ;

  • @user-rg6vs4lt8z

    @user-rg6vs4lt8z

    Жыл бұрын

    우주으 크기로 보면 지구같은거 몇조개는 있겠다

  • @GGMU_KIM
    @GGMU_KIM Жыл бұрын

    다른 행성의 외계인이 우리나라의 옛날모습을 보면서 연구할것을 생각하니 조금 웃기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네요

  • @user-te4yt1rd2n
    @user-te4yt1rd2n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수명 10년 늘려놓은것도 너무나 짧게 느껴질 정도네요 ㄷ

  • @user-dp7hd4yc3t
    @user-dp7hd4yc3t Жыл бұрын

    인류의 우주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만큼 지구의 강력한 이상기후 발현속도도 더 빨라지고 더 길어지는것 같다.

  • @user-mi8ng3zy8l
    @user-mi8ng3zy8l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이렇게 큰데 지구에만 생명체가 있다면 그게 더 무섭다

  • @user-yh9oo2oi6w

    @user-yh9oo2oi6w

    10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대 우주의 창조주이신 여호와 또는 야훼 라는 유일신께서 께서 얼마나 위대하신 분인지 우리인간은 잘알고 그분께만 숭배와 찬양을 드려야 하지않겠습니까~^^

  • @lonely.hiker.monad1886
    @lonely.hiker.monad1886 Жыл бұрын

    거리가 억단위인데 많이 살아봐야 100년사는 인류에게 우주는 너무 넓구나

  • @korearcexcavator8729
    @korearcexcavator8729 Жыл бұрын

    은하가 얼마나 많은지 우주가 얼마나 큰지 상상도안간다

  • @user-gv5um2vn3s
    @user-gv5um2vn3s Жыл бұрын

    맛보기로 찍은거만해도 은하가 저렇게 많은데...저 많은 은하중에 문명을 가진 존재가 없겠냐구요. 저쪽에서도 우리를 이렇게 바라보고 있을지도..

  • @user-up9mc1yr2p

    @user-up9mc1yr2p

    Жыл бұрын

    바라본다해도 지구의 태초 모습을 보고 있을걸요. 바라보는 것 자체가 빛을 보는거니까요

  • @arslongavitabre
    @arslongavitabre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항상 잘 시청중이며 놀라운 정보에 감사 드립니다. 궁금한것은 모든 우주 현상 설명이 2차원으로 주로 설명되어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또 하나는 130억년 별은 아직도 존재 하는지요? 모르는 것이 많아서 질문이 제대로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waterbin9819

    @waterbin9819

    Жыл бұрын

    2:25 2:27

  • @waterbin9819

    @waterbin9819

    Жыл бұрын

    2:49

  • @waterbin9819

    @waterbin9819

    Жыл бұрын

    2:53

  • @waterbin9819

    @waterbin9819

    Жыл бұрын

    2:57 3:05

  • @waterbin9819

    @waterbin9819

    Жыл бұрын

    3:24 3:24

  • @mindbridge00
    @mindbridge00 Жыл бұрын

    방구석에서 저 드 넓은 우주를 보고있는 날이 오다니.. 경이롭습니다 ... 저기에있는 수천 수만개의 은하마다 최소 지구같은 별이 하나씩 있다고만해도.. 대체... 몇개의 쌍둥이 지구가 존재할지도... 궁금하네요..

  • @user-hz5kj7sx5y
    @user-hz5kj7sx5y Жыл бұрын

    어느 SF 영화의 대사가 생각납니다. "진리가 뭐라 생각하는가 ,,, 끝이 없는 게 진리라네"

  • @TV-ct3oi
    @TV-ct3oi Жыл бұрын

    메이시. 갤럭시가. 139억. 년 전에 만들어졌군요. 넘. 신기한. 천문학의 세계입니다^^

  • @user-il4ob5wq1c
    @user-il4ob5wq1c Жыл бұрын

    경이롭네요. 우리은하 밀키웨이부터 관측해보길 원했는데 ㅠㅠ 제임스웹이라면 외계인의 행성 관측이되지않을까...

  • @melonaaah
    @melonaaah Жыл бұрын

    헐............ 갤럭시 익스프스 진짜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가고 싶어요 ㅠㅠㅠㅠ..... 해외라서 진짜 너무 아쉽네요............ 친구들 머리 끄댕이 잡고 다 데리고 갔을텐데 ㅠㅠ

  • @user-fn3cp2im6f
    @user-fn3cp2im6f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많이 보이는 게 은하일수도 있고 은하군일수도 있고 은하단일수도 있는건가요? 우주는 진짜...어휴. 근데 오늘 점심은 뭐 먹지?

  • @user-jh1sq4ch2l
    @user-jh1sq4ch2l Жыл бұрын

    우린 점 하나을 지키지 못하잖아요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저 딥필드에 찍힌 은하들의 적색편이량(Z값)은 어떤 방법으로 결정하나요? 사진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여러 이미지들을 이용한 측광 자료만으로 결정이 가능한가요? 아니면 더 많은 대역에서의 측광 자료나 분광 자료가 필요한가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은하의 적색편이는 특수한 별의 질량에 따른 빛의 파장이가장 많이 발현 하는 양이 정해져서 있습니다. 이를통하여 파장의 변이를 측정합니다

  • @아새

    @아새

    Жыл бұрын

    라이먼브레이크같이 쓸만한 방식이 있습니다

  • @user-vl5pi3mm4l
    @user-vl5pi3mm4l Жыл бұрын

    저게다 먼 과거의 잔상. 현재 저 많은 별들이 사라졌을수 있다. 빛의 잔여물. 현재 는 허상일수 있다.

  • @dpa3472
    @dpa347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말그대로 아사리판 이네요~~~

  • @user-fr4no6qh7w
    @user-fr4no6qh7w Жыл бұрын

    나 살아 생전 우주의 비밀을 알고 눈을 감았으면.......

  • @user-ej8qn9ke2u
    @user-ej8qn9ke2u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끝은 과연 있는걸까... 단지 우리가 더 볼 수 없어서는 아닐까...

  • @CatMovieStory

    @CatMovieStory

    Жыл бұрын

    우리 우주는 다른 사차원 우주에 있는 블랙홀이라는 연구도 진행중이라던데요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끝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네요 계속 팽창하고 있어서 여기가 끝인가 하면 또 멀어지게되서

  • @user-gs1lj3ck1w
    @user-gs1lj3ck1w Жыл бұрын

    멸망과 탄생을 반복한 우리의 과거 모습

  • @user-pl7rm7gu1n
    @user-pl7rm7gu1n Жыл бұрын

    ㅅㅂ.. 저게 말이 되나… 진짜 우주 그 자체가 신이다. 👍🏻👍🏻👍🏻

  • @user-ds4ce4jb5j
    @user-ds4ce4jb5j Жыл бұрын

    우주도 어린별은 파릇파릇 하구나 신기하게 맟는 표현이네

  • @user-is2gb4bb2f
    @user-is2gb4bb2f Жыл бұрын

    우주의 시작이랬던 빅뱅이 터지고 4억년 지난 은하라고하면 빅뱅코앞도 관측이 가능한건가요? 모든걸 알수있을텐데

  • @user-zh2cy5ct3q
    @user-zh2cy5ct3q Жыл бұрын

    과거의은하와 현재의 은하의 섞인 이미지 은하의 수명이 얼마나될까 그럼 저중 살아있는 은하가 몇개나 될까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깊은 들판

  • @samki530
    @samki530 Жыл бұрын

    모든 기계는 비싼값을 하는군요...저 제임스웹 망원경도 10억달러인가 들여서 만들었다고 하던데...10억달러 값어치를 아주충분히 하고있네요...대단하네요..그래서 그렇게 별보는 사람들이 더크고 비싼 망원경을 살려고 하나보군요...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Жыл бұрын

    진짜 세상에서 젤 값어치 있는 일은 NASA에서 다 하는듯.. 교회보다 나음 ㅋㅋㅋ

  • @mi9lkk
    @mi9lkk Жыл бұрын

    생명체가 우주이고 우주가 생명체인데 그게 우리가 알수없는 메커니즘으로 순환한다. 우리가 사는 곳은 생명체인데 우리를 이루는 우주이다.

  • @qkaqfmrm
    @qkaqfmrm Жыл бұрын

    저기서는 돈걱정없이 사는종족도 있겠지 행복하겠다

  • @user-gs1lj3ck1w
    @user-gs1lj3ck1w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영원한거 처럼 지적생명체의 탄생도 영원함. 님들 죽으면 몇해개의 은하의 다른 지구에서 다시 태어나니 걱정 ㄴㄴ 하지만 이게 기억을 잃고 다시 태어나는 것이기에 인생 무한반복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함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우리 우주가 결국에는 원자단위도 파괴되서 사라진다는 얘기도 있더군요

  • @user-gs1lj3ck1w

    @user-gs1lj3ck1w

    Жыл бұрын

    @@Sane--Dule 그럼 뭐 다른 우주에서 다시 태어나겠죠. 이번 생에도 잘살고 담생에도 잘살자 라는 마인드로 살죠 우리

  • @topcondition6348

    @topcondition6348

    Жыл бұрын

    격공 다중우주까지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한 인생에 너무 괴로워 할 필요도 없는듯.

  • @b8f57
    @b8f57 Жыл бұрын

    이 단위로도 헤아릴수 없는 이 우주공간에서 지금 촬영하는곳이 빅뱅이 시작된 곳이란걸 어떻게 알수 있었나요..?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빅뱅은 존재하는 모든곳에서 시작했습니다. 빅뱅의 중심점에 가깝냐고하면 의문이 존재하겠지만 현재의 이론및 관측자료상으로는 우주 어디서 보든 빅뱅은 모든곳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중심점을 3차원에 존재하지 않다고 생각해서요

  • @PINO1102
    @PINO1102 Жыл бұрын

    내가 상상하는 우주는 중첩되어있는 우주같다 우주가 동그란 구모양이면 그안에 또다른 구의우주가있고 그안에 또다른 구가있고...

  • @gregory000
    @gregory000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이 10대 정도 있어야 할듯..

  • @user-fj7jl2du3m
    @user-fj7jl2du3m Жыл бұрын

    이러다가 뭔가 충격적인거 발견해낼거 같은 느낌이 드네

  • @user-vw9ld5is9x
    @user-vw9ld5is9x Жыл бұрын

    덧없고 덧없는 인생 -이인임-

  • @peace77777
    @peace77777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바르게살겠습니다.!. .

  • @user-yr8sz8er4m
    @user-yr8sz8er4m Жыл бұрын

    단순하게 별의 갯수가 조단위로 끝날게 아닌데요? 지금 이 시간에도 탄생하는게 별과 은하일테니 말이죠?

  • @Pedro-zq8fr
    @Pedro-zq8fr Жыл бұрын

    종교인은 믿음으로 죽음을 극복하고, 무신론자인 저는 이런 우주를 보고 설명 받는 것으로 위로가 됩니다.

  • @hpsh2846
    @hpsh2846 Жыл бұрын

    우주의 과거를 볼수 있는 원리가 먼가요?

  • @user-ci2gb7si1v

    @user-ci2gb7si1v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죠. 130억광년 거리의 A은하를 관측한다면, A은하의 130억년 전 과거의 모습을 관측하고 있는 것 입니다.

  • @DDung_G

    @DDung_G

    Жыл бұрын

    광년은 빛의 속도로 1년이 걸리는 거리를 의미해요. 1광년 떨어진 거리의 은하를 오늘 관찰한다면 그 은하에서 1년전 출발한 빛을 오늘에서야 보게된다는 뜻. 우리가 하늘에 떠 있는 달을 본다면 거리상 약 1초 전의 달의 과거를 보는 셈.

  • @nr5005
    @nr5005 Жыл бұрын

    농담이지만 어쩌면 연구하느라 집에 못가서 함께 놀아주지 못하는 딸아이를 생각하고 미안해하며 가장 먼 거리 은하의 이름을 딸 이름으로 하지 않았을까 다른 생각을 해봅니다 ㅎㅎ

  • @tashinkor
    @tashinkor Жыл бұрын

    기계음 같다,,,

  • @jaeholee3816
    @jaeholee3816 Жыл бұрын

    현생하는 모든 인류의 이름을 하나씩 은하에 붙여줘도 은하가 남을지도..

  • @redfox00516

    @redfox00516

    Жыл бұрын

    겨우 60억으로 우주에 있는 은하의 수에 비빌수는 없음 ㅋㅋㅋ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은하가 예전엔 수천억개로 추정했다가 지금은 수조개가 넘을거라고 예측하는데 인류는 78억.. 현생이 아니라 지금까지 존재했던 모든 인류의 이름을 합쳐도 안되고 지구의 모든 생명체 숫자를 합쳐도 은하가 남아요

  • @b8f57
    @b8f57 Жыл бұрын

    이 광활한 우주에서 ? 지금 딥필드가 촬영중인 곳의 은하가 135억 광년 떨어진.. 빅뱅이 시작된 곳이라면.. 반대편은 몇광년이나 됐을까요 ? 설마 반대편도 135억 광년은 아니겠죠 ?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볼수 있는 시간한계가 135억년이라서 그런거지 실질적 거리는 잘 모릅니다.

  • @msdigital7065

    @msdigital7065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반대편도 135억 광년입니다. 정확히 빅뱅이 시작된 지점이라 가정하면요. 그러니, 지구로부터 270억광년 떨어져 있겠네요.

  • @red8763

    @red8763

    Жыл бұрын

    우주 팽창속도가 광속보다 빨라서 그것보다 더 큽니다. 우주 나이랑 크기랑 다름

  • @user-kf7no1tz8p
    @user-kf7no1tz8p Жыл бұрын

    우주학자들이.우주 탐사할수록 크기에 놀라고 놀라서 미치는 학자도 있다고함 ㄷ ㄷ

  • @user-kt5ex8kb4e
    @user-kt5ex8kb4e Жыл бұрын

    해단위라면 결국 우주는 무한이란 얘기지.빅뱅도 틀린거고.... 겁의 거리에 다른 우주가 있는 다중우주가 더 맞는 듯 ...

  • @HavyOil
    @HavyOil Жыл бұрын

    지구는 한 점에 불과하네요. ㅎㅎㅎ

  • @CatMovieStory

    @CatMovieStory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는 은하도 한 점이라고 보기 힘들 같은데

  • @user-ow8yd9rw7z

    @user-ow8yd9rw7z

    Жыл бұрын

    은하도 우주에선 미세도 안되는 그냥 크기인데.. 그냥 안 보인다고 하면 생각 하시면 됨...

  • @hellpoome
    @hellpoome Жыл бұрын

    허블은 며칠을 노출해서 132억년 전 은하를 식별해 냈고, 지난 번 제임스 웹은 불과 12.5시간을 노출해서 135억년 전 은하를 식별했으면...제임스 웹으로도 허블처럼 며칠동안의 긴 시간 한 곳을 노출하면 한 137.999999......억년 전(빅뱅은 138억년 전) 은하를 식별할 수 있을까요? 딥필드라고 해서 모래 한 알 한 곳만 판다는 건 줄 알았는데 보름달 여덟 개라...ㄷㄷㄷ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우주탄생이후 별은 오래뒤에 형성되었습니다. 거기에다 은하는 더오래걸렸고요. 우주탄생이후 2억년 정도는 별이 없는 우주의 암흑기 었습니다. 입자들이 중력에 의하여 뭉치고 점화될정도까지의 시간입니다.

  • @yeowoowanabi
    @yeowoowanabi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진짜 궁금한게... 한점을 아예 몇 달동안 쭉 찍어보면 어떤 모습이 나올까 정말 궁금하네여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그건 예전에 허블 망원경으로도 시도를 했었어요 한 천문학자가 우주에서 손톱만큼한 깜깜한 곳을 찍어보자고해서 며칠을 그곳에 맞춰서 찍었더니.. 그 깜깜한 손톱만한 곳에 은하 수백 수천개가 나타나서 과학자들을 경악하게했죠 우주의 크기를 가늠하기가 어려울 정도라는걸

  • @user-mo6kj2vj3x
    @user-mo6kj2vj3x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사진 하나에 255메가 ㅋㅋㅋㅋㅋ

  • @jodhi2068
    @jodhi2068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은 빨리 초은하단과 거대 인력체에 대해 조사해라

  • @user-zr9un4on3g
    @user-zr9un4on3g Жыл бұрын

    관찰은 관찰이고, 해석은 해석. 그 해석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다는 것. 별이 태어난다는 것은 착시일 가능~

  • @0KYK0
    @0KYK0 Жыл бұрын

    134억년 전에는 더 가까웠을텐데 왜 이제야 보이죠? 134억광년 떨어진것으로 관측 된거라면 그건 134억년 전이라는 뜻인데...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Жыл бұрын

    134억년전 134억년 거리에 있던 은하입니다 지금은 400억 광년에 가까운 위치를 가질것으로 추정됩니다

  • @0KYK0

    @0KYK0

    Жыл бұрын

    @@user-kn9sm3bw6x 우주 나이를 138억년으로 추정하는데. 4억년 동안 134억년 거리의 은하가 있었다고 하니 이상하죠. 시간은 흐르지 않고 팽창만 한겁니까?

  •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Maisie: 난 우리 아빠같은 사람이 이상형이야! 짝남들: (오열)

  • @NigimiGoogletube
    @NigimiGoogletube Жыл бұрын

    점점 우주망원경이 망원경이 아니라,우주 현미경화할텐데,,,,,혹시 끝이 안보일정도 현미경화한 우주망원경 앞에서 인류는 무슨 생각을 할까?? 시작과 끝이 있으면 시작과 끝도 없다는 생각은 왜 안할까??ㅉㅉ

  • @user-ok3si8bh6s
    @user-ok3si8bh6s Жыл бұрын

    근데 빅뱅 완전초기부터 완벽한 나선은하가 관찰되는게 이상하지 않나요? 은하가 빛의 속도에 비슷하게 생성되지 않고서야 불가능하다는데요.

  • @user-md8sj7fg9g
    @user-md8sj7fg9g Жыл бұрын

    수억년 후의 인류는 저런 곳으로 우주선 타고 관광 다니고 그러겠지

  •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로 가도 몇백년 몇억년 걸리니까 불가능하죠 출발할때 탑승한 사람은 늙어서 벌써 죽고 그후 100대손 1000대손도 가는 사이에 늙어죽으니까요 물론 빛의 속도로 가는 우주선은 애초에 과학적으로 만드는게 불가능하고요

  • @user-md8sj7fg9g

    @user-md8sj7fg9g

    Жыл бұрын

    @@Sane--Dule 추진력을 얻어서 가는 형식이 아닌 순간적으로 수십억 광년 떨어진 거리로 이동하는 무언가가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불과 몇백년 전만 해도 하늘에 고철덩어리가 날아다니고 마차를 대신한 고철덩어리가 땅을 달리는 것을 상상이나 했을까요 ㅋ 아마 우리의 상상 이상의 것들이 만들어 지지않을까 싶습니다

  • @Lynnmabell
    @Lynnmabell Жыл бұрын

    사진 용량 어마어마한가? 로딩 느리네;

  • @user-tv3sk3gg1y
    @user-tv3sk3gg1y Жыл бұрын

    그래나도SF: 잘 보시면 시가형 UFO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대략 지구의 8배 크기로 보이고요.. ㅋㅋㅋㅋㅋㅋㅋ 그래나도는 여기서 시가를 찾을게 분명해 ㅋㅋ

  • @user-pw7ik1lm7i
    @user-pw7ik1lm7i Жыл бұрын

    사진보니 뇌절온다

  • @jungsh1st
    @jungsh1st Жыл бұрын

    구독취소 완료

  • @user-xx6gr6fd7f
    @user-xx6gr6fd7f Жыл бұрын

    ~있습니다. ~겁니다. 억양 너무 맘에 안 듭니다. ~다 에서 마지막 억양을 어거지로 끌어 올리지 마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