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멘터리 전쟁史] 118부 북방을 개척하라-세종의 큰그림과 여진정벌

군사제도를 재정비하고 여진족 계획을 세우는 조선~
점점 세력을 키워나가는 여진에 맞서는 조선의 야심찬 계획은~?
1406년 여진족이 경원을 침공~!
조선의 여진 정벌 계획 그 시작의 스토리는~?
조선에 호의적이었던 먼터부 부족과 결별~
또다시 조선을 침공한 여진족!!
세종대왕이 생각한 북방개척의 큰 그림은~!?
세종대왕의 4군 6진 개척
그 진실을 파헤쳐 본다~!!

Пікірлер: 718

  • @arnshutain
    @arnshutain4 жыл бұрын

    01:45 명,조선,여진 삼각관계 03:41 불안한 먼터무 5:23 명언. 05:30 조선의 항의와 답신 6:31 명의 관직을 받은 먼터무 7:38 동북면 8:19,26:26 ㅋㅋ 08:28 침공을 당하는 경원. 09:34,10:38 기회다 11:50 태종의 결단 13:57 먼터무와 결별... 16:03 조선을 공격하는 먼터무. 16:56 경원을 완전 포기..... 18:29 영토확장 20:13 합세와 이주(이만주의 등장) 21:45 세종대왕이니 마음이 편안함. 22:44 국경선. 23:51 4군6진 24:51 반대하는 사대부 집단 26:37 좋지 않은 여진사회. 28:35 우직하게. 29:36 자발적 동의(퇴직관료 동원) 33:55 전문가 영역 (책임한계선) 35:46 1차 여진정벌 36:39 무기고 41:30 최윤덕의 주장 44:01 통이 큰

  • @takoeatsall

    @takoeatsall

    15 күн бұрын

    수고햇어요 게이야

  • @Doctor__game
    @Doctor__game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세종대왕님 정치의 신이다 퇴직관료들을 불러 현역들을 긴장시키고 압박시킨후에 능력있는 현역들이 자발적으로 지원하게 만든다라.... 물론 퇴직관료들을 이용했다고 볼 수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대단한 정치력이네 역시 세종'대왕'님이십니다!

  • @extrahuman9826

    @extrahuman9826

    5 жыл бұрын

    반대를 찬성으로 바꾸는 정치력이야말로 많은 업적을 남기게 만든 원동력 인 것 같네요

  • @user-dj1yw7912

    @user-dj1yw7912

    5 жыл бұрын

    DOCTOR GAME 현대에 그랬으면 감방감

  • @user-qc3sj2fc6t

    @user-qc3sj2fc6t

    5 жыл бұрын

    그럼현재 정치에맞춰서하셧겠죠

  • @Doctor__game

    @Doctor__game

    5 жыл бұрын

    ㄴ 왜 주제와 상관없는 이글을 올린 저의를 잘 모르겠습니다만 한일합병의 정당성 혹은 한국인이 일본과 병합되기를 원했다는 거로 해석하셨다면 참 어리석네요

  • @sund8569

    @sund8569

    5 жыл бұрын

    zzz000은 사사가와 재단으로 부터 후원받고 있는 자발적 하수인(개돼지) 입니다. 대한제국의 국권을 강탈한 일제는 한반도에 일본군 2개 사단, 2만여 명의 헌병경찰과 헌병보조원을 배치하여 강압적인 무단 식민통치를 실시했다. 헌병경찰은 조선인들에게 무차별적인 폭력을 행사했으며, 학교 교원들에게도 칼을 차게 하는 등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와 함께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박탈하고, 독립지사들을 체포, 투옥, 학살하는 등 한민족의 독립의지를 말살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3·1 민족독립항쟁이 일어나자 일제는 무력통치의 한계를 절감하며 헌병경찰을 보통경찰로 바꾸고, 신문 발행을 허용하는 등 표면적으로 문화통치를 내세웠다. 하지만 이는 일제가 펼친 고도의 식민지 통치 술책에 불과했다. 일제는 문화통치를 실시하며 조선인들에게 초급 학문과 기술 교육만을 허용하여 식민지 지배에 도움이 될 인간만을 양성하였다. 이와 함께 친일파를 적극 양성하여 조선인들을 분열시켰다. 친일파는 해방 후에도 공무원, 경찰, 언론계, 학계, 예술계, 정치계 등 전 분야에 걸쳐 우리 사회를 왜곡하고 발전을 저해하는 암적 존재가 되었다. 일제의 식민통치는 1920년대 후반에 전세계적으로 불어닥친 경제 공항과 1930년대 만주 점령으로 시작된 대륙 침략으로 또 한 번 바뀌게 되었다. 일제는 한반도를 대륙 침략의 병참기지로 만들었으며, 농업은 물론 광업·어업·공업 분야 등 경제 전 분야에 걸쳐 식민지 수탈정책을 강화했다. 이후 일제는 1941년 미국과 태평양 전쟁을 시작하게 되자, 한민족 자체를 완전히 말살하는 식민정책을 펼쳤다. 그들은 황국식민화와 창씨개명의 구호 아래 우리말과 역사를 말살함으로써 한국인의 얼을 빼앗으려 했다. 그리고 청년들을 강제 징병하여 전쟁터로 내몰았으며, 젊은 여성들은 일본군의 위안부로 희생시키기까지 했다. 일제의 잔혹한 식민지 정책은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와 발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했다. 일제가 식민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계획한 시설의 설비투자 역시 식민통치를 위한 것이었을 뿐 한국에게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했다. 스스로를 지키지 못한 나라와 민족이 얼마나 비참하게 망가지고, 역사 발전에서 뒤질 수밖에 없는지를 우리의 과거 식민지 경험의 역사를 통해 여실히 알 수 있다.

  • @castleh2372
    @castleh23725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포함한 4명 진행자들에게 감사하네요. 역사에 관심 많았지만 교과서나 책으로는 세종이 김종서를 시켜 4군 6진 개척하였고 윤관의 9성위치를 파악케했다 이정도만 배웠는데 여진족 관련한 스토리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 @extrahuman9826

    @extrahuman9826

    5 жыл бұрын

    이랬던 여진족이 조선을 뚜까패고 청나라를 세우고..

  • @castleh2372

    @castleh2372

    5 жыл бұрын

    Extra human 머 역사엔 영원한 강자는 없으니까 ㅎㅎ

  • @user-fn5kf8ct1o

    @user-fn5kf8ct1o

    5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어렵게 개척한 4군6진...워낙척박하다보니 후에 또 방치하면서 여진족이 대거 들어와살던걸 숙종때 다시 정벌하면서 (비록 북한땅이지만)지금까지 우리민족의 영토가되었죠

  • @user-sw4nr1on9f
    @user-sw4nr1on9f5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이 생각했던 것보다 위대하신 분이네요! 훈민정음 창제와 같은 문치 관련 작업에만 열중하신게 아니라, 4군6진 개척과 같은 정벌작업도 충실히 이행하셨군요. 게다가 강온갈등을 적절히 중재하여 대왕께서 원하시는 바를 이루셨으니, 조선의 유일무이한 '성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아요. 또한, 강온갈등을 중재하는 과정에서 정말 '많은 지혜'를 발휘하신 모습에 경탄했어요. '정말 태종에 버금가는 정국주도능력을 갖추고 계신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어요. 특히나, 이라는 가르침! 마음 속 깊이 새길께요. 정말 역사를 통해 경영철학을 배울 수 있게 되어서 큰 보람을 느꼈어요. 유익한 강의라는 확신이 들게 되었어요!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여러 지혜를 가져다주는 명강의! 앞으로도 알찬 강의 부탁드릴께요.

  • @user-wu9hv5vi8u
    @user-wu9hv5vi8u4 жыл бұрын

    다시 봐도 여전히 재미와 감동 교훈이 있는 방송! 토크멘터리전쟁사입니다

  •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3 жыл бұрын

    이 프로그램 그립습니다~ 제정비 해서 방송좀 해주세요 ㅜㅜ 너무 그립네요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제발ㅜㅜ

  • @DJ_Han
    @DJ_Han5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 이름만 바꿔서 소설쓰면 아무리 소설이라도 저런사람이 어딨냐면서 욕먹겠다...진짜 치트키 수준이네

  • @user-xr5dy5jj4e
    @user-xr5dy5jj4e5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최고의 프로그램! 상안주나요? 존경하는 PD님 MC네분 포상 해외여행 한번 보내주세요. ^^꼭 부탁드립니다. 기부하고 싶네요. 이렇게 유익한 프로그램이 아직 남아있어서 대한민국에서 살만합니다. 언제나 토전사는 최고입니다.

  • @user-yc7tr6by5u

    @user-yc7tr6by5u

    5 жыл бұрын

    이런방송을 상줘야지 엄한데다가 상주고 그래

  • @qfwlctfjlyfhi

    @qfwlctfjlyfhi

    5 жыл бұрын

    상은 주되 포상휴가는 보내지 말자. 다음회가 쉬잖아. 나 한주 정서불안 생긴다.

  • @user-rt6yn8wq4e

    @user-rt6yn8wq4e

    5 жыл бұрын

    @@qfwlctfjlyfhi ㅋㅋㅋ인정합니다.웃프다

  • @Sidereus-Nuncius

    @Sidereus-Nuncius

    5 жыл бұрын

    포상휴가로 유럽을가서 거기서 녹화를...

  • @qfwlctfjlyfhi

    @qfwlctfjlyfhi

    5 жыл бұрын

    이건 포상휴가가 아니라 출장녹화라고 하는 겁니다. 즉, 정상근무란 의미죠.

  • @user-zk8kc4im4e
    @user-zk8kc4im4e5 жыл бұрын

    추석연휴라서 이번주 그냥 넘어가는가 했던이... 이렇게 올라오네요. 감사합니다.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이번추석은없어요

  • @jasonkim8410
    @jasonkim84105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 정말 제가 꼭 한번 만나보고 싶은 존경하는 분중 한분. 천재에 노력에 꾸준함 열정으로 조선을 만드신분 유교의 폐단을 멀리하고 실리적으로 쌀생산을 늘리고 재정을 쌓아두고 과학을 발전시키고 무기를 개발하고 국경을 넓이는등 조선에 문종, 광해군, 소현세자가 50년만 각각 했으면 한국은 벌써 공업화에 들어섰을 텐데 1700년부터... 성종, 정조, 정약용, 영조 이런분들은 잘했다기보다는 유교의 폐단을 바꿀정도로 계혁에는 실패한 분들이죠.... 별로... 세종대왕님을 보면 참 대단하다 정말 500년은 앞으로 나간 한국에 보물입니다. 자랑스러워야 한다고 봅니다. 또 이런분들이 다 나와야 화성 사막 등 가져가야 하는데 모든 한국분들 분발해서 개척해 한국화를 세계화 시켜 한국 분발했으면 합니다 정주영 회장님이 하신것 처럼요.

  • @darknosamodkn3953

    @darknosamodkn3953

    5 жыл бұрын

    그러길 원한다면 교육부터 개혁하라고 해라

  • @user-ux4oh9co2b

    @user-ux4oh9co2b

    5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성종은 여성과 서자차별등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경국대전에 포함시키는등 개혁을 단행한 인물이 아닙니다만.. 개혁보다는 조상님들이 만들어놓은 법과 질서를 잘 정리한 임금정도라 보시면될듯합니다.(경국대전)

  • @user-hu3ip5id5s
    @user-hu3ip5id5s4 жыл бұрын

    21:48 마음이 편안~~하네~~

  • @user-on7dq3si4u
    @user-on7dq3si4u5 жыл бұрын

    갈수록 케미가 좋아지네요..제게는 최고의 프로그램..다음편 나올때까지 또 전편 다시보기로 참아야 하겠네요 ㅜㅜ

  • @user-iy2kd8ye8m
    @user-iy2kd8ye8m5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과 같은 인물이 한 번만 더 대한민국에 나주신다면 좋겠다^^ 허준mc가 말한 것처럼 그런 역사적 디테일을 알고 정해진 시간에 적절히 녹여낼 수 있는 교사가 많지 않습니다. 극소수죠.

  • @langobard808

    @langobard808

    5 жыл бұрын

    대통령을 아직도 나랏님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 건 문제. 세종같은 인물이 나오는 건 좋지만.

  • @user-iy2kd8ye8m

    @user-iy2kd8ye8m

    5 жыл бұрын

    대통령이 아니더라도 정치인으로써 발전적 담론을 이끌 수 있는 리더라도 나왔으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인사권을 보면 왜 제왕적 대통령 제도라고 비판하는지 알 수 있죠. 그래서 대통령이 바뀌면 나라의 모습이 바뀌는 겁니다. 절대 대통령을 임금으로 보지 않습니다.

  • @user-jn7rf6wo6z
    @user-jn7rf6wo6z5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한글만들고 백성들 얘기 들어주고 하는동안현재 영토까지 늘려버린당신은 대체..

  • @user-nr5sx1ki1u

    @user-nr5sx1ki1u

    5 жыл бұрын

    저런분 한 9대까지 나오셨으면 만주 회복 했을듯

  • @IandeSongfransisco

    @IandeSongfransisco

    4 жыл бұрын

    밤엔 ㅅㅅ도 많이 하셨음

  • @user-zz2hc7in2v

    @user-zz2hc7in2v

    4 жыл бұрын

    @@IandeSongfransisco 왕ㅈㅈ라는 말이 그냥 나올리 없죠

  • @user-tx2kg6bp6i

    @user-tx2kg6bp6i

    4 жыл бұрын

    노비대왕을 찬양하네 ㅋ 한글 괜히 만든줄아나 ㅋㅋ 신분을 가르는게 언어다 양반은 한문 노비양민들아녀자들은 한글 조선 영조야말로 진정한 대왕이지 괜히 영조대왕이라 칭하는줄아나 세종이 만들고 고착화한 노비를 사대부 심기건드리며 확업앳으니

  • @user-bx5sp9bt4f

    @user-bx5sp9bt4f

    4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이 진짜 세종의 능력을 그대로 보여주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히려 능력을 깎아먹음... 실록에 언제부터 만들었다 그런말없이 갑자기 어느날 세종이 갑자기 내보인거. 근데 성균관이 같이했다 공주랑같이 했다등 기록에 있지않을걸 가르치고있고. 더 대단한건 세종 노년에 눈도안보이고 건강은 나빠질대로 나빠졌을때 만들었다는게 진짜...

  • @jamessong8729
    @jamessong87295 жыл бұрын

    이런방송이 역사채널보다 낫다. 정규방송 편성하라~~♡♡♡

  • @kangsj1977
    @kangsj19775 жыл бұрын

    매주 넘넘넘 재밌게 보고 있어요~ 홧팅입니다~

  • @user-he1ik7wv1l
    @user-he1ik7wv1l5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 @user-jw6hv1hu1r
    @user-jw6hv1hu1r5 жыл бұрын

    밥그릇을건드니 바로 협조적으로 바뀌네용^^

  • @charming_man123
    @charming_man1235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초기왕조들은 신하들도 왕들도 판단력 ㅆㅅㅌㅊ네 ㄷㄷㄷ 다들실전경험이 많아서

  • @asdfg4602

    @asdfg4602

    4 жыл бұрын

    조선후기 대한제국은 걍 허수아비왕+ 식민지+내분.

  • @yd01077

    @yd01077

    4 жыл бұрын

    huw uhsdi 임진왜란을 시작으로해서 서서히 노답이 되어갔죠...

  • @user-el8dz9zc5s

    @user-el8dz9zc5s

    4 жыл бұрын

    참 아이러니한건 저때 정립한 유교성리학 이 조선말기때까지도 되어서 쇄국..했다고도 저는 생각합니다... 이 생각은 세종대왕님의 다른업적을 무시하는 발언은아닙니다

  • @user-wx5lj3oe7b

    @user-wx5lj3oe7b

    4 жыл бұрын

    @@user-el8dz9zc5s 간신배들이 많아서 망한거임 ㅋㅋㅋ

  • @gilhyunan1139

    @gilhyunan1139

    4 жыл бұрын

    모 모 훈구파는 다른 사상 적어도 배척은 없었음 성종이후로 사림 튀어나오고 이이 이황은 이와 기 시각 차이로 쳐싸우다가 외란 터지면서 기득권층은 권력 지키기 위해 점점 사회를 억압함 그와중에 비주류들 중농학파 중상학파 튀어나왔는데 좀만 거슬리면 사문난적으로 죽였음 모든 사회현상과 정책을 주자학으로 해결하려고한 미친놈들 잔치였음

  • @ranfodu3066
    @ranfodu30665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군주였구나...

  • @ssy7561

    @ssy7561

    5 жыл бұрын

    아리미르 니나 역사공부 제대로 하자ㅋ

  • @user-zr5po6hp3i

    @user-zr5po6hp3i

    5 жыл бұрын

    세자인 문종의 정책이 였다한다

  • @user-ty7nc6ei7y

    @user-ty7nc6ei7y

    5 жыл бұрын

    @아리미르 어그래 그러다 고구려 처럼됬어^^

  • @onnya4753

    @onnya4753

    5 жыл бұрын

    @아리미르 응그래 너 화교

  • @doyoungchung

    @doyoungchung

    5 жыл бұрын

    세종이 추구한 세상은 성리학적 세계질서입니다. 따라서 조선의 양반 사대부에게는 천고의 성군이 맞죠. 다만 천민과 여자 등 성리학적 세계 밖에 내쳐져 있는 존재에 대해서는 아주 가혹합니다.

  • @user-zj3nj5vu2p
    @user-zj3nj5vu2p5 жыл бұрын

    킹갓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500년전 국경과 글을 만들어주셔서 계속 잘 쓰고 있습니다

  • @GT-nc5ik

    @GT-nc5ik

    4 жыл бұрын

    북한한테 반쪽 날라갔는데 후손도 그 나물에 그 밥

  • @user-nl7ru6rc8w
    @user-nl7ru6rc8w5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네요. 항상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 @user-hw1qd3cp9z
    @user-hw1qd3cp9z5 жыл бұрын

    왜케 짧게 느껴지죠? 역시 세종파워인가요? 너무 흥미진진~ 다음편 나올때까지 또 한 번 더 정주행해야겠네요~

  • @Pravda_Tomato
    @Pravda_Tomato5 жыл бұрын

    게임으로보는 토크멘터리 전쟁사도 재밌을것 같아요!

  • @moduara
    @moduara5 жыл бұрын

    역시 믿고 보는 세종

  • @user-mb5dv4yu1b
    @user-mb5dv4yu1b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user-ci3qc7ix4h
    @user-ci3qc7ix4h5 жыл бұрын

    토전사 잘 보고있습니다 기회가 되신다면 반군이나 정변 특집도 부탁드립니다

  • @user-zy1mj9de3l
    @user-zy1mj9de3l2 жыл бұрын

    26:26 앜ㅋㅋㅋㅋ이런 개그 너무 좋아ㅋㅋ

  • @user-kg6nf5rf1s
    @user-kg6nf5rf1s5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f4el9om8z
    @user-vf4el9om8z5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어요 최고

  • @user-uw9md9qf1t
    @user-uw9md9qf1t5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 @user-ci4xo7te8q
    @user-ci4xo7te8q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bluefighterj
    @bluefighterj5 жыл бұрын

    갓종대왕님!!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5 жыл бұрын

    여진정벌 편을 보면서 느끼는 점이지만 무조건적인 강경론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대책없는 온건론 역시 답이 없는 것 같습니다 팔레스타인이나 과거 우리나라의 사례를 봐도 알 수 있듯이 피는 피를 부를 뿐이다라는 말은 내가 힘이 없으면 완전 산 속의 메아리일 뿐이죠 힘 없으면 무시만 당하는 거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쟁에 항시 대비해야 된다는 말이 맞는 말인 것 같습니다 적이 나를 삼킬려고 칼을 가는데 나는 피를 흘리기 싫다고 무기를 내려놓으면 잡아먹어 달라고 광고하는 꼴밖에 나지 않는 거겠죠......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역사는 토크멘터리 전쟁사!!!

  • @user-tj4vz7gg8m

    @user-tj4vz7gg8m

    5 жыл бұрын

    양비론 그켬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

    5 жыл бұрын

    쌀농사??

  • @user-rn3ky7yj4t

    @user-rn3ky7yj4t

    5 жыл бұрын

    개소리를 장황하게 늘어놓네 븅신인거 광고하나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

    5 жыл бұрын

    비판은 괜찮지만 욕설 특히 패드립은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5 жыл бұрын

    @한국 Encounter 뭔 이상 엉뚱한 소리? 빵이 탄수화물 주 성분이지 단백질이어요? 근데 입은 걸레네

  • @user-nk8qm9ug6l
    @user-nk8qm9ug6l5 жыл бұрын

    크~~~~~ 역시 세종대왕님이다.

  • @isachuh9590
    @isachuh95905 жыл бұрын

    일본전국시대 편부터 꾸준히 빼놓지 않고 보고있습니다~ 항상 재밌게 잘 보구있습니다~!! 토전사 화이팅입니다!!

  • @youngchanseo7158
    @youngchanseo71585 жыл бұрын

    알림 안 울려서 현기증 나잖아요. 오늘도 선 좋아요 누르고 댓글 올립니다.

  • @lsankdg
    @lsankdg4 жыл бұрын

    이거 너무 재밌는데요?! 요즘엔 군인들한테 좋은거 많이 보여주네요ㅎㅎㅎ 다행입니다.

  • @user-vm7ms4ke8l
    @user-vm7ms4ke8l5 жыл бұрын

    꿀잼이예요, 최고👍

  • @user-kj4oj3mh1j
    @user-kj4oj3mh1j5 жыл бұрын

    자랑스러운 우리대왕 세종

  • @user-rv4un1zg9s
    @user-rv4un1zg9s5 жыл бұрын

    떳다아아 잘보겟습니다! ㅎㅋ

  • @user-pr4cp2nx6b
    @user-pr4cp2nx6b5 жыл бұрын

    크 너무재밌으 !!!

  • @user-xo1nr5pl1y
    @user-xo1nr5pl1y5 жыл бұрын

    마음이~ 편안~허네!

  • @flhyun398
    @flhyun3985 жыл бұрын

    이 프로 롱런 했으면 좋겠다.

  • @boeo1234
    @boeo12345 жыл бұрын

    26:28 박사님 이 드립을 칠까말까 살짝 고민하는게 보임 ㅋㅋㅋㅋ

  • @lig1230
    @lig12305 жыл бұрын

    꿀잼

  • @user-tx2wi2sg7j
    @user-tx2wi2sg7j4 жыл бұрын

    갓세종~!!! 모든 방면에서 최고였네. 이런 분이 계셨다는 게 정말 천운이다.

  • @user-ew5uk1do4u
    @user-ew5uk1do4u5 жыл бұрын

    35:03 만듦... 정확하십니다.. 엄지척!

  • @user-lr8jw1in9f
    @user-lr8jw1in9f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itgirl6201
    @hitgirl62015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선추천 후관람

  • @manstein4017
    @manstein40175 жыл бұрын

    토전사는 사랑입니다~~

  • @Dragonmir74
    @Dragonmir745 жыл бұрын

    정주행중~!!!

  • @hyuntaiklee
    @hyuntaiklee5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30년 전쟁도 해주세요 북방의 사자 구스타브 아돌푸스! 발렌스틴, 스페인 Tercio의 황혼...

  • @Siriuslee13
    @Siriuslee135 жыл бұрын

    선플 후감상요.

  • @hsu0331
    @hsu03315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고 유익하네요...세종 사이다!!!!!

  • @user-ef7nc9mg7w
    @user-ef7nc9mg7w5 жыл бұрын

    이 조합..정말 넘흐 조아여~^^

  • @user-wv4cv9hu7y
    @user-wv4cv9hu7y5 жыл бұрын

    다음편 졸라 기다려지네...

  • @user-zq1lq4gd3r
    @user-zq1lq4gd3r5 жыл бұрын

    재밋네.

  • @SukWon_Jang
    @SukWon_Jang5 жыл бұрын

    신뢰와 안심의 세종대왕님! 다음편도 기대해 보겠습니다. 아참, 국방홍보원 홈페이지의 다시보기에 올라와 있는 제 118회의 내용 설명이 뭔가 좀 이상하던데, 혹시 가능하시다면 수정하시는 게 어떨까요?

  • @user-pu3of5xc8g
    @user-pu3of5xc8g5 жыл бұрын

    갓종대왕느님 그는 도대체..

  • @user-si8qk2hn1x
    @user-si8qk2hn1x5 жыл бұрын

    여윽시 믿고보는 토전사! 여윽시 정치력 만랩! 세종대왕! 👍

  • @ziraltan
    @ziraltan5 жыл бұрын

    아 롱테이크로 몇시간 녹화하셨네요..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ud3yo7md4m
    @user-ud3yo7md4m5 жыл бұрын

    올라왔당!!!!!!! ^____^

  • @user-hq6qn5vn5w
    @user-hq6qn5vn5w5 жыл бұрын

    일이 끝나면 토전사를 이어보기로 아예 틀어놓고 사는 열혈팬입니다 네분 모두 재미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리고요~~~~~베트남전쟁도 한번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user-jz6on9yn7r
    @user-jz6on9yn7r5 жыл бұрын

    엄청난 능력자다

  • @user-rf1mj2mn4p
    @user-rf1mj2mn4p5 жыл бұрын

    이세환기자님과 허준mc가 "뭘보고 믿어!?"라고 하는순간 개뿜 ㅋㅋㅋㅋㅋㅋㅋ

  • @oinkoink6906
    @oinkoink69065 жыл бұрын

    국가관계는 그냥 조폭이나 다름없다. 의와 협을 숭상하는척하지만 진실은 적도 친구도 없는 생태계 질서에 충실한 세계.

  • @user-ir6ob3td9y

    @user-ir6ob3td9y

    5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그건 지금도 다르지 않지요 정의? 그 정의를 넘는 이득이 있다면 국가는 언제든지 적과 손을잡을수도 뒤통수를 후려 깔수도 있는게 바로 국제정세죠 미국이 말로는 저스티스를 외치며 경찰 노릇을 해도 그 뒷속에는 수많은 이권이 붙어 있고 중국도 중화사상을 외치지만 실제로는 누군가의 독제를 위한 구상일 뿐이듯 말입니다.

  • @lucasromi83

    @lucasromi83

    5 жыл бұрын

    세상을 제대로 통찰하신분. 맞습니다. 특히 전근대 시절 봉건국가는 적나라하죠. 그냥 야쿠자 마피아가 합법적으로 통치하는 국가가 봉건국가죠. 조선은 좀 문치적인 관료 카르텔 국가라고 봐야하고요. 아마 삼국시대는 완전 마피아 군사깡패 국가삘이었을듯

  • @user-zt9cg7fx4i

    @user-zt9cg7fx4i

    5 жыл бұрын

    현실은 국제빵셔틀을 자처하는 대한민국의 현실...

  •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yg2ds5nu3y

    @user-yg2ds5nu3y

    4 жыл бұрын

    @@user-vn8fn1sq7u 뭔 개소리를 하는거냐? 국가의 존립과 이득을 위해 지금 미국주도의 평화체계 안에 들어가 있는거 아닌가? 이런 체제가 무슨 조선시대때 한던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이인가? 조선은 아예 자기나라를 소중화로 여겼던 말도 않되는 진짜 막장 사대주의인데 지금 이걸 현대 대한민국에 적용시킨다고? 그리고 지금 성조기들고 우리나라의 안보상황으로 볼때 미국과 우호적 지내야한다는 사람들을 맹족적 추종자로 모는 너야말로 맹목적인 국수주의자 혹은 친북 민족주의자가 아닌가? 아니면 조선시대식 친중사대주의자거나. 정신좀 차려라. 현재 국제사회는 힘의 논리가 여전하지만 조선시대때의 미개한 중국사대주의하던 세상이 아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도록 국제사회가 가만히 두지도 않는다. 미국에 사대한다고 생각하는 니 생각은 완전한 망상이다.

  • @alanshore8440
    @alanshore84405 жыл бұрын

    이번주... 담당 성우님 감기 걸리셨나보네요

  • @스티븐제라드8
    @스티븐제라드85 жыл бұрын

    아쉽네요 4등 ㅠㅠ 기자님 화이팅 광명시민 허준님 화이팅 전 소하동 박사님도 건강하시고요 윤아나님도 화이팅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machinidon6540

    @machinidon6540

    5 жыл бұрын

    허준 김포공항에서 집까지 십키로 정도 된다고 했는데 광명 십키로 넘지않나?

  • @jamiealger7246
    @jamiealger72465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편 언제 해주시나요?

  • @user-qs4ci9yi9h
    @user-qs4ci9yi9h Жыл бұрын

    이번 편 역대급 긴장감 ㅋㅋ

  • @user-ir2cp1po4i
    @user-ir2cp1po4i5 жыл бұрын

    역사교육에 기준으로 삼야하는 바른프로입니다

  • @martinasru5577
    @martinasru55774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렇게 들으니까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saladin8671
    @saladin86715 жыл бұрын

    와.. 피디님 끊는 타이밍봐 .... 미쳤다 1주일 어케 기다립니까

  • @user-vp8hm5gm9q

    @user-vp8hm5gm9q

    5 жыл бұрын

    무기고 마지막에 짜증남..ㅋㅋ야동세환 미워했음 ㅜ

  • @happyhour2133

    @happyhour2133

    5 жыл бұрын

    @@user-vp8hm5gm9q ㅇㅈ 하지만 앞으로의 일주일이 기다려지는 미래가 된건 감사...😄

  • @hotworkkim
    @hotworkkim5 жыл бұрын

    가즈아~~

  • @user-hy9ip8zs7b
    @user-hy9ip8zs7b5 жыл бұрын

    국방 없이는 무조건적인 평화란 없다

  •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5 жыл бұрын

    문씨 멱살잡고 하고 싶은 말.

  • @184cm85kg

    @184cm85kg

    5 жыл бұрын

    ㅋㅋ윗두사람ㅋ이사람들은 문통 연설 보긴함? 힘을통한평화라고 정확한 워딩으로 국방을 상당히 강조했고 역대정부에서 이루지못한 미사일 사거리 탄두중량등을 풀어낸게 지금의 정부인데 싸이 공연한번했다고 국방력이 순간 사라지나? 이명박은 연평도 포탄처맞고 보복도 제대로 못하고 천안함 폭침으로 가라앉을때도 암것도 못해놓고 누가 누구 보고 국방을 논해ㅋㅋ

  • @user-uj5fi2hz4u

    @user-uj5fi2hz4u

    5 жыл бұрын

    저기요 힘을통한평화라는데 그건아가리만씨부리는거구요 탄두주량 풀기로하는거랑 여러가지 무기사는건 이미정해져있던거입니다 . 뭘모르면 아닥하고살던가 아직도 대가리덜꺠졌나

  • @184cm85kg

    @184cm85kg

    5 жыл бұрын

    주성곰 근거 가져오시고 그리 말씀하시죠? 원래 정해졌다는 근거

  • @184cm85kg

    @184cm85kg

    5 жыл бұрын

    이승준 ㅋㅋ 나서서 말렷다고 오바마 힐러리가? 언제 븅신아 카더라 오지내 ㅋㅋ 그리고 탄두중량을 북한이 깝쳐서 미국이 스스로 풀어줬다는 논리가 맞을려면 진즉에 풀어줘야지 6번에 걸친 핵실험 수십번의 미사일 실험하는 내내 안풀어준건 어케 설명? 문통이 2017년 한미정상회담이후에 미국과 합의한내용으로 드디어 나온건데 느그들 리명박그네 정부는 문통처럼 제대로 풀지도 못했는데 무슨 그리고 그 공연한번했다고 국방력이 무너지면 진즉에 북한한테 적화통일 당했겠네 ㅋㅋ 뇌가 구멍이나도 정상껏나야지 공연했다고 그나라 국방력 약화된다는소린 무슨 개논리인지 ㅋㅋ

  • @user-nw5fc5lm2h
    @user-nw5fc5lm2h5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부터 속이 편해진다

  • @user-gj2xr9ri4u
    @user-gj2xr9ri4u2 жыл бұрын

    헐 여기 나오는 먼터무가 누르하치 직계 조상이네요...청나라 세워지고 황제로까지 추존돼고요ㅎㅎ

  • @Astrado10
    @Astrado105 жыл бұрын

    15세기 초 조선 명 여진 외교관계 너무 흥미진진하네요 ㅋㅋㅋㅋ 그리고 세종 새삼 정말...역시 우리 역사상 얼마 없는 군주다운 군주

  • @user-nr5gb3zb6w
    @user-nr5gb3zb6w5 жыл бұрын

    조선조 사이다 1호 세종대왕 크아~ 묵은 체증이 내려가겠네 다음편 기대합니다.

  • @jih3629
    @jih36295 жыл бұрын

    다시한번 세종이 명군이라는걸 알 수 있었네요. 요즘 무슨 사고터질때 마다 서로 책임회피만하려고들 하는데 책임을 명확하게 하는 부분이나 사람을 자발적으로 참여시키는 것등.

  • @mrbykn
    @mrbykn5 жыл бұрын

    이도님만 믿고 가즈아~ ㅠ.ㅜ

  • @shsh09608
    @shsh096085 жыл бұрын

    삼국, 고려 할 때보다 분위기가 많이 유해지고 민족주의적 역사관은 크게 줄어들고. 이성과 학문을 존중하며 발전하는 네분의 케미 응원합니다

  • @zeroanger
    @zeroanger5 жыл бұрын

    신하들 태세전환하는 거 감탄스럽네요 정말로 대왕

  • @user-st2yw5mp1c
    @user-st2yw5mp1c5 жыл бұрын

    그저 빛 세종대왕님..

  • @user-ht2hc5zl7x

    @user-ht2hc5zl7x

    4 жыл бұрын

  • @user-kb8iz5ys2d
    @user-kb8iz5ys2d5 жыл бұрын

    아아아 갓세종~~ 편안 하다

  • @user-er3cx2gd8g
    @user-er3cx2gd8g3 жыл бұрын

    21:50 편안.

  • @user-ld6eu2tq8r
    @user-ld6eu2tq8r5 жыл бұрын

    세종..당신은 완전체..

  • @user-mg6uz4mn2t
    @user-mg6uz4mn2t4 жыл бұрын

    국가간에 관계는 영원한 적도 친구도 없다.

  • @user-jw3pr9zc6z
    @user-jw3pr9zc6z5 жыл бұрын

    역시 갓세종

  • @user-dn7qd4mg5k
    @user-dn7qd4mg5k5 жыл бұрын

    이걸 여기서 끊나. 얼른 담편을 내놓으시오.

  • @user-se7ez9hq5q
    @user-se7ez9hq5q5 жыл бұрын

    크으 킹 세종 갓! 갓!

  • @user-im6iz2di2i
    @user-im6iz2di2i5 жыл бұрын

    너무 안타까워요.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을 많은 사람들이 모른다는게.이정도 퀄리티를 공중파로 옮겨줄순 없나요???전쟁사뿐만 아니라 역사에 대해서 대화를 하는 프로그램으로 하나 짜면 딱일텐데....kbs는 하나 있으니 mbc,sbs,jtbc 검토해주세요!!

  • @user-fx3zo7ks4u

    @user-fx3zo7ks4u

    5 жыл бұрын

    공중파는 썩을 대로 썩어서 국방티비가 그나마 낫죠

  • @user-wr5qy7eu2m

    @user-wr5qy7eu2m

    5 жыл бұрын

    거기에 가면 그놈의 수익률과 시청률때문에 PPL 들어가고 아이돌 게스트 들어와야하고 어휴... 생각만 해도 끔찍하네요. 국방tv에서 하는게 어찌보면 이런 고급퀄리티 유지에 훨씬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 @praetor3840
    @praetor38405 жыл бұрын

    이번 기자님 스타일 좀 쩐다

  • @user-wc6vn1lv4w
    @user-wc6vn1lv4w4 жыл бұрын

    1년이 지나도 잊혀지지않는 백두산 주사리..

  • @user-mu3cs8fl5q
    @user-mu3cs8fl5q5 жыл бұрын

    토전사를 잘보았습니다.제가 생각하는 세종대왕하면 딱 떠오르는 이미지는 공부가 쉬웠어요 - -;; 이런것인데요..토전사를 보니 신하들을 구슬리고 단순한 전투 뿐만아니고 치밀한 전쟁준비 책략, 전쟁후 굳히기, 신하들과 줄다리기 책에서는 배울수 없는 실전을 거듭하고 전쟁에서 쓴맛도 경험한 노련함이 보입니다.. 토전사 교과서에서는 배울수 없는 내용을 넘 잘봤습니다^^ 근데 119회 할때까지 언제 기다립니까 ㅠ

  • @rayray7841
    @rayray78415 жыл бұрын

    킹갓종대왕

  • @user-xd8em9nj3b
    @user-xd8em9nj3b5 жыл бұрын

    애기살 설명때 나온 영화장면 어떤영화인지 아시는분???

  • @fivewonso
    @fivewonso5 жыл бұрын

    기승전 세종대왕님..

  • @user-jh1eh6uo7h
    @user-jh1eh6uo7h5 жыл бұрын

    크...세종에취한다

  • @gray8235

    @gray8235

    5 жыл бұрын

    여기 문종 추가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