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고 후배들아 최대한~~ 좋은 대학 가라

한길쌤 저서 bit.ly/3N2ae1H
한길쌤 인강 url.kr/sxmprq
한길쌤 카페 url.kr/smwqof
메가공무원 url.kr/i2blp5
문의사항 : jeonhangil@hanmail.net
#한국사전한길 #메가공무원 #전한길

Пікірлер: 1 400

  • @Flowerhangil
    @Flowerhangil5 ай бұрын

  • @qnvoalsrnr

    @qnvoalsrnr

    3 ай бұрын

    댓글 신경쓰이시겠지만, 다 .. 잠꼬대예영 음냐음냐

  • @user-ng1bd3me2y

    @user-ng1bd3me2y

    Ай бұрын

    7,ㅃ.,

  • @Hpa77
    @Hpa775 ай бұрын

    명문대를 가야 대중들이 너의 말에 수긍한다. 너의 행동에 이해한다. 너의 분노에 공감한다. 너의 선의에 존경한다.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명문대를 가야하는 이유다.

  • @wooojinmath

    @wooojinmath

    5 ай бұрын

    ​@@user-48fk3kkd99과연 대한민국뿐일까?

  • @shdjdbdofbemdpcbdos

    @shdjdbdofbemdpcbdos

    5 ай бұрын

    @@user-48fk3kkd99수십년전에는 훨씬 심했는데 뭘 안다고 추락이니 뭐니 ㅋㅋㅋ

  •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5 ай бұрын

    @@user-48fk3kkd99 영국이랑 미국은 학벌주의 더 심합니다

  • @shdjdbdofbemdpcbdos

    @shdjdbdofbemdpcbdos

    5 ай бұрын

    @@user-48fk3kkd99그리고 고작 학부가지고 학문을 파고드네 어쩌네 하는거부터가 같잖네

  • @davidahn3481

    @davidahn3481

    5 ай бұрын

    @@user-48fk3kkd99 안타깝게 느껴지긴 하지만 막상 다른 이유로 명문대학에 가더라도 학문에 눈을 뜨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 @user-tz3ry6us6w
    @user-tz3ry6us6w5 ай бұрын

    선생님 머리가 풍성한것만으로도 성공한 인생이십니다

  • @user-nf6lx2jo2b

    @user-nf6lx2jo2b

    5 ай бұрын

    ㅋㅋㅋ

  • @user-ck7qo7cu5z

    @user-ck7qo7cu5z

    5 ай бұрын

    프로페시아 복용하신댔음

  • @user-jc2xp9tu9v

    @user-jc2xp9tu9v

    5 ай бұрын

    그렇지..

  • @torido758

    @torido758

    3 ай бұрын

    ㅅㅂ 뿜었다 ㅋㅋㅋ

  • @user-cm7wn4ny9y

    @user-cm7wn4ny9y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공감된다 요.

  • @jmlimm
    @jmlimm5 ай бұрын

    주변 동료, 친구가 정말 큽니다. 고등학교 까지는 여러 수준의 아이들이 함께 다니다가, 대학교를 가면서 마치 선별소 처럼 비슷한 수준의 동료들이 같은 과에 모이게 됩니다. 수능은 이 모임의 입장권 이라고 보면 됩니다. 죽을 만큼 노력해서 그에 걸맞는 곳에 가면, 자신처럼 똑같이 죽을 만큼 노력한 친구들이 모이고, 대충 하고 가면 대충 해서 온 친구들과 모입니다.

  • @user-vs9nf4bn2z

    @user-vs9nf4bn2z

    5 ай бұрын

    맞말ㅇㅈ

  • @user-mf8lg2rt6x

    @user-mf8lg2rt6x

    5 ай бұрын

    사실상 이게 제일 크죠.. 요즘 네임벨류, 학벌까지는 커버할 수 있어도, 분위기와 환경은 정말 무시 못합니다. 특히 나만 잘하면 되는 과가 아니라면 더 크게 체감됩니다. 속된 말로 수준이 안 맞으면, 그만큼 스트레스 받는 일도 없는 것 같습니다

  • @user-ve1lb5yy2n

    @user-ve1lb5yy2n

    5 ай бұрын

    대학교 아싸는요? 맨날 술파티하고 여성들 차지하는 인싸 연대생은요?

  • @factreal9760

    @factreal9760

    3 ай бұрын

    그런데 아무것도 모르고 들어온 군무원에 오니까 오히려 미운오리새77가 되더라구요 저의 대학을 물어본 뒤 그 뒤 속닥속닥 거리더니 사내 따돌림을 시키고 단합하여 괴롭히더군요. 대학에 대한 평가절하 시켜 정신승리 하면서 자기 위안을 삼더군요. 보니 다들 고졸 전문대 처음보는 대학들이 모인 친구들 이였어요

  • @user-wb1ml2sv8j

    @user-wb1ml2sv8j

    3 ай бұрын

    진짜 환경이랑 분위기 중요하죠..

  • @johnyu2003
    @johnyu20035 ай бұрын

    이 강의를 듣고 변화할 극소수지만 누군가의 성공을 위해 피를 토하는 열변을 하는게 느껴집니다. '얘들아 너희 잘못이 아니야' 따위의 무책임한 온정주의나 몰지각한 평등 사탕발림 소리가 아니라서 정말로 후배들을 사랑하는 그 마음이 느껴집니다..

  • @sanghahwang
    @sanghahwang5 ай бұрын

    대학뿐만 아니라 진짜 자의에 의해 생긴 성공경험 한번이라도 있으면 그 자신감은 어디 안갑니다. 다른거 다 할 수 있다고 믿고 해냅니다.

  • @user-zh8wv5yi4e
    @user-zh8wv5yi4e5 ай бұрын

    경쟁자들은 다 서울대 역사학과....사이에서 1타 되신 전한길쌤

  • @user-df7ye2vz2o

    @user-df7ye2vz2o

    Ай бұрын

    대구에서 성공해서 서울가신 케이스 대구 중년들 사이에선 유명함

  • @user-ok9ti7ic4s
    @user-ok9ti7ic4s5 ай бұрын

    뭔가를 열심히 했다는 그 경험이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명문대에 떨어져도 열심히 했다는 경험은 어떤 일을 할 때도 밑받침이 되어주거든요 화이팅입니다

  • @user-cu8nu8lr5z

    @user-cu8nu8lr5z

    5 ай бұрын

    한양대 아쉽게 떨어졌는데 감사합니다.....

  • @docruelee5714
    @docruelee57145 ай бұрын

    짧은 강연이나마 그 와중에 한 명의 인생이라도 구제하고자 하는 한길쌤의 절박함이 전해집니다. 앗 뜨거 데어봐야 아는데 그 시행착오를 하지 않도록 미리 알려주는 어른이 얼마나 귀한 귀인입니까. 저런 선배님을 둔 학생들은 복 받았다 생각하시고 정진하세요!!

  • @CookTorrasque

    @CookTorrasque

    5 ай бұрын

    구제역

  • @user-pe5gl5ci6l

    @user-pe5gl5ci6l

    5 ай бұрын

    먼 정진?? 욕 배우며 학업에 정진?? 한심하다...

  • @user-qr1zz2ch6g

    @user-qr1zz2ch6g

    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데어봐야알기전 얘기해주는 저런사람 있다는걸 감사히 살기를. 비난하지말고

  • @ingu-ll9be
    @ingu-ll9be5 ай бұрын

    회사에서 부서장 입니다. 저도 사회초년생에는 학벌이 뭐가 중요하냐 했는데, 조직의 리더가 되고 이끌어보니 학벌 좋은 사람은 업무를 할때 기본적인 태도가 다른더군요.(다 그런건 아니고 학벌 낮은 사람도 일잘하는 사람 있으나 확률상) 학생의 신분에서 공부를 그만큼 열심히 했다는것은 본인이 맡은일에 대한 책임감이 있다는겁니다.

  • @1nayoung

    @1nayoung

    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태도 부분

  • @user-jp3dx6tg2q

    @user-jp3dx6tg2q

    5 ай бұрын

    근태라고 전 직장에서 그렇게도 강조했던 부분 공감합니다

  • @NeuGuemMa

    @NeuGuemMa

    5 ай бұрын

    군대만 가봐도 확 느껴짐.. 일머리 너무 없는 애들 아닌 다음에는 처음에는 조금 느려도 결국에 몇달 지나면 학벌 좋은 애들이 일 훨씬 잘하는 경우를 많이 봐서

  • @Circularop1

    @Circularop1

    5 ай бұрын

    근데 일머리랑 공부머리는 확실히 다름 공부잘한다고 일 잘하는거 아님

  • @moonsangsong3142

    @moonsangsong3142

    4 ай бұрын

    ​@@Circularop1동감. 그런데 공부머리가 필요한 경우 아무리 얘기를 해도 못알아 먹음. 뭐가 뭔지 구분도 못해고 무식하게 열심히만 하는 애들 답 없음.

  • @henry9900
    @henry99005 ай бұрын

    지방대 다니다 인서울권으로 편입하며 느낀점이 주변 사람들, 환경이 바뀐다는게 정말 큽니다. 흔히 스펙이라 부르는것들에 대한 기준과 해외경험, 대외활동, 창업하는 친구도 있다보니 저조차 무언가 많이하랴하고 그게 취업까지 자연스레 이어지죠. 스카이급은 주변 친구들이 더 대단할거 같네요.

  • @user-no7mt9en7y

    @user-no7mt9en7y

    5 ай бұрын

    편입.... 어려운 시험이죠 요새는 정시보다 어렵던데 고생 많으셨습니다

  • @user-zw4nm1vo7k

    @user-zw4nm1vo7k

    5 ай бұрын

    @@user-no7mt9en7y 편입 어려워요?? 일반편입은 어렵다 들엇고 학점은행제? 이런게 잇어서 학사편입은 그보단 쉽다 들엇는데 아닌가요?? 정말 궁금해서 여쯉니다

  • @user-yv2ck9vp2c

    @user-yv2ck9vp2c

    5 ай бұрын

    @@user-zw4nm1vo7k 편입 시험도 1년 미치고 하루 10시간 이상씩은 앉아 있어야 결과가 나오는 시험입니다. 결코 쉽지 않죠. 대학을 다니면서 편입 성공하는 케이스도 없진 안겠지만, 글쌔요 그런분들은 전한길 선생님 같은 분들 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력을 정말 토해낸 거죠.

  • @user-ve1lb5yy2n

    @user-ve1lb5yy2n

    5 ай бұрын

    그쵸 인서울은 중산층 이상 자녀들이 가고 지방대는 못사는애들만 가니까 해외도못감 ㅋㅋㅋㅋ

  • @jungjoolee2427

    @jungjoolee2427

    5 ай бұрын

    지방대 기준이 뭐임? 지사립?

  • @user-gb8dz8wd7c
    @user-gb8dz8wd7c5 ай бұрын

    공부 잘하면 좋지만 못해도 행복한 사람이 되십시요

  • @user-zw3si7nf6m

    @user-zw3si7nf6m

    5 ай бұрын

    공부 잘하는 자와 못 하는자 중 행복할수 있는 확율이 높은건 어느쪽일까?

  • @user-nt3hw1dn7u

    @user-nt3hw1dn7u

    5 ай бұрын

    부모 잘만나는게 최고지. 너무 스트레스 받지마라 인생 금방가고 별거없다

  • @Delicious_Apple

    @Delicious_Apple

    5 ай бұрын

    진짜 상위 10퍼센트 아니면 패배자 취급하는 세상에서 연애 결혼 출산은 사치인듯

  • @versavice5293

    @versavice5293

    5 ай бұрын

    ​@user-nt3hw1dn7u 맞는 말입니다.부모복이 인생을 바꾸죠

  • @user-nj4bm5xz1e

    @user-nj4bm5xz1e

    5 ай бұрын

    ⁠@@user-zw3si7nf6m확률 ㅆ바라 일단 닌 안행복하겠다 ㅋㅋ

  • @horangii
    @horangii5 ай бұрын

    좋은대학을 가야 만나는 사람들 레벨도 올라감 그만큼 보고배울게 많다는거임

  • @user-rb3rc9fv4u

    @user-rb3rc9fv4u

    5 ай бұрын

    ㅇㄱㄹㅇ임 좋은대학가야 주변에 좋은 사람이 생기고 그런건데 좆같은대학가면 주위에도 인생망한 사람들 밖에 없지 ㅋㅋ

  • @user-ze4qj4mx9k

    @user-ze4qj4mx9k

    5 ай бұрын

    그러나 사회란건 누구나 높은레벨에서 살수 없다는거..

  • @user-mc1yb7zg2r
    @user-mc1yb7zg2r5 ай бұрын

    유신학원에서 한길쌤 수업듣던 경북대 03학번 입니다. 나름 학교에 자부심 가지고 다녔고, 그 덕분에 수도권 대기업에 직장 구했습니다. 고려대 나온 여친도 사겨서 지금은 유부남이 되어 알콩달콩 살고 있습니다. 곧 아들이 태어날 예정인데 배에 손대고 말하면 반응하는게 벌써부터 아빠보다 똑똑한게 느껴집니다. 경제적으로 성공한 인생이라 할순 없겠지만 금전적으로 큰 아쉬움없이 살수있는건 학창시절 공부했던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구에 아무런 연고가 없음에도 대구fc를 응원해주는 이해심많은 배우자가 있어 너무 행복합니다.

  • @user-ux7oi2zb3b

    @user-ux7oi2zb3b

    5 ай бұрын

    제가 대구출신은 아니지만 배우자의 고향팀을 응원해주는 배우자.. 정말 부럽습니다 이미 성공하셨군요

  • @user-mc1yb7zg2r

    @user-mc1yb7zg2r

    5 ай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퇴근하면서 고마운 아내에게 줄 선물 사가지고 가야겠어요ㅎㅎ

  • @hoonO50824

    @hoonO50824

    5 ай бұрын

    대구FC 응원은 진짜 찐사랑이다ㄷㄷ

  • @romiwhan

    @romiwhan

    5 ай бұрын

    와아, 이건 분명 당신께서 존나 멋진 분이라 생각됩니다. 된사람은 원래빛이 납니다. 당신은 그대로 있고 대구가 당신이 그곳에서 태어났음을 감사히 여길 듯. 멋지십니다.

  • @Daegu_hyuni8787

    @Daegu_hyuni8787

    5 ай бұрын

    ​​​@@user-mc1yb7zg2r대구 시민으로서 자랑스럽습니다. 대기업이면 공대 출신인 것 같으신데 경북대 학생들 댓글보니 대기업 곳곳에 동문 선배들이 많아서 잘 밀어주고 든든하다고 하더라구요. 경북대 후배들 잘 이끌어주세요. 항상 행복하세요ㅎㅎ😊

  • @younhopark8252
    @younhopark82525 ай бұрын

    저는 어릴적 경산 시골에서 자랐는데 아무생각없이 친구들처럼 1990년 경산중 진학했습니다. 공부 좀 하는 애들은 수성구로 많이 빠지는 장점(?) 덕분에 경산중에선 학원 하나도 안다니고 중간 기말시험전 한달전부터 계획짜고 조금만 열심히해도 내신 잘받을수 있었어요. 아무런 꿈도 없이 지내다가 중3때 교회 전도사님이 선물해주신 허드슨테일러 의료선교사 이야기를 책을 읽고 의사가 되어서 좀더 의미있게 사람들을 도우며 살고싶다는 꿈을 가졌습니다..요즘처럼 의대 열풍이었다면 무모한 꿈이었겠죠..형이 하양 무학고에 진학해서 저도 따라 갔는데 고1때는 형이 고3이니까 어쩔수없이 11시까지 학교에서 자습했고 고3때는 12시까지 학교도서관에서 살았습니다. 전교1등 졸업 의대진학의 꿈을 이뤘어요. 중학교때 친구따라 수학학원 두달 다닌게 사교육의 전부인데..그때는 무식하게 엉덩이로 공부하면 되던 시기였던것같습니다. 선생님 말씀처럼 일찍 철들고 공부하는것이 나이들어 고생하면서 철드는것보다 훨씬 인생길이 수월해지는것은 확실합니다.

  • @30man
    @30man5 ай бұрын

    한길샘이 서울대를 가셨으면 지금과 같은 에너지가 나오셨을까 싶습니다ㅎㅎ 학벌이 좋으면 자존감도 높아지고 장점이 많다는건 정말 공감~

  • @dldeo0587
    @dldeo05875 ай бұрын

    대학을 나와야 좋은 점 1. 첫인상 부터가 달라질 수 있다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첫인상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데 외모 만큼이나 첫인상을 좋게 각인 시켜줄 수 있는게 대학 네임벨류다 고졸들이나 전문대졸들이 필사적으로 내가 괜찮은 사람이라는걸 어필할 시간과 노력을 대학 네임벨류 하나에 퉁쳐버린다고 생각하면 쉽다 물론 들어가서 장기적인 평가는 본인 하기 나름이지만 첫인상이 보통 굉장히 오래가는걸 생각하면 절대 무시 못한다 명심해라 사람들은 한번 싫어한 사람은 끝까지 부정적으로 보고 한번 좋아한 사람은 거의 끝까지 긍정적으로 본다 2. 기회의 폭이 달라진다 정말 뭘 하던 선택의 폭이 다르다 설령 실력을 우선으로 보는 현장직에서 조차 관리직으로 뽑혀 올라가는 사람들은 거진 4년제 출신이고 사업을 해도 요식업 같은게 아닌이상 영업을 할 때나 계약을 할 때 굉장히 도움을 많이 준다

  • @KkK-tz6rq
    @KkK-tz6rq5 ай бұрын

    살면서 느껴지더라 남들한테 나를 증명해야될 때 훨씬 몇 배는 더 노력해야하는거.

  • @BBQ01
    @BBQ015 ай бұрын

    극 공감 합니다. 학창시절에는 참 대학은 높은 벽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나이가 들고 보니 내가 공부하는 법을 잘 몰랐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공부를 해야하는 동기부여가 제일 중요한것 같습니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으로 지금 다시 고등학생 시절로 돌아가라고 하면 정말 공부 잘할 자신 있는데.. 예전에 어른들이 똑같은 말씀을 하셨는데 귀에 들어오지 않았지요.

  • @user-bk4kd4ut8p

    @user-bk4kd4ut8p

    5 ай бұрын

    저는 이제 고2 들어가는데 지금 미래가 안보이는거같애요 뭘 해야할지도 모르겠고...

  • @roxsaber9993

    @roxsaber9993

    2 ай бұрын

    ​@@user-bk4kd4ut8p나중에 비슷한 고민할때쯤에 지금보다 훨씬 더 고통스러울거에요 그냥지금은 무조건 하는수밖에없어요

  • @Ithinkmore
    @Ithinkmore5 ай бұрын

    경산고 16회 졸업생 입니다. 학력은 미천 하나 지금 코스닥 상장 준비중인 스타트업 설립자로 재직중 입니다. 학력이 안 좋으니 남들보다 더 열심히 해야할 동기부여가 생기더군여 ! 우리네 삶에서 가장 큰 실수는 답을 정해놓고 사는겁니다. 학력 컴플렉스에 빠지면 평생 아무것도 못 합니다 . 세상 너머 또다른 세상을 볼 긴 안목을 가지세여 !

  • @user-bp4ov6sj6b

    @user-bp4ov6sj6b

    5 ай бұрын

    고등학교때는 가급적 좋은 학교를가서 기회의 폭을 넓히는게 유리하고 좋은 학교를 못갔다면 그 자체가 실패한 인생은 당연히 아니지만 기회가 좁기에 몇배는 노력해야하죠 선생님도 좋지 못한 학벌로 몆배는 노력하며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셨기에 지금 자리에 계시지 않나 싶습니다

  • @hsunny_05

    @hsunny_05

    5 ай бұрын

    창업을 준비하고자 하는 학생입니다. 명문대 경영학과를 목표로 입시에 임했지만 완전히 실패했습니다. 의욕을 조금 잃었지만 여전히 스타트업 설립의 꿈을 갖고 방법을 찾는 중입니다. 선생님께선 어떻게 창업을 준비하셨는지 여쭈어보고 싶은데 간단하게나마 답변 받을 수 있을까요? 어리고 부족한 저 같은 학생이 할 수 있는 아이디어 찾는 법이라던지... 경영인이 되기위해 필요한 어릴 때 시작할수록 좋을 공부라던지... 그런 것들이 궁금합니다!

  • @user-dx8nj2pr3j

    @user-dx8nj2pr3j

    5 ай бұрын

    우왕 후배님! 👍 👍 👍

  • @user-eb9fx8dk3r

    @user-eb9fx8dk3r

    14 күн бұрын

    회사이름 뭔가요? ipo요?

  • @sulunity
    @sulunity5 ай бұрын

    고등학교때까진 같은 반이란 곳에 묶여있지만 대학교부턴 진정한 높낮이의 격차가 벌어지니 최대한 높은 귯에서 출발하는 명문대가 좋지

  • @secretaccount7369
    @secretaccount7369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대학교를 다니면서 느끼는게 학풍 하나라도 충분히 도전할만한 가치라 생각하네요.

  • @user-yc8tw9rx4l
    @user-yc8tw9rx4l5 ай бұрын

    나이 60이지만 매일 전한길 쌤의 강의 들으며 하루를 일차게 보내고 있습니다. 세계최고의 멘토이십니다. 빙빙 돌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직설적으로 말씀해주시는 한마디한마디가 현실적이고 가슴에 와닿습니다. 쌤의 영향력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최고입니다.

  • @Rose-9988

    @Rose-9988

    5 ай бұрын

    저두요~^^

  • @user-fw3tb3kp7q

    @user-fw3tb3kp7q

    5 ай бұрын

    60중반 아아주메 인데도 나름 마음에 각성이 되고 좋읍니다 .국회로 보내면 정말 일 잘할듯 싶네요 전한길 샘 !!!

  • @user-tz8ti6tf8u
    @user-tz8ti6tf8u5 ай бұрын

    7:23 피가 되고살이 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인생의 멘토 이십니다 👍👍👍

  • @ygkim9239

    @ygkim9239

    3 ай бұрын

    양심에 손을언고애기해라

  • @MTE-URGS-3000
    @MTE-URGS-30005 ай бұрын

    이분께 바라는게 있다면 사회인 대상의 역사 강의를 좀 언젠가 꼭 해주셨으면 좋겠음. 시험용으로 중요한거 짧게 짚고 넘어가는 강의도 좋지만 시간 제약 없이 하고 싶은 얘기 다 하는 강의도 꼭 들어보고싶음.

  • @user-vx6we3hq4n

    @user-vx6we3hq4n

    5 ай бұрын

    피로회복제 먹고해라.대상포진 주사맞어.

  • @user-rf6nc6lc4d
    @user-rf6nc6lc4d5 ай бұрын

    더 좋은 환경과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임. 그걸 잘 이용하거나 잘 잡을지는 각 개인의 몫이고. 유의할 것은 자기 실력에 비해 너무 낮춰서 가면 좋을거 하나 없고 강의 내용처럼 괜히 인생 어렵게 돌아갈 수 있다.

  • @user-ge1ew8jq2c
    @user-ge1ew8jq2c5 ай бұрын

    후배들한테 좋은 말씀감사합니다 선배님. 학과선배이신줄만 알았는데, 고등학교도 선배셨네요.

  • @ErzardJ
    @ErzardJ5 ай бұрын

    결정적인 순간에 한번의 기회를 더 얻을 수 있는 것. 학벌이 주는 베네핏입니다. 제 친구가 대기업 최종후보 2인까지 올라갔는데 거기서 떨어졌거든요. 결국 어디서 갈렸냐 하면 학벌입니다.

  • @user-ur1dx4rq9l

    @user-ur1dx4rq9l

    5 ай бұрын

    면접을 못봐서 그랬을수도

  • @ErzardJ

    @ErzardJ

    5 ай бұрын

    @@user-ur1dx4rq9l 학교도 명문대가 아닌데 최종까지 올라간 거 보면 못보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최종까지 올라올 때는 어떻게 잘 봤으나 마지막에서 못 봤을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학벌에 밀렸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네요.

  • @iporeews
    @iporeews5 ай бұрын

    난 공부를 못했고 안했다..좋은대학도 나오지못했고..그래서 그냥 일반적인 삶을 살아가는중이다..공부를 잘하고 좋은대학을 나왔다는것은 그사람이 얼마나 노력했냐..얼마나 학창시절에 진심이었냐로 사회에서의 판단기준이 된다..성공도 좀더 쉬울것이고 자기자신의 자신감도 올라갈것이다.

  • @hansna6436
    @hansna64365 ай бұрын

    똑같은 일을 하면서 실수해도...명문대 나오면 "공부는 잘하는데 일을 이따구로하네?"만 듣지만 학벌이없다면 "공부 못하니까 일도 저따구로하네". 같은소리들음. 욕먹는건 똑같지만 살면서 느끼는 타격감은 후자가 큽니다

  • @xx_file
    @xx_file5 ай бұрын

    전한길 선생님! 그시절 경북대는 엄청났었죠? 학생들에게 희망을 주기위해서 말씀 하시는걸로 믿겠습니다

  • @user-ix8ue2lx2y
    @user-ix8ue2lx2y5 ай бұрын

    전한길쌤 영상 보면 ㄹㅇ 인생의 진리를 모두 통달하신것 같음….. 들으면 들을수록 거부감이 생기고 인정하기 싫지만 그 사실을 논리적으로 설명을 잘해주심… 요즘들어 인생은 아름다운게 아니라 피튀기는 전쟁터라는게 살면 살수록 확실하게 느껴진다…

  •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5 ай бұрын

    그럴만한 자격이 있으니까요 ㅋㅋㅋ 사람의 호소력은 그 사람의 사회적 위치 권위에서 나옵니다 물론 전샘의 발성과 제스처 자신감 등등의 요소도 집중하게 만드는데 일조하긴 하지만요 본질을 보면 전샘이 1타의 위치에 있고 좋은 대학을 나왔고 같은게 더 중요한 것이지요 같은 말을 해도 전샘이 아니라 그냥 일반인이 했으면 "뭐래 요즘 학벌이 뭐가 중요하다고"라고 코웃음 칠 사람들도 태반이었을듯

  • @seokgyeoojeong333
    @seokgyeoojeong3335 ай бұрын

    공부든 일이든 성실히 끈기있게 파고들고 후회가 없을 만큼 노력 해보십시요. 반드시 좋은 결과가 나옵니다. 학교성적은 성실성을 평가받는 보상입니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빨리 파악하고 장점을 계속 살리는 겁니다. 한우물을 계속 파다보면 프로의 경지에 오릅니다. 학력과 학벌이 경쟁력은 맞습니다. 사람마다 학습능력이 다릅니다. 부족함을 알고 스스로 노력을 다 하면 벌충이 됩니다. 화이팅!!!!!

  • @endlesssummer2124
    @endlesssummer21245 ай бұрын

    지방국립대다녔는데 서울대 학기제로 잠시 유학해보니 다르긴 다르더라. 일단 학생들 태도와 행동부터 다름. 교수진과 인프라는 두말할 것도 없고. 지금은 배우자클래스를 높혀야한다는 말이 와닿네.

  • @user-ym6oq2td1l
    @user-ym6oq2td1l5 ай бұрын

    전한길쌤 진심으로 이렇게 후배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시고 감사하고 항상 존경하고 진정한 스승 이십니다❤

  • @user-lz7vv6xk2q
    @user-lz7vv6xk2q5 ай бұрын

    특수부대 장교출신 현직 소방공무원 119구조대원입니다. 교수님 말씀이 학생때는 쉽게 와닿지 않겠지만 세월이 지난 뒤에 결국 알게됩니다. 물론 학창시절에 깨닫게 된다면 다행입니다. 학창시절 목숨걸고 공부해서 좋은 대학진학하시기를 바랍니다. 공부열심히 해서 죽지 않습니다. 저는 직장생활하면서 하루에 잠줄여가며 4시간 수면, 목숨걸고 공부해서 2개월 남짓 쫓기듯 공부하니 지금 이 자리에 늦게나마 입직해있습니다. 여러분! 후회하지 않으려면 목숨걸고 공부해야 합니다.

  • @user-ne3ig1bx6c

    @user-ne3ig1bx6c

    5 ай бұрын

    몇살에 입직 하셧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user-lz7vv6xk2q

    @user-lz7vv6xk2q

    5 ай бұрын

    @@user-ne3ig1bx6c 39살에 합격했답니다:)

  • @user-ne3ig1bx6c

    @user-ne3ig1bx6c

    5 ай бұрын

    @@user-lz7vv6xk2q 진짜 멋잇습니다.. 저도 정비특채 1년 더 채우고 35에 목표로 가지고 있습나다.. 혹시 인스타 아이디등을 통해서 자극 좀 받을 수 있을까요?

  • @Delicious_Apple

    @Delicious_Apple

    5 ай бұрын

    공부해서 300만원도 못버는 공무원 할바에 대기업 가겟다

  • @raejep7319

    @raejep7319

    5 ай бұрын

    경찰 간부가 꿈인 고3인데 자극 많이 받고 갑니다..! 화이팅

  • @user-oh7gc9qw2s
    @user-oh7gc9qw2s5 ай бұрын

    선생님은 후회없는 삶 최선을 다하라 말씀하셨어요 감사합니다:)

  • @user-og1cg8vt9b
    @user-og1cg8vt9b5 ай бұрын

    진짜 맞말 ㅋㅋ 학벌이주는게 취업이 다인줄알고 학벌은 안중요하다는 애들있는데 그런애들 보면 학벌이다들...음

  • @user-np2lf8jk8c

    @user-np2lf8jk8c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누가못엎는다고함? 혼자화났노...

  • @Mega_kmc0219

    @Mega_kmc0219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 많이화났노 ㅋㅋㅋㅋ 전한길t한테는 아무말도못하고 수준 ㅈㄴ낮네

  • @user-og1cg8vt9b

    @user-og1cg8vt9b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 좀 안쓰럽네 ㅋㅋ 혼자딴얘기하네 누가못엎는다고했냐

  • @kevininthepark4362

    @kevininthepark4362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그님대?

  • @factful_justice

    @factful_justice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 그 고시나 전문직도 합격자 대학별 순위보면 명문대에서 쫙 잡고있음. 그 안에서도 명문대 출신들이 주류임 물론 실력으로 승부볼 수도 있겠지만 애초에 5급이나 변호사 변리사만 봐도 sky 비율이 압도적임

  • @cholpak6836
    @cholpak68365 ай бұрын

    부산대,경북대 수준이 점점 쇠락하고있다는데 동문들과 지역시민들이 착잡한 심정입니다. 70~80년대에는 그지역학생들은 서울대 갈 실력에 못미치면 부산대,경북대이다보니 당시에는 실력이 연세대 고려대와 많이 겹쳤는데... 최근에 대구에있는 친구자식들이 경북대 갈수있는 실력이라도 동.홍.건을 지원하겠다고하니 충격을 받았네요. 국가적인 차원에서 수도권 집중화를 해결하지않으면 지방 거점국립대라도 초토화될게 뻔해 마음이 무겁네요.

  • @Flame12999

    @Flame12999

    2 ай бұрын

    굳이 수도권 집중화를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까

  • @travellingsmile8164
    @travellingsmile81645 ай бұрын

    고2, 고3들 열심히 해라. 좋은 대학교 간판 평생 간다. 더욱 중요한 것은 나는 (피나는 노력을 해서) 명문대 나왔다는 자신감을 가진다는 것이고 대학 졸업 후 여러 난관이 필연적으로 발생할텐데 그럴 때에 대학 갈 때의 그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한다면 웬만하면 다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덤으로 가진다는 것. 그게 인생에서 매우 매우 중요하다. 다른 수없이 많은 좋은 점들은 다른 댓글에 무수히 나와 있네.

  • @user-xo5ef3pj2c

    @user-xo5ef3pj2c

    3 ай бұрын

    맞는말씀입니다~^

  • @user-em4fk4qg5g

    @user-em4fk4qg5g

    3 ай бұрын

    이게 가장 정답인듯요

  • @Rose-9988
    @Rose-99885 ай бұрын

    중독성있는 선생님강의 아주 유쾌하게 들으면서 이나이에 에너지 팍팍 받습니다😊

  • @user-us9wy9tw6b
    @user-us9wy9tw6b5 ай бұрын

    대학대학대학 우리의 현실 모든건 대학으로 ......암담하다 현실적인 말씀 감사합니다.

  • @user-nonamebutexist
    @user-nonamebutexist5 ай бұрын

    살면서 무언가 제대로 끝장을 내는 경험은 한 번이라도 해봐야 한다. 그게 정점이면 베스트. 그리고 그건 일찍일수록 좋다.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5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백배 동의

  • @user-mp9dy4gh3b
    @user-mp9dy4gh3b5 ай бұрын

    한길쌤 강의 듣고 공무원이 된 학생이지만, 고등학교 때 좀만 더 치열하게 살걸 이란 생각 자주해요 딱 10년전으로 가서 미친듯이 해보고싶어요 후회되지 않을 정도로...

  • @taehunlee-rj2cn
    @taehunlee-rj2cn5 ай бұрын

    안분지족하면서 지금 자신 상황을 스스로 조금씩 개선 해내는 의지야말로 진정으로 중요합니다. 그것은 자신이 가능한 작은 생활의 기술들을 조금씩 실천 해내는 것과 같죠. 그리고 본인이 현재 누리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진실로 소중한 것인지 반드시 깨달아야만 합니다. 특히 한국 중년 중급 재산가들은 꼭 그 단계가 필요합니다.

  • @tigerhong3639
    @tigerhong36395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옳은 말씀이네요. 좋은 대학 자체가 중요하다기 보다는 좋은 대학을 가려면 지능, 인내심, 집중력 등등이 좋아야 합니다. 이런 능력이 좋은 대학을 가게 만들고 성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회사에서 수많은 사람을 봤지만 좋은 대학 나온 사람이 일을 더 잘할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일단 이해력부터 차이가 나거든요. 거기에 성실성도 차이가 나고... 학생들 열심히 공부해서 강사님 말씀대로 1~2 레벨 높은 대학 가기를 기원합니다.

  • @raputrs6234

    @raputrs6234

    5 ай бұрын

    맞아요, 어찌보면 좋은 대학에 가서 똑똑해지는게 아니라 똑똑한 애들이 거름망으로 걸러졌을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날때부터 누군가는 나태해서 공부하지 않고 누군가는 성실해서 공부를 했다고 보기보다는 잘 하니까 쉽고 주위에서 칭찬해주니 공부 자체가 더 쉬운 행위가 된거겠죠, 시작부터 가속화는 진행되었고 절대 공정한 1:1의 노력비율을 가진 게임이 아닙니다. 본인 스스로가 공부와 맞지 않으면 자신이 바로설 수 있는 풀에 속하여서 성실히 임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 @user-xo5ef3pj2c

    @user-xo5ef3pj2c

    3 ай бұрын

    완전 맞는말씀만 하셔서 공감하며 잘 봤습니다. 저 옛날에 저런말씀 해주는분이 있었다면 지금 이렇게안살텐데ㅜ 암튼 스타강사 한길쌤 말씀듣고 열씨미 공부해서 꿈을 이루는 학생들이 많아질테니 부럽기도하고 감사한일이네오!^^ 한길쌤덕분에 멋진인재들이 많이 나올테니 결국 우리나라발전에 이바지하는 꽃보다한길쌤 존경스럽네요!^^

  • @irisiziris
    @irisiziris5 ай бұрын

    해외 명문대 다닙니다. 장점이라고 하면 일단 뭔가 치열하게 살아봤고 그걸로 뭔가 성취했다는 경험이 내면적으로는 제일 큰 것 같아요. 그리고 외부적인 건 뭐 타인의 시선, 인정 이런 걸 떠나서.. 주변만 돌아봐도 비전이 확고하고 열정 있고 존경할만한 친구들이 많다는 게 정말 매우 큰 장점입니다. 단순히 뭔가 전공 지식을 떠나서 (이건 훌륭한 교수님들이 알려주심) 지혜나 삶을 대하는 태도 그런 것도 배울 게 정말 많은 것 같다고 항상 느낍니다.

  • @Berserker195

    @Berserker195

    5 ай бұрын

    명문대에 갈 수록 교수남들 부터 저명한 분들로 바뀌고, 학문을 대하는 태도부터 다르더군요. 거기다 학생들 수준부터 달라요. 뭐니해도 얘기가 잘통합니다. 즉, 그만큼 학생들이 유식해서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지식도 많아지는건 사실이더군요.

  • @user-yi6hw7wi7m
    @user-yi6hw7wi7m5 ай бұрын

    행님! 강의는 듣지않았지만. 한번식 졸음운전 할때면 행님 나오는거 유트브 아무꺼나 틉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안전운전!

  • @mspark6467
    @mspark64675 ай бұрын

    외국에 사는데요 목숨 걸고 좋은대학 가야하는 거맞습니다 좋은대학 나온 사람들 저희끼리 똘똘뭉쳐 도와주고 도움받고합니다 또 머리가 배움으로 돌이가서 잘 살아요 스무 몇 살까지 배운 그 머리만큼삽니다

  • @holeinholein1902
    @holeinholein19025 ай бұрын

    40대 후반,, 제가 다시 고등학교 돌아가면 진짜 코피터지게 공부해서 스카이 갑니다. 진짜 학벌은 평생 따라다님

  • @ahsvdh-1248

    @ahsvdh-1248

    5 ай бұрын

    코피터지게해도 스카이 갈사람 드뭅니다

  • @user-nf4dz8so3y

    @user-nf4dz8so3y

    5 ай бұрын

    다들 계획은 그럴싸하지 쳐맞기 전까진... ㅋㅋ 공부하라고 판 깔아 놓았던 시절에도 안한 사람이 다시 돌아간다고 할 가능성 0임. 그리고 안해본 사람은 본인의 공부 체력 가늠도 못해서 공부만 하면 다 될줄 앎. 객관화가 안된다는거지

  • @user-hn5mi3ci4w

    @user-hn5mi3ci4w

    5 ай бұрын

    ​@@user-nf4dz8so3y 이게 팩트 ㅋㅋ

  •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5 ай бұрын

    스카이까지 갈 필요도 없음 님 20대 시절이면 부산대 경북대만 가도 잘 갔다고 하던 시절임

  • @Parabarabam

    @Parabarabam

    5 ай бұрын

    내가 대학같은거 필요없다고 하다가 사회나와서 학력의 벽을 느끼고 20대 후반에 다시 준내 공부해서 중경외시 갔는데, 내 인생에서 가장 잘한 선택인듯. 그냥 인서울 괜찮은 대학 나왔다는것만으로도 사회에서 당당해짐

  • @asfdqwerzxcv
    @asfdqwerzxcv5 ай бұрын

    점잖은척 안하고 빙빙 돌리지 않고 말해도 살아온 세월이 그 말을 증명하기에 힘이 있다. 얼라들은 전한길 샘 말 잘 듣고 1-2년 죽도록 공부해라. 그 경험이 나중에 다른 일을 하더라도 큰 자양분이 될 것.

  • @jnvs3832
    @jnvs38325 ай бұрын

    공부해서 자신이 만족하는 대학을 가서 좋은 점이 있다면 적당히 평범한 직장에서 다닐 수 있다는 점. 이거 저거 생각하고 고민할 시간을 아낄 수 있다점이다. 근데 그렇다고해서 자신이 하고싶은 일이나 만족한 삶이나 많은 부를 누리고 사느냐는 그렇지 않는 경우가 많다. 중요한 건 자신이 주체적으로 주도적으로 학창시절에 공부를 해서 원하는 대학교나 학과를 선택했느냐인데 문제는 남들이 다 그렇게 하니까 달려왔는데 막상 그렇게 했더니 후회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다. 요약하면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 고등학교때 후회없이 열심히 공부해서 원하는 대학가고 그래도 그게 아니면 빨리 다른 길이 찾는게 나은 삶일수도 있다.

  • @user-wv9zb6mx9d
    @user-wv9zb6mx9d5 ай бұрын

    그들만의 에너지 열정 된다는 긍정성 서로 으샤으샤 해보려는 용기 혹여 똘짓을 해도 그래 너는 다르니까 하는 다른이들의 용인. 스스로 자부심 나 십 대 허투루 놀지 않았어 하는 마음이 항상 남아서 가슴속 평생의 훈장 같은게 있습니다.

  • @kwanholee3975
    @kwanholee39755 ай бұрын

    정말 임팩트 있는 강의이네요. 정말 젊은 분들이 강의 깊이를 이해하고 실천 했으면 합니다

  • @user-tz4xd7ue3m
    @user-tz4xd7ue3m5 ай бұрын

    많은 것을 극복하고 오늘의 자리에 섰네요.. .. 그 점 인정할 수 밖에 없군요!

  • @user-dv2id6os6z
    @user-dv2id6os6z5 ай бұрын

    선생님...지나고 나니 알았습니다. 백번천번만번 공감합니다. 그시절 선생님을 알았다면 다른 인생을 살고 있지 않을까?... 항상 감사드립니다.

  • @DONG-ym8qn
    @DONG-ym8qn5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전한길 ~

  • @user-fk8el1dd2j
    @user-fk8el1dd2j5 ай бұрын

    선생님 다 동의하는 내용이지만 대학가면 연애한다는 내용은 동의할수없습니다😂

  • @Robin-tn4ix

    @Robin-tn4ix

    5 ай бұрын

    대학가면 연애한다는게 아니라 비슷한 수준의 사람끼리 만난다는 의미 입니다. 이왕이면 이쁘고 똑똑한 여자랑 결혼해서 그런 자식 낳는다는 의미

  • @user-xc9dt7pi3x

    @user-xc9dt7pi3x

    5 ай бұрын

    사람이 어찌 이렇게 멍청할수가..; 개잡대 갔겠노 ㄹㅇ

  • @user-vu3ni3tu4l

    @user-vu3ni3tu4l

    5 ай бұрын

    우스갯소리에 왤캐 물어뜯으심 ㅋㅋ 틀딱인가

  • @davidarvonski6350

    @davidarvonski6350

    5 ай бұрын

    존나이쁘면 고졸로도 전문직 잘만 만나요ㅋㅋㅋㅋㅋ

  • @Berserker195

    @Berserker195

    5 ай бұрын

    @@davidarvonski6350그런데 요즘은 공부 잘하는 애들이 얼굴도 예쁘더라

  • @gradmonkey_kim
    @gradmonkey_kim9 күн бұрын

    학벌이 있으면 확실히 나를 증명하는데 있어서 훨씬 수월해지는 거 같아요! 직장에서도 그렇고 무엇이든 원하는걸 할때요! 실제로 말씀하신 것처럼 제 주변을 봐도 명문대생은 명문대생이랑 결혼하게 되더라구요 그른데 진짜 밤샘같은 걸 하면서 열심히 하려고 자기를 가혹하게 채찍질 하지는 말아주세요ㅠ 저도 고3때 동기부여 영상 많이 봤지만 결국 반짝 하다가 또 놔버리고..그러면서 스스로에 대한 죄책감만 쌓이더라구요 ”열심히“하는게 아니라 ”잘“하기 위해서 어떻게 할지 고민하면서 공부하는게, 실제로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좋은 길이에요 공부도 분명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이 있으니까 무조건 시간을 늘려서 공부한다는 생각은 안하셨으면! 이라고 많은 시간동안 공부로 삽질해본 20대후반 사람이 첨언하고 갑니당..총총 전한길 쌤 책도 넘 잘읽었고 에너지 전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당!

  • @user-ln4ed3xt9v
    @user-ln4ed3xt9v5 ай бұрын

    어떻게보면 뻔한 조언일수도 있지만 충분히 너무도 공감되고 귀감이 되는 조언입니다. 저도 몰랐습니다만, 사회 나와서 여러 경험을 해보니까 정말 학벌이란걸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위 영상처럼 죽을만큼 노력해서 좌절하지 않고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경험. 그리고 좋은학교 일수록 분위기도 더 좋습니다. 그리고 사회생활 하면서 가장 크게 와 닿은게 네트워킹입니다. 사람을 많이 만날 기회가 생깁니다. 그러다보면 동문 선후배를 만날 확률이 크죠. 그게 사람사이 벅을 허무는데 엄청납니다. 통성명하고 아이고 선배님 후배님 하면서 그냥 일사천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수험생 여러분 진짜 힘들지만 꼭 조금이라도 더 노력하셔서 조금이라도 더 좋은 대학에 가시길 간곡히 권해드립니다.

  • @user-hf1vk3zy1c
    @user-hf1vk3zy1c5 ай бұрын

    전한길 교수님, 수능강사로서 잘 나가셨다가 공시로 오시면서 노량진에서 여러 학원들 돌며 어려운 시기가 있으셨는데 이제는 엄연히 1타 교수님들 중에 한 분이 되셨네요..^^ 지금 이 자리에 오시기까지 고생 많으셨습니다. 꽃길만 걸으시길^^

  • @user-ei9ml9ts9j
    @user-ei9ml9ts9j5 ай бұрын

    공부하기 참 좋은 나이지요. 그땐 잘 못느끼지만 시간 지나서 보면 고등학생때는 공부할 타이밍입니다

  • @HappyUnderBoss
    @HappyUnderBoss5 ай бұрын

    진심어린 이야기 고맙습니다!

  • @user-ny2fk4gz2t
    @user-ny2fk4gz2t4 ай бұрын

    ㅋㅋㅋ한길샘이 경북대라지만 저 당시 경북대는 연고 낮은과~ 서성한 수준이었습니다. 공부썰 들어보면 진짜 열심히 한 분이죠.

  • @duyoungunyongkim397

    @duyoungunyongkim397

    4 ай бұрын

    서성한 보다 높았어요

  • @user-joendugwang

    @user-joendugwang

    3 ай бұрын

    경북대 대구캠 03년까지 개빡셋는데. 경북대,부산대 존나센학교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5 ай бұрын

    저 정도 위치에 가서 요즘같은 pc세상에 저런 얘기 노골적으로 하기 쉽지 않은데... 그러면서도 간간이 깔때기 대는 기술까지 ㅋㅋ 전한길 쫌 짱입니다요

  • @user-ux9tr9ku5c
    @user-ux9tr9ku5c5 ай бұрын

    인생 살면서 뭘 하든가에 죽기살기로 미친듯이 한번 해봤으면 합니다. 이게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경험인거같네요. 제 기준에는요!

  • @user-jm9uo5xr5d
    @user-jm9uo5xr5d5 ай бұрын

    학벌은 한번의 허들을 한번 넘을 수 있는 기회를 얻고 막상 일 시작하면 학벌보단 능력, 평판이 좋은게 중요하더라구요. 학벌이 나쁘지 않으니 시작을 수월하게 하게 되고요. 학벌은 딱 입사까지 그 후론 본인하기 달렸어요. 그 외에 좋은 점은 내 주변 사람들이 괜찮은거? 내가 생각한 평범하고 무난한 괜찮은 사람들이 사실 입사부터 평균연봉으로 봐도 20프로 10프로 안에 드는 사람들이고 학벌도 다들 나쁘지 않으니 그게 너무 당연하고 대화를 할때도 서로 좋은 얘기 많이 해주는데 인터넷에서 보는 사람들의 수준은 참 가지각색인걸 알고 네이버 카페나 여기 유튜브 댓글만 보고도 놀랄때가 많았고 내가 생각한 평범이 평범이 아니란걸 깨닫게 되었죠 ㅋㅋ 😅

  • @jjunm2
    @jjunm25 ай бұрын

    진짜 맞는 말입니다.. 대학 뿐만 아니라 회사에도 적용되는데 그 첫 시작이 어느 대학을 나왔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대학 간판은 향후 인생을 좌우합니다.

  • @kmm3131

    @kmm3131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혹시 최종학부가…??

  • @koleanan1001

    @koleanan1001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아이러니하게도 행정고시 및 전문직 합격률은 대학교 레벨과 아주 유사합니다. 물론 합격하면 출신대학이 무의미하긴 합니다만요.

  • @pandemoniumx5999

    @pandemoniumx5999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 전문직도 학벌 좋은애들이 합니다 왜? 타고난 재능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죠. 애초에 머리 나쁘게 태어나면 저런 전문직은 죽었다 깨어나도 합격 못합니다.

  • @administrator8965

    @administrator8965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 5급 , 전문직 합격자 의 대부분은 명문대 출신입니다 ㅋㅋ 학벌이 높다는건 수준이 높다는 소리지요?

  •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5 ай бұрын

    @@user-oj6se8es5r 어디서 줏어듣고 아는척은 ㅋㅋㅋㅋㅋ 기사 자격증 중에 제일 어렵다 싶이 한 일반기계기사 전기기사도 공시급도 안됨 근데 무슨 고시? ㅋㅋㅋ 고시에 비비려면 기술사 정도 난이도는 되야지 그리고 전문직은 스카이 나온 애들도 장수생 되는 경우가 허다한데 수능 공부도 못했던 사람이 고시 합격하고 5급 합격할수 있다고 얘기하네 ㅋㅋㅋㅋ

  • @samgangstar
    @samgangstar5 ай бұрын

    모두 좋은대학 가세요~

  • @user-lm1qx1qx8q
    @user-lm1qx1qx8q5 ай бұрын

    정말 표현 정확하다. 근데 중고딩때 그 가르침이 맘에 충격적으로 와닿는 사람은 소수라는거

  • @user-cw7ui3of6y
    @user-cw7ui3of6y5 ай бұрын

    좋은 대학에 가서 성취감을 얻으세요! 성취감이 당신의 인생을 바꿀거에요

  • @kokia2121
    @kokia21215 ай бұрын

    어차피 결국 ...지거국포함 인서울이 30프로 정도인데~ 불쌍한 우리 아가들 ㅜㅜ " 공부못해도 기죽지 마라 인생 별거없고 누구나 행복할수있다"~

  • @user-so7fs8bq4d
    @user-so7fs8bq4d5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말씀 감사합니다.

  • @user-zs6eo1wd6r

    @user-zs6eo1wd6r

    5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얘기가 아닙니다. 좀 더 길게 보셔야 합니다. 인생의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더라구요! 현직 헤드헌터가...

  • @user-qt1qi2wh4t
    @user-qt1qi2wh4t5 ай бұрын

    준거집단의 중요성은 나이가 들수록 절실하게 깨닫게 된다 ㅋㅋㅋㅋㅋㅋ

  • @kimchiman51

    @kimchiman51

    5 ай бұрын

    군대만 가도 깨달음 수많은 저지능 인간들의 대향연

  • @cl9724
    @cl97245 ай бұрын

    솔직한 말씀이시네요. 이렇게 솔직한 분 좋습니다.

  • @sis2642
    @sis26425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말씀이세요

  • @kimchiman51
    @kimchiman515 ай бұрын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으면 공부에 목숨 걸고, 그게 아니면 다방면으로 노력해서 좋아하고 관심있는거 찾고 재능 개화시키고 식견 넓히고 훌륭한 사람들 많이 만나고 살면 됨 사람마다 환경과 때가 다르고 모든 사람이 똑같을 필요 없음

  • @cl9724
    @cl97245 ай бұрын

    이분의 최대의 무기는 솔직함이신것 같습니다.

  • @Lilac__dreams
    @Lilac__dreams5 ай бұрын

    30대 중반 바라보는 여잔데 매우 공감함. 내가 사회나와 느껴보니 첫째, 어울리는 사람들이 수준이 높아지고 둘째, 자신이 성인이 돼서 자기가 소속한 회사가 어떤 업종이든 개썩어서 자신이 바꾸고 싶을때 학력이 좋으면 일단 한국인들은 그 의견을 들어보기라도 함. 고졸이나 전문대졸이 아무리 좋은 의견이 있다고 말한들 한국인들은 안들음 고정관념이 아주 강한 민족이라섴ㅋㅋ 이걸 30대에 깨달았을때는 너무 늦다. 10대들이 알았으면 함. 난 입시생때 부산대 갈 성적이었는데 내 멍청한 실수로 못가고 지잡대 졸업했는데 그 실수가 10년이 넘어도 계속 생각남.... 기사 자격증을 3개를 취득하고 별짓을 다해도 계속 따라다님 그래서 지잡대나온 애들중 학력에 미련있는 사람은 대학원을 인서울로가서 지잡대나온거 가림,, 아직은 한국인들은 학력보고 사람말 듣는다 슬프지만. 고졸인데 돈 잘버는 사람도 많아졌지 하지만 확률을 말하는것임. 아이를 낳고 교육 환경, 학군이 좋은 곳으로 이사가는 이유는 주변 사람들 수준이 높기 때문에. 명문대일수록 수준이 높을 확률이 크고 아시아국가중에서 대한민국은 거의 유일한 민주주의 국가이지만 그러면서도 아직도 보이지않는 신분제가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대딩시절. . 전문대를 졸업했거나 대학을 안 간 여자애들이 나한테 자격지심으로 자주 나한테 대학 가면 뭐하냐? 나처럼 사회에 빨리 나와서 일하는게 좋다고 말하곤 했고 걔네보다 4년 정도 늦게 경제활동을 시작했음에도, 그 여자애들보다 연봉이 높다 이왕 대학갈거면 좋은 곳 가라.. 최근에 집 근처에 이름 없는 엄청 안좋은 대학교 안에 프린트할 곳 있길래 프린트하러 갔는데 분위기부터 놀자판임 상태 다 안좋아보이고 그냥 분위기부터 다 보임 ㅋㅋㅋㅋ 부모님들 등골 휘는게 보이더라. 내 아이는 이 ㅈ같고 썩읒 대한민국에서 살아남게 하려면 잘 키워야겠다는 생각만 드는 요즘.

  • @user-ru9lm4sn9i

    @user-ru9lm4sn9i

    5 ай бұрын

    팩트는 님이 부산대를 갔든 서울대를 갔든 님 인생 크게 안 바뀜 결국 대학을 말할 수밖에 없는 위치밖에 안되있는거고 대학이 님 인생에 많은 부분을 차치한다고 생각하는갓 부터 지금 불만족한 상태인거고 성공하면 대학은 그냥 아주 극히 미약한 생각할 여유도 없는 일분분에 불과함 예상하자면 결국 남들이 다 하는 분야 특별난것도 없는 분야에 있기 때문에 그런거 주변에 이런얘기를 10대에 얘기해주는 사람이 있었어야 함 대학이 전부가 아니란걸 30대에도 집착하는거 보면

  • @user-ru9lm4sn9i

    @user-ru9lm4sn9i

    5 ай бұрын

    피부에 와 닿지 않을지 몰라 예를 들어줌 손흥민 중학교 중퇴임 이거 언급하는 사람들 있음? 이정도 수준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수십억 부자임 학벌이 중요함? 돈이 학벌을 다 가리는데? 내 생활 수준이 이러니 학벌이 문제같고 여러가지가 문제같고 말을 안들어주는거 같고 이상하지 주변에 조언해주는 사람이 없어서임 님이 지금이라도 뭐라도 성공하면 학벌은 눈에 보이지도 않음 장담함 근데 성공할 가능성이 낮지 학벌에 집착하는 사람중에 성공한 사람은 단 한명도 못 봤음 돈 운동 경제 학문분야 예술 이런거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성공하지

  • @user-qx9vg1fk5l

    @user-qx9vg1fk5l

    5 ай бұрын

    ,, 손흥민 멋지죠 중학교 중퇴여도 언급하는 사람 없고요 근데 손흥민은 예체능이잖아요. 그리고 그 분야 상위 0.01%인데요 원댓글님이 하시는 말이 무조건 맞아요 대학이 전부는 아니죠 하지만 대다수는 취업합니다. 대학이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요.

  • @user-cg6mi4gs4g

    @user-cg6mi4gs4g

    5 ай бұрын

    @@user-ru9lm4sn9i 막말로 명문대가면 자존감부터 다름 지잡대가면 교수도 무시하게되고 친구들도 속으로 서로 무시함 꼴통끼리 서로 비난 대환장파티 패배감베이스 인생시작됨 명문대 들어가면 서로 존중하며 세계 유명 석학 강의도 들을수있으며 열심히 하면 저친구 저 교수처럼 나도한번 도전해보자 하는 긍정적인 마인드탑재 친구랑 놀면서도 성적잘나오는 친구들 자극받으면서 시너지인생 시작됨 꼴통대학 가봐라 전부 인생막장 패배자들만 잔뜩모여있는데 선배랍시고 취업도 잘 못하는데 존중하는마음이 생기겠음? 한마디로 인생 스타트자체가 꼬임

  • @coco_isabelle

    @coco_isabelle

    5 ай бұрын

    공감됩니다. 저와 제 배우자는 사회에서 이런저런 학벌로 인한 부당한 대우? 를 몰라서 아이들 공부를 안시켰는데 주변에서 다들 이상한 부모 취급할때도 사실은 깨닫지 못했습니다. 아이가 대학 갈 나이가 되니 다들 보는 눈들이 다르다는게 실감 되고 요즘도 우리나라 사회가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걸 깨닫는 중이네요. 역시 고생 안해본 사람은 모른다는 겁니다. 울 집 아이들은 스스로 고생해보고 헤쳐나가야 된다는걸 생각하니 저도 맘이 편치 않네요.

  • @liamkim5724
    @liamkim57245 ай бұрын

    자기자신에 대한 자신감 이게 사회서 진짜중요

  • @ssonyk9742
    @ssonyk97425 ай бұрын

    지잡대나와서 기술익혀서 공기업 취업해서 4년동안 재직중임 좋은대학나와도 취업힘들고ㅠ앞으로 한국은 더더욱 그럴거같습니다 공부로 좋은대학가서 전문직 대기업 가서 성공할게아니면 본인만의 무기만 잘만들면 충분히 성공할수있다고봅니다.! 모두 화이팅!!

  • @user-fl1mx4we9b
    @user-fl1mx4we9b5 ай бұрын

    40중반인데 지역 최고 국립대는 나와야 인생사는데 수월하다

  • @POPO-iz3sh
    @POPO-iz3sh5 ай бұрын

    세상 살아가는데 어느 정도에 지식은 어떤 곳을 가더라도 요구 합니다. 그러니 기왕이면 공부 할 수 있을때 열심히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전한길 선생님 말이 무조건 맞다고 할 수도 없죠 하지만 저 자리에서 공부하지마 할 순 없잔아요 더군다나 저분은 공부를 업으로 하시는분인데.... 선택은 각자의 몫이고 본인 인생은 본인이 선택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책임도 본인이 지는거구요

  • @hoons-or6sb
    @hoons-or6sb3 ай бұрын

    진짜 현실적이고 직설적으로 얘기 해주시네요.

  • @hfirm6872
    @hfirm68725 ай бұрын

    고딩때 공부 안해서 좋은 대학 못 간거면 대학가서 정신차려 공부해서 과에서 1등을 하던가 자기 전공에 특출나서 석박사 해서 교수가 된 케이스 꽤 봄 근데 고딩 때 공부 열심히 했는데 좋은 대학 못 간거면 문제가 있음 공부 말고 딴 길 찾아야 됨 우리 사회가 다양성을 추구 못하고 공부공부 거리니까 출산율도 그렇고 이런 비극적인 일이 생긴거 아니냐

  •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5 ай бұрын

    본질적인 문제는 기업들의 구인공고가 죄다 기본 대졸자를 요구하기 때문이지요 먹고 살려면 울며 겨자먹기로 공부할수 밖에 없는게 작금의 현실입니다

  • @user-no6bx1zd4c

    @user-no6bx1zd4c

    5 ай бұрын

    ​@@user-sd5bu4dc2eㅇㅇ 그러니까 다같이 국가 소멸의 길로 나아갑시다🎉🎉 어차피 고칠 생각도 없잖아요 ^0^

  • @ykalivew5065

    @ykalivew5065

    5 ай бұрын

    이게맞지ㅋㅋㅋㅋ 지금 나라꼴에 또 경쟁부추기는소리나 하는거보면 걍 망하는게맞다

  • @user-vh7fh1qb4x

    @user-vh7fh1qb4x

    5 ай бұрын

    공부 열심히 했는데 좋은대학 못간건 그냥 그게 한계인거임 공부머리 유전자 정해져 있고 그걸 노력으로 뛰어넘는게 불가능한건 이미 다 아는 사실이고 정말 노력해서 그 근접까지 내가 도달할수있는한계까지 가면 잘간건데 본인이 가슴에 손을 얹고 나는 정말 열심히 했다 라고 할정도면 거기까지 간게 한계라는 말임

  • @user-nh3tv7ck6e
    @user-nh3tv7ck6e5 ай бұрын

    옳은 말씀입니다. 확실히 명문대 출신이 좋은회사 취업되고, 진급도 수월하고 그리고 일하다보면 똑똑합니다.😮

  • @user-sk7sy2ky6k
    @user-sk7sy2ky6k5 ай бұрын

    성실함과 밑도 끝도 없는 자신감이 필요하다라는건 인생 살면서 뼈저리게 느껴짐. 괜히 움추러들고 나서기 싫어 하고 눈치 보고 자신감 없으면 자신감 있는 애들이 좋은거 다 빼앗어감. 자신감 있고 욕심 많아야 하고 나서기 좋아하고 성실한 사람들이 성공하는거 인생살면서 느꼈음. 투덜투덜 거리고 불만 많고 하기 싫어 하는 애들은 어디가나 적응 못함.

  • @user-zw4nm1vo7k

    @user-zw4nm1vo7k

    5 ай бұрын

    밑도 끝도 없는 자신감~~~ 이게 핵심

  • @user-xg8rr3tc4u
    @user-xg8rr3tc4u5 ай бұрын

    저는 고졸인데 열심히 일 배워서 제 사업해서 2억 대 연봉자입니다 물론 22살부터 34살까지 제 청춘을 갉아 넣어서 여기까지 올라오긴 했습니다만 공부가 세상의 모든 것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정말 좋아하고 사랑하는 일을 열심히 하고 전문성을 가지면 더 좋은 미래가 기다릴 수도 있습니다 다들 파이팅 하시고 모든 일 다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sd5bu4dc2e

    @user-sd5bu4dc2e

    5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하지만 님이 이룩하신 것을 위한 과정도 "공부"입니다 평범한 사람에게는 어려운 수학 문제 푸는것이 님처럼 전문성을 가지는것보다 더 쉽게 느껴집니다 공부를 꼭 공무원 시험 수능 같은 것에 매몰시켜 생각할 필욘 없습니다

  • @user-kn5sx1mu1u

    @user-kn5sx1mu1u

    5 ай бұрын

    훌륭 하십니다

  • @minarichannel383
    @minarichannel3835 ай бұрын

    경산고가셨네요 ! 경산여고 출신자로써 .. 자랑스럽습니다 선생님

  • @user-dx8nj2pr3j

    @user-dx8nj2pr3j

    5 ай бұрын

    저도 경산고출신으로써 늘 자랑스럽게 전쌤을 이야기합니다 저는 11기입니다

  • @Daegu_hyuni8787
    @Daegu_hyuni87875 ай бұрын

    경북대.부산대는 지거국 투탑이고 명문대에요. 입시 영상보니 아직은 학생들이 많이 가고 싶어하는 곳이고 성적 쎄요! 대구.부산을 더 키워서 경북대.부산대가 예전 위상을 되찾았음 좋겠습니다.😊 학교 레벨이 높으면 주변 사람도 레벨이 달라지죠!

  • @user-be6mn6kp1u

    @user-be6mn6kp1u

    5 ай бұрын

    86학번입니다. 경북대 부산대는 SKY 급이었습니다

  • @user-b2jrh4v3j2

    @user-b2jrh4v3j2

    5 ай бұрын

    맞아요 지금도 경북대, 부산대는 아무나 못갑니다ㅋㅋ단순 입결 스펙트럼만 보면 서울 중상~중하위이지만 간판학과 인원이 워낙 많아서 실질적인 입결은 중위권 이상입니다

  • @upsetcounter3114

    @upsetcounter3114

    5 ай бұрын

    경북 부산이 무슨 서울 중상이여 그건 80~2010년대지 지금은 서울 최하도 안됨

  • @user-b2jrh4v3j2

    @user-b2jrh4v3j2

    5 ай бұрын

    @@upsetcounter3114 ?혹시 분교를 말씀하시는건지(상주캠, 밀양캠)

  • @cokelover02

    @cokelover02

    5 ай бұрын

    ​@@upsetcounter3114뭐래 ㅋㅋ

  • @user-kh3zy8tq8r
    @user-kh3zy8tq8r5 ай бұрын

    좋은말씀이다 ㄹㅇ 명문대가는만큼 그만큼 좋을만한 클라스가 높아지긴하니까 다만 모든일에 대해서 노력하자

  • @user-ii9ki7th9d
    @user-ii9ki7th9d5 ай бұрын

    진짜 참 선생님이다 추상적이고 두루뭉술하게 책임회피처럼 말하는 다른 꼰대들과 다르게 현실적인 조언과 초등학생도 알아듣기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는게 왜 이 사람이 1타인지를 보여준다

  • @omins634
    @omins6345 ай бұрын

    인생 살아보니 사람을 판단하는데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 학벌입디다.

  • @user-fi8rt1vi8q
    @user-fi8rt1vi8q5 ай бұрын

    그리고 이 강연 듣고 경산고 학생들 설마 좋아라만 하는 건 아니겠지요. 열심히 공부하고 책도 읽고 실력을 키워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키워야합니다

  • @Sdq357
    @Sdq3575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조언이라 반박할수는 없는데 참으로 암담한사회네요

  • @russssq
    @russssq5 ай бұрын

    지잡대도 나오고 외국학교도 나왔는데... 진짜 수준 맞춰서 지잡대 이력서 넣으면 연봉맞추기 힘들고 회사 수준에 맞춰서 외국학교 이력서 맞춰서 넣으면 현장실무검증 받기전에 연봉이 이미 높아서 측정됩니다 ㅠㅠ 그래서 더 나중에 저도 제 아들딸은 더 좋은학교 보내고 싶은 생각이 많아 졌습니다

  • @user-ku5lg1xt3p
    @user-ku5lg1xt3p5 ай бұрын

    이건 정말 구구절절 다 맞는 말씀❤

  • @user-dh8qu6xr5y
    @user-dh8qu6xr5y5 ай бұрын

    노오란 병아리 티셔츠 찰떡입니다❤

  • @qwertyui-wd4bg
    @qwertyui-wd4bg3 ай бұрын

    최선을 다해서 내가 하고 싶은걸 쟁취하되 자신의 주제파악를 하고 기준을 정해서 그안에서 행복을 느끼는것도 중요함. 되지도 않는 기준만 냅다높이고 계속해서 패배감을 느끼면 남과 비교하며 평생 불행하다. 예를 들어 내노력이 서울대까지 못가는 능력인데 계속 거기서 패배감 느끼지말고 그밑에 대학에 만족하고 내가 잘할수있는 능력치를 찾아서 발전시키는게 좋다~

  • @KJFood1
    @KJFood15 ай бұрын

    그 자리에 있으면 세상을 바꾸실 생각을 하세요. 바뀐 세상에 편하게 승차하실 생각 마시구요. 우리나라 교육 갈길 멉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