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채널e - 책, 어떻게 읽어야 할까?

지식채널e - 책, 어떻게 읽어야 할까?
내 삶과 도무지 상관 없어 보이는 사실들.
우리의 삶에 닿아있는 어렵고 머리아픈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지식으로 바꿔드립니다.
<지식채널e>는 언제나 여러분의 소중한 5분을 생각합니다.
* 지식채널e 홈페이지 : jisike.ebs.co.kr/jisike/

Пікірлер: 19

  • @user-bx5lf1zi1r
    @user-bx5lf1zi1r2 жыл бұрын

    제가 다니는 글쓰기 학원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어요. 책을 읽을 때 들고 있거나 받치고 읽으면 팔과 손이 아파서 집중이 잘 안된다고, 하시면서 독서 받침대를 구입하셨다고 하시더라고요. 선생님 말씀에 귀기울이며 듣다보니 점점 빠져들었어요. 독서대를 구입해서 커피를 마시면서, 음악을 들으면서 등등 책은 받침대에 놓고 나머지 두 손은 무언가를 하고 있었다고요. 그런데 곧 받침대는 창고로 들어갔대요. 왜그랬나 질문했더니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책의 촉감을 느끼지 않고 눈으로만 읽으니 읽는 것 같지 않고, 두 손으로 다른 곳을 하니 내용이 끊겨서 손과 팔이 아플 때보다 오히려 더 집중이 안됬어." 라고요. 그 때 느꼈어요. 책을 읽는 다는 게 오디오북이나 받침대를 이용하여 (물론 각자의 취향이기 때문에 다를 수도 있어요. 오디오북을 즐겨 듣거나 이용하는 분들은 뭐라 하는 게 아녜요.) 하는 것보다 손으로 종이 특유의 촉감을 느끼면서 집중해서 읽는 것이 진짜 읽는 다는 것 이라는 걸요. 저도 그 후 책은 직접 들거나 손으로 받쳐서 읽었더니 다 읽고 난 후에도 대사나 중요 내용이 머릿속에서 계속 맴돌았어요. 이 영상도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저희 엄마께선 독서가 공부보다 더 중요하시다는데 맞는 것 같아요. 모두 독서 많이 합시다. 화이팅이예요!

  • @user-vo7vb4xh9x

    @user-vo7vb4xh9x

    Жыл бұрын

    말에 이치를 잘 깨달으신것을보니 똑똑하시네요.

  • @user-bx5lf1zi1r

    @user-bx5lf1zi1r

    Жыл бұрын

    @@user-vo7vb4xh9x 갑사합니당

  • @big5723
    @big57232 жыл бұрын

    필독서 따위는 없다 위로가 됩니다 개인적으로 한권을 해마다 읽는것 재독을 좋아합니다

  •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3 ай бұрын

    독서를 하면 처음에는 텍스트를 읽는 느낌이 강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의 감성을 자극하고 감정을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는 느낌입니다. 책을 통해 감정의 표현과 이해를 향상시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ro7qx7ir8n
    @user-ro7qx7ir8n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독서 에 대하여 생각하며 시청하였습니다. 독서에대하여 다시 생각하게된 영상입니다 . 매우유익한영상 감사합니다.

  • @user-hc2ey5js2g
    @user-hc2ey5js2g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도덕 수업으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마침 그 다음 시간이 독서 시간인데 이 영상에 나온 말들 다 기억해서 재미있게 책 읽어볼게요! 책에 대해 좋은 인상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 @Binachannel613
    @Binachannel6132 жыл бұрын

    Hello ..nice

  • @user-qc4fs4qs4o
    @user-qc4fs4qs4o2 жыл бұрын

    살면서 상식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와 다르게 디지털에 사는 시간이 더 많이진 요즘 사회인들은 지성을 겸비하는데 교과서 따위는 존재가 무가치하단 사실을 자각하고 있거든요, 근래 상식 없이 지혜로 사는 방법을 탐구하며 관찰하고 있습니다. 다소 멍청해 보이는 부분도 귀엽다고 말하려면 상대에게 적합한 메타포가 보다 뛰어난 상식이 존재하더라도 설득에 적합하지 못하거든요. 독서의 필수성이라고 명명한 저의 정의는 언제나 ‘나’에게 설득력을 가지고 있으면 됩니다. 설령 그 형태가 자위일 지라도 행위뒤 현타는 없고 본연의 자아만 남거든요, 천성이 악질인 인간도 선제적으로 선한 기질을 나타내는 순간이 있듯이 존엄과 가치의 어떠한 무형의 형태에도 지혜는 지성인의 정의아래 존재합니다.

  • @user-ob2er2vs9b
    @user-ob2er2vs9b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user-hz4jm4ob3f
    @user-hz4jm4ob3f2 жыл бұрын

    그냥 손과 눈길가는데로,,ㅎㅎ

  • @kol_5451
    @kol_545110 ай бұрын

    두번째 노래 이름 뭐지

  • @user-my8jr5jz9t
    @user-my8jr5jz9t9 ай бұрын

    Chaper3에나오는 팝송이 뭔가요?

  • @Deoksu_Lee

    @Deoksu_Lee

    Ай бұрын

    늦은 것 같지만 답변 드리자면 JP Saxe 의 Like That 입니다.

  • @user-ii7nh7fv3u
    @user-ii7nh7fv3u2 жыл бұрын

    이거 첫번째 노래 이름 아시는분..?

  • @gmplaza2074

    @gmplaza2074

    2 жыл бұрын

    Like Strangers Do 아마도?

  • @user-ly8bd9ro4f
    @user-ly8bd9ro4f2 жыл бұрын

    걍 오디오북 어플로 듣는게 훨씬더 좋음

  • @Lee-rm1hm

    @Lee-rm1hm

    2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건 독서하는 의미가 없음

  • @julioandreotti2266

    @julioandreotti2266

    2 жыл бұрын

    @@Lee-rm1hm 읽어야겠다는 동기를 줍니다 여름에 공원 걸으면서 ebs의 고전 읽어주는 라디오에서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아버지를 죽인 혐의로 감옥에 있는 아들이 참외하는 부분을 읽어주는 데 이름이 너무 길어서 포기한 책을 다시 읽게 해주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