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이야기 낱말이야기

'사돈'이란 말의 뜻과 유래는?
돈오돈수?

Пікірлер: 133

  • @user-qb4os3ij4f
    @user-qb4os3ij4f3 жыл бұрын

    인상 좋으신 푸근한 아저씨 훈장님 뵙기만해도 기분 좋아 지네요 늘 건승하세요 감사합니다 ㅎ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 @dy95play
    @dy95play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열공~.. 매번 너무 유익한 강의들 이네요..잘 몰랐던 상식 까지 알려주시고 감사합니다~.. ^^..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3 жыл бұрын

    인물도 훈훈하시고~ 목소리도 훈훈하시고~ 공부 잘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ㅎㅎ, 감사합니다

  • @user-mx6pc5pe7s
    @user-mx6pc5pe7s3 жыл бұрын

    인간관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예전에는 윗 어르신 한테 배웠는데 요즘에는 배우기가 어려워서 불편 했는데 선생님께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응원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km9vn3ps8y

    @user-km9vn3ps8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og1nu5pb8c
    @user-og1nu5pb8c3 жыл бұрын

    사돈이라는 말이 한자가 있는 줄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저건 한자로 써줘도 당연히 현지인들은 모르는 말입니다. 나머지 한자어들은 제가 사는 중국에서도 똑같이 사용됩니다. 顿首는 요즘말로는 叩头라고 합니다. 顿 이 원래 짧은 순간의 의미가 있어서 갑자기 라는 뜻의 顿时 라는 단어가 있고 整理는 한국과 의미가 동일하지만 整顿의 경우 여기서는 행정기관의 단속 행위를 뜻합니다.

  • @user-tj9yi4gu2j
    @user-tj9yi4gu2j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11 ай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i9jm9sg3m
    @user-hi9jm9sg3m3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3 жыл бұрын

    실력이 대단하십니다ㆍ 요즘 한자가 없어져가는 세상에 다시 기억을 일으키게되니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user-jb7gk9xk3s
    @user-jb7gk9xk3s3 жыл бұрын

    깊이 있는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zh6he8kx3m
    @user-zh6he8kx3m2 жыл бұрын

    강의 멋집니다.쉽게 익힐수있어 좋아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bp3sy7ld9e
    @user-bp3sy7ld9e3 жыл бұрын

    선배님 반갑습니다 좋은자료 정말대단하십니다 역쉬입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예,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km9vn3ps8y

    @user-km9vn3ps8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2 жыл бұрын

    査頓 좋은 낱말공부를 공부했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user-rt8sg1lj5j
    @user-rt8sg1lj5j3 жыл бұрын

    항상 푸근하신 설명말씀 고맙게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dr5qs7rf6e
    @user-dr5qs7rf6e3 жыл бұрын

    잘 배우구 갑니다.

  • @user-ph5fo3rv4e
    @user-ph5fo3rv4e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dy95play
    @dy95play2 жыл бұрын

    다시 복습중~.. 매번 다시 들어도 너무 유익한 강의들 이네요..感謝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of2kr2je2o
    @user-of2kr2je2o6 ай бұрын

    査조사할 사,頓조아릴 돈,査頓,頓首,頓悟頓修,頓悟漸修,漸悟漸修,整理整頓,수준 높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6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 Жыл бұрын

    ,폭염에 수고가 많으십니다 오늘도 復習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kc1wk3jo5r
    @user-kc1wk3jo5r2 жыл бұрын

    잘공부할기회를주셧네요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pk4yl9jj6k
    @user-pk4yl9jj6k3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아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제게 주시는 최고의 칭찬입니다. 더 열심을 내겠습니다!

  • @user-ig2gt2iv2j
    @user-ig2gt2iv2j2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우고 있읍니다.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드립니다

  • @bkkim5968
    @bkkim59682 жыл бұрын

    공부 잘 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ph5fo3rv4e
    @user-ph5fo3rv4e3 жыл бұрын

    까먹어서 다시 한번 공부하고 가요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vo4kj8qs1e
    @user-vo4kj8qs1e2 жыл бұрын

    이 때는 살필 사, 고개 끄덕거릴 돈으로 해석합니다. 건너편 사돈이 술잔을 다 따루었는지 살피고 같이 잔을 들어 한 잔 권하고 다 들이키고 확인하고 고개를 절하듯이 끄덕거리는 정황으로 생겨난 아름다운 어휘입니다.

  • @user-ev3io2kw3b
    @user-ev3io2kw3b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잘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j4bq2mf2h
    @user-nj4bq2mf2h3 жыл бұрын

    인상이 참 좋으세요...푸근푸근...자주 시청할게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ive0050
    @live0050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복습합니다. 감사합니다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mc4gm3db1c
    @user-mc4gm3db1c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사돈의뜻과 한자 잘 알았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seoulin6925
    @seoulin6925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ep1vq7qu6b
    @user-ep1vq7qu6b3 жыл бұрын

    감사해요

  • @ROKMC809
    @ROKMC809 Жыл бұрын

    잘 듣고 있습니다. 인상이 너무 좋으시고 설명도 아주 친절하셔서 ㅎ 팬이 될 것 같네요 ,, 항상 건강하시길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좋게 봐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2 жыл бұрын

    말뚯의 유래가 참으로 낭만적이내요

  • @user-io5rn4mu3t
    @user-io5rn4mu3t3 жыл бұрын

    하.. 선생님 아니면 평생 모를뻔 했네요 감사합니다^^ 나중에 올케나 조카도 좀 알려주세요 조카는 족하같긴한데 한자어인지 만주어인지 헷갈립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

    2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

  • @user-dx9es9xg1q
    @user-dx9es9xg1q3 жыл бұрын

    차례 와 제사 한번더 설명 부탁 합니다

  • @user-we2oe8yt4n
    @user-we2oe8yt4n3 жыл бұрын

    돈오 즉 궁즉통 이 되는거죠. 소위 만우인력을 사과 떨어진 것으로 깨달았다던가 등이죠. 꾸준히 그리고 골똘한 연구 끝에 깨달음은 한방레 온다. ㅎㅎ 깨달은 이상 뭐이가 수행이 필요하냐? 필요없다. 이게 돈오돈수 가 성철 스님의 가르침인데, 기존 불교 선종에서의 돈오점수 통설에 충격을 줬다는 뭐 그런 얘기 덧붙여봅니다.

  • @mokita7591
    @mokita75913 жыл бұрын

    撒敦,读音是sǎ dūn 蒙古语。亲戚,亲属。(중국 百度) 출처: 元 关汉卿 《调风月》第四折:“双撒敦是部尚书,女婿是世袭千户。” 元 李五 《虎头牌》第二折:“我也曾吹弹那管弦,快活了万千,可便是大拜门撒敦家的筵宴。” 明 贾仲名 《金安寿》第四折:“对着俺撒敦家,显耀些抬颏。” 네이버 사전: САДАН [사땅] 친척, 친족, 인척. (울란바타르대학교 몽골어-한국어 사전)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제가 제대로 읽지 못합니다만, 사돈은 몽고어라는 뜻이겠지요. 감사합니다.

  • @user-bo6bg4jt5p

    @user-bo6bg4jt5p

    3 жыл бұрын

    영어 사돈을 친척 : , relatives 라 칭합니다. 🦆🦆

  • @user-hn2uf9gz5l
    @user-hn2uf9gz5l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KimDeKhan
    @KimDeKhan3 жыл бұрын

    🙏.

  • @yonghokim874
    @yonghokim874 Жыл бұрын

    무심코 쓰는 '査頓'의 유래를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eonkyukim5935
    @seonkyukim59352 жыл бұрын

    👍👍👍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billlee3122
    @billlee31222 жыл бұрын

    그루터기, 조사. 조아려, 깨져, 갑자기, 정리.

  • @user-kw3st3ri6s
    @user-kw3st3ri6s2 жыл бұрын

    곧 혼인할 아들이 있습니다. 사돈댁이라는 말을 많이 쓸텐데... 그 의미를 잘알게 되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97531974
    @a975319743 жыл бұрын

    오연총 사우는 전남 곡성군 오곡면에 모셔있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Vincent-qw3pn
    @Vincent-qw3pn3 жыл бұрын

    우리 말의 80% 이상이 한자어에서 유래가 된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지만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애써 한자를 외면하고 한글 전용을 고집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문화적 편협성과 열등감의 발현이 아닙니까? 중국 본토와 한반도 그리고 일본 열도가 문화적으로 한자어 문화권 인 것은 역사를 지우지 않는 한 회피 하거나 외면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삼국의 정치적 역사와는 다른 문제입니다. 영어권에서 희랍어와 라틴어를 중시 하고 영문과와 철학과에서는 필수 코스로 공부하는 것에 비하면 협량한 처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한자어는 심로한 철학적 사유를 가능하게 해 줍니다. 우리 모두 한자어를 경시 하지 말고 형편 닿는 대로 익혀서 사유를 좀 더 풍부하게 만들어 나갑시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저와도 생각이 비슷한 듯하여 든든해지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 @simonchang3929
    @simonchang39293 жыл бұрын

    중국서 사용 안하는 한국식 촌수를 한자로 쓴것임. 중국사람들은 사돈을 꽁포 公婆 라 하고 사돈 查顿 이란 단어 모릅니다

  • @hydeyi
    @hydeyi2 жыл бұрын

    덕분에 많은 용어의 뜻을 알게되서 감사드립니다. 사돈에 어원에 대해서는 윤관고사를 시발점으로 본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만 저의 생각은 다릅니다. 은퇴후 시름을 달래며 라고 하는데 은퇴후 윤관장군은 곧 돌아가셨고, 오연총장군은 계속해서 전장을 누볐기 때문에 서로 시름을 달랠 기회도 없었을 겁니다. 윤관고사를 보지못해 頓자를 썼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頓은 돈수에서 보듯이 이마가 땅에 닿도록 엎어진다는 뜻인데 사돈끼리 그렇게까지 머리를 숙일 일이 있을까요? 더구나 둘은 상하관계가 명백한 군인인데 맞절이라니요. 査는 사가, 사돈, 사장, 사부인, 사형 등으로 쓰이는데 뜻에 혼동이 있습니다. 사위(또는 사우)를 뜻하기도하고 사위의 아버지를 뜻하기도 합니다. 사위의 한자표기는 어디에서도 찾을수가 없네요. 원래 한자가 아닌 고유어인 듯. 저는 査는 사위라는 뜻이고 頓은 사위의 이름으로 봅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hydeyi

    @hydeyi

    2 жыл бұрын

    @@user-sx8il3gc9e 늦은시간인데도 안 주무시고...

  • @user-zz4sn4xs8c
    @user-zz4sn4xs8c3 жыл бұрын

    사돈총각 은 틀린 단어 아닌지요 충각시돈 처녀사돈 이 있을수 없지요 ㆍ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잘 몰라서 국어사전을 찾아봤습니다. 제가 가진 사전에는 '사돈총각' '사돈처녀'란 말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사전을 보니 '사돈총각' '사돈처녀'가 나오네요. '사돈도령'이란 낱말은 제가 가진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설명을 보니, '사돈집 총각'을 대접하여 일컫는 말이라고 합니다. 저의 국어사전에 '사돈집 총각'이란 설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사돈총각은 '사돈집 총각'으로 하는 것이 옳은 표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사돈총각' '사돈처녀'를 입버릇처럼 쓰다보니, 인터넷 사전에는 올려놓은 모양입니다. 덕분에 저도 사전을 보며, 조금 이해를 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faaki1266
    @ufaaki12663 жыл бұрын

    우연치 않게 (우연하지 않게)= 필연 생각하지 않게 = 우연

  • @hwantakyeo6291
    @hwantakyeo6291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는 몽골어가 그 기원이 아닐까 합니다만^^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그런 학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tkchsmik4015
    @tkchsmik40152 жыл бұрын

    '사장(査丈)'이란 '사돈의 윗대(代)'를 언급하시면서 '사하생(査下生)'이란 '사돈의 아랫대(代)'에 대한 언급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요즘 '사하생'이란 말을 안 쓰다보니 '사돈 총각, 사돈 처녀'라는 괴상(?)한 말을 쓰고 있습니다. 시집 장가 가지 않은 사람에게는 '사돈'이란 호칭을 쓸 수 없는데... 방송 같은데서 틀린 걸 마구 써대서 빚어진 결과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드립니다. '사장'은 아직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으나, 사하생에 대해서는 저도 잘 알 지 못하여 언급하지 못했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 @user-ne1ed8ed9s
    @user-ne1ed8ed9s2 жыл бұрын

    사 돈 혼인 낱말 입니다 🤗

  • @user-rn7ql2ww6b
    @user-rn7ql2ww6b3 жыл бұрын

    査 : 조사할사 사돈사

  • @Carpenter.
    @Carpenter.2 жыл бұрын

    사돈

  • @user-hx7mg2th9e
    @user-hx7mg2th9eАй бұрын

    免墻? 논어에서 아들 鯉에게 논어 글을 가르치면서 --한 말이 기억 나는데 요? 구체적으로 전해 주세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Ай бұрын

    네, 면장이란 낱말과 공자가 아들에게 가르친 내용에 대하여는 저희 영상 ##553면장을 참고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q3xy7sk3x
    @user-nq3xy7sk3x2 жыл бұрын

    사돈의 어원맞습니까?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사돈의 어원은 몇가지 설이 있는 듯합니다. 만주어 sadun에서 왔다든지 하는 것들입니다. 저는 약 30년 전에 조풍년씨가 쓴 '서울 잡학 사전'이란 책을 통해 윤관 오연수 설을 접했습니다. 이번에 영상을 만들기 위해 다시 여러 분들의 글들을 참고하였습니다. 민간어원설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윤관 오연수 설이 많이 전파되어 있기도 하여 그대로 적용하였습니다.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user-sw8hr2sv8o
    @user-sw8hr2sv8o3 жыл бұрын

    덕분에

  • @kychoi2653
    @kychoi26532 жыл бұрын

    아래 항렬도 사돈이라고 한다고 설명하는데 아래 항렬은 '사하생'이라고 하고 윗 항렬은 '사장'이라고 합니다. 국어사전이 잘못이네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드립니다!!!

  • @user-nb6fo5lw7z
    @user-nb6fo5lw7z2 жыл бұрын

    사돈- 조사할 사,조아릴 돈 고려시대 윤관과 오연총에서 유래되었음. 돈오돈수-갑자기 깨닫고 갑자기 수양함. 돈오점수-갑자기 깨달았지만 수양은 계속해야 함. 점오돈수-천천히 깨닫고 깨닫는 순간 수양할 필요가 없음. 점오점수-오랜시간에 걸쳐 깨닫고 계속 수양해야 함. 정리정돈에 돈이 조아릴 돈이라는 것 새롭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pq6yq7zm4t
    @user-pq6yq7zm4t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서로 공부하는 사람은 ‘민간어원설’이라는 낱말을 안 썼으면 합니다. 평생 월급쟁이들을 욕하고 살아서 그들이 말문이 막힐 때마다 쓰는 ‘민간어원설’ ‘나는 전문가’라는 말이 꼭 질문자를 욕하는 것 같아 갔다 준 책을 안 살피겠다면 “내가 읽고 내가 공부하면 되지”라는 취미를 가진 사람이 한 마디 하고 갑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민간어원설이라는 것이 학계에 통용되는 용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물론 학자가 아니고, 정확히 고증되거나 근거가 없는 설들이 난무할 때, 그것을 민간어원설로 칭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민간에서 말들을 하는 밑도 끝도 없는 얘기들을 하지 못하도록 입을 틀어 막을 수도 없는 것이겠지요. 물론 학자들이 열심히 연구하여 정리해 주면 좋겠지만, 명확한 기록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항상 다수설, 소수설이 있게 마련이지요. 감사합니다.

  • @user-zj4xq5mq1l
    @user-zj4xq5mq1l3 жыл бұрын

    또 다른 2가지 설이 있습니다. (1) ‘매화나무와 풀명자나무[산사山査나무] 아래에서 돈수하여 인연을 맺는다[頓首結緣於梅査之下]’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2) 옛날 엄사嚴査와 장돈蔣頓이라는 두 사람이 자녀子女를 결연結緣한 후에 정의情誼가 가장 좋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이 사돈査頓이라 부르게 되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pq6yq7zm4t

    @user-pq6yq7zm4t

    3 жыл бұрын

    아! 이런 게 민간어원설이군요. 아무튼 공부한 거 다시 보고 대학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월급쟁이들에게 술 사주고 정중하게 물어도 제 말이 맞다고 합니다. 몽골어를 가르치는 이도 하나 나왔는데 살 빠진 머리빗처럼 연결이 안 되는 주장을 한 게 전부라 이 부분은 전하지 않겠습니다.

  • @ChangMoses
    @ChangMoses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부탁 하나 드립니다. 누님 남편을 TV 연속 극을 포함한 모든 매체에서 "매형" 이라고 부르는 모습을 보면서 잘못되 호칭을 선생님께서 고쳐라고 사람들에게 알려 주시기를 바랍니다. 여동생의 남편은 妹弟, 누님 의 남편은 姉兄 여동생 남편이 나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 에는 妹夫 누님 의 남편은 나보다 나이가 많거나 적거나 관게없이 무조건 姉兄 이라고 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저도 사실 친족호칭에 대해서는 별로 자신이 없거든요. 공부 좀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IXSEN384

    @SIXSEN384

    2 жыл бұрын

    본래 형제자매간의 기본호칭이 형제 자매임으로 .자매가시집가면 누님의남편이 나이가위면 자형. 아래면자부 누이의남편이 나이가아래면 매부 나이가위면 매형이 아닌가요?

  • @hydeyi

    @hydeyi

    2 жыл бұрын

    촌수는 수직적 관계를 말하지 나이를 따지지 않습니다. 형은 나보다 나이가 많아서가 아니고 아버지가 먼저 낳은 자식이라서 형입니다. 삼촌은 할아버지가 낳았기 때문에 나이에 상관없이 아버지뻘이고, 그 자녀(4촌)는 할아버지 기준으로 먼저 태어난 순서로 형제가 갈립니다. 그리고 부부는 무촌입니다. 배우자는 그냥 짝일 뿐이지요. 여자의 남편은 夫라고 합니다. 다만 남자를 기준으로 볼 때 누나의 남편은 형을 붙이고 여동생의 남편은 제입니다. 자형, 매부는 나이를 따져서 호칭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여자를 기준으로 보면 친가는 형부, 제부.(여자끼리는 누이라 부르지않고 형제여서) 시가는 시매부. 한다리 건너면 고모부, 이모부 이때 부는 父가 아니라 夫입니다.

  • @hydeyi

    @hydeyi

    2 жыл бұрын

    @@SIXSEN384 나이를 따지려 들면 호칭이 무지하게 복잡해집니다. 그리고 자부(姉夫)라는 호칭은 들어본 적이 없는데요.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hydeyi 감사합니다

  • @user-vm7pi3nh9k
    @user-vm7pi3nh9k Жыл бұрын

    대충 때우는이야기 맞는게 별로없다 정확성도 원칙도 상식도 뜻도 어스름 어빈듯하다 이야기로듣지 배울것은없다 전혀모르는 사람들은 바른줄 알겠지만 한학을 많이한 사람들은 듣고 수정할게 60퍼센트이상이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댓글과 의견 감사합니다 혹 틀렸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콕찝어 말씀해 주시면 저에게나 많은 시청자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만... 대충 틀렸다 말씀하시니 좀 난감하네요... 어쨌든 댓글 감사드립니다

  • @user-kp6yg7en6o
    @user-kp6yg7en6o2 жыл бұрын

    그만하쇼...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2 жыл бұрын

    무엇때문에 뭘 그만하란건지 제대로 말씀을 하셔야 제가 알아듣지 않겠습니까? 밑도 끝도 없이 그만하쇼?는 사양합니다!

  • @user-pq6yq7zm4t
    @user-pq6yq7zm4t3 жыл бұрын

    '사돈'은 토박이 말에서 음만 갖어온 글자입니다. 뜻을 구지 말들어 낸 옛 한학자들에게 어! 날짜를 보니 한참 전에 만든 영상이라 제 의견이 전달 되는 것은 힘들겠네요. 허허.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 @AI-nm9bl

    @AI-nm9bl

    3 жыл бұрын

    근거를 대면서 반론을 주시면 이해가 될텐데요. 그냥 얘기로 끝내니 갸우뚱 합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AI-nm9bl 사돈을 토박이 말에서 음만 가지고 온 글자라 하신 문사수님의 견해를 저는 하나의 의견으로 받아 들여 "의견 감사합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문사수님께서 저에게 근거를 대면서 반론을 주시면 이해될 것이라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저는 영상에서 윤관과 오연총의 이야기 그리고 만주어 전래설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확실한 것은 아니라는 말씀도 드렸습니다. 확실한 것이 아니란 것은 어떤 어원에 관한 민간어원설이 제법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문사수님께서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졌다면, 인터넷에서 윤관과 오연수, 그리고 사돈이란 낱말을 입력하면 제가 영상에서 드린 어원이 상당히 많이 퍼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100%확실하지 않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민간어원설은 대체로 그 정도의 수준입니다. 오히려, 문사수님께서 토박이 말에서 온 것이라고 그냥 간단히 말씀하셨는데, 이것이야 말로 좀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해 주셨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렇게 근거를 대면서 반론을 주시면 저로서도 이해가 될 텐데요. 그냥 얘기로 끝내니 저 역시 갸우뚱합니다.

  • @user-pq6yq7zm4t

    @user-pq6yq7zm4t

    3 жыл бұрын

    어원을 찾자면 16세기부터 복간된 노걸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말밑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말은 삼남에서 발음되는 ‘사둔’은 사투리다”라고 단정을 짓고 이것에 대해 반복해석으로 끝냅니다. ‘姻親’을 사둔이라고 번역한 그 당시 사람들의 말은 들리지 않나봅니다. 15세기 한족은 ‘親家’라 했고 만주족은 ‘姻戚’이라 했으며 (발음미상) 우리의 지아비는 ‘姻親’ 지어미는 ‘사돈’이라고 소리를 냈던 것 같습니다. 여기서 잠깐 해주 오씨가 종부로 들어와 남편의 지시문에 대한 답을 묶어놓은 內外疏 한 부분을 쓰자면 남: 보름 뒤에 姻親의 생일이니 [甁]에 홍주를 담아 [膳物]하라. (한문) 여: 좋은 [소용]에 담아 [소두]하였으니 역성[걱정] 말고 워락[行廊]아범 시켜 무람[禮?錢?]으로 보냈다 역성 그만하고 흥구[둘째 또는 셋째]와 두남[差異]두지 마라. (한글) *주어, 목적어는 쓰고 그 외는 현대문으로 썼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3 жыл бұрын

    @@user-pq6yq7zm4t 세세하게 자료를 제시하여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사실 보여주신 내용을 제가 제대로 이해할 수는 없네요. 제한된 문장에 선생님께서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부분도 있겠지요. 노걸대에 사둔이 사투리로 나온다는 것을 어떻게 생각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를 보니 노걸대가 고려말부터 조선조에 걸쳐 사용되었다고하니, 고려말에 사용된 초기의 노걸대에 한글표기가 없었던 것은 분명할 것입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발간된 노걸대에는 한글 표시가 있었겠지요. 그렇다면 고려시대에 발간된 노걸대에 사둔이 사투리라고 언급한 부분의 '사둔'은 한자로 표기 되었음이 분명하겠지요. 물론 이두식 표기이거나, 아니면 이두가 병기되었을 수도 있겠지요. 어쨌든 지금 우리가 발음하는 '사둔'의 음가가 표기되었겠지요. 그런데, 제가 영상에서 말씀드린 윤관과 오연총 이야기는 지금부터 천년전, 세종조부터 따져도 대략 4백년 전, 노걸대의 초판부터 따져도 꽤 과거의 일로서, 어쨌든 지금부터 천년 이전에 사돈이란 한자말이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겠지요. 한글이 없던 그당시 '사둔'이 우리 토박이 말이라하더라도 표기를 위해서는 한자를 쓸 수 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노걸대에 나온 '사둔'이 '사돈'의 사투리라고 언급한 것은 아니겠지요. 요즘도 표준말은 '사돈'이지만 '사둔'으로 발음 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쨌든 저로서는 풀기 어려운 문제이며, 저는 査頓이란 한자말에 이런저런 설명이 있다는 것을 꽤 그럴싸하게 받아들여 전했으며, 사족을 달기도 했지요. 선생님의 자료를 읽은 지금도 윤관유래설이 노걸대 보다 더 신뢰할 만하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좀더 연구되어야 할 낱말로 보입니다. 굳이 자료를 찾아 보내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 @user-sq9id5ud2t
    @user-sq9id5ud2t Жыл бұрын

    점오는 되오나 돈수는 있을 수 없습니다.

  • @user-sx8il3gc9e

    @user-sx8il3gc9e

    Жыл бұрын

    네, 감사드립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