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 맨날 나오는 %p가 대체 뭐야? 차길영 쌤이 핵심만 알려주는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 설명! 실생활에서 유용함,, |

Ойын-сауық

#나의수학사춘기 (2018) #Diggle #디글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bit.ly/2Urls34

Пікірлер: 63

  • @user-nl9ty3ko8k
    @user-nl9ty3ko8k3 жыл бұрын

    신통방통 하네요 감사합니다

  • @uskrlsialdndiapa9dkdm
    @uskrlsialdndiapa9dkdm3 жыл бұрын

    내가 생각할 때 우리나라 수학 중 쉽고 재밌게 가르쳐주는 분. 깨봉수학과 이분

  • @user-kj4lk9um5n

    @user-kj4lk9um5n

    2 жыл бұрын

    깨봉선생님은 내용보다 목소리가 너무 커서 집중이 안 된다고 안 보네요

  • @user-cg4rg8mh6j

    @user-cg4rg8mh6j

    Жыл бұрын

    깨봉수학 찐이죠 ㅎ

  • @user-ev8ng2xb7n
    @user-ev8ng2xb7n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u5eq5pn6p
    @user-yu5eq5pn6p3 жыл бұрын

    유익하다 ㅎㅅㅎ

  • @user-yv7zb6cg6r
    @user-yv7zb6cg6r3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잖아??? ㅎㅎㅎㅎㅎㅎ

  • @user-xp2kb3cd8g
    @user-xp2kb3cd8g3 жыл бұрын

    방정식 재밌어 ㅎㅎㅎ

  • @user-lu2gt3gm7o
    @user-lu2gt3gm7o3 жыл бұрын

    머지 수학이 재미있게 느껴진다. 루트구하는것도 했나요? 쉽게!

  • @hummingbird9165
    @hummingbird91653 жыл бұрын

    50년 전에 우리네 선생님들이 이리 재미있게 수학을 가르켜주었으면 ㅋㅋ

  • @user-wr9ks4cj5d

    @user-wr9ks4cj5d

    Жыл бұрын

    가르켜x 가르쳐o 하아진짜.. 재밌게 가르치 면뭐하누

  • @user-no6co8ko9t
    @user-no6co8ko9t3 жыл бұрын

    5:14 150000만원

  • @rowo_onslifeS2
    @rowo_onslifeS23 жыл бұрын

    이거도어렵다ㅜㅠ

  • @gunwoolover
    @gunwoolover3 жыл бұрын

    바쁘신 분들 3:45 3:45

  • @user-hl7vb9cq2e
    @user-hl7vb9cq2e3 жыл бұрын

    난 엄마 나이 y 민정이 나이 x로두고 y=3x+4로 해서 여섯살 더한 경우의 식에다가 와이값 대입법 써서 풀었는디 문자하나로도 푸셨구나.. 최종 결론 식은 똑같지만 허허

  • @user-qo7lo4tq7w

    @user-qo7lo4tq7w

    2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미지수는 적은게 좋죠

  • @user-ys6gt5le2j

    @user-ys6gt5le2j

    7 ай бұрын

    미지수가 많아질수록 식도 많아져야하니..

  • @Jmy_1868
    @Jmy_18683 жыл бұрын

    이거때매 수능 영어 정답이 복수인정됐었음 15인가 16학년도 수능

  • @user-pe8wg5gx2y
    @user-pe8wg5gx2y Жыл бұрын

    와 수학은 아름답네

  • @CatchTheHornet
    @CatchTheHornet3 жыл бұрын

    그럼 퍼센트나 퍼센트 포인드는 둘 다 상승’률’이나 하락’률’로 오로지 rate의 개념인거죠? 예를 들어 100만원에 작년에 3%하락하고 올해 6%올랐으면 돈으로 치면 작년에 97만원이었다가 여기서 6프로 상승한 1028200원이 돼서 돈으로는 30000원 하락과 58200원 상승이지만 그냥 rate로 따졌을 때는 100% 차이로 보는거죠? 3%랑 6%니까? 공대생인데 이런 계산에 익숙치 않아 궁금해서 물어봅니다ㅠㅠ 알려주세요

  • @user-zc3mx8nq6l

    @user-zc3mx8nq6l

    3 жыл бұрын

    비율의 개념임 그냥 단순히 3%에서 6%로 올랐으니 100%증가로 나타나는것

  • @CatchTheHornet

    @CatchTheHornet

    3 жыл бұрын

    @@user-zc3mx8nq6l 그럼 50% 하락한 후에 100% 상승하면 원상 복구인데도 '올해는 작년에 비해 50%p 상승했다'고 하면 되나요?

  • @user-zc3mx8nq6l

    @user-zc3mx8nq6l

    3 жыл бұрын

    @@CatchTheHornet 50%하락했다 100%로 회복되면 50%p상승했다 라고함니둥 혹은 100%증가했다 라고도함둥

  • @dlavktjs

    @dlavktjs

    3 жыл бұрын

    둘다 증가율의 개념이 맞습니다.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로 나누는 기준은 증가율을 적용할 기준을 어디에 잡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영상내용은 100명중 실업룰이 3%였다가 6%로 올랐다고 하는데, 영상에선 100명이라는 기준을 제시하지않아서 제가 예로들엇습니다. 3%와 6%와의 관계에선 3%p 가 맞겠지요. 만약 3%를 기준으로, 그중 퍼센트 포인트가 아닌 3%증가를 생각해보시면 (3의 3%) 절대 6이 될수 없겠죠. 하지만 3%와 6%와의 관계에서 3의 100%의 증가는 6이므로 퍼센트로 는 100%증가가 맞는것이고요. 100명중 3%실업률에서 6%로 더 오른것은, 3%를 기준으로 잡으면 3%p가 증가한것이구 100명을 기준으로 잡으면 3%가 증가한것이 되겟네요

  • @CatchTheHornet

    @CatchTheHornet

    3 жыл бұрын

    @@dlavktjs 감사해요!ㅠㅠㅠ

  • @cdlee9991
    @cdlee99913 жыл бұрын

    아나운서라는 사람이, 잘 모르는듯한 표정을 짓는 게 실화는 아니겠지만(대본?) 유튜브 채널 보면, 정말 모르는 사람들 많음. 댓글 달아서 알려줘도 보는 지 마는 지.. 또 거기에 시비거는 나그네들도 있고 ㅋ

  • @user-du9cb2fx6b
    @user-du9cb2fx6b10 ай бұрын

    이분은 학교 공부 회상하고 싶은 아죠씨들이 좋아할 분일 뜻

  • @user-yl8pk8im8z
    @user-yl8pk8im8z Жыл бұрын

    머리가 조케 태어나신듯

  • @user-sb5ro9vl1z
    @user-sb5ro9vl1zАй бұрын

    알려줘도 안할것. 못할것 아니까 ㅈㄴ 자신있게 진행 하는게 느껴지네. 그래 봐서 이해가도 평생 안쓴다 나는. 깨통수학님은 알려줄라고 애를 쓰기라도 하지. 저건 그냥 지 자랑이지.

  • @webper76
    @webper763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에 이렇게 가르치는 선생이 단 한명이라도 있었다면 수학이 즐거웠을건데 하나같이 왜이렇게 해야하는지 설명은 없고 왜우라고만하니..

  • @rush_0191
    @rush_01913 жыл бұрын

    -100 곱하는건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 나오는뎅...-

  • @user-kh3ky4ge2p
    @user-kh3ky4ge2p Жыл бұрын

    나 수학 좋아핬구나 내가 학생 때 이걸 봤더라면 수포자가 되진 않았을 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r9ks4cj5d

    @user-wr9ks4cj5d

    Жыл бұрын

    이사람 12년전에 강남구청 인강에서 활동했고 월 3만원이면 전강의 모두 들을수있는 구독권이였음

  • @user-ym4ov5xj1g
    @user-ym4ov5xj1g3 жыл бұрын

    퍼센트 구할때 왜 100을 곱하는지 아무도 안알려주더니....이렇게 알게될줄이야

  • @user-dd9lg8oc8s
    @user-dd9lg8oc8s3 жыл бұрын

    이식도 맞나요? 윤정이나이x 어머니나이 3x+4 6년뒤 어머니나이 (2x+10)+6 3x+4=2x+16, x=12 이렇게 풀어도 되나요?

  • @qwertyasdf40

    @qwertyasdf40

    3 жыл бұрын

    학교숙제에요?,

  • @qwertyasdf40

    @qwertyasdf40

    3 жыл бұрын

    원문을 적어주시면 풀어드림

  • @paradox-18

    @paradox-18

    3 жыл бұрын

    일단 원래 문제를 잘 모르겠지만 현재 어머니 나이가 3x+4이고 6년뒤 나이가 2x+16이 된다는 건가요? 현 어머니 나이와 6년뒤 어머니 나이를 같다라고 두는 것 자체가 식이 틀렸습니다. (3x+4)+6=(2x+10)+6 이 되어야할거에요. 결국 3x+4=2x+10 이 되겠네요

  • @dos7391

    @dos7391

    3 жыл бұрын

    아니요 3x+4=2x+16은 현재엄마=6년후 엄마 를 하고 잇구요 같다고 보려면 3×+4 에 +6 을 해줘야 하고 민정이도 6살 더 먹은 후이니 (x+6)를 먼저 해야하지요 나중에 +6 하면 아니되지요 당신이 현재 5세 라면 (2× 5세+10살)+6년 이랑 (5세 + 6년) × 2 +10살 이랑 비교해보면 차이가 크죠? 그럼 3x +4 +6 = (x+6)2 +10 3× +10 =( × × 2) + (6×2) +10

  • @user-bc5dm7hh1x

    @user-bc5dm7hh1x

    3 жыл бұрын

    @@dos7391 님 풀이가 결국은 질문자와 결론 식이 같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그리고 따라서 x=12 가 나오는데 다시 돌아가 검산 해보셨는지요. 검산을 해보셨다면 자신의 식이 틀려서 모순이 생겼다는 것까지 알 수 있겠네요. 위에 이재호라는 님의 식이 맞는 것 같습니다.

  • @user-mz3zy3zj1c
    @user-mz3zy3zj1c3 жыл бұрын

    나만그런가 어려운데?

  • @frankpuccino
    @frankpuccino2 жыл бұрын

    강사님도 그렇고 자막편집자도 그렇고 미지수 x 들어갈 자리에 카이를 써 놨네... 영단어 x랑 미지수 x 쓰는 방법 어렸을때부터 다르게 교육시키고 익숙하게 만들어야 나중에 안 헷갈릴텐데...

  • @ciccione2231
    @ciccione22313 жыл бұрын

    이분 만나고싶다. ㅋㅋㅋ

  • @user-yd7wq4is9w

    @user-yd7wq4is9w

    3 жыл бұрын

    미투 ㅋㅋ 진심

  • @user-iq3dw1de2o
    @user-iq3dw1de2o Жыл бұрын

    민정이 나이는 올해 12살 아니고 6세! 왜냐? 민정이 나이가 12세라면 올해 민정 엄마 나이는 (3×12)+4=40세, 6년 후면 엄마 나이는 46세! 문제에 제시된 조건에 따르면 민정이 나이(12세)의 2배인 24세+10세+6세 합계 40세가 되어야하므로 올해 민정이 나이는 6세가 맞음! •(3X+4)+6=2X+10+6=> X(민정)=6(=16-10), Y(민정母)=22 •28(=22+6) => 12(=2×6)+10+6(○) •46(=40+6)=>40[=(12×2)+10+6](X)

  • @ILoveToCodeUsingHTML

    @ILoveToCodeUsingHTML

    5 ай бұрын

    올해 민정의 나이를 x라고 하자. (그럼 6년 후 민정의 나이가 x + 6이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문제의 첫 번째 조건에 따르면 올해의 민정 엄마의 나이는 3x + 4이므로 6년 후 엔 3x + 10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조건에 따르면 6년 후 민정 엄마의 나이는 2(x + 6) + 10, 즉 2x + 22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두 사실을 이용해서 방정식을 세워보면 3x + 10 = 2x + 22가 되고, 해는 12가 된다. 즉 올해 민정이의 나이는 12살이 된다. x = 6이 나온 이유는 두 번째 조건을 사용해서 식을 세우면 2(x + 6) + 10이 나와야 하지만 괄호는 잊고 안 써 식이 2x + 6 + 10으로 나온 것으로 보인다. 2(x + 6) + 10이 아닌 2x + 6 + 10으로 일부러 틀리게 계산해 보면 3x + 10 = 2x + 16 => x = 6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 @user-tr5uw4mp7h
    @user-tr5uw4mp7h3 жыл бұрын

    15만원이 맞아요. 150000만원은..너무 큰돈.ㅎㅎㅎ

  • @user-uy4vd5cv7p
    @user-uy4vd5cv7p3 жыл бұрын

    7:47 이렇게 알려주면 수학에 흥미 없어집니다. 전까진 잘 설명하다가 어렵게 설명하네요. 수학과 산수는 같습니다. 수를 구하는 식은 글자를 읽고 숫자의 차이를 구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배워야 합니다. 등호(=)를 넘어가지 말고 등호의 앞과 뒤에 같은 수식을 넣어줘야 배우는 입장에서 더 잘 알아봅니다. χ × 30/100 = 150000 은 χ × 30/100 × 100 = 150000 × 100 과 같고 (앞의 100분의 30을 자연수 30으로 바꾸기 위해 100을 양쪽에 곱함) χ × 30 = 15000000 은 χ × 30 ÷ 30 = 15000000 ÷ 30 과 같고 (앞의 χ × 30을 계산하기 쉽게 하기 위해 χ만 남기기 위해 30으로 나눔, 등호가 같은 오른쪽도 마찬가지) χ × 1 = 1500000 ÷ 3 은 χ = 500000 의 결과가 나옵니다. (χ의 값을 구하기 위함이니 앞의 수에서 χ만 남기는 식을 양쪽에 구하면 식이 성립됨) 영상처럼 앞쪽에 사선으로 찍 긋고 오른쪽에 대입하는 전형적인 K-수학 알고리즘을 알려주면 현장에서는 이해가 되어도 다른 식을 만나면 이해력이 부족한 사람은 헤맵니다.

  • @user-ww2je9qk3u
    @user-ww2je9qk3u3 жыл бұрын

    노답종료 이대로 잔다

  • @tutmaster3599
    @tutmaster35992 жыл бұрын

    너무 당연한 걸 열심히 듣는 어른들

  • @HS-qj7zt
    @HS-qj7zt3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심 이 민정이 나이 못 구하는 성인이 있나요? 걍 일차방정식 세우면 되는데.

  • @user-mm5mr5ny8g

    @user-mm5mr5ny8g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내가 중학교일때 방정식 고수였는데 40다되가니 다 까먹었다. 세월을 무시하지 말그라 아그야..

  • @HS-qj7zt

    @HS-qj7zt

    3 жыл бұрын

    죄송. 근데 저 50넘었어요.

  • @PSYsAudiance
    @PSYsAudiance3 жыл бұрын

    150000만원 이라고 쓰는게 수학강사인가

  • @user-mx4jc3dr5e

    @user-mx4jc3dr5e

    3 жыл бұрын

    딱봐도 실수고 흔히들 할수있은거구만 오바떠네ㅋㅋㅋㅋ

  • @user-nr8dg3xb8l

    @user-nr8dg3xb8l

    3 жыл бұрын

    딱봐도 실수잖아 뒤에 지웠어도 ㅈ랄이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