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은 대한민국을 '망국'으로 이끌 것인가? 조영태 교수의 정해진 미래 1부

#인구절벽 #조영태 #정해진미래
인구절벽은 대한민국을 '망국'으로 이끌 것인가?
조영태 교수의 정해진 미래 1부
🌿단자연 유기농 효소 - 국산 유기농인증 곡물발효 효소🌿
스틱형 파우치로 가볍게! 순수 자연 발효 효소를 통해 내 몸의 활성 에너지를 높여보세요!
화학첨가물, 방부제가 없는 완전 유기농입니다.
m.smartstore.naver.com/the_na...
👣 기능성 신발, 닥솔 👣
나에게 맞는 기능성 깔창, 닥솔을 쓰면 일상이 업그레이드 됩니다!
내 발이 원하는 나만의 인솔, 닥솔 보러가기
bit.ly/DOCSOLE5
💪 소백지향 홍삼💪
소백산의 기운을 담은 풍기인삼으로 만든 소백지향 홍삼도 꼭 한 번 드셔보세요^^
m.sbjinseng.com/
☕️ 일당백과 항상 함께하는 1kg커피~~ 쇼핑몰은 구글플레이 혹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1kg커피 검색하셔서 다운 받으셔도 되고,
www.1kgcoffee.co.kr​​​​​ 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
📚 아름다운재단📚
'열여덟 어른 캠페인'에 참여하고 싶다면?
beautifulfund.org/eighteen-se...
🥩소선당 1++ 한우🥩
최고급 한우를 합리적 가격으로! 선물 세트부터 육회까지 다양한 한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할인 행사와 일당백 광고 기념 사골 곰탕 팩 증정 행사를 진행중입니다.
smartstore.naver.com/sosundan...

Пікірлер: 530

  • @1DANG100
    @1DANG100 Жыл бұрын

    *일부 구간 오디오 이슈로 불가피하게 재업로드 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일당백을 시청해주시는 분들에게 불편을 드려 정말 죄송합니다.*

  • @user-ee9km6xj9k

    @user-ee9km6xj9k

    Жыл бұрын

    늘 감사히 듣고 있습니다^^ 스튜디오가 더 분위기 있게 변했네요. 진행자분들.스텝분들 저엉말 감사 드려요~~~~

  • @liverpooldotori1482

    @liverpooldotori148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 @user-is7gt8nv6i

    @user-is7gt8nv6i

    Жыл бұрын

    @@user-ee9km6xj9k llllĺ

  • @kyongheeseo5229

    @kyongheeseo5229

    Жыл бұрын

    @@liverpooldotori1482 ㅖ 1

  • @user-el2lv8rw2q

    @user-el2lv8rw2q

    Жыл бұрын

    괜찮아유

  • @ariskim903
    @ariskim903 Жыл бұрын

    세딸 아빠입니다. 애키울려고 투잡쓰리잡뛰고있습니다. 건강보험료 많이 나왔다고 기저귀바우쳐 50만원 회수해 간다고 하네요 애키우기 참좋은 나라입니다.

  • @yafogang9589
    @yafogang9589 Жыл бұрын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업을 가진 소수의 사람은 자유의지로 혼족이 될수 있지만 다수의 젊은이들은 현재와 장래의 경제적 불안 때문에 혼족이 될수 밖에 없습니다.

  • @etsxgrrwwsfyjjfd4462

    @etsxgrrwwsfyjjfd4462

    Жыл бұрын

    ​@jae beom kim 틀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은 망국의 절대적 로드맵. 비극적 사실은 한국의 주류는 절대 자신들 현역 당대에서 인구절벽에 대한 대책에 나서지 않는다는 것.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대책의 정책적 마지노선은 2005년 즈음해서였는데 전시적이며 도착적 대책만 남발하고 이후 모든 정권이 예산과 정책자원을 출산과 역행하는 쪽..여성노동력확충, 공공부문의 복리증진..으로 소모, 오히려 인구감소책으로 나아감. 이제 공공연한 비밀을 넘어서서 실행에 나아간 것이 이주민을 통한 인구부양. 이것은 다문화 다민족의 전통이 일천한 우리 현실로 보아 중남미와 미국식의 비극적인 사회적 인종적 계층적 격리를 가져올 것. 다만 지푸라기라도 잡는 희망으로 기대할 것은 오로지 통일인데 그것도 몰락을 지연할 뿐 너무 늦었음 . 한국의 앞날은 희망적으로 보아 한번 크게 몰락..규모축소와 그로 인한 질적 하락과 경쟁력하락에서,,해서 한국을 규모에서 압도할 동남아국가들과 최소한 질적으로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다가 다시 인구 구성에서 건강해지며 다시 일어나길 바라는 것. 그 과정은 한 세기가 넘게 걸릴 것.

  • @undaunted3202

    @undaunted320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집단 자살중이라 평가하지요

  • @sk7556

    @sk7556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은 영상 안보고 썼네

  • @user-zi7cb6np9n

    @user-zi7cb6np9n

    Жыл бұрын

    ????? 대통령 국회의원이 아이 낳지 말라고 함?

  • @uncle30boy

    @uncle30boy

    Жыл бұрын

    ​@@user-zi7cb6np9n 아이낳을 환경을 안만든거지 여야가 20년 넘게 해먹으면서 부동산못잡아 사교육못잡아 애낳아도 유치원이 부족해서 뽑기해서 보내는게 정상은 아닌데?

  • @muniwalk2944
    @muniwalk2944 Жыл бұрын

    서울 출산율이 0.6 지방이 대략1.2 입니다. 자살률도 서울이 월등히 높구요.. 우리나라의 저 출산 현상은 여러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만든 것이겠지만 우선 이미 총인구의 반이 넘어선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완화시켜야 겠지요. 동물들도 너무 모이면 이런 현상들이 일어납니다.

  • @user-xq2tg2fk5s

    @user-xq2tg2fk5s

    Жыл бұрын

    세종말고 1.2 없고만 구라를...

  • @johnLEE-pe6wp

    @johnLEE-pe6wp

    Жыл бұрын

    지방도 세종 제외한 광역자치단체는 1 미만, 전라남도 가 세종 제외하고 제일 높은 출산율인데 0.97임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Күн бұрын

    세계 어느 나라를 가보쇼... 다 국토의 좁은 부분에 몰려서 살아갑니다. 안 그런 나라 거의 없어요. 그리고 이미 너무 극적으로 인구가 줄어서 자칫... 지방 살리려고 하다가 그것도 실패하고.. 서울도 실패해서 다 같이 공멸할수 있습니다. 이미 지방은 늦었어요. 대표적인 예가 세종입니다. 저렇게 국가적인 차원에서 밀어도.. 인구30만명대이고.. 그마저도 이제 올라가는 속도가 거의 줄어들어 정체입니다.

  • @user-tf8gm1lq3b
    @user-tf8gm1lq3b Жыл бұрын

    사회 인식 전환도 필요합니다 셋째낳을때 참 곱지않은 시선을 받았는데요 넷째때는 비난까지 받았습니다. 양가 부모님의 반대와 한숨으로 시작해서 길가다. ..다 당신 자녀냐 하더니 뒷목잡던 아저씨가 있지를않나 깜짝 놀라서 아이들 민망하게 하지를 않나 식당에서 대놓고 수근거리질않나. 다자녀카페보면 이런 대접을 안받아본 가족이 없습니다 도대체 이 사회는 아이들을 어떤 시선으로 보고 있는걸까요. 대한민국은 아이를 사랑하는 나라가 아닙니다 .그런 나라에서 출산율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Жыл бұрын

    애국자시네요. 존경스럽습니다. 다들 건강하게 잘 지내시길...

  • @user-uc3ev8mh9g

    @user-uc3ev8mh9g

    Жыл бұрын

    사실 인구가 많을수록 부국강병 해지는 길인데 참… 저는 참으로 좋은 일 하신다고 생각합니다 욕하는 분들은 그냥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려보내세요

  • @user-ko9mk2nw5o

    @user-ko9mk2nw5o

    Жыл бұрын

    와.. 이래도 애를 낳는다고요? ㅎㅎ 그래도 낳으셨으면 감수하세요 ㅎㅎ 애좀 제발 낳지마세요 인구가 줄어야 지구가 쾌적해집니다

  • @user-tf8gm1lq3b

    @user-tf8gm1lq3b

    Жыл бұрын

    여러명을 케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사람도 있잖아요. 돈많고 재벌이어야만 다자녀를 낳는 건 아니라고요. 적당한 사랑을 주고 적당한 만족감도 주고 적당한 결핍도 있고. 외동을 기르는 사람은 나름의 이유가 있고 다자녀를 기르는 사람도 나름의 이유가 있거든요. 타인의 선택에 왜 그렇게 반응하는지 모르겠어요. 외동이나 두자녀보고 대놓고 하나만 낳고 애한테 이기적이다 못살아서 하나 둘밖에 못낳았냐 이런말 안하잖아요. 다자녀한테는 유독 서슴없이 그런다니까요. 아들넷인집은 특히 더 그렇게 공격받고 딸넷은 불쌍하게보고 아들셋딸하나는 딸하나 있어서 살았다고하고 딸셋 아들하나는 아들낳으려고 계속 낳았냐고하고 . 우리 윗세대들은 자원이 많아서 아이들을 낳고 키웠나요. 그래도 우리는 부모님을 사랑하고 주어진 삶에 감사하지않나요.윗분은. .인구가 줄면 지구가 쾌적해지는건 맞는데 이상태면 우리나라는 아예 없어져요.

  • @user-wn2rg5bu7k

    @user-wn2rg5bu7k

    Жыл бұрын

    아이들한텐 정말 좋겠네요. 유형 자산은 줄어들더라도 무형 자산을 많이 물려받고있네요. 물론 그걸 알아도 여건이 안되서 못낳는 부모들도 많겠지만요.

  • @user-dh8cd1pv3g
    @user-dh8cd1pv3g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미래는 정말 정해진 미래입니다

  • @user-gg3cs9jo6q
    @user-gg3cs9jo6q Жыл бұрын

    정박님 매번 대단하십니다.늘 감사합니다.잘 듣고있답니다!

  • @kml6405
    @kml6405 Жыл бұрын

    와우!! 한편에 정보의 양이 엄청나네요. 엄청 유익함 👍

  • @jipangii
    @jipangii Жыл бұрын

    진행이 항상 참 재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s9ym5nm2e
    @user-os9ym5nm2e Жыл бұрын

    답답했었는데~편안한 공간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네요~

  • @GONGRI0
    @GONGRI0 Жыл бұрын

    늘 잘 듣고 갑니다.

  • @user-kh6iq3cm2u
    @user-kh6iq3cm2u Жыл бұрын

    정박사님 을 보면 그저 존경할따름입니다 귀에 쏙쏙 대단하셔요

  • @morriconekorea
    @morriconekorea Жыл бұрын

    와~~ 이 주제 건의하고 싶었는데요~!! 넘 기대됩니다. :) 잘 보겠습니다.ㅎㅎ

  • @moonflower1100
    @moonflower1100 Жыл бұрын

    좋아요. 먼저! 낼 꼭 볼께요~

  • @user-uf5xz7ce2f
    @user-uf5xz7ce2f Жыл бұрын

    미래를 위한 우리의 삶 지구환경에 대해 다루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user-gk4be9if9z
    @user-gk4be9if9z Жыл бұрын

    정박님 견해 너무나 소중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oh3yn6ed7b
    @user-oh3yn6ed7b Жыл бұрын

    저의 최애방송입니다~ 항상 감사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

  • @cosmostrip21
    @cosmostrip21 Жыл бұрын

    오늘 에피소드 참 좋네요. 일당백 있어 주말이 심심하지 않네요. ㅎ

  • @user-wu3hk1sl5w

    @user-wu3hk1sl5w

    Жыл бұрын

    ㅔㅖㅖ

  • @_____ani
    @_____ani Жыл бұрын

    스튜디오 또 이뻐졌네요 ㅎㅎ 항상 변화하는 일당백 좋다 지난주는 시작부분보다가 어려워서 그만 ... ㅋㅋ

  • @user-vd8zf1qn2j
    @user-vd8zf1qn2j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xu1dv9tt5l
    @user-xu1dv9tt5l Жыл бұрын

    이번주도 감사합니다!

  • @user-ki7pu2mi2b
    @user-ki7pu2mi2b Жыл бұрын

    남자들도 남편 그리고 가장으로써의 삶을 거부합니다. 뼈빠지게 일해봤자 돌아오는건 조롱과 용돈 30인데 누가 결혼하나요.

  • @mc_chae
    @mc_chae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jimong2ga
    @jimong2ga Жыл бұрын

    스튜디오가 또 바뀌었네요?? 예전보다 넓고 아늑해보여서 좋긴하네요~

  • @user-wo6vs4fo3q
    @user-wo6vs4fo3q Жыл бұрын

    열심히 듣고있습니다~^^

  • @user-gg6qb8nt4x
    @user-gg6qb8nt4x Жыл бұрын

    늘 감사드립니다. 헤겔 좀더 알고싶습니다 일당백은 지식과 지혜를 전해주는 삶에 활력소입니다. 고맙습니다

  • @user-oj9yb1bm4e
    @user-oj9yb1bm4e Жыл бұрын

    연애 못 해본 사람들이 많은 데, 결혼이나 출산은 너무 먼 얘기.

  • @user-ng4hy9nh4d
    @user-ng4hy9nh4d Жыл бұрын

    구독합니다.

  • @hi772902
    @hi772902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 마이크소리가 웅웅 거리는거 같아요.

  • @user-ee9km6xj9k
    @user-ee9km6xj9k Жыл бұрын

    정박님은 ❤️입니다~~

  • @JumeoniArt
    @JumeoniArt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_^

  • @HYKim-to8nu
    @HYKim-to8nu Жыл бұрын

    젊은 애들은 티비 안봄 …그래서 유재석 강호동이 아직 나오는거임 ..완전 맞는말..

  • @user-dt3bx7uq8t
    @user-dt3bx7uq8t Жыл бұрын

    순장 인신공양 전쟁 등이 인구감축의 수단이지요!

  • @ddinggul_nyang
    @ddinggul_nyang Жыл бұрын

    정박님 정프로님 반사여신 이지선님 일당백PD님 노고에 늘 감사드리옵나이닷~^^b

  • @user-cc2jr2ib7o
    @user-cc2jr2ib7o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하고 막막한 문제는 수도권 초과밀화임. 대다수의 문제의 근원이 됨 너무 미시적으로 파고들 필요 없이 단순하게 생각해봅시다 대한민국 땅 좁지요? 한반도의 영토 절반을 북한괴뢰정권과 중국한테 빼앗기고 절반에서만 생활하려니 당연히 좁겠지요. 근데 그 좁은 땅에서도 수도권에 거주하는 인구가 대한민국 인구의 40퍼정도 됩니다. 이거 미친거에요 유고내전때 정말 잔혹하게 죽인방법이 뭐냐면요 정원50명인 작은 초등학교에 500명을 꾸겨넣고 문을 잠궜습니다. 사람들 전부 질식사로 죽었어요 한국의 수도권은 지금 질식사 직전까지 갔습니다. 모든 인프라가 수도권에만 집중되어 있고 그로인해 기업들은 수도권에만 거점을 두고있죠 그러다보니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몰리고 인구가 많으니 문화시설과 각종 편의 시설들은 또 수도권 중심으로 건설됩니다. 그럼 다시 인기가 높아시고 수요공급에 따라 수도권 부동산과 땅값은 돌아버린 가격이 형성됩니다. 수요가 많으니 당연히 물가도 타지역에비해 좀더 높겠죠? 그렇다고 모든 직장이 대기업만 있는건 아니잖아요? 생활비 집값에 비해 벌어 들이는 수입은 턱없이 부족해요 그래도 어쩌나요 서울이 살기 좋고 교육에도 좋고 시설도 많고 이미 여기서 취업했는걸? 그냥 머리깨져도 버텨보자인겁니다. 그렇게 살기가 팍팍해지고 젊은 사람들의 일자리는 줄어가니 연애 결혼? 먼나라 이웃나라 이야기 되죠 애낳는거 꿈도 못꿉니다. 나도 하루벌어 하루 먹고사는 처지인데 누굴 책임지는건 상상조차 하기 싫죠. 부모님세대는 다 버티고 살았다? 요즘 젊은세대는 그런거 못버텨요 아니 버티기도 싫어해요 그냥 포기하면 편해가 만연합니다 더불어 전세계가 기후문제로 죽니사니 그러는데 갈수록 식량생산량은 줄어가죠? 한국 식량자급률 얼마나 되나요? 지방에서 농사 지을 젊은사람들이 있을까요? 당장 식량수입 막히면 한국사람들 먹을거리 걱정부터 해야 할겁니다. 지방소멸 어차피 난 지방에 안살어 상관없어 그러시는 분들 많던데 아주 간단하게 비유해드릴게요 망한게임 서비스 종료 수순이 온갖 버그와 컨텐츠 부재 고인물화로 인해 신규유저가 줄어듭니다. 뉴비가 줄어드니 뉴비가 소비할 초반 성장미션컨텐츠와 저렙떄 아이템들은 소비가 줄어들고 고렙의 하이퀄 아이템 소비만 생기겠죠? 인플레가 찾아옵니다. 그리고 수요없는건 더이상 발전이없고 소멸되면서 기술소멸이 발생합니다. 온갖 경제 사회문제가 생기는거죠. 그리고 운영진들은 결국 비용절감과 유저수 유지를 위해 인기없는 서버는 닫고 큰 메인서버에 통합시킵니다. 잠깐 메인서버의 유저수는 늘어나고 다시 활기가 생기는거 같아요 회광반조죠 하지만 위의 문제들은 곧 메인서버도 똑같이 터지고 너도나도 접고 게임은 서비스 종료 되는겁니다. 한국이 지금 딱 그꼴이에요 수도권 과밀문제 지방문제 해결 못하면 앞으로 50년? 뒤는 없습니다.

  • @JeanLohan864

    @JeanLohan864

    Жыл бұрын

    정작 사람들은 먹고 사느라 바쁘니 정치인들이 해결하길 바라지만 진척이 없네요

  • @kay203

    @kay203

    Жыл бұрын

    비유 최고네요

  • @user-mz2jk5xf5j

    @user-mz2jk5xf5j

    Жыл бұрын

    40%아니고 50.3%입니다 수도권 40%는 2000년에 넘었습니다.

  • @user-cc2jr2ib7o

    @user-cc2jr2ib7o

    Жыл бұрын

    @@kukjinhan3314 네 자유롭게 같이 망해가는거죠 뭐~ 다들 자유 자유 외치는데 댓가없는 자유는 세상에 없습니다.

  • @hyznloco4641

    @hyznloco4641

    Жыл бұрын

    수도권 과밀화가 큰 원인인 것은 동감합니다. 헌데 그 관점이면 처음부터 이 나라는 망할 수순이었다고 봐요. 수도권 과밀화을 통해 경쟁이 생기고 좋은 서비스들이 개발될수 있었죠. 그 덕에 세계적인 나라로 올라올 수 있었던 겁니다. 수도권 쏠림현상을 지방으로 분산한다면 절대 이런 산업이 생길 수 없습니다. 한마디로 자원도 없고 시장도 없는 이 나라는 처음부터 이렇게될 수순이었던 겁니다

  • @user-xm5mx7jf3j
    @user-xm5mx7jf3j Жыл бұрын

    사활을 걸고 출산율을 잡아야합니다. 물론 연금을 깎고 의료보험을 깎는 개혁도 무조건 동반돼야죠, 이미 늦어서 생긴 부작용은 대처해야 하니까요. 깎여나가는 혜택과 비용은 어쨌든 부담해야하고, 앞으로라도 최대한 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강력한 출산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극단적으로 아이 한명당 5천만원, 1억원을 현금으로 꽂아준다고 하더라도요

  • @mrmin4007
    @mrmin4007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술집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렇게 모텔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렇게 쓰래기가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렇게 학원이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렇게 교회가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렇게 일가족 자살이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렇게 대학이 많은 나라가 드물고 이게 제정신인 나라인가 ㅎ

  • @user-fl9qn6uw2z

    @user-fl9qn6uw2z

    Жыл бұрын

    명언이다 ㅋ

  • @poorbird2023

    @poorbird2023

    Жыл бұрын

    참 풍족하다 대한민국

  • @user-xg5ke8df8y

    @user-xg5ke8df8y

    Ай бұрын

    동방예의지국은 예지녘에...잘모르겠고,국뽕교육 받은 세대, 조용한 아침의나라는 가능하겠다....

  • @TheExctshot
    @TheExctshot Жыл бұрын

    탁월한 인싸이트 입니다

  • @user-zs3ok7yz7d
    @user-zs3ok7yz7d Жыл бұрын

    저는 구독료를 낼 줄 몰라 안 나오는가...놀랐어요. 이제 세 분 목소리 들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qc3to9pk1q
    @user-qc3to9pk1q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리 생각합니다 거대한 흐름이다고

  • @pigterian
    @pigterian Жыл бұрын

    정박님❤️

  • @ROMO-bf3ek

    @ROMO-bf3ek

    Жыл бұрын

    돼지테리언님❤

  • @pigterian

    @pigterian

    Жыл бұрын

    @@ROMO-bf3ek ❤️

  • @onegood
    @onegood Жыл бұрын

    일당백 정주행 때문에 유튭 프리미엄 재가입을 고려중

  • @superhbjable
    @superhbjable Жыл бұрын

    매우 좋아하는 채널인데요 패널 한분정도 추가하시는것 추천입니다.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Жыл бұрын

    -이미 멸망이 확정된 나라다. 더이상 바라는 것도 없다, 이제는 마음의 준비를 할 때다. 욕심부리지 말고 비교질 하지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 @user-ul4ig3jg4e
    @user-ul4ig3jg4e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평균수명이60/70세에서 지금은100세 시데다보니 어느정도 맞는게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 @cocobe4youpark729
    @cocobe4youpark729 Жыл бұрын

    전통사회에서는 자녀는 노동력 제공이었기에 다자녀는 필수요소였습니다. 지금의 자녀는 30세정도까지 완벽하게 소비제입니다. 이 차이점을 알아야합니다.

  • @cocobe4youpark729

    @cocobe4youpark729

    Жыл бұрын

    결국 3인 자녀 지원이니 2인자녀이니 다 무용지물이라는 의미입니다. 1자녀를 낳아도 자녀에게 들어가는 자본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이미 1자녀에 질려있는 사회에서 20-30여성들에게는 모든 것이 지옥문인 것입니다. 차라리 1자녀에게 압도적인 지원금 현금살포 정말이지 어떻데 생각해도 낳을만하다는 인식을 줘야겠죠. 그리고 1자녀를 낳은 부부에게 2자녀를 홍보해야합니다. 더 강력한 지원이 있음을 대대적으로 알려야겠죠. 2인 지원이니 3인지원이니 다 무쓸모입니다. 1자녀도 안낳고0.7프로를 왔는데 정책은 2자녀 3자녀는 정말이지 행정편의주의입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 @user-dx1wv7cs9p

    @user-dx1wv7cs9p

    Жыл бұрын

    결혼을 안하는거 자체도 문제죠

  • @ebook4you
    @ebook4you Жыл бұрын

    이지선 성우 너무 좋아 ㅎㅎ 역시 오디오가 중요한 유튜브에서는 성우 출신이 한명 있어야 큰 도움이 되는듯

  • @user-ch6cm7ii9l
    @user-ch6cm7ii9l Жыл бұрын

    아름답다

  • @named_JISU
    @named_JISU Жыл бұрын

    저출생 문제는 imf가 제일 큰 직격탄이었던거 같다

  • @estherkwon7201
    @estherkwon7201 Жыл бұрын

    전 젊은 세대도 아니지만 TV보다 유튜브를 더 많이 봅니다. 나이보다는 개인 취향이 아닐까요 ㅎㅎㅎ

  • @han7594
    @han7594 Жыл бұрын

    빌게이츠의 모기멸절 프로젝트와 이번 mrna백신은 상관이 없을까요?

  • @dfas8115
    @dfas8115 Жыл бұрын

    지금의 한국이 너무 심각한 상황임. 결혼을 안 하는 이유가 적은 급여가 1차인 이유지만 분명히 급여수준이 높은데도 이 정도급여면 혼자사는게 차라리 훨씬 편하겠다는 이유로 결혼을 안 하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을 거임. 세상이 편리해졌고 미혼을 결점으로 보는 세상도 아님. 그러므로 급여가 수년후에 간신히 높아져도 출산율은 계속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함. 남자가 모든 걸 책임지는 이런 문화도 별로 달라진 것이 없고 여자는 계속 눈이 높아지고 있음. 문화는 달라지는 것이 없고 서로 펀안함만 추구하니 결국은 무서운 속도로 인구가 감소할 거임. 서양전문가들이 경고하는 것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생각함.

  • @jihyeonchoi3671

    @jihyeonchoi3671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몸도 마음도 죄다 더럽혀질대로 더럽혀진 걸레짝들이라는거임 사랑은 다 죽었으니 뭔 사랑이 싹트겠음 어떻게든 결점잡고 약점잡아서 물어뜯는데 헬조선식 사회인데

  • @user-xd1kd1cn8c

    @user-xd1kd1cn8c

    Жыл бұрын

    남자가 모든걸 책임진다고 말하는데서 왜 출산율 떨어지는 지 알수 있습니다 정말로 남자가 모든걸 책임졌다면 여자들은 출산하려고 눈 벌개져 있을겁니다 ^^ 애 낳으면 누가 완전 인생 책임져주는데 왜 안낳겠어요? 그러나 한국은 단 한번도 남자가 모든걸 책임인적 없음 옛날에 농사는 여자도 같이 지었고 님이 학교에서 본 급식 아줌마들, 가게의 캐셔들, 주방아줌마들은 분명 힘든 노동을 하고 있는데 집에서 노는 여자 취급을 받았을뿐이며 젊은 세대 대부분이 맞벌이함

  • @user-vn7gq7ge6q

    @user-vn7gq7ge6q

    Жыл бұрын

    ​@@user-xd1kd1cn8cㄹㅇ 진짜 결혼이 여자한테 좋은거면 남자들이 권할리 없음 그들처럼 이기적인 종족들이.

  • @user-hc1cr1uc2p
    @user-hc1cr1uc2p Жыл бұрын

    기득권들 노예 없어질까 걱정되나 보구나 그러니 작작했어야지

  • @user-xg5ke8df8y

    @user-xg5ke8df8y

    Ай бұрын

    노예?지금 대한민국에 노예가 어딨어?거지발싸게근성이겠지,

  • @user-zp6sb1lg7p
    @user-zp6sb1lg7p Жыл бұрын

    상대방에 대한 편견도 그런 오만함도 이겨낼 자신감이 없었던 젊은 시절의 나는 비혼을 선택했고 지금 만날 이성조차 없음. 눈높이가 너무 차이 나는 것에 대해 받아야 할 상처가 심함. 상처뿐인 이성관계는 삶을 피곤하게 만들던데, 이제는 이성을 봐도 더 이상 아무런 감정도 느껴지지 않네요. 어쩔 수 없음. 애를 어떻게 만들겠어.ㅎㅎ

  • @lsrhaus

    @lsrhaus

    Жыл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 @user-dk7ue8zq6v

    @user-dk7ue8zq6v

    Жыл бұрын

    선택적 무성애자가 됐군요 스님잼

  • @user-zp6sb1lg7p

    @user-zp6sb1lg7p

    Жыл бұрын

    무성애자는 어떤 의미인지?? 세상을 단순하게 보실려는지^^

  • @lupin4419
    @lupin4419 Жыл бұрын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이 온다' 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mensa4553
    @mensa4553 Жыл бұрын

    다른 해법 다 소용없고 집값만 지금의 반값으로 떨어져 유지되면 출산율 무조건 올라갑니다. 바꿔 말해 집값이 지금 수준이라면 그 어떤 정책을 쓰더라도 인구감소는 더욱 가속화됩니다.

  • @user-bc3cp5io8k
    @user-bc3cp5io8k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아! 당파싸움 그만하고, 저출산 고민해라~~^-^ 망국이 멀리 있지 않다.

  • @paracordisuseful47
    @paracordisuseful47 Жыл бұрын

    인구관련 사항들을 미시적으로만 접근하는 사람들이 보고 거시적으로 보며 입체적 관점을 키우기 위해 좋을 영상이네요. 정박님 영진형님 지선누님과 일당백 관계자 일동께 감사드립니다.

  • @user-rz9hs9lj9f
    @user-rz9hs9lj9f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누칼협?

  • @runweightcdw
    @runweightcdw Жыл бұрын

    정해진님 프로그램에 잘 어울려요.

  • @slsl_75
    @slsl_75 Жыл бұрын

    헤겔은 안왔지만 일당백 무슨 책을 들고오셔도 다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ddinggul_nyang
    @ddinggul_nyang Жыл бұрын

    해바라기도 가끔 목이 아프지만,해님 바라보기를 멈추지 못할 것같습니닷(❤️^^❤️)/

  • @user-gd6uy1ez7f
    @user-gd6uy1ez7f Жыл бұрын

    헤겔 꼭 해주세요!! 칸트도 이어서 부탁드려요 엉엉 ㅠㅠ

  • @user-zf5ck6vk3c
    @user-zf5ck6vk3c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인구가 늘어나면 그 해당세대에게 과연 좋을까?

  • @rheechurch
    @rheechurch Жыл бұрын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현상적인 결과만 보면 안된다. 오히려 저출산와 인구가 줄어드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이다. 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이 노인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과 미래세대의 감소라는 두 축으로 보아야 한다. 즉 노인인구의 감소와 저출산은 쾌적한 환경과 삶의 질과 연계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고령화 인구의 증가, 미래세대의 급격한 감소에 따른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단지 오늘을 존재하는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언급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전체적으로 대한민국의 암울한 미래로 나아간다는 점을 보아야 한다. 이 부분을 간과한 것 같다. 동시에 국민이 행복하게 그리고 풍요롭게 살도록 정치 경제 사회가 발전되면 저출산이 해결되겠지만, 지금처럼 국민의 삶이 불안할 정도로 정치 경제 사회가 위기상황을 몰아가면, 저출산은 재정적 투입과 무관하게 해결가능성이 사라질 것이다

  • @hkin75
    @hkin75 Жыл бұрын

    일당백 나만 듣고싶은데 흥했으면 좋겠구

  • @choesiu
    @choesiu Жыл бұрын

    일본 청년의 마음도 이랬을까? 망국이란 미래를 살아가는게 참 두렵다.

  •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Жыл бұрын

    그런 일본조차도 대한민국보다 출산율이 높고 자살률이 낮죠.

  • @hyznloco4641

    @hyznloco4641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지금 우리나라를 궁금해함 ㅋㅋㅋㅋㅋㅋ 지들이봐도 신기하거든

  • @user-xq9xi4zq1q

    @user-xq9xi4zq1q

    Жыл бұрын

    일본이 한국보고 미래설계함 ㅋㅋ 한국이 일본보다 인구학 저출산학적으로 멀리가있는 나라임

  • @choesiu

    @choesiu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저출산 1등 하기 전에 1등은 일본이었습니다.

  • @ssp2175
    @ssp2175 Жыл бұрын

    👍🏻👍🏻👍🏻👍🏻👍🏻

  • @user-ov1fi7uv4q
    @user-ov1fi7uv4q Жыл бұрын

    옳고 그른것보단 다르다라는 표현이 이번 주제에 꼭 맞네요.. 하지만 100년 200년 뒤의 결과는 이대로 간다는 전제조건하에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존재하지 않겠구나 라고 생각합니다.. ;;

  • @user-kp9wy9bm8s
    @user-kp9wy9bm8s Жыл бұрын

    국민연긍에 관해서 정프로 생각에 1만 퍼센트 동감합니다. 저는 50대 중반이지만 우리 자녀 세대를 생각하면 딱합니다.

  • @user-gc1of1dx9h

    @user-gc1of1dx9h

    Жыл бұрын

    주변 교육 좀 시키세요.

  • @uncensored6016
    @uncensored6016 Жыл бұрын

    안낳는거보다 안죽는게 진짜 문제다 퇴직하면 집팔고 도시 외곽으로 나가줘야 젊은 사람이 들어와서 살면서 일을 할텐데 노인들이 죽지도 않고 알박고 있으면서 집값은 갈수록 비싸지고 그러다 보면 애낳고 살기 힘들어지지

  •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Жыл бұрын

    정확한 얘기를 해주셨어 은퇴를 하면 지방이나 도시외곽으로 이동하고 시내중심부로 젊은이들이 들어와 왕성한 경제활동 해야되는데 늙은이들이 꼼짝않고 버티고 있으니 (지하철 꽁짜가 최악의 부작용)

  • @user-vu3ev1rz5w

    @user-vu3ev1rz5w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핵심 포인트

  • @user-ul8nr8es7f
    @user-ul8nr8es7f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은 금리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분도 있던데... 금리가 낮으니 열심히 일해서 돈을 모을수 있다는 희망이 사라져 젊은이들이 일보다는 가상화폐등 일확천금을 꿈꾸고 낮은금리로 건물의 가격이 급등함으로 건물주가 우상이 되어버린 현실이 문제라 합니다. 예금으로 노후를 준비했던 노인층의 몰락등... 금리가 올라야 이 문제가 해결될수도 있다

  • @peaceandlove629
    @peaceandlove629 Жыл бұрын

    돈 부동산보다 가치관이 바뀌었고 경쟁위주 사회가 문제인듯해요. 복합적 문제~

  • @user-nz1gz9qt2r
    @user-nz1gz9qt2r Жыл бұрын

    스웨덴은 영토가 남한보다 넓은데, 인구는 천만 명입니다. 그 나라가 망했나요?? 망하는 이유는 인구 때문이 아니라 그 땅에 사는 사람의 의식 수준 때문이겠지요.

  • @cat_lover007

    @cat_lover007

    Жыл бұрын

    Yes 👏👏👍👍👍

  •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Жыл бұрын

    포루투갈 국가가 한국과 거의같은 면적, 총인구= 1,100만명.

  • @Gaella_Jun

    @Gaella_Jun

    Жыл бұрын

    인구 구조가 중요한거죠 절대적 인구의 수가 아니라요 5000만에 맞추어진 인프라와 5000만이 낸 빚, 그 5천만의 반 이상이 부양대상이 되면 이야기가 달라지죠 숫자가 중요한가요? 생산가능인구수 대비 부양인구와 부채규모의 문제죠

  • @user-ip8uj7vy2d

    @user-ip8uj7vy2d

    Жыл бұрын

    스웨덴 천연자원 비교불가. 걍 한국은 더 줄어야됨

  • @jks9110
    @jks9110 Жыл бұрын

    한강의 기적이라는 댓가가 결국 이런 기형적인 사회구조와 저출산을 낳은 것 같습니다. 경제성장을 기적적으로 빨리 했다고 좋아한만큼 그 부작용이 어마어마하지요.

  • @swy2499
    @swy2499 Жыл бұрын

    저출산 대책이랍시고 예산 낭비말고 저녁이 있는 삶은 아이를 위해서도 사회 전체가 공감하는 분위기로 가야한다 아이는 학원으로 돌고 부모들은 맞벌이 아님 답이없고 가정이 점점 파괴되고 가계 지출도 악순환의 연속 ㅠ 누가 아이를 더 나을 용기를 가질까

  • @jiniqeee
    @jiniqeee Жыл бұрын

    개인의 삶이 중요한데, 국가는 '국가이기주의'.

  • @user-gh2od3hb3m
    @user-gh2od3hb3m Жыл бұрын

    대책이 없다면 대비라도 해야되는데 아직도 심각성을 모르는듯.....상위 10%야 상관없지만 나머지는 노예로 살거나 외국으로 나가야할 듯....

  • @lsrhaus

    @lsrhaus

    Жыл бұрын

    이미 나옴

  • @hyznloco4641

    @hyznloco4641

    Жыл бұрын

    대비할수있는 골든타임은 이미 지난지 한참임ㅋㅋㅋㅋ 이미 걷잡을 수 없으니 개개인은 후세에게 되물림하지 않으려는것

  • @jambread848
    @jambread848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지난 20년동안 아주 잔인하게 젊은이들을 버렸음. 이제 젊은이들이 한국을 버리는 때가 온 것임. 한국은 그 댓가를 치뤄야 함 ㅋㅋㅋㅋㅋㅋ

  • @lsrhaus

    @lsrhaus

    Жыл бұрын

    와 개사이다 ㅋㅋㅋ 벌써 저는 버림

  • @jambread848

    @jambread848

    Жыл бұрын

    @@lsrhaus 제가 이명박때 취업에 고생하고 취업해도 턱없이 적은 월급이라 절망하면서 느꼈던 겁니다. 아 한국 지배자들 한국 기업주들이 작정하고 한국의 젊은이들을 피빨아 먹고 내버리기로 작정한 거구나… 하고요. 그걸 알고 나서 저는 이민을 준비해서 이민했습니다. 한국에서 태어났다고 한국에서 죽어야 하는 건 아니니까요.

  • @user-ml5vo5wx5o

    @user-ml5vo5wx5o

    Жыл бұрын

    백프로 공감합니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젊은이들 청년을 버렸죠. 지들은 무스팩 화염병 놀자판 2점대 학점에 삼국대급 잡대학벌로 내노라하는 대기업 정규직 일자리 꿰차고는 새로운 세대 젊은 청년들은 초고스팩 서연고서성한학벌조차 그냥 인턴이니 계약직이니 비정규직 저임금 일자리로만 쓰다 버리고 집값은 또 오지게 올려 놓고 좋은 자리는 강원랜드나 국민은행, 하나은행처럼 빽으로 다 자기자식들로만 채워 넣고 자기 조그만 이익을 위해 사회가 망가지든 국가가 몰락하든 내 알바 아니다하며 극단적인 이기심으로 개판 쳐놓고서는 이제와서 저출산이다 인구감소다 앓는 소리하는 건 참 웃기는 일이죠.

  • @user-iv1eo7ir5w
    @user-iv1eo7ir5w Жыл бұрын

    인트로 드립 미쳤네ㅋㅋㅋㅋ

  • @gangchanhyeog

    @gangchanhyeog

    Жыл бұрын

    고등학생인데 어질어질 했습니다

  • @yeolyj5023
    @yeolyj5023 Жыл бұрын

    세종시는 출산률이 높습니다. 왜그럴까요? 아이를 키우기위한 환경과 경제적 안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 @never-er

    @never-er

    Жыл бұрын

    선후가 바뀌었네요. 환경과 경제적안정을 가진분들이 세종시로 간것 뿐입니다. 정부부처가 세종에있으니 공무원들이 세종시로 몰려간거지요. 그분들 빠지면 세종시 출산율은 다시 몰락합니다. 세종시가 출산하기 좋은도시라서 출산율이 높은게 아니죠

  • @user-gh2od3hb3m

    @user-gh2od3hb3m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이야 출산,육아휴가 자유롭잖아요

  • @user-mlk9em25tzy

    @user-mlk9em25tzy

    Жыл бұрын

    높아봤자 1.03정도아님? 일본이 1.3이구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 @kay203

    @kay203

    Жыл бұрын

    @@user-mlk9em25tzy 1.5 정도로 알고있어요. 그것도 OECD 평균에도 못미치긴 하지만 그래도 한국평균에 비해선 엄청 높고 서울 0.5에 비하면 3배죠

  • @jindao600
    @jindao600 Жыл бұрын

    살기 좋아지면 출산율은 다시 오르겠죠 살기 척박하니, 약한 놈은 자살하거나, 출산을 안하거나. 지구도 망가졌는데 출산율 저하는 희소식일지도..

  • @lsrhaus

    @lsrhaus

    Жыл бұрын

    이집트와 인도가 있어서 저하 걱정 노노

  • @user-pe2nl9kc9z
    @user-pe2nl9kc9z Жыл бұрын

    🐗🍻국보 이지선. . 💝💗💘

  • @ohmaohmaoma
    @ohmaohmaoma Жыл бұрын

    지선님은 못참지 ㅋ

  • @user-wz5bc2nt9i
    @user-wz5bc2nt9i Жыл бұрын

    육아휴직도 눈치보면서 써야하는 사회에서 애낳고살길 바라는게 무리아닐까요? ㅎ

  • @user-fi1ie4yj6z

    @user-fi1ie4yj6z

    Жыл бұрын

    그럼 눈치봐야지 너가사장이냐 변신육갑같은소리하고있네 그전에 애기낳았던 부모들은 떳떳하게낳았냐 직원이면 당연히 눈치봐야지 사장이 눈치보리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Жыл бұрын

    @@user-fi1ie4yj6z 저출산 기여도 200% 김종운씨

  • @user-ip8uj7vy2d

    @user-ip8uj7vy2d

    Жыл бұрын

    ​@@user-fi1ie4yj6z이딴소리하는게 기득권틀니세대. 걍 빨리 저세상 가라 느그아들딸 출산휴가 쓰지말고 꼭 다음날 바로 출근시켜라

  • @gambit_7285

    @gambit_7285

    7 ай бұрын

    @@user-fi1ie4yj6z그전엔 여자가 일을안했잖노 ㄱㅔ이야... 이젠 맞벌이해야 가정 먹여살릴수있는 미친사회인데 ㅋㅋ

  • @user-zr2hs6hj9n
    @user-zr2hs6hj9n Жыл бұрын

    어딘가에서 본 글인데 출산률이 높은 남미의 가난한 나라 어려서 성에 노출이 많이 된다고 벽이 없거나, 방음이 안되거나 해서

  • @user-ze9iw3qg2v
    @user-ze9iw3qg2v Жыл бұрын

    인구가 국력이자 경제력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구는 줄어들면서 적정한 수준에서 유지는 되겠지만 일본, 중국이 근처에 있는데 과연 우리에게 방어 여력이 있을까요???

  • @kjblueskyjp

    @kjblueskyjp

    Жыл бұрын

    한국 여자들에게 의무적으로 아이를 많이 낳도록 강요할수는 없으니 외국인 이민을 대량으로 받아 들이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 입니다. 특히 다산으로 유명한 중동 이슬람인들 인도인들 필리핀인들 인도네시아인들 베트남인들등 보통 아이들을 12명씩 낳는 나라의 사람들을 대량으로 이민 받아 들이면 한국 인구문제 금방 해결할수 있어요

  • @user-li4mw1hz8u

    @user-li4mw1hz8u

    Жыл бұрын

    개인이 먹고 살기 힘든데 국가 걱정을 왜 하나요?

  • @gangtheo6313

    @gangtheo631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이미 인구가 줄어드는게 오래됬고 고령화도 세계최고수준 중국은 한국보다 빨리 고령화로 달려가고있음 아마 미래에 노인만 수억일거임 동북아는 다같이 빠르게 늙어서 죽을거임

  • @shownow1552

    @shownow1552

    Жыл бұрын

    @@user-li4mw1hz8u 개인이 먹고 살기힘든게 국가를 그렇게 뽑아놨었잖아요...ㅋㅋㅋ 그 수준에 맞게 지도자를 뽑고 출산률 0.7 찍게해줬죠

  • @waterboy7356

    @waterboy7356

    Жыл бұрын

    없습니다...당장 10년후면 군대 지금 반토막입니다...

  •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Жыл бұрын

    흔적 풍년 투척 툭 데굴데굴 엎드려 터진다 빵

  • @Sylvia-cb4bd
    @Sylvia-cb4bd Жыл бұрын

    2300년에 6만명이 남던 6천명이 남던 내가 먹고 사는게 더 큰 문제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Жыл бұрын

    90년대 초반만 해도 애 셋 낳으면 혀 끌끌 찼어요 산아제한 정책으로 셋째는 출산시 건강보험 혜택도 못 받았죠

  • @user-pk1ud7uq4v
    @user-pk1ud7uq4v Жыл бұрын

    새로 들어서는 정부들이 대선공약과는 달리 일찍 포기하는 느낌이 든다.

  • @jhshim8372
    @jhshim837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몇십년전 까지만해도 아이적게 낳자고 인구절벽 전혀 예상치도 못했는데 앞으로의 미래도 어떻게 될지모르는거 아닐까 싶음

  • @user-tl8ip2yq2i
    @user-tl8ip2yq2i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대한민국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저출산"

  • @yhh9425
    @yhh9425 Жыл бұрын

    뭐든지 빨라야 직성이 풀리는 가

  • @user-ft7th2yi9e
    @user-ft7th2yi9e Жыл бұрын

    최재천교수님의 결론은... 지금은 아이낳기어려운게 사실이나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이 본능이기 때문에 지금보다 조금만 더 아이낳기 좋은 사회를 만든다면 아이를 다 낳아 키우게 될것이라는 것이었어요.

  • @jasonpark6589
    @jasonpark658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글렀어요 정치인들이 정신못차리고 지들 밥그릇 싸움질이나 하니 말이에요

  • @StandardDrawing
    @StandardDrawing Жыл бұрын

    요즘은 헤겔님보단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주류인 사회인것 같습니다.. ㅎㅎ 몇년동안은 그럴거같아요

  • @user-co3ee8xm9d

    @user-co3ee8xm9d

    Жыл бұрын

    헤겔하고 같은 대학에서 강사하다가 헤겔의 명성에 밀려 그만두었던 쇼펜하우어는 "인류가 낳은 철학자 중 가장 비양심적이고 후안무치한 헤겔"이라고 하였지요

  • @StandardDrawing

    @StandardDrawing

    Жыл бұрын

    @@user-co3ee8xm9d 근데 비판적으로 보면 질투가 너무 심해보이네요! ㅎㅎ 코로나이전 시대엔 한국에서도 헤겔처럼 다재다능한 사람에게 시선이나 관심이 많이 쏠렸던것 같은데 지금은 사회적 트랜드나 문화 등이 상당히 많이 바뀌고 있는것 같습니다..

  • @StandardDrawing

    @StandardDrawing

    Жыл бұрын

    @@asdsdddds 일단 서로 싸우는건 좀 멈추고 imf때처럼.. 지금 단합해야할때라고 생각합니다

  • @user-co3ee8xm9d
    @user-co3ee8xm9d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의문이 풀렸네요. 나도 가끔 나는 Neanderthal의 아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왔는데 역시나. 나쁜남자, 상남자들이 네안데르탈 성분이 많은 듯 ㅎ

  • @user-tx2zm3nc2i
    @user-tx2zm3nc2i Жыл бұрын

    일단 과거와 같이 외벌이로도 생활 자녀교욱 집을 살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