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1 생명문화, ‘라이피즘’과 ‘살림살이 경제’에서 길을 찾다 (김누리, 김소희, 홍기빈) -

#이다생명문화포럼2022 '우리 사회의 생명문화를 묻다'
2022 생명문화 포럼은 생명문화에 대한 다양한 담론과 이슈를 ‘논’ 하고 ‘쟁’ 하며, 바로 앞의 쟁점부터 내일을 위한 숙제를 공론화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우리 사회의 철학, 경제, 법, 환경, 창작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총 6개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세션1 생명문화, ‘라이피즘’과 ‘살림살이 경제’에서 길을 찾다
5.12(목) 20시 오마이TV / 이다 유튜브
사회. #김소희 (환경과생명문화재단 이다 이사장)
대담. #김누리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자본주의는 소외로 인간의 삶을, 착취로 인간의 생존을 파괴하며, 생산을 통제하지 못해 인간의 삶의 터전인 자연을 파괴한다. 이처럼 생명에 적대적 속성을 갖는 우리 사회 시스템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라이피즘 #살림살이경제 #인간의경제 #공동체 #팬데믹이후사회 #성장중독시스템 #야수자본주의사회와생명권

Пікірлер: 38

  • @user-kl2mb1qe3q
    @user-kl2mb1qe3q2 жыл бұрын

    찍을 때는 정신이 없었는데,. 지금 보니까 뜻깊은 자리였네요. 이 영상 제가 하는 홍기빈 클럽에도 올렸으면 좋겠습니다^^

  • @Dignocracy

    @Dignocracy

    2 жыл бұрын

    37세 남성입니다. 시선집중코너 경제는 김우빈에서 홍기빈선생님 봤을때는 잘 몰랐어요. 근데 정말정말 존경하는 김누리선생님 나오시는 영상이라서 우연히 말씀들었는데 ... 정말 잘들었고 현재 다섯번 반복으로 들으며 말씀 새겼습니다. 생태문제, 경쟁교육문제, 능력주의문제, 자본독재문제, 사회갈등문제, 행복문제.. 등등등 여러가지 문제들로 앞으로 후손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지나가는 아이들만봐도 눈물이나고 그 어깨가 짓눌리는 무게에 하루가 항상 무거웠습니다. 말씀듣고 너무 정말 힘이납니다. 힘도 되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홍기빈클럽 구독. 좋앙요, 알람설정. 홀딱벗고놀러 갑니다~~~~

  • @user-kl2mb1qe3q

    @user-kl2mb1qe3q

    2 жыл бұрын

    @@Dignocracy 감사합니다^^

  • @dada7239
    @dada72392 жыл бұрын

    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김누리교수님의 책도 읽어보겠습니다

  • @shkang00
    @shkang00 Жыл бұрын

    🤩💓👌👍

  • @user-fw9yd5ht9h
    @user-fw9yd5ht9h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강의 팔로우 하다보니 이곳의 담론 관심있게 들었고 모두 감사하고 우리나라의 희망의꽃이 피어나길 바래봅니다

  • @user-pg9kx7kv3p
    @user-pg9kx7kv3p Жыл бұрын

    뇌가 쫀득해졌어요. 절망적이고 또 즐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hyo-eunkwon4302
    @hyo-eunkwon4302 Жыл бұрын

    나와 우리의 좋은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을 조달하는 행위... 참 좋습니다~~~~~^^!!!

  • @kkomajongu
    @kkomajongu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은 참 말을 알아듣기 쉽게 와닿게 하세요

  • @user-cg3ke7sf2v
    @user-cg3ke7sf2v2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 감사드려요

  • @user-ly3xz3ql3b
    @user-ly3xz3ql3b Жыл бұрын

    홍기빈선생님 ᆢ이야기 듣고 싶어하니까 유튜브에 있는것 볼수 있네요. 또 지혜로운분의 이야기를 들으며 이시간들을 지나가려합니다

  • @user-vi8ku5ee8h
    @user-vi8ku5ee8h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교육혁명 생명존중 인간의 존엄성 존중

  • @tljung2406
    @tljung24062 жыл бұрын

    알고리듬이 자동재생해서 보다보니 끝까지 봤는데 두분 선생님 말씀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 @ssamdidd371
    @ssamdidd371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마지막 말씀 깊이 곰감합니다 더 큰 원을 그리기 위한 후퇴국면이라 생각합니다 건강하시고 더 다양한 모습 보여주세욧

  • @Dignocracy
    @Dignocracy2 жыл бұрын

    위대한 대담 잘봤습니다. 김누리 교수님 마지막 말씀 무섭고 무겁게 와닿습니다. 일단 홍기빈클럽가서 홀딱벗고 먹고놀아야겠습니다.

  • @user-ly3xz3ql3b
    @user-ly3xz3ql3b Жыл бұрын

    저는 저의 자리에서 무엇을 해야할지 깊이 생각해봅니다. 아주 작으면서도 가장 영향을 끼칠수 있는일 ㅡ종이컵사용안하기 일회용품 사용안하기에 적극 노력할거예요

  • @dada7239
    @dada72392 жыл бұрын

    홍기빈클럽 구독했습니다 ^^

  • @TV-nx1uo
    @TV-nx1uo2 жыл бұрын

    모두 존경합니다~^^ 선본주의, 선본홍제~^^

  • @luvsports327
    @luvsports3272 жыл бұрын

    Thanks!

  • @ida_peacebooks
    @ida_peacebooks2 жыл бұрын

    이다 생명문화 포럼 2022 세션1을 시청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user-rm5bs3fn8e
    @user-rm5bs3fn8e2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우리민족과 이나라를 구제해주십시오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유투브에 강연좀 많이 올려주세요...요새 뜸하시네요...교육혁명 공감해요!

  • @bsyu5092
    @bsyu5092 Жыл бұрын

    저도 경제학을 학부에서 배웠지만 대학에서 이제는 신자유주의적 시장경제보다는 라이프즘과 살림살이 경제를 가르쳐야 할 것 같아요 출산을 인구 생산으로 보는 교수가 있다니 ...충격적이에요 ㅠㅠ

  • @sunnykim4093
    @sunnykim40932 жыл бұрын

    강의 시청일 : 2022-05-20 (목) 04;26 ~ 1:24:50 ~ 1:27:20 : 코로나 대책 국가 재정을 가장 작게 쌌다 (독일 GDP의 30% 편성, 1조 유로 1,350조, 손실의 90% 지원 홍남기 45% 선진국 부채 비율 21%, 한국 4%, 가계 부채 120%가 되었다. 1:28:00 : 불평등 가장 심각하다

  • @user-jq1uv1dk8m
    @user-jq1uv1dk8m8 ай бұрын

    김교수님의 교육에 대한 문제는 50년 전부터 있었어요.

  • @DoDo-cy4xs
    @DoDo-cy4xs2 жыл бұрын

    씻어내기 위해 왔습니다!!

  • @user-pd1tc6ih8d
    @user-pd1tc6ih8d2 жыл бұрын

    AI받아쓰기 능력이 많이 아쉽네요! 동시자막이 너무 많이 틀려서. . . ㅠ안타까움

  • @user-bf5ly7yu8d
    @user-bf5ly7yu8d Жыл бұрын

    북마크 42:00

  • @user-hm4zk9jy9k
    @user-hm4zk9jy9k2 жыл бұрын

    교수님들이 사이비교주라는 프레임으로 무시하고 외면하는 허경영의 중산주의이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sky-ir3fo
    @sky-ir3fo2 жыл бұрын

    배운자들은 다른나라 언어로 말하고 정의해야 되는것인가 배운자들이니까 우리말로 풀어서 이야기하던지 아예 외국어로 이야기 하세요!!!!

  • @user-wz6gr4mq6u
    @user-wz6gr4mq6u2 жыл бұрын

    러시아 침공, 윤석렬의 빠른 경제성장 추구발언 세계화에서 자국이익 우선....

  •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2 жыл бұрын

    한글 특허로 한글이 공통어된다. 한글 특허로 제2의 세종대왕 이태순. 한글 특허로 문맹자 없는 한글 공통어. 5세아기 하루에 한글 선생만든 한글 특허. 문자올림픽 한글특허로 한글 최고 빨리 가르친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