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하고 앉아있네 [천문학자들 S8E05]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과학하고앉아있네 #천문학 #파토 #최팀장 #K박사 #M박사 #김재영교수 #M87 #블랙홀 #ETH
· 오프닝
00:05 파토의 뉘우침 & 미국 의회에서 열린 UFO 청문회
· 천문학 뉴스 (M박사 & K박사)
19:43 JWST, 외계 행성의 지질학 연구 계획 발표
42:31 과거 은하일수록 더 무거운 별이 많다
· 뉴턴의 발가락 (김재영 교수의 블랙홀 촬영 성공담)
54:25 ETH(Event Horizon Telescope) 팀 합류 계기
블랙홀 이미지를 얻기까지의 과정
블랙홀 신호를 판별하는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관측이 어려운 이유
앞으로의 계획
- 과학과 사람들 제공
‘사람들’에 많이 가입해 주세요! 🥰
www.sciencepeople.co.kr/membe...

Пікірлер: 64

  • @idgmatrix
    @idgmatrix2 жыл бұрын

    대학원생 시절 직접 EHT 프로젝트에 참여하셨던 김재영 교수님이 나오셔서 정말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네요.

  • @user-qi1sp2of1w
    @user-qi1sp2of1w2 жыл бұрын

    오늘 따라 너무 재밌어요. 최팀장님 화이팅 하시네요~👍😄

  • @skysurfr
    @skysurfr2 жыл бұрын

    역시 천문학은 모르는 내용이 많아도 흥미진진하네요.

  • @rosajeon3448
    @rosajeon34482 жыл бұрын

    김재영 교수님 EHT, 블랙홀 관측 관련 자세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 @observancechoi
    @observancechoi2 жыл бұрын

    역시 꿀잼~~~ 자주 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쉬울뿐~ ㅋㅋ

  • @youngyicify
    @youngyicify2 жыл бұрын

    귀한 내용 너무 잘! 보았습니다. 어렵고 방대한 내용을 짧은 시간에 설명 하려고 노력 하시는 모습이 보여서 짠! 했어요! 다음에는 8시간 정도 잡고 천천히 설명 듣는 시간이 있었으면 합니다!ㅋㅋ 감사합니다.

  • @astrokhn
    @astrokhn2 жыл бұрын

    김재영 교수님 좋은 목소리로 차분히 설명해주시는게 참 멋집니다. 하지만 방송이라 긴장하신 건지 ‘이제…그…이제’라고 하는 말씀을 계속 반복하시다보니 듣기에 힘든게 있었어요>.< ‘이제’ 노이로제 걸릴 것 같은..^^;; 다음에는 너무 긴장하지 마시고 편하게 방송해주세요~

  • @youngyicify

    @youngyicify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약간 그렇게 느껴 지면서 귀엽기도 했어요!ㅋㅋ

  • @user-dy3uv4rr5d

    @user-dy3uv4rr5d

    2 жыл бұрын

    “예를 들어서” 오천번 들려요 ㅎㅎ

  • @yun0517

    @yun0517

    2 жыл бұрын

    아 저도 "근데 이제..."가 계속 귀에 들어와서 내용 집중이 안되네요. 내용은 좋은거 같은데...ㅠㅠ

  • @zooksoon140
    @zooksoon140 Жыл бұрын

    20분씩 나누어서 올리면 구독자 많이 늘어날거 같아요ㅠㅠ

  • @damoaplus
    @damoaplus Жыл бұрын

    자전거 장거리 탈때마다 케이박사님 나오시는 방송 들이면서 힘들어도 이겨내고 있습니다... 케이박사님 원탑방송 하나 만들어 주세요 ^^

  • @lainkim6218
    @lainkim62182 жыл бұрын

    실시간 놓쳐서 지금 주행 중 ㅎ

  • @JJ-wt7vq
    @JJ-wt7vq2 жыл бұрын

    파토님 최팀장님 보고 "잘하고 있어" ㅋㅋㅋㅋㅋㅋㅋ

  • @user-qu4hv8xp8o
    @user-qu4hv8xp8o2 жыл бұрын

    수고 하셨습니다 ... 항상 재미있게 잘 듣고 있습니다 ... 아쉬운건 오늘 자료 화면이 하나도 없었네요 ㅜㅜ ...

  • @azoozypark
    @azoozypark2 жыл бұрын

    인 제 ~~ 눈물을 거으어두어.

  • @j.k.3508
    @j.k.35082 жыл бұрын

    인트로만 몇 번째 보는지 ㅋㅋ 다들 커여우심 ㅠㅠ

  • @ssoh001
    @ssoh0012 жыл бұрын

    블랙홀 관측보다는 양자컴퓨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내용 ㅋㅋㅋ

  • @ok-good
    @ok-good2 жыл бұрын

    ufo, 맹성열 교수님 초대해주세요 ㅎ

  • @parkbom694
    @parkbom6942 жыл бұрын

    파토님 건강하세요 ~ 팀장님..한동안 좀 자중하시려는 듯 하시더니;;어디 안가셨네여

  • @mimusone9028
    @mimusone90282 жыл бұрын

    「참"좋다. 」 . .

  • @user-fy6or4bz3g
    @user-fy6or4bz3g2 жыл бұрын

    mmmmoooo~~~

  • @user-sq7uq6rx9n
    @user-sq7uq6rx9n2 жыл бұрын

    자료 관측에 있어 보상 보간 기법은 이미 기상자료 관측및 분석 기법에 이용되고있고 전파망원경 이용한 블랙홀 촬영도 지구 자전을 이용한 보간 보상법을 이용했다는 뉴스를 봤는데.. 방법에 있어 기상 자료 관측 보다는 훨신 어렵고 자료 분석이 복잡할 듯 한데 언급이 전혀 없군요.. 그게 핵심일텐데... 게다가 우리 은하의 경우 필터링을 어떻게 했는지도 궁금했었는데.. 프로젝트에서 뭘 했다는건지...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Aperture synthesis에서 complex visibility의 uv plane에 포인트를 자전으로 채워주는 걸 보간 보상이라고 하시는 것 같네요.

  • @aousee
    @aousee2 жыл бұрын

    이 넓은 우주에 우리만 존재한다고 믿는게 더 상식인걸까요??

  • @user-ix2jq3xl3s

    @user-ix2jq3xl3s

    2 жыл бұрын

    아뇨!!!

  • @user-sf3wv9mb4s
    @user-sf3wv9mb4s2 жыл бұрын

    1:44:32 조카들 : 선 넘네...

  • @azoozypark
    @azoozypark2 жыл бұрын

    인제

  • @dalwonseo9097
    @dalwonseo9097 Жыл бұрын

    [의견 또는 제안] 라이브 등으로 끝난 영상을 재 업을 할때 각 섹션별로 주제별로 따로 따로 영상을 올려 주셨으면 합니다. 내용에 만족하고 즐겨 보고 있습니다만. 통 영상을 보기에 시간적으로 부담이 되고 관심사 외의 것도 봐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은 더 더욱 관심분야 외의 것이나 느리고 긴 호흡의 영상을 보기 어려워하고 싫어 합니다. 경제상식과 잡상식을 컨텐츠로 하는 '슈카월드'를 참조 해 보시기 바랍니다.

  • @user-gq6gi9et1i
    @user-gq6gi9et1i Жыл бұрын

    LHS가 정확히 무슨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 @jeslee2527
    @jeslee25272 жыл бұрын

    라운드로빈 하면 막 서로 답 맞춰보고 그러던데 ㅋㅋㅋ 세계적인 연구하시는 분들은 다르군뇨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설명대로 영상화 과정에서 작업이 누군가의 생각대로만 흘러가는 바이어스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네요. 교수님 설명대로 전파 이미지는 카메라가 짧은 파장의 빛을 영상화하는 원리와는 상당히 다르거든요. 실제로 이 케이스도 전파를 이미지로 복구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한 게 맞냐는 소수의 의견도 있긴 합니다. 공개된 데이터를 가지고 자기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방식대로 복구했더니 안 된다, 너네 혹시 중간 과정에서 뭔가를 빼먹은 게 아니냐? 라는 어조의 논문인데, 논의의 흐름을 보면 재미있어요.

  • @user-bw7pe6se5j
    @user-bw7pe6se5j2 жыл бұрын

    파토님 블랙홀에서 외계인을 관측해야된다 이론을 아직도 밀고계시네 우종학 교수님이 안된다고 했는데도ㅋㅋ 혹시 있다고 해도 적색편이가 너무 커서 못봐요 팽창하는 우주의 지평선에서 오는 빛을 보는거랑 비슷한 난이도

  • @user-eq2po3gu7r
    @user-eq2po3gu7r2 жыл бұрын

    그냥 제 SF뇌피셜인데요. 극도로 진화된 문명이 중력에 대한 문제를 풀어서 반중력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된다면 꼭 워프처럼 공간을 접어서 이동하는 일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그렇게되면 이미 공간의 팽창이 빛의 속도보다 빠른것을 보면 빛의 속도를 넘어서는 이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항성간 이동이나 은하계간 이동이 자유로워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문제는 통신인데 반중력 통신이 물리적으로 가능할까 하는 의문은 있습니다. 그런데 양자역학에서 한쪽의 정보가 특정되면 다른 한쪽의 정보가 확정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까? 뭐 그런 소설을 써봅니다. 진짜 미친소리 아니고 UFO를 두번 목격한 저로서 제가 본 UFO는 시리우스정도의 환한 빛을 내며 정면으로 다가오다 오른쪽으로 90도정도 예각으로 이동하며 강한 빛을 발산하고 사라졌거든요. 그것도 같은 현상을 두번이나 목격했습니다. 한번은 2005년쯤 남양주에 위치한 근무하고 있는 부대에서 야간경계근무를 서다 발견했고 한번은 2018년경 아산에서 혼자 밤하늘을 보며 별멍을 때리고 있을때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우리의 현재 물리법칙으로만 생각하는 것은 이 무한한 우주에서 너무 편협한 사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그래서 인터스텔라처럼 중력을 서술하는 물리법칙이 발견되서 반중력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면 우리도 성간우주를 탐험할 수 있는 생명체로 발전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그러기 전에 화석연료나 핵분열을 에너지로 쓰지않는 문명으로 발전하는게 우선으로 보이기도 하고요. 주저리주저리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tk4bu6nc5e
    @user-tk4bu6nc5e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예전에 파토님 k박사님 최팀장님 세분이 하실때가 가장 좋았던 것 같아요. 나오는분이 넘 많아서 산만해요. 초대손님으로 오신분도 한참동안 말할기회도 없으시고.. 그냥 아쉬움에 한마디했습니다.

  • @heapseq.4953
    @heapseq.49532 жыл бұрын

    금회 내용요약 : '이제' = 1,094번 / '그런' = 173번 / '사실'=116번. 정신병걸릴거같아 화자별 분류까지는 포기..

  • @voltaire420

    @voltaire420

    2 жыл бұрын

    ㅋㅋ 진짜 센거임?

  • @user-tk4bu6nc5e
    @user-tk4bu6nc5e Жыл бұрын

    다시 듣는데 "이제 그.." 때문에 노이로제 걸릴 것 같아요 ㅜ.ㅜ

  • @Hi_Soo
    @Hi_Soo2 жыл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hJ2GlbCRj7Gahbw.html 중간에 나온 채널이 요긴가 봅니다.ㅋㅋㅋㅋㅋㅋ ㅇㅅㅇ 그냥 개그입니다.

  • @user-cg5rf7ko7k
    @user-cg5rf7ko7k2 жыл бұрын

    이번편 초반부터 파토님 엠박사님을 딸 처다보듯이 쳐다보고 자꾸 가스라이팅으로 노벨상을 타야한다고 주입시키고 ㅎㅎ 그런게 마니 보이네요 ㅋㅋㅋㅋㅋ 오죽하면 최팀장님이 후반에 고만좀 하라고 ㅋㅋㅋㅋㅋ

  • @user-fn5kf8ct1o
    @user-fn5kf8ct1o2 жыл бұрын

    인제 그~~~ 그~~~ 집중 안되네

  • @lineroh1
    @lineroh12 жыл бұрын

    게스트 교수님 천재가 분명해요. 천재 중에서 핵심을 말하지 못하고 생각나는대로 횡설수설하시는 분들이 가끔있습니다. k박사님이 설명하는 능력이 워낙에 출중해서 … 아무튼 고생하셨습니다.

  • @prosence
    @prosence2 жыл бұрын

    블랙홀 아닙니다

  • @climcloud
    @climcloud2 жыл бұрын

    제발 제발 제발 제발 ‘이제’ ‘근데’는 그만

  • @boneworker108
    @boneworker1082 жыл бұрын

    '이제` 좀 그만하세요 ㅠㅠ

  • @jungtaekkim1826
    @jungtaekkim1826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때문에 일부러 멀리 떨어져 앉는건가요? 인물이 너무 작아서 집중이 되지 않습니다. 너무 딱딱해보이고 재미없어보입니다 ㅠ 맨날 팟캐스트만 듣다가 유튜브도 흥하라고 좋아요 누르러 들어왔는데 깜짝놀랐습니다.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 단독샷만 보여주면 좋겠습니다. 멀리 떨어져 앉았는데다가 전체 샷이 많다보니 화면이 빈공간이 너무 많습니다..70%는 빈공간이에요. 빈공간 보려고 영상보는거 아니잖아요ㅠ 예~전에 하던 영상 구도? 편집이 더 좋습니다. kzread.info/dash/bejne/ZoOetdV9er2aoJs.html 이 영상은 보는사람이 현장에서 함께 이야기 나누는 느낌을 받을수 있습니다

  • @user-le8pc7hs6g
    @user-le8pc7hs6g2 жыл бұрын

    외계행성 지질연구나 블랙홀 촬영보다는....일단 성능 좋은 망원경 카메라로 미확인 비행물체 찍으러 다니는 단체를 국가적, 국제적으로 좀 만들어봐.....그놈의 UFO 실체나 좀 뚜렷하게 봐보고 우주를 연구하던지....앉아 있지말고 카메라 들고 뛰어다녀....

  • @samshigi9008
    @samshigi90082 жыл бұрын

    이번회는 내용이 머리속에 들어오질 않아요. 젊은 분이 어떻게든 차근차근 풀어나가보려 애쓰는 모습은 보이는데 두서가 없고 이거 예기하다 저거 설명하고.. 스피치랑 미디어트레이닝연습좀 많이 하셔야겠어요 아 그리고 ‘ㄷ’ ‘ㄹ’ 발음 섞이는것도 많이 거슬리고요

  • @user-np6xw1vg9b
    @user-np6xw1vg9b2 жыл бұрын

    김재영교수 블랙홀 프로젝트 참여자 맞나요? 아님 데이타 분석 알바생이었나요? 전체적인 원리나 데이타 분석의 구체적 방법 등은 전혀 접근을 못하네요.. 게다가 어휘의 거의 절반이 "이제" "사실" "그게" "근데" "실재" ..... ㅠㅠ K 박사님이 딱해서 간간이 개입하시네요..

  • @rcn810

    @rcn810

    2 жыл бұрын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영상에서 물리학 학술지 논문이라도 바라는겁니까? 이영상으로 학위라도 따시게요? 저분들이 여기서 학술강연을 하려고 나온게 아니라 대중에게 개략적인 사실전달과 이해를 돕고자 만든영상입니다. 정말로 그런 구체적이고 정확한 자료를 알고싶으시면 물리학과 청강을 하세요.

  • @kbkim8586

    @kbkim8586

    2 жыл бұрын

    어우 말씀을 이렇게 막 하시면 만드신 분들은 물론이고 다른 시청자들도 기분이 상한답니다.

  • @winsky9306

    @winsky9306

    2 жыл бұрын

    이곳 미쿡에셔는 데이타 분석 알바생은 시간당 $ 100.00 정도를 받는걸로 알고ㅇㅆ어요

  • @user-np6xw1vg9b

    @user-np6xw1vg9b

    2 жыл бұрын

    글쎼요... 저도 위와 같은 과격한 댓글 단 것은 처음이지만.... 그래도 비난은 감수해야겠지요.. 굳이 해명하자면, 그 동안 과,사 컨텐츠를 보면서 단 한번도 게스트 분들의 실력이나 그들의 설득력을 의심해본 적이 없었으니... 만족 스러웠다는 의미이지요. 그렇죠.. 박수치러 오진 않았지만 항상 박수를 치는 상황이었지요. 왜야하면 어느 분 말씀처럼 "학술지 논문" 까지는 아니어도 타 전공에 대하여 뉴스 보다는 충분히 깊게 이해를 얻어가는 입장이었으니까요. 그러니 비난을 받더라도 세계 굴지의 연구소를 거쳐 국립대에 재직한다는 "교수?"분으로 부터 자신이 참여했다는 "블랙홀 촬영 프로젝트"에 대하여 뉴스 만큼도 설명을 듣지 못하고 버벅대는 강의를 한시간 이상 듣다보니, 실망한 "대중"의 자격으로 한마디 해 주고싶었지요.. 만족하신 분들에겐 "분위기 망쳐서" 죄송합니다.

  • @user-mh9se1ii6p

    @user-mh9se1ii6p

    2 жыл бұрын

    자기가 뭐라고 대중의 자격 운운.. 그냥 이런저런 부분이 아쉬웠습니다 하면 될걸 알바생이냐고 비아냥 거리고는 무슨 대단한척…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