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28] 광해군 궁궐병? (feat.조선궁궐 총정리)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Пікірлер: 713

  • @hwang_history
    @hwang_history3 жыл бұрын

    *황현필의 [조선사] 시리즈 몰아보기!* _하단 링크를 클릭하세요._ kzread.info/head/PL0lEEgMCRI84hKeFExVPgvY0LL9ciO8gc 역시 고수들 많으신데, 제가 볼때는 모기 다리 만지시는 분들이 많아서 아쉽습니다. 궁궐 이야기로 계속 태클 거시니 답하겠습니다 1 경희궁은 원래 큰 궁궐이었다? 그렇죠1500칸까지 갔으니까요. 근데 그걸 광해가 크게 만든건가요? 인조 아빠 정원군집에 왕기 있다는 말을 듣고 집을 허물고 지은건데 여러분 같으면 크게 만들었겠습니까? 경희궁은 인조때 자기 살던 집터라고 증축하고 숙종때 1500칸에 도달합니다. 2. 인조가 왜 경희궁에 살았나요?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때문에 창덕궁과 창경궁 모두 불타서 그랬습니다. 그럼 누가 창덕궁 창경궁 또 다시 만들었을지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3. 불탄 궁궐 재건하고 없는 법궁 만들자는게 그렇게 죽을 노릇이면, 가장 엉망인 세도정치기 끝나자 마자 7000칸 경복궁 절반 만들다 화재로 다 날리고, 그래도 다시 만든게 7000칸인데, 대원군도 폭군이라 하지않습니다. 4. 정조는 안만들어도 되는 화성 만들었고 수천명 이끌고 화성행차 다니면서 재정날렸으니 문제제기할수 있습니다. 화성행궁 뿐 아니린 천도하려했으니 얼마나 많은 궁궐 만들뻔했을까요? 그러나 누가 정조를 비판하지 않습니다. 노론 벽파로 인해 실추된 왕권회복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바라보죠. 전근대의 왕권강화는 민생안정에 필요충분조건 관계입니다. 백성 수탈해서 뒷주머니 채워야할 탐관오리와 조정대신들 입장에서 그게 다 궁궐로 들어가니 환장할 노릇이었은것입니다. 광해군때 탐관오리 기록도 벌로없고~ 농민반란은 전혀없습니다.ㅎ 현실 정치인에 대한 평가도 극단적인 이 시대에 과거의 인물을 놓고 같은 판단을 할수 없다는거 압니다만,,,광해가 폭군이라는 전제에 동의하기 힘드네요. 이후 인조반정 영상을 꼭 보시구요. 주말 마무리 잘하시고, 힘찬 한주 되세요^^

  • @user-vg2km1eg4j

    @user-vg2km1eg4j

    3 жыл бұрын

    결국 역사는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의견이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갑자기 이완용이 사실 충신이었다라던가 등의 일선을 넘은 주장을 하지 않는 이상 사람들은 선생님 말을 신뢰할거라 생각하니 그저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바가 있다면 그대로 밀고나가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반대되는 주장을 하는 사람의 주장도 일선을 넘지 않는 이상 염두에 두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을 보고 반대되는 주장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싸우자고 그런말을 하는게 아니라 선생님이 이 시대의 진정한 지식인이라 믿어 의심치않기때문에 그런 사람이랑 허심탄회하게 토론하고싶어서 그런걸태니까요 전 선생님을 많이 존경하고 또 지금 이시대에 꼭 필요한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오래오래 뵈었으면 좋겠어요! 화이팅입니다.

  • @tomace5445

    @tomace5445

    3 жыл бұрын

    @@user-vg2km1eg4j 염두는 하는게 아니라 염두에 둔다 라고 합니다. 마음에 두고 있으라는거죠.

  • @invink6716

    @invink6716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대의 민주주의에 다수결의 원칙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1도 이해 못하는 누추한 분이 귀한 곳에 와서, 똥싸고 주저앉는 소리 하고 앉았어요

  • @invink6716

    @invink6716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어디 부족국가 같은 곳에 이민 가서 끼워달라 해보삼. 아마 니가 생각하는 이상향을 실현 가능하게 해 볼 가능성도...? 그닥 없어보이지만.

  • @sanghyounbahk4951

    @sanghyounbahk4951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아~ 쫌~~~! ㅡㅡㅗ

  • @user-tb8ol4ge7x
    @user-tb8ol4ge7x3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열정적으로 강의해 주시기에 늘 감동적입니다. 입체적인 생생한 강의.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 @blacksilk20
    @blacksilk203 жыл бұрын

    감동♡ 고등학교때 역사 선생님이 86년도 광해는 폭군이 아니다 지금 황선생님이 하신 말씀처럼 이야기 하셨는데....♡

  • @user-kt2op6up2q
    @user-kt2op6up2q3 жыл бұрын

    아따! 황선생 후원이 아깝지가 않네!! 역시 !! 역사가 바로서는 날까지 회원유지 하겠음

  • @daegun4991
    @daegun49913 жыл бұрын

    폭군은 아니었지만 성군도 아니었다는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선생님의 강의는 당시의 현실적인 시대상까지 고려하여 입체적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설득력이 있다고 느껴집니다.

  • @ilililliliili4589

    @ilililliliili4589

    3 жыл бұрын

    폭군도 아니고 성군(개혁군주)도 아닌 암군이라고 보는게 일반적인 시각이죠.

  • @ohappytoday

    @ohappytoday

    3 жыл бұрын

    @OH GWON 총칼로 정권 잡지 말라고 선거가 있는건데 뭔 헛소리인지.. 쿠데타로 집권해도 괜찮다고 하면 매일 피터지고 사람들 죽어 나갈텐데?? 제정신인건가?

  • @invink6716

    @invink6716

    3 жыл бұрын

    @@ohgwon7195 얘야 제정신이냐? 황현필 선생이 5.18문제도 이미 정리 내렸는데, 왜 여기와서 그딴 소릴 하는거냐?

  • @user-rg4hf8jg9q

    @user-rg4hf8jg9q

    3 жыл бұрын

    @@ohgwon7195 이글 신고해볼까? 5.18 왜곡하는글 쓰면 5년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인데?! 얼마전 법안 통과 된거 몰라? 니글에 민간이 경찰먼저 치어 죽였다는 사건! 그 진실은 당시 공수부대원이 운행중인 버스에 최루탄 까넣어서 버스기사의 운전 불능으로 인한거였는데! 니가 쓴글 좋은말할때 내려라! 이거 5.18단체 신고 하면 넌 조사도 필요없이 바로 현행법 위반이다! 경고했다! 카운트다운 24시간 준다! 일단 니글 캡쳐는 했다!

  • @invink6716

    @invink6716

    3 жыл бұрын

    OH GWON 이 넘 90ㅇ 이넘하고 아이디 두개 갖고와서 노는 넘이네. 이런 귀한곳에 웬 누추한 분이 다중이 놀이 하고 있으쎄요?

  • @str0579
    @str05793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사실과 그 해석 그리고 그러한 것들로 미래의 방향까지 제시해주시니 이게 진정한 역사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사실로서의 역사 뿐만 아니라 사실의 반추와 반성 그리고 해석, 교훈과 미래의 청사진까지 제시하는 황현필 선생님 같은 분이 진정한 역사가라고 생각합니다.

  • @dawn_dew
    @dawn_dew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가르쳐주시는 황현필 선생님, 멋진 강의 고맙습니다

  • @yune5597

    @yune5597

    10 ай бұрын

    ⚡광해군이 아닌 광종이라 부르면 좋겠음

  • @user-vw3yz6fp3o
    @user-vw3yz6fp3o3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공감하고 마음에 와 닿습니다 선생님 좋은 공부가 되엇어요 감사합니다 ^^

  • @user-sh5zh7jh1k

    @user-sh5zh7jh1k

    3 жыл бұрын

    영미님 반가워요 김교수님 체널에서도 자주뵙고 해서 인사 드립니다 후원도 많이 하시고 멋져용

  • @user-vw3yz6fp3o

    @user-vw3yz6fp3o

    3 жыл бұрын

    @@user-sh5zh7jh1k 정말 반가워요 역사를 사랑하고 바른보수를 지향하는 평범한 애국자입니다 같이 역사를 공부하고 애국합시다^^

  • @2duseo
    @2duseo3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살아가야 후손들에게 비판받지 않을 것인가! 참 와닿는 말입니다. 부귀영화는 순간이지만 역사는 영구합니다.

  • @user-fl9hm3cv1b
    @user-fl9hm3cv1b3 жыл бұрын

    50중반을 넘긴 나이지만 황선생님의 강의를 볼때마다 역사의 새로움을 느끼며 즐길수 있다는게 숨길수없는 사실입니다.감사합니다

  • @user-fc5hd1fh6p
    @user-fc5hd1fh6p3 жыл бұрын

    자신감 넘치는 모습 항상보기 좋습니다~^^

  • @blsqu
    @blsqu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역사답게 배우는 시간이 왔습니다~~~

  • @jklim526
    @jklim5263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바른 역사를 통해 민족정기를 바로 세울 수 있는 바탕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 @woojac6546
    @woojac65463 жыл бұрын

    다른 역사강의자들은 촬영을 위해 급하게 공부한 티가 팍팍나지만, 황쌤은 다르죠!! 그게 우리가 좋아하는 이유구요 ^^

  • @k.joomihyun

    @k.joomihyun

    3 жыл бұрын

    @@ohgwon7195 100프로의 찬성으로 한다면...그건 이북이네요

  • @umblow
    @umblow8 ай бұрын

    세종, 광해 개인적으로 조선시대 군주중 가장 존경하는 인물들입니다. 평소에 혼자만 갖고 있던 의문과 생각들이었는데 너무 공감되고 반가운 내용의 강의였습니다. 역사는 남은자들에 의해서 그들 스스로 정당화 하기 위해 사실과는 다르게 쓰여진 것이 많을것이라 생각합니다. 황현필 선생님 같은분들로 인해 부끄러운 역사든 자랑스러운 역사든 객관적이고 정확한 해석으로 후손들에게 교육되어지길 바랍니다.

  • @j.h5484
    @j.h54843 жыл бұрын

    역시....! 역사는 누구 한사람 개인의 생각이 아닌 다방면적으로 접근을 해야 하는듯.. 잘 봤습니다! 엄지척!☝

  • @O2stBlue
    @O2stBlue3 жыл бұрын

    인조반정을 정당화 하기위해서, 광해를 까는거로 정한듯... 인조는 띄울만한게 없는듯... 역사의 큰 흐름이 이렇게 흘러왔구나~ 하는걸 많이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 @user-oj4dd7nt7n
    @user-oj4dd7nt7n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하늘에서 엄청 섭섭했겠네요

  • @어우어우어우

    @어우어우어우

    3 жыл бұрын

    섭섭한인물 엄청많겠죠 ㅠㅠ

  • @cchocopie

    @cchocopie

    2 жыл бұрын

    조선왕조 500년 초단편집 봤는데 역대 모든 국왕들이 스트레스가 장난 아니었더만요 그중에서도 탑급이 광해군 이라고 봅니다

  • @user-hf5wh3ll6w
    @user-hf5wh3ll6w3 жыл бұрын

    역시 명강의 입니다. 황샘의 의견에 100% 동의 합니다.

  • @jung4500
    @jung45003 жыл бұрын

    황현필선생님 언제나 팩트체크 해주셔서 감사히 잘배우고 잼나게 잘듣고 있답니다

  • @user-cz7sz2mr5r
    @user-cz7sz2mr5r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우리 남편 다음으로 존경합니다...올해 45세 아줌마 올림^^

  • @user-ho4km5dq5o
    @user-ho4km5dq5o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이라는 시련을 극복하지 못한 기득권 서인집단과 성리학은 이때 꼭 심판받아야 했었다고 생각합니다 점점 교조화해가며 결과론적으로는 여진에게 크게 당하기도하고 나라가 발전할 수 있었던 시기를 크게 놓친것 같습니다 만약 이때부터 개방적 태도로 상업위주의 실리주의를 키웠다면 어땠을까 하며 상상해봅니다

  • @user-np9cv3pr6w

    @user-np9cv3pr6w

    3 жыл бұрын

    조선후기:대동법+농상공업의 발전으로 부유한 농민이 증가->이에따라 서민문화 향유의 증가와 노비인구 극감 = 발전X ?????

  • @user-dl9nw8qb2r

    @user-dl9nw8qb2r

    3 жыл бұрын

    @@user-np9cv3pr6w 그 부유한 농민들이 이제 공명첩으로 양반을 사고 또 그러면서 세수가 부족해지면서 나라가 가난해지고, 또 양반을 산 부유한 농민들이 지방관리로서 다시 백성들을 핍박하고 가렴주구하니 사회가 쇠퇴한건 맞죠 ㅎㅎ

  • @user-np9cv3pr6w

    @user-np9cv3pr6w

    3 жыл бұрын

    @@user-dl9nw8qb2r 광해군:얘드라~~ 너희들 돈도 많은데 인경궁 건설에 모금 좀 해줘~ 공명첩 줄게ㅎㅎㅎ 아 그리고 공명첩으로 얻은 벼슬은 명예직입니다. 공명첩땜에 지방수령은 무슨ㅋㅋㅋㅋ 정조가 세도가 권력 키웠다가 사후에 그 세도가들이 자기 집안사람으로 관리 앉히고 아첨하는 애들 돈받고 관직 주면서 탐관오리가 늘어난겁니다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3 жыл бұрын

    농업 생산력이 받쳐주질 못하는데 뭔수로 상업을 합니까? 거래할 물건이 있고 비농업종사인구가 먹을 식량이 있어야 상업을 하죠

  • @user-np9cv3pr6w

    @user-np9cv3pr6w

    3 жыл бұрын

    @@lunascape5289 그게 고대부터 모내기법 정착 이전의 조선의 농상업 구조입니다

  • @user-id6qg6ld8w
    @user-id6qg6ld8w3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제 역사의식이 많이 깊고 넓어지고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 @user-hy8vl3fn5s
    @user-hy8vl3fn5s4 ай бұрын

    광해군 묘역 갔었는데 너무 초라하더라구요 쌤님의 강의 들으며 역사 공부 제대로 합니다.

  • @user-ix7kv4vp6p
    @user-ix7kv4vp6p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혈압올라갑니다^^ 제대로된 개혁군주!! 제대로된 자주국가!!를 꿈꾸었던 광해왕에 대한 평가는 반드시 다시 정립될거라 믿습니다 화이팅!!!

  • @user-kj2wu5lr5s

    @user-kj2wu5lr5s

    2 жыл бұрын

    ㅂㅅ ㅋㅋ

  • @user-xh1tc4su5j
    @user-xh1tc4su5j3 жыл бұрын

    황쌤 강의는 언제나 마음에 와 닿아요 내가 학교 다닐때 공부는 못 했는데 국사는 98점 이상 항상 맞아서 졸업 하고 국사 선생님 가끔 만났었는데 광해군을 생각 할때 마다 안타까운 맘이 컸었는데

  • @cchocopie

    @cchocopie

    2 жыл бұрын

    저는 고3 630명 중에 600등 밖 전교 꼴지라서 국사 역시 빵점 이었는데요 40대 중반되어서 사회, 멘탈 자리잡고 최근 조선왕조 역사 뒤늦게 정주행 했어요 그러다가 광해군에서 단단히 꽂히네요

  • @short_00700
    @short_00700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 @user-ij2tj1qx3l
    @user-ij2tj1qx3l3 жыл бұрын

    저도 초등학교 때 부터 역사 만화책을 시작으로 역사에 관심이 많았지만 광해군이 왜 폭군인지 의문이긴 했었는데 영상을 보니 이제야 조금은 이해가 되네요

  • @user-lq4gp7pd5p
    @user-lq4gp7pd5p3 жыл бұрын

    학교다닐땐 역사 너무 재미없어서 졸기만 했었는데 이렇게 재밌게 영상으로 배우게되니 너무 좋고 새롭네요.

  • @k.joomihyun
    @k.joomihyun3 жыл бұрын

    한국에 가면 항상 궁궐과 종묘에 들르는데 궁을 복원해서 후대에 남겨주신 광해임금님과 흥선대원군께 감사합니다. 현대화된 도시에 옛 궁궐이 있어 얼마나 좋은지 모릅니다.

  • @user-lw6vb9um8n
    @user-lw6vb9um8n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바로 직시하면서 그속에서 검증과 비판을 하면서 올바른 역사 의식이 정립되는데 황현필 선생님의 강의 감사합니다.

  • @JKLEE-dc7lj
    @JKLEE-dc7lj3 жыл бұрын

    그때 당시에는 궁궐 짓는게 너무 힘들었겠지만 조상님들 덕분에 지금 후손들은 좋은 문화유산은 물론 훌륭한 관광지로 후손들이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조상님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중국 자금성,일본에 오사카성등등, 동서양 통틀어 세계 어느 궁이고 성보다 서울에 있는 경복궁이 훨씬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건물 하나하나 의미와 스토리도 좋구요. 여러분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경복궁 재건 사업을 정부사업으로 완전히 복원사업을 해서 세계가 와서 보고가는 세계적인 유산이자 관광지로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fe9ww6cw7e
    @user-fe9ww6cw7e Жыл бұрын

    황쌤 넘넘 좋아요 😀 😍 💕 ❤

  • @user-lj9po2kl9j
    @user-lj9po2kl9j3 жыл бұрын

    광해 다시 생각해보는 좋은시간이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Sm35816
    @Sm358162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이리 재미나게 말씀하시니 푹 빠지게 됨니다 감사함니다 🌹🌹🌹

  • @designdooscissors
    @designdooscissors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kn4gi1to7q
    @user-kn4gi1to7q3 жыл бұрын

    예나 지금이나 가짜뉴스, 악의적 의견...이런 상황에서 산다는게 무섭기도 하고 힘들기도 하네요.

  • @freewindy77
    @freewindy773 жыл бұрын

    역사해석은 늘 새롭습니다

  • @user-de8mr1io1s
    @user-de8mr1io1s3 жыл бұрын

    시원 시원하게~설명해주시고 최고

  • @gongginet
    @gongginet3 жыл бұрын

    역사에 만약이란 없다지만 반정이 없었다면 호란도 없었을것이고 노역으로 백성이 힘들었을지언정 전쟁으로 생명을 빼앗기고 피폐해지지는 않았을것이고 그럼 지금의 역사도 바뀌었을테죠... 아마 정조같은 왕이 더 일찍 나왔을수도 있었을거라 봅니다.

  • @user-lf3hp4oj5b
    @user-lf3hp4oj5b3 жыл бұрын

    역사의 재미를 일깨워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d1ub7ug6u
    @user-ud1ub7ug6u3 жыл бұрын

    명품강의! 클라스가 다르네요.

  • @user-oi8qd6of4p
    @user-oi8qd6of4p3 жыл бұрын

    제가 가장 아쉽게 생각하는 부분을 잘 지적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g5cq1hh1c
    @user-ug5cq1hh1c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관련 영상 3개 푹빠져서 봤네요 항상감사하게 잘듣고있습니다!👍

  • @user-ll6zx8sn7s
    @user-ll6zx8sn7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욕쟁이역사선생???? 황현필 선생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d2dp5qj7u
    @user-yd2dp5qj7u3 жыл бұрын

    공유해서 듣습니다.👍🍀🍀

  • @user-oe7cu3vt8t
    @user-oe7cu3vt8t3 жыл бұрын

    선립ㆍ후감 합니다.

  • @user-nc9xx3wq4e
    @user-nc9xx3wq4e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uminary03
    @Luminary033 жыл бұрын

    조선 후기 왕릉 가보면 묘비에 연도 표기를 “숭정 기원후 XX년” 이라고 해놨어요. 저거 보면 정말.. 조선후기 사대부들은 쉴드 못칩니다.

  •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3 жыл бұрын

    무슨의미죠?

  •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

    3 жыл бұрын

    @@berryyellow1198 명 황제 숭정제를 기리는 거지요. 이미 청의 세상인데도 불구하고 재조지은만을 금과옥조로 삼아 망국의 황제가 썼던 연호를 그대로 쓴 사례입니다.

  • @dorianfa4209

    @dorianfa4209

    3 жыл бұрын

    @@user-vs7gy8oz3s 등신아. 조선 성리학이 명나라 빨아대는건 죽은 시체로 자위질 하는것이고. 지금 한국이 한미동맹하는건 현실을 바탕으로한 전략이다. 개뿔도 모르는게 떠들고 있어. ㅋㅋ

  •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

    3 жыл бұрын

    @@hannam63 신해혁명 때의 구호인 멸만흥한이 어떤 말인지는 알고 조선족이냐고 비아냥대는 건가? 중공이야 속지주의 역사관이라 지금의 중국 영토 안에 있었던 나라의 역사는 모두 자기네 거라고 억지를 부리지만, 중공 수립으로부터 불과 수십 년 전에는 몰아내자고 하면서 같은 나라 사람으로 취급도 안 했다는 건 알고 말하기 바란다. 또 하나. 일단 명이 망하고 중원이 청의 영토가 된지 오래인데도, 굳이 자극해서 불씨를 남겨 놓을 필요가 있나? 우리네 풍습을 못 지킨 것도 아니고, 우리나라 임금이 승하했을 때 묘호를 못 붙인 것도 아니야. 오랑캐라고 이를 박박 갈면서 무시하기 보다는 북학파처럼 배울 건 배워서 이기겠다는 마음을 가졌어야 건설적인 거지. 그동안은 치욕적이더라도 외교적으로 청의 연호를 쓰는 게 안전하고. 구밀복검이 어려운 상황도 아니야. 19세기 서구 열강의 발호로 청이 흔들리면서 조선을 서양 개념의 식민지로 만들려고 한 건 있지만, 그 전까지는 전통적인 '겉만 속방'인 조공 관계였거든? 조공 무역으로 어느 지나 대륙 국가건 그만 좀 보내라고 할 정도로 무조건 빌빌거린 것도 아니야. 허점을 노려서 뜯어낼 건 뜯어냈다고. 저 정도는 해줄 수 있는 범위 내였는데 무슨 조선족 운운이야?

  • @user-ro9wt9hy6f
    @user-ro9wt9hy6f3 жыл бұрын

    올바른 역사... 언제쯤 찾게 될른지요... 황현필선생님의 열정에 깊이 공감합니다.

  • @tommj1553
    @tommj15533 жыл бұрын

    흡입력 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nj5pq4rp1l
    @user-nj5pq4rp1l3 ай бұрын

    역사공부를 하다가 이 강의를 듣게 되어 고맙습니다. 광해군에 대해 자세하게 알게되었네요.

  • @user-et3tb5qy5w
    @user-et3tb5qy5w3 жыл бұрын

    오늘강의도 잘들었어요. 감사~~~

  • @user-bo5zb5mq3p
    @user-bo5zb5mq3p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지환입니다 반갑습니다 김개시만 아니였어도 인조반정을 막을 수는 있었죠

  • @user-yd2dp5qj7u

    @user-yd2dp5qj7u

    3 жыл бұрын

    광해군 - 김개시 박근혜 - 최순실 맞는 말씀입니다

  • @user-wh2in1bt9n
    @user-wh2in1bt9n3 жыл бұрын

    1. 전쟁이후 궁궐 지어야죠. 그거까지 뭐라할 수는 없습니다. 근데 광해군은 창덕궁을 중건하고 정작 창덕궁에 머무는 것을 꺼려합니다. 창덕궁을 다 지어놓고 창덕궁에 안갑니다. 창덕궁에 잠깐 머물다가 다시 경운궁으로 갑니다. 이후 무려 3년 반이라는 시간을 경운궁에 머뭅니다. 그리고 광해군은 왜란이후 왕실의 정통성을 세우고 위엄을 보이기 위해 궁궐은 짓는 수준 이상으로 과도하게 궁궐을 지은 것이 맞습니다. 2. 3:12 경희궁이 '지방의 큰 관아정도 되는 크기'라고 하신것은 현재 남아있는 건물 기준으로 말씀하신건가요? 《서궐도안》이라는 그림을 보고도 지방의 큰 관아정도 되는 크기라고 할 수 있나요?? 아무리 광해군이 "경덕궁(慶德宮)은 단지 잠깐 피하려고 머무는 곳인데(광해군일기 광해군 10년, 1618년 4월 5일)"라고 했다지만 엄연한 궁궐입니다. 그리고 궁궐을 아무리 작게 지어도 지방 큰 관아의 수준은 넘어요.... 3. 그리고 광해군이 사치를 안한 것처럼 말씀하시는데(궁궐에 대한 사치만 부린거라고 하시네요.)아예 안한것은 아니지않습니까? 사르후 전투 패배 후 명나라 만력제는 조선군 전사자의 유족들을 위로하고 부상자들을 치료하는데 쓰라며 조선 조정에 은 1만냥을 하사합니다. 그런데 광해군은 이 돈을 이렇게 씁니다. "지금 중국 황제가 내려준 은 1만 냥을 내림에 호조 참판과 색낭청이 받아가지고 갔다. 허술하게 하지 말고 십분 단단히 보관하라. 나라의 용도에 합당한 물건을 우선 값을 주고 일일이 서계하라. 그 가운데 용보(龍補)·겸금(兼金)·주옥(珠玉)·사라(紗羅)·능단(綾緞)은 나라의 용도에 합당한 물건이니, 먼저 내어 팔지 말도록 하는 일을 십분 상세히 살펴 하라."(광해군일기, 광해군 14년 1622년 4월 27일) 이게 일국의 군주가 할 행동입니까?? 4.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 맞습니다. 그런데 이 문구를 '역사기록은 승자가 무조건 왜곡했거나 승리자의 입장에 맞게끔 쓰여졌을거야.'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도 안됩니다. 이는 또다른 왜곡된 관점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특히 실록은 더 조심해서 봐야합니다. 일례로 실록엔 동일인물이 (편찬자가 속한 붕당의 입장을 반영하여)극과 극으로 평가받는 기록이 있죠. 그럼 왜 이런 기록이 남아있을까요? 왜 선조, 현종, 숙종, 경종 실록이 각각 2가지 버젼으로 존재합니까? 승자의 입장에서 패자의 기록을 지우거나 실록에 싣지 않으면 그만인 것을. 왜 시간과 돈과 노동력을 더해서 다른 버젼의 실록을 만들었는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 @user-ok8ni5tt2k

    @user-ok8ni5tt2k

    3 жыл бұрын

    팩트 강력하게 박히는 댓글이 많은데 거기에 대한 선생님 반박글은 하나 없음...

  • @user-kq8mz1gd4q
    @user-kq8mz1gd4q3 жыл бұрын

    왕이 문제가 아니라 신하들이 문제인거죠...왕을 우습게 알고 힘들게 한거죠... 지금도 다르지 않아요.. 국회의원하는짓들 보면 아주 그냥.....

  • @woojac6546
    @woojac65463 жыл бұрын

    70년대생인데 생각해보면 우리학창시절에도 광해군은 엄청난 폭군이라고 배웠던 기억이있네요. 최근에들어서 그에 대한 견해가 달리짐에따라 한동안 이건뭐지~ 싶었습니다만, 시대에따라 재해석되어져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3 жыл бұрын

    70년대생이면 국정교과서 세대인데 국정교과서에 나와있는 대로 선생님들이 가르쳤죠. 그런데 대부분의 역사선생님들은 진보기질이 있어 교과서대로 가르치되 뒷담화를 해주며 역사적 사실을 바로잡아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역사시간이 재미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user-in7ye8re5g

    @user-in7ye8re5g

    3 жыл бұрын

    저는 재해석이라는 말에 움츠러듭니다 광해군은 그리되어야 마땅해보이지만 이런 전례로 이 단어로 일본놈들이 하는 만행을 보면 남용되기도 쉬운 단어 같아서요 빌어먹을 놈들의 역사왜곡 ᆢ ㅉ

  • @user-tz6pe1fd1x

    @user-tz6pe1fd1x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그당시 참교육.전교조의 태동이.되었어요

  • @user-md2eg4yb3s
    @user-md2eg4yb3s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의 중립외교도 자세히 설명하는 강의도 부탁합니다!

  • @user-fi1ld8gi2k
    @user-fi1ld8gi2k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

  • @chanitkl2440
    @chanitkl24402 жыл бұрын

    답글도 안달고 그냥 고개만 끄덕이는 정도의 공감만하다가 이 영상보곤 육성으로 멋있단소리가 알아서 나오네요 쌤 광해라는 사람은 영화로나 단편적으로 알았지 관심없었는데 지금부터 광해형님 될거같슴다ㅋㅋㅋ

  • @user-py8mj9vn6m
    @user-py8mj9vn6m3 жыл бұрын

    황선생^ 훌륭하오~ 감사드려요. 이나라가 존재이유가 선생분이 존재이유이예요ㆍ

  • @tulip9873
    @tulip98733 жыл бұрын

    할수 있는게 광고 정주행밖에 없네요 👍

  • @user-pp8ri3cc7q
    @user-pp8ri3cc7q3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좀더 자세한 내용이 첨부되면 다 좋겠지만 그러기엔 너무 어렵고 지루해지는데 딱 중요한 요점만 간추려 말씀해주시니 생각할점이 진짜 많은듯요. 제가본 역사학 강의 중 당연 최고입니다!! 일단 구독 누르고 앞으로도 좋은강의 부탁드립니다

  • @happyjj6571
    @happyjj65713 жыл бұрын

    당시나 지금이나 기득권층들이 얼마나 싫어했겠습니까. 무조건 반대하고 욕해서 지지율을 떨어뜨리는게 수구세력의 목표였겠지요.

  •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жыл бұрын

    자칭 보수.. 수구 꼴통들만 없어도..ㅠ

  • @JohnMGYi
    @JohnMGYi3 жыл бұрын

    광해시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역시 역사는 되풀이 되고 있고 작금의 사태와도 언듯 언듯 평행으로 흘러 가는 듯한 착각까지 듭니다 ! 시대가 바뀌어 이제는 시민이, 국민이 깨어 있어야 합니다 ! 소위 정치가 들에게 모두를 맡겨 두어서도 안되고 항상 감시와 격려를 하면서 같이 만들어 가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지금은 어렵고 힘이 들어도 우리의 아들, 딸 들이 희망을 가질수 있는 대한 민국이 되도록 !!

  • @user-lz9tm1dv8t
    @user-lz9tm1dv8t2 жыл бұрын

    며칠 몰아보기 하고 있어요~ 댓글도 달고 좋아요도 누르고 고퀄리티 꽁짜 콘텐츠에 감사인사드려요.

  • @user-rl6kl4eq7u
    @user-rl6kl4eq7u2 жыл бұрын

    보고 또보고 ..... 항상 심장이 뜨거워 집니다. 화이팅~!

  • @user-bf6xm6gb5g
    @user-bf6xm6gb5g3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cn8ue1vq6n
    @user-cn8ue1vq6n2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제대로 강의 해준 역사 샘들이 있어어요 황샘강의 듣고 있으면 학교 시절 역사 샘이 생각 납니다

  • @user-qn5xh4sq5o
    @user-qn5xh4sq5o3 жыл бұрын

    역시 황슨상님. 항상 고맙고 건강사십시오.

  • @user-hr3vo5ji1o
    @user-hr3vo5ji1o3 жыл бұрын

    이제 선생님께 역사공부 열심히 배워서 울아들에게 역사공부 도움 좀 주려고요 감사히 잘 들을게요~^^

  • @user-lt3im2fl4i
    @user-lt3im2fl4i3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이 아쉬운 점이 인조반정의 주역들을 미리 숙청하지 않은 점이네요. 만약 숙청했다고 하면 최악의 군주 인조를 안 볼수 있엇는데 아쉽네요.

  • @soridaizin79

    @soridaizin79

    3 жыл бұрын

    자비가 아니라 그냥 정치적 판단력이 모자랐던겁니다 이전에 실체도 없었던 가짜역모는 신나게 때려잡았어요

  • @soridaizin79

    @soridaizin79

    3 жыл бұрын

    @Byronic Hero 그게 모자란거에요 광해군이 궁궐공사 다음으로 제일 많이 한게 역모사건 친국이었죠 가짜역모는 신나게 때려잡으면서 정작 진짜역모는 술퍼먹고 무시하다가 화를 입었죠 오죽했으면 당시 상소에도 도둑이나 간통범으로 잡혀 온 잡범들조차 역모를 지어내서 고변하여 처벌을 면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 @specialforce9011

    @specialforce9011

    3 жыл бұрын

    @@soridaizin79 실체도 없었던 가짜역모라고는 판단하면 안되죠 ㅋㅋ 역모일으키기 전에 죽은거니 ㅋㅋ살려놨으면 인조반정처럼 그렇게 되지않았을거라고 어찌 장담하심 ㅋㅋ

  • @user-xj1dl8vc9z

    @user-xj1dl8vc9z

    3 жыл бұрын

    @@soridaizin79 걍 말년에 너무 봐준게 문제였음

  • @berryyellow1198

    @berryyellow1198

    3 жыл бұрын

    @@soridaizin79 강의에나오잖아. 왜 안잡았는지

  • @user-dl1ru8ih5c
    @user-dl1ru8ih5c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너무 잘 들었읍니다😊

  • @user-xb1zl4bv3q
    @user-xb1zl4bv3q3 жыл бұрын

    핵공감. 역사도 역사지만 지금 사는 이 세대가 훗날 여떤 평가를 받을지 돌아보라는 말씀이 가슴에 팍.

  • @user-cx9tw3ks8n
    @user-cx9tw3ks8n3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역사의 진실을 알 수 있어 너무 고맙습니다. 잘듣고 있습니다!!

  • @user-hb3pi7bh6e
    @user-hb3pi7bh6e3 жыл бұрын

    너무 맞는 말이라 할 말이 없다..

  • @user-de1hb6rf7g
    @user-de1hb6rf7g3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 @user-is5jp5to7o
    @user-is5jp5to7o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그냥 임진왜란으로 떨어진 왕권강화에 몰두한 왕이 아닐까합니다 그 과정에서 양반의것을 뺏아 백성에게 주기도 백성을 노역시키기도 했겠죠 그리고 결국 인조반정이 성공하고 이후 조선권력의 주도권은 신하들에게 가게되죠

  • @kathykim145
    @kathykim1452 жыл бұрын

    It is so simple and clear. Thank you

  • @cjh742
    @cjh742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역사는 재평가도 필요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것도 오늘을 사는 역사가들이 해야할 일이겠지요.

  • @seoseokcheol
    @seoseokcheol8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최고십니다

  • @user-lw6vb9um8n
    @user-lw6vb9um8n3 жыл бұрын

    광해군과 궁궐을 같이 연관하여 공부를 할 수 있는 점 감사합니다.

  • @An-tr1fw
    @An-tr1fw2 жыл бұрын

    잼있게잘들었읍니다 세삼역사공부하네 감사합니다

  • @user-gj1tr1sr6g
    @user-gj1tr1sr6g3 жыл бұрын

    전 허씨인데 이이첨의 계략으로 허균이 사지가 찢기는 능지처참형을 광해로부터 받았는데 고론게 조금 아쉽지만 선생님 말씀처럼 크게 보고 현 시점에서 보면 분명 광해군이 아닌 넓을 광에 광종 정도가 되시지 않으셨을까 합니다! 자세하고도 실증적인 강의 귓가를 울리네요! 원더풀입니다!엄지척 5개드립니다!^^

  • @user-lt8lx6td4h
    @user-lt8lx6td4h3 жыл бұрын

    통쾌 ! 감사 !

  • @user-ze8zv6gu3g
    @user-ze8zv6gu3g Жыл бұрын

    역시 황현필~역사가인 저도 매우 공감 합니다~~

  • @user-yo1cw1pq8y
    @user-yo1cw1pq8y3 жыл бұрын

    스트레스가 풀리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g7se9sf3q
    @user-eg7se9sf3q3 жыл бұрын

    안만들어도 되는 건물과 만들어서 유용하게 쓸 궁궐을 짓는 것의 차이는 보지않고 기득권유지를 위해 광해를 왕으로 하지말고 폭군으로 몰자~

  • @tv-sw2bl
    @tv-sw2bl3 жыл бұрын

    1번 출석합니다~^

  • @user-mh7fw4ts6b
    @user-mh7fw4ts6b3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 감사합니다

  • @rokball4892
    @rokball48923 жыл бұрын

    근데 광해가 궁궐 짓는데 사용한 돈의 출처가 바로 매관매직과 백성들에게서 수탈한 돈 이였다는 씁쓸한 이면이 있음.

  • @rokball4892

    @rokball4892

    3 жыл бұрын

    @@user-gu2fl8fq2x 둘다 안 좋음. 광해의 궁궐공사는 매관매직으로 부패한 관리들의 창궐을 불렀고 대원군의 궁궐공사는 인플레이션과 조선의 경제에도 악영향을 끼침. 특히 광해는 또 궁궐을 지으려고 했으니 말임.

  • @user-pt5fe8kt2l

    @user-pt5fe8kt2l

    3 жыл бұрын

    @@user-gu2fl8fq2x 광해는 더함. 대원군은 그전에 백성들이 좋아할 서원철폐같은 정책후에 했는데도 욕을 바가지로 긁어 먹었는데, 광해는 전쟁끝난지 반세기도 안됬는데 파병으로 1만을 보내든 지방경제가 붕괴하든 궁궐을 5개씩 지었으니까요.

  • @user-rh2my4zu3w

    @user-rh2my4zu3w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성군도 아닌듯.... 지나치게 풍수지리에 의존하는 경향, 무모한 궁궐공사, 몇몇 아첨하는자에게 심하게 의존하는 모습 등등.. 다만 바로잡을게 몇 개가 있다 이걸 바로잡으면 폭군까진 아니다 정도가 되는듯..

  • @user-lr7dq3op6n
    @user-lr7dq3op6n3 жыл бұрын

    역사강의는 언제나 재밌네요..새로운 사실도 알게되고.광해군이 궁궐을 축조하지안았다면 지금에 서울 시내에있는 아름다운 궁궐은 없을수도 있었겠네요.

  • @user-pz4xy4ce9f
    @user-pz4xy4ce9f3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께서 욕먹는 걸 감수하고 역사 이슈를 올려주시니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역사는 재해석이 가능하고 그리고 재해석되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광해는 반드시 재해석될 필요가 있죠. 정황이 명백하니까요.

  • @deliciousfoods8694
    @deliciousfoods86943 жыл бұрын

    99절절 맞는 말씀^^ 👍

  • @jaehojang1077
    @jaehojang10773 жыл бұрын

    근데 지금와서 복권를 할 방법도 없고 역사를 바꿔 쓸수도 없으니 그게 참 아쉬울뿐이죠

  • @user-jj3fl6ep1r
    @user-jj3fl6ep1r3 жыл бұрын

    이시대에황현필선생과설민석선생이잇다는게너무나자랑스럽고다행입니다. 이나라의미래를위하여힘써주십시요

  • @tiger-cat
    @tiger-cat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dp7er4fv6h
    @user-dp7er4fv6h3 жыл бұрын

    시간이아깝지않은강의

  • @billykid55
    @billykid553 жыл бұрын

    역사공부 제대로 합니다~👍

  •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3 жыл бұрын

    궁궐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알지 못했는데 많이 공부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