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교수, 한국을 좋아하는 이유 "한국인에게 세상을 대하는 남다른 에너지를 느낍니다"

Ойын-сауық

펜실베니아 주립대 사회학과 샘 리처드 교수가 항상 그래왔듯이 한 학기를 마치는 마지막 수업인 이번 강의에서 학생들로부터 질문을 받고 답변하는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질문 중에 한 학생이 강의 중에 학생들이 했던 말로 인해 온라인에서 비난을 받는 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이 있었고 한국을 방문하면서 가장 좋았던 것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도 있었습니다

Пікірлер: 127

  • @jayoh7362
    @jayoh7362Ай бұрын

    샘교수가 한국인들에게 특별한 감정을 갖는 이유는...한국인 유학생들때문입니다. 특히 한국에서 온 대학원생들....그가 나중에 밝혔지만....나는 세상에서 그렇게 성실하고 겸손하고 예의바른 사람들은 접해보질 못했다고 합니다.우리는 어릴때부터 항상 근면,자조,협동을 배우고 윗사람은 늘 존경해야한다고 배웠는데....놀랍게도 미국인들은 그런걸 어릴때부터 안배웁니다. 그냥 개인의 개성과 행복에 대해 배우고 그걸 추구하죠.....

  • @yellow_mon

    @yellow_mon

    Ай бұрын

    👍👍

  • @user-ej6sb9nk1c

    @user-ej6sb9nk1c

    29 күн бұрын

    ​@@yellow_mon어느게 정답일까요?

  • @skybird4171

    @skybird4171

    28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온 많은 외국인들이 수직적인 한국문화에 대해 놀라고 있다. 장점과 단점이 아울러 존재하는데 우리 젊은 층에게는 꼰대질이 아직 익숙하지않은 상태라 좋은 점만 돋보인 것. 아울러 우리는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줄이는 방향으로 나가야겠지.

  • @user-mz1gc4pp9r

    @user-mz1gc4pp9r

    28 күн бұрын

    윗물이 맗아야한다는 말이 있듯이 윗사람이라고해서 막대해도 된다는 말은 아닌데 윗사람이라는 이유로 막대해서 그런거 같습니다 당연히 어린사람은 윗사람에 대한 존중이나 예의는 있어야 한대는 전재가 있어야겠죠

  • @deus72

    @deus72

    27 күн бұрын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만 가도 신기해함 왜케 열심히 하냐고... 그 질문 자체가 ㅈㄴ 신기했던 누굴 위해 하는것도 아니고 누가 강요 한것도 아니고 당연한걸 왜 질문 하지 하는 느낌...

  • @majorslee9603
    @majorslee9603Ай бұрын

    대단한 교수야.. 강의 내용과 강의실 분위기를 완벽히 장악할수 있다는 자신감이 없고서야 저런식으로 강의내용을 전 세계에 다 공개할수가 있을까 이건 뭐 한국에 대한 커다란 무료 홍보효과 지.한국서 자주 모셔다가,한국사회 정밀 분석해서,문제점이 무엇이고 해결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자문해 봐야 한다

  • @user-fy8we2zm4b
    @user-fy8we2zm4b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항상건강하시고. 한국도 많이사랑해주세요 사랑합니다~~~♡

  • @user-rl4bu2dd7t
    @user-rl4bu2dd7tАй бұрын

    흑형은 칭찬이고 부러움의 상징이야 종족 인종적 우수함에대한 인정이고 존경이다

  • @Drstolzman

    @Drstolzman

    Ай бұрын

    그것도 사실은 일종의 인종차별입니다. 특정 인종이란 이유로 스테레오 타입을 생각하고 그렇게 부르는 것 자체가 상대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쁠 수는 있습니다. 비록 존중의 의미라고 하더라도.. 아시아인들 대부분이 수학 점수가 뛰어나서 존중의 의미로 수학맨이라고 부른다고 해봅시다. 누군가는 수학을 못하기도 하고 잘하더라도 기분이 안 좋을 수 있죠.

  • @mymoon-to5fl

    @mymoon-to5fl

    29 күн бұрын

    우리입장에선 칭찬이더라도 그들이 들었을땐 모욕이고 인종차별이라 느꼈다면 잘못된표현은 맞아요.

  • @naandmi1761

    @naandmi1761

    29 күн бұрын

    ​@@mymoon-to5fl칭찬인데 모욕으로 듣는다면 방법이 없음...이해시키려는 노력은 있어야겠지만요...세상살다보면 긍정적 부정적인걸 판단 하려면 그의도가 중요함 좋은의도였지만 결과가 안좋을때 나쁜의도인데도 결과가 좋을때도있음...말도 마찮가지임 좋은의도로 한말이지만 나쁘게 받아드리면 사실 방법이 별로없음..

  • @user-qf9qz1mt9h

    @user-qf9qz1mt9h

    4 күн бұрын

    깔끔하게 정리 하자면 비하도 아니고 좋은 의미지만 인종차별로 느낄 수 있다. 쉽게 얘기해서 아시아인은 수학을 잘하고 의사가 많다는 것도 인종 차별로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것. 그러나 그게 경멸적인 의도의 인종차별과는 반드시 구분 되어야만 함. 사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인종차별은 오바고 그냥 그런 표현을 좋아하지 않는 다고 표현 하는게 정확하다고 생각 함.

  • @rmsep1026
    @rmsep1026Ай бұрын

    샘교수는 한국 왔을 때 장유유서에 많이 감동 먹은 듯

  • @remy4remy

    @remy4remy

    7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은 한국의 젊은이들이 많은데...

  • @DiDiSkysea_HoneyHedi
    @DiDiSkysea_HoneyHediАй бұрын

    저는 샘교수님의 긍정적인 에너지가 좋습니다 👍🏻

  • @kiheonlee1347
    @kiheonlee1347Ай бұрын

    우리는 천손이라고하지만 선민의식을 통한. 특권보다는 천손으로서의 의무 "홍익인간"에대한 실천의 책임감만 있다

  • @user-ge6lz4tc3r
    @user-ge6lz4tc3r28 күн бұрын

    옛부터 도덕책, 바른생활책 속에서 올바른 행동과 예절, 마음가짐등을 배워 온것이 몸에 배어들어서 국민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 @hyukjaes
    @hyukjaes16 күн бұрын

    대학때 교수님 중에 한분이 미국서 교수하시다가 한국으로 돌아오셨는데, 그 이유가 미국 대학에서 주변 동료 교수들 보면 죽을때까지 종이봉투에 점심싸와서 샌드위치 그거 먹고 평생을 똑같이 살다가 가시는 거보고 한국의 다이내믹한 (에너지 넘치는) 환경이 그리워서 한국으로 돌아왔다고 말씀하신게 기억 나네요. 확실히 그런 에너지는 다르죠. 댓글창도 항상 배틀중이고. 그 말씀하신게 벌써 20년 전인데 지금도 아직 관공서 가면 싸우고 소리 질러야 해결되는 일들이 많고. 선진국일수록 뭔가 모든게 셋팅이 끝나서 개개인의 인생도 그 셋팅 값 안에서 죽을때까지가 훤히 다 보이는 면이 있죠. 특히 북유럽이 제일 그렇고. 문화나 인생에 정답은 없죠. 주어진대로 살거나, 싫으면 나가서 개척하거나.

  • @Handdol33
    @Handdol33Ай бұрын

    흑형은 피지컬 넘사벽을 부르는거지 마이클조던같이 위대한 흑인들을 형이라는 존경을담아 부르던거다

  • @chocopia13

    @chocopia13

    Ай бұрын

    그래도 그걸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한테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을 듯 합니다.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Ай бұрын

    이게 일부 애들이 놀릴때.. 즉 뭔가 실수할때도 오 흑형 하던 이유로 비하로 인식되어그렇지. 바보보고 오 천재 이런다고 해서 천재 자체가 비하단어는 아닌건데. 옐로 브라더가 아니라 옐로 멍키가 문제인거죠.

  • @Drstolzman

    @Drstolzman

    Ай бұрын

    그것도 사실은 일종의 인종차별입니다. 특정 인종이란 이유로 스테레오 타입을 생각하고 그렇게 부르는 것 자체가 상대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쁠 수는 있습니다. 비록 존중의 의미라고 하더라도.. 아시아인들 대부분이 수학 점수가 뛰어나서 존중의 의미로 수학맨이라고 부른다고 해봅시다. 누군가는 수학을 못하기도 하고 잘하더라도 기분이 안 좋을 수 있죠.

  • @aigreenbee9852

    @aigreenbee9852

    23 күн бұрын

    당사자들이 쓰지 말라면 쓰지 마라 하 참

  • @Handdol33

    @Handdol33

    23 күн бұрын

    @@aigreenbee9852 마이클조던이 하지말라면 안하겠습니다

  • @user-us5rx3ct3o
    @user-us5rx3ct3oАй бұрын

    우리 나라 역사는 배우면 배울수록 놀랍구요 자랑스럽답니다 😊

  • @user-ke8ud7wo1r
    @user-ke8ud7wo1r15 күн бұрын

    오늘 샘교수님 실물 영접했는데 키도크시고 얼굴도 작고 정말 멋쟁이셨어요 건국대 근처였는데 실물이 훨~씬 멋지고 후광이 뿜어져 나오드만요 👍

  • @user-nx1pv3jp3v
    @user-nx1pv3jp3vАй бұрын

    흑형은… 우리가 절대로 가지기 힘든 엄청난 피지컬이 대한 시샘이나 부러움 섞인 말인디 ㅋㅋ

  • @user-lk2ez1su4s
    @user-lk2ez1su4s2 күн бұрын

    샘 교수님 당신은 항상 오른 강의을해서 좋아합니다. 그래서 저는 샘교수님 응원합니다.

  • @rmsep1026
    @rmsep1026Ай бұрын

    미국도 똑같네 좌우 구분해서 옭아 메는거

  • @baekch307

    @baekch307

    Ай бұрын

    중립에 서면, 좌우 양쪽이 다 공격한다는 것도 개그 포인트죠 ㅋ

  • @golmoo89

    @golmoo89

    28 күн бұрын

    미국이 메카시즘 광풍이 불었던 나라임 저기는 극단주의 기독교단체들이 문제임 정치권에 엄청난 로비를함

  • @hyukjaes

    @hyukjaes

    16 күн бұрын

    @@golmoo89 지금 캘리포니아 뉴욕 돌아가는 꼴 알고 하는 얘기임? ㅋㅋㅋ

  • @user-ub8ug6in8w
    @user-ub8ug6in8w13 күн бұрын

    김치 좋아 하시는 교수님 사랑합니다.

  • @daejungkang564
    @daejungkang56429 күн бұрын

    흑형은 생물학 우월함에 대한 부러움의 표현인데

  • @junkakinsplaystore
    @junkakinsplaystore28 күн бұрын

    흑형 =bro❤

  • @user-pr8vk8yj2n
    @user-pr8vk8yj2n13 күн бұрын

    김치는 품고 있는 유산균이 생물이라 사람들이 좋아하고 유해균이 아니라 , 유익균이라서 인간 친화적인 물건이라 좋아 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음식 먹을 때도 마지막에 입가심으로 김치 한 젓가락이면 개운한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김치를 즐겨 먹는 사람들이 다들 좋아 하는 것 같습니다.

  • @user-tx6zl8rz1y
    @user-tx6zl8rz1y29 күн бұрын

    사람마다 자신이 가지는 기준이 달라서 그런겁니다 비난도 옹호도 달게 받아야죠 그것도 관심이고 애정이니까요

  • @evakim-wu5kw
    @evakim-wu5kw21 күн бұрын

    우리를 참 적절하게 표현을 잘 하신듯

  • @user-xu5cj4mz5t
    @user-xu5cj4mz5t21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 @user-hx6bh2fe8o
    @user-hx6bh2fe8o26 күн бұрын

    흑형이란 단어 오히려 더 정겹게 느껴지는데.

  • @heayoungjun8930
    @heayoungjun8930Ай бұрын

    아니 남다른 에너지 그게 뭔지 보려고 들어왔는데 맨 마지막에 제목 딱 얘기하고 끝나네. 세상을 대하는 에너지가 어떻길래? 네????

  • @hyukjaes

    @hyukjaes

    16 күн бұрын

    설명하자면 너무 길어지는데, 한마디로 응축된 것을 말하자면 6.25 전쟁후 이만한 단기간에 이 정도 성장을 이룬 나라는 한국이 유일. 특히 2차대전 당시 피지배국이 지배국을 따라잡은 경우도 한국이 유일. 구매력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일본을 앞섰음.

  • @SHKim-uv4wo
    @SHKim-uv4woАй бұрын

    남들과 다른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이 있죠. 다른 나라의 선민사상이 아니죠.

  • @user-wb7lc6pd5t

    @user-wb7lc6pd5t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H.o.l.y_m.o.l.y7

    @H.o.l.y_m.o.l.y7

    Ай бұрын

    홍익인간 이념 좋아하는데... 요즘엔 이 말이 잘 안들리네요

  • @MakuDonarudo.

    @MakuDonarudo.

    Ай бұрын

    홍익 인간 말이 좋아 홍익 인간이지 호구인간 아닌가 ㅠㅠ 특히 일본의 호구

  • @yjk1952

    @yjk1952

    Ай бұрын

    홍익인간은 좋은이념이지만 국가대 국가로는 가장 유약한 이념이고 위험한 이념 통수맞기 좋은 정신세계

  • @fn422

    @fn422

    Ай бұрын

    ​@@MakuDonarudo.스스로 호구라 생각하는게 호구임.

  • @user-yi9uw8ep1o
    @user-yi9uw8ep1oАй бұрын

    그 감치 방금 담그고 쉬면서 지금 영상 보는 거였음 파김치 두단^^

  • @sunmik8245
    @sunmik824512 күн бұрын

    한국 유학생들이 한국에 대한 첫인상을 좋게 심어준 덕분이 아닌가 싶네

  • @user-ot6gh9sv2u
    @user-ot6gh9sv2uАй бұрын

    홍익인간 재세이화 이도여치 😊 홍익인간(弘益人間): (당시 부족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어우러져 행복하게 한다. 재세이화(在世理化): (그러한 홍익인간의) 진리가 세상에 있도록 만든다. 이도여치(以道與治): (그러한 정신을 계승하여 갈등과 병폐를) 사람의 길로써 낫게 한다.

  • @soyeonchae7042
    @soyeonchae7042Ай бұрын

    장난함? 흑형 나한테는 완전 존경의 의민데.

  • @user-kr3ky2pc4w

    @user-kr3ky2pc4w

    6 күн бұрын

    바보야 단순하네

  • @user-uj5oq8yf6w
    @user-uj5oq8yf6w28 күн бұрын

    사회학자라서ᆢ곤혹스러운 상황들이 많을 겁니다.ᆢ어리석은 그들에게 교수님의 강의를 이해시킨다면 딩신은 정말 세계 최고의 사회학자가 될 것 입니다. 어리석은 그들이 그것을 이해 못해서 당신을 괴롭히고 있다면 ᆢ당신은 이미 세계 최고의 사회학자죠.ᆢ😊

  • @user-ng3ed2do4x
    @user-ng3ed2do4x3 күн бұрын

    지금 세대는 아니에요~ 교수님~

  • @user-ks4of2wy8k
    @user-ks4of2wy8kАй бұрын

    지들밖에 모르는 "중화사상"과 자기와 남까지 널리 이롭게 하기를 바라는 사상 "홍익인간" 근데 이기적임의 정점 "중화사상"과 이타적임의 정점 "홍익인간" 홍익인간이 선민사상이냐?? 선민사상에는 차별이 깔려있는데 홍익인간에도 차별이 있나? 선민사상이 들어 있나???

  •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29 күн бұрын

    한국에 대해 좋은 말 해주시느라고 고생하시네요. 한국사람들의 에너지가 좋다고 좋은 말을 해 주셨는데. 저는 좀 냉철한 사람이라 감사하다고 하지는 않을께요. 어디에나 좋은 사람있고, 나쁜 사람이 있지요. 한국 사람은 좋은 사람이고, 미국 사람은 좋은 사람이라는 것은 없죠. 물론 '그리스인 ...'에 나오는 대사이기는 하지만, 상식적인 말이고 생각입니다. 어디에나 있는 좋은 점을 찾아서 말해주는 것은 정말 감사합니다.

  • @user-zo4mj6ox7k
    @user-zo4mj6ox7k28 күн бұрын

    김치가 음식은 맞지만 음식중에 김치를 최애한다는건...... 밥과김치 또는 라면과김치.... 김치혼자서는 훌륭한 음식이 될수없죠. 김치만 먹으면 속쓰림 경험 ㅠㅠ. 음식문화처럼 한국인들은 아니 인류는 서로 어우러져야 완성되는거죠.

  • @user-sd1mq9ft1w
    @user-sd1mq9ft1w20 күн бұрын

    흑형은 흑인의 우월한 능력을 부각시킬때 쓴다고 봐야함.

  • @user-sw7ng6ov1c
    @user-sw7ng6ov1c20 күн бұрын

    한국칭찬을 너무해서 다른나라 학생들한테 반감살것 같음

  • @CLA250_4Matic
    @CLA250_4MaticАй бұрын

    G-Dog은 대학원생이 되겠네...

  • @innijo6026

    @innijo6026

    Ай бұрын

    애칭이 dog ㅋㅋㅋㅋ 왜 G-dog일까? ㅋㅋㅋㅋ 지독해서 지독은 아닐텐데 ㅋㅋㅋㅋ

  • @remy4remy
    @remy4remy7 күн бұрын

    똑같은 말을 해도 듣는 사람의 해석이 천차만별. 생긴대로 해석하는 거니까..

  • @avocado9913
    @avocado9913Ай бұрын

    이거 옛날의 재탕이네

  • @na-bx7mn
    @na-bx7mnАй бұрын

    샘교수는 한국문화에 빠진것처럼 보인다. 작심하고 한국관련 발언을 할 때는 호흡이 거칠고 더듬거려요

  • @esterhan860
    @esterhan8607 күн бұрын

    흑형은 흑인을 형제처럼 부르는거고 난 G dog가 더 불편한데 나만이상한가? 누구 설명해줄 분~

  • @user-qe6bv3qj2i
    @user-qe6bv3qj2i13 күн бұрын

    홍주구범 5천년전의 성문법이자 인류최정점의 유토피아의 제시이자. 실제 적용했던 역사..그래서 중요한 것이다. 진실을 알려고 한다음에 비판하자. 진실이 무엇인지 아직 모르는 초입단계일뿐.. 중국이 중원의 주인이 아니었다는 수많은 유적.문헌.토착문화를 연구한다음에 비판할 자격이 생긴다.

  • @user-nr3fl7iu6q
    @user-nr3fl7iu6qАй бұрын

    에너지? 생존 즉 살아남기위한 처절한 몸부림일뿐 죽지 못해 살아내기위한 불가피한 것뿐 그 이상 포장할게 없는 씁슬한 현실 들쳐보면 속속드리 썩어가는것도 많다 애석하게도

  • @berry4087
    @berry40876 күн бұрын

    Oct 17 2022 사람들은 이제 초대형 빨간색 행성을 보게 될 것이다. kzread.info/dash/bejne/n4KfpaSKYpC2l7A.htmlsi=gbL8xDzMCTvGyXap

  • @user-vd8dm9is6y
    @user-vd8dm9is6y10 сағат бұрын

    교수님이 한국을 잘 모르시네 노답입니다 좋아하지마십쇼

  • @user-gl9do2rx5k
    @user-gl9do2rx5kАй бұрын

    반국가 반국민 반국익 권리만찾고 무책임한 ...자신들의 이익만 추구하는 무리를 요직에 두는 븅의 나라가 어딘가

  • @user-ed2sp6to9n
    @user-ed2sp6to9nАй бұрын

    수업에 참여하는 한국 학생들 수준이 떨어지네여 ㅠㅠ 흑형은 블랙브라더 인데 번역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 함

  • @Choi-MC

    @Choi-MC

    Ай бұрын

    저 대학보다 좋은곳 졸업 했을때 수준 타령 하시고 그쪽 보다 똑똑한 애들인데 블랙브라더 라는걸 모를까? 그걸 직역해버리면 인종차별 언어가 되버리는데 흑인한테 쳐맞을까봐 조심하는거임

  • @user-ed2sp6to9n

    @user-ed2sp6to9n

    Ай бұрын

    @@Choi-MC 수준 단어 선택은 나의 미스 애들이 어려서 흑형의 유래를 몰랐던것 흑형의 유래는 토토 유저들에서 탄생 애들이라 도박은 안해서 몰랐을 수 있지만 외국애들에게 번역은 제대로 해줘야지 안그래?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Ай бұрын

    아니 흑형 자체의 단어 문제는 없는데? 흑인보다 더 친근한거 아닌가? 어이 거기 흑인. 그게 되려 비하같음.

  • @PJS27
    @PJS27Ай бұрын

    샘교수님은 아무리봐도 한국뽕이좀 있음ㅋ

  • @youngheungahn
    @youngheungahnАй бұрын

    좌우에 대한 언급이 있어 몇자 개인 생각을 적어봅니다. 좌익은 필요 이상으로 타인의 상황에 대해 감정이입하고 힘들어합니다. 특성상 여성들 중에 많습니다.😅 우익은 타인의 어려움은 자기책임, 나도 힘들지만 내색없이 살고 있다.. 그러므로 힘든 내색하고 공감하는 걸 극혐하죠. 또한 우익은 좌익이 남 생각한다면서 이익 취하고 등꼴 빼먹는 걸 보면서 ... 그것 봐라 좌익의 실체가 이렇다...극혐하죠. 좌측 우측의 관점 차이 덕분에 세상은 건강하게 돌아갑니다. 문제는 그걸 이용해서 이익을 취하는 사람들에 의해... 또한 정치적으로 이용해 먹는 사람들 탓에 그 의미가 희석되기도 하죠. 저는 좌쪽에 가깝습니다만. 타인을 생각하고 걱정한다면서 자기 직업이 그러한 기부금, 정부 보조를 나눠 자기 월급으로 가져가는 사람들을 증오합니다. 그들은 타인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교회현금으로 공부 못하는 자기 자식 유학보내는 목사가 그렇고 동물 복지, 비건 한다면서 봉사자들 월급 착취하고 가죽옷입고 쏘하는 사람들이 그러하죠.

  • @user-hx1sh2dk4k

    @user-hx1sh2dk4k

    29 күн бұрын

    님은 중도진보 같습니다 님의 생각에 존중을 표합니다 이쪽저쪽 40프로는 반대편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는1인 입니다 무엇이든 한쪽으로 심히 기우는건 나라를 위해 해로운 일이라 생각 듭니다 어느 권력이든 한쪽으로 심히 기울면 나라는 망합니다 인간이란 권력을 잡으면 마음이 변하는게 세상이치 입니다 단 한번도 변하지 않는 적이 없었죠 왜이렇게 좌우 갈라치기가 되었는지 슬플때가 있습니다

  • @Sitimlaben

    @Sitimlaben

    22 күн бұрын

    이 분은 뭔가 되게 기분 나쁜 인상을 주는군 !

  • @lyla7539
    @lyla7539Ай бұрын

    이 사람 진짜 대단히 큰 착각을 하고 있는것 같애

  • @sungwooderson9792
    @sungwooderson9792Ай бұрын

    목소리 혐

  • @taehunlee-rj2cn
    @taehunlee-rj2cn14 күн бұрын

    자신을 향한 근거없는 칭찬만 기대하고 모든 것에 과민한 이상한 사람은 단체의 압력행사 시스템을 통해 모든 속죄 과정을 거부 가능합니다. 역학에 의존한 도박이죠. 집단 전체가 피말리게 죄의식을 빨리빨리 차버리고 있는 행위가 전부입니다. 영아 수준 이하의 억지 입니다. 그 정도 추하고 형편 없는 집단은 한국에 없었고 역사적으로도 존재 하지 않았습니다.

  • @kwj1123
    @kwj1123Ай бұрын

    이!샘 리처드 교수님에 따르면 미국에도 '가장 위험한 교수 101리스트' 가 있다는 건데? 그럼 표현의 자유라곤 단 1도 없는 중국과 도대체 뭐가 다른거지?

  • @originlife7939
    @originlife7939Ай бұрын

    교수의 말처럼 한국사람들은 좋은데 정치가 개판임. 뭐가 문제지?😢

  • @user-gu4kv7zl3o

    @user-gu4kv7zl3o

    Ай бұрын

    정치는 어느 나라나 개판이에요. 사실 정치가 온전하다라는 경우엔 민주주의의 실현도를 척도로 할 수 있는데, 어느 사회학자들이 말하길... 대부분의 국가가 국가의 공식이름에 민주주의를 붙이지만, 실제적으로 정상적인(?)민주주의 국가는 전 세계에 25여개국도 되지 않는다. 라고 했더랬죠. 그나마 한국이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민주주의에 성공한 나라이긴 한데... 현재 정부때문에 독재체제로 이행중인 국가로 평가 받으면서 추락하고 있어서.. 너무 안타깝네요. 여하튼 온전한 또는 정상적인 민주주의 국가를 위해서는 국민들이 정치를 혐오하기 보다는 관심을 가지고 개같은 정치판을 정상화 시켜야 합니다. 그 길 밖에 없어요.

  • @lennox6003

    @lennox6003

    Ай бұрын

    yoon

  • @chanhyun_nam

    @chanhyun_nam

    Ай бұрын

    ​@@user-gu4kv7zl3o 국회를 야당이 장악중인데 어찌 독재가 됩니까?? 서로 대립중이라 다 거기서 거기인데 ㅎㅎ 전 정부 같은 상황을 독재라고 하는 것임

  • @baekch307
    @baekch307Ай бұрын

    쟤가 재였음? 한국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면서 강의를 왜 도와? ㅋㅋㅋㅋㅋ

  • @whojang2000

    @whojang2000

    Ай бұрын

    왜..?? 댁이 저 교수 수업에 참여한 저 대학 학생 이기라도 했음...?? 적어도 당신보단 모든 공부를 많이 했고 특히 한국에 대한 전문가 되려고 한국에 몇번이나 왔다가고 공부했는데 무슨 근거로 '아무것도 모른다' 라고 혼자 뇌피셜로 결론 내림...?? ㅎㅎㅎㅎㅎ

  • @user-hm9kp9te2x

    @user-hm9kp9te2x

    Ай бұрын

    @@whojang2000 아니 저 남자애가 뜬금없이 흑형을 거론하면서 한국을 심한 인종차별국가라고 게거품 무는 영상 못봤음? 한국을 아주 저열한 국가처럼 말하던 넘인데 조교시켜 놓으니까 지금은 무슨 한국 전문가행세를 하는 넘임 한마디로 앞뒤가 다른 관종샠히일뿐

  • @baekch307

    @baekch307

    Ай бұрын

    님이야말로...내가 누구에 대해서 말한건지 모르는듯 한데;; 이전 강의들 별로 안봤나봄

  • @baekch307

    @baekch307

    Ай бұрын

    @@peace6206 혹시 그런거였으면 제가 생각이 짧았네요. 근데, 그때는 너무 확신에 차서 한국인들이 인종차별한다고 흑형을 들먹이길래 어이없더라구요.

  • @whojang2000

    @whojang2000

    Ай бұрын

    @@baekch307 일단 Penn State 에서 저정도의 규모로 강의를 할 정도면 거의 스타급 맞습니다....아마도 님께서 저 교수의 옛날 영상을 안본 상태에서 하나만 보고 기분이 나빴을 가능성이 큽니다.....저 교수 부부 둘다 교수인데 한국에 대한 사랑이 어마어마 합니다...얼마전에도 또 다녀 갔습니다....한국오면 무조건 대중교통 자연스럽게 이용하고 뭐 그렇게 다니고 한국의 지인들과 삼겹살에 소주먹고 합니다

  • @ytw1118
    @ytw111824 күн бұрын

    저 교수가 한국을 보는 방식이 뭔가 먼곳에서 바라보면 희극인 것고 같은 방식인거 같음,,,사실 내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속은 썩었는데,,왜 그렇게 한국인을 높게 평가할까;;;사실 상당히 인종차별주의 적이고 비교 의식이 심하고 천민자본주의 사상도 심한 민족인데

  • @user-yy4tn3qh5m
    @user-yy4tn3qh5mАй бұрын

    쟤 생긴거 보면 그냥 조선족인데

  • @eqirm
    @eqirm29 күн бұрын

    마이 봣는데 이사람은 한국에 치우쳐져 있음

Келесі