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 스포츠

비욘드 스포츠

스포츠, 그 너머

Пікірлер

  • @lolpeter802
    @lolpeter80216 минут бұрын

    롤많이하면 살인 욕구 느낀다는 논리같네

  • @seseh7068
    @seseh706846 минут бұрын

    옷이 똥꼬에 끼면 운동능력이 더 떨어지지 않나? 수영복도 아니고 너무했네..

  • @user-rd9hl5kg6c
    @user-rd9hl5kg6cСағат бұрын

    이제는 스포츠도 엔터가 되어서.. 선수들의 복장이나 이런게 무시될수가 없음.... 흥행이 되어야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몫도 커지다보니...

  • @user-pf6tq7uw9u
    @user-pf6tq7uw9uСағат бұрын

    1. 연맹이나 협회는 자원봉사단체가 아니다. 2. 자유경제에서 경제적 베이스가 없는 컨텐츠는 사라진다. 3. 연맹, 협회, 주최, 스폰이 없다면 여자선수도, 여자팀도 없다 4. 그 누구도 강요한적 없다. 5. 룰이 싫으면 안하면 그만. 6. 누칼협? 남자 선수들이 피지컬과 퍼포먼스를 보여주려고 관절 갈아넣어서 성적내고 흥행시키는건? 건강 논란은 없나? 건강평등은? 각자 자기의 무기를 찾고 선택해서 집중하면 끝이다 뭘 투덜거려 하기싫으면 하지마

  • @Bear18533
    @Bear18533Сағат бұрын

    동양인은 이런 거 신경 안 써도 된다 걱정ㄴㄴ

  • @1000dmdammj
    @1000dmdammjСағат бұрын

    벗은 것도 아닌데...뭐가 이렇게 ㅈㄹ들인지..

  • @user-ps5gl5og3u
    @user-ps5gl5og3u2 сағат бұрын

    뭐만하면 선정적 이런거 보면 이슬람이 옳았다

  • @user-hh9ru9jp8h
    @user-hh9ru9jp8h2 сағат бұрын

    난 여자지만 올림픽때 육상선수들 유니폼 보고 성적이라고 생각해본적없는데~~ 사람마다 가치관이 틀리니~ 선수들의 노출심한 유니폼이 불편한사람들이 있을거고 그건 선수들도 그런분들이 있을거고~ 선수들의선택이중요한듯~ 그들은 기록을 내고 그 기록으로 메달이 갈리니~ 우린 관객일뿐이고 경기를 뛰는건 선수들본인이니까~ 유니폼의 선택은선수의 몫이지 미디어가 왈가불가 할껀아니다~

  • @user-td7zf8hu2p
    @user-td7zf8hu2p2 сағат бұрын

    올림픽 여자종목 보면서 1도 관심없던사람은 나뿐인가? 아니 아예안봄ㅋ

  • @hunlee8921
    @hunlee89212 сағат бұрын

    당신들의 눈이 문제야!@ 당신들이 굳이 그걸 넷상에 자신들의 불편함을 들어내지 않는다면 모두가 행복하다구!!! 하악화악~

  • @1POST1DAY
    @1POST1DAY8 сағат бұрын

    I am proud of you.

  • @practice_id
    @practice_id13 сағат бұрын

    올스타전 이긴선수 소속팀중 하나 추첨해서 드래프트권 하나 주면 될듯 ㅋㅋ

  • @카세트테이프
    @카세트테이프13 сағат бұрын

    요즘엔 정말 다양한 생각이 있는 것 같아요

  • @CAESAR9582
    @CAESAR958216 сағат бұрын

    선수선택에 맡기면 되지 어휴 진짜 불편러들 진짜 돌겄다.

  • @user-it5jm3sg7k
    @user-it5jm3sg7k16 сағат бұрын

    중계 화면이 노골적으로 계속 엉덩이에 포커스 맞추는 건 좀 역겹긴 하네. 그렇게 소비되는 게 선수들 입장에선 진짜 불쾌할 수 있을 듯. 성적 때문에 많이 가리는 걸 입을 수도 없고.

  • @IlIlII-dw6dk
    @IlIlII-dw6dk17 сағат бұрын

    입는 사람은 뭐라 안하지만 못입는 사람만 뭐라 하는 시대가 도래함

  • @gunhee1213
    @gunhee121317 сағат бұрын

    12:33 26초가 아니라 25초 인것 같아요. 브레이킹2 위키피디아 문서에 봐도 킵초게 기록은 2시간 25초로 나오고, 이 영상의 킵초게 인터뷰에서도 25초만 남았다고 하고 있어서 25초가 맞는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을 통해 많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s4xh6rf5i
    @user-ys4xh6rf5i17 сағат бұрын

    그런거라도 해야 cf도 찍고 하는게지

  • @user-ys4xh6rf5i
    @user-ys4xh6rf5i17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웃기네 ㅋㅋ

  • @kim_wheedong
    @kim_wheedong18 сағат бұрын

    자본주의, 외부에서의 시선, 선정적등 여러가지 방면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건 선수들의 선택권이 아닐까 싶네요.

  • @calkestis3149
    @calkestis314918 сағат бұрын

    이런 말 하면 뭐하지만 농구를 했으면 어땠을까 아쉽다

  • @ryanchoi7951
    @ryanchoi795119 сағат бұрын

    쟤네들이 진짜 그옷이 싫다면 운동선수를 그만둿겟지. 굳이 속옷차림에 화장까지 하고 시합을 하겟냐고 ㅋㅋㅋㅋㅋㅋ 결국은 스스로가 그걸 원하기에 그렇게 하는거고 남자들도 그걸 섹시하게 느끼고 본능적으로 보게 되는거임 인간이라 자연스러운 행위임. 저런 노출 반대하는건 그냥 외모에서 도태된 같은 여자들뿐임. 본인들은 그런 매력이 없으니까. 마치 남자들이 차은우는 헬스 하지마라~! ㅇㅈㄹ 하는거랑 같은 이치임. 세상에 결국 절대불변의 진리가 딱 하나있음. 그건 바로 '성' 임~ 결국 여자는 남자한테 잘보이려고 더욱 섹시하게 옷입고 행동하는게 본능이고 남자도 여자한테 잘보이려고 운동하고 돈을 번다 물론 요즘 같은 혐오의 시대에도 그 진리는 변함없이 적용된다 서로 욕하고 혐오하지만 그러는 동시에 이성에게 인정받으려고 자신을 더 꾸미고 있다

  • @user-ch8jt9ex3y
    @user-ch8jt9ex3y20 сағат бұрын

    여성들이 여성스포츠를 많이 본다면 이런건 고려돼지 않았겠죠..

  • @hyunjewoo2921
    @hyunjewoo292120 сағат бұрын

    NFL이 미국 최고 종목이라 미국 어린 운동선수들 중에 운동 능력 좋은 애들은 전부 미식축구 아니면, 야구/농구... 만약 이 아이들이 축구로 가면 미국은 10년, 20년 이내로 월드컵 우승....다만 아직 미국은 남자 아이들이 축구 종목을 선호하지 않아서

  • @user-cg5rf7ko7k
    @user-cg5rf7ko7k20 сағат бұрын

    육상에서 누가 입으라고 강요했나?? 입기 싫으면 다른거 입으면 될텐데?? 굳이?? 어린딸이 브리프를 입히기 싫다면 반바지를 입히면 될텐데 왜 그걸 벤시키라고 하는거지??

  • @ninewritingjeong3669
    @ninewritingjeong3669Күн бұрын

    아반떼가 옵션 1억 5천까지 있을때, 평균 구매가는 2천인데 "1억 5천이나 하는 아반떼"라고 호도하는 언론들

  • @TV-yq5oz
    @TV-yq5ozКүн бұрын

    패딩입고하지? ㅋㅋㅋㅋ

  • @Happy-together215
    @Happy-together215Күн бұрын

    뭐든 돈이구나...사람보다 돈이 우선인 세상...그래도 조금씩 인식이 바뀌고 있다니 다행이네요..

  • @user-vv4sj4uq4p
    @user-vv4sj4uq4pКүн бұрын

    솔직하게 말해보까? 스포츠를 좋아하고 시청하는 사람은 남자가 많지... 그런데 여자들이 하는 스포츠는 재미가 없음. 박진감도 없고.. 그러면 여자들이 맨살이라도 까야지...그래야 시청율이 나오고 돈이 되것지.. 그래서 나는 여자들이 스포츠하는거 그닥임ㅋ 쿠베르탱 말이 맞다고 생각함

  • @user-ni5bo3nr5q
    @user-ni5bo3nr5qКүн бұрын

    미국 육상계나 미국은 지금 여자 선수경기복보단 성정체성문제부터 해결해야 할건데 말이야 ㅋㅋㅋ

  • @happyhour2133
    @happyhour2133Күн бұрын

    일단 고대올림픽때는 나체로 경기에 참여했음. 당시 올람픽이 여자에게 개방되진 않았지만 스파르타등에선 여성들도 나체로 달리기나 격투기에 참여하는등 남녀공히 체육행사 복장문제엔 자유스런 분위기였다고 함.

  • @dadajaeme1300
    @dadajaeme1300Күн бұрын

    가슴성형하고, 지방흡입하고, 화장하고, 노출하고 옷갓 이쁘려고 난리를 하면서 뭐 양성평등???ㅎㅎㅎㅎㅎㅎㅎㅎ

  • @XL883L
    @XL883LКүн бұрын

    프로 불편러, 열폭러, 페미들이 세상을 망치는듯..

  • @nretona
    @nretonaКүн бұрын

    스포츠는 최대한의 결과를 얻기위해 최고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덕목인데. 겉모습에 연연하다니.. 참으로 개탄스런 현실입니다.. 자기 뇌속에 음란마귀 있다고 만천하에 당당히 드러내는게 뭐 자랑이라고 ㅉㅉㅉ 선수의 선택권을 존중하면 결과는 뻔할텐데. 한삼한 그 쪽 사람들. 개인적으로 남자들 유니폼도 선택 가능하면 결과는 어땠을까요.

  • @user-bv3ez1fc5f
    @user-bv3ez1fc5fКүн бұрын

    미안하지만...선수.. 별로...인데..

  • @user-iq7uh8ic7m
    @user-iq7uh8ic7mКүн бұрын

    번허거 -> 빵덩이=빵댕이 초월번역 미쳤다 ㄷㄷ

  • @bookvoicer
    @bookvoicerКүн бұрын

    비키니입고 인스타에 올리는 시대에 저걸 이상하게 생각하는게 이상한거아니냐? ㅋㅋㅋㅋ

  • @moondarkran9763
    @moondarkran9763Күн бұрын

    본인 스스로 조차도 영상을 끝까지 안보고 비판부터 해버렸네요. 항상 안일함을 경계하겠습니다. 깊이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bf9zj7hk8o
    @user-bf9zj7hk8oКүн бұрын

    그렇게 좋으면 니가 입고 뛰어라 집구석 할일 없는 세상 오지랖만 하는 인생아

  • @thesecondoz1413
    @thesecondoz1413Күн бұрын

    댓글 잘 안다는데 정말 멋진 영상, 주제, 멘트 입니다. 바로 구독박고 갑니다. 이런 질 높은 영상 꾸준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meinlet5103
    @meinlet5103Күн бұрын

    항상 궁금했던건데 수영복스러운 여자 유니폼이 더 기능성이 높은데 남자들 중 시도한 사람이 왜 없는지 궁금함 ㅋㅋ

  • @LevisKIM
    @LevisKIMКүн бұрын

    프로면 프로답게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지. 스포츠로써만 즐기고 싶으면 아마추어를 하면 됀다고~ 그걸 Gender니 자본주의니 하는 시각은 너무 단편적이라고~ 대중적이라는 의미는 성적인 시각도 포함된다는 것 정도는 잘 알고 있지? 아 문과애들은 발전이 없는건지 느린건지... 인사이트가 지루해

  • @user-bn5xn7jr2w
    @user-bn5xn7jr2wКүн бұрын

    보는사람이 즐겁자고 디자인 한게 아니고 달리는사람이 편하자고 디자인 한건데 왜 보는사람이 불만이지?

  • @skyPsyduck
    @skyPsyduck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outube_user-lo6kq
    @youtube_user-lo6kqКүн бұрын

    역시 난 아이스큐브를 믿었어

  • @3djai
    @3djai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 @3djai
    @3djaiКүн бұрын

    ㅑㅕㅕㅑㅗ호ㅑㅑㅑㅗㅔㅑ도ㅔ혿

  • @ddrr3576
    @ddrr3576Күн бұрын

    왜 전락이라고 표현하시는지 모르겠어요

  • @I_99_person
    @I_99_personКүн бұрын

    캬 넘 시원한 채널이다. 이제 알다니. 구독하고 가여

  • @1POST1DAY
    @1POST1DAYКүн бұрын

    스포츠도 알려야 스포츠도 만들어야 흥행한다, 그리고 세상에는 공짜가 없고 이유라고 생각해지는 사유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