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의 공간 대한민국 새 100년 새로운 교육으로-국무총리 제5차 목요대화

📌제5차 목요대화 -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일상을 위한 정책간담회(V)
이번 주도 어김없이 돌아온
정 총리의 한국형 목요클럽~!
사회 각 분야 석학 및 전문가들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 포스트 코로나의 공간
유현준(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대한민국 새100년, 새로운 교육으로 (능력주의에서 존엄주의로)
김누리(중앙대학교 독일어문학전공 교수)
코로나19 사태 이후, 새로워질 대한민국!
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전문가들이 준비한 알찬 정보 들어볼까요~?
오늘(5월 28일) 16시!
놓치지 말고 시청하세요~
#정세균국무총리 #목요대화 #정책간담회
○일시: 2020. 5. 28.(목) 16:00
○장소: 국무총리 공관(삼청동)
📌KTV SNS LIVE 채널 바로가기
▶유튜브 goo.gl/7yuedv
▶라이브 goo.gl/benFeq
▶페이스북 goo.gl/4JJZzN
▶트위터 goo.gl/Aen58u
▶네이버TV tv.naver.com/ktv
▶TV채널 goo.gl/F7p7kR

Пікірлер: 220

  • @KTV_korea
    @KTV_korea4 жыл бұрын

    목요대화 주요장면 모아보기 kzread.info/dash/bejne/lId71NyJmtK4Y8Y.html

  • @user-kx7sj3vj4y
    @user-kx7sj3vj4y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의견에 완전 동의합니다. 교육혁명 해내야만 합니다.

  • @user-dk4cr2cg6x
    @user-dk4cr2cg6x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을 교육부 장관으로!

  • @user-wc3jn4eo6b

    @user-wc3jn4eo6b

    3 жыл бұрын

    저도 한표

  • @user-pw4dc6zj6f

    @user-pw4dc6zj6f

    2 жыл бұрын

    교육의 개혁 꼭 필요합니다

  • @user-kj4xs9rg5q
    @user-kj4xs9rg5q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교육혁명 지지합니다. 정부는 성숙한 시민교육의 토대를 위해서 당장 실행해야 합니다. 인생의 20년이 오로지 입시를 위해 문제 암기에 쓰인다는 건 낭비이고 야만적 폭력입니다.

  • @yun-oc8og
    @yun-oc8og3 жыл бұрын

    애써주시는 교수님! 구구절절 옳으신 말씀예요. 그 누구도 나서지 않은 것들 이렇게 자세히 제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 총리님, 힘을 보태 주세요. 아니, 교육혁명해야 합니다! 언론개혁 교육개혁 꼭 이뤄내야 합니다. 김누리 교수님, 응원합니다. 늘 건강해 주세요.

  • @judel6460
    @judel646011 ай бұрын

    김교수님 말씀에 마음이 울립니다... 교육혁명을 위해 우리 모두가 나서야할 때인것 같습니다.

  • @user-fb4ku4tk3q
    @user-fb4ku4tk3q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감동의 강연입니다 감사합니다~ 교육개혁 반드시 해야합니다 대학입시 폐지 지금부터 시작해야합니다

  • @tosine0683
    @tosine06833 жыл бұрын

    정세균 총리님! 김누리교수님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윤은혜교육부장관님! 코로나19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이 기회입니다. 정치를 바꾸었습니다. 상상하지못한 180석입니다. 이제 교육혁명 으로 새사회를 열어주세요.!!! 한반도 역사에 찬사를 받으실겁니다. 간절히 청원합니다.

  • @Dignocracy
    @Dignocracy3 жыл бұрын

    마지막질문에 대한 답은 딱 나와있습니다. 김누리 교수님이 방송에 많이나오시면 됩니다.

  • @user-wc3jn4eo6b
    @user-wc3jn4eo6b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내일도 모래도 잘못된 교육으로 죽고 죽어갈 아이들을 생각하게 합니다 김누리 교수님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ㆍ

  • @khlove0829
    @khlove0829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정말 멋지십니다~~ 한국의 교육 정말 바뀌어야 합니다~~!! 유은혜장관님 어떻게 하실지 행보가 궁금하네요~~ 문재인정부때 교육이 조금이라도 바뀌어야하는데 말입니다~~ 더민주당의 국회의원들도 함께 해 나가야 할 일입니다~~!!

  • @user-kt8gq6di8e
    @user-kt8gq6di8e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의견에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간절히 바랍니다 우리나라에선 병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원인에 의하여 교육에서 이탈하게 되거나 나이가 들어서도 공부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는 교육의 기회조차도 박탈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3 жыл бұрын

    500년간 세뇌된 유교적 핏줄,조상 중시 . 서양은 20살이면 독립 오직 한국만 사교육비,등록금,결혼비,손자돌봄... 늙어 죽을때까지 핏줄에게 퍼줌. 주식회사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진보,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그래서 힘들어지면 핏줄을 한 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가 매우 흔한 나라. 핏줄중시로 미혼모 왕따,비난,차별 동거비율 세계 최저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비혼출산 oecd 평균 39%,핏줄 이기주의 한국은 1% 서양은 제사 없음. 한국은 그 짧은 명절도 제사(핏줄)로 인해 그 누구도 행복하게 지내지 못하는 나라. 핏줄 이기주의 ,핏줄 퍼주기->양육부담 양극화 희망포기->비혼급증->국가 소멸 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 @jl3203
    @jl32033 жыл бұрын

    꿈같은 이야기이지만 꼭 실현되었으면 하는 세상이네요 김누리 교수님 말씀 너무 잘 들었습니다

  • @yunjungyang1231
    @yunjungyang12313 жыл бұрын

    전 유럽은 여행도 가본적 없고 교육과 문화에 대해서는 듣기만 했습니다. 미국생활 경험은 있습니다. 세계적 기준으로 경쟁이 치열하고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인 미국이었지만 살아보니 (우리나라에 비하면 여유롭고 입시 스트레스 없음)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심하게 경쟁해야 하고 가장 오랜 시간 일해면서 불행한지 억울하고 속상했습니다. 유은혜 보내고 김누리 교수 교육부 장관 임명합시다

  • @Kimprofessor_Bookbogo_Dr-three
    @Kimprofessor_Bookbogo_Dr-three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육부장관 추천

  • @tosine0683
    @tosine06833 жыл бұрын

    모든 국민이 원하고 있습니다. 교육혁명 이뤄주세요.

  • @sky-re6mf
    @sky-re6mf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빨리 우리 교육도 혁명수준의 개혁을 해야 합니다. 다수의 학생을 희생해서 외우기만 잘하는 양심도 공감능력도 없는 이기적인 괴물들을 양산하는 현재의 입시위주의 교육을 빨리 끝내야 합니다.

  • @user-cd3yj9vk7k
    @user-cd3yj9vk7k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강의 넘 배울게 많습니다~^^

  • @user-pi3xd5zt3w
    @user-pi3xd5zt3w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얘기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전쟁같은 대학입시가 철폐되고 경쟁이 아닌 진짜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길 간절히 바랍니다. 대학서열화와 대학등록금이 속히 다 사라지길!

  • @graceofgod5558
    @graceofgod5558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소신발언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찬성합니다 대학입시 폐지!

  • @cheongsanlim9995
    @cheongsanlim99954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뼈때리는 말씀 감사합니다. 교육혁명에대한 국민적 공감은 이미 충분하다 못해 넘쳐요. 김누리 교수님이 말씀하신대로 이제 용기만 필요 할 뿐입니다. 부디 이번 정부에서 꼭 이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3 жыл бұрын

    500년간 세뇌된 유교적 핏줄,조상 중시 . 서양은 20살이면 독립 오직 한국만 사교육비,등록금,결혼비,손자돌봄... 늙어 죽을때까지 핏줄에게 퍼줌. 주식회사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진보,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그래서 힘들어지면 핏줄을 한 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가 매우 흔한 나라. 핏줄중시로 미혼모 왕따,비난,차별 동거비율 세계 최저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비혼출산 oecd 평균 39%,핏줄 이기주의 한국은 1% 서양은 제사 없음. 한국은 그 짧은 명절도 제사(핏줄)로 인해 그 누구도 행복하게 지내지 못하는 나라. 핏줄 이기주의 ,핏줄 퍼주기->양육부담 양극화 희망포기->비혼급증->국가 소멸 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 @user-zq9vm6gp6k
    @user-zq9vm6gp6k4 жыл бұрын

    이규빈 사무관님 멋있으시네요. 여러 매체를 통해 자주 뵙길 희망합니다.

  • @user-ju4cr8ny7g

    @user-ju4cr8ny7g

    4 жыл бұрын

    제 3자 처럼 말하는거 왜이렇게 웃기지 ㅋㅋㅋㅋ 그냥 핫시2애청자가 달은 느낌이야 ㅋㅋㅋㅋ 인스타보고 달려왔슴니다 ㅋㅋ

  • @Armand_de

    @Armand_de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댓글만 보고 핱시 시청자인가했는데 아니었음

  • @job5872

    @job5872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 @user-oq3mb2mg2s

    @user-oq3mb2mg2s

    4 жыл бұрын

    뭐얔ㅋㅋ 핱시 시청자같은데 아니라하길래 뭐지 하고 채널 들어갔더니,,,,ㄷ ㄷ

  • @SHINeePrism

    @SHINeePrism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도균님 팬분이신줄ㅋㅋㅋㅋㅋ

  • @TV-ti6bs
    @TV-ti6bs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는 진짜 교육부장관 시켜라!

  • @user-fg6ve3ix3r
    @user-fg6ve3ix3r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를 교육부장관 으로!!

  • @user-kf1nd7mc8b
    @user-kf1nd7mc8b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교육부장관으로

  • @guidol3
    @guidol33 жыл бұрын

    28분 18초 부터 김누리 교수님 말씀!! 우리 나라 교육 이제 바꿉시다!!!

  • @Minjin_draws_an_illusion
    @Minjin_draws_an_illusion3 жыл бұрын

    28:17 김누리 교수님 강연보기 위해 여기까지 알고리즘 타고 왔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교수님의 강연을 듣고 한국 교육을 변화시켜나갔으면 좋겠어요! 🙏🏻

  • @user-cb3fw7fg8d
    @user-cb3fw7fg8d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너무나 꿈같은 얘기라 가슴이 막 설레이네요~ 부디!!!! 내 아이는 그런 세상에서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려면 참여 해야겠지요~^^

  • @akfh0111

    @akfh0111

    4 жыл бұрын

    너무 당연한 얘기인데 한국만 못하고있죠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3 жыл бұрын

    500년간 세뇌된 유교적 핏줄,조상 중시 . 서양은 20살이면 독립 오직 한국만 사교육비,등록금,결혼비,손자돌봄... 늙어 죽을때까지 핏줄에게 퍼줌. 주식회사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진보,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그래서 힘들어지면 핏줄을 한 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가 매우 흔한 나라. 핏줄중시로 미혼모 왕따,비난,차별 동거비율 세계 최저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비혼출산 oecd 평균 39%,핏줄 이기주의 한국은 1% 서양은 제사 없음. 한국은 그 짧은 명절도 제사(핏줄)로 인해 그 누구도 행복하게 지내지 못하는 나라. 핏줄 이기주의 ,핏줄 퍼주기->양육부담 양극화 희망포기->비혼급증->국가 소멸 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 @user-it6sg4wl8w

    @user-it6sg4wl8w

    3 жыл бұрын

    청와대 청원해야죠. 교육혁명~!!! 이게 가장 시급한 문제니까요

  • @user-kj4lk9um5n

    @user-kj4lk9um5n

    3 жыл бұрын

    네~꼭 참여하세요 성장한 아들과 제 자신을 돌아봐도 행복한 순간이 없었어요 경쟁속에서 정서가 뭔지도 모른체 물리적 압력 이젠 미안한 마음으로 후회 하지만 소중했던 시간들이 너무너무 안타까워요

  • @PETBOY

    @PETBOY

    7 ай бұрын

    부모들 때문에 절대 안바뀌니 꿈깨세요. 부모 교육이 제일 문제임. 바껐으면 진작에 바껐음 30년전에도 비슷한 사설있었는데 아직도 안바뀜

  • @erasmusdesiderius1549
    @erasmusdesiderius1549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불러주심에 정부에 진심 감사합니다 미래를 위해 교육은 가장 중요합니다 김누리 교수님이 현 시점에 필요한 것들을 모두 말씀해주셔서 속이 후련합니다 정부는 교육혁명에 대해서 적극 경청하시고 반드시 실천해내야 할 부분입니다 대학은 큰 변화를 해야할 때입니다 입시를 통해 정말 뛰어난 아이들 다 기계화시키고 우울증걸리게 만드는 이제까지의 교육은 당장 없애야합니다

  • @user-cu6tb1om6u

    @user-cu6tb1om6u

    4 жыл бұрын

    편향된 독일의 몇 몇 성공 사례에 치우쳐있어 공감하기는 힘듭니다.

  • @ohsukkwon5482

    @ohsukkwon5482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제 때가 왔읍니다 더 이상 어떤 핑계로도 교육혁명의 도도한 물결을 거스를 수 없을것입니다 출산율 1이하의, 여성들이 더 이상 결혼과 출산을 원하지않는 이 증거에도 깨어나지 않는다면, 정말 이 정부는 자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akfh0111

    @akfh0111

    4 жыл бұрын

    @@user-cu6tb1om6u 줄세우기를 지양하는것은 당연한것입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3 жыл бұрын

    500년간 세뇌된 유교적 핏줄,조상 중시 . 서양은 20살이면 독립 오직 한국만 사교육비,등록금,결혼비,손자돌봄... 늙어 죽을때까지 핏줄에게 퍼줌. 주식회사가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전부다 핏줄 경영하는 유일한 나라. 진보,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그래서 힘들어지면 핏줄을 한 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가 매우 흔한 나라. 핏줄중시로 미혼모 왕따,비난,차별 동거비율 세계 최저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비혼출산 oecd 평균 39%,핏줄 이기주의 한국은 1% 서양은 제사 없음. 한국은 그 짧은 명절도 제사(핏줄)로 인해 그 누구도 행복하게 지내지 못하는 나라. 핏줄 이기주의 ,핏줄 퍼주기->양육부담 양극화 희망포기->비혼급증->국가 소멸 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 @shle029
    @shle029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격하게 응원합니다!🤩🤩🤩

  • @yune5597
    @yune5597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말씀에 격공합니다 교육부 장관감이십니다

  • @peterhan3924
    @peterhan39242 жыл бұрын

    이런 유익한방송은 전국민이 시청해야 합니다.

  • @user-it6sg4wl8w
    @user-it6sg4wl8w3 жыл бұрын

    내 학창시절도 그닥 행복하진 않았지만 점점더 대학서열을 세우고 특목고를 만들어 경쟁을 부추긴 정부의 정책이 잘못되서 우리 아이들이 지옥같은 학창시절을 보낸다니 넘 화나고 속상하네요. 교육혁명 꼭 이뤄주세요. 내년엔 대학입시 폐지 해주세요

  • @newtime7296
    @newtime7296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역시 감동입니다. 이번 의료파업으로 아이들 교육의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앞으로 우리 나라 교육 개혁에 앞장서 주세요ㅜ

  • @user-kj4lk9um5n
    @user-kj4lk9um5n3 жыл бұрын

    미래 나아갈 방향 어마어마한 생태계 변화 변곡점 실시간으로 공감할 수 있다는 현실이 꿈만 같아요 주입식교육 세대 입니다 경쟁으로 만들어진 시스템 이대론 정말 안되요 김누리 교수님 존경합니다 인간이 바뀌긴 힘들어도 시스템이 바뀌면 변화할 수 있어요

  • @user-kj4lk9um5n

    @user-kj4lk9um5n

    3 жыл бұрын

    언론공개! 신뢰할 수 있는 정부 참~좋습니다 학습하며 발전하려는 정부!응원합니다

  • @user-ej4nf6xc5f
    @user-ej4nf6xc5f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응원합니다.

  • @user-ob9rt4th5w
    @user-ob9rt4th5w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말씀처럼 우리나라에도 꼭 교육혁명의 봄날이 오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총리님과 교육부 장관님 등 많은 분들이 오셨네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 교육 혁명 꼭 이루어 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주입식 교육을 피해 10년 전 한국을 떠났다가 아이를 대학에 보내고 작년에 돌아 왔는데 아직도 변한게 없이 그대로여서 너무 충격적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모두 힘을 합쳐서 교육혁명을 꼭 달성하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 @allerbeste8443
    @allerbeste84433 жыл бұрын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해악적인 일들을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국무총리님, 장관님 용기를 갖고 추진하세요. 여기에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습니다.

  • @rokmcmartialarts
    @rokmcmartialarts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강연내용에 100% 공감합니다. 정부가 전격 받아들여서 실행에 옮겨야 할 중요하고도 시급한 사항 입니다. 이것만이 모두가 행복한 사회가 될것입니다.

  • @seoulyoo7721
    @seoulyoo77212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말씀 다 옳습니다 이렇게만 된다면... 대한민국 아이도 많아지겠지요 유토피아로 갑시다

  • @user-dy2de8ej2b
    @user-dy2de8ej2b4 жыл бұрын

    교수님들 강의로 느낀 것이 참 많네요.. 한 번도 스킵하지 않고 감명깊게 잘 봤습니다. 특히 김누리 교수님 강의에서, 1. 대학입시 폐지 - 교수님 의견에 제 의견을 더하면, -> 고등학교 때 졸업시험만 치고, 대학입시는 유럽 사회와 같이 자율화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공기업이나 대기업 취업 시 그 기업이 원하는 전공/인적성/ncs과목들.. 등으로, ‘원하는 인재상+직무에 대해 어느정도 아는 인재’를 뽑는 채용형태가 취준생들에게는 힘든 것이지만,, 그 기업을 위해서는 필요하고 효율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대학 입시 제도도 학교에 상관없이(당장은 불가능하겠지만) 원하는 학과를 선택하게 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대한민국 경쟁력과 개인의 행복을 위해서 더 도움이 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학과에 맞는+관심이 있는 학생을 뽑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대학교라는 교육장의 취지에 더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좋은 강의로 열린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누리 교수님 !

  • @user-ht6gy5oh8x
    @user-ht6gy5oh8x4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의 교육이 사회로 연결되지 않는 교육방식의 문제, 경쟁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 연대와 협력이라는 가치를 배우기보다 상대를 짓밟고 내가 올라서야한다는 압박과 스트레스, 시험을 치르면서 순위경쟁에 몰아넣는 구조는 비극을 낳을뿐입니다.. 그런 점에서 김누리 교수님의 의견제시가 무척이나 반가웠습니다. 땅이 갈라진 곳에 단비가 내리듯 교육가뭄의 해소가 조속히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교육개혁과 더불어 노동개혁, 토지개혁으로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시간이 오기를 바라며.. (사법개혁과 언론개혁도..)

  • @Son-sq5re
    @Son-sq5re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입시폐지 찬성합니다! 저는 지금 40세인데 고등학교때까지 남들에게 뒤지지 않기위해 지식을 암기해야 했고 대학교때에는 취업을 위해 도서관에서 지식을 암기해야 했습니다! 취업을 하고 나서는 승진과 가족생계를 위해 야근을 해야 했습니다! 주위의 친구보다는 더 잘 살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제 삶은 현재도 쫒기고 있다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고 마음도 불안정합니다! 영상을 보니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제 삶도 교육의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저는 정말 이쁜 딸 2명이 있습니다! 지금 한국에서 살아갈 우리의 이쁜 아이들은 지옥같은 경쟁만 하는 교육을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님! 김누리교수님 말씀처럼 교육개혁이 힘들겠지만 꼭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gt1tc3cu9d
    @user-gt1tc3cu9d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의 주장에 문재인 정부가 어떤 대답을 할까? 제발 이 심각한 현실을 성찰하고 정부가 외면하지 않기를, ... 단단히 결단하고 성큼 나아가길 바란다..

  • @user-el2lv8rw2q

    @user-el2lv8rw2q

    3 жыл бұрын

    옳쏘!👍👍👍

  • @user-qw4ev6lb8i

    @user-qw4ev6lb8i

    3 жыл бұрын

    저런지식인들의 사회,정치적참여가 중요하고 통찰과지식을받아들이고 위임하는것도 필요하다고생각해요

  • @TV-ti6bs

    @TV-ti6bs

    3 жыл бұрын

    1년 남았음. 민주당도 그저그런 보수 엘리트일뿐...

  • @user-qn7vz9ue1o

    @user-qn7vz9ue1o

    3 жыл бұрын

    답이 없네요. 멍청한 벙어리정부

  • @user-en8qo1tt6p
    @user-en8qo1tt6p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교육혁명!!우리모두의 소중한 아이들을 위해, 더 나아가 대한민국을 위해 꼭 필요합니다.그것이 모두가 행복한 삶으로 갈수 있는 지름길!! 입시폐지!!!

  • @user-qy7mx1ve9v
    @user-qy7mx1ve9v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대박...

  • @user-hx4yr7hb7u
    @user-hx4yr7hb7u4 жыл бұрын

    교육이 바뀌면 얼마나 좋을까요? 남지도않는 지식 주입하느라 시간 다 보내고... 항상 불안한 삶. 행복한 삶을 살고싶네요. 아이들도 어른도 모두가

  • @user-lk2zd8ow2p
    @user-lk2zd8ow2p7 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하고 지지합니다.,, 다음정부 교육부 장관은 무조건 김누리 교수님이 하셔야 됩니다!!! 국민의 열망과 합의는 이루어진 것 같고 정부에서 나서서 정책을 만들때입니다.

  • @user-wb8om2qp6g
    @user-wb8om2qp6g3 жыл бұрын

    하루라도 빨리 교육개혁 해야합니다 아이들이 너무 불쌍합니다 ㅠ 미래의 한국을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 @jungyl1224
    @jungyl1224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교육철학에 전적으로 공감하는 또 다른 1인으로서 교육부 장관께서도 현 교육문제를 깊이 성찰하셔서 교육혁명을 반드시 이뤄주시길 바랍니다! (입시폐지 첫번째) 교수님이 평소 다른곳에서 강의하실 때 강조하시던 부분 중 너무 와닿았던 교육(생태교육, 성교육)을 시간상의 제약 때문에 말씀할 시간이 없으셔서 아쉽긴 하네요.. 입시 문제뿐만 아니라 평소 강조하시던 교육중, 독일에서는 아이들이 대부분 소비할때 죄책감을 느낀다는 말씀을 하시는데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한국은 너무 물질 자본주의로 흘러온 것 같고 아무런 생각없이 장난감을 사주는 것에 대한 행동을 부모들도 부끄러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한국이 k방역,k-pop 등으로 세계에서 위상이 높아지긴 했지만! 어릴때부터 물건을 소비하고 소비하는 즐거움까지 느끼는 환경 속에서 자연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는 것도 생태교육이 어릴때부터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쓰레기가 많고 환경파괴로 인한 각종 질병이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우리 아이들이 어떻게 잘 살아갈 수 있을지 생각하면 미안하고 안타깝습니다..

  • @user-et1rz6uu8h
    @user-et1rz6uu8h4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이 지금보다 더 행복한 유년시절과 삶의 방향성을 잡아 나갈 수 있는 방법이..바로 김누리 교수님이 정확하게 알고 계신듯...

  • @Sobly
    @Sobly3 жыл бұрын

    하~ 이번 정부에서 교육혁명 이뤄주세요. 시대적 요구이고 이미 늦었습니다. 국민들 너무 불쌍합니다. 불행감과 열등감으로 얼룩진 국민들, 정치적 판단력이 없어서 세뇌당하는 가족들이 나무 안타깝습니다. 진정한 민주사회 만들어주세요!! 제발~~

  • @user-rq7em5lh4p
    @user-rq7em5lh4p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말씀에 완전동의 합니다.

  • @october13672
    @october136725 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비전에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어려운 길이지만 대한민국을 새롭게 세우는 교육혁명이 꼭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 @user-if2lj1jl5f
    @user-if2lj1jl5f4 жыл бұрын

    1:27 27:45 59:12 1:01:20

  • @user-gj1lf8wy5c

    @user-gj1lf8wy5c

    4 жыл бұрын

    ㄱㅅㄱㅅ

  • @user-xq4uy7ok1s
    @user-xq4uy7ok1s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평소 교육에 대한 고민이 많았는데..한국교육의 부작용의 원인인 대학입학시험과 서열을 없앨수 있을까요?? 고민입니다

  • @user-el2lv8rw2q
    @user-el2lv8rw2q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강의시작 28:00

  • @user-dq1kg9ec1z
    @user-dq1kg9ec1z4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됩니다 한층 더성숙한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이들에게 행복을줄 교육혁명 밀어주세요

  • @user-eo5sl5dy8z
    @user-eo5sl5dy8z4 жыл бұрын

    규빈..............귭...........규빈님.........이규빈님....이규빈사무관님............

  • @user-oo2oq1dq5x
    @user-oo2oq1dq5x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언제나 시작하려나요? 정부는 교육부는 아무런 계획이 없어 보여 안타깝습니다...ㅠ

  • @user-vv3gu8po2m
    @user-vv3gu8po2m2 ай бұрын

    교육혁명 절대적 지지 한번 더 한국사회의 광장으로 촛불을 밝히게습니다.

  • @minheek18
    @minheek184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오늘 말씀이 참으로 탁월하고 좋았습니다, 우선적으로 아이들을 교육하는 부모 세대 먼저 새로운 교육을 받고 새로운 사유를 하는것이 가능해져야합니다.

  • @heonypot4616
    @heonypot46164 жыл бұрын

    규빈님 보러왔다가 좋은 강연 듣고가는 것 같네요ㅎ 정부에서는 두 전문가님을 초청하는 건 너무 좋은 결정인데 쇼로만 끝나지 않고 귀담아 듣고 정책에 참고해주셨으면 좋겠네요

  • @user-fg6ve3ix3r
    @user-fg6ve3ix3r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를 교육부장관 으로!!!

  • @runshanghai7751
    @runshanghai77513 жыл бұрын

    오늘 강연자 두 분 교수님을 섭외하신 것으로만 미루어보아, 국무총리실은 살아 있고 깨어 있다고 확신합니다. 저렇게 열심히 미래를 위해 염려하고 공유하는 교수들 말씀 잘 성찰해 보시고, 부디 대한민국 잘 부탁 드립니다.

  • @user-ty9lz6os8u
    @user-ty9lz6os8u2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아이들 생각하면 눈물나고 미안해야할 교육 헌실 되지않게 교육혁명을 지지합니다!!

  • @user-vm3pc3ss5m
    @user-vm3pc3ss5m2 жыл бұрын

    교육혁명에 적극 공감합니다. 지금의 교육방식은 엄청난 미래를 대처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더 이상 주저할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 @user-wj9sl3ep6g
    @user-wj9sl3ep6g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의견에 적극 동감합니다. 지옥입시, 이젠 끝내야합니다. 아이들이 죽어갑니다.

  • @user-ws7wo5zx9e
    @user-ws7wo5zx9e3 жыл бұрын

    교육혁명이 힘든이유는그주체자들(교육부)이 가지는 특권의식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특권의식을 놓고싶지않은 이들이 많은 아이들이 자살하더라도 이 방식을 (서열을) 유지하고싶은 속내들 때문이 아닐까요

  • @user-cy6pj6mp2o
    @user-cy6pj6mp2o2 жыл бұрын

    차기 정부는 김누리 교수님을 교육부 총리로 \^^/

  • @user-ex5br5ms5f
    @user-ex5br5ms5f2 жыл бұрын

    차기 교육부총리 김누리교수님 이나라를 살려주세요

  • @ithansarang
    @ithansarang3 жыл бұрын

    정세균 총리님 최고이십니다! 이런 이성적이고 따뜻한 분께서 대통령이 되셔야 하는데... 존경합니다.

  • @Pulkkot.
    @Pulkkot.4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교육혁명 👍 새로운 교육패러다임 제시👍 뼈때리는 강연 👍👍👍

  • @lruna
    @lruna4 жыл бұрын

    뀹... 이제 뀹이라 부르면 안될 것 같아

  • @user-ym1vz1do9h
    @user-ym1vz1do9h6 ай бұрын

    저런 목소리를 앞장 서서 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fctk5656
    @fctk56562 жыл бұрын

    중간 중간 끊어서 보았는데 볼 때마다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전혀 낯설지 않고 새롭지 않은 우리 현실을 돌아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제는 변화해야 합니다. 더 이상 미루지 말고 할 수 있는 것을 하면 좋겠습니다. 곧 20대 대선인데 교수님의 말씀대로 교육개혁이 아니라 교육혁명의 씨앗이 뿌려졌기를 기대해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언제나 그랬듯 위기에 강한 대한민국!

  • @formylove_zip
    @formylove_zip4 жыл бұрын

    이규빈 씨 보러 왔습니다...... 뭐지 난 방구석에 앉아서 영상만 보고 있는 건데 왜 막 설레지? 왜 가슴이 뛰지?? 이규빈 사무관님..... 도대체 어딜 가야 만날 수 있는 건데요 ㅠㅠ 진심...... 2D인간 같아요 ;; 실제 존재하는 사람이 아닌 것 같음 뭐 이렇게 완벽한데...... 액정 속에서만 만날 수 있는 규빈 씨...... 액정 속이라도 좋으니까 얼굴 좀 자주 보여주시면 안 될까요

  • @user-kg3qc3wi3i
    @user-kg3qc3wi3i4 жыл бұрын

    이제 주입식 교육은 끝났고 새로운 시대에 맞지도 않습니다. 출산율도 저조하고 명문대라는 개념과 대학입시제도, 모든게 바뀌어야 할 시점은 맞는 것 같습니다. 도시에서 점심시간에 공원 없으면 쉴 곳은 카페 밖에 없죠. 그래서 점심에 카페 바글바글합니다. 도시에 건물 옆에 바로 자연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살만 하겠네요. 아울러 주5일도 코로나로 바뀌어가니 주거공간 개념도 달라지는게 맞겠네요, 우리 선조들은 누군가를 지배 개념이 아닌 교화, 치화로 함께 했습니다. 통일로 한반도가 강국이 된다면 역시 좋은 것을 공유하는 나라가 될 것임이 분명합니다! 홍익의 정신이 살아 있는 나라! 대한민국을 응원합니다!

  • @user-rt2nr9gu9m
    @user-rt2nr9gu9m3 жыл бұрын

    우리사회는 진짜360도 바뀌여야 합니다 그래야 진정한 선진국 입니다 양보다 질이라는 말이 있듯이 좋은 토론 🙏 감사합니다

  • @herennow6454
    @herennow64544 жыл бұрын

    교육혁명을 논하는 자리에 사회자 사무관님이 민사고 서울대 출신..아이러니 하면서도 씁쓸하네요 김누리 교수님이 강조하신 한국사회의 교육혁명 적극지지합니다 앞선 유현준 교수님의 새로운 공간에 대한 말씀도 흥미로웠습니다 (핱시 이후 이런 자리에서 이규빈님을 보니 반갑네요)

  • @user-gz6zc3yp4z
    @user-gz6zc3yp4z4 жыл бұрын

    초5,중2자녀를 둔 학부모입니다~교육이 미래입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서열대학을 위한 공교육의 학업중심의 경쟁사회 이제는 과감히 부수면 좋겠습니다~*대학입시폐지* 적극 찬성합니다

  •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초청 감사합니다

  • @user-kf1nd7mc8b
    @user-kf1nd7mc8b3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강의에 공감합니다.

  • @user-yg9ue5sd4j
    @user-yg9ue5sd4j2 жыл бұрын

    교육에 있어서 존엄! 인성을 중시하는 전인교육 지금까지 입시경쟁과 함께 우리가 추구해 오던 교육이념입니다! 능력 필요 없나요? 교육을 통해 자신이 발휘할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출수 있도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ㆍ그것이 꼭 대학이나 학벌을 통해서가 아니라 대안 사회교육시스템으로 이루어질수도 있는 것이지요! 정세균 후보께서 말한 학교내 주거 공원 .연구가 있는 시스템도 해볼만 하다고 봅니다!

  • @ukinene
    @ukinene4 жыл бұрын

    나른한 오후에 놀라운 성찰에 우리 아이들을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온라인 개학에 대한 아이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도 문제인것 같아요. 그만큼 학교교육에 대한 아이들의 행복감이 떨어진다는 반증아닐까요, 다시금 학교에 가는 아이들에게 '전쟁'이 아닌'평화'로 기억되는 교육정책을 꼭 만들어주세요. 완전히 다른 교육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분명.

  • @user-hx4yr7hb7u

    @user-hx4yr7hb7u

    4 жыл бұрын

    교육이 바뀌어야죠. 행복한 삶이 목표로 해야하는데 십대때는 대학교가 삶의 목표, 대학교때는 좋은회사 취직이 목표, 등등. ㅠㅠ

  • @user-cu7yd7yn6u

    @user-cu7yd7yn6u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우리아이 학교가면 1학년 때부터 뛰지도못하고 소근소근 이야시해야하니~현재 6학년 선생님들 시끄러운 꼴 못봅니다 적어도 우리때는 쉬는시간에 복도에서 놀거나 운동장에서 노는건 허락되었던것같은더~

  • @user-hx4yr7hb7u

    @user-hx4yr7hb7u

    4 жыл бұрын

    최보경 아이들도 불쌍하고 어른들도 교육비, 교육환경 신경쓰느라 인생즐기지못하고 그렇게 살아도 아이들 미래는 불안하고 어른은 어른대로 노후가 불안하고...ㅠ

  • @buddy7049
    @buddy70494 жыл бұрын

    군사독재의 잔재가 바로 대한민국교육이라고 봅니다 김누리교수님의 말씀대로 가야만 미래세대가 삽니다

  • @user-ie8fx6mb5z
    @user-ie8fx6mb5z4 жыл бұрын

    규빈 사무관님,, 따랑합니다,, 😍

  • @utamipurwopangestu5439
    @utamipurwopangestu54394 жыл бұрын

    이규빈 사무관님 너무 멋있어요 자랑스럽다..

  • @user-iu8mb7zh5k
    @user-iu8mb7zh5k4 жыл бұрын

    규빈이 잘생겼다 오구오구 내게와 규빈

  • @yalliyalla1538
    @yalliyalla15384 жыл бұрын

    이규빈사무관님 응원합니다 ㅎㅎ 안그래도 근황 궁금했는데 잘 지내고 있어 보여 좋네요~~^^♡

  • @falconb1648
    @falconb16484 жыл бұрын

    1:27

  • @Kim-ct6gm
    @Kim-ct6gm4 жыл бұрын

    두 분 교수님의 발표내용도 유익했고, 이런 정책 간담회를 통해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하는 열린정부여서 희망이 보입니다~ 총리님과 관계자분들 수고하셨습니다^^

  • @user-dj8sc8ew5u
    @user-dj8sc8ew5u2 жыл бұрын

    어쩌다 보게 되니 교육 혁명이 필요하다는걸 느낍니다~ 김누리교수님 국민들에게 많은 강의하여 주세요~!!

  • @utaripurwopangestu5509
    @utaripurwopangestu55094 жыл бұрын

    규빈님 멋있으시네요 😊

  • @user-vj6je3wq3u
    @user-vj6je3wq3u4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시청했어요 무척 좋은 내용이네요~

  • @ChunkiHong
    @ChunkiHong4 жыл бұрын

    이런 정책간담회를 원했습니다. 정책간담회의 큰 줄기들이 정책입안까지 되기를 바랍니다. 근데 아쉬운 것은 장관 몇분이 더 있어야 하지 않나 싶고...아직은 딱딱한 느낌인데..그건 총리님 개인의 문제는 아니지만 총리님께서 좀더 유연하고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해 보이네요..ㅎㅎ

  • @user-nu3tl3nn4q
    @user-nu3tl3nn4q4 жыл бұрын

    와우 도균님을 통해서 알게됨ㅇㅁㅇ

  • @user-tb4jl1ik1o
    @user-tb4jl1ik1o4 жыл бұрын

    와 보다가 깜짝놀랬네 ....보고싶었어😘

  • @user-gz6zc3yp4z
    @user-gz6zc3yp4z4 жыл бұрын

    학교 유휴공간 테라스공간들을 만든다면 햇빛잘들어오는 곳에 미니 텃밭을 실내로 들여놔도 자연친화적인 인성교육에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 @blairhjin2363
    @blairhjin2363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은 알쓸신잡때부터 말씀을 참 잘하신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이번 내용도 귀에 쏙쏙 잘 들어온것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미래의 인간 생활모습과 변하지 않는것들에 대해 건축학도로써 저도 깊이 생각해보고 상상해볼수있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