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동네가 옛날엔 개도 수표를 물고다녔어”│과거 산업의 메카였던 대도시에 남은 것은 노인과 빈집 뿐│다가오는 지방 소멸의 그림자│다큐시선│

“초등학교가 됐든, 중학교가 됐든 동네에 학교조차도 없는데 우리 아이가 이 고장에서 어떻게 살겠어요”
지방소멸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말로만 듣던 지방소멸이 이젠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 추세라면 30년 안에 자치단체 30%가 없어질 것이라며 경고한다.
이번 [다큐 시선]에서는 소멸 위기 지역 3위인 군위를 방문해 시골의 소멸 위기를 직접 체감해보았다
✔프로그램명 : 다큐시선 - 당신의 고향이 사라진다
✔방송 일자 : 2019.08.08
#다큐시선 #인구소멸 #지방소멸 #인구부족현상 #인력부족현상 #도시인구밀집화 #청년부족 #청년일자리부족 #시골 #시골인구 #고향 #고령화 #고령화사회 #고령화지역

Пікірлер: 1 900

  • @doorihad105
    @doorihad1057 ай бұрын

    지 자식들은 서울에서 안돌아왔음 좋겠는데 남의 자식은 농촌와서 농사 지으라는 노인들을 보고 다시금 귀농 귀촌 따위는 하면 안되겠구나..하는 마음이 더더욱 강해지네요ㅎ

  • @babyandi3397

    @babyandi3397

    5 ай бұрын

    참... 맞는말이네요...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5 ай бұрын

    (맹지 땅 평당 30에 사줄 호구) 젊은이 많이 왔으면 좋겠어~ (내 자식 손주 빼고)

  • @user-ck2ep2xu5u

    @user-ck2ep2xu5u

    4 ай бұрын

    그놈의 대학교육때문에 .학벌사회.막상 대학교 나와도 일자리는 없는데..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4 ай бұрын

    @@user-ck2ep2xu5u 고졸도 취업 안돼. ㅋㅋㅋ 대학탓 할필요 없어. 걍 일자리 대비 인구가 너무 많어. 한 2천만-3천만까지는 줄어도 됌

  • @user-1kljsh28l9

    @user-1kljsh28l9

    4 ай бұрын

    요즘은 시골부모집으로 귀향하는 자식들이 늘었죠

  • @sblee-qw3bi
    @sblee-qw3bi10 ай бұрын

    아재고 형님집이고... 딱 보니 집성촌인데 저런데는 들어가는게 아닙니다.

  • @shin123492

    @shin123492

    3 ай бұрын

    ㄹㅇ임 우리할아버지댁이 이씨 집성촌에 있었는데 은근히 차별함 쪼잔한걸로 마을잔치한다고 소고기 잔뜩사놓았다고 손주들까지 다부르자해서 불렀는데 우리는 처음 한번 고기 받고 다먹고 더달라니까 없데... 근데 이씨네 식탁은 고기가 안마름ㅋㅋㅋㅋ 그이후로는 마을에서 일손이 필요하니 뭐니 쳐 불러대도 절대안감ㅋㅋㅋ

  • @user-sh2xj8fm2n

    @user-sh2xj8fm2n

    2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 시골들 그냥 싹 말라죽게 냅두는게 좋음

  • @user-cl6of5vr9e

    @user-cl6of5vr9e

    Ай бұрын

    절대 집성촌 . XXXX

  • @SMK-zi7ze

    @SMK-zi7ze

    16 күн бұрын

    저런곳은 망해야돼.

  • @mkkim8280

    @mkkim8280

    4 күн бұрын

    집성촌은 외지인 안들어감

  • @user-fk8zi1jc2y
    @user-fk8zi1jc2y10 ай бұрын

    막상 외지인들이 정착하려고 가면 현지인들은 싫어 합니다 사생활도 보장 못하고 감정만 쌓여 그리고 후손들은 땅도 팔생각을 안합니다 그러면서 무슨 마을에 사람이 없네 아이들이 없네 그러는지 귀농이나 전원의 꿈은 현실과 너무 멀어요 진짜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몸고생 마음고행 하다 포기하는 사람들 한둘이 아닙니다

  • @Smile_77

    @Smile_77

    9 ай бұрын

    그저 나이들면 병원앞 도시에서 살아야함. 전국에서 평균수명 가장 낮은 지역이 그 공기 좋다는 강원도임.

  •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3 ай бұрын

    을끼리 싸우지말고 나랏일 하는놈들에게 화살을 겨누세요. 정말 답답합니다 이런 댓글 보면

  • @skim7923

    @skim7923

    3 ай бұрын

    @@Smile_77그건 병원의 유무가 아니죠ㅋㅋ 아니 요즘에 지방에 산다고 병원 못 가서 죽는 것도 아니고ㅋㅋ 데이터 해석을 이상하게 하시네ㅋㅋ지방 사람도 아프고 병들면 다 지방 거점 대형종합병원에 갑니다. 병원이 멀어서가 아니라 전문가들의 소득의 차이를 원인으로 봅니다. 아무래도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에 신경을 쓸 여지도 많고 건강에 대해 지식이나 관심도 많죠. 저소득층이 오히려 비만이 많은 경우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 @shk9117

    @shk9117

    3 ай бұрын

    @@U_can_touch_me 지방 무너 뜨리는 정치인 것들 찍지 맙시다...서울 행정 지방으로 이전 국회 의사당 이전 ....

  • @user-ed6et7ph5y

    @user-ed6et7ph5y

    3 ай бұрын

    귀농생활 해보지는 못했지만 봐 온적은 있습니다 절대 동감합니다

  • @user-go7co6ho9i
    @user-go7co6ho9i9 ай бұрын

    제가 일본 미국에서 살면서도 차별당한적 한번도 없었는데,강원도 영월에서 평생살려고 산골집 사서 이사했는데 도저히 못견디고 올라왔어요 황제공무원들 정말 무섭구요,일부 주민들은 소름끼칠정도로 상식이 통하지 않아요 저는 서울토박이인데요,도시에서 태어나고 교육받은것에, 뼈저리게 부모님한테 감사하게되었어요.시골이주 계획중이신분들 신중히 결정하세요 지방출신들 친구들이 결사 반대하는것을 무시한 제게 남은것은 처참한 기억과 그로인한 우울증이예요 현재 경기도 소도시에서 살고 있는데 아주 만족합니다 서울처럼 복잡하지도않고 황제공무원들도 없고 상냥한분들만 계시고 일반상식이 통하는 살기좋은 곳이예요

  • @user-Griezman

    @user-Griezman

    5 ай бұрын

    몇달전 오랜만에 시골 돌아가신 할머니댁 갔더니 당숙들이 나보고 왜 왔냐? 뭣때문에 왔냐 텃세부리길래 내가 텃세부렸습니다

  • @user-go7co6ho9i

    @user-go7co6ho9i

    5 ай бұрын

    ​​@@user-Griezman충분히 이해가 가네요,제가 살던곳은요, 살인자2명이 살았는데요,살인자2명보다 더 무서운것이 공무원횡포와 주민들 텃세였어요ㅎㅎㅎ지방인구감소는 자업자득이지요

  • @user-yl5ye2vt5v

    @user-yl5ye2vt5v

    5 ай бұрын

    스스로 쪽박 차는거죠. 근ㆍ현대사을 보면 외부의 문명을 받아 들이기 보다는 배척 하는 민족 아닌가요~~^^

  • @user-gg8tc7jq4f

    @user-gg8tc7jq4f

    5 ай бұрын

    시골 무서운 사람들 노인들끼리만 잘사셔야지 젊은이들은 안간다 고집 아집 욕심 배려라고는 아예 존재조차 없는 시골노인분들

  • @user-bo8qz2ed8t

    @user-bo8qz2ed8t

    5 ай бұрын

    영월 제천 단양 외지인이 터잡고 사는 원주의 오지 전원주택 지역이 구롷답디다.

  • @user-qd9hp2yh2i
    @user-qd9hp2yh2i10 ай бұрын

    막상 가보면 땅도 비싸게 팔고 무너져 가는집도 비싸서 못사요

  • @user-kg4em7yw6n

    @user-kg4em7yw6n

    10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 @user-kv5bd7dq2e

    @user-kv5bd7dq2e

    10 ай бұрын

    엄청비쌈

  • @khj-bo9fw

    @khj-bo9fw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 @user-lr3xe3xr5m

    @user-lr3xe3xr5m

    10 ай бұрын

    ㄹㅇ

  • @user-wv3pu7qq4g

    @user-wv3pu7qq4g

    10 ай бұрын

    그런 탐욕스런 사람들은 비워둔 집에 고라니, 멧돼지, 너구리가족들 옹기종기 모여 세들어사는 꼴을 봐야 정신차릴겁니다

  • @Daniel-il2gs
    @Daniel-il2gs10 ай бұрын

    다 쓰러가는 집인데 뭐가 아직까지 살만하다고 인터뷰 하는지 님들이나 평생 거기서 사세요

  • @applepie3283
    @applepie32839 ай бұрын

    옛날에 귀농하자고 지원금 줘가면서 사람들 내려보내서 많이들 귀농했었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그 사람들도 대부분 포기하고 돌아왔다고 합니다 ... 지원금 받기도 까다롭고 농사도 쉬운일도 아니고 텃세도 한몫했을겁니다.

  • @truejustice5

    @truejustice5

    9 ай бұрын

    농촌이나 소도시는 인구가적다고 계속 발전을 안시키니 당연한 결과 악순환만 계속될뿐. 병원,학교,마트,문화시설 등도 없거나 있어도 멀리 떨어져 있으니 불편해서 누가 살겠습니까.

  • @seonmojin437

    @seonmojin437

    5 ай бұрын

    남원에 귀농했다가 현지토박이에게 털려서 빛 몇억씩 생겨서 지금도 싸우는 유투버가 있죠~ 시골 사람 착하다구요?? 순하다구요??ㅋㅋㅋ저도 시골에서 태어나고 자랐습니다 시골 사람들 쎄고 강합니다

  • @user-ck2ep2xu5u

    @user-ck2ep2xu5u

    4 ай бұрын

    근데 시골에 사람은 없어도 버려진 경작지는 없음. 뭐라도 다 심어져 있음.

  •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3 ай бұрын

    @@seonmojin437 왜 시골은 순진하다고 무장해제한채로 갔다가 개털리고 남한테 호소하고 욕하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상ㅇ한 사고방식이네 왜 시골가서는 도시에서처럼 생각안해요? 시골사람은 뭐 당연히 인심써야되는거고 당연히 순진해야함??? 도라이들많네 ㅋㅋㅋ

  • @user-hv7fi9ww3r

    @user-hv7fi9ww3r

    3 ай бұрын

    재산이 있어야 돈 빌려줌 그래놓고 시골 인구 줄어든다는 타령만 함

  • @윤지콩
    @윤지콩10 ай бұрын

    1. 시골 텃세 2. 발전기금 3. 말도 안되는 땅값, 집값 그정도만 해결되면 병원 멀고, 마트 멀어도 감수하면서 살수 있을거 같네요

  • @user-ut9ir3gd4d

    @user-ut9ir3gd4d

    10 ай бұрын

    발전기금 없으면 시골 인프라는 조상님이 공짜로 만들고 유지해주나

  • @user-yp5zz3zm1p

    @user-yp5zz3zm1p

    10 ай бұрын

    ​@@user-ut9ir3gd4d나라에서 해야 하는거 아님?? 도시는 쓸데 없는 보도블럭도 매년 교체하잖아

  • @user-jx3ye1gz6g

    @user-jx3ye1gz6g

    10 ай бұрын

    없습니다.

  • @윤지콩

    @윤지콩

    10 ай бұрын

    @@user-ut9ir3gd4d 인프라는 동네 이장이 합니까??? 인프라는 지자체, 나라에서 하죠!!! 왜 이장, 동네에 돈을 내죠??? 그래서 뭘 발전 시킨다고???

  • @dsd2dsd2

    @dsd2dsd2

    10 ай бұрын

    @@user-ut9ir3gd4d 시골 인프라를 마을이 개발하냐? 발전기금을 왜 마을에 내 ㅋ

  • @user-rs2fu3th7f
    @user-rs2fu3th7f10 ай бұрын

    남들 부르지 마시고 본인 자식 손주들 강제로 부르세요. 자기 자식들은 상경하거나 대도시 가서 돈 잘 벌며 떵떵 사는 것이 좋고, 다른 청년들을 대신 불러다가 무너져가는 공동체 살리려고 하니, 아무도 안 가지 ㅋㅋㅋㅋㅋㅋ. 양심이 진짜; 본인 자식 손주들만 불러도 만 명 이상 회복합니다.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5 ай бұрын

    (맹지 땅 평당 30에 사줄 호구) 젊은이 많이 왔으면 좋겠어~ (내 자식 손주 빼고)

  • @user-yy5md7su1u

    @user-yy5md7su1u

    2 ай бұрын

    @@smithjack3497 맹지는 1만원 미만이라도 다 따져보셔야 됨

  • @user-eh2fh5fb8r

    @user-eh2fh5fb8r

    Ай бұрын

    내 자식부터.. 그말에 공감합니다. 저희 아버지도 더큰데가서 살라고 하십니다.

  • @user-mz8jt2im8b

    @user-mz8jt2im8b

    Ай бұрын

    내말이ㅋㅋ시골사람들 더 못됨

  •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28 күн бұрын

    ​@@smithjack3497ㄹㅇㅋㅋ 님글 보고 빵터짐. 님 덕분에 웃었습니다 ㅎ

  • @MAWA-
    @MAWA-10 ай бұрын

    2:10 집은 아직까지 좋아요~! 도시에서 누가 들어와 살려면 살 수 있어요 ㅋㅋㅋ 이게 개콘이여 다큐여

  • @b.k3756

    @b.k3756

    Ай бұрын

    인테리어만..쫌만하면.. 이런닼ㅋㅋㅋ

  • @user-ok1oo6ev7s

    @user-ok1oo6ev7s

    4 күн бұрын

    인테리어업자도 못한다고 할거에요 ㅋㅋㅋ

  • @Abdullahmabad
    @Abdullahmabad10 ай бұрын

    지역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기때문에 지역 소멸은 문제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user-vq2nc8rl3f
    @user-vq2nc8rl3f10 ай бұрын

    빈집주인과도 연락하기힘들고 막상연락해도 말도안되는 금액을 요구하더라구요...

  • @user-sk2os6ht2w
    @user-sk2os6ht2w10 ай бұрын

    시골인심:내 자식은 도시로 남의 자식은 시골로 국방부/병무청: 부를 땐 국가의 아들, 다치면 느그 아들, 죽으면 누구세요?

  • @user-rn9pe9dj6f

    @user-rn9pe9dj6f

    4 ай бұрын

    ㅋ ㅋ ㅋ 극공감

  • @9rjan

    @9rjan

    3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의 내로남불 사고논리 한국인들의 일관성 부족한 사고논리 (지금도 계속 진행 중... 결코 자각 못 함...! 병역의무에서 형평성을 여전히 못 잡아내는 게 사회보편 수준이니, 일관성 있게 뭘 추진? 요원한 일 ) ... 부모와 사회선배들이 알게모르게 들입다 뿌려대었었던, 이 내리가르침 사고논리에 대한 피드백-답신이 ... 저출산으로 되돌아오는 것. (드러워서 안 한다는 것)

  •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3 ай бұрын

    시골은 왜 인심이 기본 베이스로 있어야하죠?? 대답해 나도 서울토박이이긴 하지만 진짜 아무생각없이 댓글 다는놈들 너무 많네 대답해

  • @user-dk7ng1fv4e

    @user-dk7ng1fv4e

    2 ай бұрын

    ​@@U_can_touch_me그럼 텃세라도 부리지말든가...

  •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Ай бұрын

    ​@@U_can_touch_me 아마 상대방에게 잘해주지는 못해도 최소한 해(돈 뜯어내기, 물건 함부로 가져가기, 공짜로 부려먹기 등)는 끼치지 말아야 한다.... 그런 뜻일 겁니다

  • @nam-mo6pl
    @nam-mo6pl10 ай бұрын

    나이 들고,은퇴 하신분들..그냥 도시에서 계속 사세요..나이들어서 시골가면,불편해서 오래 못삽니다..가끔,자연으로 여행정도가 적당할듯 합니다..

  • @Turn_off

    @Turn_off

    10 ай бұрын

    나이 들면은 가장 중요한것이 병원이 가까우냐 큰 병원이냐 입니다. 쓰러졌을때 구급차가 5분에 오냐 30분에 오냐 1시간만에(이 정도면 그냥 묵념) 오냐는 엄청난 차이죠.

  •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9 ай бұрын

    @@Turn_off 병원있다고 오래 사는것 아닙니다 병원응급실에 한번이라도 실려간 노인은 반이상이 수년안에 사망한다고 하네요 시골 할아버지들이 오래 못사는 이유는 술에 찌들고 움직이지 않아서입니다

  • @Patatano

    @Patatano

    4 ай бұрын

    ​@@user-nh1ks4cz4q 그때 응급실에 못 실려 가면 그 수년조차도 못 살고 죽는데

  •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4 ай бұрын

    @@Patatano 그 수년을 건강하게 살면 다행인데 침대에 누워서 민폐를 끼치면서 연명하는거잖아요 그렇게 살아서 뭐하나요

  • @Patatano

    @Patatano

    4 ай бұрын

    @@user-nh1ks4cz4q 아... 살자는 얘기가 아니고 죽자는 얘기였음? ㅋㅋㅋ

  • @user-wk6ky6mz1t
    @user-wk6ky6mz1t10 ай бұрын

    탐욕의 끝. 농촌이 다 비고나면 자연상태로 돌아가든 개발이 되든 그 때 사람들이 알아서 할 일. 미리 걱정할 필요없다. 이 같은 현상을 미리 알고 지방자치 제도를 도입했지만 아파트투기에 매몰된 국민정서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한 결과 맞이한 최악의 현실이다. 이제 대한민국은 서울과 수도권 그리고 부산과 몇 개의 대도시 중심으로 생활공간이 압축될 것이다. 문제는 일자리다. 다행히 인구도 급감하고 있으니 이도 큰 문제는 아닐 듯. 시대의 흐름을 어찌 막겠는가 ! 모든 게 운명이다.

  • @silverlight1973
    @silverlight197310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이 들어와야 산다고 해놓고 젊은 사람 들어오면 마을 개발비는 뭐니로 온갖 텃세로 쫓아 버리는 현실. 귀농했다가 혀를 차고 나오는 사람들이 한둘이 아니라서.. 젊은 사람이 오기를 원하면 본인들도 외지인들한테 어떻게 하면 벗겨 먹을까 보다는 열린 마음으로 잘 적응할 수 있게 도와야 되는데 귀농해서 도움 받았다는 사람보다는 텃세로 나왔다는 사람이 부지기수니..ㅉ

  • @positivehappyd

    @positivehappyd

    9 ай бұрын

    바뀌는 건 없는데 바라면 안 되죠ㅎ

  • @greenahn8020

    @greenahn8020

    9 ай бұрын

    젋은놈 들어오면 딥타. 잔일거리 도와 달라고 하고.. 하다하다 안도와 주면. 그때부턴.. 읔... 왠수지간..

  • @user-js7ir9wo9f
    @user-js7ir9wo9f10 ай бұрын

    자식들은 다 타지에 있고 직장이란게 없다는 마당에 인구소멸이 어쩌고.. 그런 소리를 하는 이유가? 젊은 사람이 들어와야.. .그럼 자식들부터 불러들이세요.. 다른 젊은 사람 찾기전에 본인 자식들이 먼저와서 자리 잡고 다른 사람들 불러들이는게 더 빠르겠구만

  • @tosoontoto

    @tosoontoto

    10 ай бұрын

    이글 공감...나 아는 사람도 경남 농촌 지역이 고향인데...고향은 돌아갈 생각없음...지 자식들도 안 오는 곳을 남 자식들 오라하고...발전기금목적으로 돈까지 받고?

  • @user-nl8ps3om9t
    @user-nl8ps3om9t10 ай бұрын

    제발 이 따위 감성적 접근으로만 시골 마을의 인구소멸을 이야기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실제로 외지인이 들어오면 저 마을 노인들이 각종 명목으로 돈을 뜯어내며 텃세를 부리고 있지는 않는지... 함께 살펴봐야 한다고 봅니다.

  • @cjw9797

    @cjw9797

    10 ай бұрын

    시골가면 시골인심?? 개소리임 어떻게든 외지인 등처먹고 빼먹으려고 안달남 문방구 슬러쉬 팔길래 가서 한개사먹으니 5천원 달라더라 ㅋㅋㅋ

  • @user-hx5my4rl5s

    @user-hx5my4rl5s

    10 ай бұрын

    내가 하고싶은말 여기서 다하네~ ㅋㅋㅋ

  • @martinasru5577

    @martinasru5577

    10 ай бұрын

    @@cjw9797 원래 외진 곳으로 갈수록 점점 비싸짐.

  • @shs892

    @shs892

    10 ай бұрын

    기본적인건 어느마을이나 다 있지. 마을에 공동경비로 쓰는건 누가 내나요 아파트 관리비 같은거로 접근하면 당연한겁니다. 터무니없는 금액은 무리가 있지만.. 아예 그런거 자체를 부인하면 민가 없는 산속에 가면 딱 맞습니다.

  • @KTLOLSTER_FAN

    @KTLOLSTER_FAN

    10 ай бұрын

    @@shs892마을 공동경비를 왜함?? 파출소 있잖아 ㅋㅋㅋ

  • @kimminung1806
    @kimminung180610 ай бұрын

    저게 아직 살 집이라고 소개할때부터 거름

  • @user-es6hj5gi5k

    @user-es6hj5gi5k

    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수리 조금만 하면된다함 ㅋㅋㅋㅋㅋㅋㅋ

  • @user-ok1oo6ev7s

    @user-ok1oo6ev7s

    4 күн бұрын

    삶의체험 현장이죠ㅋㅋㅋ 여름에 오싹한 잠이 확깨는

  • @user-tq5pl7qs8m
    @user-tq5pl7qs8m10 ай бұрын

    시골도 인근에 직장이 있어야 내려갈수 있는 겁니다(자차 1시간이내)....그리고 인구가 1000명이면 병원, 학교, 마트, 주유소, 식당 등 거의다 문닫습니다....불편한게 한둘이 아니에요~

  • @user-nh8wv7gs2l

    @user-nh8wv7gs2l

    10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들 보면서도 느끼는건 . 영상에 어르신들 시골에 젊은 사람들이 와주어야 한다고 하지만 정작 자식들은 전부 도시로 나가있음 . 본인 자식들은 도시에서 좋은 교육받고 직장가지고 살았음 싶고 . 아무것도 없는 시골엔 별 비전도 없이 젊은사람들이 와줬으면 한다는 말이 .참 보기좋지만은 않음

  • @dabin9528

    @dabin9528

    10 ай бұрын

    @@user-nh8wv7gs2l 전형적 내로남불 인데 저런데 젊은이 귀농했다쳐봐요 얼마나 부려먹겠어요.... 말하는거보면 대충 짐작감

  • @positivehappyd

    @positivehappyd

    9 ай бұрын

    ​@@user-nh8wv7gs2l이중성이 하루이틀이 아니죠ㅎㅎ 이젠 그러려니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5 ай бұрын

    역겹습니다

  • @user-ru3yx3sl1g

    @user-ru3yx3sl1g

    4 ай бұрын

    약먹어,​@@smithjack3497

  • @khkim1182
    @khkim118210 ай бұрын

    소멸위기인데도 땅값은 평당 몇십만원 간다. 웃기는 현상이지

  • @user-of8yw

    @user-of8yw

    10 ай бұрын

    우리동네 300이래 미친다리

  • @user-ok1oo6ev7s

    @user-ok1oo6ev7s

    4 күн бұрын

    조금만 기다리세요 그냥 준다고 가져가라고 할 때가 올겁니다 일본이 그래요ㅋㅋㅋ

  • @Cheolsan_dong_Dove
    @Cheolsan_dong_Dove10 ай бұрын

    시골 마을의 법칙과 관례에 따르지 않으면 소름끼치게 보복 당하는 시골텃세가 두려워서 못삽니다.

  • @user-cd2c85fyujll

    @user-cd2c85fyujll

    Ай бұрын

    합천시골마을도 추가해주소

  • @tvozilap5672
    @tvozilap56722 ай бұрын

    친정 아부지가 80년대 중후반에 직업군인 퇴임 준비 한다고 강원도 정선에 동네랑 좀 떨어진 곳에 허름한 집을 하나 구매 했었는데 (일명 외지인 동네임) 잔금 치루고 나니까 동네 양아치들 떼로 몰려와서 집 산 값만큼 지들한테 내야한다고 내놔라고 행패도 부리고 맞기도 하고 결국. 집값을 두번 치룸요. 경찰 신고도 소용 없음요. 동네 사람들의 자녀들이 경찰이 된거라.... 허름한 집 그거 결국 다 부시고 90년대 중반에 새로 지었음요. 시골 집들은 문제가, 샀다가 되팔려 하면 안 팔림. 도시와 많이 다름요.

  • @user-dt2rr3xd3b
    @user-dt2rr3xd3b10 ай бұрын

    그냥 받아 들이면 됩니다 아쉬워할 필요도 없고 뭘 어떻게 해 본다고 되는것도 아닙니다... 나이들어서 건강하게 편안하게 오래 살면 됩니다 어른들이 사는 동안만 유지될동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농촌도 아주 아주 오래전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고 그냥 자연의 일부였을겁니다 다시 그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겠지요

  • @user-xs9sf1yg6s

    @user-xs9sf1yg6s

    10 ай бұрын

    와우.굉장한 깨달음.

  • @user-ri2gp1vs1d

    @user-ri2gp1vs1d

    10 ай бұрын

    ㅇㅈ

  • @slimeplay3215

    @slimeplay3215

    10 ай бұрын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고 뭐가 문제가 되나요? 왜...흐름에 따라야 지구도 살고 잠시 사는 인간도 남은기간 더 살아가고... 왜 "자연"스러운건지 생각해보자구요

  • @user-to1uh6wu1i

    @user-to1uh6wu1i

    10 ай бұрын

    합격

  • @dabin9528

    @dabin9528

    10 ай бұрын

    저사람들이 아쉬운건 자기 마을이 지키기위해서가 아님니다 힘쓸 젊은 노예가필요해서임..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와야 어케 땅값 한푼이라도 더 비싸게 팔수도있고 ....그런거죠...

  • @juelmer334
    @juelmer33410 ай бұрын

    고쳐살려면 비용 만만치않아요. 고쳐 살만하면 집 내어 놓으라하는일이 많습니다.동네분들과의 관계도 잘 살펴봐야합니다.

  • @dabin9528

    @dabin9528

    10 ай бұрын

    잘아시네요....이런건 정부가 개입해서 뭐 고쳐사는대신 20년 무상 이런식으로 조율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함

  • @laurenkylian9974
    @laurenkylian997410 ай бұрын

    한정된 자원과 발전 속도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인구가 천년만년 늘어나기만 할 수는 없음. 인구를 늘릴게 아니라 충격 없이 감소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고민해야 함...

  • @user-cw1du1he1w
    @user-cw1du1he1w10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으로 혹여나 발전된다고 하면 눈빛이 달라지고 저 허름한 집들이 수억식 하는 인간의 치욕스런 민낯을 보게됨.

  • @positivehappyd

    @positivehappyd

    9 ай бұрын

    항상 그래왓죠

  • @user-tk6wl3ri5f
    @user-tk6wl3ri5f10 ай бұрын

    사람이 떠나는데는 이유가 있는 법

  • @user-ly9up1im4l
    @user-ly9up1im4l10 ай бұрын

    시골에서 살고 싶어도 빈집이 너무 비싸요.. 대부분 자녀들이 얼마 안되는 돈이라고 해서 팔지도 않고 .. 비싸게 팔 궁리만 하니.. 점점 빈집이 늘 수 밖에..

  • @CrownChocoHeim

    @CrownChocoHeim

    10 ай бұрын

    영상 보면서 그생각밖에 안듬 ㅋㅋㅋㅋㅋ 비싸게 내놓아서 안팔리면 싸게 팔아서 정리를 해야하는데 절대 그렇게 안하죠ㅋㅋㅋ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9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 시골 농토도 비싸요....농사도 안지으면서도 오르기 바라고 인팜.

  • @user-td2ks3bf3e
    @user-td2ks3bf3e10 ай бұрын

    선진국처럼 빈집세 도입하면 다 정리된다 아무도 안살고 땅값내려가면 다시 개발한다

  • @user-qz1pd2ml8p
    @user-qz1pd2ml8p10 ай бұрын

    정착하려고 알아보면 폐가 터도 비싸고, 텃세에 마을 발전비 내라고 협박해서.. 그 스트레스 안받으려면 그냥 도시사는게 좋죠. 지자체에서 텃세나 마을 발전기금 징수하는거 막지도 않고 동도하니..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9 ай бұрын

    마을발전기금 지자체가 내야하는거...... 그걸 왜 이주 주민한테 받는지..?

  • @younsikchung26
    @younsikchung2610 ай бұрын

    다쓰러져서 고쳐쓰지도 못할 집을 비싸게 받아먹으려고 하고 시골에 텃새 때문에 겁나서 못가요. 다 돌아가시고 빈동네 되면 그때 가 볼께요.

  • @user-uf6js8hq5v
    @user-uf6js8hq5v10 ай бұрын

    어른신들 본인들 자식도 다 도시나가서 살면서.... 어느 젊은사람들어와서 마을 이어서 살리라하십니까~~~ 그저 현실을 받아들여야지요 그렇게 아쉬우시면 본인 자녀 부르셔야죠뭐...

  • @user-go7co6ho9i
    @user-go7co6ho9i9 ай бұрын

    강원도 산골마을에서 살아본 경험자입장에서 간단히 요약하자면 교육문화시설없고 교통불편하고집값땅값 비싸서 인구소멸되는것 절대 아니예요 한번 살아보세요,치가 떨리는 경험을 하시게 될겁니다 외국에서도 이렇게는 차별하지않아요

  • @kwangheekang9549
    @kwangheekang954910 ай бұрын

    자연스런 현상이다. 받아들여야 한다.

  • @user-pt9ow9no1c
    @user-pt9ow9no1c10 ай бұрын

    코로나로 인해서 한2년정도 작은시골에서 주말에왔다갔다 하면서 한번살아봤어요~둘이서 맞벌이하기때문에 이자부담하면서조금살아봤는데 나이젊은사람왔다고 좋아하시면서 마을일 동네어른들수시로 연락오고 간섭합니다이해는 히지만너무부담스럽고 술먹자고 같이밥먹자고 약속이있어서 안가면엄청눈치주고 간섭너무많이합니다

  • @jerrygo00

    @jerrygo00

    10 ай бұрын

    젊은 기운 쪽쪽 흡수하면 엔돌핀 돌고 좋지...늙은 기운하고는 느낌이 다릉께

  • @yohanna2281

    @yohanna2281

    10 ай бұрын

    저는 시골에서 고등학교까지 살다가 도시로 나왔네요. 동네에서 감놔라 배놔라 이집은 어쩌고 저집은 어쩌고 말들이 많아서 그게 싫어서 나와버렸네요. 적당한 관심은 좋은데 항상 넘치는 관심이 부담스러워서 젊은 사람들이 살기에는 시골은 늘 부담스러울듯 합니다.

  • @user-iz8nj5vw4m

    @user-iz8nj5vw4m

    10 ай бұрын

    간섭하려면 돈주고 부려먹어라 노인네들아...

  • @user-tb7vv6oq8p

    @user-tb7vv6oq8p

    4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들 가면 그냥 이웃으로 보는게 아니라 . 자기들 도와주는 젊은인력+ 자식이나 손자노릇하면서 뒤치닥거리 해줄 사람으로 보는게 큰 문제.

  • @grimmfill
    @grimmfill10 ай бұрын

    소멸할 곳은 소멸해도 됩니다. 사람이 없으면 자연이 번성하는 곳이 되겠죠. 어차피 다시 살만한 이유가 생기면 인구가 유입되고 다시 활성화됩니다.

  • @user-vt6bi4zv4q

    @user-vt6bi4zv4q

    10 ай бұрын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할 게 아님. 시골 문제 중에 특히 빈집 문제도 있는데 집주인 자녀들이 안 팜. 마을에 이렇게 빈집들이 늘어나면 미관상 좋지도 않을 뿐더러 탈선장소로도 사용돼서 문제임. 사람들 다 사라지면 알아서 팔겠지 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은 안 일어남. 내가 살던 옛날 집도 사람 아무도 안 사는데 그냥 빈집임. 그런 집이 우리 앞에도, 그 앞에도 있음... 노인들이 자꾸 돌아가시니 이런 집들이 계속 늘고 귀촌하려는 이들도 돈이 많지 않은 이상 땅값이 비싸서 헌집을 사서 리모델링해서 들어가야 하는데 언급한 문제로 쉽지 않은 상황임.

  • @rororokiki8620

    @rororokiki8620

    10 ай бұрын

    ​@@user-vt6bi4zv4q안파는게 문제냐?? 일자리랑 인프라 없는게 문제지 문제의 전후파악을 못하시네 저런 깡촌시골도 그럴일없겠지만 대기업 공장이나 공기업같은거 생기면 금방활성화됨

  • @CrownChocoHeim

    @CrownChocoHeim

    10 ай бұрын

    @@rororokiki8620 관리도 안된 빈집이고 깡촌인데 비싼것도 한몫해요 ㅋㅋㅋ 관리도 안된 빈집이 1억5천, 2억하고 사이즈 좀 크다 싶으면 3억씩 받으려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리모델링도 할거 생각하면 미쳤다고 누가 갑니까?ㅋㅋㅋ 차라리 그돈으로 수도권에서 작은평수 사서 살지 ㅋㅋㅋ

  • @LeeJoon-vj4oj

    @LeeJoon-vj4oj

    10 ай бұрын

    ​@@rororokiki8620 제 지인이 인프라 괜찮은, 차만 있다면 꽤 살만한? 지방 군단위 외곽 지역에 땅 보러 갔는데 이미 지역주민들이 돈 될만하겠구나 싶어서 안 팔더랍니다. 오늘 내일 하는 분들도 집이고 땅이고 안 팔고 혹여나 판다는 사람 나오면 터무니 없는 가격을 부르고 ㅋㅋㅋㅋㅋㅋㅋ 저 윗분이 하는 얘기도 아마 비슷한 이유일 거에요. 자식들이 어차피 지금 당장 팔면 돈도 안 되는 거 혹시 모르니 묵혀두느라 안 파는 거...

  • @user-vp6hl9yk3m

    @user-vp6hl9yk3m

    10 ай бұрын

    ​@@rororokiki8620 어. 안 가

  • @user-bu7hh8lh7d
    @user-bu7hh8lh7d10 ай бұрын

    정작 본인들의 자식들이 내려와서 고향지키는건 싫어하심...내자식은 서울에 살거나 수도권에 살야하함...ㅎㅎ

  • @jeffrey0208
    @jeffrey020827 күн бұрын

    자연스러운 현상이군요😮

  • @wtf6914
    @wtf691410 ай бұрын

    멀쩡한 집도 드물고 교통 인프라까지 답이 없는데 그 집이 마을 중심부, 아니면 마을회관 근처인 경우가 많음 도시 사람들은 100% 못 견디지 그런 환경..

  • @hfuajkgwschychy891
    @hfuajkgwschychy89110 ай бұрын

    인터뷰는 저래하고 왜 막상 귀촌가는분들 귀롭히는거임? 돈뜯고 일시키고 아주 ㅋㅋ

  • @dalB111
    @dalB11110 ай бұрын

    영주 풍기와 같이 인견,인삼같은 지역특산물이 없는지역은 필연적인 상황이 아닐까..

  • @Derek_TK
    @Derek_TK10 ай бұрын

    노인들은 떠나니 젊은사람이 들어와야 마을이 살지 ? : 어르신 자제분들은 어디 사세요? 직장 없으니 다 서울 나가 살지. 애 교육때문이라는데 어쩔수 있나. 자기 자식은 어쩔수없이 서울 나가도 되고, 남의 자식은 들어와서 살아야 마을이 살고 ㅋㅋㅋㅋㅋㅋ

  • @nomad4607
    @nomad460710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은 바보가 아니다 젊은 사람이 시골가면 동네 머슴 되는게 현실이다 미디어에서 아무리 눈가리고 아웅 해봤자 속아 넘어갈 젊은 사람 없다

  • @J.M.M.J
    @J.M.M.J10 ай бұрын

    소멸은 망하는 개념이 아니라 리셋 기회로 봐야 한다. (인식과 제도 준비할 시기)

  • @user-iq8ev1vo9y

    @user-iq8ev1vo9y

    10 ай бұрын

    시골엔 난독과 개소리병을 고쳐주는 큰 병원 부터 없어짐 ..

  • @user-qp7gj4lk8f
    @user-qp7gj4lk8f10 ай бұрын

    자기 자식들은 도시로 보냇다면서 젊은 사람들이 내려와 살아야 한다는 노인내들.......

  • @user-eq1fz9zz1r

    @user-eq1fz9zz1r

    10 ай бұрын

    내자식은 안되고~ 남의 자식은 오기를 바라고~ 왜이리 이기적인건지....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10 ай бұрын

    산으로가야되

  • @CandyEunbi

    @CandyEunbi

    10 ай бұрын

    ???: 요즘 젊은것들은 이런일 안해. ㅡ 내 아들은 서울서 ㅅㅅㅅㅅㅅㅅ

  • @dabin9528

    @dabin9528

    10 ай бұрын

    진짜 보는내내 너무 역겹네요....시골늙은이들이 더 무서움

  • @user-vk5cb3ok2w

    @user-vk5cb3ok2w

    10 ай бұрын

    당연한 이치를 가지고 새삼 스럽게 왈가뷸가 해본들 답이 있냐고?.. 기존 나이드신 양반들 ... 고정관념 버리고 쾌쾌묵은 고리타분한 생각들 버려야 합니다.. 세상이 많이 변했어요

  • @LZkiEuFkw527hKOl9uiD7A
    @LZkiEuFkw527hKOl9uiD7A5 ай бұрын

    살기 어려워 사람이 나간다 -> 정상 살기 어려운데 사람을 억지로 보낸다 -> 비정상

  • @jasonkim8647
    @jasonkim86473 ай бұрын

    제가 옛날에 탄광촌 살았는데, 개가 돈물고 다니는 것 못봤습니다. 그때도 열악했고 정말 살기 힘든 곳이었어요.

  • @user-id8nt7gp6d

    @user-id8nt7gp6d

    25 күн бұрын

    그만큼 풍족했단얘기지 진짜 개가 돈물고 다녔을까 ㅎㅎㅎ

  • @user-iq4xs6yh1k
    @user-iq4xs6yh1k10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팔지도 않는다... 귀촌하면 발전기금 내라 하고 안내면 텃세부리고 마을에서 못살게 하고... 그러니 누가 가서 사냐? 빌려서 사느라 고쳐 놓으면 나가라 하고....

  • @LEEkyouho
    @LEEkyouho10 ай бұрын

    부산에도 폐가가 쌓여가는데 더 촌으로가면 뭐... 말해봐야 입만 아프죠. 사람이 거주하려면 결국 일자리가 있어야하는데 서울,수도권 벗어나서 다른데 이전하는게 관습헌법에 위배된다고 헌재판결이 나버렸으니. 방법이 없죠. 전국을 서울시로 통합해서 이전하지않는 이상...

  • @user-fy5jf2yh3d
    @user-fy5jf2yh3d10 ай бұрын

    시골은 가지않는게 좋아요 괴롭힘 대상이 될수 있어요

  • @user-wc9oj9cj8m
    @user-wc9oj9cj8m7 ай бұрын

    가서 살고 싶어도 댓글이 현실임 살인사건나면 엄한 사람 한명 범인 만드는거 일도 아니라는데 여러모로 가고 싶어도 걱정.. 차라리 관광객 많고 젊은 이주민 많은 제주도가 괜찮을지도

  • @user-tf1cz8tz8j
    @user-tf1cz8tz8j10 ай бұрын

    인구가 늘어나거나 유지되면서 지방이 소멸하면, 지방에 재정을 투입해서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겠지만,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판에 각 지자체에 돈을 써봐야 제로섬 게임에 돈만 날리고 효과는 없는 것 아닐까요? 비도시 지역의 어느정도 소멸은 감수해야 하고,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 각 지방에 거점 대도시를 육성한다던가..... 이정도가 최선일 듯.

  • @user-yp3iv1nl8p

    @user-yp3iv1nl8p

    10 ай бұрын

    킹정

  • @sck2713

    @sck2713

    10 ай бұрын

    소멸이 기정사실이면 과감히 정리 및 이주 정책을 시행하고 행정통합을 진행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operation-skuld

    @operation-skuld

    10 ай бұрын

    안됩니다. 노력없이 돈빼먹을 수 있는 균형발전이라는 아주 좋은 명분이 있는데 그걸 포기할 수 있나요? 30년은 빨아먹을 수 있는 명분을 님이라면 놓을 수 있나요 ㅋ

  • @user-bj6co4me9q

    @user-bj6co4me9q

    10 ай бұрын

    서울도 소멸중입니다 6학년 1학년 입학사진 보면 피부로 와 닿음요

  • @user-bj6co4me9q

    @user-bj6co4me9q

    10 ай бұрын

    농촌에 사는데 학비걱정은 왜 해요

  • @smcho7383
    @smcho738310 ай бұрын

    시골에 물려받은 땅 있지만 비싸게만 팔려고 내놓고 안팔리면 방치 함 이것이 현실

  • @kwakjh9495
    @kwakjh949510 ай бұрын

    아는 지인이 군위에 좋은 땅 있다고 사라고 시장도 있고 사람도 많이 다닌다고 하더니 결국 자기는 대구에서 장사나 하고 있고 웃기다 증말 ~ㅋㅋ

  • @user-eq9qy7km8t
    @user-eq9qy7km8t9 ай бұрын

    씨족촌 외지인 왕따 당하고 시골 텃세. 제가 현재 시골 텃밭에 농사짓는 도시농부입니다. 산으로 가는 포장도로가 좁아서 확장을 할려고 7년 동안 노력해도 안해주네요. 땅값을 준다고해도 수십배 땅값을 요구. 수십배 땅값을 준다고해도 들어주기 어려운 조건을 땅주인이 요구하는 별의별 조건을 들어줘야해요

  • @user-tk7ne6fg5n
    @user-tk7ne6fg5n10 ай бұрын

    들어갈 사람이없는것 보다 어이없는 가격에 못들어갑니다 텃세는덤이요

  • @user-us7wu7mq3s
    @user-us7wu7mq3s10 ай бұрын

    그냥 빈집세나 우선 물려요... 빈집도 철거하지 못하게 내비두고 있는데요. 그리고 저런 노인분들만 있는곳에 가면 좀 젋은 사람이 왔다고 엄청 부려 먹어요....

  • @pdh830718
    @pdh8307189 ай бұрын

    시골에 사람들이 왜 안가는데.. 인프라가 부족해서? 진짜 이유는 발전기금을 강제로 내라고 해서야. 그래..마을에 살게 해주는 세금이라고 생각하고 낼 수 있다 치자고.. 근데 돈만 내는게 아니라 때마다 고기 잔치 해줘야 하고 마을 행사때마다 돈 내라고 하고 이럴꺼면 도시에 살지 머하러 불편한 시골가서 사냐?

  • @user-te3qj5vh6k
    @user-te3qj5vh6k10 ай бұрын

    이 시대에 고향이, 아쉬움이 젊은이들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 @user-ew7ud1yl8q
    @user-ew7ud1yl8q10 ай бұрын

    빈집이 있다고 현장에 가보면 말도 안되는 가격을 제시하고 있고 그러다 매수하려는 사람들은 발길을 돌리는 현실. ,,,,,,

  • @CandyEunbi
    @CandyEunbi10 ай бұрын

    어르신들 아들 딸 손자 손녀보고 귀촌해서 농사 짓고 살라고 하세요. 본인 아들 딸 손자 손녀 사위 며느리가 농촌서 살면 텃새도 없고 참 좋겠네요. 아들 딸 손자 손녀 사위 며느리를 다 서울 보내니 사람이 없죠.

  • @user-wz2il8kn2j

    @user-wz2il8kn2j

    20 күн бұрын

    아주 공감 저딴 집성촌 같 다간 신세조진다 그냥 없어 지는게 자연스럽다

  • @noface7556
    @noface755610 ай бұрын

    군위군이 공항 받는대신 대구 편입된다고 뭐라 하는 사람들에게 이 다큐를 보여주고 싶다.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아예 없어지게 생겼는데.

  • @79and84

    @79and84

    4 ай бұрын

    대구편입되면 인구 들어난대?

  • @user-qp3up6xt3d

    @user-qp3up6xt3d

    3 ай бұрын

    바보냐? 대구 편입된다고 누가 이사가?ㅋㅋㅋ

  • @minskim9529
    @minskim95295 ай бұрын

    시작에 나오는 집성촌은 들어가면 지옥입니다. 그리고 소멸할 곳은 소멸해야 합니다. 그래도 불편함을 감수하고 이사하려는 외지인을 반기지 않는데 들어오지 않습니다.

  • @user-ow6lc7ve3c
    @user-ow6lc7ve3c10 ай бұрын

    차라리 인구가 완전히 소멸해야 텃새 없이 클린한 시골로 귀농이 가능해지니 좋을 것 같다.

  • @user-to1uh6wu1i

    @user-to1uh6wu1i

    10 ай бұрын

    농사가 미래엔 블루오션

  • @jini7118

    @jini7118

    10 ай бұрын

    가고 싶어도 텃세에 시댁 식구들 하다하나 친정식구들 친구들도 따라 와서 무슨 지들 뭐 와서 힐링 하고 밥해주고 챙겨주는걸로 당연하게 여겨서도 못가는데

  • @user-uk8rp3ih8v

    @user-uk8rp3ih8v

    10 ай бұрын

    좀 머리가 있으면 생각좀 하자? ㅇㅇ 완전 소멸하면 그냥 망하지 ㅇㅇ 병원 같은곳은 다시는 못생김 ㅇㅇ 글고 너 좋아하는 치킨도못먹어 ! 머 게임처럼 리셋 될줄아니? ㅋㅋ 제발 머리가 있으면 생각좀 ㅇㅇ 황무지에 어떤 제정신인 사람이 가서 살겟냐 ㅇㅇ

  • @user-sk7wt5mh2p

    @user-sk7wt5mh2p

    10 ай бұрын

    ​@@user-uk8rp3ih8v 시골로 못 들어가는 이유는 1. 먹고 살게 없음. 2. 먹고 살게 농사 밖에 없는데 땅값이 비쌈. -> 마을이 소멸하면 땅 값이 확 떨어짐. 농사 지을 외부인 유입이 가능해짐. 소멸하고 다시 시작하는게 맞음.

  • @user-iy4cn9ki6h

    @user-iy4cn9ki6h

    10 ай бұрын

    자연인은원래 혼자다...시골가서 자연인하면된다

  • @chpark4473
    @chpark447310 ай бұрын

    지금 시골들...재개발 난개발이 어우러지면서 고향의 추억은 싸그리 다 날려버려서 거의 보기에도 안좋아서 정나미가 떨어져서...친지들 다 돌아가시고 해서 갈생각은 전혀 없네요. 그래서 고향도 의미가 없고 지금 살고있는곳이 고향인듯해요

  • @user-xq5nu7vh6r
    @user-xq5nu7vh6r9 ай бұрын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변화를 어찌할까요? 마을도 자연의 섭리를 따르는 것은 아닐까요? 마땅한 방법이 없으니 그저 바라만 보는 이의 마음도 안타깝기 그지 없네요. 군위는 제 고향입니다!

  • @user-ve6nl1gx1v
    @user-ve6nl1gx1v10 ай бұрын

    오늘보다 더 좋은 내일을 위해 열심히 뛰어야 사는 세상인 걸 어찌합니까? 자식낳아 기르면서 뒤지지 않는 삶을 살면서, 노후준비 하면서... 결코 만만치 않은 삶입니다. 시골에선 그런 여건이 되질 않으니 어떤 젊은이들이 남아있겠습니까?

  • @foolishman2586
    @foolishman258610 ай бұрын

    지방소멸은 막을수 없는 흐름인거 같음 일본이 우리의 10년 미래 라는데.... 일본의 지자체 또한 각종 인구유입정책을 펼치다 옆 지자체 에서 인구 빼오기만 되고 비용지출 대비 효율이 안나와 도저히 안되니까 이렇다가 지자체 파산을 앞당겨 소멸이 빨라지겠다 싶어서 그냥 예정된 소멸을 받아들이기로 하고 예산절약으로 방향을 바꿨죠

  • @TtucktakUncle
    @TtucktakUncle10 ай бұрын

    아재,형님들 쭉 모여사는 집성촌은 정말 가지마세요. 텃새 죽여줍니다.

  • @user-ot8cg1kf4n

    @user-ot8cg1kf4n

    10 ай бұрын

    다 간섭하고 텃세부려 징글징글하겠죠

  • @cosmos9647

    @cosmos9647

    10 ай бұрын

    집성촌은 무조건 패스!

  • @user-hb2ko9ms7w

    @user-hb2ko9ms7w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집성촌은 외지인이 살아갈수가 없어요. 정말 피해야 할 곳!

  • @mr-jy8mc
    @mr-jy8mc10 ай бұрын

    동네 분위기땜에 시골가기 힘들어요.떠나는데 다 이유가 있어요.

  • @user-uw2uv7gv8u
    @user-uw2uv7gv8u9 ай бұрын

    빈집 무상임대(신분보장된 사람들에게만) 해서 좀 고치면서 살게 하고 땅도 남는거 무상임대 해줄수있게 군에서 좀 움직여줬으면 좋겠네요. 관리안돼서 폐허가 된다면 관리 하면서 활용해줄 누군가를 찾으면되죠.. 무상임대라면 그렇게 하실분 많아요

  • @jsdewer6021

    @jsdewer6021

    5 ай бұрын

    사는건 해결을 해도 일자리가 없음

  • @kimchulho12
    @kimchulho1210 ай бұрын

    6년전에 귀농했지만 마을발전기금 50만원 냈음. 마을공동재산이 2억이상 되기때문에 당연히 내야한다고 생각했음.우리 마을어른들 너무 좋고 잘해주시는데 해마다 돌아가시는분 늘어서 마음이 아픕니다.

  • @KS-io9rj

    @KS-io9rj

    10 ай бұрын

    좋은 마을로 가셨군요. 저는 20년차 귀촌인 입니다. 우리마을은 마을적립기금을 가구수로 나눈 금액을 발전기금(주민회 가입비)으로 정하는데 절대 강요하지 않습니다 이주민에게 할 수있는 최대한의 편리를 제공하려 합니다만. 시골사람들 무시하며 역텃세를 부리는 경우도 생기더군요..

  •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10 ай бұрын

    50만 거저 아닌가.. 최소 500은 내셔야지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10 ай бұрын

    내가 이장이 아니라서 아니 물어본 적도 없지만 난 토박이라 모르지만...발전기금 거둔 다는 이야기는 없었음.우리마을 ㅎㅖ자인가?

  • @user-ly9up1im4l

    @user-ly9up1im4l

    10 ай бұрын

    우리 동네는 10만원... ^ ^ 내기 싫은 사람은 않내도 되는데.. 그건 되려 손해.. ㅋㅋ

  • @user-qn1mi9ew6o

    @user-qn1mi9ew6o

    10 ай бұрын

    @@user-rn1mu6oc4o 돈이 넘쳐나는거도 아니고 지방이면 일자리도 많지 않은데 500이 뭐 어디서 땅파면 나옴? 재정신인가.. 덕분에 지방에 사람이 더 정착을 안함.

  • @user-vu2zg7tb4c
    @user-vu2zg7tb4c10 ай бұрын

    사실상 소멸이지. 그리고 진짜 1-2집만 남고 완전소멸이 되고나면 그때부터 오히려 사람이 간간히 모일 수도 있다고 본다. 지금 저렇게 어중간하게 커뮤니티 형성되어서 버티고있는데, 시골 텃세의 주범이 바로 커뮤니티임. 커뮤니티가 개작살나서 완전 소멸직전까지 가서 개박살이 나야함

  • @user-nx4gs4fm8s
    @user-nx4gs4fm8s10 ай бұрын

    얼마나 갑질과 이간질이 심했으면 사람들이 다 떠나버렸나..

  • @user-pr4mu5hm8t
    @user-pr4mu5hm8t10 ай бұрын

    타지 사람들이 들어가기엔 집값이 넘 비싸요. 그 타지 사람이 살다가 나중에 팔려면 집이 안팔릴텐데 누가 비싸게 시골집 사서 리모델링 비싸게 할까요. 웬만한 용기 없으면 못가서 사는게 시골..

  • @allah-world
    @allah-world10 ай бұрын

    시골 내려가서 살려면 이장이 달려와서 제일 먼저 하는 말이 "마을 발전기금 몇천만원 내셔야 합니다." 그리고 도를 넘는 텃세와 간섭 그리고 뒷담화...

  • @user-ri2gp1vs1d

    @user-ri2gp1vs1d

    10 ай бұрын

    ㅆㅇㅈ

  • @jini7118

    @jini7118

    10 ай бұрын

    미쳤군요 몇천만원 벌어나 봤냐고 ㅠㅠ억을 벌어도 몇천만원 이익이 남을수도 없는 돈인데 10년뒤면 다들 세상 떠고 아랫대 자식들 한 10년 왔다갔다 하다가 들어갈수밖에 없는 현실 ㅠㅠ

  • @user-ye6gb2xp4p

    @user-ye6gb2xp4p

    10 ай бұрын

    이장 전부 사살이 답.

  • @user-tb9hm6vs4c

    @user-tb9hm6vs4c

    10 ай бұрын

    이러니 발전이 됩니까. 귀촌하면 반겨줘야지

  • @jslim154

    @jslim154

    10 ай бұрын

    시골 사람들이 무지해서 그래요 수십년전엔 시골은 순박했지만 지금은 도시는 질서와 매너가 있지만 시골은 막무가내입니다 무식의 소치

  • @user-kj4qf6em3o
    @user-kj4qf6em3o10 ай бұрын

    어쩔 수가 없는 현상임. 답은 대도시에 다 붙여버리는 대통합밖에 없음. 막말로 EBS 다큐에서 나오신 분들 저기 가서 농사지으면서 다큐 찍으라고 하면 할거에요? 절대 안할겁니다. 왜요? 인프라가 없으니까. 심심하니까. 그게 현실이에요. 이게 잘못된게 아닙니다. 이것도 하나의 순리이고, 준비를 해야합니다. 지방소멸 위기에서 우리는 어떻게 나아가는 것이 옳을까. 그리고 이건 정말 미안한 이야기인데, 우리나라 농업도 경쟁력이 사실상 없어요.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5 ай бұрын

    (맹지 땅 평당 30에 사줄 호구) 젊은이 많이 왔으면 좋겠어~ (내 자식 손주 빼고)

  • @user-mv3jh3em1f
    @user-mv3jh3em1f10 ай бұрын

    진짜 좀 쓸만한 시골 빈집 너무 비싸다. 그러니 사람들이 어찌 시골로 들어가나 쯧…

  • @kim-cu9px
    @kim-cu9px10 ай бұрын

    나이먹은사람들 돈줄게아니라 젊은사람들 지원을 더해줘라 요즘 애들이없다 진짜

  • @hrs1458
    @hrs145810 ай бұрын

    좀 안된 얘기지만 이제는 지방소멸을 막으려 할 게 아니라 받아들여야 한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중심으로 모여살고 지방은 농사지을 사람들만 살면 된다. 그게 환경적 측면에서는 더 낫다. 인간이 사방에 퍼져살면 지구환경만 더 망가질 뿐이다.

  • @kopo3848

    @kopo3848

    9 ай бұрын

    서울이랑 대도시도 소멸되야함 ㅋㅋㅋㅋ 아무것도 남으면 안된다 ㅋㅋㅋ

  • @colt7057

    @colt7057

    9 ай бұрын

    동감! 대도시 위주로 사람 살고 나머진 자연으로 돌려주는게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함

  • @kopo3848

    @kopo3848

    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구지 없어도 된다 그냥 이대로 아마존을 만들자 ㅇㅇㅇ 환경에 도움되게 할꺼면 다돌려줘야지 왜 조금만돌려주노 통째로 돌려줘야지

  • @a01022997074

    @a01022997074

    8 ай бұрын

    댓글들 꼬라지들이나 그게 현명한 수준인지

  • @user-nq5my1xy3b
    @user-nq5my1xy3b8 ай бұрын

    95세 노인분한테 "힘들지 않으세요?"가 좋은 말이라 생각하나? 마치 누워서 죽을 날만 기다리라는 듯...차라리 "정정하시내요."가 낫다.

  • @hwangvalentines8824
    @hwangvalentines88249 ай бұрын

    아..어렴풋한 기억이 떠오르네요.. 초등학교 때 고체왁스 뿌려가며 교실 마루바닥 닦던 생각나네..

  • @gomae7299

    @gomae7299

    5 ай бұрын

    저는 콩기름으로 교실 마루바닥을 닦았는데,...

  • @kcc8887

    @kcc8887

    4 ай бұрын

    저희는 교실바닥을 촛칠을해서 걸례로 닦았습니다

  • @user-yx4yp3vo2f
    @user-yx4yp3vo2f10 ай бұрын

    내 자식은 돈벌러, 공부하러 도시로~ 남의 자식은 정 넘처나는 시골로 오세요~ 이것저것 챙겨주고 이웃의 정을 드립니다~ 하면서 발전기금에다 잡일에다 간섭, 참견, 텃세.... 차라리 외지인들끼리 모여서 만들어진 전원주택촌이 훨씬 낫습니다.

  • @user-fn8qu1hw5l
    @user-fn8qu1hw5l10 ай бұрын

    시골가서 살생각아예접으세요 노령화될수록 도시에 살아야합니다

  • @martinblair2770
    @martinblair27709 ай бұрын

    평화로운..한적하고 조용한 ...

  • @user-xh1du4vw6n
    @user-xh1du4vw6n3 күн бұрын

    어제 군산 대명동 갔다 왔는데, 시골이 아니라 도시란 느낌은 나는데, 애기들 울음소리나, 아이들 뛰어노는 소리는 관심을 가지고 봤는데도 전혀 볼수가 없었슴. ㅠ.ㅠ 심지어 옆에 초등학교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형제들끼리 형님 생일을 맞아서 명륜진사갈비에 가서 한잔 했는데, 거기서 꼬마 하나 봄. 아이가 고기보단 떡볶이에 주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면서 귀여웠슴.(동남아 계열의 한국아이로 보였슴-엄마가 동남아인, 아빠가 한국인) 예전엔, 순수 토종아이만 귀여웠는데, 이제는 그런거 없슴. 아이이면 다 귀여움. ㅠ.ㅠ

  • @bizquality
    @bizquality10 ай бұрын

    80년대 이후 출생(현 40대 중반)은 압도적으로 도시 출신이 많다. 90년대 이후 출생(현 30대 중반)은 압도적으로 대도시 출신이 많다. 00년 이후 출생(현 20대 중반)은 압도적으로 수도권 출신이 많다. 이제 '고향' 이라 하면 도시를 말하는 것이다.

  • @user-jf3xy8cb4f

    @user-jf3xy8cb4f

    10 ай бұрын

    씹인정

  • @jaglns2182
    @jaglns218210 ай бұрын

    소멸되지 않고 발전했으면 좋겠다면 시골 텃세랑 발전기금만이라도 스스로 고쳐라. 시골인심은 방송국이 만들어낸 허상이고 실제로 서울에서 몇십분 지역도 발전기금을 내야 한다고 해서 기겁을 했다. 도시가 싫어 시골로 가서 치를 떨고 돌아오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고 그런 사람들이 알려준 얘기가 얼마나 많은데 그렇다고 경찰 불러도 소용도 없고..

  • @user-sm7dp1fh4s
    @user-sm7dp1fh4s9 ай бұрын

    가슴이 먹먹해지네요...우리어렸을때는. 어딜가도 아이들웃는소리로 넘쳐났는데 도시가발전할수록 인구수는 감소하는거같네요...

  • @user-ue5nf5rj4v
    @user-ue5nf5rj4v10 ай бұрын

    거 이장님 님 자식들들어와서 살라고해봐요^^ 집도 멀쩡하고 공짜땅에 붙여먹으면좋겠네~

  • @user-cq5qi3ju9j
    @user-cq5qi3ju9j10 ай бұрын

    귀농을 못하는이유가 대부분 복지문제보다는 텃세때문이라던데

  • @user-qm9ow2qg2f
    @user-qm9ow2qg2f9 ай бұрын

    효자이십니다

  • @gungondaenait
    @gungondaenait9 ай бұрын

    부동산의.탐욕덕이다 이지경이된건 욕망은 아쩔수가없어요 시간이지나서 갈아엎어질거에요

  • @user-vj3rl3xp3j
    @user-vj3rl3xp3j10 ай бұрын

    대구 편입으로 과연 주거 목적으로 사려면 웃음만 나오는게 촌 땅값의 현실입니다 군위 보다 더먼 의성 봉화 땅값도 최근 청정 지역이라는 명목하에 땅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덩달아 마을 텃세도 무시 못하죠

  • @jonghyunkim1485

    @jonghyunkim1485

    10 ай бұрын

    저가 군위군에서 중앙고속도로 딱고 했답니다4년있다가 지금 미국에 살고 있지요////

  • @user-yk2hi9ko3x

    @user-yk2hi9ko3x

    10 ай бұрын

    봉화가 땅값이 올랐다구요? 거기 청량산 근처로요 근데 땅값은 올랐는데 거래가 안 되는 건 아닌가요?

  • @user-xm5eb6kc7d

    @user-xm5eb6kc7d

    10 ай бұрын

    ​@@user-yk2hi9ko3x오르긴 멀 올라요 올랐으면 내땅좀 사주지.. 5만원하는게 천지구만

  • @ttkk9040

    @ttkk9040

    10 ай бұрын

    자식들은 서울 살면서 담에 재개발 은퇴후 생활등을 이유로 놀리면서 땅값은 매년 올라가죠.

  • @ttkk9040

    @ttkk9040

    10 ай бұрын

    ​@@user-xm5eb6kc7d올랐으면 님땅왜사줌 내려야 사주지.

  • @user-zk3kh5l777
    @user-zk3kh5l7779 ай бұрын

    10년만 더 있어서 토박이 없어지면 , 이제 새로운 사람이 살수 있겠네

  • @kylejin836
    @kylejin83610 ай бұрын

    시골출신으로 보면 자꾸 돈돈 하는데 내가 치를떨고 해외까지 뛰쳐나와서 사는데는 우리 아부지 40대 50대 되셔도 마을에서 젊다고 힘 쓰는 일 잇으면 하루가 멀다 하고 불러내서 일 시켜먹고 추수 시즌에도 자기들 힘들다고 도와달라 하고 돈은 당연히 안주지 마을 일이니까 논세도 안받기는 개뿔 처음에만 귀농 하려는 사람 꼬시려고 불러넣고 적응 좀 하고 이윤 좀 낼라 하면 바로 말 바꿔서 논세 받고 무슨비 마을비 이것저것 다 뜯어내서 피가 마르게 만들고 도망가게 만듬 이장은 노인분들끼리 짜고 치고 지원금 받아먹게 자기 자식들 도시 사는데 제적지만 자기 집으로 해서 이름만 올려놓고 돈 받아가게 하고 우리 아버지나 친구분 일 시켜먹으려 들고 어릴때 기억하면 치가 떨림 마을 떠나고 두번 다시 안감 할머니 돌아가시고 바로 집 팔고 부모님도 대구에 아파트 한채 사서 동생이랑 같이 살게 이주 시켜버림 처음에 안가신다는거 이렇게 살면 아버지 60 70 되서도 저 사람들은 일 시켜먹으려 들거다 이장 시켜준다고 꼬셔도 그거 된다고 뭐 얼마나 좋냐 그러고 설득시켜서 이주시킴 물론 모든 읍이나 리 같은 동네들이 그러진않겟지만 시골 동네에 인구가 사라지는건 마을 본인들도 한번 되돌아봐야댐 고향은 개뿔 … 지금도 자다가 아버지 자기 농장도 아닌데 포도 따다가 뱀 한테 물리고 사다리서 떨어지셔서 허리 다쳐서 누워잇는데 옆동네 어르신 티비 안나온다고 고쳐 달라고 왓을때 생각하면 진짜 다 죽이고 싶어서 절대 안감

  • @TV-ke1sm
    @TV-ke1sm10 ай бұрын

    싸게 팔아봐 왜 안사. 임대주면 싹 고치면 나거라는 도둑놈 심보라 관심히 없는거지

  • @user-tj8qy4bw2e

    @user-tj8qy4bw2e

    10 ай бұрын

    2찍 노친네들만 있는곳을 왜감?ㅋㅋ

  • @user-to1uh6wu1i

    @user-to1uh6wu1i

    10 ай бұрын

    ​@@user-tj8qy4bw2e불쌍한분들임 같은 국민으로 보듬어 줘야 함 노인당에 tv조선 ,채널a, sbs같은 왜곡보도만 줄창 보여주는데 자연스레 세뇌되어 그런거임

  • @user-cw3ti8kk5o
    @user-cw3ti8kk5o10 ай бұрын

    잘 키워서 주민들 자식들은 죄다 서울경기권으로 보내버리고 남의 귀한 자식들을 이주 시켜서 자기들 노예로 부리려는 심보

  • @dabin9528

    @dabin9528

    10 ай бұрын

    이제 정확한거죠 자기 자식들 다 불러들이면 되는데 그건 싫고 남의 귀한자식오면 불러서 모내기할때 힘쓰라하고 담장무너진거 고치라하고 못질하라하고 그러겠죠....시골이 다시 살아나려면 일단 기존 노인네들 다죽고 한 30년 후쯤 빈집들을 공짜로 20년 무상으로 살게해주고 이런식이되면 혹시 살아날지 모름

  • @user-nn7eu6yu2n

    @user-nn7eu6yu2n

    10 ай бұрын

    맞음 젊은이들 가는순간 그 동네ㅡ머슴되는거임.

  • @user-ef4cw1fd2x

    @user-ef4cw1fd2x

    10 ай бұрын

    @@dabin9528응 그래도 안가~😂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9 ай бұрын

    시골 분들 자녀 서울이나 수도권 오는건 나쁘고..... 나와 내자식들은 서울 근처에서 사는건 당연한거....? 시골 분 저리 말씀하시는거 왜 비난이신지...?

  • @user-tu4ve1iw6c
    @user-tu4ve1iw6c5 ай бұрын

    그 뜨거운~ 그늘도없는 숨이막히는 땡볕에 삽가래들고 일해바라 노가다 해도 시원한 마트가서 맛있는거 사먹는게 아주 조아~😊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