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티전드 #나의수학사춘기 #Diggle #디글
이제는 전설이 되어버린 역대급 장면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N회차 재생 가봅시다.
Let's giggle, :Diggle!
구독하기 ☞ / tvndent

Пікірлер: 243

  • @user-ny5ql1hh4s
    @user-ny5ql1hh4s Жыл бұрын

    인수분해를 알고 있어 일부는 알았는데 나머지 두자릿수 곱셈에 대해서도 확실히 알게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bbangyapapa
    @bbangyapapa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신박한 수학 곱셉 계산법잉네요

  • @user-ei6jy7of2y
    @user-ei6jy7of2y Жыл бұрын

    5학년이 배우고 갑니당.ㅎㅎ 소수도 나왔음 좋겠다..

  • @oododd
    @oododd2 жыл бұрын

    와 시험용 개꿀팁

  • @TV-kw8bd
    @TV-kw8bd2 жыл бұрын

    우와 후덜덜 . 대박 감사합니다 🙏 🙏 🙏

  • @user-qi5hp2iu4m
    @user-qi5hp2iu4m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 감사합니다

  • @user-yi5ks6yn1u
    @user-yi5ks6yn1u Жыл бұрын

    (10+2)(10+4) 에서 10x10 +10×(2+4) +8이니까 16x10 + 8으로 쓰는건데 정작 저게 필요한 풀이도 많지 않고 원리도 제대로 모른채 신기하다고 외울걸 생각하니 맘이아프다 그저 외우고 푸니까 생각하는 힘이 없고 새로운 문제를 보면 당황하고 손을 못대니 시간내에 못 푸는거지 암산때문에 못 푸는게 아니죠

  • @user-do4vx9sg2w

    @user-do4vx9sg2w

    2 ай бұрын

    ​@@geunhyukjang3789 그런 사람 많아요

  • @user-so2zf6bd9q
    @user-so2zf6bd9q7 ай бұрын

    아 이거 수능공부할때 배웠는데 진짜 좋음 진짜 계산 많아지면 실수가 안나오기가 너무 힘들어ㅠㅠ

  • @user-bp9nu9bv5z
    @user-bp9nu9bv5z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곱셈공식은 중3 1학기 수학 문제집에도 나와요

  • @sun-dn6yz6om9t
    @sun-dn6yz6om9t Жыл бұрын

    우왕~! 최고예요.ㅋㅋ감사합니다. 그런대 나누기도 쉽게 할수있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 @hyeryunpark5170
    @hyeryunpark51702 жыл бұрын

    오 대박. 해봐야겠네오

  • @ahn3866.
    @ahn3866. Жыл бұрын

    처음엔 영상보고 오ㅡ 했는데 그냥 원래 계산방법이 더 나은듯 헷갈려서 ㅋ

  • @Sethur0
    @Sethur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qs7mz3mm4e
    @user-qs7mz3mm4e Жыл бұрын

    와~수학을 일케 쉽게 가르쳐주시다니 신세계다👍 차길영쌤을 지금이라도 알게되어 넘감사하네요🥰 그리고 이걸 왜 학교에서는 안가르쳐 줬냐고~~ 수학땜에 진짜힘들었었는데😭

  • @adamada365

    @adamada365

    Жыл бұрын

    특정한 문제만 가능한거라면 그런유형을 외워야하는 수고도 뒤따릅니다.

  • @user-up3wx3py1k
    @user-up3wx3py1k Жыл бұрын

    간지나네요

  • @user-me4px7ot9e
    @user-me4px7ot9e Жыл бұрын

    저거 첫번째 방법 20년전에 초딩때도 썻었는데... ㅋㅋㅋㅋ

  • @ing_luckhee
    @ing_luckhee Жыл бұрын

    ㆍ영롱하게 빛나는 우리의 시대정신 ㆍ차세대에도 대대손손 더욱 빛나리

  • @sunshin93
    @sunshin93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마스터 했네요

  • @user-ik6wk7wl4k
    @user-ik6wk7wl4k Жыл бұрын

    미쳤네 이건 진짜 ㅋㅋㅋ

  • @user-mh7rx2hd8h
    @user-mh7rx2hd8h Жыл бұрын

    1등급 못 받는 사람: 익숙하지도 않은 곱셈 방법으로 시간 아껴서 29, 30번 풀려고 함 1등급 받는 사람: 이런거 안쓰고 29,30번 풀고 곱셈에서 실수를 안하려고 검산함

  • @lovelysy8721

    @lovelysy8721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깐 검산용으로 적합할듯 해요

  • @user-zy9lo2rl4v
    @user-zy9lo2rl4v Жыл бұрын

    이번년에 중1 들어가야 하는데 배욱 갑니다.

  • @user-lj4uv7np2z
    @user-lj4uv7np2z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앞자리가 같은 수 계산방법에서 다른 같은 수는 다 되는데 2단위숫자는 안되는데 강의 부탁드립니다 예컨데, 21×23 인경우 등

  • @user-pj1jv5zw3h
    @user-pj1jv5zw3h Жыл бұрын

    이천수 진짜 빠르다 ㅋㅋ +소심 +발끈 +우쭐 ㅋㅋ

  • @docotinemath
    @docotinemath Жыл бұрын

    그냥 차분히 한 번에 풀어내면 됩니다. 계산 때문에 시험 못 본건 학생의 핑계일뿐.. 저 계산 법 하는 방법을 외우는 것보다 왜 되는지 설명하는게 더 중요한듯요. 통분도 하는 방법보다는 하는 과정을 이해먼저 하는기 중요하듯요. 하지만 재밌게 봤습니다.

  • @CJH1031
    @CJH1031 Жыл бұрын

    10:57 아나운서였는데 가르친다 가리킨다 구별 못하면 ㅋㅋㅋ... ㅠㅠ + 저게 도움이 되는 케이스들도 있지만, 일반적으론 그냥 우리가 학습한 내용이 맞습니다. 그러니 꾸준히 문제풀고 공부하세요.

  • @user-gx7zl9ed9e
    @user-gx7zl9ed9e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이렇게배워야편하지

  • @leah_rang9401
    @leah_rang9401 Жыл бұрын

    오 꿀팁 감사합니닷~~~

  • @user-je9hk3ip3s
    @user-je9hk3ip3s Жыл бұрын

    인도에서 잘쓰더군여..

  • @jklee8004
    @jklee8004 Жыл бұрын

    이런 계산법은 일반계산중 특별한 셈법의 계산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터득해야지 모든학생들에게 일반화하여 가르쳐서는 안됩니다.일반셈법도 어렵다고생각하는 학생들에게 넘 깊게 가르치면 포기할 정도가되기 때문에 대학에서도 일반적으로는 가르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깊이 연구하는 전문가들의 연구분야라고 할수도있습니다. 일반대학생에게 박사 연구논문 수준의 교육을 하지않는것과 같다고 할수있는것.

  • @user-cr6lm5oy5i

    @user-cr6lm5oy5i

    Жыл бұрын

    저게더쉬운데?

  • @no1quris388
    @no1quris388 Жыл бұрын

    연산이 가장 기본이고, 30문제를 30초씩 줄인다도 수학적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수능 앞에서 10~15 문제정도는 그냥 빨리 풀면 되는 것이라 시간이 부족할 수는 없습니다. 수학 문제는 대부분 문제를 풀 시간이 없는게 아니라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서 못푸는 겁니다. 이런식의 제한적 경우에만 국한된 연산법에 대한 공부를 하면 모든 경우의 수마다 특별한 연산법이 존재해야합니다. 이분들이야 그런 것으로 뭔가를 만들어내야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고, 그런것을 연구하는 분들이시니 그렇지만 실제 학생들에게는 그보다는 원리를 알고 왜 저런 계산법이 맞아 들어가는지에 대한 증명을 해보는 편이 수학을 배우는데 훨씬 효과적일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다만 11~19의 제곱 정도는 외우는 것이 맞다는 것에는 동감합니다. 아이에게도 제가 종종 물어보는 것이니까요. 12x14를 인수분해를 배우면 (13+1)(13-1)=(13^2-1^2)=168로 풀어보면서 이 공식이 맞다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user-ve9tw4gb1f

    @user-ve9tw4gb1f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동감합니다~

  • @TheDigitist

    @TheDigitist

    Жыл бұрын

    97 수능 때 수리 전국평균점수가 그냥 찍는 거랑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절반은 그냥 풀면 되는 세상이 되었군요 ㅎㅎ

  • @Genie-Family

    @Genie-Family

    Жыл бұрын

    이목을 끌기위해 좀더 특별하고 영특해보이는 계산법을 마케팅 한다는게 맞는 말 같습니다. 제가 어릴때도 저런학원이 있었으나 결국 얼마못갔죠. 말씀대로 문제의 원리이해가 중요하고 더 나아가서 당면한 문제를 이해하며 해결하는법을 아이가 익히도록 하는것이 수능 이후의 인생에도 훨씬 도움 되리라 생각합니다 ^^

  • @user-yb2qd7hx9l

    @user-yb2qd7hx9l

    Жыл бұрын

    수학은 물리를 위해 배우고, 물리는 공학과 탐구욕 때문에 배우고, 공학은 물리로 풀어내고, 물리는 수학으로 풀어내야 되는데 그냥 막 저렇게 외워버리기만 하면... 지능 자체는 높은게 아닌게 되는거지. 솔찍히 저기서 말하는 원래의 곱곱더 빠르게 하면, 강의내용이랑 몇 초 차이 안날듯. 그래도 저런방식의 원리가 있는걸 찾아내는건 센스가 좋은거같음. 근데 그냥 공식으로 외워버리면 빠르긴 하겠지만 대단한건 아닌거같은?

  • @user-ny8jv5lm8s
    @user-ny8jv5lm8s2 жыл бұрын

    대박.

  • @korea731
    @korea731 Жыл бұрын

    특수한 경우에만 성립되는 계산법 아닌가요? 초딩때 주산학원 2년다녔는데 지금 50대 나이에도 두자리수 곱셉은 3초안에 답나옵니다. 특수한경우가 아닌 모든 경우죠.

  • @user-so2zf6bd9q
    @user-so2zf6bd9q7 ай бұрын

    수능 한문제에 3분 20초가 아니라 어떤문제는 n초단위 대부분 1-2분 안에 풀고 킬러에 50분 박는거져....ㅎㅎ

  • @user-fv6dw2wy8v
    @user-fv6dw2wy8v2 жыл бұрын

    대박이다ㅠㅠ

  • @user-mv3tw9ti5l
    @user-mv3tw9ti5l2 жыл бұрын

    제곱공식 지금은 중3에 나와요. 중2과정아닙니다.

  • @gloryraon8168
    @gloryraon8168 Жыл бұрын

    아~ 하다가 숙제부분에서 이전 배운거 다까먹음....

  • @user-is2ry4lo8r
    @user-is2ry4lo8r Жыл бұрын

    치매 예방용 정도로는 좋겠네요... 경우에 따라 전자계산기 보다는 느릴지도 모르니...

  • @JoachimJHLee
    @JoachimJHLee Жыл бұрын

    특별한거 아님. 베다수학 ! 서점이나 도서관에 관련책 많아요

  • @user-hy2pf4vg5c
    @user-hy2pf4vg5c Жыл бұрын

    첫번째 방법에서 a , b , c 는 자연수라는 조건에서 (10a+b)(10a+c) = 100a^2 + 10a(b+c) + bc = 10(10a + b + c) + bc = 100a + 10(b+c) + bc 로 했기 때문에 사실상 십의자리 숫자가 1일때만 가능한 방법입니다.

  • @kangsc3215

    @kangsc3215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10의자리가 모두 1일때만 가능하다고 얘기합니다.

  • @user-nz5vt9hu6v

    @user-nz5vt9hu6v

    Жыл бұрын

    ㄹㅇ

  • @ChocolateGreentealatte

    @ChocolateGreentealatte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도 이미 말했어요~

  • @kmjy_3657

    @kmjy_3657

    Жыл бұрын

    '사실상' 만 뺐어도 좀 멋있을뻔 ㅠㅠ

  • @bishstar5185

    @bishstar5185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에서 언급하긴 했는데... 애초에 영상에서 풍기는 뉘앙스가 엄청 신박한 것처럼 포장을 했기 때문에 이런 지적이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이 되네요. 십의 자리가 1인 두자리수 자연수 곱셈을 위해 저런 걸 안다고 한 문제를 풀 때 30초나 절약되지는 않으니까요.

  • @user-fg6on7qv1b
    @user-fg6on7qv1b Жыл бұрын

    그냥 인수분해를 전개한 방식을 방법화 한것인데요

  • @user-is2ry4lo8r
    @user-is2ry4lo8r Жыл бұрын

    중1때 이런셈과 공식을 알려줬으면 포기를 안했고 삷도 바뀌었겠지

  • @syvie5319
    @syvie5319 Жыл бұрын

    주판학원서 30년전 주판으로 롤러스케이트 타던시절 배웠음

  • @KoreanBeautyOwner
    @KoreanBeautyOwner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 대학생 삼촌한테 배워서 잘써먹는데 안써먹으면 다 잊어버림

  • @user-yk2bc5vh2i
    @user-yk2bc5vh2i Жыл бұрын

    이게 단순 산수에서는 유용할수 있지만... 결국 수2 정도의 난이도에선 의미 없다.

  • @YoungaeHwang
    @YoungaeHwang Жыл бұрын

    헐...대바아악

  • @nykim2527
    @nykim2527 Жыл бұрын

    모든경우에 할수있어야지... 뭐가 같아야하고 방식이 다르면 ....벨로

  • @user-wc7ki7kr4t
    @user-wc7ki7kr4t2 жыл бұрын

    세자리수는 어떻게해요

  • @user-lq8rh3ng6p
    @user-lq8rh3ng6p Жыл бұрын

    끝까지 뭔가 기대하고 봤는데 신박하지만 난잡함 저런 숏컷을 쓸수 없는 상황인지 아닌지 탐색도 해야하는 시간이 더 들듯 그냥 단순하게 기존 방식으로 알고 있는게 좋을것 같음

  • @user-hp1en3ev4g
    @user-hp1en3ev4g Жыл бұрын

    주산 한 1년만 배워서 머릿속으로 주판알 튀기면 초고속암산 쌉가능... 이게 폼은 나는데 그냥 전자계산기 누르는게 더 빠르다 털썩

  • @user-jf5ym4fq7p
    @user-jf5ym4fq7p2 жыл бұрын

    미쳤다.

  • @hs9931
    @hs9931 Жыл бұрын

    일반화 할 수 없는 연산이기에 수험생에게 매우 위험합니다 어릴때부터 저런 방법을 계속 써와서 몸에 밴 게 아니라면 말이죠

  • @lovelysy8721

    @lovelysy8721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러니 검산 용도로 알아두면 괜찮지 않을까요? ㅎ

  • @bella__swan
    @bella__swan2 жыл бұрын

    9:28

  • @user-tb7jy5nl6f
    @user-tb7jy5nl6f Жыл бұрын

    ㅎㅎ 저거 몰라도 두자리×두자린 전부 암산 가능해서 외울 필요없는데 그냥 어릴때 주산을 가르쳐라 중1까진 다른거 안하고 계산만 남들보다 신속정확하게되면 그 뒤가 편하다

  • @jjin8765
    @jjin8765 Жыл бұрын

    잘난척 하는거 아니지만... 두자리수는 그냥 암산으로 더하면 되는거 아니였나? 중고 시절에 12x24 면 240 + 48 해서 그냥 바로 더해서 바로 암산해서 앞부터 적었던 기억이 있는데... 초딩때 주산학원 다녀서 그런가? 그러고보니 이런걸로 애들하고 이야기해본 기억이 없네요. 기억이 희미한데 두자리는 친구들도 그냥 암산했던거 같은데..

  • @user-ww5to9wn8v
    @user-ww5to9wn8v Жыл бұрын

    2자리수 이상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줘야지ㅎㅎ 애초에 2자리수끼리 곱셈하는데 한 문제당 30초 아낀다? 2자리수끼리 곱셈하는데 30초 넘으면 수능 포기해야죠

  • @user-dd5xe5qt8w
    @user-dd5xe5qt8w Жыл бұрын

    3자리곱하기도 적용가능하네요

  • @user-sq2hk6jp8f
    @user-sq2hk6jp8f Жыл бұрын

    문제풀이 방법을 잘 알고있다면 계산속도때문에 시간이 모자라지는 않습니다

  • @user-hy2pf4vg5c

    @user-hy2pf4vg5c

    Жыл бұрын

    수능은 그런데, 가끔 내신에서 심보 나쁜 쌤들이 계산식 더럽게 내셔서 저같은 경우는 은근 유용하더라구요.

  • @cominghis1612
    @cominghis16122 жыл бұрын

    전 계산기 쓰는게 좋아요

  • @user-nt4lj3xn4f

    @user-nt4lj3xn4f

    2 жыл бұрын

    엌 ㅋ

  • @user-sv8sw5sg8h
    @user-sv8sw5sg8h2 жыл бұрын

    헥갈리기는 한데 2~3번 보면 잘할듯..

  • @user-qw9xn5ih3s
    @user-qw9xn5ih3s Жыл бұрын

    초등아이들한테 쓰시면 안돼요~학교에선 배우는방법은 다른방법이기때문에 아이들한테 혼동이와서 더 못할수있답니다~초등가르치는 선생님들말씀이 꼼수는 안좋다고말씀 하셔요~~꼼수는 고등때 쓰시는게좋을듯

  • @yhl3628
    @yhl36282 ай бұрын

    인도의베다수학? 아닌가요

  • @qwertyaoeuid
    @qwertyaoeuid Жыл бұрын

    라도 이런거 했는데 차이라면 왜 뒤에서부터하지? 앞에서부터가 더 쉬운거같은데요 그리고 1a 1b 제곱수는 외우면 익히면 좋다 하셨는데 세제곱수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이거를 머리속에 칠판을 만들어서 하는게 있다 그거를 왼손으로 하면 좋습니다 직접그리거나 머리속으로 그리거나 왜냐면 수자들을 라렬하면 오른손을 더 사용하게 된다 수를 배렬하는 과정에서 오른손을 더 사용하게 된다 암산을 주판으로 하는거랑 칠판암산 여기에서 음악이나 박자가 들어가는데 청각 쓴다는 얘기입니다 주판 암산과 칠판 암산에서 모두 청각을 사용한다 일반인이 보기에 오른손으로 하는건데 이들은 왼손으로 하는거임 그거를 왼손으로 하면 좋습니다 직접그리거나 머리속으로 그리거나 하다보면 뭔소린지 알게된다 그러면 이런 특별한 상황에서의 기술이 무슨 의미인가 하실 분들이 있을텐데 근사치입니다 환률이나 원자재 가격을 보고 GDP를 보고 여기는 너무 큰 숫자들이 나오죠 이걸 더 근사근사하게 하는 기술이다 일세제곱밀리미타안에 그게 몇 개인가 여기는 다른데 비슷하다 코로나 실크로드 바이랄 로드 이런거 시험이나 면접에서 그 차이 개당 30초에 30문제면 15분이네요 패턴두가지 12 34 360 048 408 12 34 300 40 60 8 408

  • @bq3204ea8sst
    @bq3204ea8sst Жыл бұрын

    주산1단, 암산이면 더 빠릅니다.

  • @user-nu5op5if5s
    @user-nu5op5if5s2 жыл бұрын

    내자리곱하기 한자리 곱하기 궁금하네요

  • @Asteri0519
    @Asteri05192 жыл бұрын

    짝수 a에 5를 곱할 때는 a를 반으로 나누고 뒤에 0을 붙입니다 편합니다

  • @user-ci8ij2gi4j

    @user-ci8ij2gi4j

    2 жыл бұрын

    나도 글케 한느덷

  • @moon-pv5qb
    @moon-pv5qb2 жыл бұрын

    알려주신 첫번째 계산법,그리고 원래 계산법 비교 해봤는데 저는 원래 계산법이 훨씬 빨리 풀리네요,,

  • @wonticket2012

    @wonticket2012

    2 жыл бұрын

    익숙해지시면 새계산법이 빠릅니다.

  • @user-zy5zx9kb3r

    @user-zy5zx9kb3r

    Жыл бұрын

    익숙해지면 훨 빨라집니다..

  • @user-fp7dy4ov8z
    @user-fp7dy4ov8z Жыл бұрын

    빠른 계산법이지만 뭔가 하나 빠져 있네요 (만능이 아니네요)

  • @flashy_hyeonjun
    @flashy_hyeonjun8 ай бұрын

    신기한 방법으로 문제 풀면 신기한 대학 가는 거예요~

  • @No-bb2xy
    @No-bb2xy2 жыл бұрын

    42×49같은유형은어떻게 풀어야하는지 설명해주새요

  • @ramdong

    @ramdong

    Жыл бұрын

    41 x 49 + 49 1609 + 49 1658

  • @user-ix2dq3pp3o

    @user-ix2dq3pp3o

    Жыл бұрын

    @@ramdong 2058

  • @user-vm2px5dt9n

    @user-vm2px5dt9n

    Жыл бұрын

    42×50-42=2100-42=2,158

  • @user-vm2px5dt9n

    @user-vm2px5dt9n

    Жыл бұрын

    아니면 2차 곱셈공식을 알고 있다면 10을 x놓고 (4x+2)(4x+9)=4x4x10제곱+(4×9+4×2)×10+2×9 10을생략해 세로로 세워더해보면 16 44 18 2058 결국 앞에 숫자가 어떤것으로 변해도 십의자리곱하고 ×자로 곱하고 더하고 일의자리 곱해더하면 계산됨

  • @user-vm2px5dt9n

    @user-vm2px5dt9n

    Жыл бұрын

    제곱은 더 쉬움 44×44 16 32 16 1936

  • @Ups28574
    @Ups28574 Жыл бұрын

    수학도 나때랑 다르네.. 저거 전교1등중에 몇명이나 알았을까 혹시 다알고잇엇나?..

  • @user-vg7yu7rr2e
    @user-vg7yu7rr2e Жыл бұрын

    저거 신기해보이지만 계산법 종류가 많아 헷갈려 오답 나오기 일쑤임 안전하게 종전에 방식은 오로지 1방식이라 과정이 틀릴리 없음 따라하지 마셈.. 걍 숫자 계산 장난임

  • @junepsychie8011
    @junepsychie8011 Жыл бұрын

    베다수학이었나? 농경지 수확량 확인해서 세금 뽑을려던 귀족들의 계산법이라 기억하는데.

  • @user_you568_ygehff_uegy
    @user_you568_ygehff_uegy Жыл бұрын

    저거 암산 주산배울때 쓰는방법입니다.

  • @apple010
    @apple010 Жыл бұрын

    10:00

  • @user-qk3qt5em8f
    @user-qk3qt5em8f2 жыл бұрын

    37×39 하면... 영상 계산식대로면 7×9=63 십의자리 3이 같으니 1 올려서 4×3=12니까 1263일건데 계산해보면 1443이 나오는데 저거 맞나요??

  • @Forever1Z0NE

    @Forever1Z0NE

    2 жыл бұрын

    조건이 뒤에자리수를 더해서 10이여야 되는겁니다

  • @user-zt4op8om1c

    @user-zt4op8om1c

    Жыл бұрын

    저도 갸우뚱 했는데 님의 답글에 ‘아하’ 했습니다 3자리 곱하기 세자리는 이런방법 없나요?

  • @peanutbutter9859
    @peanutbutter9859 Жыл бұрын

    이천수는 공부했으면 공부도 잘 했을 사람임 x 하지만 성격상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 스타일이 아님 = 대한민국 최고의 프리키커이자 드리블러 국가대표 이천수 탄생

  • @stema314
    @stema3142 жыл бұрын

    만약 처음 나오는 자릿수가 3자리라면 맨 앞자릿수를 더하면 됩니다. 32×32=900+124 (o) 9124(x)

  • @Uyrnaes4202

    @Uyrnaes4202

    Жыл бұрын

    맨 앞자리수를 더하면 3+3인데???

  • @user-cr6lm5oy5i

    @user-cr6lm5oy5i

    Жыл бұрын

    뭔말이지

  • @user-yj1yy7fc5h
    @user-yj1yy7fc5h Жыл бұрын

    특정 조건일때에 계산식이라 솔직히 저 정도의 조건으로 수능이 나오지는 않을거같은데

  • @user-vt2vb1eq1q
    @user-vt2vb1eq1q Жыл бұрын

    35×35는 5끼리 먼저 곱하고 앞자리는 4곱하기 3해서 1225가 나오는데 46×46을 저 계산식대로 하면 2036이 되지 않는가?

  • @DUKE_2024

    @DUKE_2024

    Жыл бұрын

    십의자리는 같은 숫자이면서, 뒤 일의자리끼리의 합이 10이 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 @user-vt2vb1eq1q

    @user-vt2vb1eq1q

    Жыл бұрын

    @@DUKE_2024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ㅎ

  • @user-qk3wc9pw5y
    @user-qk3wc9pw5y2 жыл бұрын

    두 자리 수 곱셈1 2:23(하는 법) 2:56(기준) 두 자리 수 곱셈2 5:44(하는 법) 6:10(기준) 두 자리 수 곱셈3 8:09(기준) 두 자리 수 곱셈4 8:57(기준) 두 자리 수 곱셈5(9:40) (이 방법은 어떠한 기준도 없이 모든 두 자리 수 곱셈 다 가능)

  • @aoyo6380

    @aoyo6380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껀 그냥하는거랑 속도차이안날거같은데

  • @user-ep2jk8pq2x
    @user-ep2jk8pq2x2 жыл бұрын

    48*32 는…..

  • @hyunikyou6066
    @hyunikyou6066 Жыл бұрын

    천수 스마트하네

  • @geunhyukjang3789
    @geunhyukjang3789 Жыл бұрын

    백의 자리수 곱셈 하주시면 안돼나요?

  • @MinMin-ic7oc
    @MinMin-ic7oc Жыл бұрын

    자연수만 되는걸까요??

  • @bigbrother1059
    @bigbrother1059 Жыл бұрын

    32x38=? 설명한 룰이 적용되지 않아요.

  • @user-pl3pp8uq9i
    @user-pl3pp8uq9i Жыл бұрын

    베다수학을 마치 개발한 것 처럼 하는 건 아닌듯….

  • @Snowflake_tv

    @Snowflake_tv

    Жыл бұрын

    출처를 알려줘야 진정한 스승

  • @apple010

    @apple010

    Жыл бұрын

    몰랐으면 감사합니다 해야지

  • @HandsomeSukuna

    @HandsomeSukuna

    Жыл бұрын

    베다 수학 다운-타운-베이비!!

  • @tatakae.tatakae.

    @tatakae.tatakae.

    Жыл бұрын

    @@apple010 아기가 유튜브도 하고 귀엽네~~ㅋ

  • @adamada365

    @adamada365

    Жыл бұрын

    약장수가 약을 만들 필요가 있나

  • @insangmu_nje
    @insangmu_nje2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진짜 신기하다.. 근데 제곱은 이미 외워버렸...

  • @chesschang59
    @chesschang592 жыл бұрын

    저 썸네일.. 임신방법으로 봤는데.. 정상인가요..?

  • @user-vp6tt1or1v
    @user-vp6tt1or1v Жыл бұрын

    이거... 내가 10년전부터 가르치던 방법인데....

  • @user-gt7fo6mv6i
    @user-gt7fo6mv6i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시험시간에 계산기 쓴다.. 원리를 알아야 계산기도 쓸수있다는 생각이고 머리로 곱셈을 빨리하는게 중요하지 않다 생각하기 때문 이 나라는 돈들여 사교육에서 인간계산기를 만드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 @wwgfudqbggaggf
    @wwgfudqbggaggf2 жыл бұрын

    추입

  • @junhocho3750
    @junhocho37502 жыл бұрын

    시험용 개꿀팁이라기엔 너무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쓰이는거 같은데

  • @wo-mm1ru

    @wo-mm1ru

    2 жыл бұрын

    9:28 제한 없는 거...

  • @user-ny8jv5lm8s

    @user-ny8jv5lm8s

    2 жыл бұрын

    아닌거같은데

  • @user-ny8jv5lm8s

    @user-ny8jv5lm8s

    2 жыл бұрын

    Junho choㆍ

  • @user-zy5zx9kb3r

    @user-zy5zx9kb3r

    Жыл бұрын

    변화를 모색해보세요

  • @smpa409

    @smpa409

    Жыл бұрын

    @@wo-mm1ru 그것 또한 자릿수 넘어가면 올려놓고 암산해야 되서 걍 정직하게 FM대로 푸는게 베스트라고 보입니다.

  • @intp620
    @intp620 Жыл бұрын

    첫번째는 과학곤데 다들 알고 있음

  • @user-vf1jq8ei7b
    @user-vf1jq8ei7b Жыл бұрын

    인도수학자(배다) 공식

  • @cayman9591
    @cayman9591 Жыл бұрын

    그게 더 어렵다..에랏

  • @ismolra
    @ismolra2 жыл бұрын

    09:55

  • @MrShin0807
    @MrShin0807 Жыл бұрын

    이게 언어랑 똑같아서 처음부터 그렇게 배우지 않은 다음에야 바로바로 그 방법을 절대로 써먹지 못함... 난 아무리 해도 암산은 커녕, 전부터 하던 방법이나 저 방법이나 속도가 마찬가지임... 한 일주일동안 하루 종일 주구장창 연습한다면 뭐.... 가...가능 할지도...

  • @hongsokoh4460
    @hongsokoh4460 Жыл бұрын

    12를 곱하고 나머지 2를 12에 곱한걸 더하는게 더 빠른데?

  • @ismolra
    @ismolra2 жыл бұрын

    곱 ×곱합 곱

  • @jihunpark8116
    @jihunpark8116 Жыл бұрын

    45*33은 안되고 64*33은되고...마지막으로하니..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