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폐 속에 고려시대 위인이 없는 이유 (10만 원권 강감찬?) ㅣ역사를 보다 EP.18

Ойын-сауық

오늘은 허준님과 중동학자 박현도 교수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소장님, 유라시아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님, 고려사 정요근 교수님을 모시고 역사 드라마나 영화에서 항상 고증이 논란이 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41 조선의 인물만 지폐 속에 있는 이유
14:18 드라마 잘못된 고증 어디까지 허용될까?
28:14 조선과 180도 다른 개방적인 고려
35:45 왕족들이 근친혼을 많이 하는 이유
📖 강인욱 교수님의 저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 콘텐츠에는 게티이미지 이미지를 활용했습니다.’
*영상 내 오타 정정
16:03 충해왕(x) 충혜왕(o)
16:22 귀향(x) 귀양(o)
28:43 안동 김씨 성보(x) 1476년에 펴낸 안동 권씨 성화보(o)
20:39 작렬히(x) 장렬히(o)
22:06 케플(x) 케프리(o)
26:23 왜적(x) 외적(o)
30:37 직위(x) 즉위(o)
31:43 6대손(x) 6대조(o)
36:53 증분상속(x) 균분상속(o)
39:32 신상의(x) 신생아의(o)
영상 제작 과정 중에 오타가 다수 발생한 점 사과드립니다.
아울러 제작진의 실수 때문에 피해가 간 출연진 분들께도 죄송하다는 말씀 전합니다.
역사를 다루는 만큼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더 신중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역사를보다#드라마

Пікірлер: 1 700

  • @wz_mz
    @wz_mz3 ай бұрын

    다누리 달 탐사선과 대마젤란 망원경을 배경으로 이휘소 박사님과 같은 근현대 과학자 초상이 함께 그려진 지폐도 언젠가 제작되길 기대해봅니다 😊

  • @victorkwon

    @victorkwon

    3 ай бұрын

    올려드려

  • @user-np3pr8wq5t

    @user-np3pr8wq5t

    3 ай бұрын

    대주먼지 ㄷㄷ

  • @user-yc2hs3hz4r

    @user-yc2hs3hz4r

    3 ай бұрын

    와아 천문학연예인이닷

  • @sirokuro23

    @sirokuro23

    3 ай бұрын

    초전도체가 진짜였으면 쌉가능이었는데

  • @GoodmanCube

    @GoodmanCube

    3 ай бұрын

    와 연예인이다~

  • @user-vw7tq1wh1d
    @user-vw7tq1wh1d3 ай бұрын

    저도 지폐볼때마다 넘 고루하다 생각이 듭니다 과연 세종대왕님과 이순신 장군님을 제외하고 ... 글쎄요 싶네요

  • @user-bg4sv8ql1q

    @user-bg4sv8ql1q

    3 ай бұрын

    장군님이 백원이라니 나라를 구했는데 백원이라니.....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ай бұрын

    @@user-bg4sv8ql1q 옛날에는 5백원 지폐에도 있어서, 한 인물이 2종 화폐에 나오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으니 딱히 억울할 것까지야...

  • @user-dx5rs8qi5v

    @user-dx5rs8qi5v

    3 ай бұрын

    곰과 호랑이, 아주 큰 활.

  • @Thebattleofsalsu

    @Thebattleofsalsu

    3 ай бұрын

    당시 사용량이 많았던 동전이 의미가 크기도 하죠.@@user-bg4sv8ql1q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3 ай бұрын

    성리학자 이이는 나라를 망하게한 인물

  • @renepark419
    @renepark4193 ай бұрын

    지폐에 한글 들어가는거 정말 좋은 의견이에요 🙂

  • @topjimmy9687
    @topjimmy96873 ай бұрын

    퇴계와 율곡은 이제 바꿔야 한다. 세종대왕과 이순신은 현대인에게 와닿는 업적이 있다. 퇴계와 율곡은 주자학의 양대산맥이지만, 21세기 지폐 모델로 적절한 이유는 되지 못한다.

  • @mmmijuo5407

    @mmmijuo5407

    3 ай бұрын

    차리리 조식 선생이 더 나았을것같은데 왜 퇴게와 율곡인지

  • @jhshin9413

    @jhshin9413

    3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천문학자 홍대용

  • @theharryk96

    @theharryk96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언제적 이황이고 언제적 이이인지.. 지금시대 우리 삶에 더 긍정적 영향 준 사람들은 정주영 이병철 아닌가요 ㅋㅋㅋ

  • @user-nh7xh3xo5q

    @user-nh7xh3xo5q

    3 ай бұрын

    그러네 장영실과 정약용 어떰?

  • @udampapa

    @udampapa

    3 ай бұрын

    극공감 합니다.

  • @mazingga21
    @mazingga213 ай бұрын

    지폐에...한글, 인왕제색도, 세한도, 금동미륵반가사유상, 석굴암, 팔만대장경...생각 해봤습니다.

  • @yongock

    @yongock

    3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 @XERXES23

    @XERXES23

    3 ай бұрын

    오 괜찮네요 한글은 무조건 들어가야됨. ㅎ

  • @user-gd8yi3qy8z

    @user-gd8yi3qy8z

    3 ай бұрын

    굿 아이디어

  • @user-dt4vd7fk1y

    @user-dt4vd7fk1y

    3 ай бұрын

    석굴암,금동미륵반가사유상, 팔만대장경 넣으려고 하면 야단날 겁니다. 예전에 박정희 대통령 당시 1만원권 도안에 석굴암 본존불상과 불국사로 확정(?) 대통령 오케이 사인까지 받았으나 특정종교(ㄱㄷㄱ)에서 반발하여 무산된 적이 있습니다. 오늘 날에는 어떠할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 @jhshin9413

    @jhshin9413

    3 ай бұрын

    기독교에서 동전에 불교문화재만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 @KINGofRUTABIS
    @KINGofRUTABIS3 ай бұрын

    화폐에 훈민정음 넣는거 좋은 아이디어 같아요. 나아가 한복, 김치 이런 고유문화를 확실히 표기해서 동북공정 같은거에 대비하는것도 좋을 것 같아요.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한복 김치 ㅋㅋ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mississippi7948 한복 김치는 하늘에서 뚝 떨어진 외계 문물인가요? 한국만 누리고 있는?

  • @eett117

    @eett117

    3 ай бұрын

    김치같은소리하네 증말

  • @Bluehorse_soul

    @Bluehorse_soul

    3 ай бұрын

    ​@@sugarfree97문화를 독점하는것마냥 누리고 있다라고 표현을 해버리네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Bluehorse_soul 그렇고 믿고 있는 걸 지적하는 거임. 한복 김치가 고유한 것이라 착각하거든? 이 짓 그만 좀 하면 안 되겠니. 무슨 한국이 외계 종족이냐고

  • @user-hu1io9ys2i
    @user-hu1io9ys2i3 ай бұрын

    패널 선생님들이 소신발언해주시고 그걸 그대로 살려주신 제작진분들 너무 좋네요 정치적 문제로 근현대사 인물들을 못넣는건 그나마 이해의 여지가 조금 있지만 일본 눈치가 인물선정에 영향주는건 정말 부끄러워할 일이죠

  • @user-dt4vd7fk1y

    @user-dt4vd7fk1y

    3 ай бұрын

    그렇죠. 일본 저거는 당당하게 이등박문(이토 히루부미)이 1만엔 도안으로 나온 적이 있는데, 아직도 일본 식민지인지? 독립국가 자국 화폐 발행하는데 일본 눈치나 보고 있고 참으로 한심합니다. 우리도 5만원권이나 10만원권에 유관순, 안중근 의사 넣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junchun8064

    @junchun8064

    3 ай бұрын

    ​@@user-dt4vd7fk1y 정작 우리가 잘먹고 잘살게 된 이유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아니라 한강의 기적을 일으킨 사람들인데 조선시대사람은 신사임당까지 위인으로 올려주면서 한국은 마치 위인이 하나도 없는것처럼 기릴수가 없는게 말이 안되는거죠 한국이 최전성기를 이룬게 근현대사에 다 이루어진건데

  • @user-qb2zr3gh2e

    @user-qb2zr3gh2e

    3 ай бұрын

    ​@@junchun8064정치적인 문제가 얽혀 있어서 근현대 인물 넣기 힘든게 현실임.. 막말로 10만원짜리 하는데 김구VS 이승만 붙으면 이걸로 미친듯 싸우게 됨.. 결국 결론이 나면 나라가 쪼개질 정도로 싸울거임

  • @junchun8064

    @junchun8064

    3 ай бұрын

    @@user-qb2zr3gh2e BTS 손흥민 이런사람들 넣으면 안되나요? 이런 사람들마저 정치문제라고 하면 심각하네요 아주

  • @user-qb2zr3gh2e

    @user-qb2zr3gh2e

    3 ай бұрын

    @@junchun8064 손흥민, BTS 넣으면 이전 스타와 이후에 나올 스타들은?? 은퇴 후에 대한민국 지폐에 계속 남는 것이 과연 10년 후에도 지금처럼 평가 받을 수 있을까? 만약 지폐에 넣은 후 그들에게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면? 여러가지로 지금 인기스타라고 해서 한창 활동하는 인물을 넣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크죠ㅠ

  • @jsy2916
    @jsy29163 ай бұрын

    세종대왕 이순신장군 정도 남겨두고 나머지 지폐는 더 다양한 시대의 위인과 독립열사 분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bluedndgml
    @bluedndgml3 ай бұрын

    진짜 일요일 아침 루틴의 시작 완벽하다 너무 좋아요!

  • @0ppenheimer
    @0ppenheimer3 ай бұрын

    전통 사극 드라마는 아니지만, 최고의 각색은 "육룡의 나르샤"의 하여가 단심가 같음. 구어체로 표현한 게 정말 멋있다고 느껴졌음.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표현

  • @baulnim
    @baulnim3 ай бұрын

    한글 넣는거 좋아요!

  • @suminson8987
    @suminson89873 ай бұрын

    와 허준님 진행 너무 잘하세요 ❤ 두루두루 토크 분배 잘해주시니 재밌는 이야기의 폭이 더 넓어지는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

  • @anyyou79
    @anyyou793 ай бұрын

    오늘 정말 유익하고 재밌었어요😊😊

  • @evangim5357
    @evangim53573 ай бұрын

    따끈하다못해 뜨거운 영상 역사를 보다 바로 시청!

  • @user-ct2hl9pg4m
    @user-ct2hl9pg4m3 ай бұрын

    정요근 교수님 너무 재밌어요~또 모셔주세요❤

  • @user-ud2nq7fj1w
    @user-ud2nq7fj1w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유관순열사보다 안중근의사가 더 좋을듯 중국에서도 탐내는 인물이시고 이순신장군은 조금더 고액권으로 가시는것도 좋고 심사임당은 빠지고 뿌리의 시작인 단군왐검도...

  • @Winterer78
    @Winterer783 ай бұрын

    신사임당 5만원은 아직도 이해가 안 감 세종대왕 이상의 업적이 있는 것도 아니고..

  • @skgkqkddi

    @skgkqkddi

    3 ай бұрын

    단군급정도?

  • @user-bo7nm9po4i

    @user-bo7nm9po4i

    3 ай бұрын

    현모 X 양처 X 업적? X 일평생 내내 지 취미생활이나 한 인간인데 최고액권 모델이라니

  • @BigSmile0011

    @BigSmile0011

    3 ай бұрын

    여자들이 하도 왜 위인은 남자밖에 없냐 빼액 하니까 어거지로 넣은거임 후보에 유관순이 있었다는 설도 있는데 애초에 유관순조차 존경받을 만한 독립운동가는 맞지만 그냥 200만명의 3.1운동 참가자들중 한명이고 딱히 대표였거나 특별한 활동이 있던 인물은 아니였음 광복후에 이화학당 출신 여자들이 하도 여성인물이 없으니까 어거지로 찾은게 유관순이고 실제로 김마리아같은 평생을 독립운동 한 사람은 단지 늙었고 인기 없을거같다면서 걍 역사속으로 잊혀짐 참 아이러니한 역사임

  • @user-fj4sx8ge7o

    @user-fj4sx8ge7o

    3 ай бұрын

    @@user-bo7nm9po4i 집안 잘 만나서 그냥 취미생활 하면서 노는 게 최고라는 의미지 취집 장려 차원에서 선택한 듯

  • @ssul-uncle

    @ssul-uncle

    3 ай бұрын

    ​@@user-bo7nm9po4i제일 한녀스럽긴함

  • @sungmilee7094
    @sungmilee70943 ай бұрын

    기다린 보람이 있네요!!!! 덕분에 새로운거 배웠습니다!!!

  • @user-ju3rz7rm7r
    @user-ju3rz7rm7r3 ай бұрын

    16:03 충혜왕 입니다 편집자님!

  • @REHIT
    @REHIT3 ай бұрын

    지폐에 인물을 넣어야 한다면 저는 과학을 보다와 쌍벽을 이루는 역사를 보다의 메인MC이자 잘 이끌어 가고 계시고 악플이 없어서 행복해 하시는 허준님 과 동명인이자 조선시대 의원인 허준 추천이요

  • @anotherday9090

    @anotherday9090

    3 ай бұрын

    정약용

  • @user-he6oe1gb8z

    @user-he6oe1gb8z

    3 ай бұрын

    저는 지금 지폐의 인물들을 전부 다시 재배치하고 정리해야 한다고 생각함. 일단 반드시 넣어야할 건 단군 할어버지, 이순신 장군, 세종대왕은 필수고요. 나머지는 독립 운동가 분들을 2명 넣어야 한다고 생각함. 여성 1명 남성 1명 여성은 유관순이 최적이라 생각하고 남성은 안중근 의사나 백범 김구 선생님이 적절하다 생각해요. 독립 투쟁 운동을 한 나랑 중 유일하게 독립 운동가들을 화폐에 안 넣은 나라는 ㄴ한국이 유일함.

  • @fprpvjaj

    @fprpvjaj

    3 ай бұрын

    @@jjjj8979본명 맞습니다

  • @krappa-x2n

    @krappa-x2n

    3 ай бұрын

    ​@@jjjj8979본명임

  • @user-yd5yv3ew6q
    @user-yd5yv3ew6q3 ай бұрын

    영상길어서 좋다😊

  •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3 ай бұрын

    28:43 치명적인 오타가 있네요. 교수님께서는 제대로 말씀하셨는데, 자막이 제대로 못들어가있는걸로 보이구요. 우리민족의 최초의 족보는 조선시대의 안동 '권'씨 성화보입니다. 역사과목에서 단골 문제로 출제되는 부분인만큼 이 점은 수정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 @rnjstjswlskwon9597

    @rnjstjswlskwon9597

    3 ай бұрын

    안동권씨 36대손입니다..정보감사합니다!ㅋ

  • @user-en5zq3pv8d
    @user-en5zq3pv8d3 ай бұрын

    이번 편 너어어어무 흥미롭고 재미있었어요!!!!

  • @egul9189
    @egul91893 ай бұрын

    허준님 너무 유쾌하고 재밌고 좋아요 역사를보다 화이팅

  • @user-fj9xm2ky6r
    @user-fj9xm2ky6r3 ай бұрын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은 들어가는게 당연하지만 아예 조선시대 인물로만 갈꺼였으면 장영실이나 허준, 정약용 같은 인물을 넣는게 나았을것 같음..

  • @user-nx2xh8ym5w

    @user-nx2xh8ym5w

    3 ай бұрын

    왕이 더 나을듯 개인적으로 태종이나 정조대왕

  • @kkndsa

    @kkndsa

    3 ай бұрын

    @@user-nx2xh8ym5w 킬방원을?

  • @user-nx2xh8ym5w

    @user-nx2xh8ym5w

    3 ай бұрын

    @@kkndsa 킬방원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도 분명 있지만 조금 과장된것도 있음 명나라나 중국대륙의 국가들, 적게는 수천수만 단위로 숙청을 했지만 태종은 자신과 세자의 권력을 위협하는 핵심적인 인물만 조졌음 그리고 백성을 사랑하고 개국 초기였던 조선이라는 국가 안정을 위해 굉장히 노력을 많이했음 누구나 다 아는 호패법, 서얼차대법, 사병혁파, 중앙집권체제 이런거 말고도 사료를 찾아보면 백성들에게는 굉장히 관대한 왕이였음 또 명과 사대관계를 공고히 함으로 사전에 전쟁을 막았으며 대마도 토벌과 여진들 조지면서 역시 백성들이 약탈 당하는걸 막았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외척들때문에 나라가 망조들고 나가리된 경우가 굉장히 많았음 개국초기의 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강력한 리더쉽으로 최소한의 피만 흘리면서 이끌었음 그러다가 모든 권력을 세종에게 넘긴것은 아니였지만 스스로 왕위를 물려줌. 조선역사상 쿠데타나 왕위 찬탈을 당하지 않은이상 스스로 선위한 왕은 없지 않아요?

  • @junchun8064

    @junchun8064

    3 ай бұрын

    @@user-nx2xh8ym5w 왕이 뭐 그리 잘한게 있나요 결국 나라 말아먹은데 지분 있는 사람들인데 차라리 과학자가 낫죠

  • @nevermind5488

    @nevermind5488

    3 ай бұрын

    허준은 mc

  • @GNG45
    @GNG453 ай бұрын

    신사임당 업적은 아들 잘 둔 것말고 없다시피한데 왜 5만원짜리 들어갔는지 아직 의문입니다. 차라리 백두산,한라산,독도 자연을 넣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말이죠.아니면 세종대왕을 5만원짜리 넣어야죠

  • @XERXES23

    @XERXES23

    3 ай бұрын

    독도를 넣으려고 하면 일본보다 더 거품물고 발악하는 인간들 있을거임..

  •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3 ай бұрын

    근데 요즘드는생각은 자식잘키우는것도 능력임 인성 쓰레기들보면 부모도 똑같더라

  • @grx1988

    @grx1988

    3 ай бұрын

    백두산은 솔직히 아니지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이면 몰라도

  • @SIBA0

    @SIBA0

    3 ай бұрын

    걍 좌파들이 지폐에 여성인물 넣는다고 아무나 때려넣은거임

  • @vierwuenscheansuniversum

    @vierwuenscheansuniversum

    3 ай бұрын

    유관순 넣으면 불편해할 놈들이 우리나라 고위층에 수두룩해서ㅋㅋㅋ

  • @hanbok9225
    @hanbok92253 ай бұрын

    16:00 경 기황후 이야기하면서 고려왕 왕유 이야기하면서 "충해왕"이라고 자막이 뜨는데 "충혜왕"입니다~

  • @okwon1645
    @okwon16453 ай бұрын

    오타 어질어질 합니다 충해왕...작렬히 전사 검수 조금만더 신경 써주세요

  • @user-ry1re9tu3c
    @user-ry1re9tu3c3 ай бұрын

    독립운동가 없는게 더 웃김ㅋㅋㅋㅋ 식민지배 받은 나라가 독립하고 독립운동가 지폐가 없음...

  • @user-5b7jdth36

    @user-5b7jdth36

    3 ай бұрын

    ???:일본 자위대가 경우에따라서는 한국에 주둔할수도있습니다

  • @user-5b7jdth36

    @user-5b7jdth36

    3 ай бұрын

    애초에 박정희부터친일파고 이를 빨아주는 사람들이 국민대다수인데 누가 독립운동가를 지폐의 넣겠냐

  • @mongteddy

    @mongteddy

    3 ай бұрын

    우리가 우리힘으로 독립했으면 무조건 있겠지.

  • @user-eu3oo7tg3d

    @user-eu3oo7tg3d

    3 ай бұрын

    @@mongteddy 이건 호군가? ㅋㅋㅋㅋ 스스로 독립한 나라가 어딨냐? ㅋㅋ 하나만 말해봐 미국도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 지원 받아서 독립했는데 ㅋㅋ

  • @user-rj7wk4mo7c

    @user-rj7wk4mo7c

    3 ай бұрын

    미국이 주도적으로 전쟁해서 독립 쟁취했잖아 우리나라는 300명 규모 독립군이 거의 국외에서 전투한거 밖에 더있냐 지능이 혹시 문제 있는거 아님??

  • @Quidam12
    @Quidam123 ай бұрын

    하.......고증........ 진짜 역사덕후들이 뒷목 잡을 수 밖에 없는..... 오늘내용은 한분한분 정리해주시는 말씀들이 너무 귀중하네요❤ (허준님도 포함이요)ㅈ

  • @user-pk8hv8gq1x
    @user-pk8hv8gq1x3 ай бұрын

    교수님들 주제에 대해서 소신있게 말씀들 해주시는게 좋네요 ㅎㅎ

  • @Cat.bonggu
    @Cat.bonggu3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봤어요❤❤

  • @user-jo4ns2it9p
    @user-jo4ns2it9p3 ай бұрын

    왔다, 내 주말 특식❤

  • @kephas7772
    @kephas77723 ай бұрын

    율곡 이이와 이순신 장군은 같은 덕수 이씨로 먼 친척이라 들었음... 옛날 대장금 때문에 동북아 학자들이 의아해서 친분 있는 우리 학자들에게 물었다죠...성리학 유교 나라인데 왕의 음식을 여성이 하는게 맞냐는 식으로요...고증이 정말 잘 못 되었던것이죠...아픈 역사이기도하고 조선말, 대한제국시기 국고가 바닥나서 임금을 줄수 없자 대령숙수가 나가면서 남은 상궁들에게 일부 전수한게 그들의 인척들에 의해 전수되어 후손이 궁중음식 전수자로 되어 있다보니 마치 조선시대는 수라간 상궁들이 음식을 바친것으로 오해하게끔 된 것이 크다 볼 수 있겠죠...

  • @milk0107
    @milk01073 ай бұрын

    한 강의에 콘텐츠가 어마어마❤

  • @vhayatov
    @vhayatov3 ай бұрын

    허준님 진행 진짜 깔끔하고 좋아요❤

  • @randy14041
    @randy140413 ай бұрын

    한글 체계를 형상화한거 넣으면 제일 좋죠. 정치적 해석도 필요없고. 누구도 반대할 이유가 없을테니까...

  • @Zee_Zellyn
    @Zee_Zellyn3 ай бұрын

    인물은 자꾸 그 사람의 업적을 재고 가르게 되는거같아여 ㅎ..구냥 우리도 문화재 하쟈..😢

  • @jinu1816
    @jinu18163 ай бұрын

    재미있게봤네요 오늘충격을 받았읍니다 하지원누나이 와~제가두살어린거에 놀라고갑니다

  • @ziyeon.
    @ziyeon.3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재밌당

  • @user-fm3wo2xi3b
    @user-fm3wo2xi3b3 ай бұрын

    솔직히 이제 동전볼일도 드문데 고액권은 이순신장군 가는게맞다

  • @grx1988

    @grx1988

    3 ай бұрын

    이도왕이랑 바꿔야함

  • @pearl0457
    @pearl04573 ай бұрын

    역사 보다 기다렸다요😊

  • @user-qy6uo2ch7v
    @user-qy6uo2ch7v3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네요~!

  • @user-ux4cm3kl5l
    @user-ux4cm3kl5l3 ай бұрын

    16:03 잘못된 고증 얘기하고있는데 자막에서 왕 이름을 틀려버리넹 ㅋㅋㅋ

  • @user-bv8rj6yq5l
    @user-bv8rj6yq5l3 ай бұрын

    신사임당은 실제로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현모양처였던 인물이 아니었는데? 박현도 교수는 이슬람 전공자이고 정요근 교수는 고려사 전공자이니까 조선시대를 연구한 건 아니라서 과거에 신사임당은 현모양처를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게 아닌가 싶네. 그리고 지금 조선시대 연구들에서는 과거와는 다른 해석들이 나오고 있음(대표적인 예:현재는 훈구파와 사림파가 과거와는 달리 서로 대립관계였다고 보지 않음, 조선 후기의 실학은 과거와 달리 성리학과 전혀 다른 별개의 학풍이라고 보지 않음)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훈구파도 꼴통이기만 했던 것도 아니죠 ㅋㅋ 사실 자세히 살펴보면 뒤집어지는 관계기도 하니까요.

  • @user-wi8um2fp6s
    @user-wi8um2fp6s3 ай бұрын

    댓글읽는 허준형 고생이많아요! 사랑합니다!

  • @yeonna2005
    @yeonna20053 ай бұрын

    간만에 풍성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catherine8899
    @catherine88993 ай бұрын

    허준님!! 켠 김에 왕까지 때부터 팬❤ 입니다. 더 발전하신 모습에 반갑고 , 언제나 응원합니다.

  • @moriaan2115
    @moriaan21153 ай бұрын

    곽민수 교수님 미남에다가 멋쟁이이십니다 ^^!

  • @Quidam12

    @Quidam12

    3 ай бұрын

    ㅎㅎㅎ 상형문자 읽어주는 남자

  • @claymorej8057
    @claymorej80573 ай бұрын

    교수님들의 좋은 내용 감사드립닏다…

  • @user-nf3dh8by3f
    @user-nf3dh8by3f3 ай бұрын

    역시 교수님들은 다르십니다. 인식의 차이가 범인들과는 역시 다르시네요. 만수무강하십시오!!

  • @jujijtoh
    @jujijtoh3 ай бұрын

    13:30 허준. 동의보감 들고.

  • @sun8576
    @sun85763 ай бұрын

    오늘 자막에 오타가 많네요;;;; 가능하면 수정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hsp5617
    @hsp56173 ай бұрын

    정요근 교수님!!!!

  • @user-gp7iz6td7s
    @user-gp7iz6td7s3 ай бұрын

    3월의 일요일 오후 2시에 k리그 보다도 더 기다린 영상입니다. ^_^

  • @kmsbrand6409
    @kmsbrand6409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최초 족보는 안동 "권"씨 성화보 입니다 안동'김'씨라고 잘못 나와있네요

  • @bathorycountesserzsebet6417

    @bathorycountesserzsebet6417

    3 ай бұрын

    이것도 논란이 있는걸로 알아요. 문화"류"씨 영락보가 최초라는 의견도있어요.

  • @user-gf1sh9zw8x

    @user-gf1sh9zw8x

    3 ай бұрын

    류씨는 북한이던데요 . 정통아닌듯요.​@@bathorycountesserzsebet6417

  • @yongock
    @yongock3 ай бұрын

    꼭 인물을 넣어야 할까? 차라리 우리의 가장 독창적인 유산인 한글이 들어가는 것도 좋지 않을까?

  • @jc441414

    @jc441414

    3 ай бұрын

    10만원은 한글이죠 ㅎ

  •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3 ай бұрын

    만원짜리와 컨셉이 중복이 되네요.

  • @user-ch3mx5dv8g
    @user-ch3mx5dv8g3 ай бұрын

    고려얘기가 생각보다 훨씬 재밌어서 놀랐네요~

  • @jungwonjinify
    @jungwonjinifyАй бұрын

    잘못알고있는한국사를 제대로알게되는시간이였습니다^^ 더나와주세요^^

  • @yellow5237
    @yellow52373 ай бұрын

    28:39 오류입니다. 교수님은 안동권씨성화보 언급하셨는데 안동김씨성보 사진이랑 자막 쓰셨네요

  • @user-ir8uc5sz4d
    @user-ir8uc5sz4d3 ай бұрын

    5만원이 진짜말도안된다..신사임당이뭘했는대?

  • @shangus512

    @shangus512

    3 ай бұрын

    여자가 애낳아준건요?

  • @user-yp7ko4sk8h

    @user-yp7ko4sk8h

    3 ай бұрын

    ​@@user-qp7gj4lk8f보다채널에 이따위 저급한 댓글 쓰지마라

  • @user-ej4xu1rn9e

    @user-ej4xu1rn9e

    3 ай бұрын

    불끄고 떡 썸

  • @dalgug

    @dalgug

    3 ай бұрын

    남편 구박하고, 별거하면서 그림 잘그렸다는 공이 크죠 ㅋ

  • @user-po6wu9ns2c

    @user-po6wu9ns2c

    3 ай бұрын

    최소 안중근 의사 김구선생 차라리 이승만 등 뭔가 업적이 있는 사람해야지 신사임당은 당췌

  • @user-co8dq2ku6g
    @user-co8dq2ku6g3 ай бұрын

    현대사를 이렇게 나눠서 들으니 새롭네요.

  •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3 ай бұрын

    전 드라마보다 다큐좋아하고 재밌어합니다 동물의왕국도 진짜😊

  • @user-rd5gl9dw4j
    @user-rd5gl9dw4j3 ай бұрын

    혹시 독립을 한 국가중 독립투사가 화폐에 없는 경우가 우리나라 제외하고 또 있나요???

  • @grx1988

    @grx1988

    3 ай бұрын

    그건 우리가 통일되어있는 상태면 충분히 정당성 있죠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독립투사보다는 보통은 건국 지도자가 많이 헀죠. 한국으로 치면 이승만이 들어가야 하는데 워낙 평이 극과 극이라. 근데 극과 극이라도 보통 들어가지 않나? 터키만 봐도

  • @cometfi2298

    @cometfi2298

    3 ай бұрын

    @@sugarfree97 임시정부 때 이미 탄핵 당했던 인간인데 무슨 건국지도자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것도 독립자금 삥땅치다가 걸려서 탄핵됐구만 친일친미에 기생해서 겨우 대통령된 인간을

  • @user-us4py7gv2o

    @user-us4py7gv2o

    3 ай бұрын

    ​@@sugarfree97일단 한국 전쟁 때 구라까고 튄 것 때문에 반발이 심해서 좀 많이 힘들껄요. 차라리 임시정부 관련 인물들로 채우는게 낫지. 근데 임시정부도 정치적으로 왈가불가 될 가능성도 있어서.

  • @hitgirl6201

    @hitgirl6201

    3 ай бұрын

    터키와 비교하면 안될겁니다.. 터키의 아타튀르크는 정확하진 안지만 저의 주관적 생각으로는 이성계와 정도전이 합쳐진급이라 생각하는데 어디서 본글엔 이순신과 세종대왕이 합쳐진급이라는것도 봣습니다.

  • @user-gs3sb3ux4s
    @user-gs3sb3ux4s3 ай бұрын

    보다 채널 자막 넣는 사람들은 한번쯤 검색 안해봄? 충해왕이 뭐냐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ай бұрын

    유투버들의 공통된 현상이더라구요. 자막 넣는 사람들은 그냥 편집 기술자들이라.

  • @esc0406
    @esc04063 ай бұрын

    한글 좋으네요

  • @Hamsusder
    @Hamsusder3 ай бұрын

    저는 진행자님 진행이 너무 좋아서 계속 봐용 ㅎㅎ

  • @catholic9204
    @catholic92043 ай бұрын

    슬슬 지폐도안 바꿀때 되긴 했는데 10원부터 전부 다 바꾼다고 생각하고 광개토대왕부터 안중근 같은 다양한 세대의 인물을 넣어야 한다고 봅니다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광개토대왕은 그냥 영토를 확장한 군벌 군주였다 그게 끝이라 인기에 비해 한국사적 의의가 없어요. 삼국을 통일했다. 쪼개진 삼국을 다시 합쳤다. 언어를 발명했다. 나라를 다시 세웠다. 이런게 없어요.

  • @jhshin9413

    @jhshin9413

    3 ай бұрын

    무열왕은 당나라에게 고구려 옛 영토를 헌납. 실질적으로 삼국 통일한 태조 왕건. 일본은 인성이 안 좋다던 의사 노구치 히데요를 화폐에 쓰다가 최근에 변경했습니다.

  • @sugarfree97

    @sugarfree97

    3 ай бұрын

    @@jhshin9413 왕건이 무슨 삼국을 통일함? 후삼국과 삼국은 성격 자체가 다름. 신라가 당나라에게 고구려의 엣 영토를 헌납했다? 애초에 고구려의 영토는 신라의 영토가 아니었는데 헌납하고 말고가 어디에 있음? 이상한 소리를 하고 있네? 그렇게 따지면 고구려는 부여를 배신하고 공격해서 그 땅을 중국에 넘긴 셈 아님? 백제는 왜와 손 잡고 신라를 멸망시키려고 했던 건? 그 시대의 삼국은 완전히 다른 나라임. 이상한 유사사학 물들어서 엄한 소리 하네

  • @junchun8064

    @junchun8064

    3 ай бұрын

    BTS 김연아 손흥민같은 사람들을 넣어야죠 앞으로 생길수 있는 과오를 생각하면 한강의 기적에 이바지한 이병철같은 기업인들이나 625 전쟁영웅을 넣는게 바람직합니다 한국지폐에 죄다 조선위인들만 있고 한국위인들이 없는게 이상하니까요 나라에 아무리 이바지해도 과오만 잡고 늘어져서 못올리는것도 웃기구요

  • @Soomin_Jung

    @Soomin_Jung

    2 ай бұрын

    시주석님을 넣어야한다

  • @user-vq4dr3vw2e
    @user-vq4dr3vw2e2 ай бұрын

    신사임당이 5만원권인건 말도안된다.. 당시 그 시대에 크나큰 업적을 남긴 위인이 아닌, 조선의 대성리학자 이이의 어머니이자,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예술인 위치였는데.. 안중근 의사나 유관순 열사, 김구 선생님 같은 위인이 됐어야 공감대가 형성되었을텐데..

  • @user-pe6es8wj1n

    @user-pe6es8wj1n

    Ай бұрын

    김구가 낄자리는 아닙니다

  • @user-fo5nr8er3s

    @user-fo5nr8er3s

    18 күн бұрын

    김구는 그냥 깡패임

  • @handle7621
    @handle76213 ай бұрын

    4인 조합 재밌네여ㅋㅋㅋㅋㅋ

  • @maatpon
    @maatpon2 ай бұрын

    지폐는 수시로 찍어내는데, 전체적인 컬러나 크기는 유지하면서 도안만 조금씩 바꾸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굳이 한 인물만 계속 해야될 필요는 없으니~ 세종대왕님만 최고액권으로 고정하고 나머지는 수시로 바꿔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올해는 어떤 사람이구나~ 어떤 유적이구나~ 하면 그것도 재밌지 않겠어요?

  • @jujijtoh
    @jujijtoh3 ай бұрын

    20:39 작렬히 -> 장렬히

  • @K0REAN119
    @K0REAN1193 ай бұрын

    아들잘키운 신사임당보다는 유관순이었어야했다.

  • @user-ov6yl7qp9c

    @user-ov6yl7qp9c

    3 ай бұрын

    유관순이 전형적인 만들어진 위인임 분명 독립운동을 한건 맞고 잘난 사람임에는 틀림없지만 지폐에 들어갈만 사람은 아님

  •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3 ай бұрын

    @@user-ov6yl7qp9c 동감. 한국에서 독립운동가 = 성역화 되어잇음. 그렇게 따지면 독립운동가엿고 이를통해 나라를 건국햇고 6.25를 이겨냇고. 미국의 힘을 가져다 앉힌 그분을 말하면 아, 그 사람은 독재자 라며 욕이란 욕은 다함.

  • @user-xb4ow4hx6u

    @user-xb4ow4hx6u

    3 ай бұрын

    ​@@user-ov6yl7qp9c이건 뭔 개소리냐

  • @user-ej4xu1rn9e

    @user-ej4xu1rn9e

    3 ай бұрын

    ㅇㅇ 관순언냐는 거품이 있지..10만원권은 이승만이지.

  • @dalgug

    @dalgug

    3 ай бұрын

    @@user-ov6yl7qp9c 그래도 신씨 보다는 낫겠지 ㅋ

  • @helgamir7311
    @helgamir7311Ай бұрын

    허준 아나운서님 편안한 진행 늘 좋아용

  • @Pinkbetty_Browntedd
    @Pinkbetty_Browntedd2 ай бұрын

    정요근교수님 개그~~ 내스탈~~~ ❤❤ 최얘에여 ㅎㅎㅎㅎ ㅋㅋㅋㅋㅋㅋ😂😂

  • @Luca-45
    @Luca-45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화폐에 대한민국 사람은 없고 조선사람만 있는것도 이상하긴 하지.

  • @2rm730

    @2rm730

    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조선과 대한제국을 그대로 계승한 정통성을 가지고 있음 이상한건 전혀아님.

  •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3 ай бұрын

    ​@@2rm730 조선과 대한제국 이 아니라 임시정부정신을 계승한거 아닌가요?

  • @zzz6347

    @zzz6347

    3 ай бұрын

    @@2rm730 지역이 같다는거 빼고, 대체 뭐가 그대로 계승했다는거임? 완전 다른 나라구만... 대한민국이 지금 이씨 왕정국가냐?

  • @user-ev2ps8mc1l

    @user-ev2ps8mc1l

    3 ай бұрын

    ​@@2rm730그런 내용이 어디있음? 헌법전문에도 임시정부를 계승한다고 나와있는데

  • @user-eq2ei5wm3v

    @user-eq2ei5wm3v

    3 ай бұрын

    ​@@2rm730뭐래

  • @user-tg7zv5dr2e
    @user-tg7zv5dr2e3 ай бұрын

    타국의 식민지였다가 독립한 나라치고 화폐에 독립영웅이 없는 나라가 과연 몇이나 될까? 세종대왕, 이순신장군 빼고 다 바꿔야 한다

  • @user-yb3ot8wz3l

    @user-yb3ot8wz3l

    3 ай бұрын

    지폐에 핵폭탄을 넣을수는 없잖아

  •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

    3 ай бұрын

    거란과 몽골의 속국에서 벗어나게 해준 분들을 지폐에 넣어야겠네요

  • @user-iu6wx9pc9o

    @user-iu6wx9pc9o

    3 ай бұрын

    니가 한자리 차지하고 바꿔봐 ㅋㅋ 전국민이 다 인벙하게끔ㅋ

  • @user-bo7nm9po4i

    @user-bo7nm9po4i

    3 ай бұрын

    @@user-iu6wx9pc9o 요즘 벌레들은 사람말을 하나요?

  • @user-yx2ti1lw5u

    @user-yx2ti1lw5u

    3 ай бұрын

    ​@@user-yb3ot8wz3l꼭 넣었으면 좋겠네요ㅋㅋㅋ 구국의 독립영웅 '작은 소년'님과 '뚱보'님... 그립읍니다ㅠㅠ

  • @lupusgom
    @lupusgom3 ай бұрын

    추천 꾸욱~

  • @seonholee7557
    @seonholee75573 ай бұрын

    와 넘나 꿀잼ㅋㅋ

  • @goldmedalpapa
    @goldmedalpapa3 ай бұрын

    인간은 완벽한 사람이 없으므로 아무리 훌륭한 인물이라도 흠집이 전혀 없을 수는 없으니까 유물이나 유적지, 한글 등으로 화폐에 새기는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grx1988

    @grx1988

    3 ай бұрын

    공평하게 그냥 내사진으로 합시다;;;

  • @junchun8064

    @junchun8064

    3 ай бұрын

    한국위인들은 정치질 한답시고 과오만 물고 늘어져서 화폐에 못올리는거 웃기죠 한국이 잘된게 결국 한강의 기적 이후인데

  • @billykim7179
    @billykim71793 ай бұрын

    충해왕 아니고 충혜왕...

  • @semoligic
    @semoligic3 ай бұрын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하네요. 지폐엔 조선시대 인물이 당연했는데 아니었어요 ㅋㅋ 이런 논의가 이루어지는게 좋네요. 글고 잊고있던 라떼들이 생각나서 재미있어요 ㅋㅋㅋ 자주 올려주세요!ㅋㅋ

  • @tikitaka78
    @tikitaka783 ай бұрын

    무편집해도 재밌어서 끝까지 볼듯

  • @Meunuaru
    @Meunuaru3 ай бұрын

    16:02 충혜왕 아닌가요? 충해왕은 누구죠? 또 자막 오류인 겁니까? 자막 검수 하는 사람이 진짜 없는 건가요?

  • @leeston7874
    @leeston78743 ай бұрын

    무인들 개무시하는거지.. 지폐에도 신사임당이라니 젠장.. 이순신장군이 5만원권에 들어갔어야했는데 다음 10만원권지폐에는 반드시 이순신장군으로 해야된다

  • @user-rp7pb4bq7b
    @user-rp7pb4bq7b3 ай бұрын

    허준 너무조아🎉

  • @tedlee821
    @tedlee8213 ай бұрын

    '켠김에 왕까지 '와는 다른 느낌이네요 ㅋㅋㅋ 잼있습니다.

  • @Fyhffcgb
    @Fyhffcgb3 ай бұрын

    극혐 성리학, 세종대왕하고 이순신 장군 넣고 나머지는 다 바꿔야 된다, 특히 신사임당은 어처구니가 없다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ай бұрын

    5만원권에 여성, 10만원권에 남성을 넣기로 합의를 했는데 2008 금융 위기 때문에 10만원권 발행이 무산되었죠.

  •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3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그래도 슬슬 10만원권 이야기 나오고 있으니

  • @user-nk2ir3pk8j

    @user-nk2ir3pk8j

    3 ай бұрын

    인정

  • @user-bo7nm9po4i

    @user-bo7nm9po4i

    3 ай бұрын

    유학이 뭔지는 아니?

  • @Modfet

    @Modfet

    3 ай бұрын

    @@user-bo7nm9po4i 알아서 뭐해 ㅋㅋ

  • @tony88kim
    @tony88kim3 ай бұрын

    뭔가 이 멤버 조합이 제일 좋은거가타요.고려교수님도 고정출연해주세요

  • @user-mf2cf6oc5h

    @user-mf2cf6oc5h

    3 ай бұрын

    말하는 방식이 별로임…

  • @user-lt9lg6ex6k
    @user-lt9lg6ex6k2 ай бұрын

    페이커를 3만원 지폐로 넣자

  • @JayPChoi
    @JayPChoi3 ай бұрын

    새 권종 만든다면 10만원권 보다는 3만원권이 나오면 좋겠다 생각합니다. 가뜩이나 현금 잘 안쓰는데 굳이 더 고액권을 만들 필요가 있나 싶음.. 차라리 3만원권 만들면 잔돈 주고받을 때나 용돈 주기도 편하고 참석하기 애매한 경조사 비용 고민도 줄어들지 않을까 싶은데 말이죠

  • @user-tr2lt2lz1s
    @user-tr2lt2lz1s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pz1jb6uz2f
    @user-pz1jb6uz2f3 ай бұрын

    10만원권 백제금동향로 추천

  • @Soomin_Jung

    @Soomin_Jung

    2 ай бұрын

    지폐전부에 시주석님

  • @user-dd8tt2bh2v
    @user-dd8tt2bh2v3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는 독립운동가나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한 사람을 쓰는데 우리나라만 유독 그냥 역사속 인물을 사용하죠. 특히 신사임당은 왜 선택했는지 이해안됨.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ай бұрын

    5만원에 여성 넣고 10만원에 남성 넣자고 합의했는데, 2008 금융위기로 10만원 발행이 취소됨

  • @joonbi98

    @joonbi98

    3 ай бұрын

    친일파들이 기득권 구석구석에 박혀서 이런저런 말도 안되는 이유로 극구 반대들을 하신답니다.

  • @Zenicss

    @Zenicss

    3 ай бұрын

    남여평등 빼에엑

  • @user-yx2ti1lw5u

    @user-yx2ti1lw5u

    3 ай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여성이 들어가서의 문제가 아니라 여성 중에서 왜 하필 신사임당이었냐는거죠

  • @jhshin9413

    @jhshin9413

    3 ай бұрын

    성리학자 율곡 이이의 모친으로 여성교육가로 선정했을 한국은행

  • @jinhwaj2243
    @jinhwaj22433 ай бұрын

    한글이 들어가는게 좋을듯😊

  •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3 ай бұрын

    5만원권 지폐에 여성인물, 위인을 쓴다면 유관순 열사가 신사임당 보다는 설득력이 있죠. 천원권 지폐에는 퇴계 이황 보다는 서희, 5천원권 지폐에는 율곡 이이 보다는 강감찬이 어울릴 것 같습니다.

  • @user-gs3sb3ux4s

    @user-gs3sb3ux4s

    3 ай бұрын

    유관순이 왜 열사임?

  • @user-lh8gi9ez4n

    @user-lh8gi9ez4n

    3 ай бұрын

    ​@@user-gs3sb3ux4s 그러면 뭐임?

  • @user-gs3sb3ux4s

    @user-gs3sb3ux4s

    3 ай бұрын

    @@user-lh8gi9ez4n 1945년까지 아무런 기록이 없는 여자가 왜 열사임? 광복 이후에 갑자기 만들어진게 유관순임.

  •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3 ай бұрын

    열사는 맞는데, 그 업적이 지폐에 들어갈 만큼은 아님.

  • @user-gs3sb3ux4s

    @user-gs3sb3ux4s

    3 ай бұрын

    @@user-ssfgh321dgh54 왜 열사임?

  • @lolz3768
    @lolz37683 ай бұрын

    곽소장님 손목을 보니 삶이 괜찮으시군

  • @solitude11sl59

    @solitude11sl59

    3 ай бұрын

    파텍?

  • @lolz3768

    @lolz3768

    3 ай бұрын

    펩시걸같음

  • @user-rm7vu3dn7i

    @user-rm7vu3dn7i

    3 ай бұрын

    애초에 고고학을 돈없는 사람이 할수가없을껄요??ㅋㅋ

  • @user-uu5xr6ox7v
    @user-uu5xr6ox7v3 ай бұрын

    교수님들! 발굴안된 고인돌을 알고 있는데 발굴가치가 없나요? 아니면 어디에 연락이라도 해야하나요?

  • @youngyicify
    @youngyicify3 ай бұрын

    화폐어 독립선언문 넣었으면 좋겠어요!^^

  • @tomgstomgs
    @tomgstomgs3 ай бұрын

    유관순열사님에 대한것도 한번 다뤄 주셨으면 해요 이화여대에서 친일적인 행위를 해서 유관순열사님을 더 부풀려서 띄웠다고도 하는 말들이 있잖아요(물론 유관순열사님을 비하하는건 아니에요) 그 시절에 태극기 든 이름모를 영웅들이 많았었는데 유독 유관순열사님만 더욱 띄워줬기에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