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산소는 언제쯤 고갈될까?

Ойын-сауық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자원 중 하나가 산소입니다. 많은 생명체가 산소를 사용해서 호흡하고 있는데, 이 산소는 무한한 걸까요? 식물이 산소를 생산한다고 해도 지금처럼 개발을 많이 하면서 숲을 파괴하면 산소는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 산소는 언젠가 고갈될 겁니다. 그렇다면 언제쯤 고갈될까요?
* 영상에서 다루지 않은 과학 주제들로 사물궁이 도서 3~4권이 출간됐습니다.
- 교보문고 : bit.ly/45GbTkE
- YES24 : bit.ly/3N4Vuiu
- 사물궁이에게 물어봐 시즌 1 (교보문고X사물궁이) : bit.ly/45WzmOM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유튜브 멤버십 가입 : / @smgi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도서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4’
- 피터 워드, 김미선 옮김, 『진화의 키, 산소 농도』, 뿌리와이파리, 2012.
- 강석기, 「산소 생성의 비밀이 밝혀지다」, 《사이언스타임스》, 2014. 10. 10.
- 김병희, 「“10억 년 뒤에는 지구 산소가 사라진다”」, 《사이언스타임스》, 2021. 3. 8.
- 김병희, 「지구 대기의 산소, 언제부터 영구적으로 생겼나?」, 《사이언스타임스》, 2021. 4. 1.
- 김병회, 「지구의 산소는 어떻게 생성됐나?」, 《사이언스타임스》, 2021. 8. 9.
- 이다예, 「[기고] 과학자들이 내놓은 경고 “세상이 완전히 뒤집혀야”」, 《녹색연합》, 2021. 8. 13.,
- 한승동, 「초기 공룡이 두발로 걸은 건 산소부족 탓」, 《한겨레》, 2012. 5. 18.,
- 「‘산소부족’하면 두통에서부터 불면증과 우울감까지 생길 수 있어」, 《동아일보》, 2021. 12. 13.,
- “지구에 산소를 공급하는 비밀병기, 규조류를 아십니까?”, National Geographic, 2018. 4. 10.,
: • 지구에 산소를 공급하는 비밀병기, 규조류... .
- “지구의 생애 첫 ‘산소’ 생성 스토리”, National Geographic, 2018. 4. 21.,
: • 지구의 생애 첫 '산소' 생성 스토리 .
- Ozaki, Kazumi, and Christopher T. Reinhard. "The future lifespan of Earth’s oxygenated atmosphere." Nature Geoscience 14.3 (2021): 138-142.
- Scott Denning, Amazon fires are destructive, but they aren’t depleting Earth’s oxygen supply,” The conversation, 2019. 8. 26.,
: theconversation.com/amazon-fi....
- Ozaki, Kazumi, and Christopher T. Reinhard. "The future lifespan of Earth’s oxygenated atmosphere." Nature Geoscience 14.3 (2021): 138-142.
- Amazon fires are destructive, but they aren’t depleting Earth’s oxygen supply
: theconversation.com/amazon-fi...
▪ 배경음악
: Burlesque Heartache - RKVC
: Ether Oar - The Whole Other
: Operatic 3 - Vibe Mountain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빅포레스팅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00:00 원고 출처
00:08 주제 소개
00:55 지구에 왜 산소가 많을까?
01:51 산소는 계속 많을까?
02:45 산소는 언제쯤 고갈될까?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산소 #탈산소화 #대산소화 #환경 #지구산소농도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Пікірлер: 451

  • @SMGI
    @SMGI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에서 다루지 않은 과학 주제들로 사물궁이 도서 3~4권이 출간됐습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 교보문고 : bit.ly/45GbTkE - YES24 : bit.ly/3N4Vuiu - 사물궁이에게 물어봐 시즌 1 (교보문고X사물궁이) : bit.ly/45WzmOM

  • @Tiananmen_Square_massacre

    @Tiananmen_Square_massacre

    11 ай бұрын

    너무 궁금합니다.. 과거에 수많은 대멸종시대가 있었고 파멸의 시대가 있었는데 그래도 살아남을 애들은 살아남아 여태 이어져왔죠 과거엔 지금보다 평균기온이 15도가 높았는데 산소는 넘쳐났고 그 시절에 사막도 없고 남극도 야자수가 넘쳐났는데... 수많은 생명체들이 번창했는데 지구온난화라는게 그 주장대로 나쁜것이 맞나요?? 그냥 무지성 억측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거 같아서 그래요

  • @bacon0204

    @bacon0204

    10 ай бұрын

    ​@@Tiananmen_Square_massacre 물론 지구온난화에도 살아남을 애들은 살아남겠지만, 여기서 핵심은 살아남을 생물종에 인간이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많은 희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거죠. 결국 우리의 관점은 인류의 생존 가능성입니다.

  • @user-uk6jv3wr2s

    @user-uk6jv3wr2s

    7 ай бұрын

    모든 그림은 직접 그리신건가요?

  • @Wasabi_0127
    @Wasabi_012711 ай бұрын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나무 심기', '숨 덜쉬기(...)' 와 같은 적극적이 움직임도 좋지만 개인차 사용 줄이기, 전자제품 사용 줄이기 처럼 편의성을 줄이는 움직임이 가장 어렵고 중요한 것 같아요. 물론 국가나 기업이 탄소사용을 줄이는 데에 힘쓰면 훨씬 큰 효과를 봅니다만...

  • @user-ww1iw5br4u

    @user-ww1iw5br4u

    11 ай бұрын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과학의 발전으로 지구온난화를 덜 일으키는 것입니다

  • @user-gv1dd3yc8l

    @user-gv1dd3yc8l

    11 ай бұрын

    ​@@user-ww1iw5br4u개인이 할 수 있음

  • @user-wt7tc6wn7o

    @user-wt7tc6wn7o

    11 ай бұрын

    국가나 기업 탄소를 줄이라하면 중국,인도,미국 부터 줄여야지. 지들은 환경애기는하는데, 가장 많이 환경파괴 많이하고 소국가들에게 환경운동 조지라고함 ㅋㅋㅋㅋ 애넨재활용도 안함

  • @user-ww1iw5br4u

    @user-ww1iw5br4u

    11 ай бұрын

    @@user-gv1dd3yc8l 나 하나쯤이야... 이겨내기 × 80억 명 vs 연구를 통해 전기생산 효율 올리기 수요 줄이기 vs 효율 올리기

  • @Quarky_Investment

    @Quarky_Investment

    11 ай бұрын

    @@user-gv1dd3yc8l 인생이 존나 이상적이시군요

  • @cashow0609
    @cashow060911 ай бұрын

    헉 제가 숨을 좀 덜쉴게요

  • @user-lj1wd1uj9f

    @user-lj1wd1uj9f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ㅠㅠ

  • @user-kn5du3nz6m

    @user-kn5du3nz6m

    11 ай бұрын

    숨셔 숨!

  • @Sunbaalance

    @Sunbaalance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커엽

  • @namulnara

    @namulnara

    11 ай бұрын

    라고 묘비에 쓰여있는데요🪦

  • @qazlo

    @qazlo

    11 ай бұрын

    @@namulnara 헉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j810104
    @yj81010411 ай бұрын

    이번에도 역시 궁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다양한 사물궁이들을 볼 수 있어서 재미있었네요.

  • @user-ep5xs4cw6q
    @user-ep5xs4cw6q11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4,5살 넘어가면 세상에 모든 게 다 궁금해지는지 왜? 공격이 시작이 되는데 이 채널 영상 검색해 보면 어지간한건 다 있음ㅋㅋㅋㅋ애들이랑 같이 보고 이야기 나누면 양쪽 모두 가 가 편해짐

  • @Dogochii

    @Dogochii

    11 ай бұрын

    아이가 엄청 똑똑해지겠네요!

  • @deo4800

    @deo4800

    11 ай бұрын

    부모님도 같이 똑똑해지는중🎉

  •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11 ай бұрын

    폰으로 보는 거 말고 티비로 연동하거나 책으로 읽게 해주심이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sahrahnghahndah 폰이나 티비나....그게 그거임....무슨 3미터 떨어져서 보라는둥 비가오면 머리가 빠진다는 둥.... 세상은 변화하는데 아직도 그런 마인드 가지면.... 어차피 기술이 발전하면 디스플레이에 의존을 하는데 굳이 책들고 다닐 필요가 뭐 있습니까.... 예전에도 그랬지 않음요 티비나 모니터에 사이즈는 거리에 비례한다 둥... 그런게 어디있음 개인 취향에 다다익선이죠 디스플레이는.... 뭐 게임할때는 시야각 때문에 24인지 이런식 하지만요.... 특히 멀티플레이는..... 세상은 변화하니 걱정마세요 그거 때문에 적었습니다 변화하는데 고정관념도 안좋으니.... 족보 따지면 뭐하겠어요 물론 제사 지내는거야 존중은 하지만.... 어차피 잡종 인간이 태어나 어느시점에 기술이 되서 지 잘났다고 족보 만들었는데 그 중간에도 어떤 잡종이 들어가서 새끼쳤는지 조상에게 물어보지 않는한 알 방법도 없는데 말이죠 서류만 보고 판간하기는요....

  •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3 ай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음 책이 정말 중요한 것 같군요

  • @y_ch8419
    @y_ch841911 ай бұрын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 @user-mr2sn3uy7k
    @user-mr2sn3uy7k11 ай бұрын

    3:38 궁이 너무 상큼하게 멸종하는 거 아닌가요ㅋㅋㅋㅋㅋ

  • @padack_Ryu
    @padack_Ryu11 ай бұрын

    생각지도 못한 주제인데 산소의 고갈이라니 정말 끔찍하네요ㄷㄷ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콘텐츠 소비용으로 그럴필요까지 없습니다 행성도 돌고도는거뿐이며....그 시기되면 인간도 돌고돌아 기술이 어디까지 가 있겠죠....아니면 멸망했거나.... 어차피 돌고도는거 뿐이니.... 끔찍할거 까지는 없죠.... 인간이 최고 무식하고 멍청한게 지옥가니 천국가니 홍수나니 멸망하니 대재앙이니 하는거죠.... 즉 어차피 행성이라 일어날 일을 지가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나타난줄 아는거죠....

  • @judgejung488

    @judgejung488

    10 ай бұрын

    오늘도 어린 개돼지는 선동에 넘어가 충격을 먹습니다.

  • @Blue1120
    @Blue112011 ай бұрын

    식물이랑 플랑크톤같이 광합성을 하는 생물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꾸는건가요? 또 나아가서 그 과정을 인위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으려면 어떤 기술들이 필요할까요?

  • @user-mp2mc6lx7j

    @user-mp2mc6lx7j

    11 ай бұрын

    그거 아마 산소의 순환과정에서 나올꺼에요 중학교 과학 과정으로 기억하는디 함 찾아보세요

  • @user-im6sx6vb1d

    @user-im6sx6vb1d

    11 ай бұрын

    CO2와 H2O를 다양한CH 결합물과 O2로 바꿉니다. '구체적'이 어디까지인지 잘 모르겠으나, 기억나는 대로만 쓰자면 빛의 광자가 식물 내부기관을 자극하여 전자를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극과 -극의 전기력이 작용하여 H2O를 분해합니다. H는 ATP라고 하는 생물의 에너지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O는 산소입니다. ATP의 에너지로 CO2를 당과 반응시켜 탄수화물로 저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C=탄소는 식물에 남게됩니다. 인위적으로는 물의 전기분해 등이 있으나 이미 결합되어 안정된 분자를 강제로 떨어트리기 위해서는 무조건 에너지를 소모해야 합니다.(거스를 수 없는 법칙) 광합성은 빛 에너지와 ATP의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 @Mido_12034

    @Mido_12034

    9 ай бұрын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꾸지는 않습니다 생II를 듣고나 대학생물에서도 나오는 걸로 아는데요 명반응과 암반응 찾아보시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기억하고 있든 걸 적어보자면요 식물의 엽록체 중 그라나의 막에는 광계1 광계2 그리고 전자 전달계와 ATP합성 효소가 있습니다. 이중 두 광계가 모두 참여하는 비순환적 전자 흐름에서 광계 2가 H2O를 태양의 빛에너지를 통해 H2O + 빛에너지 -> ½O2 + 2H+ + 2e- 의 반응이 일어납니다 여기서 물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는겁니다. 2H+는 ATP합성 효소와 NADP+의 환원에 쓰이고요 전자는 전자전달계를 통해 ATP를 합성하고 NADP+ 가 최종 전자 수용체로 전자를 받아 NADPH가 됩니다. 여기까지가 명반응입니다 (명반응인 이유 : 빛이 필요한 반응임.) 이제 달음입니다. 이렇개 생성된 ATP(18ATP)와 NADPH(12NADPH)를 통해서 탄소 고정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합성합니다. 1. 탄소 고정 : 3RuBP(C5) + 3CO2 -> 6PG(C3) 2. 3PG 환원 : 6PG + 6ATP -> 6DPGL + 6ATP , 6DPGL + 6NADPH -> 6PGAL + 6NADP+ 의 반응에서 PGAL 한 분자는 포도당 합성을 위해 회로에서 빠져나옵니다 3. RuBP 재생 : 5PGAL + 3ATP -> 5RuBP + 3ADP 의 반응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즉 결과물만 보자면 명반응 : 12H2O + 18ADP + 12NADP + 빛에너지 -> 6O2 + 18ATP + 12NADPH 암반응 : 6CO2 + 12NADPH + 18ATP -> C6H12O6 + 12NADP+ + 18ADP 의 반응이 됩니다. /* 죄송합니다.. H+의 흐름을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 명반응에 12H+ 나오고 어디서 소모되어야 했는데... 기억이 안 나네요... 아마도... 명반응의 생성물 쪽에 12H+ 가 더 있고? 암반응에 반응물 쪽에 12H+ + 6CO2 -> C6H12O6 + 6H2O 이지 않을까요..? 전체 반응식을 보면 앞에도 12H2O가 있고 뒤에도 6H2O가 있으니 맞는 거 같은데 정확히 모르니 적지 않겠습니다., 찾아보면 아마 나올거에용 */ 종합하여 전체 반응식을 보면 흔히 아는 광합성 반응인 6CO2 + 12H2O -> C6H12O2 + 6O2 + 6H2O 가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물과 이상화탄소를 통해 산소와 포도당을 생성합니다.

  • @Mido_12034

    @Mido_12034

    9 ай бұрын

    퇴고 안 하고 기억나는 흐름대로 적어서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점 유의하셔서 봐주시길 바랍니다..😊

  •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8 ай бұрын

    구글에 광합성 치면 이산화탄소와 물을 포도당과 산소로 바꾸는 식이 뜹니다 ㅎ

  • @user-wx2hm4zu4v
    @user-wx2hm4zu4v11 ай бұрын

    산소가 없어진다는건 몰랐네. 환경파괴가 진짜 심각하긴하구나.

  • @user-ex7oz4xj1n

    @user-ex7oz4xj1n

    10 ай бұрын

    택배기사 현실판ㄱ?

  • @sshgsd

    @sshgsd

    7 ай бұрын

    ​@@user-ex7oz4xj1n뭐라는겨 ㅉ

  •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11 ай бұрын

    산소도 물처럼 사는 날이 오다니 ㄷㄷㄷ

  • @minjaijung
    @minjaijung11 ай бұрын

    새로 보는 그림체인데 너무 귀엽네요 완성도도 제일 높고

  • @water1236
    @water123611 ай бұрын

    2:16 이부분 진짜 개귀엽네 ㅋㅋㅋ

  • @TV-or3my
    @TV-or3my11 ай бұрын

    1시간전! 사물궁이님 사랑해요~!

  • @user-hf2ys7zc5b
    @user-hf2ys7zc5b11 ай бұрын

    와 스스로 자멸을 해버리는 인간 폼 미쳤다.

  • @page83902
    @page8390211 ай бұрын

    사물궁이 최고

  • @vnfma7
    @vnfma711 ай бұрын

    정상적으로는 10억년간 일어날 일이 100년만에 일어난다면 속도가 천만배가 빨라지는 셈이네요. 아이러니한건 천만배나 빨라진 속도조차 현재의 인류는 체감하지 못한다는..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체감을 못 하는게 아니라 적응을 하는게 아닐까요^^ 그만큼 변화가 빨라져도 실제 살아가는 사람들이 차츰 적응을 하고 살아가니요 그렇게 못 사는 사람들은 자연으로 간다니 오지로 간다니 말을 하죠....

  • @judgejung488

    @judgejung488

    10 ай бұрын

    천만배가 말이 안 되는 수치인것처럼. 환경쟁이들 떠벌이는 소리는 말이 안 되는 개소리라는거임.

  • @Mido_12034

    @Mido_12034

    9 ай бұрын

    ​@@judgejung488지금의 지구온난화가 그만큼 말도 안 되는 속도라는 거겠지요 선생님

  • @seokyi8577

    @seokyi8577

    4 ай бұрын

    대표적인 엉터리 소리

  • @seokyi8577

    @seokyi8577

    4 ай бұрын

    ​@@Mido_12034아닌데? 큰 착각하는거 같은데 고거 지구기후를 지금의 단위로 알 수 있음? 쉽게 말해줄까? 애초에 수만년전 기후를 100년 단위로라도 측정이 가능해?? 기본적인 통계의 단위를 이해못하는 무지한자나 딩하는 선동

  • @abe69453
    @abe6945311 ай бұрын

    플랑크톤 사장님 감사합니다

  • @user-bz1oh9sn9v
    @user-bz1oh9sn9v11 ай бұрын

    10억년을 100년으로 줄이는 인류 클라스 ㅎㄷㄷ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그게 좋은거임 어떻게 보면요 우주로 나아갈수 있는 또 다른 행성에 정착할수 있는 기술이 빨라지는거라.... 소모만 하고 있지는 않을겁니다 지구인도.... 뭐라도 할려고 지금도 이것저것 하지 않습니까.... 그런다고 환경보호니 하는 인간들도 수두룩 하지만 지가 편리하게 쓰는거 생각안하고 환경보호 그러죠....환경오염이 좋다는 뜻은 아니구요...구분도 못한다는겁니다....

  • @minjaijung

    @minjaijung

    11 ай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아 예 하루빨리 지구 파괴하고 다음 행성 파괴하러 가야죠 암 우리 종족은 플래닛 이터였군요

  • @6CUR6SED6

    @6CUR6SED6

    11 ай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뭐가 좋아… 우주개발에쓰는돈을 환경에 투자하는게 더 효율적이다.

  • @clovera3736

    @clovera3736

    11 ай бұрын

    @@minjaijung 개웃기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UH77

    @AUH77

    11 ай бұрын

    @@6CUR6SED6 근데 환경에 투자해봤자 언젠가는 다 고갈되서...

  • @user-bi5bm9fe5n
    @user-bi5bm9fe5n10 ай бұрын

    아마존에서 생성된 산소들 대부분이 아마존에서 소비되는건 처음알게된 지식이네요 아마존의 나무벌목은 산소문제보단 그속에 생태계 영향을 더 큰 문제가 될수 있겠군요

  • @yunkim9320

    @yunkim9320

    7 ай бұрын

    사실입니다 아마존에서 생성된 산소는 아마존에서 많이 소모됩니다 이것은 과학적근거에 의해 나온 결과물이며 논문에도 발표되었는데 제가 아마존 산소 소비를 이야기 했다가 다구리 당했습니다 어디서 말도 안되는 구랄 치냐고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인데 무슨 개소리냐고 ㅡㅡ; 역시나 사람은 사회적 지위에 있어야, 하는 말을 믿어주나 봅니다 저는 길거리 인생이라 ㅡㅡ; 제가 하는 말은 절대 믿지 않네요 아마존 벌목의 문제는 토양을 황폐화 시키며 그속에서 자기 역할을 했던 동식물의 역할이 사라지며 점점 사막화 되어 가는 것이죠

  • @zhangha0o
    @zhangha0o11 ай бұрын

    평소에 궁금하다고 생각하긴 했는데 이게 ㄹㅇ 영상으로 나온다고?

  • @user-gv8co8du4i
    @user-gv8co8du4i11 ай бұрын

    우와! 이 영상을 보니 숨쉬는걸 인지하게 되었어요!

  • @user-sw5lr7ho3x
    @user-sw5lr7ho3x11 ай бұрын

    어떠한 일로 신체의 일부가 전달됬을때(예 팔,다리) 절단된 면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 @tcybam

    @tcybam

    11 ай бұрын

    열심히

  • @utp5138

    @utp5138

    8 ай бұрын

    어떻게 정확히 치료하는지는 잘 모르나 아마 세균감염을 막기위해 붕대같은거로 막지않을까싶습니다. 그리고 치료 후반부에는 쇼츠에 잠깐 유행했던 가짜팔 뇌속이기라는 방법으로 재활 치료라고 하기엔 애매하지만 아무튼 뇌가 적응하도록 도와줍니다.

  • @worldKaritif
    @worldKaritif9 ай бұрын

    지금 이걸 보고 있으신분과 이영상을 만드신분도 숨을 쉬고있고 모두 했습니다

  • @Giyomiranbow_sexy
    @Giyomiranbow_sexy7 ай бұрын

    와..

  • @yuhanlee9938
    @yuhanlee993819 күн бұрын

    지구온난화는 공룡시대에도 있었다... 지구가 살기 위해 자정작용을 하는 것일뿐... 자꾸 호도하지 말자...

  • @user-sx5il3bs7y
    @user-sx5il3bs7y11 ай бұрын

    친구들에게 숨쉬기 운동 좀 쉬라고 해야겠어요

  • @chao7514
    @chao751411 ай бұрын

    지구 산소 충전될때까지 숨참겠습니다... 흡!

  • @pandalee2298
    @pandalee229811 ай бұрын

    에어컨 실외기에서 나오는 물 마셔도되나요??

  • @user-ob7cz6fo8s

    @user-ob7cz6fo8s

    11 ай бұрын

  • @minsukim2433
    @minsukim243311 ай бұрын

    진짜 재개발은 막아야함 시도때도없이 멀쩡한 땅 재개발하고아파트단지로 바꾸니 온난화가 더 심각해지는중

  •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11 ай бұрын

    재개발 하면 재개발 조건 상 녹지가 더 늘지 않나요? 뭔가 다른 걸 말하고 싶으신거 같은데

  • @kagami1234

    @kagami1234

    11 ай бұрын

    @@yoplait_protein 녹지가 는다고 해도 재개발 중에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훨씬 많음.

  • @qudtlssus

    @qudtlssus

    11 ай бұрын

    땅이 안 멀쩡하니까 재개발 하는거 아님...?

  • @YIGloomy2Day

    @YIGloomy2Day

    11 ай бұрын

    재배발이 문제가 아닌데?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가짜도 아니고 추임새 같은 진짜~! 표현처럼 참 엉뚱하군요 표현도 안 맞고.... 온난화에 비율량이나 한번 검색해 보세요 본인이 타는 차량만 줄여도 그게 얼마나 줄어드는지도.... 이런게 정보니까요.... 비 맞고 머리 빠진다 하지말구요....

  • @whywhywhyme
    @whywhywhyme11 ай бұрын

    자동차 기름통 수위는 어떤 센서로 측정하나요??? 출렁거리는데…. 어떻게!?!?

  • @user-ix8vo6jg7j

    @user-ix8vo6jg7j

    11 ай бұрын

    무게?가 아닐까요?

  • @Not_a_bad

    @Not_a_bad

    11 ай бұрын

    큰 액체탱크들의 레벨측정은 상,하부에 압력센서를 달아서 수두압에의한 상,하부의 압력차이로 레벨을 측정합니다. 하지만, 자동차의 연료탱크는 크기가 작아서 수두압에 의한 레벨측정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구조도 복잡하고 가격도 비싸기에 훨씬 단순한 플로트 방식을 사용합니다. 화장실 변기와 비슷한 원리로 (플로트)부유물이 떠있는 높이로 레벨을 측정합니다.

  • @whywhywhyme

    @whywhywhyme

    11 ай бұрын

    @@Not_a_bad 천재!! 감사합니다~!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Not_a_bad 보통 기름통이 제각각이라 그런 방식을 추구하죠 비용이 고가인거 떠나서요^^ 그래서 낮은 수위에서는 우리가 얼마큼 더 간다 차량마다 따지죠^^ 내연기관 기준....

  • @KP-yc5hy
    @KP-yc5hy11 ай бұрын

    풀면 길지만 일단 인간이 산소가 부족해서 멸종할 염려는 없습니다 걱정 카시고 숨 많이 쉬세요

  • @heartcaramel
    @heartcaramel7 ай бұрын

    음.. 지구온난화는 물론 개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기업과 국가의 비중이 크다고 생각함.. 우리가 해봤자 얼마나 막을 수 있을까🥲

  • @gameinsensitivity2808

    @gameinsensitivity2808

    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전체가 한다하더라도 별소득없을것같네요 전세계 공통적으로 이상을실현하기엔 터무니없고 쓰지않는다해도 지속하기 어려울겁니다 짧은인생 편히쓰다가는 그런느낌이죠

  • @uzzulteevee
    @uzzulteevee11 ай бұрын

    10억년후에 산소가 없어지지만 그때까지 인류가 안멸망할까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멸망보다는 물론 멸망도 하겠지만 그정도 시기면 기술발전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도 보셔야^^ 아마 지구같은 촌동네에서는 어디에 붙어있는지 후손들이 알까요^^ 우리같이 지구도 넓다고 하면서 동네수준으로 세계를 보는데요.... 얼마나 그시기면 정보량이 많아서 있을까 그게 더 궁금하네요^^

  • @YDSnim
    @YDSnim11 ай бұрын

    오오

  • @pi-3141
    @pi-314111 ай бұрын

    저도 오늘부터 숨참기 챌린지 진행하겠습니다

  • @amogusgdgd
    @amogusgdgd11 ай бұрын

    여기에서 "태양이 커진다"는 태양이 적색거성이 된다는 말로 추정됩니다. 적색거성이 되면 일단 지구는 뜨거워지는게 아니라 태양에게 먹히기 때문에 그때가 되면 그냥 지구가 사라질수 있습니다.

  • @jarlb33
    @jarlb3311 ай бұрын

    숨 한 번 크게 쉬고 봤다

  • @sungeunpark6683
    @sungeunpark668311 ай бұрын

    빛노스...갓미네이터...당신들이 옳았습니다...

  • @user-vi5pw9qc5o
    @user-vi5pw9qc5o11 ай бұрын

    다음앤 이거 해주세요 ''우주에서 줄넘기 하면 어떻게 될까?"

  • @user-wk4tb7lm4x
    @user-wk4tb7lm4x2 ай бұрын

    우리가 지구를 지킴시다

  • @user-qv9lp6in1m
    @user-qv9lp6in1m9 ай бұрын

    "생각지도 못한 선택지"

  • @trollmaster6848
    @trollmaster684811 ай бұрын

    대산소화 시대떄 쌓인 산소량이 21%면.... 질소는 얼마나 많았던거야...?

  • @bushi6815
    @bushi681511 ай бұрын

    사물궁이님~~ 그러면 제가 지금 집에있는 불 다 끄고 유튜브볼게요

  • @6CUR6SED6
    @6CUR6SED67 ай бұрын

    언젠가 타노스와 같은 인물이 인구수 반갈죽 해줬으면 좋겠네요

  • @mb18nom
    @mb18nom10 ай бұрын

    멧돼지 탄소 중심 생각나서 피씩 웃었네

  • @user-lw8bn2fy4c
    @user-lw8bn2fy4c11 ай бұрын

    올만

  • @bbobb00
    @bbobb0011 ай бұрын

    고마워요 스피드왜건

  • @qtgsr
    @qtgsr11 ай бұрын

    지금 그대로 살면서도 환경오염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구가 크게 줄어드는 것임

  • @HJ-ul4ip
    @HJ-ul4ip7 ай бұрын

    아니 아마존은 진짜 첨 알았네요!

  • @renat.1341
    @renat.134110 ай бұрын

    뭐야 내 대에선 끝날일 없겠네 이만 틀은 숨 잘 쉬다 걱정없이 먼저 가겠습니다~

  • @user-cv1no2jw2s
    @user-cv1no2jw2s11 ай бұрын

    나무를 얼마나 더 많이심어야대

  • @scpsite-23k.roblox3
    @scpsite-23k.roblox310 ай бұрын

    아니면 다시 구석시로 리셋해보까용?ᩚ 헤헤… 1000년뒤에….

  • @tropicalinvest
    @tropicalinvest11 ай бұрын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플랑크톤이 늘어서 새로운 균형이 맞춰지겠군요

  • @JJangtayc1112
    @JJangtayc111211 ай бұрын

    썸네일 귀여워요

  • @asceTnio
    @asceTnio11 ай бұрын

    3:00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바닷물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방출되는 게 아닙니다. 온도가 높아져서 바닷물은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담게 되지만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지각의 탄소가 대기로 뿜어져 나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량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근거로 바닷속 이산화탄소량은 역사적으로 지구 온도와 완벽하게 비례합니다.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그런거 본 채널에 다루었던거 같은데 말이죠^^ 한번 찾아보세요^^ 탄소도 바다생물?들이 커버를 하는거라고....

  • @Mido_12034

    @Mido_12034

    9 ай бұрын

    ?? 혹시 용존기체량이라는 걸 들어보셨을까요? 기체가 액체 내부에 녹아있을 수 있는 정도는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면 증가합니다 즉.. 지구온난화로 바닷물의 온도가 증가하면 이산화탄소의 분자 운동이 빨라져서 물 속에 녹아있지 못하고 기체 형태로 탈출합니다.. 단적인 예시로 탄산음료를 뚜껑 열고 실외에 하나, 냉장고에 하나 넣어보세용... 상식적으로 어느게 더 탄산이 많이 빠져 있을 지는 안 해봐도 알겠죠..?

  • @Mido_12034

    @Mido_12034

    9 ай бұрын

    그럼에도 해수의 CO2량이 늘어나는 이유는 대기에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서 해수로 녹아드는 겁니다... 절대로 온도와 용존량이 비례하지 않아요.. 온도가 늘어서 감소해야 하는데 온도가 늘어난 이유가 급격한 이상화탄소 농도 증가 때문입니다... 그 이산화탄소가 대기의 분압을 증가시켜서 증가하는 해수온도에도 불구하고 압력이 늘어서 더 많이 녹아들었을 뿐이에요

  • @LoveAndJoker
    @LoveAndJoker8 ай бұрын

    ??? : 인간이 사라지는 것이 진정 친환경이다.....

  • @user-js8ve6xg8x
    @user-js8ve6xg8x8 ай бұрын

    근데 반대로 식물을 방에 많이 두고자면 죽는다는데 산소 많이 마시면 죽나요?

  • @chanheo4950
    @chanheo495011 ай бұрын

    어느날 모두 숨막혀 죽겠군요.

  • @user-dr1st4ql3r
    @user-dr1st4ql3rАй бұрын

    코푸룰루 지역을 찾아떠날수있는 우주기술이 필요할려나...

  • @jhlee8809
    @jhlee88097 ай бұрын

    고산지대 사람들은 적은 산소가 있는 곳에서도 축구도하고 마구 뛰어다니지만 우리같은 일반인은 거기에서 맥도 못추고 앓던데 생물은 찬천히 적응해 가겠지요 큰 공룡이 지금은 닭이 되었듯 모습도 변화하며 버티겠지요 그러다 화성처럼 소멸하겠죠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듯이

  • @user-jv8dd7rz2f
    @user-jv8dd7rz2f9 ай бұрын

    산소를 사야 하는 시기가 올거 같은데요 흠….

  • @dizmfflqxm
    @dizmfflqxm9 ай бұрын

    공룡이 멸망했듯이 우리 후손들도 어느 시점서 정말 고통스럽게 죽을것 같아요. 참...이게 자기들이 잘못한게 아니라 그냥 그때 태어난 운일 뿐이란게 안됐음

  • @user-pb4rw1gi2c
    @user-pb4rw1gi2c9 ай бұрын

    산소 보관해야겠다

  • @Korearrrrrrr
    @Korearrrrrrr11 ай бұрын

    공기는70%에서는바다에서30%에서는식물에서나온다는말인가요?

  • @teeeeeeemo
    @teeeeeeemo11 ай бұрын

    지구야 미안해 ㅠㅠ

  • @Morrneyo
    @Morrneyo11 ай бұрын

    답은 핵융합발전 뿐이다...

  • @user-fw3wg5bd9l
    @user-fw3wg5bd9l5 ай бұрын

    저출산 대한민국이야 말로 친환경 국가다. 세계환경기구들은 대한민국에 환경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하고 인구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나는 중동 아프리카에게는 환경부담금을 물려야 한다

  • @Desire_Store
    @Desire_Store11 ай бұрын

    영원히 고갈되지 않는 자원 : 내 뱃살 . . . .시부레. 에너지덩어리인데 왜 난 피곤한지. 억울해

  • @user-lq8lz7co2v
    @user-lq8lz7co2v6 ай бұрын

    물을 전기 분해하면 되지 산소는 숨쉬고 수소는 연료로 사용하고

  • @user-uc3fz2zx7z

    @user-uc3fz2zx7z

    5 ай бұрын

    제가 정말 산소고갈이 걱정되는데 물을 전기분해하면 80억 인구가 사용하는데 충당이 될까요? 그리고 효율을 좋을까요? 진짜 매일 무섭고 걱정입니다....

  • @user-gp8lf4bp1m
    @user-gp8lf4bp1m11 ай бұрын

    와! 4물궁이님!!! 저 사물궁이님 초창기때 부터 보던 사람이에요!!!!!!!!

  • @user-bh7hm8tx7m
    @user-bh7hm8tx7m7 ай бұрын

    관악기 연주자 반성하겠습니다

  • @page83902
    @page8390210 ай бұрын

    혹시 그냥 바다가오염돼면 어떻게 돼나요?

  • @user-xu9ob2qb8h

    @user-xu9ob2qb8h

    7 ай бұрын

    이미 오염 됐는데

  • @user-uw3hm3uu4w

    @user-uw3hm3uu4w

    7 ай бұрын

    너무 심한 오염이돼서 생물이 살수 없게되면 지상에 사는 생물에게도 피해가 오게된단다 소금이나 생선등 건강한 바다 자원을 얻을수 없고 오염된 비도 맞게되고 병에걸릴수 있단다 지금이라도 완전히 깨끗하게 할수 없겠지만 바다의 자체의 정화작용을 넘어서는 오염이 생기지않게 전 세계사람들이 노력해야 한단다 그래야 생물들이 숨을쉬고 살아갈수 있단다 종원 종미 종현아 사랑해!!!

  • @water1236
    @water123611 ай бұрын

    이래서 일론이 지구환경을 살리는쪽을 포기하고 화성가려고 하는건가

  • @user-zm8yi6xi6i
    @user-zm8yi6xi6i7 ай бұрын

    행님덜 당장 내일도 어찌 될지 모르는데 몇억년후를 걱정하기엔 우리 인생이 너무 짧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eh5du3zf2t
    @user-eh5du3zf2t11 ай бұрын

    질문이 있는데요 모기에 물리면 흉터가 나는데 그 흉터는 왜 불규칙 하나요?(영상으로 만들어 주세요 ㅎㅎ ^^;;)

  • @user-pc6ze5xq3r
    @user-pc6ze5xq3r11 ай бұрын

    카메라셔터 누를때 왜 소리가 나도록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 @user-sr3vi8kq3q

    @user-sr3vi8kq3q

    11 ай бұрын

    도촬방지요

  • @kkk7546

    @kkk7546

    11 ай бұрын

    다른나라는 공공장소에서 남들 다보는거 찍는다고 문제안되는데 한국만 도촬이랍시고 무음 못하게 만든거임

  • @user-pc6ze5xq3r

    @user-pc6ze5xq3r

    11 ай бұрын

    @@user-sr3vi8kq3q 안물

  • @user-pc6ze5xq3r

    @user-pc6ze5xq3r

    11 ай бұрын

    @@kkk7546 안물

  • @JUANCHOI4096
    @JUANCHOI40968 ай бұрын

    당신이 이걸 본 순간 숨을 쉬기 어려워 질거다

  • @yulyun82
    @yulyun8210 ай бұрын

    근데 여러분 결국 환경을 보호 한다는것도 인간을 위해서잖아요... 지구는 인간이 없으면 몆백년 몆천년이 지나서 라도 회복을 할수있는데...

  • @badfool3664
    @badfool366411 ай бұрын

    ??? :알빠노?

  • @Noxus-timo
    @Noxus-timo9 ай бұрын

    결론!지금당장은 갠찬음

  • @curious_Question00
    @curious_Question0011 ай бұрын

    식물을 탄산수에 담궈 놓으면 광합성을 할까요?

  • @MystoreisOpen

    @MystoreisOpen

    11 ай бұрын

    기공으로 물질교환을 하는데 탄산수의 대부분 성분은 물이기 때문에 기공을 막아 물질교환을 방해합니다. 물속에는 용존산소가 많은데 우리가 물에 잠수하면 물속 용존산소로 숨을 쉴 수 있냐는 질문과 맥이 같습니다.

  • @user-rp8qf9pv1h
    @user-rp8qf9pv1h11 ай бұрын

    자연상태면 10억년 이나 가지만 좆간으로인해 100년안으로도 없어질수 잇다... 타노스 센세 당신이 옳앗습니다...

  • @CurryWurst19

    @CurryWurst19

    11 ай бұрын

    ㅈ간은 지구입장에서 숙주 죽이는 기생충이 맞네요 ㅋㅋㅋㅋㅋ

  • @user-zl1ks6mh8q

    @user-zl1ks6mh8q

    11 ай бұрын

    ​@@CurryWurst19지금쯤 지구가 시한부 생긴거나 다름이 없네 ㅋㅋ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user-zl1ks6mh8q 원래가 영상 하나보면 그게 맞는지 알고 죽자살자 달려드는 사람들이 많죠.... 아직도 인간은 미개해요.... 뭐 밤만되어서 아무것도 안보이면 불안심리에 무섭다 그러죠.... 세상에 무서운게 어디있다고.... 아무것도 모르는거지....

  • @Che0n6n
    @Che0n6n4 ай бұрын

    썸네일 보고 왔는데 허기워기 하얀 버전인줄 알았다

  • @che1
    @che15 ай бұрын

    유럽처럼 환경 경고 컨텐츠가 많았으며누합니다

  • @user-f1u2c3k4uc8
    @user-f1u2c3k4uc811 ай бұрын

    규조류 군체가 우주에서 관찰된다는건, 지구 대기 밖에서도 지구의 바다를 바라보면 바다와 색이 다른 규조류 군체가 발견된다는 의미이므로... 이 영상의 우주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규조류가 보인다는 묘사는 잘못되었습니다. 규조류는 바다에서 살지 우주에 가까운 대기에서 발견되거나 하는 생물이 아닙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는 영상인 것 같습니다.

  • @user-hg2ir9ul2s
    @user-hg2ir9ul2s4 ай бұрын

    전세계 탄소배출, 음식물쓰레기배출 압도적1위인 그 나라만 없어져도 지구는 살아날듯

  • @ch.a
    @ch.a10 ай бұрын

    인간이 하란대로 하는 종자가 아니라.... 그냥 결과를 지켜보는 수 밖에

  • @luansen0
    @luansen011 ай бұрын

    지구섭종..

  • @asceTnio
    @asceTnio11 ай бұрын

    산소는 무겁기 때문에 탈출속도가 높은 수소처럼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지 못합니다. 그래서 지구 대기의 대부분을 질소와 산소가 차지하는 것이죠. 산소가 다른 분자형태로 결합해서 산소분자 o2가 줄어들 수는 있겠지만 산소원자 자체의 절대량은 변하기 쉽지 않을겁니다. 지구 생명의 근원인 탄소의 경우 c2 탄소 분자를 형성할 수 없기때문에 co2로 분자상태로 머물어 산소분자를 가져가지만 지구 대기의 4위인 이산화탄소가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해도 절대량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지구 지각만 해도 산소가 1위로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산소가 줄어든다? 산소가 고갈된다? 거시적으로 상당히 힘듭니다. 지구에 운석이라도 떨어져서 지구 대기층이 뻥 뚫리는게 아니라면요.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그정도 시기면 어차피 우리 후손이 지구는 어느별 촌구석에 있는지도 모를껄요^^;;

  • @SPenjuin

    @SPenjuin

    9 ай бұрын

    이 영상에서 말하는 산소가 산소 분자입니다 선생님... 대기 중의 O2가 줄어들 수 있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데 O는 고갈되지 않는다는 얘기는 당연한 소리지요.

  • @user-mf1sk4wo2q
    @user-mf1sk4wo2q11 ай бұрын

    자원고갈설은 우리랑 오조오억년은 이루 이야기

  • @Delmn
    @Delmn11 ай бұрын

    10억년 오기전에 지구 공전궤도정도야 과학자들이 알아서 고치겠지

  • @turtle_naver_blog
    @turtle_naver_blog11 ай бұрын

    지구의 산소는 적어도 지구 멸망 전까지 고갈되지는 않을듯,,,,,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아마 지구 생성시기 만큼에 양으로 돌아가는거면 지구 행성자체가 없어질때나 그러지 않을까요 그거보다 바닷물이 더 빨리 없어지겠죠^^ 아니면 산소 생성을 못 하게 하는 방해요인이 생기던지요^^ 아마 그시기때 산소 걱정하기전에 우리 후손은 지구가 어느 별 촌구석에 있는지도 모를까 걱정입니다^^;;

  • @_NPT_
    @_NPT_11 ай бұрын

    인류가 지구를 떠나기 전까지 전부 소모 안 될듯ㅋㅋㅋ

  • @user-jn1lq2hq9l
    @user-jn1lq2hq9l9 ай бұрын

    보기에는 그럴싸한 내용이나 온도가 상승하여 산소가 고갈된다는건 허구입니다 공룡시대에는 지금보다 온도가 훨씬 높았고 대기중 산소도 어마어마하게 많았죠 지구는 온도가 지금보다 높아져도 문제없습니다. 평소처럼 행동하셔도 됩니다 석유 고갈된다고 떠든지가 몇십년되었는데 지금도 잘만뽑아내고 있죠

  • @user-cv3gr9ue7f
    @user-cv3gr9ue7f7 ай бұрын

    궁금증을 해소하고 걱정을 준다 등가교환

  • @user-vx5eg6kl6i
    @user-vx5eg6kl6i11 ай бұрын

    지금은 대탄소화 시기인가???

  • @user-us8pq9er7n
    @user-us8pq9er7n11 ай бұрын

    아 10억년 후 미래는 어떨지 기대했는데 스포당했넹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ай бұрын

    그거 알면 이런 채널 만들고 있지 않겠죠 한량생활 하죠^^ 모든 정보를 다 아는데....돈 벌고 싶으면 뭐 뚝딱 만들고 환경보호 하고 싶으면 뚝딱 만들고^^ 고갈걱정은 왜 합니까 생명연장이나 병 치료두요^^

  • @seongulee8743
    @seongulee87439 ай бұрын

    빨리 전기차로 바꿔야 하나

  • @Sombi_UwU
    @Sombi_UwU7 ай бұрын

    타노스 당신이 옳았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