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의 치명적인 4가지 문제점 알려드립니다!(김누리 중앙대 교수)

수능을 비롯해 대입 개편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지금,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 교육이 반드시 고쳐야 할 문제점을 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님께 들어봤습니다.
00:00 주제 및 전문가 소개
01:04 킬러문항 보다 심각한 킬러교육
02:06 우리나라교육 4가지 문제점
07:51 존엄성을 느끼지 못하는 우리 청소년들
11:07 우리나라 교육 문제점
14:58 한국교육 문제점이 유지되는 이유
16:02 우리나라교육 병폐의 시작
17:42 교육덕분에 경제성장 했다는 의견에 대한 반론
19:28 2부예고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알라딘 bit.ly/3i9jkgt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daegizatv
bangjongim
섭외 제보 및 leo0521@naver.com
#대입개편 #교육 #교육문제

Пікірлер: 398

  • @daegizatv
    @daegizatv8 ай бұрын

    2028학년도 대입개편을 앞두고 우리가 그간 놓쳤던 교육현실을 김누리 교수님과 나눴습니다!!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 @user-vd4wf3wd1i
    @user-vd4wf3wd1i8 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이 더 병들기전에, 우리의 교육이 더 늦기전에 변화하기를 진정으로 바랍니다. 근원적이고 신랄한 비판 감사합니다~

  • @PETBOY

    @PETBOY

    7 ай бұрын

    부모들 때문에 절대 안바뀌니 꿈깨세요.

  • @nanau5817
    @nanau58178 ай бұрын

    저는 한일 부부로 일본에 살고 있습니다.큰아이가 중학교를 가면서 알게된게 초등학교때 시험은 객관식이 주류를 이루더니 일본전국의 모든 중고등학교는 모든 시험 답안이 주관식 이더군요.. 깜짝 놀랐습니다. 완벽하게 공부를 이해 하지 않으면 당연히 답안지를 쓸수 없는 시스템이라 책을 더 가까이 하더라구요. 배경지식을 알고 싶어 궁금해 하기도 하고 관련 책을 읽다가 카테고리로 환경문제에 관해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더군요. 환경에 관해 소논문을 쓸정도로 자기가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지를 찾아가는 길도 보이는것 같기도 하고..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일본은 거의 모든 중고등학생은 학교 특활 활동을 의무로 하고 있어서 들어가고자 하는 학생에겐 학교에서 무료로 악기를 대여해주고 레슨도 무료로 해주고 오케스트라 클럽이 있습니다. 악보를 읽을줄 몰라도 가서 배우고,가르쳐주고, 스포츠는 무조건 합니다..그래서 귀가는18시가 평균이구요..클럽 연습 활동이 과도하게 되는걸 방지하기 위해서 18시 이후엔 귀가를 하도록 새법이 얼마전에 개정됐습니다..그래서 공부에만 모든 아이들이 매달리지ㅡ않아요..교수님이 말씀하신것에 깊은 동감을 합니다… 아이가 아이로 자랄 시간이 고작12년입니다… 그때를 공부로만 놓치면 아이들이 너무 가엽습니다..왜 아이를 안낳을까요? 정부는 세상을 바꿀생각을 해야지.왜 아이를 안낳을 생각만 하게 할까요? 내가 하면 다른 사람도 할거예요.. 그렇게 되고 싶었으니까…우리가 인식을 바꿔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이렇게 살아도 의대도 치대도 도쿄대도 다 갑니다…

  •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직도 일제시대교육이네요 오히려 일본은 유럽이나 북미의 교육이구요.. 참 문제많아요

  • @user-wl9yz3kp8j

    @user-wl9yz3kp8j

    7 ай бұрын

    돌고 도는 주입식교육. 역사가 반복된다.

  • @Rrrrrrrrrrrrrllllllllllllll

    @Rrrrrrrrrrrrrllllllllllllll

    7 ай бұрын

    쓰레기같은 구린 교육 언제까지 받아야되냐

  • @jackynzkiwi

    @jackynzkiwi

    5 ай бұрын

    거짓날조네

  • @ymk6063
    @ymk60637 ай бұрын

    공감 천만퍼센트입니다. 공부는 지식을 집어넣는게 아니라 책을 통한 지식으로 자신의 새로운 창의적 생각과 견해를 끄집어내는것이 공부인거죠.김누리 교수님은 대한민국의 보물입니다.제발 이. 미친한국교육을 바꿔주세요 ㅜ

  • @user-by5qj4tb8l
    @user-by5qj4tb8l8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대학을 졸업한 부모들이 이 이야기가 얼마나 와 닿을까 싶네요 자신이 배웠던 교수가 아직도대학에 있고 심지어 대학의 평가도 교수의 수업내용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가로 여전히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햐는데 그런 교수들이 뽑는 대입에 얼만큼 자기의 생각을 반영하고 평가하는 기준이 있다고. 신뢰할수 있다고 보는지.. 물어보고 싶네요. 교수님의 저 내용은 대학부터 실천하고 현실화해야 납득될수 있을 겁니다

  • @ljs6739

    @ljs6739

    7 ай бұрын

    대학이 바뀔려면 김누리 교수 정년부터 줄여야 할꺼요? 근데 안하겠죠ㅋㅋ 정작 재직중인 학교서 평이 그닥이더군요.

  • @jhjung498

    @jhjung498

    4 ай бұрын

    아니요 반대로 알고 있는겁니다 교수가 창의력을 유도할 구조를 만들려하면 공정을 들먹이며 스스로가 이 철창속에서 나오려하지 않습니다 신임교수라고 해서 다를까요? 아뇨 학생들이 더더욱 단편적인걸 원하고 그들이 교수강의를 평가하니 변화가 있을수없습니다

  • @user-by5qj4tb8l

    @user-by5qj4tb8l

    4 ай бұрын

    @@jhjung498 글쎄요 누구나 자기가 경험한 틀속에서 판단하죠. 자신의 대학생활을 돌이켜봤을때를 기준으로 판단할겁니다. 20년이지났는데 교수진은 크게 바뀌지 않았더군요 그런 교수진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데 글쎄요.. 공정의 가치를 가지고자 하는건 너무많은 비상식적인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우리지역에서 서울대 의대생이 나왔습니다. 물론지균의 자격은되었지만 1등급이 커트라인 일등급이고 수능또한 20개정도 오답에최저맞춘 일등급도 커트라인이고 소풍 수학여행학교행사 참여도 예체능 수압참여도 봉사활동도 출결만 하고 사라지는 모습이었고 공동체보다는 오직 자신의 목표에만 집중하던 독한 이미지가 강했던 경우였는데 서울대 인재상에 부합했는지 합격했습니다. 그 합격이 후배들과 지역에서는 영광과 축하가 아니라 그 평판의 학생이? 라는 의문문을 가졌구요. 코로나로 2학년 2학기 내신이 나빠 정시로 돌려 수능2개 틀리고도 과2선택하지 않아 타학교 합격을기다리고 있는 학생과 비교해보면 여러모로 납득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물론 대학에서는 생기부와 면접을 기반으로 하니 모를수 있고 이를 기재하지 않은 학교의 탓으로 돌릴수도 있겠지만.. 이를 예방하지 못하는 시스템을 먼저 주목하지 않을까요? 학부모가 교수진과 학교를 믿지 못하는게 단지 학부모탓만은 아닐겁니다.

  • @aliceyang319
    @aliceyang3198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말씀 깊이 동감합니다. 성숙한 존엄한 안간으로 기르자...감사합니다 ~

  • @user-eq3jl7vt1v
    @user-eq3jl7vt1v7 ай бұрын

    저는 지금 35살 남성입니다. 저는 약 10년동안 교육적일 부분에 관심이 많아 교육이라고 하면은 그냥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교수님 정말 잘 나오셨습니다. 나와 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인간 병기가 되는거 같았습니다. 한 분야의 쏠림은 결국 그 나라의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고 또 들었습니다. 그리고 전 살짝 놀랐던 점이 근본적인 원인이 일본과 6.25전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그말씀을 하시니 너무 놀랐습니다. 나와 주셔서 정말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tx6ll7fj8u
    @user-tx6ll7fj8u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누리 교수님 저는 한국에서 자폐성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서 올해 숭실대에 입학한 여학생이에요, 교수님이 발간하신 책 읽어 보았는데 한국 사회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등을 너무나도 잘 적어 주셨어요 저는 한국에서 12년 동안 교육을 받으면서, 오로지 좋은 대학애 가는 것을 목표로 공부를 했지 내가 진정으로 무엇이 되고 싶고,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저의 삶을 관리하고 책임지는 법을 배우지 못했어요. 저도 남들이 다들 대학에 가니까 어쩔 수 없이 가계 된 것 같아요, 게다가 저는 학창시절에 이성친구를 만들고 싶었는데요 하지만 주변 어른들의 반응은 냉담했어요“ 벌써부터 그런 거에 관심 가지지 마라가 전부였어요“ 한참 인격이 형성되고, 사람들과 어울려서 조화롭게 살아갈 이 시기에 왜 그렇게 금기시하고 도덕적 잣대를 들이밀면서 좋지 않게 보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성교육은 우리의 윗 세대인 부모와 어른들에게 실질적으로 책임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마저도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암튼 한국에도 이렇게 멋지고 진정한 교육자가 있다는 사실이 존경할 만 하고 , 앞으로도 계속 응원하며 지켜보도록 할께요

  • @user-qb5ep8hd7b
    @user-qb5ep8hd7b8 ай бұрын

    마약과 테러가 난무하는 이 사회가 어쩌다 이렇게 되었나 했는데. .이 강의에 답이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정말 근본적이고 통찰적인 이 생각이 널리 퍼져 정책입안자가 귀담아들었으면 합니다

  • @khyeran1
    @khyeran18 ай бұрын

    너무 구구절절 맞는 말씀이세요. 그런데 그 옛날 과거봐서 급제한후 출세했던 그 시절 부터 오늘 날 까지 학력으로 그사람을 평가하는 사고가 깨지지 않는 한 그저 이상적인 생각이지요. 여전히 회사에 들어갈려면 4년제 대학졸업자 이상만이 이력서를 낼수 있으니 일반적으로... 교육이 바뀌어서 굳이 공부가 다가 아니고 학벌이 다가 아니어도 자신의 재능과 능력 관심도 따라 다양한 진로가 많다면 너무 좋겠죠.

  • @MINMIN12336
    @MINMIN123368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진짜 많이 공유해야겠어요ㆍ정말 뭉클한 내용이었어요

  • @user-xf4jy3nt7l
    @user-xf4jy3nt7l8 ай бұрын

    19분 내내 휘몰아치네요. 서울대 재수생이 저리 많을 줄이야. 진짜 놀랍습니다ㅠㅠ

  • @user-ou2bb4lk2u
    @user-ou2bb4lk2u8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존엄성을 가진 아이들이 많아지는 사회가 되길 기도합니다

  • @sojungpark9366
    @sojungpark93668 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여기서도 뵙네요^^ 항상 깨우쳐주시는 말씀 감사합니다!

  • @user-rw5il1oq9q
    @user-rw5il1oq9q8 ай бұрын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를 짚어 주셔서 너무나 공감하며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우리나라의 교육개혁을 위해 계속해서 목소리를 내주시길 바라고 우리들도 관심을 갖고 함께 교육개혁을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실천하고 노력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 @user-tk6mx3wg9f
    @user-tk6mx3wg9f8 ай бұрын

    diginity라는 단어 오늘 처음 들었는데요. 너무 멋진 단어네요. 우리 교육에 꼭 필요한 단어, 머리에 심고 갑니다. 영상 👍👍

  • @user-od4re4kd5m
    @user-od4re4kd5m8 ай бұрын

    아....무언가 한대 얻어맞은 느낌!! 정말 맞는 말씀이네요!!!

  • @songjupark139
    @songjupark1398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하고 갑니다

  • @user-fn3xf5qy3c
    @user-fn3xf5qy3c8 ай бұрын

    교수님~ 요즘 교수님이 하시는 말씀들 들으면서 많은 반성과 통찰을 얻습니다.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주시고 저도 뜻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 @user-fo6rz3mw6g
    @user-fo6rz3mw6g8 ай бұрын

    오늘 내용 너무 좋습니다.

  • @bebetube21
    @bebetube217 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말씀을 듣고 있으면, 지난 청소년기 시절이 생각나면서 치유받는 듯한 느낌이 든다. 기존 교육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문하고 질문 하던 나는 필시 혼나거나 멸시, 비웃음을 당할 뿐이었다. 참 외로웠다.

  • @ymk6063

    @ymk6063

    7 ай бұрын

    님이 그시절 젤 창의적이고 똑똑했던거죠. 무식하게 달달 외우는 기계만 양산하는 한국에서만 인정못받을뿐.

  • @nike2399
    @nike23997 ай бұрын

    사교육 안보내면 됩니다. 그런데 어머님들 불안해서 그렇게 안하시자나요. 우리 애가 뭘 잘하고 그 부분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고민하고 행동하셔야죠. 그런데 가장 큰 문제는 그냥 학원에 보내고 방치하거나 안보내면 뒤쳐진다고 보내자나요. 사교육 보내지 마세요.

  • @shannonyi275
    @shannonyi2758 ай бұрын

    가장 중요한 건 교육제도보다 부모의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나라에서 초등때 의대반보내고 고등학교 수학까지 선행하라 애들을 4세부터 학원돌리라 한 적 없어요. 부모가 중심을 잘 잡고 아이들이 공부를, 학교를 즐거워하도록 편안히 이끌어나간다면 변화가 오겠죠. 본인이 바뀌지 않는한 교육제도가 어떻게 변한들 엽기적인 행태가 어떻게든 새로운 형태로 나타날거라 생각합니다.

  • @FireDawn-tg1pj

    @FireDawn-tg1pj

    7 ай бұрын

    어짜피 일부 생각있는 부모들 제외하면 대다수 사유할줄 모르는 대다수 인간들은 문제인줄도 모르고 무지성으로 입시뺑뺑이 할게 뻔하기때문에 제도를 완전히 뜯어고치면 의식도 억지로 바뀔거라고봉

  • @PETBOY

    @PETBOY

    7 ай бұрын

    부모들 때문에 절대 안바뀌니 꿈깨세요. 부모 교육이 제일 문제임. 바껐으면 진작에 바껐음 30년전에도 비슷한 사설있었는데 아직도 안바뀜

  • @sweetdreams-xm5cl
    @sweetdreams-xm5cl8 ай бұрын

    도덕의식이 아직 선진화 되진 못해서 자기생각적고 입시하면 오히려 비리가 더 많겠죠 학종이 그런의도였지만 결국 교수부모둔 자식들 돈많은자식들 스펙으로 대학가서 말이 많았죠 교수님 말씀에 동의하고 그리 바뀌어야하지만 현실에서는 이상에 불과하다고 생각해요 아이가 고등가니 수능이 그나마 공평한게 아닌가 합니다

  • @user-yz2sc8yv7z
    @user-yz2sc8yv7z8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 이십니다 진짜진짜 어서 바꿔야합니다😊자아정체성있게 살고 모두가 각자 원하는대로 사회의 일꾼으로 서로도우며 살고있다 서로존중해주는 사회가 필요합니다😊

  • @seheekim234
    @seheekim2348 ай бұрын

    내용 하나하나를 곱씹게되는 너무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부모로서 아이에게 나는 어떤 가치관으로 무엇을 전달하고있는가 생각하게 되네요.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 @user-ws6zy2to6e
    @user-ws6zy2to6e7 ай бұрын

    너무도 당연한 말씀. 인간의 존엄성.

  • @user-wn2gc4by5v
    @user-wn2gc4by5v8 ай бұрын

    교육 개혁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 보면 너무 안쓰러워요.

  • @Joyce-ss3oq
    @Joyce-ss3oq8 ай бұрын

    보면서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네요 오늘 방송내용 전 너무 공감되고 좋았습니다

  • @CK-jl5fx
    @CK-jl5fx8 ай бұрын

    이런 이야기 더욱 공론화되어 시민들 의식이 한 층 업그레이드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 @starandsheep
    @starandsheep7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 깊이 공감합니다.

  • @higogogogo189
    @higogogogo1898 ай бұрын

    의대반이든 레테든 뭐든 제발 멈춰야할텐데 엄마들도 불안해서 그런거겠죠. 보여주기식 레벨업 등등 주위를 신경쓰는 한국… 너무 속상해요… 돈만 많다면 해외로 나가고싶어요

  • @happysinbu1196
    @happysinbu1196Ай бұрын

    백퍼 공감합니다!!!!

  • @anaris5584
    @anaris55848 ай бұрын

    BTS등 k팝스타, 손흥민, 삼성, lg등등 외국에 나가서 우리나라를 볼 때 그래도 다른나라에 비해 이 쬐끄만 나라가 세계에서 이렇게 발전한 것은 우리나라의 특이한 교육열도 영향을 줬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인도를 보면 더욱더요~~

  • @user-ks7sp6bu1k
    @user-ks7sp6bu1k7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합니다…

  • @dori_mong
    @dori_mong8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oo8zd4ph7h
    @user-oo8zd4ph7h8 ай бұрын

    독일이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이 아닐까 합니다 교육이 그나라의 다 라해도 과언이 아닐텐데, 부모부터 깨어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절실히 듭니다 김누리 교수님의 조언을 나침반 삼아 나아가고 있습니다 아무도 문제삼지 않는 우리 입시 문제에 언제나 바른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드리며,초대 해주신 대기자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8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응원합니다 편집장님도 응원합니다 아이들의 행복과 부모님들의 허리휘는 사교육비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하루빨리 입시교육제도 바꾸어주세요 늘 좋은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 @jjjjjjjjjjung
    @jjjjjjjjjjung8 ай бұрын

    너무나 좋은 말씀입니다. 과거보단 물질적으로 풍요로우나 정신이 황폐화 되어있고 자신보다 못 가진 사람은 멸시하고 인간존중이란 것이 소멸 직전에 있는 사회입니다. 지금 시점부터 인간성회복을 위한 교육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그런 교육관을 가진 자가 대통령이 되는 시대가 와야 합니다. 너무나 좋은 강의라 두고두고 청취하며 아이들교육의 기준으로 삼도록 하겠습니다.

  • @borawon1
    @borawon18 ай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ix7eh1cg5b
    @user-ix7eh1cg5b8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 @TV-ni9ws
    @TV-ni9ws8 ай бұрын

    제발 바꿔주세요 간절히 바라는 일인입니다 ..늘 제맘속에서 맴도는 생각들을 꽉 뚫어주시는것 같습니다 이 교육은 기득권들의 영역이라 안된다는 무기력함으로 그저 아이들과 불안함속에 버티고 있습니다 학교는 보내야하는데 아닌걸 알면서도요 자주 뵙고 싶습니다 강연 많이 해주세요

  • @user-lq4hz2kl3y
    @user-lq4hz2kl3y8 ай бұрын

    영상 보는 내내 소름돋았습니다...무의식중에 느낀 우리 교육의 병폐를 이렇게도 정확히 짚어주시다니! 2부 기대하며 기다리겠습니다♡

  • @yhkm4156
    @yhkm41568 ай бұрын

    너무나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그런데 그럼 학부모인 저희는 뭘 어떻게 해야하는걸까요?ㅠ

  • @user-kv7uk8lx2l
    @user-kv7uk8lx2l8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잠재력을끌어내는 살아있는교육을 하고있는 나라가 어디일까? 유토피아적인 교육관인듯... 저교육관이 맞다치면 과연 현실에어떻게 적용할수있을까?

  • @anfroanfro123

    @anfroanfro123

    6 ай бұрын

    독일이요

  • @user-ni7dj2oe2r

    @user-ni7dj2oe2r

    2 ай бұрын

    적어도 학문분야 노벨상 0개인 나라에서 사는 사람이 할 소리는 아닌듯요

  • @link9399
    @link93997 ай бұрын

    교수님도 훌륭하시지만 사회자님도 진행을 넘잘하시네요

  • @jkchoi7908
    @jkchoi79088 ай бұрын

    너무 반갑습니다 교수님

  • @user-tk5su3bk2b
    @user-tk5su3bk2b8 ай бұрын

    문제의식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대안은 무엇일까요? 또 혹시라도 어느 나라의 교육이 이상적인 교육을 시키고 있는것인지요?하브루타나 프랑스의 바깔로레아방식으로 해결되는 것일까요? 한국교육의 문제는 너무 크지만ㅠ 수능을 도외시할수도 없구요. 어떻게 도와야 하는 걸까요. 부모의 노력으로 가능하긴 할까요.

  • @goapple1015

    @goapple1015

    8 ай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문제점에 대해 잘 지적해주셨고, 저도 놀랐고 공감됩니다. 하지만 대안이 있어야겠죠. 대안없는 문제 지적만은 공허해요. 2부에서 대안 제시 해주시나요? 기다릴게요. 우선 우리나라 사회구조, 제도, 인식이 먼저 바뀌지 않는한, 백날 교육제도 바꿔도 계속 똑같아요. 이런 현실에서, 당장 고등학생들이, 학부모들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8 ай бұрын

    ​@@goapple1015 100%동감합니다.

  • @user-qd1fk9lp3p
    @user-qd1fk9lp3p8 ай бұрын

    아무 기대도, 앞도, 보이지 않는 교육 시스템에 대해 계속해서 이렇게 빛이 어디인지를 말씀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포기하고 기대를 접고 살아 가기만하기 바쁜 … 정말 잘 들었습니다.

  • @229shin
    @229shin8 ай бұрын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그니티(dignity)! 내가 얼마나 존엄한 존재인지를 아는 과정이다.

  • @user-xm5kd2ee3j
    @user-xm5kd2ee3j8 ай бұрын

    완전 발상의 전환을 하게됬어요 잔잔한 내용같지만 무척 깊은 울림이있네요..

  • @looloo6067
    @looloo60678 ай бұрын

    정말 대박강의에요...교수님 우리나라 교육좀 심폐소생술 해주세요ㅜㅜ 아이들이 불쌍해요

  • @user-ds8uj9rb7k
    @user-ds8uj9rb7k8 ай бұрын

    세상 현실 모르고 자기주도성 갖춘 학생들에 둘러싸여 사는 상아탑 교수다운 조언이네요..과연 대학교수간에 경쟁이 도입되면 그렇게 사실 수 있을까요? 공허하고 순진한 조언입니다.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란 인간생태계도 결국은 적자생존이라는 겁니다...

  • @popgo8010
    @popgo80108 ай бұрын

    독일은 이미 초4때 공부 못 하는 애들은 기술가르치잖아 강제로 근데 우리는 계속 모든 애들을 경쟁시키잖아 최상위층도 쉴수가 없는거지

  • @user-ow1zo6mp1s
    @user-ow1zo6mp1s8 ай бұрын

    극심한 저출산이 교수님 말씀이 맞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네요. 덕분에 많은 것을 생각합니다.

  • @jiyusonlineclass4935
    @jiyusonlineclass49358 ай бұрын

    후속강의 얼른 보고 싶어요~

  • @user-wx9hc9iv6z
    @user-wx9hc9iv6z7 ай бұрын

    나라제도가 이러니 안시킬수도 없고ㅜㅜ 너무 시키기도 애들이 안쓰럽고 ㅜㅜ 고등학교때부터 아예 자기 적성대로 목표한 직업에 관련된 공부만 하도록 바꼈음 좋겠네요~

  • @kireda8008
    @kireda80088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을 여기서 뵙다니 너무 반갑습니다., 모든분들이 들었으면 하는 강의입니다..김누리교수님통해 알게된 나부터교육혁명, 더불어교육혁명 이라는 저서 지으신 강수돌교수님도 초청해주세요!!^^

  • @eazy8009
    @eazy80098 ай бұрын

    영상 보는 내내 교육현실에 쐐기를 박으신 교수님말씀에 눈물이 날지경입니다. 대입 뿐 아니라 대학도 마찬가지인 듯 합니다. 예전에 ebs에서 다룬 서울대 학생들의 수업태도방식을 촬영했는데 고등교육의 연장수업같다고 할 정도로 본인의 생각없이 교수님의 말씀 농담 하나하나를 받아적거나 녹음을 하거나 노트북에 그대로 옮겨적고 달달달 외운다고 들었고, 또 그대로 적으면 성적이 잘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자기 자신의 생각이나 반론을 적으면 성적이 떨어진다고... 너무 충격적이였어요! 교육의 근본을 바꿔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겉핧기식으로 째끔씩 색깔만 바꿀 뿐입니다. 고교학점제고 뭐고간에 대입을 뒤집기 했으면 좋겠습니다. 희망사항이지만ㅠㅠ 2부 꼭 챙겨보겠습니다!!!

  • @user-eh7mg6ns3k
    @user-eh7mg6ns3k8 ай бұрын

    소름끼치는 현실... 알고있지만 모른척 하고있는 어디서부터 바꿔야할지.. 말씀 너무 잘 들었습니다.. 2부 빨리 보고싶네요

  • @user-mq9nb7we6r
    @user-mq9nb7we6r8 ай бұрын

    영상보면서 너무나 슬펐습니다...

  • @user-ej4mq1cb8k
    @user-ej4mq1cb8k8 ай бұрын

    오늘 교수님 강의 너무좋네요 계속집중하게되요 또한 부모인 나조차도 아이를 보편화의 틀에맞춰 개성없는 아이로 강요한거같아서 반성됩니다ㅜㅜ

  • @user-ki9mb6cp9w
    @user-ki9mb6cp9w8 ай бұрын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말씀이었습니다. 저출산의 원인 중에 지나친 입시경쟁으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도 한몫 한다고 봅니다. 과연 우리는 무엇을 위해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걸까요.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user-hl5bi5ge7m
    @user-hl5bi5ge7m8 ай бұрын

    한국교육12년을 어떻게 하면 바뀔수있을까요 교육부장관이 나서야되나요?구체적인 바뀔 방법에 대해 영상 부탁드려요

  • @user-zi5nn5mb8i
    @user-zi5nn5mb8i8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하나 다시금 고민하게되네요...

  • @hyujinkim9819
    @hyujinkim98198 ай бұрын

    깊이 공감하고 너무나 바꾸고싶습니다. 그러나 피할 수 없는 공교육 현장에서 이제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건가요? 홈스쿨링이 답인건가요?

  • @user-ct2xi5no3t
    @user-ct2xi5no3t8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공감하고 갑니다. 그동안 이건 아니다... 했던 것들이 교수님 설명을 통하니 명확히 해석이 되네요. 파시스트를 길러내는 교육이었다는 부분은 충격적이면서도 정말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에요. 씁쓸합니다ㅠㅠ

  • @g.d.y8354
    @g.d.y83548 ай бұрын

    존엄❤

  • @user-kk1xz2xu7r
    @user-kk1xz2xu7r8 ай бұрын

    와....정말 귀한말씀이네요 이런 교육이 있어서 저출산으로 이어지는듯해요 동물도 환경이 안전하지않으면 새끼를 낳지않습니다...지금 우리도 똑같은거 같아요

  • @laelsworld1116
    @laelsworld11168 ай бұрын

    입시제도만 있다는 말이 와닿네요. 제도가 갖춰져야 부모들은 학생들은 준비를 할텐데 오로지 입시제도만 있으니 모두 그것에만 열중하는것 같아요. 사람을 키울 수 있는 제도,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제도가 잘 갖춰져야 우리는 또다른 준비를 할 텐데 말이죠. 부모들이 나서서 먼저 변화된 삶을, 남과 다른 사람 꿈꾸게 하고 살게 하고 싶지만 한국이라는 제도권 아래에서는 개인의 고군분투 밖에 되지 않는것 같아요. 우리는 제도권 아래에 맞춰 살았지만 우리 아이들은 개성 있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어요.

  • @user-hu1pn7hf8w
    @user-hu1pn7hf8w8 ай бұрын

    아이 키우는 엄마로 고민이 많아지네요.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파시즘에서 너무 공감되고 안타까웠네요..

  • @user-by2cc1lu1j
    @user-by2cc1lu1j8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mw4cd2ef6b
    @user-mw4cd2ef6b8 ай бұрын

    지금 고등현실은 더 참혹한데 교육부랑 대학부터 바꿔야 교육이 바뀔꺼 같은데 모든 분들이 모두 교육의 방향이 잘못되었다 지적만하고 누구도 대안책을 목소리 높여 바꿔주지는 않는 현실이 참~슬프네요.

  • @user-ee3tw2ko5t
    @user-ee3tw2ko5t8 ай бұрын

    너무 동의하는데 중학생을 키우는데 어렵네요ㅠ

  • @user-xk1jd3bq5y
    @user-xk1jd3bq5y8 ай бұрын

    섬뜩하게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정말 안타깝네요ㅠㅠ

  • @user-ms4ew3mp3p
    @user-ms4ew3mp3p8 ай бұрын

    감동적인 강의였습니다.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는 시간이였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treenwater
    @treenwater8 ай бұрын

    지극히 이상주의적인 것 같아요.^^;;; 유토피아 같은...그리고 이런 현실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많은 아이들을 너무 극단적이고 단정적으로..부정적으로 말씀하시는 것 같아요. 물론 걱정이 되는 부분은 모르지 않죠. 글쎄요... 정말 부모들이 모를까요? 아님 알면서도 울며겨자먹기로 버티는 걸까요? 저는 한국의 이런 교육은 직업과 관련된다고 생각해요. 유럽은 대학을 가지 않아도 먹고 사는 문제 없고 비정규직 되어도 사는데 문제 있는 나라가 아니에요. 우리나라는 기술직으로 현장 실습에서 죽어나가는 청년들이 한둘이 아니었죠. 전문직이 아닌 비정규직으로 살다보면.. 그것도 부모도움 없다면 평생을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힘들죠. 공부라도 잘해서 안정적인 직업이라도 갖추지 못 한다면 얼마나 삶이 힘들어지는지 그 현실을 알기에 불안감이 오늘날 이 병폐를 만든거죠. 이렇게 먹고 사는 게 치열한 현실에서 교수님의 말씀은 지극히 이상적인 말씀인 것처럼 들려요. 직업의 다양성과 삶의 질이 보장된다면 이런 문제는 사라질 거라고 봐요. 아직 우리나라는 공부 안 해도 다른 길을 찾아도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가 아니니까요.(물론 세상이 달라져서 유튜버 등등 직업을 창출하는 시대라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도 쉽지 않지요.) 아무리 교육이 천지개벽하게 달라져도 세상의 직업이 보이지 않는 극심한 계층화와 차별화가 심각하게 존재하는 한.. 특히나 더욱 심각해지는 오늘날 쉽지 않아 보입니다ㅜㅜ 물려받은 재산이 많지 않다면 어쨌든 악착같이 공부해서 안정적인 직업을 찾아야 나도 남도 돌아볼 수 있으니까요. ㅜㅜ 전문가분들 외국의 이야기 많이들 하시는데... 외국 교육 좋은 거 누가 모르나요? 요즘 부모들도 교육학 전공이고 유학도 다녀오고 아는 사람들 많아요.ㅜㅜ 오늘날 우리교육 문제인 것은 모두 알아요.ㅜㅜ 근데 다 외국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ㅜㅜ 현 상황을 바꿀 수 있는 힘이 학생과 학부모에겐 없잖아요. ㅜㅜ 이 척박한 주어진 현실에서 살아내고 버텨내는 것도 충분히 대단한 것이라 생각해요. ㅜㅜ

  • @pinkteacher1395
    @pinkteacher13958 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 정답을 이야기하셔서 제가 속이 시원합니다. 저희 세대에도 입시 공부하면서 다음 세대에는 달라지겠지 생각했는데 입시제도가 더 심하면 심했지 변화가 없습니다. 현시대가 얼마나 빠르게 변화되었는데 한국은 왜 그렇게 변함없고 뒤떨어지게 갈까요? 지금부터라도 빨리 혁신이 일어나야합니다. 아이들이 불쌍합니다.

  • @bullbio5090
    @bullbio50908 ай бұрын

    좋은 말이고, 좋은 비판은 인정하나, 정작 교육정책에 대해서 아무것도 할 수없는 그것도 교육과는 상관없는 독어독문학 교수의 넋두리로밖에 안들림ㅡ더군다나 문과에는 적용될 수는 있으나, 이공계교육에는 아무 쓰잘때기없는 내용~~^^자기 생각이 담겨있는 답안?? 과학적지식을 배우는 게 기본인데

  • @user-lm4kw6cu6g

    @user-lm4kw6cu6g

    4 ай бұрын

    그래서 가만히만 있자??

  • @hwajeanhahmwissmann5606
    @hwajeanhahmwissmann5606Ай бұрын

    항상 불편하게 느껴졌던 것들을 장기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잘 꿰뚫어보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y5qj4tb8l
    @user-by5qj4tb8l8 ай бұрын

    존엄함을 강조하려고 시도해보니 부모의갑질 어긋난 학생의 인권강조로 드러나고 있죠

  • @user-zv6ov6ki9y
    @user-zv6ov6ki9y8 ай бұрын

    드디여 김누리교수님 나오셨어요🎉

  • @mks7481
    @mks74818 ай бұрын

    😊참나 우리나라가 어때서.. 학생때 다 글도 쓰고 논술도 하고 수행평가도 있는데 이거 뭔소리여 또 뭘또 꼬아버릴려고..

  • @user-lm4kw6cu6g

    @user-lm4kw6cu6g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에 장점이 어딨음??

  • @ZarathuPower

    @ZarathuPower

    1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교육은 어딜가도 호환성이 별로 없다는 것. 자동차로 말하지면 연비가 떨어지는 것, 논문 쓰는능력, 발표능력, 욘구능력, 창의능력등등 학문탐구가 가져다 줘야 할 다양한 능력을 수능시험을 마치 교육의 전부 인냥 취급한다는 점. 일찌감치 갖다 버려할 거적대기을 아직까지도 쓰고있음.

  • @user-mm8rm3bl8m
    @user-mm8rm3bl8m8 ай бұрын

    수능이라는 제도가 초저출산 때문에 자연스레 없어질거 같습니다 문제는 그 후에 어떤식으로 교육이 바뀔지 궁금하네요

  • @user-tz7bk2ou7j
    @user-tz7bk2ou7j8 ай бұрын

    마음에 혼란스러웠던 무엇인가가 정리된거 같습니다. 깊이 공감합니다...아이를 낳아 점점 현실과 타협하며 교육하는 저를 보며 처음 내가 가졌던 교육관과 괴리가 커지는 상황에 이게 맞나 항상 의구심이 들었지만 우리 아이만 낙오될까 다시 전전긍긍하며 똑같은 라인에서 경쟁하듯 달리게 한 지금 상황이 슬프고...또 우리 아이에게 미안한 맘이 드네요....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는 세상이 오길 간절히 바랍니다

  • @user-iq2rk3vn7m
    @user-iq2rk3vn7m8 ай бұрын

    세상에 김누리교수님 나오셨다니요 선댓글 남기고 봅니다😊

  • @jjsouljj
    @jjsouljj8 ай бұрын

    너무나 공감되는 말씀이시네요^^

  • @dodosol
    @dodosol8 ай бұрын

    이러한 비판적 관점과 바른 사고를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암요..하지만 그래서 당장 오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어찌해야 하는거죠? 홈스쿨이다 대안학교다 이민이다 하는 결론으로 나아가는 것도 좋은 답은 아닐 수 있을텐데요.. 일단 가정환경이 많이 중요할테니 엄마인 나부터 잘하자 하는 생각으로 마무리 해봅니다. 2부 기대해요

  • @archivemill9915
    @archivemill99158 ай бұрын

    서울대에서 수학 교양에 학생이 몰리는 이유는 수학 교양이 졸업 요건이기 때문입니다. 이과 커리큘럼상 필수교양이구요... 서울대에서 반수할거면 휴학을 했겠지요? 서울대는 1학년 1학기부터 휴학을 허용하는 몇 없는 학교인걸요...;;

  • @user-uf9ew3bw1g
    @user-uf9ew3bw1g8 ай бұрын

    진화생물학자들이 말하는 다윈주의는 김누리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이 다가 아니더군요. 과학 이론도 누가 이용해먹냐에 따라 오해의 소지가 생기는게 있는것 같습니다.

  • @havru

    @havru

    8 ай бұрын

    무슨 말씀을 하시는건가요?

  • @user-uf9ew3bw1g

    @user-uf9ew3bw1g

    8 ай бұрын

    @@havru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이나 리처드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아무 편견없이 읽어보셔요. 남에게 듣는 것보다 직접 읽어보시면 어떤 의미인지 아실겁니다.

  • @nana-lr9vf
    @nana-lr9vf8 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늘 존경 하고 감사합니다. 대기자 티비도 응원합니다.

  • @ju-hyekim9061
    @ju-hyekim90618 ай бұрын

    교육대기자티비 점점 내용이 더더더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김누리 교수님 초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oogisoogi7624
    @soogisoogi76248 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에게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가질수 있는 바른 역사교육이 중요한것같아요 역사를 배우면서 우리는 우리자신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또 앞으로의 방향성도 가질수 있겠네요 모두가 인적자원으로서 경쟁으로 내몰린 현시대에 교육의 재정립을 해서 우리 아이들은 존엄한인간으로 살수 있게 이제는 바뀌어야할 때입니다

  • @user-we2wg9xr1n
    @user-we2wg9xr1n8 ай бұрын

    너무 편향되었네……

  • @jienyoon8904

    @jienyoon8904

    8 ай бұрын

    좌 편향

  • @hohopapa4262
    @hohopapa42628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라는 영화가 나오고 시간이 지나면 그래도 나아지겠거니... .막연히 기대하고 있었는데.... 오히려 더 무너져버리고 있는 교육의 현실을 보며 이젠 우리의 아이들은 그렇게 키우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이 있지만.... 여기서 또 아무런 행동도 안하고 지내면 또 똑같은 상황만 되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뭐라도 해야할텐데..... 뭘 해야하나요?

  • @observer00700
    @observer007007 ай бұрын

    한번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식 교육제도도 참고해보는건 어떨까요. 그리고 교육에 대해 들어가는 불필요한 비용이 해소가 되야되는건 맞는 듯 합니다.

  • @walkingmama5000
    @walkingmama50008 ай бұрын

    역시 김누리교수님 정말 존경합니다

  • @anaris5584
    @anaris55848 ай бұрын

    보다가 하도 답답해서 이렇게 댓글 달게 되네요. 교육문제가 어디서부터 고쳐야 될 지 총체적 난국이지만, 진로등 취업과 직결되는 부분이라 이점을 고려하지 않은 의견은 무시해도 된다고 봅니다 걸러서 들어야 됩니다 김누리 교수님이 중앙대 교수직 내려놓고 백수상태로 3년은 버티신 다믐 이런 말씀 하시면 의견에 공감하겠습니다~~ 우리 아이들 자기진로에 대해서 나름대로 고민이 많습니다

  • @eunyoungchun6179
    @eunyoungchun61798 ай бұрын

    아들셋 키우고 있는 엄마 입니다. 큰아이, 둘째아이가 고등에 있다보니 교수님의 말씀이 너무 깊이 가슴에 와 닿습니다. 님편과 대화를 계속 하게 되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yu6eb7ce2v
    @user-yu6eb7ce2v8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존경합니다 😊😊 자주 뵙고싶습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