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건축학과 교수이면서 주목받는 건축가인 김승회 교수의 위시리스트, 로망을 실현한 집!┃건축가가 지은 집은 어떨까┃건축탐구 집┃

※ 이 영상은 2021년 9월 14일에 방송된 <건축탐구 집 - 일하고 쉬고 사랑하라>의 일부입니다.
가파른 지형에 주목받지 못했던 땅을 골라 간절한 소망이었던 서재를 직접 지은 서울대 건축학과 김승회 교수! 하얀 구름이라는 ‘소운(素雲)’은 홀로 고요히 집중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원한 건축가의 위시리스트가 실현된 집이다.
수많은 유명 주택부터 공공건축물까지 건축계 주목받는 건축가인 김승회 교수의 서재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집의 외벽부터 남다르다. 세월이 지나도 반영구적으로 지속되고 변형이 없는 브라질산 이페(ipe)나무와, 목재 모양으로 만든 콘크리트를 조화시킨 외벽. 11년이란 세월이 지나며 나무와 콘크리트는 마치 하나의 재질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융화되었다.
이 이페(ipe)나무와 콘크리트는 집 내부에서도 연속되는데, 내부에선 마당인 거실에 외부와 똑같은 재료를 써서 공간의 의미를 확장했다. 또 통창을 통해 거실과 바깥의 누마루가 만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고 마치 유생들이 풍경을 감상하던 병산서원의 만대루처럼 풍류와 여유를 느끼도록 했다.
무엇보다 김 교수가 15년간 꿈꾸던 서재는 전체 공간의 끝인 2층에 두었다. 지나가는 움직임에 방해받지 않고 오직 작업에만 몰두할 수 있는 위치. 특히 서재엔 1.8m 책상과 필기도구들뿐. 또한 마치 좁은 골목을 지나듯 60cm 폭의 좁은 계단과 벽면에 책장을 붙인 서가는 작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여주 서재는 신경 쓰지 않으면 지나칠 수 있는 비밀 공간이 있다. 하얀 벽면처럼 보이는 미닫이문을 열면 마루와 욕조가 등장한다. 통창을 통해 자연과 계절의 변화를 만끽하며 목욕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독창적인 공간. 집 안 구석구석 의미와 목적이 담긴 건축가의 서재는 일과 쉼, 그리고 추억이 집의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 프로그램명 : 건축탐구 집 - 일하고 쉬고 사랑하라
✔ 방송 일자 : 2021. 9. 14

Пікірлер: 29

  • @yes0111
    @yes011110 күн бұрын

    건물도 정원도, 진짜 너무너무 예쁘네요

  • @peakyblinders4185
    @peakyblinders41857 күн бұрын

    집이 아주 매력적입니다. 과한 부분도 없고 깔끔하고 언젠가 짓고 싶은 집이네요. +교수님 니콜라스 케이지랑 닮으신 것 같기도~?

  • @user-fo9ym1hy7f
    @user-fo9ym1hy7f9 күн бұрын

    자연과 어우러진 집 너무 예쁩니다~~ 오솔길과 작은 서재 특히 매력있어요~~

  • @alexfereira2737
    @alexfereira273712 күн бұрын

    집이커야 부를 이룬 옛말이 있듯이 큰데 살아야 보이는것도 넓고 여유있는 삶을 살수있으며 가정에 평화가 옵니다

  • @LifeGood99

    @LifeGood99

    12 күн бұрын

    그것보다 정리를 해도 깔끔한 느낌들어서 좋음

  • @niney1778
    @niney17782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자재로 마무리 잘하셨네요. 사치스럽지도 않고. 그래도 돈 많이 쓰셨을 듯. 공간은 결국 자연으로 완성되는 듯 하네요. 그 중에서도 사람이 최고의 자연이죠.

  • @lipschoi4607
    @lipschoi460711 күн бұрын

    교수님의 가족집이 아니라 순수한 작업을 위한 별장 느낌낌…….본가는 강남 OO아파트일테고 자녀분들은 미국에서 공부하고 시민권자 아닐까요?? 아무튼 집 멋있고 나중에 저도 저런집 짓고 살고싶네요 ^^

  • @user-jf8pc8iu5p
    @user-jf8pc8iu5p10 күн бұрын

    와우

  •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12 күн бұрын

    돈만 있다고 전원주택 사는거 아닙니다. 관리사를 따로 쓸만큼 부자가 아니면 스스로 부지런해야 유지되요. 그래서 아파트가 살기엔 편한거죠. 부지런하고 시간에 여유 있는 자가 이런 호사를 누릴수 있는것.

  • @bluewater2016
    @bluewater201611 күн бұрын

    이집이.. 별장인 것 같음ㅋㅋ

  • @hongsi9741
    @hongsi974112 күн бұрын

    안쪽 담벼락 워터블라스팅 한번 하시면 좋겠네요

  • @user-dp8pf1wz1r
    @user-dp8pf1wz1r11 күн бұрын

    옥상은 자갈은 왜

  • @anjfcuqhsi

    @anjfcuqhsi

    11 күн бұрын

    아마도 단열재를 누르는 용도일듯요. 있으면 낙엽이 배수구 막는걸 방지하는 역할도 되고요

  • @keehuz7599

    @keehuz7599

    7 күн бұрын

    ⁠옥상방수 누름용입니다.

  • @jeakim4152
    @jeakim41529 күн бұрын

    Porch white paint 로 마감된 가는 기둥은 쫌 썰렁하고 건물 외벽과는 전혀 어울리지가 않어 안 좋다 !

  • @junypark5738
    @junypark573811 күн бұрын

    미닫이가 아니고 여닫이입니다. 미는 문이 미닫이 ,옆으로 제끼는 문이 여닫이 , 밀다, 열다의 ㄹ이 탈락된 것😢🎉 교육방송이 정말 수준 떨어지게 😢

  • @so-ht2xt
    @so-ht2xt12 күн бұрын

    1등

  • @SBB-
    @SBB-12 күн бұрын

    정원까지 포함하면 수백평일거같은데 작은 공간에서 사는걸 배워야된다고 말하는게 농담하는건지 놀리는건지

  • @hardie2311

    @hardie2311

    12 күн бұрын

    그런데. 작은공간은 아닌듯 ㅋㅋ

  • @hongsi9741

    @hongsi9741

    12 күн бұрын

    시대가 그렇다고 얘기하시잖니

  • @SBB-

    @SBB-

    12 күн бұрын

    @@hongsi9741 그래서 본인도 작은 공간을 만들었다잖아요

  • @ko-ub9hs

    @ko-ub9hs

    11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하여간 심사가 뒤틀려가지고는 남 잘되는 꼴읓 못봐잉?

  • @SBB-

    @SBB-

    11 күн бұрын

    @@catmamma796 서울대 교수가 재벌인가요? 사이즈는 재벌 능가하능구만ㅋ

  • @user-us6ll8dr7z
    @user-us6ll8dr7z12 күн бұрын

    학교에서나 교수지 학교 밖에서는 아저씨다 교수교수 거리는게 우숩다 대표님 교수님... 요런 호칭좀 없애라 보는 시청자 불편하다 밤에 배달뛴다고 평상시에 배달기사님 하냐? 용접한다고 평상시에 용접사님 하냐?

  • @redbead0105

    @redbead0105

    12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뭐가 그리 화가 나셨어요 좋은하루 보내세요 :)

  • @hongsi9741

    @hongsi9741

    12 күн бұрын

    서로 사랑하며 삽시다

  • @SBB-

    @SBB-

    11 күн бұрын

    @@catmamma796 교수 가족인가?ㅋㅋㅋ 왜이래 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