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BODA

보다 BODA

누구나, 쉽게, 재밌게 볼 수 있는 영상

출연 신청 구글 폼 : forms.gle/1XKVXfBrALz1GHEH8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2024. Awesome Entertainment All rights reserved.



유튜브 채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브랜드를 위해 BODA 팀이
유튜브 컨텐츠 제작대행 사업을 진행합니다:)

뉴미디어 콘텐츠 기획부터 효율적인 제작 운영까지 BODA 제작팀과 함께하세요.

광고 및 비즈니스 문의 : [email protected]

Пікірлер

  • @user-gw1sk6kn9m
    @user-gw1sk6kn9m2 минут бұрын

    수소와 탄소? 물은 수소와 산소 아닌가요

  • @user-jg9ur1os2c
    @user-jg9ur1os2c2 минут бұрын

    우주먼지님 착장이 갈수록 귀염뽀짝해지네ㅋㅋㅋㅋ

  • @user-sx6wx1cb6o
    @user-sx6wx1cb6o3 минут бұрын

    태양풍이 지자기 교란 이야기는 안했네요. 무슨 고에너지 입자가 전기 송전시스템을 망가트리는 식으로 말하시는지?

  • @KnightSchumacher
    @KnightSchumacher3 минут бұрын

    20:29 어?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인데? 뭐야. 평범한 헬반도 한국인 이야기잖아? 그래서 메뚜기처럼 한국인도 사나워지고 출산율도 나락간거야?

  • @user-dk9co6ez7w
    @user-dk9co6ez7w4 минут бұрын

    캐릭터 조합 역대급❤

  • @afistfulofdollars-ue8rq
    @afistfulofdollars-ue8rq5 минут бұрын

    처음 나오신 화학공학 권석준님 대단하십니다. 생물학분야도 지식이 깊으시고, 천문학쪽으로도 내공이 느껴집니다. 설명도 잘하시고 앞으로도 자주 나오셔서 종합적인 과학의 지식을 소개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harveyn6005
    @harveyn60055 минут бұрын

    지금까지도 꾸준히 재밌게 보고 있었는데 댓글을 많이 달지 못했었거든요. 매주 항상 재밌는 과학이야기를 들려주시는 생물학자 이대한 교수님,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님, 천문학자 지웅배님, 생물학과 김응빈 교수님 네 분과 그외 출연해주셨던 과학자분들,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 특히 오늘 화학공학자 권석준 교수님이 처음 나오셨는데, 정말 재밌네요! 이야기하시는 스타일도 독특하시면서 이야기 중 흥미로운 주제를 잘 꼽아서 재미있게 연관시켜 이야기 해주시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자주 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권석준 교수님으로 인해 오랜만에 이렇게 댓글 남겼지만, 역시나 과학을 보다의 기둥을 잡아주시는 기존의 과학자 네 분께 진심으로 다시 한번 감사드리구요, 무엇보다 저희가 이해하기 편하게 끔 이야기를 풀어주고 많은 질문해주시는 정영진 MC님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

  • @cdd4756
    @cdd47566 минут бұрын

    권석준 교수님 여태 나오신 다른 게스트? 교수님들에 비해 의욕이 좋으셔서 인상적인 듯 자주 나와 주세요~

  • @hyocklee
    @hyocklee7 минут бұрын

    권교수님 다른 것보다도 정말 달변이시네요 어떻게 처음 오셨는데 말씀을 저렇게 조리 있고 체계적으로 하시는지😮

  • @subpd09
    @subpd097 минут бұрын

    권교수님 짱이다!

  • @hyy4375
    @hyy43758 минут бұрын

    새로 오신 분의 내공과 지식이 굉장하다는 걸 많이 느끼는데, 처음 나오시는 거라 그런지 다른 분들과의 조화 부분에서 쬐끔 아쉽습니다. 그리고 제가 아무래도 문과다 보니 말씀하시는 내용이 좀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네요.

  • @nsdocqh1075
    @nsdocqh107511 минут бұрын

    재밌다. 유익하다. 흥미롭다. 보다채널 쵝오~

  • @babariana
    @babariana14 минут бұрын

    우주에는 공기가 없어서 불이 안 붙잖아요 그럼 태양 가까이 가면 공기하고 불이 없어도 고기를 구울수 있나요?

  • @ES-hg4wh
    @ES-hg4wh4 минут бұрын

    고기가 안구워진다고 생각하신다면 그럼 태양열이 지구까지 어떻게 도달하겠습니까?

  • @user-sz3ue3gy2x
    @user-sz3ue3gy2x15 минут бұрын

    권석준교수님은 진짜 분석가같으시네 대단하심 말실수도 없고 빠르고 자연스럽게

  • @user-jacky203
    @user-jacky20318 минут бұрын

    식탁보가 산만해 ㅜㅜ

  • @doom9344
    @doom934419 минут бұрын

    드디어 T 들만 모였다 ㅋㅋㅋㅋㅋ

  • @kwonhyukgoon
    @kwonhyukgoon22 минут бұрын

    노가드로 지식으로 서로 후려치는 분위기라 너무 좋습니다

  • @yamorange6379
    @yamorange637922 минут бұрын

    굉장한 꺾기❤❤❤

  • @user-tq8sw1se4l
    @user-tq8sw1se4l23 минут бұрын

    제2차 한국전쟁은 우크라이나처럼 일어나지 않고 반드시 핵전쟁이다. 핵방공호는 지금부터 당장 만들어야 하고 국방예산부터 줄여서 그쪽으로 나아가야한다. 외교부,국정원,통일부가 일을 잘하면 핵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경제협력과 통일상태를 향해 나아갈수 있겠지.어느쪽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가성비가 좋고 효율적일지 따져봐야한다.

  • @BlueButterfly33...
    @BlueButterfly33...26 минут бұрын

    39:41 ㅈㄴ웃기네 ㅋㅋㄹㅋㅋ영진아~~~

  • @krtmk7687
    @krtmk768728 минут бұрын

    인도인들이 해외토픽에 나오는 미개한 범죄를 저지르는게 인도에 가보면 알겠지만 사람들이 상위 몇 프로만 빼고 너무 개만도 못한 삶을 삼. 얘네 화장실 없는거 알지? 곳간에서 인심난다고.. 인도애들 지나가다 개가 막 짖기만 해도 돌멩이 던져서 죽여버림(실화) 본인이 개만도 못한 취급을 받으니까 자기보다 약하다고 생각하면 더 개만도 못한 취급을 하고 잔인한거임.

  • @iwj5275
    @iwj527529 минут бұрын

    정영진과 김범준 두분이 이 채널의 핵심임 개꿀잼

  • @Goodnight-88pkh
    @Goodnight-88pkh29 минут бұрын

    고통스러운 슬픔에 상처를 입고 마음이 혼란 스러울 때, 음악은 은빛 화음으로 빠르게 치유의 손길을 내민다. When you are hurt by painful sadness and your mind is confused, music quickly gives out a healing touch with silver chords. ★안녕하세요. Good night입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당

  • @yamorange6379
    @yamorange637929 минут бұрын

    넘 재밌어요^^❤❤❤❤❤

  • @BlueButterfly33...
    @BlueButterfly33...31 минут бұрын

    이렇게 비범하고 총기가 넘쳐나는 사람이 우리나라에 있다니 땅은 적어도 인재들은 참 많군요. 옛날 조선시대에도 저런 학자들이 있을 걸 생각하니 우리나라가 더 멋있어😢

  • @user-simpleblack
    @user-simpleblack32 минут бұрын

    다봤는데 제가 놓친건가요.. 결국바퀴벌레 달표면에서 살수있다는건가요?

  • @mattkang9134
    @mattkang913435 минут бұрын

    더빙끄는법은??

  • @user-oo9sc5ss9m
    @user-oo9sc5ss9m36 минут бұрын

    바이러스=반도체

  • @vefveflute8019
    @vefveflute801937 минут бұрын

    지구 위에 살고 있는 인간은 느끼지 못하지만, 지구는 우주에서 엄청 복잡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지구 자체가 도는데, 그것도 기울어서 돌고, 그 상태에서 태양을 공전하는데, 그 궤도가 원이 아니라는 것은 다 잘 알고 있을 것이고, 그 태양이 은하계 중심을 돌고, 돌고, 도는, 지금도 도는 아주 아주 복잡한 운동을 하고 있는 데, 아마도 그런 영향 중 몇 가지를 받아서 그런 이상한 현상이 생기는 것은 아닐까 추측해 봄. 알고 있는 움직임을 모델화해서 시뮬레이션해 보면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도 해 봅니다.

  • @Jeong-eun
    @Jeong-eun37 минут бұрын

    신라도 조선도 없었어

  • @Jeong-eun
    @Jeong-eun39 минут бұрын

    문서는 다 소설이야

  • @BlueButterfly33...
    @BlueButterfly33...45 минут бұрын

    저똑똑한푸우는뭐지 귀엽다

  • @fuga9
    @fuga947 минут бұрын

    소게[ 할때마다 겸손한 표현 이기는 하나.좀더 멋진 인칭은 없을까 라는 느낌을 갖는다 종교적 관점을 떠나서도 인간을 어찌 먼지라는 비유를 하는지 인간 비하의 묘사는 자신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아닌것이다. 이 우주에서 아니 은하계에서 인류말고 발견된 생명체가 있는가?이 우주는 지구 특히 인간에겐 없어선 안될 존재이며 주인이자. 생명 그 자체인 것이다 먼지가 발전하는 존재인가?먼지는 비하하는 말인것으로 인식되는것이다.지식인 다운 언사가 아닌 희극인에 가까운 언사다,

  • @BlueButterfly33...
    @BlueButterfly33...45 минут бұрын

    ㄷㄷ

  • @rainboweyes3458
    @rainboweyes345851 минут бұрын

    좋아요

  • @KuAhAk
    @KuAhAk51 минут бұрын

    권석준 교수님 어서오시고ㅎㅎㅎ 우리집에 오신 손님 느낌 ^^ 반도체 이야기 항상 잘 배우고 있습니다. 항상 탁월한 언어구사 능력 여전하시네요~

  • @user-zg3nz5ey2w
    @user-zg3nz5ey2w53 минут бұрын

    요즘은 22 21 12 7 15사단 순서로 바뀌었어요~

  • @user-vn9iq2gn6i
    @user-vn9iq2gn6i54 минут бұрын

    권석준 교수님 진짜 총기가 가득하네요

  • @BlueButterfly33...
    @BlueButterfly33...44 минут бұрын

    멋징멋짐

  • @user-gt5ru1kr1i
    @user-gt5ru1kr1i55 минут бұрын

    책설명중에 과학자님 질문 너무보기 좋았어요

  • @user-vf8fk6rg8d
    @user-vf8fk6rg8d55 минут бұрын

    권석준 교수님 설명을 너무 알기 쉽게 해주시네요🥹 화학 정말 싫어하던 분야였는데 오늘부터 좋아하게 될 것 같아요

  • @user-oh3lk6er2q
    @user-oh3lk6er2q55 минут бұрын

    참 재미있다. 수준 높은 과자들의 토론. 정말 좋습니다. 너무 짧다.

  • @user-ig2hy9pz1g
    @user-ig2hy9pz1g56 минут бұрын

    무생물이 생물보다 더 생존에 유리한데 왜 생물이 이렇게 많을까요

  • @ES-hg4wh
    @ES-hg4wh3 минут бұрын

    무생물이 왜 생존에 유리하죠? 이게 무슨 말인가요?

  • @BlueButterfly33...
    @BlueButterfly33...56 минут бұрын

    교수님 이제 웅배를 뒤이어 대한교수님을 귀엽게 바라보는 데 심쿵

  •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58 минут бұрын

    핵융합도 다뤄 주세요. 1억도를 갇워놓을 방법을 몰라서 핵융합 기술은 있지만 발전소를 못짓는걸로 아는데요. 현존하는 고온에 견디는 금속이 약3천도(전투기노즐) 정도라는데요 철은 1500도 정도고요. 그래서 어짜피 발전이라는게 수증기를 만들어서 터빈을 돌리는건 같잖아요 핵융합도 마찬가지로 핵융합 그릇에 계속해서 얼음을 부어주면 자연스럽게 수증기도 생기고 핵 그릇(토카막?)도 유지시킬수 있지 않을까요?

  • @daounjung4364
    @daounjung4364Сағат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돌이돌이 빵돌이 ㅎㅎㅎㅎ

  • @jongsunglee57
    @jongsunglee57Сағат бұрын

    스위스에 곤충보러가시는 당신 ㅎㅎㅎ 나는 신혼여행으로 갔는데 ㅎㅎ 부럽네요

  • @giant153
    @giant153Сағат бұрын

    주님 헛소리하고 있는 안경 아재도 구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