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이야기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 말할 때, '면장'은 무엇을 가리키며 한자로는 어떻게 쓸까요?
#한자이야기 #낱말이야기 #알아야면장을하지 #고사성어

Пікірлер: 772

  • @UUxdb
    @UUxdb3 жыл бұрын

    어떤 일을 하려면 그에 맞는 학식과 실력을 갖춘다는 뜻보다 알아야 담 안에 갇혀 있는 것과 같은 답답함을 벗어 날 수 있다 라고 해석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 @junhan3295

    @junhan3295

    3 жыл бұрын

    동영상이나 제대로 보고 댓글을 달던지 해야지 이거야 원..... 영상에 다 나오는 뜻풀인것을...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댓글 주시어 고맙습니다 ,

  • @user-vm6on5hg9k
    @user-vm6on5hg9k3 жыл бұрын

    뜻은 많이 알아도 면장이라는 뜻이 그런 깊은 뜻이 있는 줄 몰랐습니다. 작은 고을의 면장인줄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p8iq1vw2t

    @user-bp8iq1vw2t

    Жыл бұрын

    @정원 오 0ㅁ

  • @user-ts5wo8eu1k

    @user-ts5wo8eu1k

    3 ай бұрын

    항상 성원 고맙습니다 ,

  • @AI-nm9bl
    @AI-nm9bl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enola215
    @enola2153 жыл бұрын

    면면장이라 보면 되군요 탁월한 가르침을 감사합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성원 고맙습니다 ^^

  • @user-xn2mz9qx7j
    @user-xn2mz9qx7j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어렸을때 뜻도 모르고 많이 듣던 ' 면장' 잘 들었습니다.

  • @greenmountain5491
    @greenmountain5491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듣고 깜짝 놀랐습니다.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잘아는 이말이 그런 뜻이 있 는줄 미쳐 몰랐습니다 가르쳐 주셔서 참 감사 합니다.

  • @user-rc7nx1ny9i
    @user-rc7nx1ny9i3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사실을 알게됐네요~~잘 배우고 갑니다^^

  • @user-id9sw7th5r
    @user-id9sw7th5r3 жыл бұрын

    알아야면장을하지? 라는 말의 유래는 여러설이 있겠지만 실제사용은 우리가 아는 그 시골 面長 아닐까요?? 과거 公職 최소단위가 면이고 그 면의 대빵이 面長인데 面長을 하려면 어설프게 공부해서는 안되고 어려운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가능한 거라서 모르면, 즉 무식하면 面長을 할수 없다는 의미로 쓰여지면서 애들에게 공부를 독려하는 의미로 구전되어 오지 않았나 사료됩니다. 우리네 선조들은 먹고살기 힘들어서 못배웠고 그래서 그게 한이되어 자식들이 열심히 공부해서 面長되는게 소원이었습니다. 시골에서 면장의 파워는 대단하였으니까요... 제가 어렸을때는 면장의 한참밑 직급인 "면서기"가 마을에 나타나도 마을어른들이 공손하게 대하는것을 많이 봤습니다. 이상은 제 주관적인 의견이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예, 맞습니다. 저도 그렇게 많이 쓰지요. 저는 그 말의 연원이 어딘가 따지고있으며, 사실 지금도 제가 생각하는 의미로 판단하는 전문가도 있다는 것이지요. 귀한 답글 감사합니다!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무슨 파워? 탐관오리니까 어쩔 수 없이 네네 한 것이지요! 잘 못 보이면 손해막심 하니까...

  • @user-kz8pn7vi7i

    @user-kz8pn7vi7i

    2 жыл бұрын

    옛날엔 면장정도가 아니라 동네 이장해도 좋았습니다.^^ 막연히 면상장기의 면장인줄 알았네요 ㅎㅎㅎ

  • @user-qd3xm6th7i

    @user-qd3xm6th7i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학식이 없이 비비기만 잘하는 말잘듣고, 다루기 쉬운 사람들에게 일명 완장이라는것을 채워줬죠. 근데 그런 인간들이 학식이 없고, 자기 배만불리고, 위눈치만보니 뭐하나 제대로 할수있는일이 없었을겁니다. 그러다보니 그걸 흉보는 사람들의 입으로 구전되어 무식한 사람을 에둘러 표현하는 위트있는 우리나라의 속담형식으로 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담벼락을 마주한다라는.. 혹은 면면장이 줄어서ㅈ그렇다는 말은 억측이고 문맥상 맞지않는것같네요. 면장을하지.. 라는말은 면장을 누구라도 하고싶어하는 어떠한 신분이나 위치가 되는것이고, 알아야..는 그 행위나 도구가 되는데요. 이건 누가봐도 우리들이 여태껏 알아왔던 뜻이 맞는것 아닐까요? 굳이 그렇게 비틀고 깊게 들어가서 생각을 해야만 이해되는것이 아니라 가벼운 해학으로 이해되는게 우리나라의 구전속담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정확한 증거도없이 이럴것이다, 혹은 이런 내용으로 보인다는 추측만 가지고 많은 이들을 바보로 만들 이유가 없을것 같습니다. 차라리 밑글 장례치를 장 자를 쓰신 내용의 뜻인, 알아야 죽음을 면한다는 내용과 가는날이 장날. 이라고 쓰신분은 내용이 백만배는 더 납득이 갑니다.

  • @user-ts5wo8eu1k

    @user-ts5wo8eu1k

    3 ай бұрын

    면장 ㅡ 낯면 , 길장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늘 건강하십시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 @user-ck3fw7ym6k
    @user-ck3fw7ym6k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속담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if1ol4vh8r
    @user-if1ol4vh8r3 жыл бұрын

    한자 학습 좋은 시간 되어 감사합니다 .

  • @p1066614
    @p10666143 жыл бұрын

    쉽게 알기 어려운 단어인데, 교수님 덕분에 잘 알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dy95play
    @dy95play2 жыл бұрын

    다시 복습중~.. 매번 다시 들어도 너무 유익한 강의들 이네요..感謝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드립니다!!!

  • @user-de3km8jr4b
    @user-de3km8jr4b3 жыл бұрын

    설득력있는 설명에 감탄합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user-rg6vs4lt8z
    @user-rg6vs4lt8z3 жыл бұрын

    자주듣는 말인데 자세히알려주시니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user-yt2gq6fr8x
    @user-yt2gq6fr8x3 жыл бұрын

    아주 유익 했습니다.감사

  • @user-iz9mv9eq9x
    @user-iz9mv9eq9x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새로 한 단어 문장을 배우고 갑니다^^ 배움엔 핑게가 필요없네요 감사드립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3 жыл бұрын

    항상 感謝합니다 👏👍🙏🙏🙏

  • @membersear9899

    @membersear9899

    3 жыл бұрын

    安寧하제요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user-fx1rj5zy7y
    @user-fx1rj5zy7y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murexred7211
    @murexred72113 жыл бұрын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이 언제부터, 아니면 어느 시대에 사용되었는지를 찾아내고, 행정조직의 단위인 면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면 담장을 벗어난다는 뜻인지 면의 장을 한다는 것인지 알게 되겠네요. 재미있는 설명 잘 들었습니다.

  • @user-pm7nv9qz8r

    @user-pm7nv9qz8r

    3 жыл бұрын

    시골 면장 이야기는 결코 아닌듯... ㅋ ㅋ 나랏돈이나 빼쳐먹는 탐관오리족인데...?

  • @user-ti1bn4mf2n

    @user-ti1bn4mf2n

    3 жыл бұрын

    면사무소 장인줄 알았는데 Red님의 댓글에 공감합니다.

  • @naenim6

    @naenim6

    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기 전에는 저도 선뜻 납득이 되질 않았습니다. 옛 공동체에서는 면장이면 가장 가깝게 접하는 최고의 전문행정기관입니다. 그런데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말에는 (기본 정도만 알아도 된다는)면장을 낮춰 부르는 뜻이 포함되어 있기에 의아해 했습니다. "알아야 이장을 하지" 정도면 딱 맞는 표현이겠네요. 많은 전문성이 없어도 되는 마을공동체 대표 정도니까 기본 정도의 똑똑함만 있으면 되거든요. 영상에서 해석하신 내용에 긍정이 갑니다. 군수면장의 면장이 아닐겁니다.

  • @kichoonsung7678

    @kichoonsung7678

    2 жыл бұрын

    面長에 한표! 속담은 일반인이 쓰는 평이로운 말인데 너무 분석적으로 하다보니 엉뚱한 단어를 만들어 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user-rf9mv7du5s

    @user-rf9mv7du5s

    Жыл бұрын

    민간어원 이라고 하죠

  • @user-dr5qs7rf6e
    @user-dr5qs7rf6e3 жыл бұрын

    잘 배우고 갑니다.

  • @user-ws2ky9mo4u
    @user-ws2ky9mo4u2 жыл бұрын

    우리 친정아버님 꿈에 면장님이되셨대요 면장님이됬는데 서류를보니 깜깜무식해서 우리 팔남매 모아놓고 배움도한때요배울때는열심히배우며 악착같이배우라하션든마씀 칠십평생새기머살고있어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그러셨어요? 경험적 낱말공부라 할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 @user-koreaman
    @user-koreaman3 жыл бұрын

    좀 안다는 사람들일수록 자신의 울타리 안에 갖혀서 자기의 아는 것만 최고인양 착각들을 하십니다. 그 울타리를 벗어난다는 면장을 해야하는게 맞습니다. 제 눈에 안경이요 각자 색안경을 쓰고 세상들을 보고 있음을 알고 다시 잘 살펴보고 각자가 시각을 교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user-de3km8jr4b
    @user-de3km8jr4b3 жыл бұрын

    재미 있게 설명하시네요. 구독 신청하였습니다.

  • @jongkim6449
    @jongkim64492 жыл бұрын

    @"알아야 면장한다" 문장에서 "면장하다"는 하나의 "동사" 입니다. " 면장을(명사 뒤의 토씨) 한다"는 명사(면장) +토씨(을) +동사(한다) 꼴로 엉뚱한 결을 낳게 됩니다. 이경우에 "한다"는 글자가 "작용, 역할,능력, 등등의 의미로 둔갑하는 원인이 됩니다. @고로 "면장한다"는 동사인 것으로 기억하면 실수가 없습니다 즉 "능력, 역할"이 아닌 "면하다. 피하다"뜻으로 받아 들이게 됩니다. @ 이 단어가 다루어 진적이 종종 있지만, 선생님의 강의 뒤에 제 개인의 댓글을 쓰고보니, 제 스스로 완벽하게 공부한 느낌이 드는 아침입니다.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면장한다"는 표기가 훨씬 명확하게 다가옵니다. 감사합니다

  • @samahn32
    @samahn323 жыл бұрын

    시골 면장을 뜻한다는 데 한번도 의심을 품어본 적이 없습니다. 이 강의는 그 결론이 옳고 그르고를 떠나서 좋은 배움을 줍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참고할 만한 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불학면장'이란 낱말을 조회해 보시면 관련 글을 좀 더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성원 늘 고맙습니다 ^^

  • @gnsmy7437
    @gnsmy74373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어릴때 부터 듣던 말인데 이제 이해가 되었습니다

  • @user-uj3dh4qt6g
    @user-uj3dh4qt6g3 жыл бұрын

    일리가 있는 말씀이십니다.행정구역 면장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군요.그러고 보니 시골면장 보다 이면장이 훨씬 일찍부터 있었을것 으로 추정됩니다.

  • @user-nm3lk5fs4p
    @user-nm3lk5fs4p3 жыл бұрын

    면장이 맞아요. 동네 면장. 면장이란 동네일을 두루두루 알아야 하는 자리기 때문에 알야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은 아무리 하찮은 자리에 있다라도 지식과 견문이 있어야 된다는 말이 맞는거 같습니다. 지금 한자어는 구태어 견강부회하는거 아닌지. 너무 어려운말로 속담을 만들지 않자나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이 말은 우리나라 역사에 면장이라는 제도가 생기기 훨씬 이전에 있던 말로 생각됩니다만...

  • @naenim6

    @naenim6

    2 жыл бұрын

    님아.. 동네일 을 두루두로 알던 이들은 면서기입니다. 면장님이 몇급 공무원인지 알고나 폄훼하시나요?? 면장 자리가 조금만 유식하면 차지할수 있는.. 그렇게 우스운 자리였나요?? 농사짓거나 장사하거나 회사 다닐 능력 없으면 공부 쫌 해서 면장이라도 하면 되는건가요?? 향토사회에서 면장님과 조합장님은 아무나 되는게 아닙니다.. 무식하다고 해서 "면장이라도 하지"하고 말할 자리였나요?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naenim6 악질노릇 해야 되니까, 탐관오리들 처럼, 빽그라운드 깨나 있어야 됨? 님이 말하는 그 성인군자처럼 착각하는 우습지 않은 읍면동장 얼굴 보고 싶네요! 경험상....

  • @user-pw4yd8cu7j

    @user-pw4yd8cu7j

    2 жыл бұрын

    @@naenim6 누가 누구를 폄훼(貶毁)했다는 건지....???

  • @soohocho36
    @soohocho363 жыл бұрын

    55년전 한자 선생님 말씀이 일본말을 알아야 시골 면장한다고 하셨습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user-dw8yu4zl3c
    @user-dw8yu4zl3c3 жыл бұрын

    좋은 가르침 정말고맙슴니다 늘건강하시바람니다

  • @charlielee2572
    @charlielee25723 жыл бұрын

    100명중의 1~2명이나 제대로 이 의미를 알것같습니다. 60여년을 잘못 알고 있었는데 오늘 귀한 지식 얻어갑니다. 깊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베트남에서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먼 곳에 계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베트남은 집 지우면 둥근기둥은 뱀이 타고 올라 가니까, 육각기둥이나 팔각기둥을 선호 한다는데...? 비니루로 감싸면 온당 할 듯...?

  • @user-ps5rx2ir4s
    @user-ps5rx2ir4s3 жыл бұрын

    내가 팔십이 넘도록 알아야 면장을 하지란 말을 요즘 하는말 읍.면.동. 중 옛날에는 읍보다 면이 많기에 유식해야 면장을 하지로 알앗건만 선생니의 강의를 들으니 부끄럽고 고맙습니다.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2 жыл бұрын

    이경엽교수님!! 항상 명강의에 고맙습니다 건강하십시요 대구 상서중고등학교 한자공부는 어려서부터~~~ 한자 조기교육의 필요성과중요성 강조합니다 이재석올림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daily-traveler
    @daily-traveler9 ай бұрын

    대단한 채널입니다. 멋져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9 ай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s5wo8eu1k

    @user-ts5wo8eu1k

    3 ай бұрын

    항상 성원 고맙습니다 ,

  • @dy95play
    @dy95play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열공~.. 매번 너무 유익한 강의들 이네요..잘 몰랐던 상식 까지 알려주시고 感謝합니다~.. ^^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be8zp7tf5i

    @user-be8zp7tf5i

    Жыл бұрын

    자유당때 지역유지중에 무식하나 언변이 좋은 사람을 추천하여 면장을 시키든 시절에 나온 말이라 어른들에게 듣은기억이 나는대 그게 아닌가 ?

  • @user-nj5he1ur3f
    @user-nj5he1ur3f2 жыл бұрын

    오늘 정말 크게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user-kh5ve7cc6p
    @user-kh5ve7cc6p3 жыл бұрын

    고맙습~

  • @user-nb6fo5lw7z
    @user-nb6fo5lw7z Жыл бұрын

    알아야 면장을 한다. 영상을 다시 보니 내용이 쏙 들어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jooone7412
    @jooone7412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inp9344
    @jinp93442 жыл бұрын

    제가 50여년전에 직장에 처음들어 갔을때 어떤분 생각이 납니다.이분은 무학자로 6.25때 군에 가서 운좋게 공을 많이 세워서 장교까지 진급해서 5.16때 소령으로 제대해서 어느 면에 면장으로 가게 되어는데 그때만해도 모두가 한자판이라 도저히 글자를 몰라서 못해먹겠더랍니다.그래서 그만두고 우리직장 기능직으로 근무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분을 부를때 지금도 생각나는데 성뒤에 소령이라 부르던것이 생각납니다.

  • @user-fk6rx3cu9x
    @user-fk6rx3cu9x2 жыл бұрын

    들을 수록 재미있고 도움을 받네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bu5rw6lg1b
    @user-bu5rw6lg1b3 жыл бұрын

    생활속담중 제일 재미나는 코미디 이기도합니다. 정확한지적 감사해요!

  • @insuoh7344
    @insuoh73442 жыл бұрын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bkkim5968
    @bkkim59682 жыл бұрын

    공부 잘 하고 갑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fv4ru9pe7u
    @user-fv4ru9pe7u Жыл бұрын

    감사 합니다 공부잘하고갑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성원 고맙습니다 🙂

  • @sunnystickel4251
    @sunnystickel4251 Жыл бұрын

    작은마을에 면장으로만알었네요 죽을때까지 배운단말 ...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forestpak4249

    @forestpak4249

    Жыл бұрын

    70년대부터 저는 면장의 뜻이 작은 마을의 면장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 또래 사람들이 모두 그렇게 알고 사용을 해왔으니, 당연히 마을의 면장이 맞다고 봅니다. 한자마당 선생님께서도 짐작으로 강의하신 것이라, 참고로만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 제 의견입니다.^^

  • @user-zg4cs4mb5r
    @user-zg4cs4mb5r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듣고 免墻 하는 중입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dj6ci1bz2e
    @user-dj6ci1bz2e3 жыл бұрын

    우와 파자 실력 대단하십니다

  • @ceosealemon
    @ceosealemon Жыл бұрын

    면장: "면(面)의 행정을 맡아보는 으뜸 직위" 일겁니다. 일제시대 만든 단어 맞고 속담도 그 때 나왔는것 맞습니다. 참고는 面 행정구역 어원은 중국에 만들어졌고 일본에서 面所는 마을 단위 최소 재판소로 이용되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좀 구체적인 정보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 @life-tip-tv

    @life-tip-tv

    18 күн бұрын

    참 답답도 하십니다. 영상을 다 보신건지..쯔쯔

  • @uhl5164
    @uhl51643 жыл бұрын

    이 속담이 뜻이 궁금했는데 잘 배우고 갑니다

  • @user-fs3wh4lz6p
    @user-fs3wh4lz6p Жыл бұрын

    여전히 멋지시네요 건강하시고요... 참 최고입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ftv8028
    @ftv80289 ай бұрын

    면장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도 일리는 없지 않습니다만, 그러나 이 말은 1960년대 지방자치단체장의 하나인 읍면장을 뽑을 때 유래된 말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당시 면장 선거 후보 결정과 결과를 놓고 비아냥 거리는 말로 "알아야 면장을 하지" 라는 말이 유행 했었다고 들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9 ай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ts5wo8eu1k

    @user-ts5wo8eu1k

    3 ай бұрын

    좋은 의견 공유 고맙습니다 ,

  • @nexcrom

    @nexcrom

    18 күн бұрын

    논어에 면장 이라는 말이 나온답니다 읍면장이 아닙니다 제발

  • @mitchellkim7299

    @mitchellkim7299

    17 күн бұрын

    알아야 면장을 하지

  • @user-fb7yb1ur2u
    @user-fb7yb1ur2u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네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9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cheonsdae
    @cheonsdae3 жыл бұрын

    좋은 배움이었습니다 ..!! "많이 배운 다른 사람은 장관을 할 때 ....배우면 ....최소 시골 면장이라도 하지"로 생각했으니 ...ㅎㅎ

  • @user-cs5tc5mr7d
    @user-cs5tc5mr7d3 жыл бұрын

    행정구역 ‘면’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시대에 한명회의 건의로 경국대전에 면리제가 법제화되면서 쓰이기 시작했지만 이때의 면은 말 그대로 '어디 방면'이라는 뜻으로, 수령이나 유향소(지금으로 치면 시군구 의회)에서 면윤이나 권농관을 자체적으로 임명하기는 했지만 이들은 기본적으로 수령(지금 기준으로 시장, 군수, 구청장)을 보좌하는 역할을 했기에 군현에 딸린 행정구역으로써 별개의 행정 기능이 없고 단순히 고을을 편의상 나눠놓은 지리적 구분 정도였다.각 면에 면사무소를 세우고 기존의 군과 별개로 주민에게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것은 1917년 면제 시행 이후이다 면장이라는 직위는 일제시대에 생겼습니다

  • @hatshepsut273
    @hatshepsut273 Жыл бұрын

    여태껏 시골 면의 면장으로 알고 있었네요...어릴적 저 말을 처음 들었던 그 당시 시골에서 면장이면 꽤 학식과 권위가 있던 자리였거든요 시골에선 높은 사람 하면 면장, 지서장, 군수까지... 장관 국회의원 이런 자리는 아주 멀게만 느껴지는 실감 안나는 자리였고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ch8cp5yj9k
    @user-ch8cp5yj9k3 жыл бұрын

    감사 드립니다ㆍ뜻 알았습니다

  • @user-fc6mb6sm2b
    @user-fc6mb6sm2b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lr3jf3ew1o
    @user-lr3jf3ew1o2 жыл бұрын

    면사무소 면장으로만 알고있었는데 담장을마주보는면장 다른한자뜻이있는줄몰랐습니다 잘배웠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amsonny206
    @samsonny2063 жыл бұрын

    그 면장이 면의 장인줄 알았습니다 ㅋ 그래서 왜 동장 읍장 아니고 면장을 높게 보나 의아하게 생각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참고할 만한 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불학면장'이란 낱말을 조회해 보시면 관련 글을 좀 더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ek2mb6hj6w

    @user-ek2mb6hj6w

    3 жыл бұрын

    저도 면장이 읍장, 동장 할 때 그 장인 즐!

  • @user-yt2gq6fr8x

    @user-yt2gq6fr8x

    3 жыл бұрын

    저도 한 마을의 장인줄...ㅠㅠ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총경이 노는 자리에 경정이 왜 나옴?

  • @jung5128
    @jung51282 жыл бұрын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이런뜻이었군요.

  • @user-do3kh7sq5u
    @user-do3kh7sq5u Жыл бұрын

    중학교 한문 시간에 "면장을 면한다"라고 배운 거 같았는데 언젠가부터 면장을 한다라고 통용되길래 제가 여태 틀린 줄 알았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네, 공감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ie9og2up1v
    @user-ie9og2up1v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면장과 전혀 다른 뜻이군요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eu8yf6jl4c
    @user-eu8yf6jl4c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w7go1jf5n
    @user-hw7go1jf5n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일일이 面長이라 우겨대는 사람들에게도 온화한 답변해주시네요 ~ 중문과전공자들은 알고있는 상식인데 ~ 첨가하자면 면면장이 어원입니다. 공부를 게을리하는 학생에게 담장을 보고 서있는 벌을주면 주변이 보이지않아 자신을 돌아보게하는 방법에서 유래되었지요 그벌을 면하게해준다해서 免 面墻. 面長은 동음이어일뿐~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tf3zd7ph8l
    @user-tf3zd7ph8l2 жыл бұрын

    논어 양화편에 나오는 말과 무관하게 일제시대에 일본어를 알아야 면장이든 면서기든 하든 그런시절이 있었지요. 당시엔 일본어를 조금만 해도 출세할수도 있는 시절이어서 그런말이 유행했었던 걸로 저는 들었습니다. 논어와는 사실 별 무관한걸 훗날에 가져다가 붙인거로 보입니다. 뜻도 통하지 않아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d9dw9mj8o
    @user-rd9dw9mj8o2 жыл бұрын

    어원을 캐고 의미를 두자면 당연 옛 그시대는 그렇게 해석 되리라 봅니다. 언어는 시대마다 변화를 거듭한다고 볼때 근대에 이 말을 주로 사용하는사람들이 무엇을 염두에 두고 사용한다 하더라도 틀림은 없다 생각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2 жыл бұрын

    하이고~~ 하이고~~~ 저 같은 돌대가리는 한두 말씀은 알아들을 수 있는데 나머지는 기억을 못하고 알아들었던 것도 곧 잊어버려요. 다시 박사님 가르쳐 주신 면장 한자로 쓰라면 못 써요. 하이고~~~ 하이고~~~ 저는 너무 어렵고 힘들어 한문 안쓰고 한글로만 쓸래요. 더욱이 저는 영어, 독일어, 일본어는 한문 보다 더 어려워서 이것도 외면 해요. 박사님,,,,, 저같은 돌대가리는 담밖에도 얼신도 못하시게 하시고 수재들만 평생 품안고 사세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한자를 외우고 알면 더 좋겠지만, 어려운 글자들이 많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말에는 원래 한자로 만들어진 낱말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자로 만들어진 한자어(낱말)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그 낱말을 만든 한자를 알아야 되겠지요. 한자를 몰라도 한자로 만든 낱말을 알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좀 억지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자주 쓰다보면 한자로 만든 말도 한글로만 써도 대충 그 뜻을 알 수 있고 사람들과 이야기하거나 글을 읽는데 큰 불편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충 아는 것 보다는 정확히 아는 것이 더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는 쓰지 않고 배우지 않다 보니 한자가 머리에 남아있지 않는 것이 문제지요. 그러나 머리에 남지 않는다고 완전히 한자 까막눈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 번 익혀 두면 머리 어느 구석에 남아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아, 그렇지, 이것이 한자나말인데, 지금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이러이러한 뜻이 있었어 정도는 알 수 있게 됩니다. 그때 국어사전을 찾아 낱말을 한번 확인하면 좀 뚜렷한 뜻을 알 수 있고, 이것을 반복하면 낱말의 본래 뜻에 많이 가까와지게 됩니다. 어렵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한번씩이라도 대충 눈으로 보고 흘려보내더라도 공부해 놓는 것이 우리의 언어 생활을 풍요롭고 바르게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저는 한자를 공부하자고 주장하지만, 한자를 글자로 쓰는 것은 반대합니다. 한글 표기만으로도 충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뜻을 알기 위해서는 한자 지식이 깔려 있어야 된다고 보는 것이지요. 한자를 배우는데 돌대가리는 없습니다. 배우지 않으므로 모릅니다. 일본에 가거나 중국에 가면 길거리에 노숙하는 사람들도 다 한자를 압니다. 특별히 지능이 낮은 사람이 아니면 다 한자를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라고 그들보다 못해서 한자를 기억 못할까요? 매일 쓰지 않으므로 그들보다는 머리에 남은 것이 적을지라도 아, 그런 글자가 있고 그런 뜻이 있어!!!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한 번 도전해 보세요, 한자공부에. 한자를 알면 그만큼 정확한 지식을 지닐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2 жыл бұрын

    하이고 ~~~ 고맙습니다. 자세히 논리적 체계를 갖추어서 이 돌대가리에 귀구멍이 비집어 뚤리도록 귀하게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아시다시피 오늘날은 각 학문분야가 과거와는 비교 자체가 아니될 만큼 세밀히 방대히 발달발전 되어 있습니다. 이래서 이 세밀한 세부세계에서는 온백성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아닌 용어를 써야 합니다. 하다보면 국민언어로는 표명 자체가 아니 되거나 대단히 어려운 경우도 부지기수 있습니다. 이때는 인용표시를 하면서 외래어를 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시다시피 가장 밑바닥 백성의 삶의 애환을 깊이 심도있게 고려하신 세종대왕께서는 대신과 이하 신하( 모든 관직자)들이 이 어려운 한자를 가지고 이를 모르는 대부분의 백성들위에 군림하고 이들의 노동과 재물을 수탈하는 강력한 도구와 수단으로 삼고서 이렇게 하여 호의호식하며 영원히 공고화 시키시는 작태를 보시고서 최측근 대신들도 외면하니 어쩔수 없이 혼자 단신으로 한글창제를 하시어 이러한 대신과 관직자들의 악행만행을 막아보려 하셨지만 수백년이 흐르고 흘러 이시대에 간신히 이나라에 민주화운동이 일어나 성공선에 이르시므로서 비로소 세종대왕님의 크나크신 밑바닥 백성의 자애자비심이 제대로 실천에 이르시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즉 한글전용화가 이루워져 가고 있으십니다. 이제는 재판서에도 밑바닥 백성님들께서 알아들을 수 있는 한글로 말을 하고 쓰신다지요. 아시다시피 과거에는 재판받는 분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용어를 쓰시니 그 재판은 코에 걸면 코걸이 재판, 귀에 걸면 귀걸이 재판이라는 비아냥의 재판명함을 잘도 받들고 다녔다지요. 자~~~ 그러니 지능지수가 높으신 박사, 교수이신 분들 이제 더이상 과거에 악습억폐를 전수받지 마시고 즉 이런저런 이유 변명 꼬트리 들고 나와 과거 수백년 같이 저항하지 마시고 밑바닥 만백성을 위해 한글 전용화에 매진해 주심이 어떨런지요. 일상에서는 쓰지 않는 전문용어는 인용문을 달고서 외래어를 쓰면 되니까요. 박사논문에서는 이 인용문을 달고서 남의 논문이나 저서를 잘도 이용 사용 하고 있는 줄 아는데요. 아뭏은 정성 스럽게 답글 올려 주셔서 감사에 인사 올립니다. 확실히 한문에는 그야말로 오묘하고 깊고 깊은 세상사 진리가 담겨 있으신것 만은 확실 합니다. 그러나 진리 보다 더 위이고 소중한 것은 만인류애, 만인류의 사랑 이라는 사실은 교수 이시고 박사님 이라시면 이 정도는 인지 하시고 계시겠지요. 아뭏은 면장 이라는 그 참뜻을 일생을 살면서 모르고 사용 하면서 한 인생을 서글프게 살아 왔은데 박사님이 아니시면 모르고서 이 한생을 마쳤을 텐데 대단히 고맙다는 인사를 다시 한번 올리 옵니다.

  • @user-go9uc7oc6e
    @user-go9uc7oc6e3 жыл бұрын

    그러한 뜻도 관련되기도 했겠지만 어른들이 주로 사용하던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은 시골면장, 이장을 뜻하며 회자되었던 것입니다. 통계상으로 해방후 우리민족이 80%의 문맹율 이었습니다! 그당시 주로 일본인들이 자리하던 공직등의 빈자리를 한국인들이 이어받아서 국가행정을 이어가게 되었는데 한글만 알면 면장,이장등 자리에 일을 맡기는 시절이 된것입니다. 저희 아버지가 실제로 8.15해방 몇년후에 이장을 맡아서 몇년동안 일을하셨습니다. 그런데 당시에 문맹자가 워낙많으니 국민학교도 (당시 소학교)다니지 못한분인데 서당에서 한문을배우고 한글은 깨우치셔서 당시에는 리장(7~8개마을)을 하시게 되었던 것입니다! 참고로 학교도 않다닌분이 주변교도소에서 일본인들 철수후 교도관이 갑자기 부족하니 교도관 응시자격도 주어서 시험을 보셨으나 탈락! 시험내용이 백두산이 어느도에 있나? 이정도인데... 소학교도 안나왔으니.. 당연히 안되지요. 당시에 한글만 알면 면장도 하는 시절 이어서 "알야야 면장을 하지" 라는 말도 그시절부터 주로 회자된거로 보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참고할 만한 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불학면장'이란 낱말을 조회해 보시면 관련 글을 좀 더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greatking5008

    @greatking5008

    Жыл бұрын

    이그~ 단지 글을 안다고 면장을 시켜주나요? 동네 이장이면 몰라도! 그런 분이 정말 있던가요? 궁금하네요 ㅋ 그리고, 일제가 우리 글과 문화를 탄압해서 해방 직후에 '잠깐' 문맹률이 높았고, 곧 평균 이상으로 상향되었다네요. 배우기 쉬운 한글, 무엇보다, 전쟁통에 피난 가서도 아이들 모아 수업을 한게 우리 국민들입니다. 저도 오늘 다시 생각하게 되었지만, '면장'은 '면면장'이 줄여진 말인 것 같습니다. 격동기, 널리 쓰이다 보니 원래의 의미가 변한 것이 맞는 것 같네요.

  • @milkit_box
    @milkit_box2 жыл бұрын

    오 결국 최고 조회수 나왔네요. 축하드립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이 채널을 항상 봐야 면장을 할 수 있다 생각하거든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축하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도 면장할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w4yd8cu7j

    @user-pw4yd8cu7j

    2 жыл бұрын

    댓글 또한 봇물 터지듯이 콸콸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항상 성원 고맙습니다 ❤

  • @mathamour
    @mathamour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oddments
    @oddments Жыл бұрын

    웃으실 때 은근 귀여우심 ㅎㅎㅎ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Ай бұрын

    어서 오십시오 💚

  • @user-dr5qs7rf6e
    @user-dr5qs7rf6e Жыл бұрын

    또 잘 배우고 갑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 @piaozexiang
    @piaozexiang3 жыл бұрын

    알아야 고비를 넘긴다.알아야 고개를 건너가다.알아야 합격할수있다는 그런 뜻으로 생각하면 되는가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글쎄요, 그것보다 좀 크게 보는 것을 뜻하지 않을까요? 어떤 특정 사안에 대한 해결책보다 더 큰 범위의 원칙을 말하지 않을까요? 배워야 시야가 넓어진다. 모든 사안에 있어서... 감사합니다!

  • @user-rc5im5vw1t
    @user-rc5im5vw1t2 жыл бұрын

    감사 합니다 많이 공부 하고 갑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namujung5795
    @namujung5795 Жыл бұрын

    얼핏 생각하면 免墻이 맞아 보이지만, 선생님의 설명을 듣다보니 面牆이 맞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성현들께서 面牆을 해선 안된다고 가르침을 주실 때 그 조차도 뭐라도 알아야 할 수 있지 않겠냐는 뜻으로 이해되기 때문입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eogksalsrnrrkaehd5104
    @eogksalsrnrrkaehd51043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때 일본은 한국인을 제대로 교육시키지 않았습니다 갑자기 광복되어 대한민국은 제대로 된 관료를 뽑지못했고 지식인이나 인재도 없고 그래서 대충 면에서 일하던 임시직을 면장으로 임명했더니 제대로 아는게 없어 면장직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생긴말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참고할 만한 글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불학면장'이란 낱말을 조회해 보시면 관련 글을 좀 더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스스로 찾아서 알아 하는 것이, 삶의 기본원칙인데... 일본인 탓 하면...? 원시인들은 멸종 되었어야...!

  • @vnfmsqufkim6000
    @vnfmsqufkim60003 жыл бұрын

    한자를 좀 안다고 하면서도 이 면장에 대해서는 몰랐네요. 감사. 사실 한자는 줄임말이 많아서 본 뜻을 헤아리기가 쉽지 않아요. 여기서도 면면장이라고 서 놓는다면 능히 짐작할 수 있지만 그저 면장이라고 하면 핝자로 서 놓아도 그 뜻을 쉽게 알기 어렵죠.

  • @user-ul1it4rr9l

    @user-ul1it4rr9l

    3 жыл бұрын

    설명은 이해가 가지만 그런 말이 중국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네요. 짐작컨데 일제시대 때에 생겨난 말이 아닐까 생각됩 니다. 그때는 백성들이 대부분 무지했기 때문에 ...;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사서오경쯤은 알아야 한자를 좀 안다 할 수 있지 않남?

  • @davysihn2633
    @davysihn26333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사실을 알았네요...잘 배우고 갑니다...

  • @TV-vb7rq
    @TV-vb7rq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한자마당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injin9953
    @jinjin99533 жыл бұрын

    면장의 뜻을 제대로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e7qm9py9u
    @user-oe7qm9py9u2 жыл бұрын

    한자공부하려고 구독신청했어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wj1gl8wy1u
    @user-wj1gl8wy1u Жыл бұрын

    대충 쪼금 알았었는데 감사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ser-wj1gl8wy1u

    @user-wj1gl8wy1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zp8dh7dq5k
    @user-zp8dh7dq5k2 жыл бұрын

    수고 많으십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zp1gb6ps9s
    @user-zp1gb6ps9s Жыл бұрын

    지금껏 행정관리 직책으로만 생각했는데~~~! 참 묘하네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ve4mk8gz5c
    @user-ve4mk8gz5c7 күн бұрын

    이건 이분 생각이고... 그냥 동네 면장이 맞습니다.. 국어는 사회다수의 통념으로 가는 것이죠...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7 күн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StCivilian
    @StCivilian2 жыл бұрын

    읍..면.. 동장인줄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감사드립니다!!!

  • @user-xz6sk1lq6d
    @user-xz6sk1lq6d3 жыл бұрын

    알아야 면장이라도하제!!!

  • @life-tip-tv

    @life-tip-tv

    18 күн бұрын

    알아야 면장하지..라고 쓰는게 맞겠군요

  • @user-bs6bw7lp9s
    @user-bs6bw7lp9s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박경리 선생의 장편소설 토지(20권)를 읽어보면 일제강점기때 사실상 명예직에 불과했던 면장에 친일파를 앉혀 강제징용간 장정의 부모에게 형식적으로라도 위로겸 인사를 하게 했는데 이것도 면장이 면내 사정이나 예절등을 너무 모르면 역효과가 나기 때문에 어느정도 학식을 갖춘 사람이어야 면장을 시킬 수 있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물론 박경리 선생이라고 다 아시는 것은 아니겠지만 여러 사정상 그럴 가능성이 높지 않나 싶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네, 충분히 일리있는 말씀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당시 이미 '면면장'이란 말이 오랫동안 사용되었기 때문에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말로 패러디하기 쉬웠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당시의 시대 상황을 잘 설명하고 사람들이 알아듣기 쉬웠기에 아무런 저항 없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user-ts5wo8eu1k
    @user-ts5wo8eu1k3 ай бұрын

    면장 한자풀이 입니다 ❗ 면할 면 담장 낯면 길장 강의 경청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kf5eb5oc6d
    @user-kf5eb5oc6d2 жыл бұрын

    담을 마주하고도 그 벽을 느끼지 못하고 살아온 것 같아 부끄러워집니다 배우고 익히는 것은 기쁘고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드립니다!!!

  • @user-lo5vs4fe4x
    @user-lo5vs4fe4x Жыл бұрын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말은 과거로부터 전해내려온 속담이 아니라..일제시대 면장이 생기고 나서 아무나 면장을 시킬수 없으니 조금이라도 학식이 있는 사람이라야 면장을 한다는데서 생긴 속담이지요..이런걸 식자우환이라고 합니다..

  • @hskim7584

    @hskim7584

    28 күн бұрын

    이 동영상 첫 머리에 그런 게 아니라 하고 있네요. 나도 님처럼 생각하고 있었지만, 늘 의심스러웠는데 이제 이해가 가네요.

  • @gogoomi99

    @gogoomi99

    25 күн бұрын

    옳습니다. 올바른 밝힘에도 동영상의 내용을 지지하는 꽤 사람이 있군요. 잘못된 정보가 많은 사람을 미혹하고 바보로 만듭니다.

  • @hskim7584

    @hskim7584

    25 күн бұрын

    @@gogoomi99 그러니까 자기가 생각하는대로만 받아들이는 인간들이 많다는 것이 문제. 이 동영상을 만든 사람이 왜 만들었겠어? 당신이 생각하는 면장이 아니니까 우매함을 깨우치라고 만들었지. 다른 대도 좀 찾아 공부부터 하고 댓글을 써

  • @user-jitell3849

    @user-jitell3849

    25 күн бұрын

    당신이 잘못알고계시네요 ㅋㅋ 이제라도 깨우치면 됩니다

  • @life-tip-tv

    @life-tip-tv

    18 күн бұрын

    영상을 앞부분만 보고 댓글을 쓰신듯...ㅋㅋㅋ😅

  • @shyhappy6810
    @shyhappy68103 жыл бұрын

    신기하네요

  • @user-nj4bq2mf2h
    @user-nj4bq2mf2h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점심식사 하셨나요..웃는 상에 푸근한 인상때문에 또 시청하고 있네요..한자공부는 덤 ㅋ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joohwanlee9198
    @joohwanlee91982 жыл бұрын

    나이 육십에 이제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wf6bz1kb2k
    @user-wf6bz1kb2kАй бұрын

    고견에 감사드립니다. 저의 소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아야 免障을 한다." 障은 곧 障礙를 뜻합니다. 불교에서 장애라는 뜻의 業障이라는 말을 흔히 씁니다. 면장 즉 장애 또는 업장을 소멸하려면 고통의 원인을 잘 알아야 하는데 장애는 無知 즉 無智에서 오는 것이므로 지혜를 쌓아야 합니다. 그래야 免障하는 것입니다 마치 구름이 걷히면 밝은 태양이 보이듯이...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Ай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wm8ce9ye3l
    @user-wm8ce9ye3l3 жыл бұрын

    9급부터 시작한 지방행정직 말단 공무원에게는 면장(5급 지방사무관)까지 승진해서 퇴직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면의 책임자로 높은 직급입니다. 거의 대부분 6급에서 퇴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 ..고사성어의 가르침에 일맥상통 하니, 요것도 맞는 말로 해석 해도 될 듯합니다. ..ㅎㅎㅎ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주변 상황이라는 것이, 빽그라운드나 비하인드에서 당에 가입 되어야 가능 할 듯?

  • @HYLEE-we9gt

    @HYLEE-we9gt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추천을거처 시험을 통과해야 했는데 요즘은 학연 지연 혈연 옆집아저씨가 지방자치 단체장이면 한자리씩 하고 나오는 자리가 되었지요! 복불복이지요!

  • @junbokli8959

    @junbokli8959

    Жыл бұрын

    9급 공채에서 근속으로 승진한 경우 대부분 6급으로 정년퇴직이고 5급으로 승진하려면 승진시험도 보고 조직에서 인간관계도 좋아야하니 알아야 面長이긴 합니다. 5급이면 "사무관"이고 제사 때 부군신위 앞에 직급을 넣을 수 있기도 합니다.

  • @hskim7584
    @hskim758428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 원래는 “알아야 면면장을 하지“ 또는 ”알아야 면장을 면하지”이었겠네요. 그게 일제시대 때 시골의 원님 격인 면장이라는 벼슬이 생기게 되니 “알아야 면장(질)을 하지”로 변질되어 버렸군요. 나도 들을 때 마다 아는 것을 왜 하필이면 면장과 연결시킬까? 의문이었는데, 이제 이해가 갑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8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