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가 지키는 10가지 습관 ㅣ

🎤 Speaker : 정승제 강사
상위 2%가 지키는 10가지 습관 ㅣ #정승제 강사 3탄
#자기계발 #쓴소리 #가난
📢BGM
✔️Track - The Road to Your Inspiration - Inspiring Cinematic Music
✔️Soundcloud - / keysofmoon
✔️나눔뮤직 - tv.naver.com/v/12021211
#부자습관 #부자 #가난 #성공비결 #자기계발 #동기부여 #성공확언 #자수성가부자 #자기계발서 #강사 #자영업 #가난 #쓴소리 #정승제 #자영업 #사업 #자기계발 #재테크 #부자되기 #부자되는방법 #오늘의글
===========================
☆ 채널의 목적 ☆
세상에 있는 좋은 글과 생각을 나눕니다
나 혼자만 알기에 아까운 글과 생각, 함께 듣고 성장해요!
☆ 채널 저작권 관련 공지 ☆
- 본 채널은 때에 따라 공정 사용을 합니다 (교육을 목적으로 변형, 용도변경, 재해석)
- 공정 사용은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해석이 각기 다르므로 본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가 삭제를 요청할 경우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 저작권 사용에 관한 별도의 표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단에 명시하겠습니다
- 저작권은 보호 받아야 하므로 저작권과 관련하여 문의 및 우려사항이 있다면 문의 부탁드립니다!
▶ 문의: jungyoonkimg@gmail.com

Пікірлер: 61

  • @gurunbon6685
    @gurunbon66859 ай бұрын

    제가 설계직을하면서 이전과 동일한모델일경우 사실 그냥 복사해서붙여넣기해도 관계가없습니다. 근데 처음부터 끝까지 매번 프로젝트마다 새로 그려봤었어요 그리고 모르는부분은 전임자가해둔 자료를 봐도 가능한건데 저는 5시간씩 붙잡고 구글링하고 표준서를 뒤져보면서 프로젝트를 마쳤었어요 물론처음엔 제머리속으로 해내다보니 실수도많았고 틀린부분도 엄청 많았습니다 근데 이게 일년이 지나다보니 이제는 어떤 프로젝트가오든 못하는 설계가 단하나도없습니다. 32살의 나이에 차장까지 올랐고 지금은 단 2년만에 설계팀장으로 올라섰습니다. 누군가가 정해놓은 답을 보고 풀어나가는게 습관이 되었다면 저는 아직까지도 제몸으로 이해하지못한채 헤메고있었겠죠 뭔가를 끝까지 내힘으로 해내본다는건 정말 해본사람만 느낄수있는 성취감입니다 ㅎ 여러분들도 꼭해보시길바래요

  • @jihooon126
    @jihooon12611 ай бұрын

    29살 사업중인데 저도 재수했거든요? 재수 당시에는 ㅈ같고 너무너무 힘들었습니다 공부도 솔찍히 적성에 안 맞고 결과도 크게 좋지 않았고 지방대 간거 빡쳐서 편입까지해서 인서울 기계공학과 갔습니다 입학 할때 마음가짐이 좋아, 이대로 좀 만 더해서 스카이 석사까지 가보자 근데요, 편입대학가서 3학년 1학기 첫학기 1달 좋고 나머지 2년 5개월 힘들었어요 석사도 이건 아니다 싶어서 포기헸습니다 그런데 마음적으로 놓게 되고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결국 마음과 행복의 문제구나 내가 이렇게까지 학벌 높이고 싶었던건 부모던, 선생이던, 잘나가던 친구던, 사회던 타인에게 주입된 행복에 대한 환상을 믿었던거고 그 믿음대로 아득아득 노력해서 살아보니 최대한 노력해서 내가 어느정도 스스로 인정할 수 있는 위치까지 가도 결국 불행합니다. 적성이 중요해요. 지금 하는 공부는 그 적성을 찾기위한 과정이고 그 적성을 찾았을 때 도약하는 방법을 배우는 단계인거지 공부 그 자체가 행복과 미래를 가져다주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지금은 아마도 공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나의 적성과 사랑과 세상을 바라보는 긍정적인 자세입니다.

  • @-_-_-_-0
    @-_-_-_-09 ай бұрын

    공부하기 싫어서 공부 안했고 수시로 전문대 왔어요. 근데 학과가 저랑 잘맞아서 그 전공으로 공부 열심히 해서 지금은 전문직으로 밥벌이하면서 삽니다. 전 많이 안바래요. 주5일 칼퇴근 연차사용가능 존중받는 인격체로 대우받기... 사회생활하면 이 4가지 챙겨주는 직장 만나기 하늘의 별따깁니다. 전 여러번 이직해서 결국 그런 곳에 오게 되었고 무척 만족하고 살고 있음. 님들도 엄한 목표 잡지말고 딱 원하는것만 생각하고 취업하고 사시길 바래요

  • @hhg0727
    @hhg0727 Жыл бұрын

    이분얘기 들으면 뭔가에 미쳐서 그것밖에모르던 그때가 떠올라서 울컥ㅠ 지금은 그러지못하고있기에

  • @junou1902

    @junou1902

    Жыл бұрын

    열정이 사라졌을 때가 가장 비참하네요~ 저도 그럼 ㅋㅋ

  • @user-se7fq5zk4n
    @user-se7fq5zk4n11 ай бұрын

    이런 아들 두면 너무 뿌듯할듯... 사고가... 열정이... 엄마의 마음으로 당신이 자랑스럽습니다.

  • @woojjujjuhyol
    @woojjujjuhyol3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

  • @user-ct6ri8se4m
    @user-ct6ri8se4m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inho6572
    @jinho657211 ай бұрын

    성공한 사람들이 좋아하는 일을 찾으라는 이유죠 ㅎㅎ

  • @YONGJULEE1
    @YONGJULEE1 Жыл бұрын

    영상보는데 울컥하기도하고 기분이 이상하네요. 모두 화이팅입니다.

  • @user-si7bq2uk9b
    @user-si7bq2uk9b Жыл бұрын

    정처없이 흘러가는 일상. 목표를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l9py3ft8g
    @user-jl9py3ft8g Жыл бұрын

    몰입과 지능발달

  • @johnlemon6068
    @johnlemon6068 Жыл бұрын

    결론: 적성을 찾아라

  • @user-eq6ek8nm4j
    @user-eq6ek8nm4j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이 맞아요

  • @-.-8761
    @-.-8761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정승제쌤 너무 좋아하는데 이렇게 한 영상에 좋은 말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 @Oneul_K

    @Oneul_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Oneul_K

    @Oneul_K

    7 ай бұрын

    @@stellabonetti 감사합니당! 오늘도 행복한 일이 많으시길 바래용 🥰

  • @hjn677
    @hjn6779 ай бұрын

    다운로드해놔야징❤

  • @sky-lover
    @sky-lover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회초년생 떄 누구보다 알찬 인생을 살고있었는데, 어느순간 방황후 다시 마음잡고 목표를 재정비하고 새로운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매우 많은 도움이됩니다.

  • @hera-33
    @hera-33 Жыл бұрын

    👏👏👏👍🏻👍🏻💗💗

  • @maji_cal
    @maji_cal11 ай бұрын

    인생 진리를..

  • @user-nh7it5ln1v
    @user-nh7it5ln1v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이런영상들 주제는 다르지만 결국 간절함과 인내를 가지고 해야 이뤄낼수있다 이말인듯. 예를들면 공시생들 새벽에 앞줄앉으려고 학원줄서있는거 누구는 저때잠자고 할때 더 집중해야지 이러겠지만 그냥 간절함이 틀린거임

  • @junou1902
    @junou1902 Жыл бұрын

    ㅇㅈ 해본 사람만 믿고 안해본 사람은 안믿지

  • @user-dn6gv7jt5v
    @user-dn6gv7jt5v3 ай бұрын

    이 분은 괴물이다. 감사합니다.

  • @mycar__
    @mycar__ Жыл бұрын

    대학원와서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AnjuRFarnandes

    @AnjuRFarnandes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생각보다 쉬운 창업아이템 있더라구요 중 고 사 업 인데, 마진율도 좋아요 ! 유튜버 셀앤바이 에듀 검색해보세요 :)

  • @jongbingo7495
    @jongbingo749510 ай бұрын

    좋은 이야기 정승제 슨생님 굉장히 감사. 하지만, 김연아 비가 1년만에 수학 1등급은 좀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함. 공부도 한 재능의 영역이기 때문. 그래서, 자신의 재능에 맞는 적성을 찾는 게 중요한 거임.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말에는 어느정도 동의.

  • @lights6220
    @lights622010 ай бұрын

    무기. 수학. ( 2:14 ) 그런 학습 방법. 30분. 고 3이 그럴 시간이 어디 있어요?

  • @shlee4129
    @shlee4129 Жыл бұрын

    철자가 틀렸어요. speach가 아니라 speech입니다.

  • @user-mv5ub7cy9p

    @user-mv5ub7cy9p

    6 ай бұрын

    ㅋㅋㅋ

  • @kimstone2147

    @kimstone2147

    5 ай бұрын

    I'm speechless ㅎ

  • @lucid9504

    @lucid9504

    4 ай бұрын

    아가리좀 진짜

  • @DJ-qh1ds

    @DJ-qh1ds

    2 ай бұрын

    복숭아 먹고싶네

  • @0iing
    @0iing2 ай бұрын

    진짜 이걸 어릴때 말해줘야됨..

  • @SPACEWALKERS
    @SPACEWALKERS Жыл бұрын

    1:40/9:05/9:37/10:21

  • @user-rb8oi5gj6c
    @user-rb8oi5gj6c8 ай бұрын

    근데 수학 공부 할 때는 일정 시간이 넘으면 봐야 합니다 공부하는 학생들은 착각마시길...

  • @ykkim227
    @ykkim2272 ай бұрын

    어? 나 그랬는데~ 문과였지만 그래서 수학이 재밌었는데~ 그런 내가 지금... 대학원 박사과정중입니다~ 죽을것같긴한데 재밌슴당

  • @red2love
    @red2love3 ай бұрын

    남 헛소리 듣지 말고 괴워로하지말고 슬퍼하지 말고 그냥 살아라 인생 열심히 산다고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인생 대충 산다고 성공 못 하는 것도 아니다. 그냥 살고 그냥 해라. 다만 안 하면 죽는다. 그것뿐이다.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지금 바로 그냥 해라. - 그리고 인생에 조언이 필요하면 최소 1000년 이상 이어져 온 경전이나 명서를 읽어라 대부분 진리이다. 그리고 명서 말을 그대로 바로 지금 당장 해라. 그것뿐이다. 진리는 입 다물고 잡생각하지 말고 배우고 바로, 지금, 당장, 실행하는 것뿐이다. 그리고 성공과 실패는 인간의 영역이 아님을 깨우치고 인생의 희비에 흔들리는 무지를 버리는 것이다. 그냥 살아라.

  • @k_jint.2705
    @k_jint.2705 Жыл бұрын

    해설지 보기전에 수학이라는 개념으로만 풀수있는지에 한해서 안보는거지 암것도 모르는데 해설지 봐봤자 다른거 못푼다

  • @user-nf4wb4wo2l
    @user-nf4wb4wo2l9 ай бұрын

    잘하고 싶으면 노력을 하면 됨 노력도 안하면서 잘하길 바라는건 정신병

  • @Rffdessfrq
    @Rffdessfrq2 ай бұрын

    평생 못함도ㅔ지😂

  • @DJ-qh1ds
    @DJ-qh1ds2 ай бұрын

    음악이 왜 비장해?

  • @endeavorlee1588
    @endeavorlee1588 Жыл бұрын

    필요조건 충분조건 명제의 역과 대우.... 사람들 개소리하는것들 들여다보면 이 기본이 안되어 있다는게 느껴짐....

  • @comsports-korea3427
    @comsports-korea3427Ай бұрын

    강사는 성공?

  • @user-mb7yd7mz3n
    @user-mb7yd7mz3n5 ай бұрын

    미래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 @TeDAN-gu6jz
    @TeDAN-gu6jz Жыл бұрын

    현실? 그거 1주일 고민하는동안 다른과목 거의 못해서 공부량 밀려나고 결국에 따라가지 못함

  • @userimking

    @userimking

    Жыл бұрын

    아..공감 ㅜ

  • @junou1902

    @junou1902

    Жыл бұрын

    숨만 쉬고 그것만 고민하라고 한적은 없음 고등학교 때 힘든건 맞고 그럼 초, 중학교 때 그렇게 해보라는거죠

  • @ck4078

    @ck4078

    Жыл бұрын

    한 문제에 대해 하루에 10분씩만이라도 계속 이어서 고민해봐도 돼요

  • @user-zp2mn8of8n

    @user-zp2mn8of8n

    Жыл бұрын

    02:24 와 바로 예시가 여기 나와버리네요~~

  • @user-ln7ew8nn5i

    @user-ln7ew8nn5i

    11 ай бұрын

    일주일 내내 책상에서 한문제만 고민하며 푸는게 아닙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30분~60분 정도 고민하다가 안 풀리면, 언제든 볼 수 있는 종이에 간단한 정보를 넣어두고 생활하는 틈틈히 생각해봅니다. 잠시 걸을 때, 밥 먹을 때, 기지개 켤 때, 자기 전 등등 그렇게 하다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조금 더 풀어보고 안 풀리면 그 단계에서 다시 또 계속 생각합니다. 정말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 푼 사람과 못 푼 사람 사이의 차별화를 만드는 문제)는 절대 금방 풀리지 않습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는 기억에서 단서를 얻어야 하고 일상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에서 단서를 얻어야 합니다. 예시로 DNA 이중나선구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 목욕탕 유레카, 벤젤의 고리 구조(= 꿈 속에 뱀이 나타난 사례) 등등도 그 한 문제를 풀기 위해 최소 일주일, 길게는 몇년간 그 한 문제만을 생각했던 것 입니다. 이 때 간과하면 안 되는 것이 일상에서 그 몰입 상태를 스스로 깨는 것입니다. 즉, 잠시 쉬는 시간이 나올 때 그 문제를 떠올리냐, 아니면 인스타를 열어보느냐 여기에서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두서없이 주저리주저리 적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bq9lh2eb6h
    @user-bq9lh2eb6h Жыл бұрын

    speach가 뭐냐 무식하게 ㅋㅋㅋ

  • @coala72100

    @coala72100

    Жыл бұрын

    굳이

  • @user-wr2cc7fp6b

    @user-wr2cc7fp6b

    11 ай бұрын

    굳이?

  • @songineers

    @songineers

    9 ай бұрын

    복숭아인듯

  • @user-fq2ph1hg2z
    @user-fq2ph1hg2z Жыл бұрын

    학원강사가 뭔 이리 나대노. ㅋㅋㅋ

  • @skyler62itodi
    @skyler62itodi8 ай бұрын

    모티베이션 포르노인 듯

  • @BASSJHK
    @BASSJHK Жыл бұрын

    억지를 포장하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