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ECU가 오류나면 급발진? 사실인지 실험해 봤습니다.(열,물,전압,정전기)

Автокөліктер мен көлік құралдары

#급발진#ECU#인터넷민족
인터넷 가입이 필요할때 인터넷 민족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전화상담 1800-6475
※홈페이지 www.in-min.com/
※카톡상담 pf.kakao.com/_mRJlxb/chat
:: 촬영의 안전을 위해 관계자가 함께 동행하고 있습니다.
:: 실험 차량 중 모자이크는 협력 폐차 업체의 요청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실험 차량은 픽플러스와 협력 폐차 업체의 차량이며, 영상에 따라 폐차 차량으로 진행됩니다.
※ 비지니스 제휴 문의
help@pickplus.net

Пікірлер: 3 200

  • @0906car
    @0906carАй бұрын

    실험쥐 누나한테 역할 뺏길까봐 두려운 스피더면 개추 ㅋㅋ

  • @goddali

    @goddali

    Ай бұрын

    역할 맞춤법 빙시 개추

  • @doctorc3121

    @doctorc3121

    Ай бұрын

    오히려 좋은 구독자면 개추ㅋㅋㅋ

  • @sr4840

    @sr4840

    Ай бұрын

    역활이 아니라 역할이라고 고쳐주고 싶으면 개추 ㅋㅋ

  • @user-qr8lf9nd6z

    @user-qr8lf9nd6z

    Ай бұрын

    픽플러스 시즌2인건가 ㅋㅋㅋㅋㅋㅋ

  • @Prove-mx5rx

    @Prove-mx5rx

    Ай бұрын

    우리 남캠들이 이랗데 여미새가 많은데 수익을 위해서라면 어쩔 수 없죠. 유튜버는 히키코모리 남캠들 천지라 돈벌기 최적화 된곳

  • @Siyuuuun
    @SiyuuuunАй бұрын

    이런실험은 침착하신 스피더님이 더 잘 하셔서 정보전달이 잘될듯 실험쥐님 너무 귀엽지만 덜 위험한 실험하시면 더 잘맞을듯ㅎㅎ다들 수고많으십니다

  • @user-xo3dg4oj8y

    @user-xo3dg4oj8y

    Ай бұрын

    호덜갑이 영상집중에 방해가 되기는 하네요.

  • @anyoonuk1

    @anyoonuk1

    Ай бұрын

    ㄹㅇ​@@user-xo3dg4oj8y

  • @dawncho6441

    @dawncho6441

    Ай бұрын

    맞음 ㅋㅋ 밟았는지 안밟았는지 정보전달도 잘 안되니까

  • @konica_

    @konica_

    Ай бұрын

    실험쥐는 실험쥐 일뿐.... 남녀차별하고 그러는거 아니다.

  • @user-jo4ix9me3m

    @user-jo4ix9me3m

    Ай бұрын

    보들갑 흐름깨긴함.

  • @user-fy4ln5cf4w
    @user-fy4ln5cf4wАй бұрын

    영상 잘봤어요 픽플러스님 ㅎㅎ

  • @user-jx8dd1fe3v
    @user-jx8dd1fe3vАй бұрын

    유투브 채널 중 상 줘야 하는 채널 중 하나가 픽플러스라고 생각함....ㅋㅋ

  • @user-qo3co4mj1l
    @user-qo3co4mj1lАй бұрын

    대박 입니다 영상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lunoussky6875
    @lunoussky6875Ай бұрын

    지금 막 뉴스에서 급발진 내용이 나와서 걱정하던 찰나에 영상이 올라왔네요. 언제나 구체적인 실험 감사드립니다

  • @eskad

    @eskad

    Ай бұрын

    ​@SherlynFluhmann나 셱파인데 이거 맞다

  • @donbu-ahn

    @donbu-ahn

    Ай бұрын

    그뉴스 운전자 나이가 어떻게 된다고 하나요? 60대이상이면 과학입니다.답 부탁드립니다.

  • @Deungsanman

    @Deungsanman

    Ай бұрын

    급발진은 없습니다. 페달오인사고에요.

  • @user-gy7mp8le1j

    @user-gy7mp8le1j

    Ай бұрын

    고의로 악셀 밟지 마시오. 풀악 노노

  • @korimperator

    @korimperator

    Ай бұрын

    급발진 주장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할 방안을 만들 생각은 안하고 단순히 감정에 호소하고 이슈화 해서 조회수나 빨아 먹으려는 인간들이 바글바글 하고 비판적 사고가 불가능한 한심한 인간들은 거기에 동조해서 이상한 소리나 하고 있으니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안되고 있음 급발진 주장 사고 줄이려면 65세 이상 운전자는 형식적인 신체검사가 아닌 인지 능력이나 반사신경등을 테스트해서 기준치 이하인 사람들은 면허를 회수하고 미국처럼 65세 이상은 대중교통 운행을 금지 시켜야 함 그리고 노인들은 본인이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지 가속페달을 밝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장치를 장착한 차량만 운전 할 수 있도록 법제 화 해야 함 그리고 자동차 생산 업체들도 EDR 기록 장치가 더 오랜 시간 기록이 가능하고 브레이크를 밟는 정도도 ON OFF가 아닌 몇% 밟았는지 기록 되도록 만들게 해야함

  • @user-pr9cz5dy2s
    @user-pr9cz5dy2sАй бұрын

    두가지 영상을 한번 보시고, 급발진 관련해서 요 두가지도 실험해주세요~ㅎㅎ 1. 스로틀바디 케이블 커넥터 접촉불량 kzread.info/dash/bejne/dmR82Nt_qNDNnLA.html 2. 발전기 전압 불량 www.youtube.com/@kbssisa/videos 첫번째 영상은 스로틀바디 커넥터 부분 접촉불량으로 인해 고rpm으로 치솟는다는 영상이고 두번째 영상에서 11분쯤부터 제너레이터(발전기?) 전압에 따른 스로틀바디 제어 불가능에 대한 테스트 영상이에요 급발진이 페달과 상관없이 차가 스로틀 바디를 최대치로 열어 고rpm으로 달려나가는 현상이니 ECU자체 문제도 있을수 있겠지만 스로틀바디쪽도 봐야되지 않을까 싶어요 그래서 인위적으로 스로틀바디 커넥터에 핀 일부가 접촉불량이 되었을때랑 고전압 말고 저전압으로 했을 때 문제가 궁금해요~ 두번째 영상에서 보면 6~14볼트로 가변적으로 움직일때 전압이 떨어지면 ECU가 리셋 되면서 스로틀바디를 제어 못하더라구요 약간의 접촉사고 이후 급발진 하는 경우 또는 운전중에 갑자기 급발진 하는 경우가 있던데 충격으로 스로틀 바디 커넥터가 살짜 접촉불량나거나 발전기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발전기가 오래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할때 전압이 제대로 나와주지 못해서 발생 하는게 아닌가 하는 추측같은걸 해봅니다 ㅎㅎㅎ 전기차는 제너레이터 대신 고압에서 저압으로 바꿔주는 모듈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지 않을까,,,싶기도 하구요~ 실험하실때 항상 안전에 유의 하세요~~

  • @jtk898
    @jtk898Ай бұрын

    급발진이라 하긴 뭐하지만 제가 예전에 트럭을 몰았는데 노후되서 비만오면 물이 배선쪽에 물이들어갔습니다 차종은 메카트럭이었고 위에 천장에 녹이나서 그사이로 빗물이들어와 고무몰딩으로 물이타고내려와서 조수석에 퓨즈박스가있어서 조수쪽밑에 배선이 엄청많습니다 여튼 배선뭉치쪽으로 물이 튀었는데 어느날 키돌리는동시에 알피엠이 미친듯이 치솟더라구요 계기판이 깜빡깜빡거리고 알피엠은 요동치고 엔진소리는 왕왕왕왕 거리면서 차가 미첬어요 수동이라서 기아넣지않는이상 움직이지는않아 다행이었지만 단골 카센타사장님이 출장으로와가지고 에어 불어서 배선뭉치에있는 짹타입을 전부 물기를 없애주니 정상으로 돌아오더라구요.. 그때 원인이 악셀이랑 연관있는 배선짹이 방수가안되서 물기때문에 오작동 일어났던거였습니다 뭐 ECU도 확률이있겠지만.. 악셀관련 배선으로도 발생 할수있겠습니다

  • @jhkim5305

    @jhkim5305

    22 күн бұрын

    TPS 던가.. 트로틀 포지션 센서. 수십년전에 공부했었던.. 물기에 의한 합선으로 센서 값에 오류가 생기면 ecu가 오판하고 풀악셀 칠수도 있을듯. 요점) 실험하는 눈나 이쁘고 잘 웃어서 같이 웃게됨.

  • @user-ms7ip1hw9p

    @user-ms7ip1hw9p

    16 күн бұрын

    ​@@jhkim5305누..나..요...?

  • @powerjs000
    @powerjs000Ай бұрын

    @03:07 차량용 반도체 칩은 밀리터리 스펙으로 -40 ~ 150도 까지 작동을 보장하도록 설계합니다. 또한 시동을 걸면 스타터모터 때문에 순간 peak 전압이 60V 까지 튀기 때문에 베터리 전압이 12V여도 60V까지 내구성을 지닌 트랜지스터로 설계됩니다. 보통 패드에 ESD보호 회로를 내장해서 순간적인 정전기는 어느정도 막아냅니다. - 지나가던 반도체 설계엔지니어.

  • @redopark

    @redopark

    Ай бұрын

    "보장"이라 함은 해당 조건 내에서 오동작 시 '불량품'으로 취급해 보상을 해 준다는 의미이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닙니다. 불량율 PPM은 물론 매우 낮겠지만, PPM을 0으로 보장하거나 퀄 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 @user-eo9dy5zj4u

    @user-eo9dy5zj4u

    Ай бұрын

    @@redopark 어디서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인이 엔지니어한테 말대꾸ㅋㅋㅋㅋㅋ 밀리터리 스펙이 뭔지는 앎? WCMIL이라는 공정 library가 뭔지는 앎? 밀스펙이 뭔지는 앎? 아니 애초에, 트랜지스터가 뭔지는 알아?

  • @user-wi4pj4hk4z

    @user-wi4pj4hk4z

    Ай бұрын

    ​@@redopark원댓은 반도체 설계엔지니어인데 님은 뭐하시는 분인지?

  • @pstarke1066

    @pstarke1066

    Ай бұрын

    ​@@user-wi4pj4hk4z 스펙이란 말이 뭔지도 모르는 급식 뚜벅이인듯요

  • @XV73

    @XV73

    Ай бұрын

    예 그건 칩단이고요 수동소자는 일반용썼다 국회서도 털린적 있습니다 ㅎㅎ

  • @user-wq3od4fy9p
    @user-wq3od4fy9pАй бұрын

    픽플러스는 사랑임니다^^*

  • @kcrollerskate3404
    @kcrollerskate3404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 @user-un7ho7fp1e
    @user-un7ho7fp1e24 күн бұрын

    이렇게까지 직접 실험해주는 유튜버가 있는가?! 난생. 처음. (좋아요) 눌렀읍니다. 감사합니다.

  • @shalsgur2001
    @shalsgur2001Ай бұрын

    0:43 아니 문을 탈거하는 과정이 ㅋㅋ

  • @fiento

    @fiento

    Ай бұрын

    씨발ㅋㅋ 어이가없네

  • @skyeye8519

    @skyeye8519

    Ай бұрын

    탈거(즉시)

  • @kiyjy7

    @kiyjy7

    Ай бұрын

    돌진으로 탈거시켜버리기 ㅋㅋㅋ

  • @yunsuho

    @yunsuho

    Ай бұрын

    현실판GTA

  • @KimEvil81

    @KimEvil81

    Ай бұрын

    낭만 미쳤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rummulo
    @ErummuloАй бұрын

    11:19 살려달라는 말에 고문관님의 묵직한 팩폭

  • @Happy_life_jeju
    @Happy_life_jejuАй бұрын

    역시 믿고보는 픽플~~

  • @user-mg2en9sf7b
    @user-mg2en9sf7bАй бұрын

    실험쥐 누나 오래보고싶어요..다치게 하지말아주세용

  • @user-iy5xv1gb3m

    @user-iy5xv1gb3m

    Ай бұрын

    급발진은 그 차 앞에 있는분들이 더 위험하죠...

  • @SSOYA99

    @SSOYA99

    25 күн бұрын

    @@user-iy5xv1gb3m기어가 안들어갔는데 어떻게 앞사람이 위험하냐 ㅋㅋㅋㅋ rpm이 오르는것만 재현하는건데

  • @user-eb5zb7lk2e
    @user-eb5zb7lk2eАй бұрын

    모조건 죽일려는 우리 픽플러스 형님들ㅋㅋㅋㅋ 존경합니다 다음은 차는 무슨차량이죠ㅋㅋㅋㅋ

  • @user-qg8sy1xn4r

    @user-qg8sy1xn4r

    Ай бұрын

    여자 실험자는 빼자!! 얼굴마담 시킬려고 이런 불안한 실험을 한다는건 매우 위험해 보임.

  • @highereven8592

    @highereven8592

    21 күн бұрын

    @@user-qg8sy1xn4r ㅎㅎㅎ 뭐가 불만이야 ㅎㅎㅎ 여자 모델 걱정하는것도 아니고 그냥 본인이 불편한듯 한데

  • @user-qg8sy1xn4r

    @user-qg8sy1xn4r

    17 күн бұрын

    @@highereven8592 그러는 너는 무슨 불만이야 ㅎㅎㅎㅎ 이런저런 말을 남기는게 댓글인데 너 자신이 붏편해 보여 ㅎㅎㅎㅎ

  • @KMC_0

    @KMC_0

    2 күн бұрын

    ​@@user-qg8sy1xn4r -틀-

  • @user-ls9tb6ly8v
    @user-ls9tb6ly8vАй бұрын

    물에 빠졌을떄 탈출하는법 잘 배우고 갑니다. 너무 유익한 내용이라 100번 돌려봤네요

  • @Loveisbtob
    @LoveisbtobАй бұрын

    이채널은 진짜 떡상을 해야 합니다

  • @Korea17
    @Korea17Ай бұрын

    이런건 실험쥐1님보다 스피더님이 실험을 더 센스있게 하시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 @boggood

    @boggood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스피더였으면 저런 리액션 안나왔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냥 똑같이 신나서 밟고있었을듯. ㅋㅋ

  • @Blackaloe

    @Blackaloe

    Ай бұрын

    ​@@boggood 그게 조은건데

  • @TheLuxPark

    @TheLuxPark

    Ай бұрын

    아. 답답했음. 스피더가 더나아.

  • @user-hf1zy2iu1j

    @user-hf1zy2iu1j

    Ай бұрын

    저렇게 테스트하면 나올법한 증상들인데 오버하는게 재미없음

  • @Blackaloe

    @Blackaloe

    Ай бұрын

    @@user-hf1zy2iu1j ㄹㅇ 그냥 충분히 일어날만한 현상들인데 너무 호들갑 떨어서 뭔가 좀 그랬음 스피더였으면 오옼ㅋ하면서 더 밟암ㅅ을듷

  • @hodoya82
    @hodoya82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좋네요. 질적으로나 영상적으로나. 앞으로 종종 오늘같은 영상 부탁드릴게요

  • @guyzaccoco8169
    @guyzaccoco8169Ай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ser-od8hj3fc1e
    @user-od8hj3fc1eАй бұрын

    자동차를 모르지만 사람이 안밟아도 풀악셀 밟는 효과를 보려면 어느부위를 조작 해야 되나요? 그부분을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실험 해봐도 될듯싶은데요 다시 설명하자면 풀악셀을 밟는 효과가 날수있게 악셀 밟는 센서 부품 기계적장치에 물이나 먼지 등등 쇼트를 일어킨다는 가정이거나 그부분의 장치들이 악셀에서 발 밟고있다가 발을 떼어도 페달은 원치가 되더라도 엔진룸안에 부품들이 원상복구가 되지 않고 직류?연결이 되는걸 한번 생각해보고 실험 해봤어면 싶네요

  • @health_trader
    @health_traderАй бұрын

    과거에 다큐멘터리 창이란 프로에서 급발진 관련 방송했는데 거기서 전기가 불안정하게 공급되니 스로틀 100% 열리는 실험을 본 적 있네요. 당시 LS전선 인증 마크가 있는 전선을 추적하니 납품 업체가 가짜 인증을 찍어서 중국산 전선을 공급한 영상도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현기도 LS도 모르게 납품이 되었고, 저렴한 전선으로 불규칙한 전류가 오류를 만들면서 스로틀이 열렸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으로 끝났던 것 같네요.

  • @meowoem6754

    @meowoem6754

    Ай бұрын

    스로틀이 열리면 중립에 놓고 풀브레이크 밟으면 되는것을 브레이크가 안밟힌다하는 급발진 호소인들은 풀악셀밟은거 맞죠

  • @Ratel_777

    @Ratel_777

    Ай бұрын

    ㅇㅇ 급발진 주장하시는 분들은 말씀하신 상황에서 공교롭게 브레이크마저 잘못되었나봐요~

  • @user-ul9br5tv7g

    @user-ul9br5tv7g

    Ай бұрын

    @@meowoem6754 kzread.info/dash/bejne/dmR82Nt_qNDNnLA.html

  • @user-ul9br5tv7g

    @user-ul9br5tv7g

    Ай бұрын

    @@Ratel_777 kzread.info/dash/bejne/dmR82Nt_qNDNnLA.html

  • @user-qh1ps8ho5w
    @user-qh1ps8ho5wАй бұрын

    아 귀여워 !! 역시 고문관님!!오늘도 한 귀여움 하셨어요!!

  • @never_give_up_777
    @never_give_up_777Ай бұрын

    오늘도 자동차 문화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르노코리아 감사합니다

  • @Josephsl78
    @Josephsl78Ай бұрын

    자동차를 넘어서 물리학적 실험의 대가가 되는 픽플러스 기원합니다

  • @macrojeong7902
    @macrojeong7902Ай бұрын

    근본 스피더 와주세요...

  • @jejejeje-ym8de
    @jejejeje-ym8deАй бұрын

    급발진 의심이라는 사고보면 경고음같은건 따로 안들리는것같던데 ECU가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장기간 노출되었을때 생기는게 아닐려나요? 예를들어 20볼트정도에서는 경고가 안뜨는데 계속 된다던지? 아니면 기판에 납땜이 이상해서 연결이 한번씩 튄다던지?

  • @user-fy2gu7wf1k

    @user-fy2gu7wf1k

    Ай бұрын

    시대가 어느 시댄데 납땜이에요 요즘 납땜으로 안돼있을껄요?

  • @user-ph2gm9jp1b

    @user-ph2gm9jp1b

    Ай бұрын

    ​​@@user-fy2gu7wf1k납땜 안하면 어떻게 기판을 만드나요? 영상에 나온 ecu 회로만 봐도 납땜 덩어리인데 smd 솔더링 말씀하시는거같은데 납땜이라는 범주에 전부 들어갑니다...

  • @nowaday8967

    @nowaday8967

    Ай бұрын

    @@user-fy2gu7wf1k최첨단 gpu npu 같은거도 죄다 bga 방식 솔더링(납땜)하는데 무슨 소리 하는건지 ㅋㅋㅋㅋ 사람이 직접 안하고 기계가 납땜할뿐 근본적으로는 죄다 납땜 이에요 ㅋㅋㅋㅋ

  •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user-fy2gu7wf1kㅉㅉㅉ;;;

  • @user-ul9br5tv7g

    @user-ul9br5tv7g

    Ай бұрын

    @@user-fy2gu7wf1k 납땜안하고는 기판을 못만듭니다

  • @user-gh2qp7ys3n
    @user-gh2qp7ys3n14 күн бұрын

    픽플러스 최고에요❤❤❤

  • @rpm7Kish
    @rpm7Kish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늘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게 있는데요. 운행을 자주 안하는 차의 경우,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시동을 걸어주고 있는데 실제로 며칠 정도면 피스톤 벽에서 엔진오일이 마르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3일에 마른다면 3일에 한 번씩 시동을 걸어주는 게 좋은지 2주에 마르면 2주에 한 번 걸어줘도 괜찮은지 궁금해요.

  • @user-dl8bu7ci7l

    @user-dl8bu7ci7l

    Ай бұрын

    개공감

  • @user-jb6cj4ty2k
    @user-jb6cj4ty2kАй бұрын

    스로틀바디 전자제어 케이블 (커넥터)로 인해 알피엠 튄다한거 봤던거같은데 그쪽부분 커넥커 접촉불량으로 생겼다고하니 그쪽부위 실험 부탁드려요ㅠㅠ

  • @user-ik4mo8vq8e

    @user-ik4mo8vq8e

    Ай бұрын

    이런식의 실험은 아무 의미없는 실험입니다. 이정도 실험으로 증명되는거였으면 진작 다 밝혀졌겠죠?ㅎㅎ

  • @won9357
    @won9357Ай бұрын

    스캐너 꽂아둔 상태면 전압 올려서 테스트 했을때 ecu나갈때 화면도 같이 나갔을수도 있을듯 싶네요 obd단자 통해서 역으로 전류먹으면 충분히 나갈수 있지 않을까 싶은...

  • @user-wo9es4jm2i
    @user-wo9es4jm2iАй бұрын

    이 눈나 터프한 도전 !! 멋져서 반하겠네요 ㅎㅎㅎ

  • @user-yy1vy7qp2d
    @user-yy1vy7qp2dАй бұрын

    예전에 보면 스로틀밸브가 열린상태에서 리턴불량차량들이 가끔 있었는데... 스로틀밸브 풀개방상태(악셀페달이 아닌 강제로 스로틀바디에서 작동)에서 주행조건에서 동시에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력이 얼마나 작동되는지 궁금합니다.. (스톨테스트의 방법을 거꾸로 하는 개념(?) 브레이크 작동후 악셀작동이 아닌 풀악셀에서 브레이크 작동) 그리고 스로틀바디에서 강제로 스로틀밸브 작동시 EDR에도 기록이 되는지... 아니면 단순히 악셀페달 작동값만 EDR에 기록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혹시라도 페달의 작동값만 EDR에 기록된다면 페달의 출력값인 스로틀밸브의 개방정도의 값도 EDR에 기록되어야 급발진 여부를 판단할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테스트 차량은 국내에서 급발진 의심사고로 가장 많이 이슈된 차량으로 선정하는게 어떨까요...

  • @pdj-ig7xh
    @pdj-ig7xhАй бұрын

    Esd 건이네요.. Iec 61000-4-2 표준인데 원래는 영상처럼 칩이나 핀에 다이렉트로 쏘지 않습니다 20kv를 칩에 바로쏘면 죽죠.. 외부나 샷시에 때리긴 하지만 이런 실험도 흥미롭군요 2kv 4kv 8kv 16kv 로 level4까지가 일반적인 시험 표준이고 기중과 접촉방전 모두 시험합니다 굳이 따지자면 영상은 접촉방전이겠네요.. 전장쪽 칩들은 인피니온이 꽉 잡고 있는걸로 아는데 비싸기도 비싸고 esd내성도 어느정도 가진칩들도 있고 해서 그런가 칩이 안 죽네요...? ㅋㅋ 보통 esd 건 쏘는 도중 장치가 오동작을 내는 경우 여러 경우에 따라 class 1 2 3 4로 매겨진답니다 오동작 발생했으나 수 초 이내 스스로 정상재개,오동작 발생 후 스스로 리셋 동작, 오동작 발생 후 멈춤 등등.. 아마 오동작이 발생하면 스스로 리셋때리면서 초기 상태로 돌아가려 해서 멈추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흥미로운 실험영앙 잘보고 갑니다

  • @user-eo9dy5zj4u

    @user-eo9dy5zj4u

    Ай бұрын

    현직자 너무 반갑고!! 고생하십니다ㅎㅎ

  • @user-pl2bk2xe3t

    @user-pl2bk2xe3t

    Ай бұрын

    ESD Test에서 IEC 61000-4-2 규격은 일반 규격입니다. 모르는 분들이 이런 규격을 언급하곤 하죠. 실제는 일반, 산업, 상업용, 군사용 등으로 나누고, 다시 세분화 하면 일반전장, 브랜드(메이커), 별도요구사항으로 나누어 집니다. 추가로 각 나라별 규격으로 요구하는 사항이 또다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요타와, 포드가 각각 다르다는 의미 입니다. 실제 일반적 규격은 컨텍 4K, 에어 8K를 인가 하지만, 삼성같은 곳에서 요구하는 조건은 규격보다 많이 높은 컨텍 8~10K, 에어 10~14k까지 별도 요구 하기고 합니다. 보통은 핀에 쏘지 않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포트에 쏘거나, 케이스에 인가 하지만 요구 사항에 따라 핀에 인가 하기도 합니다.

  • @pdj-ig7xh

    @pdj-ig7xh

    Ай бұрын

    @@user-pl2bk2xe3t 어디까지나 IEC 61000-4-2는 정전기 방전에 대한 국제 전기 기술 위원회의 내성 표준입니다 그리고 이 표준은 적어도 국내 제품을 개발하는 개발자들은 모두 참고하는 기본 내용이고 저 또한 그랬습니다 그리고 저는 영상 실험에서 참고가 될 만한 사항을 피드백 달면 좋다고 하길래 시험과 관련된 표준 시험 절차와 방법 환경등을 알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 픽플러스가 참고할 수 있도록 기재한 것입니다 기타 언급한 내용들은 이미 제가 쓴 댓글에서 다 알 수 있는 부분을 똑같이 적은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군요? 부가적인 내용이나 특수 산업분야에서 고객사에 의한 요청 사항 등은 개발자가 고객사의 요청을 들어줄 때의 경우일 뿐입니다 그런 디테일까지 쓸데없이 적을 필요가 있나요? 본인이 아는 걸 타인의 의견에 보충을 할 때에는 좀 더 정중히 하시기 바랍니다 '모르는 분'들이 언급한다는 경거망동에 의한 댓글은 불쾌합니다

  • @cokoabc6958

    @cokoabc6958

    26 күн бұрын

    @@pdj-ig7xh 전문가가 아니니 사실인지 아닌지에 대한 내용은 모르겠으나 저분이 아는척 하려고 딴지건건 맞는듯 스스로도 댓글에 4-2가 일반 규격이라 말을 해놓고 표준이라 적은 글에 딴지를 걸었으니..

  • @dlwlsrb_01
    @dlwlsrb_01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스로틀바디 관리미흡이나 불량으로인한 개폐상태 불량 및 고착 등 으로 정상동작을 못할 경우도 해주세요!

  • @khackers

    @khackers

    Ай бұрын

    예전엔 특히 동계철에 스로틀 바디랑 스로틀 와이어가 고착 되는 경우가 왕왕 있었는데 지금은 스로틀을 모터로 돌려서ㅋ

  • @chy65670075
    @chy65670075Ай бұрын

    역시 픽플러스 최고 입니다

  • @wallofthehell

    @wallofthehell

    Ай бұрын

    덴트초이님 오셨네요 ㄷㄷㄷ

  • @DBDROP_PJM

    @DBDROP_PJM

    Ай бұрын

    이왜진😮

  • @user-ht8ph2iz9j
    @user-ht8ph2iz9jАй бұрын

    목소리 좋은 스피더님 원츄!

  • @jk2ji675
    @jk2ji675Ай бұрын

    실험쥐님이 유투브 채널 하나 다시 파도 될듯하네요 리액션도 좋고 표정도 좋고 ㅎㅎ

  • @baba6381
    @baba6381Ай бұрын

    픽플러스의 sm3 여러가지 고문법 잘보고 갑니다 ㅋㅋㅋㅋ

  • @090BMC
    @090BMCАй бұрын

    다른 영상 봤는데 급발진이 스로틀 바디 커넥터 접촉 불량이 생겨 급발진 사고가 일어난다 하는데 실험해 주실 수 있나요??

  • @junghwalee5892

    @junghwalee5892

    Ай бұрын

    신호를 줘야되는 커넥터가 접촉 불량이면 신호값보다 적게 들어갔으면 들어갔지 멀쩡했을때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건 말이 안되죠...

  • @rem5861

    @rem5861

    Ай бұрын

    이상 신호로 스로틀 바디가 열려서 악셀밟은것과 동일한 효과는 남. 문제는 이런경우 브레이크를 밟으면 브레이크가 작동을 하고, 브레이크등은 점등된다는것. 참고로 이경우도 정비불량으로 보는게 맞음.

  • @user-ul9br5tv7g

    @user-ul9br5tv7g

    Ай бұрын

    스로틀 바디 커넥터 접촉불량으로 일반인이 급발진 재연 한거 영상이 있어요 kzread.info/dash/bejne/dmR82Nt_qNDNnLA.html

  • @user-ru6uk7jn8s
    @user-ru6uk7jn8sАй бұрын

    실험쥐누나 다 좋은데 어느정도 차에대한 기본적인 지식정도는 있음 좋겠네요 엔진경고등 보고 배터리라고 하는건 좀..

  • @catastro7573
    @catastro7573Ай бұрын

    최소한 자동차 지식이 있는 분으로 섭외해 주세요..😢

  •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 @user-sn7yb8pe7g

    @user-sn7yb8pe7g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엔진경고등보고 배터리경고등이라 하는 분을 데려다가.. 좀 아쉬웠네요 스피더님이 바쁘셨는지 중요한 영상인데 집중이 반감이 되네요

  • @vadasae

    @vadasae

    Ай бұрын

    저도 동의합니다.

  • @panchokorea4419

    @panchokorea4419

    Ай бұрын

    모르니깐 저리 무서워 할듯 ㅎ

  • @user-lunchconekted

    @user-lunchconekted

    Ай бұрын

    급발진차량이 차량 모르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는 설정인듯

  • @user-mw3wk2qn4c
    @user-mw3wk2qn4cАй бұрын

    자동차 제어기 회로는 원래 개발 과정에서 몇번씩 똑같은 테스트를 거칩니다. 열이나 수분 유입 테스트는 당연하고 영상에서는 나오지 않는 전자파 시험도 거칩니다. 자동차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확실하고 보수적으로 만들어요. 어떤 치명적인 문제가 생긴다면 엔진을 정지하게 하지 절대로 불안정한 상태로 두진 않습니다. Fail-Safe라 불리는 안전장치나 로직도 몇 중으로 걸어놓고요.

  • @amd6027

    @amd6027

    Ай бұрын

    급발진은 사실상 운전미숙 이죠 .

  • @samofei

    @samofei

    Ай бұрын

    ​@@amd6027문제는 운전미숙이라면 현기차를 비롯한 우리 나라 차종, 외국 차종에서 엑셀 센서를 감지할수 있는 장치나 카메라를 설치하는건 쉬운데 그걸 안한단 말이죠? 그래서 이상한 겁니다.

  • @user-vd9yd5uj4s

    @user-vd9yd5uj4s

    Ай бұрын

    애초에 급발진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음 정확하게 오버런 이라는 현상이 있는데 이게 17년도 부터 갑자기 급발진이라고 불리기 시작함 엔진 자체 결함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차량 케미컬 관리 미흡으로 인한 오버런이었음 엔진오일 제조사 권장 주기별로 제대로 교체 안 하는 사람들 엄청 많고 이게 만일 엔진오일 누수가 생겨 실린더로 들어가면 이게 노킹현상으로 엔진 자체가 박살나면서 멈추면 다행인데 이게 폭발점을 급격하게 높힘으로써 RPM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경우가 존재함 디젤, 가솔린, LPG 중에서 디젤 엔진이 오버런 현상에 취약함. 엔진오일을 제때 갈면 누수로 인한 실린더로 유입이 되더라도 폭발점이 낮아지면서 오히려 출력 제한 걸리면서 엔진이 그대로 사망함 엔진이 사망해도 운이 더럽게 나빠 실린더 부터 시작해서 부품들이 깨지면 엔진 자체를 갈거나 폐차 해야하는데 보통은 부품 교체하면 엔진 재생이 가능함.

  • @5ahre647

    @5ahre647

    Ай бұрын

    ​@@samofei EDR 있는데요?

  • @user-ys4kx6be8u

    @user-ys4kx6be8u

    Ай бұрын

    @@amd6027운전경력 35년의 개인택시 기사님도 운전 미숙으로 급발진 했을까요? 급발진은 분명히 있습니다. 다만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안 일어나겠지요. 뭔가 오류나 비정상적인 상황이 주어지면 일어나겠지요. 이번 실험도 정상적인 ecu 라면 당연 안일어나겠지요. 극 소수에서 일어나는 것이나 그러나 그 극소수가 나라면?...

  • @user-ly6bg1uf2w
    @user-ly6bg1uf2w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심장 쫄깃했네요.😅😅😅

  • @user-gy7mp8le1j

    @user-gy7mp8le1j

    Ай бұрын

    ? 왜 이리 웃기지 ㅋ

  • @jsp970216
    @jsp970216Ай бұрын

    저도 sm3네오 타고있습니다 정말 잘 타고있습니다. 맘편하게 안전하게 탈수있겠네요.

  • @jcjlll80
    @jcjlll80Ай бұрын

    믿고보는 픽플

  • @LKS_KOR
    @LKS_KORАй бұрын

    대학 전공을 자동차정비 전공했습니다. 당시 엔진 수업때 엔진시뮬에서 릴레이가 한개가 이상이 있던 적이 있었는데 급발진이 생겼었습니다. 교수님께서 릴레이가 이상한거 같다고 교체하신 뒤에 멀쩡히 돌아오는거 보고 이렇게도 급발진이 생길 수 있구나 하는걸 배웠는데 여러 언론 매체들은 단순히 릴레이 하나때매 급잘진이 발생될 수 있다고 아무도 모르고 말하는 곳도 없더군요. 엔진 제어 관련 릴레이가 문제 생기면 급발진이 생길 수도 있다는걸 보고 주변에도 얘기했지만 다들 반응이 반반이네요. 이 부분도 해주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 @LKS_KOR

    @LKS_KOR

    Ай бұрын

    제 생각엔 급발진 생긴 차량들 중 스캐너 결과가 정상으로 나온다면 아마 이런 가능성도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리 요즘 시대야 ECU가 차량의 모든걸 다 CAN통신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릴레이 나간 것까지는 체크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을테니까요.

  • @fmasbi

    @fmasbi

    Ай бұрын

    @@LKS_KOR 급발진 풀악셀 주장 하는 사람들은 이런 댓글 싫어함

  • @user-lt5ip9xe2b

    @user-lt5ip9xe2b

    20 күн бұрын

    @@fmasbi 대학에서 나온 연구 결과를 그냥 묻었다?? 이런 시국에 들고 나와면 바로 유명인사가 될 만한 일인데 ???? 근거와 신빙성 부터 갖추고 말해야지..

  • @lovecats353

    @lovecats353

    12 күн бұрын

    일단 신빙성0이네요

  • @user-df9qt2cz3s
    @user-df9qt2cz3sАй бұрын

    스피더형 짬 때릴 생각 하지 말고 일해.. 실험쥐님이 한번씩 나오는게 좋은거지 왜 짬을 때려

  • @dob__kim
    @dob__kimАй бұрын

    실험쥐님이 진짜 이름값 하고 가시네요.. 이게 맞나 ㄷㄷㄷ;;;

  • @jhw7638
    @jhw7638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문 탈거하는거 나사 풀어서 떼는 줄 알았는데 역시 화끈하시넹ㅋㅋㅋㅋㅋㅋㅋㅋ

  • @Meerkat.O_O
    @Meerkat.O_OАй бұрын

    실험하실때 안전하시더라도 앞뒤는 피해서 서있으샤유ㅠㅠㅠㅠ 안전이최고입니다..!!

  • @user-oy5js5jb1y

    @user-oy5js5jb1y

    Ай бұрын

    바퀴가 떠있어요

  • @Meerkat.O_O

    @Meerkat.O_O

    Ай бұрын

    @@user-oy5js5jb1y 아 네네 알죵ㅎㅎ 그래더 실험하다가 어떤일이 발생할지몰라서 조마조마해서요ㅜㅋㅋㅋ 교통사고 유경험자라 그냥 저혼자 심장떨렸어유ㅠㅋㅋ

  • @bluenclean
    @bluencleanАй бұрын

    실험언니가 중요한건 아닌데... 이런 민감한 실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voodoopeople7425
    @voodoopeople7425Ай бұрын

    와 눈요깃 실험도 하지만 이런실험까지. 내용 좋네요. 구독자 괜히 있는게 아닌듯. 근데 스피더 아디감?..싸웠남?

  • @returnoo
    @returnooАй бұрын

    이 채널은 궁금한거 있으면 자동차를 뭔 미니카마냥 취급해서 바로 해보는게 매력인듯 ㅋㅋ

  • @user-bo7nv2yg9f
    @user-bo7nv2yg9fАй бұрын

    헬멧 쓰신분 없으니 허전하네요 😊

  • @shaind
    @shaindАй бұрын

    2000년대부터 ecu 오류로 급발진 나는 현상 재현하려는 시도가 많았는데 아직도 재현된 사례는 없음...

  • @staylala25

    @staylala25

    Ай бұрын

    거의 무한동력과 외계인 조우네요

  • @user-bh5oi2cr7f

    @user-bh5oi2cr7f

    Ай бұрын

    스로틀바디 케이블 접점 불량 급발진이 대부분이라고 나왔어요

  • @user-sx8ki7fz9y

    @user-sx8ki7fz9y

    Ай бұрын

    재현된 사례 있었어요 자동차 정비 명장이 한거요. 블랙박스라던가 기타 부가장비들이 전력을 많이 먹으면서 생기는 오류에 의한 급발진이엇던걸로 기억하네요

  • @Deungsanman

    @Deungsanman

    Ай бұрын

    ​@@user-sx8ki7fz9y 그 사기꾼 명장 사칭자요?

  • @RSCBGM

    @RSCBGM

    Ай бұрын

    ​@@user-sx8ki7fz9y 음... 그분의 실험에 대한 문서 (논문, 보고서 등)가 단 하나도 없습니다. 이런 경우를 보고 허풍이라고 합니다...

  • @user-xg4rw4vd8r
    @user-xg4rw4vd8rАй бұрын

    SM3 시동소리 오랜만에 들으니 반갑네요^^

  • @objectivity_score_82
    @objectivity_score_82Ай бұрын

    유의미한 실험결과네요.

  • @lullulullu7
    @lullulullu7Ай бұрын

    아니 이런 실험을! 너무 잘보고 갑니다.

  • @merumaru2636
    @merumaru2636Ай бұрын

    어...? sm3 타고 다니는데 어...?!!! 근데 최근에 본 영상에선 스로틀 컨트롤 커넥터 문제라고는 하는데 그것도 참조해서 다시 실험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user-uv9wu1ov5h
    @user-uv9wu1ov5hАй бұрын

    혹시 쓰로틀 관련된 전선이나 소켓에서 합선(소켓이 제대로 꼽히지 않았다거나 물이나 오일등이 누유되어서 전선으로 흘러들어갈 수 도 있을것같습니다)되어서 ecu통제에 따르지 않고 강제로 풀쓰로틀 개방되면서 급발진이 날 수 있지 않을까요?

  • @foofoo5412

    @foofoo5412

    Ай бұрын

    스로틀밸브의 열림만으로는 rpm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악셀을 밟으면 단순히 스로틀 밸브만 열리는것이 아니라 연료분사량 증가, 점화타이밍 조절 등도 같이 동작하여 rpm이 상승하는게 이런 여러 통제중 스로틀밸브 개도량(즉, 공기흡입량)만 늘린다면 과도한 공기흡입으로 혼합비가 맞지않아 시동이 꺼져버립니다

  • @sangkyungjoo5756
    @sangkyungjoo5756Ай бұрын

    스피더 형님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 @user-pq5rt8ch2k
    @user-pq5rt8ch2kАй бұрын

    스피더형 요새 얼굴도 푸석푸석하고 다크써클도 찐하더라 보는 우리가 너무 가슴 아팠어 영상도 좋지만 건강먼저 챙기고 푹 쉬다와 우린 아쉬운데로 실험쥐❤랑 놀고있을께

  • @leatherMyohan
    @leatherMyohanАй бұрын

    실험쥐다!!!! 너무 좋아요!!!!

  • @enfmqshdwkd573
    @enfmqshdwkd573Ай бұрын

    실험해 주시는 건 정말 감사한데... 안전하게 실험을 한다고 하더라도 최악의 경우도 생각해서 옆에서 하시는 모습으로 하셨으면 좋겠네요. 생명은 소중한 것!!

  • @user-cx1pi8ui1m

    @user-cx1pi8ui1m

    Ай бұрын

    ??? 바퀴가 떠있는데 앞이나 옆이나 뭔 상관인지?????

  • @rrr-vc7vj
    @rrr-vc7vjАй бұрын

    24일 벤츠 급발진 뉴스영상보고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브레이크 등이 들어왔음에도 주차장에서 차가 급발진처럼 이동 하였는데 언뜻보면 양발운전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양발운전 한다는 가정하에 엑셀을 풀로 밣는 상태에서 풀브레이크가 아닌 등만들어오는 수준으로 같이 밣는다면 차가 멈출까요?

  • @omghd4163

    @omghd4163

    Ай бұрын

    브레이크 패달 위에 발을 올려두는 정도의 작은 압력에도 브레이크등은 점등됩니다. 브레이크는 일반적인 승용차를 기준으로 패달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해서 제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등의 점등 여부만을 가지고 브레이크를 얼마나 깊게 밟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브레이크 등만 점등될정도의 압력을 브레이크 패달에 가함 + 가속패달을 풀로 밟으면 그냥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가속패달만 풀로 밟는것과 다를게 없는거죠

  • @jykim3138
    @jykim3138Ай бұрын

    주행 중에 시동 꺼지는 이유는 찾은것 같네요

  • @user-kk2vh5tl1r
    @user-kk2vh5tl1rАй бұрын

    저도 최근 대학교에서 급발진 에 대해서 교육을 했는데 안전장치가 있어서 급발진 사고가 나질 않는다 라고 해요 그럼 와이어식 스로틀 바디같은경우는 기계식이고 내가 악셀을 밟아야 와이어가 잡아 당겨지면서 스로틀 이 열리는 방식이자나요 근데 전자식으로 바뀌면서 생겨난거니깐 스로틀바디 전자장치가 부식되거나 그러면 ecu에서 제어를 해도 스로틀에서 먹통이되서 밸브는 열려있지만 ecu상 정상작동 된다고 측정이되는게 아닐까요? 그리고 급발진 사고 테스트 쌍용 코란도나티볼리로 부탁드려도 될까요..?

  • @user-zf3wh9jt1o

    @user-zf3wh9jt1o

    Ай бұрын

    할꺼면 소나타로 해야지 소나타가 급발진사고 1위임

  • @HanwhaEagles-

    @HanwhaEagles-

    Ай бұрын

    Ecu는 정상인데 isc만 오류나서 풀엑셀 상황이면 연료는 그만큼 분사가 안되어서 알피엠 상승은 어려울꺼 같습니다. 오히려 시동이 오프될꺼 같습니다.

  • @user-kk2vh5tl1r

    @user-kk2vh5tl1r

    Ай бұрын

    @@user-zf3wh9jt1o 아 그게 저 입장에선 급발진 사고 최근까지본게 티볼리 같아서요 ㅎㅎ

  • @user-kk2vh5tl1r

    @user-kk2vh5tl1r

    Ай бұрын

    @@HanwhaEagles- 네 근데 와어식에서 전자식으로 바뀌면서 공회전시에도 공기양 조절하고 그리고 시동off시엔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게 혹시 스로틀쪽이 부화가 많이 가서 그런게 아닐까 하는생각이였어요 ㅎㅎ

  • @MyJJHome-lp9rg
    @MyJJHome-lp9rgАй бұрын

    앟 이거 예전 실험에 어제 댓글 달았는데 그 전날 이미 올리셨었넼ㅋㅋㅋㅋㅋㅋㅋ

  • @hyun9251
    @hyun9251Ай бұрын

    차 시동걸린 상태에서 차 내에 LPG가스를 연소가 가능한 농도만큼 채우면 폭발하나요? 아니면 엔진까지 안 들어가서 괜찮은지...

  • @vanish2495
    @vanish2495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실험쥐보단 스피더가 컨트롤 했어야 더 정확했을듯 합니다

  • @goodmodel8752
    @goodmodel8752Ай бұрын

    정말 귀한 실험이네요(ㄹ혜씨 버전) 과거에도 급발진 주장하는 전문가들이 모여서 별에 별 재현 실험을 했지만 그 누구도 성공못했었지요

  • @user-su6xy5xw6u
    @user-su6xy5xw6uАй бұрын

    역시 픽플은 실험맨이다 개추!!! 보는내내 좀 답답했음...😅

  • @DM-gm8py
    @DM-gm8pyАй бұрын

    이제 곧 장마철이 다가오는데 도로침수시 전진으로 지나가면 후드안으로 물이들어와서 엔진사망하는데 후진으로 빠르게 지나가면 후드안으로 물이 안들어갈테니 앵간히 깊은곳도 통과될것같은데 픽플님들생각은 어떤가요?

  • @Repo-xy2zg
    @Repo-xy2zgАй бұрын

    1등! 민감한주제인데 실험 감사합니다!

  • @Heeeeeo
    @HeeeeeoАй бұрын

    풀악셀 + 풀브레이크 동시에밟는것도 실험해주세요! 급발진의심사고중에 edr 결과가 100프로 풀악셀이라고 찍혀있는데 제조사 측에서 양발운전이라고 얘기한 경우도 있다고 해서요. 제가 알고있는 상식으로는 엑셀vs브레이크는 무조건 브레이크가 이긴다고 알고있는데 풀악셀+풀브레이킹 동시에 밟았을때 edr에 풀악셀만 찍히는지 브레이크도 찍히는지 궁금해요. 이 상황에서 Edr에 풀악셀만 찍히는것도 edr기록자체에 신빙성이 떨어지는것 아닌가 싶어서요.

  • @anaus88

    @anaus88

    Ай бұрын

    이디알은 제조사만 열어볼 수 있는 걸로 압니다.

  • @Heeeeeo

    @Heeeeeo

    Ай бұрын

    @@anaus88 아 그렇네요 ㅜㅜ

  • @RSCBGM

    @RSCBGM

    Ай бұрын

    음 이건 약간 애매한 이야기가 되겠군요. 브레이크 오버라이드가 적용이 되었냐 안되었냐부터 시작을 해야할려나요? BOR(브레이크 오버라이드)가 적용이 된 경우는 양발운전으로 둘다 밟았다면 엑셀 신호를 무시합니다. 브레이크만 작동합니다. BOR이 없는 경우는 이야기가 좀 다른데요. 브레이크 자체는 BOR의 유무와 관계 없이 엔진의 구동력을 이길수 있게 설계가 되어있긴 합니다. 다만 BOR이 없으므로 브레이크를 충분히 밟아야 됩니다. 양발운전으로 브레이크를 충분히 밟을 수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저는 일단 양발이라면 못합니다... EDR의 경우는 확답을 못하는것이 양발로 운전하고 사고가 났을때의 EDR 기록은 본적이 없습니다.

  • @hyeonjelee5369

    @hyeonjelee5369

    Ай бұрын

    악셀레이터와 다르게 브레이크는 물리적으로 동작하며, 악셀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아도 제동됩니다.

  • @JHQ6231

    @JHQ6231

    Ай бұрын

    전자식 스로틀 차량에서 테스트 몇대 해봣는데 엑셀이 죽었어요 브레이크민 먹고 풀악셀 때려도 PRM안올라가던데요

  • @park27379
    @park27379Ай бұрын

    반자율 주행 기능 탑재나 버튼식 기어, 센서 등등 전자 장비 많이 달려있는 자동차로 선정해야 맞는거 아닌가요?? sm3면 연식도 있고 르노 자동차 중에선 급발진 의심 사례도 없었던걸로 아는데

  • @user-mo7xx4pu8v
    @user-mo7xx4pu8vАй бұрын

    시커먼 동네에 천사가 강림하셨네..

  • @limgt8340
    @limgt8340Ай бұрын

    앞으로 실험쥐님은 단순반복이 가능한 작업만 하셔야할듯 ㅋㅋㅋㅋ

  • @user-uo1zp1kb6z
    @user-uo1zp1kb6z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스피더님이 없음...ㅠㅠ

  • @user-gy7mp8le1j

    @user-gy7mp8le1j

    Ай бұрын

    스피더님 삐져서 안 나옴 ㅋ 질투인가

  • @user-hn7zb5xv1b
    @user-hn7zb5xv1bАй бұрын

    다시 시동 걸면서 급발진이 생길거라 생각했는데 다행이네요 굳

  • @jejusamdasoo2l
    @jejusamdasoo2lАй бұрын

    형님 송화가루 때매 미치겠습니다. 송화가루 시즌 세차팁이나 ' 자주세차 VS 존버후 세차' 뭐가좋을지 영상부탁드려요!

  • @siyeon0202
    @siyeon0202Ай бұрын

    실험쥐님 표정이 너무 귀여우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역시 픽플러스.... 실험하시는게 참 대단하심.

  • @ikasfsfdgfdg
    @ikasfsfdgfdgАй бұрын

    예전에 ECU 냉납(납땜 떨어짐)에 의해 급발진 재현된 것이 있던데요. 그래서 ECU는 요즘 X-RAY로 전수 검사하는 것으로 압니다. 예전보다 급발진이 많이 줄어들었죠....

  • @user-sy3gh5uj5f

    @user-sy3gh5uj5f

    Ай бұрын

    이게 맞다 ㄷㄷ

  • @HBCOM72

    @HBCOM72

    2 күн бұрын

    그때 이미 다 밝혀졌었는데 다 발뺌하고 그뒤로 잊혀져갔죠~! 이런건 잊지 말아야 하는데 말이죠~~~~~~~

  • @user-dy9hf3lv8q

    @user-dy9hf3lv8q

    2 күн бұрын

    예전에 한 시사 프로그램에서 다 실험하고 밝혔었죠~~ 이런식의 실험 말고 더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실험들 다 했었죠~ 급발진 의심차량의 ECU 를 통으로 다른 멀쩡한 차에 장착해서 급발진 재현된 상황도 기억나네요~!

  • @el8879
    @el8879Ай бұрын

    ECU가 문제가 아니라 혹시 엑셀이 문제가되는거 아닐까요? 엑셀 밟을때 엑셀 펜이 부러졌다던가 타이어 휠쪽에 뭐가 끈어지면 급발진이 일어난다던가 그래서 급발진이 생기는거 아닐까요 겨울철 눈 많이 내리면 타이어에 철둘르자나요 그럼서 타이어에 호수인가 그거 끈어지면 막 그냥 타이어 돌던데 암튼 여러방법 다써봐야 알거 같네요 아니면 가끔 제가 이러거든요 정차중에 브레이크 밝고 있는데 순간 엑셀을 발블때 웅 하고 올라가더라구요 그게 오래되면 난 브레이크발브고 있는데 순간 같이 엑셀에 같이 밝고 있으면 오류떠서 급발진이 이러나는건 아닐까요?

  • @user-nt3mh8lt2w
    @user-nt3mh8lt2wАй бұрын

    실험쥐 너무 재밌다..ㅎㅎㅎ

  • @softk
    @softkАй бұрын

    게임패드 하드웨어도 보면 여러가지 부품을 많이 다뤄보긴 합니다만, *정전기를 테스트 할려면 노출된 회로 어디든 다 찔러봐야 알 것 같습니다.* 누가 설계했는지 모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회로 자체에 뭔가 넣는 것도 있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수준에서 의심을 해본다면, 가속페달과 연관된 선을 건드려보거나, 혹은 그와 관련된 접촉 부를 집중적으로 뭔가 해봐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차를 사 본 적은 없지만 렌트 경험을 토대로 한다면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과 그 입력부분 이라든지? 그리고 꼭 정전기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먼지를 통한 합선이라든지* 경우의 수가 많잖아요? 특히 페달 밟는 부분은 커버로 덮여있거나 뭐 그렇진 않고 노출이 되어있는 것 같더라구요? 그런 데는 먼지가 잘 안 쌓이는가 모르겠네요. 그리고, 제가 게임패드 업계 일을 해서 컨트롤러를 막 비교하기 위해 마구 뜯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다른 게임패드와는 달리 소니 듀얼쇼크4는 *회로 통째로 접촉부를 완전히 코팅시켜서* 정전기를 포함한 외부 영향을 최대한 받지 못하게끔 하긴 했더라구요. 단자 부분을 이용해서 *어딘가를 합선 시키는 수단을* 만들어 볼 수 있다면 좋을 듯 합니다.

  • @user-pu2ff1wo5m

    @user-pu2ff1wo5m

    Ай бұрын

    오 글자크기 이거 어떻게 하는건가요?

  • @megumin5917

    @megumin5917

    Ай бұрын

    가속페달은 안전장치로 센서가 2개입니다. 2개의 센서의 출력값의 오차를 계산하고 그 오차가 크면 자동으로 rpm제한같은 안전장치가 작동합니다. 진짜 미친확률로 센서 2개가 동시에 출력값이 풀악셀로 보내는고장이 발생하지않는한 그럴일은 없다보시면됩니다. 선자체가 문제가 되면 그냥 센서값이 이상해져서 바로 안전장치가 작동합니다.

  • @Volanteas7998

    @Volanteas7998

    Ай бұрын

    @@megumin5917 2중 받음각센서가 오작동해서 기수를 숙이는 실속방지기능(안전장치) 작동하는 바람에 추락한 비행기가 737max에요. 절대라는건 없습니다

  • @user-ct4yz2gf1j

    @user-ct4yz2gf1j

    Ай бұрын

    말씀대로 가속장치가 고장나서 정말 극악의 확률을 뚫고 차랑 rpm이 최대치로 올라가고 스로틀밸브가 최대로 올라가는 오류가 생겨 차가 튀어나가게 되었다고 칩시다. 그때 운전자는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꽉 밟을텐데.. 그럼 차는 어떻게 될까요?

  • @kiwizzz85
    @kiwizzz85Ай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눈팅만하다가 처음 댓글다는거 같네요. 07년식 아반때 타고있는데 ..애가 늙어서 그런지 부품이 많이 낡은거 같더라고요. 예전에 급발진 비슷하게 갑자기 웅~!!거리면서 몇번 rpm이 치솟아서 놀라서 중립걸고 도로 가생이 놓고 시동끄고 다시 가니 멀쩡했는데..다시 2~3번 그래서 정비하러 간적 있었습니다. 근데 엔진 산소센서? 그 엔진에 폭발할때 공기가 들어가야하니..그 센서가 이상이 있어 그럴 수 있다는 정비사 얘기가 있어서 교체후 운행했었는데, 그후론 문제가 없더라구요. 중고차나 년식이 오래된차들은 센서류가 오래되다보면 경고등뜨고(abs경고등 들어왔던것도 뒷바퀴회전수 감지하는센서불량이 원인) 급발진같은 현상도 일어나니 그쪽 부분도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당~~

  • @Seulgi_jonyedang

    @Seulgi_jonyedang

    Ай бұрын

    그럴듯 하네요. 연료분사도 흡기량에 비례해서 분사되는걸로 알고있는데, AFS나 MAP센서 불량으로 흡입공기량 과다되거나 TPS 불량이면 가능성 높겠네요. 그나저나 무사하셨다니 다행입니다. 안전운전 되십쇼.

  • @user-pu2ff1wo5m

    @user-pu2ff1wo5m

    Ай бұрын

    무사해서 다행이네요;; 급발진은 유형이 다양하니까 대비하고 시시비비 가리기도 참 힘든듯

  • @RSCBGM

    @RSCBGM

    Ай бұрын

    ????? 이 차량 케이블 엑셀이네요? 부품 결합문제로 흡기로 공기가 새들어온게 아닐까 싶습니다. 흡입 공기량을 ECU가 조절할수 없는 구조입니다.

  • @boggood

    @boggood

    Ай бұрын

    07년식이면 와이어쓰로틀링 일꺼고. 그 와이어에 부싱이 있을겁니다. 그 고무 부싱이 어딘가에 낑겨서 쓰로틀링이 강제로 열려서 그럴수있음. 06xd 끌고 다닐때 경험담임. 나도 그렇게 rpm 겁나 치솟다가 짜증나서 그냥 풀악셀 밟고 차가 정상으로 돌아온적있음. 그게 한 10년 전일이라 그땐 몰랐는데 한 2-3년전에 알았음. 그땐 이유도 모르고 그냥 수리하고 잘탔는데. 이게 이리 그렇게 문제가 되니 그때 블박이란게있었으면 증거로 가졌을텐데. 라는 아쉬움이 남음. 이제와서... ㅋㅋ

  • @ninitoto8103

    @ninitoto8103

    Ай бұрын

    신호 대기중 ᆢ엔진 오버런 경험있습니다. 브레이크 밟고 있었는데ᆢ알피엠 급하게 올라가면서 차가 들썩 거려서ᆢ핸들 꽉 잡고 브레이크 더 세게 밟았던 기억이 나네요;; 카렌스 수동이라서 튀어나가지는 않았는데ᆢ오토였으면 어땠을까 상상해보곤 합니다.

  • @user-xc5js9ui4e
    @user-xc5js9ui4eАй бұрын

    쥐누나 짱!

  • @user-kd9xf8hc1y
    @user-kd9xf8hc1yАй бұрын

    자석이나 전파실험도 추가되면 좋을것 같아요..

  • @user-xy7wp3wm3o
    @user-xy7wp3wm3oАй бұрын

    이런건 확인할거면 ECU에서 악셀 밟으면 들어오는 신호 라인 확인해서 그 라인에주변 다른 신호 라인의 오염에 의한 신호 전달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그 신호 전달을 재현해서 급발진이 가능한지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는거에 집중하는게 맞는 것 같네요. 대부분 급발진 분석을 보면 풀악셀을 밟았다는 기록이 있는것을 보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ECU가 엔진으로 보내는 신호 라인을 확인하거나요. 제가 회로 전문가는 아니어서 잘 모르지만, GND에 문제가 생기면 스위치 작동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량 악셀을 밟았을 때 ECU로 신호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확인해서 해당 문제도 확인해 보는게 좋겠네요. 요새 차량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ECU 내부의 칩들과 배선 전반에 누수, 누유, 먼지 대책이 매우 부족해 보이는 것을 이번 기회에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을 통해 차량에 대한 믿음이 더 줄어드네요.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실험을 안하고 차량을 출시할리 없으니 이번 영상은 의미없는 실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 @newgens1234

    @newgens1234

    Ай бұрын

    악셀 라인 이상이 생겨 풀악셀이 밟은 것으로 인식하더라도 브레이크는 동작하겠죠. 악셀도 이상있고 브레이크 라인도 또 동시에 문제가 생기고 또 동시에 브레이크등도 문제가 생길수 있을까요? 그리고 라인문제라면 사후 조사에서 들어날꺼구요

  • @user-xy7wp3wm3o

    @user-xy7wp3wm3o

    Ай бұрын

    @@newgens1234 제가 자동차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그저 영상에서는 급발진 재현이라는 주제에 맞춰 급발진을 재현해 보기 위한 조건을 언급했을 뿐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보험사에서도 브레이크 스키드 마크가 있는 경우에는 급발진인 것을 인정해 주고 있으니 급발진이어도 브레이크가 작동한다면 문제가 없겠지요. 그저 영상 주제에 맞춰 댓글을 단 점 유의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vet54308rk

    @vet54308rk

    Ай бұрын

    ​@@user-xy7wp3wm3o그냥 수동차량 타면 그만임 급발진 무서우면

  • @user-xy7wp3wm3o

    @user-xy7wp3wm3o

    Ай бұрын

    @@vet54308rk 그러자니 요새 수동차량이 잘 없는게 문제네요.

  • @user-xv9vq4ut2i

    @user-xv9vq4ut2i

    Ай бұрын

    @@vet54308rk 운전면허를 너무 쉽게 주는게 문제라니까....... 그러니까 죄다 지들이 운전미숙으로 사고내놓고 급발진 주장하는거임. 해외에서는 급발진 사례가 없는데 왜 한국에서만 저러냐고 ㅋㅋㅋㅋㅋ 이건 국민성과 국민교육수준이 문제지

  • @jason_cha
    @jason_chaАй бұрын

    페달오인사고 재현 실험 제안합니다. 차를 이동하지 못하게 띄워 놓고요. 차량 전방에서 사람이 한 명 서서 파란 깃발 혹은 빨간 깃발 둘 중 하나를 들고요. 운전자는 파란색일 때 악셀, 빨간색일 때 브레이크를 밟으면 되는 실험입니다. 갑작스러운 소음이나, 전화 통화 상황, 혹은 옆에서 누가 말을 시키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운전자를 정신 없게 합니다. 혹은 노인 체험 용 안경이나 의상을 입힐 수도 있고요. 이때, 악셀과 브레이크를 실험시간 동안 계속 정상적으로 잘 밟는 지 확인하면 될 거 같습니다. 확인 방법은.. 차량 뒤쪽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빨간 깃발일 때 브레이크 등이 들어 오는 지를 보면 되겠네요.

  • @B-nb4wy

    @B-nb4wy

    Ай бұрын

    청기백기만 해도 뇌가 얼마나 취약한지 알 수 있음 ㅋㅋ

  • @user-ct4yz2gf1j

    @user-ct4yz2gf1j

    Ай бұрын

    페달 오인사고는 실제로 운전자가 인정한 페달오인 사고도 많습니다. 실질적으로 급발진 주장사고가 1년에 한국에서만 200건정도 발생하는데 그중 대부분이 빼도박도못한 운전자의 페달혼동 사고입니다. 나머지 몇건만이 페달혼동 실수의 증거가 살짝 부족하여 약간 애매한상태인데다 운전자가 강력하게 급발진을 주장해서 제대로 확답을 못하는거지 대부분의 급발진 의심사고는 운전자 과실인게 명확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증거가 부족한 급발진 주장사고도 증거가 부족할뿐 운전자 과실일 확률이 매우 높죠

  • @JH_sammy2u

    @JH_sammy2u

    Ай бұрын

    아니죠 다 필요없고 풀악셀에 브레이크 밟으면 차가 질주하는지....멈추는지를 실험하면 끝나는거 아녜요? 그리고 브레이크 등이 들어오는 것과 함꼐... 아주 지겨워 죽겠습니다. 뭔 ECU 오류로 신호체계가 이상이 생겨 브레이크 등이 안들어온다 이런 소리 좀 듣지 않도록... 브레이크 장치가 어떻게 작동이 되는지 전문가가 설명을 해주시면 깔끔 할 듯 싶네요.

  • @user-ct4yz2gf1j

    @user-ct4yz2gf1j

    Ай бұрын

    @@JH_sammy2u ㄹㅇ 아니 급발진 운운하며 급발진이 가능하니 어쩌니 하는사람들 진짜 너무 답답함. 그냥 그사람들 보일때마다 '그래, 엔진은 전자장치라 고장나서 폭주할 가능성 충분히 있지. 그래 엔진 폭주해서 차가 튀어나간다고 치자. 그럼 운전자는 브레이크 안밟고 뭐함? 엔진 폭주하면 브레이크도 먹통된다고? 하.. 브레이크 작동원리 설명해봐' 라고 대답해주고싶음.. 심지어 급발진 믿는 지인한테 저얘기를 했더니, 브레이크도 고장날지 안날지 어케 아냐고 합니다.. 그래서 브레이크 작동원리 일일히 다 설명해줬는데 한귀로듣고 한귀로 흘리고 하다가 진공배력장치 고장나서 브레이크 딱딱해지면 사람힘으로 밟기 힘들어진다네요.. 그래서 제가 힘약한 사람도 두발로 힘껏 밟으면 된다고 하니깐 하는말이 여자나 노인들이 그런 급박한 상황에서 어케 브레이크를 두발로 있는힘껏 밟을 생각을 하냐며 뭐라합니다. 심지어 그렇게 밟아도 딱딱해진 상태라면 힘이 약한사람의 경우 엔진힘을 이기기 힘들거라고 어쩌고 저쩌고 하는데.. 그정도로 힘이 약하면 운전을 하면 안되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급발진 믿는 사람들은 그냥 생각이란걸 하지 않는 사람들.. 우기기만 좋아하는 사람들

  • @memenkim

    @memenkim

    Ай бұрын

    패달 오인은 말씀하신걸로는 급발진을 증명할 수 없습니다. 인간이 실수로 패달 오인을 하면 한패달을 계속 밟고 있는게 아니라 패달에서 발을 때고 변화를 인지합니다. 수작업을 하다가 깜짝 놀라면 손을 뒤로 빼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수작업 중에 전기가 퍽 하고 터지면 어이구야 하고 손을 떼버리지 작업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 @donghokkang
    @donghokkang15 күн бұрын

    엑셀레이터의 디지털신호를 전송받아 엔진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그 신호 케이블이 제대로 꼽혀지지 않아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엑셀을 밟는 정도와 상관없이 기록장치에도 최대값으로 기록되고 엔진 풀로드 상태로 유지되는것에 대해서 생각해봤는데 그럴 가능성은 없을까요? 신호를 PWM 방식으로 보낼경우 단선이되면 프로그램 셋팅에 따라서 최대값이 되든 최소값이되든 극단값으로 인식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문의 드려봅니다. 디지털 전송방식의 경우도 데이터 전송중에 갑작스런 단선이 발생하면 고정값으로 오류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것 같고 모르는 분야다 보니 궁금하여 남겨봅니다 ㅇㅅㅇ

  • @HANSOL--FRIEND
    @HANSOL--FRIEND25 күн бұрын

    와 실험쥐 누나 리액션 진짜 혜자다 보너스 꼭 두배 줘라

  • @skyboykym
    @skyboykymАй бұрын

    ECU 는 A-SIL D 등급 기능안전 제품일 겁니다. ㅎ 기능안전이란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제품의 본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내부 요인에 의해 기능이 제대로 제어되지 않아 '안전'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된다면 출력을 차단하거나 리셋 시키는 등 기능적으로 안전 조치를 하겠금 하는 것 입니다. 설계나 검증 과정도 생각보다 간단하진 않구요. 기능안전 제품이 아니더라도 지금 하시는 시험들은 자동차 전장품을 개발하면서 다~ 진행하는 시험들입니다. 실제 시험규격보단 약간은 과한면도 있지만...ㅎㅎ 말씀드리고 싶은건, 자동차 전장품 설계는 가혹한 환경을 다 따지면서 설계하기 때문에 생각하시는것보다 튼튼합니다 ^^

  • @user-id6jw2os9u
    @user-id6jw2os9uАй бұрын

    10프로 부족했네요 그래도 영상 촬영하신다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픽플 화이팅~^^

  • @hspark3300

    @hspark3300

    Ай бұрын

    뭐가 부족함?

  • @Ratel_777

    @Ratel_777

    Ай бұрын

    ​@@hspark3300 원래 자기가 원하는 답이 아닐때 저렇게 얘기함. 그런 사람들 있음 사회 각종 문제에도 저렇게 대처하는 사람들 ㅋㅋ 일명 '저학력자'

  • @bumjunkim1424

    @bumjunkim1424

    Ай бұрын

    지능떨어지는거 티난다

  • @user-ko5dk4th5e
    @user-ko5dk4th5eАй бұрын

    스로틀쪽 전자쪽 손보시는건어떨까요...전이게확실할꺼같은데..예전부터생각한거라 ...

  • @user-zu9jf1fu1j
    @user-zu9jf1fu1jАй бұрын

    급발진시 브레이크가 딱딱해진다 라는 의견이 많죠. 그러면 유압이 과하게 들어갔을거 같은대 이런경우 브레이크를 밟으면 브레이크 등이 들어올지 궁금하네요. 브레이크 발만 올려도 등이 들어온다고 하지만 실제로 어느정도 깊이 약 1cm이상 밟아야 불 들어오는걸로 확인 했거든요. 그리고 과연 브레이크가 딱딱해졌을때 사람 힘으로 밟을수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