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걸 몰라서 부자가 되지 못해요 | 되더라 - 현우진 | 공부자극 | 동기부여

#현우진 #쓴소리 #성공 #자기계발
🎤 Speaker : 현우진 강사
압도적으로 1등을 하기 위해서
현우진 강사 동기부여
📢BGM
✔️Track - The Road to Your Inspiration - Inspiring Cinematic Music
✔️Soundcloud - / keysofmoon
✔️나눔뮤직 - tv.naver.com/v/12021211
#부자습관 #부자 #가난 #성공비결 #자기계발 #동기부여 #성공확언 #자수성가부자 #자기계발서 #강사 #자영업 #가난 #쓴소리 #현우진 #수험생 #자영업 #고시공부 #사업 #자기계발 #재테크 #부자되기 #부자되는방법 #오늘의글
===========================
☆ 채널의 목적 ☆
세상에 있는 좋은 글과 생각을 나눕니다
나 혼자만 알기에 아까운 글과 생각, 함께 듣고 성장해요!
☆ 채널 저작권 관련 공지 ☆
- 본 채널은 때에 따라 공정 사용을 합니다 (교육을 목적으로 변형, 용도변경, 재해석)
- 공정 사용은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해석이 각기 다르므로 본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가 삭제를 요청할 경우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 저작권 사용에 관한 별도의 표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단에 명시하겠습니다
- 저작권은 보호 받아야 하므로 저작권과 관련하여 문의 및 우려사항이 있다면 문의 부탁드립니다!
▶ 문의: jungyoonkimg@gmail.com

Пікірлер: 664

  • @Oneul_K
    @Oneul_K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늘의 글입니다! 업로드된 영상 중에 'speech'오타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추후 업로드되는 영상에서는 꼭 수정해 업로드하겠습니다! 더불어 중앙에 위치한 '오늘의글' 텍스트는 영상을 퍼서 사용할 수 있기에 중앙에 두었는데, 불편하시다는 의견이 있어서 추후 영상부터는 위치를 좀 조정해 볼게요! (그 외에도 맞춤법, bgm 소리 크기 등의 의견 주셨는데 해당 부분도 챙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채널 내 현우진 강사님의 다른 영상도 추천드려요~! 오늘도 행복 가득하시길 바랄게요😊 👉👉kzread.info/dash/bejne/Yq2oureCh7aagJc.html

  • @user-hf8es9un8w

    @user-hf8es9un8w

    6 ай бұрын

    ! ㄷ닞

  • @cityneom5443

    @cityneom5443

    5 ай бұрын

    이렇게 학구열높게 뒤질정도로 공부해놓고 정작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람은 다 외국에서 나오고 공부시간 대비 뽑아내는게 없다. 존나 비 효율적

  • @badhaahss1531
    @badhaahss1531 Жыл бұрын

    현우진이랑 손주은은 진짜 막 사회로 나가는 고등학생의 마지막 단계를 보내고 있는 애들에게 진심으로 현실적인 조언과 격려를 해주는 사람인것같음 감성팔이 안하고 제일 현실적으로 세상을 잘 보는 사람임

  • @legh8701

    @legh8701

    Жыл бұрын

    그걸 안듣는걸로 모자라 처음부터 꼬아서 생각하고 받아들인 다음에 이들이 꼰대라고 치부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이 보여서 너무 한심하고 하찮고 안쓰러울 뿐임. 그렇다고 위로해주면?? 지들이 뭔데 위로하냐 우리의 현실을 알긴 아냐 ㅇㅈㄹ 함

  • @user-zp3on8ug4i

    @user-zp3on8ug4i

    9 ай бұрын

    진짜 현우진은 수험생들한테 되게 정제된 말을 해줌 ㅋㅋㅋ 맞말임. 수험생을 사랑하냐 감성적으로 접근해주냐를 떠나서 맞는 말이랑 도움이 되는 말을 해줌

  • @youwonsun1938

    @youwonsun1938

    8 ай бұрын

    전한길 한테 욕 더먹어야한다

  • @user-bk8cr9pw9b

    @user-bk8cr9pw9b

    5 ай бұрын

    ​@@legh8701그건 이유가 있죠. 한국에는 명문대를 가지못한 사람들이 80%가 좀 넘어요. 그리고 현우진씨나 손주은씨 같은분들은 명문대 못나온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조언이 없어요. 결국 명문대를 나오지 못하고 성공해야 하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저 강사들의 조언은 그저 성공한 사람의 한마디일뿐인겁니다.

  •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5 ай бұрын

    돈에 미친 사람이 돈에 관심없는 척하는것뿐

  • @SakuraMagnolia
    @SakuraMagnolia Жыл бұрын

    요약: 발전할 수 있다. 환경, 친구 모든 것들을 통해서. 그러니까 꾸준히 생각해라. 특히 독서를 통해 전체적인 문맥을 빠르게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라. 이는 전반적인 학습 능력을 키워줄 수 있다. 이런 능력으로 더 실력 있는 사람이 될 수 있게 실력을 키워라. 당신의 학교 이름보다 당신의 능력을 찾는 곳이 많을테니

  • @akeiakeh4555

    @akeiakeh4555

    8 ай бұрын

    태도만들기+책읽기

  • @mikyeongpark1711
    @mikyeongpark1711 Жыл бұрын

    진짜 구구절절 맞는 말. 문해력 사고력 진짜 중요. 그리고 창의력까지. 나도 우진쌤처럼 스스로 공부방법 터특해서 한자리등수까지 되어 보았는데, 이걸 고등학교때 하려니 시간이 없드라. ㅠ이걸 중학교때라도 빨리 느꼈다면 하는 후회 했었음...

  • @jaysaudade2599

    @jaysaudade2599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늦지 않았으니 후회하지 마세요! 저는 자사고에 입학해서 고2때 미대에 가고 싶어서 수학공부를 중단하고 (미대는 수학성적을 보지 않았었음) 미술을 시작했는데 고3때 다시 미대입시를 포기하고 인문대학에 갔다가 학과가 안맞아서 반수를 했습니다. 3년만에 수학공부를 처음 다시 시작해서 고1수학부터 시작해서 한달동안 수학 공부만해서 고 1,2,3년 과정 강의를 다 듣고 혼자 복습하고 공부해서 재수 기숙학원에 들어가서 6개월동안 수능 공부를 하고 수학 1등급을 받았습니다. 절대 늦지 않았으니 후회하는 시간으로 지금을 낭비하지 마세요! 뭐든 할 수 있습니다

  • @hgk9921

    @hgk9921

    Жыл бұрын

    @@jaysaudade2599 리스펙트합니다. 요즘은 그런 노력도 재능 아니냐는 루저들의 말들이 많던데, 1년 만에 수학을 끝내버린 그 노력에 찬사를 보냅니다.

  •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6 ай бұрын

    ​@@jaysaudade2599 얼마나 간절했을지ᆢ그 간절함에 박수를 보냅니다. 성공의 키였을듯요.

  • @bothamjockvar

    @bothamjockvar

    4 ай бұрын

    노력도 재능 맞는데 왜 루저취급해 ㅠㅠ

  • @user-yo6fy5fe1k

    @user-yo6fy5fe1k

    4 ай бұрын

    @@jaysaudade2599안녕하세요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 @user-hb4pj8xq3l
    @user-hb4pj8xq3l Жыл бұрын

    요약 : 사고의 전환으로 공부하는 사람으로 변하게 되었다. 열심히 공부해서 성적이 빠르게 상승했지만 어느순간 한계를 맞이하게 되었다(공부하는 습관이 들었을뿐 실력이 늘지는 않았기 때문) 실력을 기르기 위해 많은 책을 읽고 언어를 구성하는 뇌로 재구성을 했다. 이 능력을 얻고나서 (배우는 실력) 1등을 놓친적이 없었다. 대학 타이틀만 얻게 되면 끝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대학의 타이틀보다 실력이 중요해지는 시대가 오고있다. 단순한 성적(학벌)만 보면서 조급해하지말고 실제 실력(사고력)을 기르자.

  • @sweet-ju6hx

    @sweet-ju6hx

    Жыл бұрын

    맞아 학벌은되는데 무식한 사람많아요

  • @user-cn5it3rx7v

    @user-cn5it3rx7v

    Жыл бұрын

    @@sweet-ju6hx 농어촌?

  • @user-cn5it3rx7v

    @user-cn5it3rx7v

    Жыл бұрын

    @@sweet-ju6hx 정시로 높은 대학 들어갔는데 니 말처럼 그런 사람 거의 없을텐데 해봤자 십만명 중 한두명?

  • @user-vf3qb4oo9v

    @user-vf3qb4oo9v

    Жыл бұрын

    암기식 공부만 잘한다는 얘기겠죠. 진짜 공부는 새로운 분야의 새로운 정보를 스스로 읽고 습득하고 생각하는 능력인데.... 학원에서 학교에서 누군가 가르쳐준 내용만 학습가능한 사람이 너무 많음. 특히 수능만보고 대학간 사람들중에.... 수능은 시간싸움이라 오히려 깊은 사고를 좋아하지만 순발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에겐 부적합한 아주 타당도가 떨어지는 시험입니다. 암기 잘하는 애들한테나 유리하지...

  • @user-rk1su6fc4k

    @user-rk1su6fc4k

    Жыл бұрын

    수능이 암기라고 하는 사람은 수능을 쳐본적이 없는 사람임 혹시 학력고사 세대신가요?

  • @user-xu7ss9ht8g
    @user-xu7ss9ht8g Жыл бұрын

    지나가는 아재입니다. 매일 책 읽고 공부해야 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도 유튜브보고 있는 모습을 보면 어릴 때 습관이란게 참 무서운 것 같아요. 그래서 애를 키울 때는 환경을 달리 했어요. 12개월 때부터 애 엄마가 책 읽히며 재웠고, 집에 TV를 안 뒀습니다(지금은 있어요 ㅎ). 자연스럽게 책 읽는 게 공부가 아니라 놀이가 되었고, 자고 일어나면 심심해서 책을 보는 아이가 되더군요. (물론 게임도 좋아합니다. 단, 하루 20분씩 ㅎㅎ) 집 형편이 넉넉하진 않아서 사교육을 많이 못 시키는데, 확실한 건 저랑은 달라요. 책에 집중하는 능력이나 글을 소화해내는 속도가 빠르더군요. 이제 조금 있으면 중학생이 되는데, 글쎄요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저 보다는 낫겠다 싶은 생각은 들어요. 사교육을 잘 못 시켜줘서 애들한테 늘 미안했는데, 현 선생님 말씀 들어보니 오히려 이런 환경이 그나마 부족한 것을 채워주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뿐만 아니라 저 자신에게도 다시 도전을 주는 말씀이기도 하네요~

  • @kaps92a95

    @kaps92a95

    Жыл бұрын

    현우진 강사님도 강의를 보면 자기 혼자 자습하고 독서실에서 공부했다는걸 알 수 있어요. 그 뜻은 자기가 공부하는 방법을 알아야한다는 뜻이겠조

  • @centralpark6260

    @centralpark6260

    8 ай бұрын

    혹시 어떤 일 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Artifgacky124

    @Artifgacky124

    2 ай бұрын

    게임 20분이면 안하는게 나을듯 ㄹㅇ

  • @batnaeking183
    @batnaeking183 Жыл бұрын

    중학생때부터 똑똑했내 그냥 공부를 잘하고 말고는 둘째치고 저런 분석과 상황인지 실행력이 된다는건 머리가 좋다는거임

  • @user-vt2gs2fp9g

    @user-vt2gs2fp9g

    Жыл бұрын

    0.1%능지없으면 스탠퍼드 수학과 졸업못함

  • @user-ww6xe4dc7b

    @user-ww6xe4dc7b

    11 ай бұрын

    그렇지요 원래 내버려둬도 알아서 잘하는스탈이네요 집안분위기도좋았고... 다 받쳐줬네요

  • @user-xr7zx8gx2b

    @user-xr7zx8gx2b

    11 ай бұрын

    강사는 그냥 그럴듯한 말로 심금만 울리고 돈만 받으면 되는거지 실제로 적용가능한 내용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이고 타당하게 전파하는건 아니란 말씀

  •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4 ай бұрын

    @@user-xr7zx8gx2bㅇㄱㄹㅇ

  • @pillyahn1278
    @pillyahn1278 Жыл бұрын

    저 텍스트를 읽는 능력이 부족하면...사회생활 할 때 정말 큰 난관에 직면합니다..다른 건 제가 뭐라 말할 자격이 없는데 중간관리자가 되고, 신입들을 가르치면서 느낀 점은 일단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고, 요약을 너무 못 합니다. 내용 요약을 하려면 본문을 이해하고, 맥락을 잡아야 하는데 대학원까지 나온 친구들이 이게 안되요. 책 많이 읽으세요. 꼭 책이 아니어도 됩니다. 신문에 있는 짧은 사설, 논단, 아니면 상식에 도움되는 매거진 같은거라도 꾸준히 읽으세요. 글을 못 쓰는 친구가 들어오니까 기관공문 보내는거나, 예산결의 올리는 것도 못 맡깁니다..상사가 되어보니 이게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지 깨달았는데 더 심각한 건, 요즘 세대는 알려주고 설득해도, 왜 그래야 되는지 이해하려 하지 않아요. 복사해서 붙여넣기에 너무 익숙해져 있습니다...글읽기가 안 되니 창의적인 사고는 그냥 꿈입니다. 희망사항이고요. 독서하라고도 안 합니다. 텍스트를 자주 읽으세요. 꼭...

  • @sanghunlee17

    @sanghunlee17

    Жыл бұрын

    알아서들 더 잘 합니다

  • @Beingmeisthewaytogo

    @Beingmeisthewaytogo

    Жыл бұрын

    급동감합니다.

  • @user-yr5pk9ck8b

    @user-yr5pk9ck8b

    Жыл бұрын

    하...하지만ㅠㅠ 본인도 "안되요"라고 잘못 쓰잖아요ㅠㅠ

  • @hna3239

    @hna3239

    Жыл бұрын

    영상 핵심요약글ㄱㅅ

  • @user-kd3zz8uv9f

    @user-kd3zz8uv9f

    Жыл бұрын

    텍스트를 자주 읽으시는 분이 맞춤법을 틀렸다..'돼'..

  • @brand_movie
    @brand_movie10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학원강사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나보다. 요즘 현우진 강사 영상이 종종 떠서 영상을 보았는데 아 저래서 독보적인 1타 강사인가보다 했다. 어느 분야에서든 압도적인 존재들은 확실히 다르다. 한가지에 통달하더라도 인생 전체를 꿰뚫는 통찰력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마음에 들고 안들고를 떠나 그래서 요즘 현우진이라는 사람에 대해 관심을 가졌는데 최근 무슨 마녀사냥하는 듯한 기사들을 보고 아연실색하였다. 사실관계는 알 수 없으나 기사의 뉘앙스는 연봉이 많다는 사실때문에 불법이나 비도덕으로 연결시키는 악의적인 내용이다. 제발 정신 좀 차리길 바란다. 될 것 같진 않지만.

  • @user-ym2hj5to4s
    @user-ym2hj5to4s Жыл бұрын

    저걸 혼자 깨달은 것도 대단하고 바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용기와 실행력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 @shuya3679

    @shuya3679

    10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user-kv3ru4pd3m
    @user-kv3ru4pd3m Жыл бұрын

    본격적으로 대학이 없어지기 시작한다는건 인구감소가 본격적으로 사회경제 전반에 영향을 주는 시간이 왔다는 뜻. 그리고 그시기에 맞춰 기다리기라도 했다는 듯이 AI가 본격화되기 시작했으니 앞으로 10-20년 후에 어떤 직업이 살아남을지 아무도 모른다. 고로 이제는 학벌이 중요한게 아니라 빠른 변화의 시대에 내 능력이 필요한 직업이 있느냐가 정말 중요한 시간이 오게된다. 저분이 얘기하고자 하는바가 이런뜻일듯하네.

  • @TV-gf2eg
    @TV-gf2eg Жыл бұрын

    인생으로 느끼고 몸빵으로 깨달았습니다~ 현우진 쌤 말이 맞아요!! 저는 인생으로 공감합니다

  • @hojoongyihealthylife
    @hojoongyihealthylife Жыл бұрын

    제가 딱 그랬어요 전 난독증이라고 생각했고 공부에 대한 좌절을 엄청 많이 했습니다.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다 쉬운 책을 한권 샀습니다. 탈무드 같은거요. 짧은 한 이야기가 끝날때마다 그 내용을 최소한으로 요약하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걸 다른 종이에 옮기고 요약된걸 읽으면서 내용을 떠올렸어요. 이런식으로 관심있는 분야의 책으로 점점 넓혀나갔고 확실히 좋아졌어요. 웬만한 책을 봐도 어지럽지가 않았고, 어려운 책에도 덤벼드는 용기가 생겼어요. 현재도 완벽하다고는 할수 없지만 확실히 많이 좋아졌습니다. 20대 후반 들어 이걸 깨달았고 많은 시간이 들었는데 지금 후회 없습니다. 오히려 지금이라도 깨닫고 어느정도 고쳐냈음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 @user-sl7es9xj4o

    @user-sl7es9xj4o

    Жыл бұрын

    왠 --> 웬

  • @angelaherelee9740

    @angelaherelee9740

    Жыл бұрын

    👏👏👏👏👏

  • @user-mm1fx1hq4o
    @user-mm1fx1hq4o Жыл бұрын

    와~~난 사람이다.어떻게 중학생때 저걸 터득했슬까.그러고보면 사람의 그릇의 크기는 정해진 듯

  • @user-gn4to6mk8x
    @user-gn4to6mk8x Жыл бұрын

    수험생 생활을 마친 지금도 볼때마다 가르침을 주시는 분이네요 평생 존경합니다..

  • @vinu01
    @vinu01 Жыл бұрын

    제일 공감이 되는부분이 글을 어떻게 읽는가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절대로 성적은 오를수없다는것입니다. 물론 이과기준으로 수학이나 과탐은 글을 읽는 능력 없이도 정보를 머리에다 때려박고 훈련하면 되기에 가능하지만, 그런식으로 공부해서 수학과탐 잘보고 국어 적당히 받고 좋은 대학가서, 대학에선 책을 보면서 혼자 사고를 정리하고 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정말 말씀을 잘 하신것 같네요. 이 혼란스러운 시대에, 쇼츠로 인해 다들 짧게 짧게, 유튜브봐도 진득하게 듣지 않고, 배속으로 듣고, 이런시대에 이 사고력이라는것이 정말 큰 무기가 됨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 @user-qc3cp4hs7g

    @user-qc3cp4hs7g

    Жыл бұрын

    요즘 깨달은 게 이거였는데 공감이 갑니다 깊게 사고할 수 있는 능력과 글로 사고하는 능력에 익숙해지는 게 대학 잘 가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할 수 있겠죠

  • @user-ie2qc6vl2p

    @user-ie2qc6vl2p

    Жыл бұрын

    사색이 자본이다 책 추천.

  • @alxososnddux

    @alxososnddux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글을 어떻게 읽으시나용?

  • @endeavorlee1588

    @endeavorlee1588

    Жыл бұрын

    그게 사고력이고 그걸 키우는 현실적으로 거의 유일한 방법은 수학공부나 철학적 고뇌뿐....

  • @sycutiepie

    @sycutiepie

    Жыл бұрын

    이과도 일단 문해력이 없으면 힘들어짐. 모든 학문은 다 언어로 쓰여있기땜시 언어는 기본인듯. 이해를 못함.

  • @user-yh2cv3zu6u
    @user-yh2cv3zu6u Жыл бұрын

    저희애 우진쌤 현강듣고 진짜 수학공부란걸 하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 전 마지막 현강제자였습니다. 정말 우진쌤 수업을 듣기 전과 후가 완전히 달라졌고, 덕분에 올해 3수로 의대 합격했습니다 부모로써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samskysea8345

    @samskysea8345

    Жыл бұрын

    나는 걍 한의준비하는 독서실실장언니 한마디에 그것대로하니 수학성적엄청 올랐는데

  • @ee30000

    @ee30000

    Жыл бұрын

    캬 축하드립니다!

  • @_Nananabananana

    @_Nananabananana

    Жыл бұрын

    @@samskysea8345 무슨말이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 @euphoria_JS

    @euphoria_JS

    Жыл бұрын

    아버님 혹시 전자공학 나오셨나요? 라플라스변환 좋아하세요?!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Жыл бұрын

    @@samskysea8345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user-gp3cx8rc7y
    @user-gp3cx8rc7y Жыл бұрын

    현우진님 인생강의가 너무 와닿아서 2번이나 들었네요. 한분야에 최고가 되신 분은 다 이유가 있는거 같습니다. 지나가는 40대 중반 아줌마에게도 깊은 울림이 있었습니다🙏

  • @user-vo3nv9nw9g
    @user-vo3nv9nw9g Жыл бұрын

    난 저 실행력이 부럽다 뭘해도 될 사람이였다는거지..

  • @json6573
    @json6573 Жыл бұрын

    난 왜 이런 강의를 이제서야 봤지...? 너무 감사합니다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앞으로도 자꾸 보면서 자극받아야겠어요

  • @user-uz3iq2il5c
    @user-uz3iq2il5c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이 분을 알게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책을 읽고 제 의견을 뱉어보도록 연습하겠습니다.

  • @user-po5yf4xc3c
    @user-po5yf4xc3c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임. 한국은 그냥 초중고 내내 수능 문제 잘푸는 기계만 쳐만듬. 좀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는 독서와 다양한 활동을 하게 교육 체계를 바꿔야됨. 고딩때 도서관에서 하루 10시간 공부만 하는게 인생의전부가 되버림.

  • @incasewhihhhhhhhhh

    @incasewhihhhhhhhhh

    Жыл бұрын

    아하

  • @Jeans-np5rs

    @Jeans-np5rs

    Жыл бұрын

    이거는 분명 바뀝니다 현 10 ~ 20대가 부모가 될 시점쯤이요 저도 제 자식낳으면 저딴식으로 키우지 않을거예요

  • @Woong654

    @Woong654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그런 비인간적인 생활을 하는걸 전국민이 당연하게 생각하고 입시공부에 엄청나게 가치부여함. 그거 못한 인간은 바로 하찮은 인간이 되버림. 대학입시 공부 몰빵해서 나라발전 이뤘다고 믿는 집단 정신병을 가지고 있는 나라임. 줘엇빠지게 입시 공부하고 진짜 자기 분야 정해서 진지하게 공부 시작해야 하는 대학가면 번아웃와서 술 퍼마시고 놀고 있음. 재수, 삼수 하면서 황금 같은 시간 줄세우기용 입시공부에 다 꼬라박음. 대입의 결과로 평생 동안 그 사람의 가능성을 단정당함. 입시공부 때문에 개고생한 애들은 “나 이만큼 하고 대학 간판 따놨으니까 사회에서 알아서 나 대우해주고 내 인생 책임져줘야 해” 같은 잘못된 생각을 가짐. 걍 답이 없음 나라가.

  • @socy4125

    @socy4125

    Жыл бұрын

    불편한 진실: 일반고 가면 수업시간에 다섯명 빼고 다 쳐자는데 뭔 하루 10시간 공부 ㅋㅋㅋㅋㅋㅋ 과고 외고 자사고나 하루 10시간 하지

  • @djdkshsj4971

    @djdkshsj4971

    Жыл бұрын

    뭔쌉소리세요ㅋㅋ 뭘 알아야 창의력도 나오지 창의력은 비관련분야 간 연결에서 시작하는거란다 ㅋㅋㅋ

  • @nowlive365
    @nowlive365 Жыл бұрын

    저런 생각을 가지고 사는데 개발하는게 쉽지는 않네..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sssa7431
    @sssa7431 Жыл бұрын

    너무 잘봤어요 진짜 최고네요 ㄷ

  • @user-sx2kt6jo4r
    @user-sx2kt6jo4r Жыл бұрын

    배움의 본질을 관통하는 교육환경이 되었음 좋겠네요.

  • @16_0
    @16_0 Жыл бұрын

    중학교까진 초등학생때 읽었던 책으로 커버하다가 문해력, 독해력이 중요하구나를 고등학교때 깨달았었는데... 나름 대학교 졸업 후에 입시영상을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 @kissthelight
    @kissthelight Жыл бұрын

    제가 겪은 공부 과정과 굉장히 비슷한 과정을 겪으신 것 같네요! 공부잘하려면 메타인지가 발달해야함..!! 이 텍스트가 나한테 무엇을 말하고자하는지를 파악하는 능력. 이거만 있으면 어딜가서 어떤 공부나 일을 해도 다 할 수 있음

  • @innerpeace_life
    @innerpeace_life Жыл бұрын

    텍스트 읽는것을 즐겨라..! 이것도 핵심

  • @user-ly2gr1kk8g
    @user-ly2gr1kk8g Жыл бұрын

    공부할나이때는 공부하는거고...그거보다 일찍 자신의 길이 아 나는 이걸좋아하고 이걸잘할수있을것같다하면 그길로 얼른가는게 좋음...공부도열심히해보고 내길이 아니면 고개를돌려 넓은인생을 다시 보길..좌절하지말자...

  • @repeat-77
    @repeat-77 Жыл бұрын

    정말 느끼는점이 많은 강의입니다. 놔버린 공부를 다시 해보고 싶은 스피치네요.

  • @user-yf7xg7rw8b
    @user-yf7xg7rw8b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부터 저런 사고방식을 가졌다니...역시 대단하신분

  • @user-pf1gk5ey9r
    @user-pf1gk5ey9r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참 안타까운 현실을 말씀하신 겁니다. 공교육 12년동안 학교에서 너무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하게 또 깊이 있게 배워야 할 '사고력'을 굳이 따로 공부해야 하는 현실을요. 그러면서 수능은 사고력을 요한다고 합니다. 정작 학교 수업 커리큘럼은 토론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왜'라는 질문 하나 갖게 하지 못 하는 실정인데도 말이죠.

  • @reongj6874
    @reongj6874 Жыл бұрын

    현우진샘 말 어느정도 맞는것 같아요 그냥 되는 대로 지방대 나갔는데, 공학 나와서 논문도 쓰고 취업 바로하고 이직도 남들 다 알만한기업으로 무난하게 하고 돈도 꽤 버는 것 같아요 그런데 지금도 계속 열심히하고 있어요! 처음 머 노력했을때 생각해보면 바닥부터 시작했고 머 하는게 싫었는데 이젠 습관이됐네요 길은 노력하다보면 분명이 생깁니다!

  • @user-xv1ly4xy3m

    @user-xv1ly4xy3m

    10 ай бұрын

    근데 지방대면 한계가 있지않나요?

  • @esjeong6174

    @esjeong6174

    10 ай бұрын

    @@user-xv1ly4xy3m한계는 본인이 만들어요, 지방대면 한계가 있지 않나 라는 답답한 사고가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의 한계입니다.

  • @user-xv1ly4xy3m

    @user-xv1ly4xy3m

    9 ай бұрын

    @@asdasddcax 저는 지방대출신은 아닌데 지방대나오면 알게모르게 차별과멸시를 받잖아

  • @lightupyw

    @lightupyw

    9 ай бұрын

    ​@@user-xv1ly4xy3m 지방대 나와도 그 뒤에 열심히 살면 되지 ㅋㅋ 윽건이가 말했듯이 학벌, 수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은 생각이 아직 애새끼 수준인 사람인거임. 그리고 공대는 랩실이나 기름집 아니면 학벌 크게 안봄

  • @union__

    @union__

    9 ай бұрын

    ​@@user-xv1ly4xy3m근데 지방대가 경북대랑 부산대 같은 곳 말하는거면 조금... 특히 경북대는 it쪽에 동문파워 쌔신거 아시져?

  • @user-hk1gp7ey8k
    @user-hk1gp7ey8k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다르구나... 학창시절에 자기 자신에 대한 문제를 저렇게 돌이켜 보고 자가진단 하면서 방향을 잡아 간다고?.. 레벨이 다른 이유가 있내..

  • @zena2213
    @zena2213 Жыл бұрын

    최고인사람.

  • @user-sq2wx8sl5h
    @user-sq2wx8sl5h Жыл бұрын

    근성을 기르자, 사고력을 키우자

  • @user-lq9cs2nk6z
    @user-lq9cs2nk6z6 ай бұрын

    현실조언 감사해요 현우진선생님 응원합니다!!

  • @user-on2os5kj9j
    @user-on2os5kj9j Жыл бұрын

    옛날에 현우진쌤 강의나 썰 같은 거 보면 말하는 게 좀 두서없다고 느꼈는데 15년도 연설 다시 곱씹어 들으니 깨달음이 많아지는 거 같음

  • @hyeneeoh640
    @hyeneeoh640 Жыл бұрын

    무섭도록 대단하시다..!!

  • @wegotothezoowr
    @wegotothezoowr Жыл бұрын

    소름 ! 공감합니다 !

  • @user-kt9in7uo9w
    @user-kt9in7uo9w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아하는 현우진 강사님이네요~~~^^

  • @user-ew1hi1gi7k
    @user-ew1hi1gi7k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부터 남달랐네요.. 대단

  • @user-ox8gb9zk9h

    @user-ox8gb9zk9h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적어도 자기와 다른 행동을 하는 사람에 대한 관심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겠다 싶어요. 남자아이들 중학생때 저런 사고의 체계를 가진 아이들이 별로 없지요^^

  • @qqoqoqoqo
    @qqoqoqoqo Жыл бұрын

    지금 학벌 별로 안중요합니다. 저도 고대 경영 출신이지만.. 이젠 블라인드 채용이고 사고력이 우수한 동기들 많습니다. 솔직히 학교 동기 중에 전문직으로 a매치 금공 등 증권사도 가지만 어딘지도 모르는 중소로도 은근 갑니다. 또한 입사 한 곳에 흔히 지잡대 주변에 많이 봤습니다. a매치 금공에서도 은행에서도 충분히 많이 봤네요. 학교 공부 왜 그렇게 치열하게 했나 라는 생각도 있지만 확실히 취업시장 많이 바꼈습니댜.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Жыл бұрын

    님이 학교공부한 만큼 지잡대는 거기가려고 님보다 더 지랄 떨었을걸요 ㅋㅋㅋㅋㅋㅋㅋ

  • @doooli794

    @doooli794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그냥 능력제임 이제

  • @changemylife9013

    @changemylife9013

    Жыл бұрын

    그럼 학벌보단 어떤부분을 준비하고 어떤 능력을 키우는게 중요할까요? 고2올라가는데 정신적으로 건강악화 심해서 공부좀 놓을려고 합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 @NeighborSider

    @NeighborSider

    Жыл бұрын

    @@changemylife9013 공부가 내 체질이 아니다 라고 하면 다양한 지금부터 경험과 도전을 해보세요. 남들이 해보지 않는 길로 가시려면 자기가 끝까지 쭈욱 밀고 나가셔야 합니다. 경험을 통해 세상을 폭 넓게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세요. 예를들면 장사를 배우겠다고 하면 여러알바를 경험해서 20대후반에 가게차려서사장님이 된다든지? 1살이라도 재테크에 빠르게 입문하여 20대 후반에 집을 사겠다 란 목표도 있겠구요. 뭐하나에는 미치셔야 합니다.

  • @qqoqoqoqo

    @qqoqoqoqo

    Жыл бұрын

    좋은 산업으로 취업하세요. 요즘 대졸 신입 초봉이 7천 8천 시대입니다. 쓰레기 산업은 아직도 4 5천... 고딩이면 대학이 전부죠. 개인적으로 본인 생각과 논리를 잘 풀어내는 능력 논술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 @suncho7788
    @suncho7788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아들덕에 설명회 가서 들었던 기억으로 끝부분에 말하는 그 내용이 저 샘에게는 없나 보다 했었는데 나이 들고 시간이 흐르고 하니 비슷한 공감으로 훨씬 인감미가 있으시네요...

  • @sunyoungkang2097
    @sunyoungkang2097 Жыл бұрын

    역시나 보통 분이 아니시네요.. 한국최고 입시 수학 강사님이 하시는 말씀이 소름돋게 진보적이고 현실적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nameg8710

    @nameg8710

    4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탈세와 척

  • @user-tx5jk2ec1i

    @user-tx5jk2ec1i

    2 ай бұрын

    ​@@nameg8710탈세 아님ㅋㅋ

  • @familyyj
    @familyyj5 ай бұрын

    훌륭하신 ~~ 현쌤 존경합니다.

  • @user-pv1lu3lr1o
    @user-pv1lu3lr1o Жыл бұрын

    학벌 사회가 무너진다는 것은 큰 변화다. 하지만 그것이 좋은 방향이냐 묻자면 최악의 방향이라 볼 수 있겠다. 뭔가를 직접 해봤던 사람들은 안다. 공부가 제일 쉽다는 걸. 이젠 개개인 모두가 자신만의 능력과 사상으로 사회에 발을 딛어야 한다. 그것이 얼마나 끔찍한 이야기인지 아직 대다수는 모르고있다.

  • @hajinpyeon5469

    @hajinpyeon5469

    16 күн бұрын

    작은 기준이 없어지면 더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본인의 노력이 아닌 남의 노력으로 쉽게 살려는 사람들이 넘치겠죠. 나뿐만 아니라 내 자식까지도. 신분세습 사회의 부활.

  • @hajunawesome9766

    @hajunawesome9766

    13 күн бұрын

    공부가 제일 쉽다는 말..공감합니다

  • @user-dl5ky9gq2o
    @user-dl5ky9gq2o10 ай бұрын

    사교육에 정점에 있는 사람들이고 통찰력이 있는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신뢰다

  • @2r600
    @2r600 Жыл бұрын

    멋있다♡ 역시 공부를 제대로 해본 사람의 조언이라 다르네요ㅠㅠ

  • @Synthesis783
    @Synthesis783 Жыл бұрын

    또 당신입니까..역시 GOAT..

  • @user-xyttiom749
    @user-xyttiom749 Жыл бұрын

    9:38 능력=사고력 9:56 텍스트를 읽는 걸 즐겨라

  • @user-xyttiom749

    @user-xyttiom749

    Жыл бұрын

    @@IIiIiIiiiIiiIIllIil 무슨 폼이요?.?

  • @user-xyttiom749

    @user-xyttiom749

    Жыл бұрын

    @@IIiIiIiiiIiiIIllIil 앜ㅋㅋㅋㅋ 성실히 9개월보내서 꼭 서연고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NeighborSider

    @NeighborSider

    Жыл бұрын

    @@user-xyttiom749 200%목표 잡으시면 최소 100% 간다고 합니다. 스카이 응원할께요.

  • @alyeogohajima9181
    @alyeogohajima9181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할게요)

  • @sea0920
    @sea0920 Жыл бұрын

    현우진 선생님은 진짜 제대로 된 사람이네요.

  • @AnjuRFarnandes

    @AnjuRFarnandes

    13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 퇴근 후 하기 좋은 창업아이템 있어요 중고 사 업 이득률 좋더라구요 ㅎ 유튜버 셀앤 바이 에듀 추천드립니다!

  • @narara1003
    @narara1003 Жыл бұрын

    이사람 휼륭하다 50대 넘어서는데 갑자기 이사람이 가르치는 수학을 공부하고 싶어진다

  • @samskysea8345

    @samskysea8345

    Жыл бұрын

    걍 현판 이과용수학교과서 사서 하나씩 풀어보시는게 더 득일꺼임

  • @yozmjalzacoolnyang

    @yozmjalzacoolnyang

    Жыл бұрын

    돈내면 강의 들을 수 있음

  • @user-pt8fh6oj4s

    @user-pt8fh6oj4s

    Жыл бұрын

    미적분 3시간하시고 포기하실듯

  • @Sh-dt5rm

    @Sh-dt5rm

    Жыл бұрын

    @@user-pt8fh6oj4s 열등감도 병이란다 정신병 ㅋㅋ

  • @user-cm8cj1oi5s

    @user-cm8cj1oi5s

    Жыл бұрын

    ​@@user-pt8fh6oj4s 나이지리아 줄넘기 국가대표 스케쥴 매니저

  • @user-sq4sk6sx7h
    @user-sq4sk6sx7h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 없이 담백한 영상이 더 좋습니다.음악 소리가 커서 귀 아프네요

  • @user-ow9pc2xx5w
    @user-ow9pc2xx5w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강연이네요.~

  • @gongboo2021
    @gongboo2021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kee26
    @hkee26 Жыл бұрын

    강의가 재밌네요 ㅋㅋㅋㅋㅋㅋ

  •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 Жыл бұрын

    So informative!!

  • @user-fm4jb5rh5o
    @user-fm4jb5rh5o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학생들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네요^^ 40대 아줌마에게 도전이 되는 영상이예요 감사합니다

  • @user-rp3tv6so4n
    @user-rp3tv6so4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강의!

  • @user-ri4ni9ev5v
    @user-ri4ni9ev5v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 감사합니답🙏🏻뭔가 원동력이 생기는거 같네욥!!

  • @newoui
    @newoui Жыл бұрын

    저 말끝 하나 하나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담겨있는지 보인다..

  • @dove_525
    @dove_5258 ай бұрын

    대충 영상 요약: 1.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지말자 2. 창의성을 키우자 3. 인맥을 가꿔 나가라.

  • @user-wu2vh2nj8t
    @user-wu2vh2nj8t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Oneul_K

    @Oneul_K

    Жыл бұрын

    제가 더 감사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gjmzu1781
    @gjmzu1781 Жыл бұрын

    깨달아가는 재미로 모든걸 헤쳐나가는 🙏🏻💕

  • @yongjinnkim9207
    @yongjinnkim9207 Жыл бұрын

    이런 자기계발 컨텐츠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새겨들을 부분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삶이란 항해와 같습니다. 물려받은 배가 초호화 유람선이면 직접 노를 젓지 않아도 되겠죠. 부잣집 애들은 직접 노젓지 않죠. 뭐...걔들은 그래도 됩니다. 그런데 걔들은 걔들이고... 평범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작은 배를 물려받아요. 어디로 가야할 지 스스로 정해야 하고, 직접 노를 저어야 합니다. 목표를 정해서 쉬지않고 노를 젓다 보면, 원래 가고싶었던 곳에 못갈지라도, 그럭저럭 괜찮은 해변에는 도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막막하더라도 계속 하다 보면 근력이 붙고, 요령이 생기면 조류를 피하거나 이겨내고, 물살을 타는 방법도 터득할 수 있죠. 하지만 노젓지 않고 멈춰 있으면, 그냥 세상이라는 조류에 휩쓸려 둥둥 떠다니게 됩니다.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상이 하라는 대로 인생을 살게 될 겁니다. 유튜브 쇼츠나 하루종일 보다보면 나중에는 자신의 의지가 무엇이었는지조차 모르고 있겠죠.

  • @suancho1833

    @suancho1833

    Жыл бұрын

    Being a force!! 내 삶은 내가 개척한다☺️

  • @yo00u

    @yo00u

    Жыл бұрын

    캡처하고 두고두고 봐도 될까요 혹시..!

  • @ShinJeonghwan

    @ShinJeonghwan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jm2wi7wd4p
    @user-jm2wi7wd4p Жыл бұрын

    개멋있다.

  • @user-oh3hj4cf2w
    @user-oh3hj4cf2w Жыл бұрын

    제가 900번째 구독자가 됐네요. 오늘도 자극을 받고 좋아요 구독 박습니더.

  • @Oneul_K

    @Oneul_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user-yx8zo2jo6p
    @user-yx8zo2jo6p Жыл бұрын

    앞으로는 기술이다~

  • @Soo-1441
    @Soo-1441 Жыл бұрын

    형님 감사합니다. 취준 한다고 주접떨다가 정신차리고 취업했습니다. 내 주변 사람들 전부 사랑합니다. 이제 돌려드릴게요.

  • @goldstarit
    @goldstarit Жыл бұрын

    참.. 참된 강사이십니다

  • @user-zz2vq5jk1f
    @user-zz2vq5jk1f Жыл бұрын

    " 한 문단이 한 눈에 들어왔어요. 그 이후로 단 한번도 1등을 놓친적이 없습니다 " 간지 ㄹㅇ....

  • @user-wy3jw2oq1g
    @user-wy3jw2oq1g Жыл бұрын

    괜히 압도적 1타강사가 아님. 대단한 사람

  • @user-bb9to9tx6e
    @user-bb9to9tx6e24 күн бұрын

    저 이분 강의듣는데 온몸에 소름이 돋아요..너무 멋진 사람입니다

  • @Midwinter-mq4qh
    @Midwinter-mq4qh5 ай бұрын

    진짜 참된 강사인듯, 인강으로나마 이분 말씀을 들을 수 있어 참 감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user-dy4wl3pm5y
    @user-dy4wl3pm5y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 @hehe372
    @hehe3729 ай бұрын

    대박 말 잘함 ㅜㅠ

  • @jmw8189
    @jmw818919 күн бұрын

    대단해요 현우진샘

  • @jungsm999
    @jungsm999 Жыл бұрын

    멋있는 분

  • @user-qw8fw6ro6p
    @user-qw8fw6ro6p Жыл бұрын

    책 200권은 진짜 대단하네

  • @lillyl5855
    @lillyl58556 ай бұрын

    몇번씩 더 들어야겠어요!! 근데 배경에 웅장한 그 브금? 만 없으면 넘 좋을것 같아요,,,

  • @jcpark9228
    @jcpark9228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할 수 있다는게 졷나 대단한 사람임. 평범한 사람은 절대 저렇게 못함.

  • @mmjj7397
    @mmjj73974 ай бұрын

    사고의 전환, 사고력, 근성 중요. 방향을 계획하려고 실행 미루기보다 어느 방향이든 나아가면 결국 방향이란 건 이어지기 마련

  • @yunjung22
    @yunjung22 Жыл бұрын

    멋있다 이분

  • @brucemoon104
    @brucemoon104 Жыл бұрын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계속 하는 게 중요하다

  • @user-wy8yv7qf9j
    @user-wy8yv7qf9j Жыл бұрын

    그냥 대단하다 보통 사람이 아니다.

  • @user-jg9cu5oe4q
    @user-jg9cu5oe4q8 ай бұрын

    정말 필터 없는 날것 그대로의 멋진 스승이다.

  • @mental3658
    @mental3658 Жыл бұрын

    좋은 글 감사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좋은 글을 많이 접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 @user-fp1ss5bx5t
    @user-fp1ss5bx5t Жыл бұрын

    공부는 그냥하는거다라고 하신 말씀 와닿네요. 이유를 붙이지 말고 그냥 하는겁니다

  • @user-rl9le9kq4q
    @user-rl9le9kq4q Жыл бұрын

    변화는 절대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 @user-yn6se1mr99
    @user-yn6se1mr99 Жыл бұрын

    세상이 5년전부터 급속도로 변한다는게 느껴짐..

  • @user-ek1lt8it2h
    @user-ek1lt8it2h Жыл бұрын

    소름 돋았네요 저랑 딱 같은 경험을 하셨어요 저는 같은패턴으로 고1때 500등대였는데 고3때 전교10등 진입했어요 공부하기 싫을땐 책을 읽으세요 이해 속도가 빨라져요

  • @20000ho

    @20000ho

    Жыл бұрын

    소설을 써라 ㅋㅋㅋ

  • @gan5

    @gan5

    Жыл бұрын

    ​@@20000ho전 댓쓴이 말 이해되는데요

  • @everybodydose
    @everybodydose4 ай бұрын

    지나가는 아재인데요 학창시절 안 한 공부중에 가장 후회하는게 '한자'입니다. 저도 물론 시험점수를 위한 공부는 열심히 했습니다. 한자는 정말 쓸모가 없을 거 같은데 한자를 아는 정도에 따라서 우리나라 언어를 쓰는 것에 깊이가 생깁니다. 언어가 약하고 문해력을 키우고 싶으면 일단 한자 공부를 조금씩 꼭 해보세요 하루에 5글자만 해도 한 달 20일에 100자 1년이면 천자는 뗄 수 있습니다. 단순히 글자를 암기하지 마시고 한자가 사용된 단어를 반드시 체크하고 넘어가세요 모양보다 뜻을 꼭 생각하시구요 한자를 많이 알 수록 독해력이 느는 건 물론이고 처음 보는 단어도 유추하기 쉬워지고 한자가 언어 능력의 단단한 기초가 됩니다. 책을 읽어도 더 잘 읽히구 내 생각으로 정리하는 게 수월해지구요 언어 과목 점수가 오르는 건 덤이고 나중에 일본어나 중국어를 배우는거도 훨씬 쉬워진답니다.

  • @Yesyesyes735
    @Yesyesyes735 Жыл бұрын

    Respect him..

  • @mmminin
    @mmminin6 ай бұрын

    이제 고3인데.. 틈틈히 책을 읽어도 좋을까요.. 아님 열심히 공부만 해야할까요

  • @user-mv1te7tw4f
    @user-mv1te7tw4f Жыл бұрын

    1. 친구따라 공부하는게 쉽지 않음. 2. 공부 한다고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음 270등에서100등은 충분히 가능 3. 의자에 오랜시간 앉아있기 힘듬!!! 이분이 노력을 안했다는게 아니라 할만한 분야에서 노력도 한거임. 그러니 최고가 된거고

  • @user-ox8gb9zk9h

    @user-ox8gb9zk9h

    Жыл бұрын

    공부는 머리로 하는게 아니라 엉덩이로 한다! 공부 좀 해본 사람들이 하는 말이더군요..

  • @simzim1

    @simzim1

    5 ай бұрын

    마음가짐 계기가 필요한겁니다 그걸 알려주는 어른이 없군요...있어도 무시하거나

  • @simzim1

    @simzim1

    5 ай бұрын

    억지로 한게 아니라 즐기면서 하는겁니다 억지로 붙어있다고 공부가 되는게 아니랍니다

  • @relaauuq
    @relaauuq6 ай бұрын

    열심히할게 우진아

  • @lightli9354
    @lightli93545 ай бұрын

    탑 된 애들에게는 배울 게 있고 공통점도 있다. 타고난 재능 몰입의 세월

  • @user-fr1vl9gi7h
    @user-fr1vl9gi7h Жыл бұрын

    일타가 그냥 되는게 아니군요 좋은 말씀 감사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