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27] 광해 폭군 주장에 대한 반박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Пікірлер: 1 700

  • @hwang_history
    @hwang_history9 ай бұрын

    *황현필의 [조선사] 시리즈 몰아보기!* _하단 링크를 클릭하세요._ kzread.info/head/PL0lEEgMCRI84hKeFExVPgvY0LL9ciO8gc

  • @hcShin-rk4sv

    @hcShin-rk4sv

    5 ай бұрын

    썸네일 포스 쩌네요ㅋ

  • @user-cg7lr1mv3t
    @user-cg7lr1mv3t3 жыл бұрын

    우리 황현필선생님 강의 들으면 꽉막힌 가슴이 뻥 뚫립니다 정말로 속이 시원하고 너무 기분이 좋아집니다 내나이 육십중반에 이런분의 강의를 들을수 있어 영광이며 참 감사합니다

  • @flowerss9323

    @flowerss9323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도 굉장히 멋있으시네요.

  • @user-tr8ld5xb7i

    @user-tr8ld5xb7i

    3 жыл бұрын

    @@blur99009 3:34 부터 다시 보시길

  • @user-zp4oe4tv2w

    @user-zp4oe4tv2w

    2 жыл бұрын

    @@blur99009 이걸 이렇게 해석하시네요.. 역사는 승리자의 기록이라 평가절하 되었다는 의도의 강의내용인거같은데..

  • @blair0792

    @blair0792

    2 жыл бұрын

    너굴이는 이 영상 본거 맞나?

  • @user-hn2dg9nx6u

    @user-hn2dg9nx6u

    2 жыл бұрын

    @@blur99009 같은 영상 다른 생각

  • @user-tb8ol4ge7x
    @user-tb8ol4ge7x3 жыл бұрын

    살아있는 강의는 이런 것이다. 외워서 시험치기 위한 역사가 아니라, 가슴이 뜨거워지는 역사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 @yune5597

    @yune5597

    10 ай бұрын

    💥광종이라 부릅시다. 광해군이 아닌

  • @user-cw4hq2mx5b
    @user-cw4hq2mx5b3 жыл бұрын

    진짜 맞아요ㅜㅜ 광해군 연산군 이 둘을 어떻게 같은 선상에 둘 수 있습니까ㅜㅜ

  • @Ian-sd5zn
    @Ian-sd5zn3 жыл бұрын

    역사란 쓰여져 있는 기록 하나만 보는게 아니라 그 시대 상황, 인물, 배경, 성격 등 많은 것을 생각해봐야 한다라는 것을 느끼게 되는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 @kyungminlee5793
    @kyungminlee57933 жыл бұрын

    기다렸던 광해군 입니다. 어릴적부터 광해군일기를 보면서 많은 아쉬움이 있어습니다. 인조때 정리 하였으니 얼마나 많은 왜곡이 있었을까? 황쌤 강의로 속이 뻥 뚤려지는 기분 입니다.

  • @user-oj4dd7nt7n
    @user-oj4dd7nt7n3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배우길 그냥폭군이라니 그런줄알았지 커가면서 알아갈수록 아니.. 왜?? 라는 생각이 커져감

  • @user-nb2qe7qe1d

    @user-nb2qe7qe1d

    3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유튜브 접하기 전에도 공부하면 할수록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기록이라는게 결국 승리자의 입장을 반영하기 때문에 서인 반정이 정당화 되려면 광해군을 겁나 까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

    2 жыл бұрын

    노론이 후손들이 지금의 민주당 국힘당에 들어갔잖아요. 그러나 폭군이 되어야죠

  • @user-qo7zt1gm8t

    @user-qo7zt1gm8t

    18 күн бұрын

    @@user-nb2qe7qe1d 그렇다는건 한국인 수준이 결국 그정도밖에 안된다는 얘기네요

  • @user-ny9xq8ce9p
    @user-ny9xq8ce9p2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반드시 재평가 되야된다고 봅니다 황선생님 감사합니다

  • @youngsimyun8736
    @youngsimyun87362 жыл бұрын

    가슴 뜨거워지는 역사 강의입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invink6716
    @invink67163 жыл бұрын

    지지합니다. 광해임금은 폭군에 해당할수 없는게 맞습니다 맞구요.

  • @koreapark
    @koreapark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는 명쾌하고 속이 시원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user-qm2qi2ei6p
    @user-qm2qi2ei6p3 жыл бұрын

    황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광해군에 대한 평가는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됩니다. 많이 늦었지만 영상 잘봤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oi7kz8ij5t
    @user-oi7kz8ij5t3 жыл бұрын

    진짜 한국역사 자체를 사랑하시는것 같음

  • @aromisarang
    @aromisarang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분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 암기해서 애기하는게 아니라,시대적 상황이나 여러가지 요인들 정치 모든것을 이해하고 있다는 느낌이 영상을 볼때마다 느껴진다.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화이팅!!

  • @DevilGate.ChertovyVorotaCave

    @DevilGate.ChertovyVorotaCave

    3 жыл бұрын

    학자 지식인으로서 학문적 원칙이 맞춰 본인의 주장을 전달하시는 분이십니다.

  • @user-le2ct1dp3i

    @user-le2ct1dp3i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어찌그리 모든 역사적 사실들을 실타래 처럼 줄줄 풀어 낼까요 모든 역사학자가 그럴까요

  • @kdw.2208

    @kdw.2208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

  • @user-jx1un5ps4n

    @user-jx1un5ps4n

    3 жыл бұрын

    이런사람이 진정한 학자 아닐까요ㅎㅎㅎㅎ 개x리 하는 역사가들이 너무 많아요 ㅠㅠ 다 돌아가셨으면 좋겠어요 ㅎㅎㅎㅎㅎ

  • @user-dg3pt9fw2t

    @user-dg3pt9fw2t

    3 жыл бұрын

    학자들이란...? 어떤 학자는 스트레칭이 몸에 해롭다는 주장을 했다는 방송을 들은 적이...

  • @user-oq4dw7ku4d
    @user-oq4dw7ku4d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는 길면길순록 흥미진진하고 재미있습니다 오늘도 정말 감사합니다~^^

  • @aoirosenpu
    @aoirosenpu2 жыл бұрын

    저도 광해군을 오해하고 있었네요. 이 영상을 보고 제대로 배웁니다. 불쌍한 광해군 ㅠ

  • @cuuteeeee
    @cuuteeeee3 жыл бұрын

    저도 공부할수록 광해군이 왜 폭군으로 불리는지 이해할 수 없었어요. 요번 영상 정말 공감하면서 봤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JB-bq1tg
    @JB-bq1tg3 жыл бұрын

    황쌤의 불타오르는 강의를 듣다보면 전율이 흐릅니다. 반드시 광해군에 대한 역사를 빨리 바로잡아야 합니다.

  • @user-fv2py6hs6z
    @user-fv2py6hs6z3 жыл бұрын

    머..멋있다 ㅋㅋㅋ 와 난 진짜 이런영상이 너무좋아 선생님 영상 처음봤을때 그 떨림이 이번영상에서도 느껴져서 너무 좋네요

  • @gtpark1466
    @gtpark14663 жыл бұрын

    광해에 대한 변명..감사합니다. 대동법을 경기도에서 시작하니 기호학파 지주들이 인조반정의 주역이었다는 건 몰랐습니다. 광해가 인정 받지 못한 이유중 하나가 조선후기의 왕들이 인조를 조상으로 두고 있으니 그랬다는것 역시....잘 배웠습니다.

  • @user-sk5jv5ih4o
    @user-sk5jv5ih4o3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 정말 시원한 강의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입니다.

  • @user-xb1zl4bv3q
    @user-xb1zl4bv3q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yl1mz7yc5e
    @user-yl1mz7yc5e3 жыл бұрын

    역시 최고입니다 선생님 퐈이팅!!

  • @billioner102
    @billioner1023 жыл бұрын

    황현필 한국사... 정말 흥미진진 합니다. 시간순삭... 정말 느낍니다. 60분 넘는 강의도 1초도 패스 안하고 다 정독 합니다.

  • @beginofsquare
    @beginofsquare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페위된 후에도 19년을 유배지에서 보내다가 죽음... 즉 인조 14년에 있었던 병자호란까지 다 일어난거 보고 죽었다는 뜻... 광해군이 인조를 봤을때 내말대로 했으면 이런일은 없었을텐데 하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일국의 왕이 머리박는 굴욕은 안당했을텐데...

  • @hyunjoorachelsong9797

    @hyunjoorachelsong9797

    3 жыл бұрын

    그 댓가로 인조 새끼는 삼궤구고두례하고 나중에는 이 치욕으로 정신병까지 얻었죠. 그러니 지 아들 소현세자 죽이죠. 왕이 되면 안되는 인간이 왕이 되었으니 백성들만 도륙당했죠.

  • @hsiys1971

    @hsiys1971

    3 жыл бұрын

    @@hyunjoorachelsong9797 며느리와 손자도 죽이죠

  • @soridaizin79

    @soridaizin79

    3 жыл бұрын

    누굴 탓하겠습니까 남의 눈에 피눈물 나게 한 대가고 세자시절 초심잃고 우왕좌왕한 자신 탓이죠

  • @user-xp4zq3ix7x

    @user-xp4zq3ix7x

    3 жыл бұрын

    @@hsiys1971선조 판단력 없음 ᆢ선 ㆍ인조 가 아니였으면 ㅡ

  • @user-os4pi2me9b

    @user-os4pi2me9b

    3 жыл бұрын

    인조보다 그때 서인이 잘못한거죠. 인조가 서인의 힘에 왕위를 얻은건데, 무슨 힘이 있었을가요. 서인 놈들이 지들 사상적 권위를 잃기 싫으니까 청과 교류를 하지 않았던거겠죠. 최명길 이 🐦가 제일 이해안감. 인조반정 1등공신인데 정묘,병자호란때 주화론자임ㅋㅋㅋㅋ

  • @user-rk6kz3sv3r
    @user-rk6kz3sv3r3 жыл бұрын

    흥분할때 더 멋있으신 황선생님 존경합니다

  • @sixth1696
    @sixth16963 жыл бұрын

    광해는 세자시설 고생은 죽어라 하고, 후대 평가마져도 박하게 받는 비운의 인물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세자시절은 잘했는데 폐모살제하고 궁궐짓는다고 국고탕진하고 대동법 반대하고 세조마냥 북인친위세력들만 밀어주고 ㅇㅅㅇ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추가로 매관매직까지...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조선황제 만력제님이 전쟁피해자들에게 주라고한 은 1만냥을 착복해서 왕실 사치품들 사들인것도 광해군이죠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선조가 만들어놓은 역대급 인재풀들 다 말아먹은것도 광해군이라죠?

  • @user-vz4xl4wp6m

    @user-vz4xl4wp6m

    3 жыл бұрын

    @@user-pc4kn2kx5e 이새키 또라인가

  • @user-il3me2ye1d
    @user-il3me2ye1d2 жыл бұрын

    황 선생님. 저도 60인데 황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 과연 이 나라 에 황 선생 같은 줏대 높은 강의를 하는 국사 학자가 몇 분이나 계실까 싶습니다. 정말 수고 많으시네요. 앞으로 많은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 @myungimsuh4654
    @myungimsuh46542 жыл бұрын

    오늘 다시 아마 3번째 본 영상이지만 흥미진진했습니다. 황샘의 의견에 완전 동의합니다. 이젠 우리가 주체인 이 시대에 광해군에서 왕으로 바꿔야함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강연 고맙숩니다.😇

  • @user-nk3ph1jd8r
    @user-nk3ph1jd8r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입장에서 연산군과 동급의 폭군으로 취급해주는 역사가 들을 보면 얼마나 억울해 할까! 역사를 역사답게 바로 잡아야 합니다

  • @user-qq8rw1nk6s

    @user-qq8rw1nk6s

    3 жыл бұрын

    @@blur99009 당태종??

  • @MSSonn

    @MSSonn

    2 жыл бұрын

    ​@@blur99009 정말 웃기는 게 뭔지 알아? 결국, 님이 생각하는 광해가 폭군인 이유를 하나도 말하지 않았다는 거지. 그야말로, 광해군을 올바르게 평가해보자라는 말 자체를, 오로지 식민사관에 대한 적개심에 불타서 매도하는 의도밖에 없어. "이런 상황에서 만일 명의 편도 안 들었는데 후금이 갑자기 조선 처들어오면?" 이런 가정 할 거면, 반대로 '명의 편 안 들어서 후금이 조선 안 쳐들어왔으면?' 이런 가정도 해야 정상 아님? 결국 명 편 들다가 처발리고 머리 박았는데, 이런 논리로 쉴드를 치고 있는 건 대체 뭐지...? 명 편 들어서 처발리고 머리 박으나, 안 들어서 처발리고 머리 박으나, 뭐가 다른데? 그리고, 역사를 똑바로 알아야지 그냥 연수로 비교하네. 100년이 별거 아닌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중국에서 100년 넘은 나라가 별로 없거든. 맨날 쪼개져서 지들끼리 싸우고 지지고 볶고 하다가 결국 북쪽에서 세력 잡은 나라 나오면 처발리는 게 한족 전통인 거 모름? 요, 금, 원, 요렇게 세 나라가 후금(청) 이전에 북쪽 통일 세력인데, 이 중에서 중국 쑥대밭 못 만든 나라 있음? 무슨 만리장성 드립을 치고 있어. 언제냐의 문제일 뿐 결국 얼마 안가 처발리고 시들시들하다가 망했는데. 역사서를 봤고 생각이란 걸 병아리 눈물 만큼이라도 할 줄 알면, 후금 북쪽 세력 통일하면 당연히 중국 본토가 쑥대밭 되는 걸 예상해야 사람 아님? 당시 광해군 쫓아낸 명분 때문에 무조건 명 편을 든 당시 관료들은 차라리 이해라도 가는데, 역사가 뻔히 말해주는 결과도 모르는 사람은, 뭐라고 불러야 됨? 결국 그 셋의 전통을 따라 청까지 명나라 처발랐는데... 전통이 이어지는 역사를 보고도 딴 소리 하는 사람들 머릿속엔 대체 감정 말고 뭐가 들어있는 거임?

  • @eun4076

    @eun4076

    2 жыл бұрын

    @@blur99009 다 들어 봐도 님과 달리 황쌤 역사관이 바르다 판단되네요~~👍

  • @user-fo2tx8rm3z

    @user-fo2tx8rm3z

    Жыл бұрын

    광해군 재 평가 해야 합니다~^^ 광해군은 폭군이 아닙미다

  • @johnpark9523

    @johnpark9523

    Жыл бұрын

    ​@@blur99009 인조가 전시에 '그리잘한건아님'? 인조는 전시에 선조급으로 암군이야 진ㅉㅏ어디서주서들은걸로아는척하기는, 최종학력 유치원에 인터넷잡소리로 상식을 배웠나ㅋ

  • @dawn_dew
    @dawn_dew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가르쳐주시는 황현필 선생님 감사합니다 👏👏👏👏👏

  • @user-fs8fy2do5g

    @user-fs8fy2do5g

    3 жыл бұрын

    @@sekaempire 투표해서 뽑은 대통령은 대통령이 된 “사람”에 대해 찬반이 나뉘는 반면에 쿠테타는 “방식” 자체가 민주주의에 반대되는 것입니다. 거기에 군사력으로 정권을 잡기위해선 기존 세력과 반대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무력으로 인한 희생이 반드시 존재하구요. 거기에 박정희, 전두환을 생각해보세요. 자신의 장기집권을 위해 헌법을 바꿔버렸습니다. 투표 방식도 전 국민이 아닌 체육관 선거로 바꿨구요. 체육관 선거 예를 들면 후보에 문재인과 홍준표가 있는데 선거를 민주당, 또는 국힘당끼리만 체육관에서 투표를 합니다. 뻔한 결과 아닙니까?

  • @user-kp5zz8qb2h

    @user-kp5zz8qb2h

    3 жыл бұрын

    @@user-fs8fy2do5g정변과 쿠테타는 이유가 어째든 자기 가 집권을 더 오래할려는 목적으로 하지요...

  • @user-kp5zz8qb2h

    @user-kp5zz8qb2h

    3 жыл бұрын

    @@sekaempire 모든 대통령들도 사람인지라 못하는 면도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지요. 우리나라 역대대통령들은 잘한 점이 있고 못한 점이 있습니당. 완벽 할수는 없죠(문재인을 좋아하진 않습니다 오해는 금물)대깨문은 아닙니당^^ 이상 지나가는 고딩이였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용

  • @user-kp5zz8qb2h

    @user-kp5zz8qb2h

    3 жыл бұрын

    @@sekaempire 어딜 봐서 세뇌당한 댓글이죠? 전 모르겠는데요..

  • @user-kp5zz8qb2h

    @user-kp5zz8qb2h

    3 жыл бұрын

    @@sekaempire 못배우신 티 내지 마세요 다짜고짜 반말입니까..고딩이라고하니까 바로 꼰대 마인드네요.

  • @koreamsp77
    @koreamsp773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된 역사강의 잘 듯고 있습니다. 카랑카랑한 강의 귀에 콕콕 박히네요. 👏

  • @user-lx1sw1yf5h
    @user-lx1sw1yf5h3 жыл бұрын

    작년 분당 청솔학원에서 선생님 현강 들었습니다. 역사를 알려주기보단 세상을 알려주는 강의라 참 좋았습니다! 10명정도 수업이라 아이들과 선생님께 질문도 하며 했던 수업이 재미있었습니다

  • @user-ui3tj7iw2m
    @user-ui3tj7iw2m3 жыл бұрын

    저도 광해군이 정말 휼륭한 군주라고 생각합니다 외교의 천재이지요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성과제로의 중립외교요?

  • @user-mp6km8ko3j

    @user-mp6km8ko3j

    3 жыл бұрын

    훌륭할 정도는 아닌듯...

  • @bongkwanjeon4828

    @bongkwanjeon4828

    3 жыл бұрын

    최악의 군주임

  • @user-iu6mg6iz2t

    @user-iu6mg6iz2t

    3 жыл бұрын

    @@bongkwanjeon4828 최악의 군주는 인조지...

  • @HBJR87

    @HBJR87

    2 жыл бұрын

    @Prince리틀 뭔 세조임?

  • @user-zv4xf8cg5r
    @user-zv4xf8cg5r3 жыл бұрын

    광해가 옳았다.

  • @user-xp4zq3ix7x

    @user-xp4zq3ix7x

    3 жыл бұрын

    미투 광해가 옳았음

  • @user-ev2ih2oh8e

    @user-ev2ih2oh8e

    3 жыл бұрын

    @@blur99009 님이 그리 잘아시고 황현필이 잘못된거같으면 지적하세요 토론한번하든가 에베베베하고있네 황현필님이 너굴이님보다 많이 부족한가보네요

  • @crankylim7365

    @crankylim7365

    2 жыл бұрын

    @@blur99009 너나 잘해세요.

  • @junc.7489
    @junc.7489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의 해석은 대단히 믿음이 갑니다. 시대적 상황까지 고려해서 역사적 인물과 빙의해서 해석한것처럼..이야기만 들어도 그림이 그려집니다.

  • @user-ug7cu9pp8i
    @user-ug7cu9pp8i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알람설정 부탁드립니다ㅋ 저도 유투브 보면서 광해가 연산군과 동일시하는 유툽이 꽤있어서 불편했는데 오늘 통꽤하고 명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 @diemcarpe8592
    @diemcarpe85923 жыл бұрын

    아버지가 얼마나 미웠을꼬.... 아비가 너무 못난사람

  • @user-xp4zq3ix7x

    @user-xp4zq3ix7x

    3 жыл бұрын

    아비가 그랬죠 희생양

  • @momomomory

    @momomomory

    3 жыл бұрын

    선조에 입장에서는 정실도 아닌 첩에서 나온 아들인데 그냥 소모품이라고 생각 했겠지. 전장에서 죽어도 그렇게 크게 생각을 안 했을수도.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선조반만했어도 성군

  • @hmmm0220

    @hmmm0220

    2 жыл бұрын

    @@user-pc4kn2kx5e ?

  • @user-pn4zg7dx3c

    @user-pn4zg7dx3c

    2 жыл бұрын

    @@user-xp4zq3ix7x ㅡ.

  • @jieun3152
    @jieun31523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역사를 배우며 가장 의문이 컸던 임금 광해 황쌤 항상 명쾌하고 진정성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zb6bs4fu6o
    @user-zb6bs4fu6o3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의 명강의는 항상 제 우메함을 일깨워 주시는거 같아서 너무 좋네요. 오늘 영상도 잘보고 갑니다...

  • @str0579
    @str05793 жыл бұрын

    명과 암이 있겠지만 임진왜란 때의 활약과 중립외교, 대동법 시행은 정말 대단한 업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dx4ng3gt3l
    @user-dx4ng3gt3l3 жыл бұрын

    수능으로 국사공부할때 광해군이 참 똑똑한 왕이라고 생각했었는데 폭군이라고 해서 의아했었는데..

  • @user-sy7eu6ce2e
    @user-sy7eu6ce2e3 жыл бұрын

    100%동감입니다. 광해군은 재평가 해야 합니다. 황쌤이 앞장서 주세요!! 후원할께요.

  • @user-sb9tj6ue9g
    @user-sb9tj6ue9g3 жыл бұрын

    학교 어디에서도 들어본적없는 역사얘기 정말 잘들었습니다. 정말정말 고맙습니다.

  • @user-ul4mk8mo7w
    @user-ul4mk8mo7w3 жыл бұрын

    황현필선생님 존경합니다 화이팅♡♡ 광해군의 개혁군주 이미지를 흠집내려는 악의 무리들의 수작질같습니다

  • @kk-di2qh

    @kk-di2qh

    3 жыл бұрын

    각자 본인들이 생각하는 역사관에 따라 광해군이 명군이냐 성군이냐 판단하는 것이지, 악의 무리는 또 뭡니까?ㅋ 그 시절 사람들은 이미 다 흙 속으로 들어간지 오래고 지금은 대한민국시대인데, 대체 굳이 광해군 이미지 흠집내서 뭐하게요? 전주이씨종친들과 원수지기라도 한 사람들인가?ㅋ 인터넷에서 제발 이런 유치한 음모론 좀 안보면 안되나?

  • @DVMLEE

    @DVMLEE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학자들은 그냥 일본학자들이 고평가해주는게 싫어서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광해를 깍아내리는거지. 학자로서의 중립성은 없음 ㅋㅋ

  • @user-of5uq8cq9h
    @user-of5uq8cq9h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아니었으면 어디서 이런 귀한 강의를 들을 수 있었을까요? 대동법이니, 궁궐 재건이니, 알지 못하고 살았겠죠. 학창 시절에 공부를 했다고는하나, 겉핣기식이었고, 선생님 강의는 빨려 든 답니다.^^ 맞아요. 광해군이 인내심이 아주 강한 군주라 하셨죠. 우리네 지금의 각자의 삶도 어렸을 적 영향이 바탕이 되어 살아내고 있는거라 볼때, 폭군이 아니었다고 하는 선생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선생님! 오늘도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ppjw1979
    @ppjw19793 жыл бұрын

    저는 광해군 성군이라 생각하는사람입니다. 감사합니다 황현필선생님의 역사수업 잘듣고 있습니다.

  • @user-kj2wu5lr5s

    @user-kj2wu5lr5s

    2 жыл бұрын

    성군은 너무 갔다;

  • @yune5597

    @yune5597

    10 ай бұрын

    앞으로 광종이라 부르자

  • @mindi2133
    @mindi21333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선생님 강의를 봤는데 지금까지 한쪽눈만 뜨고 주입식 역사만을 알고 살았네요,,, 강의 하나하나 계몽되는 느낌이에요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3 жыл бұрын

    역사의 행간. 역사의 여백. 역사의 속뜻. 이런 면을 숙고한 결과 얻은 역사관이 참 역사관.세계관이라... 주류들에 의한 역사관은 자연미. 인간미. 이러한 아름다운 면이 없다...

  • @user-sw7sp2jt4x
    @user-sw7sp2jt4x3 жыл бұрын

    열정적인 강의... 그 열정 덕분에 가슴 뜨겁게 보고있습니다

  • @user-hl6zr9mt2q
    @user-hl6zr9mt2q3 жыл бұрын

    쏙쏙 잘들었습니다 역사를 역사답게 강의해주셨어 너무 감사합니다

  • @user-rs1ic9ny2v
    @user-rs1ic9ny2v3 жыл бұрын

    박수. 통쾌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ni5ms3jj9h
    @user-ni5ms3jj9h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빡쳐서 말씀하실때가 제일 멋져요 앞으로 쭉 이대로 해 주세요^^

  • @user-rs8hr6dc2p

    @user-rs8hr6dc2p

    3 жыл бұрын

    이대로 쭉 빡쳐 있으시라구요?ㄷㄷㄷ 건강에 무리생겨서 아니되옵니다! ㅋㅋㅋㅋㅋ

  • @user-sz2vk3qo1f

    @user-sz2vk3qo1f

    3 жыл бұрын

    인정인정 ㅎㅎ

  • @user-sv3vk8un9b
    @user-sv3vk8un9b3 жыл бұрын

    광해가 폐모살제라고 해서 폭군이라고 칭한다지만 그런식의 해석이면 태종도 폭군 아닌가?인조도 능양군 시절 파락호로 소문난 무뢰배였고 자신의 아들이었던 소현세자와며느리,손자까지...누가 더 폭군일까?

  • @krauskim7662

    @krauskim7662

    3 жыл бұрын

    태종은 진짜 폭군 맞아요. 세종 아버지라는것 때문에 이미지세탁해서 그렇지 골육상쟁의 시초, 건국 얼마안돼 막장 집안을 만들어 버림 잠재적 정적이라 해서 뭘 해보지도 않은 처가를 개박살내고

  • @krauskim7662

    @krauskim7662

    3 жыл бұрын

    @@daylightism 그런 논리면 남자는 잠재적 성폭행범이 맞고 제재해야죠. 맞습니까? 어이가 없네

  • @user-kp5zz8qb2h

    @user-kp5zz8qb2h

    3 жыл бұрын

    @@krauskim7662 중2역사에 나오는데요. 그건 어쩔수 없는 거였습니다. 세자가 어리면 당연히 힘을 못쓰고 휘둘릴텐데 그럼 세도정치때 처럼 나라가 개판이 됩니다. 또한 태종이라는 호칭은 나라를 개국한 만큼 업적을 많이 쌓아 붙여진 호칭입니다. 그리고 태종또한 업적이 과장해서 세종과 비슷할 정도 입니다. 6조 직계제를 하여 의정부의 힘을 약하 시키고 문하부를 혁파할때 산하 하급 관료인 낭사들을 사간원으로 독립 시켜 자유롭게 대신들을 비판 할수 있게 하였습니다.또한 양전과 호구 수 파악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흔히 배우는 사병을 혁파 시켰습니다. 한국사에도 많이 나오는 동양에서 가장오래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만드셨고 노비 안건법을 실행하여 억울하게 노비가된 사람들을 해방 시켜주었습니다. 또한 조선 시대 활자를 주조하던 당담관청으로 주소자를 설립하여 계미자(1403년)를 주조 시켰습니다. 마지막으로 대마도 정벌은 세종 업적이지만 강행 시킨 분 또한 태종이십니다. 세종이 왕이 되었을때 모든 권한은 주었지만 군사를 통제 할수 있는 권한만큼은 주지 않았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강행을 할수 있었고요. 여담이지만 상왕인 정종하고도 사이가 나쁘지 않았습니다. 이하 저가 알고 있는 짧은 지식이었습니다. 고1이라 미숙한 부분이 존재 하지만 저가 알고있는 최선의 선까지 적어봤습니다. 틀렸다면 틀린 부분을 이야기 해주세요^^~~ 그럼 좋은 하루되세요.♡♡

  • @krauskim7662

    @krauskim7662

    3 жыл бұрын

    @@user-kp5zz8qb2h 그래도 없는 일을 가지고 문제 일으키는거는 많은 후폭풍을 나았고요. 집안 개박살내고 왕가의 정치잠여 배제 가장 가까운 정치적 동반자인 처가를 완전 배제 사실 이 두축은 문제도 많이 일으키지만 왕의 가장 큰 후원자이며 동반자입니다. 이런 세력을 배척했으니 조선시대 내내 왕은 외로운 싸움을 했던거고 결국 신하들에게 휘둘리게 되죠. 거기다 왕권강화에 미쳐 신하들과 완전 대립각을 세움. 건국초기에 이미 왕과 신하를 정적관계로 만들어 버림 이게 태종의 업적? 입니다. 이게 문제가 아니라고요? 조선은 이미 태종이 막장을 만들었고 연산군이 완성시키면서 성장동력을 상실했습니다. 연산군 이후 조선은 망했어야 근데 그 빌어먹을 충효의 유교로 세뇌를 시켜 500년간 말 그대로 연명을 했죠.

  • @user-kp5zz8qb2h

    @user-kp5zz8qb2h

    3 жыл бұрын

    @@krauskim7662 차라리 태종의 문제가 아닌 성종의 문제로 가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성종의 문제로 최악의 연산군이 되었으니 태종은 관련이 없죠. 증조뻘 되는데 이런 희대의 망나니가 나올줄은 몰랐겠죠. 저도 그 연산군 이후 나라가 바꿔야되는다는 것에는 동의 합니다. 연산군이 만든 악습을 그대로 들고가 조선이 서서히 병들기 시작했죠.ㅎㅎ 좋은 저녁되세요~~^^(뜬금없지만)

  • @user-nr8bu3vw5e
    @user-nr8bu3vw5e3 жыл бұрын

    항상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건강하시고 늘 응원합니다.

  • @user-gm6vh4si8n
    @user-gm6vh4si8n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가르치시는 황현필 샘! 존경합니다!

  • @user-qj9pl5pc6x
    @user-qj9pl5pc6x3 жыл бұрын

    저도 광해군주 아쉬움이 많습니다 안쓰러운 군주

  • @thnam2873
    @thnam28733 жыл бұрын

    저도 한국사 강의를 현필쌤꺼를 듣지는 않지만 제가 듣는 강사분님도 광해가 너무 안좋게 평가된다고 말씀하시더군요

  • @user-us1us4fi2l
    @user-us1us4fi2l3 жыл бұрын

    인조반정의 성공세력들이 만든 역사라면 광해에 대한 기록이 진실이라고만 믿기는 어려움이 있네요. 다시한번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을 되새겨봅니다. 개인적으로는 광해가 계속 집권했으면 삼전도의 굴욕은 없었을거라 생각합니다.

  • @user-wt6fk2fv8s

    @user-wt6fk2fv8s

    3 жыл бұрын

    그렇죠..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하니..

  • @user-ok8ni5tt2k

    @user-ok8ni5tt2k

    3 жыл бұрын

    @@user-wt6fk2fv8s 조선시대사에서 조선왕조실록을 안믿으면 어떤 사료를 보고 역사 서술을 하나요. 그런 시각이면 조선왕조실록보다 더 빈약한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는 소설책임. 우리나라 역사는 그럼 뭘로 증명함

  • @susjeobs9266

    @susjeobs9266

    3 жыл бұрын

    @@user-ok8ni5tt2k 아니 적어도 역사는 승자의 시선으로서 기록된 것이라는 것에 첨언하자면 같은 역사라도 바라보는 측면이 다른데 그 정쟁에서 승리한 당파의 시선으로 역사가 쓰이는 것은 이해하시잖아요? 그냥 그얘기인거에요 크게 생각할 것이 아님

  • @user-jp5dx7ly9n

    @user-jp5dx7ly9n

    3 жыл бұрын

    역사 를 승자의 기록 이라고 부정적으로 만보면 발전이 없습니다. 감안하고 진실을 찾는게 역사 가의 실력 입니다. 그런데 광해군 은 감안해도 혼군이 맞습니다. 나쁜 인물을 영웅으로 만들면 안됩니다.

  • @HBJR87

    @HBJR87

    2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아니라 광조고 인조가 능양군임

  • @user-ht7vh8cs7n
    @user-ht7vh8cs7n3 жыл бұрын

    진짜 광해군에 대해서는 다시 고증을 했으면 한다 나도 예전부터 이런 의문을 가졌었다 역사공부를 한 사람이라면 아마도 비슷한 의문을 가지지않았을까 싶다

  • @MoonWorld77
    @MoonWorld773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 @JLee-rn4rv
    @JLee-rn4rv3 жыл бұрын

    결국 정묘,병자호란,경신대기근까지.....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ㅜㅜ

  •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3 жыл бұрын

    황 선생님의 말씀 100 퍼센트 공감합니다... ㅠㅠㅠ 이 유튜버 중에도 있어요. 분명히 광해군을 까내리는 새끼들... ㅋ 내가 그 새끼들을 개인적으로 싫어하는게 아니라 황 선생님이라면 그 새끼들 말에 반박을 제대로 해줄텐데... 분명히 이 영상 보고있는 놈들도 있을거에요.. 그 새끼들은 선조를 왜 이렇게 찬양하는지 참... 이해 불가에요.

  • @user-iw1jx2rp3e
    @user-iw1jx2rp3e9 күн бұрын

    오늘 황쌤의 열강이 광해군의 명예가 쬠이라도 회복이 되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최근들어 광해군의 재평가가 다시 시작이 되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라 생각이 됩니다. 그 중심에 황쌤도 계셔서 고맙구 감사합니다.

  • @user-of8on9xe1l
    @user-of8on9xe1l3 жыл бұрын

    정말 짧은 지식의 생각이지만 광해군을 왕으로 추대할순 없나요? 다시 재평가되어서 왕으로서 복권되었으면 좋을거 같습니다. 무능한 선조와 오랑캐에게 머리를 밖은 치욕스런 인조사이에서 고군분투한 광해군을 다시한번 재평가가 필요해보입니다.

  • @mukfeel

    @mukfeel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기회가 순종이였는데, 조선왕조가 끝났으니 이젠 방법이 없어요.

  • @user-mp9co3pk9s

    @user-mp9co3pk9s

    3 жыл бұрын

    아예 없지는 않지만 ... 엄청힘들죠 만약 광해군을 복위시킨다면 광해군일기를 실록으로 바꾸어야 하고 그리고 고지식한사학가분들이 가만있을리 있나요 역사가 바뀐다고 반대하겠죠 그리고 문화재청에선 귀찮으니깐 그런일은 하지도않을것이고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승락도 안할것입니다 그렇게되면 인조대왕후손인 현재 고종황제후손분들과 소현세자파 인평대군파 숭선군파 낙선군파 는 반정의가문으로 안좋게 남는건데 당연 심하게 반대하겠죠 그리고 (광해군 후손은 없구요) 순종황제때 광해군을 복위시켰어야했는데 그때는 일본식민통치에 있었고 고종이나 순종도 인조 3째아들 인평대군 후손인데 광해군은 생각도 안했을꺼에요... 임진왜란때 고생만하다가 선조인 아버지한테 미움받고 나중엔 귀양가서 아들하고 부인 며느리 먼저 보내고 귀양살이 15년간하고 정말조선에 있어서는 정말 아까운 왕입니다 ...

  • @haliistatt

    @haliistatt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이름은 뭘까요 광종?

  • @kk-di2qh

    @kk-di2qh

    3 жыл бұрын

    무슨 역사수정주의도 아니고, 과거의 역사는 그대로 놔두고 더욱 정확한 사료를 발굴하면서 그에 따라 각자 평가하게 하면 되는 것이지, 조선도 아니고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뭔 광해를 왕으로 복권시킵니까? 현대의 판단에 따라 역사를 바로잡느니 수정하느니 하는건 일본극우나 중국, 북한 공산국가들이나 하는 미개한 짓입니다. 역사가 무슨 못생긴 부분은 깎고 색칠해서 예쁘게 완성시키는 미술품인줄 아십니까?

  • @user-gh2dn3oc7v

    @user-gh2dn3oc7v

    Жыл бұрын

    @@user-mp9co3pk9s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광해군에 대한 공식 평가입니다. 너무 길어서 결론 부분만 적습니다. (중략) 왕조 개창 이래 왕도(王道)와 덕치(德治)를 최고의 정치 덕목으로 인식하고 그 실천에 부단히 노력하는 것이 국왕의 당연한 임무로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인조를 추대한 반정세력은 광해군이 그 상식의 바탕을 이루는 효(孝)를 정면으로 거슬러 패륜을 자행하였다는 것으로 몰아붙여 이를 빌미로 정권을 쟁취한 후에는 반정의 명분을 기정사실화하고 광해군 시대의 정치를 깎아내렸다. 그렇지만 반정세력과 집권 서인(西人)의 시각에서 벗어나 광해군 당대의 역사적 상황과 이후 역사 전개를 살펴볼 때 그들이 행한 광해군의 평가가 반드시 정당하였다고는 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인조반정은 광해군 시대에 집권한 북인세력(北人勢力)과 당시 소외되어 있던 서인 정파간의 갈등이 크게 작용하였다는 역사적 평가가 내려지는 만큼 어느 한쪽에 중심을 두고 역사를 보려는 시각은 옳지 못하다. 광해군 시대의 정치가 새롭게 그리고 정당하게 재평가되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 @user-yp7ff3ou4n
    @user-yp7ff3ou4n3 жыл бұрын

    원래 기득권의 카르텔을 깨는거... 쉬운일 아닌거 너무 잘알죠. 그건 지금도 굉장히 어려운거 마찬가지죠. 광해는 조선의 기회였습니다.

  • @user-ng7sy5bu5x
    @user-ng7sy5bu5x Жыл бұрын

    정말 역사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시는 분 같아요. 역사도 많은 부분이 역사연구가들에 의해 진실이 가려지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 @yskim-bu9zx
    @yskim-bu9zx10 ай бұрын

    광해군 하면 떠오르는 것은 상당히 영특했고 명청 교체기에 명분만 내세우던 멍청한 신료들에 비해 실리 외교를 지향했던 그리고 정치적 부담을 안고도 대동법을 실시해 백성의 궁곤함을 살폈던 임금으로 기억합니다.

  • @user-jf7yo5hk1m
    @user-jf7yo5hk1m3 жыл бұрын

    알람해놓고 올라오자마자 봅니다 황쌤 존경합니다 역사를 재미있게 잘 보고배웁니다

  • @user-yu9jw6kv6c

    @user-yu9jw6kv6c

    2 жыл бұрын

    대동법은 의미상으로는 좋은법 이었으나 결론적으로 지주들은 기름진 토지에서 나는 생산량과 골담논 토지생산량에 같은 세금을 부과하면서 조선후기 대동법으로 인해 양민세력이 무너지는 결과가 됩니다. 강남아파트와 지방아파트에 평수가 같다고 같은 세금을 묻는것이 대동법이지요. 결국 대동법은 결과론적으로 서민에게는 악법이요 조선을 망친 대동법이지요.

  • @sowoozoo171
    @sowoozoo1713 жыл бұрын

    50년을 넘게 살면서 왜곡된 역사교육으로 인해 광해군을 여지껏 폭군으로 알고 살았네요. 이제라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c4kn2kx5e

    @user-pc4kn2kx5e

    3 жыл бұрын

    50년동안 잘알고계신걸 고작 유튜브보고 생각을 바꾸신거에요?

  • @user-wd4cz2bi2f

    @user-wd4cz2bi2f

    3 жыл бұрын

    1

  • @user-db2vw4nw4f

    @user-db2vw4nw4f

    3 жыл бұрын

    @@user-pc4kn2kx5e 병신도 이런 병신이 없지

  • @user-ub5nv8tw7h

    @user-ub5nv8tw7h

    3 жыл бұрын

    @@user-db2vw4nw4f 왜 욕을 하세요?

  • @DIAN-dj1sn

    @DIAN-dj1sn

    3 жыл бұрын

    댓글마다 달고 다니는 거 개웃기네ㅋㅋㅋㅋ

  • @user-lm1gr3bw4x
    @user-lm1gr3bw4x3 жыл бұрын

    항상잘듣고있습니다! 여러역사를 이렇게 누워서 편하게볼수있다니

  • @tenafly9
    @tenafly93 жыл бұрын

    방금 멤버쉽에 가입했습니다. 미국 북부뉴저지에서 응원합니다. 이런 좋은 동영상을 여기서도 접할 수 있다니, 기술발전으로 이런 혜택도 입는군요. 건승하세요

  • @designdooscissors
    @designdooscissors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cms0793
    @cms07933 жыл бұрын

    기다리던 영상 입니다! 인조반정은…그야 말로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한 반정이죠… 중종반정이야 연산군이 아주 개차반이었으니 그러려니 하지만…

  • @suzyko1497
    @suzyko14973 жыл бұрын

    이런 명강의는 황 선생님의 열정에서 나오는 것같읍니다. LA 에서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f9fq5tt1j
    @user-nf9fq5tt1j6 ай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 속이 후련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강의 부탁드립니다

  • @kimk.t.2100
    @kimk.t.2100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니...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아닌데요? 승자의 기록이라 하기엔 광해군일기는 중초본이 남아 있어 정초본의 어떤 내용이 바뀌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무데나 승자의 기록 운운하지 마시길

  • @user-sz3zd7hx8u

    @user-sz3zd7hx8u

    3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아 여기서도 막말을 써놓으셨네. 광해군일기는 반정으로 정권잡은 서인들이 썼어요. 승자의 기록이지요.

  • @user-tp1uk7hl2h

    @user-tp1uk7hl2h

    3 жыл бұрын

    @@user-sz3zd7hx8u 멍청한 소리하죠? 가서 중초본ㆍ정초본이 뭔지나 검색하고 오세요. 바보들은 꼭 공부를 안하고 남이 떠먹여주는 것만 잘 받아먹더라고요. 그러니 이따위 헛소리를 칭송하고 신봉하는 거죠.

  • @user-sz3zd7hx8u

    @user-sz3zd7hx8u

    3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으휴 무식한데 아는 척하는 넘하고 얘기하는게 제일 힘듬ㅋ

  • @user-gh2dn3oc7v

    @user-gh2dn3oc7v

    Жыл бұрын

    @@user-tp1uk7hl2h 북인의 주도하에 실록이 편찬되어 공정성이 훼손되었다며 서인 주도하에 다시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합니다. 현종실록은 남인의 주도로 편찬되어 남인에 대해 불리하면 빼거나 일부러 잘못되게 기록한 것들이 적지 않다고 서인들이 주장해서 정권을 잡자 현종실록을 다시 만들 정도로 조선 당대에도 실록의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당파적 입장에 따라 하나의 사건도 180도 다른 기록으로 남겨질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일방적으로 폐위당하고 몰살당하다시피한 북인들의 목소리를 1도 담지 않고 서인들의 일방적 서술의 결과물인 광해군일기를 액면 그대로 믿으라고 하면 서인들의 내로남불 아닌가요? 더군다나 광해군일기는 이괄의 난으로 실록 편찬에 가장 중요한 기초 사료들인 시정기와 승정원일기의 대부분이 산실되었습니다. 이는 "승정원일기와 시정기는 거의 다 없어졌는데, 상금을 주어 찾은 숫자가 40분의 1도 못된다"는 보고나 "검열 김광현이 시정기와 일기를 강화에 옮겨 두는 임무를 받은 뒤에 미처 실어 나르지 못하여 죄다 산실되었다."는 계사 및 "갑자년 변란 때 많은 문서들이 산일되었는데, 춘추관 서리 홍덕린이 광해군대 시정기 75권과 승정원일기 26권 등을 겨우 건져냈다."는 기록 등을 통해서 당시 사정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결국 찬수청을 설치하고 일기 편찬의 기초 사료들이 유실된 상황에서 사대부가에 소장하고 있는 일기, 장소, 조보, 야사 및 문집 등을 수집하여 편찬하였다. 이처럼 다른 실록과 달리 승정원일기와 시정기를 중심으로 편찬하지 못하고 사대부가의 개인 야사와 문집까지 동원해서 광해군일기를 부실하게 완성했다는 점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 @user-qn2bf5tw9l
    @user-qn2bf5tw9l3 жыл бұрын

    세부적인 내용까지 들을수있는 역사강의!!! 잘보고갑니다

  • @user-qn2bf5tw9l

    @user-qn2bf5tw9l

    3 жыл бұрын

    @@user-sk9yc4he7d 한글로 디테일이라 썼는데요 영어잘몰라서요

  • @user-jp2hm7tf8y
    @user-jp2hm7tf8y3 жыл бұрын

    공감하고 동의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gyungajo2691
    @gyungajo26912 жыл бұрын

    시원하고 명쾌하게 알려 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시고 역사공부 재미있게 해 주세용~~♡♡♡

  • @user-lu7gs8lm4o
    @user-lu7gs8lm4o3 жыл бұрын

    흥분하는게 황쌤 매력이니 자주 그러셔도 됩니다 ㅎㅎ

  • @user-te7xl4kz4n

    @user-te7xl4kz4n

    2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잘 봤습니다. 그런데 사학자 중에 광해군이 폭군이었다는 역사학자 분들이 많나요?

  • @user-vh7fh1qb4x

    @user-vh7fh1qb4x

    9 ай бұрын

    @@user-te7xl4kz4n최근에와서 재평가 되는 분위기지 예전엔 많았어요

  • @user-vh8uh2ho6i
    @user-vh8uh2ho6i3 жыл бұрын

    전 동영상에서 댓글보면 진짜 가관이던데. 이렇게 반박을 해도 무시할 사람들은 자기주장만 옳다고 하겠지..

  • @coolwind5024
    @coolwind50243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지식에서 깨어나게하는 정말 좋은 강의 입니다. 응원합니다.

  • @user-xo9lk4ip6h
    @user-xo9lk4ip6h3 жыл бұрын

    이시대의 정치인들도 황현필선생님 영상 꼭 보고 반성해야합니다 민주당과 국힘당이 서로 못잡아 먹어서 대치하는 꼴이 선조때 당파싸움으로 나라 말아먹던 상황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은거 같습니다 광해군처럼 미중 사이에서 실리외교로 또 대동법같은 개혁책으로 우리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정치 (이당이니 저당이니 보수니 진보니 싸우지말고) 보여주시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user-cp8li9ov1w
    @user-cp8li9ov1w3 жыл бұрын

    광해는 미래를, 동양의 세력 추이를 내다본 왕이 였음. 인조반정이 없었으면 동북아 판도가, 조선의 국경이 달라 졌을 것.

  • @titolyn936

    @titolyn936

    3 жыл бұрын

    야만없 양자역학으로 보면 운명은 다 정해져있음 ~라면 = 개소리

  • @user-rp9si9um3c

    @user-rp9si9um3c

    3 жыл бұрын

    이미 16세기 부터 부역제 해이해져서 정치든 경제든 썩을대로 썩은 조선이?ㅋㅋㅋㅋㅋㅋ

  • @user-xu9br3pb2e

    @user-xu9br3pb2e

    3 жыл бұрын

    폭군연산군때 우리가 태여났으면 자유민주조선이되고 삼권분리 대통령선거제를 했슴

  • @user-v385bad38glj

    @user-v385bad38glj

    3 жыл бұрын

    @@titolyn936 양자역학에서 확실히 정해진게 없다고 하는데 왠 개소리.. 미시세계의 현상을 파악할때 그 현상은 확률적으로만 설명이 된다고 함.

  • @ngt578

    @ngt578

    3 жыл бұрын

    @@user-rp9si9um3c 기회는 많이 있었음 성리학에 매몰된 세력이 하도 느대서 겨우 나온 싹을 엎어버려대서 그랬지

  • @user-fj6pl4me8d
    @user-fj6pl4me8d3 жыл бұрын

    진실을 밝혀주고 올바른 역사를 일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e5bu9zo6v
    @user-ge5bu9zo6v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언론, 기레기들이 나라를 좀 먹는데 앞장서고 있죠.. 기레기들은 박멸해야 나라가 살텐데 말이죠

  • @myungimsuh4654
    @myungimsuh4654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광해군에 대한 열렬한 황 샘의 강의 감동입니다. 많은 어려움을 무릅쓰며 애민사상에 기반한 용감한 개혁군주 광해군! 늦게나마 새로운 재평가에 조금이나마 위로가 됩니다. 더 나아가 중국으로 부터 왕으로 책봉되지 않았지만 이제 우리 스스로 군에서 왕으로 개칭해야된다고 봅니다. 이게 후손인 우리들에게 주어진 과제. 자주국가로서 아직까지 옛 명나라의 결정에 따른다는 것은 수치. 우리가 스스로가 주체가 돼야지요.

  • @user-kj2wu5lr5s

    @user-kj2wu5lr5s

    2 жыл бұрын

    애민사상은 개뿔... 애민사상으로 백성들 쥐어짬?

  • @user-ui3tj7iw2m
    @user-ui3tj7iw2m3 жыл бұрын

    방금 사고치신다는 영상 보고 막 구독했습니다 지금 올라온 영상이네요

  • @user-tu5yp1ud8z
    @user-tu5yp1ud8z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23152489
    @231524893 жыл бұрын

    정말 보고 싶었던 내용인데 너무 재미있습니다. 감사해용!ㅋ

  • @ryucia
    @ryucia3 жыл бұрын

    강의 잘들었습니다.👍

  • @user-bv1fn4jb4e
    @user-bv1fn4jb4e3 жыл бұрын

    극단적인건 항상 거짓일 확률이 크겠죠 승자의 역사라면 더더욱요 김개시 이야기도 나올줄 알고 봤는데 아직은 아닌가 보네요 다음편을 기대하겠습니다.

  • @polarishosi7290

    @polarishosi7290

    3 жыл бұрын

    그승자들이 수정했던 실록도 남았고 수정전 원본도 남아있는게 광해군일기입니다... 실록사상 유일한 원본이 남아있어요 즉 신뢰도가 매우 높다는것입니다.

  • @user-gh2dn3oc7v

    @user-gh2dn3oc7v

    Жыл бұрын

    주지용님 말씀에 적극 공감합니다. 선조실록, 현종실록, 숙종실록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선조수정실록, 현종개수실록, 숙종실록보궐정오는 왜 만들어졌을까요? 북인의 주도하에 실록이 편찬되어 공정성이 훼손되었다며 서인 주도하에 다시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합니다. 현종실록은 남인의 주도로 편찬되어 남인에 대해 불리하면 빼거나 일부러 잘못되게 기록한 것들이 적지 않다고 서인들이 주장해서 정권을 잡자 현종실록을 다시 만들 정도로 조선 당대에도 실록의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 @user-gh2dn3oc7v

    @user-gh2dn3oc7v

    Жыл бұрын

    @@polarishosi7290 [인조실록]에 따르면 [광해군일기]의 신뢰도는 10% 미만의 기록물일 수도 있습니다. [광해군일기]는 일반 실록하고 차원이 다릅니다. 오죽하면 [광해군일기]를 국역한 학자께서 기록을 그대로 믿지말고 사료 검증부터하라는 매뉴얼을 남겼을까요. 인조실록 인조 2년 이괄의 난으로 한양 궁궐이 쑥대밭이 된 후 좌의정 윤방이 아뢰기를, " (중략) 《광해일기(光海日記)》와 《시정기(時政記)》는 거의 다 없어졌는데 상금을 주어 찾은 숫자는 10분의 1일도 못됩니다." 하였다. 1. 이괄의 난으로 초초본의 기초사료(승정원일기, 시정기)의 90% 이상 산실 2. 다른 실록과는 다르게 턱없이 부족한 초초본을 메우기 위해 사대부가에 소장하고 있는 일기, 장소, 조보, 야사 및 문집 등을 수집하여 편찬 3. 인조반정에 의하여 집권한 서인에 의하여 광해군일기가 편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이 상당 부분 작용하였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해야 함 그러므로 "[광해군일기]는 사료 비판이 선행되어야 합니다"라고 [광해군일기] 원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국역한 역사학자이자 한문학자인 임승표 박사님께서도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습니다. 그럼에도 일부 역사학자들은 승자의 일방적 기록 [광해군일기]를 맹신하며, 반정세력들의 논리를 그대로 ‘Ctrl+C’하면 진정한 역사가라 할 수 있을까요?

  • @meteol888
    @meteol8883 жыл бұрын

    얼토당토 않은 얘기에는 흥분하실 수 있죠!! 그렇기에 더욱 와 닿습니다!!

  • @user-gl3zb8ed8p
    @user-gl3zb8ed8p Жыл бұрын

    광해는 대동법 시행에 반대 입장에 가까웠습니다. 김육이 줄곧 주장해서 결국 효종 때 부터 제대로 시행됬구요. 광해도 하기 싫은거 억지로 찍먹 해본게 전부인 대동법을 왜 광해 업적에다가 갖다붙히는지.. 아무리 좋게 포장하려고 해도 광해는 패륜을 저지르고 군도를 거슬러 실각한 인물입니다. 능력의 관점이 사람마다 달라 평가가 다르기에 무능하다 유능하다는 얘기는 아끼지만 광해를 무슨 성군처럼 신격화 하는 짓 좀 안했으면 싶네요.

  • @user-gh2dn3oc7v

    @user-gh2dn3oc7v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대동법에 진심이었습니다. 첫째, 즉위 한 달 만에 방납의 폐단을 요목조목 지적하며 이를 개혁하고 '선혜'하겠다는 뜻을 비망기에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선혜청이란 이름도 광해군의 뜻을 기려 만든 관청명입니다. 둘째, 비망기를 내린지 2개월 뒤에 광해군의 '선혜' 의지에 화답하는 신하가 이원익입니다. 경기지역에 대동법 실시를 제안하고 광해군이 바로 수락하여 전교를 내립니다. 셋째, 즉위한지 3년 뒤에도 광해군은 이미 경기도 지역에 대동법을 실시 중이었지만, 대동법의 시행과정에서의 여러 잡음과 부작용을 줄이면서 확대 시행에 관심을 가지고 과거 시험 최종에 '방납의 폐단을 바로 잡기 위해 공납품을 토산품 대신 쌀로 내는 것은 어떤가?"라는 문제를 직접 출제했던 광해군 넷째, 광해군이 경기도 지역으로 한정했다고 알려졌지만, 실상은 광해군의 신하라 할 수 있는 북인 인사가 충청도 당진 현감으로 있던 때 대동미를 징수했다는 매우 의미심장한 기록이 나옵니다. 광해군의 대동법에 진심이었던 수많은 행적과 흔적을 광해 6년의 고작 한줄 짜리 '경솔하게 동시에 실시할 수 없다'라는 기록으로 덮을 수 없습니다.

  • @user-gf5cc2kz8q
    @user-gf5cc2kz8q3 жыл бұрын

    황쌤 불금에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bi5vh2qm8m
    @user-bi5vh2qm8m3 жыл бұрын

    대학교 1학년때 조선의 힘이라는 책에서 본 내용과 선생님이 비판하는 내용이 똑같네요ㅎ...

  • @-joshuaTV-
    @-joshuaTV-2 жыл бұрын

    감탄이 아니 나올 수 없는 명강의입니다.

  • @user-ri6dx1yn8u
    @user-ri6dx1yn8u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역사가 이렇게 귀에쏙쏙들어올수가~~~

  • @user-ud7rl2qc2y
    @user-ud7rl2qc2y2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강의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