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자녀에게 공부할 이유를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 | 조코칭 EP.13

부모님들 아이에게 이런 질문 받아보신 적 있죠?
"도대체 공부를 왜 해야 돼?"
공부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아이들에게 현명한 솔루션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오늘 영상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의 이야기가 공부 방황을 하는,
특히 사춘기 시기 학생들에게 도움 되길 바랍니다.😊
아이들에게 공부라는 벽을 넘어서는 지혜를 알려줍니다.
📖[공부가 설렘이 되는 순간] 도서 링크는 아래에서💗
📖조작가의 [공부가 설렘이 되는 순간] 보러가기
- 교보문고: bit.ly/49FkZzn
- 예스24: bit.ly/49l8kBO
- 알라딘: bit.ly/3UKhEej
------------------------------------------------------------------------------------
#사춘기 #공부이유 #동기부여 #자기주도학습 #초등교육 #자녀교육 #새학기
✏️ 조작가 인스타그램 👉
/ insight_cho
✏️ 문의메일 👉 smallbigclass@smallbigclass.com

Пікірлер: 127

  • @smallbigclass
    @smallbigclass2 ай бұрын

    촬영날 아침에 축구를 하다가 잔디에 얼굴을 가는 바람에 상처가 나고 얼굴이 부어서, 부득이 상처를 가리려고 셀프 메이크업을 했는데 상태가 좀 이상합니다 😭 너그러이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4년 4월, 조코치와 함께 “공부가 설렘이 되는 순간”을 만드는 과정, D.Nav이 돌아왔습니다. 자신만의 꿈과 고유성을 발견하며, 스스로 ‘독서, 글쓰기, 발표, 공부습관, 영어’의 성취경험을 쌓게 돕는 D.Nav이 조작가의 라이브 수업, 1:1 멘토링 등이 추가되어 시즌2로 돌아왔어요. 🟪 새로워진 디냅 시즌2 보러가기 👉 smallbigclass.com/h1ky4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아이들에게 공부라는 벽을 넘어서는 지혜를 알려줍니다. 👉 조작가의 신간 [공부가 설렘이 되는 순간] 보러가기 - 교보문고: bit.ly/49FkZzn - 예스24: bit.ly/49l8kBO - 알라딘: bit.ly/3UKhEej

  • @kuhyeran

    @kuhyeran

    2 ай бұрын

    하하 안그래도 저승사자 메이컵이 컨셉인가 생각중이였네요 빠른 회복 바랍니다~

  • @Cori-ie4gx
    @Cori-ie4gxАй бұрын

    사람마다 달라요. 아이마다 다르구요. 끌어줘서 잘되는 아이와 스스로 잘 하는 아이 모두 다 달라요. 오은영식 솔루션이 모두 정답이 아니듯요.

  • @user-so1gp6zg2s
    @user-so1gp6zg2s2 ай бұрын

    진정성있는 말씀 한마디 한마디에서 아이들에 대한 애정과 진심이 느껴집니다♡♡

  • @ympark9184
    @ympark91842 ай бұрын

    진지한 고찰 감사합니다. 시간적 여유와 선택의 자유를 줘야겠어요. ❤

  • @luckluckluck5285
    @luckluckluck52852 ай бұрын

    진짜 조작가님같은 아들두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 @softrain79
    @softrain792 ай бұрын

    어쩜 제가 생각한대로, 해주고 싶은 말을 찰떡같이 해주시는지 울컥해지네요. 공부만을 강조하기보다 주체성을 가지고 꿈을 향해 나아가길 기다려주고 응원해줘야겠어요. 조작가님도 응원합니다❤

  • @ever114
    @ever1142 ай бұрын

    코끝이 찡해집니다~~형아가 동생 응원하듯 손내미는 장면이 머릿속에 그려지네요. 아이가 꼭 들어야겠어요^^

  • @bbh-gw1ey
    @bbh-gw1ey2 ай бұрын

    마음이 멋지신것이 느껴지네요.

  • @user-ey7wv2iq5l
    @user-ey7wv2iq5l2 ай бұрын

    강의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coton-rg2sy
    @coton-rg2sy2 ай бұрын

    저는 공부하라고 잔소리 하지 않았어요. 당연히 애들도 공부를 안했지요. 단, 건강과 생활.인성에 대한 잔소리만 했는데요. 큰아들이 첫대입에 실패한후 재수를 하겠다고 했을때, 전 대학을 안가도 돼니, 후회없는 1년이 되었으면 한다는 말이후로도 공부에 관여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1년동안 아들이 미친듯이 공부하더니 중앙대 합격했지요. 큰아들이 공부를 스스로 하겠다는 의지와 목표가 생긴후론 생활자체가 달라지더군요. 그리고 이제 고3 둘째 아들이 갑자기 공부를 미친듯이 하기 시작했어요. 밥 많이 먹으라는 잔소리 말고는 공부하라는 잔소리는 1도 안했거든요. 그게 뭐가 됐든 네가 하고싶은 일을 하라고 조언만 했어요. 제가 어릴적 부모님 잔소리가 이해가 안돼고 공감이 안됐던 기억 때문에 아이들에겐 잔소리가 아닌 기다림과 도움이 필요하다는걸 느꼈어요.

  • @user-jp8ym1ii6d

    @user-jp8ym1ii6d

    2 ай бұрын

    와우👍 인내심이 대단하시네요. 조바심이 인내심을 이기신 대단한 어머니이신거 같아요.

  • @user-ik1ji8vr4j

    @user-ik1ji8vr4j

    2 ай бұрын

    저희 엄마는 저에게 공부하라고 잔소리한 적 없어서 전 정말로 공부를 적당히 했던거 같아요. 그래서 저희애에겐 공부하라고 얘기합니다.애마다 다를거 같아요.

  • @kingkor19

    @kingkor19

    2 ай бұрын

    이분은 잘되서 다행이지만... 현실은...........ㅠㅠ

  • @McLexYaYa

    @McLexYaYa

    Ай бұрын

    그렇지요.. 이런 케이스가 드물지요..

  • @white.8817

    @white.8817

    Ай бұрын

    문제는 대다수는 공부만강조하고 인성교육등은 방치하거나 긍정적으로 판단해버리죠

  • @wm6533
    @wm6533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7:20 책읽어주시는 부분 쇼츠로 만들어주심 좋을거 같아요🙂

  • @ndebbie4189
    @ndebbie4189Ай бұрын

    조작가님 영상 볼수록 마인드가 정말 훌륭하셔서 존경스러워요. 우리 아이도, 무기력함에 허덕이는 다른 학생들도 조작가님처럼 자신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주도적으로 살아가면 좋겠어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조작가님의 선한 영향력이 널리 퍼지길 바랍니다.

  • @nhy7276
    @nhy72762 ай бұрын

    저희 중학생 아이가 매일 하는 말이라서 놀랐습니다. 자기가 힘든 이유는 자기가 이러한 모든 상황을 선택한 것이 아니어서라는 겁니다. 힘들어도 공부를 안하지는 않겠지만 선택권없이 이 길을 가야만한다는 점이 힘들다네요. 그런데 학원때문에 시간이 너무 없네요. 학원을 좀 쉬어야할지 그럴 수도 없고 힘든 문제네요. 저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날 그날만 살라고 이야기는 해주는데 어려워요.

  • @vv-iv8tr

    @vv-iv8tr

    2 ай бұрын

    부모님은 목표달성위해 그날그날 충실히 사십니까? 중학생나이에 그게 가능한가요? 그럼 학원 다 끊고 절실히 살아보세요

  • @user-kn5ko1sc1z
    @user-kn5ko1sc1z2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좋은말씀 입니다

  • @stellarr54
    @stellarr54Ай бұрын

    한마디한마디 너무 공감했고 감동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evayun6648
    @evayun66482 ай бұрын

    조작가님 책 바로 주문했어요~ 저도 읽어보고 아이에게도 한번 읽어보라고 해야겠어요. 항상 좋은 영상, 좋은 책으로 선한 영향력 펼치시는데 앞장서주셔서 감사드려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ucho2106
    @sucho21062 ай бұрын

    저는 미국에서 살고 있는 고등학교 두 자녀의 부모인데요. 정말 첫째와 둘째는 성격도 성향도 다르고 공부하는 자세와 패턴도 달라서 많이 혼동스럽고 힘들었네요. 본인스스로 알아서 하는 첫째와 다른활동에 더의미를두고 공부는 뒷전인 둘째..지금은 아이성향에 맞게 강요는 안하지만 걱정스런 마음이 드는건 어쩔수 없는듯해요. 강의 많이 도움되었구요.저도 더 노력해야겠어요.

  • @philspring7777
    @philspring77772 ай бұрын

    아이의 자기주도력은 선택에서 나온다. 맞습니다. 스스로는 선택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선택 당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결국 번 아웃이 찾아 오고 헤메이게 되지요. 중요한 인사이트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yc2xj6fb4t
    @user-yc2xj6fb4t2 ай бұрын

    소중한 미음으로 읽겠습니다.

  • @user-fm9pv1qr3n
    @user-fm9pv1qr3n2 ай бұрын

    영상들 넘 잘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piano0715
    @piano07152 ай бұрын

    무슨말인지 정말 와닿네요. 40대가된 지금에서야 하고싶은게 많아졌거든요. 얼마나 하고 싶은건지를 생각하면 방법이 떠오르고 노력이라는걸 하게되더라구요. 그게 아이들에게는 공부할 이유가 되는게 아닐까 싶어지네요. 아이에게 작은거 하나부터 선택의 기회를 자꾸 주려고 노력하는 편인데 내가 틀리지 않았구나를 깨닫게 되기도 하는것 같아 의미있는 컨텐츠였습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v8bv6yp6h
    @user-qv8bv6yp6h2 ай бұрын

    중3 아들이 요즘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물어보고 있는데 정말 도움되는 내용 감사합니다 조작가님 책 사서 주었는데 많은 도움 됩니다 감사합니다 ^^

  • @user-vk2ct8zi2w
    @user-vk2ct8zi2w2 ай бұрын

    조작가님 ❤ 좋아용 ㅋ

  • @user-vs9gi7mx3j
    @user-vs9gi7mx3j2 ай бұрын

    좋은말씀감사합니다.

  • @user-bi2fe1vh6m
    @user-bi2fe1vh6m2 ай бұрын

    실수와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태도가 저에게 필요해 보이네요. 아이가 좌절하고 힘들어 할 때 미리 해 둘 말을 배울 수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초통령!!! 조작가님❤❤❤

  • @jy2294
    @jy22942 ай бұрын

    오~~ 이 영상 진짜 가뭄에 단비 같아요 고1 아이도 아직 기회가 있는거겠죠?? 생각해보니 공부에관해 아이에게 선택의 기회를 준 적이 거의 없었네요 사실 다른걸 선택할까봐 미리 겁내고 차단한 부분도 있었구요;; 학생의 본분은 공부고 그러니까 하는게 당연한거고.. 근데 고1와서 누웠어요ㅠ 지금이라도 선택의 기회를 주고 다시 시작하는게 맞는거겠죠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네!! 분명 잘 해낼 겁니다 응원합니다💜

  • @cre_bank
    @cre_bank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 속도는 1.25배를 하지 않아도 빠르게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 저한테는 장점입니다. 😅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user-lz6wu3pi5d
    @user-lz6wu3pi5d2 ай бұрын

    학원에서 강의하고 있고, 두 아이도 키우고 있습니다. 학부모님들의 바람 중에 ‘주도적 학습’이라는 것이 어디까지나 내가(부모가) 원하는 방향으로 맞춰서 잘 해주길 바란다는 걸 알았을 때 답답함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 방향이 대부분 하나로 결정지어져 모두의 목표가 어쩜 하나일 수 있는지도 의아했고요. 이렇게해서 입시에 성공(?)한다고 해도 결국 방황합니다. 알면서도 말로 설명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이 영상으로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 강사로서도 엄마로서도요. 그리고, 영상을 보는데 전혀 불편하지 않았습니다만 댓글을 보고 전합니다. 상처 어서 나으시길 바라고 몸도 쾌차하시길 바랄게요. 고맙습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따뜻한 마음 감사합니다, 좋은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 @user-ft1kk8vo6q

    @user-ft1kk8vo6q

    Ай бұрын

    나중에 방황한다해도 일단 입시에는 성공해야 한다는 것이 대한민국 상황 아닌가요? 입시란 것에 성공해도, 실패해도 인간이 방황하기는 마찬가지여서 일단 성공은 해놓고 보자는 심리... 그래서 다 어렵습니다~

  • @user1wb6jm1e26
    @user1wb6jm1e262 ай бұрын

    작가님 가부끼냐고 놀리려고 했는데 다치신거라니..반성하고 갑니다 ㅜㅜ 빨리 상처 나으시길요. 이번 내용도 아이와 같이 듣고 곱씹어볼게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yoseong
    @kyoseong2 ай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거..아이들에게 해주는 말로 영상 만들어 주실 수 없을까요? 제가 듣고 아이에게 적용하려고 해봐야 울엄마 또 잔소리한다고 생각할까봐요 😂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영상 또는 라이브 북토크 등으로 기회를 마련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ft1kk8vo6q

    @user-ft1kk8vo6q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아이들이 느껴야 하는데, 이것조차 부모만 느끼고 깨닫고있어요~ 우리나라는 부모들만 너무 많이 반성하고 깨우치고..정말 슬픕니다

  • @koamom-qy2tz
    @koamom-qy2tz11 күн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 이 한마디에 제 마음이 다 전달될수 없겠지만...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7 күн бұрын

    늘 응원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hykim6412
    @hykim6412Ай бұрын

    저는 공부도 자산이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지금 당장 돈이 필요하지 않아도 지금부터 꾸준히 모아 놓으면 나중에 내가 정말 사고 싶은게 생겼을때 당당히 살 수 있듯이 공부도 지금부터 내가 꾸준히 해 놓으면 내 지식이 되고 성적이 되어 나중에 내가 가고 싶은 학교도 생기고 꿈도 생겼을때 당당히 갈 수 있는 실력, 밑받침이 되는 거라고. 지금 당장 내가 가고 싶은 대학도 없고 꿈도 없다고 포기해 버리면 나중에 내가 정말 가고 싶은 대학이 생기고 하고 싶은 일이 생겼을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엔 너무 늦었거나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수도 있다고

  • @user-bo5pg8re7p
    @user-bo5pg8re7p2 ай бұрын

    와 유튜브 알고리즘 제가 보고 싶은 영상을 어떻게 알았을까요? 어제 중1아들이 수학을 풀다가 "공부는 왜 해야지? 말하더군요. 자기전에 아들에게 "공부를 왜 해야하지라는 말을 하는게 엄마는 너가 참 대견하다. 어른이 되기전에 이런 고민을 하는것이 당연한거고 엄마도 그런 생각을 많이 했지. 아들이 성장하는 이 사춘기가 기대되고 멋져. ~라고 말하고 가슴 속 깊숙히 도를 닦고 있었습니다. ㅋ 이 영상 스무 번이상 봐야겠네요. 가슴 깊숙히 담아둬야겠어요. 내년 중1이 되는 둘째아들을 위해서 보고 또 보고 아잣😊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그렇게 말씀해주신 경험을 토대로, 아이들은 더 적극적으로 자기 생각을 가지고 자기 공부를 해나갈 거라 생각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user-rm8nx1vm3j
    @user-rm8nx1vm3j2 ай бұрын

    아이에게 말해줘야겠어요

  • @VisionHome-oc3dz
    @VisionHome-oc3dz2 ай бұрын

    선생님을 분당♡쌤 채널에서 보고 들어왔어요~. 말씀을 듣는데. 다음세대, 타인을위한 배움. 등등 사용하시는 대부분의 단어에서 느껴지는 정서가 제가 추구하는 교육방향성과 너무 똑같아서 참 반가웠어요~. 감사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따뜻한 마음으로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늘 응원하겠습니다!

  • @user-iu7mu5ll4w
    @user-iu7mu5ll4w2 ай бұрын

    핵심:공부의 의미를 못 찾은 건 선택한 적이 없기 때문 공부의 주인이 되도록 스스로 선택하는 기회 주기 서론 공부의 이유에 대해 설명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부모님과 아이가 대화를 주고 받는 배경 경험이 다르기 때문 공부의 이유에 대해 아이들이 모르는 이유는 한번도 선택해보지 않아서임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이 공통점은 선택을 한 아이들임 선택은 주체성의 출발임 우리가 기다려줘야하는건 공부를 하는 아이의 모습이 아니라 삶의 방향에 대해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임. 본론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방법 세 가지 첫째 주어진 시간을 아이의 의지대로 선택하여 쓸 수 있게 기회 주기 꿈과 공부사이에 체감거리가 너무 먼 경우 만다라트를 통해 꿈의 중간단계를 느껴야 공부 이유를 찾을 수 있음 두번째, 만다라트 등을 통해 꿈을 쪼개보며 공부할 이유를 직접 느끼게 하기 쪼갤만큼 더 쪼개어 꿈에 더 가까이 가도록 돕기 이렇게 하면 아이들은 하면 좋은거, 좋아보이는 걸 하게 됨 그 과정을 겪게 하면 첫째, 자기효능감이 생김(내가 뭔가를 선택할 수 있는 결정권이 있구나), 두번째는. 기회를 준다는생각에 부모에 대한 신뢰가 생김 세번째 원칙, 꿈이 없다면 부모님의 지지와 다양한 경험을 통해 꿈의 단서 쌓기.

  • @mjs9468
    @mjs94682 ай бұрын

    학교와 조인해서 조작가님의 프로그램을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학교프로그램들 좋긴 한데 도움이 될까? 하는데는 회의가 들기도 합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저희도 늘 목표하고 있는 바인데요, 좋은 기회를 모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p4mn7uj9e
    @user-tp4mn7uj9e2 ай бұрын

    얼굴은 다 나으셨나요? 조코치님 배경으로 꽃벽지는 지양해 주십쇼~^^;;;;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넵^^ 마음써주셔서 감사해요! 스튜디오 선정에 만전을 기울이겠습니다

  • @user-li8dl6hq4y
    @user-li8dl6hq4y11 сағат бұрын

    믿고 기다려주다 보면 끝까지 안하는 아이를 발견할수있습니다.. 어렵네요 참 육아라는게..

  • @eunhyelee8084
    @eunhyelee80842 ай бұрын

    제 인생에 첫 댓글입니다. 오늘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가끔 컨텐츠가 너무 무섭다고 느껴집니다.어제 6학년인 제 아들이 왜 수학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어려운 수학을 해야하는 중학생이 되는게 싫다며 축구만 하고 싶다고 해서 한참 실갱이를 했는데 어떻게 알고 이 알고리즘으로 떴을까요. 저희도 작가님 말씀대로 축구를 좋아해서 지원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저희 아들이 ㅎㅎㅎ 웃프지만 현실을 파악하길 바라면서요. 하지만 여전히 저희 아들은 자기가 레알마드리에 갈거라고 믿고 있습니다. 지금 저는 좀 생각과 마음이 방황중입니다. 생각보다 아이가 축구에 진심이고 오래 갈듯한데 중학생이 되는 이 시점에 어떻게 해야 공부에 집중하게 할수 있을지(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삶) 이런 경우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어른들이 체감하는 것보다 아이들의 시간은 훨씬 깁니다. 그만큼 어른들이 보기엔 짧은 기간에도, 아이들에게 여러가지 이벤트와 계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걱정마시고, 지금처럼 소신껏 그 길을 가시면 분명 시간이 지나고, 또 새로운 환경을 만나면서 아이가 스스로 자각하고 다시 자기 선택을 하는 시점이 올 거라 생각합니다^^ 늘 응원하겠습니다!

  • @youtubesound
    @youtubesoundАй бұрын

    공부하는 머리하고 비지니스 머리는 다른거 같아요!

  • @user-ii1gg6ue6n
    @user-ii1gg6ue6n2 ай бұрын

    아이가 초등학교때는 책도 많이 읽고 성실하게 잘 하더니 중학교 올라가고 나서는 학교만 겨우 가고 학원도 빼먹기 일쑤... 공부를 강요한 적도 없는데 입버릇처럼 자기는 공부 안할거라고 공부는 필요없는 거라고 하고 자기 인생이니 신경끄라고 짜증만 내고 밤늦게까지 컴퓨터, 핸드폰만 봅니다. 반항도 너무 심하구요. 사춘기라 그런가보다 하고 1년을 지켜보다가 이젠 공부를 해야 할 때가 아닌가싶어 타이르기도 해보고 심하게 야단도 쳐보는데 소용이 없네요ㅜ 아이는 아무 생각도 없는데 저만 계속 걱정하고 신경쓰다보니 저만 몸이 너무 아프구요ㅜ 유명한 선생님들 유투브 보고 많이 배우긴 하는데 저희 애한테는 먹히지가 않아서 너무 답답합니다.

  • @behappy-ml1qm

    @behappy-ml1qm

    2 ай бұрын

    글만 봐도 답답함이 느껴집니다 힘내세요

  • @gracesharon3516

    @gracesharon3516

    2 ай бұрын

    저와 같은 상황이시네요.... 우리 힘냅시다...❤

  • @user-ly5yy5zc3v

    @user-ly5yy5zc3v

    2 ай бұрын

    저도 똑같네요..저만 안달났어요. 초등까지 열심히 했는데, 번아웃 온걸까요.. 그냥 놔두라는데 미치겠네요.

  • @wit9658

    @wit9658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제주변에는 빡세게 아이 학원 ,공부스케쥴 잡아준 엄마들의 자녀들이 더 욕심가지고 더 열심히 해요 ㅠ 전 적당하게 작가님 말씀처럼 어릴때부터 온전히 시간두 주고 .. 자유선택도 하게하고..해볼수있게하고 지지하고 했는데 .. . 현재 즐거움만 탐하고 책도 잘 읽고 하고 싶은것도 많고 홀딱 빠져서는 잘 놀고 그랬는데.. 좀 커서부턴 친구들이 말하는 영향이 있는건지 .. (친구들은 다 진짜 바쁘거든요 . 학원 여러개다니고 등등) 공부는 내가 하는거라고 ..하고 스스로 못깨닫는듯요. 아예 공부안합니다.답답해요 ..이럴줄 몰랐네요 .. 잔소리 많은 편도 아니고 그나마 공부아닌 인성,사회관계 조언도 잔소리로 듣는거같아요. 제가 닥달하는 스탈,시키는 스탈도 아니고. . .저만 답답하네요 ..이렇게 놔둬도 괜찮을까요 ㅠ 시간제한도 해봤는데 안돼요 ㅠ이러다 엄마아빠아래 캥거루족될꺼같아 고민입니다.집에만 있으려하거든요. 나가서 차라리 친구들하고 놀았으면 좋겠네요.ㅠ

  • @user-ii1gg6ue6n

    @user-ii1gg6ue6n

    2 ай бұрын

    @@wit9658 저희 애도 밖에 잘 안나가요ㅠ 다른 애들은 친구들끼리 볼링도 치러 가고 운동장에서 축구, 농구도 하고 가끔 피씨방도 간다던데 얘는 귀찮다고 하루종일 집에만 있어요ㅠ

  • @user-kv7uk8lx2l
    @user-kv7uk8lx2l2 ай бұрын

    어른들도 나이들면 몸아푸면 서럽다운동해라 식습관좋게해라해도 잘안지켜지자나요. 비슷한것같아요

  • @eugenieshin721
    @eugenieshin7212 ай бұрын

    고딩 아들을 많이 이해하게 됬네요. 나름 권한과 선택의 기회를 줬지만 입시에 쫓겨 시간을 갖지 못했던 것 같네요. 아이에게도 들려줄께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그걸 이해해주시고 헤아려주신 부모님의 마음이 참 따뜻하고 존경스럽습니다. 늘 응원하겠습니다!

  • @user-vo4yl2se1w
    @user-vo4yl2se1wАй бұрын

    마음우체국 신청하고 싶습니다 방법부탁드려요 아이와 마음을 나누는 좋은 시간이 값짐을 느낍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8 күн бұрын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smartstore.naver.com/smallbigclass/products/9542709315 여기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smile_ev
    @smile_evАй бұрын

    본인이 선택한 꿈에대한 이런저런 시도로 실패하는 경험이 누적되고 포기를 하는 모습을 보이는건 중간과정인걸까요..

  • @kyungkokim8017
    @kyungkokim80172 ай бұрын

    하고 싶은 일, 막연한 꿈조차 없다고 하는 아이는요? 제가 알기론 이런 아이들이 대다수인데.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분명 해결하기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영상에서도 말씀드렸듯, 그런 아이들에게는 꿈의 단서를 키울 수 있는 경험과 시간의 축적이 필요합니다.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 경험과 시간의 축적없이는 하고 싶은 것, 꿈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 @user-tx3lh7od5d
    @user-tx3lh7od5d2 ай бұрын

    12월부터 마음우체국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조승우 선생님을 보며 늘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는데요, 결국 내가 선택한 내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삶...이 본질을 생각하게 됩니다. 저희 아이가 선생님팬이예요^^ 아침마다 중꺽마를 외치며 즐겁게 등교하네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늘 우리 리더님을 응원합니다💜

  • @user-tk1ge9vf3e
    @user-tk1ge9vf3e2 ай бұрын

    핸드폰 사용시간도 자유롭게 스스로 잘사용하도록 놔뒀더니 숙제에도 방해가 가요....;; 제한을 뒀더니 난리.. 그냥 놔둘까요.... 너무 힘들어요 핸드폰..... 꼭좀 조언부탁드려봅니다

  • @user-sh1kh8zd5m

    @user-sh1kh8zd5m

    2 ай бұрын

    격하게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저역시 같은 고민으로 아이들과의 갈등이 일상이거든요. 헤드라인보고 인사이트를 기대하고 들었는데 흔히 들어왔고 이미 알고있는 편향적인 관점에서만 통상적으로 말씀하시는 것 같아 개인적으로 그다지 임팩트는 없는 듯 합니다.. 게다가 님댓글에 대한 조언이 저역시 가려운 부분인데 패스하신것도 아쉽구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핸드폰은 당연히 적절한 규칙과 규율을 통해 통제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부모님이 상황에 따라, 기분에 따라 일관성 없이 통제하는 것이 아닌 서로 합의할 수 있고 서로가 함께 지킬 수 있는 규칙을 통해 아이들도 따라야할 권위를 가질 수 있게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공부하는 장소에는 휴대폰을 들고가지 않거나 책상에 올려두지 않는다거나, 방 밖에 둔다거나 하는 작은 규칙부터 왜 그 규칙이 필요한지를 설명해주시고, 스스로 느끼게끔 이야기해주신 뒤 작은 규칙부터 시도해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 @user-mq1gd8ie4j

    @user-mq1gd8ie4j

    2 ай бұрын

    @@user-sh1kh8zd5m 그러게요 동감입니다...이미알고있고...쩝.....책 소개?

  • @user-zp3zr3ce8v
    @user-zp3zr3ce8v2 ай бұрын

    작가님 그 선택 자체를 하는것이 그 아이 역량같아요. 공부잘하는 아이가 그런선택을 하구요.

  • @user-sh1kh8zd5m

    @user-sh1kh8zd5m

    2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 저도 들으면서 님과 같은 생각으로 깊은 한숨만 나오더라구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말씀대로,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공부를 하는 '선택'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선택의 본질은 공부를 하겠다는 선택이 아닌, 그 길이 어디든 자신이 선택하는 '과정'이 있어야 자기 일처럼 할 수 있다는 말씀이라고 이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youkaru80
    @youkaru80Ай бұрын

    성적표 자체가 문제있는 시스템 인거 같아요 이해하는지를 평가한다기 보다는 넌 몇점 넌 이렇게하는게 최선이고 니가 한게 뭐냐고 하는거 같아요 정말 공부하기 싫은환경

  • @MsKangwoo
    @MsKangwooАй бұрын

    자유시간을 주면 게임에만 몰두하는데 몇개월을 그렇게 놔두라고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본 내용은 사춘기 이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내용이며, 사춘기 이전의 초등학생들은 당연히 부모님의 적절한 통제가 필요합니다. 또한 상황마다 영상의 메시지가 구체적인 맥락에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적용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사춘기 이후의 아이들은 부모님의 통제에 순응하고 그대로 따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사춘기 이후의 아이들에게 억지로 게임을 하지 못하게 하고, 공부를 하게 만들어서, 부모님이 의도한대로 바뀐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생각합니다. 그보다는 아이들이 스스로 어떤 방식으로든 '선택'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져야만, 부모님들이 원하시는 방향으로의 변화 또한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현 상태를 그대로 두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새로운 변화의 모멘텀을 만들어야한다는 의미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pr8er6lr4o
    @user-pr8er6lr4o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중 3 엄마입니다. 중 1부터 스스로 선택의 기회를 주기 위해 학원도 끊어보고 EBS 보며 혼자 공부하게도 해보았지만 결국 안되어 지난 겨울방학부터는 종합학원을 보냈습니다. 이후 갈수록 공부는 그냥 싫다. 하고싶은건 그냥 노는거다.(어떻게 또는 뭘 하고 노는게 재미있다도 아닙니다.) 주변 아이들은 다 노는데 왜 나만 공부해야 되나? 그냥 엄빠처럼 회사원이나 될꺼다. 하루종일 노는게 아니면 내 시간이 있는게 아니다. 라는 말로 공부하기 싫다는 점을 계속 얘기합니다. 그렇다고 딱히 취미도 열심히 하는 다른 것도 없어 정말 고민입니다. 심지어 방학동안 오후에 학원을 가야 해서 오전에 운동도 힘들어서 할 수 없다는 아이.. 현실을 똑바로 못보고 스스로 하양평준화 하고 친하게 지내는 몇몇 친구들만 보고 공부하는 애들이 없다며 공부하기싫다고 불평하는 아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레고(로봇)도 오래 했는데 대회같은 것도 준비하게 되면 노는 시간 줄어드는게 싫어 무조건 피하는 아이..정말 어떻게 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 @fng_fly_high

    @fng_fly_high

    2 ай бұрын

    이런 말씀 좀 그렇지만, 그건 게을러서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제가 그랬거든요. 그러다 고등 졸업무렵 하고 싶은 일이 인생 처음으로 생겨서 혼자 여기저기 알아보고 부모님께 말씀드렸는데 호되게 까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그런 인생을 살아갑니다. 나이가 드니 먹고 살려고 일은 하지만 인생에 꼭 하고 싶은 일이 두번 찾아지지는 않더라구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작은 의견 덧붙이면,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할 것 같은데요. 결국 말로는 아이들이 공감하거나 이해를 못하기 때문에. '회사원'이 되는 것 또한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 걸 어떤 방식으로든 경험으로 체감하게 만들어주는 일, 그리고 이 아이가 공부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벽을 느끼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부분을 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심스럽지만, 본질적인 부분 하나만 짚어보자면. '스스로 선택의 기회를 주기 위해'라고 표현을 하셨는데 뒤에 나오는 말씀은 '공부를 한다, 안한다'라는 방향에 대한 결정보다는 학원이냐 혼공이냐와 같은 방법적인 접근을 이야기하고 계셔서, 그런 맥락이라고 한다면 제가 영상에서 말씀드린 '선택'과는 사실 다른 의미의 '선택'의 기회를 주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 입장에서는 어차피 방법이 다를 뿐, 방향은 이미 내 의지와 상관없이 정해져있다고 느끼고 있는 건 아닐까요? 이 부분을 한번 되돌아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확한 상황을 모름에도 함부로 이야기드리는 것이 송구합니다. 그래도 도움이 되셨으면 하며 의견을 남깁니다. 늘 응원하겠습니다.)

  • @user-pr8er6lr4o

    @user-pr8er6lr4o

    2 ай бұрын

    @@smallbigclass 안녕하세요! 바쁘신 와중에도 소중한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생각해보니 학원이냐 아니냐의 방법일뿐 공부를 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습니다. 결론은 공부를 해야한다고 정해져 있다고 느낀게 맞는 것 같습니다..ㅜㅜ 이젠 고등을 준비해야 할때라 마냥 놔둘수도 없고.. 말씀 주신대로 공부에 있어 어떤 부분에서 벽을 느끼고 있는지 먼저 잘 알아보려는 노력부터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환절기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user-pr8er6lr4o

    @user-pr8er6lr4o

    2 ай бұрын

    @@fng_fly_high 게으른 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fi1ci3it5s

    @user-fi1ci3it5s

    Ай бұрын

    이런 말 그렇지만...의지가 어뵤다면 종합반도 끊고... 나중에 재수의 기회를 주면된다고 마음편히 먹으시면 어떨까요... 그 때 친구들이 대학가고 그러는 걸 보면 후회하고 반성할 때 밀어주면 어떨까요...

  • @user-fw5sd1zd8l
    @user-fw5sd1zd8lАй бұрын

    맞는말인데, 우리나라교육환경에서 그리고 그안에서 그걸 잘하는게 과연. 입시를 잘보면 머? 우리나라 교육에서 애가 중심인적이 있었나

  • @e0j2
    @e0j22 ай бұрын

    공부 일하는게 꿈인 아이는 뭐라고 해야할까요???ㅠ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공부 일한다는 게 어떤 의미일까요~?

  • @sky_keeper
    @sky_keeperАй бұрын

    7분까지 영상을 시청하면서 드는 생각 대충 정리해봅니다. 1. 수 많은 양산형 채널 중 하나인가? 대한민국 학구열에 불타는 부모들 심리를 자극하는 그런 채널? 2. 꿈을 위한 '선택'을 '공부'가 아닌 다른 것을 했더래도 이 채널을 시청하는 부모들은 자녀의 그 선택을 지지할 수 있는가? 3. 왜 인류의 21세기 한국의 대다수 부모는 자녀가 학생 신분으로서 '공부'만이 최선의 수단으로 생각하기를 원할까? 가. 왜 10대 청소년은 매일같이 작은 공간에 갇혀서 공부-밥-잠 패턴만 유지해야 할까? 나. 그들은 그 후 성인이 되어 무엇을 하게될까? 다. 학생들이 그렇게 자라게되면 이득을 보게되는건 누구일까? 학부모님들. 생각의 범위를 확장해보세요. 미래를 내가 겪은 과거와 같을거다라는 생각은 유효하지 않아요. 오히려 위험합니다. '공부'만 하고 자라난 아이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국제무대에서 뒤쳐집니다. 자녀들에게 시야를 넓게 해줄 수 있는 무한한 기회를 주고, 사고를 스스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돕고, 그때 내리게 되는 선택을 지지해주세요. 실패하더라도 응원해주고요. 그중에 끝까지 실패하는 자녀도 있겠지만 미래는 지금과 같지 않아요. 물론 저희 부모님도 저에게 공부하라는 말씀하신적은 없어요. 대한민국 청소년들 너무 안타까워요. 비난은 충분히 듣겠지만 스스로 위처럼 말 할 만한 지능, 학력, 경험있는 사람입니다.

  • @sky_keeper

    @sky_keeper

    Ай бұрын

    유툽의 무슨 알고리즘이 이 영상을 저에게 띄웠는지 모르겠지만, 끝까지 시청하면서 든 생각 정리. 1. 결국 우리애들 '공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기 원하는 부모들에게 유익. 2. 꿈이 왜 'what to do'일까? 가. 중딩때 생각하길, 꿈은 'what to do' 가 아닌 'how to live' 가 된다면 훨씬 의미있는 인생이 될 것이라는 판단함 나. 중2때 내 꿈은 '인류의 지속적인 보존에의 기여' 다. 현재 내 꿈은 '인류의 지속적인 보존에의 결정적인 기여' 라. 대한민국 대다수가 꿈이 뭐냐고 물으면 직업을 대답함. 당연한걸 당연하지 않은거로 생각해야. 다면적 사고. 3. 결국엔 '독서', (가능하다면) '여행' -> '꿈이 있는 청소년' -> 스스로 노력

  • @user-uu9no8ku9u
    @user-uu9no8ku9uАй бұрын

    쉬운것만 ...하는 얘들은 나중에 쉬운것만 찾게됨 ㅋㅋㅋㅋ

  • @amikim85
    @amikim852 ай бұрын

    화장 무슨 일인거예요ㅠㅠㅠ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축구를 하다가 얼굴에 상처가 나는 바람에 부득이 ㅠㅠ 얼른 회복해서 좋은 상태로 찾아뵐게요

  • @amikim85

    @amikim85

    2 ай бұрын

    @@smallbigclass 톤이 얼굴톤이랑 좀 안맞으신것 같아요 더 어두운 톤으로 하시면 자연스러울 것 같네요^^;;

  • @user-uy5rd3ry9r
    @user-uy5rd3ry9r2 ай бұрын

    작가님~ 손동작이 많으시다보니 집중에 방해가 되는거같아요~ 손동작은 좀 줄여주셨으면 좋을거같아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2 ай бұрын

    습관이라 쉽지 않네요 ^^;; 노력해보겠습니다. 귀한 피드백 감사합니다!!

  • @orbi-unique
    @orbi-uniqueАй бұрын

    전 직장인인데 얼마전 회사에서 사내교육으로 조직문화 관련 교육을 듣다가, 직원들에게 새로운 업무가 주어졌을 때 동기부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에 대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굉장히 많은 이야기가 있었지만, 한마디로 요약하면 조작가님 말씀처럼 "그 일의 중요성 및 의미"를 이해시키는 것보다 내가 그 일의 "원인행위자"가 되게하는게 더 중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실무진 입장에서 회사 일 대부분은 상사의 지시로부터 시작되고 그 일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돈을 벌기위해 하는 일이지, 온전히 그 일이 동기부여되서 하는 일인 경우도 매우 드물고요. 외적동기로는 물질적인 보상이나 포상 등등이 있겠지만, 직장인들에게도 내적동기는 매우 중요한데, 거기서 젤 중요한 개념이 "원인행위자"였습니다. 즉, 가스라이팅이든 뭐든 몇가지 선택의 기로에서 그 일은 내가 스스로 선택해서한 것이라 생각하게끔 만드는거죠. 조작가님 말씀처럼 아이 공부에 있어서도 아이 스스로 내가 선택해서 시작한 공부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Ай бұрын

    저도 댓글 읽으며 많이 배웠습니다. 귀한 인사이트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ell6187
    @ell61872 ай бұрын

    자녀교육 동기부여 전문가

  • @userhanam
    @userhanamАй бұрын

    선택을 누가 하고 살죠?? ㅎㅎㅎ 부모도 자기가 정말 선택한적 없어요. 아이도 선택했나요? 낳기만했지 어떤 아이가 나올지는 선택할수 없어요. 기준을 선택으로 하면 안될듯하네요...

  • @smallbigclass

    @smallbigclass

    Ай бұрын

    소중한 자녀분의 부모가 되어주시기로 '선택'하셨으니, 아이들을 위해서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시고 애쓰고 계신 거 아닐까요...?

  • @user-ik6cg4sp1n
    @user-ik6cg4sp1nАй бұрын

    지금 고1을 둔 아들맘입니다. 지난주부터 아이랑 수학 학원과 공부때문에 냉전중입니다. 자식 이기는 부모가 어디있겠습니까?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아이다 보니 도통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학교에서 지난주 상담했고 이번주 2차 상담해야 한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평범한 엄마이기에... 제가 뭘 어떻게 해야 아이와 갈등이 없이 지나갈지... 사춘기도 없이 지났다 생각했는데.. 지금이 그 시기인건지... 아님 작가님 말씀대로 아이가 원하는데로 두고 본인 스스로 선택하길 해야하는지.. 요즘은 제가 아이 눈치보기 바빠서.. 제가 왜 이래야하나 싶고... 마음이 좀 그렇습니다. 말주변이 없어서 아이와의 대화가 더 힘든게 아닌지.. 자꾸 반성하게 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