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500년 S8E02] 전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동방정식을 찾다! : 에르빈 슈뢰딩거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격동500년 #과학과사람들 #최팀장 #곽재식 #이용 #슈뢰딩거 #고양이
00:05 오프닝
· 어린 시절 이름 풀이
01:50 과학과 가까웠던 집안 분위기
14:26 영어와 문학에 심취
17:47 뜨겁다는 건 무엇일까 (feat.볼츠만)
· 대학 시절
25:09 전기에 대한 박사 논문 집필
52:02 안네마리와 결혼
01:02:10 방사능 연구
· 슈뢰딩거 방정식
01:19:30 슈뢰딩거 방정식 완성
01:30:08 파동의 정체
01:40:57 닐스 보어와의 만남
· 나치 탄압으로 인한 해외 생활
01:49:28 옥스퍼드에서의 생활
01:56:38 오스트리아 그랏츠 대학
02:02:12 안실로스 사건으로 아일랜드에 이주
· 중년 이후의 연구
02:11:47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
02:23:12 쇼펜하우어 철학에 심취
02:34:20 미완성된 일반통일이론
· 소설 같은 순간
02:41:40
- 과학과 사람들 제공
‘사람들’에 많이 가입해 주세요! 🥰
www.sciencepeople.co.kr/membe...

Пікірлер: 80

  • @youngyicify
    @youngyicify2 жыл бұрын

    너무 기대 하고 있었어요! ^^ 너무 감사합니다. 곽작가님! 책! 너무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 @choegiveittome5433
    @choegiveittome54335 күн бұрын

    평소에 이름풀이 할땐 최팀장님 이용기자 조용히 있는 편인데 곽작가님이 짧게 해야겠다 다짐하시니 폭풍수다ㅋㅋㅋ 귀여워요

  • @observancechoi
    @observancechoi2 жыл бұрын

    격동 500년 너무 길어서 항상 안듣고 있었는데 한번 빠지게 되니까 너무 재밌어요 ㅠㅠㅠㅠ ㅋㅋㅋㅋ 정주행중입니다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꼭 한꺼번에 다 들을 건 없지요.

  • @MarioKang-ed2kj
    @MarioKang-ed2kj2 жыл бұрын

    요근래 유튜브중에 제일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 @sangtedo
    @sangtedo2 жыл бұрын

    기대되는 방송입니다

  • @user-hu2eg3wb1s
    @user-hu2eg3wb1s2 жыл бұрын

    이거 왜 이렇게 재미있어요?

  • @ds1cmx
    @ds1cmx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wd9be1yc6u
    @user-wd9be1yc6u2 жыл бұрын

    월터 아이작슨의 코드브레이커 요즘 핫한 책이라 구입했는데..다음달 격동도 너무 기대됩니다~

  • @user-ln4ww2fb7p
    @user-ln4ww2fb7p2 жыл бұрын

    역시 과학하고 누워있네는 잼나요

  • @casimov_cho
    @casimov_cho2 жыл бұрын

    아니 왜 다들 노트북 켜놓고 있는데 곽작가님은 A4 한장..?

  • @kbkim8586
    @kbkim85862 жыл бұрын

    언젠가 격동 500년을 과학자 활동시기 순서로 전부 다시 들어보고 싶어요. 과학사는 물론이고 인류사 전체에 대해 이미지를 잡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분량 생각하면 장기 입원이라도 해야 가능한 미션이긴 하겠네요.

  • @hyewonchang

    @hyewonchang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 @srgt456s

    @srgt456s

    Жыл бұрын

    꼭..성취하시길. 저도 그리해 보고 싶습니다.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출퇴근할 때, 산책할 때 듣는 게 최고인 듯

  • @user-uk3tl9vi9h
    @user-uk3tl9vi9h2 жыл бұрын

    에르빈 슈뢰딩거 하면 연애사가 빠질 수가 없죠.....ㅋㅋㅋ

  • @Lee-zr6wt
    @Lee-zr6wt2 жыл бұрын

    강아지 귀여웡 ㅎ

  • @GOMDARY
    @GOMDARY2 жыл бұрын

    곽작가님은 분명 천재일꺼라 생각됩니다. 아니.. 천재로 임명합니닷!!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저도요

  • @you-ng
    @you-ng2 жыл бұрын

    작가님 4월에 우리 동네에서 강연하시던데 반가운 마음이 크긴 하지만.......... 한 시간 반. 가능하십니꽈~~~! ^^ 시간이 된다면 꼭 가고 싶네요. 과학과 사람들 항상 사랑하고 감사합니다.♥

  • @alsdn165
    @alsdn1652 жыл бұрын

    머양 강아지야 너무 구엽네♡

  • @user-k67534

    @user-k67534

    2 жыл бұрын

    흰둥이 너무 이쁘져 ♡♡♡

  • @kimsids
    @kimsids2 жыл бұрын

    슈뢰딩거 선생의 바람 나는 부분만 골라서 쇼츠 동영상 만들어주세요!!!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거 뭐하시게?

  • @user-wc7vs5gu2o
    @user-wc7vs5gu2o2 жыл бұрын

    아마 기초는 캐플러이고 조화의 법칙은 아마 생명의 기초단체인거 같고 가끔 가다 신이 있는거 같기도 하고 확실한거 열심히 연구 했는데 있는거 같기도 하고 ~?!

  • @tefiti4085
    @tefiti4085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격동의 오프닝은 쭈욱 옥희멈머랑 같이 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미다. 이뻐..

  • @trantinolove
    @trantinolove2 жыл бұрын

    두분은 노트북으로 뭘 보시는걸까요?

  • @starsun7455
    @starsun74552 жыл бұрын

    동물 관련성 추천영상으로 뜬 김에 끝까지 보겠습니다. 개네요. 음 내용은 고양이가 나오겠지요.

  •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2 жыл бұрын

    과학자가 암기력도 좋다는 걸 일깨워준 분이 곽작가님이십니다. 허허~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이 점에 관한 안시탄을 넘어설듯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2 жыл бұрын

    독립운동가 대법원장 김병로님! 기억하겠습니다~

  • @user-js9kc8fo1g
    @user-js9kc8fo1g2 жыл бұрын

    강아지 씬 스틸러

  • @ashburnian
    @ashburnian2 жыл бұрын

    야호 파동방정식이다!

  • @TheEnmai
    @TheEnmai2 жыл бұрын

    슈뢰딩거가 대단한 인물인 줄은 알았지만 여러모로 대단한 사람이였네요. ㅋㅋ

  • @user-qu8oy5zz1k
    @user-qu8oy5zz1k2 жыл бұрын

    100번 듣을만 하다

  • @eunkyungkim948
    @eunkyungkim9482 жыл бұрын

    Markov Chains의 Markov 좀 다뤄주세요.

  • @user-fw3nj5bk6j
    @user-fw3nj5bk6j2 жыл бұрын

    시청 잘했습니다. 1. 복소수 부분을 흥미롭게 시청했습니다. ⑴ 실수는, 현실 물질. ⑵ 허수는, 가상 물질. ⑶ 복소수 제곱=허수. 이니, 1.1. 복소수 의미는, ⑴ 어떤 물질이 있는데,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고, 1.1.1. 이 이유로, 아인슈타인이, ⑴ 파동 방정식을 보면서, 소원자?를 말했겠네요. 2. 물질이, 수식으로 표현되면, ⑴ 그 물질들은 공통점(규칙·반복)이 있다는 뜻. 이니, 3. 파동 방정식에, ⑴ 복소수가 있다. 는 건, 3.1. 파동 방정식은, ⑴ 어떤 공통 물질들이 있는데, ① 아직 발견되지 않은(복소수) 물질들이 있다. 겠네요. 3.1.1. 생각(방정식)은, ⑴ 보는 것(발견)에서 만들어 지니깐요. 4. 1~3번 이유로, ⑴ 파동 방정식은, ① 어떤 물질을 발견 했는데, ㉠ 확률로 알 수 있을 정도만큼 발견했다. 겠네요. ==================== 복소수 부분 흥미롭게 시청 잘 했습니다.

  • @user-lb9zx6ik8u

    @user-lb9zx6ik8u

    9 ай бұрын

    양자역학 말고 거시 세계에서도 허수가 많이 사용됩니다. 주기성을 수식으로 표시하기 좋기에 허수 내지는 복소수가 쓰이는거고요 이를 사인과 코사인으로 대체할수 있는것만으로도 주기성의 효율적인 수단임을 알수있어요. 파동도 대표적인 주기적 현상이죠. 뇌내 망상전에 수학이나 물학책이라도 좀 살펴보세요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이런 생각을 하시며 보시는 분이 계시구나 나는 식을 세우다 허수가 튀어나와도 쫄지말고 밀고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 @HappinessAndLuck
    @HappinessAndLuck2 жыл бұрын

    슈뢰딩거가 쇼펜하우어의 철학에 심취했고 그 쇼펜하우어가 읽으면서 너무 기뻐서 머리에 올리고 춤을 추었다는 책이 우파니샤드 라고 하네요.

  • @hikoseijuro2219
    @hikoseijuro22192 жыл бұрын

    격동 작명소 ㅋㅋㅋㅋ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2 жыл бұрын

    슈러딩거 방정식의 해는 푸리에급수와 유사합니다. 푸리에급수는 진동수의 양자화를 의미합니다. 태양계 행성의 궤도도 서로 정수배로 공명하고 있구요.. 다시말해서 태양게의 행성궤도와 전자의 궤도가 양자화 되어 나타나는건 전혀 다른것이 아니란 이야깁니다.

  • @anthonyjung1615
    @anthonyjung16152 жыл бұрын

    슈뢰딩거 방정식은 중력에 의한 유체(바다)의 표면파를 해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mild-slope equation과 똑같이 생겼음...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아, 그런 게 있어요?

  • @user-wc7vs5gu2o
    @user-wc7vs5gu2o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아마 오일러는 식물왕국의 귀족인거 아닌가 싶네요

  • @nyanggicho5259
    @nyanggicho52592 жыл бұрын

    1:35:40 쯤 보니.... 이용기자와 최팀장님 남매 같이 보임

  • @wetubeon9516
    @wetubeon95168 ай бұрын

    유튜브 시청자 여러분 주옥같은 "격동500년~" 강의를 놓지지 마십시오. 복소수는 거울에 비친 허상으로 만질 수 는 없지만, 실상을 알기 위해서는 허상을 계산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wc7vs5gu2o
    @user-wc7vs5gu2o2 жыл бұрын

    오일러가 눈이 않 보일때 유클리트가 메모리반도체가 대뇌에 심어진것은 숫자적개념이 돌출부분인거 같습니다

  •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Ай бұрын

    atom을 기준경계로 삼아 그것보다 큰 세상에는 시간이 흐르니 입자로 보이고, atom보다 미시세계로 들어가면 시간이 멈추니 파동으로 보인다. 직장과 집을 오가는 우리내 인생은 시간이 흐르고 있으므로 내가 덩어리로 관측되는거고, 만약 시간을 0에 가깝게 줄이면(빨리감기) 파동으로 관찰된다.

  • @user-pd6hh1lt5l
    @user-pd6hh1lt5l2 жыл бұрын

    3시간이 안넘다니....

  • @kevink.2690
    @kevink.26902 жыл бұрын

    손잡이 잡기 전에 한 손으로 벽을 짚고 잡으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badukgongbubang
    @badukgongbubang2 жыл бұрын

    2부작인거요? 슈뢰딩거를 3시간 안에 했을리는 없고.......

  • @kimchi_taco
    @kimchi_taco2 жыл бұрын

    1950년대만 해도 한국 시골에선 딸은 10대때 시집 보내서, 16살에 애낳고 농사짓고 그랬는데. 지금 도덕 기준으로 그때를 판단하긴 힘든듯요. 그렇다고 와이프랑 애인이랑 같이 사는게 괴랄하긴 하지만요..

  • @user-bx5or4wt5z
    @user-bx5or4wt5z2 жыл бұрын

    56:36

  • @user-pt8bq8jr8h
    @user-pt8bq8jr8h2 жыл бұрын

    쉬레딩거의 동갑 가인 김병로의 손자가 김종인

  • @user-tu5bz2xi6q
    @user-tu5bz2xi6q2 жыл бұрын

    쇼펜하우어…. 는 이게 최선이겠죠? 말을 하고 있지만 말이 아니다. @.,@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 @happiness589
    @happiness5892 жыл бұрын

    인간적으로 크리스마스에 만나서 연구는 좀 ㅋㅋㅋ 친구한테는 여친만나러 간다고 이야기하고 와이프한테는 중요한 연구하러 간다고 하고 돌고돌아 두이야기가 합쳐져서 크리스마스에 여친만나 연구했다는 이야기가 됐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ㅋㅋㅋ

  • @j.k.3508
    @j.k.35082 жыл бұрын

    야옹~

  • @Oktang2099
    @Oktang20992 жыл бұрын

    1:24:40 넓이가 900 제곱미터의 땅이 있는데, 빚으져서 1800 제곱미터의 땅을 갚아야 한다고 치면, -900 제곱미터의 땅을 줘야 하는데, 그런 정사면의 땅의 길이는 얼마인가? 넓이에서 초과 손실의 개념을 현실적으로 표기할 때라고 생각한다는 식의 설명을 EBS에서 본 것 같아요.

  • @chichi-os1fk
    @chichi-os1fk Жыл бұрын

    여자가 없으면 도저히 못사는 타고난 바랑둥이에 천재 물리학자라 양립한다는게 신기하다 허긴 머 뉴튼 아인슈타인 에디슨 간디같은 세계사를 바꾼 위인들도 극단적인 이기주의에 실제론 인격파탄에 가깝다고 하더만 그래도 보통사람들은 상상조차 불가능한 위대한 업적들을 남기고갔으니 ..

  • @user-os2bq7iy3c
    @user-os2bq7iy3c2 жыл бұрын

    격동 500년에서 조선500년의 세종대왕 듣고 싶습니다. 곽재식 작가님의 세종대왕편 듣고 싶습니다.(국뽕으로)

  • @encoukim2328
    @encoukim23282 жыл бұрын

    개는 뭐지요?

  • @youngone999
    @youngone9996 ай бұрын

    001747 : 볼츠만 : 암흑에너지는 에테르꼴 날까? 볼츠만이 될까?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많이 돌아다닌 슈뢰딩어. 수학의 방랑자 에르디쉬가 떠오른다.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양자역학 느낌. '내 그럴 줄 알았어', 꼭 결과를 본 후 이런 말을 하는 사람 있다.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안시탄도 일기를 썼다면..불륜..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돌이 뜨거운 건 돌을 이루는 분자의 진동 때문이라 한다. 열원을 제거하면 식는다. 근데 단열재로 감싸면 늦게 식는다. 분자의 진동과 결부시켜 이 현상을 설명해주세요.

  • @youngone999

    @youngone999

    6 ай бұрын

    열전도율이 높다는 건 볼츠만의 역학으로 볼 때 어떻게 해석?

  • @jungmin159
    @jungmin1592 жыл бұрын

    불어로는 서울리앙

  • @user-cf1cg9kw2l
    @user-cf1cg9kw2l2 жыл бұрын

    최팀장님 화장안하신거 같은데 미모는 숨길수가 없네요 역시 사엘~

  • @user-sex1on1the1gambia
    @user-sex1on1the1gambia2 жыл бұрын

    너구나.

  • @jsahn1042
    @jsahn1042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옆에 강아지가 있어! 아 신기해

  • @user-lt7kh1ck3v
    @user-lt7kh1ck3v2 жыл бұрын

    웬 강아지?

  • @user-lj5cp6pt2e
    @user-lj5cp6pt2e2 жыл бұрын

    녹음이 이상하네요

  • @earthsky458
    @earthsky4582 жыл бұрын

    출구조사? 그렇게 정확하게 맞는다는게 이상하지 않소? 통계를 말하다니 원..

  • @user-mp9rr8oj4y
    @user-mp9rr8oj4y2 жыл бұрын

    제발 정치 이야기 안하고 넘어가길 바랬는데 결국 하고 마네요..

  • @TakeAHeavyDuty

    @TakeAHeavyDuty

    2 жыл бұрын

    정치 이야기도 아니고 통계에 대한 짤막한 이야긴데 이게 불편하면 눈이랑 귀막고 살아야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