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으로 풀리는 중국어ㅣ사라진 한글로 중국어가 풀린다

'아무도 몰랐던 훈민정음의 놀라운 비밀'
사라진 한글로 중국어가 풀린다
훈민정음만 제대로 알아도 중국어의 50%는 다 안다?
외국어 공부는 훈민정음 DNA을 가진 한국인에게 가장 유리하다?
한양대학교에서 진행한 특강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19:35~19:54 / 42:37 - 42:46
음향이 고르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4:05
'태조 이방언' → '태종 이방원'
위 자막 내용 중 오류를 미처 수정하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훈민정음 #훈민정음중국어 #한글중국어 #이현준훈민정음 #교육사업가이현준TV

Пікірлер: 2 500

  • @optimailot
    @optimailot8 ай бұрын

    한세대 더 가기전에 훈민정음을 부활시켜야 합니다 한글DNA가 있듯이 우리는 스스로 없어진 글자들의 안타까움을 모두가 느끼고 있습니다. 있던걸 없애는 바보짓을 다음 세대에는 물려주지 말아야 합니다. 방송이 널리퍼져 하루속히 완벽하고 올바른 우리글의 사용법이 부활되길 고대합니다.

  • @antoniobald1
    @antoniobald18 ай бұрын

    중학교 의무교육 과정 중에, 훈민정음 해례본은 반드시 배워야 합니다. 훈민정음 서문 뿐만이 아니라 해례본 전문을 중학교 의무교육과정에서 교육시켰으면 좋겠습니다...

  • @giovanninaa
    @giovanninaa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언어광복을 이루어야 합니다 세종대왕님이 만드신 28자 회복해야 합니다!!! 순경음도 다 쓰도록 해야 합니다!!

  • @user-ok4df1vx9g
    @user-ok4df1vx9g3 ай бұрын

    사라진 문자 복원해야 합니다. 강연에 감동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leehyunjuntv

    @leehyunjuntv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zesch4u
    @zesch4u7 ай бұрын

    저도 중국어 5년공부했는데! 완전 공감합니다!! 사라진 한글 발음기호를 살립시다!!!❤😊

  • @user-yd8tt2yv6h
    @user-yd8tt2yv6h7 ай бұрын

    아주 훌륭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인제라도 정부가나서 초등학교과정안에 넣어야한다고 생각됩니다

  • @user-rp6le6pt4s
    @user-rp6le6pt4s3 ай бұрын

    공중파에서 강의를 해야 합니다... 훈민정음에 저런 깊은 뜻이 있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명강의 잘 듣고 갑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지식 전달 부탁드립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3 ай бұрын

    격려 감사합니다.

  • @getoking78
    @getoking787 ай бұрын

    한글날 훈민정음을 복권시켜야 합니다.

  • @leeek0213
    @leeek02138 ай бұрын

    중국어 발음의 원리를 훈민정음에 맞춰 간략하게 요약한 최고의 강의입니다ᆢ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lexlim922
    @alexlim9228 ай бұрын

    한글이 위대한줄은 알았지만 정말 알수록 경이롭네요. 사라진 문자를 살리고 싶습니다 ㅜㅜ

  • @rebekahnixon2767
    @rebekahnixon27673 ай бұрын

    미국에 살며 아이를 4살때부터 10년동안 한글학교를 보내며 한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엄마입니다. 대표님이 강의하신 내용을 한글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좀 보여줘서 우리 말이 얼마나 위대한지 다시 한번 알려줘야 할 듯 싶습니다. 세종대왕께서 만드신 위대한 훈민정음을 다시 살리는 운동을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귀한 정보 연구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lovingwoods
    @lovingwoods7 ай бұрын

    이 강의는 정말 온 국민이 봐야! 교과부에서 보고 핸드폰 자판이라도 정음과 같이 만들어 줘야!

  • @woojung7005
    @woojung70057 ай бұрын

    사라진 문자를 살리자는 운동이 일어나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 @Frank-bw8lz
    @Frank-bw8lz7 ай бұрын

    말과 글이 국력이거늘 말장난가지고 거꾸로 가는 나라에 바로가는 분이 계셔서 정말 다행입니다.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 정말 감사합니다!

  • @user-nh2pk2wu9m
    @user-nh2pk2wu9m2 ай бұрын

    우와 진짜 이 강의 우리나라 사람 다봐야합니다....훈민정음 대단한 건 알았지만 선생님 강의듣고. 사십년 넘게 이정도 가치를 몰랐다는 게 너무 죄송하고. 반대로 지금이라도 안 것에 대해. 감사합니다..훈민정음 중 잃어버린 문자를 제대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ee-mi4bc
    @Lee-mi4bc6 ай бұрын

    교육부나 한글학회 정부는 뭐하나. 공영방송서 이런걸 이슈화해서 사라진 발음 부활표기해야

  • @user-cy2ik1kn6v
    @user-cy2ik1kn6v8 ай бұрын

    외래어 표기법 개정을 청원합시다!!

  • @gotFISH153

    @gotFISH153

    7 ай бұрын

    영상이 넘 길어서 안봤습니다만... 미국 삽니다, 1988년 12월부터. 요즘은 유튜버 등 SNS 상에서 문법 및 맞춤법 파괴, 외래어, 왜래어, 왜계어, 외국어 등이 한글과 뒤섞여 있는 모습이 너무 보기 싫습니다, 그리고 미국에 있는 한인 사업체들이 사용하는, 같은 상품에 전혀다른 맞춤법 또는 로마자 표기법도 너무 싫습니다. 아무리 언어올림픽에서 2회 연속 그랑프리르루차지하고 오히려 해외에서 한글에 대한 연구가 더 많고 K-문화로 한국어가 뻗어나아가면 뭐합니까, 대통령이라는 놈이 한국어 왜 배우냐는 헛소리나 지껄이고, 그것도 한국말로, 짜장->자장, 무우->무 뭐 이런 변화는 뭐하러 든들여서 하면서 순수한국말을 보존하기보다는 국어사전에 신조어 올린다고 뭐가 좋겠냐는 소리나 하고... 짜증납니다.

  • @onnya4753
    @onnya47538 ай бұрын

    정리 잘했네요 시간모르고 다 봤네요 외래어 외국어도 많이 접하는 시대가 되었으니 병음 사라진 철자들 다 복원시켜야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Zwan-ez7by
    @Zwan-ez7by3 ай бұрын

    없어진 글자는 국가차원에서 되살려야되는거 아닌가요? 엄청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kl7kt3vn8l
    @user-kl7kt3vn8l6 ай бұрын

    아주 잘 배웠습니다 우리 교육의 참담함을 느낍니다 없어진 글자를 복원 운동이라도 해야 할것같습니다 부디 널리 교육을 시켜주세요

  • @user-hu3cf9wb6e
    @user-hu3cf9wb6e8 ай бұрын

    너무 감명 받았습니다. 영어교사를 하면서도 사라진 우리글을 제대로 몰라 F ,V 발음이 없어서 발음하기 어렵다고 만가르쳤는데 훈민정음을 알았다면 제대로 가르쳤겠네요. R, L도요. 다음부터는 훈민정음을 설명하면서 가르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 @user-pw2kr7nl8k
    @user-pw2kr7nl8k2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우리의 뿌리를 찾아주셔서 애국자이십니다.

  • @user-dr5xd8bo1d
    @user-dr5xd8bo1d8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애국자이십니다

  • @user-zs3vc6rk3z
    @user-zs3vc6rk3z8 ай бұрын

    훈민정음을 되살려야하는게 올바른듯 싶네요 그럼 한국인도 특유의 콩글리쉬도 없어질텐데

  • @user-ze5pr5wi4x
    @user-ze5pr5wi4x7 ай бұрын

    이덕일 교수에 의하면 훈민정음의 글자를 없애 한글의 소리를 절룸발이로 만든 게 조선총독부 통역관(일본인)의 작품이랍니다. 우리말의 발음을 일본말과 비슷하게 만들려고. (그래서 우리도 옛날엔 일본식 영어발음을 했나 봅니다.) 훈민정음을 만들 당시 (사역원에서 가르치는 6개 언어를 기준할 때) 우리의 정음으로 일본말, 중국말, 여진말, 거란말, 몽골말, 위그루말을 다 소리낼 수 있었다 합니다. 그런데 왠지 조선어학회나 한글학회 등에서 없어진 글자를 회복하자는 주장이 없었네요. 안타까운 일이고 머지않아 회복해내야겠어요.

  • @EY-to6qc
    @EY-to6qc4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요즘 일본 초등학생부터 80대 학생까지 배우러 옵니다. 선생님 강의 들으니 우리말이 자랑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o4wr9uh3h
    @user-go4wr9uh3h8 ай бұрын

    감동입니다. 최고의 애국자이십니다. 눈물납니다. 더 관심갖고 더 알리겠습니다

  • @samuellee15
    @samuellee158 ай бұрын

    너무 귀한 강의입니다. 국문학을 전공했지만, 해례본을 정독하지 못했고, 동국정운은 읽어보지도 못했습니다. 당시 교수들도 이 귀한 원리를 제대로 알지 못했나 싶습니다. 이제 나이가 60대인데 이제사 이런 강의를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anada

    @userganada

    8 ай бұрын

    정말 사라진 문자가 어떤소리지 궁금할때가 간혹 있었는데 저도 처음 듣네요 비극인지 희소식인지 참 ~

  • @user-pi1uf9kn3t
    @user-pi1uf9kn3t3 ай бұрын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던 훈민정믐의 우수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해주시네요 진정한 애국자 교육전문가 이십니다.

  • @cym568
    @cym56812 күн бұрын

    세종대왕님이 대단하신데 못난 학자들이 망쳤네요 없어진 문자 부활이 답입니다.

  • @user-wq3gc6kq4h
    @user-wq3gc6kq4h8 ай бұрын

    언어는 영혼을 담는 그릇입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를 만드신 세종 임금님은 정말로 백성을 사랑하신 훌륭하신 천재 중의 천재십니다. 전 세계에 자기 나랏말 글씨 만든 날을 국경일로 정해서 기념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합니다. 일제에 의해 또는 어떤 이유였는진 몰라도 인스턴트화 시켜버린 잘못된 어문 정책을 바로 잡아 처박아 놓은 우리의 소중한 나랏말을 복원시켜 세계를 담고 우주를 담아내는 세종 임금님의 숭고한 뜻을 살려내야 합니다. 한류가 세계를 주름잡는 시대에 한글이 전 세계 언어를 담는 표준 발음기호로 정착되길 기원하며 강사님의 깊이 있고 명철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이런 강의는 한글날 국가적인 차원에서 공영방송으로 전 국민이 들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sef1amw5gtf
    @user-sef1amw5gtf8 ай бұрын

    사라진 문자 빨리 부활 시킵시다. 한글이 모든 소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 @user-gu6fu3gw3t
    @user-gu6fu3gw3t4 ай бұрын

    없어진 한글자음 추가하는 입법 요청해야합니다! 저도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내용 전달할게요. 한글 고도화 필수입니다! 감사합니다!

  • @smw6535
    @smw65354 ай бұрын

    강의를 들어보니 사라진 글자6개를 복원시켜야 보다 아름답고 유용한 한글이 되겠군요..국민운동이라도 펼쳐야겠습니다..

  • @user-uh6hf9em3o
    @user-uh6hf9em3o7 ай бұрын

    소름돋는 강연 다신한번 한글의 위대함을 깨우쳐 주시네요~ 사라진 훈민정음을 되살리자

  • @intelamd3076
    @intelamd30768 ай бұрын

    와 이것으로 중국어 공부하면 금방 다 공부하겠는데요..4성만 조금 배우면 거의 70%를 먹고 들어가는 거네요....이현준 대표의 통찰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 @hostmiki6370
    @hostmiki63704 ай бұрын

    정말 어마어마한 강의입니다. 지금쓰지않고있는 발음을 다시 부활시켜 쓸수있도록 논셕해주세요. 그리고 이 강의를 언어학자나.선생님들의 필수강으로선정해서 숙지하게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imaple11
    @imaple114 ай бұрын

    세종대왕님 존경합니다. 그리고 면목이 없습니다. 이제 훈민정음을 다시 제대로 사용해야 합니다.

  • @jes0909
    @jes09097 ай бұрын

    대단한 강연입니다 한글과 한글날 더 빛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7 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 @livelet24
    @livelet248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국어 시간에 한글을 배울 때, 사라진 한글 자모음도 가르치게 해야 합니다. 그래야, 한국어에는 사용되지 않더라도 외국어(영어, 중국어)를 배울 때 발음 사고력을 마음대로 발휘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v, f, z 발음 등이 훈민정음에도 존재함을 알고 있으면 모르는 거 보다 언어 공부에 훨씬 유리하고, 나아가서 현실 생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kilyongback4320

    @kilyongback4320

    7 ай бұрын

    명답...

  • @baseboy5152

    @baseboy5152

    7 ай бұрын

    80년생입니다. 국민학교 때, 교과서에 간단히 언급만 됐던 걸로 기억합니다. 반치음, 옛이응, 여린히읗, 아래아. 28자 중에 이 네 글자가 없어졌다고. 그러다가 중학교 국어시간에 훈민정음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됐고, 중1 당시에 선생님께서 비읍순경음도 있었다, 쌍히읗도 있다. 이 정도만 짚어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5 ай бұрын

    중국어 발음 뿐만 아니라 영어 발음표현까지 완벽해지네요. 책을 써서 출간해주세요. 위대한 훈민정음으로 ~

  • @user-ef4it9ro5w

    @user-ef4it9ro5w

    5 ай бұрын

    표현하지 못할 소리가 없는 완벽한 소리글 훈민정음이 자랑스럽습니다! 지금 사용하지 않는 글자도 다시 살려 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user-wx9et2ev3p
    @user-wx9et2ev3p7 ай бұрын

    저는 평소에도 영어와 한글을 비교해서 한글에 p와 f, l과 r, b와 V 등의 구별이 필요해서 한글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면 좋겠다고 생각했 습니다. 이번 강의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합니다. 바로 적용합시다. 국문학자님들 즉시 행동을 취해 주세요. 대단한 발견! 최고입니디. 제가 2년간 중국어를 배웠었는데 쯔쳐쓰셔 중국어 된 발음은 참으로 분간이 어려웠습니다. 어쨌거나 발음 방식은 제가 생각했던거와 너무나 잘 맞고 정리가 확실해서 제 귀에 쏙 들어 왔습니다. 이자리에서 초급 중국어 완전 마스터. 최고입니다.

  • @jaykim6208
    @jaykim6208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어렸을 때 영어영문학과전공한 사람인데요. 음성학을 배우면 모두 발음기호를 기초로 배웁니다. 사실, 발음기호가 학과에서 기초라고 생각하여 발음기호를 따로 가르쳐주진 않지만 음성학 수업을 들으면서 그리고 부업으로 영어를 가르치고 배우면서 든 생각은 (현재는 건설업에 취업중 이지만) 국어의 기초지식으로 영어공부를 할 때 음성학이든 문법이든 공통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문법의 경우, 촘스키 이론을 들 수 있겠지만 각설하고, 현대 한글의 경우 발음기호와 비교 했을 때 현대국어에서 사라진 자음을 고려하면 실제 발음기호와 비교하면 전혀 손색이 없습니다. 다만, 현대 한글의 경우, 사라진 옛 자음을 차치하더라도, 모두가 발음기호처럼 정확히 발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영어의 경우 모음을 예를 들어 주셔서 아시겠지만 element 경우 각각의 모음이 한국인에게는 엘리먼트 이렇게 똑같은 e표기에도 불구하고, ‘에’,‘이’,‘언’처럼 들리겠지만 마음속의 소리와 실제 문자의 발음 소리는 다릅니다. 즉 e라는 발음은 실제 에,이,어로 발음되더라도 외국인에게는 뜻을 구분하는 변별 자질이 없기 때문에 같은 음으로 들린다는 것이지요. 한 예로 저는 항상 외국인에게 제 이름을 소개할 때 kim 김이라고 말합니다. 실제발음이 영어의 경우 킴이든 낌이든 김이든 실제한국인에는 전혀 다른 소리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소리로 저를 부르지요. 반대의 예를 들어볼까요? 만약 제 성이 신이라고 한다면 실제 우리는 이것을 영어로 표기했을 때 sin이라고 표기 하지 않지요. shin이라고 할 것입니다. 발음상으로 보면 ㄱ발음이 기음화 즉 ㄱ + ㅎ=ㅋ 에 대한 변별자질은 있지만 같은 언어임에도 ㅅ+ㅎ=sh 에 대한 변별 자질은 현대한국어는 없습니다. 닭이라는 표기를 생각해 봅시다. 이것을 도대체 어떻게 발음 할까요? 한글자로 읽으면 닥이되겠지요.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닭을 이라는 글자를 읽을 때 달글로 발음 하겠지요. 이처럼 현대 한글도 영어와 마찬가지로 실제 발음되는 대로 발음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글은 자음 모음 (자음)으로 이루져 있습니다 strike의 경우 한글표기로 했을 때 스트라이크라고 표기 하겠지요. 여기서 다른 점은 영어의 경우 실제발음 되는 모음이 1개임에도즉 1음절 단어입니다. 한글은 모든 자음에 의무적으로 모음을 덧붙이지요. 그래서 모음이 스 트 라 이 크 5개가 됩니다. 즉 현대 한글 표기에도 실제 발음과 엄연한 차이가 있게 됩니다. 저는 어디까지나, 한글이 아니 모든 문자는 그 문자를 쓰는 사람들의 사회적 약속이기에 그 약속에 따라, 혹은 실제 다양한 소리를 하나의 소리로 인식하는 변별 자질에 따라 문자가 실제 소리를 모두 글자로 나타낼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감히 말씀드리지만, 한글의 경우 아니 현대 한글의 경우 타 문자체계와 비교 했을 경우, 없어진 옛 글자를 살리고 나름의 장치를 별도로 살린다면 이 세상 모든 소리를 가장 정확하게 발음 할 수 있는 유일 한 문자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zeumlee9760
    @zeumlee97607 ай бұрын

    멋지다 !. 평소에 항상 한굴의 맹점에 대해 답답해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시운하게 풀어 주시다니 기가 막힙니다. 솔직히 우리나라 한글학자들 이제껏 뭐 했는지 모르겠네요.

  • @zasepro
    @zasepro8 ай бұрын

    와, 세상에 진짜 정말 대단한 강의입니다. 이건 전국민이 배워야 할 내용이고 본래 글자도 부활시켜야 하겠네요. 역시 대한민국의 미래가 위대할 거라던 옛 성인들의 예언이 괜한 소리가 아니었습니다.

  • @user-ws6cz7mk5p
    @user-ws6cz7mk5p5 ай бұрын

    이 강의 듣고 놀랐습니다. 정말 훌륭한 강의입니다. 지상파에서도 강의해서 많은 국민들이 공감하고 교육개편을 통해 진정한 한글을 배울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lamb_trumpeter
    @lamb_trumpeter4 ай бұрын

    놀랍습니다. 사라진 문자 사용합시다..하면 되죠

  • @user-jm7er1hm3m
    @user-jm7er1hm3m8 ай бұрын

    한글학회.문화부에서 영입하셔야 하실 분 입니다. 중국의 실력자였던 "유소기"와 그 이전의 "원세개(위안 스카이)"가 주장했던 한글의 중국도입 활용주장도 기억해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ohchanghwaoh6236
    @ohchanghwaoh62366 ай бұрын

    우리한글이 세종대왕이 또 한번 이렇게 위대한줄은 이현준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알게 되었읍니다. 쓰지 않은 문자 부활할 수있도록 노력 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 @user-tw5rd2gs7j
    @user-tw5rd2gs7j8 ай бұрын

    한글 정말 대한 문자입니다 우리말을 그대로 적을수 있는 글자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글자라는것이 정말 위대한 글자입니다

  • @ZOE-yq9fx
    @ZOE-yq9fx4 ай бұрын

    너무나 공감합니다. P 와 F B와 V 를 표기하는 한글을 볼때마다 정말 거의 화? 가 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4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 @bbk4892

    @bbk4892

    4 ай бұрын

    그들이 정 안된다고 곤조 부리면 피 와 Fㅣ,,비 와 Vㅣ로 표기

  • @user-yv3bj4fc6l
    @user-yv3bj4fc6l4 ай бұрын

    여지껏 한글에 대한 강의를 이렇게 잘 해주신 분을 못 봤어요. 감사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fz8hn4gh8n
    @user-fz8hn4gh8n8 ай бұрын

    이렇게 열심히 연구하신분이 계시니 한글의 미래가 보입니다. 언어는 생성과 소멸이 이어진다고 하니 소멸된 다시 복원하면 더 완벽한 음의 체계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nb3jn6hx7y
    @user-nb3jn6hx7y8 ай бұрын

    훈민정음 사라진 발음 어서 빛을보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게 되기를.... 어렵게 발음 새로 배워가면서 영어.중국어 공부하게 하지말고...저 소중한것이 사라지지않았다면 우리는 그냥 일상생활대로 단어만 익히면 되는것을...너무 안타까운 일이네요.

  • @agnak5205
    @agnak52053 ай бұрын

    없어진 한글 네 글자가 부활하길 바랍니다! 깊이 있는 강연 감사해요. 중국어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도 드네요^^

  • @leehyunjuntv

    @leehyunjuntv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elliechang6435
    @elliechang64357 ай бұрын

    사라진 글자들 키보드에서 부터 살리는 운동 시작해주세요. 동참하겠습니다. 국립 국어원이니 되돌리지 않아도 우리가 쓰기 시작하면 언어나 문자는 바뀌게 되어있으니까요. 진짜 오랫동안 저도 화나있었거든요. 있는데.. 만들어 놨는데 왜 안쓰나 하고요. 꼭 해주세요. 키보드 한글판부터

  • @manahavana

    @manahavana

    7 ай бұрын

    키보드를 만들어 파세요..사드림. 애들에게도 선물하겠음.

  • @shindler1275
    @shindler12758 ай бұрын

    와 이거 역대급 강의입니다 시간가는 줄 모르고 들었네요!! 이거 전국민이 다 들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obbagguchin
    @nobbagguchin3 ай бұрын

    저는 중국어를 배운지 오래되었고, 거의 네이티브에 가까운 중국어를 구사하는 현재 중국에서 비지니스를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중국어를 잘 못하는 한국분들에게 오래전부터 '한국어'로 배울 수 있다고 설명했었고, 저 또한 제일 처음에 중국어 공부할때 이상하게 발음이 비슷하네 ? 라고 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중국어 그렇게 공부하지 말라고 하는 데도 저의 방식으로 정말 빠른시간에 중국어를 마스터 할 수 있었습니다. 이 강의가 일리가 있는 것이 제 스스로가 이미 20년 전부터 중국어를 공부하면서 저도 모르게 이런 이런 원리가 있다고 하면서, 체득하고 일부 사람들에게 전파해줬던 이야기 들 입니다. 저 스스로는 이 강의처럼 완벽하게 정리하여 설명할 수 는 없었지만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하니 다시 한번 머리속에 정리가 되네요... 저는 정말 많은 한국 분들이 쉽게 중국어를 배우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게 바로 국력이죠. 그래야 중국인들이 하는 말을 쉽게 알아듣고, 그들의 속마음을 알수 있게 되는거죠.. 정리하면 저는 100% 믿는 것이 ' 한글만으로 중국어를 배울 수 있다' 라고 확신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기회되면 한번 뵙고 싶네요. 약간의 발음만 고치시면 정말 중국어 잘 하실듯 싶습니다.

  • @leejuseontv
    @leejuseontv7 ай бұрын

    시카고대학교 세종연구소 교수님으로부터 들은 강의가 업그레이드된 내용 같아요 ㆍ 잘들었고 모든 한국인과 중국어 배우는분들이 이영상 보시길요🎉

  • @user-dl5vi7gv6s
    @user-dl5vi7gv6s7 ай бұрын

    사라진 훈민정음의 소리 살려내기를 바랍니다 멋찐 강의 잘 들었습니다 마니 깨우치게 뻗어나가길 우리의 역사적 국문학적 언어학적으로 더 깊은 관심과 연구와 노력을 간절히 바래봅니다

  • @seobi
    @seobi8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들었던 훈민정음 강의중에 정말 최고 입니다 소름이 돋는다는 말을 실감하네요 다시 한번 정독 해야겠어요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ANUMI
    @HANUMI6 ай бұрын

    평소 생각하고만 있던 내용을 속시원하게 강의해주시니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사라진 한글 부활했으면 좋겠습니다. 국뽕 거르고 전세계 모든 언어를 간단히 표시할 수 있는 최고의 문자인데..

  • @user-hp9sx1xh7k
    @user-hp9sx1xh7k3 ай бұрын

    한글 되살리기를 해야한다.이제 세계화가 되었으니 세계의 언어가 되기위해서는 반드시 살려야 한다.

  • @oh4460
    @oh44607 ай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모국어를 잘해야 외국어도 잘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글을 안다고 한국말 잘하는게 아니고요. 한국에서 유일하게 창조된게 훈민정음이고 정말 과학적이죠.

  • @user-xp3sx1vk7y
    @user-xp3sx1vk7y7 ай бұрын

    우리가 영어 중국어 불어 일어 스페인어 등등 외국어 배울때 알파벳식발음기호를 아예 배우지말고 훈민정음식 한글로 표기해 발음해서 쉽게 외국어를 정복하는 국민운동을 하고 교육부도 정책으로 밀어야 한다

  • @sinyou1161
    @sinyou1161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이제 한글도 세계화에 맞춰 변해야합니다. 현재의 기호들이 우리나라말에 맞춰진것처럼 세계화에 맞게 발음들을 다시 부활시킬 필요가 있겠네요.

  • @user-ub7wx1fg6d
    @user-ub7wx1fg6d3 ай бұрын

    해례본....완전 미쳤다....감동에 감동에 감동입니다~^^ 일단 인터넷 상에서 쓸 수 있도록 사라진 기호를 프로그램에 넣어주세요. 그러면 사람들이 재미삼아 쓰다가 자연스레 쓰게 될 겁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3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rx2yt7ky8k
    @user-rx2yt7ky8k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없어진기록들 전부 복구된다면 신기한거 많이나올듯

  • @musicianthe4128
    @musicianthe41287 ай бұрын

    와 새벽에 스킵 한번 안하고 다봤네요 원래 한글이 엄청난 언어 문자 인건 알았지만 오히려 없어진 글과 소리가 편의성 때문이 아니라 유실 된거 였네요 ㅠㅡ 많은 사람이 이 사실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uf2kd9wy3c
    @user-uf2kd9wy3c5 ай бұрын

    와~ 사라진 훈민정음의 모음 자음 되살려 사용하자고 백만인 서명 받읍시다~ 외래어 유입 및 표기할 일들도 점점 많아지는데... 귀한 우리 글을 절름발이로 만들어 왔다니!

  • @user-ll1oe2ks7z
    @user-ll1oe2ks7z5 ай бұрын

    멋진 강의입니다. 한글의 세계화를 위하여 반드시 잃어버린 원문을 회복해야겠네요.

  • @leehyunjuntv

    @leehyunjuntv

    5 ай бұрын

    격려 감사합니다.

  • @user-zx5wq3lk4b
    @user-zx5wq3lk4b7 ай бұрын

    한글은 경이롭네요. 지금 쓰지않는 것들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좀 더 디테일한 발음을 할 수 있는 것들이네요. 적어도 이 발음들을 외국어 할 때만이라도 살렸으면 좋겠네요. 대단하십니다. 이렇게 중요한 것을 모르고 있었다니 안타깝네요.

  • @leehyunjuntv

    @leehyunjuntv

    7 ай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user-bn5pl7si5s
    @user-bn5pl7si5s8 ай бұрын

    우리가 피상적으로만 알던 훈민정음에 대해 정확히 알려주어 정말 감사합니다 이강의 내용을 널리 전파하여 사라진 글자도 복원하여 한글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해례본에 나와있는 내용도 적극 홍보해야 합니다

  • @user-mu6qr7rr5k
    @user-mu6qr7rr5k3 ай бұрын

    저는 중국 사대주의 때문에 한글에 중국어 발음이 훈민정음에 있는 줄 알았는데 그 반대 였다니 깊이 깨닫고 반성합니다. 감사합니다.

  • @inseoblee8384
    @inseoblee83842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연구입니다 사라진 한글 살려내야 합니다

  • @user-mt4gd4ws4z
    @user-mt4gd4ws4z8 ай бұрын

    순경음을 살려야 합니다. 현제 우리나라 한글학회는 해체 해야 합니다.아주 나쁜 단체 입니다.

  • @user-tl7hq2ly2q
    @user-tl7hq2ly2q8 ай бұрын

    오~!! 사라진 글자의 음을 몰랐었는데 아주 유익한 강의네요~! 이 글자들을 다시 살려서 세계화에 맞에 우리나라 글자로 모든 언어를 발음할 수 있는 시대가 꼭 오기를 기대하게 되네요~!!!!

  • @daqmanstoryhong-pd8758
    @daqmanstoryhong-pd87587 ай бұрын

    😍너무 사랑스런 한글 훈민정음인데, 깊은 연구와 긍지로 설명해 주신 점.. 한글학자로 사라진 소중한 훈민정음을 살려주소서..감사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7 ай бұрын

    격려 감사합니다.

  • @user-bu4wg9fn9h
    @user-bu4wg9fn9h5 ай бұрын

    정말 놀라운 강의 입니다. 사라진 한글 다시 사용할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방송에 출현한번 하시면 좋겠네요

  • @msho2235
    @msho22357 ай бұрын

    국어국문학 전공자로서, 한글날만 되면 외래어 혹은 외계어 많이 쓰는 현실이 이렇다며 세종대욍님 죄송합니다 하는데 언론도 말과 글자를 구분 못하는 것이 참 한심하다. 세종대왕님은 오히려 이 박사님 말씀처럼 4개의 자음을 없애고 지금처럼 답답하게 표기하는 것에는 분노하실 것이다. 알고리즘 따라서 처음 왔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jv6gj3dm7s
    @user-jv6gj3dm7s8 ай бұрын

    진정한 애국자입니다 강의 고맙습니다

  • @user-uv9yr2oj7t
    @user-uv9yr2oj7t4 ай бұрын

    우리에게 이렇게 자랑스런 한글을 주신 세종대왕님 이하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제대로 소중함을 일깨워 주신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늘 건강히 평안하십시요 감사합니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4 ай бұрын

    네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t9ux7vw5x
    @user-ht9ux7vw5x5 ай бұрын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기에 부족한 부분을 너무 훌륭하게 지적하셨네요. 10여년전부터 저도 사용하지 않는 자음을 살려 F와 V를 표기해야 된다고 보고 손으로 글을 쓸때는 세모자음을 F로 표기해 봤습니다. 한글학회도 어서 자판기 기능을 보완해 F와 V등 외국어를 한글로도 손색없이 표기할 수 있도록 자음을 살려야겠습니다. "F"를 "프"로 표기하기에 민망한 단어가 너무 많습니다. 자랑스런 한글을 수치스럽게 만든 현실입니다.

  • @Rkfldk
    @Rkfldk7 ай бұрын

    한국학회가 봐야될 귀한 영상입니다

  • @user-yn9lk8iv5d
    @user-yn9lk8iv5d8 ай бұрын

    너무 잘듣고 갑니다. 우리모두 훈민정음이 올바로갈수 잇게 힘씁시다.

  • @leehyunjuntv

    @leehyunjuntv

    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v9vf5ub3l
    @user-yv9vf5ub3l2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한 한글이다. 다시금 훈민정음의 위대함을 느낌니다.

  • @user-gq3dz8ol5f
    @user-gq3dz8ol5f7 ай бұрын

    없어진 발음 살려냅시다, 일제시대를 거치며 없어졌으니 당연히 복원을 시켜야지요... 이현준대표님 화이팅!!

  • @zesch4u
    @zesch4u7 ай бұрын

    이 이론으로 중국사람 몽골사람을 한국어 배우는데 적용해서 사업해주세요!❤

  • @mireuch5704
    @mireuch57048 ай бұрын

    저도 국어시간에 문법 공부할 때마다 여린 히읗이나 반치음같이 사라진 자모들 써도 될 것 같은데 왜 안 쓸까? 하고 늘 궁금했어요. 그리고 국가적으로 다시 사용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랑 똑같이 생각하신 분이 계셔서 신기하네요 한글날 맞이해서 좋은 영상 보고 가요

  • @user-xu4jm3zh6b
    @user-xu4jm3zh6b4 ай бұрын

    훌륭합니다 자랑스럽습니다 일제강점기때 사라진 한글 한글찾기의 시작점 출발점 감사합니다

  • @user-hj6uw7dv7l
    @user-hj6uw7dv7l8 ай бұрын

    훌륭한것을 떠나 캠페인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 @ekeks7090
    @ekeks70907 ай бұрын

    이래서 사람이 배워야해

  • @user-jk5kp7om6r
    @user-jk5kp7om6r6 ай бұрын

    사라진 문자 살려내는 것이 우리 후손들의 소명이라 생각됩니다. 그래야 전 세계 공통어로 승화할 수 있을 겁니다. 참 좋은 공부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x7vd1un5j
    @user-yx7vd1un5j6 ай бұрын

    외국어 표기법이라도 사라진 글자를 사용하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그러면 천천히 사라진 글자를 제대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이스라엘이들은 나라를 잃고 그래서 잃어버렸던 말도 되살려서 지금 히브리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 @ongdalm3591
    @ongdalm35918 ай бұрын

    세종대왕님 후손들이 죄송합니다. 잘 만들어 놓으신거 다 잘라서 걸래짝을 만들어 쓰고 있내요.. 참.. 쪽팔려서 원..

  • @user-xl4cy7jj2n
    @user-xl4cy7jj2n8 ай бұрын

    없어진 모음은 별도로 초딩때 배우기만 하고 외국어 공부시 발음기호로 꼭 활용하자.

  • @middragon2188
    @middragon21883 ай бұрын

    완벽한 훈민정음을 누가 망가트렸는지 모르지만 다시 복원해야 합니다.

  • @user-dq3mn1sb1j

    @user-dq3mn1sb1j

    Ай бұрын

    진짜 명강입니다

  • @Everyday.0908

    @Everyday.0908

    Ай бұрын

    와~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너무 감동입니다. 외국말 쓸데 한글로 발음하기 힘든게 많았는데, 이렇게 좋은걸 없애고 고생을 하고 있었네요. 제발 부활됐음 좋겠네요

  • @haskar-by5pl

    @haskar-by5pl

    20 күн бұрын

    없앤게 아니라 안써서 도태된거에요.

  • @paranbeee
    @paranbeee4 ай бұрын

    천재적인 조상님들의 혜안에 감탄을 멈출 수가 없네요. 감사합니다.

  • @taekanghwang
    @taekanghwang8 ай бұрын

    심도 깊은 강의 감사합니다. 세종대왕님이 세계적으로 추대 받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 거죠.

  • @user-zx4jk6gh7e
    @user-zx4jk6gh7e8 ай бұрын

    사라진 글자를 다시 사용합시다.진짜 만들어논 문자를 활용해야겠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