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앤올디스 외전! '기계 속의 유령' 북토크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뉴스앤올디스 외전! '기계 속의 유령' 북토크
Feat. 청강대 전혜정 교수
기계 속에는 유령이 사는가?살 것인가?
뉴스앤올디스 고정출연자인
청강대 전혜정 교수를 모더레이터로
과학책방 갈다에서 진행된 '기계 속의 유령' 북토크
전격 공개!
뉴스앤 올디스에서 자주 다뤘던 주제인
AI의 인문사회적 의미에 대해
심도깊은 이야기를 나눕니다.
구매링크
www.aladin.co.kr/m/mproduct.a...
product.kyobobook.co.kr/detai...
m.yes24.com/Goods/Detail/1252...
- 과학과사람들 제공

Пікірлер: 28

  • @heedoshin4475
    @heedoshin4475Ай бұрын

    파토님의 진지한 담론과 더 예뻐진 전혜정 교수님 그리고 수준높은 QnA까지 모든 시간이 좋았다.

  • @SuperRealShape
    @SuperRealShapeАй бұрын

    교수님 진짜 이쁘다 이상형임

  • @chaotic_elegance-qp7hh
    @chaotic_elegance-qp7hhАй бұрын

    두분 케미가 장난 아니네요. 파코님 억울해 하는거랑 전교수님 유머코드가 너무 제 스타일입니다.

  • @paulpark1002
    @paulpark1002Ай бұрын

    ChatGPT 4o 보니까 거의 아이언맨 자비스 수준이던데… 진짜 AI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네요.

  • @68juho
    @68juhoАй бұрын

    정체된 경부고속도로에서 시청중입니다. 잠들지 않게 해주세요 기대합니다.

  • @octobuddy
    @octobuddyАй бұрын

    책 읽으며 AI의 변화에 놀라면서도 지금이라도 이 ’단톡방’에 들어와 있는 게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과사화이팅!파토님화이팅!

  • @lifetrack7404
    @lifetrack740417 күн бұрын

    내용 좋아요 👍

  • @lmy1457
    @lmy1457Ай бұрын

    재미있습니다 😊

  • @user-qn1of7sq2b
    @user-qn1of7sq2bАй бұрын

    AI의 파라미터 수가 특정 임계점을 지날때 비약적으로 성능이 향상되듯이 특정 갯수를 넘으면 인간이 생각하는 지적 능력의 의식을 가질지 모르죠 의식이 복잡하고 어려운 구조의 결과물이 아니라 단순한 구조의 다량의 수에 의해 필연적으로 얻어지는 결과일지도 모르겠네요 인간은 진화룰 통해 가장 적은 수의 뉴런과 효율적 연결구조를 가지게 되어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뇌를 얻은걸지도 모르겠습니다

  • @user-ip4ed1ng5o
    @user-ip4ed1ng5o27 күн бұрын

    핫하! 모두들 알파고님에게 대접할 고급 WD를 하나씩 준비하고 기다리라고!ㅋㅋㅋ 북토크 잘 봤습니다. ai의 발전이 상상 이상이죠. 저도 그래픽 현업에서 일하는데 사실ai 그림 활용 준비를 작년에 하면서 그래도 2년후에는? 훌륭하겠다 싶었는데 2년은 무슨 6개월밖에 안걸리더군요.... 사람들이 느끼는거 이상으로 발전의 속도가 인간의 수준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발전 속도임에는 진짜 틀림 없습니다

  • @khbmedia
    @khbmediaАй бұрын

    이 영상이 올라오기 전에 gpt4-o 가 나옴 ㄷㄷ

  • @cys1974
    @cys197421 күн бұрын

    요즘은 전 교수님 보고 들으려고 과앉 들릅니다 ! 출연 코너를 늘려주세요 !

  • @kidragon7313
    @kidragon7313Ай бұрын

    기계령(머신스피릿)은 실존한다 옴니시아를 찬양하라!

  • @user-es7gn5xh8r
    @user-es7gn5xh8rАй бұрын

    파토님, 연애 씨기 하셨구나. 실연의 아품을 산티아고에 풀어놓으실 정도라니!

  • @user-dv5tt8gw3l
    @user-dv5tt8gw3l29 күн бұрын

    자동운전의 경우 기계를 못믿어서 라기 보다는 사고가 발생 했을때 기업이나 국가가 온전하게 유지 될수 있다면 실행 할거라 예상 가능 하지 않을지요 ai가 위험하다 하는건 인간이 만들고 수정하며 개입을 하기 때문에 위험 한것 이라고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Ай бұрын

    54:20 IAEA 국제원자력기구

  • @daebaekmin

    @daebaekmin

    Ай бұрын

    IAEA 겠지요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Ай бұрын

    @@daebaekmin 쩐지 번역이 안되더라니..

  • @68juho
    @68juhoАй бұрын

    미래는 가장 강력한 서버와 클라우드를 구축한 기업이 세상을 지배할수 있을듯 합니다.

  • @GOMDARY
    @GOMDARY23 күн бұрын

    로봇세.

  • @go2mars545
    @go2mars545Ай бұрын

    오로라...

  • @30s-Science
    @30s-Science23 күн бұрын

    ai한테 자유의 여신상을 등분한 다음에 어떤식으로 소행성을 막게 되는지, 물어보면 되지 않을까요?

  • @30s-Science
    @30s-Science22 күн бұрын

    ai가 의식이 있냐? 우리의 의식은 언제부터 생겼나? 를 얘기하지 못히는 것은 '의식' 이라는 단어를 명확히 정의하지 않고 논의를 하기 때문이라 생각해요. 각자가 생각하는 '의식'이라는 것이 다를 수도 있구요. 파토님이 생각하시는 의식은 무엇인가요?

  • @moontellsme
    @moontellsmeАй бұрын

    생성형AI의 요체가 빅데이터의 “다중편집” 입니다. 즉. 사고를 통해 결과를 내는게 아닌 사과선별공장에서 크기 색상별로 분류하는 것의 복잡한 다단계입니다. 사고가 없는데. 왜라고 묻는건. 우문무답입니다. 🤣🤣🤣🤣🤣🤣🤣🤣🤣

  • @khbmedia

    @khbmedia

    Ай бұрын

    사고와 의식의 합의된 정의가 있나요?

  • @SuperRealShape

    @SuperRealShape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를 하고 혼자 쳐 웃으세요

  • @lolro3755
    @lolro375524 күн бұрын

    말이 인간의 가축이 되듯 인간이 AI의 가축이 될 수 있다는 걱정도 조금 보이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