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묘], 무당과 샤머니즘으로 해석하기! : 한국의 무당 1부

#파묘 #영화 #무당 #무속 #무교 #풍수지리 #샤머니즘 #대살굿
영화 [파묘]로 보는 무당과 샤머니즘 : 한국의 무당 1부
[한국의 신기], [나라만신 김금화 자서전], [무당을 만나러 갑니다]
✋일당백 공지사항✋
‘광고의 신’ 정프로와 함께 하실 새로운 광고주님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일당백 광고 문의 : 1dang100tv@gmail.com 🔔
다양한 광고 기다리겠습니다!🤝
🥩소선당 1++ 한우🥩
최고급 한우를 합리적 가격으로! 선물 세트부터 육회까지 다양한 한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할인 행사와 일당백 광고 기념 사골 곰탕 팩 증정 행사를 진행중입니다.
sosundang.co.kr/
☕️ 일당백과 항상 함께하는 1kg커피~~ 쇼핑몰은 구글플레이 혹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1kg커피 검색하셔서 다운 받으셔도 되고,
www.1kgcoffee.co.kr​​​​​ 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
🍎 더 맛있고 신선한 영주 은하수 사과와 사과즙! 소백지향 홍삼 💪
m.yjapple.com/
sbjinseng.com
영주 은하수 사과와 사과즙 눌러주세요!
소백지향 홍삼도 눌러주세요.^^

Пікірлер: 919

  • @nik2122
    @nik21223 ай бұрын

    태어날때부터 태몽을 각자다 가지고 태어나는 민족

  • @shro4091
    @shro40912 ай бұрын

    거의 20년 전에 민속박물관에서 김금화선생이 황해도 굿 공연 리허설을 하였는데, 보면서 명치끝 아래 뱃속에서 올라오는 짜릿함과 함께 넋을 놓고 보았지요. 이후 유명한 뮤지컬을 여러편 보면서 감동이 있었지만 그때 굿 공연을 넘어서는 감동을 느낀 적은 없던 것 같습니다. 한국의 굿은 인간의 원초적 감정을 이끌어 내는 특별함이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2 ай бұрын

    그런 무당은 여러 신들이 강림하게 해서 신들과 접하게 만들어주죠...

  • @ccami33

    @ccami33

    2 ай бұрын

    😊

  • @jelodie1431
    @jelodie14313 ай бұрын

    오늘 경복궁 근처 율곡로 타고오가면서 보니 마당놀이나 굿하는 분위기로 단체로 춤추시나 했더니 독도수호하는 분들이 열정적으로 몇 시간이나 춤추고 노래하는거였어요. 열정적으로 하는 모습이라고 긍정적으로 해석해 보았어요.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ай бұрын

    그러면 뭐하나? 김대중 정권때 벌서 독도수역 일본에 팔아먹었는데.

  • @user-qe1jk8lo7h

    @user-qe1jk8lo7h

    3 ай бұрын

    김대중정권때 일본하고 가장 친했는데 좌파들은 일본여행 제일 좋아하면서 입으로만 일본 싫다 하는지

  • @user-kf4pk6ex9y
    @user-kf4pk6ex9y3 ай бұрын

    한국의 무속신앙에 대해 잘 모르고 50년을 살았습니다. 무종교지만 토속 샤머니즘도 전혀 안믿고 살았습니다. 최근에 무속신앙에 대해 돌비 공포라디오를 들으며 그중 만신할머니 시리즈를 듣고 재미도 있고 감동도 있는지라 열심히 들었는데 듣다보니 우리나라의 뿌리깊은 전통 신앙이 바로 무속신앙이구나라는걸 알 수 있었습니다. 엄청나게 우리문화에 깊게 뿌리박혀 있더군요. 알게 모르게..

  • @user-xs2lq3hl1l

    @user-xs2lq3hl1l

    3 ай бұрын

    돌비공포라디오 구독자시군요 방가워요 특히 동꼬님이 들려주는 현실공포가 더 재밌더라구욧

  • @user-gm9tz9wb1z

    @user-gm9tz9wb1z

    3 ай бұрын

    전통이라 좋다고 하면서 박근혜 뭐라고 지랄 했는지 기억하냐? 우리나라는 모든걸 상대를 공격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게 아직도 멀었다. 상대를 인정 안하는 고약한 마인드.

  • @skylakeshiny1710

    @skylakeshiny1710

    3 ай бұрын

    저도 윤후혜인아빠님의 만신할머니 이야기 들으면 진짜 옛날이야기 듣는거 같아서 오히려 푸근한 느낌도 들더라구요. 더 이야기를 듣고 싶은데 아쉬운 1인입니당~~~

  • @kidnykiller

    @kidnykiller

    3 ай бұрын

    렛츠가

  • @user-xs2lq3hl1l

    @user-xs2lq3hl1l

    3 ай бұрын

    @@kidnykiller 기릿입니다

  • @user-jq2sg2mw3g
    @user-jq2sg2mw3g3 ай бұрын

    무구가 쇠인 이유는 단군시대가 청동기 시대였므로 일반인들은 소유할 수 없는 청동기의 사용이 힘과 특별함의 상징이 되면서 청동기에서 철기로 쭉 이어진게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 @user-lw3dw4op8j
    @user-lw3dw4op8j3 ай бұрын

    가족이 죽어 굿을 한적이 있었는데 전 큰돈들여서 하는걸 아주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굿하는걸 지켜봤는데...결론은 조상신이 있고없고를 떠나 준비하는 과정부터 굿이 끝나고 정리하는것 까지 돈이 아깝지않았고 너무 정성들이 많이 들어가 망자가 보았다면 충분히 위로 받았겠다.. 라는 생각을 했었지요. 25년이 지난 지금 다른 굿은 보지 못했지만 아직도 기억에 많이 남아요.. 위로는 충분하게 되었어요..

  • @oooooo-td9zj

    @oooooo-td9zj

    3 ай бұрын

    돌아가신 분 이름으로 대학 병원에 수천만원 기부하면 돈이 부족한 청년 ㆍ 어린이 환자햐테 도움을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 @user-hi8zo6lj5g

    @user-hi8zo6lj5g

    3 ай бұрын

    나신교로맨틱성공적

  • @user-ei3xf9ys1b

    @user-ei3xf9ys1b

    3 ай бұрын

    ​@@oooooo-td9zj그렇게 따지면 한도끝도 없습니다 당신부터 외식줄이고 그돈 아프리카보내라면 무조건 아프리카만 보내야 하나요? 자기돈이면 자기가 생각하는데로 쓰면됍니다 범죄가 아니고 사회상규상 크게 어긋나지안으면 되죠 영혼없다고 생각하는사람은 장례식도 뻘짓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장례식 할돈으로 기부하라고 말하진 않죠 😊

  • @jsl8821

    @jsl8821

    3 ай бұрын

    @@oooooo-td9zj 좋죠. 님은 꼭 기부하시길

  • @user-pr6bs7pr2s

    @user-pr6bs7pr2s

    3 ай бұрын

    아주잘하셨고 돈을잘쓰신거라생각해요..누가뭐라해도개무시하세요..특히 종교인들..이기적인 생각들인거죠...우리전통샤머니즘을 무시하는 서양종교가 다 흐트려놓았어요...

  • @arang38
    @arang383 ай бұрын

    네이버 웹툰 미래의골동품가게 보세요! 무속신앙기반 내용이고 작가님이 설명도 잘 해주시고 너무 재미 있어요

  • @user-nt8pw2yy6m

    @user-nt8pw2yy6m

    3 ай бұрын

    강추

  • @user-ot4mi5gj3m

    @user-ot4mi5gj3m

    2 ай бұрын

    오. ㄱㅅㄱㅅ

  • @user-rm1xz8kr9p
    @user-rm1xz8kr9p3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네요!!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e1lo2zwy8s
    @user-te1lo2zwy8s3 ай бұрын

    21:20 한국에선 무당, 무속신앙을 그저 미신 샤머니즘이라며 멸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서구권 사람들이 오히려 더 관심있어하고 일종의 전통 퍼포먼스라고 받아들이는 것 같긴 합니다. 예전 영화 '설국열차' 크랭크인 들어갈 때 배우 존 허트가 봉준호 감독에게 한국식 고사를 지내달라고 먼저 요청해서 진행했는데 축문을 태우는 장면을 보고 아름답다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죠. 한국개신교인들은 굿이나 제사 고사 같은 전통문화를 경멸하지만 솔직히 교회에 십일조 내면서 기도하는거나 무당한테 돈주고 굿하는 거나 나 자신 또는 누군가를 위해서 하는 행위이니 별반 다르지 않다고 보는데 제 생각에도 굿은 전통공연의 하나로 보존하고 이어가는게 더 바람직하지 않나하는 생각은 듭니다. 이번 영상도 잘 보고 갑니다.

  • @chae-okjeong9097

    @chae-okjeong9097

    3 ай бұрын

    유럽 살고 있어요. 님과 같이 생각합니다. 60평생 굿이나 점 쳐본적 없는 과학적 사고를 하려고 하면서 살지만, 인류의 원시신앙이며 인류문화의 시원으로 무속 보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aeranharris1425

    @aeranharris1425

    3 ай бұрын

    캐나다 살고있어요. 한국의 무속신앙은 한국 문화의 대표이자 보호해야할 가치가 높습니다. 굿하는 영상을 보며 많이 공감하고 울었던 기억이남니다. 한국인의 정서가 그보다 찐하게 표현된건 본일이 없어요.

  • @iillliiiiillliil

    @iillliiiiillliil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darkani5665

    @darkani5665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무속 문화재들과 신앙은 일제 강점기 때 총독부가 한국 친일 기독교 목사들 사주 받아가며 죄다 초토화 시켜버렸습니다. 우상 숭배 없애는 게 목적인 기독교가 .... 정작 신사 참배에는 앞장서지요.

  • @mj-xo1nr

    @mj-xo1nr

    3 ай бұрын

    기독교인이지만 공감하고 존중할 만한 말씀입니다

  • @lee-wn7ev
    @lee-wn7ev3 ай бұрын

    "미신"이란 말로 우리전통문화가 사라졌다고 보는 일인! 기독교 + 식민사관 = 기독교전파+민족정기말살 일본 각 지역 마다 샤머니즘적 축제가 있고 우리나라는 그런게 거의 사라졌음. 이게 우연은 아니라고 봄.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3 ай бұрын

    유교적 합리주의가 자리잡은 조선시대에 무속의 신에 대한 이야기들을 없애거나 폄하하는 이야기로 바꾸기도 했다고 들었습니다. 님의 견해도 일리가 있을 수 있지만, 조선시대의 영향을 아예 무시할 수는 없을 것같아요.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3 ай бұрын

    꼭 그런건 아님. 공산주의도 모든 족교 박살냄. 구지 기독교만 욕먹는 이유는 그냥 사람들이 기독교가 진리를 전하니까 지가 찔려서 그런거임. 솔직히 우리나라는 초반에 선교사님들 오시면 그냥 다 죽여버린 나라임. 그런 선교사님들이 교회세우고 병원 세우고 그런 나라인데 식민지 운운하는거는 참 생각없이 남의 주장 받아들이는 거임.

  • @user-oo1gx7yu6n
    @user-oo1gx7yu6n3 ай бұрын

    몇 번을 듣는, 아주 재미난 편입니다..정박님의 해박하심 칭찬드립니다!👍👍❤

  • @user-to4mi3fp5j
    @user-to4mi3fp5j3 ай бұрын

    유익했습니다 ㅎ

  • @user-fi1iz7rk1h
    @user-fi1iz7rk1h3 ай бұрын

    예전에 돌아가신 서정범 교수님 의 무당에 대한 책도 있었지요 재미 있게 봤던 기억이 있네요

  • @bestBTS777
    @bestBTS7773 ай бұрын

    1000만 될 영화. 울딸은 두번 봤어도 재밌데요 꼭 보세요😊

  • @user-nt8pw2yy6m

    @user-nt8pw2yy6m

    3 ай бұрын

    그정도는 아님

  • @user-fn8dq6cc4w

    @user-fn8dq6cc4w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재밌었고 의미도 좋고요.

  • @wonderwomanjj5701
    @wonderwomanjj57012 ай бұрын

    정박님 ❤ 한 프로그램을 위해 이렇게 많은 보조 교재를 사용하시니 내용이 매우 풍부해서 좋습니다. 훌륭하십니당😊

  • @user-bj5zu4zg4v
    @user-bj5zu4zg4v3 ай бұрын

    설명진짜 잘하십니다

  • @user-jx2vo4hi4m
    @user-jx2vo4hi4m2 ай бұрын

    파묘. 좋았어요. 긴장을 유지하는 전 과정이 좋았고, 스토리가 중첩되면서 전개되는 얼개가 좋았어요.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2 ай бұрын

    안목이 형편없네요..

  • @user-cf1me8wp8w
    @user-cf1me8wp8w3 ай бұрын

    좋아요 먼저 누루고 시작해요❤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3 ай бұрын

    태백산맥에서 소화가 생각납니다. 우리의 정신을 치료해준 무녀들의 일생이 생각납니다. 정박님 ❤

  • @user-td1jm2pp8b
    @user-td1jm2pp8b2 ай бұрын

    정박님은 어떤 분야에도 막힘이 없으셔서 정말 놀랍습니다! 오늘도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arine_peng
    @marine_peng3 ай бұрын

    전 그 트랜스 상태 교회에서 주여, 할렐루야 이런게 무서워서 안 가기 시작.... 술도 그래서 안 좋아하구요. 내가 나를 잊는게 난 너무 무서운데 .... 그래서 불교 가장 좋아해요.

  •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3 ай бұрын

    동감요 그 트랜스상태🤣🤣🤣🤣🤣🤣

  • @eunhyelee2344

    @eunhyelee2344

    3 ай бұрын

    선불교인가 거기도 무아상태로 가지 않나요?? 저는 기독교인데 최근 를 읽었어요. 저자가 불교서적 읽고 참선(?)그런 비슷한 수양하면서 내적고요를 찾아나가는 이야기거든요. 그 상태가 궁금해서 해보려는데 전 교회부흥회도 그렇고 도저히 그런 상태로 안들어가더라고요.. 술은.. 걍 어지럽고 대가리에 총맞은 느낌이라 싫구요. 전 궁금한데 안되네여

  • @user-gg7rf9pq2o

    @user-gg7rf9pq2o

    3 ай бұрын

    ​@@eunhyelee2344저도 그냥 독학하는 거라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참선은 선에 참여한다라는 뜻이고 불교에서의 모든 악은 욕심에서 오니까 나를 잊는다 라기보단 그릇된 마음을 지운다에 더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 사실 원래는 모든것이 연결되어 있고 모든 것이 비어있기에 나를 비우는게 참선에 더 가까울 테지만 불교 신자가 아니거나 불교 철학 공부를 안하셨다면 이해 하기 힘드실것 같아 살짝 왜곡을 섞었습니다

  • @user-ve7yc1bj2y

    @user-ve7yc1bj2y

    3 ай бұрын

    술은 정신을 흐리게하는 약물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마신다고 해서 결코 괜찮은 건 아닙니다.

  • @user-rr8cz4zm1u

    @user-rr8cz4zm1u

    3 ай бұрын

    명상이나 참선도 사실 따지면 조용한 트랜스 상태입니다 그래서 소신공양 같은 것도 가능한 거고

  • @user-lg2tx6we6b
    @user-lg2tx6we6b3 ай бұрын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다1 - 최준식 교수님 책 재밌습니다!

  • @eunhyelee2344

    @eunhyelee2344

    3 ай бұрын

    읽어보고 싶네요.

  • @XOOCKE
    @XOOCKE3 ай бұрын

    가볍게 들을법하면서도 심오하고, 무서운듯 재미있는 주제네용 ㅎ❤

  • @user-zs3ok7yz7d
    @user-zs3ok7yz7d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정박님

  • @user-ns1rt8dh9c
    @user-ns1rt8dh9c3 ай бұрын

    종교든 무속이던 재미있는 동화라고 생각하고 즐기시라 너무 깊게 빠지면. 위험

  • @jehwanlee4101
    @jehwanlee4101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pigterian
    @pigterian3 ай бұрын

    정박님❤

  • @dddd-zw6zi
    @dddd-zw6zi3 ай бұрын

    꼭 들어야 하는 방송😊

  • @eunbalman
    @eunbalman3 ай бұрын

    샤면의 핵심은.. 영매인데. 즉 신이 먼저가 아니라 죽은 뒤 편안한 곳으로 가지 못하고 떠도는 죽은 자를 불러내어 원한을 해소해주고, 산자들과 못다한 이야기를 해서, 산자와 죽은자가 서로 마지막 인사를 하고 편안한 곳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입니다. 죽은 자에 대한 마지막 예우를 하는 과정이며 지극히 휴머니즘적인 과정입니다. 한국인들은 죽은 자들에게까지 마지막 예우를 다하고, 서로 마지막 인사를 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무당의 존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죠.. 이런 영매가.. 한국에서는 지속적으로 배출된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로운 현상입니다. 선진국 그 어디서도 영매를 배출하는 과정이 이토록 정교하고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국가나 민족은 없기 때문이죠.. 기독교에서 구약성경이 끝난 것도 이런 영매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서 신의 예언을 말할자가 없기 때문이죠. 그게 무려 2500여년전이고요.. 한반도는 지금까지 영매가 지속 배출된다는 점이 한반도 역사의 매우 특이하고 중요한 역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것은 한반도가 유라시아 대륙 동쪽 끝.. 즉 해가 맨 먼저 떠오르는 지역이라는 것이죠. 태양숭배는 고대 종교의 공통인데, 그런 관점에서 한반도는 태양이 맨먼저 뜨는 지점이라, 고대 샤면들의 관점에서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resetcorea

    @resetcorea

    3 ай бұрын

    👍👍👍👍👍

  • @greenkk5144

    @greenkk5144

    3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 @user-qm7hv8lm7v

    @user-qm7hv8lm7v

    3 ай бұрын

    민속학자이신가요? 존경합니다^^

  • @user-kc4uc9js6o

    @user-kc4uc9js6o

    3 ай бұрын

    와우 참 이해되고 공감되는 말씀 고맙습니다.

  • @user-wo9ux3re3d

    @user-wo9ux3re3d

    3 ай бұрын

    아!네~모르던부분 알게되어서 감사합니다^^

  • @user-hl5nz3kj1g
    @user-hl5nz3kj1g3 ай бұрын

    일당백 감사합니다❤

  • @user-oo1gx7yu6n
    @user-oo1gx7yu6n3 ай бұрын

    오늘도 흥미진진 엄청 재미 있었습니다!😂 정박님과 더불어 장차 세 분은 일당백의 신이 되시는 게 아닐까요~😅❤

  • @littledragon1954
    @littledragon19543 ай бұрын

    한국의 기독교는 샤머니즘과 비슷해졌다.

  • @seungkim4139
    @seungkim41393 ай бұрын

    옛날 집 앞 주택가 빈터에서 돼지 한마리 잘 차려진 상위에 올려 놓고 초불은 높이 솟아 있고 무당이 붉은색 옷을 입고 방울을 흔들면서 춤을 추던 모습이 아직도 선하네.

  • @kisseraqua1
    @kisseraqua13 ай бұрын

    잼난다 파묘는 안봤지만 타이밍이 좋은 이야기

  • @user-kz5ut3ue5r
    @user-kz5ut3ue5r3 ай бұрын

    일당백 최고다!!!!!!!!!

  • @user-ez6ww4dj4p
    @user-ez6ww4dj4p3 ай бұрын

    세분..화이팅 정영진 찐팬인데 이제 두분도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 @smartmanwsh
    @smartmanwsh3 ай бұрын

    최고의 콘텐츠입니다. 정박님의 해박함은 유일합니다.

  • @Amon-tb3fl
    @Amon-tb3fl3 ай бұрын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게 늘어난 시대에도 종교적 신념이 없어지지 않죠 각 민족들이 살아온 환경이 다른거고 오랜 시간 함께해온 종교들이 실생활에 파고들수밖에 없다고 봐요 돈만을 위해 사기에 가까운 행위를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의뢰자의 힘든점을 들어주고 마음의 평안을 주는 행동들은 충분히 종교의 역할을 한다고 봐야죠

  • @holicsoo4431
    @holicsoo44313 ай бұрын

    그 옛날 할머니가 장독대에 정안수 떠놓고 빌던 대상이 북극성신이고,마고신이고, 삼신할미이다.. 북극성신이자 마고신.마고는 지구상의 모든만물을 관장하는신이다.. 즉 할머니가 빌던 대상이 진짜 신이고 진짜 종교이다.. 나머지는다 주식회사 종교이다.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3 ай бұрын

    그게 창조주야. 조물주. 하나님. 오케이?

  • @user-yx3ri7qe2z

    @user-yx3ri7qe2z

    2 ай бұрын

    창조주 조물조 ,,,하나님이(유독 개신교만)아니고 하늘님,,,,​@@yikwonjang2978

  • @lapis621

    @lapis621

    2 ай бұрын

    7星사이다......💦

  • @user-vp4nk7hs9z

    @user-vp4nk7hs9z

    18 күн бұрын

    ​​​@@yikwonjang2978 그러니까 야훼는 창조주도 아니고 하나님도 아님

  • @user-ly2cs6ls8k
    @user-ly2cs6ls8k3 ай бұрын

    파묘 재밌게 봤는데 이번편 재밌겠다❤

  • @user-fh5zg2gb6l
    @user-fh5zg2gb6l3 ай бұрын

    정프로님은 순수함이 매력입니다~~변질되지 마세요

  • @user-qm5ot3zr4u
    @user-qm5ot3zr4u3 ай бұрын

    어딜때 굿하는 집들 종종 본것 같은데 ..지금은 보기 어렵내요 전 무신론자 이지만 굿판 문화는 문화재로 지정 해도 될것 같음~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3 ай бұрын

    일부 굿은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들었습니다.

  • @user-dw2zz1nl5o

    @user-dw2zz1nl5o

    2 ай бұрын

    요새는 신당에서 한다고 합니다. 집에서 안하고 영험한? 장소에 굿당들이 많이 들어서 무당들이 장소를 빌려서 한다고 합니다.

  • @zikiryjin
    @zikiryjin3 ай бұрын

    재밌다~

  • @lcmpark
    @lcmpark3 ай бұрын

    정프로님이 좋다.

  • @user-yn3bv1vj4b
    @user-yn3bv1vj4b3 ай бұрын

    정박님 반갑습니다 사회가 혼란스러울때 더욱 많이찾는거갔읍니다❤😂🎉

  • @tvpadma3231
    @tvpadma32313 ай бұрын

    무당의 자손이 무당된다는 말이 있는데 다른나라에도 무당많으나 한국무당은 대우받죠. 우리 조상들은 과거 고조선이전의 시대때부터 하늘에 제사를 담당하던 제사장들이었어요. 즉 대체로 뼛속부터 무당임.

  • @pijareu7173
    @pijareu71733 ай бұрын

    남의 고통을 대신 해주는 무녀의 숙명!

  • @user-tr2lt2lz1s
    @user-tr2lt2lz1s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carloz3927
    @carloz39273 ай бұрын

    영진이 형 행복한 거 맘껏 햐🎉🎉🎉

  • @user-ls8lk7zk9k
    @user-ls8lk7zk9k3 ай бұрын

    모세5경 제사의식 보면 한국무당 굿하는 모습이랑 똑같다.. 누가누구한테 미신이라하나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3 ай бұрын

    그렇게 성경을 잘 알면 성경이 창조주 하나님 섬기는 거랑 한국무당은 잡신 귀신이나 섬기는것도 알겠네? 성경으로 따지면 미신이 아니라 악귀야. 성경에 그런 사람은 돌로 쳐 죽이라고 써있는것도 알겠네? 아는척 하기는 ㅋ

  • @jiseo6298
    @jiseo62983 ай бұрын

    아직 세계에서 샤머니즘을 극복한 사례가 없죠. 서양은 별자리 타로등 각종 무속이 강고하고 그외 다른 곳은 말할것도 없죠

  • @user-vz1eh8md8n

    @user-vz1eh8md8n

    3 ай бұрын

    서양은 별자리가 사람의 인생과 아무관련 없단 연구논문 있다네요.. 아시아는 사주나 점같은 거 과학적으로 통계낸 적이 없고 그냥 믿는거자나요 점쟁이들은 사람보고 넘겨짚고 얘기 푸는거구요

  • @kjblueskyjp

    @kjblueskyjp

    3 ай бұрын

    @@user-vz1eh8md8n 중국과 한국 동양의 사주팔자 풀이가 바로 지구에 영향을 주는 별자리로 어떤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것 입니다. 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가 어떤 사람의 태어나는 싯점에 그 별자리의 상관 관계로 어떤 특정 개인의 운명을 풀어 나가는 학문이 바로 사주팔자 임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ай бұрын

    종교와 사이비의 차이는, 사이비의 추종자들 숫자가 너무 많아져서 정치적 세력을 가져서 더이상 사이비라고 비하하지 못할 정도로 커지면, 그게 종교가 되는것이지.

  • @user-bd9dd6qq7b

    @user-bd9dd6qq7b

    3 ай бұрын

    ​@@davidjacobs8558묘한데 맞는것 같네요 기성종교도 따지고 보면 반사이비 입니다

  • @jakovisce

    @jakovisce

    3 ай бұрын

    기독교랑 천주교 이슬람교랑 샤머니즘이랑 다른 점 없는 것 같아요.

  • @user-hh7ki7rw9c
    @user-hh7ki7rw9c3 ай бұрын

    정박님 방가워요^^

  • @white-santa
    @white-santa3 ай бұрын

    검정색 책 받침(정박사님) 은 어느 제품일까요? 궁금합니다

  • @silverstone5238
    @silverstone52383 ай бұрын

    대살굿만 봐도 엄청납니다. 영화관에서 꼭 보시길 권합니다.

  • @marciak9027
    @marciak90273 ай бұрын

    옛날에 연안부두 풍어제에 김금화 선생님이 하셔던거 같은데

  • @suribilee4886
    @suribilee48863 ай бұрын

    우리 샤머니즘에서 여성이 많은건 과거 조선 이전 유교가 주류가 되기전에는 여성들 권리가 꽤 강했다는 방증이고 이유가 어떻든지 샤머니즘에서는 오히려 여성이 주도권을 가진 기간이 오래 흘러 고착됐다는 증거죠.

  • @hkkhhq8066

    @hkkhhq8066

    3 ай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인류 역사에서 대규모 침략 전쟁이 벌어지기전 까지 여성은 권리가 강했음 생명을 잉태하고 낳으니까. 침략 전쟁이 발생한 이후로는 여자의 권리가 축소됨. 종교와 신화에서 여성 유일신 -> 다신 -> 남성 유일신 으로 종교 형태가 변한 이유도 전쟁임

  • @user-im8sm1vf2e

    @user-im8sm1vf2e

    3 ай бұрын

    여성이 음기가 강해서 귀신이랑 친하다고 믿은거임

  • @heaveninthesea4914

    @heaveninthesea4914

    3 ай бұрын

    @@user-im8sm1vf2e내 생각에도 님 말이 더 신빙성 있어보임.

  • @user-kimyeebac

    @user-kimyeebac

    3 ай бұрын

    @@user-im8sm1vf2e 그건 기독교같은디 ㅋ

  • @user-mi9ow3bi8r
    @user-mi9ow3bi8r2 ай бұрын

    쇄소리의 특유에 Hz, 진동이 에너지체를 정화시키고 순수 경험을 돕기도 합니다

  • @user-qe9hc3um5e
    @user-qe9hc3um5e2 ай бұрын

    파묘 아직 안보러 갔는데 가야겠네요.

  • @yeonfish
    @yeonfish3 ай бұрын

    정프로님 오늘도 말씀 잘하시네요~ 잘 들었습니다!^^*

  • @4bookjari182
    @4bookjari1823 ай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햔국사람은 기독교 기반한 악마와 엑소시즘 테마보다 샤먼 토템 무당테마가 더 무서움 누가 그러던데 조상 묫자리 잘못쓰는거 손있는 날에 이사하는 거 풍수지리 안좋은 곳에 터잡는 게 더 무섭다고 ㅋㅋㅋ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3 ай бұрын

    우리 종특이 날로 처먹으려 하는 것이니까!

  •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3 ай бұрын

    ​@@user-ov5zm5rz3v너겠지. 우리로 일반화 시키지 마라. 더러우니까

  • @user-zu2qt1tx4p
    @user-zu2qt1tx4p3 ай бұрын

    일당백 잼있어요

  • @chosungo
    @chosungo3 ай бұрын

    위치선정 좋네요

  • @user-rb6tk9cp1p
    @user-rb6tk9cp1p3 ай бұрын

    졍겨운 굿춤 재미와 풍자가 있고 좋아요.이단종교가 더무서워요 안믿으면 지옥간다고 하는말

  • @kukjinhan3314
    @kukjinhan33143 ай бұрын

    영진이형이 있어야 할 곳은 경제도 정치도 아니고, 인문학 입니다.

  • @narikim3592

    @narikim3592

    3 ай бұрын

    인문과 과학 즐거워하시는게 제일 느껴져요

  • @lotus.5463

    @lotus.5463

    3 ай бұрын

    알아서 하겠죠. 😊

  • @user-wz5bc2nt9i
    @user-wz5bc2nt9i2 ай бұрын

    45:05 영화 존말코비치 되기라는 영화도 비슷한 주제로 다룬 대표적인 영화죠~!

  • @user-po8di8xh6r
    @user-po8di8xh6r3 ай бұрын

    너무 살기힘든지금이니까 그렇쵸 살기가 나아져봐요 무속 그런거 신경도안씁니다

  • @user-fl5eg6tr3s
    @user-fl5eg6tr3s3 ай бұрын

    파묘 흥행은 샤머니즘보다 반일 감정인것 같은데

  • @anhokeun8648
    @anhokeun86483 ай бұрын

  • @user-bm1xt7sg1e
    @user-bm1xt7sg1e3 ай бұрын

    정프로님 매불쇼에서 가만히만있어도 좋아요 돌아오오

  • @user-mx2zi4vq7m
    @user-mx2zi4vq7m3 ай бұрын

    쇠소리를 듣는것은 소리의 진동이 온몸으로 신령의 말씀, 형상, 냄새, 촉각이 순간적으로 전해진다고 했어요

  • @user-cs7mx3pi3n
    @user-cs7mx3pi3n3 ай бұрын

    썬글라스 끼신분 과학 채널에서 처음 알게 되었어서 과학채널에서 무당이야기!?? 하며 호다닥 들어왔는데 다른채널이군요 ㅋㅋㅋ

  • @Reewon1223

    @Reewon1223

    3 ай бұрын

    선글라스 끼신분 ㅋㅋㅋ 정프로님 더 분발하셔야겠어요

  • @jonghoonkim8688

    @jonghoonkim8688

    3 ай бұрын

    저분이 연예인의 연예인이라고 일컬어 진다고 하는 …. ㅋㅋㅋ

  • @user-yj3rt5hw5r
    @user-yj3rt5hw5r3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 @user-zt1bb5ri7d
    @user-zt1bb5ri7d3 ай бұрын

    구독❤❤❤❤

  • @ursweet
    @ursweet3 ай бұрын

    자막 넣어주심 좋겠어요

  • @klee4813
    @klee48133 ай бұрын

    초고대 사회에 왕은 하늘의 별을 보고 점을 치고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었다.

  • @hanahan-mf3to
    @hanahan-mf3to3 ай бұрын

    유튜브의 유재석 정프로 최고

  • @happylearning8110
    @happylearning81103 ай бұрын

    광고인가 아닌가 싶을 때.... 흘러나오는 음악으로 ㅋㅋ

  • @Sangnal
    @Sangnal3 ай бұрын

    김고은 좋아요

  • @user-ii9bo8vj7q
    @user-ii9bo8vj7q3 ай бұрын

    몇천년동안 이어온 무속신앙을 단순히 미신이라고 취급하는건 전통문화 보존차원에서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 @user-op7co2cy3v

    @user-op7co2cy3v

    3 ай бұрын

    과학적이지 않은게 미신이지..

  • @hongkim9478

    @hongkim9478

    3 ай бұрын

    수천년 전통이 내려올땐 다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문화의 차이 다양성을 자기 신념과 다르다고.서구 과학이란 명목으로 미신이라 할 필요가 있을까요

  • @hongkim9478

    @hongkim9478

    3 ай бұрын

    샤먼은 삼신을 모시고 소통하고 삼신의 광명을 회복한다는 뜻이네요.

  • @user-sv9nt7mm1z

    @user-sv9nt7mm1z

    3 ай бұрын

    @@hongkim9478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때에야 전통이 되고 문화가 되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면 그건 그냥 미신이죠 페더러가 경기장에 들어오면서부터 루틴을 지키면서 하는 것과 지키지 않는 것은 경기력에 영향을 주니까 해야 하는 게 맞지만 그거 하나 안하나 경기력에 영향이 없는 사람한테는 쓸모 없는 정신력 낭비죠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3 ай бұрын

    신앙 자체는 별 관심 없지만 '이야기'들을 모르게 되는 것은 아쉬워요. (예를 들면 삼신할머니가 있고 아이 탄생을 주관하는 신이라는 정도만 알지, 삼신 할머니의 이야기는 잘 모르잖아요. )

  • @user-bw9nu5mn8d
    @user-bw9nu5mn8d3 ай бұрын

    1시간 든~든

  • @user-yt6lh1tr4m
    @user-yt6lh1tr4m3 ай бұрын

    파묘 굳굳

  • @Dilellma
    @Dilellma3 ай бұрын

    파묘 코인 가즈아! 꿀잼 영화

  • @user-yb8oq7sk8g
    @user-yb8oq7sk8g3 ай бұрын

    전문가를. 모셔놓고. 사회자들의. 이런 냉담한. 반응은. 뭔가요...?

  • @SangAoooSangA
    @SangAoooSangA2 ай бұрын

    미국이랑 인도 옆 네팔 살았는데 다 춤추고 노는거 좋아합니다. 우리나라야 말로 춤추고 즐길 파티가 없는 것 같아요.

  • @HongwoonHeoham
    @HongwoonHeoham5 күн бұрын

    조상신하고 하나님하고 김일성하고 같이 보는데 열정저으로 보이남.ㅎㅎ 불교가 없는게 천만다행이다.ㅎㅎ

  • @user-sy4tw1fx6c
    @user-sy4tw1fx6c3 ай бұрын

    크리스마스 트리. 산타클로스. 선물장식. 십자가. 성모마리아동상.태양신 섬김(주일예배) 이모든게 서구유럽사회 샤머니즘입니다 초대교회때는 없던건데 이후 이교도들의 유입되는과정에서 들여온것인데 오늘날종교적 형태로 자리잡고있는겁니다

  • @user-fe5yi8wf9r

    @user-fe5yi8wf9r

    3 ай бұрын

    그렇겠네요. 예수신화에서도 동방박사 숭배사상 동방벅사라는 존재는 조로아스터교 무당이라는데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3 ай бұрын

    맞아요. 하지만 이교도들에게 순수한 신앙이 자신들의 문화로 나타내는 것을 하나님을 기뻐하시죠. 월요일날 마음을 다해 예배드리나 일요일날 드리나 하나님은 믿음을 보시죠. 베드로에게 이방인들이.먹는 부정한 음식을 먹으라던 하나님의 명령을 보면 결국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믿음이죠. 사람이 사는동안 문화와 삶의 다양한 모습들을 다 무시할수 없어요. 마음을 다해 크리스 마스 트리를 장식하면서 예수님께 감사드리면 그것도 받아주시는 하나님이에요. 하지만 아무리 성경적으로 율법적으로 살아도 마음이 없으면 그건 하나님한테 죄짓는 거에요. 성경을 전체적으로 봐야죠. 종교적 형태라는 것은 그게 정말 순수한 신앙에서 근거한거냐 아니면 그냥 샤머니즘같은 인간의 원초적 종교심에서 나온거냐에 따라 다른거죠.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믿음입니다. 그리고 그런 믿음으로 하는 행위는 하나님이 받아들이는 선입니다. 그걸 종교생활이라고 손가락질 하는거는 하나님을 손가락질 하는거죠. 그래서 위대한 종교인들 바리세인들이 하나님의.뜻인 예수님께 욕을 엄청 먹습니다.

  • @user-fe5yi8wf9r

    @user-fe5yi8wf9r

    3 ай бұрын

    @@yikwonjang2978 끌끌 쥐능 니가 말하는게 바로 자의적 해석이다. 사이비 사막환타지 소설에 베드로 이야기처럼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하라는 이야기 없지? 사막잡신이 장식하라는 말도 없었는데 니 멋대로 자기합리화 헛짓거리 하는거야 그게 바로 십자군 학살 방화 약탈 강간으로 나타나는거지 사막미신 사막잡신교 환자들의 쥐능이란 한결같네 ㅋㅋㅋ

  • @yeosookkim6914
    @yeosookkim69143 ай бұрын

    사회자님음성최고최고

  • @user-oc9kl3qc2t

    @user-oc9kl3qc2t

    3 ай бұрын

    근성으로 답하고 추임새 넣어서 집중 안됨

  • @user-fn8dq6cc4w
    @user-fn8dq6cc4w2 ай бұрын

    김고은 진짜 기가 막히드만 대살굿씬은 소름이 쫘아악. 찐 무당 찐 굿 보는줄

  • @user-fu3ls3ru3h
    @user-fu3ls3ru3h3 ай бұрын

    개신교 목새의 80%는 무당하고 무슨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잘 모르겠다.

  • @user-km3hm9em5o
    @user-km3hm9em5o3 ай бұрын

    당골 이 아니고(단골)입니다 (단골)이라는 뜻은 단군의 자손이고 단군의 뼈대로 내려온 자손이 라서 (단골)무당 이라고 합니다 단골이라는 뜻을 전국적으로 정확하게 전파해 주셨으면 도움이 될거 같읍니다 저는 60년 동안을 박수 무당으로 걸어온 살아있는 현 증인 입니다

  • @user-eo5hv5zn5p
    @user-eo5hv5zn5p3 ай бұрын

    옛날에 홍나희가 아들 서울대 보내고 싶어서 굿을 했다고 합니다. 굿이 효험은 있나봅니다. 이재용이 서울대 간 걸 보면...

  • @Kevin-br6wd

    @Kevin-br6wd

    3 ай бұрын

    원불교 최대 후원 집안인데 너무나 당연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3 ай бұрын

    굿만 가지고선 안되죠. XX의 사람들을 동원한 눈치작전의 끝판왕 소리를 들을 정도의 노력도 있어야 운도 따라오는 거죠.

  • @user-do4xq5or5k
    @user-do4xq5or5k3 ай бұрын

    신과 함께 있으니까

  • @Daizy9
    @Daizy93 ай бұрын

    정영진님의 말이 맞다면 한국의 프로파일러계가 잃어버린 최고의 인재들이네요 😂

  • @woorimi2
    @woorimi23 ай бұрын

    영진씨 보고싶네요 매불쇼에서~ 하루빨리 돌아오시길. ..

  • @magneto1997

    @magneto1997

    3 ай бұрын

    매불쇼에서 인생종치지 마시고 돌아가지마세요.

  • @user-ey4cw6sw5h
    @user-ey4cw6sw5h3 ай бұрын

    서울대 출신들 의외로 점, 무당등 종교적 광신도들이 많던데요? 오랜기간 비사회적 활동, 거의 교과서등에만 붙어지내다보니 황당한 종교등에 너무나 쉽게 빠지는 듯 한다고 봅니다. 어쩌면 당연할지도…사람의 심리는 본태적으로 비슷하니까..

  • @user-ew7zh6qd8m
    @user-ew7zh6qd8m3 ай бұрын

    한국에 무당들이 백만명 이넘어요!!!일산 가면 아파트 한집건너 점집 보살집입니다

  •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3 ай бұрын

    북한이 듄의 축소판 이네요!! 🤣🤣🤣🤣 신격화 된 인간의 모습과 열광하는 백성들!!

  • @user-qy1ju5bu7h
    @user-qy1ju5bu7h3 ай бұрын

    오늘 지선씨.. ㅠ 이건 기독교의 우상숭배 배척, 이런 게 아니라 그냥 오랫동안 전해지고 어쩌면 우리 무의식에도 새겨져 있는 샤머니즘, 주술을 알아보는 시간 같은데요. 기독교와 무속 이렇게 보지 말고 인류학? 민속학으로 가볍게 보면 이해가 더 쉬울 것 같네요.

  • @user-guest1234

    @user-guest1234

    3 ай бұрын

    저쪽에서 먼저 유일신이라면서 딴건 다 배척하니까 그져

  • @user-gf2qy5ey5r

    @user-gf2qy5ey5r

    3 ай бұрын

    제가 하고 싶은 말이었습니다. 아쉬워요...

  • @ezidor8397
    @ezidor83973 ай бұрын

    ㅋ 대단하네.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3 ай бұрын

    고따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죽은자의 얼굴에서 그대 자신을 인식하라 담마빠다(법구경)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