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멘터리 전쟁史] 116부 새나라, 새 군대를 세워라-조선의 여진정벌 1부

왜구 침략 이후~
한반도의 상황은~?
남쪽 왜구의 침략에 이어 이번엔 북방민족의 침입까지~
북방 여진족을 잡기 위해 조선이 내세운 대책은~?

Пікірлер: 844

  • @user-gj2sz1fr3t
    @user-gj2sz1fr3t5 жыл бұрын

    임용한 교수님은 저 연세와 경력 등을 보면 사고가 딱딱 해지셨을수도 있었을텐데 유연한 사고가 교수님을 더 매력적인 학자로 만드는 것 같습니다 ㅎㅎ 오래오래 해주세요 제발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폐지됨ㅜㅜ

  • @freewry3558

    @freewry3558

    3 жыл бұрын

    ㅠㅠ 뉴스 멘터리, 게임야화 대신 좀 흥해라.

  • @shurike37

    @shurike37

    3 жыл бұрын

    @@gatsby2298 대깨들 절대권력의 희생양

  • @sekaempire

    @sekaempire

    3 жыл бұрын

    내가 뽑지도않은사람을 , .대통령으로 국회의원으로 '국민들이 강제로인정하고 살아야되는게 민주주의란 제도다.. 세상에서 제일 불합리하고 . 독재보다 훨씬 더악랄한 제도를 ' 개돼지보다 더 명청한국민들이 민주적이라 세뇌당한덕분에 ,. 지금까지도 절대선으로 알고 살아가는것이다

  • @sekaempire

    @sekaempire

    3 жыл бұрын

    @@butterflywing4102 읽을만한 가치가있는 댓글이네요 댓글달아줘서 감사~

  • @bluesman348
    @bluesman3484 жыл бұрын

    24:45 교수님 ㅋㅋㅋㅋㅋㅋ '휙~ 이친구 어디갔어 퍽' 이 대사 하시는거 왜이리 귀여우시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j9zl5dx2u
    @user-bj9zl5dx2u5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방송이다.전쟁역사지만 이야기속에 그당시 정치.경제.문화 백성들의삶 까지 모두녹아있다.이런방송은 계속이어져 가야한다. 허준.기자님.박사님.아나운서님 조합도 최고다. 이대로 십년이십년 계속갑시다.

  • @LEE-pz7ed

    @LEE-pz7ed

    5 жыл бұрын

    옳소

  • @klimt8252

    @klimt8252

    5 жыл бұрын

    근데 이제 소잿거리가 될 전쟁이나 원정들이...있을까요? 1ㆍ2차 세계대전, 십자군원정,그리스ㆍ페르시아 전쟁, 펠로포네소스 전쟁, 징기즈칸 원정, 바이킹 ㆍ왜구같은 해적들, 삼국시대, 삼국지, 전국시대같은 동아시아전쟁 들과 전쟁에 관련된 기술ㆍ사건ㆍ개요 그런거 다했는데..아 아편, 미ㆍ서, 청ㆍ일, 러ㆍ일 전쟁안했구나

  • @user-uo3wq5fh3i

    @user-uo3wq5fh3i

    5 жыл бұрын

    @@klimt8252 전쟁이 워낙 많아서리 가능할듯

  • @klimt8252

    @klimt8252

    5 жыл бұрын

    @@user-uo3wq5fh3i 근데 이제 슬슬 바닥이라...

  • @confusedcaveman5678

    @confusedcaveman5678

    4 жыл бұрын

    @@klimt8252 아직 나폴레옹도 남았슴당

  • @youngchanseo7158
    @youngchanseo71585 жыл бұрын

    내가 국방tv를 기다리는 단 한 가지 이유 토크맨터리 전쟁사

  • @youngchanseo7158

    @youngchanseo7158

    5 жыл бұрын

    댓글 달려면 관련있는 댓글에 댓글 다시구요, 이렇게 좋은 프로그램에 이런 댓글을 올리시니 참 어떤 기준으론 대단하시네요.

  • @SQQQ-SHORT

    @SQQQ-SHORT

    5 жыл бұрын

    비정상적인 답글들은 신고 넣어주세요.

  • @dd-cw8zb

    @dd-cw8zb

    5 жыл бұрын

    정치병자들 시도때도 없이 튀어나오네 ㅋㅋㅋㅋㅋ 저런사람 특징이 40~50대 이상이더라

  • @yoshiki9665

    @yoshiki9665

    5 жыл бұрын

    @zzz000 니 모하냐? 출처를 올려 염병하지 말고

  • @only.h7073

    @only.h7073

    5 жыл бұрын

    @@sunghyunkim5049 쫐까

  • @user-qs6ci8pk6i
    @user-qs6ci8pk6i2 жыл бұрын

    진짜 임교수님의 통찰력과 허준의 예리함과 이해력 ㅋㅋ 케미 잘맞네

  • @junkim2789
    @junkim27894 жыл бұрын

    토전사를 보면 볼수록 로마의 군단병은 정말 시대를 앞서간 수준이 아니라,정말 미친듯이 진보된 군대였구나 라는 걸 느낍니다. 병영생활/특기병/진영,진법 훈련/전문성 훈련/전문군인/규격화된 복장과 장비/현대적 부대 구성....로마가 괜히 전쟁 기계가 아니었구나, 로마 군단병에 비할만한 군대 양성 시스템은 영국의 레드코트 이전까지는 없었다...라는 말이 이래서 있나봅니다.

  • @user-jj1vi3lt3e
    @user-jj1vi3lt3e5 жыл бұрын

    토크멘터리 전쟁사 정말 좋아요. 내용도 좋고 형식도 최고. 출연 네분과 스텝분들 감사합니다.

  • @extrahuman9826
    @extrahuman98265 жыл бұрын

    징집과 식량 등 전쟁 준비에 관한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인것 같습니다..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tjtjddn006

    @tjtjddn006

    5 жыл бұрын

    서성우 피엣님 ㅅ

  • @tjtjddn006

    @tjtjddn006

    5 жыл бұрын

    피엣님 새로운 ㅛ ㅡ스

  • @user-ev8pg2kg6r
    @user-ev8pg2kg6r5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임용한 교수님과 이재환 기자님에 전쟁과 역사와 관련된 그 해박하고 넓은지식과 혜안이 부럽습니다 정말 얼마나 공부를 많이하고 책을 읽었으면 저런 지식이 나오는건지 거기다 편향된 사고가 아닌 지극히 중립적으로 객관적인 자세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까지 정말 대단하다 느낍니다

  • @솔랭은애황

    @솔랭은애황

    2 жыл бұрын

    세환입니다

  • @brianlee4966

    @brianlee4966

    Жыл бұрын

    @@솔랭은애황 샤를입니다.

  • @user-vo6cz3nw7t
    @user-vo6cz3nw7t5 жыл бұрын

    뭔가 참신한것 같으면서도 안습하기도 하다가 다시 또 이런게 있었네?의 연속이네요. 조선 자체가 성리학적 이상향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실험장같은 느낌이랄까... 하지만 결국 사람의 실수는 반복되고 정체된 시스템은 노후화하고 마모되며, 지속해서 개혁과 발전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경제를 무시해서는 않된다는 것을 다시 깨닿습니다.

  • @user-ms5bl1sf3k
    @user-ms5bl1sf3k5 жыл бұрын

    제가 국방티비를 애청할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재밌어요 ㅋㅋㅋㅋ 그래서 봅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콘텐츠 부탁드립니다 !!!

  • @user-yc7tr6by5u
    @user-yc7tr6by5u5 жыл бұрын

    진짜 토전사는 영구히 방영했으면 좋겠다 공부에 도움도되고 재미있고 귀에속속들어오고 지연이도 귀엽고 허준이 재미있고 방송하나 건졌네

  • @manstein4017
    @manstein40175 жыл бұрын

    항상 즐감합니다.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 @Robotmuziq
    @Robotmuziq5 жыл бұрын

    정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정말 유익한 프로그램! 항상 감사합니다.

  • @user-xe2hn8el3s
    @user-xe2hn8el3s5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고생하세요~

  • @user-rv2tz1ew9n
    @user-rv2tz1ew9n5 жыл бұрын

    토크멘터리 전쟁사.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uk5nc5mc1m
    @user-uk5nc5mc1m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여 박사님^^ 토전사 1화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챙겨보는 시청자입니다. 이제 곧 병자호란에 대한 이야기도 나올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제가 본 유튜브 역사강의 중에 가장 흥미롭게 병자호란을 분석하는 영상을 보게 되었어요. 지금껏 제가 알던 병자호란에 대한 오해를 말끔히 해소해주는 것 같습니다. 보통 한국사를 바라볼 때 , 한국사를 분석할 때 가장 조심해야하는 것이 두가지라고 생각해요. 첫째, 국뽕에 심취해서 잘잘못을 따지지 않고 우리 조상님들을 치켜세우는 데에만 치중하는 것. 둘째, 한국의 역사를 볼품없다고만 여기고 일본, 중국, 서양사와 비교하면서 무조건 낮춰보려는 자세. 이 두가지입니다. 하지만 박사님처럼 시시비비를 정확히 따지면서 잘한것은 칭찬하고 못한것은 본보기를 삼아 되돌아보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이분의 역사강의도 참 수준이 훌륭하십니다. 다음 한국사 관련 주제를 하실 때, 이분의 분석, 의견도 토전사 시청자들에게 들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토전사 시청자들도 함께 나누면 좋겠습니다. 병자호란에 대한 오해 kzread.info/dash/bejne/mnmN28OxabG3Zco.html 광해군에 대한 다른 시각 kzread.info/dash/bejne/lm1hzqh-iau6pKQ.html

  • @arnshutain
    @arnshutain2 жыл бұрын

    01:17 조선의 군사개혁. 2:21 2군체제 등장 3:47 '물질보상'이 없는 조선. 04:39,26:57,31:00 ㅋㅋ 04:41 관직이 보상. 06:27 라인화 7:44 유대감이 없어. 09:51 '진법'. 10:59 '부병제,역' 12:35 수령 14:01 무과. 15:39 없는거보다 나은 감투. 17:13 시험과목 소개. 20:54 국궁. 21:24 창기병 22:36 산기병. 24:49 창 26:59 명언 28:00 달리기 시험 28:59 '이용익' 30:02 알아서 조직화 31:43 고려, 조선 향리 32:55 화약무기 34:13 단병접전 이야기 35:39 무거운 쌀 36:35 저장과 유지가 힘든 군량미 38:01 '현대인의 시점만 가지고 역사를 보면 안된다.' 40:48 킹메이커 43:01 정도전,하륜의 비교 46:39 바로 알자(진법의 원조)

  • @manhokim347
    @manhokim3475 жыл бұрын

    월요일의 행복 토크멘터리~ ㅋ

  • @user-mb5dv4yu1b
    @user-mb5dv4yu1b5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잘보고 있습니다 ㅋㅋ 벌써 다음주가 기대되는군요 앞으로도 좋은 내용 잘부탁드립니다

  • @user-hh4sy2ti3m
    @user-hh4sy2ti3m5 жыл бұрын

    듣고듣고 또 듣고 1년 넘게 잘 듣고 있습니다. 항상 잘때 귀에 대고 틀어 놓구 잡니다ㅎ

  • @junamock
    @junamock5 жыл бұрын

    애청자입니다 항상 재미나고 즐겨봅니다 또봐도 또봐도 새롭고 최고입니다 재미있게 역사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최고복받으세요

  • @skyhoons
    @skyhoons5 жыл бұрын

    회식자주하시나봐요. 모두 몸이 점점 좋아지고 있어요.

  • @hahaagi

    @hahaagi

    5 жыл бұрын

    ㅋㅋ

  • @songpro_

    @songpro_

    4 жыл бұрын

    누나만 빼고 회식하나봄ㅋㅋㅋㅋㅋㅋㅋㅋ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폐지됨ㅜㅜ

  • @SKGMTR
    @SKGMTR5 жыл бұрын

    이번 화도 재밌게 잘봤습니다! 무과의 내용은 KBS의 다른 역사프로그램에서도 잠깐 얘기했었는데 정말 힘들어 보이네요. 네분 모두 감사합니다.

  • @user-kl3yv1xr6u
    @user-kl3yv1xr6u5 жыл бұрын

    역시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토크멘터리 전쟁사.

  • @user-ci4xo7te8q
    @user-ci4xo7te8q5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사랑합니다 토전사 여러분들 ..특히 어떤분 더 사랑합니다^^

  • @user-kf7gx8ot6e
    @user-kf7gx8ot6e3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조선에 대한 편견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잘 파헤쳐보니 보수 유지라는것과 군대를 유지하는거 자체가 힘들고 민심도 따져야 하는걸 생각하면 그당시 소위말해 우리 조상님들이 고생하셨다는걸 알게되었네요. 막 까고보는게 아니라 장단점과 처해진 상황을 두루두루 봐야하는거네요. 그렇다고 조선 중기부터 막나가는 병크들은 어찌 설명할수가...

  • @alike2701
    @alike27015 жыл бұрын

    정말 잘보고있습니다. 유튜브에서 유일하게 찾아보는 프로그램이에요. 시간나는줄 모르겠습니다 ㅎㅎ^^

  • @user-uj6df8sc4i
    @user-uj6df8sc4i5 жыл бұрын

    오래가자아! 토크멘터리 전쟁사!

  • @wb5342
    @wb53425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재밌게 보고가요~//

  • @windlee183
    @windlee1835 жыл бұрын

    근래 보기 시작했는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고 있네요. 역사가 이렇게 재미있는 줄 몰랐습니다.

  • @MOSES1LIM
    @MOSES1LIM5 жыл бұрын

    크으... 근대이전의 국가운영, 군사제도의 실제적인 이미지가 토킹을 하는것만으로도 이렇게나 디테일하게 머리속에서 그려지는것같네....... 아니 오히려 이런식으로 썰풀듯이 얘기하니까 오히려 머리로 상상하는게 더 집중이되서 진짜 심상적으로 와닿는거같음... 진짜 오래오래 하십시요 .. 그리고 임용한교수님 지식을 좀더 철저히 활용한 전문성있는 프로그램들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 @Jaundae
    @Jaundae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it4bb7tv1x
    @user-it4bb7tv1x5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ㅎㅎ

  • @ziraltan
    @ziraltan5 жыл бұрын

    신병주 교수님 & 임용환 교수님 우리나라 역사학계의 투톱 사랑합니다

  • @user-fg5fb5by9b
    @user-fg5fb5by9b5 жыл бұрын

    굿굿

  • @user-zb8mm9il1d
    @user-zb8mm9il1d5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가요

  • @user-nd3cn4iy1t
    @user-nd3cn4iy1t4 жыл бұрын

    이리 재밌고 유익한 프로가 폐지되다니...

  • @2rm730
    @2rm7305 жыл бұрын

    이번 방송 정말 좋네요. 무조건 까고 보는 글자로만 평가하는 그 분들에 대해 그러지 말라는 메세지 정말 좋았습니다.

  • @junechoi8410
    @junechoi84105 жыл бұрын

    토크멘터리 전쟁사는 잘 보고있습니다. 대북방전쟁도 방송해주엇으면 좋겟네요.

  • @hahn71200
    @hahn71200 Жыл бұрын

    최고야

  • @swbreeze
    @swbreeze5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

  • @arona6971
    @arona69715 жыл бұрын

    잘봣습니다

  • @user-skybye
    @user-skybye5 жыл бұрын

    조선은 별로 멋지지도 않다고 생각하고 재미나 흥미도 적었는데 토전사 보면서 생각이 많이 바꼈어요

  • @user-sb8wt9er7b
    @user-sb8wt9er7b5 жыл бұрын

    현재 가장많이 보고있는 프로그램~ 무한반복시청중. 국방tv를 고맙게 생각하게되다니..ㅎ

  • @user-bc6tc6yr8y
    @user-bc6tc6yr8y5 жыл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잘 보고 가겠습니다. ^&^

  • @user-zh9wl2jv4h
    @user-zh9wl2jv4h5 жыл бұрын

    요새 툭! 하면 휴방하네요!? 요거 보는 낙으로 월요일 기다리는데..-_ㅜ

  • @inseopyoon7680
    @inseopyoon76805 жыл бұрын

    팟빵 에서 임용한 이세한의 비디오가 계 영화에 대한 역사적 고증 및 객관적인 설명 잘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tennisserveacademy8550
    @tennisserveacademy85504 жыл бұрын

    나름 시스템이 갖춰진.. 제도가... 그러면서 현실적인 문제가 아쉽네요... 비판만 할게 아니라는게..

  •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3 жыл бұрын

    그쵸 ... 지금 대한민국 국방부도 365일 1년 내내 훈련하고 소집하고 시스템 제도 준비 매일 해도 한번 북한에 뚫리면 국방부가 썪었네 군인들 기강이 떨어졌네 이런 소리 나오니

  • @VoidX930
    @VoidX9305 жыл бұрын

    정비의 물리적 한계에 대해 지적하신 내용 좋네요.. 역시 교수님..

  • @djshin2290
    @djshin22905 жыл бұрын

    좋아 간드아앗!!

  • @skyclan
    @skyclan4 жыл бұрын

    오 ㅋㅋㅋㅋㅋ 대단

  • @china_lover
    @china_lover5 жыл бұрын

    재밌다 ㅎㅎ

  • @user-no5jm7vb5f
    @user-no5jm7vb5f5 жыл бұрын

    자주봅니당

  • @librenam5956
    @librenam59565 жыл бұрын

    저는 토전사 볼때마다 편집하는 분들이 정말 실력이 좋으시구나라는 느낌이 듭니다

  • @user-vs5zp9qz3s
    @user-vs5zp9qz3s5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어요~!! 전국시대편이나 중동편 처럼 예전에 1편으로 했던거 다시 자세히 해보는것도 낫지 않을까요??? 오히려 자세히 얘기 하니 그전에 있던 다른 국가들에 대한 막연한 선입견 이나 이셤 상념 으로 구분짓던걸 현실적으로 와닿으니 전쟁은 그 각자 국가의 상황과 현실이 만든거란 생각을 깨달았을 정도로 좋은 프로 같아요 더 발전 하길 원합니다^^

  • @yoshiki9665
    @yoshiki96655 жыл бұрын

    역사 컨텐츠중 젤 나은 듯 잼나요

  • @Ohraindrop
    @Ohraindrop5 жыл бұрын

    선플후감

  • @user-mb5dv4yu1b
    @user-mb5dv4yu1b5 жыл бұрын

    ㅜㅜ 언제 올라오나요 ㅜㅜ 기다리다 목 빠져요

  • @SukWon_Jang
    @SukWon_Jang5 жыл бұрын

    저는 다음편 예고중에서 기자님의 노래가 무척 인상적이네요. 노래 풀버전(?)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 @user-wf6vd9py4l
    @user-wf6vd9py4l5 жыл бұрын

    오~이뿌다.....

  • @user-qm7mu4hj2i
    @user-qm7mu4hj2i5 жыл бұрын

    이거보는 재미에 산다

  • @user-xr5dy5jj4e
    @user-xr5dy5jj4e5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건강하세요. ㅠㅠ 피곤해 보이세요. 힘내세요.

  • @netiora
    @netiora5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살기 힘들어서 헬조선 헬조선 이런말이 많은데, 제대로 역사를 가르쳐주는 이런 프로그램을 보니 꼭 그것도 아닌것 같네요. 어려운 환경속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조상님들이 많은것 같네요.

  • @darknosamodkn3953

    @darknosamodkn3953

    5 жыл бұрын

    파이팅 To the end

  • @lucasromi83

    @lucasromi83

    5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생각이 바뀌는 사람들이 늘어나야 합니다. 먹고 살기 팍팍하면 정부 욕하면서 조선 시대를 평가할 때는 민생보단 국가적 권위와 가오만 생각하면서 민생 억압책 구사 안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계속 바껴야 함.

  • @ms-06-zaku

    @ms-06-zaku

    5 жыл бұрын

    조상님들께 물론 감사드리지만 그분들이 우리보다 더 암울하고 힘든 여건에서 사셨다고 하더라도 지금 헬조선에 사는 우리가 덜 불행해지는건 아닙니다

  • @user-vw4in6ew8g

    @user-vw4in6ew8g

    5 жыл бұрын

    헬조선은 수직적이고 경직적인 유교문화가 가장큰원인이지 경제적으로는 한국이 세계탑티어 인데 시민의식이나 문화 성향 제도 등이 아직도 조선시대야

  • @hellowow8662

    @hellowow8662

    5 жыл бұрын

    조선 사람들이 노력한건 맞지맛 그 노력의 방향이 잘못됐죠. 농업에 집착, 이상주의인 성리학에 집착, 쇄국 중에서도 너무 비효율적인 쇄국 정책, 열악한 재정 정책. 이것들로 인해 조선 사람들의 모든 노력들이 무용지물이 된거나 다름없죠. 현대처럼 체계화된 세상에도 문제점이 생기는 판이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근대시대 직전까지 호족 체제, 봉건제 체제, 사병 체제까지 유지했어야한다고 봅니다.

  • @Dooss_
    @Dooss_5 жыл бұрын

    👍🏻

  •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5 жыл бұрын

    늘 고생하시는 패널 및 제작진 분들 고맙습니다.

  • @user-iz8sg8nb8g
    @user-iz8sg8nb8g5 жыл бұрын

    국방티비는 이프로그램 전원일기처럼가야된다

  • @user-nm6kq9bn1b
    @user-nm6kq9bn1b2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다시보는데 진짜 명작이다 이프로그램은 ㅋㅋㅋ

  • @neem693
    @neem6934 жыл бұрын

    아니 어떻게 이렇게 재밌을수가

  • @mrbykn
    @mrbykn5 жыл бұрын

    8:13 소장님은 맨날 하사관~ 하사관~.... 옛 날 사 람!!!! ㅋㅋㅋ

  • @cross817

    @cross817

    3 жыл бұрын

    임용한교수님은 군대갔다왓나오?

  • @user-sf8kf5js1g

    @user-sf8kf5js1g

    3 жыл бұрын

    @@cross817 행정병이셨댜요

  • @user-sf8kf5js1g

    @user-sf8kf5js1g

    3 жыл бұрын

    @@cross817 대요

  • @user-hy2pw8ip5x
    @user-hy2pw8ip5x5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그시대에 살다오셧어요? 자료조사 하시고 정말 납득이 되게끔 조선의 군제를 설명해주시는 군요 . 감탄합니다. 여러 매체나 책에서 조선은 평화에 찌들어서 군사력이 약해지고 침략을 받았다. 근데 왜? 이건 몰랏거든요.

  • @ggghhhlee6685
    @ggghhhlee66853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한국사하니까 박사님 분량이 많네요

  •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5 жыл бұрын

    유고내전도 다뤄주세요

  • @user-zg7ld2fo7z
    @user-zg7ld2fo7z3 жыл бұрын

    이거왜 폐지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늦게 보고 있긴하지만.... 궁금했던 역사 와 전쟁사에대한 부분을 알려주는 유익한 프로그램이였던것 같은데..

  • @user-ml5vo5wx5o

    @user-ml5vo5wx5o

    Жыл бұрын

    우민화정책에 방해가 되어서 높으신 어른분들이 방송 당시 제보 많이 했다고 하네요.

  • @user-et6zr4jj7q
    @user-et6zr4jj7q5 жыл бұрын

    아.... 역시 조선도 일찍 농업 중심에서 상공업 중심으로 경제가 재편돼야 했는데... 아무리 정교하게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했어도 경제기반이 너무 물렁해서 사회개혁, 발전 동력이 너무 떨어지는 것 같네요... 군인 월급 하나 제대로 주지 못하는 나라는...

  • @user-ts5oi4bm2z

    @user-ts5oi4bm2z

    5 жыл бұрын

    조선은 나라살림을 빠듯하게 운영한편임 조세를 10분의1수준으로 걷었으니 그럴수밖에... 다른나라들은 보통 40프로 많으몀 60프로까지도 띠어먹었으니..

  • @sund8569

    @sund8569

    5 жыл бұрын

    개혁과 진취는 오로지 경험에 의해서 발전하고 한 단계식 성장하며 스스로 변화에 나가는 것인데, 당시 조선은 그러한 경험을 1백년에 한번 길게는 수 백년에 한번씩 겪었고 기회가 아주 적었기 때문에 조금 더딜수 밖에 없었습니다.

  • @hellowow8662

    @hellowow8662

    5 жыл бұрын

    조선 사람들이 노력한건 맞지맛 그 노력의 방향이 잘못됐죠. 농업에 집착, 이상주의인 성리학에 집착, 쇄국 중에서도 너무 비효율적인 쇄국 정책, 열악한 재정 정책. 이것들로 인해 조선 사람들의 모든 노력들이 무용지물이 된거나 다름없죠. 현대처럼 체계화된 세상에도 문제점이 생기는 판이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근대시대 직전까지 호족 체제, 봉건제 체제, 사병 체제까지 유지했어야한다고 봅니다.

  • @user-zf9eo7xi3c

    @user-zf9eo7xi3c

    5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상공업이 발달할 상황도 아니었어요. 무역할 나라가 일본이랑 중국밖에 없는데 일본은 임진왜란 이전까지 중국과 조선 양국에게 무역할 필요 없는 후진국으로 취급받았었고 명나라도 조선과 같은 농본주의 정책을 펴서 조공무역을 제외하면 무역수단이 없었거든요. 조선에 상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청나라가 건국되고 일본이 에도시대를 맞이한 이후입니다. 그때는 중개무역으로 짭짤한 이득을 봤죠. 상업이 발전하면서 대동법도 시행하게 되었고요.

  • @abcdp9233

    @abcdp9233

    5 жыл бұрын

    농업 중심 경제가 발달이 돼서 잉여생산물이 폭발적으로 증가를 해야 상업이 발달되고, 상업이 발달되어 활발해져야 공산품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이 발달해 공산업이 발전하게 됩니다. 농업경제 중심의 발전은 당연하고 오히려 합리적인 발전입니다. 중요한 부분은 농업생산력의 증가입니다.

  • @suhyunkim3581
    @suhyunkim35815 жыл бұрын

    오스만의 빈포위전도 해주세요!!! 야전+공성전

  • @user-db8ld1sb6u
    @user-db8ld1sb6u5 жыл бұрын

    군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는 방법은 끊임없이 주기적으로 전쟁을 하는 것. 과거 몽고군 지금은 미군 ㅎㅎ

  • @militarygearjunkie2522
    @militarygearjunkie25224 жыл бұрын

    2020년 5월 토전사를 처음부터 다시 보기 시작했다. 국방TV는 토전사 전과 후로 나뉜다. 토전사 전 - 듣보잡 토전사 후 - 세금 잘쓴다고 칭찬받음 토전사 폐지후 - ㅂㅅ됨

  • @donggi8
    @donggi85 жыл бұрын

    인생은 하륜처럼

  • @user-jw6hv1hu1r
    @user-jw6hv1hu1r4 жыл бұрын

    지금이야 위협이 근접해있으니까 할수있겠지만 지속되는 평화속에서는 위험에 둔감해지는건 어쩔수가 없나보네요.

  • @user-mq5gx2hl2n
    @user-mq5gx2hl2n5 жыл бұрын

    앉아서 담요로 가린다는건 그저리에 어울리는복장이 아니라는거죠.

  • @happyhour2133

    @happyhour2133

    5 жыл бұрын

    헌데 '역사연구는 글로만 배우는게 아니라 상상력도 필요하다'는걸 표현하는 복장이라봄...

  • @user-wg1gt1hn8g
    @user-wg1gt1hn8g Жыл бұрын

    이성계 동북면군단, 단결 잘 된 군대 > 쿠데타 지역사회전투는 자체적으로 보상이 됨 징발 돼서 먼곳에 나가면관직으로 줌(물질적인 보상x) 고려군대 라인(통합안됨, 쿠데타 우려) > 15c 국가에서 지정해서 병 배치(진법으로 보완, 규격화) but,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 조선전기 부병제(농사지으면서 모병), 전투 비용또한 개인부담, 군역자체가 세금의 다른 형태 조선시대는 세금대신 역으로 때워야 각 고을에 수령을 보내 행정체계를 구축 > 유사시 사령관, 동원 예비군으로 부대 편성 보완책 1. 문관과 무관을 번갈아 2. 중요 요충지에는 무관수령 배치 조선시대 무과(취재) 병사까지 뽑음 고려 지휘관 책임 선발, 조선 공채 > 16c 이후 지원자가 없는 문제 조선초기 창기병 40%, 산 비탈이 많으면 기마술이 더 강함 창 길면 정확도 떨어짐, 당시 창 무게 30근(1근 = 650g) 낮다는 상대적, 훈련이 낮다고 해서 논게 아님 생명이 걸리면 정확함, 분대장은 팀원이 소대장은 분대장이 뽑는게 신뢰와 조직력이 탄탄 고려시대 향리가 전시 장교(지역정보에 빠삭) 조선은 향리들을 문관으로 바꿈(군 단결력, 보병 전투력 약화) 군사문제 = 돈 문제 가장 큰 문제 군량, 밀가루에 비해 쌀이 무거움 산성에 저장, 운반 힘듬, 지키기도 힘듬 1년만다 교체(길어도 몇년마다), 전쟁이 길면 100년에 한 번 나기도 함 쥐가 못먹게 하려면 바닥을 돌로 깔아야 됨 그래야 산성 비만오면 무너짐, 산성 보수비 현대 100m 5억 정도 듬

  • @user-skybye
    @user-skybye5 жыл бұрын

    오 조선분야 너무 좋아요!!!

  • @user-we5km3kd5f
    @user-we5km3kd5f5 жыл бұрын

    와 재밌게 봤는데 국방tv에서 찍은거네 ㅋㅋㅋ

  • @Hyucklee73
    @Hyucklee735 жыл бұрын

    국방TV의 간판프로그램. 어느덧 120회를 향해가는군요.네분하고 이프로그램 만든분들 국방tv에서 보너스줘야할듯.

  • @user-pl1qo4xe8p
    @user-pl1qo4xe8p5 жыл бұрын

    실례되는 말이지만 인도전쟁사에 대한 영상 제작해주실 수는 없을까요? 인도역사는 많이 알려진게 없어서 개인적으로 많이 알고 싶습니다.

  • @WinterrSummer
    @WinterrSummer5 жыл бұрын

    현장최고사령관을 2,3배치하면 되지 않나요?

  • @TampaBay_Rays
    @TampaBay_Rays5 жыл бұрын

    잘보고있어요 근데 세계사쪽도 번갈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snicus76
    @snicus765 жыл бұрын

    조선 군사체제로 가니 '하륜 vs 정도전' 구도가 여기에도 적용되는 군요. 흥미롭네요

  • @kkkktfchfsng
    @kkkktfchfsng5 жыл бұрын

    화면이 분홍빛이네

  •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5 жыл бұрын

    군대 보상 문제가 이 편에서 곱씹어 볼 만한 문제 같군요.

  • @kyeongsukim4699
    @kyeongsukim46995 жыл бұрын

    이놈의 나라는 썪었어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잘 봤습니다 교수님 그렇게 생각해본적은 없는데 다시 생각 하게 되네요.

  • @alanshore8440
    @alanshore84405 жыл бұрын

    올리셨군요 ~ 기다렸어요

  • @user-qp1cl8hg4o
    @user-qp1cl8hg4o3 ай бұрын

    여기 프로그램 볼륨이 다른 유튜브와 달리 많이 낮은거같아요. 항상 볼륨을 많이 올려야하는데 점검 부탁드립니다.

  • @sunghyunkim5049
    @sunghyunkim50495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국방티비에 아까울(?)정도로 허준씨와 윤지연씨 케미는 대박이네요 국방티비 피디님들.. 저 두엠씨는 절대 놓치지 마시길.. 그리고 기자님과 교수님 케미도 ㅎㅎㅎ 기자님의 귀여움과 교수님의 식견이 환상의 궁합입니다. ㅎ

  • @user-tm5yk3pq8i
    @user-tm5yk3pq8i5 жыл бұрын

    이용익은 서울에서 전주까지 아닌가? 전주에서 출발시간을 문서에 적은걸 받아다 달려와서 고종한테 전달해 시간을 쟀다던가 하던데 11시간 걸려다던가...

  • @peasantofbretonnia5244
    @peasantofbretonnia52445 жыл бұрын

    서양기사들 투구를 써본 적이 있는데 진짜 시야가 좁았습니다 ㅋㅋㅋ 물론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안면을 보호하려고 덮는 투구들은 확실히 상하 방향 시야가 좁더군요.

  • @user-kd7fu7qI5z

    @user-kd7fu7qI5z

    5 жыл бұрын

    Adrian Heo 적진 50m앞까지 화살비 견디면서 트롯 내지 그 이하 속도로 접근해야 하니 폐쇄형투구가 필요했을듯.

  • @jadenk1409

    @jadenk1409

    5 жыл бұрын

    토너먼트형 쓰신듯.. 전투형은 숨구멍 쪽으로 보면 거의 다 보여요. 물론 16세기 독일 고틱아머용 헬멧은 시아 차단이 심한데 나머지는 보일거 다보입니다. 토너먼트용은 시아가 필요없으니깐 숨구멍도 안뚫는 경우도 있어요. 헤마 해보신다면 아실꺼에요. 기사의 전투용 투구 시아 차단율이 별로 안심합니다.

  • @lunasea3941
    @lunasea39415 жыл бұрын

    역시 믿고보는 전쟁사 토크메터리 영상이네요~^^ 이번에도 잼있게 보네요~ 롱런하시는 프로그램 되시길요~~ 참, 페르시아 와 인도 고대사에 대해 리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mc5ml6vq2n

    @user-mc5ml6vq2n

    5 жыл бұрын

    전 폴란드사

  • @user-yg2bt5dl1b
    @user-yg2bt5dl1b5 жыл бұрын

    2011~2013년 군복무 했는데 저희때는 사격표적이 100, 200, 250이었던것 같아요

  • @jamiealger7246
    @jamiealger72465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편 언제 해 주시나요? ㅠ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