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바뀌지 않고는 IB도입, 확대 쉽지 않습니다 (feat. 교실이데아) | 인사이트조 Ep.3

#미래인재 #IB #교실이데아 #자녀교육 #고유성 #초등공부 #공부습관 #초등교육
남들 다 하는 당연하고 뻔한 얘기보다, 보는 분들께 인사이트와 생각할 거리를 드릴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는 다짐으로 [인사이트조]를 만들었습니다. 빠르게 급변하는 세상에서 우리 아이들이 자신만의 ‘서사’를 가지고, 고유성을 발휘하는 세상을 살아갈 수 있길 바랍니다
우리 아이들이 자신만의 고유성을 발휘하며 살아갈 수 있길 응원합니다.
👉디냅 5월 개강반 : smallbigclass.com/03iQq8
👉디냅 커리큘럼 안내영상 : • ‘이것’이 있는 아이는 스스로 공부 장벽...
⭐ 5/17 원데이클래스 신청하기(학생, 줌) : forms.gle/aKud4gGnWwToPdnN7
⭐ 5/17 원데이클래스 시청하기(부모, 유튜브) : kzread.infoPSVl1v0uaNA
00:00 인사이트조 3부
01:13 목차 및 Part.1 - "교실이데아, 그리고 IB"
06:10 Part.2 - "IB교육, 진짜 대한민국에서 가능할까?"
17:10 Part.3 - "IB, 그리고 AI 시대에 아이들이 꼭 길러야하는 핵심역량"
------------------------------------------------------------------------------------
아이들에게 공부라는 벽을 넘어서는 지혜를 알려줍니다.
📖조작가의 [공부가 설렘이 되는 순간] 보러가기
- 교보문고: bit.ly/49FkZzn
- 예스24: bit.ly/49l8kBO
- 알라딘: bit.ly/3UKhEej
------------------------------------------------------------------------------------
✏️ 조작가 인스타그램 👉 / insight_cho
✏️ 문의메일 👉 smallbigclass@smallbigclass.com

Пікірлер: 64

  • @smallbigclass
    @smallbigclass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이 자신만의 고유성을 발휘하며 살아갈 수 있길 응원합니다. 👉디냅 5월 개강반 : smallbigclass.com/03iQq8 👉디냅 커리큘럼 안내영상 : kzread.info/dash/bejne/mK5hzKSMXbjaZ6Q.html ⭐ 5/17 원데이클래스 신청하기(학생, 줌) : forms.gle/aKud4gGnWwToPdnN7 ⭐ 5/17 원데이클래스 시청하기(부모, 유튜브) : kzread.infoPSVl1v0uaNA

  • @user-hu1se5bi2v

    @user-hu1se5bi2v

    10 күн бұрын

    0

  • @user-ie5ms7gp8e
    @user-ie5ms7gp8eАй бұрын

    저는 IB 교육을 받고 있는 고2의 학부모에요. 아이가 힘들어 하기는 했지만 경험하고 익숙해질수록 IB 교육이 자신에게 맞다고 스스로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단답형이 아닌 자신의 생각에 자신감을 가지고 이야기를 펼치고 논리를 찾아가는 모습, 자신의 솔루션을 제안해 내는 모습에서 놀라움을 느낄 때가 많아요. 무엇보다 일을 하면서 제가 하는 모든 과정을 아이가 익혀가고 있다는 점에서 저는 만족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사회에 나와서 배워야 할 것들을 아이가 학습에서 찾아가고 있기 때문이에요. 우리 입시에서는 불리하고, 괴리감이 있지만 길에 인생에서 아이는 분명 좋은 경험으로 남을 학교 교육이라서 저는 지금도 앞으로도 만족할 것 같습니다.

  • @couldntbebetter-tb8zv

    @couldntbebetter-tb8zv

    Ай бұрын

    저는 모든 학교가 그렇게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현재 제일 우선이 교육의 변화 라고 생각합니다. 소중한 우리 아이들이 정말로 삶의 주인으로 살았으면 합니다.

  • @user-jo3lb7el5v

    @user-jo3lb7el5v

    Ай бұрын

    부럽습니다 이제 초3인데 아이성향이 IB와 맞을것같은데 어떻게 준비를 해야할까요~~

  • @user-th9wx7hg9m

    @user-th9wx7hg9m

    Ай бұрын

    저 방식이 입시에 불리하다고요 ? 글쎄요 ㅎ ^^ 학습력 엄청 올라갑니다 님도 알고 계시잖아요 그래서 선택하신걸로 보이는데요 솔직이 고등학교 가보면 학교 수업 큰 의미 없잖아요 고등학생이면 거의 혼공이고 수업시간에 거의 자고요 정시 준비할려고 절반이 자퇴하고요 그럴바엔 그냥 iB교육이 입시에 도움이되지요 스카이에서도 학종가능하고요

  • @PETBOY

    @PETBOY

    22 күн бұрын

    놀라움이 아니라 유럽은 다 그렇게함, 미국 호주도 비슷함 ㅋㅋㅋ 한국만 이상한거에요. 한국이 비정상이라는겁니다

  • @user-ev4ji7py7s

    @user-ev4ji7py7s

    17 күн бұрын

    어디 지역고등학교인지 궁금합니다

  • @user-nk1bo7ot3y
    @user-nk1bo7ot3yАй бұрын

    멋진 강의 잘 들었습니다. IB교육에 관심이 많은 학부모입니다. 교육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한 어떠한 교육제도를 가지고 와도 변화되기 힘들다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의 문제를 바꿀려면 어떻게해야할찌도,,,,조작가님 생각을 듣고싶습니다.^^ 극한의 경쟁과 친구를 짖밟아야 살아남는~입시교육에 아이를 집어넣고싶지 않는데,,,,답답하네요. IB교육 같은 제도가 공교육에 많이 들어왔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합니다!!!

  • @dodosol
    @dodosolАй бұрын

    제가 찜찜했던 부분을 지적하셔서 정말 많이 공감했습니다. 현재를 바르게 비판하고 희망을 얘기하는 것은 좋지만 IB가 모든 것을 해결 해 줄것이라는 분위기는 어쩐지 좀 찜찜하더라구요..

  • @user-gb6wm9cu5i

    @user-gb6wm9cu5i

    Ай бұрын

    맞아요 딱 이거임

  • @davylee1369

    @davylee1369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IB에 대한 접근법은 위험하다고 생각. 현장의 관리자들은 IB를 건드리면 안되는 성역화를 하고 싶어함

  • @user-bk5km1hq4q
    @user-bk5km1hq4qАй бұрын

    07년 딸이 고등선택할때 아주 오랫동안 고민했던 ib교육을 결국 선택하지 못했던 이유가 아직은 입시결과가 한번도 나오지 않아 선뜻 결정내리기 어려웠어요. 아쉬운마음과 기대를 가지고 첫입결을 봤는데 좋은결과들을 보고 너무 좋았어요. 교육이 그래야지. 했죠. 대학교육에서도 탁월한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해요. 어찌됐든 방향성은 ib교육형식으로 가는게 좋겠지요. 학생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니 가능해지지 않을까요? 대학을 배제하고도 깊이 고민하고 생각을 글과말로 결과물을 내는 노력을 3년간한다는것 자체가 탐나네요.

  • @user-ju1uo9sf3x
    @user-ju1uo9sf3xАй бұрын

    많이 공감합니다. 다양성의 중요성을 느끼면서도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전형적인 학모의 마음을 대변해주셔서 위로가 되면서도 부끄러운 맘이 듭니다. 조작가님의 인싸이트에 다시 공감하며 저도 우리 아이를 중요한 방향으로 돕고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

  • @hyunbaek5002
    @hyunbaek5002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교육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가 있는 분들이 시스템을 바꿀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있기를...(국회로 보내 드려야 하나 ㅎㅎ)

  • @user-ur5no8fm3u
    @user-ur5no8fm3uАй бұрын

    100000%공감해요… 우리나라 이공계열 미래가 암울해요… 어쩌다 의대의대가 되었는지… ㅠㅠ 우리 아이들 어찌 키워야 할까요. 작가님 경험 나눠주시고, 인사이트 주셔서 듣는 순간 전율이 느껴졌습니다. 오늘도 좋은 말씀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sopiak2598
    @sopiak2598Ай бұрын

    제가 너무 고민하고 관심가지던 분야인데 이렇게 동영상으로 의견을 내주셔서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 @TINA-oj4xe
    @TINA-oj4xeАй бұрын

    ib 프로그램있는 학교 알아보고 있는 중3엄마 입니다 ib프로그램은 너무나도 좋다는것은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실제적으로 서울에서도 그 프로그햄이 있는 학교를 가기 어렵다는데 있습니다 국제고를 알아보고 있는데 평범한 중산층에서는 비용면이나 기숙사에 들어가야 한다는 점에서감당하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 @Melodion914
    @Melodion914Ай бұрын

    중1들어서자 Ib로 지정되서 영어를 잘해야된다는 생각이 제일먼저 생각났으나 3학년이되고 프로그램이 좋은걸 깨달게 되네요. 부모는 기성세대니깐 아이와 대화에 답을 내놓아야하는데 자꾸 자기 생각을 설명하니 마찰도 생긴건 사실입니다. 아이말을 좀 끝까지 들어주자고 했지만 냉전만 더 해지는 사춘기가 되었어요. 학업과 사춘기가 겹치고 곧 고등학교를 정해야하는중3인데 Ib고교가 거리가 멀어서 걱정이 앞섭니다. 혼돈의 시점을 겪는중에 Ib교육방식이 참 좋으면서도 고민이 깊네요 깊은 울림을 얻어갑니다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 @dreammania-easy
    @dreammania-easyАй бұрын

    저는 IB를 전국가적으로 도입하진 않았으면 좋겠다 싶어요. 지금은 소수의 용기(?)있는 엄마들이 결단하는 환경이라, 각오한만큼 학교와 선생님을 신뢰할텐데, 일반화되는순간 온갖 색안경과 편법, 변질이 우려되네요.. 어차피 대치동, 수성구 등에서는.. 이런방향으로의 변혁은 힘들테니 그냥 '양립'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부모들이 점점 인정하고 스며들어야 큰 부작용없이 안착할수 있지 않을까.. 생각들어요😅😅 학령기 아이를 키우면서 ib가 반가운 엄마로서.. 사견입니다..

  • @user-ed1tf1rl2r
    @user-ed1tf1rl2rАй бұрын

    늘 보는 채널이라 더 집중해서 봤습니다. 조작가님의 진심이 느껴지네요. 금요일 원데이클래스에 참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vz8fy8qx9w
    @user-vz8fy8qx9wАй бұрын

    많은 학생들이 교육 현장을 전장으로 느끼고 있는 현실이 너무나도 가슴이 아픕니다. 사회 분위기 및 구조와도 얽혀 있는 복잡한 문제인 만큼 다각도에서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실제 경험을 토대로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내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쓰시는 조 작가님께 작은 응원을 보내 드리고 싶습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mo-vy2gd
    @mo-vy2gdАй бұрын

    요즘아이들에게 맞지않는 교육이라는 게 정말 와닿네요. 우리나라 현실에 완전히 바뀌기는 시간이 오래 필요할 것 같고 그래도 머지않아 일부 도입되길 기대해봅니다. 교실이데아 예고만 보고 못봤는데 봐야겠네요~~

  • @seheekim234
    @seheekim234Ай бұрын

    저는 영상 14:40부터 말씀해주시는 부분이 인상깊었어요. 교육제도를 바꾸는 것이 만병통치약이 아니고 그에 수반되는 사회적인 장치가 발맞춰 바꿔가야 신뢰를 가지던 장기적인 안목을 가질수있을텐데, 다양성을 받아들일 제도와 인식은 함께 변해가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도 함께 방송에 들어갔으면 좋겠단 생각했거든요. 그저 대학입시에 대한 또 다른 대안으로 변질되지않길 바래봅니다.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userdrfsku

    @userdrfsku

    Ай бұрын

    매우 동의합니다.

  • @jin-uw7mk
    @jin-uw7mk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은 공감되는 부분이 많아 고개를 계속 끄덕이며 보았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금요일 원데이 클래스 아이가 기대하고 있습니다!

  • @search.for.simplicity
    @search.for.simplicityАй бұрын

    참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서 사회제도, 교육제도가 올바로 세워지길요!

  • @maya6445
    @maya6445Ай бұрын

    훌륭한 인사이트 감사드려요. 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 교육의 획기적인 변혁을 원하지만 현실에 타협하고 있지요. 허나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관심을 갖고 지겨봐야할 것 같아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 @user-rn1rg7nh3i
    @user-rn1rg7nh3iАй бұрын

    역시..역사에 중요한 용기가 있는 사람이 필요할때네요….

  • @nicean5612
    @nicean561217 сағат бұрын

    우려하시는 부분에 대해 100퍼센트 공감합니다. 더불어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 @search.for.simplicity
    @search.for.simplicityАй бұрын

    아이들, 다음세대의 행복을 위해 사회와 교육제도가 올바로 세워졌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aerykang3409
    @aerykang3409Ай бұрын

    미국도 모든학교에 IB프로그램이 있는게 아니라 카운티당 1개 정도의 학교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학교 학생이라고 모든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아니고 중학교때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고 시험을 쳐서 입학한 학생들일부만IB교사로서 교육받은 선생님 밑에서 배웁니다. 미국교육이 널널하기에 보통의 미국 교육에 비해선 아주 인텐시브 하며 모든 과정을 다 배우고 씰을 받고 나면 대학 2학년 수준으로 입학합니다. 저도 미국에서 일부 IB 수업을 들었기에 저는 저의 첫째를 IB학교에 보냈습니다. 전인적인 교육과 지역사회의 문제점을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기에 시민으로서 잘 성장하고 읽어야 되는 분량이 많기에 대학원 진학까지 생각하거나 Top 20학교를 생각한다면 그 읽기 훈련을 미리 한다는 의미로도 아주 좋은 교육이라 생각됩니다.

  • @innocent-jb4wu
    @innocent-jb4wuАй бұрын

    아이들에게 이런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해주고 프네요. 작가님 말씀처럼 이제 어떻게 준비하면 될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초4 남자어린이 최근에 물어보니 꿈이 없다고 하네요. 자기만의 서사, 아이에게도 앞으로의 꿈을 찾을 수 있게 옆에서 자극점을 찾아주어야 할 것 같아요. 궁금했었던 IB교육 이렇게 풀어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오늘도 소신있는 말씀에 작가님의 열정이 느껴집니다. 볼때마다 생각하지만 어쩜 이리 말씀을 잘하실까 정말 대단하세요.

  • @maylee6232
    @maylee6232Ай бұрын

    조승우작가님, 매번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영상 특히 와닿네요. 저는 현재 미국에 있고 아이가 미국에서 학교다니고 있는데 한국으로 다시 돌아가야하는 입장이다보니 교육과 관련해 여러가지 생각이 듭니다. 좋은 인사이트 계속 부탁드립니다. 저희는 미국에 있지만 승우작가님 참 좋아해서 한국 사이트에서 승우작가님 책 사서 여기서 받아봤네요! 언젠가 한국가면 싸인받으러 한번 가서 얘기나누고 싶네요. 건강하세요

  • @user-yc2xj6fb4t
    @user-yc2xj6fb4tАй бұрын

    같이 길을 갑니다. 언제든 도움이되고싶습니다.

  • @user-vy2ox4ll9m
    @user-vy2ox4ll9mАй бұрын

    진짜~~현실은 잘아시는 분♡

  •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4 күн бұрын

    IB는 실현되어져야 합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4 күн бұрын

    네, 저도 꼭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더라도 IB 혹은 IB에 준하는 좋은 교육제도로 대한민국 교육이 변화될 수 있길 소망합니다.

  • @user-je3ec9zl7t
    @user-je3ec9zl7t13 күн бұрын

    9:01 확대 9:22 12:34 학력/공정성 14:23 현실 17:30 ing 18:49 독서 토론 글쓰기 20:23 주제 맥락 상호작용 22:24 스티브잡스 맥락 22:22 나만의 why 22:24

  • @bigyunni
    @bigyunniАй бұрын

    대학을 목표로 한다면 IB교육과는 방향이 좀 다르지요~ 아이들이 만족해하며, 아이들이 바르게 선택하는 인생을 바라봐야 하는 것 같아요~

  • @davylee1369
    @davylee1369Ай бұрын

    그런데 이러한 방향으로 학교를 변화한다면 결국은 대학교 정책이 큰 틀에서 바뀌어야 됨 학교마다 다양성을 살리고 특색있는 학교가 되면서 어느정도 줄을 흐트러뜨릴수 있는.. 그런데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1) 대학들이 재정적인 독립 정도가 더 높아져야 되고 2) 교육부는 예산으로 학교들의 충성도를 테스트하지 말아야. 그런데 1) 2) 모두 대학과 교육부가 바뀌고 싶지 않아함. 그러니깐 매번 중고등학교에서 하부르타니 배움의 공동체니부터 더 큰 틀을 바꾸는 IB까지 도입하니 마니 하는데도 결국은 큰 변화를 못 이끌어내는거임..IB도 좋은거 아는거랑 별개로 대학교육이 안 바뀔껀데 교사 학생 학부모끼리 또 개고생하는거 아닌가 생각이 들수밖에 없음.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Ай бұрын

    IB는 아마 중학교까지는 보편적으로 도입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봐요. 그렇지만 0.X점 차이로 등급이 갈리고 지원 가능 대학이 바뀌는 고등학교에서, 사회안정망이 연약하고 최저임금으로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만으로 생계 유지가 어려울뿐더러 고졸과 대졸의 임금 격차가 큰 대한민국에서 IB를 도입하면 소송까지도 불사할 정도로 난장판이 벌어져 결국 안착 못할 것이라는데 한 표 던집니다.

  • @PETBOY

    @PETBOY

    22 күн бұрын

    대학나와도 취업이 안되는 시대입니다. 대학 학력보다 포트폴리오나 해결 능력이 중요한시대에요. 실제로 기업이 바뀑지 오래임

  • @jiyounkim3184
    @jiyounkim3184Ай бұрын

    5/17 원데이 클래스 시간은 몇시인가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Ай бұрын

    밤 9:00-10:00 진행됩니다. 줌으로 참여하시려면, 더보기의 구글폼에 입력해 주세요. 라이브 당일 오전 11:00에 줌 링크 발송드릴 예정입니다.

  • @jiyounkim3184

    @jiyounkim3184

    Ай бұрын

    원데이 클래스, 구글폼에 남매를 각각 입력했는데요 제 핸드폰으로 두명을 입력하다보니 제대로 등록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확인이 가능한지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Ай бұрын

    스몰빅클래스 홈페이지의 채널톡으로 문의남겨주시면 확인 도와드리겠습니다!!

  • @user-rq7zl2xv4t
    @user-rq7zl2xv4tАй бұрын

    다른데서 준비해올수 있잖아요.지금도 수행학원에서 준비하는데..배운날 바로 즉시 그날그날 서술형이면...취지는 좋으나 지금 학원에서 배우는것과 이건 좀 다른듯합니다.

  • @liberalism0
    @liberalism0Ай бұрын

    수능이 암기식 교육만 강조하는 평가는 아닙니다 가르치는 전반적인 과정이 문제인거죠 한국 현재 교육부 지침에 의한 일명 '학년별 교육과정'에 의해서 교실 내에 교사들이 학년마다 그 학년이 배워야하는 범위.. 진도 나가기 바빠서 초1인데도 벌써부터 아이들 마다 이해도도 다른데 그런건 신경쓰지 않고 그저 진도 나가기 바쁜..가르침이 어머님들이 사교육으로 빠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그 근본적인 교실에서 진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 IB로 바뀐다고 해서 해결이 될런지요? 그리고 담당교사들이 처리해야될 문서처리도 해결해야될겁니다 누구를 위한 교육인지도 모르겠고 누구를 위한 서류보관인지도 모르는 이런 교육으로는 다른 선진국들과 어깨 겨루기는 이제 힘들어질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IB를 국내용으로 도입한다면 솔직히 IB를 왜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른 나라들은 AP를 더 많이 보는데 SAT준비하는 친구들은 따로 준비해야합니다 고작 한국 친구들 받아줘야지 하고 외국의 유명대학들이 IB를 얼마나 평가해서 받아줄지는 모르겠네요.. 자칫 어머님들과 아이들을 더 사교육에 들어가도록 하고 한국입시만을 위한 교육제도로 전락할 가능성도 높아진다는점에서도 IB교육..아직까지는 장점보다 단점이 많을것같습니다

  • @user-se4jv8yv2p
    @user-se4jv8yv2p21 күн бұрын

    개인이 선별한 가치와 고유성을 평가해서 대학 입학 자격을 누구는 받고 누구는 못 받는다? 고유성과 가치가 평가의 대상이라고 본다면 이는 ib 교육의 취지에도 모순이라고 봅니다. 수능은 논리와 추론 능력등의 사고력과 실력을 쌓기까지의 인내력 정도는 평가할 수 있는 시험이며, 아이들이 진지하게 왜? 라는 질문을 가지며 지식을 유기적으로 이해하며 공부해야 평가에 대비할 수 있는 시험예요. 달달 외워도 푼다고 생각하는데 그건 학력고사 시대 이야기구요. 아무리 돈다발 준비해서 애들 학원 보내고 과외 받아도 자기 주도성을 가진 아이의 학습력은 못이겨요. 차라리 ib 교육은 그 취지를 생각해볼때 평가 없는 필수 교양 프로그램으로 병행해야죠. ai 시대가 온다고 그를 다루는 인간이 전적으로 ai 의 지식만 믿고 스스로 쌓은 지식이 없어서야 어찌 ai 를 견제할까요? 현재 자신의 생각을 글로 평가하는 수행평가가 있는데, 주제를 미리 고지하고 a4 용지 가득채운 분량을 기준하여 점수를 매기지만, 그를 위한 학원이나 학부모의 도움이 거의 필수예요. ib 교육을 도입해도 그로 인해 대학 전공과 학벌이 달라진다면 그에 대비해 학원이나 부모들은 ib 시험을 미리 준비, a4 두장이건 세장이건 애들로 하여금 외우게 할 겁니다. 수능 국어나 영어는 문해력만 좋아도 3 등급은 나올 수 있는 문제들인데, mbc 프로그램 속 참여자들이 못 풀었다고 무조건 폄훼하는 건 어떤 결론을 위한 것인지 뻔히 들여다보이더라구요. 평가방식은 좀 그만 건들이면 좋겠어요. 소양과 잠재력을 길러주는 건 좋은데 그 막연한 무엇으로 점수를 매기면 누가 쉽게 그 결과에 승복할 수 있을까요.

  • @user-gc7bi2zu9v
    @user-gc7bi2zu9vАй бұрын

    속시원하네요. 얼마나 더 많은 사교육이 들끓을지, 고입경쟁이 심화될지 두렵습니다.

  • @user-gr5hn6py7g
    @user-gr5hn6py7g13 күн бұрын

    나는 대 찬성한다.. 지금 100년 이상 미국교육 바탕에 AP 비쓴한데 교사가 최점방식이 틀렸다 본다.. 미국도 유럽에서 건너왔으며 IB 교육이 모든게 영어지만 한국어 토론중심에 지금까지 모든 교육이 미국교육 벤치마킹하다보니. 문제점들이. IB 교육 바칼로레아 프랑스 🇫🇷 부터 시작했다고 하니. 나폴레옹이 교육도 인간뽑는 학문이기에 어려운 철학수업 프랑스 바칼로레아. 스위스 바칼로레아 . 미국 교육은 지금현재 한계에. 한국이 일본식민지 제국주의 버셨나 물론 미국 도움도 있지만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 @Mt.Palgong_Coolguy
    @Mt.Palgong_Coolguy8 күн бұрын

    돌고돌아 본인이말한 그런걸 ib학교에서 하는거임.. 일반학교 테크트리에서 나올 보편적인 아웃풋이 아님

  • @haekyunglee3266
    @haekyunglee3266Ай бұрын

    교육의 내용과 질의 문제는 뒤로 하고 외국의 교육방식을 돈을 지불하며 공교육에 들여오고, 교사 교육연수도 외국기관에 의탁한다는 점에서는 저는 반대합니다

  • @PETBOY
    @PETBOY26 күн бұрын

    한국 교육은 앞으로도 안바뀔텐데요.. 지난40년동안 안바꼈음. 이런 프로 백날 해도 안바뀌니 꿈깨시는게 나음.. 일단 부모들 부터가 문제고, 학생들 조차 수능이 공정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마당, 한국 수능 말도 안되게 어려운거, 정상적인 평가 시험이라기 보다는 줄세우기 솎아내기 시험, 여기서 경쟁자들 물리치고 만점받는다??? 해외에서 볼때 정상이라고 안봄. 그정도로 한국 교육은 타락한지 오래임. 인권유린에 가까움. 거기다가 어릴적부터 돈써가며 책상머리에 앉아 남이기는거만 배우고 암기만 달달달 하다보니, 사회성 종범에 이기주의, 정작 의사나 정치 이런거 되면 부패 카르텔 저지르는 구조임, 교육이 제일 문제인데, 앞으로도 안바뀜, 교육이라는거는 잠재력을 끌어올리는것인데. 한국 수능은 이것과 전혀 거리가 멀고 여기에 인생 13년 몰빵한다는거는 굉장히 비효율

  • @herren-house
    @herren-houseАй бұрын

    IB가 뭐가좋아요. 유럽보세요 다 망해가고있는데... 뭐하러 거기껄 따라하려는건지

  • @dbvlog7

    @dbvlog7

    Ай бұрын

    좋은 대학을 나온 유럽의 인재들이... 미국으로 가서 그런 겁니다. 몇배는 더 버니까요. 이건 선택은 사회 행정과 복지의 다름에서 옵니다.

  • @user-lp8yx6gb1c

    @user-lp8yx6gb1c

    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란 입시때문에 진작에 망했어요

  • @user-gb6wm9cu5i
    @user-gb6wm9cu5iАй бұрын

    문제점이 없는 교육 형태가 있을 수 있나 ? ib 를 제대로 가르치고 평가할 수 있는 교사가 얼마나 있으려나 . (교사는 언제 쉬어..) 우리 사회가 개개인의 다양성을 다 알아봐 주는 사회인 것인가 .. 학교를 벗어난 사회는 몇배나 더 빡세다 ㅎ

  • @user-gz8dv9kg6h

    @user-gz8dv9kg6h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 @naryoungchoi8704
    @naryoungchoi8704Ай бұрын

    무슨 말하는지 이해가 잘 안가요. ib 교육이 사회에 나가서 생활하는데 충분히 도움이 도움이 되고 분명히 필요한 교육인데 사회 시스템이 안갖춰졌으니 좋은것은 알지만 안된다는게 무슨 말씀이신지...?

  • @user-kw3cx5dr1v

    @user-kw3cx5dr1v

    9 күн бұрын

    저도요.. 들을수록 무슨 논리인지 모르겠어요.. 학령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입시경쟁이 지금과는 다른 국면이 될게 분명한데 너무 시야가 좁은 의견이 아닌가 싶네요. 저는 잘만 준비하면 IB가 한국사회가 미래를 준비하는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 @user-oh4nm1yj4g
    @user-oh4nm1yj4gАй бұрын

    결국에는 프로그램 홍보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