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가 작년보다 어렵다고 하는 이유 f.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신과대화]

*조영무 연구위원 1부 보러가기
•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고요? f.조영무 L...
우리는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을 자주 하죠. 올해 1분기 GDP 성장률 1.3%를 기록한 대한민국에서 실제로 물가가 상승하지 않은 분야는 없다 봐도 무방합니다. 2024년 우리는 어디에 서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건지 조영무 연구위원과 함께 들어보시죠.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 10일 무료 체험도 고민된다면? 실제 사용 후기 보기! : bit.ly/3pro_membership
❤️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704~0705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161

  • @3protv
    @3protv13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연구위원 1부 보러가기 kzread.info/dash/bejne/gqCL2NJ7eZvZo6g.html 우리는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을 자주 하죠. 올해 1분기 GDP 성장률 1.3%를 기록한 대한민국에서 실제로 물가가 상승하지 않은 분야는 없다 봐도 무방합니다. 2024년 우리는 어디에 서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건지 조영무 연구위원과 함께 들어보시죠.

  • @user-kh3hh5po7e
    @user-kh3hh5po7e12 күн бұрын

    이분 분석 아주 객관적입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분석입니다.

  • @realongs
    @realongs12 күн бұрын

    조위원님의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걱정이 이렇게 크시고 이렇게 격정적으로 말씀하시는거 처음 봅니다...정말 큰일이로군요 우리나라 경제😊😊😊

  • @user-ur9pq9jj7i
    @user-ur9pq9jj7i12 күн бұрын

    1,2부 여러번 반복해서 들었습니다. 역시 최고의 전문가이십니다. 전망이 틀렸으면 좋겠다 하셨던 연초 말씀이 기억났는데…이 나라가 아무래도 잘못된 길로 계속 가는 듯하네요 멀쩡히 가도 위험한 판국에..바쁘시겠만 꼭 자주 출연해주셨으면 좋겠다 바래봅니다

  • @zmfreeroo
    @zmfreeroo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정확한 분석 감사합니다. 계신 위치상 발언을 굉장히 조심하시는게 느껴집니다. 정말 걱정되는거는 박사님 말씀처럼 실질경제는 갈수록 안좋아지는데 정부는 통계상 국민소득 4만달러를 만들기 위해 환율 1400원 넘겨 수출 주도 성장하고, 정부도 계속 빚내서 정부지출을 통한 성장을 지속할 것 같다는 겁니다. 그러고 임기 마치기 전에 4만달러 도달했다고 업적처럼 말하겠죠. 서민들은 고환율 고물가 원화가치 하락으로 급속도로 가난해지구요. 일본 정부가 국민에게 했던 짓 그대로 입니다.

  •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

    12 күн бұрын

    갈수록 세계는 신보호무역주의로 확산되어가고 있고, 일본과 중국도 환율이 오르고 있어 수출 경쟁력이 좋다고 할 수 없어 수출이 그전처럼 좋을 것 같지 않습니다. 오히려 줄어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이공계 기피로 기술인력이 부족한데, 초초저츨산율로 더욱 부족해 가며 산업공동화가 더욱 심해지며 수출이 줄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내수는 미친 부동산으로 인한 고물가, 가처분소득 급감 등으로 내수절벽으로 가고 있고 여러모로 위태위태한 한국 경제라 하겠습니다.

  • @uknow1967
    @uknow196712 күн бұрын

    결국 1.3%에는 상반기 국회의원선거를 위한 포퓰리즘 재정 집행의 문제라고 대놓고 말하지 못하는 조위원님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결국 하반기는 예산 조기 집행으로 재정 여력이 없다는 것이고, 가계 및 소상공인 부채에 따른 소비여력이 없다는 것이 핵심일것이다. 아니면 좋은 일이고.

  • @aiminnng
    @aiminnng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edgehog8361
    @hedgehog836112 күн бұрын

    다른 출연 때보다, 유독 말씀하시는 것에서 격양된 어투가 많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심정이나 내용들이 담겨있을거라 생각되네요. 참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그만큼의 능력과 영향력을 갖고계신 분들이 힘을 내 주셔야 바뀌고 나아질거라 생각됩니다. 죄송하지마는, 더 큰 목소리를 내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박사님.

  • @user-wm5ug2pz6l
    @user-wm5ug2pz6l4 күн бұрын

    정말질적으로최고의 강의들었습니다~

  • @joonhyopark8075
    @joonhyopark80757 күн бұрын

    경제학을 전공해 보고 싶도록 만들어 주시는 분입니다. 연배를 떠나 존경합니다.

  •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미친 부동산으로 인해 청년들이 결혼도 포기, 출산도 포기하여 애가 초초저출산율로 안 태어나자, 세계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민족이 멸종하며 나라까지도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소비가 갈수록 줄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미친 부동산으로 가처분소득이 자꾸 줄어만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 특히 4분기부터는 매우 어려워질 한국 경제로 봅니다. 빚이라면 환장하며 빚만 권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겉만 번지르르하고 속은 완전 썩어문드러져 가며 망하는 지름길로 내달려가는 나라라 할 것입니다.

  • @user-js5gu4xi8p
    @user-js5gu4xi8p12 күн бұрын

    정말 최고의 분석입니다.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jeong7jl
    @jeong7jl12 күн бұрын

    이분은 정말 좋다 초빙해주셔서 감사❤

  • @user-dd5yt2vn9n
    @user-dd5yt2vn9n12 күн бұрын

    유튜브 강의자분들 중에 제일 전문가로 느껴집니다.

  • @user-mx6tg6dn2q
    @user-mx6tg6dn2q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연구의원님..나라를 투자자를 생각하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건강챙기시고 좋은 말씀 자주 부탁드립니다.

  • @user-lx3pm1mr8p
    @user-lx3pm1mr8p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늘 감사합니다

  • @joggulee7177
    @joggulee717712 күн бұрын

    삼프로가. 지향해야. 하는. 내용이라. 더욱. 좋았습니다

  • @oaoav
    @oaoav12 күн бұрын

    최고 분석가 박사님 나오셧네요, 조 박사님 넘 반갑습니다, 자주 나오셔서 좋은 말씀 해 주셔요, 감사합니다

  • @user-lq4sz6ql5v
    @user-lq4sz6ql5v11 күн бұрын

    뛰어난 식견과 빈틈없는 분석 존경합니다 말씀 감사드립니다❤

  • @stefanomarkulin
    @stefanomarkulin11 күн бұрын

    어떤 국가를 만들겠다는 구체적인 비전없이 그냥 오늘만 무사히 넘어가자식의 정책 추진하는 모습은 더 이상 용인하기 어렵습니다. 자주 가던 먹자골목 가게 절반이 문을 닫았습니다. 정부에 있는 그 누구도 민생을 생각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3년 더 이런 식으로 갈 거라 생각하면 끔찍하기만 합니다.

  • @user-pg2zj1cl2c

    @user-pg2zj1cl2c

    7 күн бұрын

    문재인떄는 뭐 대단했었나요? 니가 원하는 이재명은 이거보다 잘할거같음?

  • @user-pg2zj1cl2c

    @user-pg2zj1cl2c

    7 күн бұрын

    이재명이 돈뿌려서 민생챙기면 물가는 안오를거같음?

  • @user-xc6gs4bc8d

    @user-xc6gs4bc8d

    5 күн бұрын

    @@user-pg2zj1cl2c당신의 멍청함에 감사합니다 수준이 에휴

  • @user-oy4nv7kq4j
    @user-oy4nv7kq4j12 күн бұрын

    제일신뢰가 가는분임

  • @water4986
    @water498612 күн бұрын

    여러번 반복해서 보게 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oy7iu9yh8r
    @user-oy7iu9yh8r12 күн бұрын

    죄송하지만 대한민국을 숏 치겠습니다. 조박사님 말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yoon6118
    @yoon611812 күн бұрын

    역시 조박사님의 분석은 냉정하고 냉철하시군요...오늘도 좋은 인사이트 잘 들었습니다~!!!

  • @mkorea4105
    @mkorea410512 күн бұрын

    역시 조영무 박사님!

  • @user-kn5fq5uy2i
    @user-kn5fq5uy2i12 күн бұрын

    한국은행총재가 꼭 시청하시길 바랍니다

  • @joungdong

    @joungdong

    12 күн бұрын

    금리를 더 올려서 자산버블을 잡아야하는데...미친 놈임

  • @user-ke5bp7kb5y

    @user-ke5bp7kb5y

    11 күн бұрын

    꼬우면 님이 서울대나와서 석박사 졸업논문 쓰고 바늘구멍 한국은행들어가서 총재달고 하세요😊

  • @user-df5xb3kk1r

    @user-df5xb3kk1r

    11 күн бұрын

    저는 현재 총재가 역대 총재들에 비해 그나마 정부 손을 덜 탄다고 느끼는데..아닌가요?

  • @HY-id9jt

    @HY-id9jt

    11 күн бұрын

    ​@user-df5xb3kk1r. 말로만 덜 타는 거 같아요. 실제 행동은 전혀 안 그렇던데요.

  • @user-df5xb3kk1r

    @user-df5xb3kk1r

    11 күн бұрын

    @@HY-id9jt 맞아요 말이라도 그렇게 하는 그 부분이 전 총재들 보다는 훨씬 낫고 발전 했다고 봅니다. 차차 더 좋아지길 바라봅니다

  • @epna
    @epna12 күн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 @user-oh8qw1re4c
    @user-oh8qw1re4c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박사님~~ 정확하시고 거짓없이 알려주시니 잘듣고 많이 배웁니다

  • @user-kf3qt1dz3b
    @user-kf3qt1dz3b12 күн бұрын

    와... 어제 2부 올라오는줄 알고 밤새 새로고침을 ㄷ ㄷ ㄷ ㄷ 항상 고견 감사드립니다

  • @user-db9pc7mm9g
    @user-db9pc7mm9g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연구의원님. 차분하고 객관적인 뷰, 설득력 있는 근거와 분석이라고 봅니다. 아랫목이 뜨뜻하다고 해서 윗목도 따뜻하겠지가 아니라 윗목에 있는 사람들을 살피는 정책이 펼쳐졌으면 합니다. 이 정부에겐 무리겠지만...

  • @BSSBJM
    @BSSBJM12 күн бұрын

    좋은 분석입니다. 탄탄한 근거와 조심스러운 주장.

  • @user-mn9kv1uv3y
    @user-mn9kv1uv3y12 күн бұрын

    요약하자면 올해도 쟛됐고 내년에는 더 쟛 됀다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양질의 일자리가 점점 사라지고 소득도 줄어서 소비가 더 줄이드니 자영업자들도 쟛 된다는 말씀이셨습니다.

  • @user-zy6kl3hd1n
    @user-zy6kl3hd1n12 күн бұрын

    차분하고 어렵지않게 얘기해주셔서 잘들었어요

  • @user-vk8wu4sr5f
    @user-vk8wu4sr5f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의 탁월한 분석력에 경의를 표합니더. 정부와 국회에서 조박사님의 한극경제에 대한 우려를 잘 새겨들어야할텐데 걱정이네요

  • @user-hq1un1bo3g
    @user-hq1un1bo3g8 күн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믿고보는 조영무

  • @kuni3574
    @kuni357411 күн бұрын

    금년에도 변함없이 조영무님 정말대답합니다 진행하시는분도 차부히 잘알수 있게 인도 하시고요 오래만의 한국 경재논설 잘보고 많이 배우고 간입니다 감사합니다

  • @Yoon-yq6fc
    @Yoon-yq6fc12 күн бұрын

    항상 좋은내용들 감사드립니다

  • @user-xm4pg8fq3s
    @user-xm4pg8fq3s11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대한민국 최고 입니다😊 정말 믿고 듣습니다😊

  • @ljs2358
    @ljs235811 күн бұрын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MIN-bz3oz
    @MIN-bz3oz12 күн бұрын

    조박사님 인사이트 잘 봤습니다^^

  • @user-lz6pc2he1q
    @user-lz6pc2he1q11 күн бұрын

    박사님 감사합니다. 기다렸습니다

  • @user-de5vw4pk7f
    @user-de5vw4pk7f9 күн бұрын

    조영무연구위원님 명강의 감사합니다.

  • @user-cy1mq2ru4e
    @user-cy1mq2ru4e11 күн бұрын

    삼프로 티비 인튜뷰중 베스트 오브 베스트 존경 합니다 박사님

  • @user-py9ir7qb3m
    @user-py9ir7qb3m8 күн бұрын

    조영무가 한국은행 총재해라

  • @MrNundung2
    @MrNundung21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zm2mg1jl5m
    @user-zm2mg1jl5m12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 @hjj967
    @hjj96711 күн бұрын

    객관적인 분석 정말 잘 들었습니다. 그리고 걱정이 됩니다.

  • @user-fw8mn4qo6e
    @user-fw8mn4qo6e11 күн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 @user-zb6xs9tb4u
    @user-zb6xs9tb4u11 күн бұрын

    늘 느끼지만...조영무 박사님의 시각은...정말 넓으신거 같아요...생각하지 못한 부분까지 말씀하시고...모두가 고민하게 만드십니다...감사합니다..😊😊

  • @cskim9332
    @cskim933211 күн бұрын

    조박사 말대로 중국정부가 돈대주는 디스플레이 태양광 2차전지 는 맛이 갔고 반도체조차도 레거시는 이미40%점유당하고 고사양은 미국 일본 대만 동맹체에 둘러쌓이고....한국이 불안하다 개인들은 각자도생 달러자산으로 몰려가고...큰일이다

  • @user-zm2mg1jl5m
    @user-zm2mg1jl5m12 күн бұрын

    최고의 전문가이십니다.❤❤❤

  • @user-gq5kj6cs1c
    @user-gq5kj6cs1c12 күн бұрын

    최고의 분석. 항상 조영무님믜 의견을 기다립니다.

  • @Waterflow333
    @Waterflow33311 күн бұрын

    구구절절 맞는 말씀만 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lovej4565
    @lovej456512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감사합니다^^

  • @user-iy4vu6dw2y
    @user-iy4vu6dw2y12 күн бұрын

    너무 훌륭한 경제학자 이십니다...

  • @user-ul7vx6qy9v
    @user-ul7vx6qy9v11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위원님이 이렇게 이야기하니 진짜 걱정되네 진짜 신중한 분인데

  • @yskimu
    @yskimu12 күн бұрын

    내 생각이지만 우리경제는 지난 10년간 실질적 성장은 아니었다고 본다 박사님 말 처럼 환각에 의한 성장으로 보인 수치적 성장이었는데 이걸 발전한것으로 착각에 빠진거다 주변 나라들은 점점 어려워지는데 우리만 성장? 이런걸 허수라한다

  • @user-gi7nj6dn2f
    @user-gi7nj6dn2f9 күн бұрын

    최근 20년간 현대차가 국내 공장 지은게하나 뿐이란 이야길 들은적이 있네요 한국은행에서 내놓은 2040마이너스 성장 예견도 그렇고 이번 영상 내용도 그렇고 장기 저성장 침체로 이어질까 염려스럽네요

  • @user-jh2kz3iy4n
    @user-jh2kz3iy4n12 күн бұрын

    돈이 일부 ai관련 기업들에게만 쏠리고 실물은 상대적으로 별로인데 인플레이션때문에 체감은 개박살..

  • @lovej4565

    @lovej4565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정부나 국민은 기업, 설비 등 생산적인 섹터에 자금이 들어가야 되는데 대부분 자금을 부동산에 몰빵하는 클라쓰;;

  • @user-zl4dz6ts5j
    @user-zl4dz6ts5j12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중국 정부가 어쩔수 없이 인구 감소를 인정하기 전부터 디플레이션이 온다면 한국은 인구 감소 인정후 1년뒤에 스테그플레이션이 오는것 같네요.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12 күн бұрын

    정확히 오늘 아침 방송되었던 .kb* 일요진단 라이브와 모든게 상반되는 진단과 전망이네요.. 초반에 듣다 이 무슨 정치경제 찬양인지 싶어 채널을 돌렸습니다만.. 대한민국의 미래가 암울한 것 같아 숨이 턱턱 막히네요

  • @kunheechoi6331
    @kunheechoi633112 күн бұрын

    최고 분석가!!!

  • @pasward1302
    @pasward130212 күн бұрын

    🎉

  • @user-xy3gv8yp8q
    @user-xy3gv8yp8q12 күн бұрын

    다들 힘들어하는데 정부에서 발표하는 지표는 그냥그냥 괜찬다고하고. . . 제 주위 사람들만 다그런건지. . 지방이라 그런건지요

  • @joungdong

    @joungdong

    9 күн бұрын

    일본도 좋다고 그러다가 지금 30년 월급 그대로임...ㅠㅠ

  • @cklee6630
    @cklee663012 күн бұрын

    5년 10년을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어요. 내년까지만 어떻게 고생하면 되는 겁니까?

  • @hognsupso3144
    @hognsupso314412 күн бұрын

    28:50 새로운 질적 성장력

  • @gogoavril
    @gogoavril8 күн бұрын

    한국도 미국처럼 미래산업에 투자해서 원천특허, 장비, 소재개발해 그 산업을 독점해야하는데 IMF이후 한국4대은행 외인지분 75% 금융을 장악당했으니 그런데 투자 못하죠 외국자본입장에서야 구지 위험감수하면서 한국기술기업 키워줄 필요도 없고 결국 미국, 일본, 유럽 기술패권을 나눠줘야하는데

  • @gogoavril
    @gogoavril8 күн бұрын

    경제유발효과가 큰 전통산업 (건설, 철강, 가전, 조선, 태양광, 풍력, 디스플레이, 자동차)는 중국에 다 따라잡혀서 수출안되고 반도체만 그나마 중가하는데 이건 경제유발효과가 거의 없으니(장비, 소재 전량 수입) GDP와 국민소득의 괴리가 생기는 겁니다.

  • @parkglen3612
    @parkglen361211 күн бұрын

    2분기가 1분기에 비해 체감상 좋지 않았는데, 내년이 더 안좋다면 더더욱 걱정이네요. 😢

  • @user-bo3tg3fn9u
    @user-bo3tg3fn9u12 күн бұрын

    일부 수출만 대호황

  • @kusuzu
    @kusuzu10 күн бұрын

    제목에 1부 2부 표시 좀 해주세요

  • @user-xh7yk1he2m
    @user-xh7yk1he2m11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이 지표의 구성이 미국도 똑같은 걸까요?

  • @gogoavril
    @gogoavril8 күн бұрын

    삼전 매출 250조원중에 임직원인건비는 35조원이고 영업이익이 40조원임. 나머지 175조원은 미국, 네덜란드, 일본 장비 소재 구입하는데 사용됨 삼전이 반도체 공장짓는데 10조 투자하면 2조원은 건설비니 한국노동자에게 가지만 8조원은 미국일본네덜란드로 감. 영업이익 40조원중에 외인지분이 60%니 24조원은 외인주주에 배당몫임. 결론 삼전 매출 250조원중 한국에 떨어지는 돈은 51조원 밖에 안됨

  • @gogoavril
    @gogoavril8 күн бұрын

    반도체 경기 좋아지니 삼전이 노후 장비 교체하거나 최신장비 투자하면 미국 식각기, 증착기, 이자주입기 네덜란드 노광기 일본 소재를 사야합니다. 이게 다 기업투자로 잡히니 GDP는 좋게 나오지만 국내경제유발효과는 제로입니다. 그러니 GDP는 +1.3%성장으로 나오는데 소매판매는-0.2% (소매판매액은 물가상승이 포함분이 포함된거라 실질로는 더 낮음)인거에요

  • @alive1031
    @alive10318 күн бұрын

    공매도 무기한연장 못하고 상환해야한다는데 언제부턴가요??그동안 진짜 너무했지 정상화 빨리되자@@@@@@@@@@@@근데 공매도 뉴스한번 다뤄주시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arun777
    @Earun77712 күн бұрын

    가끔와서 보지만 다시봐도 내뷰는 똑같음. 한국은 동남아쪽으로 가는중. 한국은 가난해지는거.

  • @joungdong

    @joungdong

    9 күн бұрын

    근데...점차 적응해야 하는데 부동산을 지금도 펌푸중...ㅠㅠㅠ

  • @user-zi9qv3wx9p
    @user-zi9qv3wx9p11 күн бұрын

    언론사들의 장난질이죠! 장사 안 될만한 업장 가면 당연히 안 좋다 하죠. 언론쟁이들의 농간질에 놀아난 것 생각하면 ... 아주 그냥 화가 치밀어요!

  • @whitepiglee4224
    @whitepiglee422412 күн бұрын

    경력 20년인 내가 5개월째 놀고 있으면 경기침체 맞는 거 같은데요?

  • @user-vk9jq9hr6s

    @user-vk9jq9hr6s

    12 күн бұрын

    아니 그냥 은퇴한것이다...

  • @kissu4806
    @kissu480612 күн бұрын

    안 오르진 않았겠죠~! 물가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오른거겠죠ㅠ

  • @user-zv2mz2jy3x
    @user-zv2mz2jy3x12 күн бұрын

    각자도생도 힘들겠네 ㅠㅜ

  • @user-mg5zj4xy6l
    @user-mg5zj4xy6l10 күн бұрын

    원화 자산이 위험하다 달러와 비트 저장하라

  • @user-hc6cb9he6q
    @user-hc6cb9he6q12 күн бұрын

    결국 대기업만 버는 구조네...

  • @user-vk9jq9hr6s

    @user-vk9jq9hr6s

    12 күн бұрын

    또 대기업 탓이냐?..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이라도 수출해서 돈을 벌어야 그나마 손가락 빨고 있지 않죠...

  • @joungdong

    @joungdong

    12 күн бұрын

    대기업 수출주도 기업만

  • @ZZZZbaby
    @ZZZZbaby8 күн бұрын

    인생이던 국가던 장거리뛰기 를 하고있는데 국민들이 단거리 기록 숫자에 만 목을매고 있으니 정치인들은 자기 임기내에 성적 만 몰두하는거. 특히 SNS 의 발달로 음지 에 놀던 놈들이 정치에 발들이면서 포퓰리즘 정책이 지지받고 있는게 현실

  • @qn_____q_
    @qn_____q_11 күн бұрын

    편의점 도시락이면 점심 1만원읜데

  • @suranachal652
    @suranachal65211 күн бұрын

    매년 미국이 달러복사해서 전세계에서 돈 뽑아가는데 경기가 좋아지는게 이상한거지

  • @user-lf5gc2gs8f
    @user-lf5gc2gs8f12 күн бұрын

    원래 어느 시대든 잘 사는건 어려운거고 오히려 지금이 예전시대보다 잘사는 사람의 비율은 높아졌는데 그 때문에 더 잘보이고 내가 거기 속하지 못한 박탈감은 커지는거고

  • @sunnyyyoon8765
    @sunnyyyoon876512 күн бұрын

    희한하게 물가 data도 안 올라 가던데 무가 짖 누르고 있나 ?

  • @IMEV11
    @IMEV1110 күн бұрын

    총선때매 1q몰빵한 거였구만

  • @Pre01YT-uy2fc
    @Pre01YT-uy2fc12 күн бұрын

    음.. 그냥 간단하게 설명하면... .. 우리가 물가가 올랐다고 하면서 사는 그 물건은 최종가 입니다. .. 그리고 우리 월급은 우리회사가 외부에 팔때 제안하는 최종가를 구성하는 비용입니다. 당연히 비용보다 최종가는 더 올라가는게 자본주의 시장 경제이기 때문입니다.

  • @adyue3534
    @adyue35347 күн бұрын

    열일만아 제발 … ㅋㅋㅋ

  • @user-om3nt3pq3r
    @user-om3nt3pq3r6 күн бұрын

    하여간...

  • @intrko6096
    @intrko609610 күн бұрын

    삼프로가 어려운걸 재밌게 풀어주는 장점이 컸는데 정영진이 빠지고 나니 다른 방송이랑 차이점이 없네

  • @user-gw6un7mb8o
    @user-gw6un7mb8o12 күн бұрын

    일차는 남의 공장으로 지나ㅚ들 노동력으로 전세계 저가 물건 공급 이제는 지들이 지들 공장으로 A z까지 모두다 만들어 전세계를 위협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미국이 유럽이 막아도 둘을빼 모든날에서 사용하할거고 이는 전기차경쟁력에서 게임이 안되고 중국차를 받아들여야 저가성능좋은 자동차로 저탄소로 세계로 이행가능 우리가 미국만 보고 배터리 자동차 전략하는건 수정해야. 미국도 멕시쿠서 만든 중국전기차 받아야

  • @user-uc9ef4fd8y
    @user-uc9ef4fd8y12 күн бұрын

    트럼프나 바이든이나 거기서 거기다 미국은 미국의길을 갈뿐이다 뭔 분석이냐 나무를보지말고 숲을봐야지 에혀..

  • @SilkShoes
    @SilkShoes12 күн бұрын

    현 청년세대의 불행의 원인은 90년대 대학정원을 왕창 늘리면서 시작되었어요. 고졸이 없으니 공장들이 폐업 또는 해외로 이전했어요. 대학진학율이 83.6%까지 치솟았어요. 80년대에는 27%였는데 88년 쯤 공과대 정원을 조금 늘리자는 의견이 있었는데 대학재단이 앞다투어 문송과 위주로 무한대로 늘렸어요. 교육시장의 부흥기가 시작되며 초등부터 대학까지 치열한 시험공부로 30세에 지쳐버렸어요. 80년대 청년들은 19세에 취업하여 25세에 엄마, 28세에 아빠 되었어요. 고졸 임금이 20% 정도 낮았지만 4년간 학비 안쓰고 4년 먼저 취업하여 돈 벌었지요. 지금 청년들은 대기업의 50% 밖에 안되는 임금으로 살아요. 대학 졸업자가 오토바이 치킨 배달은 30년 전엔 꿈에도 생각 못한 세상이었어요. 현재 의과대 정원이 왕창 늘려 대학재단과 학원 대박 났어요. 미래에는 의사면허 가지고 오토바이 타는 세상이 올 것입니다. 🙄 따라서 대학 정원을 이공계는 20%, 문송과는 5% 로 낮추어 대졸 25%, 고졸 75%로 정상화 해야합니다. 사회에서 필요한 대졸인력은 20% 정도입니다.

  • @realongs

    @realongs

    12 күн бұрын

    아닙니다 잘못아시네요😊😊😊

  • @ycc7455

    @ycc7455

    12 күн бұрын

    민주화 정권 이후 학부형의 표를 의식하여 대학증원을 허가하였습니다. 말은 배움에 대한 허기를 충족시키겠다는... 과장하자면 교과서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학생도 지방 이름없는 대학에 입학하는...

  • @HK-ws8ro

    @HK-ws8ro

    12 күн бұрын

    아닌데 그룹사들이 다해먹고 건설업애들이 다해먹고 부동산만 올려서 그런건데. 돈 버는건 많은데 분배를 실패해서 그런건데.

  • @earthduckhoo

    @earthduckhoo

    12 күн бұрын

    인과가 바꼈습니다. 국민소득이 늘어서 공장 해외이전되고 대학정원이 늘어난 겁니다.

  • @uknow1967

    @uknow1967

    12 күн бұрын

    해석이 독특하시네요. 거의 아전인수격 해석이 아닌가 싶네요? 오히려 현재의 어려움은 기업자정신의 부재와 아직도 공산주의 이념 프레임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비지성적 의식 및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철학보다는 천당위에 분당과 같은 말에 현혹되어 머니 지상주의에 쩔어있는 국민들의 낮은 국민의식이 그 원인이지 않을까 싶네요.

  • @SystemWealth-gg9pq
    @SystemWealth-gg9pq3 күн бұрын

    % 라서 그런거겠죠. 초등학생 1cm 큰것과 고등학생 1cm 늘어난 것은 다르죠. 뼈크기 신체 부피와 낼수 있는 에너지 등등. 국가라는 비정형적인 추상적인 주체는 항상 같은 수준의 향상을 기대하게 되니까요. 어쩔수 없지 않을까요.

  • @anzinn
    @anzinn12 күн бұрын

    원유와 가스 2000조원 매장 되어 있다고 하니 걱정 덜고 있습니다. 😂

  • @jsejun
    @jsejun12 күн бұрын

    진짜 내 나이 42인데 대한민국에서 경기 좋다, 호황이라는 말 들어본 적 없고 시장 상인 인터뷰하면 20년 전이나 이번주나 전부 장사 시작한 이래로 올해만큼 힘든적 없다 함ㅋㅋㅋ 진짜 이제는 시장 상인 인터뷰만 나오면 웃음벨

  • @joungdong
    @joungdong9 күн бұрын

    뭐야...내수는 줄고....수출은 는느것 같가가 설비는 줄고...나중에는 수출도 준다는 말인데...점차 다 망가진다는 소린데..?...이걸 믿어야 하나..?

  • @user-xq6nm7pc9x
    @user-xq6nm7pc9x12 күн бұрын

    세수 펑크나는거 해외여행세 물려서 보충해라. 수십년간 해외여행으로 달러 퍼 날랐으면 이제 그만할때 됐다. 일년에도 몇번씩 나가는건 애국에 반하는 사치다

  • @user-vk9jq9hr6s

    @user-vk9jq9hr6s

    12 күн бұрын

    애국? 오랫만에 듣네.. 당대표넘이 지위를 이용해 개발 이익 독차지하고...세금 도둑질해서 밥사먹고 ... 자기 주머니 채우는데.. 국민에게 애국하라고 자기돈으로 여행가는것도 못가라고... 여기가 북한인가?? 진짜 누굴을위한 애국...? 애국 할 마음 1도 없다... 부자들이 왜 국내에서 소비를 안하고 외국가서 돈쓰는지... 국내 주식 안사고 외국 주식 사는지.. 그 마음이 어디서 나오는지.. 생각해 봐야한다..

  • @SamKopri

    @SamKopri

    12 күн бұрын

    ​@@user-vk9jq9hr6s2찍평균 능지 표본.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