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주육아상담소

이민주육아상담소

🔸️이민주육아연구소🔸️

- 이민주육아연구소 소장
- 아동학 전공 / 실무 경력 10년
- 전국 온&오프라인 강연

📩 Contact Mail : [email protected]

📍 민주쌤육아일기 (실전육아) : www.youtube.com/@user-br4br9ve4w

[부모의 올바른 육아 지식이 아이의 똑똑하고 멋진 인생을 설계한다]

Пікірлер

  • @user-nn4bm7sy7b
    @user-nn4bm7sy7b25 минут бұрын

    1:50 성교육 시작 시기 3:51 성교육은 부모 중 누가 4:48 유아자위 대처법 10:17 아기는 어떻게 생기는지 질문 대처 13:46 이성의 신체에 대한 관심 15:55 이성 가족 간의 목욕 분리

  • @user-dm2zs1gz5v
    @user-dm2zs1gz5v41 минут бұрын

    헉ㅋㅋ지금 딱 하는 질문 첫 장면에 다 나왔네요ㅎ

  • @user-kz6lt4ih8d
    @user-kz6lt4ih8d3 сағат бұрын

    자극적인 요소가 보이지 않도록 직접 그림그려서 설명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joekim3279
    @joekim32795 сағат бұрын

    성교육은 정말 잘해야하는데 우리 아이들도 초5쯤 되면 시작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user-dk4ok6dh4y
    @user-dk4ok6dh4y5 сағат бұрын

    어릴 때 너무 자세히 성교육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에 공감! 자연스럽게 지나가면 좋은데 그게 영~

  • @user-fy1ts5ib8h
    @user-fy1ts5ib8h5 сағат бұрын

    민감한 얘기를 아이한테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해봐야 겠다~!

  • @Semi-fp5jr
    @Semi-fp5jr6 сағат бұрын

    요즘은 초등학교 저학년만 되도.. 성에 눈을 떠서.. 적절한 시기에 성교육을 해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할 거 같네요~

  • @user-yf8wm5rm2r
    @user-yf8wm5rm2r7 сағат бұрын

    불필요한 자극을 주면서까지 강요학습을 하면 오히려 탈날수 있다는 말씀 세길께요^^

  • @user-bt2bb5hq1v
    @user-bt2bb5hq1v7 сағат бұрын

    성교육어떻게하는지 막막해하는 경우가 주변에 많더라구요~요즘 아이들은 확실히 일찍부터 궁금해하는듯..

  • @user-hw9wb2lm3v
    @user-hw9wb2lm3v10 сағат бұрын

    하고 싶은걸 모두 할수 없다는걸 가르치는건 지금 시기에 맞지 않는 훈육일까요? 예를 들어 화장실에 갈 일이 있을 때 엄마나 아빠가 먼저 가서 불을 켤 수도 있는건데 꼭 자기가 먼저 가서 하겠다고 고집을 부리는 상황(이런 비슷한 상황들)이 자주 연출 됩니다. "먼저 켜고 싶었구나. 그런데 엄마가 먼저 켤수도 있고 아빠가 먼저 켤수도 있는거야. 다음엔 네가 먼저 켜자."라고 알려주고 있는데요. 애초에 그냥 그런 상황을 만들지 말라(아이가 불을 켤때까지 기다려주기)는 영상을 본적이 있어서 헷갈리네요... 뭐가 맞는건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려 봅니다 ㅠㅠ😢

  • @bb8233
    @bb823315 сағат бұрын

    성교육이 점점 자연스럽고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어요~

  • @user-lu4kk6tt3d
    @user-lu4kk6tt3d18 сағат бұрын

    전 아이가 궁금해할때 궁금증과함께 주의점 정도만 가르쳐줬어서 혹시 더 해줬어야했나....염려도 되었는데, 궁금증이 많이 해소되었습니다.

  • @hjhjhj
    @hjhjhj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진지하게 보고 있었다가 7:42 이 부분에서 빵터졌어용 ㅋㅋ

  • @fightmammm
    @fightmammmКүн бұрын

    저희애도 왜그럴까 싶어 걱정했었더랬죠..ㅋㅋ

  • @user-kv6ir6ni1l
    @user-kv6ir6ni1lКүн бұрын

    아기가 꼬집고 무는거를 공격적 행동이라고 표현하는게 맞는건가요? 아기는 누군가를 공격하려고 하는 행동은 아닌거 같아서요.

  • @jjeong2006
    @jjeong2006Күн бұрын

    큰 애 때는 잘 몰라 그냥 혼냈는데ㅠㅠ 둘째는 잘 가르쳐볼게요!

  • @Summer-Tree1
    @Summer-Tree1Күн бұрын

    아이 엄마들이라면 공감할 이야기네요^^~ 이시훈 강사님 굿!

  • @gomigong6385
    @gomigong6385Күн бұрын

    유치원생 아들이 목욕할 때 자꾸 만져서 당황스러웠었는데 대처를 잘해줘야겠어요 ㅜㅜ

  • @user-md2vb3yu2n
    @user-md2vb3yu2nКүн бұрын

    70~80년대 아기가 어디서 나와요? 다리밑에서 주워왔어 ㅋㅋㅋ

  • @bom7412
    @bom7412Күн бұрын

    대체해서 얘기해도 막무가내로 뒤집어지는건 어케해야하나요?

  • @ubuubu
    @ubuubuКүн бұрын

    자꾸 아이친구 엄마는 학습지 하니 효과가 있다 라고 하면서 추천하는데 이 영상보고 확실해졌어요 지금 5세 놀기도 바쁜 아이 스트레스 주지았기로 했어요 감사합니다

  • @user-kr9fz8wi3b
    @user-kr9fz8wi3bКүн бұрын

    그냥 영상 틀어주는게 다였는데 반성합니다. 엄마 아빠가 해줄수 있는게 많다는걸 알았어요.. ㅜㅠ

  • @ssop495
    @ssop495Күн бұрын

    16개월 여자아기인데 샤워를하고 로션을 바를때 요새 부쩍 성기를 만져요 자위는 아닌것같기도하고 눈 코 귀 배꼽을 가르키듯 성기를 가르키고 자세히 보려고 허리를 구부리기도 합니다. 이때 저도그냥 당황하지않은척 “여기는 소중한 곳이야 그럼 머리는 어디있지? 귀는 어디있지? 발은어디있지?”이렇게 대상을 급히 전환시키는데 이렇게 접근해도 될까요? 소중한 곳이라는 정도 밖에 해줄 수 있는 설명? 말이 없어서 이렇게 하고있는데 혹시 다른 대처법이나 더 좋은 대처법이 있을까요?

  • @darayoo5677
    @darayoo5677Күн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남을 해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을 가르치려는 때에 아이가 도망가고 귀를 막고 소리를 지르며 발버둥 치고 되려 저를 때리려 할 때는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 @user-rg6jf8sn1o
    @user-rg6jf8sn1oКүн бұрын

    아이 에게 안됀다고 설명을 해줘도 될때까지 때를 씁니다 ㅠㅠ 화를 내고 싶지않아도 ... 저도 사람이라 한계에 달아면 화를 내게 되요 ㅠ .. 한번화를 내기 시작하면 걷잡을수없고 조절이 힘들어요

  • @jimlee9969
    @jimlee9969Күн бұрын

    7살 딸랑구 아빠입니다. 항상 신기할 정도로 제가 맞닥뜨리는 상황이 뙇! 영상으로 올라와 늘 도움이 되네요 우리집만 그런게 아니구나 하고 위안도 얻고 도움되는 지식도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 @qwer77840
    @qwer77840Күн бұрын

    부모가 성적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부터 안갖는게 우선이네요..질문에 당황하지말고~~역질문을 통해 아이의 수용범위부터 체크하기!!

  • @user-ut3dq4hp5m
    @user-ut3dq4hp5mКүн бұрын

    아이가 어느선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지 먼저 파악하는게 중요하네요? 핵꿀팁만 알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됐어요~!^^

  • @yjpink9401
    @yjpink9401Күн бұрын

    물어보거나 발견했을때 자연스럽게 엄마 아빠 따지지말고 하먼 된다는거 크게 배워갑니다. 저한테도 곧 닥칠일 같아서요.. 역시 미리 대비하는게 최선!!!

  • @hajun3365
    @hajun33654 сағат бұрын

    제가 지금 딱 궁금한건데 너무 감사합니다❤

  • @bu2528
    @bu2528Күн бұрын

    아이가 만3돌인데 어린이집에서 본 남자아이 소변보는 모습을 흉내내요 영상보기전에는 성교육동화책을 보여줘야되나싶었는데 "남자와 여자는 쉬하는 모습이 달라~ 궁금할수있지만 그 모습을 흉내내면 친구들이 불편할수있어" 이정도로 설명해주면 되는건가 싶네요 접근방식이 괜찮은가요?

  • @Winter_Snowflower
    @Winter_SnowflowerКүн бұрын

    적절한 성교육 시기가 초5~중1이면 생각보다 성교육 시기가 늦군요?! 적어도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시작해야 되는 줄 알았어요

  • @loviesarkim
    @loviesarkim2 күн бұрын

    19개월도..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 @user-is9ou4up6l
    @user-is9ou4up6l2 күн бұрын

    아이가 조금 크면 분리목욕을 하라고 하셨는데 아예 처음부터 분리목욕을 하는건 어떤가요? 저희는 아이만 따로 목욕을 시키는데 가끔 엄마 아빠의 신체를 보여줘야 하는거 아닌가 걱정이 될때가 있거든요. 같이 목욕하면서 성인의 몸과 남녀의 몸은 이렇다는걸 보여줘야 할지 고민입니다.

  • @ssu_seo
    @ssu_seo2 күн бұрын

    오늘 유치원에서 유아기성교육에 대해 부모강의가 있었는데 정말 유익한 내용 타이밍 맞춰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남편에게도 공유했어요~

  • @user-ef8eh3bc7j
    @user-ef8eh3bc7j2 күн бұрын

    5살 딸래미 목욕 시킬때 아빠인 저는 항상 반바지를 입고 씻기긴 하는데 언제까지 아빠인 제가 씻길수 있을지 걱정이에요 혹시 이다음에 딸이 혼자 씻을수 있는 능력이 한참 부족한데 아빠가 씻겨주는게 싫타고 하면 어떡해야 될까요? 그외 2차 성장 과정때 아빠의 대처법 이런것도 속옷 이라든지 기타등등 여러가지로 참 어렵네요

  • @leeminjoo_lab
    @leeminjoo_lab2 күн бұрын

    📌이민주육아연구소 7월 강연일정/신청하기 바로가기 : cafe.naver.com/leeminjoolab/10925

  • @ruth7847
    @ruth78473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육아 고민이 있는데 어디 마땅히 여쭤볼 데가 없어서 여기에 글 남깁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대로 아이가 무언가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떼를 쓰는 경우에는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건 알겠는데요. 근데 그런 경우와는 다르게, 아이가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 힘들거나 정서적으로 어떤 결핍이 있어서 떼를 쓰는 경우에는 품어주고 받아주는 게 좋다고 들었어요. 근데 그걸 구분하는 게 쉽지가 않은 것 같아요. 저의 요즘 고민은, 저희 아이가 한국 나이로 5살(50개월)이고 올해부터 유치원에 다니는데 하원 후에 짜증과 떼가 너무 너무 너무 심해요.ㅠㅠ 전 워킹맘이고 저희 시부모님이 하원을 시켜주시고 아이는 하원 후에 시댁에 있다가 저를 만나는데요. 절 보자 마자 짜증을 내면서 옷을 저보고 갈아 입혀달라고 합니다. 보통 유치원에 다니면서 낮잠이 없어지고 활동량이 많아지기도 하고 각종 단체 생활과 규칙 속에서 있다 보니 아이들이 짜증이 느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어요. 저희 아이도 하원 후에 너무 피곤하고 졸려서 짜증을 내는 것 같은데요. 그래도 옷 갈아입는 건 스스로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하고 떼쓴다고 받아주면 아이가 떼쓰는 행동이 더 강화가 될까봐 받아주지 않았어요. 그래서 유치원에서 힘들어서 그래? 아님 엄마 오랜만에 봐서 엄마가 챙겨줬으면 좋겠어? 이런 식으로 마음을 좀 읽어주고 대신 엄마가 안아줄게. 하지만 옷 갈아 입는 건 OO이가 해야할 일이야. 라고 말하면서 끝까지 버텼는데요. 그러면 아이는 제 품에 안겨서 엄청나게 계속 울다가 그냥 잠드는 일도 몇 번 있었어요. 그래서 애 밥도 못 먹이고 제대로 놀아주지도 못 하고 애가 잠들어 버려서 이건 좀 아니다 싶더라구요. 그래서 얼마 전부터는 좀 받아주되, 짜증이 났을 때 스스로 진정하는 연습은 시켜줘야 할 것 같아서 ‘짜증 났어? 대신 진정하고 예쁘게 말하면 해줄게. 엄마가 OO이가 진정할 때까지 기다릴 거야’라고 말해주고 애가 어느 정도 진정되면 그냥 제가 옷을 갈아 입혀 줘요. 근데 문제는 애가 기분이나 컨디션이 괜찮아 보이는데도 옷을 갈아입을 상황이 되면 자꾸 저한테 해달라고 해요. 그래서 이럴 때는 끝까지 버텨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하원 후에 저한테 옷을 갈아입혀 달라고 하는 게 몸이 피곤해서 기분이 안 좋아서 그런 건지, 저랑 어떤 애착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건지, 그렇다면 그런 경우에는 받아주는 게 맞는 건지 혼란스럽습니다. 쓰다 보니 너무 길어졌는데요.ㅠㅠ 바쁘시겠지만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bombombom423
    @bombombom4233 күн бұрын

    19개월 아가입니다. 24개월 친구를 만나 같이 노는데 그 아가가 공공장소에서 소릴 지르면서 놀더라고요 그거땜에 곤란했었는데.. 그 이후로 저희아가가 집에서지만 밤중에 소릴 지르면서 놀더라고요.. 일관되게 안된다고 하고 있는데 막 웃으면서 계속 해요.. 잡고서 하지말라고 얘기할땐 “예~” 하고 도망가서 다른데가서 또 소리지르면서 놀더라고요.. 이걸 어떻게 해야할까요..? 어떤 대체방법를 써야할까요… ㅜㅜ

  • @user-xz5lq8rh6x
    @user-xz5lq8rh6x3 күн бұрын

    그냥 조용히 이름 부르고 고개 흔들면 안하던데요.. 입술을 내밀긴하지만

  • @msgm9321
    @msgm93213 күн бұрын

    30개월에 주당 언어2회 놀이1,감통1회 치료받고 있는데 부모 모두 노력하고 있는데 41개월 넘어가는데도 물, 또 ,아빠 등 몇 개의 한 단어만 가능하고 어린이집에서도 혼자만의 생활시간이 많고 활동참여도 10%미만이라고 합니다. 비슷한 처지의 경험자들 얘기듣고 aba,pcit 병행하려고 하는데 30개월 때부터라도 더 열심히 할 걸 후회됩니다. 40개월쯤 정신과 전문의께 전반적 발달이 늦고 자폐가능성 높다하여 대학병원 정밀검사 대기중인데 치료방법 괜찮은지 답 부탁드립니다. 하늘이 무너지는듯 합니다..

  • @user-pk2hh2ry7j
    @user-pk2hh2ry7j4 күн бұрын

    저 배변

  • @hyerinstory3616
    @hyerinstory36165 күн бұрын

    31개월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언어치료도 받고 있고 말을 조금씩은 하고 표현도 하는데 아직도 느려서 열심히 대화하고 책도 읽어주고 여러가지ㅜ놀이도 하고 있어요 😅 그래도아이 언어가 잘 트여주면 좋겠네요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