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에 양자역학 원리가 숨어있다?! 😲 | 제임스 웹 고장난 부품 속에 담긴 놀라운 비밀!!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제임스웹 #스펙트럼 #분광 #프리즘 #고장 #그레이팅 #회절 #양자역학 #이중슬릿 #diffraction #doubleslit #jameswebb #jwst #nasa #jameswebbspacetelescope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tail.nhn?seriesNo=351775&memberNo=30808112&prev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webbtelescope.org/contents/media/images/01FA0SZA5HPXKRKH8Y6PKB10V1
jwst-docs.stsci.edu/jwst-near-infrared-spectrograph/nirspec-instrumentation/nirspec-optics#NIRSpecOptics-Collimatoroptics(COLL)andgratingwheelassembly(GWA)
iopscience.iop.org/article/10.1086/682253/pdf
www.optica-opn.org/opn/media/Images/Articles/2022/0422/Features/Wills-img5-1280px.jpg
jwst-docs.stsci.edu/jwst-mid-infrared-instrument/miri-instrumentation/miri-spectroscopic-elements#MIRISpectroscopicElements-dichroicDichroicfilter/gratingcombinationwheels
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ancient-stars-how-does-spectrograph-work/
jwst-docs.stsci.edu/jwst-mid-infrared-instrument/miri-instrumentation/miri-optics-and-focal-plane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72

  • @user-xv5jr3rk2m
    @user-xv5jr3rk2m Жыл бұрын

    약은 약사에게 천문학은 현자형에게

  • @user-vz2zo6hk6f

    @user-vz2zo6hk6f

    Жыл бұрын

    이거 지난주에 제가 단 댓글!!

  • @user-ul8wy8sg3o

    @user-ul8wy8sg3o

    Жыл бұрын

    @@user-vz2zo6hk6f 어쩌란거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덧붙이자면 현대에 분광 관측에서 프리즘을 잘 안 쓰는 이유는 프리즘 특유의 여러 단점 때문입니다. 파장에 따른 굴절률은 파장에 대한 복잡한 함수의 형태를 띄는데, 이 때문에 분광자료를 파장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다소 번거롭습니다. 또한 단파장(특히 자외선)에서는 프리즘의 투과율이 낮고 장파장에서는 파장에 따른 굴절률 변화가 작아서 단파장에서는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줄어 분광분석의 오차가 커지고 장파장에서는 분광 해상도가 감소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리즘을 쓸 경우 장비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처음 설명에 좀 빠진 내용이 있었습니다. 프리즘 분광기는 작은 크기로 높은 분해능을 얻기가 어렵습니다. 프리즘 분광기는 그 특성상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는(=빛을 더 많이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장치를 아주 길게 만들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분광기의 부피가 매우 커지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높은 분해능을 얻기도 어렵습니다.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아마 영상 제작자 분도 프리즘 분광기의 단점에 관해 몰랐을 것 같지는 않고,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다만 이 영상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데 필수적인 내용은 아니라서, 분량상의 이유로 생략한 듯 싶습니다.

  • @jaehonglee2017
    @jaehonglee2017 Жыл бұрын

    다른 채널에서의 설명보다 훨씬 깔끔하게 잘 설명하셨습니다!! 👍👍

  • @choiwonchul1
    @choiwonchul1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설명이네요 잘 봤습니다

  • @user-jjy1015
    @user-jjy1015 Жыл бұрын

    6:37 아, 그래서 CD뒷면이 빛에 닿을때마다 아름다운 무지개가 나오는거군요...

  • @user-yy1mn4sw4r
    @user-yy1mn4sw4r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쉬운설명감사합니다

  • @user-gy4xb5mt8u
    @user-gy4xb5mt8u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제임수웹은 진짜 고이고 고인물들의 집합체네요

  • @touchetouche6272
    @touchetouche627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y7fe9cg9c
    @user-vy7fe9cg9c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볼때마다 경이롭네요. 정확하게 잘 알려주셔서 늘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mark_grey
    @mark_grey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 @user-np7gt7yg3p
    @user-np7gt7yg3p Жыл бұрын

    다른곳에서 봤지만 요기는 디테일이 살아있는 설명👍

  • @SHGZR
    @SHGZR Жыл бұрын

    명쾌한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저는 우주탐사선이나 우주망원경에 감정이 꽤 깊이 이입되네요. 지구를 떠나 성간공간을 항해 중인 보이저호나 토성에서 장엄하게 최후를 맞이한 카시니호.. 방사능과 싸우며 목성을 탐험 중인 갈릴레오 탐사선 그리고 허블과 제임스웹. 이들을 생각하면 단순히 기계라는 느낌이 아닌 복잡하고 안타까운 감정이 드네요…

  • @user-qm9lv9wt8o
    @user-qm9lv9wt8o Жыл бұрын

    다른데서 들어서는 MIRI에 문제가 생긴건 알았는데 어떤 원리로 정확하게 뭐가 문제가 되는지는 이해가 안갔는데 명쾌하게 이해가 가네요

  • @user-jjy1015
    @user-jjy1015 Жыл бұрын

    11:51 아마 그때가 되면 제임스웹에 고쳐야할게 쌓인걸 보고 경악하지 않을까 웃픈일이 될수도 있겠네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다른 어떤 채널보다 제임스웹의 고장난게 어떤 부분인지 어느정도 심각한 문제인지 이렇게 이해되게 설명해준 채널은 없었는데 정말 간단 명료하게 설명해주시네요. 역시 같은 과학채널도 한 분야만 파는 전문채널은 다르구나

  • @kidarim2056
    @kidarim2056 Жыл бұрын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너무 고마워

  • @hkwang1943
    @hkwang19436 ай бұрын

    과학이 한참 낯선 머글한테도 듣기 편하고 감동까지 주는 컨텐츠 만들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마지막 “안녀~ㅇ” 중독성 있어요. 💫

  • @ranomu8606
    @ranomu8606 Жыл бұрын

    일요일이 기다려지는 현자타임즈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 @po105kr
    @po105kr Жыл бұрын

    혹시 몰라 도킹장치까지는 만들었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현제의 기술로는 인간을 태우고 갈수는 없겠지요 차후 기술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 되면 수리하러 갈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중요한건 제가 끄때까지 살아있을지가 ㅜㅜ 갑자기 슬프네 ㅋ

  • @user-zm1cq4uq1f
    @user-zm1cq4uq1f Жыл бұрын

    근데 일론 쟤는 쟤가 천문학에 끼치는 민폐 생각하면 직접 우주망원경 두개는 쏴서 기부해야하는거 아니냐..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즐감

  • @z-studio3332
    @z-studio3332 Жыл бұрын

    일론머스크는 허블에 뭘하려고 하는걸까요?

  • @user-dl7cx5pj2v
    @user-dl7cx5pj2v Жыл бұрын

    천문학관련해서 다른 모든 과학 유튜버들과 비교안될정도로 깊고 체화된 지식을 설명해주는 채널

  • @gle_Goo
    @gle_Goo Жыл бұрын

    💓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우주 재밌어요

  •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포인트는 어디인가요?

  • @hoyakim4280
    @hoyakim4280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고장 원인이 발사할 때 구리스가 한쪽으로 쏠려서였고 계속 돌리다보니까 고쳐져있더라는 상상도 해봅니다...?

  •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허블 예토전생 얘기가 나오는 이유를 추측해보겠습니다. 제임스웹은 관측시간당 비용이 대단히 비싼 장비입니다. 따라서 뭘 발견할지 모르는 허공을 탐색하기보다는 무언가가 있다는걸 다른 방법으로 알아내서 그 대상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임무를 맡기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다른 저해상도 우주적외선 망원경이나 허블 우주망원경 등이 제임스웹을 위한 탐색경의 역할을 수행해준다면 제한된 시간 안에 훨씬 가치있는 결과들을 뽑아올 수 있게 되겠죠. 이번 고장에 대해서도 재부팅 등을 통한 해당 장비의 복구를 시도하지 않고, 그 장비의 관측결과를 포기하고 나머지 장비들의 관측을 이어나가는것 역시 시간을 아껴야 하기 때문일겁니다. 아폴로 13 영화를 봐도 알 수 있듯이, NASA에서는 모형 및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문제와 해결책을 찾고 있을겁니다. 시간이 오래 걸려 보이는 이유는... 사람 목숨이 걸린 유인 탐사와는 상황이 다르고, 문제를 해결하려다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기간을 길게 투자하기 때문일겁니다.

  • @ongs5526
    @ongs5526 Жыл бұрын

    grating 은 diffraction 을 이용한 것이죵 ㅎㅎ 저 톱니모양이 일종의 slit 역할을 하게 됩니다. 아주 얇은 구멍을 만든것과 같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톱날이 얼마나 촘촘하느냐로 성능이 결정 됩니다. 또 천문학 뿐만아니라 대부분의 스펙트로미터는 grating 을 쓰고 있습니다. 다만 양자역학적인 개념이라기보단 파동적 성질을 이용했다. 정도가 물리적으로 좀더 적절하고 무리없는 표현이 될 것 같네요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ㅎㅎ 매번 감탄하며 보고 있습니다

  • @KiyeungMun
    @KiyeungMun9 ай бұрын

    X-선의 회절 현상을 이용해서 고체의 결정성을 측정하는 XRD의 원리인 브라그 법칙이 생각나네요 ㅎㅎㅎ

  • @voololl
    @voolol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q2kx2no3r
    @user-rq2kx2no3r Жыл бұрын

    인류의 과학기술이 놀랍다

  •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 옥의티가 하나 있네요. 파장에 따라 뫼산자 패턴이 좌우로 움직이는게 아니라 양 사이드 피크가 발어지는 각도가 좁아지고 넓어지는 것입니다. 파장의 길이의 정수배와 경로차가 일치하는 각도에서 보강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파장의 길이에 따라 첫번째 오더피크 부터 각도차가 발생하는 것이지요. 가운데 피크는 제로스 오더라고 광학시간에 배운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네요. ㅎㅎ

  • @kim_crane
    @kim_crane Жыл бұрын

    난 이 채널 보고 있지만 완벽하게 이해 했어 이 짤이 생각 남 ㅋㅋㅋ

  • @user-jh6bh5ry9r
    @user-jh6bh5ry9r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저장장치가 64GB SSD인데 시간이 지나면 열화되서 60GB 정도로 감소할거란 얘기를 들었거든요 저장공간이 모자라 문제가 생겨도 대책이 있을지 고작 64GB밖에 안되는게 애초부터 20년까지 장기간 운용할 생각이 없어서 그렇게 설계한거지 궁금합니다

  •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Жыл бұрын

    보이저는 더 적었던 용량으로도 계속 보내고 비우고 하면서 할꺼 다 했습... 뭐 그리고 애초에 데이터용량을 크게 안만들려고 발악도 할거라서...전송속도란게 있는데...용량 크게 만들면 어느 세월에 지구에 보내겠...

  • @warsepick4621

    @warsepick4621

    Жыл бұрын

    우주선 컴퓨터는 성능보다는 안전성이 훨씬 중요해서 스펙상으로만 따지면 별로 안좋아요 고장없이 간단한 임무만 수행가능하면 되기때문에... 우주정거장 같은데 드가는 컴퓨터도 70-80년대 수준인거 많음

  • @user-qz6em2ss4n
    @user-qz6em2ss4n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안드로메다 공주는 꼭 찾아줘~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Жыл бұрын

    엌 큐리오시티 ㄷㄷㄷ

  • @Parkjk09
    @Parkjk09 Жыл бұрын

    근데 제임스 웹은 10년을 설계 수명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나요?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궤도 유지에 필요한 연료가 소모되기까지의 사용할 수 있는 연료 탑재량을 기준으로 수명을 잡아서 10년의 수명이 나온 것인데, 발사할 때 당초 예상보다 궤도에 정확히 진입해서 발사 후 궤도 조정에 연료를 덜 쓴 탓에 기대수명이 더 늘어났다고 하네요

  • @QwertQwert-sc7it
    @QwertQwert-sc7it Жыл бұрын

    허블은 대기권에 태우지 말고 기술이 더 발전하면 회수해서 박물관에 전시했으면 좋겠다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음, 회수 비용만큼 입장료를 뽑아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지 않을까요? 물론 기술의 발전으로 회수 비용이 감소할 가능성도 고려해야겠지만 말입니다.

  • @haker_

    @haker_

    Жыл бұрын

    @@Republic_of_China_No.1 약간 돈보다는 상징적으로 가지고 오지 않을까요?

  • @park8374

    @park8374

    Жыл бұрын

    @@haker_ 상징성을 까지기엔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미국이 그걸 할지 모르겠네요

  • @haker_

    @haker_

    Жыл бұрын

    @@park8374 그렇긴하네요

  • @seo3146

    @seo3146

    Жыл бұрын

    천문학에 큰 뜻이있는 자산가의 지원이라던가.. 아무튼 회수하면 참 좋겠네요 ㅎ

  • @bbongholy7506
    @bbongholy7506 Жыл бұрын

    나중엔 기술이 발전해서 제임스웹의 수명이 다할때쯤 스페이스 x 같은 발사체가 제임스웹으로 날라가서 다시 지구로 가져올수 있는 방법이 생기지 않을까요? 그래서 다시 수리해서 우주로 보내면 어떨지?

  • @Bonghoonkim
    @Bonghoonkim Жыл бұрын

    가끔 웹의 어디가 문제있다는 소식만 들어도 십겁합니다. ㅎ 말씀대로 10년쯤이면 지금의 기술로 봐선 그안에 인간이든 기계이든 웹까지가서 수리할 것 같습니다. 아마 머스크에서 해 줄듯 ㅋ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Жыл бұрын

    직접 가서 고치는 세상 보다는 애초에 보낼 때 내부에 인공지능 로봇을 탑승? 시키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 아무쪼록 다시 잘 작동하길 비나이다 OTL

  • @1228yea
    @1228yea Жыл бұрын

    허블은 황희 당하는군요

  • @interstellar125
    @interstellar125 Жыл бұрын

    그 무렵엔 로봇이 가는 날이 될 듯.

  • @haepark5434

    @haepark5434

    Жыл бұрын

    맞아 로봇 대빅!

  • @Orbit_Cadi
    @Orbit_Cadi Жыл бұрын

    너무 저온이라서 문제가 생긴건가 ㄷㄷ

  • @flyhack
    @flyhack Жыл бұрын

    허블 : 주..죽여줘

  •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Жыл бұрын

    허블 : 제발 죽여줘...

  • @gigofhdhdhdbd
    @gigofhdhdhdbd Жыл бұрын

    관측 전까지는 고장이 안 나는 줄 알았네

  • @markuslee5570
    @markuslee5570 Жыл бұрын

    후반에 스페이스X 얘기 나와서 급 떠오른 생각인데........... L2 궤도까지 사람이 갈순 없지만 테슬라에서 개발중인 로봇은 몇년뒤 보낼수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이ㄷㄷㄷ 테슬라 로봇은 기본적으로 범용 로봇이라 관절도 유연하고 배터리도 하루정도 간다하니... 배터리팩 며칠치 챙겨다 보내면 지구에서 통신해 가면서 연장들고 고치게 시킬수 있지 않을까 하는 SF 스러운 상상을 해봅니다. 우주가 기본적으로 초저온이라 일반 리튬배터리는 안될거고, 저온에서 작동하는 배터리가 따로 있어서 그걸로 챙겨가면 될것 같은데... 화성 탐사로봇처럼 핵 에너지로 굴러가게 한다던지... 근데 우주에 열전달 매질이 희박해서 의외로 리튬배터리도 잘 작동할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거기까지 가는건 스페이스X 로켓을 타고 가겠고......... 와 이렇게 생각하니 일론머스크가 참 대단하긴 하네요;;

  • @cintamanipark4274
    @cintamanipark4274 Жыл бұрын

    애고 허리 디스크 ㅜㅜ

  • @user-py4lf6gd5d
    @user-py4lf6gd5d Жыл бұрын

    아, 그러니까 안쪽에 WD-40 좀 많이 뿌려서 보내라니까 그거 몇 천원 아끼려고 미리에 문제를 준거 아녀

  • @seo3146

    @seo314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user-jg9dg1wt6i
    @user-jg9dg1wt6i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였으면 하청에 하청에 하청 줘서 고쳤을텐데......

  • @ttg889
    @ttg889 Жыл бұрын

    뭐 이제 뭔 문제만 있으면 양자역학이래 ㅋㅋㅋㅋ 참 쉽죠잉?

  • @user-mf7zi2tt5p
    @user-mf7zi2tt5p Жыл бұрын

    와 쉬헐

  • @orientalspecialist9279
    @orientalspecialist9279 Жыл бұрын

    내용과 제목이 이렇게 안맞으면 채널 오래 못가요

  • @sirius6109
    @sirius6109 Жыл бұрын

    은하철도 999를 띄워서 제임스 웹 망원경까지 탑승해서 간다면 수리 가능!

  • @user-qp4xh2ql1p
    @user-qp4xh2ql1p Жыл бұрын

    아니...매불쇼에 나왔길레 구독자 50만은 될줄알았는데...겨우 7만이라니..ㅜㅜ ...에라이 구독과 좋아요나 드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