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채널e - 디지털에 최적화된 문자가 한글이라니

Ойын-сауық

한글이 ‘세계의 알파벳’이라 불리는 이유

Пікірлер: 154

  • @sandyour1442
    @sandyour144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 훈민정음에 적으셨죠 백성들이 한자를 모르니 백성들이 알기쉽게 한글을 만드셨다고 감사합니다

  • @dankim4433
    @dankim443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모바일에서도 qwerty 키보드를 많이 쓰는데, 타 언어랑 비교할 때 천지인 키보드로 비교하면 더욱 놀라움 고작 12개의 버튼으로 모든 발음표기를 완벽하게 다 해낼 수 있고, 입력방식도 직관적이고 체계적이라 속도도 빠름 세종대왕님 만세

  • @kimup1882
    @kimup1882 Жыл бұрын

    그렇네… 그 어려운 한자도 없고 . 영어를 먼저 공통어 였지만 대소문자가 또 따로 있어서 그렇기도 하고…. 한글은 정말 누구나쓸 수있게 만들었으니… 영어로도 표현 못하는 단어들도 많은데… 한글은 다 돼잖아.

  • @jae-koochang7420
    @jae-koochang7420 Жыл бұрын

    하하... 20년전... 중고등학생들... 교복 바지의 주머니 속에서... 문자 전송... 할 말을... 잊었습니다...

  • @soskfk-7492

    @soskfk-7492

    Жыл бұрын

    주머니속에 있는 핸폰에 손만 집어 넣어 한글을 써서 문자를 전송 했다고요? 이 땅에서 50년을 넘게 산 사람 에게도 놀라운 일 입니다.

  • @coyr7593

    @coyr7593

    9 ай бұрын

    스마트폰이 아닌 옛날 피쳐폰 시절에 터치방식이 아니라 물리 버튼으로 입력할때는 안보고 치는거 가능했어요. PC키보드 안보고 치는거랑 똑같아요.

  • @user-rt4tz5pt6w
    @user-rt4tz5pt6w Жыл бұрын

    20여년전쯤.. 한국이 세계를 제패할거라는 댓글이 기억난다 문화로 시작해서 언어를 거쳐... 점점 현실화 되어가고 있다

  • @hangeulrohagosipda-
    @hangeulrohagosipda-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 문해상은 듣기만 해도 자랑스럽군요.

  • @user-by7rc8ud4m
    @user-by7rc8ud4m Жыл бұрын

    본래 휴대폰이나 컴퓨터 자판은 영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같은 라틴 문자를 입력하는 데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라틴 문자처럼 여러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가를 만드는 한글은 라틴문자 자판과 거의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여 자판 입력이 쉽습니다. 하지만 중국어나 일본어는 한글이나 라틴 문자처럼 여러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가를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글자 하나 하나가 다 음가를 가지고 있어서 라틴 문자나 한글과 같은 방법으로는 입력하기 어렵습니다. 만약 컴퓨터나 휴대폰의 입력 방식이 서양에서 개발된 방식이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에서 개발된 방식이라면 마찬가지로 한글이나 라틴 문자를 입력하기가 꽤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 즉 컴퓨터나 휴대폰이 라틴 문자를 입력하기에 적합한 방식인데 한글의 경우 라틴 문자처럼 여러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가를 만드는 방식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중국어나 일본어에 비해 입력하기가 쉬운 것입니다.

  • @mschoi2383
    @mschoi238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세종대왕님께서 디지털시대가 오리라는 예측을 하셨는지 모르지만, 세계 언어학자들이 이구동성으로 한글을 칭송하는 것을 보았을 때 대한민국이 디지털시대를 앞서 가는 것에 한글이 큰 역할을 하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그러니 세계 언어학 분야에서 세종대왕상을 만들었을 테죠. 다른 건 몰라도 대한민국에 테어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한글'을 모국어로 사용하며 살아가는 일이 제 삶의 큰 행운이며 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user-ro8jr9tt5v
    @user-ro8jr9tt5v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안쓰고 있는 4자까지 다 쓰면 독특한 외국어 발음까지 전부 표기가 가능하다고 하던데 .. 우리말 표기는 지금 쓰던대로 24자 그대로 쓰더라도 외국어 발음 표기는 28자를 활용해서 좀 더 정확한 발음을 구사할 수 있게 연구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 @doha29

    @doha29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여린히읗이나 반치음같은거만 되살려도 엄청날텐데.. 아래아자는 아직은 제주도에 남아있고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Жыл бұрын

    정작 영어에서는 diacritic 쓰는것도 불편해서 프랑스어 같은 외국어 단어 가져올때 있는기호도 때버리는데(예시: café -> cafe) 외국어 표기한다는 이유만으로 글자를 추가하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5 күн бұрын

    훈민정음 옛글자 복원하면 외국어 전부는 아니고 상당수 표현할 수 있죠

  • @ssss-ou4bn
    @ssss-ou4bn9 ай бұрын

    세종대왕은 미래에서 온분이 아닐까...어떻게 이런 글자를 만드셨단말인가...?? ..너무도 혁신적인 문자다....아니면 신이 보낸 사자던지..!!!

  • @user-zv4zh2bb5g
    @user-zv4zh2bb5g Жыл бұрын

    천재적 발명. 한글. 외국어표기시에는 훈민정음의 모든 글자를 사용해서 제대로 표기해야 할것.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Жыл бұрын

    정작 영어도 외국어 표기할때 ö, ü, é, æ 같은 글자 안쓴다. 오히려 원래 있던기호도 걍 빼버리고 café -> cafe처럼 쓰는경우가 대부분이지. Türkiye나 résumé처럼 꼭 써야할때나 가끔 쓰는게 전부임. 이런데 옛한글을 도입한다고 그게 제대로 쓰일지 의믄

  • @idk._.666

    @idk._.666

    8 ай бұрын

    진짜 비슷한 발음 갖다붙이는걸 표기라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언어 상식이 없는 건지 모르겠으나 제발 여러 언어 좀 배운 뒤에 그런 주장했으면 좋겠다.

  • @izakhamiziudonga4283
    @izakhamiziudonga4283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쉽고, 한국말은 쉽다가 어렵다...ㅋ

  • @AF-qk8ty

    @AF-qk8ty

    Жыл бұрын

    알파벳도 쉽지 하지만 영단어가 많은거지 일본의 히라가나 카타가나도 쉽지 단지 한자를 외우기 어려운거지 러시아의 키릴 문자로 쉽지 단지 러시아 문법이 난이도가 높은거지 알파벳은 심지어 라틴어에서 와서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그리스어를 배우는 데 도움까지 됨 ㅎㄷㄷ

  • @user-klavier
    @user-klavier Жыл бұрын

    으어 국뽕이 차오른다 가자 ㅋㅋㅋ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5 күн бұрын

    국뽕(X) 애국심(O)

  • @jae-koochang7420
    @jae-koochang7420 Жыл бұрын

    한국... 대단합니다...

  • @SSaeTTongTV
    @SSaeTTong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ae-koochang7420
    @jae-koochang7420 Жыл бұрын

    하하... 과연... 그런데 왜... 목이 메이는지요...

  • @namheechoi5927
    @namheechoi5927 Жыл бұрын

    오져요 굥

  • @neys1209
    @neys1209 Жыл бұрын

    한국인으로서 한글이 자랑스럽고, 한글을 사랑하지만... 한글 폰트 만들어 보셨다면 디지털에 최적화되었다고 마냥 좋아하기는... 영어는 알파벳 26개만 그리면 되지만 한글은 최소 3000개의 조합은 그려놓아야 쓸만하므로

  • @tkandrea92

    @tkandrea9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한때는 '빨랫줄 글꼴'이라고 해서 초중종성을 따로 만들어서 배열하는 폰트들도 꽤 있었습니다. 하지만 네모형 글꼴이 아무래도 읽기가 더 편했던지 빨랫줄 글꼴들은 쓰이지 않게 되었네요.

  • @doha29

    @doha29

    Жыл бұрын

    와.. 폰트 만드는 거 생각하니까 엄청나네요... 완벽하게 모두 지원하려면 롂이나 뢗 같은 글자도 만들어야하니...

  • @edwardjeon3255

    @edwardjeon3255

    Жыл бұрын

    굳이 폰트까지 갈것도 없이 애초에 지금처럼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PC보급 초창기에 얼마나 많은 노력이 있었는가를 생각해보면.. 지금도 가끔 환경에 따라 한글이 깨져서 보이거나 하는 문제가 종종 있죠. 0과 1의 조합으로 구분하는게 디지털인데, 어떻게봐도 디지털에 최적화된 문자는 아닙니다. 사람에 최적화된 문자죠.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5 күн бұрын

    한글은 입력도 쉽고 가독성도 높아 여전히 디지털에 적합한 문자지만 개발자가 힘들죠. 한글 폰트 만들기 힘들다지만 요즘은 그것도 자동으로 생성해줘서 한자에 비하면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 @user-wg8vq6ui6i
    @user-wg8vq6ui6i Жыл бұрын

    역사에서 가장 필요한 때, 가장 위대한 인물이 등장하는 지금, 초인이 필요한 때

  • @a_quiet_rain
    @a_quiet_rain Жыл бұрын

    이러한 한글의 존재 자체는 그 자체로도 빛나지만 그 것으로 국민들의 마음에 형성된 '자부심'은 또 다른 형태로 미래에 실현되고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언어의 구조적인 차이로 부터 사고 방식까지도 달라 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구요.

  • @user-ji4bu1hd8t
    @user-ji4bu1hd8t Жыл бұрын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크 킹갓제너럴 세종대왕님

  • @Achitectsgroove-op6pw
    @Achitectsgroove-op6pw25 күн бұрын

    전세계의 모든 기차역이름을 한글스티커 만들어 그역으로 보내주세요~ "테르미니 센트럴 스테이션"

  • @danielyang4947
    @danielyang4947 Жыл бұрын

    28자 혼민정음이 일재시대때에 패쇄되었다. 그것이 일본인 학자로부터 이루어젔다. 그저 필요가 없어서가 아니라 쓸모없게 만든것이다. 필요없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 28자가 모든 언어들을 발음할수있는 문자인것을 우리는 알고있으나 다만 쓰지못하고있다. 쓸줄을 모른다. 눈물이난다. 나이가 들면서 지난 40년을 외국에살면서 쓰지않았던 한국어를 까먹고있었고 받침, 문자구성을 읻고 살았다. 부끄럽고 슬프다.

  • @soskfk-7492
    @soskfk-7492 Жыл бұрын

    한글! 세종대왕! 우리민족의 인류학적 우수성이 발현된 창제물!

  • @user-yd2nb3cy7q
    @user-yd2nb3cy7q5 ай бұрын

    아시아서 유럽처럼 유일한 알파벳 시스템이 한글 일본어의 경우 카키쿠케코 즉 1개 문자가 이미 ㅋ+ㅏ 로 알파벳 시스템이 아님 중국어? 말할 필요도 없음

  • @rzrmeka2477
    @rzrmeka24779 ай бұрын

    일본어 같은경우는 히라가나자판보다 로마자로쓰는게 그나마빠름.

  • @choikent1790
    @choikent1790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께 감사할 뿐.

  • @neohan1101
    @neohan11013 ай бұрын

    많은 댓글이 있는 게시물을 상위로 누출 되게하는 유튜브는 한글 컨텐츠를 상위로 노출 하게 되었고 그렇게 한류 문화가 전파 되었다.

  • @cahmkang9043
    @cahmkang9043 Жыл бұрын

    외계인들도 배우라고 만든 문자.ㅋㅋㅋ

  • @user-wz8kd6ih2k
    @user-wz8kd6ih2k4 ай бұрын

    세종대황 만세!! 한국어 세계공용어, 한글 세계 공용문자 가자!!

  • @perseus3362
    @perseus3362 Жыл бұрын

    무슨 뜻인지는 몰라도.. 한글을 하루만에 읽을수 있었다는 외국인

  • @AF-qk8ty

    @AF-qk8ty

    Жыл бұрын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스페인어, 인도네시아어 모두 하루면 읽을 수 있어. 러시아어조차도 키릴 문자만 외우면 읽을 수 있어. 그건 표음문자의 특징이지 한글의 우수성이 아니야 무식아

  • @AF-qk8ty

    @AF-qk8ty

    Жыл бұрын

    진짜 외국어 공부 단 1초도 안 해 본 티를 낼꺼야? ㅋㅋ 야 그리고 상식적으로 3개에서 4개의 발음기호가 합쳐서 사용하는 한글이 어려울까? 각각의 문자는 각각따로 쓰는 알파벳이 어려울까?

  • @user-ex9wy3it7l

    @user-ex9wy3it7l

    Жыл бұрын

    웬만한 모든 표음문자는 집중하고 외우면 반나절 안에는 읽을 수 있음 ㅋㅋㅋ

  • @qualityoflife6654

    @qualityoflife6654

    Жыл бұрын

    @@AF-qk8ty 어 30분만에 읽는 외국인도 있더라 .원리만알면 아주쉬우니까. 일단 영어기준 알파벳위치에 따라서 a와c 등이(a는 여러예가 있으니 제끼고 car의c는 ㅋ으로 발음하고 cell은 왜 ㅅ으로 발음해야하는지 한번도 이상하게 생각안함?)약속된 발음으로 읽어야 하는 건 어떻게 생각하냐. 사대주의에 쩔어있나? 같은 영어권 애들도 낯선 지명은 어떻게 읽냐고 물어보더라.뭔뜻인지 이해도 못할거 같아서 미리 답답하긴 하다 ㅋㅋㅋ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AF-qk8ty 원리를 알아도 하루만에 글자 읽는게 쉬운게 아니야 어느나라 글자가 읽기 쉽니??

  • @tgkim1017
    @tgkim1017 Жыл бұрын

    ㅅㅈㄷㅇ님 ㄱㅅㅎㄴㄷ

  • @westegg
    @westegg Жыл бұрын

    conservation [칸서베이션] conserve [컨서브] 품사 달라지면 발음 달라짐...아오....

  • @user-jv9nd8zz1l
    @user-jv9nd8zz1l6 ай бұрын

    전 이말이 더 마음에 든다는 한글은 문자학적인 사치이다

  • @jae-koochang7420
    @jae-koochang7420 Жыл бұрын

    하하... 네,언젠가 테레비존,한 기자가 소식을 전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한 그 학생,직접 실현을 보여주었습니다

  • @skp50208
    @skp50208 Жыл бұрын

    말하기가 쓰기 읽기 보다 어렵다는 것이지 다른 언어보다 어렵다는 것이 아니다.

  • @for_Deutschland
    @for_Deutschland6 ай бұрын

    아니 자동완성을 쓰지 못한다는 건 일,중 어 타자기의 손발목을 부숴버리는 행동인데

  • @yoolchan
    @yoolchan Жыл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eoSE0suNpayyqpc.html 세종대왕은 미래를 알고 있었을까?

  • @user-xk4jk7jj6z
    @user-xk4jk7jj6z2 ай бұрын

    한글이 세계 공용어가 되었으면 좋겠당...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Жыл бұрын

    아재요 가요

  • @user-vj4rq2hs6g
    @user-vj4rq2hs6g8 ай бұрын

    왜 영얼 없냐

  • @user-wt8gw8we6p
    @user-wt8gw8we6p Жыл бұрын

    한글이 있어서 이나라가 유지되는지도 모르겠다. 구심점 한글

  • @shs5017
    @shs5017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 시대에 중국이란 나라는 없었어요

  • @user-sc5om5dt7z
    @user-sc5om5dt7z Жыл бұрын

    초성 자음만 쓰는게 아랍어임 아랍어는 자음만 써서 알아먹음 ㅋ

  • @jiral577
    @jiral577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없앤 4글자를 살려야 제대로된 한글이 됩니다.

  • @user-ex9wy3it7l

    @user-ex9wy3it7l

    Жыл бұрын

    아니 일제가 없앤게 아니라 그냥 쓸 일이 없어서 자연스레 사라진 것이라니까 ㅋㅋㅋ

  • @user-eg5ek4yi4b

    @user-eg5ek4yi4b

    Жыл бұрын

    @@user-ex9wy3it7l 동의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user-ex9wy3it7l 아니야 중국과 당시 적대국이여서 없애버린거지 미쿡이랑 일본이~ 발음기호 언젠간 되살려야함 식민지였으니 조선이

  • @gprythd9247
    @gprythd9247 Жыл бұрын

    국어 교육이 뒤로 밀리면서 쓰기, 읽기, 발음 개판 되고 있음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Жыл бұрын

    유니코드에서 한글이 차지하는 글자 공간은 중국어 한자와 일본어보다도 더 큼. 한글 입력을 받고 글자를 조합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별도의 상태머신과 오토마타가 필요함. 영상을 보고 뽕에 찬 사람은 도스시절부터 지금까지 한글을 컴퓨터에 표시하고 키보드 입력을 받는것만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땀을 흘리고 전자기기의 성능 부족을 탓했었는지 이해 못하는 사람들임. 자부심을 굳이 말리지는 않지만 20~30년전만 해도 한글은 디지털 기계에서 호환성을 양보하고 성능을 양보하고 불편함을 뚫어야만 구경할 수 있는 물건이었음. 그걸 무슨 알파벳 이상으로 포장한다고?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Жыл бұрын

    한자보단 적을텐데..?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5 күн бұрын

    한글의 문제가 아니라 한글 코드표 배열을 잘 못한 MS의 탓

  • @Octagon8702
    @Octagon8702 Жыл бұрын

    디지털에 최적화가 되어있다라.. 반은 공감하기 힘드네요. 한자, 중국어와 비교 했을 때는 확실히 한글이 빠르지만 알파벳과 비교하면 말이 달라집니다. 일상에서 문자 주고 받고, 한글로 기사 작성하는 등.. 빠른 것은 맞지만 그냥 디지털에 최적화? 이 영상이 디지털의 모든 것을 묶어서 말하고 있는데 애초에 보안 지식들은 다 해외에서 와서 영어로 되어 있고,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 같은 것들이 한글을 읽을 수 있나요? 아니면 게임이나 웹사이트, 앱을 한글로 최적화를 하나요? 아니죠? 컴파일러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램을 최적화를 더 하든 기능을 추가하든 그러면서 개발을 하죠? 프로그래밍은 영어를 쓰잖아요. 물론 한글로 되어있는 언어가 나올 수 있어도 내부를 볼 때는 한글을 읽고, 한글로 입력해서 수정 보완을 할 수 있나요? 한글의 한 글자도 못 읽잖아요. 공감하기 힘든 것은 물론 제 생각입니다. 제가 진지충인 것일 수도 있지만 오해할만한 영상들이 많아 적어보았습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5 күн бұрын

    한글하고 한국어 구별도 못하면서 논할 내용은 아닌 것 같네요. 한국어는 입력과 가독성 면에서 여전히 디지털에 강점이 있습니다. 개발자들이 고생해야 하는 부분이 있지만가 MS가 윈도즈 OS가 처음 만들어질 때 한글코드표를 잘 못 만든 탓이지 한글의 문제가 아닙니다

  • @user-mq9hn4kr8e
    @user-mq9hn4kr8e4 ай бұрын

    참나

  • @danielyang4947
    @danielyang4947 Жыл бұрын

    우리의 기본 훈민정음 다시 배워야 합니다. 일재시대때에 일본이 망가트린 한글을 지금도 쓰고있습니다. 확인하시고 정부에 올려야합니다.

  • @danielyang4947

    @danielyang4947

    Жыл бұрын

    @sung Morgon 28자 혼민정음이 일재시대때에 패쇄되었다. 그것이 일본인 학자로부터 이루어젔다. 그저 필요가 없어서가 아니라 쓸모없게 만든것이다. 필요없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 28자가 모든 언어들을 발음할수있는 문자인것을 우리는 알고있으나 다만 쓰지못하고있다. 쓸줄을 모른다.

  • @user-ex9wy3it7l

    @user-ex9wy3it7l

    Жыл бұрын

    이건 무슨 뇌피셜이지?

  • @user-eg5ek4yi4b

    @user-eg5ek4yi4b

    Жыл бұрын

    @@danielyang4947 옛한글에 ㅿ=z, ㆁ=ŋ, ㆆ=ʔ , ㆍ=으아 정도에 발음이 있는데요? 한글에는 데바나가리와 같은 문자처럼 장단음 구별이 없어 "으아아악"과 같은것들은 제대로된 표기법이 아닙니다. 한글 자모음은 세계모든 문자를 표기 할수 있는것이 아닙니다. 그 글자들 살린다고해서 절~대 불능합니다. 이것은 한자, 한글 말고도 모든 문자에 포함되며 그 어떤 문자도 세상에 모든 소리를 낼수 없습니다.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sung Morgon 망가트린거 맞다고 ㅋㅋ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user-eg5ek4yi4b 당연히 똑같이는 할 수 없지 ㅋㅋ 그소리가아니잖아 바보야 ~ 비슷하게라도 모든 문자를 표기할 수 있으니 할 수 있다는거지 그렇게 따지면 님목소리랑 내목소리도 다르니 다른거네??

  • @redoxionism
    @redoxionism Жыл бұрын

    한글이 사람이 배우고 쓰기 좋은 대단히 뛰어난 자랑스러운 문자라는데 동의하지만, 디지털 시대에 잘 맞는 최고의 문자라는건 너무 우리 입맛에만 맞는 아전인수인 것 같아요. 한글이 디지털상에서 갖는 치명적인 문제가 몇가지 있는데 1. 출력하는 글꼴의 제작이 대단히 복잡합니다. 초중종성의 모양 문제로 단순히 작업량이 많아지는 많아지는 것 외에도 상하좌우로 눌리는 모양이 많아져서 글꼴의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픂'같은 글자는 모음이 'ㅠ'임에도 'ㅡ'와 거의 구분이 되지 않죠. 2. 데이터베이스상의 검색 알고리즘이 복잡해집니다. 쉽게 말해 종성이 있는 글자와 없는 글자가 나뉘어있어서, '유튜브'라는 단어를 입력하며 실시간 검색을 할 때 '유' '윹' '유튜' 까지 입력했을때의 검색결과가 요동을 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건 디지털 환경에서 꽤 골치아픈 문제입니다. 모아쓰기가 없는 대부분의 문자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일이죠... 그리고 영상에 나오는 타이핑 속도 비교 같은 경우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서구권 이용자를 의도적으로 빼놓고 한중일만 비교를 해놨는데, 이건 굳이 한국보다 눈에 띄게 표기가 불편한 언어들만 데려다놓고 게임을 한 거라고 봅니다. 좋은건 좋은거고 부족한건 부족한건데 각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25 күн бұрын

    적은 수의 자판으로 입력시 한글은 알파벳 보다 더 효율적이었던 것이 사실이고, 문장이 길어지는 알파벳에 비해서 한글 모아쓰기는 가독성을 오히려 높혀줍니다. 외국인들에 비해 한국인이 자막 영화를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다만 개발자들은 고생을 좀 하는데 많은 경우 한글의 문제가 아니라 MS가 한글 코드표를 잘 못 만든 것에서 비롯된 문제입니다. 폰트 같은 경우에 요즘은 전부 만들지 않아도 자동 생성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이 널뛰는 것은 님이 구현을 잘 못한 것이지 어려운 문제가 아닙니다

  • @redoxionism

    @redoxionism

    18 күн бұрын

    ​@@user-tm1fm5jg4j 다짜고짜 제 개발 실력을 운운하니 기분이 아주 좋기는 합니다만...... 1. 자판으로 한글 입력이 라틴 알파벳보다 편하다 한들, 적어도 이 영상에는 그 근거가 드러나지 않습니다. 주장에는 근거가 있어야 하는 법이고, 적어도 이 영상은 근거에 균형이 잘 맞지 않습니다. 지식채널e가 원래 좀 논조를 먼저 정하고 거기 맞춰서 대강대강 구성하는 스타일이긴 한데... 이런식으로 대놓고 부실한건 괜히 국뽕 등의 공격 지점을 노출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2. 천지인이나 딩굴 키보드 등 10개 초반의 자판을 활용하여 글을 입력하는 방식에 한글이 나쁘지 않다는 점에는 동의합니다만,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로 한글 입력기가 QWERTY로 대체되어가는 와중에 그런 장점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 적절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3. 전 가독성이나 문장의 길이에 대해 지적한 적이 없습니다. 한글이 갖는 문제점도 있다고 그러한 점을 지적한 것이지, 애초에 한글이 모든 점에서 열등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굳이 이 영상에 없는 한글의 장점을 가져와서 제 댓글에 논하는 것은 논점 일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4. 외국인들(어느 나라 외국인인지 특정이 필요합니다만... 편의상 영미권 국가라고 할까요?)의 자막 영화 선호도에는 그런 영향도 있겠습니다만, 시네필로서 그보다는 문화적/심리적 영향력이 더 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이건 근거는 없습니다만. 5. MS 운운하신 부분은 아마 초창기 조합형에서 완성형으로 넘어온 점에 대해 말씀하시는 듯 한데, 전 오히려 MS로 하여금 조합형을 포기하고 완성형을 강요한 점이 디지털 시대에 모아쓰기가 가지는 약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조합형-완성형 논쟁의 존재 자체가 디지털 환경에서 한글을 나타내는 방법에 뚜렷하게 우월한 방법이 없다는난점을 잘 보여준다고 봅니다. 솔직히 조합형 구현이 어려워서 만국이 같이 사용하는 유니코드 자원를 홀로 1만 자 넘게 차지하는건 좀 비효율적이긴 합니다만... 그런 선택을 강요당한거잖아요? 어떤 개발자가 그렇게 만들고 싶었겠습니까. 6. 최소한 제가 저 댓글을 쓰는 시점까지만 해도 AI를 활용한 폰트 제작이 아주 자유롭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무나 만드는 '나만의 폰트' 수준을 넘어, 보다 가독성 높은 좋은 폰트를 제작하는데에는 아직까지는 사람 손을 타는데 여기서도 한글은 모아쓰기가 없는 글들에 비해 난점이 좀 있고요. 굴삭기 개발 이후 바위를 파는게 쉬워졌다고 한들, 바위를 파는게 모래를 파는것만큼 쉬워지는던 아니잖아요. 7. 검색 결과 정렬의 문제에 있어 이를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어느 정도 약점이 보완이 되는 것이지, 최소한 그 부분이 강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마 컴퓨터 과학에 조예가 있으신 듯 한데, 코드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같은 출력물을 얻기 위해 기왕이면 한 줄이라도 짧은게 더 좋다는걸 잘 아시잖아요? 또 관련 문제가 포토샵에서도 흔히 나타나는데, 이게 어도비 개발자들의 개발력이 모자라서 나타나는 현상인가요? 애초에 도깨비불 현상은 코딩 기술의 문제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라, 모아쓰기의 개념 상 본질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현상의 대표적 해결 방법이 '일부러 처리 속도를 늦춘다' 인데, 이게 좋은 방법이 맞나요? 어쩌다 프로필을 눌러 쓰신 답글을 주욱 보게 되었는데... 타당한 비판 의견들에 계속 본인만의 기준으로 반박하고 계시지 않나요? 인신공격도 자꾸 보여서 너무 유쾌하고 좋은데...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18 күн бұрын

    @@redoxionism 1~7번호 붙여 만연체로 아무말 대잔치 한다고 논리적인 게 아닙니다. 음침하게 남 뒷조사하고 반어법으로 빈정거리는 거 역겹네요

  • @redoxionism

    @redoxionism

    18 күн бұрын

    @@user-tm1fm5jg4j 거 봐요. 또 음침하니 뭐니 하면서 인신공격이잖아요. 글 내용에 대한 말씀은 하나도 없으시고...... 처음부터 구현을 잘 못했네 운운하는 소리를 들은 제 기분은 생각 해보셨나요? 저 아세요? 제가 개발한 물건 보신 적 있으세요? 전 다른 사람이 쓴 댓글 히스토리를 볼 수 있다는걸 바로 윗 댓글 적으면서 뚱뚱한 손가락으로 선생님 프로필을 잘못 누르는 바람에 처음 알았습니다. 뒷조사라뇨... 천부당만부당합니다. * 만연체는 글에 장식을 많이 주어 일부러 호흡이 길게 만든 문체를 말합니다. 제가 쓴 댓글은 그냥 긴 거지, 만연체가 아니에요. 저렇게 숫자 붙여서 뚝뚝 끊어 쓴 글은 만연체가 되기 어렵습니다.

  •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Жыл бұрын

    한글이세계공용어입니다

  • @user-pk8ih2lk7u
    @user-pk8ih2lk7u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 28자 다쓰고 순경음도 씁시다. fashion과 passion이 지금의 한글로 쓰면 같아요. rain과 lane도 같아요. 이거 구분해서 외국어도 쉽게 가르칠 수 있습니다. 국어학자들은 뭐하고 있죠?

  • @user-eg5ek4yi4b

    @user-eg5ek4yi4b

    Жыл бұрын

    f= ㅍ와 ㅆ..ㅅ혹은ㅊ 사이에 소리 p=ㅍ로 발음이 다른데 같게 적으면 발음 고육 망친다. r과l도 명백한 차이가 있습니다.

  • @user-im4jk4lw1u

    @user-im4jk4lw1u

    Жыл бұрын

    알파벳이란게 원래 자음문자입니다. 그래서 표현에 한계가 있었죠. 그걸 극복하기 위해 자음이 세분화되고 모음도 겨우 다섯개를 추가해서 현재의 체계가 된겁니다. 그래서 모음 다섯개 자음 스물하나의 기형적인 문자가 된겁니다.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Жыл бұрын

    순경음과 외국어의 파열음은 다름. 게다가 한글에서 나뉘지 않는데 외국어에서 나뉘는 발음도 있음. 가나다의 가는 K발음이지만 나가다의 가는 G 발음임. 미국인과 일본인은 둘을 듣고 구분하지만 한국인은 구별못함. 엄밀히는 Ka 와 가~ 와 ~가 와 Ga는 전부 다 다름. 이것도 전부 국뽕용으로 별도 글자 만들건가?

  • @user-pk8ih2lk7u

    @user-pk8ih2lk7u

    Жыл бұрын

    @@jamesmillerjo 아니지. 우리 글자 ㄱ이 있는데 왜 만들어. 다만 세종대왕이 만든 28자를 어떻게 조합하는가를 약속으로 정하고 그 음을 표기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면 되고 단적으로 패션과 패션, 레인과 레인, 라이트와 라이트, 와이프와 와이프 등이 구별 안되니 우리 글로도 이걸 구분해서 쓸 수 있는데 왜 손놓고 있느냐는 얘기지. 합리화하지 말게.

  • @spell_checker
    @spell_checker2 ай бұрын

    그러면 뭐하냐 한국어는 세계에서 제일 어려운데

  • @MoonVill
    @MoonVill Жыл бұрын

    세계의 알파벳인데 미국이 너무 강하다...

  • @ok590628
    @ok590628 Жыл бұрын

    한글은 한국이 해방후 산업화 민주화를 단시간 안에 이룰 수 있었던 문자이기도 합니다,

  • @freedom-lz7cg
    @freedom-lz7cg Жыл бұрын

    저급한 문자와 비교말고 영어 알파벳과 비교해줘요

  • @atomic-orbital

    @atomic-orbital

    Жыл бұрын

    @JY K 근데 저건 로마자가 아니라 영어의 문제점 같은데. 정작 로마자 원조인 라틴어는 발음 100% 정확하게 일치하고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도 한국어보다 정확하게 일치하는데

  • @for_Deutschland

    @for_Deutschland

    6 ай бұрын

    저급한 문자 ㅇㅈㄹ

  •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Жыл бұрын

    한글 특허로 한글 공통어된다. 한글 특허로 제2의 세종대왕 이태순. 한글 특허로 문맹자 없는 한글 공통어. 5세아기 하루에 한글 선생 만든 한글특허. 한글 최고 빨리 가르친다. 한글 특허로 한글로 세계어 다쓴다. 한글 최고 박박사 이태순.

  • @wachout19
    @wachout19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 = 글자가아님, 글자는 한자고, 한자의 발음을 표기 하기 위해 만든 발음기호가 훈민정음임.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 배우기 어려우니 어리석은 백성들을 가르치기 위해 28자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혜례본에 적혀 있음. 세종은 조선의 왕중에 중화 사대에 가장 지극 정성이었던 왕중 한명이었음. 이름부터가 자(字)가 아니고 음(音)임을 기억 하자.

  • @user-ud9jz6bs1g

    @user-ud9jz6bs1g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님은 발음기호를 글자 대신 사용하나요? 발음기호는 글자 옆 또는 위에 작게 적어서 글자를 읽을 때 참고하라고 쓰는 거죠. 본 글자를 치워 버리고 발음기호만 적는 그런 미친 사람도 있나요? 님을 비하하지는 않겠지만, 넘 나가지는 마세요. 보기 흉하네요. 참고로 세종 때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으로 쓰인 최초의 책이죠. 본 글자를 대신해서 발음기호로 책을 만드나요???

  • @wachout19

    @wachout19

    Жыл бұрын

    @@user-ud9jz6bs1g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글자를 모르는 천한신분들이나 여자들이나 쓰는 글자라고 사대부들은 언문이라 부르면서 천시 했는게 펙트. 국뽕에 취해서 딸치는게 님 능지 이름자체가 훈민정자가 아니라 훈민정음이라니까

  • @wachout19

    @wachout19

    Жыл бұрын

    @@user-lp7fj4go8s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글자를 모르는 천한신분들이나 여자들이나 쓰는 글자라고 사대부들은 언문이라 부르면서 천시 했는게 펙트. 국뽕에 취해서 딸치는게 님 능지

  • @wachout19

    @wachout19

    Жыл бұрын

    @@user-ud9jz6bs1g 일본의 가나도 한자의 발음기호인데? 사람이 아는 만큼 보인다고 모든 사람이 본인 수준일거라는 착각은 버려

  • @user-ud9jz6bs1g

    @user-ud9jz6bs1g

    Жыл бұрын

    @@wachout19 무슨 이런 헛소리를 하나. 자기가 한 말도 기억을 못 하나요? 훈민정음이 발음기호라면서요. 그래서 헛소리하지 마라는 글을 썼잖아요. 그리고 양반들이 그 당시 사대주의로 인해 사용을 하지 않는 건 별개의 문제죠. 유명화가 작품을 못 알아 봐서 버린 사람이 무지한 거죠. 버려졌다고 그 작품이 쓰레기입니까? 훈민정음의 가치와 그 가치를 못 알아본 사람 정도는 구분 좀 하죠.

  • @rorodtm
    @rorodtm Жыл бұрын

    현실은... 지금 2022년에도 영문판 안드로이드나 윈도우에서 한글이 씌여진 파일을 열면 글자가 깨지는데 공감하기 어려워요.

  • @user-mm3js3sv3e

    @user-mm3js3sv3e

    Жыл бұрын

    윈도우나 안드로이드나 기반이 영어 아니던가요? 한글을 영어가 받아들이지를 못하는거 아닐까요?

  • @rorodtm

    @rorodtm

    Жыл бұрын

    @@user-mm3js3sv3e 블로그 해보신 분은 알겠지만 한국인이 만든 한국 포탈사이트 네이버에서조차 한글이 가끔 깨져서 나옵니다. 글자가 복잡한 조합형이라 어쩔 수 없어요. 예를 들면 a는 그냥 a인데 ㅅ은 사 소 수 읏 윿 ㅅ 모양이 다 다르죠? 이거 일일이 다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보니 깨지기도 쉽고 폰트 만들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죠. 로마자든 한글이든 키릴문자든 한자든 모든 글자는 장단점이 있는데 마치 한글은 단점이 하나도 없는 무결한 글자처럼 묘사하는 방식이 낡았다고 봅니다. 한글의 특징 (장점이든 단점이든)을 설명해주고 판단은 독자에게 맡기는 것이 2022년에 걸맞다고 봅니다.

  • @user-mm3js3sv3e

    @user-mm3js3sv3e

    Жыл бұрын

    @@rorodtm 네. 단점하나없는 완벽한 것이 어디 있겠어요 ㅎㅎ

  • @supersky4513

    @supersky4513

    Жыл бұрын

    다른분들 올린글을 보니 조합형이기 때문에 깨져보인다는데 그게 아니라, 애초에 한글이 씌여진 파일자체가 완성형으로 씌여졌느냐 아니면 조합형으로 씌여졌느냐의 차이입니다. 맨처음 파일을 열때 대화상자가 뜰겁니다. 이때 조합형으로 선택해서 열었는데 깨져보인다면 해당파일자체가 완성형으로 씌여진것이므로 완성형으로 열면 되는 것입니다. 원래 완성형으로 파일을 생성하는 것보다 조합형으로 생성하는게 훨씬 나은데 이상하게 어느순간부터 한글이든 워드이든 완성형으로 기본저장하여 파일을 만들고 있습니다. 아마 글자를 디자인할때 서체때문인것으로 생각됩니다. 조합형 글자면 조합형으로 저장하는게 맞는데, 영어도 완성형이고, 서체도 완성형을 기준으로 디자인하다보니 그렇게 된것같습니다.

  • @frexhd

    @frexhd

    Жыл бұрын

    우리 글이 영문 체계에서 만들어진 시스템에 들어가 정상적 표현이 안된다는 이유로 우리 한글을 깎아내려야 할 이유가 있나요?

  • @veryveryverylongso9090
    @veryveryverylongso9090 Жыл бұрын

    쓸데없이 국뽕 의견 끼워넣지 말고 최대한 사실만 전달하세요. 무슨 디지털 최적화야...

  • @REPUBLIC_OF_COREA
    @REPUBLIC_OF_COREA8 ай бұрын

    이걸 사람이 만들었다는게 말이돼???

  • @user-tp9pp2rc4n
    @user-tp9pp2rc4n Жыл бұрын

    세 계 공용어가 돼기에 한치에부족함도없다 ,그리고 한글이 꼭 세계 공용어가 돼어야하는 이유또한 차고도 넘침을 다알고는있다 ,단지 국력의 힘 그것으로말미암이니라 ㅡ

  • @trecime

    @trecime

    Жыл бұрын

    세계공용어란 세계적으로 쓰이는 말을 말합니다. 이 영상의 주제는 한글, 즉 문자에 대한 것입니다. 말과 문자의 차이를 기억해 주세요. 한글이 누구나 배우기 쉽고, 인터넷에 최적화 되어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를 세계인이 공통적으로 쓰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 @user-ex9wy3it7l

    @user-ex9wy3it7l

    Жыл бұрын

    아직도 한글 한국어 구분도 못하는 저능아들이 많네... ㅋㅋ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근데 영어도 공용어로 충분함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