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좋아지고 있다고요? f.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신과대화]

*조영무 연구위원 2부 보러가기
• 올해가 작년보다 어렵다고 하는 이유 f....
대한민국 1분기 GDP 성장률이 1.3%를 기록했습니다. 수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 숫자가 의미하는 바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느끼는 경기와 국가 단위의 수치에서 오는 괴리에 대해 조영무 연구위원이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올해 1월 1일에 출연해 본인의 이야기가 틀리길 바란다며 2024년 전망을 하고 갔죠. 지금 우리가 보는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지 조영무 연구위원과 함께 들어보시죠!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 10일 무료 체험도 고민된다면? 실제 사용 후기 보기! : bit.ly/3pro_membership
❤️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704~0705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271

  • @3protv
    @3protv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연구위원 2부 보러가기 kzread.info/dash/bejne/n2mjxI-wmrjLnc4.html 대한민국 1분기 GDP 성장률이 1.3%를 기록했습니다. 수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 숫자가 의미하는 바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느끼는 경기와 국가 단위의 수치에서 오는 괴리에 대해 조영무 연구위원이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올해 1월 1일에 출연해 본인의 이야기가 틀리길 바란다며 2024년 전망을 하고 갔죠. 지금 우리가 보는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지 조영무 연구위원과 함께 들어보시죠!

  • @user-yh8iw9tn7i

    @user-yh8iw9tn7i

    10 күн бұрын

    99999ㅈ99ㅈㅈ9ㅈ9 ㅣㄱ

  • @JeonghunChae
    @JeonghunChae10 күн бұрын

    결론부터 말하면 일본처럼 생산 시설 해외 이전이 가속화 되고 있고 이게 지표로 나타나고 있다 네요... 장기적으로 원화 가치는 취약해지겠군요.. 달러 자산 안 모으면 진짜 큰일 날 수도 있을 것 같은 위기감이 드네요

  • @user-xm4pg8fq3s
    @user-xm4pg8fq3s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너무 많이 기다렸습니다😊 정말 대한민국 최고 입니다😊

  •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10 күн бұрын

    이분의 경제지표라던가 예상이 제일 믿음이 갑니다.

  • @youngkihong8885
    @youngkihong88859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수석님의 뷰는 우리나라의 거시환경을 이해하고 바라보는 데에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진심 최고입니다.

  • @user-oh8qw1re4c
    @user-oh8qw1re4c10 күн бұрын

    신뢰하는 조영무연구원~~ 몇년전부터 정확했던걸 압니다

  • @user-up6zt7tk8c
    @user-up6zt7tk8c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님 출연편은 꼭 봅니다 장기적 정기적으로 꾸준히 의견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zacherekunterious760
    @zacherekunterious76010 күн бұрын

    팩트는 그거아닌가요 조영무님은 얘기를 안했지만 imf가 2020년을 기준연도로 쓰면 안된다고 권고했음에도 한국은행은 왜 굳이 2020년을 기준연도로 썼는지.

  • @sgtno3226

    @sgtno3226

    10 күн бұрын

    누가 강요했는지 특검 필요.윤썩을열?

  • @user-di1ld9lf8u

    @user-di1ld9lf8u

    5 күн бұрын

    12:12 이 분도 얘기하시네요

  • @andikang2176
    @andikang217610 күн бұрын

    1분기 3월까지 해외여행객이 750만명. 국내에서 큰돈 소비안하고 아끼다 해외에서 왕창 쓰는거 주변에서 많이 봅니다. 우리 사무실에도 정규직 10명 중 3명이 가족동반 해외여행 다녀왔네요. 그게 성장율에 잡히니 체감경기가 어렵죠. 코로나때는 국내에서만 돈쓰니 생각보다 잘 버틴듯요.

  • @KingKangUSA

    @KingKangUSA

    10 күн бұрын

    아무리 경제가 나쁘다 해도 돈있는 사람은 다 가고 또 그것만 티나게 보이니 어쩔수 없죠. 조/부모 덕없이는 시작부터가 힘들죠. 물론 자기가 벌어서 가는 분들도 있지만 정말 그정도 여유가 있으신분들은 부럽네요.

  • @captinpriceentarozeratul8114
    @captinpriceentarozeratul811410 күн бұрын

    영무형이다 😀 소중한 말씀 고맙습니다 ❤❤❤

  • @user-lx3pm1mr8p
    @user-lx3pm1mr8p10 күн бұрын

    믿고듣는 조영무 박사님 . 자주뵈었음 합니다. 정확한 팩트분석 늘 감사합니다.

  • @jennifer.sung0416
    @jennifer.sung0416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꺼는 꼭 보고 있음. 박종훈 전 KBS기자가 언급한 기준연도 변경에 대해서 조영무 박사도 언급하시네...

  • @zmfreeroo
    @zmfreeroo10 күн бұрын

    핵심은 한국은행이 1분기 경제성장률의 기준연도를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으로 잡았다는 겁니다. 통계왜곡이 발생할 수 밖에 없게 기준을 잡아놓고 "분기성장률이 최대로 올랐다", "1인당 GNI가 일본을 추월했다", "가계부채가 GDP대비 90%초반대로 떨어졌다" 등으로 기사를 내는데 의도가 너무 뻔합니다. 대통령이 직접 우리나라에 유전있다고 발표하는 것도 그렇고 참... 국가 관료라는 사람들 수준이 암담하네요. 여전히 국민을 도그피그로 보는거죠.

  • @lovej4565

    @lovej4565

    10 күн бұрын

    이렇게라도 다수의 눈과 귀를 가리지않으면 큰일 난다고 생각하는 것 같네요...

  • @user-oc7ps6we7h

    @user-oc7ps6we7h

    10 күн бұрын

    검새들이 무서워 팩트를 말하지 못하는 거

  • @yuriseo1943

    @yuriseo1943

    10 күн бұрын

    성장률은 왜곡이 맞는데, GNI와 GDP는 정량수치라 2020년 기준과는 관계가 없어보이네요..

  • @user-zd4en1gi3h

    @user-zd4en1gi3h

    10 күн бұрын

    포항 가스 ㅎㅎ 일본에 빼앗길까 발 담가 찜하겠다는 꼴이죠 뭐 그거라도 해야죠

  • @user-zd4en1gi3h

    @user-zd4en1gi3h

    10 күн бұрын

    해외기업유치 전혀 준비 안돼있죠 규제가 엄청난데 누가 투자하고 싶겠어요 게다가 엄청난 노조 리스크는 어쩌고요 캐스퍼 공장 봤죠 약속깨고 시위하는거 ㅋㅋ

  • @jhonl1645
    @jhonl1645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 채널에서도 똑같은 지적 있었는데 사실이네요

  • @lovej4565
    @lovej456510 күн бұрын

    조연구원님 항상 감사합니다^^

  • @ParkJiSeop1
    @ParkJiSeop110 күн бұрын

    냉정하고 객관적인 분석 감사합니다

  • @mkorea4105
    @mkorea410510 күн бұрын

    경제문제가 경제면이 아닌 사회면에 나올 거라는 전망은 정확히 맞췄습니다. 틀렸으면 좋았겠지만…

  • @user-ii3jq5st4d
    @user-ii3jq5st4d10 күн бұрын

    이분이 최고인듯

  • @sunsooklee1502
    @sunsooklee150210 күн бұрын

    와 조영무샘이닷~~~~ 기다렸어요~~~~

  • @user-cm2zz1md8e
    @user-cm2zz1md8e10 күн бұрын

    2부가 기다려 집니다. 좋은 컨텐츠 고맙습니다.

  • @anbayo1
    @anbayo110 күн бұрын

    제조업에 핵심자재 유통업합니다. 20년넘었는데. 창립이래 최악으로 올해 경기가 안좋습니다. 소규모 제조나 가공업 하시는분들 공장 그만하신다는 분이 생기고 있음. 6개월만 지속되면 진짜 많이 업체들 쓰러질꺼같네요. 제조업체 사장님들 일도 없어서 힘든데, 구매처에서 직원을 잘라서라도 단가를 내려가지고 오라고 한다고..중국물건들때문에 가격면에서 많이 힘든거같음.

  • @user-bw1gv1tw4r

    @user-bw1gv1tw4r

    10 күн бұрын

    20년동안 단 1년이라도 경기가 좋았던적이있었던가요??

  • @user-jx3ey6hg8q

    @user-jx3ey6hg8q

    10 күн бұрын

    내수는 경기가 안좋지 수출은 역대 호황 인건 맞음

  • @anbayo1

    @anbayo1

    9 күн бұрын

    @@user-bw1gv1tw4r 매출 그래프 그려보면 알고. 관련업체 매출. 그리고 폐업하시는 분들. 다 들어보고 판단하는겁니다. 걍 느낌상 경기가 좋다 안좋다 이런게 아니고. 매출이 역대급 바닥. 그리고 그 기간이 깁니다. 두세달 잠깐 빠지고 이런게 아니고. 그리고 우리회사만 그런것도 아님. 전체가 다 그래요. 코로나때보다 더 뺘졌음. 그리고. 소재 단가가 올라서 마진도 옛날보다 적게 붙여서 팝니다. 가져오는 단가가 30퍼 올랐다고 마진을 그렇게 못붙임. 가격이 너무 오르니까..그래서 이윤은 더 떨어진상태임. 거기다가 경기가 없어서 진짜 큰일임..

  • @user-tu7zo2sj2s

    @user-tu7zo2sj2s

    8 күн бұрын

    저는 구인난에 굉장히 어려운데 인력은 잘구해지는지요?

  • @anbayo1

    @anbayo1

    4 күн бұрын

    @@user-tu7zo2sj2s 구하기 어려워요.

  • @Bclasscat
    @Bclasscat10 күн бұрын

    한국 올해 성장율이 4%라는 게 말이 되나... 진짜 물가 많이 오르고 엄청 힘든데...아니면 인플레 만큼 소비줄고...성장율이 늘었던 건가...집값도 밥값도 두 배쯤 올랐으니...

  • @starlightt20

    @starlightt20

    10 күн бұрын

    실질성장률에는 인플레로인한가격인상은 안들어갑니다.

  • @aqr1787

    @aqr1787

    10 күн бұрын

    미국도 마찬가지임 인플레 보정하면 미국도 성장율 1프로대임 유럽도 인플레 보정하면 대부분 이미 마이너스임

  • @seungheehan6994

    @seungheehan6994

    10 күн бұрын

    IMF 에서 2020년 기준으로 잡지 말라고 했는데 코로나 발생으로 지표가 너무나 나빠서.. 왜 우리는 그걸 적용해서 이렇게 이해 안가는 수치가 나오는지....

  • @lovej4565

    @lovej4565

    10 күн бұрын

    @@seungheehan6994누군가의 눈을 가려야 되니까요...

  • @Bclasscat

    @Bclasscat

    10 күн бұрын

    제가 경제 전문가가 아니라 설명은 못하겠는데, 이런 말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100만원을 버는데, 집대출 이자로 10만원 생필품생활비 30만원 여행 20만원(4회) 자녀교육비 20만원 저축 20만원 이렇게 했다면, 대출이자 인플레가 두 배로 상승하고, 급여가 10만원 올랐다면, 총 110만원 수입 집대출 이자 20만원 생필품 60만원 여행 10만원(1회) 자녀교육비 20만원(반으로 줄임) 이렇게 되면 실제로 돈은 더 써서, 성장율은 늘었는데, 실제로 저축도 못하고 쓰는 돈은 절반으로 주는 거지요. 그러니, 가게들도 소비자가 절반으로 주니까, 경기침체이고, 망하는데... 실제적으로는 성장율은 더 올라가 보이는 이런 현상...실질적인 성장이 아니라, 인플레로 인한 착시 성장이 아닌가 해서....경제 전문가가 아니라 모르겠지만.... 그러지 않고서야...이해가...4%면 그동안 경험으로 봤을 때 엄청난 성장이고 호황이거든요. 이런 침체에서 4%는 그 이유 밖에 없을 거 같은데.

  • @user-ye7hd8sq3j
    @user-ye7hd8sq3j10 күн бұрын

    와 기다렸어요..

  • @user-mn9kv1uv3y
    @user-mn9kv1uv3y10 күн бұрын

    조 박사님, 정말 많이 기다렸습니다. 최고예요 👍👍👍

  • @user-cm9tv4jm7l
    @user-cm9tv4jm7l1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z7sm
    @---nz7sm10 күн бұрын

    IMF에서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한 특정 상황이니 해당 년도를 통계 기준으로 사용하지 말라는 권고가 있었는데 한은은 부득불 2020년을 기준으로 바꿨죠. 그리고 일본은 기존 통계 연도 사용하고 한국만 2020년 통계 연도 사용해서 GNI 앞섰다고 하는데 그 기준으로 봐도 전 정권 대비 GNI가 내려가고 있는데 그런 건 말도 안함.

  • @Earun777
    @Earun77710 күн бұрын

    삼프로는 1년에 3번쯤본다. 조영무

  • @user-qp5gq3vn1c

    @user-qp5gq3vn1c

    9 күн бұрын

    저도요~

  • @HY-id9jt

    @HY-id9jt

    8 күн бұрын

    저도요^^

  • @user-qt3tx6jp7u
    @user-qt3tx6jp7u10 күн бұрын

    우리 가족부터도 소비를 줄이고 있습니다. 빚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처럼 편안히 마트에서 쇼핑하면 깜짝 놀라는 금액이 나와서 반드시 필요한거 아니면 구입하지 않게됩니다. 정부 발표의 신뢰 여부는 자신의 소비만 돌아봐도 경제가 죽어가고 있다는 걸 알게 되네요. 그리고 주변에서 일하시는 분들 얘기는 요즘 일이 없다고 하드라구요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7 күн бұрын

    외식이나 배달음식 시키는건 많이 줄이게 되더라구요

  • @yjcho8032
    @yjcho803210 күн бұрын

    이분 분석은 주의깊게 듣게 됩니다.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 @user-oe4jb6og7m
    @user-oe4jb6og7m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감사합니다 ^^

  • @user-lt8yh7kz9w
    @user-lt8yh7kz9w10 күн бұрын

    말씀대로라면 현 지표는 불황형 흑자 정도가 아니고 나라 근간이 흔들리는 흑자네요;;;

  • @user-dj2qh4ps7i
    @user-dj2qh4ps7i10 күн бұрын

    정말 조박사님 방송은 일단 추천 하고 봅니다.

  • @user-pn8tt9yz3h
    @user-pn8tt9yz3h10 күн бұрын

    원사 취급하는 지인 7명 모임인데 다 쫑났습니다 빚만 지고 끝났습니다. 시장 박살이예요. 다들 헛소리만 해대는데 체감적으로 큰일나겠단 느낌이 듭니다

  • @playerre3428

    @playerre3428

    9 күн бұрын

    원사가 뭔가요

  •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

    7 күн бұрын

    원단 짜는 실 아닐까요?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3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dalabautomation_8371
    @dalabautomation_837110 күн бұрын

    조박사님이 원탑이다!!!

  • @user-sj7hd5cy3o
    @user-sj7hd5cy3o10 күн бұрын

    역시 최고입니다...👍

  • @user-pn4nx1ye4o
    @user-pn4nx1ye4o10 күн бұрын

    2020년을 기준년도로 잡으면 안된다고 하네요. 대다수의 계리사, 회계사라면 특이 년도는 재해 또는 특이점이 있는년도는 기준년도 제외 한다는 점을 알고 있을겁니다. 왜냐고요? 팬데믹으로 인한 통계왜곡이 발생하거든요.

  • @lovej4565

    @lovej4565

    10 күн бұрын

    imf도 2020년을 기준으로 잡지말라고 이미 기사로 나와있는 것 같네요.

  • @user-hj9rr5iu7u
    @user-hj9rr5iu7u10 күн бұрын

    주변 상점들 보면 imf보다 심해 보임

  • @user-eg2is2zj8b
    @user-eg2is2zj8b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박사 날카로우시네요!!!감사감사!!!

  • @user-cy1mq2ru4e
    @user-cy1mq2ru4e10 күн бұрын

    수준높은 경제 톡 오랜만입니다 감사

  • @user-wr5wd6uy1i
    @user-wr5wd6uy1i10 күн бұрын

    최고 전문가 ❤

  • @bearbear7976
    @bearbear7976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 박사님 같은 분이 있는데 왜 ,LG화학은 경영진들이 경영을 못할까요... Lg화학 좀 잘 부탁드립니다... 재직자 입니다

  • @user-rk6ps3xj4t

    @user-rk6ps3xj4t

    10 күн бұрын

    구씨가 문제야... ㅋㅋ

  • @HK-ws8ro

    @HK-ws8ro

    9 күн бұрын

    뭣도 모르는 애들이 돈 많이 받고 놀아서

  •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7 күн бұрын

    상가들 비어 있는곳이 늘어나고 있어요. 몇십년 동네에 있던 옷매장, 음식점들이 철수하니 괜히 마음이 안좋네요.

  • @user-zm2mg1jl5m
    @user-zm2mg1jl5m10 күн бұрын

    많이 기다렸습니다.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ws5jc5ol7u
    @user-ws5jc5ol7u10 күн бұрын

    생각날때면 한번씩 출현해주시는듯 ㅎㅎ 감사합니다

  • @user-my8qy6yq8e
    @user-my8qy6yq8e10 күн бұрын

    최고자❤

  • @user-wd7je7le9s
    @user-wd7je7le9s10 күн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분인데... 예전에 딱딱한 스타일로 말씀. 하셨는데. 많이. 부드러워. 지셨네요. 그게 좀 아쉬 웠기든요. 내용은. 항상 좋으셔서~ㅎ. 오늘도 도움 많이 됩니다. 자주 나와 주세요.

  • @ericjung5699
    @ericjung569910 күн бұрын

    그도그럴것이 TV엔 온통 남의나라해외여행 홍보 방송 일색이다 아니면 먹방 후르릅 쩝쩝..아니면 트롯트 흥청망청 니나노 닐리리야~ 노 답인 나라다

  • @user-dr6th4lh4k

    @user-dr6th4lh4k

    10 күн бұрын

    국내여행이 노잼에 바가지라 그런가 아닐까요?

  • @user-ty1nr2cz3b

    @user-ty1nr2cz3b

    10 күн бұрын

    맨날 국민들만 탓하는 노답인 나라이기도 하죠.

  • @pop5770

    @pop5770

    10 күн бұрын

    다큐멘터리 많아지면 좋을거 같긴 하지만요.

  • @user-he9lz9mc3e
    @user-he9lz9mc3e10 күн бұрын

    믿고 보는 조영무님

  • @mssong4962
    @mssong496210 күн бұрын

    이분은 원탑. 대한민국 정부는 답이 없지만, 이분의 고견을 들었음 좋겠습니다.

  • @BSSBJM
    @BSSBJM9 күн бұрын

    최고의 분석.

  • @jangbu511
    @jangbu51110 күн бұрын

    믿고보는 최고의 전문가

  • @user-sn4di1we5t
    @user-sn4di1we5t10 күн бұрын

    가장 신뢰 가는 사람임

  • @user-cm8zn4ko2x
    @user-cm8zn4ko2x10 күн бұрын

    오 2부가 있었어! 다음 싸이클까지 한 동안은 우리나라가 좀 힘들겠군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미장에 머물러야겠다;;;

  • @apt-micro
    @apt-micro9 күн бұрын

    역시 조박사님. 답답했던 부분이 해결되었습니다

  • @realongs
    @realongs10 күн бұрын

    오...조연구위원님...😊😊😊

  • @user-zy6kl3hd1n
    @user-zy6kl3hd1n10 күн бұрын

    이분 너무 좋앙

  • @June-pv3du
    @June-pv3du10 күн бұрын

    조영무님 ❤

  • @user-yn3jy4tp7t
    @user-yn3jy4tp7t10 күн бұрын

    요새 학생든은 개근하면 ^개근 거지^ 라고 한다네요. 학기중에 부모랑 해외여행 가느라 체험학습결석 안한 학생들은 거지라는 뜻이라나... ㅠㅠ

  • @user-nk3rw7uw6b
    @user-nk3rw7uw6b10 күн бұрын

    이런상황인데도 집값은 천정부지임ㅋㅋ

  • @user-lt8yh7kz9w
    @user-lt8yh7kz9w10 күн бұрын

    이렇게 반가운 썸네일이😊😊😊

  • @youngsookkim3581
    @youngsookkim358110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저도 해외소비금액이 더 많았어요

  • @ljs2358
    @ljs23589 күн бұрын

    23:00 급증하는 해외소비

  • @yjkang781
    @yjkang781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최고의 경제전무가 조영무 연구위원님 그리구 박종훈기자님 이 두분은 믿구 봅니다.

  • @mapx2100
    @mapx21009 күн бұрын

    올해 경제성장률은 전망치보다 높겠지만, 내년 이후의 성장동력을 빼와서 올린거라 점점 더 경제가 힘들어질거란 얘기네요.

  • @yikorn1
    @yikorn110 күн бұрын

    영무햄!!!

  • @NO-pk4sr
    @NO-pk4sr6 күн бұрын

    해외로 국내 대기업들의 투자가 몰려가는데 그 투자의 수혜는 결국 투자받은 지역 경제의 선순환으로 나타나겠지요! 당연히 지표는 좋아지더라도 체감경기, 실물경기는 안좋을 수밖에 없겠네요!

  • @user-de5vw4pk7f
    @user-de5vw4pk7f7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연구원님

  • @user-fi5zu6qp2y
    @user-fi5zu6qp2y10 күн бұрын

    질 나쁜 성장 인가요? 미국, 유럽, 일본 자국내 기업 유치가 대단한데... 우리나라는 뭘 하는 지...

  • @user-zd4en1gi3h

    @user-zd4en1gi3h

    10 күн бұрын

    님 스스로에 몇가지 물어보세요 우리는 미국과 중국중에 어디를 선택한거지? 우리는 시장에 비해 인건비가 과도하게 형성돼있나? 우리는 일본에 비해 친기업인가? 해외 투자자 눈에 일본 보다 투자가치가 있나? 제 생각을 말하자면 야심차게 출범했던 한미일 동맹은 북중러 눈치 보느라 결국 발만 걸친 꼴이 됐고요 그 자리를 필리핀이 대신하게 됐습니다 우리 인건비는 너무 과도해요 친기업적인 국가도 아니고요 탈중국 서방자본은 일본을 축으로 대동단결중으로 보입니다

  • @cherryl2661

    @cherryl2661

    10 күн бұрын

    투자하려면 그나라에서 소비를 해주거나 일본처럼 정부지원을 엄청나게 해쥬야하는데 어느것도 해당사항없어요. 국내기업지원해줄 예산도없는데 어떻게 유치해요.

  • @X-Jap

    @X-Jap

    7 күн бұрын

    선택은 2나라만 있는게 아니죠

  • @dan-mj1pz
    @dan-mj1pz10 күн бұрын

    근데 기준년도 2020년은 imf에서 사용하지 말라고 했잔아요 코로나때라 오염된 데이터라고 그런데도 기준년도를 2020년을 썼죠 말그대로 사기친가죠

  • @user-oc7ps6we7h

    @user-oc7ps6we7h

    10 күн бұрын

    윤서결의 무능을 가리기 위한 속임수

  • @user-jh9nb1bw6b
    @user-jh9nb1bw6b10 күн бұрын

    신뢰하는분중 한분 조영무님 나오셔서 봤습니다❤❤

  • @stefanomarkulin
    @stefanomarkulin9 күн бұрын

    지금 그 누구도 민생에 신경쓰고 있지 않습니다. 살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 @sjlee1743
    @sjlee174310 күн бұрын

    경기가 좋으니 금리를 올려야 겠구나

  • @DonggeonHyung

    @DonggeonHyung

    10 күн бұрын

    토건족 살려야해서 안됨 ㅋㅋ

  • @user-hy1tr9mx8w
    @user-hy1tr9mx8w10 күн бұрын

    😮

  • @hoonkkim6930
    @hoonkkim693010 күн бұрын

    이분만 봅니다😊

  • @user-st6zl8ho2t
    @user-st6zl8ho2t10 күн бұрын

    와......최악의 흑자네....와 이러니 무역흑자에도 환율이 이모양이구나

  • @user-xj3yt1sb5f
    @user-xj3yt1sb5f9 күн бұрын

    장기적으로 국내 투자는 줄 것이고, 요인은 국내 금리, 미국 내 투자(지정학적, 정치적, 지원금 등). 소비는 국내보다 해외 수요가 많기 점점 더 많아질 것이고 (제주도보단 일본 등). 수입은 현상 유지 또는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진짜.. 한국은 마지막 불꽃을 태우는 걸지도... 한국의 원화 가치가 좋아질 요인이 없으니, 수출만하는 대기업만 점점 더 먹고살기 좋을 것이고. 내수 중심의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과 대기업 격차는 점점 더 커질 것으로 보이겟네요.. 성과급 잔치를 할 게 아니라, 주식 배당을 늘려 이 콩고물을 나눠먹을 수 있게 했으면 좋겟네요..

  • @user-goyo11254
    @user-goyo1125410 күн бұрын

    32:23 이 경우에는 대선 등 미국정세 혼조, 지원 부실, 전년기 선제 투자까지 합쳐진 지표라고 봅니다.

  • @user-wb7py1cq6i
    @user-wb7py1cq6i3 күн бұрын

    소비 증가율이 높다.다만 국내 소비율이 낮은 것은 그많큼 경쟁력이 없기 때문이다. 소비자는 거짓말을 하지않는다. 국내 경쟁력을 높여라.

  • @user-lq4sz6ql5v
    @user-lq4sz6ql5v9 күн бұрын

    박사님 나오시길 기다렸습니다~^^

  • @jackchoo4006
    @jackchoo400610 күн бұрын

    핵심은 부동산 거품을 제거해서 땅값과 인건비 수준을 낮춰야 한다는 것. 국내 소비와 국내 투자를 가로막는 건 다름 아닌 부동산 거품. 당연히 부동산 거품 때문에 인건비가 오르기 때문에 부동산 거품을 제거하면 인건비는 저절로 하락,

  • @jkim5896
    @jkim58969 күн бұрын

    정말 이분은 프로인듯 정확한 분석

  • @ju0115
    @ju01159 күн бұрын

    미국 일본 네덜란드 등등 그 나라들이 바보라서 기업 보조금 줘가며 공장 유치하는거 아니잖아요 진짜 정치인들 생각 없는거 같음 한시가 급한데 1,2순위가 뭔지 생각 없고 지들 정쟁이 1순위임

  • @user-mo5ef7lk1h
    @user-mo5ef7lk1h7 күн бұрын

    준비많이해서 오셨네요

  • @1-wq7xg
    @1-wq7xg9 күн бұрын

    정신교육 감사합니다.

  • @isfp777
    @isfp77710 күн бұрын

    불평등연구 정주행중인데 반도체가잘나가는건 국내성장에 효과가떨어진다고합니다 많은사람이 투입되고 임금을고루게 성장하려면 자동차산업이잘나갈때라네요 지금은 삼전 하닉직원들만 잘나가겠죠?

  • @tv-mv1sf
    @tv-mv1sf9 күн бұрын

    2부는 언제 업로드 되는거죠?

  • @MrRalphshin
    @MrRalphshin10 күн бұрын

    1분기. 선거전. 돈 풀어서. 1.4% 성장.

  • @user-hj9rr5iu7u
    @user-hj9rr5iu7u10 күн бұрын

    기재부가 속였네

  • @insightmarket5035
    @insightmarket503510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성장해봐라..체감 경기 좋아지나.. 미국봐라 유럽봐라 일본 봐라.. 돈을 계속 풀어서 성장시키고 그 돈은 가진놈한테 다 간다

  • @eungjaelee3495

    @eungjaelee3495

    10 күн бұрын

    열심히 하셔서 가진놈이 되면 간단 합니다. 안자서 가진놈 이라는 쓸데없는 소리 할 시간에.

  • @skyup99

    @skyup99

    10 күн бұрын

    돈 풀면 져다 자산시장으로 가니 열심히 노가다 해봐야 자산이 없으면 박탈감 느낄수밖에

  • @user-ek1wx6ly7g

    @user-ek1wx6ly7g

    10 күн бұрын

    미국이라고 채권안사주면 무한정 빚을 늘릴수 있을까요? 채권이라함은 빚인데 그 막대한 이자는 계속 달러로 막고 언제까지 가능할까요

  • @gogoavril
    @gogoavril4 күн бұрын

    28나노이상 성숙공정(가전용반도체) 세계시장 점유율 중국기업이 29%차지 했어요. 성숙공정이 반도체 매출의 50%를 차지 합니다. 이제 반도체경기좋아져도 슈퍼사이클은 아니고 빅싸이클 정도 될겁니다.

  • @user-ed9hn2sh9q
    @user-ed9hn2sh9q10 күн бұрын

    국내 소비가 국외소비 보다 저조한 것은 일본과 동남아대비 국내소비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것이네. 즉 국내 물가가 비싸다. 그리고 세계 무역 환경이 자국 우선주의로 흐르며 소비시장을 찾아 해외 투자가 많이 발생하며 이것은 장기적인 한국성장의 장애요소라는 말씀로 이해되네요.

  •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7 күн бұрын

    이런 상황에 세수도 모자란데 부자감세라니

  • @gas580
    @gas58010 күн бұрын

    어떻게해야 되나요?

  • @white.8817
    @white.881710 күн бұрын

    결국 많이 가진 그들만의 수치대입이군요

  • @user-lu8qf7kf3u
    @user-lu8qf7kf3u10 күн бұрын

    하루이틀만에 생긴 문제가 아닌듯합니다. 구조적으로 장---기간 누적된 문제인듯 싶네요.

  • @sunshinjung1108
    @sunshinjung110810 күн бұрын

    통계 기준연도를 2020년으로 바꿨네... 하필 2020년...

  • @user-xz4jr4iq9i

    @user-xz4jr4iq9i

    10 күн бұрын

    코로나시대인2020ㄴᆢㄴ도는 통계기준이 될수없기 때문에 일종의 눈가리식 사기다

  • @jaemanlee6886
    @jaemanlee688610 күн бұрын

    아주 유익합니다 지금 이 정도 시야가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대응되고 있을까요?

  • @user-yn3jy4tp7t

    @user-yn3jy4tp7t

    10 күн бұрын

    정치권이요? ㅠ 예나 지금이나 여야 할것없이 정치인들은 그냥 자기사업하는 직업인들이죠

  • @sanyon8139
    @sanyon81398 күн бұрын

    조영무 위원! 필시청!!! 😆

  • @user-vh8ho8cu1d
    @user-vh8ho8cu1d10 күн бұрын

    이나라가ㅠ왜이리 믿기지가 않냐 세상이 믿을수가 없어진다 무서은 느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