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역사스페셜 - 묵서지편의 증언, 석가탑이 무너진 까닭은?

- 1,200년 석가탑의 신화가 무너지다
지난 2009년 국립중앙박물관은 석가탑에서 발견된 묵서지편의 판독 결과를 발표했다. 1024년과 1038년 두 차례에 걸쳐 불국사의 탑이 보수됐다는 내용이었다.
이 문서는 석가탑이 1038년 붕괴 직전까지 갔을 때는 불국사 승려들이 소량의 시주까지 받아가며 석가탑을 고치는 데 두 손을 걷어붙인 사실도 담고 있다.
석가탑이 8세기에 세워진 뒤 단 한 차례도 보수된 적이 없는 완벽한 탑이라는 설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1,200년 ‘명품탑’의 신화가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그렇다면 석가탑이 붕괴 직전까지 간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 모든 내용을 품고서 석가탑 안에 잠들어 있던 고문서 《묵서지편》은 그 이유를 지동 즉 지진이라 말하고 있었다.
- 43년 만에 드러난 묵서지편의 증언
먹으로 쓴 글씨가 있어서 이름 붙여진 《묵서지편》은 1966년 9월 석가탑 도굴 미수사건을 계기로 알려졌다.
도굴범들이 훼손한 석가탑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문화재위원회 조사단이 발견한 것이다. 발견 당시에는 문서가 층층이 쌓여 있어 마치 시루떡처럼 딱딱하게 굳어 있는 모습이었다. 학자들은 이를 해석하면 석가탑의 많은 비밀을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판독은 쉽지 않았다.
1997년 붙어 있는 낱장을 하나하나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됐다.
그러나 열화현상으로 문서의 가장자리는 훼손되어 있었고 뒤죽박죽인 순서도 다시 맞춰야 했으므로 다시 10년의 준비 끝에 2009년 모든 판독 작업이 완료됐다. 발굴에서 판독까지 무려 43년의 세월이 소요된 것이다. 역사스페셜은 묵서지편의 복원 과정인 담긴 영상을 최초 공개하고 그 속에 담긴 석가탑 비운의 역사를 추적한다.
- 불국사를 뒤흔든 지진, 규모는 어느 정도였나?
《묵서지편》에 의하면 1038년 석가탑의 보수가 불가피하게 된 상황은 2년 전인 103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해 6월 21일 전국을 강타한 지진이 불국사에도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데 이때 석가탑은 기울어져 붕괴 직전 상황에 놓인다. 그러나 바로 수리에 들어가지 못하고 버팀목으로 받쳐놓은 채 임시조치만 취해진 상태이다. 당시 고려는 잦은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으면서 국가 재정이 심각한 위기 상황이었고 불국사 측도 곳곳에 피해를 입어 석가탑을 수리할 자금이 부족했던 것이다.
역사스페셜 제작팀은 각종 실험과 분석을 통해 당시 불국사 지역을 덮친 지진의 규모와 실체를 추적한다.
-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지진 관련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결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말한다. 각종 역사 문헌이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데 [삼국사기]에 100여 건, [고려사]에 190여 건, [조선왕조실록]에는 무려 2천 건이 넘는 지진기록이 실려 있다.
땅이 갈라지는 지열, 땅이 흔들리는 지동, 땅이 꺼지는 지함, 탑이 흔들리는 탑동, 돌이 무너지는 석퇴와 같이 그 표현도 다양하다.
그렇다면 과거에 이처럼 지진이 잦았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일정한 주기와 군집현상을 보이며 한반도를 뒤흔들었던 지진의 역사. 지난 2천 년 동안 한반도와 지진의 관계를 분석한다.
- 지진을 견딘 신라 건축의 비밀은?
경주가 유독 지진이 잦았기 때문일까? 신라 시대의 전통 건축물에서 내진설계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불국사와 첨성대 등은 신라만의 독특한 건축 기법을 통해 지진에 대비하고 있는데 그 비결은 바로 ‘그렝이 공법’과 ‘결구’, ‘돌못’이다.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했던 지역 경주에서 특히 시기적으로 지진이 빈번했던 시기를 살았던 신라인들은 지진이 발생하면 왕을 죽이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
천 년 전 지진을 마주 대하던 신라인들의 자세를 추적해 본다.
신역사스페셜 75회 - 묵서지편의 증언, 석가탑이 무너진 까닭은 (2011.7.7.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217

  • @user-wo3vv8oy4p
    @user-wo3vv8oy4p3 жыл бұрын

    다큐 좀 많이 제작해 주세요! 우리의 후세들도 알 수 있게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yg3dd1oz2o

    @user-yg3dd1oz2o

    2 жыл бұрын

    5ㅅㅅㅅ5슨5ㅅㅅㅅ

  • @user-jf1ec2er9n
    @user-jf1ec2er9n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이런 다큐 방송해줬으면 하네요 ㅠㅠ

  • @johngshin1566

    @johngshin1566

    3 жыл бұрын

    99⁹[[>⁹

  • @user-zq3ys1qp6q

    @user-zq3ys1qp6q

    3 жыл бұрын

    그래요. 요즘 역사스페셜 계속이런프로가 KBS에서 좀해주었으면 좋겠읍니다.

  • @user-ru4jm9hb7d

    @user-ru4jm9hb7d

    3 жыл бұрын

    내말이

  • @user-ln6kh1rk6k

    @user-ln6kh1rk6k

    2 жыл бұрын

    지금 하면 중국이 화내서 문재인이 혼남.

  • @whenever0807

    @whenever0807

    2 жыл бұрын

    역사 스페셜 다시 하네요

  • @vela8956
    @vela89563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 고대사 또해주세여

  • @kiminseattle3476
    @kiminseattle34763 жыл бұрын

    다큐주제와는 적절치 않은 표현이지만 비내리는 절간마당 보기만으로도 힐링이 됩니다.

  • @user-cx1ne9gp9s
    @user-cx1ne9gp9s3 жыл бұрын

    이런 심도 있는 역사 다큐가 시급하다 다시해줬으면!!

  • @user-bw3of3lh5s
    @user-bw3of3lh5s3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님의 지혜와 과학적 기술 놀라운 역사에 존경과 온 마음을 다해 감사드립니다.

  • @user-fn9cj6mv9g
    @user-fn9cj6mv9g3 жыл бұрын

    시청료로 이렇게 훌륭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신다면 저는 시청료 곱으로 낼께요~감사히 잘보았습니다~♡💕

  • @Alice-rp7wl
    @Alice-rp7wl3 жыл бұрын

    9:35 짝짝짝짝!!!!! 대단하다. 노고에 감동.

  • @TV-pd7ih
    @TV-pd7ih2 жыл бұрын

    정말 기록을 정확히 남긴 선조들과 이걸 과학적으로 해독하고 맞춘 우리 후손들의 솜씨가 오늘의 반도체를 만드는 모습과 같다....진심으로 선조와 후손들에게 그리고 고생하신 분들에게 경의와 존경을 ㅎ

  • @herlifekim9932
    @herlifekim99322 жыл бұрын

    1000년전의 문서를 맞추고 해독하고 학자들 정말 대단하신분들 ..

  • @user-ms4qv9fl5s

    @user-ms4qv9fl5s

    11 ай бұрын

    ㄲ4ㅇㄱ44ㅋ444ㅇㄱ444ㄱ

  • @jj-es9sn
    @jj-es9sn3 жыл бұрын

    이번편 너무 좋아요 오랜만에 제대로된 주제네요

  • @user-ug8tf3uu8p
    @user-ug8tf3uu8p3 жыл бұрын

    계속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murexred7211
    @murexred72113 жыл бұрын

    떡처럼 굳어있는 종이덩어리를 복원해낸 보존과학기술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네.

  • @honnykim6052
    @honnykim60523 жыл бұрын

    유익합니다.

  • @j.a3616
    @j.a36163 жыл бұрын

    40년만에 복원 와 국보급 유물을 살려낸 업적. 수고하셧습니다.

  •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3 жыл бұрын

    1년만에할일을 40년동안 연금받았네

  • @Lancelotdulac7098
    @Lancelotdulac70983 жыл бұрын

    불국사가 내진설계 끝판왕이구만

  • @user-tr1cq6zu4g
    @user-tr1cq6zu4g3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 @user-be4vq2io8d
    @user-be4vq2io8d3 жыл бұрын

    진도 6이 넘어가면 건물이 다 완파되는군요 ㄷㄷ 오래전이 아니라 최근에도 경주지진(2016. 진도 5.8), 포항지진(2017. 진도 5.4)의 지진이 있었죠. 동해안쪽 활성단층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앞으로도 있을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 @KKK-zn7yo

    @KKK-zn7yo

    Жыл бұрын

    규모랑 진도랑 완전 다른 말인데 진도 아니라 규모임

  • @graycain

    @graycain

    Жыл бұрын

    저당시 흑더미 건물은 무너지고 일단 요즘 건물은 6까지는 견딤. 탑은 고정된게 아니고 그냥 무게로 얹어서 만들어져 있으니 당연히 흔들리니까 무너지는거고.

  • @vela8956
    @vela89563 жыл бұрын

    방송후 정확히 5년뒤 경주에 5.8 지진이 왔네..

  • @vela8956

    @vela8956

    6 ай бұрын

    2023년 11월30일 경주에 진도 4 지진이 또옴

  •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3 жыл бұрын

    신라시대에도 그이전에도 우리나라도 지진이 있었고 문화재들을 복원하고 그랬었군요. 역사저널 그날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cq8jx8rh3y
    @user-cq8jx8rh3y3 жыл бұрын

    한상권 아나운서님 목소리 좋아욤 ㅎㅎ

  • @user-wr3cq1ig8s

    @user-wr3cq1ig8s

    3 жыл бұрын

    유인촌보다 낫지요

  • @YoutubeKorea_No.1

    @YoutubeKorea_No.1

    2 жыл бұрын

    연기자들보다 듣기가 훨씬 좋네요 편안합니다

  • @doheepark3366
    @doheepark3366 Жыл бұрын

    진리탐구 라는 사명감 하나로 올바른 역사 세우기에 주춧돌이 될수 있는 이런 자료들을 찾아내고 발굴해내고 세심한 과정을 거쳐 돌덩어리가 되어버린 고서를 땀과 노력으로 복원하는 여러사람들의 수고에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요즘 정치하는 자들의 이상한 행동에 정나미가 떨어져 버린 모국에 우연히 본 이 영상에 다시 정을 붙여보려 봅니다..

  • @rumon_9020
    @rumon_90203 жыл бұрын

    재미있내여

  • @gorhf9
    @gorhf93 жыл бұрын

    목소리도 좋네.. 꿀성대.. 이런다큐 요세없네

  • @rosekazan97
    @rosekazan973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 부활해라

  • @jinwo4474
    @jinwo44743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들면서, 한국의 자연을 더 애뜻하게 바라보게 되면서.. 우리나라 돌들이 얼마나 다루기 어려운지 알게 되었다. 유럽이건 어디건 다른 나라의 석공들을 부러워하지 마라. 한국의 화강암을 깎아서 아름다운 탑을 세우고 천년 이상을 유지하게 만드는 것은 기적 같은 일이다.

  • @user-ie9ph3ym6z

    @user-ie9ph3ym6z

    3 жыл бұрын

    멋있는 관점이군요

  • @user-jc7ol6cy9x

    @user-jc7ol6cy9x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이십니다. 네 오늘 그래서 석굴암을 보고 왔습니다.

  • @yoonseunglee1687
    @yoonseunglee16872 жыл бұрын

    고대의 역사는 일반인들이 자료 부족으로 알기 어려운데 짧지만 이렇게 영상으로 접 할수 있어서 흡족 스럽습니다.

  • @user-lo1wf6kb5x

    @user-lo1wf6kb5x

    Жыл бұрын

    최신과학기법분석외에 옛날사람들이 더 정통 똑똑하고, 안중근 윤통에게 보낸 편지처럼 술고래 석열아 술 그만 끊고 백성 살피길 ,과도한 방탕재정기재부폐지 없애야 한국은행 물가안정실패로 마이너스저금리로 대학생들 밥 1ㅡ2끼 먹어 고물가지옥,빈부양극화 한국 망했다. 수십억고가아파트폭탄 돌리기 성행,빈부양극화 세금수천억수조원 나눠먹기 억대연봉공무원33조적자한전, 없애야 할 건보공단산업은행한국거래소 가짜증권천국 뇌물 쳐먹고 수사 안한 쓰레기판검사천여명김앤장 돈벌레 한똥훈마누라변호사경찰윤석열김기현주호영이 망국주범이다

  • @tikitaka78
    @tikitaka783 жыл бұрын

    천여년 뒤, 이땅의 후손은 진도 6.0을 느끼게 되는데

  • @user-sunhu
    @user-sunhu3 жыл бұрын

    웅장해지네요

  • @twelve_04

    @twelve_04

    3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 @OlEH0429

    @OlEH0429

    3 жыл бұрын

    47.5분? 미쳤네

  • @user-wr3cq1ig8s
    @user-wr3cq1ig8s3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자연을 이길수 없습니다 잘 보존하고 간직해야 합니다

  • @user-wx7ox8tx1z
    @user-wx7ox8tx1z3 жыл бұрын

    29:00 초가집이랑 기와집 붕괴 재현 실험 보니깐 섬뜩하네요.

  • @user-st7ty9mb1d
    @user-st7ty9mb1d11 ай бұрын

    아름답습니다

  • @user-ph2jq7sn1n
    @user-ph2jq7sn1n3 жыл бұрын

    오~%~~재미지다

  • @ll-tg7xz
    @ll-tg7xz3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보고 싶은 거였는데...

  • @user-lj3gp9db3g
    @user-lj3gp9db3g2 жыл бұрын

    최애 프로였는데 부활시켜주세요!

  • @user-fq9oz4rv5w
    @user-fq9oz4rv5w3 жыл бұрын

    경주 지역에 지진 발생이 앞으로도 반복 될 수 있다는 거네요

  • @kimduhan91
    @kimduhan913 жыл бұрын

    요즘 이런 역사방송 왜 없냐ㅡㅡ 세금 어디로 세는거임

  • @user-cv8jx6ed6k

    @user-cv8jx6ed6k

    3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왜 다큐 역사 왜 안하는지 궁금하네요

  • @prist211

    @prist211

    3 жыл бұрын

    @@user-cv8jx6ed6k 시청률을 따지면 안되는데 따지니까요...

  • @hogu3337

    @hogu3337

    3 жыл бұрын

    국민들 수준이 낮아져서 보는사람 없음.

  • @user-cv8jx6ed6k

    @user-cv8jx6ed6k

    3 жыл бұрын

    @@hogu3337 그참 연애인들 나와서 수다떨고 그것도 모자라서 장모 장인까지 나오고, 더 나아가서, 광고 찍고, 그참 요즘 티브보는 재미가 없네요. 그것아니면, 보험 광고 천지고 ㅠ 자국민 정체성은 역사의식에서 나오지 않을까하는데요. 개인적 생각이지만,

  • @user-sl7zb2jm2n

    @user-sl7zb2jm2n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 대다수 본방송으로 해도 안 보잖아요... 그리고 역사저널 그날 있던데, 그거 보세요?

  • @user-nt2mw7wj3z
    @user-nt2mw7wj3z3 жыл бұрын

    대단한 민족이다

  • @Noname-ey6qe
    @Noname-ey6qe3 жыл бұрын

    울 나라도 지진이 엄청 쎄게 왓엇구나. 대단하다 신라인들

  •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3 жыл бұрын

    발해가망한이유도 지진.화산

  • @kwisoon9570
    @kwisoon95703 жыл бұрын

    경주월성에 원자력발전소 있는뎅

  • @user-hy1gh7ip8l
    @user-hy1gh7ip8l Жыл бұрын

    내진구조랑 상관이 있을까요.. 지진은 주로 좌우 진동인데..

  • @gohom2105
    @gohom21056 ай бұрын

    2011년에 방송을 햇는데 2016년에 경주 5.8지진이 일어났다. 이런 방송 귀한겁니다.

  • @cedn815
    @cedn8153 жыл бұрын

    역덕인데 넘잼슴

  • @user-gb5sq4uw2d
    @user-gb5sq4uw2d3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네 도굴꾼이 아니였음 저런 문서 완전 사라질뻔 했다는것이 ㅋㅋㅋㅋ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Жыл бұрын

    불국시 계단을 떠 받이는 아취 정점에 머릿돌이 있는데 그 머릿돌이 아취를 만들려면 ( 9.45 분의 사진에서) 서로 밀리는 힘을 막아내기 위해서 아랫쪽이 짧고 윗쪽이 길어야야 할 것 같은데 반대로 만들어지지 않았는지요? 그 것을 보셨다면 어느분이 설명을 해주실 수 있을까요?

  • @user-ip6it1vk8u
    @user-ip6it1vk8u Жыл бұрын

    2016년 경주대지진 진앙지도 경주 내남면 ,,석불이 누운 열암곡이 내남면입니다,

  • @user-oc1qh3bq8s
    @user-oc1qh3bq8s3 жыл бұрын

    신라인들 멋지네요 지금도 굳건하게 있는건 더 대단

  • @eww5957

    @eww5957

    3 жыл бұрын

    조선은 별로 싫음

  • @dasan2528
    @dasan25283 жыл бұрын

    도굴꾼들 참..... 문화재도 그저 돈으로만 생각을 하다니..

  •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Жыл бұрын

    신라인들이 지진을 대비하고 준비했던 방식을 발견하면 우리도 언제 다가올 지 모르는 지진에 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Jeong-eun
    @Jeong-eun3 жыл бұрын

    삼국사기보면 경주 지진이 많았던데

  • @user-us9rq1fm1x

    @user-us9rq1fm1x

    3 жыл бұрын

    김정은 그런거임?

  •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3 жыл бұрын

    경주남산 열암곡 마애석불이 땅속에 묻혀서 겨우보이기 시작했을때 현장을 답사해보았습니다 . 아직도 마완성의 마애석불이 포인트만 찍어두고 석불 조각을 하지못하고 미완으로 서있는 불상도 발견하였습니다. 암자에 스님이 거주하시는 아래에서 산정상에서 350M 아래 지하에서 맑은 물이 솓구처 올라오는 찬정이 반견되어서 산전을 경작하는 농업용수와 암자의 식용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user-rw7py2zw5n
    @user-rw7py2zw5n3 жыл бұрын

    선조들의 지혜로움은 놀랍다

  • @sionpark8480
    @sionpark84803 жыл бұрын

    삼국 사국의 웅장한 건축문화재가 복원됐으면....

  •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신라인들은 알면 알수록 대단함

  • @user-dd8rp4tn5l
    @user-dd8rp4tn5l2 жыл бұрын

    하나의한국 ^^^ 행복^^♡♡^^

  • @sv7167
    @sv71673 жыл бұрын

    포항지진도 자연재해인데 정부에서 보상해준걸로 기억나는데,이방송을 참고했으면 합니다.

  • @user-hv8td7ku9n
    @user-hv8td7ku9n3 жыл бұрын

    저 귀한걸 맨손으로 만지다니 미쳤고만!!!!

  • @user-us9rq1fm1x

    @user-us9rq1fm1x

    3 жыл бұрын

    이정우 그런거임?

  • @user-wb2uc9jv3e
    @user-wb2uc9jv3e3 жыл бұрын

    방송하고..얼마만에..지진이있었던건가요..?몇년전..경주..그쪽동네지진이생각나네요..학교다닐때..우리나라는안전지대라고들었는데..완전안전지대는아닌가봐요..

  • @user-je7iq6nu2l
    @user-je7iq6nu2l3 жыл бұрын

    꼭봐야지ㅎ

  • @user-nf4ej8ng2j
    @user-nf4ej8ng2j3 жыл бұрын

    석굴암이나 불국사 일본인이 발견하기전에도 지진때문에 축석이 무너져있었죠 지진이 많았다는겁니다

  • @iamBlack862
    @iamBlack8622 жыл бұрын

    4-5년전에 경주에 6가까이 되는 지진 났는데 200-300년은 무사했으면 좋겠네요

  • @j.y.5276
    @j.y.52763 жыл бұрын

    경주.김해.부산쪽등 남동쪽 지진이 옛부터 서쪽보단 더 강도가 셌구나. 그쪽 아파트는 잔도 7에 안전한가?

  • @user-bl8jm5ik1p
    @user-bl8jm5ik1p Жыл бұрын

    😁👍

  •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6 ай бұрын

    경주 포항쪽은 역사적으로 지진이 잦은 지역이엇군요.

  • @beumkeechoi7585
    @beumkeechoi75853 жыл бұрын

    고대에 우리조상들은 마애 자연석에 부처님을 조각해서 후세에 남기려는 문화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졌다고 여겨집니다. 30년전에 직접 여러차례 답사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779년에 거대 지진이 습곡현상을 동반해서 동해안쪽에서 솟구처올라온 흔적이 있습니다. 과거 고대는 강물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물이 많이 흘려나갔다합니다.

  • @user-jh2ym5hv4k
    @user-jh2ym5hv4k3 жыл бұрын

    불교가 최고다 기록남긴 장인들 좋은곳에 환생햇다

  • @user-bp8om4rc1m
    @user-bp8om4rc1m2 жыл бұрын

    다보탑 돌사자훔쳐간 도둑놈들 빨리 반납하라 3마리

  • @user-qu9kj9hq5v
    @user-qu9kj9hq5v3 жыл бұрын

    초가집 단단하네 6.5까지는 버텼넹

  • @user-us9rq1fm1x

    @user-us9rq1fm1x

    3 жыл бұрын

    정환 그런거임?

  •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Жыл бұрын

    일본만이 아니라 대한민국도 지진 안전 지대가 아닙니다. 대한민국 지층에 대한 연구와 지진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자주 이뤄져야 합니다. 대한민국 해변에 식인 상어가 자주 등장하는 이유들 중 하나가 지층의 변화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 @hsk2718
    @hsk27183 жыл бұрын

    11월달에 경상도 쪽에 또 지진 난다는데 지진 관련해서 너무 잠잠함

  • @user-jl2hk5gs5t
    @user-jl2hk5gs5t3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경주 갔을때 부처상 들 목이 없고 누워있고 난리 부르스 였구나 이제 수수께끼를 풀었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2 жыл бұрын

    龍룡穴구멍砂모래水물.... 💐🌷좌청룡 우백호🌻 💐 정치인 국민을 알라 기업인 돈보다 국민을 존중하라 언론인 국민을 가르치라 법조인 힘없는 국민을 보호하라 변증법적으로 국민들을 깨우침의 가르침을 주셨네요

  • @aripoor
    @aripoor3 жыл бұрын

    다라니경이 8세기에 만들어졌다며 세계 최초 운운했었는데 해석이 되면서 11세기에 만들어진걸로 판명나버렸지

  • @user-is6zw7zh3k
    @user-is6zw7zh3k Жыл бұрын

    옛날 물건을 만질 때는 제발 장갑을 좀 끼도록 하세요

  • @user-kg6ok6wb4g
    @user-kg6ok6wb4g3 жыл бұрын

    석가탑 도굴한 놈들은 저승에서 뭐하고 있을려나? 아주 그냥 지옥불 제대로 경험하고 있을꺼 같은디

  • @helookscool

    @helookscool

    3 жыл бұрын

    무간지옥에 있겠죠 .....? ㅋㅋ

  • @user-dc7ix1sg5u
    @user-dc7ix1sg5u3 ай бұрын

    경주 대지진때도 석가탑이 인위적으로 분해했었다 ~ㅠ 내가 많이 놀랐다~ㅠ

  • @jonghoonkim8688
    @jonghoonkim86889 ай бұрын

    저 방송(2011년) 후 5년 뒤 경주에서 규모 5.8 되는 지진 발생…. 지진 예고 방송된 셈이네

  • @user-qx3dk9wx8i
    @user-qx3dk9wx8i3 жыл бұрын

    경주사태 이후 방송인줄...재난 예견방송이었군요.. 역시 역사는 시대의 거울이네요... 그런데 이런 곳에 원자력발전소라니...

  • @user-ij7lc1ux1f
    @user-ij7lc1ux1f2 жыл бұрын

    요즈음 뉴스 볼게 없어서 안보고 싶어서 아침저녁 으로 역사 프로만 보네

  • @forrestkim4828
    @forrestkim48282 жыл бұрын

    1000 years old paper !

  • @user-ms9id4le7f
    @user-ms9id4le7f2 жыл бұрын

    47:50

  • @forrestkim4828
    @forrestkim48282 жыл бұрын

    안치 여시(여기) !!! 여기에 가장 가까운 한자 여시 음차 문자를 신라 이두문이라고 하나요 ?

  • @user-jh2ym5hv4k
    @user-jh2ym5hv4k3 жыл бұрын

    공덕으로 좋은곳에 환생해서 설명하고있네 인 연 법으로

  • @avan3771
    @avan37714 ай бұрын

    1984년 경주에 지진이 많이 왔다 어릴적에 먼지는 몰라지만 그냥 무서웠다 하늘에 갈비 구름도 자주 봤다..

  • @jamiejj368
    @jamiejj3683 жыл бұрын

    세금으로 이런 다큐나 만들어라 평균 연봉 1억씩 땡기는 것들이

  • @abby8034
    @abby803411 ай бұрын

    다보탑 내부엔 아무것도 없나? 드론이나 소형 망원경을 밀어 넣을 수 없나?

  • @user-dc7ix1sg5u
    @user-dc7ix1sg5u3 ай бұрын

    점 과 선 나라히 나란히 별자리 역과 역을 이어주고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고 세대와 세대를 연결하고 단군신화 지키고 정복하고 땅 문화 정신 철학 주역 하늘의 이치 땅의 이치 사람의 이치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Жыл бұрын

    16년도에 포항, 경주에 지진이 있었지 일본과 근접해서 이런 일이 반복되는구나 앞으로도 유물들이 무사해야 할텐데... 쓰러진 불상은 얼굴이 온전해서 다행

  • @leee2447
    @leee24473 жыл бұрын

    이야~경주로 신혼여행가야겠넹

  • @user-eo3re9hq9c
    @user-eo3re9hq9c3 жыл бұрын

    20세기 와서 한반도에 지진이 자자든 것 도 우리에게는 홍복인 듯 합니다.

  • @DK-hy3lo
    @DK-hy3lo10 ай бұрын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라 생각하는건 크게 잘못된 것이다 , 국토의 대부분이 산으로돼 있는데 모든산들은 지진에 의해서 솓아오른것이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2 жыл бұрын

    사賜주다 ᆢ 751년 신라는 토함산 佛國사寺절 그렝이건축법 ᆢ 내진공법 ᆢ 돌石못으로 내부를 지탱하고 월정교 석축을 유지하는 건축법 입니다

  • @parkerhong3988
    @parkerhong39886 ай бұрын

    성지순례!이방송 2011.07.07방영이고 그 5년뒤 경주지진 ....그리고 조금전 또 경주 지진.......ㅠㅠ공영방송이란 이런 것이다!!!!

  • @user-rp8ei7nx7w
    @user-rp8ei7nx7w3 жыл бұрын

    경주가 신라 수도가 아니라고 하는분은 역사공부하세요

  • @user-rd8wq3tw9s

    @user-rd8wq3tw9s

    3 жыл бұрын

    서라벌

  • @user-lc7ui5sr9d

    @user-lc7ui5sr9d

    2 жыл бұрын

    신라의 궁궐은 네곳이 있었습니다 지금의 경주는 네곳중에 하나이죠 옛기록에 토함산에 몇날 몇일을 화산재와 용암이 흘러 내렸다고 하는데 경주 토함산에 그런 흔적이 없더군요

  • @RP-qm5hm

    @RP-qm5hm

    4 ай бұрын

    계림

  • @user-nj7jc2ss3g
    @user-nj7jc2ss3g2 жыл бұрын

    지진보다 경주에서 태어나 서울보다 비싼물가 경제부흥기에 재개발 비지역구로 만든 그런 도시아이가 그렇다고 정부지원이런거 없는 그런 헬 경주 ㅋㅋ지진도 자주나서 집값 30년 동결ㆍ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2 жыл бұрын

    우리인간은 자연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단지, 피해갈 수는 있습니다 신라시대는 751년부터 지진하고 싸워왔네요 고려시대는 중국 🇨🇳 원나라 싸웠네요

  • @kanghyunyoo6690
    @kanghyunyoo66903 жыл бұрын

  • @tv.2745
    @tv.27453 жыл бұрын

    석굴암은? 내진 말이좃타.

  • @user-lo1wf6kb5x
    @user-lo1wf6kb5x Жыл бұрын

    그게 재탕3탕해 더 이상할 게 없어, 재방송 보세요 유튜브 보고, 그량이 고구려백제가야산성서 볼 수 있는 마야,멕시코석축서 볼 수 있는 인류의 슬기, 진흙 다진판축공법도 그 한가지, 고구려백제선진기술도입 신라석굴암석불사. 등 획기적발전도약 이룸

  • @ohsung_world
    @ohsung_world3 ай бұрын

    2023년 11월 30일 경주 4.0 지진이.... 허엇;;;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