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마의 마지막,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긴급한 과학 뉴스만 찾아서 확실하게 알려드리는, [긴급과학]!
오늘의 주제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한 방 정리하기 위해,
시공을 넘나드는 속도와 딕션의 궤도가 직접 다뤄봤습니다!!
#페르마 #정수론 #여백 #앤드류와일즈 #358년
◆ Thanks to
Written and Directed by Orbit
Editor: RM Bom
Illustrator: Gothic Kim
Reference:
[1] Barner, Klaus. "Paul Wolfskehl and the Wolfskehl prize." Notices of the AMS 44.10 (1997): 1294-1303.
[2] Cox, David A. "Introduction to Fermat's last theorem."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1.1 (1994): 3-14.
[3] Goldfeld, Dorian. "Beyond the last theorem." Math Horizons 4.1 (1996): 26-34.
[4] Wiles, Andrew. "Modular elliptic curves and Fermat's last theorem." Annals of mathematics 141.3 (1995): 443-551.
[5] Cornell, Gary, Joseph H. Silverman, and Glenn Stevens, eds. Modular forms and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6] Ribet, Kenneth A. "From the Taniyama-Shimura conjecture to Fermat's last theorem." Annales de la Faculté des sciences de Toulouse: Mathématiques. Vol. 11. No. 1. 1990.
[7] Bell, Eric Temple. The last problem. Simon and Schuster, 1961.
[8] Buhler, Joe, et al. "Irregular primes and cyclotomic invariants to four million." mathematics of computation 61.203 (1993): 151-153.
[9] Singh, Simon, and David Rintoul. Fermat's last theorem. London: Fourth Estate, 1997.
[10] Cornell, Gary, and M. Rosen. "Cohom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 group extension problem." Proceedings of the Queen’s Number Theory Conference, 1979. 1980.
[11] Edwards, Harold M. "The background of Kummer's proof of Fermat's last theorem for regular primes." Archive for History of Exact Sciences 14.3 (1975): 219-236.
[12] Edwards, Harold M. "Postscript to “The background of Kummer's proof...”." Archive for history of exact sciences 17.4 (1977): 381-394.
[13] Greenleaf, Newcomb. "On Fermat's equation in."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76.7 (1969): 808-809.
[14] Ireland, Kenneth, and Michael Rosen. "A Classical Introduction to Number Theory. Number 84 in GTM." (1990).
[15] Leopoldt, Heinrich-Wolfgang. "Zur Struktur der l-Klassengruppe galoisscher Zahlkörper."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199 (1958): 165-174.
[16] Ribenboim, Paulo. 13 lectures on Fermat's last theorem.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79.
◆ Video
The Abel Prize interview with Andrew Wiles( • Andrew Wiles - The Abe... )
Andrew Wiles, Curves of Genus One( • Video )
Beauty Is Suffering [Part 1 - The Mathematician]( • Beauty Is Suffering [P... )
Oxford Mathematics London Public Lecture - Andrew Wiles in Conversation with Hannah Fry( • Andrew Wiles talks to ... )
Testing NO BORAX Slime Recipes! How To Make Slime Without Borax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 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creativecommons.org/licenses/b...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Storm Time - Muciojad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1 200

  •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4 жыл бұрын

    경이로운 댓글을 생각하였으나,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여기까지만 적겠습니다ㅋㅋㅋ

  • @redsa87

    @redsa87

    4 жыл бұрын

    @Mi Se 여백에 없어서요

  • @scoutidea

    @scoutidea

    4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여백ㅋㅋㅋㅋㅋㅋㅋ

  • @user-bo4fk3vi8k

    @user-bo4fk3vi8k

    4 жыл бұрын

    경이로운 답글을 생각하였으나,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서 여기까지만 적겠습니다ㅋㅋㅋ

  • @user-nm8cb1ix2p

    @user-nm8cb1ix2p

    4 жыл бұрын

    한글어휘 - 한국사, 중국사, 지식 저는 선생님의 질문을 경이로운 방법으로 증명했지만 신경계에 여백이 남지 남지 않아 대답할 수 없습니다.

  • @whale9778

    @whale9778

    4 жыл бұрын

    @민범륭 SWAG~

  • @user-yi5ii5wz8k
    @user-yi5ii5wz8k4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연인과 헤어지고 자살을 결심한 마당에 왜 수학책을 보는거죠? 마지막 치맥을 포기하다니 공부쟁이들의 세계는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난제 중의 난제랄까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뭔가 수학자의 swag인듯해요ㄷㄷ

  • @lemontea9735

    @lemontea9735

    4 жыл бұрын

    일반인들한테 치맥이 기쁨을 주듯이 수학자들한테 더한 기쁨을 주는게 수학이라서 일종의 마지막 작별이라고 할까나

  • @user-vk1jz7tw4o

    @user-vk1jz7tw4o

    4 жыл бұрын

    누군가는 먹기위해 살고 누군가는 살기 위해 먹는 차이겠죠 그리고 서양에서는 치킨을 아주 쓰레기 음식으로 봅니다 이정도 상식은 있을건데 무시하고 댓글 다는걸 보면 국뽕에 취해서 사는 분이겠죠 국뽕 그것은 독약입니다 쳐먹으면 뒤져요

  • @user-wi4pj4hk4z

    @user-wi4pj4hk4z

    4 жыл бұрын

    @@user-vk1jz7tw4o 님은 뇌에 뽕 맞았음? 말을 참 니나노 같이 하네.

  • @KimBBiGGu1234

    @KimBBiGGu1234

    4 жыл бұрын

    @@user-vk1jz7tw4o 아아.. 그래서 내가 독일갔을때 치킨집이있었구나..

  • @Kelthica
    @Kelthica4 жыл бұрын

    보통사람 = 와 문제를 풀었다 이제 푹 놀아야징! 헤헷! 수학자 = 와 문제를 풀었다! 새로운 문제를 내놓아!

  • @gansa3490

    @gansa3490

    4 жыл бұрын

    구독자: 어서 새로운 영상을 내놓아!

  • @user-ri7cm5up5q

    @user-ri7cm5up5q

    4 жыл бұрын

    관조자: 경험치 15억을 내놔

  • @user-ov7qy6nm1t

    @user-ov7qy6nm1t

    4 жыл бұрын

    보통사람은 수능 끝나면 수학문제 안품

  • @user-lc9vq3ey9v

    @user-lc9vq3ey9v

    4 жыл бұрын

    보통사람 = 좀 쉬어볼까?(컴퓨터 킴) 컴퓨터중독자 = 좀 쉬어볼까?(컴퓨터 끔)

  • @mobin7981

    @mobin7981

    4 жыл бұрын

    @@Nasdaq_QQQ 흠 어려운 문제가 삶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대학교수,학자면 딱히 먹고살 걱정은 안해도 되잖아요.

  • @user-lf4yg7pe4s
    @user-lf4yg7pe4s4 жыл бұрын

    매번 잘 보고 있어요 ㅎㅎ 평소에 궁금했던 것들 다시 한 번 쉽게 정리해서 보는 게 좋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매번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user-wo3mt1tp7p
    @user-wo3mt1tp7p4 жыл бұрын

    2:27 아니 여기서 부터 자막이랑 나레이션이랑 다른게 왜이리 웃김ㅋㅋㅋㅋㅋㅋㅋ

  • @jds111111

    @jds111111

    3 жыл бұрын

    오이 🥒 대한 고민이 심각해져서

  • @nerojung1292
    @nerojung1292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으로 지나가던 문과를 잡아세우고 , 저녁내내 영상클릭,결국 구독하게 만든 마성의 채널, 이해력딸려도 재밌고 자꾸 빠져드는 매력이 있네요. 보고나면 전보다 똑똑해진 느낌 ㅋㅋ 영상제작에 시간소요가 상당할 듯, 즐겁게 봤어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2 жыл бұрын

    우와 영광스러운 후기 감동입니다 :) 앞으로도 안될과학 많이 사랑해주세요!

  • @find887

    @find887

    Жыл бұрын

    저와 같은 루트로 들어오셨군요. 양자역학은 이제까지 기와 영혼의 영역을 수학적이고 과학적으로 풀어낸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인간의 몸은 입자의 세계에. 기와 영혼은 파동의 세계에 속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 @gyeongilkwak4611
    @gyeongilkwak4611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정말 흥미진지한 주제였습니다. 이렇게 쉽게 설명해 주시는 분은 당신 뿐! 다음편 기대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크흑 극찬!!! 감사합니다 :)

  • @creativemonk6721
    @creativemonk67214 жыл бұрын

    수학이 대단한 건 아이디어인 것 같아요! 저 짧은 식에서 출발하여 대수기하학까지ㅋㅋㅋ 공학수학 배울때 '와 이게 같은 사람인가' 생각했던 위대한 수학자들 이름이 많이나오네요. 르장드르,코시,가우스 등..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진짜 멋진 분들이에요!

  • @eunell

    @eunell

    4 жыл бұрын

    정말. 천재이냐 아니냐를 가르는 가장 큰 부분은 창의력인 거 같아요

  • @zcxxxfgfg921

    @zcxxxfgfg921

    4 жыл бұрын

    +오일러

  • @_HoPPang_
    @_HoPPang_4 жыл бұрын

    와 헐 이거 진짜 엄청 궁금했었는데 속 시원하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진짜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user-mw6ln3vq8x

    @user-mw6ln3vq8x

    4 жыл бұрын

    파워무비 보시며누단 몇초만에 초스피드로 정리해줌 ㅋ

  • @elkein99
    @elkein994 жыл бұрын

    페르마 이분 참 난분일세.... 300년간 수많은 천재들을 고통속에 살게만들었어 ㅋㅋㅋㅋ 진짜 악마다 ㅋㅋㅋ

  • @mattori394

    @mattori394

    4 жыл бұрын

    찐 악마 그는 대체

  • @hyunbok

    @hyunbok

    4 жыл бұрын

    '악마도 못풀 난제'를 던지고 갔으니 뭔지는 몰라도 아마 악마 그 이상일 겁니다.

  • @user-us9ux5dh6k

    @user-us9ux5dh6k

    4 жыл бұрын

    이젠 리만가설 있음

  • @ohmytrance

    @ohmytrance

    4 жыл бұрын

    @@user-us9ux5dh6k 아아 리만가설

  • @user-be4vj4rn8j

    @user-be4vj4rn8j

    4 жыл бұрын

    @@user-us9ux5dh6k 사탄 실직

  • @user-vq3qs1tf6n
    @user-vq3qs1tf6n4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평소에 관심있던 문제였는데 경이로운 영상이군요

  • @hsc92id
    @hsc92id4 жыл бұрын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관련된 서적을 3번이나 읽었지만 솔직히 이 영상이 가장 이해하기가 쉬운 것 같습니다 ㅋㅋㅋ 역시 긴급과학이 가장 좋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크흑 영광입니다 :) 앞에서 3번을 읽으셔서 이번에 이해가 쉽게 되신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멋져요!

  • @dev_1ingame

    @dev_1ingame

    4 жыл бұрын

    저도 마찬가지 입니다 학교에서 조사해서 발표 했는데 완전 내용이 다 들어간 영상 같아요

  • @dyshin3357
    @dyshin33573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과제로 조사하는 중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책으로만 접하니까 흐름을 도저히 알수가 없었는데 재미있게 이야기로 풀어내시니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그리고 프라이 곡선이라던지 다니야마-시무라 추측 같은거 읽으면서 대체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몰랐었는데 수학적으로 어떤 쓰임인지 핵심만 잡아주시니 더 간결하게 다가오는 느낌입니다! 덕분에 수학에도 이런 흥미로운 역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user-qe6km1hz2v
    @user-qe6km1hz2v3 жыл бұрын

    6:34 이게 초딩판 페르마 마지막정리네ㅋㅋㅋㅋㅋㅋ

  • @user-wp9zn4ln2e

    @user-wp9zn4ln2e

    3 жыл бұрын

    이해 바로되노ㅋㅋㅋ

  • @user-zz4ct6sz8d

    @user-zz4ct6sz8d

    3 жыл бұрын

    저거 정답뭐지ㅋㅋㅋㅋㅋㅈㄴ궁금하네

  • @777.Rockstar

    @777.Rockstar

    3 жыл бұрын

    이제 중딩되는데 못알아듣겠.... 중학교때 페르마 배우나여...? 으어 수학 제발 망해

  • @user-yb2dj8rh5r

    @user-yb2dj8rh5r

    3 жыл бұрын

    @@777.Rockstar 수학망하면 핸드폰도 못씀

  • @illl9337

    @illl9337

    3 жыл бұрын

    @@user-yb2dj8rh5r ㄴㅈ

  • @user-fn6we9df8j
    @user-fn6we9df8j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화이팅!

  • @user-qg2hb7uw6n
    @user-qg2hb7uw6n4 жыл бұрын

    진짜 목이 빠지게 기다렸어 .. 너무 반가워 ㅜ ㅜ

  • @nineteenmay
    @nineteenmay4 жыл бұрын

    편집 진짜 절묘하다 빵빵터지네 ㅋㅋ

  • @user-eo4ie5jz1p
    @user-eo4ie5jz1p4 жыл бұрын

    페르마 : 엌ㅋㅋㅋ 사실 그냥 던진건데 진짜였누? 개꿀 일 수도 있지 않을까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충분히 그럴 수 있죠 :)

  • @user-xg5mh6qg8k

    @user-xg5mh6qg8k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ei3rg7iw2h

    @user-ei3rg7iw2h

    4 жыл бұрын

    실제로n이 3인가4일때 페르마가 내놓은 증명이 불충분했다고 하더라구요

  • @user-en4si2wn3y

    @user-en4si2wn3y

    4 жыл бұрын

    그게 바로 직관

  • @kyuhyeonlee1217

    @kyuhyeonlee1217

    4 жыл бұрын

    자기 직관으론 100% 확신하고 있었고 증명하긴 싫어서 후손에 떠맡겼던 것 같음.

  • @Leapyg
    @Leapyg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페르마의 마지막정리에 대해 궁금했는데 해결됐어요 ^-^

  • @user-cj8uf5jx6g
    @user-cj8uf5jx6g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쏙쏙 됩니다.

  • @j_year96
    @j_year964 жыл бұрын

    8:11 수학자들이 행복해졌는지는 모르겠고...... 확실한건 전 이부분 영상보고 행복해졌습니다!

  • @mwmw458
    @mwmw4584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본 적도 궁금해본 적도 없는 이 과학수학 분야 채널을 내가 왜 보고 있는 거지..? 리만 가설, 페르마.. 나랑 전혀 관계도 없는데 대체 왜?! 근데 폭주기관차같은 빠른 설명과 잘 선택된 단어와 예시들이 귀에 쏙쏙 들어온다. 영상으로 설명하고 납득시키는 과정이 너무 마음에 든다. 어려운데도 과학수학이 내 뇌에 이리도 잘 박히다니... 보석 같은 채널이다 ㅠㅠ 영상 만드신 분들 전부 감사합니다. 꼭 어디서든 상 받으세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상보다도 이런 댓글이 저에게는 큰 상입니다 :) 큰 힘이 되어요! 감사합니다 :)

  • @user-cy4me4fn2k
    @user-cy4me4fn2k4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채널이 있었다니 유익해 재밌어 재생 속도 조절 필요까지 없다!!

  • @JoachimJHLee
    @JoachimJHLee4 жыл бұрын

    제가 본 영상 중에 깊이가 유지되면서도 쉽게설명한 최고의 영상이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극찬에 감사드립니다 :)

  • @user-rj8wq7nr1o
    @user-rj8wq7nr1o4 жыл бұрын

    궤도님 감사합니다.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재밌게 봤어요

  • @gurum271
    @gurum2714 жыл бұрын

    2:25 대사랑 자막 ㅋㅋㅋㅋㅋㅋ

  • @mrkim57
    @mrkim574 жыл бұрын

    재밋네여 ! 진짜 쉽게 설명해주고 전혀 지루하지않고 ! 제가 구독하고 즐겨보는 과학채널은 이것뿐입니다 ㅎㅎ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봐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

  • @kenGwon
    @kenGwon4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재밌어용!!!!

  • @changseobkim4954
    @changseobkim49544 жыл бұрын

    와 드디어...

  • @changho8743
    @changho87434 жыл бұрын

    잘 설명해주셨네요.

  • @yha6535
    @yha65354 жыл бұрын

    아니 영상 만드시는분 이렇게 똑똑하면서 영상까지 재밌게 만들기 있습니까? 경이롭다

  • @argonaise_jay
    @argonaise_jay4 жыл бұрын

    와 짤들이 금이네요 ㅋㅋ 페르마의 정리라는 멋진 주제를 멋진 영상으로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짤을 알아봐주시는 당신은 멋쟁이!

  • @jokim685
    @jokim6854 жыл бұрын

    사이먼 싱 이란 사람이 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란 책 강추드립니다. 아주 재미있습니다. 수많은 수학자들의 삶, 에피소드, 난제에 얽힌 뒷이야기등등 수학내용은 나오지 않고, 수학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다큐형식으로 쓰여졌습니다. 실제로 BBC다큐 작가였기도 합니다. 이분의 또다른 저서 '빅뱅' 도 완전 대박...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것도 재능인거 같습니다

  • @hyponex2025
    @hyponex20254 жыл бұрын

    앤드류 와일즈 경의 말씀이야말로 명언이네요

  • @papyrusbook
    @papyrusbook4 жыл бұрын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하는 것이 많은 수학자들에겐 일생의 도전과제가 되었을탠데 그게 해결되어서 엄청나게 허탈할둣하네요. ㅋ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qu6nd7lt8l
    @user-qu6nd7lt8l4 жыл бұрын

    최근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다룬 책을 읽었는데 정말 그 책 내용의 핵심적인 부분이 다 들어가 있네요ㅋㅋ

  • @yuazu7617
    @yuazu76174 жыл бұрын

    6:36 내 인생이 레전드...

  • @user-ry6xo3jm1s
    @user-ry6xo3jm1s4 жыл бұрын

    9분짜리 고농축 엑기스 ㄷㄷ 너무 진합니다.. ㅎㅎ 너무 재밌어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진하게 우려내겠습니다 :)

  • @user-os9eo4ep1l
    @user-os9eo4ep1l4 жыл бұрын

    궤도형 기다렸어요!!... 7대 난제이던 아니던 상관없어!! 자주 와줘!! 항상 고마워요!! 행복한 추석 되세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 왔어요 :) 자주 올게요!!!

  • @takejust8735
    @takejust87352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주제로 한 영상을 보면서 웃은 건 이번이 처음인 것 같네요 대단하십니다 잘보고 갑니다 bb🤣

  • @ellisyen
    @ellisyen4 жыл бұрын

    자막이랑 더빙이 다른 부분이 있잖아요ㅋ ㅋㅋㅋㅋ 페르마가 싼 똥 ㅠㅠ 좋은(그리고 웃긴) 영상 늘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거기가 킬링 파트죠ㅋㅋ 녹음하다보니 너무 멘트가 과해서 자막에서는 약간 순화시켰어요 :)

  • @foxkim8254
    @foxkim82544 жыл бұрын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한 가장 위대하고 재미있으며 경이로운 영상! 더 칭송하고 싶지만 내 어휘력이 모자라 이만 줄인다

  • @user-mrbear
    @user-mrbear4 жыл бұрын

    와 기다렸어요 ㅎㅎ

  • @user-rv6re9cb1i
    @user-rv6re9cb1i4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어요 양자역학 영자컴퓨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보고 바로 구독 ㅎㅎ

  • @Esquent
    @Esquent2 жыл бұрын

    매순간마다 나오는 짤들이 너무 적절해서 감탄이 나오네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b2wg7yx9g
    @user-bb2wg7yx9g4 жыл бұрын

    앤드류 와일즈 교수가 증명했다는 것만 그냥 주워들어서 알고있었는데 이렇게 깊이깊이 파고드니 엄청난 이야기가 또 하나 만들어지는군요... 정말 볼수록 놀라워지는 채널입니다 bb 그렇지만 이번 영상의 속도는 너무 빠르지 않았을까 싶어요.. 암흑물질이나 블랙홀, 그 이전 영상들은 딱 절묘하게 빨라 머리가 충분히 따라갈 수 있었는데 오늘은 많이 힘들었네요 제 배경지식이 거의 없었던 내용이라 그렇게 느껴졌을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아쉬움이 남아 말씀드려봅니다. 하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오늘도 이렇게 엄청난 영상 만들어주신 것 너무 수고 많으셨고 정말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진심으로 응원하고 있어요! :) 안될과학 쭉쭉 흥하길!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재생 속도 조절을 한번 해보시면 어떨까요? 또 빠른걸 좋아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

  • @user-cm5cx5zx1v
    @user-cm5cx5zx1v11 ай бұрын

    궤도님은 진정 천재! 넘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 영상도 만들어주세요❤

  • @chiwoo1014
    @chiwoo10144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 @kjddaum
    @kjddaum4 жыл бұрын

    페르마의 정리가 비트코인같은 암호화폐와 관련이 있는지는 처음 알았네요. 수학적 발전이 실생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 @simonk897
    @simonk8974 жыл бұрын

    궤도님이 나레이션한 영상은 참 듣기 좋은것 같아요. 발음이 정확하셔서 그런가.. 항상 영상 너무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궤도님의 다음영상 기대할게요 ㅎㅎ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크흑 감동입니다 :)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 @Ratking9
    @Ratking94 жыл бұрын

    와 이번건 집중하면서 봣는데도 어렵네요 ㅋㅋㅋ 항상 영상 기다리고있습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집중 덜하셔도 괜찮으시도록 더 노력하겠습니다 :)

  • @2635
    @2635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궤도님

  • @ovob123
    @ovob1234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설명할까 궁굼했는데 생각보다 잘설명하셨네요 ㅋㅋ!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예상을 뛰어넘었다니 영광입니다 :)

  • @user-sf9cx3bu9i
    @user-sf9cx3bu9i4 жыл бұрын

    지구는 속초나 제주도 여행하듯이 지나가는 여행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미래는 정해져 있지 않은데 답을 찾으려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멋진 표현이네요 :) 감사합니다!

  • @BackofBackIsShinee
    @BackofBackIsShinee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채널입니다.

  • @progress0407
    @progress04073 жыл бұрын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궤도님은 천재인것 같습니다

  • @user-tu9xb1be5l
    @user-tu9xb1be5l4 жыл бұрын

    1:50 여기 왜이렇게 웃기냨ㅋㅋㅋㅋㅋㅋ 아닠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우리를 잘 알고 엄청 빨리 사과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om4sk8ny8h
    @user-om4sk8ny8h4 жыл бұрын

    기가 막힌 댓글이 생각났지만, 여백이 충분치 않아 생략합니다;)

  • @user-bh3je6xq2d
    @user-bh3je6xq2d4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user-tk1tu5wl8q
    @user-tk1tu5wl8q4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었어요 최고입니다 ㅋㅋ

  • @aixtype
    @aixtype4 жыл бұрын

    내 머릿속에 남은건 스쳐지나간 베르트랑 뿐이었다...

  • @user-gl5sh7uy5t
    @user-gl5sh7uy5t4 жыл бұрын

    이거이거 페르마 이제보니 수학자를 낚는 어부였구만유 ㅋㅋ

  • @user-jf9im6vv1e
    @user-jf9im6vv1e11 ай бұрын

    예전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라는 책을 읽고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대수학과 연관이 있죠. 안될과학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비롯해 수학 분야에 대한 영상을 만들어주어서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앞으로 나오는 영상도 챙겨보겠습니다. 응원합니다 화이팅

  • @user-bd4us9pz3t
    @user-bd4us9pz3t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궤도님 짱이다요!!! 백번만 더 보고 이해해볼께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많이 봐주세요 :)

  • @Passing_Xelnaga
    @Passing_Xelnaga4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왔다

  • @20000s
    @20000s4 жыл бұрын

    원 공식에서 타원 곡선 y^2=x(x-a^n)(x+b^n) 꼴로 변형했을 때 점L(s,E)=점L(s,F) 인 보형 형식 F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 발생. 즉, 해가 없습니다. - POWER MOVIE -

  • @lee50505223
    @lee505052234 жыл бұрын

    와 꿀잼 ㄷㄷㄷㄷㄷ 더만들어주세요 ㅠㅠㅠㅠㅠ

  • @rigarusx
    @rigarusx4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 진짜 짱이에요

  • @hjk2306
    @hjk23064 жыл бұрын

    말씀 중 단어와 연관(또는 내용과 전혀 상관없는?ㅋ)되는 사진들이 넘나 웃겨요 ㅋㅋ

  • @user-ow3wq1qb2u
    @user-ow3wq1qb2u4 жыл бұрын

    언제나 그렇듯 민트향처럼 가볍지만 커피향처럼 진중한 영상 고맙습니다.

  • @user-qq9hr8dk2j
    @user-qq9hr8dk2j4 жыл бұрын

    진짜 영상 퀄리티가 경이롭습니다

  • @jacktheinsanekendo
    @jacktheinsanekendo3 жыл бұрын

    감동먹고 갑니다. 늘어지지 않고 간결하며 코믹도 있네요.

  • @rickearhart822
    @rickearhart8224 жыл бұрын

    와.. 난제를 해결했는데 목표를 잃었다며 좌절하고 밀레니엄 난제가 생기자 넘어설 벽이 생겼다며 좋아한다니 ㄷㄷ 수학자들에 대한 존경과 경외가 생기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진정한 학자들이죠 :) 멋쟁이들~

  • @JJ-jv7nw
    @JJ-jv7nw4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영상에 대한 실로 놀라운 댓글을 적었으나, 읽기에 불편할까봐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 @user-ho8mi2em9x

    @user-ho8mi2em9x

    4 жыл бұрын

    생각을 했으나 글로 남기기엔 너무 길어 쓰지않았다가 적합한듯 싶네요

  • @user-iv9yf9ej8h

    @user-iv9yf9ej8h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글에 대해 놀라운 댓글을 적었으나 생각이 짧아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 @lingo6896
    @lingo68964 жыл бұрын

    평소에 굉장히 재미있게 보는데 오늘따라 전개가 빠르네요.. 따라가기 힘들었어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아이쿠 죄송합니다ㅠ 유튜브의 속도 조절을 이용해보시면 어떨까요?

  • @yourmom69542
    @yourmom695429 ай бұрын

    이 영상으로 페르마의 정리에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 영상으로 페르마의 정리에 대해 잘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나중에 이런 난제에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 @kimwind3
    @kimwind34 жыл бұрын

    수학인싸들은 이러고 논다는걸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 @user-do7iu8ww3z
    @user-do7iu8ww3z4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영상이 아주 대단하고 유익하다고 생각하지만 댓글창이 좁은 관계로 적지 않겠습니다. 오늘도 재밌어요~

  • @user-ho8mi2em9x

    @user-ho8mi2em9x

    4 жыл бұрын

    적어놓고 뭘 안적겠다는 거임?

  • @user-iv9yf9ej8h

    @user-iv9yf9ej8h

    4 жыл бұрын

    @@user-ho8mi2em9x 대단하고 유익하다는 것에 대한 증명

  • @vocallim
    @vocallim4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내용을 전혀 모르겠는 경우는 이번이 첨 인듯 합니다.ㅋ 저도 잘 안 풀리는 문제에 도전하는 걸 즐겨하는 편인데요 수학 뿐아니라 삶속에서도 어떤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가는 기쁨과 성취감은 인간을 더욱 발전하게하는 원동력인듯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내용도 아실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습니다 :)

  • @vocallim

    @vocallim

    4 жыл бұрын

    @@Unrealscience ㅋㅋ 저야 수학을 잘 모르니 제 수준에 맞추시지 마세요.ㅋㅋㅋ 아무리 쉽게 설명하셔도 역시 모를겁니다. ^^; 우야든동 신경써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 @HJ-xh7gs
    @HJ-xh7gs4 жыл бұрын

    궤도님 안될과학 많이많이 만들어주세욯ㅎㅎㅎ 너무 좋습니닿ㅎㅎㅎ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

  • @user-fu4lf2vv6n
    @user-fu4lf2vv6n4 жыл бұрын

    030탑 도벽 카르마의 블루 섭취여부 난제 도 다뤄주세요

  • @user-ww1dv8lo2t

    @user-ww1dv8lo2t

    4 жыл бұрын

    mmr이 충분하지 않아 여기까지만 적습니다

  • @user-lc3nm2kf1v

    @user-lc3nm2kf1v

    3 жыл бұрын

    도벽이 사라져서 실패!

  • @somflix916
    @somflix9164 жыл бұрын

    5:23 꼽사리ㅋㅋㅋㅋㅋㅋ

  • @namoakbang7045
    @namoakbang70454 жыл бұрын

    아...정신없어... 그래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신나게 들었네요. 화끈해서 좋았습니다.

  • @user-vinus39274
    @user-vinus392744 жыл бұрын

    베르트랑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나 유익합니다 감사해요 잘 보고 갑니다~!

  • @sankang9425
    @sankang94254 жыл бұрын

    르장드르 사진이 이상한 게 들어가 있어요ㅠㅠㅠ en.wikipedia.org/wiki/Adrien-Marie_Legendre 정치인 르장드르가 들어가 있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사진을 넣을까 했는데, 다른 수학자들과 이질감이 너무 심해서 좀 더 찾아보니 다른 사진이 나오더라구요. 당시 찾았던 이미지 출처는 못찾았지만, 지금 찾아보니 Adrien-Marie Legendre - French mathematician으로 www.nndb.com/people/891/000093612/ 여기에 사진이 있던데, 이 분 정치인인가봐요. 좋은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

  • @judotae

    @judotae

    4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어케 알아;;

  • @user-uz6nk9yu3v
    @user-uz6nk9yu3v4 жыл бұрын

    5:2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진개웃기네

  • @user-zi4ml1mj2x
    @user-zi4ml1mj2x4 жыл бұрын

    자신들의 삶을 소모해가며 진리를 추구하는 수학자들의 모습이 정말 경이롭다

  • @user-gf1cy8gw6h
    @user-gf1cy8gw6h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목표가 있다는 것이 멋지네요

  • @dawoon2860
    @dawoon28604 жыл бұрын

    ???: 사실 현대 수학이라는게 페르마에서 유래됐거든요

  • @Yuuwon_

    @Yuuwon_

    3 жыл бұрын

    사실 페르마는 일본 출신이거든요

  • @user-cj3tj6gd5v
    @user-cj3tj6gd5v4 жыл бұрын

    페르마가 마지막 정리를 진짜 증명했다면 전혀 다른 방법으로 증명이 되었겠지..

  • @Sunkist-fc3pi
    @Sunkist-fc3pi4 жыл бұрын

    어제 라임양 채널의 게스트로 잘봤습니다. 오늘영상도 귀에쏙쏙 좋아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라임양님 채널의 게스트로 참여하신 분은 약님이세요 :) 저는 궤도랍니다 :) 안될과학은 약, 공진, 궤도 이렇게 3명의 과학자가 함께 참여하고 있어요!

  • @bh_satrianilim3281
    @bh_satrianilim32814 жыл бұрын

    ‘페르마의 정리’라는 영화를 보고 난 이후 보게 되어 수학의 세상이 얼마나 심오한지 망치로 한 대 맞았습니다. 저 같은 무식쟁이 문돌이한테도 이해하기 쉽게 푱푱 던져주셔서 쏙쏙 받아먹고 있습니다.아기새한테 먹이를 주는 엄마새 같은 느낌입니다. 10분 안에 두꺼운 책 몇 권을 읽은 기분이죠. 액기스 지식 감사드립니다. (뼛속까지 문돌이 올림)

  • @user-bk8dy2rs4j
    @user-bk8dy2rs4j4 жыл бұрын

    수학자는 변태다... (끄적끄적)

  • @Tempestiss1mo
    @Tempestiss1mo4 жыл бұрын

    6:34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초등학교 문제

  • @hektor0406
    @hektor04064 жыл бұрын

    쉽지만 쉽지 않은 설명이 날 볼수밖에 없게 만드네요

  • @user-gt4fg9vw2x
    @user-gt4fg9vw2x4 жыл бұрын

    이런류 영상 배급채널 중에 구독 알림 좋아요 쌈박자 파바박! 하는 건 당신들 뿐이야... 최고야 짜릿해...(총총) 얼른 다음영상 만들어줘.....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짜릿짜릿! 또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

  • @user-xj5tz1xc1e
    @user-xj5tz1xc1e4 жыл бұрын

    1:02 한석원 선생님 닮음ㅋㅋㅋㅋㅋ

  • @user-yu5jv1we7o
    @user-yu5jv1we7o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빨리 온 적은 없닼ㅋㅋㅋ ㅋㅋㅋㅋ

  • @jomingeon
    @jomingeon4 жыл бұрын

    시간이 어떻게 이렇게 순식간에 지나가버리지~~~!! 내일 또 봐야지!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4 жыл бұрын

    내일 또 만나요 :)

  • @circle951
    @circle9514 жыл бұрын

    경이로운 영상...보고싶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