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기호 f'(x)=dy/dx를 분수처럼 "dy 나누기 dx"로 이해할 수 있을까? 여기서 dy의 뜻은?

** 전체 강의와 교재 정보는 아래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 회원 영상과 강의슬라이드/중간기말고사/모범답안은 [멤버십 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아이폰을 쓰시는 분들은 다음 링크를 통해 [멤버십 가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 / @manmanmath
** 도움이 되셨다면 [$ Thanks]로 응원해 주세요.
** 대학수학/초중수학 재생목록 리스트입니다.
📚(NEW) 늦깎이 수학자 이야기 (28살에 군제대하고 31살에 유학간)
• 28살에 군제대하고 31살에 유학간 늦깎...
📚(NEW) 확률및통계 (확률과통계, 확률론, 통계학) (교재: Devore,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engineering and the science)
• NEW 확률및통계 2.1절-1: 실험, ...
📚(NEW) Kreyszig 크레이지 공업수학 (공학수학, 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 (교재: Edwin Kreyszig(크레이지)의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 Kreyszig 크레이직 공업수학 1.1...
📚(NEW) 8일간의 선형대수학 강의 (교재: 박부성 교수님의 8일간의 선형대수학)
👉 • 8일간의 선형대수학 기초 1.1절: 행렬...
📚미분적분학1 강의 (교재: Stewart의 Essential Calculus - Early Transcendental)
👉 • 스튜어트 미분적분학1: 1.1절-1 함수...
📚미분적분학2 강의 (교재: Stewart의 Essential Calculus - Early Transcendental)
👉 • 스튜어트 미분적분학2: 9.1절-1 매개...
📚현대대수학 강의 (교재: 프렐라이 현대대수학 (Fraleigh - Abstract algebra))
👉 • 현대대수학 0절: 집합과 관계
📚R 프로그래밍과 머신러닝 (교재: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 (김영우 지음), Lantz, ML with R)
👉 • R 프로그래밍 기초 강의 3일만에 끝내기...
📚대학수학기초 강의 (교재: Rosen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 • NEW 이산수학 (대학기초수학...
📚NEW 대학수학기초, 이산수학(조합론) 강의 (교재: Rosen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 • NEW 이산수학 (대학기초수학...
📚NEW 경우의 수 강의 (교재: Rosen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 • NEW 이산수학 (경우의 수)...
📚NEW 그래프이론 강의 (교재: Rosen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 • NEW 이산수학 (그래프이론)...
📚[대학수학 맛보기] 그래프이론과 정수론 대중 강연
👉 • [수학 대중강연] 그래프(네트워크) 1부...
📚정수론 강의 (교재: Silvermann의 친절한 수론 길라잡이(4판)) [김병찬, 김지영, 이종규 옮김]
👉 • 정수론 1장: 정수론이란? [이...
📚확률론 강의 (교재: Ross의 확률의 입문, A first Course in Probability)
👉 • 확률론 1.1절~1.4절: 곱...
📚수학 연구란? 수학자가 하는 일?
👉 • 수학자는 도대체 뭘 하는 거지? (1편)...
📚쎈+에이급 중1-1 수학
👉 • [쎈+에이급 중1-1 수학] (1단원 1...
📚개념+유형 초5-1 수학
👉 • Video
#만만한수학 #전공수학 #대학수학 #편입수학 #임용고시수학 #임용수학 #공업수학 #공학수학 #고등수학 #중학수학 #중등수학 #초등수학

Пікірлер: 87

  • @gijuahn5054
    @gijuahn5054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공짜로 이런 큰 깨달음을 주셔서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복많이 받으세요. 왜 학교다닐땐 이런걸 알려주지 않았을까요, 그냥 "이건 분수가 아니야~" 이러고 땡이였는데, 분수가 아닌데 어떻게 치환적분이라던가 할때 dy dx가 따로 노는지 의문을 가졌었는데, 이제야 깨달음을 얻습니다요 ㅜㅜ

  • @judy3463
    @judy34632 жыл бұрын

    마침 궁금했던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 @metachem
    @metachem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하기 쉽게,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네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ㅎㅎ 감사합니다~~^^

  • @alphago410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함수 형식에 따라 어려워질수 있는 미/적분에 대한 최고의 개념설명 너무 좋습니다. 어떤 함수에 대한 미분은 평균 변화율 함수이고 적분은 평균 누적율 함수이다. 특이한건 어떤 함수를 적분후에 미분하면 원래 함수로 정확히 복귀되지만 반대로 먼저 미분후 적분할때는 원래값이 복귀되지 않음.

  • @axisepsilon514
    @axisepsilon5142 жыл бұрын

    Multivariable calculus 할때도 저거 나만 궁금한건가 싶었는데...수학은 정말 호기심 가지기 시작하면 정말 아는만큼 더 보이는것같습니다..

  • @annachang5332
    @annachang53322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수학가르치는데 학생 대부분이 이민자자녀들이라 calc 도입부분 설명하기가 힘들었어요 영상보고 많은 아이디어 받아 갑니다

  • @Neo-yc7vf
    @Neo-yc7vf2 ай бұрын

    정말 더할 나위없이 훌륭한 강의입니다. 이렇게 미적분 기호와 그 의미에 대해서 잘 알려준 사람이 없었습니다.

  • @gyuseonglee7424
    @gyuseonglee74242 жыл бұрын

    항상 가져온 고민인데 덕분에 쉽게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yudaegam
    @yudaegam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짱

  • @ilheecho5591
    @ilheecho5591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설명에 구독이 저절로 눌러지네요. ㅎㅎ 매일 갖고 있던 의문이 많이 해결됐어요. 감사합니다.

  • @user-nd8kd7cs1o
    @user-nd8kd7cs1o15 күн бұрын

    정말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 @diphylleiagrayi_skeletonflower
    @diphylleiagrayi_skeletonflower2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 @jinhokim8248
    @jinhokim8248 Жыл бұрын

    어떻게 하면 수학을 쉽게 가르칠까 하는 고민을 많이 하시는 것 같아요 영상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 @manmanmath

    @manmanmat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er6wy6fn9i
    @user-er6wy6fn9iАй бұрын

    수십년 미적분을 사용하면서 의문은 있었지만 간과한 개념을 설명해 주시네요 이해하였읍니다 감사합니다

  • @user-gr7qh1rm7y
    @user-gr7qh1rm7y Жыл бұрын

    역학과 엮어서 생각해보면 애시당초에 미적분이란 개념이 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해석을 목적으로 고안된 개념이다 보니.. dx, dy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 자체가 한순간의 증분인 건 어찌보면 당연한 거라고 항상 생각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라이프니츠의 연쇄법칙도 단순히 관례적으로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닌 당연한 이치라고 생각했는데, 고등학교 때 이 얘기를 친구들에게 하면서 중요한 건 미분한다는 행위가 아닌 dy/dx의 의미가 변화율이고 이는 어찌보면 분수랑 별 다를 바가 없다는 말을 하니 대부분은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더군요. 오랜만에 통찰이 담긴 영상을 봐서 공감도 되고 좋았습니다 교수님. 좋은 영상이 더 올라오길 기대합니다^^

  • @manmanmath

    @manmanmath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rakul2041
    @rakul204120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쩌내요! 지금까지 제대로 알지 못해 답답했던 감정이 싹 사라지는 느낌입니다!! 멋진 강의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

  • @sisay-ts2fm
    @sisay-ts2fm3 ай бұрын

    알수없는. 알고리즘이 여기로 오게 만드네요. 진짜 설명 잘 하신다

  • @manmanmath

    @manmanmath

    3 ай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 @deven_12
    @deven_12 Жыл бұрын

    따봉

  • @user-je3ms6er3j
    @user-je3ms6er3j2 жыл бұрын

    이상준 교수님 국민대로 와주세요. 설명이 아주 맛있는데 저희 공업수학 강의좀 해주세요

  • @user-br9zh1it8t
    @user-br9zh1it8tАй бұрын

    그저 GOAT

  • @peekabuu8452
    @peekabuu845229 күн бұрын

    미적분 제대로 안 배운 30대 문과 출신 회사원인데, 결국 경제학이든 통계학이든 배우려면 기초 수학을 알아야 하더라구요. 큰 도움 됐습니다

  • @LOOPARAM-le6yv
    @LOOPARAM-le6yv2 ай бұрын

    고2 인데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fd9hx1wb7e
    @user-fd9hx1wb7e Жыл бұрын

    😊

  • @ekrxj1124
    @ekrxj1124 Жыл бұрын

    나누기가 아니라 기울기인건 알고 있었는 데 설명이 쉽고 재밌네요^^

  • @lnxna4855
    @lnxna4855 Жыл бұрын

    선형근사를 통해 dy를 보여주시는 부분에 대해 질문이있습니다. dy와 델y가 다르다는걸 보여주시려고 일부러 그림을 과장해서 그리신건가요? 실제로는 dx와 dy모두 극소하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그리고 설명을 생략하신거겠지만 당연히 델x 델y는 매우 작은 경우를 의미하는 중이죠?

  • @manmanmath

    @manmanmath

    Жыл бұрын

    "극소하다"는 의미의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요. 원래부터 극소인 것은 없고, 무언가가 어디로 향할 때 극한이 0으로 가는 식이나 값을 말하는 것이죠. 델x 또는 dx는 x의 차이이고, 델y나 dy는 델x나 dx에 대한 함수에요. 델x, dx, 델y, dy는 그 자체로는 식이나 값이지만, 델x나 dx가 0으로 갈 때 0으로 가는 것이에요. 그림은 과장한 것이 아니고 델x나 dx가 크다면 델y, dy도 큰 값이겠죠.

  • @lnxna4855

    @lnxna4855

    Жыл бұрын

    @@manmanmath 아 제가 그럼 적분의dx때문에 개념을 크게 착각했나보네요. 인테그랄 안의 dx는 극소하다고 이미 정의가 된 상황이니까.. 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그리고 극소한 델x = dx 라고 생각했었는데 교수님의 설명대로라면 y와는 다르게 둘의 차이는 없고 dx는 dy를 위해 만들어진 기호? 라고 보는게 맞나요?

  • @Suptaro
    @Suptaro2 жыл бұрын

    dy 부분을 함수그래프로 기울기를 확인하였는데요. 극소 y값이라 이해했는데, 어째 기울기값이 델타y보다 크게보이네요. 개념대로라면 dy가 훨씬 작아야할것같은데 제가 좀 잘못 이해한 걸까요?...

  • @manmanmath

    @manmanmath

    2 жыл бұрын

    각 개념들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아요. 다시 정리하면 좋겠네요~^^

  • @user-bw2ir9ue2l
    @user-bw2ir9ue2l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함수 y=f(x)가 있을때 서로 다른 함수 위의 두점 A(x1,y1) B(x2,y2)를 잡고 A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y=f'(x1)(x-x1)+y1 이고 dy는 x2일때 함숫값과 y1의 차이이니 dy=f(x1)(x2-x1) 또 x2-x1는 델타x인데 dy는 작은 y값이기에 델타x가 dx가 되고 x1도 임의의 수인 x로 바꾸면 dy=f'(x)dx가 되고 나눗셈으로 이해해도 됩니다.

  • @manmanmath

    @manmanmath

    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요약 감사합니다 ^^

  • @johnpark8324
    @johnpark832411 ай бұрын

    5:35 함수의 근사값을 모를때 기울기의 근사값을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함수의 근사값을 구하려는 노력이라는 알듯 말 듯한 수학의 밀당입니다.. 여러번 더 들어 봐야 좀 더 그림이 잡힐 듯 합니다. 그래도 좋은 강의들 덕분에 고등학교 시절보다는 수학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조금씩 넓어지는것 같습니다. 진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사용 단계까지 가려면....

  • @manmanmath

    @manmanmath

    11 ай бұрын

    함수의 근사값을 모를 때 기울기의 근사값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구요… 함수값을 모를 때 기울기를 이용한 함수값의 근사값을 구해서 사용한다는 말이에요^^

  • @johnpark8324

    @johnpark8324

    11 ай бұрын

    @@manmanmath ㅎㅎ 감사합니다.. 그래도 아직 질문할 만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dy/dx가 다른 댓글들을 읽어보니 결국은 나눗셈의 비율의 개념을 적용하여도 될 듯 한데.. 그러려면 dy와 dx가 같은 성격의 값이어야 직관적으로 단순한 나눗셈과 거의 동격으로 볼 수 있을텐데.. dy는 기울기이고 dx는 미소한 x축의 간격이라면... 비율적 개념에서 분수와 맥을 공용할 수 있겠지만 dy와 dx가 서로 다른 값들이라는 점에서는 유의하여야 할 부분이겠네요...

  • @user-yc3ls4nq7o
    @user-yc3ls4nq7o2 жыл бұрын

    미방에서 1.dy/dx=f(x)로부터 양변에 dx를 곱하여 2.dy=f(x)dx를 얻은 후 양변에 3.인테그랄을 취하는 과정이.. 미심쩍어요. 양변에 dx 혹은 dy를 자유자재로 곱하고 더하고 빼도 되는건가요? 너무 당연한거로 치부된 채로 넘어가는것 같네요

  • @manmanmath

    @manmanmath

    2 жыл бұрын

    핵심을 언급하셨네요. 그게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드리는 영상입니다.

  • @user-bd1io4ff8u
    @user-bd1io4ff8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결국 Lim (x의증분)이 dx 라고 받아들여지는데, 강의를 잘 이해한것일까요 ?

  • @manmanmath

    @manmanmath

    Жыл бұрын

    아니요, lim (x의증분)=0 이죠. 그냥 x와 x+h 의 차이를 delta x라고 하는 데 이것을 dx라고 보자는 거예요. 중요한 건 dy인데 실제 y값의 차이가 아니고 접선의 기울기에서의 y값의 차이에요.

  • @Le__clown
    @Le__clown8 ай бұрын

    dy와 델y가 영상에서처럼 x0=0 x1=0.1인 상황이라면 dy와 델y의 차이가 꽤 클텐데 0.1은 이해를 위해 살짝 크게 쓰신거고 dx도 0에 가까우니까 x1=0.0000…1같은 상황에서 dy와 델y가 거의 같게 되었을 때 dy를 구하는게 도움이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lim x1이 0+로 갈 때 dy를 구하는 것이 lim x1이 0+로 갈 때 실제 x1을 대입한 값인(물론 x1이 값이 아니니까 표현이 애매하지만)델y를 구하는 것보다 쉽다는 뜻인지 궁금해요 ㅜㅜ

  • @manmanmath

    @manmanmath

    8 ай бұрын

    0.1인 경우에는 dy는 델타y의 쉽게 계산할 수 있는 근사값을 주는 것이구요, 0.00001의 경우에는 두 값이 거의 같겠죠. 근사값은 꼭 같아야만 의미가 있는 건 아니에요.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면서 내가 원하는 오차 이내의 비슷한 값을 얻는 것도 중요한 것이죠.

  • @Le__clown

    @Le__clown

    8 ай бұрын

    @@manmanmath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근삿값이 꼭 그 정확한 값에 수렴해야 하는건 아니니까요! 감사합니다.

  • @kim19680210
    @kim196802104 ай бұрын

    델타x말고 디퍼런셜x는 x값을 오롯이 나타내는 방법 아닐까요? 함수 y는 이를 확장한 개념이고 이때 좌표상으로는 미세한 기울기 직선 그러니까 디퍼런셜x인 함수y값이 형성되겠죠 예를 들어 여기 길이를 재는 10센티 자가 있습니다 5센티 지점의 값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할까요? 5라고 표현하면 0~5까지 값이 되겠죠 이렇게 해서는 5의 값이 오롯이 표현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디퍼런셜 x로 표현하면 0~5까지 구간값이 아니라 5의 위치값을 표현할수 있겠죠 그래서 단순하지만 엄청난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사물의 찰라값을 표현할수 있게 됐으니까요 왜 학교에서는 함수로 확장하기 전의 이 근본적 개념을 안가르치는지 의문이 듭니다 그래서 미분의 뉴튼식 표현방법에 숫자위에 아무런 점도 찍히지 않으면 0~5의 구간값이고 5위에 점을 찍으면 미분값이라고 표현하는게 아닌가 합니다 미분은 기울기다가 아니고 미분이 함수로 확장됐을때 프라임fx의 값은 접선에 대한 기울기다라고 말하는것이 옳지 않은가 생각합니다 제가 패러데이도 아닌데 짧은 학문으로 아는체 해서 죄송합니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분수를 나타내는 짝대기 기호인 줄 여지껏 알고있었어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d difference 차이

  • @jackahn8187
    @jackahn8187 Жыл бұрын

    6:10

  • @user-fz2ir8kc6z
    @user-fz2ir8kc6zАй бұрын

    와 이거 설명보고 구독하고 멤버쉽 바로 가입했습니다 ㅎㅎ 대박이다.

  • @manmanmath

    @manmanmath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p6ot9zr4h
    @user-yp6ot9zr4h27 күн бұрын

  • @user-bw2ir9ue2l
    @user-bw2ir9ue2l Жыл бұрын

    부정적분의 경우 ∫ f(x) dx 에서 dx는 똑같이 매우 작은 차이가 되나요??

  • @manmanmath

    @manmanmath

    Жыл бұрын

    부정적분은 정적분과 연결되고 정적분에서 dx 도 x의 작은 차이에요

  • @user-bw2ir9ue2l

    @user-bw2ir9ue2l

    Жыл бұрын

    @@manmanmath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중 어떤게 dx가 작은 변화량임을 말해줄까요..?

  • @user-lv6bg7sp8p

    @user-lv6bg7sp8p

    Жыл бұрын

    @@user-bw2ir9ue2l 부정적분은 애초에 적분 구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데 dx랑은 관련이 없지 않을까요?

  • @user-gr7qh1rm7y

    @user-gr7qh1rm7y

    Жыл бұрын

    @@user-bw2ir9ue2l 미분을 표현하는 기호 dy/dx 자체가 함수 y의 순간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처럼 부정적분은 어느 한 점 (밑끝) 을 기준으로 순간적인 x증분(dx)에 대한 함수의 밑넓이를 전부다 합해준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지 않나 싶습니다. 다만 만약에 밑끝이 설정이 안되어 있다면 정의역 기준 어느 시점에서 측정을 시작했는지에 대한 지표가 없으므로 적분상수 c가 미지수가 된다는 식으로 설명이 가능하겠죠. 만약에 밑끝이 a라면 정의역의 좌표가 a인 시점에서부터 측정을 한다는 의미가 된다는 것일 거고, 윗끝이 a보다 크다면 x=a를 기점으로 앞으로 어느정도의 밑면적이 더해’질’ 지에 대한 논리일 것이고, 윗끝이 a보다 작다면 그 어느 한 시점에서 x=a에 도달하기까지 어느정도의 밑면적이 더해’진’ 지에 대한 논리일 것이므로 반대로 그만큼 빼줘야 하는 것일 겁니다. 굳이 따지면 동영상을 역재생하는 꼴이 되겠네요. 여튼 dx라는 것 자체가 독립변수 x의 순간적인 증분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미분은 순간변화율의 개념이, 적분은 반대로 순간의 변동들을 모두 축적한 결과가 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네요

  • @user-gr7qh1rm7y

    @user-gr7qh1rm7y

    Жыл бұрын

    @@user-lv6bg7sp8p 수식에서 쓰이는 기호는 그 자체로 하나의 언어입니다. 의미가 없다고 얘기하긴 힘들겠죠. 바로 위의 답글에 개인적인 해석을 기술했습니다. 어느정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합니다.

  • @user-qf5wr8sv5v
    @user-qf5wr8sv5v Жыл бұрын

    인터넷을 표류하고 있었는대 감사합,ㄴ다

  • @user-ef9rw7zl8k
    @user-ef9rw7zl8kАй бұрын

    아 이게 내 고등학생때 제일 궁금했던건데 이제 뜨네 집에서 천천히 정독해야지

  • @user-ls2kg1ni3y
    @user-ls2kg1ni3yАй бұрын

    1:47

  • @YT-ll8ns
    @YT-ll8ns2 жыл бұрын

    dy/dx를 분수로 볼 수 없지 않을까요.. 찾아보면 반례도 쉽게 나오던데.. 사람들은 미분에서 dy/dx가 성립하는 이유는 체인룰이 성립하기 때문이라고 하더라구요. 선대 수학자들이 미분기호를 dy/dx라고 써서 후대들이 고통받는데 차라리 용어를 새롭게 정의하는게 좋지않을까 생각되기도 하네요.

  • @manmanmath

    @manmanmath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dy, dx를 잘 정의하면 미분을 분수로 볼 수 있다는 거예요. 반례가 무엇인지, 후대들이 어떤 고통을 받는 지 알려주세요~

  • @YT-ll8ns

    @YT-ll8ns

    2 жыл бұрын

    @@manmanmath f(x, y) = 0를 전미분 하면 ∂f/∂x dx + ∂f/∂y dy = 0가 되는데 이 때 dy/dx를 분수로 보면 dy/dx = -(∂f/∂x)/(∂f/∂y) 형태로 만들 수 있는데 이것이 dy/dx = -dy/dx라는 모순이 된다는 주장도 있고.. dy/dx가 분수이면 dy/dx + du/dv = (dydv + dxdu) / dxdv가 되는게 말이 되냐는 주장도 있구요.

  • @manmanmath

    @manmanmath

    2 жыл бұрын

    @@YT-ll8ns영상에서는 일변수함수를 다뤘는데 반례라고 한 첫번째 예는 이변수함수이니 다른 경우죠네요. 일변수함수에서의 내용을 이변수로 확장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 봐야죠. 더 쉽게 얘기하면 일변수 미분이 분수로 이해 가능하다면 편미분도 분수로 이해 가능하냐는 고민을 해야겠죠. 안되는 이유를 생각해보기 바래요. 그러면 편미분도 분수로 이해하도록 기호를 바꾸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그러면 기호가 복잡해져서 단점도 발생하게 되요. 그래서 간결하게 쓰는 것이죠. 두번째 반례는 영상의 내용처럼 각 기호를 이해하면 식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단 한가지 고민해야 하는 것은 dxdv가 보통 두번 미분으로 쓰이기 때문에 기호가 좋지 않네요

  • @YT-ll8ns

    @YT-ll8ns

    2 жыл бұрын

    @@manmanmath 아직 교수님이 말씀하신 개념을 받아들이기에는 저의 수학실력이 너무 부족하네요. 일단 제가 배운 범주에서 dy/dx의 정의는 극한으로 된 식이기 때문에 dy, dx를 분리한다는 생각에 접근 할 수가 없네요.

  • @user-wn9ot8mq4b

    @user-wn9ot8mq4b

    2 жыл бұрын

    @@YT-ll8ns 음함수 f(x,y)=0에 대하여 dy/dx=-fx/fy는 모순이 아니며, 참인 등식입니다. 음함수 정리를 배우면 자연스럽게 유도됩니다. 예를 들어 x^2+y^2=1에 대하여 dy/dx=-2x/2y=-x/y로 구할 수 있습니다.

  • @user-rx1by1vz1s
    @user-rx1by1vz1s2 жыл бұрын

    결론은 dy나누기 dx로 이해할 수 있는건가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저듀 귱굼. 전 맞다고 생각함

  • @user-tv5qs2mb4p

    @user-tv5qs2mb4p

    8 ай бұрын

    영상 맨 처음에 교수님께서 질문했죠. dy/dx라는 기호를 보면 나누기로 보이는데, dy라는 것 자체로 의미가 있나? 하고 질문을 던지고 시작했죠. 결국 교수님은 여기에 접선의 기울기를 갖고 근사한 아주 작은 y의 차이라고 답을 했습니다. 결국 원래 질문으로 돌아가보면 dy라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이고, dy/dx는 나누기로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 @user-bp1nb2jz3g
    @user-bp1nb2jz3g5 ай бұрын

    그럼 dy/dx는 왜 도함수가 되는 건가요??

  • @user-bp1nb2jz3g

    @user-bp1nb2jz3g

    5 ай бұрын

    적분에서 dx는 극한으로 작은 x범위를 뜻해서 고정값으로 이해되는데, 도함수에서 dx는 변동값처럼 보여서 뭐가 다른지 이해가 잘 안 됩니다.

  • @Observer_detector
    @Observer_detectorАй бұрын

    나누기같기만 나누기는아닌 dy/dx ....

  • @Hyun-min
    @Hyun-min22 күн бұрын

    나누기로 이해 yes .or no. ❓❓❓

  • @manmanmath

    @manmanmath

    19 күн бұрын

    - -;;

  • @Hyun-min

    @Hyun-min

    19 күн бұрын

    @@manmanmath기울기를 분수빼고 생각할수 있나요?

  • @user-ni2rh4ci5e
    @user-ni2rh4ci5e25 күн бұрын

    좋은 설명입니다만 수업 대상이 미분 이제 막 시작하는 고등학생인가여? 영상 마지막에 고등학교때 안배운것도 응용이된다고 하신거 보면 성인이나 대학생들이 대상인거 같기도 한데 설마 대학 이공계 전공자들이 저걸 모르나여? 아니 그리고 조교가 저걸 모른다구여?? 어떻게 그럴 수가 있지 -_- 단순히 주입식 교육 탓하기에는 말이 안되는게 대학까지 왔으면 고등학생때 처럼 생각안하고 문제풀이만 할 수는 없었을텐데, 조교가 되고도 모른다는건 주입식 문풀 습관이 대학까지 이어졌기 때문일까요. 이거야 말로 세기의 난제인데....

  • @manmanmath

    @manmanmath

    25 күн бұрын

    이 강연은 대상이 고1이에요. 그리고 언급한 조교는 제가 대학을 다닐 때 조교이니 20여년 전 조교에요. 수학에서 더 어려운 내용을 공부한다고 해서 그 이전의 모든 개념들에 대해 엄밀하게 아는 건 아니니까 조교라도 모를 수 있겠죠.

  • @user-ni2rh4ci5e

    @user-ni2rh4ci5e

    25 күн бұрын

    @@manmanmath 아무리 그래도 저건 정도가 너무 심합니다. 수학적 모델링에 능숙한 대학원생이 자주 쓸일이 없어서 앱실론 델타 논법 까먹는거랑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이거는. 기본 개념에 대한 깊은 숙지를 바탕으로 지식의 확장이 일어나는건데요. 조교가 저 의미를 몰랐다는건 덧셈 뺼셈 배우고 이제 나눗셈 곱셉 배우게된 초등학생이 구구단은 외우고 곱셈은 할 줄아는데 곱셈이 덧셈에서 기인한다는걸 모르는거랑 똑같은 수준입니다. 대학에 와서도 과정중에 저 부분이 해결이 안되었다는건 대학에와서도 배우는 내용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자발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이 심각하게 결여되었기에 그런것 이죠. 단 1명의 사례를 가지고 뭐라고 할건 아니지만 한국인들의 주입식 학습방식과 사고방식이 기초학문과 상극인건 뭐 어제 오늘일이 아니긴 합니다.

  • @user-cg5bv1ow2u
    @user-cg5bv1ow2u2 жыл бұрын

    dy 나누기 dx 의미인지 아닌지 ? 그래서 결론은 ?

  • @manmanmath

    @manmanmath

    2 жыл бұрын

    - -;;

  • @jjungle5982

    @jjungle5982

    Жыл бұрын

    dy변화는 dx의 변화의 몇배냐

  • @jjungle5982

    @jjungle5982

    Жыл бұрын

    몇배가 미분

  • @user-tv5qs2mb4p

    @user-tv5qs2mb4p

    8 ай бұрын

    ​@@jjungle5982거의 깨봉수학인데요

  • @user-ni2rh4ci5e

    @user-ni2rh4ci5e

    25 күн бұрын

    강의 영상에도 나왔는데 좌표상에 두 점 (x1, y1), (x2, y2)이 있고 그 두 점을 통과하는 직선이 있다고 할때 그 직선의 기울기 구하는 방법은 당연히 아시죠? y2-y1/x2-x1 이거 자나여? 그런데 이거 분수 맞죠? dy/dx도 별개 아니라 위 두 점간의 간격을 매우 작게 좁혔다는 합의된 기호일 뿐입니다. 즉, y2와 y1, x2와 x1의 거리를 매우 작게 좁혔다는 의미가 dy, dx임. 좁혔다고 뭐가 달라지나여? 안달라짐. 걍 분수임.

  • @user-ym9bj6bc2j
    @user-ym9bj6bc2j Жыл бұрын

    음. .아닙니다..저게 저자에 따라, 상황에 따라 기호로도 쓰고, 나누기로도 쓰기 때문에 다들 혼동하네요..즉 책에서 저자가 기호로 정의한 것인지, 나누기로 정의한 것인지 혹은 서술하는 내용에 따라 구별해야 합니다..가령 책을 베낄 때 두책에서 같은 기호로 쓴 것으로 착각하고 책을 써서 그렇고, 그렇게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배우는 사람들도 같은 것으로 착각하고...총 3가지로 사용되기 때문에...최소 2~3가지 여러 책을 동시에 펼치고 공부하면 알 수 있습니다..이런 것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다른 기호를 쓰는 토마스와 스튜어트 책을 짬뽕해서 미적분을 쓰면 엉터리 수학 교과서와 정석 같은 것들이 등장하지요..

  • @user-ig2hm6vg8j
    @user-ig2hm6vg8j9 ай бұрын

    dy=0 아닙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