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Catch] Korean Demographic cliff, rural disappearance, can it be solved by foreigners?

#Foreigners #Immigration #DemographicCliff #RuralDisappearance #LaborShortage #MulticulturalCountry
[SNU Catch] Korean Demographic cliff, rural disappearance, can it be solved by foreigners?
| Professor Lee Soohyung
00:00 Opening
00:30 Solving Korean society's problems through accepting foreigners?
02:16 How do foreign workers enter Korea?
04:05 Issues with the foreign employment permit system?
06:14 Is Korea really facing a shortage of labor?
09:47 Is Korea ready to accept foreigners?
Planning•Produ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mmunication Team
※ The contents of this video reflect the personal opinions of the scholar and do not represent the posi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Пікірлер: 932

  • @SeoulNationalUniversity
    @SeoulNationalUniversity4 ай бұрын

    ※ 특정인물 비하, 단순 비난, 차별적 발언, 원색적인 욕설 등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댓글은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함께 행복한 댓글 문화를 만듭니다. ⏰타임라인 00:00 오프닝 00:30 외국인 수용을 통해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한다? 02:16 외국인 인력은 어떻게 우리나라에 들어올까? 04:05 외국인고용허가제의 문제점? 06:14 현재 한국의 노동력은 정말 부족한가? 09:47 한국은 외국인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을까?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노동의 숙련성에 따라 저중고 적어도 이렇게 3층으로 세분화하지도 않고 노동력이 안 부족하다고 주장하는게 명실상부 국내 최고 대학인 서울대씩이나 되는 교수가 할 법한 주장인가요? 학자나 연구원분들이라는 걸 감안해서 노동현장을 경험하시긴 쉽지 않으시겠으나 학자로서도 성의가 너무 없으십니다.

  • @Maple_hajell

    @Maple_hajell

    4 ай бұрын

    3D업종에 주로 가는 성별은 뭘까요? 교수님. 배우신 교수님이라면 제가 왜 이말을 하는지 아시죠?? 지금 말씀하시는거 전부 문제가 있습니다

  • @user-xb4fq7oc5w

    @user-xb4fq7oc5w

    3 ай бұрын

  • @user-lv1ce7jc5p

    @user-lv1ce7jc5p

    3 ай бұрын

    여자 조정훈이네~??? 지적인 여자의 표본으로서 차분하게 말하는 내용이 참으로 악마의 나라의 교수답다 외국인 베이비시터 데려오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 가족될까봐 조심하라고 경고한다 맞다 이태원 참사를 보면 거기에 같이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외국인 젊은이들도 운명을 같이 했다는 것을 보아도 우리가 어디에 살고 존재하느냐의 문제는 공동 운명 공동체의 틀에 묶여져서 가족이 되고 가족이라도 국경을 달리하고 도시와 시골로 떨어져 살면 부모 자식도 아줌마 아저씨 되는 것이다 이혼하면 자식과도 아줌마 아저씨만도 못 하는 사이가 되는 것을 우리는 잘 안다

  • @Cosmos324
    @Cosmos3244 ай бұрын

    뭐만 하면 외노자 숫자만 늘리면 된다는 사람들 있는데 뭘 근거로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일하고 싶어한다고 생각하는지

  • @wujingim297

    @wujingim297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제가 얼마전에 호주로 워킹홀리데이 다녀왔는데요 그곳에 가면 몽골사람이든 필리핀 사람이든 베트남 사람이든 한국사람과 똑같은 취급을 받고 똑같은 임금을 받습니다. 근로 환경이 훨씬 낫고, 임금도 더 높고 날씨까지 더 좋으며, 한국어 배우는것보단 영어배우는게 더 수월할수도 있고, 장래에 자녀 교육을 생각해도 기회만 있다면 호주나 미국등으로 가겠구나 싶더라고요. 한국에서 근로 후에 호주로 와서 계시는 분들도 많이 뵜습니다. 한국에 돌아오니 고용주에게 1년간 무조건 근무를 해야한다거나, 브로커 문제로 임금이 때인다는 문제를 보고 한국으로 오려는 노동자들은 날이 갈수록 줄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그들은 노비가 아니며 언제든 더 나은 나라로 갈 수있다는걸 우리도 알아야합니다. 근로자가 자기 근무지를 이탈하면 왜인지 되돌아보시길..

  • @granadajoy7024

    @granadajoy7024

    4 ай бұрын

    뭐만하면 외국의사 수입하면 된다는 사람 있는데 동남아 의료수가가 한국보다 높다는건 알고 얘기하는걸까 ㅎㅎ

  •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4 ай бұрын

    세상엔 한국 들어와서 일하고 싶어하는 외국인들이 쎄고쎘습니다. 걱정 안하셔도 되니까 두 발 뻗고 편히 주무세요.

  • @user-yh3jf6ue9m

    @user-yh3jf6ue9m

    4 ай бұрын

    ​@@wujingim297 일부 맞는 이야기지만 호주도 인종차별,치안,물가 후덜덜하던데요.. 그리고 본인 실속 제대로 챙기려하는 외국인들 한국에서 의료,복지 혜택 다 받고 눌러 살고 싶어하는 애들 적지 않습니다~ 미국,캐나다,호주,일본..한국보다 강대국이지만 그만큼 물가나 진입장벽은 더 높죠... 시민권 쉽게 안주는것 빼고는 한국이 더 만만하죠...

  • @user-jl4tv4fz6z

    @user-jl4tv4fz6z

    4 ай бұрын

    3d업종 쪽에는 그래도 꽤 있죠 물론 고급인력은 힘들거같지만

  • @user-tf7qz9xe8r
    @user-tf7qz9xe8r4 ай бұрын

    1줄 요약 : 자국민 조차도 못 챙기는 나라가 외국인 챙기려다 현재는 거덜나고 빵꾸났다 (안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도 샌다)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애초에 우리가 외국인을 뭘 어떻게 챙김ㅋㅋ 그냥 우리한테 득 되니까 받는 거구만.

  • @Maple_hajell

    @Maple_hajell

    4 ай бұрын

    틀렸음 1줄요약 남성들은 제조업안가서 외노자부르는거야

  • @user-bf6bl3vb6o

    @user-bf6bl3vb6o

    3 ай бұрын

    ​@@Maple_hajell응 니가 가세요 ㅅㅋㅋㅌㅋ

  • @user-or9jn4nl4u

    @user-or9jn4nl4u

    3 ай бұрын

    ​@@Maple_hajell그러면 시발 여성들은 제조업 갑니까?

  • @Whyhandle888

    @Whyhandle888

    3 ай бұрын

    동남아 외노자들 좋다고 받는 이유가 기득권들은 자기들 순혈 한국인 핏줄유지하고 뽕 다 뽑은 다음에 다른나라로 뜨려고 하는걸 수도 있지.

  • @user-ii9bo8vj7q
    @user-ii9bo8vj7q4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말씀 백번 공감합니다.한국의 일자리는 미스매칭이 문제인데 외국인으로만 떼우려고 하고있죠.

  • @user-zb2qm8bq6r

    @user-zb2qm8bq6r

    4 ай бұрын

    어떻게 할까요?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제가 대구에 사니 20년간 공단에서 일했죠 외노자를 시작으로 노무현 대통령때부터 유학생과 국제결혼한 여성들과 일해 왔습니다. 정부도 회사도 일하는 직원을 직원으로 보질 않아요 커피자판기에서 나오는 종이컵으로밖에 보질 않습니다. 가장 큰 피해를 보는게 정식으로 들어오는 외노자들입니다. 임금도 부당한 대우를 받아도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오히려 불법으로 들어온 자들이 더 많은 보호를 받아요 어느 정도냐 가해자인데 피해자로 둔갑해서 한국인과 외노자들이 피해를 봅니다 그짓거리로 실적을 쌓고 돈을 버는 인권팔이들 때문에요 외노자로 들어오기 힘드니 유학생으로 들어와서 공단을 초토화 시키고 있어요 그짓거리가 노무현대통령때부터 시작됐습니다. 가장 큰 피해는 외노자들이 봤어요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고 있는데 유학생들이 유입되자 한국인들도 최저임금을 받지 못했고 외노자들은 거기다 더 큰 피해를 봤죠 고용노동부는 방법이 없다고 잡아떼기 일쑤였습니다. 외국인 슈퍼갑질을 시작으로 이명박 대통령때는 성범죄도 벌어졌어요 저도 피해자였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벌어지고 있어요 하도 피해자가 많아서 이젠 여대생들을 노리고 있죠 모르니까 정부에서 만든 법 때문에 자행되고 있는겁니다. 여성단체와 법무부에 전화 다해 봤어요 다 한패던대요 지금 왜 그렇게 외국인 타령 하는지 아십니까 한국인들 사라지고 외국인들이 단체행동을 하니까 버르장머리 고친다고 머리수를 늘릴려고 그러는 겁니다. 제가 아는 외국인한테 절대로 같은 외국인 커뮤니티로 일자리를 구하지 그외에는 절대로 가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외노자들 갱단이나 다름없는 짓을 하고 사는 자들이 있거든요 한국인이 피해를 봐도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피해사실이 덮이는데 외국인은 오죽하겠습니까 문제는 일자리가 너무 없어 그런 선택을 할수 있는 선택지가 없다는 게 문제죠 늘 구인란이 나오는곳은 그런곳이니까요 불법체류자도 안가는 그런곳 말입니다. 이미 많은 이들이 피해를 봤고 그런 피해자들을 이 유튜브에서 많이 만났습니다. 다 지방대 졸업자들이었어요 고졸과 전문대 졸업자들은 이미 많은 피해를 봐서 절대로 그곳엔 가지 않거든요 그분들께 달래주면서 다른 피해자가 더이상 나오지 않도록 소개 시켜준 지인을 폭로하고 다녔던 회사 상호와 사장이름을 몰래 주변에 소문내라고 했습니다. 저도 외노자들 만날 기회가 있으면 경고를 해주었구요 하지만 그들에게 들은건 더 충격적인 내용이었어요 인권단체와 특정국가 외노자들간에 저 신안 소금 카르텔처럼 카르텔이더군요

  • @bca7575

    @bca7575

    4 ай бұрын

    @@user-zb2qm8bq6r과도한 대졸자를 양성하는 시스템이 가장 큰 문제임. 한국은 대학교가 너무 많고 젊은이들에게 직업천대 인식을 갖게 유도함. 대학 졸업한 애들한테. 지방가라, 공장가라, 현장가라. 하면 다들 지레 겁먹고 도망감. 동일스펙이면 지방,현장직이 서울 사무직보다 돈 많이 받는데도. 본인 수준에 맞는데도 착각하는거임. 내가 명색이 대졸자인데 ㅉ팔린다는거지

  • @lilliliillill4119

    @lilliliillill4119

    4 ай бұрын

    외노자 늘리고 도시 최저임금을 낮춰야지 최저임금이라는 하방이 저렇게 높으니까 청년들이 프리터족하면서 몸편한일만 찾는거 아냐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lilliliillill4119 내가 20년간 공단에서일했는데 거짓말 작작해라 알바가 편하다고 직접 가서 두군데 체험 해 봐라 사람 때문에 다들 나간다 간호사만 태움이 있는줄 아냐

  • @dia4816
    @dia48164 ай бұрын

    진짜 이분 말대로 노동 시장 개혁해봐라 저출산 해결 된다 지난 20년이상 외노자 줄창 데려 온것이 초 저출산의 근본적 원인이지... 인적 자원이 전부인 나라에서 해외 인력을 데려 온게 최대의 실수다 이러니 빈부격차 계속 벌어지고 중소기업 기피하고 자영업 늘어나고 결혼 포기 하는겁니다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만 결혼 해서 출산율 못 올려요 그리고 지금 서비스 업종도 나이 많은 아주머니들 해고 시키고 외국인 단체로 계약해서 들여 오는 중입니다 진짜 나라 망트리 타는 중이에요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알면서도 절대로 하지 않습니다. 지금 외노자들도 나이든 이들은 일자리를 못 구해서 난리예요 제가 만났거든요 지금 노동시장은 말입니다. 인육시장이나 다름없어요 그리고 갱단요 형태만 다를뿐 외노자 노동시장에는 갱단이 없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 없는 외국인들은 다른 외국인한테도 당해요 한국인인 저희들은 그저 구경꾼으로 있을뿐 도와줄 방법이 없어요 저희도 그 외국인한테 당하는데 그저 그들의 말을 들어줄 뿐이죠 심지어는 그 외국인 밟으라고 더러운 짓도 강요 당하곤 해요 그짓을 할수 있는 사람들만 회사에 남고 못하는 사람은 다 제꼴 나는거죠 한국인도 외국인도 괴물들만 살아남는 구조예요 살기 위해서 괴물로 변해야 되는거죠 그걸 못하는 이들은 외국인이 이런 상황에 처하면 한국인이 당하는 건 아무것도 아닙니다. 외노자들 도와주는 단체에 전화도 해봤습니다. 가해자 국적을 말하니 말도 안되는 소릴 하더군요 카톨릭재단에서 운영하는 곳이었어요 그래서 다른 단체에도 전화해 봤습니다. 외노자들 도와주는 단체는 아니지만 거기도 별 소용이 없더군요 느낀건 다 한패라는 겁니다. 이런 빽이 있으니 설치는거죠 차라리 해당 외노자들 대사관이랑 연결시켜 주는게 맞는거 같아요 지금 한국의 인권단체 여성단체 노조들은 이익집단입니다. 안그런곳도 있지만 대다수 그런 단체예요

  • @user-dl9zp7eg1i

    @user-dl9zp7eg1i

    4 ай бұрын

    백퍼 동의합니다. 핵심은 노동개혁인데 국힘이나 민주당이나 이거 해결할 의지 없어요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user-dl9zp7eg1i 그자들 그걸로 돈벌이를 하거든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user-lo1su5kq9e 그 때문에 엄한 외노자들이 피해를 봐 이번 대통령도 그덕에 당선이 되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외노자, 그것도 후진국 위험국가 인간들- 강간과 살해, 동양인 차별이 일상화된 나라들에게 노동자 데려와서 풀어놓으니 서민들 살던 지역, 대림, 김해,안산 등 무법지대되고 한국인 상대 강간,살해,마약범죄 늘어났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서민들은 계속 그들과 맞대고 살아야하고 몇 몇 부자들만 보안 철저한 (정우성씨같은) 곳에 살수 있는 형국입니다. 더불어 일자리도 구할 수 없구요. 노가다 판만 가도 20년째 임금 동결에 전부 중국인,조선족이 장악해서 한국인이 들어가면 왕따당하거나 심지어 폭행 당해서 못 버텨요. 요양보호사도 마찬가지고요. 한국인 아주머니가 가면 두들겨 맞는 경우도 있답니다. 이런 상황이 전 분야로 퍼져가는데 치안 엉망, 기본 생계 보장 안되는 데 어떻게 애를 낳죠.. 외국인과 불체자가 저출산의 근본적 원인인데

  • @user-wz6qe2nu8m
    @user-wz6qe2nu8m3 ай бұрын

    심도있고 날카로운 분석내용 잘 들었습니다 유럽에 이민자, 외국인노동자 함부로 받아서 지금 벌어지는 문제상황이 남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심히 걱정됩니다 이민청등 이민정책 에 힘쓰기보다는 정부는 자국내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근본 노력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 @mskwon1564

    @mskwon1564

    3 ай бұрын

    좋은 일자리는 정부에서 만드는 게 아니라 기업에서 만드는 거죠. 정부와 국회는 기업활동이 왕성해질 수 있는 여건과 지원책들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 @won-kyulee6987
    @won-kyulee6987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구절절이 맞는 말씀입니다. 이 영상을 한동훈에게 보내주세요. 얼마전에 한동훈이 대기업 사장들 모아놓고 연설한 걸 봤습니다. 이민청을 만들어서 외노자를 빨리 쉽게 들여오게하여 여러분의 기업에 도움이 되게하겠다고.. 참 가슴 아픈 내용인데, 이게 명연설이라고 떴더라구요. 이 나라를 어찌해야하나요?

  • @user-jh2dy3yn4k

    @user-jh2dy3yn4k

    3 ай бұрын

    너무 무섭습니다. 제가 저번에 산기능으로 군복무 해결하려던 적이 있어서 공장에 오토바이 타고 갔는데 길가에 대니까 실장님께서 기겁하시며 빨리 오토바이 공장 안쪽 창고로 들여오라고 하셨습니다. 왜냐고 물으니까, 외국인들이 막 훔쳐간다고 경고하시더군요. 한국인이 먼저 입니다. 자국민이 제일 중요합니다.

  • @jwc4684
    @jwc46844 ай бұрын

    좀비 기업에 대한 세금 낭비는 좋은 통찰이네요 강연 감사합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그 좀비기업 뒤에는 정치가와 정당등이 개입되어 있습니다. 인권단체와 대학가도 관련되어 있구요 정부도요 이권이 개입되어 있는자가 너무 많아서 손을 댈수 없을 겁니다. 그거 파뒤비면 잼버리 사태는 아무것도 아닐걸요 하지만 아무도 손을 안댈겁니다. 한나라당 민주당 정의당 모든 시민단체가 개입되어 있으니까요 지금 한나라당에서 떠드는것도 거짓은 아녜요 자기들 유리한쪽으로 이용한다는 거죠 제가 그 좀비기업에서 일했던 사람입니다

  • @bca7575

    @bca7575

    4 ай бұрын

    좀비기업 망해라는 소리는 다들 쉽게 합니다만. 당신들이 무시하는 그 좀비기업이 한국 산업의 80프로는 되는데. 없앨수 있나요? 외노자들이랑 같이 살기 싫다고 한국 산업의 80프로를 없앤다? 한국은 제조업 국가로서 근본이 50년인데 제조업 기업들 다 망하게 만들면 그땐 외노자가 필요없는 고부가가치 산업의 국가로 업그레이드 되나요?😅 중소기업을 외노자일터라고 무작정 무시하고 망해라 하는 콧대높은 사람들 vs 묵묵히 한국산업의 80프로를 지탱하는 중소기업들,외노자들. 누가 더 국가에. 도움되는 존재인가요?

  • @MelodySorrow
    @MelodySorrow4 ай бұрын

    진짜 맞는 말. 외국인들도 2년내로 탈주하는 열악한 노동환경에 한국인이 일하겠음? 게다가 사람들 생각이 단순한게 행정비용은 아예 고려 자체를 안함. 그냥 정책 만들면 알아서 돌아가는 줄 암. 그리고 능력있는 외국인들은 일단 한국에 올 일이 없음. 있는 한국인도 빠져나가는 판국에 ㅋㅋㅋㅋ

  • @sylee007
    @sylee0074 ай бұрын

    한국인도 취업이 안되는 실정인데,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살 수 있다는 건 한국 일자리들이 고질적 병이 있다는 거다. 대기업이 하청을 쥐어짜고 있어 악순환인거다.

  • @sgtK0420

    @sgtK0420

    4 ай бұрын

    그건 후진국에서 와서 눈이 낮으니까 어쩔수 없지.. 월급 30만원 받던 나라에서 있다가 200만원 받으면 당연히 열심히 일하는거 아닌가? 하지만 한국인이라면 2백만원 주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하지. 당연한 이치 아닌가?

  • @dia4816

    @dia4816

    4 ай бұрын

    외노자 데려오니 그게 가능 했던거죠

  • @user-nj3dy9we3d

    @user-nj3dy9we3d

    4 ай бұрын

    ​@@sgtK04202백 주면 난 하겠소 ㅋ

  • @sylee007

    @sylee007

    4 ай бұрын

    @@sgtK0420 외노자가 자율적으로 일하는거 아니죠. 한국인이나 그 일에 능숙한 사람이 가르치며 성장시키는 건 왜 포함 안시킬까요? 문제가, 기업에 허리가 되는 사람들이 없어지고 있다는거죠. 중소기업이 2백만원 주는일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게 아니라, 중소기업도 대기업에서 수익을 제한하여 200만원 밖에 줄 수 없는 구조로 가고 있는게 아닌지도 살펴봐야된다는 거죠. 왜 대기업이 중소 하청업체 매출과 이익까지 다 꿰뚫고 감시하며 원가 절감을 시킬까요? 이런 고민은 안해 보셨죠? 그런거 보려면 가까운 법원에 가서 현황들 살펴봐 보세요.

  • @MelodySorrow

    @MelodySorrow

    4 ай бұрын

    @@sgtK0420 그것도 하루 이틀이지 걔들도 한국생활 하다보면 기본적으로 빠져나가는 돈이 얼마인지 알게 될텐데 지 손에 남는 돈이 얼마 안된다는걸 깨달으면 그 회사에 남아 있겠음? 3년 비자 줘도 그 전에 관두는 외국인 비율이 높은 이유가 뭐겠음?

  • @user-vi2rs6bk5o
    @user-vi2rs6bk5o4 ай бұрын

    이수형교수님 같은 분들이 실제 현장에서 고용노동부 위원회에서 일하셔야 개선되고발전할수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내국인 고용자들을 최우선으로 고용해야합니다.

  • @jinheelee5476
    @jinheelee54764 ай бұрын

    건강보험 납부자와 혜택을 받는자의 괴리 부분이 너무 공감됩니다

  • @constitutevolume719
    @constitutevolume7194 ай бұрын

    이제껏 본 서울대 컨텐츠 중에 가장 좋습니다.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에서요

  • @mira10045
    @mira100454 ай бұрын

    영상에 매우 공감하고 속이 시원하네요. 왜 고용주가 외국인 선호하냐고요? 외국인은 한국의 노동법을 피하거나, 함부로 막 대하는게 가능하거든요. 내국인 구직자는 그래도 법 때문에 슈퍼 을은 아닌데, 외국인은 슈퍼 을 이 맞으니까...오징어게임에서 '사장님 나빠요' 하는 알리가 왜 나오겠음?

  • @Giantsquid626

    @Giantsquid626

    4 ай бұрын

    사용자를 나쁜 사람으로 만들 필요는 없어보임. 단지 공급수요의 법칙을 정부가 앞장서서 망치고 있다는게 문제임. 정부는 3디업종을 저임금 노동직으로 만드려는 이상한 논리리 가지고 있씀. 외노자 수입이 없거나 농업쪽만 한정 된다면 노동 시장에서는 노동자 우위의 시장이 되어 인건비 인상과 작업환경 개선이란 결과로 중장년층이 3디업종으르 지속 유입이 가능하나 외노자를 계속 수입하면 내국인 중장년층은 저임금 후진 작업환경의 3디업종 취업 보다는 자영업 으로 진출해 자영업 포화상태로 서로 망하는 지름길로 가게되는거임. 외노자 수입이 우리 먹고사는 문제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알아야 함

  • @Hongsi.

    @Hongsi.

    4 ай бұрын

    ㅋㅋㅋ.. 요즘 지방에는 외국인들 대변해주는 행정사가 많아서 그래 했다간 회사 문닫아야해요.. 요즘 외국인 5년차 월급이 400입니다 ;)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외국인들.. 한국인 사장 패고 , 알력 부리는 거 대다수입니다. 한국은 자국민과 외노자를 동일임금 주는 유일한 나라입니다. 일본은 100만원 초반 줘요 ㅋ 외노자들 식당일 같은 건 돈 안된다고 안합니다. ㅋㅋ 홍콩 가정부 월 50만원도 못 받고 두들겨 맞는데 한동훈은 월 최소 200주고 데려오죠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그리고 외노자들 전국에서 집단강간,아동강간,마약,한국인 살해등 온갖 더러운 범죄 다 저지르고 있답니다

  • @user-nf5gp8sd7b

    @user-nf5gp8sd7b

    4 ай бұрын

    @@user-it4eu1tg24동일임금 or 돈 더 많이 줘야됨. 일본 무슨 외국인한테 130만원을 줘요ㅋㅋㅋ 국가에서 관리하에 자국민보다 더 주는데요. 외국인한테 돈 덜주는건 이미 영국,프랑스에서 망한 정책이라 선진국중 아무도 안함.😊

  • @illilillilllill8568
    @illilillilllill85684 ай бұрын

    그냥 우리나라는 "나이"가 가장 큰 원인 직장 조직문화에 나이가 중요하게 자리 잡다 보니 서로 불편한게 싫어서 자기보다 아래사람 나이든 사람 안뽑으려함 30대 중후반부터 40대 어찌보면 젊은 나이인데 이직 도전하거나 업종 전환 또는 재취업하려는 사람들은 그냥 계속 나이때문에 허들에 막혀서 준비하다 놀게됨 그 인력들만해도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당연히 어리고 스펙 좋은 애들로 뽑고 싶은 회사 입장도 이해는 되지만 이직하다 실패, 재취업하려는 30대 중후반 이상의 인력 관리부터 일단 시급함 좆소도 뭐 일단 나이들면 거를라고 하고 싼 맛에 젊은 외국인 쓰려하겠지 정부에서는 시대에 맞게 중장년들 나아가 50 -60 대 지원부터나 대폭 좀 늘려라 ㅡㅡ

  • @design593

    @design593

    4 ай бұрын

    ​@@user-kn3xl1gk1c부적절한 비유

  • @user-qo8xj7bx2b

    @user-qo8xj7bx2b

    4 ай бұрын

    @@design593적절한데?

  • @user-nh7ho1yh9z

    @user-nh7ho1yh9z

    4 ай бұрын

    40대면 고추도 안 슬 나이다...이 놈아..

  • @user-rk8ge2bw9i

    @user-rk8ge2bw9i

    4 ай бұрын

    40대면 청춘이다...

  • @user-ps1tz7ld8f

    @user-ps1tz7ld8f

    4 ай бұрын

    @@user-kn3xl1gk1c세계 어디를 가든 규율, 규칙이 있고 이끄는 리더가 있습니다. 그리고 리더로서의 권위가 없으면 무너집니다. 다들 서양의 자유로움을 잘못 받아들여서 참..

  • @user-bw4qd2wf1v
    @user-bw4qd2wf1v4 ай бұрын

    매우 합당한 말씀입니다. 이 분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강추입니다.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뭘 어떻게 합당함?

  • @user-gq4or2lt5q

    @user-gq4or2lt5q

    3 ай бұрын

    그건 아닌듯 한대요

  • @sungjokim36
    @sungjokim363 ай бұрын

    이 나라는 점점 뭔기 이상힌 쪽으로 틀어져 가고 있는 듯... 한강의 기적이고 뭣이고 그게 다 무슨 소용이 있나? 과거의 영광에만 취하고 현실을 돌아보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내놓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는데? 지금의 이 나라 위정자들하며 구 세대들 대다수들은 시대의 흐름을 어찌 보지 못하는지...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그러니까요. 국민들만 죽어가죠

  • @user-kw2lp5zf8x
    @user-kw2lp5zf8x4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됩니다!! 외국인을 데려와도 그들마저 늙게 되었을때 어떻게 대처할겁니까? 결국은 지속가능성을 늘려가야지 한시적 시각은 문제를 더욱 키우는 꼴입니다 사회에 지도층, 지식인들은 상관없지만 실생활에서 사는 국민들을 생각하지않는다면 핀란드 2세대 이민 갱스터와 같은 상황이 한국에서도 벌어질겁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지금도 김해나 안산 지역 엄청난데 다들 쉬쉬하죠

  • @user-rh4yj8nq3m

    @user-rh4yj8nq3m

    3 ай бұрын

    지금도 외노자 무슬림 조선족 동남아 범죄 장난아니지

  • @newtern1
    @newtern14 ай бұрын

    이수형 교수의 영상을 보고 나서 지극히 상식적이고 정상적인 사람을 만난 느낌이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이분 잘 살펴 보세요 제거될수도 있으니까요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탁상공론이지. 이중구조 없이 한국 제조업이 버틴다? 무슨 말 같지도 않은 얘긴지.

  • @Maple_hajell

    @Maple_hajell

    4 ай бұрын

    이수형 교수 말을 생각없이 들으면 이런사람이 됩니다 이수형 교수는 남자새끼들이 기집애도 아니고 제조업에 뛰어들어가야하는거 아니냐?? 라는 말을 합니다 솔까 전 이리생각합니다 여자는 농촌으로 일하러가서 돈벌고 남자는 군복무대신 일정기간 제조업으로 가야한다고요 물론 여성징병제도 같이 시행 되고나서 말이죠

  • @JM-qp8yb
    @JM-qp8yb4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날카로운 분석에 감탄받고 갑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난 이분이 사라질까 걱정되네요 교수님은 아니지만 이분처럼 주장 했던 분이 계셨는데 어느순간 영원히 사라졌어요

  • @wujingim297
    @wujingim2974 ай бұрын

    제가 얼마전에 호주로 워킹홀리데이 다녀왔는데요 그곳에 가면 몽골사람이든 필리핀 ,사람이든 베트남 사람이든 한국사람과 똑같은 취급을, 받고 똑같은 임금을 받습니다. 근로 환경이 휠씬 낫고 임금도 더 높고 날씨까지 더 좋으며, 한국어 배우는것보단 영어배우는게 더 수월할수도 있고, 장래에 자녀 교육을 생각해도 기회만 있다면 호주나 미국등으로 가겠구나 싶더라고요. 한국에서 근로 후에 호주로 와서 계시는 분들도 많이 빛습니다. 한국에 돌아오니 고용주에게 1년간 무조건 근무를 해야한다거나, 브로커 문제로 임금이 때인다는 문제를 보고 한국으로 오려는 노동자들은 날이 갈수록 줄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그들은 노비가 아니며 언제든 더 나은 나라로 갈 수있다는걸 우리도 알아야합니다. 근로자가 자기 근무지를 이탈하면 왜인지 되돌아보시길.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일부러 낮은 비자로 들어와서 근무태만으로 사업주가 스스로 해고하게 만들거나 사업주를 고발해서 가해자로 모는 외국인들이 있습니다. 브로커가 개입되어 있죠 근대 정말 너무 가혹한 환경이라 불법체류자가 되는걸 각오하고 도망치는 외국인도 있구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회사는 늘 매해 적발된 회사예요 근대도 늘 매해 정부에서 지정돼죠 비리가 아주 장난이 아니예요 이 비리 외노자 들여 올때부터 시작된 겁니다. 근대로 한번도 개선된적 없죠 똑같이 대하면 지금은 똑같이 대해도 사단이 나는 곳이 있어요 그런회사는 외국인 극혐 합니다. 심지어는 한국인이어도 순수한국인이냐고 물어볼 정도예요 제가 구직활동중에 겪어서 무슨 일인가 알아봤죠 한국인으로 국적 취득한 자들이 온갖 깽판을 다 벌이고 다녔더군요 이리 되면 정말 무고한 사람이 피해를 보죠 예전에는 님의 말이 맞는데 지금은 전부다 브로커가 개입된 비지니스로 변질된게 오래됐습니다. 그 브로커들은 한국에 정착한 국제결혼한 이들이거나 국적을 취득한 해당 외국인입니다. 그런자들 중에는 이미 유명인인 이들도 있습니다. 다문화 행사에서 겪었던 일을 알려주며 그런자들이 어떻게 돈을 버는지 폭로하는 글이 올라왔었어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것과는 실상이 많이 달라요 . 한국도 외노자들 동일임금 받습니다. 일본,중국,홍콩,싱가폴,대만,중동 등이 외국인이 자국민에 비해 1/5 아니면 1/10이상 못 받는 경우구요. 여기 외노자들 공장,건설사등 한국인이랑 정말 똑같이 받습니다. 수당, 명절 상여금 전부 다요~ 그런데 왜 호주 안가고 한국 오냐구요? 왜냐면 비자가 쉽게 안나오거든요. 비자는 쉽게 나오면서 영주권과 국적도 쉽게 나오고 급여도 좋은 건 한국이 유일해서 다들 한국으로 밀려들어오고 있습니다. 현 외국인 244만 정도 되고 불체자 불포함 입니다. 일본,싱가폴은 동남아,인도 등 후진국3d노동자는 엄청나게 엄격하게 받고 싼값에 부리가 3년 정도 되면 추방하는 구조입니다. 그 외는 백인 엘리트 위주로 받고요 한국은 정반대입니다. 백인 엘리트는 없고 후진국 외노자들이 한국인과 동일 임금,권리 누리며 20-30년씩 영주권 따서 거주하고 국적따고 전 가족 불러오는 구조입니다. 지방에서 공장 운영하시는 사장님들중 외노자들이 야근 하라고 했다고 단체 파업하고 , 여직원 성폭행하고, 할랄 아니라고 사장님 두들겨 패고 이런 경우 너무 많아서 다 쓸 수도 없네요. 할랄 식품 아니라고 노동청,외노자 인권센터에 신고하고 등등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3 ай бұрын

    @@user-it4eu1tg24 사장들이 여직원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johnrhdygks
    @johnrhdygks4 ай бұрын

    사장들의 무리한 투자와 착복이 없이 직원한테 잘해주고 월급 잘주면 한국사람도 일할사람 많다

  • @hajungame2748
    @hajungame27484 ай бұрын

    쏙쏙 들어오고, 대단히 깊은 고찰에 적극 공감합니다. 기업과 산업의 구조조정, 의료보험과 이민제도..

  • @jhyuk6707
    @jhyuk67073 ай бұрын

    진짜 이런 영상 볼 때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 진짜 이정도 밖에 일 못하나 속상하네요.

  • @user-ju3zl5ek6s

    @user-ju3zl5ek6s

    3 ай бұрын

    국민이 미개하니 국가가 미개한 것

  • @suddenly_what
    @suddenly_what4 ай бұрын

    6:50 ~ 8:50 팩폭 구간. 다시볼것

  • @user-qf7st1qs6m

    @user-qf7st1qs6m

    4 ай бұрын

    결국 망해야 하는 좀비기업들이 망하지 않아서 이런일이 발생하는것 이민자 받아서 좀비기업이 살아날바에야 그냥 좀비기업 망하고 좀비기업 사장들은 노동시장으로 편입해야지 그게 정답임

  • @psw8989

    @psw8989

    4 ай бұрын

    노동개혁의 필요성

  • @dia4816

    @dia4816

    4 ай бұрын

    지금 호텔 청소 나이든 한국인 다 짜르고 외국인 단체로 데려오는 중입니다 급여도 한국인 보다 더 주기로 하고 데려 옵니다 웃긴 나라에요

  • @user-nd1ow1os8y

    @user-nd1ow1os8y

    4 ай бұрын

    정치인들 부터 갈려 나가야 함.... 서울대 이하 정치 할 생각하지 말아야 함

  • @user-lc2zu3yb7p

    @user-lc2zu3yb7p

    4 ай бұрын

    50대 중반 60대중반분들하고 일 한번 같이 해보세요...너무 일을 잘들 하셔서 숨이 턱턱 막히니까

  • @secondyouth4050
    @secondyouth40504 ай бұрын

    좋은 해외 기업 투자유치를 해서 좋은 해외 인력과 우리나라 고급 인력이 취업이 되도록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 같습니다. 불법노동자, 저임금 노동자만 받아들여서는 나라의 발전도 없고 처우수준도 낮아지고 범죄나 사회 갈등만 조장 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ud4jp3cv8y

    @user-ud4jp3cv8y

    4 ай бұрын

    그럴려면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개편됐어여했는데 제조업 기반에 츌산율이 나락 갔으니 어쩔 수 없죠. 우리나라 국민 수준에 맞는 인력들이 들어오는 겁니다

  • @cloudshiba2176

    @cloudshiba2176

    4 ай бұрын

    노조땜에 안옴

  • @whansho8493

    @whansho8493

    4 ай бұрын

    근데 자국민에게도 이렇게 푸대접을 하는데 외국인에게 그렇게 대우를 해줄까요??? 전 이런 대한민국의 산업 구조가 변하지 않은이상 조삼모사일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부정적일수가 있지만 그런 낙관적인 관점은 그렇게 잘 보이지도 않구요.

  • @user-jl4tv4fz6z

    @user-jl4tv4fz6z

    4 ай бұрын

    근데 참 당장 출산율 해결하려면 외국인 노동자 유입밖에 방법이 없어서 어려운 문제

  • @kwangyeolpak2157

    @kwangyeolpak2157

    4 ай бұрын

    좋은인재가 미국가지. 한국에 왜 오냐고? 답답한 우물안 개구리

  • @user-bb7mn5cd3w
    @user-bb7mn5cd3w4 ай бұрын

    교수님 어쩜그리 직접 체험하신 것처럼 정확 하십니까 중소기업 노동자들 정말 눈물날때 많습니다 제가 80년대 부터 주물 공장에서 일했는데 남은거라곤 병든 몸 뿐 입니다 노동자도 국민인데 자꾸 외국인 데려오지 말고 일할수 있도록 복지 환경을 개선해야 합니다 돈도 적고 비젼도 없고 환경도 열악하니 놀아도 안가는 겁니다 정치 하시는 분들 이영상 보시고 공부좀 하시고 현실적이 되십시요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님 지금 공단이 어떤줄 아세요 노무현 대톨령을 시작으로 공단과 조선 제가 아는 곳은 간호사 요양보호사 모텔청소부터 농촌까지 정치하는 것들은 말입니다. 외국인 들여서 그자들에게 표 얻을 생각밖에 없어요 외국인 등급이 있어요 정치가들과 인권단체들이 정당들이 가장 좋아하는 외국인이 무슬림과 아프리카입니다. 정치가는 못 만났지만 그 인권단체와 관련된 자들과 각 정당들 당원들을 만났습니다. 20 30대 남녀들요 제가 이유튜브에서 만나서 직접 상대해봤죠 태극기부대보다 더 무섭고 썩은 것들이 누군지 아세요 그 서민들을 위한다는 노동자를 위한다는 정당과 당원이예요 정치가는 썩을수 있어요 근대 당원들은 썩지 말아야죠

  • @user-yq8ki1cj2o
    @user-yq8ki1cj2o4 ай бұрын

    구직희망자 330만명 과 외노자 92만명으로 노동시장의 미스매치를 설명해주셨는데 맞는말씀인데 그것보다 더 심각하다고 느끼는게 자영업자 비율입니다 갈만한 일자리가 없어서 자영업 하는 사람까지 치면 한 천만명은 일자리를 못구하는데 일할사람이 부족하다고 하는 상황인거 같습니다

  • @chk4681

    @chk4681

    4 ай бұрын

    "(저렴하게) 일 할 사람이 없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갈만한 일자리가 없어서가 아니구요 비유하자면 러시아 죄수들 부리는 일터 아시죠 그런곳이니까 못구하는 겁니다. 제가 공단에서 일하니 조금 압니다. 피해자들을 만났고 소문도 들었으니까요 불법체류자도 안가는 곳이면 어떤 곳이겠어요 그런곳을 정부에서 실업자나 실습생들을 제공해 왔어요 이제 그게 안되니까 노예시장까지 생겼습니다. 피해자들 다 대졸자들이세요 지방은 말입니다. 대졸자여도 취업난이 심해 중소기업에 들어가죠 30대가 되면 자동으로 잘립니다. 그후 미래가 없죠 그래서 기술을 배우겠다고 기술이 있으면 정년이 없다고 달려들었다가 혹사에 임금도 제대로 못받고 거기다 외노자슈퍼갑질에 이런분들 많이 만났습니다. 다들 지인 소개로 들어갔다는군요 지인이 돈받고 판거죠 이분들을 만나기 시작한게 2021년부터입니다. 작년까지 만났어요 전국적으로 다 있더군요 심지어는 제 동네에 있는 공단에서 피해본 분도 계셨어요 제 남동생이 그때가 2002년도였나 왜관에서 버스타고 다니셨어요 세상에 거리가 어디고 버스비에다 제 동생이 당했던 수법을 똑같이 당하셨더군요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4 ай бұрын

    외국인들이 한국 정착할리가 돈 벌어서 자기 고향에 돈 보내기 바쁘지

  • @hiodour

    @hiodour

    4 ай бұрын

    한국은 정착을 할만한 나라가 아니라고 생각 되니 고향으로 돈 보내고 , 돈만벌고 나갈려고 하는거지 ㅋㅋㅋㅋㅋㅋ 한국은 외국인들이 마음 편하게 살수 있는 나라가 아니에요~ 한국인들이 외국인 한테 너무 배타적이고 , 다양한걸 받아들이지 못하니까요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정착하는것들이 있어 한국여자들 사냥하고 다닌다 이젠 여대생들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 내가 아침 학교가는 여대생들을 노리는 놈들을 봤거든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그럼 안 될 이유가 뭐가 있음ㅋㅋ 우리한테 제조업이 있어야 하는 건 명백한데

  • @hiodour

    @hiodour

    4 ай бұрын

    그럼 외국인은 돈벌고 한국에서 다쓰고 빈털털이로 고향에 가야 한다는 논리인가?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4 ай бұрын

    ​@@hiodourㄹㅇ

  • @user-de2of9uo3p
    @user-de2of9uo3p4 ай бұрын

    학자로서 전문가로서 매우 적절한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국인 인력문제가 이렇게나 심각한데 말이죠....

  • @white.8817
    @white.88173 ай бұрын

    사람귀한줄 모르는 나라에서 누가 애를 낳을까.

  • @dailybyahn
    @dailybyahn4 ай бұрын

    국민이 출산에 대한 부담 및 죄책감을 느낄 것이 아니라, 정부의 세금소비 패턴이 미래의 사회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합니다. 출산율에 집착하지 말고 어쩔 수 없는 변화는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대응 방법을 생각하는 편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물가가 높으면 국민은 과소비 줄이고 생활비를 아끼죠. 출산율 떨어져서 걷어들일 세금 줄어들거만 생각하지말고, 포기할거 포기하고 사회변화에 잘 대응하는 세금정책을 만들어 미래를 대비하면 좋겠습니다. 건축건설병 걸린 정치인들, 랜드마크 만든다고 낭비하는 세금, 이런 것들만 안해도 큰 걱정 없을 듯. 여기에 쓰일 세금을 환경 및 기후변화 대비 및 도시 정비, 학비지원, 적극적인 육아휴직 보조금 지원에 사용했으면 모두가 그 혜택 누리는건데. 여전히 특정지역만 즐거운 세금소비를 하고 있음.

  • @taechery

    @taechery

    4 ай бұрын

    출산율은 고쳐야할 문제점으로 봐야할것 같은데

  • @OneTabbyYeiX

    @OneTabbyYeiX

    4 ай бұрын

    출산율을 어쩔수 없다라고 보고 방치하는 것이야말로 엄청난 사회행정적 직무유기이자 범죄입니다

  • @dailybyahn

    @dailybyahn

    4 ай бұрын

    @@OneTabbyYeiX 어떨수 없다고 보기보다는 줄어들 인구에 대비한 정책 정비를 우선시 하다보면 가지치기 해야 할 것들이 보일텐데, 그 결과는 좀 더 합리적인선에서 사람중심으로 가는 세금정책을 펼치게 될 것이고. 그러다보면 어느 시점에서는 다시 자연스레 인구가 늘어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지금 무조건 아이를 더 낳아라 하면 현실적으로 누가 낳겠습니까. 발등에 불떨어진 것 같으니 미디어의 보도는 자극적이고, 언급되는 대안의 수준은 준비안된 티가 팍팍나고. 출산 인식이 변화하려면 아직은 아닌 것 같아 보입니다.

  • @ChickenSunFlower0000

    @ChickenSunFlower0000

    4 ай бұрын

    저도 동의합니다. 설거지 필요한 인간이 필요하니까 출산해라 이러는거 같은데, 걍 줄건 주고 포기할건 포기해야죠. 나라 자체가 실버타운이 되었는데, 그냥 이대로 쭉 가야죠. 세수확대가 불가능하니 걍 축소국가 전략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dailybyahn 공감합니다. 저출산은 전세계적인 현상인데 그것에 맞춰 4차 산업과 개발에 발을 맞추는 게 낫죠 엘리트를 키우고요

  • @dlghdi1004
    @dlghdi10044 ай бұрын

    한국인은 힘든 일 하기 싫어서 안하려 한다! 그럼 묻고 싶다! 그런 사람들에게.. 도대체 이세상에서 힘든일 하기 좋아하는 사람, 민족이 있을까?! 그러니 그런 소리 하는 작자들은 적당히 해라 바보 아니다 그리고 서울대 교수님 말씀이 백배 맞는 말씀입니다 결국엔 불루칼라의 임금이 화이트 칼라와 비슷해져야만 이 문제가 해결 될것이다 학력 과잉이나 청년 실업 ,저출산, 도시 집중현상, 심지어는 국제결혼 문제나 사교육 문제까지 해결 될것이다 이모든 문제가 부동산가격과 임금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 그리고 이런 용기있는 교수분들이 더 나와 주셔야 한다 생각합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그러니까요. 전세계에서 한국인은 일개미에 일중독이라고 하고 해외 나가도 한국인만큼 일 많이 하고 잘하는 이들이 없는데 게으르다 그래요

  • @dia4816

    @dia4816

    4 ай бұрын

    @@user-it4eu1tg24 한국인들 오면 직원들 200주고 죽어라 일 해 줄 사람 없으니 그런 소리 하는 거겠죠... 정작 자기는 그 돈 받고 남 밑에서 안 할 거니 사장 하는 거고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dia4816 휴... 그건 서양도 일본도 마찬가지예요. 다만 한국은 저들에게 고임금을 주는거고 일본이나 홍콩,싱가폴,중동,중국은 노예로 부려먹다 팽하는 거구요

  • @user-oq7pm8ku9t

    @user-oq7pm8ku9t

    3 ай бұрын

  • @user-ef3ew8xb7c

    @user-ef3ew8xb7c

    3 ай бұрын

    그건 BMW나 벤츠 같이 비싼 제품 파는 독일이나 가능한 얘기임.

  • @rufghsgkrhtlvek
    @rufghsgkrhtlvek4 ай бұрын

    4:36 맞습니다. 저도 외국인 친구들 있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퇴사 하는 경우 많습니다. 제가 느낀건 그들도 똑같은 사람이라는 겁니다. 돈을 많이 주더라도 타지이고 힘든 일을 하고 건강에 안좋은 일이라 던가 약소국이니 , 부당한 대우에 최소한의 날이 서있기도 합니다 추노... 한국인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겁니다..물론 외노자 입장에서는 돈,시간,기회 때문에 참을뿐 교수님 말처럼 잉여 한국인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우선순위 0위 라고 생각 합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그들에게 자신들 커뮤니티로 일자리를 구하고 버스가 한시간에 한대 오는 회사안에 기숙사 있는 곳은 무조건 피하라고 전해주세요 저희들 사이에 소문이 돌아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한국은.. 외노자들 동일임금 주는 몇 안되는 나라입니다. 일본이나 중국,싱가폴 가면 노예처럼 일하고 국적도 못딸텐데요. 외노자들 맨날 인종차별이다 뭐다 하지만, 실상을 보면 한국여자가 자기 안만나줘, 한국 남자가 자기 안만나줘 이런 소리고요. 일선에서 사장님들 많이 뵙는데 한국 직원 상대로 성폭행,성추행,성희롱 할랄없다고 사장님 두들겨패고, 음식점 사장님 두들겨패고 야근 하루 더 해달라고 했다고 집단 파업 추노, 기계 부품 다 도둑질 등등 셀수없습니다. 정작 그들 나라 본국에서는 노예노동과 인신매매,납치노동이 흔하고 아무도 개선의지도 없으면서 왜 한국에서 동일임금,국적 다 따면서 인종차별 타령하는지도 모르겠구요.

  • @user-lk7tv3ye7o
    @user-lk7tv3ye7o4 ай бұрын

    다른 교육을 받고 자란 다른 문화권에서 온 사람을 한국에 데려와서 지금의 유럽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는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한 줄 한 줄 공감합니다. 특히나 그 사람들이 인권도 없고 여자를 돼지로 보며 동양인을 학살하는 국가 출신이라면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지금도 엄청난 성범죄,살인을 일으키고 치안을 박살내는데 지식인들은 나몰라라

  • @user-nm5rv3rs4c
    @user-nm5rv3rs4c4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게임원화 취준생으로 말씀드리자면 한국이 포트폴리오, 실무 기준이 꽤 높아서 취직이 어려운 상태입니다. 저도 포트폴리오 준비하고 있지만.. 준비 도중에 돈이 없어서 알바, 일반 회사 가시는 분들 꽤 많으신데, 그거를 채용 기준을 너무 높게 잡으시는 바람에 일을 구하고 싶은데 다른 분야 취직하기 너무 부담되어 취직을 안 하고 도태되고 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가뜩이나 원하는 곳 취직하고 싶어서 공부하고, 일을 하는데 자꾸 사람을 육각형 화 만들고 싶어서 가스라이팅 너무 심하게 받습니다.. 이러니 취직이 안되니 "결혼 안 한다, 나 혼자 공부해서 살 거야" 이런 말이 함부로 나온 게 아닙니다.. 어차피 채용하면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 하는 입장이기에, 채용 기준을 낮추고 사람을 면접 볼 때 노력 가중치 얼만큼 되는지 확인해보고, 잘 맞으면 같이 일하면 알아서 일을 잘하게 되는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아직도 몆 십년 동안 "인구절벽, 지방소멸" 탓 하고, 뉴스에선 외국인을 구하겠다 이런 소리하고 자빠졌으니.. 취직이 안되는 사람 입장에선 짜증이 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 @user-ox1gm3qh3y

    @user-ox1gm3qh3y

    4 ай бұрын

    저기요 눈을 낮추세요. 좁은 구멍에 모든 사람들이 다 들어갈 수 없습니다. 애초에 남들보다 더 열심히 노력하고 관리를 해왔으면 들어갈 수 있는 문제 아닌가요 놀다가 나중에 좁은 구멍에 들어 가려하니 들어가지겠소 다이어트 하소

  • @unknown-gr5eh

    @unknown-gr5eh

    4 ай бұрын

    ​​@@user-ox1gm3qh3y 최저시급 주는 ㅈ소 가고싶음? 업무강도는 알바보다 몇배는 높은대 월급은 디폴트가 최저고 그마져도 안밀려서 주면 다행인 곳이 ㅈ소야 ㅋㅋㅋㅋㅋ

  • @roykim9767

    @roykim9767

    4 ай бұрын

    @@unknown-gr5eh취업안해보신것 같네요

  • @user-nm5rv3rs4c

    @user-nm5rv3rs4c

    4 ай бұрын

    @@unknown-gr5eh 취업 안 해보셨으면 조용히 계세요

  • @byEJ

    @byEJ

    4 ай бұрын

    근본적으로 회사는 노동자의 실력과 노동을 구매해서 이윤을 창출하는 곳입니다. 물론 경력자 같은 신입을 요구하는 회사도 문제고, 과열경쟁이 될 만큼 질 좋은 일자리가 부족한것도 문제입니다만. 재직자 입장에서는 매일이 생산 기계 마냥 업무를 쳐내기 바쁘므로 실력 좋은 동료가 곧 나의 복지로 이어지기에 어쩔 수 없는 입장 차가 있기도 합니다. 잘 맞지 않아도 생계 때문에 퇴사, 이직이 쉽지 않은 순간이 오고, 잘 맞는다 해도 생각보다 알아서 일을 잘 하게 되지도 않습니다. 동종업 종사자로서 취준님의 고충이 무엇인지 잘 이해합니다. 말씀 하시는 부분은 꽤 어려운 문제 같습니다.

  • @sobluebear
    @sobluebear4 ай бұрын

    좋네요 박사님 이런 소리들이 정책으로 발전하기 바랍니다. 근데 제가 유지하던 기업의 경우 업계에서 최초로 주5일 도입하고 나머지 법적인 노동법을 다 지키며 공장을 운영했는데 결국 망했습니다. 저희가 업계에서 가장 높은 인건비 구조를 가지고 다른 노동법을 지키지 않는 기업들(주5일, 연장근로수당, 연차, 불법외국인고용 기타 기업규모를 축소신고함으로서 얻는 기타이득들)겉으로 보면 그 법을 지키지 않는 기업들이 더 이익율이 높고 금융권에서 보기에는 안전한 기업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그런기업들이 대출이 더잘나오고 시장애서 더 낮은 원가로 다른기업들을 죽입니다. 이런 문제를 정부가 제대로 단속하지 않고 단속되더라도 작고 힘들고 어렵게 운영하는 3d업종이라고 가벼운 처벌로 넘어가니 그런기업들은 계속 그렇게 운영되고 마는 것입니다. 이런 문재는 단순 노동애만 적용돠지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1등하고 있은 안좋은 지표들 노동시간,산업안전부분 좀비기업은 다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저출산 양극화 청년실업 고령화는 결국 같은 문제에서 출발하는것입니다. 왜 공무원이 인기가 많았을까요? 실제 노동환경에 나가보면 주5일에 연차수당과 4대보험 근로시간 준수 및 산업안전법을 잘지키고 있는 기업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거기에 더해서 임금은 최저시급이하를 받는 외국인만큼 주거나 조금 더 주기 때문입니다. 중소기업청, 노동부, 자치단체, 중앙정부,기재부 등 모든 부처가 힘을 모아야 가능한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미 선량하게 법을 지키고 낮은 마진에도 기업을 운영하던 분들이 저능력자 경영능력이 없는 사람 취급을 받으면 시장에서 사라진 겁니다. 우리나라 정말 반성해야 합니다. 결국 그 모든 책임과 무게는 힘없는 서민들이 다 부담하고 있는 것입니다. 저희 업계만 봐도 법다 지키며 어렵게 운영하던 중소기업은 더 작아지거나 망하고 법피해다닌 회사들은 성장해서 더 큰기업으로 살아남았습니다. 꼭 문서로만 정책발표로만 남는 그런일들이 없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실행하고 집행하고 개선하고 발전시켜서 정직하고 바르게 운영하려는 기업들만 남는 사회를 만들어주세요

  • @subtitleaddict5343

    @subtitleaddict5343

    3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여담으로 자유국가라는 게 원래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굳이 국가의 개입이 없더라도 서로 배려하며 각자의 선을 지켜야만 유지되죠. 근데 이 나라는 어느 쪽이든지 자기 뱃속만 불리겠다고 뇌절을 해대니까 결국 국가가 강제로 개입하면서 한때 가능했던 자유로운 선택의 폭이 자꾸 좁아지고 있어요. 결국 이런 나라의 말로는 중국처럼 빅브라더 국가가 되는 것뿐인데, 정작 한국인들은 그렇게 되면 두 팔 벌리며 환영할 것 같아서 소름끼칩니다.

  • @sophiewon52
    @sophiewon524 ай бұрын

    너무 합리적인 연구 발표입니다. 많은 노인인구가 구직을 못하고 있고, 노인 빈곤이 이렇게 높인데, 싱가폴과 크게 달리 의료등 사회 보장비가 높은 한국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최저 임금까지 보장하며 외국인 노동자를 데려올때는 충분히 사회보장제도를 점검한 후 해야 한다.

  • @user-lk7th7bo6q
    @user-lk7th7bo6q4 ай бұрын

    외국인 노동자의 또하나 간과하는 문제점은 외국인 노동자들은 한국에서 돈을 벌어서 한국에서 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외국인노동자들이 하는 일의 일용직성 단순노동자들 같은 경우에 그 일을 한국인이 일을해서 돈을 벌면 거의 다 한국에서 씁니다. 생활이 넉넉하지 않은 분들이 절대다수라서 버는 족족 나갈데가 많은 분들이죠. 내수가 발생하고 경제가 순환합니다. 반면에 외국인은 그 일을 하면 돈을 모아서 자기 고향에 보내고 집사고 땅사고 본국가족 먹여살립니다. 국내의 가게나 기업이 매출이 생기지 않습니다. 월급을 주는데도 내수가 발생하지 않고 다 새어 버립니다. 공황상태 비슷하게 생겨버립니다. 마치 우리가 알리나 테무같은 외국물건을 사는것과 같은 효과가 생기죠. 돈이 외국으로 가버려서 내수가 죽어버립니다.

  • @donlee4105

    @donlee4105

    Ай бұрын

    본인이 직접 경험한거 아니죠? 제가 사는곳은 음성이라는곳인데 외국인들이 소비해주지 않으면 지역경제 박살납니다. 다만 외국인도 소비하는 수준은 달라요. 동남아같은곳에서 오는 사람들은 일반소비품같은거는 한국사람과 크게 차이나지 않아요. 하지만 중국동포같은 경우는 정말 소비를 안합니다.

  • @user-lk7th7bo6q

    @user-lk7th7bo6q

    Ай бұрын

    @@donlee4105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와서 급여를 다 한국에서 쓰려고 온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으신건가요? 거기 음성에 식품회사에 간적이 있었는데, 회사내에서 지게차모는 이란직원이 있더군요. 사람들이 저 사람 이란에서 대학교수였다고 하더만요. 그 사람이 한국에서 돈벌어서 자기혼자 호의호식 하려고 대학교수 그만두고 왔을까요? 한국사람들이나 외국사람들이나 객지에 혼자나와 쓰는돈은 거기서 거기일수 있습니다. 그 나머지 돈은요? 다 고향에 보내서 처자식 먹여살리기 위해서 객지에서 고생하는겁니다. 한국사람은 고향에 보내봤자, 그 월급이 국내에서 소비가 일어납니다. 외국인은 외국에서 소비가 일어나죠. 그것이 중국산 알리, 테무 소비하면 국내의 한국사람들이 안좋아진다는것과 같다는 겁니다. 알리, 테무, 수입해서 국내시장 장악해도, 한국에서 그거 받아서 배달하는 사람 있으니 괜찮지 않나라는 이익구조와 비슷한 이야기네요.

  • @user-oc4ie5dj7d
    @user-oc4ie5dj7d4 ай бұрын

    진짜 맞아요 지금은 한국인에게만 일에대한 임금에대해 한국인에게 좋은조건을 줘야합니다 한국인은 임금을 대한민국에 쓰지만 외국인에겐 최소한 임금을 주십시요 모든 돈이 외국레 빠져나가고 신용도 없어요 한국인 고용주 다 죽습니다 한국인에게 모든 복지를 주십시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4 ай бұрын

    일본이나 홍콩 싱가폴,중국,대만은 다 그리하는데 왜 한국만 외국인 천국을 만들까요

  • @srhode2704

    @srhode2704

    3 ай бұрын

    무슨 소리에요 무능력하고 일할 의욕없는사람들에게 뭐하러 임금을 비싸게 줘요 외노자들음 열심히 일이라도 하지 ㅋㅋㅋ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srhode2704 무능력하고 일할 의욕 없는 건 외노자구요. 일선에서 일해보세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srhode2704 외노자들 일 열심히 안하고요 각종 성범죄,살인의 온상입니다. 일선에서 일해보세요

  • @user-dddd618
    @user-dddd6183 ай бұрын

    좋은 환경 높은 임금 복지등 이런걸 감당할 기업이나 소상공인 많지않죠. 몇십년 더 있어야 해결될지도 모르죠. 미국이나 유럽도 똑같아요

  •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4 ай бұрын

    그리고 청년들이 소위 3d직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한가지 더 있죠. 결국 10년뒤면 망할기업이나 산업입니다. 그럼 나이 30-40에 어디로 이직하죠? 더 이상 내 경력이 쓸모있는곳은 없을텐데요

  • @HelpGod3

    @HelpGod3

    4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아무일 안하고 있나요???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HelpGod3 당신이 거기가서 일해봐 일이 힘들어서 그건 괜찮아 외국인들한테 한번 당해봐라 중국과 동남아 애들 만나면 운좋은거고 인도 무슬림 만난다 당신은 그날로 영원히 사라지는거야

  • @user-hp7mq4mu9l
    @user-hp7mq4mu9l4 ай бұрын

    너무 놀랍습니다 귀한 영상 고맙습니다

  • @lee.dong.jun.
    @lee.dong.jun.4 ай бұрын

    이 나라 중소기업은 현제의 내국인 노동자를 채용할 여력이 않됩니다... 나라 성장할때 근로환경,임금,복지..등등 따라 가질 못 했거든요... 아직도 30인 이하 재조업 기업은 옛날 그 방식대로 수동적 시스템이 많습니다... 자신의 커리어를 중요시 하는 요즘 세대에겐 완전 비호감이죠...

  • @Tag9-o1o-2Je0
    @Tag9-o1o-2Je03 ай бұрын

    진작에 로봇을 개발해야지요... 한국에서로봇은 아직 생색하는정도... 2024년이면 사이보그 로봇이 벌써 늘어났었을건데 사회가 그것을 막고있었지. 힘든일은 로봇으로 대체해야합니다.

  • @user-uv1gq9po7i
    @user-uv1gq9po7i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외노자를 집중채용하는 기업들중에는 애초에 국내근로자가 생존불가능할만큼 근로여건에 대한 개선의지가 없는 좀비기업들이 많을거같습니다. 의식개선을 가져오는 귀한내용 감사합니다.

  • @redsky2473
    @redsky24734 ай бұрын

    이런 현명한 교수는 처음..서울대에는 있구나..듣다보니..전반적인 사회의 개혁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네..

  • @hjy1709
    @hjy17094 ай бұрын

    병의 원인을 치료하는게아니라 아편을 먹여서 마취시킨지도 십수년째... 지금까지 대한민국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ayeonkim7838
    @hayeonkim78384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schoolmonkey1875
    @schoolmonkey18754 ай бұрын

    감명깊은 강의네요…이렇게 깊이있게 논의하고 연구해봐야하는군요 ㅠㅠ

  • @JCco901
    @JCco9013 ай бұрын

    교수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꽤 자세한 분석을 했군요. 많은 부분이 이해가 됩니다. 계속, 한국의 발전을 위해, 살패를 피하기위해, 계속 노력해 주시고, in public에서 speak out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hj7583
    @hj75834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적극 공감합니다!!

  • @Idealist_raykim
    @Idealist_raykim4 ай бұрын

    외국인을 들여오기 보다 시급을 높여서 블루칼라 직종도 대우해주면 내국인들도 고려할 것 같습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님 시급이 아니라 최저임금도 안 지키는곳이 있습니다 게다가 외노자는 1인분 일 시키고 한국인은 4인분 일을 시킵니다 그래서 이제 아무도 안가는 겁니다. 시급을 높인다고요 최저임금이라고 제대로 주고 거기서 도망쳐 나온 애들 5인분 일까지 시키려 해서 도망쳐 나와요 병원비는 몰론 정신과 치료 안받는것도 천운이죠 외노자들이 갑질해서 정신 나간 애도 있어요 다 무슬림 한테 당한 애들이예요 그애들 부터 저도 당해서 올렸는데 같은 무슬림이라고 국적별로 떼거지로 몰려와서 협박하던대요 한국인도 있었습니다. 이맘도 협박하더군요 제가 4년간 그것들과 전쟁을 벌였죠 그후론 공격안하고 유튜브에 신고 하고 있대요 여기도 그년놈들이 찾아올까요 중학생한테도 당해봤어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한국인을 우대해야죠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3 ай бұрын

    @@user-it4eu1tg24 우대까진 바라지 않습니다 상까지도 바라지도 않아요

  • @user-tg4cr1su3u
    @user-tg4cr1su3u4 ай бұрын

    외국인이나 국외체류자 건강보험료 문제는 꼭 해결해야한다

  • @user-kn2gq4in1s
    @user-kn2gq4in1s4 ай бұрын

    노동력 수입보다는 퇴직자 노동력을 활용해야 합니다 60세부터 노인행세하는 꼴을 더 이상 못보겠네요 ㅠㅠㅠ

  • @rabbitmt
    @rabbitmt3 ай бұрын

    한화오션에 20년 근무중인 직장인 입니다. 조선업 인원부족으로 생산직 노동자가 20% 가량 증가해도 1년동안 지켜 봤는데 거제 지역경제에 전혀 도움 되지도 않습니다. 돈벌어 본국에 저축하기에 도움 안되요. 외국인 대체가 손쉬워 협력사 인금이 더 오르기 힘들어 졌어요. 10년째 최저시급으로 가고 있음. 일은 힘든데 한국인 누가 일할려고 할까요~ 한화오션 130여개 협력사 대표만 좋아 하겠죠 놀라운 사실은 협력사 대표는 10억안되는 자본금으로 관리자에서 대표로 지원하여 지금은 최고의 수익을 얻고 있죠~ 사실임 지금 이제도의 최고의수혜는 업체 대표

  • @user-qu2pg7hn3i
    @user-qu2pg7hn3i4 ай бұрын

    조목조목 정말 맞는 말씀이십니다. 왜이런분들의 연구대로 반영이 안되는지 안타깝습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답답합니다. 동남아조차 무비자로 받는 유일한 선진국.

  • @jin-youngkong3731
    @jin-youngkong37314 ай бұрын

    명료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 @user-bx8pb3bk9n
    @user-bx8pb3bk9n4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확하십니다!

  • @user-hu6sp5kz1b
    @user-hu6sp5kz1b4 ай бұрын

    맞읍니다 인구소멸.저출산.노동력부족에 대한 그동안 정부대책은. 이율배반적 이었읍니다.

  • @fkcjeiwjxjxjjwqk
    @fkcjeiwjxjxjjwqk3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크게 깨닫고 갑니다.

  • @user-QuantumJump
    @user-QuantumJump4 ай бұрын

    캬.. 진짜 좋은 영상 ㅠㅠ

  • @user-kn2gq4in1s
    @user-kn2gq4in1s4 ай бұрын

    역시 서울대라 다르네 세금이 아깝지 않아요

  • @user-dh6bi2og4y
    @user-dh6bi2og4y4 ай бұрын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대한민국에 교수님 같으신 분이 계셔서 다행입니다

  • @skyyu8777
    @skyyu87774 ай бұрын

    외국 인력 데려와도 최소 7년은 있어야 전문 인력으로 쓸수 있습니다.. 이 교수님이 제시한 의문은 합리적입니다..

  • @TheSargent82
    @TheSargent823 ай бұрын

    내용 너무 좋네요.

  • @wilsonokoth1798
    @wilsonokoth17984 ай бұрын

    외국인도 지방 떠납니다. 지방에 있는 대학교 에 졸업해도 좋은 일자리 없어서 서울로 떠나게 됩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지금은 아예 대학을 서울로 가려고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떠나고 있어요 지금 지방대 들어오는 유학생들 그전에도 최악이었지만 지금은 더 최악이죠 다들 이럴바엔 학교 폐교하라고 난리입니다. 혈세낭비에 치안에 일터와 주거지역까지 초토화를 시키고 있더군요 타지역분들 만났거든요 대구와 구미보다 더 심각했어요 그나마 조용한곳이 하양 일대 인데 거긴 옆에 영천이 있죠 그동네 분들 성정 대단하거든요

  • @user-bt9sk8du7z

    @user-bt9sk8du7z

    3 ай бұрын

    ​@@user-yc3fg5wp7s진짜로 다 중국인 동남아인들, 오히려 지방대 몰락을 더 가속화 시키는거 같아요 인력이 모자란데 다문화 정책도 참 이상하게 하네요

  • @KK-uh8wz
    @KK-uh8wz4 ай бұрын

    충분한 연구 후에 얘기해주시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 @user-ts6hd5yn7j
    @user-ts6hd5yn7j4 ай бұрын

    국회로 이런분이 가야지~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가는순간 박살날거고 그전에 가지도 못해요 그 국회의원들 저 정당들 다 알고 있습니다 절대로 안 고치죠

  • @user-ty5hl2sj5e
    @user-ty5hl2sj5e4 ай бұрын

    교수님 멋쪄 ❤❤❤❤❤ 구독~~~

  • @Utuber8282
    @Utuber82824 ай бұрын

    Very informative! 👍

  • @user-qg6vn6tr2v
    @user-qg6vn6tr2v4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도 동의합니다. 우리가 하기에 너무 척박하고 힘든걸 그나라 대비 비싼물가에 기대어 외국인을 쓰는것 뿐이죠.

  • @user-xx8kt8gz3g
    @user-xx8kt8gz3g4 ай бұрын

    너무 이해가 잘되게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대학은 졸업한지 오래됐지만 한국의 일자리 문제에 대해 알수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 @user-by4ro1gq9w
    @user-by4ro1gq9w4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이 가고..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그 정도 노력이면 자국민이 할수 있는 제도 개편이 먼저입니다.

  • @user-kf9wn8yn6l
    @user-kf9wn8yn6l4 ай бұрын

    좋소는 질이 안 좋은 회사들이 많고 사장들 마인드가 너무 안 좋은 인간들이 너무 많음 기본적인 계약도 안 지키고 월급 밀리고 사람 취급 안 하는 회사들이 많음 같이 일 하는 파트너가 아니라 사람 취급 안 하는 회사들이 많아서 자기 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해서 안 가는 거임 외국인들은 더더군다나 생계를 위해 꾸역꾸역 그런 곳을 간다쳐도 한국인들은 미래에 희망이 있는 곳 자기 발전이 있는 곳을 원함 근데 그런 질 좋은 일자리가 너무 없다는 것이 문제임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여직원을 매춘부로 제공해서 남직원들을 붙잡아두는 회사도 있습니다. 제가 당할땐 여공들을 대상으로 하다가 남자들이 경리들도 위험하다고 하더군요 아프간인들 진천에 있을때 자기회사 영양사 아가씨가 당해서 회사에서 나갔다고 제보하는 분이 계셨어요 나이가 좀 있는 분이더군요 그후론 지하철에서 사무직여성들이었어요 제글 보고 찾아왔죠 그후론 여대생들이 찾아왔습니다. 대낮에 길거리에서 당한일로 작년에 대학가를 지나가는데 마침 학생들 등교시간이었어요 제가 봤어요 그놈들을

  • @user-wq8fc5yr2w
    @user-wq8fc5yr2w3 ай бұрын

    외노자들도 일거리를 골라서 합니다 임금 많이 주는 일만 할려고 합니다

  • @VisionTradingCentre
    @VisionTradingCentre3 ай бұрын

    내용이 참 좋네요☘️🍀🌻

  • @cloudshiba2176
    @cloudshiba21764 ай бұрын

    자국민 월급도 안줘서 임금체불 1조 7천억원인 나라에 누가 오나요?

  • @won-kyulee6987

    @won-kyulee6987

    3 ай бұрын

    에고.. 이미 많이 왔고 계속 오고 있습니다.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다들 못와서 안달입니다 ㅋ 이웃나라보다 월급 5배 이상 주고 국적도 주거든요

  • @eddieb7025
    @eddieb70254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 잘들었습니다. 다만 필드에서 활동하는 영세사업자 입장에서 3D업종 기피현상은 단순히 중소기업 탓으로만 돌리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말하는 하청, 협력, 외주업체에서는 원가 경쟁력때문에 근로자 처우개선에 한계가 있습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고질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대기업 위주의 시장체제부터 바꿔야 할겁니다. 근데 이게 또 정부가 개입하면 시장자유주의에 맞지 않고 국가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장에서 대부분의 지출은 원자재와 인건비입니다. 많은 분들이 처우개선을 못하는 중소기업은 망하는게 맞다는 비아냥을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농업, 제조업은 반드시 필요한 기초산업이며 모든 분야를 외국기업들에게 넘겨줄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분명한건 대한민국 중소기업 전체가 혁신적인 실리콘밸리가 될 수 없으며 그러한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인력은 찾기도 어렵습니다. 아무리 해외 의존도가 높아도 내수시장은 지켜야 할 것 입니다.

  • @eddieb7025

    @eddieb7025

    4 ай бұрын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를 단기간에 바꿀 수 없으니까, 걷어들이 법인세수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원금도 사실 넉넉하지 않아서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동종업계 회사들이 많습니다.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는 것보다는 외국인 근로자를 국내로 유입시켜서 국내에서 생산하는 것이 GDP측면에서도 더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해외에서도 대기업들이 협력업체 쥐어짜는 현상은 똑같습니다. 에플이나 어플라이드 메터리얼 그리고 램리서치까지 세계적인 첨단기업들도 다를 바 없습니다. 데이터 및 통계만 보시고 연구하시면 변수를 다 통제하지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사례연구도 병행하셔서 좀 더 현실성 있는 결과가 나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eddieb7025

    @eddieb7025

    4 ай бұрын

    자칫하면 교수님의 발언이 대한민국 모든 중소기업이 처우개선에 노력하지 않는다고 왜곡된 인식을 국민들에게 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지금도 인재확보를 위해서라도 치열하게 처우개선 방안을 노력하고 있습니다. 먼저 중소기업의 수익구조가 좋아져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로환경이나 임금격차가 줄어들지 않을까요? 근본적인 문제를 빼놓고 말씀하신게 개인적으로 많이 아쉽습니다.

  • @dlghdi1004

    @dlghdi1004

    4 ай бұрын

    이글의 논리는 한마디로 틀렸다. 그럼 왜?! 이유는 내수시장의 주체가 누굴까?! 근본적으로 내국인 일 것이다. 바닷물처럼 그냥 잠시 들어 왔다 나가는 외국인 인력이 아니다 그런데 그런 인력들이 한 해 동안 자국으로 보내는 비용이 얼마쯤 될까 심지어는 환치기로 얼마를 보내는지 상황파악도 안돼. 단순 무식하게 100만명이 한 달 100만원 자국으로 돈을 보내도 1조다 ㅎㅎ 일만 여기서 시키지 돈은 모두 외국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1조가 매달 시장에 풀릴 수 있는 구조이다 생각 안해 보았는가?! 사업하는 사람들 돈 벌것만 생각했지, 자신의 회사나 가게에서 만든 물건을 살 주체가 가난해지고 아예 인구감소같이, 없어진다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지 ㅎㅎ 지금의 대한민국이 그런거다 ,내수시장이 박살 나지. 거기다 학력 과잉으로 필요한 인력을 찾기가 더 어렵지 그런데도 욕심 !욕심 욕심

  • @user-of3nu2mc5p
    @user-of3nu2mc5p3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MySeoNee
    @MySeoNee2 ай бұрын

    학문을 연구하는 분으로서 제도적으로 좋은 말씀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외국인노동자, 중소기업 관련 등 생각의 전환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Okusora_Ayane
    @Okusora_Ayane4 ай бұрын

    일손이 정말 부족한 기업 = 불법체류자도 감지덕지하면서 고용하는 기업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불법체류자도 못구하면 정부에서 실업자와 실습생을 제공해 왔어요 이제 실습생들 학교에서 안 보냅니다. 한국인을 갖다 파는 노예상인이 생겼어요 지인들이 돈받고 자기 가까운 이들을 속여서 팝니다 제가 만났거든요 3년동안 다 30대 부터 40대초반 대졸자들이었습니다. 자기들이 이용당한줄도 모르고 외국인 한테 당한걸 털어놓는데 겁에 잔뜩 질려서 글을 쓰는 내내 소문나면 안돼요 나인줄 알거예요 여기도 보고 있을 꺼예요 여자도 아니고 남자가 40대분은 살아온 세월이 있어서 아주 꼬장꼬장한 성격이 장난이 아니더군요 내가 살면서 우즈베키스탄 당해보고 이렇게 길길이 날뛰는 간이 배밖으로 나온 인간은 당신이 처음이다 다른 피해자들은 겁에 잔뜩 질려 있는데 그나마 우즈베키스탄한테 당했으니 여기 글이나 올리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중동한테 당한 이들은 지금까지도 글 못올려요 2010년도부터 피해자가 본격적으로 생겼죠 그후로 한국인이 사라진거구요 당신 말대로 지금 기술을 배울려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데 그런곳은 이미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들어가지 누가 당신들 같이 나이든 이들을 구하냐 공장은 국적 안본다 무조건 나이어린거 그것만 본다 정말 일손이 부족해서 불법체류자들을 구하는 곳은 임금가지고 장난 안칩니다. 제대로 줘요 그런곳은 거의 없어요 그런곳이 언론에 한국인 안온다고 나옵니다 여기 댓글 다시는 분들 정말 너무 모르시네 교수님도요 이건 제가 20대일때 노무현 대통령때까지고 그이후는 인육시장이예요 한국국적 취득하겠다고 이명박 대통령때부터 외노자와 불법체류자들이 한국미혼여성들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질렸어요 일본 욕할 자격 없습니다. 제가 겪어봤으니까요 지금은 여대생들을 노립니다. 제가 실제로 봤구요

  • @benjamink8473
    @benjamink84734 ай бұрын

    날카로운 분석을 가진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싱가폴에 대해 알아보니 그 나라는 공무원에 대한 처우가 좋아서 우리나라 의대처럼 인재들이 공무원으로의 유입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론 우리나라도 미래를 위해 첫째도 행정, 둘째도 행정, 셋째도 행정에 올인해야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어차피 새는 세금 차라리 인재들의 유입을 독려하고 그런 일류 인재들이 행정의 낭비와 공백을 최소화하고 좀비기업들을 솎아내고 좋은 기업 유치에 도움이 될텐데 이보다 효율적이고 좋은 방안이 어딨겠습니까? 파격적인 공무원 우대를 통해 신규유입된 인재들이 자긍심을 갖고 국가 시스템을 수정하고 보완해야 미래의 한국이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에 서울대학교가 앞장서서 정치행정외교에 파격적인 지원을 통해 국가 공무원 유입에 힘을 더 실어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저출산, 지방소멸, 기후위기, AI의 도래 등등 앞으로 맞이할 유래없는 대문제들은 결국 행정을 통하지 않고서는 해결되지 않을뿐더러 특급 리더들이 꾸준히 배출되지 않는다면 지금처럼 뻔한 세금낭비만 하다간 대한민국 침몰은 불을 보듯 뻔할 겁니다 많은 예로 오너 한명의 결정에 귀속되는 기업이 너무 많아서 비유가 될진 모르겠지만 현 축구협회의 무능한 대표처럼 독단적인 결정하나로 조직을 휘청거리게 만들고 나아가 열심히 일하고싶은 직원들의 사기와 의욕마저 꺾어버리는 경우가 너무나도 비일비재합니다 백종원 대표가 심혈을 기울여 지역상권활성화라는 큰 뜻을 품고 이바지하고 싶어도 해당 지역민들의 텃세와 이기심과 담합때문에 정작 좋은 뜻으로 참여하고픈 신규 유입하려는 상인들의 의욕까지 꺾어버리게 되죠 3D업종의 대표적인 조선업 근황처럼 수십년의 경력을 갖고도 최저임금을 받고 해당 지역에서 평생을 살아오신 분들이라 타지역으로 갈 수도 없는 분들이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아마 이런 분들은 자식세대들에겐 수도권으로의 이동을 권하겠죠 수도권 가속화에 기여하는 이런 좀비기업들에게는 페널티를 주어야하며 시대가 워낙 빨리 바뀌는 현 시점에선 평생직장도 담보할 수 없어 직장에만 얽매이기 보단 재택근무도 가능한 창업을 독려해야하며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봅니다만 이 또한 세련되고 세심한 행정시스템과 깊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차피 현 노년층에게서 인식재고를 바랄 순 없을테니 다음 세대가 해야한다고 보고 세금체계나 기업지원 등의 행정시스템은 사회적 기업창업에 동참하는 다음 세대를 위해 재설계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rlaqbxotlrl

    @rlaqbxotlrl

    4 ай бұрын

    어차피 최상위에 있는 정치인 한마디면 모든게 싹 바뀌는게 우리나라 공무원 조직인데 의미가 있을까요.... 정치적 상황과 상관 없이 장기적인 관점으로 정책을 가져가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전혀 그렇질 않으니깐요.

  • @benjamink8473

    @benjamink8473

    4 ай бұрын

    @@rlaqbxotlrl 그러니까 대다수 국민들이 님같은 생각인게 잘못된겁니다. 대통령이나 장관같은 어쩌다 공무원들이 바뀌어도 장기적 플랜을 가진 안건에 대해서는 산하부처 내에서 자체적으로 책임감을 갖고 추진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죠. 늘 정당이나 윗사람 한명 바뀌면 그 이전 정책들은 죄다 폐기되고 새로 시작하는 낭비와 비효율을 제도적으로 바꿔야합니다. 이런걸 고위 공무원들이 바꾸게 만들어야죠. 국민들 중 그 누가 반대를 하겠습니까? 다만 이런 정책 하나를 기획할때 굉장히 치밀하고 세심하게 그리고 꾸준하게 해나가야하겠죠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싱가폴은 도시국가고 소규모구요. 이공계나 과학 발전으로 가야죠. 행정에만 집중하면 그리스꼴 납니다.

  • @user-pp9ip7vc2e
    @user-pp9ip7vc2e3 ай бұрын

    애국적인 강의 잘 듣고 동감합니다

  • @augustor1872
    @augustor18723 ай бұрын

    신촌 계실 때 경제학 외에도 삶의 태도 또한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lancster-qm8uf
    @lancster-qm8uf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저출산의 근본원인은 좋좋소 일자리가 너무 많다는 것. 좋좋소 월급으로 무슨 결혼을 하고 애를 낳고 집을 마련하냐. 그저 굶어 죽지 않을 만큼만 살 수 있을 뿐이지.

  • @hj7583

    @hj7583

    4 ай бұрын

    급여도 문제지만 다른 이유도 있음

  • @EnglishMaster-lg6dl

    @EnglishMaster-lg6dl

    4 ай бұрын

    근본원인은 한녀들이 퐁퐁남 찾아서 그런건데 뭔 소리하냐 ㅋㅋㅌㅌ이악물고 부정하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돈만 문제가 아녜요 다른것도 있습니다 왜 다들 힘들어서 돈이 적어서 타령 하죠 그것 때문에 인력난에 시달리는게 절대로 아닙니다. 죽을 용기가 없어 살아간다는 말 그말 뜻을 알게 됐어요 2010년 버티다 버티다 나온후 전 한동안 다리밑이나 창문밖을 내다보지 않았어요 볼수가 없었어요 밑에서 오라고 손짓하더군요 다른 이들은 어찌된줄 아세요 기억상실증이 되거나 흑화해서 악명이 자자하더군요 전 실제로 같이 일했던 외국인을 만났어요 분명히 제가 아는 이인데 눈동자가 풀려 있었습니다. 아는체 하려다가 관두었어요 그게 오히려 살인이니까

  • @user-td3kn1kd4e
    @user-td3kn1kd4e4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분석 감사합니다, 유럽에선 외국이민자들의 범되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제대로 해야할 것입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외노자들 유학생들 불법체류자들 지방쪽은 난리입니다. 언론에는 절대로 안 나오죠 저도 소문만 돌다가 그곳주민들을 만났어요 이유튜브에서 근대 그런글 지금은 찾을수 없습니다. 그런글 올라오면 댓글을 지우다가 이젠 댓글이 올라온 영상까지 통째로 삭제하고 있으니까요 인터넷부터 카카오스토리까지 다 삭제하고 있어요 과거 성범죄 기사까지 다 삭제 됐어요 그 기사를 퍼나른 블로그도요 자기 글이 삭제되고 있다고 올라오는 저도 많이 당했습니다. 지금은 유튜브 경고가 행사예요 여기도 감시하고 있을까요 다른데 올렸더니 댓글 지우고 댓글을 올리지도 못하게 경고장 날아오고 그 많은 피해자들 다 사라지고 저만 남았네요 지금도 심각합니다. 지방쪽은 철저하게 은폐하고 있죠 그게 안되면 개독이나 극우단체가 퍼뜨리는 가짜뉴스로 몰고 있습니다. 댓글을 올리는 이들을 공격하는 댓글부대도 있고요 제가 다 겪어봐서 겪지 않았으면 저같은 사람들 많이 만났어요 3년전부터 올해까지 미국인 프랑스인 벨기에인 인도인들이 이 유튜브에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해외교민들도 글을 올리고있구요 그분들도 자기들이 삭제되고 있다고 이게 나라냐고 하시더군요 유튜버들도 많이 사라졌습니다. 지금도 당하는 유튜버들도 있구요 님처럼 그런걸 경고했다가 당한 분들이세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범죄 수준이 아니고 국가를 뒤흔드는 수준인걸요 한국도 외국인 범죄 20년은 넘었는데 다들 잠잠해요 어떻게 보도조차 안되는 지 모르겠습니다. 미칠것 같네요. 강원도 k대에서 69명의 방글라 유학생이 여중생 1명을 1년간 강간한 것 김해,안산 일대에서 수도 없이 일어나는 여자아이,여성 강간,살해 사건, 실종사건등 언론에 보도조차 안되고 유야무야 넘어갑니다

  • @user-dg5yy5wl3r
    @user-dg5yy5wl3r4 ай бұрын

    불법체류자가 가장 살기좋고 돈많이 벌수 있는 나라 대한민국입니다. 무조건 받아주면 안됩니다. 어느나라든 외국인때문에 문제가 안생기는 나라가 없습니다. 조선업 같이 외국인을 무조건 받는 업종은 공장을 외국으로 나가야 합니다.

  • @dailybyahn

    @dailybyahn

    4 ай бұрын

    님 기준이면 대한민국 공장을 받아주는 그 타국가가 존재할 수 있나? 외노자로 생활하는 대한민국 국적의 국민은 뭔가요? 대한민국 해외유학생, 외노자는 존재해서도 안되겠네? 생각 좀 하고 글써요

  • @timeisgone123

    @timeisgone123

    4 ай бұрын

    불법체류자가 가장 살기 좋고 돈 많이 버는 나라가 대한민국인 근거는 무엇인가요? 저숙련노동자가 많이 필요한 산업이 제조업인데, 우리나라가 제조업의 성장과 함께 경제력이 성장했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던데 이젠 제조업을 외국으로 보내면 우리나라에 노동자들은 어떤 산업에서 종사하며 그 준비는 되어있다고 보십니까? 외국인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나라가 많다는건 저도 인정합니다. 근데 그렇다고 생산가능인구가 빠른속도로 줄게 될 대한민국에 생산가능인구를 늘리려면 이민 말고 다른 어떤 해법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sgtK0420

    @sgtK0420

    4 ай бұрын

    그래서 그 공장 해외로 옮기면 그 공장 노동자들로 먹고 사는 주위 식당들, 원룸들 이런 사람들은 다 굶으라는 겁니까?

  • @user-dg5yy5wl3r

    @user-dg5yy5wl3r

    4 ай бұрын

    지방대학 문닫고 주변 원룸 식당도 같이 문닫건 당연한것 그럼 따라 가던가@@sgtK0420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그 불법체류자도 자기 무리가 많고 커뮤니티가 발달된 이들이거나 무슬림들마나 누릴수 있는 특권이지 그게 없는 불법체류자는 다른 외국인들이 범죄를 저질려요 내가 외노자들한테 경고하니까 그중 한사람이 불법체류자들중에 영어도 못하고 자기 무리도 없고 그런이들을 대상으로 중앙아시아인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고 하더군요 피해를 입어도 다른 외국인한테 말도 할수 없대요 인권단체 찾아 갔더니 그 놈들과 한패더랍니다. 다른 외국인한테 털어놓으면 소문이 날테고 그놈들이 무슬림이니 결국 그놈들 귀에까지 들어가면 말을 했다고 보복하러 온다고 하더군요 이걸 아는 외국인도 극소수입니다. 저한테 굉장히 어렵게 털어놨어요 제가 필리핀태국 외노자들 당하는거 구해준적 있거든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한테 그후 저 중앙아시아 외노자들부터 당했던 일들을 이거 유튜브에 올렸다가 날 공격하나 것들을 애기해주었더니 털어놓은 겁니다

  • @user-nn9gs6bs4o
    @user-nn9gs6bs4o4 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 고용노동부 장관직을 맡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 @aricaii8264

    @aricaii8264

    3 ай бұрын

    근데 정치인 똥술배아저씨들은 자기보다 똑똑한 사람들 싫어함!

  • @suesue4848
    @suesue48483 ай бұрын

    제가 평소에 어렴풋이 생각하던 것을 명확하게 말해주고 있어서 감명깊게 잘 봤습니다

  • @sel5908
    @sel59084 ай бұрын

    역시 똑똑하다.

  • @JohnFxxk777
    @JohnFxxk7773 ай бұрын

    300만 명의 눈높이 걸맞는 일자리가 나올려면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기업이 최소 3개는 더 있어야 가능할 듯 합니다, 현실적으로 한국 경제구조를 탈태환골하지 않는한 불가능합니다, 그런 거대기업을 받쳐줄 글로벌시장도 없고, 내수시장만으로는 더더욱 불가능 함.

  • @user-mz1mj9fe6r
    @user-mz1mj9fe6r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민낯을 보게 해주시는 교수님 영상 잘보고 갑니다^^

  • @user-me4zu3pu7i
    @user-me4zu3pu7i4 ай бұрын

    이분 대단

  • @cjm3599
    @cjm35993 ай бұрын

    뭔가 공감되서 한말씀 드립니다~ 일자리든 이민이든 우리나라 국가정책은 전문성이 전혀없는 수준낮은 공무원들이 돌아가며 맡는 식이라 기대할게 못됩니다~ 그렇다고 공무원 욕할건 못됩니다 시스템이 그런거지요~ 깨어있는 분들이 얘기해도 전달되지 않고 간혹 간담회등에 참석할 기회가 되서 공감대를 형성해도 몇달지나고 보면 다른사람으로 바뀌어있죠~ 우리나라 공직시스템은 비리를 못하게 막는데 집중되어 있고 효율성같은건 전혀 고려되지 않습니다 일하라고 하는데 막상 뭘 할려고 하면 아무것도 못하도록 막혀있는 업무환경이죠~ 그런데도 공직자 부패지수는 형편없어요~ 힘없는 하위직이나 별 힘도 없는 공적업무에만 부패방지 기능이 집중되어 있고 실질적인 권력을 가진 검찰같은 사람들은 정작 건드리질 못하니까요~ 일자리 업무는 다들 하지도 않으려는 업무인데다 겉보기식 숫자놀음 성과에만 치중할뿐 청년실업이니 머니 정부에서는 언론플레이만 하려하지 정작 어찌할지도 모르고 할 의지도 없습니다~ 언론에서는 매번 정부가 나서야한다 어쩌지만 뭘 알아야 나서죠~ 국민들이 똑똑해져서 엄청나게 요구하고 분위기 조성해야 간신히 될까말까 그게 현실입니다🎉🎉 ps: 사람들이 잘모르는게 대한민국 국민들 정부에 의지하고 싶어하지만 그 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공무원들도 정부 욕하고 불만많고 의지하고 싶어하고 똑같습니다 정부란게 어딘가에 있긴한가 싶죠~ 그냥 똑같이 가진거 없는 평범한 서민이자 힘없는 소시민입니다 무슨무슨 ~부니 청이니 국가기관 근무한다고 뭔가 대단한게 있다고 여긴다면 다 허상이자 착각입니다 아무것도 없어요

  • @user-is8ht2rl9i

    @user-is8ht2rl9i

    2 ай бұрын

    근본적인 문제는.. 재벌과 그들의 경제력 집중입니다.... 그게 모든 문제의 시작입니다.

  • @user-is8ht2rl9i

    @user-is8ht2rl9i

    2 ай бұрын

    저도 예전에는 공무원의 전문성이 문제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습니다.

  • @user-dn1hd8hd3i
    @user-dn1hd8hd3i3 ай бұрын

    일을 하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어서 못하는게 현실이구요,3D라도 원하는 중장년층 많아요...

  • @fortepiano5457
    @fortepiano54573 ай бұрын

    고리타분한 SNU 콘텐츠 중에서 오랫만에 좋은 영상봅니다. 소위 지식인층에서 핫하다는 PC주의에 함몰되지 않고 타당한 근거에 바탕한 분석과 제안으로 생각됩니다. 설명도 품격있게, 이해하기 쉽게 해주시네요~

  • @user-it4eu1tg24

    @user-it4eu1tg24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지식인들이 pc주의에 경도되어 자국민 버리는건 한국이 유일한 것 같아요(이웃국가들 중에선)

  • @hyominkylekim1225
    @hyominkylekim12253 ай бұрын

    굉장히 통찰력있는 분석이네요. 잘 봤습니다

  • @MMMM-qg7ln
    @MMMM-qg7ln4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다 옳아요 진짜 .... ❤

  • @brown_paper_luv
    @brown_paper_luv4 ай бұрын

    근로자 월급 덜 줄려다 이 사단이 난건데 외노자 대규모로 들어오면 내수 사망에 아마도 환율도 치솟을듯.. 해외송금으로 달러유출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니까

  • @dia4816

    @dia4816

    4 ай бұрын

    돈 있음 실물 금, 미국 배당성장주 사놓아야 합니다 앞으로 환율 급격하게 오를 수 밖에 없죠... 이제 기술 개발 할 젊은 사람 조차 없고 있다해도 중국에 밀립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