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발전해도 종교가 살아남는 이유 f.성해영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신과대화]

서울대 종교학과 성해영 교수가 출연하는 이번 영상에서는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의 역할과 개인의 신앙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특히 개인화, AI 등 빠르게 변하는 시대를 마주하는 인류에게 과연 종교가 여전히 필요한지 논의하며 종교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전합니다.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727

  • @user-ez7zh2rr1x
    @user-ez7zh2rr1xАй бұрын

    저도 카톨릭 신자입니다. 성당 봉사도 열심히 하고 있는데 요즘은 제가 예수님을 믿는 건지 성당을 믿는건지 혼란이 옵니다. 성당에서 벗어나 주님만을 만나며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봉사가 아니라 저의 시간과 노동력을 이용당하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user-zs6mu8dq8v

    @user-zs6mu8dq8v

    29 күн бұрын

    Wow.... sounds candid.

  • @user-hm1ys6cj9t

    @user-hm1ys6cj9t

    29 күн бұрын

    저는 사람이 힘들어서 조용히 성당만 가서 미사만 드려요ㅠㅠ 봉사하시는 분들 존경하고 은총 많이 받이 받으실거에요

  • @jiwoonbaek9255

    @jiwoonbaek9255

    29 күн бұрын

    그러면 노동착취 맞는데, 그건 성당 주인을 니가 믿는거지 ㅋㅋㅋ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9 күн бұрын

    🎉 예수님 말씀 공부 ~~~> 그리스도를 향한 ' 방향성 ' 이 우선 옳아야 하고 , 둘 째 , 일상성 ( 항상성 ) 화 하기 위하여 자기만의 시간 ㆍ자기만의 공간에서 ㆍ 약간의 돈을 가지고 ' 자기 ( 충전 ) 위하여 ' 일상을 살아야 합니다 그러나 반드시 , 셋 째 ' 동 시 성 ' - 관계 속의 자신임을 명심하여 사회 ( 구성원 ) 의 ( 동시 ㆍ함께하는 ) 관 계 로 ! 나아가야 합니다 . 그래야만 ' 영원성 ' ㆍ ㆍ 종교의 순기능 ㆍ 역할을 반드시 오래 이어 온 유구한 전통의 역사 ㆍ 그 한 부분에 님도 동 참 할 수 있 는 겁 니 다 . * 님껜 ㆍ 지금 천주교 신자이면 ' 피정 ' ( 쉼 ) 이 필요한 부분에 잠시 이르신 건데 먼저는 , 바르고 정확한 강론 교리 지혜를 겸비한 성직자의 지도아래 말씀 공부를 탄탄하게 이어받아 가는 동시에 하시길 간곡히 권유합니다 ~ 🙏

  • @user-vw1vt1mg6x

    @user-vw1vt1mg6x

    29 күн бұрын

    교회나 성당에서 벗어나면 안됩니다. 님이 있기에 교회나 성당이 필요 합니다. 청소, 기도하는 분위기 조성 , 할때 머릿수가 제일 필요 하죠. 님 같이 똑똑한 사람이 많아지면 절대 안되죠. 교회나, 성당은 똑똑한 사람이 많으면 운영을 못합니다

  • @user-pw1hd7fe3m
    @user-pw1hd7fe3mАй бұрын

    요즘 종교지도자는 신을 믿는게 아니고 권력과 돈을믿으니까 신도도들이 눈치 챈거지

  • @user-dy9gp6ml5t

    @user-dy9gp6ml5t

    Ай бұрын

    그렇습니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오 👍 대 박 💓 👍

  • @Ngjgkyiyydgxh

    @Ngjgkyiyydgxh

    26 күн бұрын

    요즘만그런게아니라 옛날부터 그랬습니다.

  • @inwoopark358

    @inwoopark358

    13 күн бұрын

    말됩니다 성님.

  • @sarang775

    @sarang775

    11 күн бұрын

    가톨릭 신부들은 집도없습니다 성당 사제관에서 살다 4~5년 임기 끝나면 다른 성당으로 발령받아 갑니다

  • @user-rm5vb8ux9u
    @user-rm5vb8ux9u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종교단체에 소득세 법인세 적용해야 한다. 일반회사, 직장인들 처럼 기준은 같아야 함. 왜냐 한국에는 it산업 자동차 산업 건설산업 처럼 예수산업 부처산업 이라는 거대한 종교산업이 존재하고 있다. 이권 카르텔이 존재하고 교회 사찰 권리금 보증금 존재하고 상속 양도 이루어 지고 있다. 법인세, 소득세 양도세 상속세 기타등등 적용해야 한다. 새로운

  • @ShibaGGomul

    @ShibaGGomul

    Ай бұрын

    천주교 신부님들 월급 소득세 내는데요? 천주교는 법인세 소득세 양도세 다냅니다. 종교라고 다 그렇지 않습니다

  • @user-rm5vb8ux9u

    @user-rm5vb8ux9u

    Ай бұрын

    @@ShibaGGomul 정확하게 말하자면 먹사, 개인 사찰

  • @baltopegginddae

    @baltopegginddae

    Ай бұрын

    종교에 그런걸 적용하면 종교에서 그나마 하던 선의의 봉사를 할 수가 있을까?...

  • @ShibaGGomul

    @ShibaGGomul

    Ай бұрын

    @@baltopegginddae 종교도 종교인데 세금은 내야된다고 전 봅니다. 한나라의 국민으로써…

  • @user-lr3qe8ph5f

    @user-lr3qe8ph5f

    Ай бұрын

    @@ShibaGGomul 천주교가 법인세를 낸다고요? ㅎㅎ 글면 명동성당이 법인세를 낸다? 그건 세법상 불가능함. 신부들이 소득세를 내는 것은 제도적으로는 맞음. 최근 기독교 목사도 소득세 내고 있음. 참고로 신부들의 경우, 독신생활에 필요한 생활비만 받고 교회소유 건물에서 살기 때문에 주거비가 없고, 그래서 실제 면세점 이하로 세금 내는 경우가 거의 없음. 그리고 양도세는 어떤 종교이든 반드시 내야 함. 즉, 교회당, 사찰 건물을 사고 팔때 양도세가 나오고 그건 안낼 수 없음.

  • @user-fw3wg5bd9l
    @user-fw3wg5bd9lАй бұрын

    강요하는 종교는 버려야함. 이것은 다른 사람에게 종교에 대한 혐오감만 증가시키고 분쟁만 유발함

  • @KoreaNyangTiger

    @KoreaNyangTiger

    28 күн бұрын

    무엇이 강요인지부터 얘기해야지. 그러려면 기준이 필요한데, 그 합의에 어떻게 이를건데? ㅎㅎ

  • @anniekim-yn4en

    @anniekim-yn4en

    27 күн бұрын

    기독교.. 진짜 혐오스러운 종교..

  • @anniekim-yn4en

    @anniekim-yn4en

    27 күн бұрын

    기독교.. 진짜 혐오스러운 종교..

  • @Ngjgkyiyydgxh

    @Ngjgkyiyydgxh

    26 күн бұрын

    대부분의 종교는 부모의 종교를 따라갑니다.

  • @KoreaNyangTiger

    @KoreaNyangTiger

    26 күн бұрын

    @@Ngjgkyiyydgxh 이슬람에서는 부모의 믿음을 생각없이 따라가서는 안된다고 가르칩니다.

  • @user-mo8db3lz1e
    @user-mo8db3lz1eАй бұрын

    진실은 의심과 검증에서 나오는데 의심을 못하게 하고 검증을 막는 종교는 사기 당당한 사람은 의심과 검증을 두려워 하지 않는데 바람핀 사람은 의심만으로도 화내고 두려워하지 ....

  • @user-dm2hy6ds1g

    @user-dm2hy6ds1g

    28 күн бұрын

    불교는 오히려 부처님 제자들이 부처님을 엄청나게 검증하고ㅎㅎㅎ 그 방식대로 똑같이 하니까 그대로 되어서 검증 완료 된 케이스

  • @Ngjgkyiyydgxh

    @Ngjgkyiyydgxh

    26 күн бұрын

    ​@@user-dm2hy6ds1g이와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 @user-jl2vb5fs8b

    @user-jl2vb5fs8b

    23 күн бұрын

    고대시대부터 지금까지 국가의 형성과 체제관리를 위해 상호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역사가 있지 지배층이 피지배층 통제와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만든게 종교 종교가 권력을 가진 이유도 여기에 있지 불완전한 인간을 이용해 공포를 팔고 교리를 주입하고 조직화 공동페체 연대감을 심어 인간 사슬을 만들고 정치권력은 때마다 이걸 필요로 이용하고 권력의 자금이 들어가고 돈이 세탁되는 통로로 이용하면서 종교는 권력이 되고 허약한 인간에게 종교는 마약일뿐 공포팔이에 돈바치고 소원빌고 의지하고.. 세상에 존재하는 종교는 그국가권력과 함께하는 사업이고 합법적 사기다 불교 천주교 기독교 이슬람 뭐가 진짜인가? 취향대로 고르고 즐기다 결국 끝은 먼지처럼 사라지는게 인간인걸

  • @user-bn7jm9nu4o
    @user-bn7jm9nu4o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종교인들을 보면서도 신도가 더 는다면 그게 더 미친 사회라고 봅니다. 모든 종교는 자정하지 않으면 사회악이 될뿐이라고 생각합니다.

  • @FinisTime

    @FinisTime

    26 күн бұрын

    단기간에 가장 많은 사람을 죽인 종교는 무굡니다. 소련, 중국을 위시한 철저한 무신론에 입각한 공산 국가들이었죠.

  • @user-ib1os5sz9o

    @user-ib1os5sz9o

    24 күн бұрын

    난 지금 교회에 다니진 않지만 하나님을 믿는다. 기도로 하나님을 체험했기때문. 사람들은 사후에 어떤일이 일어나는지 알수 있는가? 천국지옥은 있고 우리 죄를 대신해 죽으신 예수님을 믿음으로 죄사함받고 천국에 갈수 있는것이다. 난 한다 불교신자였고, 이를 모르고 하나님을 모르고 살았던 나처럼 사람들이 안타깝다. 기도만해보면 누구나 만날수 있기때문이다. 만나달라고 말하면 정말 어떤 방식으로든 보여주신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시도조차 하지않는다. 참 안타깝다. 저도 극 t에 신이 있는지조차도 몰랐는데, 정말 하나님이 살아계시더라고요. 정말 죽고나서는 기회가 없으니 살아계실때, 이마지막때에 시간이 얼마 안남았는데 하루빨리 구원받으시길 바랍니다.

  • @baltopegginddae

    @baltopegginddae

    24 күн бұрын

    ​​​​@@user-ib1os5sz9o 본인 스스로를 죄의식이란 감옥에 가두어서 불행을 즐기는 우월감에 젖어 자아도취하고 있진 않은지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 @user-ej4ep5tr7q

    @user-ej4ep5tr7q

    24 күн бұрын

    사회악 맞아요

  • @user-rt3ud3to9m

    @user-rt3ud3to9m

    24 күн бұрын

    뭔말?​@@user-ib1os5sz9o

  • @skylight91
    @skylight91Ай бұрын

    이번 대담 엄청난 인사이트 주네요. 감사합니다. 결국 진정한 종교는 삶속에서 구현되어야 하는거군요!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9 күн бұрын

    🎉 삶 속에서 정확하게 스스로 구현하는 것 ㆍㆍ 그 게 다 .

  • @mettrro12
    @mettrro1219 күн бұрын

    종교없이 살아간다는것은,, 스스로가 꺠닫고 질문하고, 그리고 성취하는것인데.. 사람들은 종교에 기대어 찾으려 한다. , 그러나 찾지못하고 잃어만간다(돈,시간)

  • @tangsgoos4455

    @tangsgoos4455

    11 күн бұрын

    인간은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저는 저 스스로 깨달을 수 없고 아는 것도 거의 없다 여기는데 그런 저의 반의 반토막도 안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모든 것을 깨달은 것처럼 행세하더군요 그래서 몇 마디 던져주면 어찌나 흥분을 하고 비난을 하고 대화를 거부하던지...

  • @g.2004
    @g.200427 күн бұрын

    의심하지말고 믿으라 하는것은 사기입니다 이성적으로 증명을 못하니까 나오는 궤변이지요

  • @user104d

    @user104d

    24 күн бұрын

    기도교의 출발이 절대적 믿음이죠 의심이 용납되면 기독교는 없어치는 겁니다

  • @g.2004

    @g.2004

    21 күн бұрын

    처녀가 임신했다 이런걸 믿는게 어이없음ㅋㅋㅋ 그렇게 치면 주몽신화의 주몽도 처녀임신임

  • @user-wp7lv4ee5r

    @user-wp7lv4ee5r

    11 күн бұрын

    증명되면 종교가 아닌 과학 종교는 믿음의 영역

  • @BDKIMBD
    @BDKIMBD29 күн бұрын

    종교란 나를 위하고 내 가족을 위하고 인류를 위한 종교여야 한다. 종교를 위한 종교인이 된다면 자아를 착취당하는 노예근성의 노예일 뿐이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아멘 🙏 ㆍ 맞습니다 🙏 " 철저히 " 경계하여야 할 종교를 맞이하고자 하는 이는 미리 스스로 갖춰 줘야 할 기본적 소양 내지 덕목이 된 작 금 의 한 국 입 니 다 ❤️

  • @user-vp7py5lx3c

    @user-vp7py5lx3c

    24 күн бұрын

    기독교는 주의 종으로 살라 하지만, 불교는 "내가 깨달음을 통해 스스로 부처가 되고 내 삶속에 주인공으로 살아라" .. 는 가르침입니다

  • @user-dt1il1vb5c
    @user-dt1il1vb5c28 күн бұрын

    종교라기 보다 본인의 정신 세계를 더 다지고 싶어서 그런거죠. 템플스테이 명상등이요. 종교는 필요치 않습니다. 오직 내마음 작용을 연구 하면 됩니다.그것이 부처님 가르침입니다. 과학 하고도 가깝다고도 할수 있죠

  • @user-cn3ju2mb6e
    @user-cn3ju2mb6eАй бұрын

    자본이 종교를 대체하는 요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 멋진말씀 ㆍ 하 셨 습 니 당 ^^

  • @user-le8xi2gc5g
    @user-le8xi2gc5gАй бұрын

    마침 부처님 오신날에 맞춰 흥미로운주제네요. 재밌게 들었습니다

  •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27 күн бұрын

    종교가 유지되는 이유는 대개 종교가 기존 관습이나 권위에 수용적이고 긍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비판적 사고는 뇌(전두엽)에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니 힘이 들고 쉽게 피로해 집니다. 그러나 판단을 신이나 신의 대리자들의 판단에 맡기면 뇌가 편해집니다. 누가 봐도 굉장히 똑똑한 사람이 지적으로 별 볼일 없고 자기 확신에 꽉 찬, 자뻑하는 종교인에게 빠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user-jq5lu5nj6f
    @user-jq5lu5nj6fАй бұрын

    종교는 자유가 주어지는만큼 책임도 져야함

  • @user-xb2uk7eh6v
    @user-xb2uk7eh6vАй бұрын

    종교가 사라진다한들 뭔 걱정인가 필요에의해 생기고 변화되는거지

  • @sarang775

    @sarang775

    22 күн бұрын

    사라질리가요😊

  • @YisungJung

    @YisungJung

    12 күн бұрын

    사라지고 생기고 변화하고,,, 만물과 같아요

  • @user-ic8vl9ni2r
    @user-ic8vl9ni2r26 күн бұрын

    종교는 그냥 통치 수단에 하나일 뿐^^

  • @YisungJung

    @YisungJung

    12 күн бұрын

    그런 측면도 있죠

  • @yey1672
    @yey167219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이 왜 여기서…깜짝 놀랐어요. 퇴사하신거 이제 알았네요. 넘 반가워요!! 삼프로가 고급져진 느낌

  • @user-vc7pf8bm8f

    @user-vc7pf8bm8f

    17 күн бұрын

    와 저도요 ㅋㅋㅋㅋㅋ

  • @user-bo7vc8wg2l
    @user-bo7vc8wg2lАй бұрын

    재밌게 잘들었습니다😊

  • @user-vc7pf8bm8f
    @user-vc7pf8bm8f17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을 여기서 뵙다니요 너무 반갑습니다!! 영상 정말 흥미롭네요 감사드립니다

  • @user-go7wb3ns1d
    @user-go7wb3ns1dАй бұрын

    좋은 세미나 많이 배웁니다

  • @mapx2100
    @mapx2100Ай бұрын

    종교의 가장 큰 경쟁자는 뇌과학자와 심리학자들입니다.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치유법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같은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경쟁관계이죠.

  • @user-ur9ni1fb3e

    @user-ur9ni1fb3e

    Ай бұрын

    완전한 치유는 하느님만이 가능합니다. 프로이드 & 융 등은 심리학적 치료는 한계가 있고 완전한 치유는 인간을 만드신 하느님만이 하실 수있고 인간은 하느님이 당신의 모상대로 만드셨기에 그분을 갈망하고 그분으로 만족하는 삶만이 평화와 여유로움과 결핍없이 감사하고 삽니다...

  • @user-fi6ge3zm1j

    @user-fi6ge3zm1j

    Ай бұрын

    뇌과학~인간을 만든 절대자의 존재를 인정해야 할듯

  • @pop-gz6xe

    @pop-gz6xe

    29 күн бұрын

    ​@@user-ur9ni1fb3e 그런 치유를 경험한 사람이 얼마나 되나요. 정신과 치료로 회복된 사람과 비교하여 더 완벽하고 그 수가 많다는 정확한 근거가 있나요?

  • @KoreaNyangTiger

    @KoreaNyangTiger

    28 күн бұрын

    뇌과학자와 심리학자들이 과연 종교의 바깥에 있을까요?ㅋㅋ 뇌라는 걸 누가 만들었는지를 알아야 뇌를 아는데, 인간의 심리를 누가 프로그래밍했는지를 알아야 완벽히 심리학을 안다고 할 수 있는데. 결국 존재론 없이 과학은 없어요. 과학은 종교의 품안에 있습니다. 과학을 누가 발명, 발전시켰는데요..ㅋㅋ 종교인들이 한건데요. 신에 가까이 가기 위한 길이 과학입니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user-ur9ni1fb3e - - 아멘 ㆍ 🙏 맞습니다 ㆍ sure ^^ ~

  • @user-nu1um1pv7f
    @user-nu1um1pv7f27 күн бұрын

    유발하라리의 호모데우스가 떠오르네요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dollhere
    @dollhere12 күн бұрын

    유튜브. 시청 이래. 최고의. 영상이었읍니다!감사합니다 !♡♡♡

  • @user-pp5rv8ob2s
    @user-pp5rv8ob2sАй бұрын

    굉장히 흥미롭고 철학적인 주제네요. 감사합니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9 күн бұрын

    🎉 아 멘 🎉

  • @y.c.y4288
    @y.c.y4288Ай бұрын

    훌륭한 방송 잘 들었습니다~ 여러 종교가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우리의 정신세계도 진화해가는 데 도움이 되는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user-y1id8he9zil3lvi1
    @user-y1id8he9zil3lvi113 күн бұрын

    세상에 종교가 없어지면 평화가 찾아 올 거다.

  • @eugenejeong2819

    @eugenejeong2819

    10 күн бұрын

    맞는 얘기. 당장 이스라엘 보면.. 이스라엘이야말로 악의 축임

  • @bluenadia27
    @bluenadia27Ай бұрын

    전 김원장 기자님 볼 때마다 왜 이리 반가운지요.

  • @user-wd7gy1um9l
    @user-wd7gy1um9lАй бұрын

    한국이 종교간 전쟁이 왜 없느냐 하면 사실 한국인 모두가 하나의 종교를 믿고 있기 때문. 돈신을 믿는 MONEY교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머 니 교 ? 아 놔 ~ 한 국 이 게 머 니

  • @user-do5jr6ik1t

    @user-do5jr6ik1t

    19 күн бұрын

    하. 하. 하

  • @fruitwhite2877
    @fruitwhite2877Ай бұрын

    마침 어제 교수님의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라는 책 완독했는데, 오늘 삼프로에서 이렇게 뵈니까 감회가 새롭습니다 ㅎㅎ 그래서 그런지 밑에 부정적인 몇몇 댓글들을 보니 조금 답답하네요. 1시간 내외 강의라 그런지 뭔가 다들 요지를 제대로 파악을 못하시는 것 같고... 아무튼 책에서는 세속적으로 변한 세상에서 종교가 나아가야하는 방향과 함의에 대해 영상보다 더 구체적으로 서술되어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꼭 읽어보세요.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 * 네 ~ . 저는 이 view 을 만 난 적 이 있 어 서 리 ㆍ ㆍ ㆍ 공 * 감 * 백 * 배 하 옵 고 ㆍ ㆍ ㆍ ㆍ 대 박 나 시 라 🎶 욧 ~~~ 책 문 구 짱 멋 지게 ~ 잘 뽑 았 쪄 ~ ^^

  • @user-zy8rh9di6x
    @user-zy8rh9di6xАй бұрын

    오늘 하루종일 나눠서 다 듣고 보았습니다. 유튜브에 일본방송에서 찍은 80년대 한국의 기독교 종교생활을 그린 영상을 보니 당시 마포대교에서 여의도 순복음교회가는 사람들이 수백명이던데...솔직히 대형교회에 실망해서 종교생활 접은지 15년도 넘었는데 별 불편한게 없는것보니 당시 내가 하던말 교회와 학원은 같다. 몇번 안가면 가기싫고 그러다 때려치운다~~~

  • @Ngjgkyiyydgxh

    @Ngjgkyiyydgxh

    26 күн бұрын

    오히려 교회에 가지않는게 삶에 도움이됩니다

  • @hyanggiJ

    @hyanggiJ

    17 күн бұрын

    예수님이 어떤분이신지 왜 믿고 따라야하는지 제대로 알고 교회를 다니셔야합니다 ★예수님은 종교가아니라 살아계신 참신이십니다 성경을 꼭 읽어보세요 (살리는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말은 영이요 생명 이라) 예수님은 우리를 대신해 죗값을치르시고 부활하심으로 죄와사망에서 구원받고 영원한생명을얻어 천국에서 살수있는 길을열어주신 유일한 창조주하나님 구원자되십니다 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17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 요한복음 3:16-17 RKB

  • @Sjdj3847hdj
    @Sjdj3847hdj17 күн бұрын

    어머나, 김기자님이 여기 계실 줄이야.. 반갑습니당! ^^

  • @user-it3ky8lv9p
    @user-it3ky8lv9p17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 @bjs1144
    @bjs1144Ай бұрын

    오마이스쿨에서 종교심리학인가 심리종교학인지 결제하고 들었던 기억이 있는 성해영 또뵙네요~ 그때랑 다르게 세월이 느껴집니다ㅠ 우리나라 기독교는 너무 목사중심 그리고 번역에 번역에번역에번역에번역된 성경 보면볼수록 문학작품같은 성경 그러나 종교 역사에 인간심리에 접근하기엔 너무 딱딱하고 어려웠는데 쉽고 재미있게 잘 배웠습니다^^

  • @Inseonchang
    @Inseonchang20 күн бұрын

    꺄아악 성해영 교수님 너무 반갑습니다

  • @oedo7401
    @oedo740117 күн бұрын

    가톨릭 신자로서의 가치는 적어도 저에게는 이 영상의 사회자님처럼, “보편적인 옳은 말을 할 수 있다” 라는 거지요.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보편적인 가르침을 가르쳐 주시고 실천하게 해 주시는 천주교회 덕분에, 알면서도 실천하지 않는 타종교 안에서 흔히 겪었던, “하고 싶었던 옳은 말을 못하는 부자유” 가 없습니다

  • @user-tk7qz3ob4w
    @user-tk7qz3ob4wАй бұрын

    종교의 세속화가 세상 이 종교를 거부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 @rosemarylily12
    @rosemarylily12Ай бұрын

    템플스테이는 종교때문에 가는건 아닌거같은데요 현식적으로 말하면... 적당한 가격에 자연속에서 힐링하고 올수 있어서요 게다가 종교를 체험하되 강요하지 않고요 힐링하러 가는데 그곳이 절이였을뿐...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Oh perfect 👌 👍 🥰

  • @user104d

    @user104d

    24 күн бұрын

    워래 불교가 그래요 강요하지않고 속박하지않고 차별하지않고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 @jayh1087

    @jayh1087

    24 күн бұрын

    그런사람도있고 명상더하고싶은사람도있고

  • @stonebat
    @stonebat22 күн бұрын

    세속적 이라며 저세상 사람인척 하는게 아니라…나에게 당장 직면한 현실을 살아갈때 기도가 절로 나옵니다. 단순히 하느님 하는게 아니라 이거 자체에 진리적 모습에 대한 갈증이라고 봅니다

  • @user-qp7kd5pc2f
    @user-qp7kd5pc2f27 күн бұрын

    종교적인 가르침 보다... 사회생활에서 현실적인 가르침이 더 실효성이 있음..

  • @JLee-wanderluster
    @JLee-wanderlusterАй бұрын

    아 김원장 기자님 이전 보도, 탐사 잘 보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뵈어서 반갑네요.

  • @user-ms1qk7vv9g
    @user-ms1qk7vv9g18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강의 최고!!

  • @MsPeace2all
    @MsPeace2allАй бұрын

    사회자의 차분한 모습과 적절한 질문으로 교수님이 더 많이 말할 수 있게 해 주셔서 유익한 내용에 집중하며 듣게 하네요.

  • @yonk4260
    @yonk4260Ай бұрын

    인간보다 큰 존재는 자연이 유일함❤

  • @user-og8kn6ny2e
    @user-og8kn6ny2e21 күн бұрын

    세상에 악마가 존재한다면 악마는 반드시 종교 안에 머물 것이다.

  • @kissday8
    @kissday8Ай бұрын

    우리나라를 보면 세속화 되면서 사회에 사랑이 메말라가는거 같아요. 이파트로 단절됐다지만 그걸 떠나 예전에 아파트에 살아도 이웃 자녀들 이름정도는 기본으로 알고 있었는데..

  • @homes5656
    @homes5656Ай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을 여기서 보니 넘 좋네요... 짱🥰

  • @user-ne3ln2gb7o

    @user-ne3ln2gb7o

    Ай бұрын

    진행자 목소리가 익숙해서 댓글로 확인.

  • @jayh1087

    @jayh1087

    24 күн бұрын

    발음좀 고쳐줘 원장형 ㅜ

  • @kaldeek2591
    @kaldeek259121 күн бұрын

    사회자께서 요점을 잘 캐치하시네요

  • @stonebat
    @stonebat22 күн бұрын

    세속적 이라며 저세상 사람인척 하는게 아니라…나에게 당장 직면한 현실을 살아갈때 기도가 절로 나오는게…단순히 하느님 하는게 아니라 이거 자체에 진리적 모습에 대한 궁금증 정도라고 봅니다

  • @user-pt7hh2ec4c
    @user-pt7hh2ec4c19 күн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응원합니다 🎉❤

  • @sunocklee
    @sunocklee18 күн бұрын

    카톨릭이든 개신교든 정교회든,,, 그 안에 복음이라는 씨앗이 있고 그것이 그토록 역사적으로 중요하기에 그 씨앗을 계속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축 상 에서 끝까지 전파하기 위해,,, 아마도 하나님께서(?) 여러모양의 과육들로 그 씨앗을 감싸며 전파하게 하셨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AD 이후의 인류사를 공부해보니 더 알겠더군요 😊❤

  • @user-qv1mh5zs2e
    @user-qv1mh5zs2e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이 타종교에 유연성이 많은 거는 강사님 말씀하신 신기와 문기가 많아서이기도 하고 ㅡ 다른 이유로는 일제시대에 여러 종교가 독립운동에 동참하면서 연대하고 동질성을 가졌던거도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 @baaksungjune7834
    @baaksungjune7834Ай бұрын

    18:15 ‘그걸 믿는다는 거 아니에요’ 라고 웃는다면, 혹시 빵 다섯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명을 먹인 것, 물위를 걷는 것, 죽은 사람이 부활하는 것에 대해서도 똑같이 ‘그걸 믿는다는 거 아니에요’라고 웃으실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 @iwillbeabigstar6034

    @iwillbeabigstar6034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저 오만함 때문에 기독교는 외면 당하는 겁니다

  • @Ngjgkyiyydgxh

    @Ngjgkyiyydgxh

    26 күн бұрын

    허황된

  • @liryisnotateddybear

    @liryisnotateddybear

    23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매주 빵이 살이라고 믿으면서 드실텐데 바깥 사람이 보기엔 똑같이 허황된 거죠. 존중하니까 비웃지 않을 뿐인건데. 다른 종교에 대한 존중이 부족한 진행자여서 안타까워요.

  • @r0ver

    @r0ver

    21 күн бұрын

    공상과학 소설보다 더 허황된 얘기라 전 크게 웃습니다. 전 종교를 믿는게 아니라 내면의 평화를 위해 사유합니다.

  • @user-em6mn9ts8n

    @user-em6mn9ts8n

    2 күн бұрын

    2천년전에는 지금처럼 식당이나 상점이 흔치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당시 사람들은 먼곳으로 가거나 오랫동안 밖에 외출할때면 자신이 먹을것을 싸가지고 다녔지요. 예수가 많은 사람 앞에서 이야기할때 식사시간이 되자 누가 밥먹고 합시다라고 하자 거기에 온 사람들이 각자 싸온 음식을 꺼내 먹은건데 그걸 예수를 신격화하려고 오병이어의 기적으로 둔갑시킨겁니다.

  • @user-jx1rg6cx3f
    @user-jx1rg6cx3f22 күн бұрын

    답은 간단함. 인간은 비합리적인 선택을 수두룩하게 하니까 종교를 믿는것.

  • @user-jr9ym8qv1q
    @user-jr9ym8qv1q7 күн бұрын

    종교가 없다고 하더라도 큰틀의 종교심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주심이랄까, 양심이랄까,,뭐랄까?,눈에 안보이는 것이 있어요 인생은 알 수 없는 그무엇? 볼 수 없는 그 무엇의 진리 작용?

  • @user-ze4kb7fu1s
    @user-ze4kb7fu1sАй бұрын

    템프스테이는 종교때문에 가는게아니라...그냥 경험삼아 가보고싶네요~쉼...하러

  • @subinkids

    @subinkids

    Ай бұрын

    템플스테이 다녀온 사람중에 종교를 믿게된 사람이 없다는게 종교하고 상관없다는걸 인증하는거다..

  • @greenlim1948

    @greenlim1948

    Ай бұрын

    별로 쉼은 안돼요 거기도 나름 따라야하는 프로그램들이 있거든요.. 참여 안하고 밥먹고 쉬겠다 할수 있는지 미리 알아봐야돼요

  • @kwanmookchoi8685

    @kwanmookchoi8685

    Ай бұрын

    넘 좋은 체험입니다.

  • @felizsonrisa9861
    @felizsonrisa986118 күн бұрын

    참 진리는 어느 곳 시대를 막론하고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방법은 변할 수는 있지만 이 또한 윤리성을 보아야 한다고 본다. 우리가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 안에서의 관계성을 보더라도 시대에 맞추어 얼마나 많은것들이 변화되었는가? 그 안에서 변화된것이 진리에서 벗어나는가 아닌가를 보는 식별은 한 개인. 가정과 사회 그리고 우주를 살리는 중요한부분이다.

  • @CK-pt5ss
    @CK-pt5ss20 күн бұрын

    무신론자가 되어 명상으로 살아가는게 인간으로 자유를 누리고 사는거랍니다

  • @user-to7pb9ey8d
    @user-to7pb9ey8d18 күн бұрын

    인간의 진화가 종교의지에서 자립이 되는것 같다. 해주세요 에서 하려고 노력하면 지혜가 임하는 것이다. 기득권들의 고정관념이 발전을 저해시켰고 사라지게 하는것 같다. 면죄부는 댓가지불의 벌금과도 같기에 인정될수 있다. 훌륭하신 말씀 감사합니다.

  • @honghong0099
    @honghong0099Ай бұрын

    인간의 문명이 일어나고 지성이 깨어난 기원전 3천년경부터 시작된 인간의 빅데이터는 무시할수가 없는 법이죠

  • @user-fo4xu6bq1z
    @user-fo4xu6bq1z16 күн бұрын

    종교는 사업이죠. 성직자는 기업가, 신도들은 소비자로서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모여든 집단

  • @piohwang4899
    @piohwang4899Күн бұрын

    내용 굿.. 잘 청취 했습니다

  • @dbrokim4314
    @dbrokim431428 күн бұрын

    종교와 명상 자체는 많이 다르죠. 명상은 생리학적 증거가 있는 것..!

  • @nojams732
    @nojams732Ай бұрын

    종교를 싸잡아서 다 나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세상에 아예 아무런 종교도 없었으면 더 살기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 @user-rk1se3kw6i
    @user-rk1se3kw6i20 күн бұрын

    종교를 믿는 이유가 의지하기 위해서라면 모두가 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을 사랑하라는 종교의 가르침은 가르침으로만 남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서로 사랑하라는 가르침은 사랑받으라는 말이기보다 사랑을 나누라는 말이 더 앞섭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기적인 개인들의 합일 뿐 종교로써의 본질은 없다고 봅니다

  • @pudalkin
    @pudalkin23 күн бұрын

    핵심을 질문하는 김원장기자 마음에 듭니다. 시선집중에서 핵심을 질문하는 손석희를 좋아했는데 김원장 기자도 핵심을 묻네요. 성해영 교수님도 고맙습니다.

  • @user-mo2om8yw9u
    @user-mo2om8yw9u15 күн бұрын

    무종교인으로서 개인적으로 기독교, 불교, 개신교 기타등등을 ‘문화’의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기때문에 특별히 거리낌 없이 그냥 그렇구나 하고 듄, 파묘, 기타등등 종교색채들어있는 영화도 영화로만 받아들이고 있어요 개인주의라 종교를 갖을 생각을 하지 않기보다는 나도 언젠가는 마음을 온전히 의지할수 있는 종교를 하나 갖고싶다고는 생각하는데 워낙 사이비도 많고 종교갈등도 많아서 종교가 없는게 더 맘 편할수 있겠다 싶어요 ㅎㅎ

  • @user-do5jr6ik1t
    @user-do5jr6ik1t19 күн бұрын

    전. 교회다니는여자에게. 넘 크게 배신당하고 교회에대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됐어요

  • @sower12

    @sower12

    18 күн бұрын

    건물 교회 다닌다고 다 구원 받은 사람은 아닙니다 그냥 종교 생활 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진짜 구원 받은 성도들은 극 소수입니다

  • @user-cf5cw9fq5f

    @user-cf5cw9fq5f

    18 күн бұрын

    그건 개인문제인데..요

  • @youhanrocksu

    @youhanrocksu

    Күн бұрын

    @@sower12 그러면 확률적으로 안믿고 사는게 제한된 시간속의 삶에 효율적이네요.

  • @user-rm5sq9di5q
    @user-rm5sq9di5qАй бұрын

    종교의 신을 인간이 만들어 놓고있으며 그리고 신을 믿는다는게 진 짜 웃기는 일이다...참으로 한심.

  • @kingdomofgodkim9368

    @kingdomofgodkim9368

    21 күн бұрын

    하나님은 살아계신다 인생의 호흡이 그에게 달렸다 오늘밤이라도 네 영혼을 들리시면 넌 심판대 앞에 설것이다 니 육신의 눈에 안보인다고 없는게 아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모든곳에 어느때에라도 시공을 초월하여 항상계신다

  • @YisungJung

    @YisungJung

    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

  • @user-yy8gr8hf1q
    @user-yy8gr8hf1qАй бұрын

    존재론적 기쁨과 행복 ㅡ

  • @user-km6um2zl8o
    @user-km6um2zl8o27 күн бұрын

    해영 형 오랜만입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

  • @andrewpark6264
    @andrewpark6264Ай бұрын

    종교 ? 이익단체 최고의 비지니스

  • @wnals3896
    @wnals3896Ай бұрын

    한국의 종교는 허울만 기독교 불교지 실상은 까고보면 무속이라고 봐야됨. 결국 부처님한테 비나이다 하느님한테 비나이다임. 교리고 뭐고 중요하지 않음. 그냥 그 장소를 제공해주고 뭔가 고즈넉한 분위기만 제공이되면 부처건 예수건 상관없음.

  • @user-dy9gp6ml5t

    @user-dy9gp6ml5t

    Ай бұрын

    예수님 부처님 당연 인간이었다는 사실에도 우리가 같은 인간이지만 감히 범잡할 수없음을 인정하고 거의 신적존재만큼 생각하는게 좋을 듯합니다😊

  • @user-ms2gw2xb8s

    @user-ms2gw2xb8s

    24 күн бұрын

    어느 종교든 우리나라에 들어오면 샤머니즘 과 짬뽕이 되서 다 변질 되는것 같다

  • @eugenejeong2819

    @eugenejeong2819

    10 күн бұрын

    기복신앙이 합쳐지면서 이상해짐. 그래도 불교는 그렇지 않은데 기독교는 다른 종교를 인정하지 않고 안믿는 주변 사람들을 믿게하려고 달달 괴롭히는 이상한 종교적 특성이 있어 개독으로 불리는 것이다.

  • @0227jps
    @0227jps20 күн бұрын

    사람은 100%종교성이 있습니다. 인생 살면서 어느 한때는 종교를 부정 할수는 있어도 한평생 죽는 순간 까지 종교를 부정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중요한건 우리를 영원히 구원해줄수 있는 종교를 택하냐 아님 현세에서 우리에게 평안을 얻을수 있는 종교를 택하냐 선택만 남아 있는 겁니다.

  • @YisungJung

    @YisungJung

    12 күн бұрын

    결론이 희안하긴하네요

  • @0227jps

    @0227jps

    12 күн бұрын

    @@YisungJung 1+1의 정답은2하나뿐 입니다. 1.999도 2.001도 정답이 될수 없습니다. 알아듣고 회개하는 인생이 되길 기도 드립니다.

  • @parkdavid5350
    @parkdavid535026 күн бұрын

    종교에 파묻히지 않고 종교를 건강하게 ’이용‘ 하기 시작하는거 같은데~

  • @baaksungjune7834
    @baaksungjune7834Ай бұрын

    40:17 ‘그런 건 왜 믿게 되는 거에요?‘ 수많은 십자군 전쟁으로 사람들을 죽였던 천주교에 대해서도 같은 질문을 하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17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자연 에너지 라는 것은 연못속의 물고기 처럼 잉태하는 에너지 가 있고 불처럼 따뜻하고 천둥우뢰 처럼 화를 내고 바람처럼 서로 통하는 융통성이 있고 물처럼 부드러움이 있고 산처럼 높은 덕망과 기술 학식을 쌓을수 있고 이모든 것은 땅처럼 넓은 포용하는 마음이 있고 이 모든 에너지를 쓰는 하늘의 이치에 들었기 때문이며 쉬지않고 에너지를 돌리는 기가 있는것 입니다. 이것이 삶의 모습을 자신이 스스로 재단하여 시와 때가 맞게 찰나를 쓰는 것입니다. 찰나의 연속이 자신의 인생입니다.

  • @user-ik9gr4un8x
    @user-ik9gr4un8xАй бұрын

    말씀 중간에 한국인의 신기 라는 책을 언급하셨는데 저자 분이 누구신지 궁금합니다. 정확한 책 제목도요.

  • @y.c.y4288

    @y.c.y4288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한국의 신기-이거예요

  • @user-ik9gr4un8x

    @user-ik9gr4un8x

    Ай бұрын

    아 감사합니다 ㅎㅎ

  • @jaehakkim340
    @jaehakkim34020 күн бұрын

    종교라는 건 가장 진보한 고등 생명체가 문명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나온 산물 다른 생명체는 그저 생명 수명 유지 정도에 그치지만 인간이라는 이 고등생명체 만이 지능 즉 상상력과 끝없는 욕망을 가지고 있고 물질적 욕망 성취 기원과 무한 영생을 바라게 됨 그 욕망을 의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종교 그 종교가 때로는 문명을 지배하고 이끌기도 했음

  • @asdasdasasasdas1582
    @asdasdasasasdas158221 күн бұрын

    기독교는 구교와 신교 즉 천주교 개신교를 다 어우르는 그리스도교 란 단어입니다 그렇게 예비신자 교육 받았어요

  • @user-ne3xi7yr7s
    @user-ne3xi7yr7s16 күн бұрын

    템플스테이는 스파가는것같이 휴식하고 한템포 쉬려고 하는것.

  • @user-rv5oi8fy2i
    @user-rv5oi8fy2i21 күн бұрын

    ㅎㅎ 종교와 믿음을 구분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템플스테이 같은 것도 그래요. 불교 신자라서 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압니다. 사람은 대략 사회에서 형성된 이름 지어진 종교를 믿는 사람과 이 범주와는 다를 믿음 자신의 삶의 의지를 자신의 믿음에 실현코자 사고하고 행하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의견은 지금 세상에 만연한 종교라는 이름의 단체는 없어지는게 세상에 유익합니다. 다양함을 인정하고 각자의 성장을 돕고 이렇게 모두의 성장과 성숙의 길로 나아가고 이것이 하나이고 사랑이라는 궁긍적인 앎으로 가는 진정한 자유 존중요.~♡♡♡

  • @user-sw8tt4jn6z
    @user-sw8tt4jn6z19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lw5ss8or2j
    @user-lw5ss8or2j15 күн бұрын

    종교에 대한 합리적 판단에 공감합니다.

  • @herren-house
    @herren-houseАй бұрын

    종교....너무 돈만밝히는 설교들과 프로그램에 다 질림.

  • @user-dy9gp6ml5t

    @user-dy9gp6ml5t

    Ай бұрын

    돈을 낸만큼 은혜받는다고..ㅋ

  • @kgearg

    @kgearg

    19 күн бұрын

    설교의 끝은 헌금..아니 현금

  • @naim-rf2mo

    @naim-rf2mo

    8 күн бұрын

    우연히 아프리카 최빈국 상황을 티비에서 보는데,어렵게 번 돈을 교회에 다 털어넣음.목사는 계속 돈 돈 돈 더~외치고

  • @user-gb9xw3kb8s
    @user-gb9xw3kb8sАй бұрын

    기독교인은 하다 하다 안 되니 안 믿는 것도 종교라고 우김. 나는 말하길, 기독교인마다 믿는 하나님이 다 다르다고 함. 심지어 목사 부부도 파고들면 각자가 믿는 하나님이 다름. 그러면서도 자기들은 한 하나님을 믿는다고 우김.

  • @Ngjgkyiyydgxh

    @Ngjgkyiyydgxh

    26 күн бұрын

    "넌 유니콘을 믿니?" "아니" "그럼 너도 종교네"

  • @user-uu4gm1jc1w

    @user-uu4gm1jc1w

    22 күн бұрын

    바로 그거요 내가 신봉하는게 있다면 그것도 종교입니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프레임 이데올로기입니다

  • @user-ei7wd7fu2i

    @user-ei7wd7fu2i

    19 күн бұрын

    각자가 신내림 받은 무속인인데 그 신이 하나님이라는 유일신이라 믿음

  • @hyanggiJ

    @hyanggiJ

    1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성경이 있는겁니다 성경을 읽지않고는 각자가 생각하는 하나님으로 잘못믿게됩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호세아선지자를통해 내백성이 나를아는 지식이 없어서 망한다고 한탄하셨죠 여호와를 힘써알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 @hyanggiJ

    @hyanggiJ

    16 күн бұрын

    창조주하나님 살아계십니다 이세상에 우연히 저절로 생겨난것은 어떤것도 없잖아요 이렇게 섬세하고 완벽한 우주만물을 통해 성경을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삶과 죽음 부활을통해 계시해주셨습니다 예수님을 믿고 그분이 어떤분인지 만나고 경험한다면 이세상모든것 다준다해도 다잃는다해도 절대 예수님을 떠나지않죠 간절히 찾고구하면 반드시 만날수있습니다 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요한복음 3:16 RKB h

  • @snowball8713
    @snowball8713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컨텐츠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ㆍ 대 ~ 박 💓 ❤️ 💗

  • @user-ps7bv5hk7s
    @user-ps7bv5hk7s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차분하고 좋네요

  • @user-jr9ym8qv1q
    @user-jr9ym8qv1q7 күн бұрын

    성철스님은 살불살조 그렇게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 @user-dq4lv3zw3o
    @user-dq4lv3zw3o18 күн бұрын

    보이지 않아도 내일은 반드시 오듯 종교의 자유에서는 양심이었습니다.

  • @Kmy507
    @Kmy50720 күн бұрын

    단군의 자손인 우리는 두산 베어스 에서 빵 터졌네요 ㅎㅎ

  • @meracletv1900
    @meracletv190028 күн бұрын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영적체험을 여러번 접하다보면 우리가 아는 세계가 다가 아니라고 느끼며 겸손해집니다

  • @sungheejeon7510

    @sungheejeon7510

    27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 @emfrotrue

    @emfrotrue

    17 күн бұрын

    많은 댓글 중, 공감 가는 글입니다.

  • @yuedryuedr
    @yuedryuedr21 күн бұрын

    소수의 지배층들이 다수의 피지배층들을 잘 지배하고 착취하기 위해 종교를 만들었다

  • @user-ei7wd7fu2i
    @user-ei7wd7fu2i19 күн бұрын

    불교는 믿는게 아니고 깨닫는 거임

  • @user-zs6mu8dq8v
    @user-zs6mu8dq8v29 күн бұрын

    Religion seems quite different from being religious.

  • @user-qs1do6oq8q
    @user-qs1do6oq8q15 күн бұрын

    신앙이란 거짓을 진실로믿는 훈련과정이다.😅

  • @jieunchoi2256
    @jieunchoi2256Ай бұрын

    아주 조심스럽게 적어봅니다. 기독교를 한국에 전파하면 생기는 일화가 있죠. 박미선씨가 아끼는 후배 김숙씨에게 교회에 나와라 하니 김숙씨가 교회 입고갈 승복이 없사옵니다라고 했답니다. 박미선씨가 박장대소를 하며 너무 좋아했답니다 친구가 첨 교회를 다니기 시작할때 저를 열심히 교회모임에 불렀습니다. 이렇게 좋은데 왜 안믿어 이런 눈빛으로. 몇년후에 연락이 없더니 뜬금없이 고백합니다. 나 이제 그렇게 안 믿어. 십년후에 제가 꼭 믿어야겠니 라고 물으니 친구가 그러더라구요. 근데 믿으면 즐겁고 행복해져. 어쩐 이유에서인지 내 친구는 그 종교가 그 친구의 정체성이 되지 않았습니다. 종교로 감정싸움이 생기는 사람을 보면 마치 자기가 부정당한것처럼 행동합니다. 어린아이는 알거든요 난 분명히 나쁜 아이가 아닌데 왜 세상이 날 벌하는거지 왜 같은 아이인데 저 아이는 소중하고 나는 나쁘다고 손가락질 당하지? 아이는 성장통을 겪으면서 큽니다 진짜 부모는 꾹 참고 지켜봅니다 부모가 할수 있는건 신에게 기도하는것뿐입니다 신의 뜻대로 하소서 인샬라 제자가 준비가 되면 스승이 나타납니다 제자가 정말 준비가 되면 스승은 사라집니다 노자

  • @user-ig2mh4bc5c

    @user-ig2mh4bc5c

    27 күн бұрын

    ㆍ 눈 물 납 니 다 W O N D E R F U L ✨️ ❤️

  • @hyj6276
    @hyj6276Ай бұрын

    중세시대의 종교는 정치였죠.그런면에선 종교의 신이 이용당한 느낌.진짜 신이 있는가 라는 의구심이 듭니다.

  • @jeiw5705

    @jeiw5705

    Ай бұрын

    면죄부 팔다가 ... 그래서 망했죠. 악도 다 무르익어야 단죄받는데 그 무르익는 시점을 인간의 시간에서는 알 수 없다는 것. 저 인간은 귀신이 안잡아가나 할 정도의 악인이 활개칠 때... 심판의 시간은 하늘(신)에 있다는 것.

  • @user-bm7yg8vu1r
    @user-bm7yg8vu1rАй бұрын

    김원장 기자님 오랫만에 뵙습니다 ㅡ

  • @user-su5bg8mr1w
    @user-su5bg8mr1w23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교회를 다니면서 배운건 교회를 믿는게 아니고 하나님을 믿는거고 목사를 믿는게 아니고 하나님을 믿는건데 일부 교회들은 뭔가 사업적으로 느껴지기도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