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가 되지 못하면 한국을 떠나세요. | 손주은 | 동기부여 | 오디오북 | 미래이야기

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이 말하는
10,20,30대가 더 이상 한국에서 성공할 수 없는 이유.
1. 인구감소
2. 노령화
모두가 알고 있을만한 이야기를 교육적인 부분에서 풀어주는 손주은 회장
#동기부여 #오디오북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
의료 기술로 인해 늘어나는 기대수명.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부양해야하는 가족이 4명 이상이 되어버린 1020세대들.
지금과 같은 입시패러다임으로, 그리고 지금과 같은 산업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가 없다.
한국을 떠나 아프리카, 동남아로 갈 것인가
혹은 제2의 BTS가 될 것인가.
(BTS는 한 분야 세계 최고를 뜻함)

Пікірлер: 5 100

  • @Better_Than
    @Better_Than Жыл бұрын

    오타가 있습니다. 앞으로의 영상은 좀더 신중하게 검토 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오타로 인해 집중력을 분산되게 함을 너그러이 양해부탁드립니다 :) 영상을 시청해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be4tz3ps7z

    @user-be4tz3ps7z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 현실을 간파한 속시원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그런데 음악이 없는 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loveasskim

    @loveasskim

    Жыл бұрын

    2023년 현재 전세계 국가들을 보라. 나라마다 그 나라의 국민들의 수준, 치안, 경제, 삶들이 어떤지를... 선진국들이던, 개발도상국가이던, 만만한 곳이 어디있나? 그들 국가내엔 문제없나? 인종, 날씨, 치안... 등 한국보다 낫나? 당장은 아니더라도 미래엔 나을 것이라고 보이는 곳을 찾으면 된다.라 하겠지... 근데, 미래를 안다고? 모르잖아. 강의자가 젊은 세대에게 방향을 제시 하는 것은 좋지만, 대한민국을 떠나라. 이건 너무 나간듯. 당신의 강의는, 내가 부정적으로만 본다면, 나라를 떠나라고? 버리라고? 매국노 같아 보인다. 인간... 행복의 기준이, 삶의 가치가, 돈벌이에만 있나? 나도너도 누구도 돈돈돈... 하고있지만, if 외국에 나가 기회를 잡거나 만들어서, 잘 산다고 치자. 그게 꼭 성공한 사람의 삶이라고 보나? 자신의 정체성이 흔들리게 되고, 음식, 가족, 친구, 향수, 다른 기후...등등 다 감수할 정도로? 삶의 가치를... 중산층의 기준을... 돈에만 두지마라. 자존감, 심리적 안정, 문화생활, 취미... 기본적인 경제적 바탕은 이룩하고, 유지하면서, 깨어있는 인간으로써의 삶이, 진정한 중산층이 되는 것이고,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다. 강의자의 의도를 긍정적으로 생각, 강의한 분이나 댓글들을 보노라면... 대한민국엔, 여전히 똑똑한 사람들이 많네요. 모순덩어리 대한민국이 되어 있지만, 인구절벽 낭떠러지가 눈앞에 빤히 보이는데, 이대로 어어~하다 폭삭 망하게 나두진 않을 것은 자명하다. 다만, 시기마다 지도자, 리더층, 낡은 선거제도, 뒤처진 사회제도 등 적절하게 잘 바꿔가며 대처를 못할 경우, 큰 위기와 갈등, 내부 분열 가속화로, 그야말로 한순간에, 나라가 힘을 잃을 것이다. 그러면, 지난 과거처럼 살게 되겠지. 조만간 대한민국의 미래는, 아직도 변수가 많아, 긍정적 결과보다는 부정적인 결과로 다가 올 것이 눈앞에 보인다. 협소하고 편협되고 왜곡에 매몰되어 있는, 사회 리더층들이, 다같이 깨지 않으면 진짜 위험하며, 결과는 뻔하다. 젊은 세대들에게, 망할 나라를 물러 주진 않아야만 하는데... ㅠㅠ 아래 댓글들중 강제적인 해답으로, 격변할 수 밖에 없는, 통일이나 전쟁, 이게 맞기도 하지만 전쟁은... X. 2023년 현실을 보고있노라면, 지도자, 리더층들중, 극히 일부만 빼곤 바뀌지 않을 것 같고... 빠른 시일내 정치쪽에서, 지도자로... 올바른 천재를 뽑게되는 천운이 있기를 바라는 수 밖에... 에휴~ 답답...

  • @kyg7191

    @kyg7191

    Жыл бұрын

    @@loveasskim 선생님 말씀도 맞기는 한데 손주은 회장의 말 처럼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라고 봅니다. 100년후 대한민국 인구가 2천만 이라고 예측되고 노인비중은 늘어난다면 대한민국의 활력은 지금 수준에 훨씬 못미칠 것이라는게 자명 합니다.

  • @plasma3620

    @plasma3620

    Жыл бұрын

    문재인과 민주당 페미가 30년 더 앞당겨버렸지...

  • @Fbrkgus06

    @Fbrkgus06

    Жыл бұрын

    3:43 사교육

  • @user-lu2uk3jm6e
    @user-lu2uk3jm6e13 күн бұрын

    93년생인데요 제가 사회를 느끼는것은 논밭에 작물이 무성한데 잡초처럼 간신히 자리 유지하며 살아가는 느낌. 텃세가 너무 심하고 혼자서 꿈을 실현하기는 정말 힘든데 분위기가 삭막하고 서로 싸움. 사회 주름잡은 기성세대가 너무 이기적이다. 솔직히 6~80년대생 분들.. 그분들이 사회 초년생이었을때 기성세대는 어땠습니까? 그당시 사회를 주름잡던 전쟁을 겪었던 어르신들은 굉장히 배려심 깊고 헌신적이고 이타적이었음. 그런데 지금은 정말 엄청 삭막함. 경쟁이 치열한것이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심하게 이기적임. 헌신적으로 살면 바보취급당함. 사실 사회입장에선 이런 사람들이 소중한건데. 블랙홀처럼 타인 착취해야 더 성공한다는 케이스가 굳혀져서 소중한 사람들이 없어졌고 그냥 지금같은 분위기 된 것 같음.

  • @king_mev
    @king_mev Жыл бұрын

    손주은이 대단한게 따른 사업가도 아니고, 사교육 회장이면서 학부모 모시고 저런 말을 했다는거임 ㅋㅋ 그리고 현실을 정확하게 보고계심. 앞으로 달라지는게 없다면 저건 사실이다.

  • @user-uv4mc3vc9v

    @user-uv4mc3vc9v

    Жыл бұрын

    저 설명회 자리까지 온 학부형이면 잡은 물고기지. 그리고 잡은 물고기한테는 먹이 주는 게 아니고.

  • @user-wv3jc2lt5f

    @user-wv3jc2lt5f

    Жыл бұрын

    @@user-ff9zn7jt8o 사교육 왕이라 인식은 별로여도 그냥 본인 자리에서 최선을 다한것뿐…

  • @user-is3hh2ub3v

    @user-is3hh2ub3v

    Жыл бұрын

    초기때면 감언이설로 속였겠지만 이미 얻을 거 다 얻은 사람인데 굳이 속일 이유가 없음 현실을 말해줘도 귀 닫고 눈 닫고 무지성으로 학원 보내는 학부모가 한 트럭이라 ㅋㅋ

  • @pnk..

    @pnk..

    Жыл бұрын

    그치 이제 뭐 볼장 안볼장 다 봤고 돈도 뭐 대대손손 물려줄만큼 벌었고 이제 속시원히 이야기해도 자기한테 뭐 피해갈것도 없고 ㅈ같은 대한민국 ㅈ같다고 이야기 못할것도 없지 ㅎㅎ

  • @user-xz3qd2pc6c

    @user-xz3qd2pc6c

    Жыл бұрын

    팩트는 좋은대학나와도 학벌이 계층이동이 어렵다는거지 적어도 자기가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자존감 ,자신감 그로인한 좋은질적의 일자리는 유효함..

  • @ming5032
    @ming5032 Жыл бұрын

    손주은은 예전부터 쭉 알고 있었겠지 근데 손주은은 사업가임 돈이 되니까 당연히 계속 했고 이제 돈을 벌만큼 벌었으며 나이도 찼음 그리고 현재 사교육이 끝물이라는 걸 짐작하는 거죠 그래서 양심있는 사람의 이미지까지 챙기고 싶은 거고 이제야 솔직하게 말하는 것일뿐

  • @judiciousspectator9815

    @judiciousspectator9815

    5 ай бұрын

    정확합니다. 그래서 저 사람을 존경하고 숭배하는 사람들이 댓글에 이렇게 많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 @kjkj4804

    @kjkj4804

    5 ай бұрын

    이제야 솔직하게 말할게 뭐있죠..? 솔직히 메가스터디 같은 인강 때문에 사교육 평준화 된거나 마찬가지인데

  • @user-mf9ig6zb4j

    @user-mf9ig6zb4j

    4 ай бұрын

    별대단한 인사이트도 아닌거같은데 댓글반응이 신기하네요

  • @user-jf5cp2xf5j

    @user-jf5cp2xf5j

    4 ай бұрын

    저는 단순히 돈을 위해서 손주은이 메가스터디를 창업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손주은이 인터넷강의를 대중화 시키는데 과감히 뛰어든 이유는 손주은이 운영하는 학원은 한달에 몇천만원을 벌었습니다 그로인해 아파트 집값이 엄청 올랐고, 대치동 학원가가 형성되었죠. 아파트 값이 올라 고맙다고 말을 한 학부모의 말을 듣고, 사회불평등을 악화 시켰다고 생각한 손주은 회장은 본인의 신념과 맞지않아 과감히 학원을 정리하고 메가스터디를 창업하여 누구나 대치동 수준의 강의를 한달에 몇만원을 내고 들을 수 있게 보편화 했습니다. 그렇게 고정적인 몇천만원의 학원 수입을 포기하고 불확실성한 인강 사업에 뛰어든 것도 항상 선을 중요시 여기는 그의 신념이 없었더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였습니다 그리고 손주은이 양심있는 이미지 까지 챙기고 싶다고 본인이 추측하는데 애초에 손주은은 10년전부터 어두운 현실을 말해왔습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4 ай бұрын

    아직도 핀트 못 잡는 한국인들이 ㅈㄴ많네 애초에 사교육열풍은 저분말고도 심했다 그리고 이공계들도 한국에 희망없다며 의대로 돌리거나 미국으로 탈출하는데 이딴 나라에 뭐가 희망있음?

  • @user-cx8qf6cq9i
    @user-cx8qf6cq9i5 ай бұрын

    와 10년전만해도 손주은 sky sky 그렇게 외쳤는데..세상이 바뀌긴했구나..대학간판이 과거처럼 엄청난 효율을 주는게 아니고 좋은대학가서도 또 열심히 뭔가를 이뤄내야하는게 더 어려워진거같다

  • @SilverStarRoh

    @SilverStarRoh

    28 күн бұрын

    12년전인가?에도 뉴스기사에서 대학잘가고 토익점수 높이고 그게 중요한거아니고 영혼의 울림에 따라가라고 하셨음

  • @JinnYoungKim

    @JinnYoungKim

    22 күн бұрын

    그거 후회하신데요. 솔직히 공부잘하는것도 유전자라고 말씀하긴 하셨음

  • @shgim1234
    @shgim1234 Жыл бұрын

    대학졸업하고 오히려 더 공부하고 있음. 사회에서 살아남으려고, 조금이라도 연봉을 올리려고, 사람다운 삶을 살려고... 너무 지치고 벅찬데 다들 열심히 살아서 같이 뛰어야해... 이제 서른인데도 숨이 턱턱 막힌다

  • @user-pp6gh7lb7v

    @user-pp6gh7lb7v

    Жыл бұрын

    진짜 고3까지 뒤지게했는데 대학교는 그거의 배를하고있음

  • @user-di3ww7ex8k

    @user-di3ww7ex8k

    Жыл бұрын

    똑같은 서른입니다만...정말 공감합니다. 저분말대로 탈한이 정말 답인것 같습니다...현실적으로요

  • @bms7786

    @bms7786

    Жыл бұрын

    다들 힘내세요. ❤

  • @user-rz4th8ol7s

    @user-rz4th8ol7s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나이인데, 전공과 완전히 다른, 외국으로 이직하더라도 바로 투입 가능한 기술도 같이 배우고 있어요. 대학 간다고 죽어라 공부하고, 20대도 온전히 자격증 공부로 보냈는데 요즘 참 암담하네요. 다들 아직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시기가 오지 않은 것이기를..

  • @bms7786

    @bms7786

    Жыл бұрын

    @@user-rz4th8ol7s 인생의 아름다운 시기는 죽을때까지에요. 그 이름다운 시기를 때로는 치열하게 때로는 좀 느슨하게,.. 모두 아름답습니다 ❤️

  • @lsrhaus
    @lsrhaus Жыл бұрын

    독일에서 회사다닙니다. 맞아요 네 능력이 되면 나올수 있지만 아니면 그래도 한국에서 비비는게 낫다는 생각입니다. 저 아저씨는 한세상 잘 말아먹고 해외에서 직장생활 1회도 안해본거 참고해야되요. 그래도 사교육 대장으로서 양심적으로 얘기하는 것 맞다고 보이네요

  • @yongsukang9431

    @yongsukang9431

    4 ай бұрын

    본인은 한국에서 일해보셧나요~?

  • @edu_culture210

    @edu_culture210

    4 ай бұрын

    외국에서 일하는 건 원어민이 아닌 것과 편견 땜에 정말 어려워요. 일본 영주자

  • @yongsukang9431

    @yongsukang9431

    4 ай бұрын

    @@edu_culture210 본인도 한국에서 일해보셧어요~?

  • @user-lc2zu3yb7p

    @user-lc2zu3yb7p

    4 ай бұрын

    @@edu_culture210 ㅋㅋㅋㅋ ㄹㅇ 우리나라보다 선진국은 어디건 거기 문화에 완전히 동화되어도 재수없음 외노자 1임

  • @black_knight_lion

    @black_knight_lion

    4 ай бұрын

    당연히 한국이 최고지 일단 외노자취급은 안받고 인프라나 복지는 상위권이니까 거지가 되어도 한국에 꼭 붙어있는게 맞음. 근데 어줍잖은 능력으로 특별하고싶으면 해외가서 경험하는것 만한게 없다는거지 근데 영상의 취지는 50년 뒤 미래 이야기임 진짜로 50년뒤엔 한국이 지금의 한국일까?

  • @victorfox4326
    @victorfox43265 ай бұрын

    7년간 이악물고 애들위해서 애들둘 호주에서 키우려고 희생하다가 몇일전 시민권 받았는데.. 진짜ㅜ잘한일이였나 묻는다면.. 나의 인생에서 제일 잘한일.. 슬프지만 한국 탈출이 정말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ㅠ 이 영상을 보고나니 더 잘했다고 생각되네요

  • @Boyd123

    @Boyd123

    5 ай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 @user-vm9ep6ot1b

    @user-vm9ep6ot1b

    4 ай бұрын

    부럽다..

  • @Ccaauu

    @Ccaauu

    4 ай бұрын

    팩트) 손주은이 말하는 성공은 아무것도 없는 수준에서 검사 정치인 기업경영가 정도 수준의 큰 성공을 얘기하는거임 그 이외의 어느정도 중산층 진입은 대학 가야 훨씬 유리한거 맞음 즉, 학벌 중요함

  • @llllliiiiiiilllllillilll6428

    @llllliiiiiiilllllillilll6428

    3 ай бұрын

    글쎄요 ㅋㅋ 한국사람은 한국에 사는게 젤 행복하다고 생각합니다 본인 인생 다 갈아서 호주에 사셔도 늙어선 한국오시고 싶을걸요

  • @dapnooo3169

    @dapnooo3169

    3 ай бұрын

    ​@@llllliiiiiiilllllillilll6428저도 그렇다고 생각했었져...한국인은 한국에서 사는게 좋다고...외국에 나와보니 나는 그저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걸 알게되었던... 물론 각 나라마다 일장일단이 있지만.. 둘다 살아본 입장으로서는 한 생각은, 한국은...떠나갈만한 나라이고 호주는 떠나올만한 나라라는 거였죠..

  • @user-fq2ph1hg2z
    @user-fq2ph1hg2z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사교육의 한 획을 그으신분이 이렇게 확신하시는거 보니 진짜 무서운 시대변화에 두렵네요.

  • @user-uh8nf1xd8c

    @user-uh8nf1xd8c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저렇게 반사적이익 한몫챙겨놓고 이제 더이상 수익 안보이니까 정부까면서 정치쪽 발들이는 작업일수도

  • @siesta11

    @siesta1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아프리카니 동남아 어쩌구 하는데 국내에서 경험없이 가봐야 거기서 뭐할건데 ㅋㅋ 또 자본도 없는데 그냥 현실감각이 없어

  • @user-md4kh2ef7k

    @user-md4kh2ef7k

    Жыл бұрын

    @@siesta11 하긴 걔들도 병신은 아니죠. 한국이 그랬듯 쟤들도 경제성장 하고 싶으면 자국자본 키워주려하지... 우리가 끼어들수 있다면 선진국쪽 자본이 재미없다 판단해서 방치하는 나라일 확률이 높음

  • @anklebroken4925

    @anklebroken4925

    Жыл бұрын

    @@user-uh8nf1xd8c ㄴㄴㄴ 저는 89년생인데 메가스터디 초창기때부터 인강 듣던 세대입니다 15년-17년 전인데 메가스터디 인강 신청자 학부모 대상으로 손주은 회장이 강연한 적이 있어요 그때 내용이 뭐였냐면 공부도 재능이다 아무리 가르쳐봐야 애들 머리가 고득점을 얻는데 타고나지 않았다면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것이 무의미하다 근데 애들 머리는 부모의 머리로부터 온다 라는거였어요 일종의 네거티브 마케팅일수도 있긴한데 대단하지않음?

  • @Generallee85

    @Generallee85

    Жыл бұрын

    문재인 정권이 출범한 다음해 2018년에 바로 사업접고 미국으로 이민온 30대아재 입니다. 4차 산업시대에 탈원전 거리면서 북한 석탄사다가 화력 발전 굴리는 ㅂㅅ짓하며 인적자원이 전부인 한국의 교육을 하향 평준화 하는꼴을 보고 이나라는 곧 망하겠다는 생각으로 나의 고국을 떠난지 벌써 5년이 되었네요 여러분 세계 폐권국 미국으로 오세요. 뉴욕,캘리포니아 벗어나도 양질의 일자리 넘치고 90평 2층집 4억이면 삽니다. 한국에서 60시간 이상 일해서 고작 연8-9천만원 벌었는데.. 미국에선 40시간 일하고 연3억 벌고 있습니다-

  • @on_mars
    @on_mars Жыл бұрын

    개쩌는 명강의임.이 강의 전설로 평가받을 일 약 10년 남았음.

  • @JihwanIsaac

    @JihwanIsaac

    Жыл бұрын

    부랄 두쪽만 가지고 결혼한 부모님 세대들이 대단하기도 하지만 기회가 많긴 했죠. 지금 시대는 확실히 기회와 낭만이 없는 것 같습니다.

  • @user-ly6zk2uy9g

    @user-ly6zk2uy9g

    Жыл бұрын

    ㅋㅋ10년? 장담하는데 길게잡아도 7년안으로 무조건 온몸으로 체감하게 될거임

  • @user-tp2iv7tn7o

    @user-tp2iv7tn7o

    Жыл бұрын

    미리 성지순례 왔습니다 무섭지만 또 힘내서 함께 가야죠 그게 인생인걸요 ㅎㅎ

  • @ducksix5471

    @ducksix5471

    Жыл бұрын

    ㅇㄷ

  • @user-hd4ck4gn2n

    @user-hd4ck4gn2n

    Жыл бұрын

    성지순례 왔다 10년뒤 이 댓글 다시 보겠지

  • @user-mu9jx2nf7b
    @user-mu9jx2nf7b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에서 최대규모의 사교육 열풍을 일으키면서 입시에서 낙오되면 인생낙오자 되는식의 공포마케팅으로 돈 많이 버시고는 지금와서 저런말씀하시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ㅎㅎ 공부에 목숨걸어서 대한민국 젊은이들이 현재 결혼,출산,취업에 성공했나요?

  • @user-nd6cq4by7c

    @user-nd6cq4by7c

    3 ай бұрын

    내말이~ 그때 그 강의 아직도 있지요~ 창녀촌 다니던거 서슴없이 얘기하는 질낮은 인간 그땐 공포마케팅, 이젠 이주마케팅 한국 소멸 기원하나 이래저래 사회에 득되는 사람은 아닌듯 한낱 공포마케팅 장사꾼일뿐...

  • @kimcloud4829

    @kimcloud4829

    10 күн бұрын

    저런 강연으로 밑밥 깔고 결론은 답은 해외에 있으니 본인 유학 사업 이용하라는 기승전마케팅이죠 [ 목적은 그렇지만 강연에 들을만한 부분이 있기는 합니다] 항시 저런 강연이 있으면 바로 앞에서 말하는거 말고도 뒤에 깔려있는 의도도 뭘까 생각해보는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10 күн бұрын

    그거 자기도 후회한데요 신문에 글쓰신거 봤음 그리고 저분이 아마 최초로 공부는 유전자빨 있어야된다고 말하심

  • @user-et8nd7sj4d

    @user-et8nd7sj4d

    7 күн бұрын

    진실에 거짓을 섞으면 진실을 수용하고 거짓을 지탄하면 되죠. 합리적이고 현명하게 다른 이를 판단하려 노력하는게 정치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인간상이고 나라를 조금씩 나아지게 만드는 책임감있는 국민성이라고 생각합니다.

  • @ggggsvxa

    @ggggsvxa

    4 күн бұрын

    저분은 경영자로써 본인의 업을 충실히 해왔고, 그것과는 별개로 본인의 관점을 말씀하시는건데 그게 그렇게 아니꼬운건가요? 더이상 커질대로 커진 기업이 자신이 어떻게 할수있는것도 아니고 주주들도 있고 그 기업에서 일하는 분도 다 있는데 기업을 엎어요? 댁이나 상식적인 소리좀 합시다 전 양심적이고 이성적인 모습처럼 보여 보기좋기만한데 시대적흐름은 결국 있었던것이고, 저분은 마케팅은 과했다 치더라도 정보의 대칭성을 이뤄냈다고도 볼수있죠. 정보가 대칭되니 기득권층만 가졌던 정보가 대칭되어 경쟁이 심해진 겁니다. 시대적흐름과 반사적으로 따라오는 대중의 행동양식이 저분탓일까요? 모두 관점의 차이입니다.

  • @hannahna
    @hannahna Жыл бұрын

    와... 특히 마지막 정말 명언이시네요.. 애가 뭘 잘하는지 기질을 잘 알아야한다고...

  • @SuGeunChoi

    @SuGeunChoi

    3 ай бұрын

    요새는 이게 정답이에요..7080세대처럼 애한테 이곳저곳 학원 엄청 보내면서 공부하라고 하는 시대는 가버렸습니다.. 일찌감치 애가 만약 춤추고 노래하는 거에 두각을 보인다 이러면 7080세대처럼 "커서 딴따라 쳐 해먹고 뭐하고 살래"가 아니라 "그 잘하는 거"에 숨은 잠재력까지 폭발 시켜줘야 애가 큰 돈은 못 벌지 언정 행복하게는 살아갑니다.. 저도 느끼는 게 많아요.. 요새 😢

  • @user-nh5gc4bw2s

    @user-nh5gc4bw2s

    3 ай бұрын

    애들 트롯 가수 만들세요. 요즘 트롯가수가 홧하데

  • @JinnYoungKim

    @JinnYoungKim

    3 ай бұрын

    하긴 ㅂㅅ같은 영상 만드는 원정맨도 뜬것보면.. 물론 이제 범죄자임

  • @dgdagdt7863

    @dgdagdt7863

    2 ай бұрын

    근데 결국 머리 좋은 애들이 다 잘함ㅋㅋ 하나만 잘하는 애는 드물죠

  • @sh9307

    @sh9307

    29 күн бұрын

    ​@@user-nh5gc4bw2s 싸 닥쳐요 할머니

  • @user-hs2qf6zc9o
    @user-hs2qf6zc9o8 ай бұрын

    부자들은 자식들 다 외국나가가있음..팩트입니다. 여기서 시체치우는 사람 되지않으렴 나가야합니다

  • @user-bs7xo9sk9j

    @user-bs7xo9sk9j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삼성 다니는데 부장급들은 애들 다 외국으로 유학시키고 자식 미국 영주권 따게 해준 임원도 있어요 그거 보고 느꼈음 한국에서 탑티어인 기업에서 탑 찍은 사람들이 자식을 다 외국으로 보냄

  • @jw1174

    @jw1174

    4 ай бұрын

    부자들은 이미 아무 거리낌없이 원정출산하고 애들 미국에 살게 함요 연옌들도 보셈 한국이 답없는거

  • @kmh660728

    @kmh660728

    4 ай бұрын

    그러기엔 돈이 없다

  • @Rica-ks1ns

    @Rica-ks1ns

    3 ай бұрын

    시체 치우는 분들 의문의 1패...

  • @user-cb4es4th2z

    @user-cb4es4th2z

    3 ай бұрын

    재벌뿐아니라 장차관도 대놓고 자녀는 미국가있더만... 이보다 더한 시그널이 😂😂

  • @ruddystylo2615
    @ruddystylo2615 Жыл бұрын

    당장 인근 동사무소나 시청만 가도 2-30대 직원들 좋은 대학 출신 수두룩.. 얘네가 꿈이없어서 이렇게 된게 아님. 마땅한 월급쟁이 대안이 없으니 여기까지 온거지.

  • @jjammini

    @jjammini

    Жыл бұрын

    마자요.. 그리고 예체능 관련 학교는 진짜 극상위권이 아닌이상 밥벌이 힘든데 지금 계속 운영하는것도 이해가안되요... 그냥 대학교수들 월급벌려고 운영하는건지..

  • @ruddystylo2615

    @ruddystylo2615

    Жыл бұрын

    @@jjammini 작곡 전공한 친구도 봤네요. 이겨냅시다.

  • @jjammini

    @jjammini

    Жыл бұрын

    @@ruddystylo2615 저 지금 20대초반입니다. 공기업이랑 수능이랑 둘중에 고민중인데 추천해주세용

  • @user-oh2vh5kx4d

    @user-oh2vh5kx4d

    Жыл бұрын

    롯데마트 까대기치는 사람있는데 서울대출신도 있음..

  • @user-cn9tx8tu6g

    @user-cn9tx8tu6g

    4 ай бұрын

    ​​@@jjammini 일단 생산연령층 부족 현상은 이민 오지게 받아서 해결할거니까 걱정 마세요. 애초에 미국이나 유럽도 다 이민자들이 출산해서 출산율 유지하는 겁니다. 전세계에서 이민 없이 출산율 유지하는 선진국은 오직 종교로 전국민 가스라이팅 하는 이스라엘 외에는 없습니다. 수능/고졸취업은 소득 기대값 생각해보면 공대 갈거면 수도권 대학만 가도 충분히 대기업 합격합니다. 그리고 대기업과 그 외 기업들은 연봉 차이가 두 배 가까이 나고요. 자연대나 경영, 경제학과 갈거면 중경외시 이상은 가셔야 대기업 갈만하고, 설카포 연고 가신다면, 로스쿨, 행시, cpa 등 준비할만한 역량이 충분하기 때문에 전공 자유로이 선택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학벌 의미가 없긴 왜 없어요. 서울대 나오면 내 인맥들도 다 서울대고, 스타트업을 하더라도 투자자가 스타트업 대표의 학벌이 서울대인 것도 투자 고려요소들 중 하나로 넣죠.

  • @user-rd8gw5fr2v
    @user-rd8gw5fr2v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내수시장이 좁고, 자원이 없어서 오로지 수출만으로 먹고사는 나라여서 갈수록 생산인구는 줄어들고 부양해야될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재정건전성 심각하게 악화될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즉 bts처럼 달러를 벌어올수 있는 인재들의 역량을 키우라는 말이네요

  • @user-eb9zd4yu1b

    @user-eb9zd4yu1b

    Жыл бұрын

    정확합니다 근데 bts가 또 나올까요? 제 생각엔 이민이 답인거 같아요

  •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4 ай бұрын

    Bts 군대보낸 국민들 근시안 ㄷㄷ

  • @Ccaauu

    @Ccaauu

    4 ай бұрын

    팩트) 손주은이 말하는 성공은 아무것도 없는 수준에서 검사 정치인 기업경영가 정도 수준의 큰 성공을 얘기하는거임 그 이외의 어느정도 중산층 진입은 대학 가야 훨씬 유리한거 맞음 즉, 학벌 중요함

  • @JinnYoungKim

    @JinnYoungKim

    3 ай бұрын

    @@Ccaauu 저기요 의대로 몰리는것부터 정상아닌데요

  • @roonma-by1bn

    @roonma-by1bn

    Ай бұрын

    @@user-wq5bp4vf9g달러를 벌어온다고 국민의 삶이 나아지지 않다보니….. 평등하게 군입대 하는것 같아요

  • @user-cm2kc5qp7y
    @user-cm2kc5qp7y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아니 너나가라 이러는 사람들은 강의를 보긴한거임? 노인 부양인구가 77%라니까요 이사람들아 ㅋㅋㅋㅋ 지금 태어난 애들은 진짜 돈 벌면 절반이상을 세금으로 내게 생겼는데 저게 틀린말임 그러면?

  •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5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ㅋ

  • @user-uu6mh8ox9w

    @user-uu6mh8ox9w

    4 ай бұрын

    그러면 ㄹㅇ 이민이 답인가??

  • @Kawhi2

    @Kawhi2

    10 күн бұрын

    젊은 노동인구는 적고 노인은 많고 더 많아질 나라임 세금 줜나 많이 내야될거임 특히 고소득자일수록ㅋ 지금도 한국 상증세는 전세계 1위임

  • @JinnYoungKim

    @JinnYoungKim

    10 күн бұрын

    하긴 슈카월드 보면 건보도 곧 고갈될것같은데 채팅과 댓글보면 한국 떠날까라고 고민하는 사람들 많음 안그래도 대학병원들 도산위기 직면인데

  • @user-gw6bn6qz1i
    @user-gw6bn6qz1i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때까지 공부+대학교 가서도 스펙경쟁+대기업 입사해서도 케바케지만 복지는 좋고 기업문화 후진적인 곳도 많다 근데 애초에 취업 자체도 존나게 어려운게 한국 현실이다. 이런 거 자신 없으면 해외로 눈 돌리는게 나쁘진 않다고 말하고 싶다 마음 속에 품어놨다가 해외 경험 해보고 살아라 인프라나 속도나 의료나 한국이 당연히 좋은 점들이 많고 외국도 집값이나 가끔 겪을 인종차별 등등이 있지만 자신이 원하는 삶의 질이 외국과 맞을 수도 있다 실제로 워홀 갔다가 정착하는 사람들도 있고.. 절대로 돈이 전부가 아니다 내가 보기엔 한국은 어쩔 수 없는 제조업, 공장 시스템이라 어릴 때부터 노예 양성해서 평생 일에만 매달리다가 골로 가는 곳이다 사실 동아시아 전체가 그렇다고 본다

  • @user-qn7ve9ck6v
    @user-qn7ve9ck6v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이거네요. 한국에서는 평생직업으로 가지려는 그 분야에 학연이든 혈연이든 뭐든 간에 본인에게 기회를 줄 기존 인맥이 없으면 본인 실력이 아무리 좋아도 포기하고 다른직업을 찾게되니 아이의 천재적인 재능을 뭐라도 발견했다면 한국에서 BTS처럼 될 기반이 없다면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곳으로 가라. 제 생각에는 연예체능 또는 문,이과 공부 같이 자기계발 관련이면 무조건 미국으로 가는게 맞고요.(기회가 많고 무조건 능력에 맞게 기회를 잡을 수 있음.) 사업상이라면 아프리카든 동남아든 수리남이든 어디든 아직 경쟁자가 없는 곳으로 가서 시작하는게 맞는것 같네요.

  • @Mossol_Slayer

    @Mossol_Slayer

    Жыл бұрын

    수리남ㅋㅋㅋㅋㅋ 수리남이 답이다

  • @user-yf5ue6uv8x

    @user-yf5ue6uv8x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미국도 아무리 학연,지연,재력이 중요하다 한들, 능력 펼치기는 대한민국보다 훨씬 좋은 나라임 ㅇㅇ. 근데 아이러니한건, 미국을 진출하려면 재력이 필요한 현실 ㅋㅋㅋㅋ

  • @user-oy6ru8po3m

    @user-oy6ru8po3m

    Жыл бұрын

    재력도없고 인맥없으면 그냥 한국에서 폐지줍고 고구마장사하고 살아야함

  • @ttmg24

    @ttmg24

    Жыл бұрын

    수리남 침투력ㅋㅋㅋㅋㅋ

  • @ttmg24

    @ttmg24

    Жыл бұрын

    ㄹㅇ 3명이 붙어서 한명 수학과외해줄것도 아니고 30년만에 출산인구가 1/3쪽이 됐는데ㅋㅋ 사교육은 진짜 죽지

  • @ummasuccessful3627
    @ummasuccessful3627 Жыл бұрын

    이걸 대학 가기 전에 알았어야 했는데 사회생활 하면서 5년전부터 대한민국은 살기 힘들다라는걸 제대로 느꼈어요. 딱 이 내용으로다가요. 개천에서 용난다라는 말은 진심 조선시대 말이라고 생각해도 되는 현재 대한민국이에요.

  • @JinnYoungKim

    @JinnYoungKim

    3 ай бұрын

    ㅋㅋ 진심 의사들도 죄다 집단사직하는 유래없는일보면 이나라는 이미 상해서 부패하는 고기 🍖 같음

  • @JinnYoungKim

    @JinnYoungKim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조선말기부터는 부정부패가 심해졌는데 현재 한국상황이죠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0 күн бұрын

    1. 바보와 어리석은 사람은 자기 기질대로만 사물을 본다. 2.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는 법. 자기가 죽을 날짜, 고통받는 누군가, 성범죄 사건 3. 노력해도 극복을 못하거나 극복이 안되는 일도 있다. 4. 과유불급: 뭐든지 과하면 독이 되는 법이다. 이건 독서, 종교, 운동, 게임도 마찬가지다. 5. 과거의 잣대로 현재를 재지 마라. 기껏해야 추측이 고작이다. ㅡ 필립 체스터필드 6. 너무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도 그렇게 좋은 삶은 아니다. 적당히 모르는 것도 있어야 한다. 7. 남을 대할 때 항상 인간으로 대해야 한다. 8. 아무나 가질 수 없는 걸 얻으려면 아무나 할 수 없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책에 나왔는데, 누군가는 아무나 할 수 없는 노력을 해서 무언가를 얻을 수도 있겠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아무나 할 수 없는 노력을 평생 해도 평생 아무것도 못 얻을 수도 있다.,

  • @user-fb8nm5ot9b
    @user-fb8nm5ot9b9 ай бұрын

    나이 40을 먹고 우리보다 못사는 베트남에서 좀 살아보니.. 진짜.. 이보다 더 좋은 나라가 없더라.. 진짜 한국만큼 좆같은 나라는 없다.. 그래서 한동안 우울증 겪었지.. 왜.. 그놈에 한국땅 못벗어났을까.. 팔팔한20대때 미국이나 호주 우리가 말하는 선진국에가서 고생하더라도 거기서 자리잡았떠라면 지금 내인생은 더 행복했을텐데.. 하고.. 정말 이나라는 떠나는게 맞다.. 이나라의 가장 큰 문제는 기득권을 가진자들이 후조선화시키고 있따는거야.. 민주주의? 개나줘버려.. 결국 기득권자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굳건히 다지고 그외에 사람들은 개돼지로 보는 말그대로 조선의 모습을 원하고 정치를 하는 모든 인간들은 그러한 정책만 만들고있음.. 이건 그냥 대한민국의 민족성인듯 못바꿈

  •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아무리 치안좋고 뭐 좋다하지만 극단적 선택률이 최상위이고 사기공화국엔 비젼없죠...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3 ай бұрын

    베트남에서 베트남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한국이랑 똑같아요 ㅋㅋ 베트남 사람들 월급 얼마나 받는지 뻔히 알잖아요. 본인은 잘사는 한국의 돈으로 베트남 가니까 잘먹고 잘 사는겁니다.

  • @user-rs4bx7qd1i

    @user-rs4bx7qd1i

    3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50년후 베트남과 한국 별로 차이안납니다… 이미 투자받는 자본의 양이 넘사에요… 당연히 베트남이 앞으로 좋을 수 밖에 없지요 당연한 겁니다

  • @user-gq4lg5ox3b

    @user-gq4lg5ox3b

    3 ай бұрын

    윤석열이대통령인데 말다햇지

  • @user-xo8sx2pp2v

    @user-xo8sx2pp2v

    2 ай бұрын

    @@user-gq4lg5ox3b뭐라노 기승전 윤석열이가 지금 대한민국이 윤석열 하나로 퇴보되는 중이가?

  • @singingenglishteacher3809
    @singingenglishteacher38093 ай бұрын

    모두 해외로 가면 대한민국은 사라지는 건가요.. 외국가면 편하게 살 수 있는걸까요? 외국가면 취업하기 힘들뿐 아니라 엄청나게 차별당하고 사는 경우가 많던데요.. 해외가면 다 잘 풀리는게 아니기에 이런 부분도 함께 알려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user-ii4go4qg7s

    @user-ii4go4qg7s

    3 ай бұрын

    당연히 어렵고 힘들죠. 한국에서 사는 것보다 더 힘들어요 다만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은거죠 가서 고생하는 1세대는 당연히 고생해요.

  • @Lucia-mw4mp
    @Lucia-mw4mp Жыл бұрын

    진짜 현실적이고 맞는 말입니다. 지금 자녀세대들 이 나라에서 답 없는 게 현실

  • @feratube

    @feratube

    Жыл бұрын

    더군다나 군대까지 다녀오면 2년쌩으로 날리는거임 그래서 대부분 20살되기전 즈음에 이민갑니다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Жыл бұрын

    @@feratube 요즘 미국, 캐나다 상황도 안좋습니다.. 유럽은 이미 망한 상태구요.!

  • @feratube

    @feratube

    Жыл бұрын

    @@dehwankim2269 그래봤자 저출산1위인 한국만할까요 동남아국가로 전락하는건 시간문제임다

  • @user-mr1hy2vb1q

    @user-mr1hy2vb1q

    Жыл бұрын

    ​@@dehwankim2269 지금 우리가 다른나라보면서 자위질하는게 아니라 다른나라들이 한국보면서 자위질하고있을거다 저 한국 ㅂㅅ보다는 출산률 높다고 해결책을 찾아야지 다른나라보다는 낫다고하면 문제가 해결되나?

  • @Me-qt6yd

    @Me-qt6yd

    Жыл бұрын

    @@user-qanti9n2pe2 ㄹㅇ ㅋㅋ 이거탓저거탓 멈춰~

  • @quietrio
    @quietrio Жыл бұрын

    학벌이 중요하던 90년대 입시생으로써 재수해서 상위권 대학가고 또 미국 유학가고 30대 중반까지 공부만 하다가 한국와서 시간강사 겸임교수 영어학원 강사 번역알바 등을 전전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다 40대 초반에 트와이스 bts 를 보고 너무 좋고 감동 받아서 그들의 앨범과 굿즈를 미국이랑 유럽에 팔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서 음반 굿즈 수출 사업을 작게 (이베이 같은 플랫폼부터 시작) 시작했고 6년이 지난 지금은 주변 엘리트 코스 (명문대학 - 대기업코스, 전문직코스등) 밟아온 친구들보다 최소한 금전적으로는 훨씬 여유있게 버는 사람이 됐네요. 지금 돌이켜 보면 대학 학벌 그게 삶의 목적이 되서 매몰되면 안되고. 그것말고도 더 훌륭한 대안들이 많은데 그땐 왜 그것 밖에 없다고 생각했는지. 학교 학벌 그것 다 나와보면 별거 아닙니다. 제 주변에 자수성가한 부자들 보면 학벌 좋은 사람 별로 없습니다. 오히려 한곳에 미쳤거나 사업 혹은 장사수완이 좋아서 어디에 소속되지 않고 과감하게 자기만의 비즈니스를 시작한 사람들이 좋은 집에 비싼 외제차 몇대씩 끌고 다니면서 비싼 식당에서 여유있게 식사하는 부자들이 되었네요. 물론 리스크를 줄이는데 최고의 대안은 좋은 학벌입니다. 하지만 그게 또 리스크를 지지않고 한곳으로만 향하는 모멘텀을 만들기 때문에 더 크게 성장하기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맞습니다 bts 같은 천재들 많은 사람들을 먹여 살립니다. 그게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우선 저와 저희 회사 직원들도 한동안 bts 덕분에 먹고 살았으니까요

  • @poponam9141

    @poponam9141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말씀한것을 깨닫고 있는 요즘입니다.. 학벌_스펙은 이제 기본일뿐입니다 그렇지만 그것을위해 인생의 많은시간을 쏟아붓고 희생하죠 뒤늦게 깨달으면 늦는것이고요

  • @Artemis1004

    @Artemis1004

    Жыл бұрын

    저작궈누안걸려요?

  • @espadrillesalaluna

    @espadrillesalaluna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결국 부자고 뭐시고 한국에서는 한계가 있음. 벌어봤자 영민하게 자금을 빼돌리지 않으면 80년대 민들어진 상속 및 증여에 관한 법률들 그리고 그 세율을 더 높아질 거고, 조금 낫다의 상황이지 국민의 질은 하향 평준화가 될 거. 무조건 한국에서는 해외로 나가는 게 답임.

  • @hryou1

    @hryou1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점점 힘이 드는 시대가 오는 것 같더라구요. 해가 갈수록 모든 것이 다 힘든… 힘내봅시다

  • @quietrio

    @quietrio

    Жыл бұрын

    @@Artemis1004 정품 앨범 정품 굿즈 유통시키는데 법적으로 걸리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 @user-ro9bc5vr2i
    @user-ro9bc5vr2i5 ай бұрын

    '아주 이상한 나라가 되어있다니까요'ㅡ이 말에 격하게 공감합니다. 강의속 해외취업에 대한 배경이나 견해도 저랑 생각이 같네요.저도 아이를 해외취업 준비시켜 아이인생은 답없는 대한민국을 떠나 스스로 해외취업으로 인생을 더넓은 시야로 살게하고싶은데, 그런데 독인건지 약인건지 아이가 공부를 잘해요 ㅠ 공부를 잘하다보니 한국에서의 전문직 도전도 미리 포기하기가 두렵고 이렇게 힘든입시에 오랜시간 몰빵하고 전문직 학과 못가면 해외취업으로 방향을 돌리기로 아이와 의견을 맞췄는데 ... 차라리 아이가 공부못했으면 지난한 입시관두고, 열심히 외국어 시키고 해외취업에 필요한 최소학력 학위라도 얼렁따서 더넓은 세계로 내보내고싶은데.. 해외취업길도 모두가 안정된삶을 살수있는 녹록한 도전만은 아니기에, 현재 입시공부 잘하고있는 재능도 무턱대고 포기할순없어요 ㅠ 그래서 정신적으로 더 힘들기도 합니다. 요즘은 아이를...대한민국 거대바이러스라스라는 대한민국에 맞서 싸우기위해 양육하고 교육시키고있는 느낌입니다. 기이한 인구구조뿐 아니라 기이한 경제구조 취업구조 사회구조 대한민국으로부터 내 아이를 해방시켜주고 싶어요. 왜 사람들이 아이를 안낳는지 정치권과 기업들 반성해야합니다. 애 낳으면 돈 몇푼 더 주겠다구요? 과연 돈 몇푼 더 못받아서 애를 안낳는걸까요

  • @yomtube-494

    @yomtube-494

    22 күн бұрын

    안낳는게 개이득이긴합니다 지금 자기만 즐기고 잘살다가면 최고져 세금으로 부양도 다 나라가 남의돈으로 해줄테니.

  •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Жыл бұрын

    불행지수 1위 한국은 직업문제가 아니라도 떠나는게 답이다

  • @PEPERO-bs1ve
    @PEPERO-bs1ve Жыл бұрын

    저사람 주머니에 수천만원 학원비 넣어준 13년 전 삼수생으로서 저사람의 통찰력은 확실하다고 본다. 그때도 인구구조를 읽고 사교육시장에 선두주자로 뛰어들어 가장 큰 성공을 이루었으니 ...

  • @azurebom2

    @azurebom2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넣어 주신거죠

  • @sunshine-mk9mc

    @sunshine-mk9mc

    Жыл бұрын

    저런 사람한테 배운 당신은 어떻게 되셨죠? 13년이나 지났는뎅 궁금해서 여쭙니다^^

  • @user-vo8xn6nc2t

    @user-vo8xn6nc2t

    Жыл бұрын

    @@sunshine-mk9mc 적어도 남 인생이 궁금하시면 본인부터 밝히세요

  • @sunshine-mk9mc

    @sunshine-mk9mc

    Жыл бұрын

    @@user-vo8xn6nc2t 오지랖은ㅋㅋㅋ 경우없는 자식이네ㅋ 느그 어무이가 그래 가르치드나

  • @user-ok3yp4lt8u

    @user-ok3yp4lt8u

    Жыл бұрын

    @@user-vo8xn6nc2t 그게 맞긴해

  • @gyu20001011
    @gyu20001011 Жыл бұрын

    타인과의 비교를 줄이고 각각 개인의 특성을 존중하는 시대가 온다면 지금부터 훨씬 좋아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학생들이 공부라는 좁은 통로를 통과하려다보니 지쳐 쓰러지는 것 같네요. 앞으로의 학부모님들도 학생들도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 @user-fq3tk3mj5h

    @user-fq3tk3mj5h

    4 ай бұрын

    되겠냐 못배운 돈에미친 사람들밖에 없는데

  • @sechangoh1071

    @sechangoh1071

    4 ай бұрын

    비교가 문제가 아니라 걍 여유가 없이 나라에서 일만 존나 시키고 세금 다 뜯는게 문제지. 물가는 계속 오르고 원화가치는 계속 떨어지고 걍 답이없다

  • @Aimer_remastered2022

    @Aimer_remastered2022

    4 ай бұрын

    그렇게 얘기할수가 없다니까 바보같은사람아 그냥 우리나라 구조가 제조업이 태반인데 그 제조업마저도 인구가없으면 안된다니까 공부니 뭐 비교니 기반이 어디서나오는지도모르고

  • @blacksoulslover

    @blacksoulslover

    3 ай бұрын

    비교 이러네 SNS가 문제인건 맞는데 그걸로 나라가 이꼬라지인걸 묻어가려 하지 말라고. 지금 기성세대들이 존나게 많은게 저출산보다 더 큰 문제야. 75세 이상 안락사시키는거 말고는 절대 우리나라는 망하는 길을 피할수없음.

  • @user-cm7zk3cl8u

    @user-cm7zk3cl8u

    25 күн бұрын

    이미 늦음

  • @kristah7223
    @kristah722310 ай бұрын

    30대 중반에 해외로 이민 나와서 학업까지 하고 있어요. 해외 나와서 자리잡기 그나마 쉬운 방법들 중 하나는 IT전공 하는 것 또는 한국관련 사업 하는 것 추천합니다. 아프리카나 동남아는 넘 불편하고 더울 것 같아요. 살아봤었지만 그래서 그쪽은 오래 못있겠더라구요. ㅠㅠ 영어랑 수학 그리고 컴퓨터 좀 열심히 하시라고 아니면 독어해서 독일 공대 가서 자리 잡으시거나... 캐나다도 추천합니다. 그리고 IQ 보다 EQ가 더 중요해질 것 같아요. AI 시대라...

  • @user-pg3hf1bg9w

    @user-pg3hf1bg9w

    7 ай бұрын

    혹시 실례되는 질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20대 이실때 무엇을 준비하셔서 이민을 결국하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이 영상만 해도 꽤 오래된것 같은데 우리나라 변함이 없는것 같아서 저도 해외로 나가고 싶어지네요…

  • @useeeeeeee

    @useeeeeeee

    5 ай бұрын

    저도 댓글 달고 갑니다

  • @mjk2544

    @mjk2544

    4 ай бұрын

    이민이 잘되는 직종과 관련된 전공을 공부하시고 졸업 후 한국에서 경력을 쌓으면서 이민 준비(외국어공부 비자정보 정착자금준비)하시고 비자발급받아서 나오세요 재정적으로 풍족하시면 바로 이민가고자 하는 나라로 유학을 가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민이 잘 되는 직종은 인터넷에 검색하시면 잘 나와 있습니다

  • @xhhexan
    @xhhexan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이렇게 현실적인 말씀을 강의를 하셨지? 와 정말 대단하신분이시다 완벽하게 동의하고 나라를 뜨는것이 가장 최적의 대안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현재 1개월단위로 AI성장이 챗GPT를 기점으로 인터넷의 발명시대만큼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변호사, 의사 부터 대부분의 직업이 전부 AI로 대체되는 세상이 10년안에 온다면 또 곧 중미힘싸움을 위한 전쟁도 10년안에 온다면 여러가지 변수가 너무나 많긴 합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10 күн бұрын

    전부 인공지능이 되긴할까요 전기는 누가 공급해주고 컴퓨터도 오류일으키는데

  • @natsudeshita
    @natsudeshita Жыл бұрын

    요즘시대에 영어는 기본이고 다른 외국어 열심히 배워야함.. 진짜 언제가는 한국 뜰 수 밖에 없음

  • @user-xk1er1zg1p

    @user-xk1er1zg1p

    Жыл бұрын

    요즘은 ai 가 다 통번역해줄꺼에요

  • @user-rk8in9uk5k

    @user-rk8in9uk5k

    Жыл бұрын

    @@user-xk1er1zg1p 통번역 하라는게 아니고 살기위해 필수라는거죠.. 머 파파고 들고 매번 대화하면 정상생활 어렵죠..

  • @user-xk1er1zg1p

    @user-xk1er1zg1p

    Жыл бұрын

    @@user-rk8in9uk5k 이제 그게 가능할 시점이 올 겁니다. 그럼 외국어 배울 필요도 없겠죠

  • @user-me5el2pv6y

    @user-me5el2pv6y

    Жыл бұрын

    @@user-rk8in9uk5k 20년이면 그건다해결가능할텐데?

  • @lichtundwasser9044

    @lichtundwasser9044

    4 ай бұрын

    ⁠@@user-xk1er1zg1p 한국에서 살꺼면 영어를 배울필요가 없긴한데 해외취업을 하거나 은퇴후 이민하려면 외국어는 꼭 배워야 합니다. 번역기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 @Luck3906
    @Luck3906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핵심 메시지는 결국, 대대로 잘 사는 집이거나 끝발 있는 인맥이 있는 집안, 쉽게 말해 금수저나 권력가의 집안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청년들은 한국에서 살아봤자 희망이 없다는 이야기임. 즉 현 시대는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없으며, 단순히 사회에 자리잡는 것 만으로는 먹고 살기 힘들다는 이야기. 당장 주변 30대를 둘러보더라도 집 사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일. 30년 전만 하더라도 평범한 일 이었던 이 3가지를 모두 이루는 가정이 있는가 보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임. 영상과 같이 앞으로 학생들을 위한 교육은 축소 될 것이고 노인들을 위한 교육 시장이 커질 것임. 실제 많은 초중고대학 들이 폐교 수순을 밟고 있으며, 사교육을 담당하는 학원들도 학생들의 숫자가 줄어듦에 따라 머지 않아 같은 수순을 밟게 될 것임. 본인이 금수저도 아니고 권력있는 집안도 아니지만 아이가 전교 1등을 할 만큼 머리가 비상하다면 의대를 보내서 의사를 만드는 게 그나마 한국에서 현실적으로 정년 걱정 없이 부를 쌓고 살 수 있는 직업이 될 것임. 앞으로 노인 인구는 계속 늘어날 것 이기에 의료산업은 붕괴 되기가 힘듦. 하지만 이 또한 아이가 진로를 그 쪽으로 정했을 때나 가능한 이야기기에 이것을 제외하 시켰을 때 결국 여유가 된다면 어렸을 때 부터 외국에 보내 견문을 넓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제일임. 그것마저 어렵다면 아이에게 다양한 경험을 시켜줘서 최대한 아이가 재능 있는 분야, 혹은 흥미를 느끼는 분야를 일찍이 찾아주는 것임. 그렇게 해서 아이가 하고자 하는 일에 확신이 생기면 비용적 지원을 해주면 되는 것이고 그게 어렵다면 전폭적인 지지와 믿음을 주면 됨. 흙수저 집안에 아이가 성공해서 먹여살려주길 바란다면 정말 말도 안 되는 욕심이란 것을 알아야 함. 현재 대한민국 사회는 청년들이 그저 저기 앞가리만 잘 해도 대견한 상황이 됐음. 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은 본인들 세대가 겪었던 노력만 하면 먹고 살고 성공할 수 있던 황금기 세대의 상황을 투영시키는 일이 아니라, 현재 상황에 맞는 솔루션들을 같이 고민해보고 현실적인 방안들을 제시해주는 일임

  • @Niklas_Jung

    @Niklas_Jung

    4 ай бұрын

    어림도 없지 의대 개같이 2천명 증원 지금 의사가 11만인데 곧 20년마다 11만명 탄생

  • @callakrsos
    @callakrsos4 ай бұрын

    도망가라는말은 교수가 아닌 사람 누구나 하겠다 문제가 있다면 바꿀수 있는 위인은 없는것인가

  • @AA-kn2of
    @AA-kn2of5 ай бұрын

    이거 19년인가 20년인가 그때 영상이네. 지금도 변함없이 맞는 말

  • @Hahdjxxsd33
    @Hahdjxxsd33 Жыл бұрын

    현재 고2이고 진로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닙니다. 주변 친구들은 무조건 스카이를 부르고, 부모님들도 명문대 가면 좋다 하시고, 대치동에서 치열하게 입시 공부하는 친구들 사이에서 정작 이런 현실은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통찰력이 대단하신 거 같아요. 대학보다는 제가 정말 하고 싶은 게 뭔지, 그리고 창의적이고 천재적인 저만의 역량을 찾아보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artorwhat

    @artorwhat

    Жыл бұрын

    이민이 용이한 진로를 택하세요

  • @user-yc2qu6ey6u

    @user-yc2qu6ey6u

    Жыл бұрын

    우선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과 그에 맞는 학과를 고민해보세요. 주변에 대학간판만 보고 이상한 학과 선택해서 후회하거나 남들이 취업잘된다고 전화기같은 학과갔다가 적성안맞아서 결국 다른일하는 사람많습니다..

  • @user-bw5cv8zc6w

    @user-bw5cv8zc6w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교육체제는 노예교육임 ㅋㅋ 입시학원도 노예교육이라는 특성에서 생겨난 사업체일 뿐이고.. 자기일을 하면서 돈을 벌거냐 남의 일을 하면서 돈을 벌거냐의 싸움임

  • @yeminho

    @yeminho

    Жыл бұрын

    가보지 않은길을 이야기 하시는 분들보단 큰일뿐 아니라 사소한 성공이라도 이루신 형,누나 선배들이나 인생 선배들의 조언을 들어보는것도 좋을거 같아요. 지금은 공부밖에 없긴하시겠지만 자기자신에 대해서도 잘생각해보고 좋은길로 가셨으면 좋겠어요

  • @parkbumman

    @parkbumman

    Жыл бұрын

    에이트 (이지성) 읽어보세요

  • @Jerry-eb2ul
    @Jerry-eb2ul Жыл бұрын

    안타깝지만 정말 공감이 많이 됩니다.. 고령화가 벌써 심각한데 지금 청년들은 이 빡신 세상에서 자식 낳을 엄두도 못내고 벌써 힘들어해요 이미 기득권층이 너무 두터워졌고, 능력이나 스펙도 비슷비슷하고 인맥이 아주 중요해진 사회다보니 출발이 힘든건 당연하죠 앞으로 이 청년들이 나이들면 은퇴 시기도 뒤로 늘어날것같아요 의료기술이 더 발전해서 신체는 건강해지고, 세금 때문에 노인이 되어서도 일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 @user-vl8tz2gl4u
    @user-vl8tz2gl4u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만 이러는건가요? 우리나라만큼 입시제도 빡쎈 중국 일본도 그러나요..? 영상속에선 30년 동안 고속 성장한 점을 주요 원인으로 말하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중국 일본은 왜 입시제도가 그렇게 빡쎌까요? 한국만큼은 아닌가요..? 미국은 안그러나요? 정말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답 부탁드려요.

  • @abc-dg7wb

    @abc-dg7wb

    3 ай бұрын

    중국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더 빡세구요 미국도 명문대 경쟁은 상류층에서 치열해요. 학벌이 좋으면 무조건 플러스기 때문입니다. 님도 서울대 나온 사람 보면 우와~ 할거잖아요. 어디나 똑같은 거예요. 외국 나가서 살아도 별거 없어요. 마음 편하게 적당히 살려면 외국이 좋을지 모르겠지만 어디서나 '성공'하려면 치열하게 노력해야 합니다. 다만 한국인이 외국 나가서 성공하기 힘듭니다. 비상한 머리나 돈 대줄 집안이 없는 한 무턱대고 나가봤자 기대와 다릅니다... 아프리카에 가도 아프리카를 잘 알아야 성공하지요!!! 본인이 뭘 할 수 있는지 성찰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 @mincheoloh7992
    @mincheoloh79924 ай бұрын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이라는 좁은 세상을 통해서 경제적인 자유를 얻고 명성도 함께 얻은 유명인사께서 너무나 솔직한 미래에 대한 사견을 확실하게 밝힌 강의가 있었군요. 시간이 많이 지나서 보게되고 평소에 본인의 생각과도 많이 일치하는 강의를 보고 나니 댓글이라도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의 세상은 기존 기성세대들이 살아오면서 만들어 놓은 세상이고 많은 문제들이 남아 있는 상황인것은 부정할수 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젊은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기존 기성세대들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나아가서는 안될것입니다. 걱정스런 눈으로 젊은 세대들을 항상 보게 되지만 그들에게도 그들만의 세상을 새롭게 만들어나가야하는 의무와 자유가 있다는것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 @airsun6198

    @airsun6198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 @johnkim8554
    @johnkim8554 Жыл бұрын

    해외로 나온지도 24년이 되었습니다. 선생님 말씀에 많은 공감을 느낌니다. 치열하게 경쟁해도 가능성이 희박한 대한민국을 나와 다른 세산으로 나와 보시면 그동안 못 보았던 세상에대 한 새로운 경험을 하게됩니다. 그리고 중요한것은 열린 가능성이란것입니다. 기회가되면 나오세요. 기회를 만들어서 나오세요.. 좁디좁은 땅에서 5천만이 살아가는 대한민국입니다.

  • @user-tu3nd8qk2k

    @user-tu3nd8qk2k

    Жыл бұрын

    어디 해외로 가셨나요? ㅜ

  • @henrysmother

    @henrysmother

    Жыл бұрын

    저도 아이를 생각해서 해외 이민왔습니다. 부디 좋은 선택이었기를 바라며,

  • @supremesutra1254

    @supremesutra1254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육제도부터 답이 없다고 생각했고 초등학교 때부터 나가고 싶었는데.. 점점 고착화 되고있네요 무조건 나간다

  • @dpdd5037

    @dpdd5037

    Жыл бұрын

    어떤부분이 새롭나요?? 해외취업 하고 싶은데 궁금하네요

  • @aaa-up9oq

    @aaa-up9oq

    Жыл бұрын

    답변좀 해주세요 어느나라에서 어떤일 하며 살고 계신지요?

  • @user-ew9nt6wn1f
    @user-ew9nt6wn1f5 ай бұрын

    이분의 과거 강의와 현재변화된 세상에 따라 강의를 다르게 하네요. 세상을 크게 보시는 눈은 대단해~

  • @user-xu3lx8lm5l
    @user-xu3lx8lm5l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이 너무 백배네요 만만치 않은 이세상 우리아이가 대한민국이 아닌 좋은곳에서 행복하게 살게 하고 싶네요

  • @happygoo
    @happygoo Жыл бұрын

    21년전에 수강했던 수강생입니다.. 정확한 분석이십니다.. 21년전에 수강생들이 졸면 슬랭(쌍욕)을 쏟아부어주셨을때 그때가 그시절이 차라리 좀 그립기도 하네요 ㅎㅎ전 좀 무서워서 앞쪽말고 뒷쪽에 앉았었는데ㅎㅎ 여튼 시대가 너무 바뀌었어유..

  • @user-of2hn1cj8h

    @user-of2hn1cj8h

    Жыл бұрын

    저는 23년전에 수강했었습니다 그립네요

  • @yy-sb5wi

    @yy-sb5wi

    Жыл бұрын

    저는 38년 전이였는데 당시 생각하면 참 아련하죠..

  • @schk371

    @schk371

    Жыл бұрын

    저는 bc 150년 즐라탄이랑 같이 수강했었는데 그립네요

  • @unka2007
    @unka2007 Жыл бұрын

    사교육 절벽. 실감 하네요.. 저는 지방 소도시가 고향이고 현재 해외 거주중인데 얼마전에 오랜만에 고향을 갔다 왔어요…근데 집 근처에 그 많았던 학원이 없더라고요.. 그리고 오후6시되면 하원 하느하고 학원차가 길거리에 바글거렸는데..그리고 하교 시간에 애들 떠드는 소리가 들렸는데 이제 그런 풍경은 없네요… 졸업한 초등학교도 이제 전교생이 60명뿐이라네요..제가 졸업했던 17년전만 해도 700명이 넘었었는데. 누가 이렇게 변할 거라고 생각했을까요 그 당시에. 뭔가 추억이 깃든 곳이 하나 하나 사라져 가는 걸 보니까, 이제서야 실감이 나는 거 같아요.

  • @askseeknknock

    @askseeknknock

    Жыл бұрын

    와 17년전이면 생각보다 얼마되지도 않았는데 ㅠㅠ 전교생차이가 너무 심하네요 과거 17년보다 앞으로 5년후 10년후가 얼마나 더 급격한 속도로 인구가 붕괴될지 무섭기까지 하네요 한국은 성장동력이 사람밖에 없는 나라인데 ㅠㅠ

  • @unka2007

    @unka2007

    Жыл бұрын

    @@askseeknknock 그쵸 ㅠㅠㅠㅠ 저도 제가 졸업한 초등학교 상황 듣고 너무 깜짝 놀랐어요… 학교 앞 많던 학원,문구점 다 사라졌고… 졸업했던 중학교도 결국엔 통폐합해서 이전한다네요. 제가 다닐 때만 해도 한 학년 10반까지 있었는데.. 너무 허무해요.. 진짜 지방소멸이라는게 얼마 남지 않은 거 같아요…

  • @user-cm9pt2kg9c

    @user-cm9pt2kg9c

    Жыл бұрын

    저도 12년도 졸업이였는데 중학교 전교생 2100명 넘었었는데 요즘은 1000명도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ㄷㄷ

  • @user-zr5nz1gc2q

    @user-zr5nz1gc2q

    4 ай бұрын

    그건 지금 사교육 절벽이 아닌 걍 지방,저출산 문제임 ㅋㅋ 사교육 무너질려면 최소 몇년은 남음 ㅋㅋㅋㅋㅋ

  • @user-gs3fw5xv3f
    @user-gs3fw5xv3f4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성장이 핵심입니다

  • @gimozzi2
    @gimozzi2 Жыл бұрын

    그럼뭐하고살까요 알바나할까요 난진짜모르겠는데 무엇을위해아둥바둥살아야하는지 꿈도없고 하고싶은게없는데 뭐어떻게살아야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 @user-bw2fv2ro4w
    @user-bw2fv2ro4w Жыл бұрын

    외국도 그냥가면 한국에서 사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외국생활도 성격이 맞아야 하고 계획을 가지고 가야죠..계획전에 우선 대학 잘가거나 진로를 가지고 외국으로 가야죠.. 저도 아이들 장기적으로는 외국보낼겁니다. 한국은 중국인들이 장악하겠죠ㅡ..

  • @goodstyle12

    @goodstyle12

    Жыл бұрын

    장악은 개뿔 늙은이 천국에 누가오것냐ㅋㅋ

  • @user-id3pg3je8q

    @user-id3pg3je8q

    Жыл бұрын

    6년전 미 이민 애들은 대1고3 엄청 적응 잘하고 좋은데 갔고 여기서 허드렛일해도 월4백이상 벌어 그것도 좋고

  • @seunghoyang9096

    @seunghoyang9096

    Жыл бұрын

    외국사는사람인데 케바케지만 여기서는 일만하면 그냥저냥 살수있어요 한국은그거도못하지만

  • @user-lr6ly5zf4b

    @user-lr6ly5zf4b

    Жыл бұрын

    한국을 중국인들이 장악하면 오히려 중국어가 더 중요해지지 않을까요?

  • @user-yv3bj4fc6l
    @user-yv3bj4fc6l5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강의네요. 아프리카 등지로 떠나자는 대안은 너무 단무지 스타일이지만, 4차산업 시대에 학력 자격증 스펙 따위가 별 볼일 없다는 말씀에 완전 공감합니다. 놓치고 있는 부분은 '돈이 있어야 잘 먹고 잘 살 수 있다'는 고리타분한 관념에 빠져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점이에요. 실제 먹고 살만할 정도의 삶을 위해 그다지 많은 돈이 필요한 건 아니에요. 간디의 표현처럼 하늘을 날아가는 새들을 보라. 그들은 돈도 필요없고 돈을 굴리는 전략도 필요없이 저대로 잘 산다는 거죠. 사람 중에 예를 들어, 성직자들은 '돈'이 많지 않아도 먹고 살만 하고, '행복'하며 '가치'롭고 '의미'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어떤 교회목사들은 사기를 쳐서라도 돈을 많이 가지기 위해 애쓰다가 감옥에도 가고 그러지만, 기본적으로 훨씬 많은 성직자들은 돈이 많지 않아도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 수 있지요. 지식정보화 시대를 지나 창조문화의 시대가 도래한다고들 하죠. Ai와 로봇 등으로 자동화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좋은 세상에서는 생산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지혜로운 사회시스템만 갖추면 '먹고 사는 걸' 너무 걱정하며 살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요? '돈이 최고'라는 신념에 쩔어, 욕망껏 부귀영화를 추구하기 보다, 더 행복하고 가치롭고 의미있는 삶에 대한 즉 자기실현(self or Self actualization)의 삶에 대한 눈을 뜨게 될 사람들이 점점 많아질 가능성도 높죠. 메슬로의 욕구위계설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기실현' 욕구를 가진 사람들은 최상위로 진화한 그룹이죠. 그런 사람들은 기능적으로 탁월한 능력을 발현하고 살기 때문에 창조문화의 시대에 지향할 만한 인간상이기도 해요. 만일 대한민국 인구5천만명 중에 10%인 500만명 아니 1%인 50만명이라도 자기실현의 삶을 살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들은 아마도 사회 곳곳에서 알게모르게 리더의 기능을 하고 있을 테고, 그러면 대한민국을 넘어 인간사회의 모든 환경이 지금과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변모해 있지 않겠어요?

  • @s.e9231

    @s.e9231

    2 ай бұрын

    아프리카가요 전세계적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분위기인데 늘어나는 유일한 국가라고 들었어요. 그래서 미래엔 전세계 중심축이 미국이 아니라 아프리카가 될거라고..

  • @jaderabbitt
    @jaderabbitt23 күн бұрын

    사교육 천국, 공과 사가 연결 되 있어서 지들끼리 해쳐 먹었는데 교육 정책을 바꿀까? 돈이 슬슬 들어 오는데 ㅋㅋㅋㅋㅋ 국민들이 유튜브를 통해서 그나마 이제서야 계도가 좀 되고 있는거지. 저출산은 대한민국 시스템에서 이미 정해진 결론이었다. 애를 안낳는 청년들 탓하지 마 제발. 니들이 다 만들어 놓은 현실이야. 유튜브,구글 개발한 양형들에게 감사해라. 그나마 깨어나게 해줫으니...

  • @user-ig7ve3gu2g
    @user-ig7ve3gu2g Жыл бұрын

    입시영어가 아닌 글로벌로 뻗어나가는 *비즈니스와 생활 영어 교육의 중요성*

  • @user-qc6qn7mr7i

    @user-qc6qn7mr7i

    Жыл бұрын

    입시 영어만큼 쓸모없는 공부는 없다고 생각함

  • @user-qo3rd8jj1o

    @user-qo3rd8jj1o

    Жыл бұрын

    ​@@user-qc6qn7mr7i 수능 영어가 대학가서 원서 읽을 능력이 되는지 안되는지 보는 거라는데 근데 팩트는 단어 거의 다 까먹고 안 까먹었다 해도 원서에는 생판 모르는 단어가 수두룩해서 단어 뜻 찾는 데에만 시간 버림

  • @sinusrythm751

    @sinusrythm751

    Жыл бұрын

    저의 딸이 영어권 국가에서 태어나서 교육받았는데 한국입시영어 왜 저러냐고 의아해합니다 서울대 나와도 영어못해서 제가 전화로 통역해줬으니 한국 영어교육 심각합니다 . 실력은 너무나 좋은데 생횔영어가 안돼요 . 조금만 문법 틀리면 무안주고 그런 태도는 버려야되요 . 표현 하는게 중요합니다

  • @socalvibe4500

    @socalvibe4500

    Жыл бұрын

    미국12년 한국에서 공부하는 영어는 한국식 영어시험을 위한 공부 노트에 줄 그어가며 달달 외우는 단어 native들이 spoken english에서 쓰지를 않는 단어 있어보일려고 어려운 단어 공부하는 한국인들 허세 막상 native만나면 못 알아듣고 말못하는 한국 영어교육은 한국을 위한 영어 그걸 왜 공부해요? 미국에 오래살면 진짜 textbook에 없는 한국에서 전혀 알수없는 영어를 씁니다 게다가 다 줄이고 slang(욕이 아니고 casual eng)도 엄청 많고 그리고 한국유투브에서 한국인이 가르치는 영어 엉망 최소한 김교포나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사람들이 가르치는 영어가 맞음 한국인들 영어 토종파영어강사 그러는데 언어는 그나라의 문화 역사 심지어 국민성에 굉장히 연결이 많이 되고 시대흐름에 따라 언어도 바뀌기때문에 책상에 앉아 한국에서 나온 영어책보고 그걸 보고 또 한국인들 가르치고 무한반복ㅎ 그리고 영어를 공부할때 한국말로 말을 정한다음에 그걸 영어에서 찾으려고 하는 습관을 버려야해요 딱딱 맞는게 없고 억지로 만들어봐야 native들이 잘 쓰는거라 듣기 어색하고 아 외국인이구나 생각함 그리고 미국인들은 한국인들처럼 발음 문법 어쩌고 지적질을 안함 그나라에 살아봐야 알수있음 아무튼 한국에서 영어공부방식 다 틀림 한국인들 마인드도 고쳐야함 그리고 미국도 9살이후로 한국말이 되는상태서 이민가던 유학가던 하면 그냥 typical korean임 태어나거나 아주 아기때 가야 americanized됨 미국에서 태어난 시기에 따라 교포애들도 어울림 태어난 교포애한테 물어보니까 대화가 안되고 어색하다고함 미국 최소10년넘게 살다와야 미국을 알지 7-8년은 그냥 있다 흘러가는 시간이고 나이들어 미국가봐야 그냥 한국식마인드 한국와서 느낀게 이나라는 문제가 진짜 많고 인간들도 나라도 전체저인 사회분위기 다 희망이 없음 극이기주의에 미개하고 자기밖에 생각안하고 갑질 허세 공기도 안좋고 날씨도 안좋고 진짜 작은나라에서 서울에 사람들 가드 볼것도 없고 사람들이 서로 경계하고 혐오하고 스트레스주고 사는나라 목적과 길은 오직 하나 돈돈돈 강남강남 성공 성형 신분상승 갑질ㅎㅎ 미국살다 한국오니까 이 나라 진짜 심각하구나 이런나라 사니까 정신병자들이 많은거같다 성격장애 분노장애 참 안타까움 그리고 영어책 팔려고 한국인들 병수준의 빨리빨리 결과보려는거 성격 이용 6개월 3개월만에 원어민 되는 영어책 그리고 다 BS임 불가능함

  • @w0ni_

    @w0ni_

    Жыл бұрын

    수능영어잘한다고 논문 잘읽는다고? 어림도 없지 그 전공에 맞는 단어 수백개는 알아야지 읽음

  • @europavita3015
    @europavita3015 Жыл бұрын

    저런 이유로 해외에 9년째 살고있는 한사람 입니다. 학벌 인맥 직업 다 버리고 자신있게 떠나온 해외살이가 가끔 외롭고 힘들어질때면 아~ 내가 맞는 선택을 한걸까…생각되는 날이 있기도 한데요. 오늘 선생님 말씀 듣고보니 제 결정에 조금더 확신이 생기네요. 저희보다 고생할 자식들 위해서 저도 더욱 열심히 살아보려 합니다. 이세상 엄마 아빠분들 모두 힘내세요!!

  • @Kim-ce6lc

    @Kim-ce6lc

    Жыл бұрын

    학벌 인맥 직업 다 버리고 가셨는데 어떤 직업을 가지고 살고 계시나요.. 저는 알만한 대학 인문대나와서 공무원시험 실패 중소기업 전전하고 있는데 그냥 막막합니다 저도 다버리고 어딘가로 가고 싶어서요 어떻게 기반을 다지셨나요...

  • @europavita3015

    @europavita3015

    Жыл бұрын

    @@Kim-ce6lc 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것저것 다 해서 분야가 5개 정도 되네요~ 요즘은 디지털노마드 라는 제도도 있고 해외에서도 수익내는 방법이 제법 많습니다만 모두 쉬운길은 아닌것 같아요. 어느정도 리스크 테이킹은 필요한것 같습니다. 시작이 제일 어려우니까요~ 그래도 요즘은 한류 덕도 많이 보고있는데 시장에 따라 여러 이이템 고민해보시면 길이있지 않을까 싶네요~

  • @junongee

    @junongee

    Жыл бұрын

    성공할 사람은 어딜가나 성공한다

  • @hundoshi7

    @hundoshi7

    Жыл бұрын

    ​@@Kim-ce6lc 한국에서 실패한 사람이 언어도 안통하고 인종차별까지 있는 외국에서 도피성 이민이 성공한다?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돈 있고 스팩 쩌는 사람도 실패 많이 하는게 1세대 이민이에요 요즘은 역이민도 많고, 이민자 한인 자살율도 매우 높습니다

  • @ukimed27

    @ukimed27

    Жыл бұрын

    ​​​​@@Kim-ce6lc 정말 공감이요 저는 22살 4년제이공계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주변에 잘사는 사람들은 그냥 잘 살더라구요 의대나와서 페이닥터만해도 몇천버시면서 ... ㅜㅜㅜㅜ 그냥 의대가 답인가싶구요 그런데 또 컴공나와서 대기업다니면서 몇천버는 분도 보고.. 모르겠네요 정말 뭐가 답인지 이런 영상들보면 희망없다 대한민국을 떠나야한다 근데 떠날 수 있는 여건이 안되서 다시 현실로 돌아와 공부를 하고있다보면 아 그냥 대학 졸업하고 중견기업 취업만 해도 그래도 어느정도 먹고살만한 돈은 벌 수 있을텐데 굳이? 대한민국을 떠야하나? 무슨 방법으로..? 이러다가 과제하고 공부하고 그냥저냥 놀고 먹고 자며 싸며 무한반복입니다

  • @user-ie6im8jw7j
    @user-ie6im8jw7j3 ай бұрын

    세계 10대 경제강국을 만들어놨더니 그 돈들은 다 어디가고 젊은이들은 한국을 뜨던지, 아니면 더 많은 돈을 벌어줄 천재를 만들라고 하는겨? 경제 규모가 커지니 저성장은 당연한 거고 (파이가 커질 수록 성장하는 퍼센테지를 유지하는 게 어려우니), 그럼 지금껏 열심히 키워놓은 과실을 나눠야지 왜 또 각자도생을 시키려고 하는 건지… 기껏 우리 윗세대들이 희생하면서 지금의 한국 경제규모를 키워놨더니 여기저기서 돈 없다고 난리고, 나라를 위해 자기 희생한 세대의 자녀들한테는 한국을 뜨는 게 답이라고 하넼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e6im8jw7j

    @user-ie6im8jw7j

    3 ай бұрын

    현재의 사회 구조와 형태를 유지하는 것만이 답인가? 경제적 빈부의 격차 얘기는 다 어디감?

  • @user-fn1cq9rq5x

    @user-fn1cq9rq5x

    3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복잡합니다.. gdp는 13위로 하락 했더라구요

  • @intp4124
    @intp412411 ай бұрын

    진짜 하나도 틀린 말이 없어서 더 슬프고 미래가 어느정도 정해져 있어서 더 더욱 슬프다.

  • @aaae3iror
    @aaae3iror Жыл бұрын

    근데 아직 아프리카나 동남아 갈정돈 아님. 이 영상은 ai나 기술변곡점이 오고있는 그부분을 아예 생각안하고 말하는 것. 수십년동안 사회생산구조가 정체될거란 가정하에 인구변화만 변인으로 두는 방식으론 미래예측이 힘들고 , 오히려 중대한 과학기술 발전에 의해 달라질 부분을 예측해야함 이민간다고 될일이 아니고 신규 분야에 눈을 돌리는게맞다

  • @jkc9807

    @jkc9807

    Жыл бұрын

    이민은ㄹㅇ돈많고 풍족한사람이가는거지 아무것도없는사람이가면 더한지옥이펼쳐질듯

  • @user-be9lb4ju3z

    @user-be9lb4ju3z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잘나지도 않은 사람이 '평범'하게라도 살수있는게 국민이라서 그렇죠.. 동남아? 아프리카?ㅋㅋ 한국인이라도 우대해줄것같습니까.. 돈없고 빌빌대면 그냥 이도저도 아닌 외국인이죠 차라리 미국가서 기술쟁이로 일시작하는게 현실성있고 괜찮게 살 가능성이 더 높겠네요

  • @HAPPYLOVEFREE

    @HAPPYLOVEFREE

    4 ай бұрын

    😎👍👍👍👏👏👏AI가 바꾸게 될,,, 그 엄청난 파급효과 무섭기도 하고, 기대도 되네요~😁

  • @yineul9579

    @yineul9579

    4 ай бұрын

    맞아요. 거기에다 통일도 된다면. 어떻게 변할지. 외국에 가는것이 진짜 좋아서 길이 있어서 가는건 상관없겠지만 한국이 마음에 안들어서 회피성으로 외국에 간다면 거기서도 이도저도 아닌 마음으로 불안하게 살게 될 거에요. 회피 하게 되면 더 눈덩이가 커져서 자신한테 돌아오는게 세상 이치입니다. 아니라고 난 잘 빠져나온거라고 자기합리화하면서 살 수는 있어도요.

  • @Dani-ng8bk

    @Dani-ng8bk

    4 ай бұрын

    동남아 아프리카 가기 싫어도 동남아, 아프리카인들이 한국을 지배할 것입니다. 지금 20대가 70대 보다 적은거 아시죠? 앞으로 역 피라미드 구조가 될텐데 그때는 정말 곡소리 날겁니다. 지금 한국은 폭풍전야입니다.

  • @LydiaHJR
    @LydiaHJR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사람이네 학원으로 단물 쭙 이젠 유학원으로 다시 쭉

  • @airsun6198

    @airsun6198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omtube-494

    @yomtube-494

    22 күн бұрын

    사교육으로 개판쳐놓은거 일등공신인 개새끼죠 ㅋㅋ

  • @jaewooklee5927
    @jaewooklee59273 ай бұрын

    지금까지의 흐름을 바탕으로 얻으신 생각이다 보니 어찌 보면 단편적이고 미래는 알 수가 없어서... ai 같은 기술이 엄청 발전하다 보면 어떠한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

  • @user-ol5mo8or9g
    @user-ol5mo8or9g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2019년 강의라니... 이분 대단하시네....지금에야 내가 깨달은 걸 이미 알고 계시네..

  • @coinwhere

    @coinwhere

    Жыл бұрын

    2020년 입시 강연이니까 2019년 연말 쯤 되겠네요

  • @N_EWBIE

    @N_EWBIE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요

  • @duhangim

    @duhangim

    Жыл бұрын

    훨씬 더 전에 이런말하고 다니셨음

  • @user-hm8yk5hm6h

    @user-hm8yk5hm6h

    Жыл бұрын

    사교육계 자수성가 대부니까... 예측력으로 큰 부자 되심

  • @Ccaauu

    @Ccaauu

    4 ай бұрын

    팩트) 손주은이 말하는 성공은 아무것도 없는 수준에서 검사 정치인 기업경영가 정도 수준의 큰 성공을 얘기하는거임 그 이외의 어느정도 중산층 진입은 대학 가야 훨씬 유리한거 맞음 즉, 학벌 중요함

  • @user-do8ce4qe1z
    @user-do8ce4qe1z5 ай бұрын

    의미없음 인간이 생산활동 임무를 수행할 시간도 얼마 안남은거 가튼대... 소비만 하다 결국 사라지던가 다른 진화를 하던가 하것지

  • @isabela9369
    @isabela93695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이예요 초노령화에 이료혜택이 즣다보니 세계 나가있던 노인교민들이 한국으로 들어와서 젊은사람 부담이 더 커졌어요

  • @ttju2926
    @ttju2926 Жыл бұрын

    이분 말에 공감됨. BTS나 우리 아이돌이 해외 활동에 집중하는 이유중 하나가 이제 아이돌이 나와도 어필할 청소년들이 예전만큼이 아니라도 이쪽 업계분이 인터뷰 하는것을 봄. 이제 대한민국은 진짜 수출형나라가 되야함. 아니면 통일이 되는 방법 밖에 없음... 희망이 없는 나라임.... 북한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한 방법은...출산 안하면 당원증 뺏었다함

  • @user-ki3be2jg6s

    @user-ki3be2jg6s

    Жыл бұрын

    미안한데 대한민국은 원래부터 수출형 나라였는데?

  • @sjm9909

    @sjm9909

    Жыл бұрын

    북한이 고령화가 우리보다 더심한데 뭔... 통일하면 걍 폭탄 떠안는 거임

  • @1004monge

    @1004monge

    Жыл бұрын

    북한이랑 통일ㅇㅈㄹㅋㅋㅋㄱ통일되면 니 가족 최소 20년동안 거지로 살아야돼

  • @user-pi3sw2rx8k

    @user-pi3sw2rx8k

    Жыл бұрын

    북한 출산율 1대임

  • @user-yw6er3gq1e

    @user-yw6er3gq1e

    Жыл бұрын

    @@user-ki3be2jg6s 님 말도 맞고 저 댓글 말도 맞음 팩트라는게 흑백으로 나눠지는게 아니예요

  • @user-pj1ef6jm4k
    @user-pj1ef6jm4k Жыл бұрын

    손주은이 십몇년전에도 이런내용으로 강의한적있는거 본거같음. 교사인데 진지하게 진로 상담하는 제자들에게는 해외에 기반을 만들 준비를 하라고 이야기한지 10년이 되었으니. 유학이런게 아니고 본인이 거부감이 없다면 해외에 언제라도 나갈 준비을 하리고 지도했음. 왜냐하면 나도 그럴 생각이라서. 그런데 그당시에 생각보다 현실이 너무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2025부터는 안전벨트 단단히 잡으십시오

  • @user-oy6ru8po3m

    @user-oy6ru8po3m

    Жыл бұрын

    공립 정규 교사임 ?

  • @THEHORSFIELDII
    @THEHORSFIELDII22 күн бұрын

    답이야 있지 떠받칠 젊은이들이 없으면 60세 은퇴자들 다시 직장 복귀시키고 80세 이후로 은퇴시키면 되지. 어쩔 수 없어. 노친네들이 부동산 거품을 만들었든 방치했든 결국 당신네들이 만들었으니 당신네들이 처리해야지. 이게 답이지만 노인들은 절대로 찬성안할거고 젊은이들은 아무 것도 안하고 ㅈ같은 세상이다라고 욕만하고 똥치우겠지. 그래 이런 상황이면 떠나는게 답이기도 해. 근데 역사를 보자고 12.12 군사반란을 봐봐. 무능하고 부패하고 소수이지만 단결한 반란군이, 유능하고 청렴하지만 분열되고 겁 많은 다수의 정부군을 이길 수 있어. 인간이 의지를 갖고 뭉쳐야만 뭔가를 이루는거야. 하지만 현 2030은 아무 것도 없지. 그저 게임과 술, 정치욕만 하지 뭉쳐서 정치의 변화를 줄 생각이 없어. 이런 2030과 12.12의 정부군이 뭐가 달라? 2030이 뭉치면 부동산 문제 해결 못할거 같아? 할 수 있어. 단지 너네들은 그 과정이 싫은거지.

  • @JinnYoungKim

    @JinnYoungKim

    22 күн бұрын

    비슷하게 말한 자들이 있던데.. 에혀 수단처럼 내전이라도 일어나야하나요

  • @sinwoop4098
    @sinwoop40984 ай бұрын

    오.. 저도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있었는데 명쾌하게 해설하시네요

  • @user-pr4rd1bf3l
    @user-pr4rd1bf3l Жыл бұрын

    지금 20대 중후반인데 어릴적 그렇게 공부시키고 학원보내고 집에 밤 9시넘게 도착해도 게임 1시간도 못하게 하면서 하는도중에 그게임조금 하는것 조차도 옆에서 잔소리 계속 하시던 부모님 평생 원망스럽게 느껴짐 그때 우울증도 생겼고 그시절만 생각하면 아직도 뭘해도 우울하고 나쁜생각만하게됨 결국 대학도 나오고 취업도 해서 회사일 해봤는데 돌아오는건 평생 쥐꼬리 만한월급에 간부급 승진은 절대 불가능한 구조. 나는 받을 수없는 국민연금 세금까지 내야함

  • @user-ys2vw1iu7b

    @user-ys2vw1iu7b

    4 ай бұрын

    omg

  • @rachel_l7246

    @rachel_l7246

    4 ай бұрын

    부모 원망 사회탓 그런 사람은 평생 쥐꼬리

  • @ray_1301

    @ray_1301

    10 күн бұрын

    그정도도 안했으면 지금 회사도 못가지 않았을까요? 부모는 이런 마음으로 공부시키는듯요ㅜ

  • @Goyptre
    @Goyptre Жыл бұрын

    회계사.세무사등 이런전문직들도 300만원도 못버는 곳들 널렸다.. 길가다보면 눈에띄는게 세무사들... 내가 아는세무사 인서울나와서 개업했는데 직원들 월급주고 세주고하니 남는건 300도 안되...이건뭐 어디 편의점서 일하는게 신경안쓰고 편한거라 투덜거리더니 요즘엔 직원들 다 내보내고 가족과 지인3명과 단촐하게 운영해서 간신히 4~500은 가져간다고함...약사들도 동네약사들은 경쟁에치여 답안나오는구조.. 수익내려면 병원근처로 가야하는데 문제는 처방전받으려면 상납해야하는구조라 벌어도 나가는게 많은구조..

  • @user-ew5xm6kz7c
    @user-ew5xm6kz7c Жыл бұрын

    좀 더 창의적이고 앞으로의 미래를 위한 방법을 계획해야겠군요. 세분화된 모든 관념과 자기자랑이 아닌 동시 다발적으로 여러가지의 생각으로 모든 문제를 한순간에 해결하는 역량을 키워야 겠습니다. mz 세대로써 발빠르게 문제의 근원을 해결해야겠군요.

  • @user-RINACHICHII
    @user-RINACHICHII5 ай бұрын

    저런 교육자는 이 세상에도 없다. 진짜 저 강의는 천 만원 주고 들어야 할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다니. 멋집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사기공화국에서 유일하게 진실을 말해주신분

  • @iamtrustyou

    @iamtrustyou

    5 ай бұрын

    하지만 지금의 교육을 만드신분....

  • @JinnYoungKim

    @JinnYoungKim

    5 ай бұрын

    @@iamtrustyou 솔직히 저 원장님이 좀 뒤늦게 말한게 야속하지만 저분 한분만이 그러셨겠어요? 지금까지 명문대 가야성공한다는 한국 분위기는 부모세대부터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한국 입시는 이제 의대고시로 변질됬습니다

  • @user-lm8nx8gu9v

    @user-lm8nx8gu9v

    5 ай бұрын

    @@iamtrustyou 그때는 시대의 상황이 그랬으니까, 그것이 정답이었으니까. 패러다임이 노동집약적이고, 산업화를 꽃피울수 있는 정점의 시발점이 대학교육이었으니까. 당신이 만들었으면서 왜 지금은 다른소리 하냐? 이렇게 보면 안됨. 현상을 보고 팩트체크를 해주는것인데 그걸 잘 받아들여야함.

  • @user-rs4bx7qd1i

    @user-rs4bx7qd1i

    3 ай бұрын

    ⁠@@iamtrustyou그때 손주은회장이 미쳐있었죠… 농담이아니라 자식 두 명을 잃고 삶을 부여잡기 위해 교육업에 미친놈처럼 몰입한 결과가 메가스터디이니까요

  • @user-nd1kg9hz8b
    @user-nd1kg9hz8b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세계 인구수 들었을때 흘려들었는데. 이렇게 중요하다는걸 생업에 뛰어들어보니 확 와닿네요.

  • @woojooseo7249
    @woojooseo7249 Жыл бұрын

    공부 잘 해서 대단히 성공하는 시대는 지난건 맞는데 그 300만원이 소중한거다... 단 자산 형성 같은건 힘들겠지. 자산은 특수한 시대를 살아 온 부모한테 물려받는거고. 300만원 벌어서 자기 생활하고 여행다니고 하는거다. 이미 미국 유럽 다 그렇게 하고 있다. 없는 집 애들은 월세내며 사는거고... 한국은 개나소나 강남 한강변 아파트에 벤츠비엠 끌며 호텔에서 밥먹고 골프치는게 꿈이고 목표니까 돈이 없네 헬조선이네 하는거지. 사고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될 부분이고 이미 대한민국은 선진국이라 개도국 시절 고성장 재미는 이제 없다. 신분 상승보다는 전반적인 인프라 수준 올리고 집값이 안정되어야 하고 사람들 마인드는 미국유럽식 사고 방식으로 전환해야 함.

  • @user_5435

    @user_5435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점점 천민자본주의 극에 달하고 있음 나라가 좁고 경쟁은 심하고 보이는 건 학벌이나 이런 것 뿐이니…이미 한국은 회사 노예면서 막연하게 다들 기업가 마인드로 가득찼기 때문에 답이 없음 교육개혁을 해야 함 미래 세대가 생산적이고 희망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산진국된지 오래 됬는데도 아직도 고성장만 부르짖으니 전반적인 사회 인프라 복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함 우리나라 교육만 아니었으면 부동산도 이 정도로 너덜너덜한 상태는 아닐거임 내 자식 학군 이런거네 다들 혈안 되어 있으니까

  • @user-us4qn8my3s
    @user-us4qn8my3s3 ай бұрын

    일론머스크도 똑같은 말을 했던데 신기하네요. 고맙습니다❤

  • @sbs3084
    @sbs3084 Жыл бұрын

    머 자기들 세대가 그렇게 만들어 놓고… ㅋ 한국은 보면 어려운 시대 노력 해서 만들어 놓은건 좋은데. 그 세대들 한태 궁금 한게 그렇게 열심히 살았는데 그렇게 해서 만든 세상을 누구 한테 줄려고 그렇게 산거임? 그냥 자기들 세대만 잘 먹고 잘 살려고? 결국 다음 세대 다다음 세대에게 좋은 사회, 나라를 만들어 주기 위해서 아님? 근데 지금 보면 그게 아니였던거 같음.

  • @user-gw6bn6qz1i

    @user-gw6bn6qz1i

    Жыл бұрын

    그냥 닭장이랑 똑같지 닭 키워 놓으면 그것들도 그냥 알 낳고 살잖아

  • @dddddddddddd.
    @dddddddddddd. Жыл бұрын

    꼭 의대만이 길이 아님 다른 전문직도 괜찮음. 회계사나 변리사 감평사는 세계적 표준을 공부하는거라 해외에서도 써먹을 수 있음. 전문 자격증이랑 영어만 좀 한다면 이민 가기 충분함.

  • @user-mi2gk6jp5y

    @user-mi2gk6jp5y

    Жыл бұрын

    감평사가요??

  • @saintjun7451

    @saintjun7451

    Жыл бұрын

    그 표준 검토가 앞으로 챗gpt로 대체될 가능성히 상당해서 결론은 지식과 기술의 종합체인 의대에 비할바가 못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선진국 법무법인에서 ai회사랑 협업한다고...

  •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Жыл бұрын

    의학서적도 세계적 표준을 공부하는거라 영어만 좀 한다면 의사 간호사도 이민 가기 충분함

  • @dddddddddddd.

    @dddddddddddd.

    Жыл бұрын

    @@user-mi2gk6jp5y 대신 영국령 국가에 한함.

  • @Qazxasd

    @Qazxasd

    Жыл бұрын

    살다살다 처음들어보네 회계사는 그럴수있어도 ㅋㅋ

  • @ThinkWithSteven
    @ThinkWithSteven Жыл бұрын

    손주은 회장님이 이 이야기를 오래 전부터 해왔고 지난 해 부터는 실제로 인구 감소가 시작되었죠. 우울하지만 피할 수 없는 미래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 @user-ip3us1tq4s

    @user-ip3us1tq4s

    Жыл бұрын

    인구 감소는 저 인간 말고도 2000년대 초반 우유 빨면서 사회과부도만 보던 초등학생도 아는 얘기인데 무슨ㅋㅋㅋㅋ 오래 전부터 대두되어왔던 이야기인데 마치 손주은이 모든걸 예측한 것 처럼 이야기하는 것도 개웃기네 ㅋㅋㅋㅋㅋ

  • @JinnYoungKim

    @JinnYoungKim

    4 ай бұрын

    @@user-ip3us1tq4s 그래서 저출산 예산다썼잖아 정부라는 인간이 그따구로 얘기하냐

  • @Nwordnworx12428

    @Nwordnworx12428

    4 ай бұрын

    @@JinnYoungKim프로필이 말해주잖아요 이해해주죠 ㅋㅋㅋㅋㅋ

  • @cm-nt6rp
    @cm-nt6rp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에서 도망가겠습니다

  • @user-yv7tz6sr8z

    @user-yv7tz6sr8z

    5 ай бұрын

    굿 ㄹㅇ

  • @Ccaauu

    @Ccaauu

    4 ай бұрын

    팩트) 손주은이 말하는 성공은 아무것도 없는 수준에서 검사 정치인 기업경영가 정도 수준의 큰 성공을 얘기하는거임 그 이외의 어느정도 중산층 진입은 대학 가야 훨씬 유리한거 맞음 즉, 학벌 중요함

  • @user-pn3it6gl1q

    @user-pn3it6gl1q

    4 ай бұрын

    ​@@Ccaauu 학벌과 학력 구분은 하십니까? ㅋㅋ

  • @user-nq3fd5fq7d

    @user-nq3fd5fq7d

    3 ай бұрын

    중산층은 더 도망가야하는거 아님?

  • @KWKO1234

    @KWKO1234

    3 ай бұрын

    @@user-nq3fd5fq7d 중산층은 못사는게 아님

  • @Ccaauu
    @Ccaauu4 ай бұрын

    팩트) 손주은이 말하는 성공은 아무것도 없는 수준에서 검사 정치인 기업경영가 정도 수준의 큰 성공을 얘기하는거임 그 이외의 어느정도 중산층 진입은 대학 가야 훨씬 유리한거 맞음 학벌 중요한거 맞음

  • @neo9286
    @neo9286 Жыл бұрын

    부모에게 도움 받고 있는 새로운 세대가 기성세대에 대해 분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 다만 기성세대들이 적당히를 모르고 너무 많은 국가 잠재력을 빨아먹은건 사실. 부동산만 봐도 공터가 있고 공지가 있어야 다음 세대들이 개발하고 이용하는데 온 나라가 적당히를 모르고 건물 다 세움.

  • @B.O.P.E-3234

    @B.O.P.E-3234

    Жыл бұрын

    그건 맞음 지방에도 수도권 저리가라 할 정도로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임 인구도 별로 없는데도

  • @kK-pd8vl

    @kK-pd8vl

    Жыл бұрын

    근데 인간이 이익을 추구하고싶은 욕구는 끝이없어서 그건 법으로 규정했어야하는거지.. 사람을 탓할건아님

  • @timetogo1980

    @timetogo1980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아... 미국을 포함한 어느 나라든 부동산은 경제를 살리는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이야... 당장 올해 안에 리셉션이 온다면, 정부는 부동산 부양 정책을 펼 것이다.

  • @neo9286

    @neo9286

    Жыл бұрын

    @@timetogo1980 적당히 해먹었야 된다 했지 하지 말라고 한 적 없음. 개개인의 이기심일 뿐 국가경제 생각해서 개발했나?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세계 최저 출산율을 매달 갱신 하면서도 아무것도 안바뀌는 현실이 답답하네요..!!!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user-rk8jg4ux9l
    @user-rk8jg4ux9l Жыл бұрын

    다들 각자의 견해가 있겠지만 대한민국은 일관된 비젼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 사회를 볼수있는 힘을 길러야한다 물론.. 기성세대들 때문에 힘들겠지만 한동안은

  • @kimdoojeen
    @kimdoojeen7 ай бұрын

    이거 레알이다 청년들 한국떠나서 삶을 꾸려야한다.......

  • @user-pd8ee6qh2v
    @user-pd8ee6qh2v5 ай бұрын

    와 이분이 한글자한글자 가슴에새겨진다. 100% 공감합니다. 사교육 30년만지나도 의미없습니다.

  • @user-ye1rc8do7f
    @user-ye1rc8do7f Жыл бұрын

    진짜 손주은회장님 강의를보면 경탄을 금치않을수없습니다. 본인이 사교육의대장이지만 정확하고 솔직하게 현실을분석하고 풀어내는 통찰력에 진정한 리스펙과 남다름을 느낍니다. 대한민국1등은 괜히된게 아니네요.. 앞으로도 영원히 강의만들어주세요 회장님♡♡

  • @coinwhere

    @coinwhere

    Жыл бұрын

    그런데 해외 나가는 게 답이라는 말은 좀 아닙니다. 한국이 아무리 잘나가도 외국나가면 한국은 그냥 유색인종 외노자입니다.

  • @goal1year

    @goal1year

    Жыл бұрын

    비제

  • @user-qv9gy9bn7w

    @user-qv9gy9bn7w

    Жыл бұрын

    옹 저랑 닉네임이 같으심♡

  • @vjww8002

    @vjww8002

    Жыл бұрын

    (반전주의) 이 영상 일본유학 입시설명회에서 일본으로 대학 가는 게 낫다가 결론이에요.. 그리고 조카도 수습기간 6개월 300 받았다는 거고 이후 젊은 나이에 연봉 1억 넘는 변호사라고 다른 방송에서 자랑질함.. 예체능 계속 했으면 박사 끝나도 월300 비정규직 구하기도 어렵습니다. 저런 사탕발림에 속지 말고 공부 열심히 해서 의대,로스쿨 가세요. 물론 대부분 갈 능력 안 되니까 요런 거 보면서 위안이나 삼는 거져 뭐😅 그걸 이용하는 장사꾼이 손사탐이고 ㅋㅋ

  • @user-qj2ye3sw1p

    @user-qj2ye3sw1p

    Жыл бұрын

    15년전부터 명문대안가면 병신취급당한다고하던게 손주은임

  • @TV-zy8io
    @TV-zy8io Жыл бұрын

    자녀의 꿈과 생각이 가장 중요함. 아프리카 가서 성공한다고 반드시 행복해진다는 보장이 있나요? 성공했다고 알아 줄 친구나 친척도 없는곳에서 ? 단지 돈을 버는게 성공은 아닐겁니다.세상을 열린눈으로 보라고 알려 주는 것은 좋은데 .절대 부모의 생각대로 이끌지 마시고 자녀가 꿈을 빨리 찾고 하고 싶은 일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3 ай бұрын

    여기서 욕을 하는 사람: 탈출능력이 없는 사람 준비하는 사람: 현명한 사람

  • @usersuperdopa
    @usersuperdopa Жыл бұрын

    정말 이게 현실적인 사람이지.

  • @user-rq4di6zx7z
    @user-rq4di6zx7z Жыл бұрын

    우리사회가 외면하려는 진실을 꿰뚫어버리는 명강의..

  • @Bdkshinsia
    @Bdkshinsia Жыл бұрын

    마이스터고를 졸업한 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바로 기술(기능) 쪽으로 뛰어들어 전기쟁이 밥벌이 4년차인 25살 청년입니다. 영상에서 다뤄주신 내용처럼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는 걸 피부로 느끼는 요즘입니다. 아무래도 뉴스나 시사 등에서도 자주 다루는 이야기라는 건, 그만큼 심각한 문제니까요. 영상의 내용처럼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문제로 인해 생기는 일들이 다른 모양새나 비슷한 모양새의 문제로 일파만파 일어날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더 확고해졌습니다. 저도 이러한 문제로 진로고민을 많이 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제 주위 대부분 친구들은 대학에 진학 했거든요,대학에 간 이유를 물어보면 대부분 취업이 목적이거나, 대학에 가야할것만 같은 느낌이 들어서가 보편적인 이유였습니다. 저도 저런 비슷한 이유로 부모님께 대학에 진학한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당시에 부모님이 하신 말씀이 “굳이 너까지 남들이 정형화 시켜놓은 길을 갈 필요가 없다“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습니다(두분 다 현직 공무원이십니다) 그래서 이때부터 은연중에 생각했던게 인생은 길고 시간은 한정적이고 내 가치(기술력)를(을) 키우는게 내 인생의 연장선이다 라는 마인드셋을 많이 했었던 것 같습니다… 대신 이 기술력을 키우기 위해서 단지 일만 하는걸로 그치지 않아야 하는 것도 명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상 그대로 아예 해외로 나가는 방법도 고려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포기할게 많아지고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으니 진지하게 고민을 거듭해서 결정해야 할 사안인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기술자들이 대우받는 나라에서 일하는게 아무래도 좋으니까요.. 좋은 영상 및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 @user-ix9kn8yf1q

    @user-ix9kn8yf1q

    Жыл бұрын

    현명하신 부모님을 두고 계시군요. 좋은 대학 나와봐야 소용없습니다. 결국 40~50대에 정리해고 됩니다. 일찍 돈벌어서 자기 자본 마련해서 자기 기술 기반 사업체 가지는게 제일 낫습니다. 그 사업체를 호주, 캐나다, 미국에서 추구 하시면 더욱 금상첨화구요.

  • @jakeb1381

    @jakeb1381

    Жыл бұрын

    한살이라도 어릴때 해외로 가세요. 전기쪽이면 호주나 캐나다 가서 자리잡으면 일은 훨씬 편하게 하면서 돈은 두배이상 벌수 있어요.

  • @user-ry4wk9on2p

    @user-ry4wk9on2p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25살인데 벌써부터 자기 기술이 있다는게 부럽네요ㅜ

  • @alxososnddux

    @alxososnddux

    Жыл бұрын

    저는 고등학생인데요..저도 그런 쪽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변에서 하는 조언이 일찍 일을 시작하면 경험이 제한되니 사고가 닫힌다고.. 말씀하신 것처럼 일 말고는 어떤 것들을 또 해야 할까요? 포기해야 하는 부분은 아마 서류로 사람을 보는 기관들을 말씀 하시는 것 같구요.. 신경 쓸 부분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jhcas7410

    @jhcas7410

    Жыл бұрын

    @@jakeb1381 생활비 두배

  • @somikim2650
    @somikim26505 ай бұрын

    저는 그래서 지금당장 힘들어도 미국으로 혈혈단신 와서 살고 잇습니다. 지금당장은 편한 한국생활이 그립지만 미래가 안보여요.한국은….슬프지만..

  • @pedric09

    @pedric09

    Ай бұрын

    근데 미국은 미래가 보이시나요? 미국도 진짜 일반서민은 사는게 답이 없어보이던데.

  • @somikim2650

    @somikim2650

    Ай бұрын

    @@pedric09 자원과 산업이 발전해잇어서 서민들 삶은 팍팍해도 좀만 노력하거나 좀만 부지런하면 먹고살고 노후준비는 가능해보여요. 좀 특출나면 돈 많이 벌기도 하구요. 한국에서처럼 살면 여기선 성공가능..

  • @JinnYoungKim

    @JinnYoungKim

    Ай бұрын

    @@pedric09 아니 누가 전문직인거 모르냐? 과학자들이 왜 미국으로 가는줄 알어? 치안이 쓰레기라도 이공계 잘밀어주거든

  • @yomtube-494

    @yomtube-494

    22 күн бұрын

    어떻게 구직해서 나가셨나요? 저도 중화권 영미권 12년살고 대학까지 졸업해서 한국왓는데 다시나갈까고민중... 뭐 여기서도 현대 전기차 계열에서 일하고있긴합니다만 저 먹고사는건 어렵지않은데 이후 육아에서 스트레스 받기가싫어서 미리 환경을 옮길까싶기도해요

  • @a01046596920
    @a010465969205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대한민국 앞으로 30년간 저성장 국면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ililililllilllilliiiiililiiil
    @ililililllilllilliiiiililiiil4 ай бұрын

    이미 돈 있는 집 자식들 전부 해외임. 애매하게 강남에 30억짜리 집 하나(거의 전재산)있는 미친듯한 노동자 계층 사람들(최상위 혹은 졸부)이 자식들 들들 볶아서 의대라도 보내려고 함. 망한 나라의 의사 잘산다는 얘기 들어본적 있음? 없지? 다 멍청한 생각이지.

  • @what9264
    @what9264 Жыл бұрын

    뭐 외국가면 뭐 나아질거라 가이드하는것도 잘못된 생각임. 외국에 가면 주류가 아냐 그거 감안하고 가야해 국제학교를 나와도 외국인은 외국인이야 거기서

  •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Жыл бұрын

    한국인도 한국에서 주류가 아닌데 어쩔 인구 평균연령이 58세ㅋㅋ 30세가 비주류면 차라리 평균연령 30세에 인종적 소수로 남는게 나을듯ㅋ 다른인종 젊은애들은 말이 통하는데 같은인종 노인들은 말이 안통하거든ㅋ

  • @what9264

    @what9264

    Жыл бұрын

    @@user-xw4qm5dc1k 완전 찌질한 생각인데 그 생각으로 외국가서 사는게 낫다니ㅋ 해외살이 안한거 딱 티나네.

  • @LesserPanda7

    @LesserPanda7

    Жыл бұрын

    외국도 유토피아는 아니지만 대한민국 안에만 갇혀있을 상황을 만들지않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그래서 적어도 다른 나라에서도 먹고 살 수 있을만큼의 수준으로 언어를 배워두는게 중요하다고 봄

  •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Жыл бұрын

    @@what9264 한국에 성별갈등 세대갈등 지역갈등이 없다고 믿는듯ㄷㄷㄷ 혹시 조선족? 한국살이 경험 없는거 인증ㄷㄷ

  • @what9264

    @what9264

    Жыл бұрын

    @@user-xw4qm5dc1k 그래 넌 답이 없네 나가봐. 비주류의 삶을 즐기길 바란다~

  • @lostbutter001
    @lostbutter001 Жыл бұрын

    어린애들이 앞으로 무슨일을 해야할지 경험할수있게 하는게 중요하다고봅니다. 앉아서 국영수 공부만 쳐하다가 사회나와서 다시 목적없는 자격증공부해야되고 그거가지고 일하다가 안맞아서 다른거 배우다가 현타오고.. 애초부터 이 아이가 어느쪽에 적합한지 길을 제시해주고 그에 맞는 선행교육을 했으면 특정직업에 포화상태가 오지는 않았겠죠.

  • @user-jg6gu7vt4b
    @user-jg6gu7vt4b4 ай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나는 한국이 담을 인재가 아냐!'이런 생각하는 사람 없죠?손주은은 해외 취업을 한번도 해본 적이 없고 한국에서 엘리트의 삶만 살았으니 본인의 능력과 경험을 기준으로만 생각할 수 있고 그렇기에 해외가 괜찮다고 판단하는 겁니다..대부분의 한국인은 해외에 나가봤자 한국보다 못한 취급 받을 거라 확신합니다ㅋㅋ연구직,전문직 아닌 이상 그냥 한국에 계세요..

  • @JinnYoungKim

    @JinnYoungKim

    4 ай бұрын

    근데 여기도 걍 고졸하고도 할 수 있는거 해야죠. 한국 교육은 대실패

  • @user-wn9ui2db3f
    @user-wn9ui2db3f5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초등학교부터 서울대 졸업까지 모든 시험이 얼마나 자신의 생각 을 배제하고 선생님 교수님 말씀을 잘 암기했느냐다. 창의성, 천재 이쪽은 답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나머지 하나는 한국을 떠나는것 밖에 안남았다.

  • @user-zj5vz1lm1t
    @user-zj5vz1lm1t Жыл бұрын

    저도 아이들에게 대학 가도 되고 안가도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대학은 배움이 필요하면 가는곳이지 배우고 싶은게 없는데 그냥 고등학교 마치고 딱히 뭐할지도 모르고 다른 사람 가니까 따라가는 곳이 되면 안되기 때문이죠. 저 또한 치열하게 공부해서 외고 나와 유학까지 미국으로 다녀와서 아이들 낳고 직장생활 잘하고 있지만 이게 행복한 삶이라고는 할 수 없죠. 그냥 남들 사는것 처럼 사는거지;;

  • @user-ef2we5ct6w

    @user-ef2we5ct6w

    Жыл бұрын

    근데 돈을 벌어야 되잖아요

  • @dongdong-uy9hg

    @dongdong-uy9hg

    Жыл бұрын

    @@user-ef2we5ct6w 돈 벌기 위해 대학 안나오고도 할수 있는 일은 많아요.근데 더 커리어를 키우고자 하면 대학가야죠.

  • @osbfllee1668

    @osbfllee1668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대학을 가고 안가고 상관없이 한국에 남아있는것 자체가 문제가 될것같네요... 급여의 70 80프로를 내야한다니 참

  • @Anchovy0

    @Anchovy0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 취업하려면 4년제 대학졸업증 필요합니다. 비자때문이라도 가는게 좋죠

  • @user-ef2we5ct6w

    @user-ef2we5ct6w

    Жыл бұрын

    @@dongdong-uy9hg 당연히 대학을 나오지 않고 할 수 있는 일도 많죠 하지만 확고한 기술이나 미래대책, 뭘 하겠다가 없으면 일단 공부라도 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 @zionl2958
    @zionl2958 Жыл бұрын

    챗 gpt가 나오고 나서 순식간에 체감되는 동영상... 이제 기존의 암기식, 사지선다형 답변능력 평가는 끝났습니다.

  • @user-sw8rn1lz8p
    @user-sw8rn1lz8p10 ай бұрын

    비리와 불투명한회계가 가능한곳에 쉽게 돈을 벌수있는곳이 법조, 의료약 기기 ,등등 이기에 사람이 몰리는건 아닌지란.. 공부는 서로 이롭기보단 사기치기위해 또는 방어하기위한... 뇌피셜입니다^^

  • @youjinchoi3430
    @youjinchoi34304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으로 들어왔는데 구구절절 맞는말씀.... 미국가서 2년제 졸업도 못하고 한국왔다가 영어 하니까 강사하면서 170만원 받으면서 일했고 그때부터 난 인생에 희망이 없을줄 알았지. 학교 상관없이 4년제 졸업장은 있어야 할 것 같아서 미국 4년제 대학 온라인으로 끝내고 지금은 연봉 1.5억 받고 미국 연방공무원으로 일하게 됨 이렇게 되기까지 약 10년정도 걸린듯....내가 한국에 쭈욱 있었다면 이런 연봉에 직책에 있을수 있었을까 싶은 생각이 매일 듬. 운을 배제할수는 없다만 운이 좋았어도 한국에 계속 머물렀다면 평생 연봉 3천도 못받고 살았겠지...더 젊을때 나가서 내가 살 길 찾으세요 나이도 젊은데 한국안에서만 직장구할 필요없습니다...

  • @BS-zk4lr

    @BS-zk4lr

    4 ай бұрын

    와 대단하시네요…. 미국 공무원은 어떻게 되셨는지 정말 궁금해요…

  • @user-pp5ty6yk7s

    @user-pp5ty6yk7s

    8 күн бұрын

    실례지만 미국 온라인 대학에 대해서 알 수 있을까요? People University인가요?

  • @user-bt3hh1ut8s
    @user-bt3hh1ut8s Жыл бұрын

    시대 배경을 지우고도 학벌보다는 자기가 원하는 분야에 대해 노력을 쏟는 게 맞는 건데 실제로 사회에선 그러기 쉽지 않음 기본적으로 대학 가려고 노력하는 시간이 너무 방대해서 다른 분야에 대한 흥미도 자체를 가질 기회가 별로 없음 불시에 생기더라도 일단은 대다수가 추구하는 방향이 맞는다는 생각 때문에 쉽게 학벌에 대한 희망을 포기할 수가 없는 것 같기도 하고 과도한 학벌주의가 개개인의 진로 방향까지 갉아먹은 건 아닐까 싶기도...

  • @SoJo-bn7jr

    @SoJo-bn7jr

    Жыл бұрын

    ㄹㅇㅜㅜ 알고있어도 현실적으로 정말 쉽지않음 어릴때부터 유학한사람들 부럽더ㅋㅋ

  • @user-ed7rh5dr9v

    @user-ed7rh5dr9v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자기 진로가 특정 학문 연구나 개발 쪽인 애들은 잘 가더라고요. 정부차원에서 많이 지원하고, 입시과목에서 학문을 간접적으로 체험해서 그런지. 문제는 자기 진로가 예체능이거나 사업경영 등등 국가지원이 없는 쪽이면 정말 한국에선 부모 빽 탄탄해도 쉽지 않음. 한국은 자기 진로를 "선택할 시간"은 주는 사회라고 생각하지만, "선택의 확신"을 주는 사회는 아니라고 생각함. 그냥 입시 공부만 12년 내내 계속 시켜서 자신의 진로를 체험해볼 기회도 없고, 그러다 보니 단순히 미디어의 환상 속 이미지로만 확신감 없이 진로를 결정해서 나중에 후회하고..

  • @soraAoi-gd5xc

    @soraAoi-gd5xc

    4 ай бұрын

    그게 기득권들이 만들어논 계급구조라는거임 사교육 포기하게 만들면 기피직종 가는거고 포기하지 않으면 부모 등꼴 빼면서 사무직 하는거 그래도 결국 노예는 변함 없음 사교육 안받고 가는게 베스트인데 그건 천재의 영역인것

  • @soraAoi-gd5xc

    @soraAoi-gd5xc

    4 ай бұрын

    @@user-ed7rh5dr9v예체능이나 사업경영 쪽은 인원이 많이 필요하는 쪽이 아니잖아요 그러니까 정부에서 지원을 할필요가 없는거죠 그거 하겠다고 나오는 자녀들 엄청 많은걸 왜 지원해 주겠어요 상식적으로요 기득권들 자녀들이 해외 갔다 학벌 쌓고 경영 이어받는게 대부분이고 예체능은 국내시장이 좁기도 하고 생산적인 일도 아니고요

  • @grace-ex8bh
    @grace-ex8bh Жыл бұрын

    수도권 학교들 애들 없어서 폐교하는거 보니 저출산 심각하더라...

  • @user-wr1kt6vb6c
    @user-wr1kt6vb6c5 ай бұрын

    이거 더 긴 영상 없나요? 너무 일리 있어서 뒷부분 더 듣고 싶네요

  • @frogiscute
    @frogiscute Жыл бұрын

    이런 말들 요즘따라 더 많이 보이는 것 같은데 저는 한국에서 살고 싶고 공부해서 대학 가서 평범하게 살고 싶은데 정말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고 제가 미래에 살고 있을 대한민국과 제 모습이 어떨지 두렵네요...

  • @user-xw8zm3mi8c

    @user-xw8zm3mi8c

    Жыл бұрын

    제 아들이 7세,4세인데 저도 요즘 제 아이들의 미래의 삶을 생각하면 끔찍하고 두려워요. 한국에서의 삶도 빡빡하지만 낯선 외국에서의 삶은 너무 두렵고 무섭네요ㅜ

  •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Жыл бұрын

    베타메일 평범한 미래를 소망

  • @timetogo1980

    @timetogo1980

    Жыл бұрын

    @@user-xw8zm3mi8c 선생님 자녀들은 대학가고 취업하기는 지금 보다는 훨씬 수월할 것입니다. 대학이 훨씬 많고 기업이 훨 많거든요. 기업에서 모셔가야 하지요. 참고로 일본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 학생들 자기회사 입사 조건으로 장학금 지원하면서 대학도 보내고 있습니다 -_-;; 물론 공대.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세계 최저 출산율을 매달 갱신 하면서도 아무것도 안바뀌는 현실이 답답하네요..!!!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yoon2904

    @yoon2904

    Жыл бұрын

    나두, 한국에살고평범한사람들을위한대응방법은없는것같다..말이아프리카유럽 해외지..해외생활진짜만만치않고 내나라내땅에서사는게젤좋은데..ㅠ

  • @illi_bass4253
    @illi_bass4253 Жыл бұрын

    한국을 떠나기로 했던 제 결정이 맞았다는 확신을 더 강하게 해주는 내용이네요

  • @user-jm1en7uo8l

    @user-jm1en7uo8l

    Ай бұрын

    지금은 어디로 가셨어요?

  • @user-qq6hv4wk4e
    @user-qq6hv4wk4e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대학 안가도 돼는 시대임 옛날시대가 아님

  • @user-pq6cf6cu5f

    @user-pq6cf6cu5f

    4 ай бұрын

    그래도 대학은 가야함

  • @Blue_Mints

    @Blue_Mints

    4 ай бұрын

    ㅇㅇ 아직은 대학가야함 연구직하려면 공대도 대학원까지도 해야하는 마당에.. 유럽은 더합니다 석사이상해야함

  • @khyua_2036

    @khyua_2036

    4 ай бұрын

    뭔 대학을 안가 ㅋㅋㅋㅋㅋㅋ 넌 가지마 그럼

  • @cyl7199

    @cyl7199

    4 ай бұрын

    대학안가도돼 공부하지말자 나이쓰 이맥락이아닌데 ㅋㅋㅋㅋ 나라가 망해간다는뜻인데

  • @pangrow8563

    @pangrow8563

    4 ай бұрын

    벌써 " 돼는 " 이라고 말하는 것 부터 대학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