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많은 증거가 있어도 인류가 아틀란티스를 못 찾는 소름돋는 이유 ㄷㄷ

Ойын-сауық

오늘은 강인욱 고고학자님과 풀리지 않은 고고학계의 미스터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36 고고학이란?
01:46 전설 속 대륙 아틀란티스
04:31 아틀란티스는 초원에 있었다?
09:21 찬란한 문명을 찾는 이유
12:36 실제 고고학자들이 하는 연구
BODA 보다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요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1XKVXfBrALz1GHEH8
BODA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구독하러 가기
naver.me/xjJpqarN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보다#BODA#아틀란티스#고고학

Пікірлер: 716

  • @boda100
    @boda1009 ай бұрын

    보기 쉬운 글로 영상 내용 복습하기 naver.me/xjJpqarN

  • @jyj-pj1pc
    @jyj-pj1pc10 ай бұрын

    롯데월드에 있잖아요...

  • @user-yj3oq9qn5u

    @user-yj3oq9qn5u

    10 ай бұрын

    개씹노잼 진짜

  • @LEGkin9

    @LEGkin9

    10 ай бұрын

    야생마 기상 두시간 전

  • @Boradollee

    @Boradollee

    10 ай бұрын

    등잔밑이 어둡다ㅋㅋ

  • @user-gh8hd2nw9q

    @user-gh8hd2nw9q

    10 ай бұрын

    당신... 완전 똑똑한데

  • @user-sp1wq7oj6i

    @user-sp1wq7oj6i

    10 ай бұрын

    그러게 .. 애엎고 애 찾은거지...

  • @ingYung
    @ingYung10 ай бұрын

    참 아이러니한 게 누구보다 과거의 인류가 어떻게 살았는지 알고 싶은 사람들인데 보존하기 위해서 그 실체를 못 보는 게 고고학자인 것 같아요.

  • @-law9000
    @-law900010 ай бұрын

    보다 좋은점이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들었을만한 이야기를 끄집어 내서 해주는게 너무 좋음 ㅎㅎㅎ

  • @todaymusthappy
    @todaymusthappy9 ай бұрын

    내셔널트레저처럼 진짜 엄청난 보물이 발견 된 경우도 있나요 교수님? 궁금해요!

  • @sammulggot
    @sammulggot9 ай бұрын

    고등학생 때 고고학자가 되는게 꿈이였어요...마야 아즈텍 문화 같은 내용에 너무 흥미를 느꼈었는데, 결국 꿈을 이루지 못하고 평범한 직장인이 되었습니다. 너무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역사, 고고학, 인문학 등이 더 활성화 되기를 정말 기도합니다.

  • @mathamour

    @mathamour

    9 ай бұрын

    아틸란티스 발견 못한 진짜 이유는? 지구과학 시간에 배웠죠? 먼 옛날 지구는 단 1개의 대륙이었는데, 갈려 나왔고, 그게 아메리카와 유라시아 아프리카 대륙이라고. 아메리카와 유럽 사이에 큰 대륙이 있으면, 현재의 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럽 대륙 해안선 모양이 될 수 없습니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유럽 해안선을 맞춰보면 딱 맞는데, 그 사이에 아틸란티스 대륙이 있으면 그런 모양이 될 수 없죠

  • @yunmun9446

    @yunmun9446

    9 ай бұрын

    여기서 말하는거 모두 구라니까 믿지 마세요. 지구인 고고학자라는 사기꾼들이 한말을 앵무새모냥 떠드는것 뿐입나다. 스스로 외계인 싸이트 찿아가서 공부해보세요. 영어를 제대로 할줄알면 큰문제 없습니다.

  • @cj-nf8ts

    @cj-nf8ts

    3 ай бұрын

    헉 나같은사람있구나 바빌론,공중정원,아즈텍,아틀란티스 이런거에 환장했던 전 고딩 현 직딩러..😅

  • @asusrogz

    @asusrogz

    2 ай бұрын

    하셨으면 빚만 생기고 나락가셨을듯

  • @user-qk6bm2zz3e

    @user-qk6bm2zz3e

    2 ай бұрын

    태양소년 에스테반, 인디아나존스 보며 꿈을키웠죠

  • @Led-7942
    @Led-794210 ай бұрын

    수메르 신화 관련한 주제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 @user-gm2wk4qs9e
    @user-gm2wk4qs9e10 ай бұрын

    고대유물-고고학적유물-이나 유적지를 보면 거의 본능적으로 금전적가치를 생각한 듯합니다. 좋은 깨우침이었어요. 그리고 가능한 최소한만 발굴해야한다는 것도...새롭게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속물적인 생각들이 좀 없어지나 했는데...

  • @mathamour

    @mathamour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는 작은 섬이고, 큰 대륙일 수가 없습니다. 왜냐?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아프리카 대륙 해안선이 따악 일치하죠? 원래 하나의 거대한 이었는데 분리된 거구요. 그 사이에 초거대 아틀린티스가 끼어 있으면 해안선이 일치할 리가 없죠. 그런데 왜 아틸란티스를 자꾸 외칠까요? 그건 아틸란티스 찾는다고 떠들어야 지.... 아무 것도 안 찾을 거임~ 이러면 방송사와 과학자가 관심을 못 받으니까 뭐라도 하는 척 해야....ㅋㅋㅋㅋㅋㅋㅋ

  • @user-os4kv8he8d
    @user-os4kv8he8d10 ай бұрын

    인간이 남긴 유적은 다 똑같고 똑같이 보물이다...명언이네요 듣는데 약간 찡했습니다.....

  • @johnmartin9731
    @johnmartin973110 ай бұрын

    차분하게 말씀하셔서 집중이 잘되요 ㅋㅋㅋ 보다안에서 또 새로운 분야가 추가되서 좋네요

  • @lockybean
    @lockybean3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 @MaxKim0314
    @MaxKim03142 ай бұрын

    썸네일이 왠지 익숙하다했는데 역시 마인크래프트 건축이네요. Hyperscale이라는 분이 2015년에 만든 아틀란티스라는 작품입니다.

  • @sady942

    @sady942

    2 ай бұрын

    저게 마크였군여 ㄷㄷ

  • @LikeItJayCEE
    @LikeItJayCEE9 ай бұрын

    재밌고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역사라는건 기록이 있어도 무언가 하나에 따라 새로이 바뀔 수 있는 정확치 않은, 증거 아닌 증거 통계 아닌 통계이며 평생 100% 확정짓지 못할 정말 흥미로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밝히고 싶은게 뭐가 있을까" 라는 부분에서 생각이 문득 들었는데, 학교시절에도 많이 못 얻었던 지식인 가야나 발해에 대한 의견이 정말 궁금합니다. 혹여라도 이렇게 쓴 댓글을 읽어주시고 참고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hyejinpark8378
    @hyejinpark837810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봤어요!! 비인기과일텐데 계속 학생들이 들어와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고학자들이 많이 양성되었음 좋겠어요~~

  • @user-kl3op7cf5b

    @user-kl3op7cf5b

    9 ай бұрын

    굶어 죽기 딱 좋음.

  • @D.H_J

    @D.H_J

    9 ай бұрын

    님이 그걸 좋겠다고 말하는 것은 그 학생들이 굶어죽길 바란다는 것이고 굶어죽는 일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말임. 제발 님이 좋겠다고 말하기 전에 생각 좀 하고 살길 바람.

  • @Iminlove579

    @Iminlove579

    9 ай бұрын

    소수는 먹고산다.

  • @dlrkr2004

    @dlrkr2004

    9 ай бұрын

    @@D.H_J 비약해서 인과관계 다 생각하고 말해야하면 이런 대댓도 쓰면 안 되지. 인 대댓 보고 안 좋은 생각 가지고 자살하면 어쩔라고 이런 글을 씀 ㅋㅋ

  • @D.H_J

    @D.H_J

    9 ай бұрын

    @@dlrkr2004 대체로 저런 무책임한 말을 자주 하는 사람들은 누군가가 자신 때문에 죽더라도 머릿속이 꽃밭이기 때문에 자신 때문인지도 모르거나 느껴지는게 있더라도 자신 때문이 아니며 남탓을 할까임. 그러지 않는 사람을 못봤음. 개인적인 경험으로나 일어나는 사례로나.

  • @amos954
    @amos95410 ай бұрын

    고대 이집트 기록에도 아틀란티스와 교역한 것도 있습니다.

  • @user-bw2xp6cj7c
    @user-bw2xp6cj7c9 ай бұрын

    먼가 오늘은 인강듣는 느낌이라 잠이오는.. 유익(?)한 시간이엇습니다

  • @Bamtoltoritolx100
    @Bamtoltoritolx1009 ай бұрын

    교수님진짜 십년전에 강의들을때랑 변한게없으시네요ㄷㄷ 동안 미쳐따

  • @dongugkim6969

    @dongugkim6969

    3 ай бұрын

    여......여기 대학원생 추가요......!

  • @American-drone
    @American-drone10 ай бұрын

    강인욱 선생님 책에도 소개 되었는데 신타슈타 문화(기원전2천년대~1500년대 남러시아-카자흐스탄 초원일대)에 속한 아르카임 유적지가 플라톤이 묘사한 아틀란티스의 모습과 생김새는 닮았습니다. 이 사람들이 이란과 인도로 이주해 가서 나라를 세우고 석가모니도 그러한 유목민이 갠지스강에 세운 나라의 왕자입니다.

  • @ligmajohnson6082

    @ligmajohnson6082

    9 ай бұрын

    아르카임은 육지에 있고 아틀란티스는 해상왕국 이고 저는 사하라의 눈이 아닐까 합니다. 플라톤이 말하는 시대에 사하라의 눈 지역이 바다였다는 증거와 아틀란티스가 멸망한 시대에 사하라의 눈에 거대 쓰나미 흔적도 발견되었고 플라톤의 저서랑 주변환경이 똑같고 책에 묘사된것과 같은 적색 흑색의 바위들이 있고 동심원 구조도 똑같음 그 위에 산맥이름이 아틀란산맥 그리고 사하라 일대를 일컫는 사헬은 아랍어에서 따온 말로 해안이라는 뜻

  • @yunguso

    @yunguso

    9 ай бұрын

    @@ligmajohnson6082 사하라의 눈은 그냥 지형이라구요. 거기 아무것도 없어요. 무슨 문명이 건물 하나 없이 폐허에요.

  • @Jbinzz

    @Jbinzz

    9 ай бұрын

    @@ligmajohnson6082이미 3-40년부터 지질학적으로 니보다 우월한 고고학자들이 가서 조사를 했거든 ? 죄다 도시가 존재할 리가 없는 황무지라고 발표했었다. 니 말마따나 아틀란티스가 사하라의 눈이였으면 유물이 보존되기 딱 좋은 습하고 마른 지역인데 왜 하나도 안 나올까 ? 제발 말도 안되는 소리 좀 집어쳐라

  • @rcn810

    @rcn810

    9 ай бұрын

    @@ligmajohnson6082 문제는 '사하라의 눈' 에서 나온 유물이 없다는거... 그곳에 어떤 문명이 존재 했었다면 크던작던 뭔가가 나와야 하는데 아예 흔적자체가 없다는거임.

  • @muryoim

    @muryoim

    9 ай бұрын

    @@rcn810 사하라의 눈 에서 나온 유물 엄청많음.. 문제는 아틀란티스와는 상관없는 석기시대 유물들 이라는것 ㅋㅋ

  • @user-gh5fu7qi2m
    @user-gh5fu7qi2m3 күн бұрын

    짧은 15분만에 고고학이 무엇인지 정리를 잘 해주셨네요. 잘봤습니다. 갑자기 십여년전 교양수업에서 4대 문명에 대해 배웠던 생각이 나네요ㅋㅋ 다큐보고 설명듣고 다큐보고 설명듣고. 수업에 대한 기억은 안나지만 어떠한 수업보다도 깊은 잔상은 남아있네요

  • @user-vu9qk1uz8w
    @user-vu9qk1uz8w10 ай бұрын

    하정우선생님 대단하세요

  • @tommywoo2578
    @tommywoo25789 ай бұрын

    고고학자...어렸을 적 꿈이었는데... 현실적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울 것 같다는 이미지때문에 접었었죠 ㅎㅎㅎ 명강의를 이렇게 공짜로 듣다니 너무 감사합니다

  • @user-qy7ro5rd1t

    @user-qy7ro5rd1t

    8 ай бұрын

    사실 고고학 전공이 취업은 세상에서 잴쉬움 다만 3d직종인데 공부까지 해야하는 일인데다가 월급도 타 업종에 비해 몹시 짜서 좀 별로임 그냥저냥 먹고살기에는 고고학 전공만한게 없어유

  • @user-nz7rm8iv7k

    @user-nz7rm8iv7k

    5 ай бұрын

    @@user-qy7ro5rd1t 설명만 보면 ’먹고자고 생존은 할 수 있게는 해줄게‘로 들려요ㅋㅋㅋㅋ 저도 어릴 때 가장 관심을 갖던 분야인데 직업 찾아보면 맨날 가난하다는 말을 봤던 기억이 나네요ㅎㅎ

  • @user-qy7ro5rd1t

    @user-qy7ro5rd1t

    5 ай бұрын

    @@user-nz7rm8iv7k 일의 강도에 비해 돈이 많이 짜긴해요 예전에 세종시 개발하고 4대강 하던 시절에는 성과금 엄청나게 줬다고도 하는데 지금은 시장 자체가 레드오션이에요. 아마 다들 힘들어 죽을거임

  • @Hongfficial
    @Hongfficial10 ай бұрын

    역시 전문가들의 말은 참 듣기가 편안한 것 같아요. '지식'의 수준을 벗어나버리니까 어떤 말씀을 하시더라도 귀에 잘 들어와요:)

  • @dlrkr2004

    @dlrkr2004

    9 ай бұрын

    지식의 수준을 벗어난다는게 초월적인 무엇이라도 된다는 건가요 ㄷ

  • @user-ju5dy7zl2b

    @user-ju5dy7zl2b

    9 ай бұрын

    ​@@dlrkr2004헉!!!!! 그냥 오바 싸는거죠

  • @yslee7692

    @yslee7692

    9 ай бұрын

    지식이 상식처럼 쉽게 들리게 이해되게 말씀하신다는 얘기죠;

  • @je524

    @je524

    20 күн бұрын

    ​@@yslee7692ㅃ7

  • @ladiesman77
    @ladiesman779 ай бұрын

    입질의추억님 고고학까지 섭렵 ㄷ ㄷ

  • @seyeonpark9773
    @seyeonpark97732 ай бұрын

    차이나는클라스에서 교수님이 초원지역의 사람들, 유라시아에 대해 얘기하셨던걸 본적 있는데, 그 사람들과 지금 영상속 전차를 끌었던 태양의 후예를 자처하는 사람들이 같은 지역의 다른시간속 사람들이었을까요? 영상을 보다 어 설마!! 하고 글남겨봅니다ㅎㅎ교수님 이야기가 참 재밌습니다

  • @srhmzr8607
    @srhmzr86075 ай бұрын

    차분하고 깔끔하게 말 엄청 잘 하신다ㄷ

  • @user-qc1et1nd7p
    @user-qc1et1nd7p10 ай бұрын

    역사와 과학은 오늘까지만 진실이고 내일은 수정될 수있다고 생각해야한다

  • @ckp1573

    @ckp1573

    10 ай бұрын

    멋진 말이네요

  • @user-qe2rq8qc1k
    @user-qe2rq8qc1k10 ай бұрын

    고고학자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고대의 아포칼립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너무 궁금해요!!!!!!!

  • @JamesHong2357
    @JamesHong235710 ай бұрын

    우와 15분간 빠져들었어

  • @after718
    @after71810 ай бұрын

    지역과 시대를 거치며 기술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해양국가였던 그리스에서 자란 플라톤으로선 전설속의 해양왕국을 그 문명의 기원으로 그렸을 가능성도 없진 않겠군요 당시로선 이집트와 지중해 너머의 나라는 마치 다른 우주의 행성처럼 상상으로만 그려지는 땅였을테니

  • @JB-rc9gj
    @JB-rc9gj9 ай бұрын

    김상중씨 설명 잘들었슴다

  • @hyungn7275
    @hyungn72759 ай бұрын

    교수님 진지하게 강원도 레고랜드에 파묻혀버린 중도유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user-gk7mu7dq6t
    @user-gk7mu7dq6t9 ай бұрын

    잉카.마야.이집트 문명에 대해서도 알려주세묘

  • @frankham8038
    @frankham803810 ай бұрын

    기억의 중첩이라는게 흥미롭네요. 그렇다면 그렇게 강력한 전차부대를 가진 아틀란티스가 바다에 있다는건 아마 기원전 13세기경에 침략해서 지중해 일대를 초토화시켰던 바다민족들의 기억이 다른 강력했던 국가와 중첩된 것일수도 있겠네요.

  • @user-vi9wd5nc7q

    @user-vi9wd5nc7q

    9 ай бұрын

    왜 유대인의 역사책이 세계의 역사의 정설이 되었는가

  • @user-vq1yz4bi1t

    @user-vq1yz4bi1t

    4 ай бұрын

    ​@@user-vi9wd5nc7q인류의 문명이 거서 시작됐으니까

  • @landmark254
    @landmark2549 ай бұрын

    9:30 편집자님 '그 게임' 아시는군요.

  • @user-fe9wm4si8o
    @user-fe9wm4si8o9 ай бұрын

    헐 아틀란티스 어쩌고가 여기저기 있군요. 사하라지역에 있을거다라는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사실 매년나오는 일인줄은 몰랐어요ㅋㅋ 조횟수1에 기여하고 있었네요

  • @sinju628
    @sinju62810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 일 수도 있는... 이라고 쓰면 조회수가 올라간다는 교수님의 말씀을 반영한 썸네일.

  • @user-uk1pb2wq1g
    @user-uk1pb2wq1g9 ай бұрын

    9:27 어 이거 대항해시대 온라인 스크린샷이네요

  • @user-pu5om6xr3z
    @user-pu5om6xr3z2 ай бұрын

    뜬금없이 죄송한데요 플라톤이 저술한책을 사고 싶은데.. 추천좀 부탁 드립니다~~

  • @sang-joonlee7594
    @sang-joonlee75942 ай бұрын

    80년대 학번으로서 논문하나 찾기도 힘들었던 시절 공부하던 세대였는데 이런 엄청난 양질의 강의를 이렇게 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해주신 강인욱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os9te8gt4g
    @user-os9te8gt4g10 ай бұрын

    트로이 목마도 근대까지 허구였다가 실제가 되었음.. 없다고 발견이 안된다고 허구라고 이야기할수는 없음.

  • @user-pw1hg3yj6c
    @user-pw1hg3yj6c10 ай бұрын

    뭔가 댓글들은 여전히 "그래서 아틀란티스 어딨는데?"라고 하는것 같네 ㅋㅋㅋㅋㅋㅋ

  • @chlee8261

    @chlee8261

    10 ай бұрын

    이제 영상 난독도 많아지고 있음...

  • @user-fb9gz4sj3m
    @user-fb9gz4sj3m10 ай бұрын

    문과 종결자 고고학... 이과중에 이론물리학이 있다면 문과중에는 고고학이 있는듯...

  • @ii_0413
    @ii_04139 ай бұрын

    댓글들 보니까 저도 어렸을때부터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초3때 고고학자가 되고 싶다고 했는데 담임이 넌 공부도 못 하면서 무슨 고고학자냐고 말했던 기억이 나네요

  • @user-gd9oh2xe1h
    @user-gd9oh2xe1h10 ай бұрын

    트로이의 그것도 한때 신화였었는데 그리고 초고대 문명으로 의심되는 것들이 많이 나오고 있으니까 그 어떤것도 알 수는 없는거겠다.

  • @user-bg5cf1tz9j
    @user-bg5cf1tz9j10 ай бұрын

    모험과 신비가 가득한 나라 우리가 꿈꾸는그곳~~

  • @user-vx1dn8ks5j

    @user-vx1dn8ks5j

    10 ай бұрын

    롯데월드?

  • @Hamzeeeeee7

    @Hamzeeeeee7

    10 ай бұрын

    ? 소련?

  • @doodaebal

    @doodaebal

    10 ай бұрын

    북한

  • @rennykim8045
    @rennykim804510 ай бұрын

    한반도 서해에 있던 거대 문명 (황화문명은 상류지점) 한강 양쯔 황화강 만나는 거대강이 있던곳에 있던 문명 참고로 특별할것도 없는 강화도에 왜 참성단이 있을까? 서해를 보는 가장 높은 산이었기 때문에라고 추측할수 있겟져

  • @user-jg4wg3ty5r
    @user-jg4wg3ty5r10 ай бұрын

    언젠간 고고학자에게 나지도 공원이 최고의 발굴지가 될 수도 있겠죠

  • @user-fx8yd3nd9j
    @user-fx8yd3nd9j10 ай бұрын

    유토피아가 우화 속 가상의 나라이듯이 플라톤이 아틀란티스라는 우화속 가상의 나라에 대해서 이야기 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user-qf6te4yj2o

    @user-qf6te4yj2o

    10 ай бұрын

    그래서 소크라테스 라는 사람도 어쩌면 가상의 인물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러운 생각...

  • @gypgoodandtruth6783

    @gypgoodandtruth6783

    9 ай бұрын

    플라톤은 소설이나 꾸민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분명 전해 내려오는 구전된 이야기를 집필 했겠지요. 하지만 당시 그리스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집필한 것은 맞다고 봅니다.

  • @user-fx8yd3nd9j

    @user-fx8yd3nd9j

    9 ай бұрын

    @@gypgoodandtruth6783 플라톤은 그 당시의 그리스의 초보적인 형태의 직접 민주주의에 반대하면서 철인이 국가를 다스려야한다는 주장을 하였는데, 플라톤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통치체제를 주장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야말로 이상일뿐이지요. 현실과는 전혀 다릅니다. 스탈린, 히틀러, 모택동이 그런 철인을 흉내낸것이고요. 아틀란티스가 엄청나게 발달하고 앞선 국가였지만 이런 저런 문제들 때문에 그 모든 것이 빠그라졌다라는 식의 이야기 전개도 플라톤의 이상주의적 틀 안에서 플라톤의 입장을 대변하는 이야기라고 봐야할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우화속 가상의 나라라고 가정을 해본 것입니다.

  • @thobecthistar3222
    @thobecthistar322210 ай бұрын

    난 첨에 인상이 좋고 목소리까지 좋아 저 배우 이름이 뭐지 했네.... ㅋㅋ

  • @user-ml3fd9bx7i
    @user-ml3fd9bx7iАй бұрын

    사하라 사막 모리타니에 있는 지형이 플라톤이 적어 놓은 아틀란티스랑 비슷하던데

  • @user-os7cz6kb1j
    @user-os7cz6kb1j10 ай бұрын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에 디테일하게 있습니다

  • @anarchist4672
    @anarchist467210 ай бұрын

    과거가 좋았다면 인류가 발전할 이유가 없지요,... 과거가 좋지 않아서 더 좋은 미래를 위하여 현재와 미래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지요. 그래도 과거를 알아야 어떻게 현재로 발전하였는지를 알수가 있는 것이고, 과거와 현재를 반영하여 잘한 것은 발전시키고 잘못된 과거는 반성하고 잘못된 것을 바로 잡아야 미래를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지요. 잘못된 과거라고 묻고, 숨길게 아니라 파내어 드러내고 잘못을 반성하고 바로 잡아야 미래가 발전하는 것이겠지요? 그래서 고고학이 중요한 것이고, 그러한 역할을 하는게 고고학이 아닌가 싶네요.

  • @user-dn8nx3je4k
    @user-dn8nx3je4k9 ай бұрын

    모든 학문이 다 중요 해서 숨이 막힌다. ❤

  • @user-mu5wz3kd6j
    @user-mu5wz3kd6j10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랑 뮤대륙은 진짜 있었다면 기록이 없는 이유가 그당시 문자를 우리가 몰라서 그시대 문자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쳣거나 아님 기록햇엇는데 소실된건 아닐까

  • @user-yuriseo
    @user-yuriseo10 ай бұрын

    끌리는 썸네일.

  • @user-nl7xt3kr4z
    @user-nl7xt3kr4zАй бұрын

    😊교수님 숫사슴 해보세여 ㅎ.ㅎ

  • @jaymoondr
    @jaymoondr9 ай бұрын

    좋은내용이고 말씀 잘해주셨는데요 시베리아 가설은 기존의 다른 아틀란티스와 관련된 이론중에 가장 근거가 빈약해 보이네요...

  • @clip6234
    @clip62345 ай бұрын

    먼 옛날엔 기록보단 구전에 의한것들이 많은데 알다시피 사람들 입을 몇번만 거쳐도 전혀 다른 이야기가 탄생해버림.. 이 관점에서 과거에 대한 역사나 신화, 종교등을 이해하면 좀 더 열린 마음으로 접근할 수 있음. 안타까운건 아무런 기록이 없어서 가려진 역사가 많다는거

  • @user-mt3qb9pr1f
    @user-mt3qb9pr1f10 ай бұрын

    과거 잃어버린 문명을 찾는다는 서구의 개척동기와 아틀란티스에 대해 사람들이 흥미를 갖는 것은 맥락은 다르겠지만 영광을 고대하는 심리는 다른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 @Denise_Kim
    @Denise_Kim5 ай бұрын

    오와 내가 편견을 가지고 있었구나

  • @Tandurii
    @Tandurii9 ай бұрын

    공백의 100년… 발전된 과학.. 그걸 만들었던 사람들에 대한 관심.. 📚

  • @user-ig1xp8qf6o
    @user-ig1xp8qf6o10 ай бұрын

    제가 보긴 지브롤터 남쪽 댐처럼 막고 있던 지형이 무너지고 지중해에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들어차면서 흔적을 찾을 수 없을정도로 박살난거 같네요

  • @_seoa7710

    @_seoa7710

    10 ай бұрын

    그 해협이 만들어진 것이 4백만년전이라... 그게 문제입니다.

  • @weq3235

    @weq3235

    10 ай бұрын

    ​​@@_seoa7710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스세 때빙하기로 막혔던 걸프만에 아틀란티스가 있었던게 아닐까요? 간빙기가 되면서 없어진거죠 수심도 매우 낮다고 하던데

  • @user-io7rn2zt1t
    @user-io7rn2zt1t9 ай бұрын

    입질의 추억 센세....

  • @user-xz1my5nn9r
    @user-xz1my5nn9r10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는 너무 치트키다.. 누를 수 밖에 없는 주제..

  • @ANDROIDGAMES-nl7yo
    @ANDROIDGAMES-nl7yo10 ай бұрын

    목소리 톤 정말 잠오는스타일임

  • @asteroid.b3903
    @asteroid.b39039 ай бұрын

    이상은 현실로 구현되나 현실에서는 이상을 쫒는..

  • @shot3345
    @shot334510 ай бұрын

    역사를 만든 사람들에대한 탐구!

  • @ligmajohnson6082
    @ligmajohnson60829 ай бұрын

    아르카임이 있던 시베리아 문명을 고대 그리스에서는 히페르 보레아라고 불렀습니다

  • @user-yq9rn4dy3h
    @user-yq9rn4dy3h10 ай бұрын

    첨에 목소리 에스오디인줄 ㄷㄷ

  • @user-le1dx1dc3z
    @user-le1dx1dc3z9 ай бұрын

    제꿈이에요 고고학자 일반직장인이되었지만 덕후로만족해요

  • @cultmania823
    @cultmania8239 ай бұрын

    우리가 신화나 전설로 알고있는 내용들이 오히려 진짜 역사라는 말이 있죠 전세계 공통되는 설화는 진짜 역사일 가능성이 있어요

  • @dayeonhuh9813
    @dayeonhuh98133 ай бұрын

    3~4만년 전의 문명이니 찾기 어려울 수 밖에...

  • @user-dh7gn6oq4r
    @user-dh7gn6oq4r9 ай бұрын

    인간은 자신의 믿음과 지식에 주변상황을 맞추어나갑니다 종교도 예전 설화나전설에 살을붙여 만들어진것일뿐 인간은 거기에 맞추려 비슷한걸 찾는다는게 맞다고봅니다

  • @user-ty4we4mk6b
    @user-ty4we4mk6b9 ай бұрын

    14:12 유물의 발굴이 유적의 소멸이라는것이 참 안타깝습니다. 경주는 시 전체가 모조리 유적이라 유물때문에 고역을 치른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경주시의 개발과 서라벌~동경(옛날이름)시절들의 유적의 보존이라는 상충하는 두 가치중 어느쪽을 우선시 해야할런지... (아직도 경주는 땅을 파면 토기조각을 비롯한 유물들이 나오고, 어느 탑의 주춧돌이 어느집의 빨랫돌로 쓰이는등 '유물 인플레이션'이 심하다.)

  • @user-mp4re1bx3g
    @user-mp4re1bx3g10 ай бұрын

    11000년 대홍수 일어났다는게 세계 어디에서도 나타나는 기록이라는데. 아틀란티스 말고도 고도로 발달한 문명들 많이 없어졌을 듯

  • @mnklkl

    @mnklkl

    10 ай бұрын

    그 시기 캐나다 그린란드 부근 해양에 운석충돌로 인한 거대 해일과 영향이 영거드라이아스기 대멸종 불러오고 현재 해수면 아래에 살던 고대인들의 문명이 그 영향으로 파괴되고 터전을 잃었을거라는 설이 있죠. 그 경험이 인류에게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대홍수 신화로 남았다는 설.

  • @goddamn2885

    @goddamn2885

    10 ай бұрын

    대홍수는 걍 개구라임. 진지빨고 과학적으로 설명하자면, 전 세계 대륙에 동시에 홍수를 낼 정도의 물부터 찾아야 하고, 추가로 그 물이 지금은 어디에 있는지도 증명해야 함. 현재가 그나마 지구온난화와 환경파괴 때문에 해수면 상승하고, 태풍이 더 강하고 자주 발생하고 있다는데, 지금의 자연상태로도 고대문명들을 지워버리기에는 택도 없음.

  • @yunmun9446

    @yunmun9446

    10 ай бұрын

    지구엔 약 5억만년전부터 생명체가 살기 시작하여 번성하다가 그 갱명체의 주파수가 더이상 지구의 주파수와 맞지 않으면 걸맞는 다른 행성으러 이전되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인류도 수많은 인류가 지구에서 살고 번성하다가 다른 행성으로 이주를 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지구인들은 만여년전에 은하계의 여러 별에서 온 사람들의 후손이구요. 하늘에서 3000천명을 데리고 지구에 왔다는 우리조상 환인/환웅이 웅녀와 결혼을 해서 한민족이 태오났다는게 그냥 전설이 아닙니다. 아틀랜티언들도 마찬가지로 3만년전에 지구로 와서 뮤와 그외 다른 민족들과 함께 잘 살던곳 이었는데... 12000년전에 거대한 태양풍이 불었는데 그열로 인해 바닷물이 급증발되어 하늘이 구름으로 젼해 덮혀있다가 온도가 냉각됨과 동시에 삽시간에 비로 변해 전지구에 대홍수가 일어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수천억개의 우주행성중 지구처럼 바다가 많은 행성은 4천개정도 밖에 안된다고 하니 대홍수란 이벤트도 지구에서나 일어날수있는 희귀한 광경이라 하겠습니다. 그당시 이미 태평양 바닷속에 거대한 수중도시가 있었고 (구굴어쓰에 보면 다 나옵니다. 자대고 쭉쭉 줄을 그려놀은것 같은 수많은 지하터널들과 건물들을 볼수 있습니다고. 참고: 유툽 "앤쏠스 오브 앤 에일리언 후럼 안드로메다" 비데오 161번. 안드로메다에서 온 한 외계인의 답변들. 영어가 되는분들은 영문으로 검색해서 읽어보세요. ) 원조 아틀랜티언들은 홍수가 나기전에 그들 비행선타고 그들이 온 고향외계행성으로 뻐져 나걌지만 지구혼혈아들은 주파수가 낮아 그행성과 맞지 않으므로 갈수 없었고 대신 태평양 수중도시로 피신해서 아직도 살고있다고 합니다. 지금 그들의 문명은 어마무시하지만 그들은 지구인입니다. 남극엔 외계인기지가 있습니다.

  • @dbstjde3638

    @dbstjde3638

    10 ай бұрын

    그 시기에 영거 드라이어스기가 끝나며 전세계에 국지적 홍수가 발생했던건 사실이지만 빙하기에서 이제 막 끝난 시점이라 고도의 문명은 존재하지 않았음. 이제 막 수렵 체집에서 야생 곡식을 주로 섭취하기 시작하던 시기였고 그 시절의 유산은 사라지지 않고 인류가 농경을 시작하는데 영향을 주었음. 나투프 문화라고 검색해봐

  • @AppleFlavor_

    @AppleFlavor_

    10 ай бұрын

    ​@@goddamn2885대홍수 대홍수 하는 것도 쓰나미를 크게 부풀려서 이야기 하는 거 일 듯 바다에 운석 떨어졌거나 해저 화산 폭발로 쓰나미가 생긴거고 해안가 근처 도시들이 싹 쓸려 갔고 내륙에 사는 애들이 그 곳을 찾았을 땐 도시가 물에 잠겨 있으니 대홍수 이러면서 구전에 구전에 구전하면 부풀려 졌을 것 같음

  • @ramhonjeong-uchoe1858
    @ramhonjeong-uchoe18584 ай бұрын

    2:32 교수님, 착각하셨나 봅니다. 토마스 모어(Thomas More)를 "토마스 만(Thomas Mann)“이라고 잘못 말하시네요…

  • @user-vg6pk9fx4x
    @user-vg6pk9fx4x5 ай бұрын

    러시아 부랄산맥에 있긴하죠

  • @michaelfaraday5729
    @michaelfaraday57292 ай бұрын

    이번 문명이 지구의 첫번째 문명이 아닌것 같다는 의심은 듭니다. 빙하기 이전에 뭔가 문명이 있다가 멸망하고 다시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이번 문명도 3차 대전 일어나면 또 리셋되는 거죠.

  • @lotto8282
    @lotto828210 ай бұрын

    고구려수도 비정함 해보셔요?

  • @gcr5468
    @gcr54689 ай бұрын

    이 전설도 참 자극적이지만, 그래서 보아 노래도 미친듯이 자극적이게 들림ㅋㅋㅋ 노래 들을 때마다 판타지 세상에 빠진 기분들음

  • @chohwan_
    @chohwan_10 ай бұрын

    뭔가 롤의 슈리마같은 느낌의 국가였나보네요,,, 신기,,,

  • @bbaek2309
    @bbaek230910 ай бұрын

    10:47 라스베가스에 사는 대머리 아저씨가 머리가 빠진 이유

  • @user-kh1mo2ir6t
    @user-kh1mo2ir6t10 ай бұрын

    우리가 신화이고 허구라했던것들이 계속나오긴해서 그 기대감을 져버릴수 없다

  • @user-sc8wk2jc2q
    @user-sc8wk2jc2q10 ай бұрын

    저 먼 바다 끝엔 뭐가 있을까 다른 무언가 세상과는 먼 얘기 구름위로 올라가면 보일까

  • @inhamirage
    @inhamirage10 ай бұрын

    기묘한 밤 알림인줄

  • @user-rh7qt1fo9m
    @user-rh7qt1fo9m10 ай бұрын

    기마민족인 스키타이의 구이족을 아틸란티스 라고 말한걸수도있겠네요

  • @jinsikmoon125
    @jinsikmoon1259 ай бұрын

    페가수스 은하계로 떠난 고대인의 아틀란티스..스타게이트..

  • @user-dg5yk9rz5m
    @user-dg5yk9rz5m3 ай бұрын

    바다속 어딘가 수장되어 있을것 같음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앞바다만 들어가도 과거에 수장된 유물이 엄청남

  • @chel_vv
    @chel_vv9 ай бұрын

    내 모든걸 거기에 두고왔다! 대 유물시대ㅋㅋㅋ 복고마냥 어게인ㅋㅋㅋ 침수선 걷으러 가즈아아앗

  • @Kyary_Pamyu_Pamyu
    @Kyary_Pamyu_Pamyu10 ай бұрын

    플라톤은 같은 가문의 조상인 솔론에게 들었다고 했는데 자기 가문의 조상 이름을 팔면서까지 구라를 쳤을까.. 솔론과 플라톤의 시대차이는 150년.. 플라톤은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직접 이집트까지 찾아갔다고 했는데.. 플라톤은 허구를 창작해내는 행위 자체를 진실을 속이는 거짓이라고 비난하고 혐오했는데 본인이 허구를 창작했을수있을까..? 150년 전의 가문 조상의 이름을 팔았는데 없다고 하기보다는..음.. 트로이 유적도 발견되었으니 아틀란티스가 있을수도있고 아닐수도있고..

  • @anbayo1

    @anbayo1

    10 ай бұрын

    걍 여기저기서 들은게 섞여있겠죠. 그 옛날 이야기가 다 진짜일리가 없쟎아요

  • @hjh1868

    @hjh1868

    10 ай бұрын

    약간 이상한 점은 있어요. 그 당시 기원전인데도 지중해 일대의 국가들 이집트등등은 외과수술을 통해 머리 앞쪽 전두옆에 화살을 맞은 사람을 수술해서 살려내고, 전두옆을 다치니 원래의 모습과 다른 행동을 하더라라는 기록도 남겼다고 하네요. 그리고 기원전의 로마군인데요. 세균은 20세기가 거의 다되어서야 발견되었고, 항생제는 20세기에 발명되었는데요. 로마군은 한번 사용한 수술도구를 또 쓰지는 않았다네요. 이런 행동은 수술후 수술부위에 세균감염을 막기 위한 행동이죠. 그리고 수술후 수술부위에 세균감염을 막으려면 기본적으로 항생제를 먹어야 하는데요. 기원전에 항생제가 뭔지도 모를 시대인데요. 로마외과의는 환자에게 항생제효능이 약간은 있는 벌꿀을 먹였다네요

  • @lilili4438

    @lilili4438

    10 ай бұрын

    @@hjh1868세균 수술도구 항생제 벌꿀 같은 일화는 현대 과학 기술처럼 정확한 과학적인 원리를 밝혀내서 그렇게 행동했다기 보다는 오랜 경험들로 쌓인 빅데이터지 않을까 싶네요

  • @user-gd4sl7ez5s

    @user-gd4sl7ez5s

    10 ай бұрын

    로마시절이 이미 고도문명이 n년째 발생한 문명이지 않았을까 해요. 고댜문명들 대부분이 자연에 의해 멸망당한 경향..

  • @gypgoodandtruth6783

    @gypgoodandtruth6783

    10 ай бұрын

    분명 구전된 이야기를 모아서 집필 했을 듯.

  • @Yoyo-zp2fp
    @Yoyo-zp2fp8 ай бұрын

    고고학계의 이명학 ㄷㄷ

  • @user-fe2ok1wo2k
    @user-fe2ok1wo2k2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있을 듯 합니당ㅎㅎ 그 물속에 예수님 그것도 있자나용

  • @BabTaiGi
    @BabTaiGi9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가 없다니.... 내 환상이 깨졌어 어린애한테 산타는 없다고 말한것과 같다고할까나

  • @user-sg5jn6bb4h
    @user-sg5jn6bb4h9 ай бұрын

    고고학자들은 문명의 발전보다 현상유지를 더 가치있게 보는 사람들인가요?

  • @user-bh1vk8yo9t
    @user-bh1vk8yo9t2 ай бұрын

    레무리아 문명 두 찾아봐여 😢

  • @Hyuchan1002
    @Hyuchan10029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에 대한 가장 흥미로운 해석은 스타게이트 아틀란티스편 ㅋ

  • @dlrkr2004
    @dlrkr20049 ай бұрын

    음.. 유적을 지키는 것도 좋지만 우리나란 현장에 유적이 발견되면 그걸 개인 부담으로 발굴하게 시키고 발굴된 유물등은 다 국가 소유가 되어서 개인은 이득보는게 단 하나도 없이 손해만 있어서 패가망신 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음.. 그러니 유적이나 유물이 나와서 쉬쉬하고 묻으려하지. 그러니 유적은 무조건 지키고 발굴해야한다! 라는 건 우리나라에선 좀 회의적으로 볼 수 밖에 없음.

  • @user-qm3sz1xu3r
    @user-qm3sz1xu3r10 ай бұрын

    대지진이나 대홍수 지각격변 운석에의한 증발 그밖에 여러 이유로 문명이 사라지는 일이 많았을듯.

  • @erico593
    @erico5939 ай бұрын

    고대인 상상력 쩐다

  • @onyvafShin
    @onyvafShinАй бұрын

    와 이런 얘기를 진지하게 퍼트리네 ㅋㅋ 인간의 학문은 부질없어 특히 고대로 갈수록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