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친미 독재자가 국비 장학생을 미국으로 보내지 않은 이유 | 북언더스탠딩 | 리콴유의 눈으로 본 세계 | 남궁민 북칼럼니스트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
00:00~08:42 인트로 및 책 소개
08:43~25:23 서양은 모르는 중국
25:24~38:35 미국호는 침몰하지 않는다

Пікірлер: 472

  • @understanding.
    @understanding.8 ай бұрын

    2부는 아래 링크에서 이어집니다 kzread.info/dash/bejne/gX-su5Wkg6SnZbA.html

  • @haiwanjin4399

    @haiwanjin4399

    7 ай бұрын

    대부분 사람들 알다싶히 일본을 족친다음 중국을 족칠텐데왜 머리 들이밀고 맞겠어

  • @heechoi41

    @heechoi41

    Ай бұрын

    😢

  • @user-tz3qy2fo9y

    @user-tz3qy2fo9y

    Ай бұрын

    ㅁㅁㅁ​@@haiwanjin4399

  • @thobecthistar3222
    @thobecthistar32228 ай бұрын

    정말 한국역사 중국사 일본사 영국사 미국사 등등 세계사 공부 많이 해야합니다. 그래야 우리가 역사의 어느 시점에 서있는 줄을 압니다. 바로 눈앞의 조작된 현실에서 이용당하는 인간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미래를 향해 어느방향으로 가야하는지를 역사를 통해 봅니다. 그리고 오늘 말씀하시는 분 상당히 통찰력이 깊네요. 요즘 들은 강의중 탑인 것 같습니다.

  •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8 ай бұрын

    아직도 그거 모르는 인간들 많죠 ㅋㅋㅋㅋ 지정학에 적응하고 문명의 중심에 들어가야 하는데 국제법이니 주권이니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나 하면서 강대국과 우방국 없어도 자주국방과 자주무역을 해야한다고 얼빠진 소리나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음

  • @taenggu7454

    @taenggu7454

    8 ай бұрын

    노비는 노예가 아니에요 빼액... 기녀는 매춘부가 아니에여 빼액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8 ай бұрын

    정말로 그렇습니다. 70년도 중이때 "역사"과목을 배웠는데 그뒤에는 국사와 세계사의 개편이 되었죠....전 아직도 이게 잘못한거 라고 믿어요....역사속에 한국사가 존재하지, 국사로 독립 한다고 약국이 아니거죠.. 그것이 우리가 일본사,중국사를 소흘하게된거 같아요. 전 지금도 유럽중세사와 일본,증국사는 계속공부하고 있어요. 코멘트 아주 훌륭한 생각이네요. 감사합니다

  •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8 ай бұрын

    아 그리고 여기서 책을 가지고 와서 말해줘서 그렇지 이런 통찰은 20년 전부터 정치학자들은 계속 말해왔음, 근데 지난 시간동안 경제학에 밀려서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거죠. 한마디로 관료들이고 국민들이고 머릿속 꽃밭에 살면서 너무 나이브하게 있었죠. 아무런 예방도 안하고 있다가 이제 와서 부랴부랴 대응하는 겁니다.

  • @Ksjfhrhf

    @Ksjfhrhf

    8 ай бұрын

    근데 왜 실패한 유럽과 미국의 제도만 가져오는걸까

  • @namihan2387
    @namihan23877 ай бұрын

    미국 직딩입미다. 4만불을 원화로 환산하면 충분히 많은 돈 같지만 안타깝게도 진짜 저소득층에 속합니다. 나라마다 물가가 다르니까요. 세금 제하고 net income 이 한달에 $2,500 조금 넘게 나올텐데,, 뉴욕이면 한달 집값만해도 거의 $2000 가까울꺼예요 ㅠㅠ 팁 없으면 생활이 힘들것 같네요..으.. 세금..😢

  • @HugoTheContrarian
    @HugoTheContrarian8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것은, 서방은 "언제나" 중국 분석을 틀린다는 점입니다..청나라 시절에는 중국이 너무 강력하다고 생각해서 한동안 침략을 못했었는데 막상 싸워보니까 약했었고, 공산당은 패배할 것으로 보고 국민당을 지원했으며, 경제개발을 시키면 자유화될것으로 보았고, 시진핑은 약한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결과는 전부 반대였지만요..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7 ай бұрын

    동감하고 지금도 마찬가지죠. 걔들이 아시아에 대해 아는것이라고는 쿵푸와 스시 닌자 편견 인종차별밖에 없을 겁니다. 걔들은 우리는 무슨 나라가 아닌 하나의 사물처럼 생각하고 말하는게 웃기더군요. 도저히 정상적인 뇌를 가진 인간들이라는 생각이 안들 정도임

  • @eakor8560

    @eakor8560

    5 ай бұрын

    유럽은 중국을 과도하게 두려워 하고 러시아는 무시한다고 하는데 베트남이 미군철수후 바로 캄보디아 침략하러 최강 베트콩 부대를 원정보냈는데 그때 민명대 2만명이 베트남 지키고 있었는데 여자들이었음 그 여자들에게 중국 군대 최강부대들이 처첨하게 전쟁에서 진거임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에게 전투에서 게임도 안되게 져서 호치민이가 한국 군대는 왠만하면 피하라고 할정도인데 얫날부터 당나라 부대 이소리 괜히 있는게 아닙니다

  • @user-np3zx8hb3r

    @user-np3zx8hb3r

    5 ай бұрын

    미국은 전반적으로 아시아의 문화적 관점을 이해못하고 이해할 필요도 못느끼는듯. 아프가니스탄에서 싸울때도 탈레반 간부 온다고 마을유지의 결혼식에다 총질함. 결국 결혼식 신랑신부와 탈레반 간부 다 죽음. 미국은 명분이 있었겠지만 결과적으로 그 마을을 비롯해서 그 근처 마을에선 무슨일이 있어도 절대 미국에게 협력 안함. 몇번 그런식으로 행동하고나면 그나라 민심 절대 못잡는거지.

  • @user-zy1vj7ce2l

    @user-zy1vj7ce2l

    4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한국이 중국을 잘알고 바로보고 시진핑의 의도를 간파했던 것도 아니잖음 별다를 것도 없었는데 서방은 틀렸다라고 하는 게 의미가 있나

  • @jjh-ox9gi

    @jjh-ox9gi

    Ай бұрын

    ​예전부터 2찍들이 찍은 대똥들이 그랬지

  • @pealj.j4334
    @pealj.j43348 ай бұрын

    전쟁전에 히틀러를 만나본 지도자들도. 히틀러는 전쟁을 일으킬사람이 아니라고 했었다. 사람일은 모르는것

  • @user-to1je7be6l
    @user-to1je7be6l8 ай бұрын

    개인에 대해서든 집단에 대해서든 "사람을 보는 능력" "인간을 보는 능력" 보유는 핵무기 보유보다 유용하고도 강력한 것이란 생각을 리콴유의 세계를 보는 관점에 대해 들으며 하게 되네요~~

  • @richbelly
    @richbelly7 ай бұрын

    북언더스탠딩 매번 챙겨봅니다 남궁민 작가님 계속 불러주세요

  • @user-mp8lb2ys6m
    @user-mp8lb2ys6mАй бұрын

    남궁민 작가님 좋은정보 항상 구독중입니다. 새롭고 다방면으로 사고할 수 있는정보 감사합니다. 공부많이 하네요

  • @nutella123ish
    @nutella123ish7 ай бұрын

    나는 나이가 좀 있는데도 .궁민사위의 말씀은 간결하면서 정확하게 전달하시는것같아요 흥미롭게 잘 듣고있어요 .그리고 두 PD 님들 너무재미있고 합이 잘맞으세요 웃기고.ㅎㅎㅎ.감사합니다

  • @user-rc2lq3wp7p

    @user-rc2lq3wp7p

    4 ай бұрын

    궁민?

  • @user-xg2eh6sr4r
    @user-xg2eh6sr4r8 ай бұрын

    진짜 얼마나 기다렸는지 아십니까

  • @dooboodoop
    @dooboodoop7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 어디 감금시켜놓고 한권씩 맨날 해줘요 ㅋㅋㅋㅋㅋㅋ

  • @ertfghvbnxcv
    @ertfghvbnxcvАй бұрын

    리콴유 정말 현명합니다 싱가포르의 행운입니다

  • @user-sh8fk6xv2t

    @user-sh8fk6xv2t

    Ай бұрын

    플라톤의 철인이 리더가된 싱가포르!!! 리더의 필수는 인문학을 실천하는것!!! 학문의 기본은 겸손 그겸손이 세계의 리더다!!!

  • @brianlee7569
    @brianlee7569Ай бұрын

    시진핑 집권초기 도올 선생도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했더랬죠.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이라고. 신중하고 겸손하고 서민적이라고. ㅎㅎ

  • @jeanh84400
    @jeanh844008 ай бұрын

    배울게 너무 많아 두번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mistermea7665

    @mistermea7665

    8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keumnimlim2421
    @keumnimlim24218 ай бұрын

    진짜 끝내주는 분석이네요. 매력을 보라니. 중2때 미국 어학연수 갔다가 부모님께 국제전화로 꺼이꺼이 울면서 제발 여기서 계속 살게 해주세요 했던 기억 나네요.😂 대학생 때 프랑스 유학도 갔었는데 그땐 불평 없이 6개월만에 돌아왔었네요 😂 아무리 아름답다고 해도 유럽엔 쇠락의 에너지가 느껴지고 데이트를 해도 기운이 빠지는데 미국은 진짜 태양같았고 🌞

  • @user-bi9yj2nf6f

    @user-bi9yj2nf6f

    8 ай бұрын

    ㅂㅅ

  • @dong-gyunryu6247

    @dong-gyunryu6247

    8 ай бұрын

    맞아요. 나도 유럽여행은 그낭 즐겁게 다녀왔지만, 미국여행은 정말 거기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ㅎ단순 여행이라도 미국의 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user-ht5oe9ki7b

    @user-ht5oe9ki7b

    8 ай бұрын

    나도 예전에 유럽으로 출장가면 우리 나라로 돌아올 때 별다른 생각없이 귀국 비행기를 타는데, 미국으로 출장가면 귀국 비행기 타지말고 여기서 그냥 눌러 앉아 불법체류자라도되어 미국에서 살아볼까하는 갈등이 진짜 여러번 있었었지...ㅎㅎ

  • @mirrorball2957

    @mirrorball2957

    8 ай бұрын

    미국 지금 살고있는데 대체 어떤 점에요...? 어느 지역/인더스트리 계셨나요

  • @keumnimlim2421

    @keumnimlim2421

    7 ай бұрын

    @@mirrorball2957 LA에요 한인타운 외곽? Page private school 이라는 쪼꼬만 학교 다녔는데 23×13 같은 두자릿수 곱셈 계산기 없이 한다고 책상 주위로 애들이 둥글게 둘러싸서 구경하고 아침에 학교 가면 세상 반갑게 시끄럽게 반겨주고 학생 신분인데도 드레스 렌트해서 프롬 비슷한거 가고 샘 힉슨이라는 애랑 격하게 싸웠더니 스트리트 파이터라고 좋아해주고 그냥 나뭇잎만 굴러가도 행복했던 8학년이었네요. 한국에선 공부에 치여서 무표정으로 살았는데 미국에서 찍은 사진들은 다 표정이 밝아요

  • @user-jv9wn6to1y
    @user-jv9wn6to1y19 сағат бұрын

    포로 인정!인증!

  • @user-uq5gw2gt3x
    @user-uq5gw2gt3x8 ай бұрын

    오늘 안승찬기자님! 너무 빵터져요!

  • @lee44742
    @lee447428 ай бұрын

    미국. 중국.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리콴유의 시간이네요..

  • @user-ce6vn9gf2u
    @user-ce6vn9gf2u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붙잡아 듀셔요

  • @user-to1je7be6l
    @user-to1je7be6l8 ай бұрын

    완전 재밌슴!!!

  • @sengyeoh374
    @sengyeoh3748 ай бұрын

    좋은 책을 잘 정리해주셔정말 감사합니다

  • @user-vi1hw7ek2x
    @user-vi1hw7ek2x8 ай бұрын

    오늘 책 너무 흥미로웠어요 굿굿

  • @Sunny-xu1cu
    @Sunny-xu1cu7 ай бұрын

    재미있네요 2부도 곧 좀 해주세요~~~!!

  • @John-bd7bq
    @John-bd7bq8 ай бұрын

    아놔~ 2부 듣고싶어요!!!!

  • @user-op7co2cy3v
    @user-op7co2cy3v8 ай бұрын

    이번화는 특히 더 재밋네요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8 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 @user-ss6eo5zv9b
    @user-ss6eo5zv9b8 ай бұрын

    북언더스탠딩 너무 재밌어요!!!😆

  • @samtailor2791
    @samtailor27917 ай бұрын

    내생애 최고의 건강 강의 의과대학 내분비학 강의 급이면서 일반환자가잘이해할수있도록 강의하시는 지식,성의,정말고맙습니다 .

  • @sooshin3569
    @sooshin3569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H-KR-05
    @JH-KR-058 ай бұрын

    드디어!!😊

  • @dannylee9662
    @dannylee96628 ай бұрын

    2부 강추!

  • @alvinkim8562
    @alvinkim85622 күн бұрын

    언제나 감사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7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rollypop229
    @rollypop2298 ай бұрын

    좋아요 백번 누르고 싶어요

  • @chahonsan
    @chahonsan8 ай бұрын

    자주 나와주세요. 😅😅😅

  • @user-ty1oo3dd6i
    @user-ty1oo3dd6i8 ай бұрын

    2부 내놔요 ㅠㅜ

  •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othingman9080
    @nothingman90807 ай бұрын

    깜짝놀랐네. 좋은 내용입니다. 항상 이런 영상은 보고나서 즐겁네요. 그 즐거움이 키보드를 두드리게 만드는거죠. 손가락을 춤추게 합니다. 책도 읽어봐야 겠군요. 2부로 고고!!

  • @user-xp3nm6ep1f
    @user-xp3nm6ep1fАй бұрын

    재미있어요. 댓글들도 수준급입니다. 독자 만세!

  • @indora2928
    @indora29288 ай бұрын

    내용이 정말 알차네

  • @user-vj9mr8qh3g
    @user-vj9mr8qh3g8 ай бұрын

    내가 좋아하는 리콴류~~ 드디어 소개되네여... 대단한 독재자죠!

  •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8 ай бұрын

    ■■■ 박정희식 자유경제정책인 유신 (자유경제)으로 빈민과 서민이 부자가 된 싱가포르는 지구상에서 가장 잘사는 선진 복지 부자 국가가 되었는데... 권력에만 관심있는 가짜 민주팔이들인 반일을 선동한 김영삼 종북을 위한 사회주의 정책을 한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이 시장(기업)을 통제(규제)해 많은 빈민들을 대량 양산해 자유 대한민국을 붕괴시켜 정부배급(기본 소득)에 의지하는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었음 !!!!

  • @realongs
    @realongs8 ай бұрын

    아 너무 멋지고 재밌습니다😊

  • @user-pd8ut9ju6g
    @user-pd8ut9ju6g7 ай бұрын

    매번 남궁민님 듣고있지만 원고하나 않보고 인사이트가 대단하시네요

  • @torokory
    @torokory7 ай бұрын

    일단 싱가포르 이만큼 키운 것만 해도 리콴유 인정. 그 주변국들과의 차이만 봐도..

  • @user-eg7dd3gy2k
    @user-eg7dd3gy2k6 ай бұрын

    너무 재밋을거 같아서 풀영상보러감 ㅋ

  • @DutGi
    @DutGiАй бұрын

    재밌네요. 주제 선정도 신선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감사핮니다

  • @user-gd4tc1eq9g
    @user-gd4tc1eq9g8 ай бұрын

    오늘 왜 이리 늦게 잘보겠습니다

  • @fastdunn
    @fastdunn7 ай бұрын

    미국인들은 소비 많아 하고 저축은 안하지만 투자를 많이 합니다. 은행에 현금을 별루 두지 않아요...

  • @44fladnag94
    @44fladnag948 ай бұрын

    일요일 저녁엔 북언더스탠딩

  • @gina7692
    @gina76926 ай бұрын

    이 채널을 이제서야 알았다니.. 너무 재밌어서 몇번째 반복 시청하고 있어요. 책소개하시는 책제목을 영상 첫댓글로 고정해주시면 어떨까요? 책제목 찾으려고 영상 앞부분 뒤져서 찾았네요. 책도 흥미롭게 잘 읽겠습니다!

  •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8 ай бұрын

    아 이거 너무 재밌네요

  • @user-qh3wh5vp1e
    @user-qh3wh5vp1e8 ай бұрын

    이번 강의도 정말정말 재밌었어요 😊

  • @whwang3687
    @whwang36874 ай бұрын

    미국 뉴욕의 벨보이 연봉이 $4-5만불 이라서 삼성전자 연봉이라구요 ? 뉴욕에 사는 부부가 애 둘 낳고 렌트살면 둘 연봉 합계가 적어도 $20만은 돼야합니다. 독신자도 연봉 $10만 받아도 저축어려워요. 사회자가 이러시면 곤란한데요. 물가를 감안해야죠.

  • @user-bl6xr6xy2h
    @user-bl6xr6xy2h8 ай бұрын

    민주주의 나라는 능력있는 자를 뽑는게 아니라, 독재(?) 모습이 보이면 끌어내릴수 있는 나라가 민주주의 나라다. 누가 한 말....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8 ай бұрын

    민주주의 국가는 민주정치 하자고 국민들이 약속한국가(헌법으로)이고 실제로 민주정치하는 국가는 민주국가 라고 해야 한다 이승만 대통령 시절 우리나라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면서 독재국가였다 독재의 모습을 보이면 끌어내릴수 있는 국가는 민주국가이다 민주주의는 민주적으로 하자는 주장이다 민주적인거는 평화적으로 대화하고 타협하거나 다수의 의견으로 결정하는것.

  • @user-oe9mo6mi9b
    @user-oe9mo6mi9bАй бұрын

    굿굿굿

  • @charlottepark1121
    @charlottepark11218 ай бұрын

    오독의 즐거움도 사고 미니빈스도 사서 먹고 있어요~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코게허니 G1 홀빈이 정말 맛있어요~

  • @user-np8wy2ze3o
    @user-np8wy2ze3o7 ай бұрын

    재밌네요

  • @hjake2551
    @hjake25518 ай бұрын

    안기자님 이프로없으니 더 재밌으신듯 ㅋㅋ

  • @chang2597
    @chang2597Ай бұрын

    리콴유의 시선이 부럽네요~

  • @yso6650
    @yso6650Ай бұрын

    온라인에서 책 구매 들어갑니다 ㅎㅎㅎ 광고 잘 안사보는데 커피도 땡기네요 재밌는 책 소개 좋아요 !!

  • @wonjonglee9547
    @wonjonglee95478 ай бұрын

    같은 책을 봤는데 다르게 해석하네 ㅎㅎㅎ 이래서 활자를 직접보고 느껴야되는듯~

  • @user-ov7pi1dv1r
    @user-ov7pi1dv1r15 күн бұрын

    재밌어요~^^

  • @user-ho5vm7xz9p
    @user-ho5vm7xz9pАй бұрын

    리콴유가 싱가포르를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시켜 이만큼 키운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가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싱가폴의 전략적 위치가 너무나 중요하여 이를 포기할 수 없었던 영국과 미국이 굳건히 그를 지지해 주었기 때문 아닐까요?

  • @joohyunlee1159

    @joohyunlee1159

    23 күн бұрын

    독립시킨게 아니고 말레아지아로부터 일방적으로 쫒겨났어요 . 그리고 살아남기 위해 정부 주도하에 온나라가 노력했죠

  • @imodrum
    @imodrum8 ай бұрын

    재밋당 ㅋ

  • @user-vg8wu5yk8n
    @user-vg8wu5yk8n7 ай бұрын

    재밌네😂

  • @user-es9ie8tz2h
    @user-es9ie8tz2h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잘보고 배우고있습니다.

  • @user-kh2ti9nz9z
    @user-kh2ti9nz9z7 ай бұрын

    좋은 독재는 가능하다라는 예시 싱가포르

  • @user-sh8fk6xv2t

    @user-sh8fk6xv2t

    Ай бұрын

    플라톤의 이상국가는 철학자가 리더가 되는것의 본보기입니다!!!

  • @usinokaori
    @usinokaori8 ай бұрын

    남궁민 작가님…똘똘이스머프같아요….

  •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Ай бұрын

    리콴유가 작은 어촌 싱가폴섬을 지금의 부유하고 600만명 이상의 거대도시 국가로 만들수 있었던 이유가 있었네요 말레이시아로 부터 말레이족들이 주류를 이루던 넓은 말레이 반도와는 2차대전 이전까지 영국군의 기지가 있었을뿐 어촌에 불과했던 싱가폴섬이었는데 화교들이 대부분 이라서 강제로 추방 당하듯이 독립당해서 먹고살기 힘들었던 작은 섬이었는데 ..상당히 통찰력이 깊고 선견지명이 있었던 사람 같습니다

  • @YounChulShin

    @YounChulShin

    6 күн бұрын

    2차 대전 이전에 싱가포르는 이미 영국의 핵심적인 무역항이었습니다.

  • @user-ky5yz5nu6l
    @user-ky5yz5nu6l8 ай бұрын

    인간은 무지해서 과거나 현재나 미래나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그것을 기록한 것이 역사이다.

  • @dokpark5547
    @dokpark55478 ай бұрын

    리콴류뿐 아니라 말레이시아 홍콩 인도 등 대영제국 식민지얐던 나라는 영국으로 유학보내죠. 정서적 문화적으로 친밀하게 느끼고, 미국이야 여행이나 2차적 쵸이스가 있으니까

  • @user-pg1ui5bp1k
    @user-pg1ui5bp1k7 ай бұрын

    젊은양반이 많는지식을 터득했음 정확하고 바른바향을 유튜브를 인도했다

  • @beng5747
    @beng57478 ай бұрын

    음?! 싱가포르 국비 장학생 미국으로 엄청나게 가는데?! 내용을 들어보고 다시 판단해보겠습니다. ㅎㅎ

  • @beng5747

    @beng5747

    8 ай бұрын

    @@feelssogood4011 ㅎㅎ 그렇긴 하죠. 내용이 보니까 영국으로 유학을 많이 갔다인데... 리콴유 시절 초기에 아주 잠시 많이 간적이 있을수도 있겠죠. 아들 리센룽이 Cambridge 출신이니 하지만 최근 30~40년간 미국으로 간 숫자가 훨씬 많을 껍니다. 싱가포르 유명 정치인, 기업인, 대학교수들 보면 미국대학 출신이 훨씬 많아요. ㅎㅎ

  • @user-gt1ve4vt6n

    @user-gt1ve4vt6n

    8 ай бұрын

    염병...싱가폴건국초기에는 영국으로 많이 보낸다...모르면 닥쳐라...리콴유도 영국유학파다...

  • @jayjay9040

    @jayjay9040

    8 ай бұрын

    근데 지금도 영국 상위권 대학에 싱가포르 학생들 득실득실함 ㅋㅋㅋ 싱가포르 로얄 패밀리들이 캠브리지 출신인 것 말고도 싱가포르의 입시제도 자체가 영국 거를 베껴가서 그런지 싱가포르 수험생들이 영국 최상위권 대학들을 매우 좋아하는 편임

  • @jayjay9040

    @jayjay9040

    8 ай бұрын

    그리고 한국 이상으로 교육열 ㅈ랄난 나라가 바로 싱가포르인데, 그러다 보니 당연 학벌도 심함. 근데 여기 학벌의 중심은 대학이 아니라 고등학교임. 그 정점에 있는 고등학교가 바로 레플스라는 곳인데, 여기가 지금도 전세계에서 단일학교로는 옥스브리지에 신입생을 제일 많이 보내는 곳으로 유명함. 영국의 명문고들보다도 더 많이 보낸다고 ㅎㅎ 이걸로 봐도 싱가포르에서는 아이비리그 보다 옥스브리지에 대한 선호도가 약간 더 높은 듯. 안 그래도 학부만큼은 아이비리그보다도 옥스브리지가 더 낫다는 말도 있을 정도라..

  • @jayjay9040

    @jayjay9040

    8 ай бұрын

    그리고 싱가포르 로얄 패밀리(?)의 학벌을 보면 이게 이해되는 면도 있음. 리콴유와 그의 부인 콰걱추는 부부 모두 캠브리지 법대를 나왔음. 이들 부부의 첫째 아들이자 현 수상인 리셴룽은 캠브리지 수학과를 나옴. 이들 부부의 차남인 리셴양도 캠브리지 공대를 나옴. 로얄 패밀리들이 싹 다 영국 캠브리지를 나옴. 그러다가 3대째에서는 캠브리지가 아닌 옥스포드로 가는 케이스도 있다고 함. ㅎㅎㅎ 이런 걸 보면, 싱가포르 엘리트들이 제일 좋아하는 커리어 패스는 학부는 영국 옥스브리지 -> 대학원은 미국 아이비리그 이렇게 되는 듯

  • @user-dw6gv7yk5i
    @user-dw6gv7yk5i8 ай бұрын

    인물중심적인 독재 시스템이 장기간 국가를 존속시킨 역사가 없죠. 유능한 독재자의 후손이 탐욕 없이 부모와 같이 유능할 확률이 낮으니까요. 그걸 리콴유도 알았으니 나중의 일은 본인들의 몫이라고 표현 한것이죠.

  • @KW-zb3sf

    @KW-zb3sf

    8 ай бұрын

    세습은 망하는거죠.. 하지만 중국을 보면 인재를 중심으로 모인 차세대 지도부가 정권을 이어받으니.. 예전 왕정과는 조금 다른것 같긴 합니다..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8 ай бұрын

    ​@@KW-zb3sf과연 북한의 김씨왕조와 한국의 이씨왕조는 어케될까

  • @KW-zb3sf

    @KW-zb3sf

    8 ай бұрын

    @@user-zo5yb9bv5s 북한도 그나마 평균이상의 지능으로 보이니 망하진 않을것 같고.. 이씨왕조도 정용진같은 멍청이는 아닌걸로 보여 그나마 감시의 손길이 많아 망할것 같진 않군요..

  • @june_joy

    @june_joy

    8 ай бұрын

    @@KW-zb3sf 시진핑이 격대지정제도와 10년한도를 없애서 ㅠㅠ 그 2가지 중국시스템이 서구식민주주의 대항 방어논리 명분이었는데...

  • @user-np3zx8hb3r

    @user-np3zx8hb3r

    5 ай бұрын

    ​@@KW-zb3sf 하지만 단점도 존재하죠 그 잘난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서 움직이니 권력이 한곳에 집중되어서 인권이니 민주주의니 뭐니도 없는 국가가 되었죠 그리고 솔직히 리커창이 아니라 시진핑인거보면 그것도 항상 정확히 옳은방향인지도 잘 모르겠고요

  • @user_humans_are_omoshiroi
    @user_humans_are_omoshiroi8 ай бұрын

    👍😘

  • @user-um9ei6rx8x
    @user-um9ei6rx8x8 ай бұрын

    친한 지인 미쿡에서 20년째 변호사 생활 하는데 한쿡에 너무 들어오고 싶어도 일할 때가 없다는 ㅠ 이민 생활 젊었을때나 잠깐 하는 거지 나이들어서 할거 못됌 ㅠ

  • @user-xq8tm5nm7s

    @user-xq8tm5nm7s

    8 ай бұрын

  • @bakerk2107
    @bakerk21072 ай бұрын

    이번회 보고 자녀유학 앞둔 부모님들 유럽 알아봄😂

  • @user-ug2cb6iz1f
    @user-ug2cb6iz1f8 ай бұрын

    중국에 여러민족이 있는데 그 시스템이 모든 민족 다 탑재되어 있다는게 신기하네요.

  • @user-cq4qn9xj8l

    @user-cq4qn9xj8l

    8 ай бұрын

    개소리임 ㅋㅋ 그냥 리콴유 뇌피셜 세뇌당한 중국인들 빼면 독립 성향 엄청난데 그냥 권력에 굴복하는거라 티안내는거지

  • @yu-fm1oz

    @yu-fm1oz

    8 ай бұрын

    所以让你多学学中国历史,别一天到晚的只想着把前任宗主国的文化传统偷过去占为己有。

  • @user-zy3ws4kr8d

    @user-zy3ws4kr8d

    7 ай бұрын

    중국 5000년 역사가 한족만의 역사가 아니예요.모든 민족이 지배하고 역지배하면서 생성한 나라여서 분단이 생길 때면 재앙이란 걸 누구나 인지하고 있어요.결정적으로 지배층이 바뀔 때는 오히려 중앙집권이 약화 되면서 시작 되거든요.

  • @icefairy-tf6it

    @icefairy-tf6it

    7 ай бұрын

    중화민족은 다같은 민족이다~하고 어릴 때부터 가스라이팅 시킴.

  • @Iooxocc
    @Iooxocc8 ай бұрын

    지식인이 추앙받고 나라가 관념적 철학적 당위주의적으로 가는거는 망국병임 잘될 나라는 야성이 있음. 현상의 역동적 에너지

  • @user-dw6gv7yk5i

    @user-dw6gv7yk5i

    8 ай бұрын

    맞아요. 당위적인 국가가 과거에 있었죠. 전체주의 국가들...

  • @Iooxocc

    @Iooxocc

    8 ай бұрын

    @@user-dw6gv7yk5i e.g 조선

  • @75umberto20

    @75umberto20

    7 ай бұрын

    이런 생각하는 대표주의자가 월조 조갑제 영감 같은 부류들이죠. 그리고 예의없이 야만적인 전체주의 냄새를 풍기더군요. 영국, 프랑스, 미국이 세계를 지배하고 이끌어갔던 것은 민주주의, 자유, 인권, 평등 같은 관념의 덕이 큽니다. 부국강병만으로 세계를 지배했다고 생각합니까? 그리고 사람들이 조선을 고려와 구분해서 생각하는데, 조선의 기본 시스템이었던 문치주의, 중앙집권적 관료제, 지식인 집단에 의한 통치는 고려에서 시작해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천년넘는 전통 입니다. 당신들이 까는 조선의 전통은 사실 고려에서 시작된 것이고 바로 그 전통이 이 나라를 맨주먹에서 산업화와 경제화를 다 이루게 만든 문화적 원동력 입니다.

  • @user-cc8uf2js7u
    @user-cc8uf2js7u18 күн бұрын

    포로 되었네요 ㅎㅎ

  • @SHKim-uv4wo
    @SHKim-uv4wo8 ай бұрын

    남궁민이다 !!!!!!!!!!!!

  • @op9018

    @op9018

    7 ай бұрын

    이지성 인가ㅈ그 분. 영상은 태극기부대. 비슷한 분들이 보는 것 같던데 ㆍ책 많이 보고 그러는 게 가능한가? 돈이 많이 들어오나?

  • @zewujin2508
    @zewujin25088 ай бұрын

    반세기동안 독재를 하였지만 싱가폴 국민들한테 로 불리는 ~리콴유 총리 전설적인 인물이죠. 전세계 근현대사에서 신화를 이룬 유일무이한 정치명인임.

  • @Vidabello639

    @Vidabello639

    8 ай бұрын

    니가 싱가폴사람한테 물어봤음? 국부냐고? 내싱가폴친구들 20대는 관심1도없고 그냥 단순한독재자는데 우리나라 늙은이들은 국부랜다ㅋㅋㅋㅋ

  •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8 ай бұрын

    리콴유가 박정희 대통령의 새마을운동과 국유기업을 민영화하는 시장 자유화 정책을 배워 빈민과 서민이 부자가 되어 지구상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로 만들었지 !!!!

  •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8 ай бұрын

    ■■■ "중산층을 세금과 인플레이션의 맷돌로 으깨버려라. 더 이상 노력으로 계층 상승이 불가능한 사회를 만들어라. 중산층을 과도한 세금과 집값 상승으로 척살하고, 다수의 빈민층들이 가진 자를 혐오하게 선동해라. 정부 배급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게 만들어 좌파 정부를 절대적으로 지지하게끔 선동해 조종하는 것이 좌파 정권 유지의 비결이다.” ㅡ> 블라디미르 레닌

  • @Vidabello639

    @Vidabello639

    8 ай бұрын

    @@bbgg5143 내가 외대다녀 빡머갈아ㅋㅋ 외대나 쳐와보고 떠들자ㅋㅋ 싱가폴, 러시아, 하다못해 부탄친구들도 있는데 너 어디쳐박혀사냐? ㅋㅋㅋ 러시아가 선진국이라고 주장? 너 병걸렸냐? 이거 진짜 늙어서 그런가 대뇌피질 손상됐네ㅋㅋㅋㅋ 삽소리늘어놓지말고 오피셜이나 쳐가져와

  • @aawasmae7643

    @aawasmae7643

    6 ай бұрын

    ​@@Vidabello639젋은 애들은 먹고 살만 할때 태어났으니까 고마운줄 모르고 잘사는게 당연하다가 생각하겠지 그지같이 살아봐야 고마운줄 깨닫게 되는거임

  • @PROJECTYVR
    @PROJECTYVR8 ай бұрын

    독재자란 말로 리관유를 매도하면 안됨

  • @user-tf1mz9fe7u
    @user-tf1mz9fe7u4 ай бұрын

    미국은 소비자가 왕인 나라 경제가 활력이 넘치네요 세계1위 경제대국 계속유지되고 아시아는 근면절약 경제로 현상 유지되면 만족하는 나라들

  • @wiscrutgersaustin
    @wiscrutgersaustin6 ай бұрын

    역사와 전통이란 것이 많이 무의미합니다. 중국은 3000년 정도 되었는데, 지금 가지고 있는 역사와 전통이란 것은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이후입니다. 문화혁명으로 모든 역사와 문화, 전통을 버렸으니 지금 남아 있는 것이 없지요. 반면 미국은 300년도 되지 않았는데, 그 사이의 모든 역사와 전통이 이어지고 있어요. 한 가지만 예를 들어 보지요. "민주주의"는 어디에서 탄생한 것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이 질문에 유럽을 말하더군요. 아닙니다. 미국에서 탄생한 겁니다. 지금 전세계의 많은 국가가 사용하고 있는 대통령과 민주주의는 모두 미국에서 탄생한 겁니다. 미국의 역사와 전통 아래에서 수많은 국가가 살고 있는 겁니다.

  • @user-we1eh7xi3f
    @user-we1eh7xi3f12 күн бұрын

    인권땜에 쳐들어간다고 - 그 나라를 친미 반미로 나누기위해서다.

  • @PPongPong
    @PPongPong8 ай бұрын

    리콴유의 시각은 문화결정론이죠. 경로의존성을 따르는 문화결정론...

  • @mysymphony67
    @mysymphony67Ай бұрын

    싱가포르, 두바이등 이 불가능을 가능으로 이룰수있었던 이유는 국가와 국민의 발전을 진심으로 고민한 “ 철학이있는 유능한 독재자” 가 방해와 공작없이 계획하고 엨세큐트 할수있었기때문이다..,

  • @user-we1eh7xi3f
    @user-we1eh7xi3f12 күн бұрын

    끊임없는 frontier mentality에 무서울정도로 현실적 판단력과 남 잘되는 일 절대로 못보는 젤 잘났어 의식이 오늘의 서양과 미국을 만들었다 본다. 오만함과 타인종을 우습게 여기는 그들이 끝까지 최고로 남을까?

  • @cyclo4u
    @cyclo4uАй бұрын

    20:20 일본 중국 비슷하고, 한국이 다른것이 아니라 / 한국 일본이 비슷하고, 중국이 다르다고? 정치문화가?

  • @user-sc3df6hf8k
    @user-sc3df6hf8kАй бұрын

    싱가폴,한국 다른 국가리더였으면 지금같은 경제발전 물음표. 독재는 독재고.

  • @user-vt2gy2ub2m
    @user-vt2gy2ub2m8 ай бұрын

    이프로의 본명은 무엇입니까?

  • @masterhuh1565
    @masterhuh15658 ай бұрын

    존박 폼 미쳤다.

  • @daphnekhang7577

    @daphnekhang7577

    5 ай бұрын

    남궁존박 😂

  • @TV-ms6qh
    @TV-ms6qh8 ай бұрын

    양적완화하여 가계부채 청산하자

  • @Odonam
    @Odonam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인재 = 암기왕

  •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8 ай бұрын

    전 20년 가까이 미국에 살고 있는데 관점이 좀 다릅니다. 미국도 제조업이 망하면서 전성기는 지났고 물론 우리나라에 비해 전체적인 시스템이 잘 갖춰져있는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미국응 국가라기 보단 공권력이 강한 대기업 같은 느낌입니다. 그리고 미국도 하이라키가 심해서 상류사회에 유색인종이 진입하기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위로 갈수록 인종차별이 심해져요 물론 유럽에 비해 리버럴한 면이 있긴 하지만 혹시라도 미국 이민이나 유학을 고려하시는분들이 있다면 장단점을 다 알고 계셔야 할것 같아 댓글 납깁니다. 그리고 너무 넓고 삭막해요 유럽이나 한국의 작은 골목이 그립습니다.

  • @user-zy3ws4kr8d

    @user-zy3ws4kr8d

    7 ай бұрын

    그건 살아봐야 느끼는 점들입니다.아무리 님이 얘기해도 언론권이 미국 손에 있는 이상 아무것도 안 변합니다.

  • @loup4889

    @loup4889

    7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대부분 저런 지정학적인 분석들을 하시는 분들은 '감'으로 너무 많이 접근하는데 사실 경제학적인 최소 지식이 필요합니다. 역사상 그 어떤 대국도 제조 산업기반없이 대국을 유지를 못했습니다. 그건 작은 나라들만 특화된 서비스로 가능하고요 (예. 스위스). 그 어떤 사회든 기본적 저축과 투자가 기반인데 미국 및 서방은 저축도 투자도 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서방국가들은 저축율이 10대에서 20% 초반인 반면에 동아시아 국가들은 30%후반(한국 35%)에서 50%이상(싱가폴) 이며, 투자도 훨씬 많이 합니다. 이 이야기는 중국은 중앙정부가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고 미국과 달리 인프라, 기술 투자 (미국을 추월해서 세계 1위 특허국가 몇년전 되었고, 그냥 순수 '특허수'뿐만 아니라 제일 인용이 많이 되는 특허에서도 미국을 추월했습니다) 를 꾸준히 합니다. 장기적으로 이길수가없죠. 여기서 '투자'는 산업기반을 말하는겁니다. 사회 기초를위해서는 본질적인 도움이 안되는 인터넷회사등 이야기하는게 아닙니다. 예. 미국이 현재 석유 생산국가 1위, 소비국가도 1위지만 정제공장에 마지막 투자한지 50년이 넘었습니다. 현재 미국은 결국 화폐로 버티고 있는 상황입니다. 생산보다 소비가 많은데 그 차액을 돈 찍어서 마련하는거고 그것도 이제 기축통화일때만 가능한데 그 자체가 지금 흔들리고 있고 비서방권에서는 무너지는건 시간문제라고 봅니다. 이걸 믿기 어려우신 분들은 영국 파운드가 얼마나 강했으며 1967년 한순간에 화폐가 무너지면서 100년전 1파운드가 5달라이였던게 현재 거의 1:1로 변하게 된 과정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 @loup4889

    @loup4889

    7 ай бұрын

    @@user-zy3ws4kr8d 일본 한국 서방 제외하고는 미국 언론권이 강하지 않고 가면 갈수록 약해지는게 현실입니다. 우리나라도 좀 더 여러 지역의 현실적인 정확한 상황을 파악해야 국익이 되죠. 외국 정보에 관심을 갖고 이왕이면 그동네 언론을 통역기로 기본 돌려봐도 그림이 많이 다릅니다.

  • @user-cx5mx3xk6m

    @user-cx5mx3xk6m

    7 ай бұрын

    ​@@loup4889그래서 현재 미국은 제조업을 자국에 부흥시키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지 않나요? 우리나라도 가서 공자 짓고 있고요. 개인적으로 미국은 전쟁에서 질 수 없기 때문에 제조업을 갖출수있는 시간을 벌면서 종국에는 1위 자리를 지킬 거라 생각합니다. 결국 지리적으로 전쟁에 확연한 우위를 지닌 것이 승패를 결정할 것입니다.

  • @heejaelee1537

    @heejaelee1537

    7 ай бұрын

    꽂은 피며 지기 마련입니다 ...미국은 지는 해 ...?

  • @user-zk2fz6ho1g
    @user-zk2fz6ho1g7 ай бұрын

    중국대륙이 한 나라가 된이유로 지리적 특성과 쌀농사 이렇게 보통 말하는데 사람들이 간과하는게있지요.. 유럽과 아시아인의 인종 즉 외모가 다르기 때문이라는거.. 동양인은 검은눈 검은머리로 다 통일됐지만 서양인의 머리색깔과 눈색깔은 다양하죠.. 그래서 그들은 체질적으로 시각적으로 남과 다름을 인식하죠.. 그러기 때문에 개성이 강하고 자기만의 영역을 중요시하고 집단화에 거부감을 느끼고 그리고 옷을 입어도 사람마다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에 어울리는 패션이 있어서 한국처럼 똑같은 옷이 유행하기 힘들죠.. 사람들은 그런 얘기를 전혀 하질 않죠.. 생각하면 간단한데..

  • @wooramyu7481
    @wooramyu74818 ай бұрын

    음식이 이래서 중요하다...영국에서 음식같은 음식 못 평생 산다고 생각해봐라...

  • @11davidlee
    @11davidlee8 ай бұрын

    도시국가조 싱가포르. ㅋ

  • @chasukmin1115
    @chasukmin111515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성경에서 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같네요.성경에는 걱정하지 말라 오늘 만족하고 기쁘게 살라는 것이 성격에 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