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이라 불리는 신장이 중요한 이유?! [생활 속 생물학]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생물학은 용어가 많아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래서 준비한 생활 속 생물학! 우리 몸 또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소재들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생물학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그 첫 번째 영상으로, 친숙한 우리 몸 속 장기 이름부터 시작해서, 신장의 구조와 기능까지! 영상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알아볼까요?
#신장 #장기 #건강 #혈액 #네프론
Thanks to
촬영: 김상우, 장수아
편집: 우주의저편
kimyesbio@gmail.com

Пікірлер: 29

  • @kimyesbio
    @kimyesbio28 күн бұрын

    간의 순우리말에 대해 귀한 의견들을 남겨주셔서 고맙다는 인사드리며, 이에 대한 관련 내용을 덧붙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폐', '허파', '심장' 등은 있지만, '애'는 없습니다. '애'와 관련해서 다룬 기사도 있습니다. ==== ‘애를 끓인다’거나 ‘애간장을 태운다’ 따위의 표현으로 많이 쓰는 ‘애’는 사람에게는 “창자”를 뜻하지만, 생선에서는 “간”을 의미한다. 엄민용. "사람들은 먹지만 사전엔 없는 ‘애탕’과 ‘고니’" 「경향신문」. 2021년 10월 18일. 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110180300035 ====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의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user-ep5ef9ku8s

    @user-ep5ef9ku8s

    28 күн бұрын

    얄팍한 소견 사과 드립니다.

  • @KareRice35

    @KareRice35

    23 күн бұрын

    국어사전 등재여부와 관계없이 민간에서 두루 사용되는 표현정도라고만 해주셨어도 다른의견은 안달렸을거 같습니다

  • @ansterydaiu70524
    @ansterydaiu7052428 күн бұрын

    혈액도 디테일하게 분류하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얘기를 들었어요.다음에는 혈액에 대해서도 다뤄주세요~~

  • @hee-jeankim3582
    @hee-jeankim358228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소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

  • @Kim_jeju
    @Kim_jeju28 күн бұрын

    진짜 재밋어서 3번씩 보고 있어요 !!🦠

  • @S.Wa.
    @S.Wa.27 күн бұрын

    오오 영상 진짜 재밌네요

  • @wachugoingon
    @wachugoingon28 күн бұрын

    부아가 폐인거 처음알았어요 세상에 ㅋㅋ 늘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itdfyotizgfixxit
    @itdfyotizgfixxit28 күн бұрын

    톤이 너무 좋으신데 진짜 뮤지컬 배우도 잘 어울리셨을 것 같아요 ㅎㅎ

  • @goldenbuglab
    @goldenbuglab28 күн бұрын

    콩팥에 돌 생겨서 엄청 고생했었는데..... 이 영상 보니 돌이 또 아플까봐 무섭네요. ^^; 오늘도 유익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 @Jeju2003
    @Jeju200328 күн бұрын

    부아가 폐였네요

  • @angkrtks763
    @angkrtks76328 күн бұрын

    실생활 유익한 정보 ᆢ 감사합니다 ㆍ 지력이 상승되네요 ~~^^ ㆍ다른 지인들께도 전파시켜봅니다ㆍ감사합니다

  • @j-nacho9614
    @j-nacho961428 күн бұрын

    부아(폐)가 치민다. 20대 후반에 사람 많은 버스나 엘리베이터 타면 폐병걸린 사람처럼 기침이 계속 나오면서 쌕쌕거리느라 결국 탈출하게 되었었는데 공황장애 였음. 감당못할 스트레스. 화(심장)가 끓어오르는거랑은 다르지만 심폐가 같이 과부화걸릴건 확실.

  •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28 күн бұрын

    염통이 생각념 ? 소금염? 무었이 정답일까?

  • @user-cc9pq2ng9n
    @user-cc9pq2ng9n28 күн бұрын

    1년에 23~24회 헌혈하는 저로서는 혈액이 일회용이 아니더라도 6개월이면 적혈구 이외의 모든 피를 교체한다 생각합니다.^^~ 생각해보니 만 16살 먹던해부터 만 48살 인 지금 1년 평균 8~9회 헌혈했다고 나오기는 하는군요.

  • @atomickezam

    @atomickezam

    28 күн бұрын

    어우 헌혈하면 수명 단축 당기는 일이라는데 1년에 그리 많이 그것도 16세 한창 성장해야 하는 성장기 때부터 지금까지 했으면 이미 조혈모 세포는 엄청 노화가 진행 됐겠네요

  • @user-cc9pq2ng9n

    @user-cc9pq2ng9n

    27 күн бұрын

    @@atomickezam 헌혈을 한다고 조혈모가 왜 노화 되나요? ㅋ

  • @atomickezam

    @atomickezam

    27 күн бұрын

    @@user-cc9pq2ng9n 그 만큼 일을 많이 했는데 노화가 안되는게 더 이상한거죠 ㅎ 우리몸 세포는 세포 분열할때마 텔로미어가 짧아 지기 때문에 노화가 진행 되는거랍니다 간단한 상식이니 검색이라도 해보시길

  • @atomickezam

    @atomickezam

    27 күн бұрын

    @@user-cc9pq2ng9n 간단한 상식이니 검색 이라도 해보시길 세포는 분열할 수록 텔로미어가 짧아 지기 때문에 노화가 진행 되는겁니다

  • @user-yn8ljinn
    @user-yn8ljinn26 күн бұрын

    간은 초법소년인지 초범인지를 사회에서 즐겁게! 살아가라하며 고치는 곳...콩팥은 악인지 선인지 선별하는곳!

  • @user-sq2qu2so7u
    @user-sq2qu2so7u28 күн бұрын

    곱창 이야기 하셔서 곱창 먹으러 갔다왔습니다!! 꿀맛!

  • @lastsailor
    @lastsailor28 күн бұрын

    간은 애라는 고유 어휘가 있어요. 애간장도 많이 쓰지만... 홍어애 들어보셔을 겁니다. 홍어애에서 애가 간이예요. ㅎㅎㅎ. 자주 안쓰이지만 남아있는 거죠. 창자는 밸, 배알이 있고요. 배알 꼴린다에 배알이 창자. 한자어 사용이 오래되다보니 고유어 사용빈도가 낮아져서 그래요.

  • @user-ex2sd1iv1h
    @user-ex2sd1iv1h25 күн бұрын

    헌혈 신장에 안 좋나요

  • @bacucol

    @bacucol

    24 күн бұрын

    신장이 안좋은분들은 다량-다회의 헌혈은 무리가 될 수 있는데, 1-2회의 간헐적 헌혈 자체가 신장을 나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ep5ef9ku8s
    @user-ep5ef9ku8s28 күн бұрын

    간은 다른말로 "애"라고 하는데, 간의 순우리말 아닌가요? 애를 태우다 "어디서 일성호가는 나의 애를 끊나니"

  • @Y_Kim5

    @Y_Kim5

    27 күн бұрын

    오래전에 나온 국어 사전에 '는 창자의 옛말'이라고 적어 뒀네요.

  • @ALETHES
    @ALETHES28 күн бұрын

    제작진 분들이 조사를 대충하셨나 간이 순 우리말이 왜 없어요 애간장타고 애 떨어질 때 애가 간인데

  • @Kim_jeju

    @Kim_jeju

    28 күн бұрын

    알지도 못하면서 나대지마라. 애가 간이면 애간장=간간장 이냐? 애는 초조한 마음을 뜻하는 말이다. 뭐 알지도 못하면서 제작진 비난하지마라 바보 ㅉ

  • @ALETHES

    @ALETHES

    28 күн бұрын

    @@Kim_jeju 응 멍청한 건 너야. 멍청한 거 뽐내느라 애쓰고 있네 참고로 애쓰다의 애도 아이가 아니라 肝이란다 ㅋ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