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하고 앉아있네 [천문학자들 S8E03] 천체 관측의 훼방꾼을 쫓아내는 방법!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과학하고앉아있네 #천문학 파토 #최팀장 #K박사 #M박사 #별을싫어하는천문학자
·오프닝
00:08 파토의 '난 앓아요'
04:54 거짓말로 영상을 만드는 가짜뉴스 유튜버
12:09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성공
·K 박사의 천문학 뉴스
22:32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네 가지 주요 목표
25:41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암흑물질 연구에도 사용된다
27:03 암흑물질을 관측으로 연구하는 방법
38:29 암흑물질의 후보들
·뉴튼의 발가락
48:28 망원경 관측준비
1:09:29 정확한 천체 사진을 얻는 방법
1:32:24 관측 방해요소
- 과학과 사람들 제공
‘사람들’에 많이 가입해 주세요! 🥰
www.sciencepeople.co.kr/membe...

Пікірлер: 84

  • @dokichiro
    @dokichiro2 жыл бұрын

    정통 과학 채널보다 찌라시 채널이 더 조회수가 많이 나온다는 사실이 너무 안타까워요. 과학과사람들 화이팅! 구독자 백만 가즈아~!

  • @user-yk9yw4no4b

    @user-yk9yw4no4b

    2 жыл бұрын

    요즘 트렌드와 맞지 않는 것은 사실이죠. 긴글은 읽기 꺼려하고 1분안에 정보를 전달하는 유투브가 인기가 있으니까요. 과학과사람들도 풀버전과 핵심요약 버전을 같이 가는게 어떨까요? (이 댓글을 편집자가 싫어합니다.)

  • @user-zp4zp1bq5s

    @user-zp4zp1bq5s

    2 жыл бұрын

    333ㅡㅡ

  • @myoungkyupark3640

    @myoungkyupark3640

    Жыл бұрын

    ㅣㅋㄱㄱㄱ

  • @myoungkyupark3640

    @myoungkyupark3640

    Жыл бұрын

    ㄱㅋㄱㄱ

  • @myoungkyupark3640

    @myoungkyupark3640

    Жыл бұрын

    ㄱㄱㄲ

  • @taehee_kong
    @taehee_kong2 жыл бұрын

    파토님이 있으니까 진짜 과학과 사람들 느낌이 나네요. 내용도 좋고 전달력도 짱짱. 자주자주 나와주세요(고정이면 더욱 좋고요)

  • @j.k.3508
    @j.k.35082 жыл бұрын

    공개 전인데 타임라인의 "난 앓아요"가 벌써부터 웃겨요.ㅋㅋ

  • @user-fv7gy2qy4n
    @user-fv7gy2qy4n2 жыл бұрын

    케이박사님 목소리가 많이 쉬셨네요 넘 무리하시는건 아닌지 건강 잘 챙기세요 항상 응원합니다

  • @user-wr6rk4gb3g
    @user-wr6rk4gb3g2 жыл бұрын

    기다리던 방송입니다.. 제임스웹 망원경이 암흑물질의 정체를 아는데 역할을 많이 했으면..좋겠네요

  • @ggokd
    @ggokd2 жыл бұрын

    k박사님 비뚤어지신 모습이 돈 룩업 후반부에 디카프리오 같아요ㅋㅋㅋㅋㅋㅋ......눈물나는...

  • @choiakira
    @choiakira2 жыл бұрын

    내일 지구에 종말이 온다해도 난 지금 이 영상속 M박사님을 보며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아름다움에 취해 행복한 최후를 맞이할 것이다. 우윳빛깔 M박사~ 사랑해요 M박사~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chatnoir709
    @chatnoir7092 жыл бұрын

    노래천재 M박사님 화이팅~

  • @neoleft5064
    @neoleft50642 жыл бұрын

    근데 엠박사님 자세가 되게 예뻐요 흔히 연구자들은 자세가 안좋을거라는 편견이 있는데 바른 자세를 하고 있어서 오히려 신기한 ㅎㅎ

  • @user-dc4cs8ew1x
    @user-dc4cs8ew1x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viran4078
    @viran4078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ciencewithpeople

    @sciencewithpeople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gk6mz9dt6i
    @user-gk6mz9dt6i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반가운 얼굴들 ㅎㅎ

  • @user-ns8qq6dn3i
    @user-ns8qq6dn3i2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는 과학 설명 감사합니다. 로제타폴드도 궁금하네요. 다음에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 @user-iq3tp4dx8t
    @user-iq3tp4dx8t2 жыл бұрын

    '난 앓아요' 진짜 웃기다. 파토님 건강하세요~

  • @user-nt5ps9ib6v
    @user-nt5ps9ib6v2 жыл бұрын

    ㅎㅎ 최근에 알게 되고 파인만편 너무 인상깊게 들어서 같이 소개해주신 책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 책도 샀어요! 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고 열심히 응원할게요!

  • @makerfx4399
    @makerfx43992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센과치히로 행방불명의 여주같은분이있네요.

  • @jhp99
    @jhp992 жыл бұрын

    토요일날 갈 생각이었는데 설마해서 부산과학관 들어가보니 예약제였네요 ㅠㅠ (이미마감...)

  • @michel8207
    @michel82072 жыл бұрын

    아 확실히 깊이가 다르네요.

  • @user-qp3yo9uz9r
    @user-qp3yo9uz9r2 жыл бұрын

    다 살아 계셔서 훌륭하십니다. 코로나 안걸리면 유행에 민감하지 못한겁니다. 저도 완치후 이제 안심되요 도리어 ㅎㅎㅎ

  • @go2mars545
    @go2mars5452 жыл бұрын

    최진영님 팬입니다~~ 허구헌날 응원하고 있답니당~

  • @user-np4es2nt8k
    @user-np4es2nt8k2 жыл бұрын

    두번 듣고 있는데 '쫄래쫄래'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 @sonsm4881
    @sonsm48812 жыл бұрын

    꼭 화면에 현재 논의하고 있는 주제를 자막으로 달아주세오. 그러면 더 많은 사람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user-dv3hx9dg1q
    @user-dv3hx9dg1q2 жыл бұрын

    최팀장님... 말씀 하실때 처음 부분이.... 개그맨최양락 같은 느낌이...ㅋ 알까~기..ㅋㅋ

  • @user-gf2lf2io1m
    @user-gf2lf2io1m2 жыл бұрын

    역시 파토님이 있어야 재밌다니깐요! 매주 출연 해주세요 제발 ㅠㅠ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2 жыл бұрын

    허블로 5개월 걸리는 딥필드 촬영 같은걸 제임스웹 으로는 2초면 얻을수 있다고 합니다.

  • @StarryX2
    @StarryX2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 채널 구독자가 10만이 안되네요. 쇼크~

  • @zxcmmcxz
    @zxcmmcxz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편하게 틀어놓고 머리에 들어올때까지 반복해서 듣는데 영상길이 자체가 길어서 진입장벽이 좀 있는거같긴합니다 ㅋㅋㅋ 짧은 영상들도 좀 올려주시면 많은 분들이 좀더 라이트하게 즐길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당 항상 재밋게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화이팅!

  • @user-yk9yw4no4b
    @user-yk9yw4no4b2 жыл бұрын

    파토님 질문하신 우리 눈으로 보는 거랑 실제 우주는얼마나 다른가를 항상 궁금해 했어요. 태양은 가시광선을 많이 내지만 우주는 그렇지만은 않다. 감사합니다.

  • @user-ni5ku1hb5z
    @user-ni5ku1hb5z2 жыл бұрын

    색깔 별사진은 천문학보다 아트에 가까운 것이었나요?

  • @user-qu8oy5zz1k
    @user-qu8oy5zz1k2 жыл бұрын

    진짜 과학

  • @user-di7ud5im2t
    @user-di7ud5im2t2 жыл бұрын

    18:11 미국의 우주사령부는 해군산하가 아니라 공군산하의 미공군 우주군이 트럼프대통령때 우주군사령부로 확장독립된겁니다. 미국은 육군,해군,공군,해병대 + 우주사령부 이러게 5군체제로 바뀐것이죠.

  • @orangeblue9141
    @orangeblue91412 жыл бұрын

    raw 데이터가 저정도인줄 몰랐네요!! 한번 ..관측소가서 보고싶네요!!

  • @user-vi3oo9qe4c
    @user-vi3oo9qe4c2 жыл бұрын

    가짜 뉴스 문제죠....어떤 과학 체널은 놀라운 뉴스를 알려준다고 하고 트롯트를 계속 틀어버리는 곳도 있더군요.

  • @nangha2012
    @nangha20122 жыл бұрын

    예로부터 제일 큰 문제는 모르는게 아니라 잘 못 된걸 옳다고 믿고 있는거지

  • @ddolki1990
    @ddolki19902 жыл бұрын

    100년 뒤의 천문학자들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 어떤 발견이 있을지 너무 기대되요. 라부아지에 이전의 플루지스톤이나 마이클슨몰리 실험 이전의 에테르처럼 취급되진 않을까 하는 생각도 많이 합니다.

  • @soundaether6018

    @soundaether6018

    2 жыл бұрын

    조송현 님의 에테르의 귀환 이란 글을 추천요

  • @JhJh12162

    @JhJh12162

    2 жыл бұрын

    에테르랑은 다른게 에테르는 잘 모르는걸 가지고 저건 에테르란거다! 단정을 해버렸지만 암흑물질,암흑에너지는 그냥 뭔가 에너지가 있는데 당최 뭐인지는 모르겠는 미지의 에너지,물질이라는 표현이다보니 뉘앙스가 좀 많이 다르긴해요

  • @tv-wx3go
    @tv-wx3go2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 @godel8988
    @godel8988 Жыл бұрын

    k박사님의 수학공부 노하우 1:54:40

  • @pushumanity
    @pushumanity2 жыл бұрын

    이채널.. 10분으로 영상 편집본 나오면 엄청 자주볼텐데

  • @prollejazz
    @prollejazz2 жыл бұрын

    49:51 잉위 맘스틴 ㅋㅋㅋㅋㅋㅋㅋ

  • @tonemay1125
    @tonemay11252 жыл бұрын

    왜.....10만을 못 넘는거야? 이해할 수가 없네요.

  • @user-ff6yu5jl6c
    @user-ff6yu5jl6c Жыл бұрын

    파토님 k박사님 m박사님 최팀장님까지 너무 너무 좋아요 ㅎㅎ 운전하면 집안일 하면서 들으며 일하는데 저에게는 노동을 잊게하는 마약 같은방송이네요..과학하고 앉아있네를 보면서 뇌색남 뇌색녀가 이런것이구나 느낌니다.파토님도 좋고 k박사님 넘 좋아합니다!! 매일 구독자수 보는게 일과입니다 실버버튼 가즈아!!!

  • @piamarine
    @piamarine2 жыл бұрын

    위대한파토님!! 골골 100이라고합니다 건강하시고 자주 보고싶습니다

  • @user-qu4hv8xp8o
    @user-qu4hv8xp8o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 요즘 암흑물질의 후보로 "원시 블랙홀 (primordial black hole)"이 많이 언급이 된다고 하는데 ... 어디에도 자세한 설명을 듣기가 힘들군요 ... 기회가 되시면 K박사님의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MrKimDaeng
    @MrKimDaeng2 жыл бұрын

    허위정보영상 저도 며칠전에 하나 봤습니다 미국 교과과목에 한국사가 필수교과목으로 추가된다고 해서 아무리 생각해도 상식선에서 벗어나는 일이라 검색을 이리저리 해봤는데 나오는게 없더라구요 이슈란게 매일매일 딱딱 원하는데로 나와주는게 아니다보니 십수년 묵은 옛날 정보들까지 최신 뉴스인양하는것까지도 이해하지만 아예 존재하지않는 허위정보는 자신은 물론 다른 채널들에게까지 부정적인 이미지를 씌우게 되는데 진짜 반성 좀 했으면 좋겠어요

  • @nn5481
    @nn54812 жыл бұрын

    아마추어 천문사진 촬영도 이제는 학문용 장비와 절차가 동일하네요. 냉각 카메라로 RGB채널 찍고 다크, 플랫, 바이어스 처리해서 노이즈 없애고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구경이 크면 에어글로우도 유의미해지기 때문에 하늘 배경도 감산해줘야 합니다.

  • @nn5481

    @nn5481

    2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에어글로우는 어떤 방식으로 촬영하나요?

  • @user-qq9gb9uf7h
    @user-qq9gb9uf7h2 жыл бұрын

    관측에 노안이 방해될까요?

  • @tonemay1125
    @tonemay11252 жыл бұрын

    파토님! 무사귀환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HappinessAndLuck
    @HappinessAndLuck2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이 인도 철학에서 말하는 아카샤와 같은 걸까요?

  • @user_anonymous001

    @user_anonymous001

    2 жыл бұрын

    그럴리가요..... 아카샤는 과학의 영역이 아니죠. 과학자들이 기겁합니다.

  • @user-il3xd1os8k
    @user-il3xd1os8k2 жыл бұрын

    이거 어느 방송국 에서 하는 거요

  • @EskEscSwc3570
    @EskEscSwc35702 жыл бұрын

    가짜정보를 과학기사로 내보내는 채널들을 거르고 싶은데 혹여 즐겨보는 몇몇 천문학 관련 채널들도 그런 게 아닌가 싶어 걱정이 됩니다만 알 방법이 없네요.

  • @user-qp3es2jt4j
    @user-qp3es2jt4j2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남자분은 수령님 ,,,,,이신가요?

  • @user-id6wf1wj1h
    @user-id6wf1wj1h2 жыл бұрын

    K박사님 해탈하신거 같아요 ㅋㅋㅋ

  • @Golden-Ant
    @Golden-Ant2 жыл бұрын

    2등

  • @user-qp3yo9uz9r
    @user-qp3yo9uz9r2 жыл бұрын

    20년안에 외계인 존재 확인되나요?

  • @lowflying4414
    @lowflying44142 жыл бұрын

    직선하나 없는 동그라미, 곡선 하나 없는 삼각형... 관점... 원뿔은 관점에 따라 직선이 하나도 없기도 하고, 곡선이 하나도 없기도 합니다. 과학하는 사람들의 설자리가 점점 좁아진다고 느끼는것은 "지나치게" 자신의 관점에만 머물러 있어서가 아닐까요? 대중의 관점에서 쉽고, 짧고, 재미있게, 재치가 부족하다면 유쾌하게 접근하시면 찾고 있던 관점을 만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ps : 채널명부터 과학쩐내가 코를 찌르는 듯합니다.... - 브랜드네임에 부정적인 단어로 성공한확률을 계산해보십시오. - 40대 후반이 당신의 승승장구를 기원하며....

  • @user-py4lf6gd5d
    @user-py4lf6gd5d2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의 본질과 정체는... 설명하기 귀찮아서 그냥 저만 알고 있는걸로...안 알랴줌

  • @user-nq5li3sv2r
    @user-nq5li3sv2r2 жыл бұрын

    보정된 천체 사진 말고 진짜 두 눈으로 보여지는 천체의 모습은 어떨지 진짜 궁금하다

  • @jinhongkim7484
    @jinhongkim74842 жыл бұрын

    우크라전쟁으로 사이버렉카넘들 장사질 엄청 잘 되던데

  • @throneblack6901
    @throneblack69012 жыл бұрын

    도올 김용옥 선생님 채널 봐도 그렇고, 흥미 있는 부분, 잼 있는 부분 2-3분 정도 분량으로 편집해서 홍보용으로 올리는게 좋을거같아요

  • @teamplay765able
    @teamplay765able Жыл бұрын

    건강.....아시겠지만 좀 더 운동하셔서 소중한 말씀 계속 해 주세요 !

  • @odinoaa9230
    @odinoaa92302 жыл бұрын

    특히 에쏘디가 자극적인 제목 잘뽑죠

  •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Жыл бұрын

    석탄같이 까만건가 흑연뭏질?

  • @cynicyoky
    @cynicyoky2 жыл бұрын

    과학이야기는 안하시고 여행기를 말하네 잼 없네 왜 기행문을 듣고 있는거죠?

  • @AmesaGim

    @AmesaGim

    2 жыл бұрын

    듣고도 그게 과학이야기인줄 모르는 님 능지를 탓하심이 ㅠㅠ

  • @perthian-iaj

    @perthian-iaj

    2 жыл бұрын

    와.....능지수준이...이런 사람도 있구나;;

  • @cholb2012

    @cholb2012

    2 жыл бұрын

    어라....재밌는 여행기 맞는데

  • @hahaagi
    @hahaagi2 жыл бұрын

    천문대 카메라도 결국 센서처리하는 기본적인 일을 하고 있군요. 당연히 할텐데 그런 생각을 못하고 있었네요. 과학과 공학이 멀리 있지 않군요. 좋은 말씀에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