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라이벌7] 이방원(태종)vs수양대군(세조) - 친형제였다면 누가 왕이되었을까?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Пікірлер: 1 200

  • @logpanda
    @logpanda Жыл бұрын

    비가 많이 오는 연휴네요. 우리 태백광노 여러분들 무탈없이 지나가길 바랍니다.

  • @user-je4ph4kv5l
    @user-je4ph4kv5l Жыл бұрын

    조카한테 왕을뺏은 세조. 아빠한테 왕을뺏은 태종. 클라스가 다르지ㅋㅋㅋ

  • @user-nj2df6uy5v
    @user-nj2df6uy5v Жыл бұрын

    예나 지금이나. 권력욕이 너무 잔인하네요 두 군주가 싸웠다면 그래도 조선을 창건한 이방원이 👍 항상 격하게 응원합니다 ~♡

  • @user-qk1ep7ne7j
    @user-qk1ep7ne7j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을 이길자가 없을 듯 넘사벽.....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Жыл бұрын

    처남들 사돈을 죽였다..

  • @user-xr2nb3ir6o
    @user-xr2nb3ir6o Жыл бұрын

    황작가님 항상 감사합니다 건강유의하시고 강건하시길 바랍니다

  • @dawn_dew
    @dawn_dew Жыл бұрын

    라이벌전ᆢ 새로운 시각, 도전 재미있습니다 황현필 선생님 감사합니디 #역사독립운동

  • @user-cx2gc5kp8h
    @user-cx2gc5kp8h Жыл бұрын

    틀어놓고 집안일이나 명절 전 부칠때, 명절이동할때 들을수 있도록 1시간 이상짜리 역사 동영상 부탁합니다 꼭이요~~

  • @user-tp4cp1qi4m

    @user-tp4cp1qi4m

    4 ай бұрын

    맡겨놧음?

  • @user-dq5sb6tc1o
    @user-dq5sb6tc1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wx8cg2zs3d
    @user-wx8cg2zs3d Жыл бұрын

    이방원과 수양이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으나 그 후 전혀 다른 길을 걸어갔다고 봄... 이방원은 왕권 강화를 위해 친인척을 제거했고 그로 인해 세종은 태평 성대를 이룬 유일한 왕이 되었고 수양은 오히려 그들에게 권력을 주어 왕권이 약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을 우리는 훈구 세력이라고 하지.. 수양은 그저 왕이 되고 싶어 쿠데타를 일으킴.. 그런 의미에서 당연히 이방원에 한표

  • @user-lp5ol8qq2m

    @user-lp5ol8qq2m

    Жыл бұрын

    지랄하시네요ㅋ지금.라이브로.살아가는.정치도.좌우가갈려서.누가.더못하는지.알기쉽지않은데.몇십.몇백년을.사관기록으로.안다고요?ㅋㅋㅋ잣까줍세요ㅋㅋ

  • @user-lo7rq9hb8h

    @user-lo7rq9hb8h

    Жыл бұрын

    정안&수양 똑같은 인간이지 뭘 새사삼스럽게 핑게를 대냐 ᆢ ᆢ

  • @user-vg1cd6lb4g

    @user-vg1cd6lb4g

    Жыл бұрын

    ​@@user-lo7rq9hb8h박정희 전두환도 똑같지

  • @hong1115

    @hong1115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의 후손들은 세종, 문종, 단종이 있고요. 세조의 후손들은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가 있네요. 세조의 후손들중 성종(그러나 연산군의 친부)을 제외하면 단명하거나, 암군이거나 폭군이거나, 외척에 휘둘리는 힘없는 왕들 뿐이네요.

  • @user-vz3uf9ol5t

    @user-vz3uf9ol5t

    Жыл бұрын

    @@user-vg1cd6lb4g 그러나 박정희와 전두환 시대가 더 좋은 시대였지 더하여 박정희가 이 나라를 금수강산으로/ 공업 입국으로/ 모든 시골까지 정상적인 길로/ 시골 길은 아직도 바뀌지 않은 곳이 대부분임

  • @user-ge1tp7uf4z
    @user-ge1tp7uf4z Жыл бұрын

    요즘 조선사 안 올라오나해서 언제 올라오나 했더니 이제야 흥미진진하게 올라오네요. 기다렸습니다

  • @kumma9793
    @kumma9793 Жыл бұрын

    태종이 건국의 과업을 위한 피뭍은 칼을 뽑았다면 세조는 권력찬탈을 위한 피뭍은 칼을 뽑았다는 점에서 이유 보다는 이방원의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 @armkyh9412
    @armkyh9412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ㅎ 재미 있는 강의 입니다 ㅎㅎㅎㅎㅎ

  • @user-fs8ih3kf8c
    @user-fs8ih3kf8c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이라고 생각합니다. 형제 전체와 아부지와 아부지 측근을 상대로 왕권을 잡는것과 한참 어린 조카. 병들어 있는 형을 상대로 기회를 엿보다가 왕이되는 것은 난이도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세종이 살아계실적에 수양대군이 정식 왕권을 잡을 수있었다면 한번 해볼만 했을지도.. 세종이 태종의 모습이 묻어나는걸 보면서 기겁하면서 막았을테니까. 그걸 이겼다면 ...

  • @user-fs8ih3kf8c

    @user-fs8ih3kf8c

    Жыл бұрын

    세조가 명분도 태종에 비하면 너무 빈약함

  • @papajones2418

    @papajones2418

    Жыл бұрын

    이방원 때문에 정도전의 재상정치 이념으로 만든 나라 조선을 그냥 다른 나라랑 다름없는 왕권 국가로 만들어버려서 아쉬움

  • @user-fs8ih3kf8c

    @user-fs8ih3kf8c

    Жыл бұрын

    @@papajones2418 지금와서 보면 일장 일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songland7837

    @songland7837

    Жыл бұрын

    @@papajones2418 아뇨 정도전이 구상한 조선체계 자체는 그대로 따라갔습니다. 다만 이방원 입장에서 봤을땐 고려때는 귀족들이 이끌어가는 시대였다보니 왕권이 미약했기때문에 망했다고 생각해서 왕권강화에 힘쓰지않았을까 추측해봅니다.

  • @songland7837

    @songland7837

    Жыл бұрын

    @@papajones2418 실제로 조선도 외척이 나라말아먹을걸보면 답나오죠

  • @user-te3vb4hx6f
    @user-te3vb4hx6f Жыл бұрын

    증말멋진 현필님 들으면 들을수록 빠져드는명강의 감사합니다 현시대에맞게 주제를선택해서 우리에게 일러주고 깍우쳐주시는강사님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또 응원합니다😊😅

  • @user-wb4qq4rq9f
    @user-wb4qq4rq9f Жыл бұрын

    태종은 본인이 주도권을 가지고 난을 일으킨거고 세조는 아랫사람들이 주도권을 가지고 난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둘이 붙었으면 태종 윈으로 봄.

  • @sayrt177

    @sayrt177

    Жыл бұрын

    아니지 ㅋㅋㅋ 세조는 상대가 어린 단종임. 거저먹은거임.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 제끼고 된거임 ㅋㅋㅋㅋ

  • @machmax7

    @machmax7

    Жыл бұрын

    ​@@sayrt177 형제도 태조도..제쳤으니...심지어 처남 사돈집안도 박살 거기에 며느리집안까지도 조져놓은 칼방원이 압도적 우위😊

  • @user-up5rv1tq6g

    @user-up5rv1tq6g

    Жыл бұрын

    태종

  • @user-mf4fy9tx7j

    @user-mf4fy9tx7j

    Жыл бұрын

    저도 킬방원 한표 킬방원은 자기가 왕자의난을 일으켜 혓제.처가.친가 다재낌 관상쟁이 왕은 아픈형은 아파서죽고 어린조카를 상대하면서서 목아지뼈하나없는 책사까지 두고 이겼으니.. 킬방원 한표

  • @machmax7

    @machmax7

    Жыл бұрын

    @@user-mf4fy9tx7j +며느리 집안도 킬함...😎

  • @mkjung4500
    @mkjung4500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이 당연 위지!, 조선의 근간을 세운사람인걸 유일한 과거급제자에 냉철힌 핀단력과 과감성 인재를 알아보는 능력 등 모든게 한수위

  • @Sally33388
    @Sally33388 Жыл бұрын

    이방원에 한 표! 할아버지 아버지가 닦아 논 길을 가면서 권력을 챙취하고 왕권을 강화한 수양대군보다는 새로운 왕조를 개창할때 반대파를 제거하고 권력을 잡은 이방원이 훨씬 능력있는 인물이라 사료됩니다.❤

  • @user-yq2ho8jy3n

    @user-yq2ho8jy3n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이 상대한건 명나라도 잡아족칠라던 당대제일 정도전이고 고려조 과거급제하면서 머리도 입증했고.. 수양도 천재소리 들었지만 비교불가.

  • @user-cj5em9gu8f

    @user-cj5em9gu8f

    Жыл бұрын

    이 분이 대깨 강사 맞죠?ㅎㅎ

  • @user-vz3uf9ol5t

    @user-vz3uf9ol5t

    Жыл бұрын

    수양에게 한표// 하륜은 한명회에게 못미친다고 봄

  • @krauskim7662

    @krauskim7662

    Жыл бұрын

    능력있는? 자기 기분대로 닥치고 죽이고 쟁취하고 한게 이방원이고 한치앞도 보지 못한 그의 행보에 군신의 신뢰를 헌신짝 취급한 결과 조선왕조는 단종때 이미 망한거 이씨 왕은 허수아비, 신하들의 나라가 되어 버림 세조의 역천도 이방원이란 훌룡한 교보재가 있으니 부담없이 정권 찬탈한거고

  • @user-vz3uf9ol5t

    @user-vz3uf9ol5t

    Жыл бұрын

    @B준호 한명회는 기회주의자지요. 그러나 마지막은 자신이 묻힐 땅이 없음을 한탄할 정도로 뛰어난 책사지요.

  • @black4058
    @black4058 Жыл бұрын

    이런강의 좋아요!

  • @user-xm7se9kb1n
    @user-xm7se9kb1n Жыл бұрын

    재미있어요.라이벌전👍👍👍

  • @skjohnlee7364
    @skjohnlee7364 Жыл бұрын

    역사학자 님의 명쾌한 강의는 언제나 즐거움을 줍니다 ^^ 건강 하세요!!!!!!

  • @user-iq7bo2bk4c
    @user-iq7bo2bk4c Жыл бұрын

    제목만으로도 최고다.

  • @drafj6412
    @drafj6412 Жыл бұрын

    빌런 특집도 하면 재밌을것 같습니다 원균 vs 렌야 같은ㅋㅋ

  • @user-mz9ph1vw3k

    @user-mz9ph1vw3k

    10 ай бұрын

    어허 원흉과 대한민국 유공자를 비교하시다니요 ㅋㅋ

  • @user-zr9yb1xi8l
    @user-zr9yb1xi8l Жыл бұрын

    항상 응원합니다

  • @hoppipola9768
    @hoppipola9768 Жыл бұрын

    와!! 웅장한 대결이다😮

  • @KimJunNyoung
    @KimJunNyoung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이방원!! 나라를 세울 수 있는 인물은 단지 나라를 임금자리를 바꾼 이보다 더 큰 인물이다!! 또한 이방원 밑에서 세종대왕님이 나올 수 있지만, 수양대군 밑에선 잘나와야 성종이다!!

  • @Mining_bow
    @Mining_bow Жыл бұрын

    역사에 관심이 많은 제게 가장 공감이 되는 영상입니다~~~ 항상 응원하고 있으니 항상 건강 조심하시고 하루하루가 행복한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 @metalbox3681
    @metalbox3681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Sid-ps9hj
    @Sid-ps9hj Жыл бұрын

    만약 책사에게도 선택권이 있다면 한명회도 이방원을 선택했을듯.... 다 죽이는 잔혹함보다 무서운게 안죽여도 거역하지 못하게 하는 압도적인 카리스마가 아닌가 싶은... 알면 알수록 이방원이란 사람은.... ㄷㄷ

  • @user-xk7wf2en4t
    @user-xk7wf2en4t Жыл бұрын

    쌤~~ 너무 재밌어요~~~~^^ 간만에 귀가 솔깃한 얘기에 맘이 편안해졌어요.ㅎ 역사 속 인물 얘기는 그냥 옛날 얘기 같은데 언젠가는 먼 역사가 되겠지만 현실 속 인물들은 왜이케 속 터지고 맘 아프고 이러는지... 현실도 역사로 볼 줄 아는 여유 혹은 지혜로 맘이 편했으면 좋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user-xh8tw9su8f

    @user-xh8tw9su8f

    10 ай бұрын

    둘 다 개xx였습니다. 고려가 못살았다고요? 근데 조선초기100년은 왜 호위호식했을까요? 조선은 망해서 일본에게 팔려간나라입니다 아직도 전주이씨친일파들은 잘먹고잘살고요 나쁜짓도많이하죠

  • @user-xr2zm7qq3d

    @user-xr2zm7qq3d

    10 ай бұрын

    ㅡㄷ,

  • @user-xr2zm7qq3d

    @user-xr2zm7qq3d

    10 ай бұрын

    ㅡㄷ,.ㅡㄷ,ㄷ,,ㅌ

  • @user-xr2zm7qq3d

    @user-xr2zm7qq3d

    10 ай бұрын

    .ㅡㄷ,ㄷ,,ㄷ,ㄷ.

  • @user-hv1pv9mg7l
    @user-hv1pv9mg7l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지는 대결이긴 하네요

  • @user-dc5nl5or4d

    @user-dc5nl5or4d

    Жыл бұрын

    세조는 뭔가 옹졸하다..

  • @user-qk1zm7rl9k
    @user-qk1zm7rl9k Жыл бұрын

    댓글들을 보니 태종 이방원이를 표가 더 많은 것 같네요.제 생각도 이방원에게 한표 보탭니다. 5백년의 역사를 보면서 지금 우리의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과 비교해 봅니다.역사는 지금이나 흘러간 옛일이나 비슷한 것 같거든요.감사합니다.❤❤❤

  • @gogichoi7804
    @gogichoi7804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 알바하면서 한쪽에 이어폰끼고 일하며 라디오로 잘듣고 있어요~ 시간도 금방가고 유익하고 좋네요😊

  • @jongh87

    @jongh87

    Жыл бұрын

    알바하는데 이어폰을끼냐? 미친세끼네 ㅋㅋ 자랑이랍시고 올리는거보니 지능수준 알만하다 ㅋㅋ

  • @user-xv1ef5xj5e
    @user-xv1ef5xj5e Жыл бұрын

    역사엔 if가 없지만 이렇게 명강의로 들으니 너무나 흥미진진하네요.^^

  • @epsdm
    @epsdm Жыл бұрын

    상상해볼 법한 얘기네요 ㅎㅎ 태종이나 세조 둘 중 한 명이 타임워프 해서 만나는 SF영화 소재로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 @user-nt4bq5xk8v
    @user-nt4bq5xk8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ou4bt4rr1g
    @user-ou4bt4rr1g Жыл бұрын

    진정학 역사학자 황현필선생님, 응원합니다.

  • @uhjy1404
    @uhjy1404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너무 좋아요 둘이 형제컷 보고 싶군요 후에 드라마가 나와줬으면 좋겠어요

  • @user-pg6pm9or9h
    @user-pg6pm9or9h Жыл бұрын

    간만에 라이벌전 듣고 행복합니다. 샘. 언넝 집필하시고 자주 영상 만드셔서 현필하세요!

  • @TAeJUnJANg
    @TAeJUnJANg Жыл бұрын

    진짜 잼있네요

  • @songland7837
    @songland7837 Жыл бұрын

    세조는 태종을 벤치마킹한 측면이 있다보니 왕위쟁탈할때 태종이 아이디어나 결단력이 더좋아서 승리하지 않을까합니다. 사람 읽는 능력도 더 좋고

  • @user-wx8op8qm4f
    @user-wx8op8qm4f Жыл бұрын

    라이벌전 강의 부탁합니다. 와우 재미있고 유익할 거 같습니다. 오늘도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wk4ci8lk1j
    @user-wk4ci8lk1j Жыл бұрын

    주제 너무 흥미로워요 !다른 주제도 해주세요!

  • @user-dl3zk3tg4g
    @user-dl3zk3tg4g11 ай бұрын

    나이먹을수록 역사재밌내요

  • @user-st2tg3qp9g
    @user-st2tg3qp9g Жыл бұрын

    역사속 인물을 중점으로 강위해주시는게 흥미롭고 너무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제가 최근 드라마 대박이란 드라마를 보게되었는데 극중 이인좌란 인물에대해 궁금증이생겼습니다. 언제 기회가되시면 이인좌의난에대해 강의를 보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z3qy3qb2d
    @user-mz3qy3qb2d Жыл бұрын

    저는 태종에게 한표 던짐니다~ 왕의 자식으로 태어나 성장한것과 세력가 집안에서 태어나 성장한 이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고 생각하거든요 이로인하여 세조가 보지 못하는 것들을 태종은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youngson6421
    @youngson6421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방원에 한표 던집니다^^ 이 때 외척들 제대로 정리 못했으면 조선왕조 100년 되었을 듯 ㅎㅎㅎ

  • @user-ox8yc3jb9e
    @user-ox8yc3jb9e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형제들 중 제일이었던 태종, 문종한테 찌그러져 있었던 세조. 훗날을 생각해 자신을 도와준 가신들마저 날려버린 태종, 훗날이고 나발이고 현재의 자신에만 만족하여 세종, 문종의 전성기를 날려버린 세조. 잔혹한것'만' 따진다면 태종이나 세조나 도찐개찐이겠지만, 태종은 건국초기의 불안정한 나라와 세종을 위해 본인이 악당을 자처한면이 강하고, 세조는 순전히 본인의 왕위 욕심만 강했기에 솔직히 이렇게 언급되는것 자체가 태종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거라 생각합니다. 😅😅

  • @inhukj7875

    @inhukj7875

    11 ай бұрын

    심지어 명분까지 생각하며 적절히 공신도 처리하며 왕권 강화하는 치밀한 태종에 비해 컨트롤 가능하다고 해도 왕권강화의 지지기반을 다지기 위해 공신을 양산한 세조 이 뒤 파장을 생각하면

  • @sujinpark3431
    @sujinpark3431 Жыл бұрын

    멋져요 황현필학자님

  • @user-lw5sl4wn9o
    @user-lw5sl4wn9o Жыл бұрын

    조선 임금중에 이방원이 제일 똑똑했다고 생각해요. 똑똑하기로는 정조도 만만치 않았지만 정조와 이방원의 차이는 이방원은 철저하게 외척세력을 몰락시켜 왕권강화를 했지만 정조는 자신이 죽은 뒤 세도정치가 시작되 종국엔 조선 몰락의 시작을 알리는 시발점이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세조는 똑똑하기보다 기질이 센 인싸스타일이 아니었나 싶네요. 이방원이 압승이라고 생각합니다. 태종과 세조가 형제로써 왕의 자리를 두고 다퉜다면 세조는 태종의 손에 죽었을거라 봅니다.

  • @KKK-xo3fb
    @KKK-xo3fb Жыл бұрын

    전근대시대에 위정자의 살육이 엄청특별한일도 아니기에 왕위찬탈과정은 차치하더라도 찬탈자 수양대군의 핏줄에서 연산군 하성군 능양군이 태어났기에 본인 치세에 뭘 얼마나 잘했든 긍정적으로 바라보기가 힘듦.. 문종의 대가 이어졌다면 같은 환경이어도 조선중기이후 그토록 막장으로 치달앗을지.. 아무도 보지못했기에 누구도 모를일이지만 그보다 더 망가질수있었을까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Жыл бұрын

    문종이 세자시절 너무 고생하지 않았을까요..ㅈ

  • @user-br3lj4jj3r
    @user-br3lj4jj3r Жыл бұрын

    저도 인간인가 봅니다. 그래도 마지막 선은 지키려고한 이방원과 마지막 선까지 넘어버린 수양..자꾸 마음이 이방원에게 가네요 ㅎㅎ

  • @user-cr6pg9oh5b
    @user-cr6pg9oh5b Жыл бұрын

    쌤~~~ 감사합니다~~~

  • @user-nq6cs9rr6w
    @user-nq6cs9rr6w Жыл бұрын

    한명회와 정도전의 대결이 될수 있고 무식함의 대결...그 시대 네임드 신하들이 다 등장할텐데요.황희부터 한명회까지 중복되는 신하들도 있고...

  • @user-oy7ny3ty6x
    @user-oy7ny3ty6x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컴퓨터도 황샘 앞에서는 한수 배워간다는 선생님의 강의 역시 최고입니다.

  • @user-sk8oj6gt7m

    @user-sk8oj6gt7m

    Жыл бұрын

    그건좀 오바노

  • @user-ls6hp9kr4l

    @user-ls6hp9kr4l

    Жыл бұрын

    ​@@user-sk8oj6gt7m벌레도 시청하노~~

  • @zzangdak8840
    @zzangdak8840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iq7bc4pk4q
    @user-iq7bc4pk4q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 @user-ee8pm5uo6q
    @user-ee8pm5uo6q Жыл бұрын

    태조아니고 태종 수정요청~~~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jhk-oe7tz
    @jhk-oe7tz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칼 한번이라도 더 휘두른 사람이 이길 것 같습니다.. 다만 태종이 진다면 성군 세종이 역사에 등장하지 않을 수도 있을듯.... ㅠㅠ

  • @PSYon-tg5xr
    @PSYon-tg5xr Жыл бұрын

    색다른 이야기 재밌습니다

  • @kimWkdsk
    @kimWkdsk Жыл бұрын

    08:00 홍국영 생몰이 틀립니다. 강의는 항상 재밌게 잘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payernoop6955
    @payernoop6955 Жыл бұрын

    👍

  • @ecoecho6709
    @ecoecho6709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는데 황쌤 썸네일 오타있어요 😂

  • @user-hg1by7wm9d
    @user-hg1by7wm9d9 ай бұрын

    댓글 안하는데 진심 좋은 강좌 였습니다 굿

  • @DoPapa0516
    @DoPapa0516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이 형제를 안죽인건 그자체가 막강해서고 세조가 형제들 죽인건 형제들 무서워서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방윈과 세조가 형제라면 세조는 역사에 그냥 대군으로 끝일까라고 생각합니다.

  • @user-sh8kv4zq9x
    @user-sh8kv4zq9x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항상 응원하고 감사드립니다 ~^^

  • @user-oj5si7xs6m
    @user-oj5si7xs6m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이 이긴다고 봅니다 이방원은 과거 시험에 합격할정도로 수재였고 이성계가 위기였을 상황에도 상황대처나 임기응변적인 모습이 훌륭했습니다 또한 왕위를 차지하는 모습도 형님에게 선위를 받는 형식으로 큰 그림을 그리는 명석함을 보면 이방원이 한수 위라고 생각합니다

  • @user-pr8zk4mt4f

    @user-pr8zk4mt4f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인데 세조한테는 한명회가 있잖습니까. 한명회 만만치 않습니다

  • @user-zf8ly3ro2z

    @user-zf8ly3ro2z

    Жыл бұрын

    ​@@user-pr8zk4mt4f 그렇게 얘기하면 태종은 하륜이 있는데요 ^^

  • @user-si5up5xl6y

    @user-si5up5xl6y

    Жыл бұрын

    한명회는 책사로서는 역대급이라고 생각

  • @user-pi2me1ru9p

    @user-pi2me1ru9p

    Жыл бұрын

    ​@@user-vw8ny6zt9f 한명회 연산군한테 결국엔 목잘림

  • @user-md1cg2vs5b

    @user-md1cg2vs5b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스페인이었다는 결정적증거 조선왕조실록의 아란타는 일본의 지방 ㅡ 네이버

  • @user-jv4xz4ks5f
    @user-jv4xz4ks5f Жыл бұрын

    정적을 숙청하는 과정(먼저 정몽주부터)에서 태종 이방원은 혼자 결단을 내린 거 같고, 세조는 수양 대군 시절에 책사들의 도움을 받아 결단을 내린 거 같습니다. 수양대군 시절 문종한테는 꼼짝도 못했다는 걸 본 기억이 있어서요. 정적을 숙청하는 것만 기준으로 하면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좀 더 과감한 태종이 이겼을 거 같아요. 세조가 태종 손자라서 다행이에요.

  • @user-oq8gd4px8d

    @user-oq8gd4px8d

    7 ай бұрын

    태종도 책사들의 의견 많이 받기도 했고, 옆에 훌륭한 책사들 많았음 단지, 스케일 자체가 다름 세조는 이미 새워진 왕권에서 자기 조카 죽이고 뻇은 정도라면, 이방원은 조선시대 이전 자신이 왕족이기 전에도 고려에서 제일가는 문신인 정몽주를 때려죽이고, 그 이후엔 조선을 새운 정도전(자기아버지 태조의 신임을 받는 신하)를 때려 죽이고, 그 이후엔 자기 아버지 목에 칼까지 두번 겨누며 아버지(심지의 조선 건국왕) 까지 끓어내린 이후에 2번의 왕자의 난으로 자신의 왕권을 방해하는 대군들을 모조리 숙청한 후에 , 조선 건국에 제일 힘이 되어주고, 왕족 다음가는 권력을 누빈 2개의 가문을 전체다 유배보내거나 핵심인물만 숙청해서 두 가문을 아예 왕권을 처다도 못 볼 수준으로 만들어 놈

  • @user-us8jx7vr6b
    @user-us8jx7vr6b Жыл бұрын

    문득 태종이 세종의 외척(심온 집안)을 제거하는 바람에 나비효과로 단종을 지켜줄 궁궐의 어르신이 없어지고, 그래서 세조가 왕위 찬탈을 할수 있었던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mydick17cm

    @mydick17cm

    Жыл бұрын

    오 그러고보니 그말도 일리는 있네요

  • @user-du3ps7so2x

    @user-du3ps7so2x

    11 ай бұрын

    근데 또 제거안하면 세종대왕이 정책을 제대로 실현하기 어려울수도 있어서

  • @user-fj2pq7pv8f

    @user-fj2pq7pv8f

    5 ай бұрын

    사실 이 부분은 세종이나 문종이 결혼을 한번 더 했으면 될일이었습니다 단종의 지지층은 많았으나 직접적으로 왕실문제에 끼어들수 있는 내명부 집안어른이 없었어요

  • @user-lc5vc9ee1v

    @user-lc5vc9ee1v

    4 ай бұрын

    이 문제는 문종이 단명만 안했으면 끝날일이였죠 문종이 그리짧게 2년 반만에 갈줄 예상이나했을까요…세종과 다르게 문종은 카리스마까지 있는 최고의 임금이였어요 수양이 함부로 개길수없는 사람이였음 실로 수양은 문종한테 대들지 못했죠세종이 문종을 왕위에올릴거였으면 확실하게 종친들 정리를 해줬어야 했는데 종친이 정사에 참여하는거부터 잘못된거였죠 문종은 정말 성군중에 성군이 되었을 왕이였고 그의 아들인 단종또한 엄청난 성군으로서 그뒤 조선이 얼마나좋은 성군으로 태평성대가 이뤄질수있었는데 그모든걸 세조가 망쳐버림

  • @JohnMGYi
    @JohnMGYi Жыл бұрын

    왜? 이 시기에 이 둘을 콕 찝었을까 ? 그 배경을 헤아려 봅니다. 잔잔히 공감이 밀려 옵니다. 시대적 요구가 정의로운 빌런(말의 어폐가 있을지는 모르지만)을 바란다고 생각 됩니다. 통치를 떠나 명분과 전체적인 싸움에서는 태종이 낫다고 보여 집니다. 모델이 있는 것과 새로운 길을 만드는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 이기 때문에..그 누구가 어서 기반을 튼튼히 하고 바람처럼 번개처럼 쓸어 나가길 기대 합니다.

  • @charmcharmee
    @charmcharmee Жыл бұрын

    경우의 수를 따지자면 너무 복잡해질 것 같으니 둘 다 왕위에 욕심을 내고있고, 서로 충돌했을 것이라는 전제를 하고 예상을 해보자면...세조는 태종의 상대로는 조금 부족하지 않을까 합니다. 태종은 여말선초의 격동기에 성장해서 그런지 스물을 갓 넘긴 어린 나이에 최영으로부터 가족들을 대피시켰고, 아버지 이성계를 이기기도 했죠. 암살과 쿠데타는 태종과 세조가 비슷해보일 수 있으나 성공여부의 어려움은 태종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각 세력들이 사병을 소유한 격동기에 아버지 이성계의 눈을 피해 암살과 쿠데타를 일으켜서 안정시키는 것과 사병이 모두 혁파되고 사회가 어느정도 안정된 시기에 암살대상 몇을 죽인 후 일으킨 쿠데타는 비교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 @user-wm9rt2sq5l
    @user-wm9rt2sq5l Жыл бұрын

    쌤한테 역사 배웠으면 엄청 신나게 공부했을텐데요!!! 전 세조에 한표 던져요~~

  • @MjYg2250
    @MjYg2250 Жыл бұрын

    오~~정말 흥미진지한~이야기네요..ㅋㅋ 태종과 세조 과연 누가 승자가 될런지 ㅋㅋ

  • @user-qe2fc2xt4r
    @user-qe2fc2xt4r Жыл бұрын

    오... 막상막하 난제군요. 독한 심성으로는 세조 우위로 보이고 생존능력으로는 태종 우위로 보이네요. 그래서 둘이 싸우면... 결국 태종이 살아남지 않을까 싶네요.

  • @user-wx8by2eh3k

    @user-wx8by2eh3k

    Жыл бұрын

    태종이 더 독함

  • @wonsukchoi4523

    @wonsukchoi4523

    Жыл бұрын

    세조가 더 독하죠. 태종은 그래도 선이란게 있는데 세조는 아휴…

  • @user-nh3yd6dr8r

    @user-nh3yd6dr8r

    3 ай бұрын

    솔까 하륜vs한명회임 둘중 누구머리가 더 좋냐인데 한명회가 쌈지략은 더 좋을거같아서 이방원이 이길수가 없음

  • @user-zf9is7wf1r
    @user-zf9is7wf1r Жыл бұрын

    황쌤 사랑합니다❤ 전 이방원 승리로 봅니다. 왜냐하면 이방원과 이유는 시기적으로 너무 차이가 벌어집니다. 이방원은 개국 공신이니까 견제 세력도 강했던 때이고 무엇보다 창업군주 아버지가 살아계셨습니다. 그 기다림 준비성.... 의지할 종친 하나없던 단종을 폐위했던 세조와는 클리어 난이도가 심히게 차이났다고 정리하겠습니다. 😅

  • @keystone3373
    @keystone337310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 @user-en1le4mk9w
    @user-en1le4mk9w Жыл бұрын

    좋네요 신선함

  • @user-oe7cu3vt8t
    @user-oe7cu3vt8t Жыл бұрын

    와.....시작부터 살떨리는 맨트. 태종과 세조가 같은형제라면...😂 게다가 하륜과 한명회ㆍ신숙주라뇨ㅡ 이상하리만큼...저는 이방원 하겠습니다. 아무리 밉고 싫어도 배동을 죽일순 없으니까요

  • @user-es4ys5my3y
    @user-es4ys5my3y Жыл бұрын

    라이벌전을 펼쳤다면 전장에서 잔뼈가 굵은 이방원이?ㅎㅎ;; 일주에 2개씩 올려주세요..

  • @seongmokjeong2592
    @seongmokjeong2592 Жыл бұрын

    아..ㅠㅡㅠ 어제 대한민국 미래인 어린이 날이었습니다. 전 당연히 어린이날 하면 소파 방정환 선생님의 영상이 올라 올 줄 알았으나.. 제가 너무 학수고대 했던 모양입니다. 쩝

  • @user-vq4oj6ki8h
    @user-vq4oj6ki8h Жыл бұрын

    능력을 배제하고 늘 천운을 가진자가 따로 있습니다~~ㅋ

  • @dumvitaestspesest
    @dumvitaestspesest Жыл бұрын

    오...제가 보기엔 방원이가 수양 제끼고 왕 된다고 봅니다. 조선 27명의 왕 중에 이방원은 타고난 천재적인 인물이라고 봐요 세종대왕보다 더. 방원이의 인사 스타일이 ‘쟤 숙청해’가 아니고 신하들 입에서 누구를 제거해야합니다 기어이 나오게 만들었다고 하니 ㅎㅎ 훌륭한 책사가 있어도 본인이 너무 천재적이라. 문종이 죽고나서야 단종을 제거한 수양은 아버지가 살아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생들을 죽인 방원이 못이길 것 같아요.

  • @buso3810
    @buso3810 Жыл бұрын

    태종 앞에서 세조는 초라했을듯 아버지 이성계를 비롯 수많은 라이벌들을 이겨낸 이방원과 거의 무주공산과 다를바 없던 단종의 자리를 차지한 세조는 좀 비교하기가 어려울듯

  • @doldydol-rq3kn
    @doldydol-rq3kn8 ай бұрын

    얼마 전에 남편과 이야기 하는 중에 태종과 세조가 헛갈린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이 강의로 확실히 구분이 되었고 두 사람 도긴개긴입니다.

  • @user-yz9bk3ff4g
    @user-yz9bk3ff4g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mylife33712
    @mylife33712 Жыл бұрын

    강의 제목 부터가 신선하고 설렜어요ㅋ 넘나 잼나는 내용이어서 진심 한편의 영화 스토리를 머리속에 그리면서 들었어요. 그래도 저는 수양대군이요.

  • @songkim6408
    @songkim6408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결...흥미진진하네요~이렇게 강의를 보니...태종, 세종, 세조 3대가 다 뛰어난듯^^ 전 태종에게 한표 던집니다😊

  • @ryanxade
    @ryanxade Жыл бұрын

    아닠ㅋㅋ 제목이 안 들어올 수가 없네요 ㅋㅋㅋㅋ 저는 이방원에게 한표 던집니다~ 주어진 상황의 난이도가 이방원이 왕이 되는 과정때가 훨씬 어려운것 같네요

  • @user-ph4hs8uy2x
    @user-ph4hs8uy2x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 vs 손자 대결(?) 가슴이 웅장해지넹 그 가운데 끼어있는게 아이러니하게도 성군이라는 대왕세종 ㅋㅋ

  • @user-nq3hc7jp4x
    @user-nq3hc7jp4x Жыл бұрын

    질문이 좋습니다^^ 백성들과 후대 왕을 위해 특권층(공신)을 줄이고 억누른 태종과, 할아버지의 큰 뜻에 역행하여 특권층(이방원도 인간적 정으로는 챙겨주고싶었을 그 똘마니들)을 늘리고 우대한 세조는 격이 다른다고 봅니다.

  • @user-di8cv6tu7u
    @user-di8cv6tu7u Жыл бұрын

    이방원에 한 표입니다. 이방원은 축출대상만 숙청한반면,, 세조는 연좌제로 제거하여서 적이 훨씬 많을것 같아요. 인간애가없는 세조는 결정적 순간에 뒤통수를 맞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 @user-ht3ko3fw6l

    @user-ht3ko3fw6l

    Жыл бұрын

    인간미는 세조가 더 있지않을까요 자기 사람은 확실히 챙겼으니 태종은 자기사람도 아들을 위해 킬

  • @user-di8cv6tu7u

    @user-di8cv6tu7u

    Жыл бұрын

    @@user-ht3ko3fw6l 태종은 공신과 외척을 죽이긴했지만 아들이 펼칠 나라의 기반을 쌓기위한 방향이였고, 세조는 공신들의 재산과 벼슬은 지켜주었어도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위함이였으니 목적이 달랐다고 봐요.공신을 지켜준면모는 온정적이고 의리가 있다고는 보지만 연좌제로 죽인 수가 더 많으니 스스로도 두려움에 불교에 빠지고 병이 생긴게 아닐까요? 여기에선 개인적 의사를 묻는 거잖아요. 전 태종이 이길승산이 있다고 봅니다.😊

  • @user-fb2hz1dc3c

    @user-fb2hz1dc3c

    Жыл бұрын

    @@user-ht3ko3fw6l 다르게 보셔야 할 게 이방원은 심지어 역적이라고까지 칭했던 정도전의 아들을 살려줍니다 그 자기애를 다른 넓은 각도에서 봐보심이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Жыл бұрын

    이방원은 부부싸움을 너무 격렬하고 잔인하게 했으나 세조 수양은 그렇지 않았죠..

  • @user-md1cg2vs5b

    @user-md1cg2vs5b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스페인이었다는 결정적증거 조선왕조실록의 아란타는 일본의 지방 ㅡ 네이버

  • @user-yj9os8my6n
    @user-yj9os8my6n Жыл бұрын

    창립군주 아버지와 형제들을 제낀 이방원 vs 아버지 돌아가신 어린 조카를 제낀 수양대군

  • @user-ik6hz5de7l
    @user-ik6hz5de7l Жыл бұрын

    주제 재밌다 ㅎ

  • @eugenehwang808
    @eugenehwang808 Жыл бұрын

    선조 vs 인조 누가 더 개차반이었을까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얼마나 개차반이었으면 각각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불러왔는지도...

  • @user-xn2zc9tm4m

    @user-xn2zc9tm4m

    10 ай бұрын

    둘다 전시상황과 후계자 문제 제외하곤 평가가 엄청 좋아요;;; 그래서 오나라 손권에 비유할정도입니다;;;; 손권도 전쟁은 개차반으로 치루고 이궁의변으로 유명하거든요

  • @user-mz9ph1vw3k

    @user-mz9ph1vw3k

    10 ай бұрын

    선조는 튀기라도 잘튀었죠 ㅋㅋ

  • @user-mz2ny1yv3t

    @user-mz2ny1yv3t

    9 ай бұрын

    인조여....

  • @user-xe5fy6lc7n

    @user-xe5fy6lc7n

    9 ай бұрын

    그래도 인조....

  • @asdkjasd
    @asdkjasd Жыл бұрын

    정몽주라는 거대한 인물을 칠정도의 담력은 진짜.... 비교할바가 못됩니다

  • @user-wd2jz2ql6x
    @user-wd2jz2ql6x Жыл бұрын

    오...참신~~ 재밌네요^^

  • @user-zl7vk5bo5g
    @user-zl7vk5bo5g Жыл бұрын

    소설적인 측면 가미한 콘텐츠도 좋다.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Жыл бұрын

    소Fiction설. 쏘Social셜 모두 인간세상사.

  • @user-xu4es5xe9z
    @user-xu4es5xe9z Жыл бұрын

    역사를 흐름으로 이해하면 그냥지나칠 부분을 짧게나마 비교해서 설명하니 역사흐름에 살이 붙는 듯 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 @user-fn5lv7nv3l
    @user-fn5lv7nv3l Жыл бұрын

    전 한명회를 책사로 둔 세조의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부관참시는 아무나 당하는게 아니죠

  • @user-tq3mo1xb3y
    @user-tq3mo1xb3y3 ай бұрын

    와 이거는 너무 재밌습니다 ㄷ… 선생님 라이벌 전 계속 해주세요

  • @user-lo2sx1jd3u
    @user-lo2sx1jd3u Жыл бұрын

    천벌을 받아야 하고 세종대왕, 문종 앞에 사과하고 세조라는 묘호는 반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과전법 폐지가 수양대군의 업적??? 훈구파에게 줄 땅이 부족해 공신들에게 땅 줄려고 폐기 오히려 백성들을 더 힘들게 했고 왕권 강화?? 훈구파를 견제 하지 못해 이들의 비대화로 수양대군 사후 왕권 약화를 불렀습니다. 수양대군의 업적이란건 신기루에 불과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ㅠ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